[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64968B1 - 밀폐형 보관용기 - Google Patents

밀폐형 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968B1
KR102164968B1 KR1020190028704A KR20190028704A KR102164968B1 KR 102164968 B1 KR102164968 B1 KR 102164968B1 KR 1020190028704 A KR1020190028704 A KR 1020190028704A KR 20190028704 A KR20190028704 A KR 20190028704A KR 102164968 B1 KR102164968 B1 KR 102164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id
storage container
container body
protru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9534A (ko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190028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968B1/ko
Publication of KR20200109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96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06Deformable or tearable wires, strings or strips; Use of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3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77Removable lids or covers with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before removal of the tamp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8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flange fitting over the rim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형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용기 본체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피벗 회전이 가능한 덮개부, 용기 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출입을 위해 용기 본체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뚜껑부, 덮개부의 하부면 일측에 형성되며, 덮개부의 피벗 회전을 통해 뚜껑부에 인가되는 연직하방향의 외력을 발생시키는 개봉부, 덮개부의 하부면 타측에 형성되며, 연직하방향의 외력에 의해 개봉된 뚜껑부를 다시 밀폐시키기 위한 밀폐부 및 뚜껑부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되며, 개봉부와 뚜껑부를 연결하여 개봉부에 의해 발생하는 연직하방향의 외력을 뚜껑부로 전달하는 제 1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밀폐형 보관용기{SEALED CONTAINER}
본 발명은 개봉이 간편한 밀폐형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용기를 개봉하고, 사용 이후에는 다시 완전한 밀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식음료, 의약품 및 의료용 센서 등은 주로 캔 형태의 보관용기에 담아 진공 상태로 보관되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대체로 캔 형태의 보관용기는 내용물의 토출을 위해서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상부면의 밀폐된 출입구의 일부가 개방되는 구조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손가락 등의 신체부위에 의해 보관용기의 상부면에 형성된 고리가 당겨지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밀폐된 출입구의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 보관용기의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개방 구조는 보관용기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간단한 동작으로 밀폐된 용기의 출입구를 개방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고리와 출입구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지 않아 손가락 등의 신체부위를 이용하여 고리를 당기는 것 자체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밀폐된 출입구를 개봉하는 과정에서 손톱이 부러지는 등의 상해가 발생할 수 있고, 어린아이와 노약자 등 신체적 약자의 경우에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더라도 밀폐된 출입구의 일부를 개방하기 어려운 문제가 존재한다.
뿐만 아니라, 전술한 캔 형태의 보관용기는 대부분 출입구가 개방된 이후에는 다시 출입구를 밀폐할 수 없으므로, 일단 출입구가 개방되고 나면 반드시 내용물의 사용을 완료해야 한다. 즉, 종래의 캔 형태의 보관용기들은 개봉 이후 재사용을 위한 보관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해야 하는 의약품 및 의료용 센서 등이 내용물로 보관되는 경우에는 오염 및 위생 상의 문제로 인해 재사용이 더욱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2340호 (2013.04.01)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피벗 회전 방식의 덮개를 이용하여 용기의 개봉 또는 밀폐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내용물의 재사용을 위한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관용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폐형 보관용기는, 용기 본체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피벗 회전이 가능한 덮개부, 용기 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출입을 위해 용기 본체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뚜껑부, 덮개부의 하부면 일측에 형성되며, 덮개부의 피벗 회전을 통해 뚜껑부에 인가되는 연직하방향의 외력을 발생시키는 개봉부, 덮개부의 하부면 타측에 형성되며, 연직하방향의 외력에 의해 개봉된 뚜껑부를 다시 밀폐시키기 위한 밀폐부 및 뚜껑부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되며, 개봉부와 뚜껑부를 연결하여 개봉부에 의해 발생하는 연직하방향의 외력을 뚜껑부로 전달하는 제 1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덮개부는, 덮개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 단부가 서로 좌우대칭인 나비 형상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덮개부는, 피벗 회전을 위해 덮개부의 하부면 중심에 형성되는 회전축 및 회전축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덮개부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탄성부재가 압축 또는 신장됨으로써, 덮개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폐형 보관용기는, 용기 본체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단차를 형성하며, 덮개부의 피벗 회전에 의한 높이 조절을 보조하는 제 2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돌출부의 양 단부는 덮개부의 일면이 밀착되어 이동하도록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봉부는, 덮개부가 피벗 회전함에 따라 제 1 돌출부가 삽입되는 슬롯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봉부는, 덮개부가 피벗 회전하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봉부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폐부는, 밀폐부에 의해 밀폐된 뚜껑부의 재개봉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덮개부가 피벗 회전하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공되는 보관용기에 따르면, 피벗 회전 방식의 덮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용기의 개봉이 가능하므로, 종래의 보관용기(ex. 음료수 캔 등)의 개봉 시에 발생하는 상해(ex. 손톱의 부러짐, 베임 등)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피벗 회전 방식의 덮개를 이용하여 개봉 후 밀폐 및 재개봉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내용물의 외부 노출로 인한 오염을 예방할 수 있으며, 공기와의 접촉이 제한되는 의약품이나 의료용 센서 등을 용기를 개봉한 이후에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밀폐형 보관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밀폐형 보관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밀폐형 보관용기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밀폐형 보관용기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덮개부의 피벗 회전에 의해 뚜껑부가 개봉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덮개부의 피벗 회전에 의해 개봉된 뚜껑부가 다시 밀폐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구성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폐형 보관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밀폐형 보관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밀폐형 보관용기의 분해도, 도 4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밀폐형 보관용기의 분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덮개부(100)의 피벗 회전에 의해 뚜껑부(210)가 개봉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덮개부(100)의 피벗 회전에 의해 개봉된 뚜껑부(210)가 다시 밀폐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폐형 보관용기는, 용기 본체(20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피벗 회전이 가능한 덮개부(100), 용기 본체(200)에 수용된 내용물의 출입을 위해 용기 본체(20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뚜껑부(210), 덮개부(100)의 하부면 일측에 형성되며, 덮개부(100)의 피벗 회전을 통해 뚜껑부(210)에 인가되는 연직하방향의 외력을 발생시키는 개봉부(110), 덮개부(100)의 하부면 타측에 형성되며, 연직하방향의 외력에 의해 개봉된 뚜껑부(210)를 다시 밀폐시키기 위한 밀폐부(120) 및 뚜껑부(210)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되며, 개봉부(110)와 뚜껑부(210)를 연결하여 개봉부(110)에 의해 발생하는 연직하방향의 외력을 뚜껑부(210)로 전달하는 제 1 돌출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덮개부(100)는 용기 본체(200)의 상부면의 수평방향으로 피벗 회전됨으로써, 최초 보관용기의 사용 시에 밀폐된 뚜껑부(210)를 개방하거나 개방된 뚜껑부(210)를 다시 밀폐시킬 수 있다. 여기서 피벗 회전이란 일 구성(ex. 덮개부(100))의 무게중심에 위치하는 선회축을 기준으로 한 회전을 말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덮개부(100)가 용기 본체(200)의 상부면의 수평방향으로 피벗 회전하게 되면, 덮개부(100)의 하부면에 형성된 개봉부(110)와 밀폐부(120)가 용기 본체(200)의 상부면의 일측에 배치된 뚜껑부(210)와 교대로 접촉될 수 있다. 만약 피벗 회전에 따라 개봉부(110)가 밀폐된 뚜껑부(210)에 접촉하게 되면, 연직하방향의 외력(i.e. 뚜껑부(210)를 수직아래방향으로 누르는 힘)에 의해 뚜껑부(210)가 개봉될 수 있다. 반대로 피벗 회전에 따라 밀폐부(120)가 개봉된 뚜껑부(210)에 접촉하게 되면, 연직하방향의 외력에 의해 뚜껑부(210)가 다시 밀폐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덮개부(100)는, 덮개부(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 단부가 서로 좌우대칭인 나비 형상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덮개부(100)는 용기 본체(200)의 상부면의 수평방향으로 피벗 회전하므로, 덮개부(100)의 피벗 회전을 위해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힘은 용기 본체(200)의 상부면의 수평방향을 향해 작용한다. 이때, 덮개부(100)가 나비 형상의 구조를 가지면, 직사각형, 마름모, 타원형 등의 다른 형상의 구조에 비해 덮개부(100)의 피벗 회전이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부(100)의 용기 본체(200)의 상부면의 수평방향을 향한 피벗 회전을 위해서는 덮개부(100)의 측벽에 힘이 가해져야 하는데, 도 2와 같이 덮개부(100)는 중심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나비 형상의 구조를 가지므로, 측벽에 가해지는 힘이 타 형상 대비 보다 효과적으로 피벗 회전의 중심축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나비 날개 모양의 덮개부(100) 영역이 중심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사선 형태를 가지므로, 나비 날개 모양의 덮개부(100) 영역은 사용자로부터 인가된 힘을 타 형상(i.e. 직사각형, 마름모, 타원형 등)에 비해 안정적으로 회전을 위한 중심축에 전달하여 효율적인 피벗 회전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덮개부(100)는 양 단부가 용기 본체(200)의 측면까지 확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나비 형상의 구조를 가지는 덮개부(100)의 양 단부는 용기 본체(200)의 측면까지 소정의 길이로 확장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와 같이 덮개부(100)의 양 단부가 확장되면, 사용자는 용기 본체(200)의 상부면뿐만 아니라 용기 본체(200)의 측면에서도 힘을 가해 덮개부(100)를 피벗 회전시킬 수 있게 되므로, 뚜껑부(210)의 개봉 또는 밀폐를 위한 사용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비 날개 모양의 덮개부(100) 영역이 도 2 및 도 4와 같이 용기 본체(200)의 상부면뿐만 아니라 용기 본체(200)의 측면까지 확장되면, 사용자는 용기 본체(200)를 움켜진 한 손만으로 덮개부(100)를 피벗 회전시켜 손쉽게 뚜껑부(210)를 개봉 또는 밀폐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덮개부(100)의 확장된 양 단부에 접촉된 신체부위의 간단한 움직임(ex. 엄지손가락의 좌우 움직임 등)만으로 덮개부(100)가 쉽게 피벗 회전될 수 있으므로, 덮개부(100)가 도 1과 같은 구조일 때 보다 더욱 적은 힘으로도 효과적으로 뚜껑부(210)가 개봉 또는 밀폐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덮개부(100)는, 피벗 회전을 위해 덮개부(100)의 하부면 중심에 형성되는 회전축(13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회전축(130)은 덮개부(100)가 안정적으로 용기 본체(200)의 상부면의 수평방향으로 피벗 회전할 수 있도록 덮개부(100)의 하부면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130)은 도 3과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원추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회전축(130)이 용기 본체(2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용기 본체(200)의 상부면에는 덮개결합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덮개결합부(230)는 회전축(130)이 맞물려 삽입될 수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용기 본체(200)의 상부면의 정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덮개부(100)는, 회전축(130)에 결합되는 탄성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덮개부(100)가 피벗 회전하면서 뚜껑부(210)를 완전히 밀폐하기 위해서는 덮개부(10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높이 조절을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회전축(130)에는 탄성부재(140)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덮개부(100)의 연직하방향으로 일정한 힘이 인가되면, 탄성부재(140)가 압축되면서 덮개부(10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고(i.e. 덮개부(100)와 용기 본체(200)의 상부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덮개부(100)의 하부면에 형성된 밀폐부(120)가 개봉된 뚜껑부(210)에 보다 밀착하게 되어 뚜껑부(210)의 노출이 외부로부터 완벽히 차단될 수 있다. 이때, 다시 한번 사용자로부터 덮개부(100)의 연직하방향(또는 연직상방향)으로 인정한 힘이 인가되면, 탄성부재(140)가 탄성력에 의해 복원 또는 신장되면서 덮개부(100)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어(i.e. 덮개부(100)와 용기 본체(200)의 상부면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어) 덮개부(100)가 보다 용이하게 피벗 회전될 수 있으며, 덮개부(100)의 하부면에 형성된 밀폐부(120)가 뚜껑부(210)로부터 손쉽게 이탈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덮개부(100)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탄성부재(140)가 압축 또는 신장됨으로써, 덮개부(10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덮개부(100)에 의한 뚜껑부(210)의 밀폐 정도를 보다 강화함과 동시에 덮개부(100)의 피벗 회전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뚜껑부(210)의 개방과 밀폐를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폐형 보관용기는, 용기 본체(20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단차를 형성하며, 덮개부(100)의 피벗 회전에 의한 높이 조절을 보조하는 제 2 돌출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돌출부(220)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 2 돌출부(220)들은 용기 본체(200)의 상부면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돌출부(220)는 덮개부(100)와 용기 본체(200)의 상부면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여 보다 용이하게 덮개부(100)의 피벗 회전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2개의 제 2 돌출부(220)가 용기 본체(200)의 상부면에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면, 덮개부(100)와 용기 본체(200)의 상부면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고, 이러한 단차로 인해 덮개부(100)의 높이가 높이지게 되어(i.e. 덮개부(100)와 용기 본체(200)의 상부면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어) 덮개부(100)가 보다 용이하게 피벗 회전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돌출부(220)의 양 단부는 덮개부(100)의 일면이 밀착되어 이동하도록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제 2 돌출부(220)에 의해 형성된 단차로 인해 덮개부(100)가 피벗 회전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제 2 돌출부(220)의 일 단부는 회전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진 구조, 타 단부는 회전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덮개부(100)가 시계방향으로 피벗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 2 돌출부(220)의 일 단부는 제 2 돌출부(220)와 접촉하는 덮개부(100)의 일면이 슬라이딩되어 제 2 돌출부(220)의 상부면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시계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반대로 제 2 돌출부(220)의 타 단부는 제 2 돌출부(220)와 접촉하는 덮개부(100)의 일면이 슬라이딩되어 제 2 돌출부(220)의 상부면에서 용기 본체(200)의 상부면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시계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돌출부(220)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덮개부(100)의 피벗 회전에 따라 덮개부(100)의 높이가 자연스럽게 연직상하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 2 돌출부(220)는 도 3과 같이 용기 본체(200)의 상부면의 회전 곡률 또는 덮개부(100)의 회전 곡률을 갖는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봉부(110) 및 밀폐부(12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서 덮개부(100)의 피벗 회전에 의한 뚜껑부(210)의 개봉 및 밀폐 원리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봉부(110)는, 덮개부(100)가 피벗 회전함에 따라 제 1 돌출부(211)가 삽입되는 슬롯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부(100)가 피벗 회전함에 따라 개봉부(110)가 제 1 돌출부(211)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덮개부(100)의 피벗 회전이 계속됨에 따라 제 1 돌출부(211)가 도 1 또는 도 2와 같이 덮개부(100)의 하부면에 함몰된 홈(i.e. 슬롯) 형태로 형성된 개봉부(110)로 삽입될 수 있다. 즉, 덮개부(100)의 피벗 회전에 따라 자연스럽게 제 1 돌출부(211)가 슬롯형 구조의 개봉부(110)로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개봉부(110)에 의해 발생되는 연직하방향의 외력이 제 1 돌출부(211)에 전달 또는 작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봉부(110)는, 덮개부(100)가 피벗 회전하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덮개부(100)의 피벗 회전을 통해 뚜껑부(210)를 개봉하기 위한 연직하방향의 힘을 발생시키기 위함이다. 즉, 개봉부(110)의 회전 방향을 향한 상향 경사진 구조에 의해 제 1 돌출부(211)는 개봉부(110)의 경사면을 따라 연직하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로 인해 뚜껑부(210)에 연직하방향의 힘이 인가되어 뚜껑부(210)가 개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a)와 같이 덮개부(100)의 피벗 회전에 의해 개봉부(110)가 뚜껑부(210)의 위치로 이동되면, 제 1 돌출부(211)는 슬롯 형태의 개봉부(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개봉부(110)의 경사면에 접촉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개봉부(110)는 피벗 회전 방향을 향한 상향 경사진 구조를 가지며, 개봉부(110)와 제 1 돌출부(211)는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덮개부(100)의 피벗 회전이 계속되면 도 5의 (b)와 같이 제 1 돌출부(211)에는 용기 본체(200)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수직아래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작용될 수 있다. 이때, 제 1 돌출부(211)는 뚜껑부(210)의 상부면에 형성되므로, 제 1 돌출부(211)에 작용하는 누르는 힘은 뚜껑부(210)에 그대로 전달되고, 뚜껑부(210)는 전달된 힘에 의해 도 5의 (b)와 같이 개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봉부(110)가 덮개부(100)의 피벗 회전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진 구조를 가짐으로써, 덮개부(100)를 피벗 회전시키는 힘만으로도 뚜껑부(210)가 손쉽게 개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봉부(110)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곡률은 용기 본체(200)의 상부면의 회전 곡률 또는 덮개부(100)의 회전 곡률일 수 있다. 즉, 덮개부(100)의 피벗 회전에 따라 제 1 돌출부(211)가 개봉부(110)로 삽입되어 자연스럽게 이동되어야 하므로, 개봉부(110)는 용기 본체(200)의 상부면의 회전 곡률 또는 덮개부(100)의 회전 곡률을 갖는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폐부(120)는, 밀폐부(120)에 의해 밀폐된 뚜껑부(210)의 재개봉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덮개부(100)가 피벗 회전하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재사용을 위해서는 뚜껑부(210)가 밀폐될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재개봉될 수 있어야 하므로, 덮개부(100)의 피벗 회전에 의해 자연스럽게 밀폐부(120)가 뚜껑부(210)의 접촉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밀폐부(120)의 일측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개봉부(110)의 경사진 구조에 의해 뚜껑부(210)가 개봉이 되고 나서 뚜껑부(210)를 밀폐시키기 위해서 덮개부(100)가 피벗 회전하게 되면, 밀폐부(120)는 도 6의 (a)와 같이 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밀폐부(120)가 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개봉된 뚜껑부(210)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밀폐부(120)는 뚜껑부(210)의 개방된 영역에 도 6의 (b)와 같이 삽입되어 뚜껑부(210)를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다. 밀폐부(120)는 뚜껑부(210)의 개방된 영역에 완전히 맞물리도록 뚜껑부(210)의 개방된 영역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밀폐부(120)에 의해 다시 밀폐된 뚜껑부(210)를 재개봉해야 하는 경우, 도 6의 (c)와 같이 덮개부(100)에 피벗 회전 방향의 힘이 인가됨에 따라 밀폐부(120)는 뚜껑부(210)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밀폐부(120)가 회전 방향으로 이동되면 밀폐된 뚜껑부(210)는 다시 재개봉될 수 있다. 즉, 밀폐부(120)의 일측(i.e. 덮개부(100)의 피벗 회전 방향 측)은 뚜껑부(210)의 기울어진 상부면에 맞물리는 경사진 구조를 가지므로, 덮개부(100)의 피벗 회전에 의해 밀폐부(120)는 뚜껑부(210)의 기울어진 상부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뚜껑부(210)의 개방된 영역을 빠져나올 수 있다.
이와 같은 덮개부(100)의 피벗 회전에 따른 밀폐부(120)의 뚜껑부(210) 간의 결합 과정은 전술한 회전축(130)에 결합된 탄성부재(140)에 의해 더욱 견고하고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한 덮개부(100)의 높이 조절에 의해 밀폐부(120)가 뚜껑부(210)의 개방된 영역에 완벽히 맞물려 뚜껑부(210)를 견고하게 밀폐할 수 있으며, 밀폐부(120)가 뚜껑부(210)의 개방된 영역으로부터 손쉽게 빠져나와 뚜껑부(210)를 재개봉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덮개부 110: 개봉부
120: 밀폐부 130: 회전축
140: 탄성부재
200: 용기 본체 210: 뚜껑부
211: 제 1 돌출부 220: 제 2 돌출부
230: 덮개결합부

Claims (10)

  1. 밀폐형 보관용기로서,
    용기 본체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피벗 회전이 가능한 덮개부;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출입을 위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뚜껑부;
    상기 덮개부의 하부면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의 피벗 회전을 통해 상기 뚜껑부에 인가되는 연직하방향의 외력을 발생시키는 개봉부;
    상기 덮개부의 하부면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연직하방향의 외력에 의해 개봉된 뚜껑부를 다시 밀폐시키기 위한 밀폐부; 및
    상기 뚜껑부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개봉부와 뚜껑부를 연결하여 상기 개봉부에 의해 발생하는 연직하방향의 외력을 상기 뚜껑부로 전달하는 제 1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는, 상기 피벗 회전을 위해 상기 덮개부의 하부면 중심에 형성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보관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덮개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 단부가 서로 좌우대칭인 나비 형상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보관용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 또는 신장됨으로써, 상기 덮개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보관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덮개부의 피벗 회전에 의한 높이 조절을 보조하는 제 2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보관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출부의 양 단부는 상기 덮개부의 일면이 밀착되어 이동하도록 경사진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보관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부는, 상기 덮개부가 피벗 회전함에 따라 제 1 돌출부가 삽입되는 슬롯형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보관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부는, 상기 덮개부가 피벗 회전하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진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보관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부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보관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상기 밀폐부에 의해 밀폐된 뚜껑부의 재개봉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덮개부가 피벗 회전하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진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보관용기.
KR1020190028704A 2019-03-13 2019-03-13 밀폐형 보관용기 Active KR102164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704A KR102164968B1 (ko) 2019-03-13 2019-03-13 밀폐형 보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704A KR102164968B1 (ko) 2019-03-13 2019-03-13 밀폐형 보관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534A KR20200109534A (ko) 2020-09-23
KR102164968B1 true KR102164968B1 (ko) 2020-10-13

Family

ID=72708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704A Active KR102164968B1 (ko) 2019-03-13 2019-03-13 밀폐형 보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96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218Y1 (ko) * 2003-06-17 2003-09-17 김원겸 회전마개가 있는 음료캔
JP2015137132A (ja) * 2014-01-23 2015-07-30 基弘 小峰 缶蓋と回転式タブ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2340A (ko) 2013-02-18 2013-04-01 박준태 이지오픈 캔뚜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218Y1 (ko) * 2003-06-17 2003-09-17 김원겸 회전마개가 있는 음료캔
JP2015137132A (ja) * 2014-01-23 2015-07-30 基弘 小峰 缶蓋と回転式タ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534A (ko)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2838B2 (en) Drinking containers and related methods
US8448830B2 (en) Method of opening an ampoule
TWI454410B (zh) 封閉件及具有封閉件之容器
SE1051086A1 (sv) Barnsäker behållare
KR102023262B1 (ko) 느슨하게 저장되는 제품을 위한 용기 및 그러한 용기를 개방하기 위한 방법
JP2008531410A (ja) 蓋の密封を改良した閉鎖装置
JPH06133818A (ja) 化粧品用収容装置
TW200815244A (en) Closure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MX2010012879A (es) Elemento de seguridad para un elemento obturador.
EP1023228A1 (en) Device for forming a mouth in a container
KR102164968B1 (ko) 밀폐형 보관용기
KR101975660B1 (ko) 밀폐용기
US7878354B2 (en) One touch-type stopper and a container having the same
EP2239207B1 (en) Portion container
US20110174844A1 (en) Closure
KR20200046550A (ko) 저장용기
US9604754B1 (en) Hermetically-sealing dispensing lid of injected plastic material for packages of solid products, in powder or grain form
KR102096794B1 (ko)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
JP7290392B2 (ja) 包装容器
KR20100064014A (ko) 밀폐 용기 및 그 밀폐 용기 성형용 금형
JP6903936B2 (ja) 口栓
KR102543259B1 (ko) 용기의 개량 원터치 뚜껑
WO2007049315A1 (en) Aroma-preserving clip device for closing tetrarex®-type containers
KR200394215Y1 (ko) 강력 접착제 보관용기
JP7087643B2 (ja) ヒンジ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0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0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