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991B1 - 휴대 단말기의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63991B1 KR102163991B1 KR1020130050268A KR20130050268A KR102163991B1 KR 102163991 B1 KR102163991 B1 KR 102163991B1 KR 1020130050268 A KR1020130050268 A KR 1020130050268A KR 20130050268 A KR20130050268 A KR 20130050268A KR 102163991 B1 KR102163991 B1 KR 1021639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tem
- items
- selection
- input
- display are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10187 sel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621 AMOLE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아이템을 개별적으로 선택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개별 아이템 선택 및 해제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간 선택 방법을 이용한 복수 아이템 선택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간 선택 방법을 이용한 복수 개의 아이템 선택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아이템이 격자 형태로 나열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아이템이 격자 형태로 나열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230 : 키 입력부 240 : 터치스크린부
241 : 터치 센서부 242 : 표시부
250 : 저장부 260 : 제어부
261 : 아이템 선택 제어부
Claims (20)
- 휴대 단말기에서 아이템 선택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아이템들을 일정 규칙에 따라 표시 화면에 나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아이템들 중 제1 아이템을 선택하는 시작 아이템 설정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작 아이템 설정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아이템을 시작 아이템으로 설정하는 단계:
제2 아이템을 종료 아이템으로 설정하기 위한 종료 아이템 설정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아이템부터 상기 제2 아이템 사이에 포함된 아이템들을 선택된 아이템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화면의 일부분에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 내에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시작 아이템 설정 입력을 수신 한 후 종료 항목 설정 입력을 수신 할 때까지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아이템이 상기 표시 화면을 벗어날 경우,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제1 아이템을 고정시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 내에, 상기 선택된 아이템들 중 설정된 개수의 아이템만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아이템부터 상기 제2 아이템 사이에 포함된 아이템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지시자를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 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시자는 선택된 아이템의 수에서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아이템의 개수를 뺀 값을 지시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선택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에 대한 선택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선택된 아이템들 포함하는 선택 아이템 해제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아이템 해제 영역에 표시된 상기 선택된 아이템들 중 임의의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이 수신된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선택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템을 고정시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격자 형태로 나열된 경우, 상기 시작 아이템 설정 입력 수신 후, 수신되는 스크롤 명령에 따라 상기 시작 아이템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시작 아이템을 상기 표시 화면의 임의의 영역에 고정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선택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열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을 포함하는 1차원 형태로 나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선택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열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행(row) 성분과 열(column) 성분을 포함하는 2차원 형태로 나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선택 방법. - 아이템을 선택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입력부;
표시부; 및
복수의 아이템을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에 일정 규칙에 따라 나열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템들 중 제1 아이템을 선택하여 시작 아이템으로 설정하기 위한 시작 아이템 설정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시작 아이템 설정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아이템을 시작 아이템으로 설정하고, 제2 아이템을 종료 아이템으로 설정하기 위한 종료 아이템 설정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아이템부터 제2 아이템 사이에 포함된 아이템들을 선택된 아이템으로 설정하고, 상기 표시 화면의 일부분에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 내에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표시하되,
상기 시작 아이템 설정 입력을 수신 한 후 종료 항목 설정 입력을 수신 할 때까지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아이템이 상기 표시 화면을 벗어날 경우, 상기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제1 아이템을 고정시켜 표시하고,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 내에, 상기 선택된 아이템들 중 설정된 개수의 아이템만 표시하고, 상기 제1 아이템부터 상기 제2 아이템 사이에 포함된 아이템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지시자를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 내에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자는 선택된 아이템의 수에서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아이템의 개수를 뺀 값을 지시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에 대한 선택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선택된 아이템들 포함하는 선택 아이템 해제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선택 아이템 해제 영역에 표시된 상기 선택된 아이템들 중 임의의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이 수신된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격자 형태로 나열된 경우,
상기 시작 아이템 설정 입력 수신 후 수신되는 스크롤 명령에 따라 상기 시작 아이템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시작 아이템을 상기 임의의 영역에 고정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삭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을 포함하는 1차원 형태로 나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행(row) 성분과 열(column) 성분을 포함하는 2차원 형태로 나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0268A KR102163991B1 (ko) | 2013-05-03 | 2013-05-03 | 휴대 단말기의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장치 |
US14/269,855 US10254932B2 (en) | 2013-05-03 | 2014-05-05 | Method and apparatus of selecting item of portab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0268A KR102163991B1 (ko) | 2013-05-03 | 2013-05-03 | 휴대 단말기의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1208A KR20140131208A (ko) | 2014-11-12 |
KR102163991B1 true KR102163991B1 (ko) | 2020-10-12 |
Family
ID=51842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50268A Expired - Fee Related KR102163991B1 (ko) | 2013-05-03 | 2013-05-03 | 휴대 단말기의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0254932B2 (ko) |
KR (1) | KR10216399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D711895S1 (en) * | 2012-06-06 | 2014-08-26 | Apple Inc. |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
JP6331466B2 (ja) * | 2014-02-27 | 2018-05-30 | 日本電気株式会社 | 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表示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US9678629B2 (en) * | 2014-12-11 | 2017-06-13 | Ariba, Inc. | Focusing on multiple selected rows within a data table |
KR101685288B1 (ko) * | 2015-05-11 | 2016-12-09 | 주식회사 카카오 | 컨텐츠 표시 제어 방법 및 컨텐츠 표시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
CN106873955A (zh) * | 2016-06-07 | 2017-06-20 |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 动态列表的显示方法、装置、设备和系统 |
CN108536483B (zh) * | 2018-03-19 | 2021-07-02 | 郑州云海信息技术有限公司 | 一种开机启动项的启动控制方法及系统 |
JP7131110B2 (ja) * | 2018-06-18 | 2022-09-06 |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 表示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JP7172276B2 (ja) * | 2018-08-20 | 2022-11-16 |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USD949159S1 (en) | 2019-06-02 | 2022-04-19 | Apple Inc. |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
IL270988A (en) * | 2019-11-27 | 2021-05-31 | Ben Layish Amir | A digital content selection and management method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47683A (en) | 1999-02-26 | 2000-11-14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Graphical selection marker and method for lists that are larger than a display window |
US20050166159A1 (en) * | 2003-02-13 | 2005-07-28 | Lumapix |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multiple dragged objects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04841B1 (ko) | 2003-07-11 | 2005-07-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관리 방법 |
US7685209B1 (en) * | 2004-09-28 | 2010-03-23 | Yahoo!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normalizing user-selected keywords in a folksonomy |
KR101470543B1 (ko) | 2008-02-15 | 2014-12-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KR20100020818A (ko) * | 2008-08-13 | 2010-02-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KR20110037298A (ko) * | 2009-10-06 | 2011-04-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리스트 편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KR20110073857A (ko) * | 2009-12-24 | 2011-06-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KR101762611B1 (ko) | 2010-12-10 | 2017-07-2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
US9224153B2 (en) * | 2011-12-28 | 2015-12-29 | Target Brands, Inc. | Recently viewed items display area |
JP2013186726A (ja) * | 2012-03-08 | 2013-09-19 | Kyocera Corp |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2013
- 2013-05-03 KR KR1020130050268A patent/KR102163991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
- 2014-05-05 US US14/269,855 patent/US10254932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47683A (en) | 1999-02-26 | 2000-11-14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Graphical selection marker and method for lists that are larger than a display window |
US20050166159A1 (en) * | 2003-02-13 | 2005-07-28 | Lumapix |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multiple dragged object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254932B2 (en) | 2019-04-09 |
KR20140131208A (ko) | 2014-11-12 |
US20140331170A1 (en) | 2014-1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63991B1 (ko) | 휴대 단말기의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장치 | |
KR101762611B1 (ko)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 |
KR102113272B1 (ko) | 전자장치에서 복사/붙여넣기 방법 및 장치 | |
CN105912071B (zh) | 用于编辑用于主屏幕的页面的移动装置和方法 | |
KR101710418B1 (ko) | 휴대 단말기의 멀티 터치 인터렉션 제공 방법 및 장치 | |
TWI381305B (zh) | 使用者介面的顯示與操作方法以及電子裝置 | |
US985794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creens in a portable terminal | |
KR101485787B1 (ko) | 단말 및 그의 컨텐츠 저장 및 실행 방법 | |
KR101911804B1 (ko) | 터치 디바이스에서 검색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 |
CN107071134B (zh) | 移动终端 | |
US9898111B2 (en) | Touch sensitive device and method of touch-based manipulation for contents | |
US20150020013A1 (en) | Remote operation of applications using received data | |
JP6655275B2 (ja) | モバイ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KR20130051558A (ko) |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
US20160110035A1 (en) | Method for displaying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 |
WO201501717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ustomized menus for accessing application functionality | |
KR102234400B1 (ko) | 컨텐츠의 순서 또는 위치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
KR20130095970A (ko)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기기에서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
KR20130097331A (ko)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기기에서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
KR101966708B1 (ko) | 배경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
US20130111405A1 (en) | Controlling method for basic screen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 |
KR20140007607A (ko) | 휴대 단말기의 부가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 |
US9632613B2 (en) |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display control apparatus for reducing a number of touch times in a case where a guidance is not displayed as compared with a case where the guidance is displayed | |
KR101485791B1 (ko) |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제어 방법 | |
US20160286036A1 (en) | Method for quick access to application functionaliti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0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4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5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05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1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5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1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70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6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5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1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0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0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