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64502B1 - 그물용 로프 - Google Patents

그물용 로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502B1
KR102164502B1 KR1020200013270A KR20200013270A KR102164502B1 KR 102164502 B1 KR102164502 B1 KR 102164502B1 KR 1020200013270 A KR1020200013270 A KR 1020200013270A KR 20200013270 A KR20200013270 A KR 20200013270A KR 102164502 B1 KR102164502 B1 KR 102164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net
pressure
main strand
flu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삼영
정수인
Original Assignee
정삼영
정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삼영, 정수인 filed Critical 정삼영
Priority to KR1020200013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5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50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2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f vegetable origin, of animal origin, regenerated cellulose, plast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12Rope or cabl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ir internal structure
    • D07B2201/1016Rope or cabl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ir internal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fferent strand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4Rope or cable structures twisted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2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501/2038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물용 로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로프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에 의한 유동유로를 따라 해수를 포함한 유체가 유동하면서 로프주위에 압력차를 발생시켜 로프를 이동시키는 그물용로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동일한 굵기의 다수가닥으로 구성되어 있는 서브스트랜드 및 서브스트랜드보다 굵기가 굵은 메인스트랜드를 포함하며, 다수개의 서브스트랜드와 하나의 메인스트랜드가 트위스트방식으로 꼬여 하나의 로프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그물용 로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그물용 로프 {Ropes for trawl nets}
본 발명은 그물용 로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로프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에 의한 유동유로를 따라 해수를 포함한 유체가 유동하면서 로프주위에 압력차를 발생시켜 로프를 이동시키는 그물용로프에 관한 것이다.
그물어구(fishing nets)의 하나인 끌그물(dragged net)은 자루 양쪽에 날개가 달린 그물을 수평방향으로 끌어서 대량의 어류를 포획하게 되는 것으로, 주로 트롤어업(trawl fishery)에 적용되어 트롤어망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트롤어망은 수상에서 이동하게 되는 선박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선박에서 대상 수심에 어구를 적용하기 위한 끌줄, 어구를 전개시키기 위한 전개판인 오타 보드(otter board), 어류를 유도하기 위한 후릿줄, 후릿줄과 연결되어 격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자루그물, 자루그물의 끝단부에 위치되어 자루그물로 유도된 어류가 실제로 포획되도록 하는 끝자루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트롤망(trawl)을 이용한 조업방식은 각종 어군이 형성된 곳에 트롤망을 양망기로부터 풀어내어 트롤망을 어군 측으로 예망함으로써 트롤망의 내부로 어군이 포획됨에 따라 트롤망의 후단에 포집시키는 방식이다.
종래의 트롤망의 그물코(mesh)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또는 마름모꼴로 이루어지며, 후방으로 갈수록 그물코가 작아지도록 직조되며, 망구를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크게 벌려 더욱 많은 어군을 포획하기 위해 한 쌍의 전개판을 사용하게 된다. 즉, 어선으로부터 연장되는 와프에 전개판이 연결되며 어선의 진행과정에서 전개판이 좌우로 벌어지게 되고, 전개판과 핸드로프 및 넷펜던트에 의해 연결된 트롤망 전개판과 함께 좌우로 벌어지게 되어 전개판의 망구를 좌우로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트롤망의 망구가 상하로 확장되게 하기 위해 망구의 상부 측에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자가 설치되고, 하부 측에는 바닥망에는 침강력을 가지는 침자가 설치되어 예망하는 과정에서 부자가 뜨고 침자는 가라앉음으로 인해 트롤망의 망구가 상하로 확장되게 된다.
상기한 종래의 트롤망은 그물이 수평방향으로 전진함에 따라 그물을 구성하는 로프의 주위로 해수가 유동하게 되고 이러한 해수의 유동으로 인하여 그물의 로프가 진동하여 그물의 앞쪽에 소리를 발생시켜 어획량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따라서, 음파의 진로를 변경하여 그물의 앞쪽에서 말생하는 소리를 제거하고, 그물을 더 크게 벌려 어획량을 증가시킬수 있는 새로운 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 KR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2705호(2000.11.15.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로프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에 의한 유동유로를 따라 해수를 포함한 유체가 유동하면서 로프주위에 압력차를 발생시켜 로프를 이동시켜, 그물을 터 크게 벌려 어획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그물의 입구가 부풀러져 진동에 의한 소리가 그물의 입구가 아니라 그물의 안쪽에서 발생하여 어획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그물용 로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그물용 로프는 동일한 굵기의 다수가닥으로 구성되어 있는 서브스트랜드 및 서브스트랜드보다 굵기가 굵은 메인스트랜드를 포함하며, 다수개의 서브스트랜드와 하나의 메인스트랜드가 트위스트방식으로 꼬여 하나의 로프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메인스트랜드가 로프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돌출되어, 유체의 유동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유동유로를 따라 해수를 포함한 유체가 유동하면서, 압력차이를 발생시켜 로프를 이동시키는것을 포함한다.
또한, 그물용 로프가 그물을 구성할 때,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메인스트랜드에 의하여 형성되는 돌출부가 로프의 오른쪽 상부에서 왼쪽 하부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형으로 구성되고, 타측에는 메인스트랜드에 의하여 형성되는 돌출부가 로프의 왼쪽 상부에서 오른쪽 하부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그물을 터 크게 벌려 어획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그물의 입구가 부풀러져 진동에 의한 소리가 그물의 입구가 아니라 그물의 안쪽에서 발생하여 어획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물형 로프 중 제1형 그물형 로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제2형 그물용 로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로프의 끝단에 고리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1형 그물용 로프 주위의 유체의 흐름 및 로프의 이동방향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2형 그물용 로프 주위의 유체의 흐름 및 로프의 이동방향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종래의 그물과 본 발명에 따른 로프로 구성된 그물의 포획범위를 비교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물형 로프 중 제1형 그물형 로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제2형 그물용 로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로프의 끝단에 고리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1형 그물용 로프 주위의 유체의 흐름 및 로프의 이동방향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2형 그물용 로프 주위의 유체의 흐름 및 로프의 이동방향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종래의 그물과 본 발명에 따른 로프로 구성된 그물의 포획범위를 비교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물용 로프(10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서브스트랜드(20) 및 메인스트랜드(10)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물용 로프(100)의 구성 요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브스트랜드(sub strand)(20)는 동일한 굵기의 다수가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인스트랜드(main strand)(10)는 서브스트랜드보다 굵기가 굵고, 다수개의 서브스트랜드(20)와 하나의 메인스트랜드(10)가 트위스트방식으로 꼬여 하나의 로프를 형성한다.
로프를 형성하는 방법에는 브레이드방식(braid : 땋는방식)과 트위스트방식(twist : 꼬는방식)으로 나뉜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서브스트랜드(20) 및 메인스트랜드(10)를 트위스트방식으로 꼬아 노끈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브레이드방식에 비하여 생산비용이 저렴하고, 노끈이 끊어지는 경우 수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트랜드가 모두 동일한 종래의 트위스트 노끈과는 달리 다수개의 서브스트랜드(20)와 서브스트랜드(20)보다 굵기가 굵은 메인스트랜드(10)로 구성되어 있으며, 굵기가 굵은 메인스트랜드(10)로 인하여 메인스트랜드(10)가 로프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외주면의 돌출부가 유체의 유동유로를 형성하게 되고, 유동유로를 따라 해수를 포함한 유체가 유동하면서, 압력차이가 발생하여 로프를 이동시키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굵기가 굵는 메인스트랜드(10)가 로프의 외주면을 따라서 나선형으로 유체의 유동유로를 형성하고, 해수를 포함한 유체는 유동유로를 따라 유동하여 로프를 기준으로 좌우의 압력차이가 발생하고 로프는 압력이 높은 쪽에서 압력이 낮은 방향으로 압력차이에 의하여 이동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로프는 메인스트랜드에 의하여 형성되는 돌출부가 로프의 오른쪽 상부에서 왼쪽 하부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형과 메인스트랜드에 의하여 형성되는 돌출부가 로프의 왼쪽 상부에서 오른쪽 하부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형은 메인스트랜드에 의하여 형성되는 돌출부가 로프의 오른쪽 상부에서 왼쪽 하부방향으로 형성되어, 유체의 유동유로도 오른쪽 상부에서 왼쪽 하부방향으로 형성되게 되고, 해수를 포함한 유체는 유동유로를 따라 로프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그 결과, 로프주위의 유체가 로프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유동하여, 오른쪽방향은 압력이 낮아지고, 왼쪽은 압력이 높아지게 되므로, 이러한 압력차이에 의하여 로프는 오른쪽 방향으로 움직이게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형은 메인스트랜드에 의하여 형성되는 돌출부가 로프의 왼쪽 상부에서 오른쪽 하부방향으로 형성되어, 유체의 유동유로도 왼쪽 상부에서 오른쪽 하부방향으로 형성되게 되고, 해수를 포함한 유체는 유동유로를 따라 로프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그 결과, 로프주위의 유체가 로프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유동하여, 왼쪽 방향의 압력은 낮아지고, 오른쪽의 압력은 높아지게 되므로, 이러한 압력차이에 의하여 로프는 왼쪽방향으로 움직이게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물용 로프는 주로 끄는 그물 중 하나인 트롤(trawl)그물을 구성하는데 이용되며, 트롤 그물은 주로 배를 이동시키면서 그물을 수평방향으로 끌어 어족을 잡는 방식으로 조업한다.
따라서, 그물용 로프가 그물을 구성할때,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메인스트랜드에 의하여 형성되는 나선형 돌출부가 로프의 오른쪽 상부에서 왼쪽 하부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형으로 구성되고, 타측에는 메인스트랜드에 의하여 형성되는 돌출부가 로프의 왼쪽 상부에서 오른쪽 하부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형으로 구성되게 된다.
이 경우, 선박에 의하여 그물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그물을 구성하는 로프 중 제1형로프로 구성된 부분은 돌출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체의 유동유로를 따라 로프 주위의 해수가 로프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로프의 오른쪽은 압력이 낮아지고, 왼쪽은 압력이 높아지게 되므로, 이러한 압력차이에 의하여 그물을 구성하는 로프는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그물을 구성하는 로프 중 제2형로프로 구성된 부분은 돌출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체의 유동유로를 따라 로프 주위의 해수가 로프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로프의 왼쪽은 압력이 낮아지고, 오른쪽은 압력이 높아지게 되므로, 이러한 압력차이에 의하여 그물을 구성하는 로프는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그물의 구성하는 로프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에 의하여 제1형은 오른쪽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형은 왼쪽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종래의 트롤그물보다 그물을 더 크게 벌려 어족의 포획량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트롤조업시에 그물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해수의 흐름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한 소리가 발생하게 된다.
종래의 일반적인 로프를 사용한 트롤 그물의 경우, 진동으로 인한 소리가 그물 입구의 앞방향에 발생하여 그 소리에 의하여 어족이 흩어져 어획량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로프를 사용한 트롤 그물은 그물의 구성하는 로프 주위의 수압차에 의하여 로프가 이동하여 그물의 입구가 부풀어져서, 음파의 진로가 변경되어 진동으로 인한 소리가 그물의 안쪽에서 발생하게 되어 어족이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어획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도 6을 참조하면, 그물을 구성하는 로프 주위의 수압차에 의하여 로프가 이동하여 그물의 입구가 부풀어져, 종래그물에 비하여 본 발명을 이용한 그물은 포획범위가 확대되어 많은 어족을 포획하할 수 있을 뿐아니라, 음파의 진로변경으로 인하여 그물을 이루는 로프의 진동으로 인한 소리가 그물의 앞쪽이 아니라 그물의 안쪽에서 발생하게 되어 종래그물에 비하여 더욱 많은 어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방식으로 형성된 로프와 달리 트위스트방식으로 형성된 로프는 쉽게 풀거나 다시 꼬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조업시 로프가 끊어지는 경우 보수가 용이하다는 효과도 가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메인스트랜드 20 - 서브스트랜드

Claims (3)

  1. 동일한 굵기의 다수가닥으로 구성되어 있는 서브스트랜드 및
    서브스트랜드보다 굵기가 굵은 메인스트랜드
    를 포함하며
    다수개의 서브스트랜드와 하나의 메인스트랜드가 트위스트방식으로 꼬여 하나의 로프를 형성하는 것
    을 포함하고,
    메인스트랜드가 로프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돌출되어, 유체의 유동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유동유로를 따라 해수를 포함한 유체가 유동하면서, 압력차이를 발생시켜 로프를 이동시키는 것
    을 포함하며,
    그물용 로프가 그물을 구성할 때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메인스트랜드에 의하여 형성되는 돌출부가 로프의 오른쪽 상부에서 왼쪽 하부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형으로 구성되고,
    타측에는 메인스트랜드에 의하여 형성되는 돌출부가 로프의 왼쪽 상부에서 오른쪽 하부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형으로 구성되는 것
    을 포함하고,
    중앙부를 기준으로 제1형으로 구성되는 부분은 돌출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체의 유동유로를 따라 유체가 유동하면서 로프의 오른쪽의 압력이 낮아지고 왼쪽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어 압력차이에 의하여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 및
    중앙부를 기준으로 제2형으로 구성되는 부분은 돌출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체의 유동유로를 따라 유체가 유동하면서 로프의 왼쪽의 압력이 낮아지고 오른쪽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어 압력차이에 의하여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
    을 포함하는 그물용 로프
  2. 삭제
  3. 삭제
KR1020200013270A 2020-02-04 2020-02-04 그물용 로프 Active KR102164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270A KR102164502B1 (ko) 2020-02-04 2020-02-04 그물용 로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270A KR102164502B1 (ko) 2020-02-04 2020-02-04 그물용 로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4502B1 true KR102164502B1 (ko) 2020-10-12

Family

ID=72886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270A Active KR102164502B1 (ko) 2020-02-04 2020-02-04 그물용 로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50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9860A (ja) * 1983-12-27 1985-07-24 泰東製綱株式会社 3つ撚り無結節網の組節
JPS61187734A (ja) * 1985-02-15 1986-08-21 ニチモウ株式会社 漁網用トワイン、綱地、および刺綱
JP2001020189A (ja) * 1999-07-08 2001-01-23 Zen Suisan Kk 網仕立用ロープ及びそれを用いた網並びに網の仕立方法
US6732468B2 (en) * 1997-04-14 2004-05-11 Otter Ultra-Low-Drag, Ltd. Cell design for a trawl system and methods
KR100444341B1 (ko) * 1995-10-13 2004-10-14 오션 트롤 테크날러지 리서치 컴퍼니 인코퍼레이티드 트롤시스템셀설계및방법
JP3874957B2 (ja) * 1999-03-16 2007-01-31 ニチモウ株式会社 組紐を用いた漁具およびこの漁具を用いた漁法
JP2015124451A (ja) * 2013-12-26 2015-07-06 株式会社魚津製綱所 ロープ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9860A (ja) * 1983-12-27 1985-07-24 泰東製綱株式会社 3つ撚り無結節網の組節
JPS61187734A (ja) * 1985-02-15 1986-08-21 ニチモウ株式会社 漁網用トワイン、綱地、および刺綱
KR100444341B1 (ko) * 1995-10-13 2004-10-14 오션 트롤 테크날러지 리서치 컴퍼니 인코퍼레이티드 트롤시스템셀설계및방법
US6732468B2 (en) * 1997-04-14 2004-05-11 Otter Ultra-Low-Drag, Ltd. Cell design for a trawl system and methods
JP3874957B2 (ja) * 1999-03-16 2007-01-31 ニチモウ株式会社 組紐を用いた漁具およびこの漁具を用いた漁法
JP2001020189A (ja) * 1999-07-08 2001-01-23 Zen Suisan Kk 網仕立用ロープ及びそれを用いた網並びに網の仕立方法
JP2015124451A (ja) * 2013-12-26 2015-07-06 株式会社魚津製綱所 ロー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59546B1 (en) Trawl system cell design and methods
US20050160656A1 (en) Self-spreading trawls having a high aspect ratio mouth opening
Hameed et al. Modern fishing gear technology
CA2708873C (en) Aquaculture net with different densities of weight
CN111526717B (zh) 用于围网渔业的网组件
KR102164502B1 (ko) 그물용 로프
KR101096750B1 (ko) 안강망 어업용 어망
KR20170104213A (ko) 트롤망
CN106508832B (zh) 渔具沉子绳及其使用的模块扣接器
JP6257120B1 (ja) 幕式水路式生簀
US4521986A (en) Net fabric for trawling
KR20200069599A (ko) 김 양식망 및 그 제조방법
CN214629229U (zh) 大型网箱起捕聚鱼装置
CN213173620U (zh) 一种分段和分体式拦污网
RU70744U1 (ru) Канатный разноглубинный трал "аллигатор"
KR100483375B1 (ko) 전개범식 멸치 들망 어구 및 이를 이용한 조업 방법
Vincent et al. Towed Gear Optimisation, application to trawls
KR102528821B1 (ko) 고강도 아이스플라이스를 구비한 트롤 그물용 로프
CN108450380B (zh) 一种具有多道密封结构的人工围网结构
JP3874957B2 (ja) 組紐を用いた漁具およびこの漁具を用いた漁法
RU2654114C1 (ru) Канатный разноглубинный трал
RU178642U1 (ru) Ставная сеть
CN108293920B (zh) 一种围网养殖用的养殖围网装置
TWM664302U (zh) 圍網結構
Bublitz Cod Trawl Separator Panel: Potential for Reducing Halibut Byca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0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0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