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739B1 - Foldable device - Google Patents
Foldabl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63739B1 KR102163739B1 KR1020160001703A KR20160001703A KR102163739B1 KR 102163739 B1 KR102163739 B1 KR 102163739B1 KR 1020160001703 A KR1020160001703 A KR 1020160001703A KR 20160001703 A KR20160001703 A KR 20160001703A KR 102163739 B1 KR102163739 B1 KR 1021637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flexible display
- rotation shaft
- long hole
- w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철식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제1부분, 제2부분, 및 상기 제1부분과 제2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제3부분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1부분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부분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3부분을 지지하는 제3지지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를 연결하는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를 연결하는 제2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가 상기 제3지지부에 대해 회전되도록 설치된 힌지유닛;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 중 적어도 한 곳과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 중 적어도 한 곳에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가 상기 제3지지부에 대해 회전할 때,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이 특정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비된 장공;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device, comprising: a flexible display including a first portion, a second portion, and a third portion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A body including a first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 first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a second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 secon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and a third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 thir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And a first rotation shaft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third support part, and a second rotation shaft connecting the second support part and the third support part, wherein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are opened. A hinge unit installed such that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rotate with respect to the third support portion when the state is changed from the state to the closed state;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third support part,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 support part and the third support part, and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and the first And a long hole provided to move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to a specific position when the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rotate with respect to the third support par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접철식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접철식 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ldable device having a flexible display.
전자기술의 발전에 따라 통신 단말기, 게임기, 멀티미디어기기, 휴대형 컴퓨터, 촬영장치 등 휴대가 가능한 모바일 기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chnology, portable mobile devices such as communication terminals, game consoles, multimedia devices, portable computers, and photographing devices are widely used.
일반적으로, 이러한 모바일 기기는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명령이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 등의 입력수단을 구비한다. 모바일 기기는 휴대의 편의성을 위하여 더욱 작은 크기로 만들기 위해 모바일 기기를 접을 수 있는 접철 구조로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구조의 모바일 기기에서는 두 개의 몸체가 접철 구조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In general, such a mobile device has a display for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and an input means such as a keypad for inputting commands or information. Mobile devices are often formed in a foldable structure capable of folding the mobile device in order to make it smaller in size for convenience of portability. In the mobile device of this structure, the two bodies may be connected by a folding structure.
종래의 디스플레이는 접을 수 없는 구조이므로, 두 개의 몸체 중 어느 하나에 디스플레이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접철 구조의 모바일 기기, 즉 접철식 기기에는 대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적용하기가 어렵다. Since the conventional display has a non-foldable structure, the display may be disposed on either of the two bodie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pply a large screen display to a foldable mobile device, that is, a foldable device.
구부러질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개발됨에 따라 접철식 기기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적용하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경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접철 구조를 가로질러 두 개의 몸체에 걸쳐 배치될 수 있으므로, 대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As flexible displays that can be bent are developed, studies are being made to apply flexible displays to foldable devices. In this case, the flexible display can be disposed across the two bodies across the foldable structure, thereby providing a large screen.
그러나 구부러질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일정한 곡률로 구부릴 필요가 있다. 만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각지게 구부러지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굽혀진 부분이 파손될 수 있다. However, a flexible display that can bend needs to be bent with a certain curvature. If the flexible display is bent at an angle, the bent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may be damaged.
따라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접철식 기기는 접힌 상태에서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일정한 곡률로 굽혀진 만곡부를 수용할 수 있고, 펼친 상태에서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굽혀지는 부분을 평평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Therefore, a foldable device using a flexible display needs to have a structure capable of receiving a curved portion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is bent at a certain curvature in a folded state, and a structure capable of flatly supporting the bent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in the unfolded state.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접철식 기기에서 접철식 기기를 접을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접철식 기기에 관련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vent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relates to a foldable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to a flexible display when the foldable device is folded in a foldable device using a flexible display.
또한,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접철식 기기에서 접철식 기기를 폈을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굽혀지는 부분을 평평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접철식 기기에 관련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devic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flatly supporting a bent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when the foldable device is unfolded in a foldable device using a flexible displa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접철식 기기는, 제1부분, 제2부분, 및 상기 제1부분과 제2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제3부분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1부분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부분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3부분을 지지하는 제3지지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를 연결하는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를 연결하는 제2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가 상기 제3지지부에 대해 회전되도록 설치된 힌지유닛;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 중 적어도 한 곳과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 중 적어도 한 곳에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가 상기 제3지지부에 대해 회전할 때,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이 특정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비된 장공;을 포함할 수 있다. A foldable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exible display including a first portion, a second portion, and a third portion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A body including a first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 first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a second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 secon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and a third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 thir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And a first rotation shaft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third support part, and a second rotation shaft connecting the second support part and the third support part, wherein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are opened. A hinge unit installed such that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rotate with respect to the third support portion when the state is changed from the state to the closed state;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third support part,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 support part and the third support part, and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and the first It may include; a long hole provided to move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to a specific position when the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rotate with respect to the third support part.
이때, 상기 제3지지부는 상기 제1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지지날개와 상기 제2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지지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hird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first support wing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support wing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portion.
또한,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제1지지날개의 양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제2지지날개의 양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장공은 상기 제1지지날개의 상기 제1회전축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지부에 형성되는 제1장공과 상기 제2지지날개의 상기 제2회전축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2지지부에 형성되는 제2장공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rotation shaf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wing, the second rotation shaf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upport wing, and the long hole forms the first rotation axis of the first support wing. It may include a first long hole formed in the first support portion to accommodate and a second long hole formed in the second support portion to accommodate the second rotation shaft of the second support wing.
또한, 상기 제1 및 제2장공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long holes may be formed in a linear shape.
또한, 상기 장공은 상기 제1지지날개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제1장공과, 상기 제2지지날개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제2장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제1지지날개의 상기 제1장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제2지지날개의 상기 제2장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지지부에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ng hole includes a first long hol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wing, and a second long hol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upport wing, and the first rotation shaft It is installed on the first support portion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long hole,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may be installed 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long hole of the second support wing.
또한, 상기 제 1 및 제2장공은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long holes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또한, 상기 장공은 상기 제1지지날개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제1장공, 상기 제2지지날개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제2장공, 상기 제1지지날개의 제1장공을 마주하는 제1지지부에 형성되는 제3장공, 및 상기 제2지지날개의 제2장공을 마주하는 제4장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제1지지날개의 제1장공과 상기 제1지지부의 제3장공에 삽입되며,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제2지지날개의 제2장공과 상기 제2지지부의 제4장공에 삽입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ng hole is a first long hol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wing, a second long hol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upport wing, and a first support portion facing the first long hole of the first support wing And a third long hole formed in the second long hole and a fourth long hole facing the second long hole of the second support wing, wherein the first rotation shaft is a first long hole of the first support wing and a third long hole of the first support The second rotation shaft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long hole of the second support wing and the fourth long hole of the second support part.
또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3부분을 상기 제1 및 제2지지날개의 상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thir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wings.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양면테이프,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may include a double-sided tape and an adhesive.
또한, 상기 제1지지부의 일부와 상기 제3지지부의 일부를 덮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1보강 박판; 및 상기 제2지지부의 일부와 상기 제3지지부의 일부를 덮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2보강 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first reinforcing thin plate installed to cover a part of the first support part and a part of the third support part and support a part of the flexible display; And a second reinforcing thin plate installed to cover a part of the second support part and a part of the third support part and support a part of the flexible display.
또한, 상기 제1 및 제2보강 박판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thin plates may be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또한,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지지날개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3부분을 상기 제1 및 제2부분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위치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 사이에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만곡된 제3부분이 수용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지지날개를 작동시키는 작동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blades support the thir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and the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on unit for operat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blades so as to be movable between the storage positions forming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curved thir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is accommod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I can.
또한, 상기 작동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와 함께 이동하는 제1 및 제2안내 슬롯과 상기 제1 및 제2안내 슬롯에 의해 이동하는 제1 및 제2지지암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guide slots that move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and first and second support arms that move by the first and second guide slots.
또한, 상기 제1 및 제2지지암은 상기 제1 및 제2안내 슬롯을 관통하며 상기 제1 및 제2지지날개의 하부까지 연장된 제1 및 제2안내 핀을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arms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guide pins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guide slots and extending to low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wings.
또한, 상기 제3지지부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3부분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중앙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rd support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central support member supporting a central portion of the thir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는 접철식 기기는, 제1부분, 제2부분, 및 상기 제1부분과 제2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제3부분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1부분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부분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3부분을 지지하는 제3지지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를 연결하는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를 연결하는 제2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가 상기 제3지지부에 대해 회전되도록 설치된 힌지유닛; 및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3부분의 일부분이 상기 제3지지부와 함께 이동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규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oldable device includes: a flexible display including a first portion, a second portion, and a third portion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A body including a first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 first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a second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 secon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and a third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 thir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And a first rotation shaft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third support part, and a second rotation shaft connecting the second support part and the third support part, wherein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are opened. A hinge unit installed such that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rotate with respect to the third support portion when the state is changed from the state to the closed state; And a display regulating member configured to move a portion of the thir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together with the third support portion when the flexible display is changed from an open state to a closed state.
이때, 상기 제3지지부는 상기 제1회전축에 의해 상기 제1지지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지지날개와 상기 제2회전축에 의해 상기 제2지지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지지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hird support part includes a first support blad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art by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a second support blad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part by the second rotation shaft. can do.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규제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날개 각각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장홈; 및 상기 복수의 장홈에 수용되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3부분을 상기 제1 및 제2지지날개의 상면에 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딩 젤;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regulating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ongated groove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blades; And a sliding gel accommodated in the plurality of elongated grooves and configured to slide and move the thir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whil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wings.
또한, 상기 슬라이딩 젤은 윤활유, 그리스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liding gel may contain a lubricant or grease.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규제부재는, 상기 제1지지날개에 대응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3부분의 일부의 후면에 고정되는 제1스티프너; 및 상기 제2지지날개에 대응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3부분의 일부의 후면에 고정되는 제2스티프너;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regulat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stiffener fixed to a rear surface of a portion of the thir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pport wing; And a second stiffener fixed to a rear surface of a portion of the thir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upport w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기기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기기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몸체의 고정부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접철식 기기가 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접철식 기기에서 지지날개에 의해 지지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거동이 규제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기기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접철식 기기에서 지지부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접철식 기기에 사용되는 힌지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7a는 도 5의 힌지유닛의 고정 힌지와 제1 및 제2규제 슬롯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b는 도 5의 힌지유닛의 록킹부재와 제1 및 제2지지암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c는 도 5의 힌지유닛의 제2지지암이 제2힌지 프레임에 설치되어 제2지지날개를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기기에서 힌지유닛과 지지날개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기기에서 제1몸체에서 분리된 지지날개를 나타내는 분리 배면 사시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기기가 펼쳐진 상태일 때, 지지날개와 안내 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기기가 접혀진 상태일 때, 지지날개와 안내 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기기가 펼쳐진 상태일 때, 지지날개와 안내 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기기가 접혀진 상태일 때, 지지날개와 안내 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a 및 도 12b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보강 박판이 설치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a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곡률 반경에 대응하는 곡면을 지지날개에만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b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곡률 반경에 대응하는 곡면을 지지날개가 설치된 몸체의 일부와 지지날개에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기기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규제부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기기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규제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기기가 펼쳐진 경우, 중앙 지지부재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기기가 접힌 경우, 중앙 지지부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기기에 사용되는 중앙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기기의 회전축과 장공의 다른 설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nfolded state of a fold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flexible display and a fixing portion of a body in a fold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foldable device of FIG. 2;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se where the behavior of the flexible display supported by the support blades in the foldable device is not regulated;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is separated from the fold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support in the foldable device of FIG. 5;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inge unit used in the foldable device of FIG. 5;
7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ed hinge and first and second regulatory slots of the hinge unit of FIG. 5;
7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cking member and first and second support arms of the hinge unit of FIG. 5;
7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upport arm of the hinge unit of FIG. 5 is installed on the second hinge frame to support the second support wing;
8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hinge unit and a support wing in a fold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eparate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wing separated from a first body in a fold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is a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support blade and a guide pin when a fold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n unfolded state;
10B is a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support blade and a guide pin when the fold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11A is a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support blade and a guide pin when a foldab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n unfolded state;
11B is a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support blade and a guide pin when a foldab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folded state;
12A and 12B are views showing a case where a reinforcing thin plate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13A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a radius of curvature of a flexible display is formed only on a support wing;
13B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a radius of curvature of a flexible display is formed on a part of a body in which the support blades are installed and the support blades;
1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regulating member used in a fold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display regulating member used in a fold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entral support member supports a flexible display when a fold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folded;
1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a central support member when the fold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entral support member used in a fold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installation of a rotating shaft and a long hole of a fol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접철식 기기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fold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illustratively shown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mponen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etailed illustra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to aid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but dimensions of som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기기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기기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몸체의 고정부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접철식 기기가 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nfolded state of a fold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flexible display and a fixed portion of a body in a fold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olded state of the foldable device of FIG. 2.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기기(1)는 제1몸체(10), 제2몸체(20),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3, the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는 서로 연결되어 있어 하나의 몸체를 형성하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펼쳐진 상태로 위치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힌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는 각각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를 고정하거나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 및 제2몸체(10,20)의 내부에는 접철식 기기(1)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각종 전자부품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될 수 있다. Th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는 화상을 표시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설치되는 투명 보호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는 입력 수단으로서의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 패널은 투명 보호 시트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외에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는 다양한 광학 패널 또는 광학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일부는 제1몸체(10)에 고정되고, 다른 일부는 제2몸체(20)에 고정된다. 따라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는 제1몸체(10)에 고정된 제1부분(41)과 제2몸체(20)에 고정된 제2부분(42) 및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사이의 제3부분(43)으로 구분될 수 있다.A part of the
제1몸체(1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1부분(41)이 고정되는 제1고정부(11)를 구비하며, 제2몸체(20)는 제2부분(42)이 고정되는 제2고정부(21)를 구비한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1부분(42)과 제2부분(42)은 접착제, 양면테이프 등의 고정부재에 의하여 제1고정부(11)와 제2고정부(21)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제1몸체(10)의 제1고정부(11)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1부분(41)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구성하며, 제2몸체(20)의 제2고정부(21)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2부분(42)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구성한다. Th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은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상대 위치에 따라 변형되는 부분으로서, 제3부분(43)은 제1몸체(10) 또는 제2몸체(20)에 고정되지 않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의 일부분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각각의 일부분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은 후술하는 제3지지부에 의해 지지된다. The
제1 및 제2몸체(10)(2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힌 상태에 위치된 때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은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진 만곡부(44)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를 접힌 상태로 할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이 각지게 접히지 않으며, 제3부분(43)이 만곡부(44)를 형성하여 곡선 형상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When the first and
접힌 상태에서 플렉스블 디스플레이(40)의 만곡된 제3부분(43)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몸체(10)(20) 내부에는 수납공간(30)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접철식 기기(1)는 접힌 상태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1부분(41)과 제2부분(42)이 서로 마주보고 근접되거나 접촉하도록 위치되고, 제3부분(43)은 제1 및 제2부분(41)(42)으로부터 제1 및 제2몸체(10)(20) 내부로 구부러지면서 물방울 모양으로 수납공간(30) 내에 수용된다. A
제1 및 제2몸체(10)(20)의 사이에는 힌지유닛(50)이 설치되어, 제1 및 제2몸체(10,20)가 힌지유닛(5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몸체(10,20)는 힌지유닛(50)을 중심으로 제1 및 제2몸체(10,20)가 서로 접촉하는 접힌 위치와 제1 및 제2몸체(10,20)가 서로 이격되어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는 펼쳐진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힌지유닛(50)은 제1지지부(11)와 제2지지부(21)가 제3지지부에 대해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경되거나,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변경되도록 한다. A
일 예로서, 힌지유닛(50)은 길이 방향(X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두 개의 힌지축(51)(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몸체(10)(20)는 각각 제1 및 제2힌지축(51)(52)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펼쳐진 위치와 접힌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는 그 특성상 각을 지게 접을 수 없으므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를 접는 경우에 접히는 부분에는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갖는 만곡부(44)가 형성된다. 이러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를 사용하는 접철식 기기(1)는 제1 및 제2몸체(10,20)를 펼쳐진 상태에서 접힌 상태로 접거나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와 제1 및 제2몸체(10,20) 사이에 경로차가 발생한다. 여기서, 경로차는 접힌 상태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길이가 접힌 상태의 제1 및 제2몸체(10,20)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말한다. 이러한 경로차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를 각지게 접을 수 없으므로 발생한다. Since the
이러한 경로차를 보상하기 위해 접철식 기기(1)는 경로차 보상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경로차 보상유닛은 제1 및 제2몸체(10,20) 중 적어도 하나를 펼쳐진 위치에서 전환위치까지는 힌지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전환위치에서 접힌 위치까지는 힌지축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compensate for such a path difference, the
본 발명에서, 접철식 기기(1)는 통신 단말기, 게임기, 멀티미디어기기, 휴대형 컴퓨터, 촬영장치 등 휴대가 가능한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이외에도, 접철식 기기(1)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일부(41)가 고정되는 제1몸체(10)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다른 일부(42)가 고정되고 제1몸체(10)에 대하여 접힐 수 있게 연결된 제2몸체(20)를 구비하는 한 어떠한 기기라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제1 및 제2몸체(10)(20)에는 접철식 기기(1)의 용도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세싱 유닛(미도시), 입출력 수단(미도시), 전원부(미도시)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접철식 기기(1)가 영상 및 음악을 감상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기인 경우, 프로세싱 유닛은 영상정보처리부(미도시) 및 음향정보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접철식 기기(1)가 통신 단말기인 경우 프로세싱 유닛은 통신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수단은 영상 입출력부(미도시), 음향 입출력부(미도시), 사용자 조작을 위한 조작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에 통합된 터치 패널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The first and
접철식 기기(1)의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는 도 3과 같이 접힌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이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방울 형태의 만곡부(44)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를 접는 중에 제1 및 제2몸체(10,20)의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에 의해 지지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이 규제를 받지 않으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1부분(41) 및 제2부분(42)과 연결된 제3부분(43)의 일부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를 따라 원활하게 굽혀지는 것이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에서 떨어져 상측으로 돌출되어 웨이브(wave) 형상으로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면, 왜곡된 부분(5) 때문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수명이 줄어들 수 있다. 여기서, 도 4는 접철식 기기(1)에서 제1지지날개(12)에 의해 지지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거동이 규제되지 않는 경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5)이 왜곡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지지날개(22)에 의해 지지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의 일부(5)도 도 4와 동일하게 왜곡이 발생한다. The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가 접힐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거동을 제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규제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hen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기기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접철식 기기에서 지지부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접철식 기기에 사용되는 힌지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힌지유닛은 접철식 기기의 폭방향(Y 방향)으로 좌우 대칭이므로 도 7에서는 일측의 힌지유닛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기기에서 힌지유닛과 지지날개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lexible display is separated from a fold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support in the foldable device of FIG. 5, and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inge unit used in the foldable device of FIG. 5. Since the hinge unit is symmetrical in the width direction (Y direction) of the foldable device, only one hinge unit is shown in FIG. 7. 8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hinge unit and a support wing in a fold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기기(1)는 제1몸체(10), 제2몸체(20), 힌지유닛(30),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를 포함한다.5 to 8, the
제1몸체(10)는 제1상부 케이스(10-1)와 제1하부 케이스(10-2)를 포함한다. 제1상부 케이스(10-1)는 제1고정부(11)와 제1지지날개(12)를 포함한다. 제1고정부(11)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1부분(41)이 고정된다. 제1고정부(11)에는 제1지지날개(12)의 아래쪽으로 제1지지날개(12)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13)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스토퍼(13)는 대략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제1지지날개(12)는 제1고정부(11)의 일측에 제1고정부(11)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제1고정부(11)에 대해 일정 각도 선회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지지날개(12)는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고정부(11)에 인접하는 일측면의 하부에는 한 쌍의 회전축(14)이 마련된다. 또한, 한 쌍의 회전축(14)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날개(12)의 폭 방향으로 양측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지지날개(12)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을 지지하는 제3지지부를 구성한다.The
제1지지날개(12)의 상면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의 일부가 고정부재(16)에 의해 부착되어 고정된다. 고정부재(16)로는 양면테이프,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 중 제1부분(41)과 연결되는 일부 영역(이하, 제1연결부분)(43a)은 제1지지날개(12)에 고정되지 않고 떨어진 상태이다. 또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 중 제1지지날개(12)에 의해 지지되는 일부 부분(43b)은 제1지지날개(12)의 상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1지지날개(12)가 회전할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이 제1지지날개(12)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A part of th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기기(1)에서 제1몸체(10)에서 분리된 제1지지날개(12)를 나타내는 분리 배면 사시도이다. 9 is a separate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도 9를 참조하면, 제1몸체(10)의 제1상부 케이스(10-1)의 내벽(10a)에는 제1고정부(11)와 인접한 곳에 제1지지날개(12)의 회전축(14)이 삽입되는 장공(15)이 마련된다. 제1상부 케이스(10-1)에는 제1지지날개(12)의 한 쌍의 회전축(14)에 대응하도록 한 쌍의 장공(15)이 마련된다. 장공(15)은 회전축(14)의 지름보다 크기가 긴 길이를 갖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지지날개(12)가 수평 상태에서 아래로 경사질 때, 제1지지날개(12)가 제1몸체(10)에 대해 장공(15)의 길이와 회전축(14) 지름의 차이만큼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제1지지날개(12)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경로차에 의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에 인가되는 응력을 흡수할 수 있다. 9, the
제1하부 케이스(10-2)는 제1상부 케이스(10-1)에 결합되어 제1몸체(10)를 구성한다. 제1하부 케이스(10-2)와 제1상부 케이스(10-1)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면, 이 공간에는 접철식 기기(1)가 용도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세싱 유닛, 입출력 수단, 통신 수단, 전원부 등을 구현하는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lower case 10-2 is coupled to the first upper case 10-1 to constitute the
제2몸체(20)는 제2상부 케이스(20-1)와 제2하부 케이스(20-2)를 포함한다. 제2상부 케이스(20-1)는 제2고정부(21)와 제2지지날개(22)를 포함한다. 제2몸체(20)의 제2고정부(21)와 제2지지날개(22)의 구조는 상술한 제1몸체(10)의 제1고정부(11)와 제1지지날개(12)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제2몸체(20)의 제2상부 케이스(20-1)에는 제2지지날개(22)의 한 쌍의 회전축(24)이 삽입되는 한 쌍의 장공(25)이 마련된다. 제2지지날개(22)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을 지지하는 제3지지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제3지지부는 제1지지날개(12)와 제2지지날개(22)로 구성될 수 있다.The
제2지지날개(22)의 상면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의 일부가 고정부재에 의해 부착되어 고정된다. 고정부재로는 양면테이프,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 중 제2부분(42)과 연결되는 일부 영역(이하, 제2연결부분)(43e)은 제2지지날개(22)에 고정되지 않고 떨어진 상태이다. 또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 중 제2지지날개(22)에 의해 지지되는 일부 부분(43d)은 제2지지날개(22)의 상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2지지날개(22)가 회전할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이 제2지지날개(22)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의 중앙부(43c)는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에 고정되지 않고 떨어진 상태이다. 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의 중앙부(43c)는 후술하는 중앙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을 지지하는 제3지지부는 제1지지날개(12), 제2지지날개(22), 및 중앙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 part of the
힌지유닛(50)은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가 펼쳐진 위치에서 접힌 위치로 전환되거나, 접힌 위치에서 펼쳐진 위치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힌지유닛(50)은 제1몸체(10)와 제2몸체(20)가 펼쳐진 위치와 접힌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때, 제1지지날개(12)와 제2지지날개(22)가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에 설치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가 힌지유닛(50)에 의해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경될 때, 또는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3지지부의 제1지지날개(12)가 제1지지부(11)에 대해 회전하고, 제3지지부의 제2지지날개(22)가 제2지지부(21)에 대해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3지지부가 제1 및 제2지지부(11,21)에 대해 회전하는 것은 제1 및 제2지지부(11,21)가 각각 제3지지부에 대해 회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도 6,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힌지 유닛(50)은 고정 힌지(60), 제1 및 제2힌지 프레임(70,80), 록킹부재(90), 연동바(100), 제1 및 제2지지암(110,120), 제1 및 제2이동부재(130,140)를 포함할 수 있다.6, 7, and 8, the
고정 힌지(60)는 평행하게 설치되는 2개의 힌지축(51,52), 즉 제1 및 제2힌지축(51,5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힌지축(51,52)은 제1 및 제2몸체(10,20)가 펼쳐진 위치에서 접힌 위치로 전환될 때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 회전 기준이 된다. 제1 및 제2힌지축(51,52)이 설치된 힌지판(53)의 반대면에는 2개의 기준핀, 즉 제1 및 제2기준핀(61,62)이 설치된다. 이때, 제1 및 제2기준핀(61,62)은 제1 및 제2힌지축(51,52)에 대해 위치관계가 변화하지 않도록 형성된다.The fixed
제1힌지 프레임(70)은 고정 힌지(60)의 제1힌지축(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힌지 프레임(70)의 일단에는 고정 힌지(60)의 제1힌지축(51)이 삽입되는 제1힌지 구멍(71)이 마련되며, 중앙에는 제1걸림부재(75)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고정 힌지(60)를 마주하는 제1힌지 프레임(70)의 제1측벽에는 제1이동부재(13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제1안내 블록(72)이 마련된다. 제1힌지 프레임(70)의 제1측벽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측벽에는 제1지지암(1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안내 슬롯(73)이 형성된다. The
제2힌지 프레임(80)은 고정 힌지(60)의 제2힌지축(5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힌지 프레임(80)의 일단에는 고정 힌지(60)의 제2힌지축(52)이 삽입되는 제2힌지 구멍(81)이 마련되며, 중앙에는 제2걸림부재(85)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고정 힌지(60)를 마주하는 제2힌지 프레임(80)의 제1측벽에는 제2이동부재(14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제2안내 블록(82)이 마련된다. 제2힌지 프레임(80)의 제1측벽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측벽에는 제2지지암(1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안내 슬롯(83)이 형성된다. The
록킹부재(90)는 제1 및 제2걸림부재(75,85)와 함께 록킹유닛을 구성한다. 록킹유닛은 접철식 기기(1)의 제1 및 제2몸체(10)(20)를 다수의 위치에 록킹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록킹 유닛은 제1 및 제2몸체(10)(20)를 완전히 펼쳐진 위치(도 2)와, 완전히 접힌 위치(도 3)에 록킹시킬 수 있다. 또한, 록킹유닛은 제1 및 제2몸체(10)(20)를 완전히 펼쳐진 위치(도 2)와 완전히 접힌 위치(도 3) 사이의 소정의 열림 각도를 가진 위치(경사 위치)에 록킹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경사 위치의 열림 각도는 90도보다 클 수 있다. 록킹유닛은 90도와 180도 사이의 다수의 경사 위치에 제1 및 제2몸체(10)(20)를 록킹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 위치의 열림 각도는 120도일 수 있다. The locking
록킹부재(90)는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며, 제1 및 제2걸림부재(75,85)는 제1 및 제2몸체(10,20)와 함께 회전하면서 록킹부재(90)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록킹부재(90)의 외주면에는 제1 및 제2몸체(10)(20)를 펼쳐진 위치, 경사위치, 및 접힌 위치에 각각 록킹시키는 다수의 록킹부(93)가 마련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걸림부재(75,85)는 제1 및 제2몸체(10,20)의 열림 각도에 따라 다수의 록킹부(93)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리게 된다.The locking
록킹부재(90)의 측면에는 제1 및 제2힌지 프레임(70,80)의 제1 및 제2힌지 구멍(71,81)을 통과하여 제1 및 제2힌지 프레임(70,80)의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 힌지(60)의 제1 및 제2힌지축(51,52)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및 제2고정 구멍(91,92)이 마련된다. 록킹부재(90)의 제1 및 제2고정 구멍(91,92)에 고정 힌지(60)의 제1 및 제2힌지축(51,52)을 삽입하면, 록킹부재(90)는 제1 및 제2몸체(10,20)의 회전과 관련 없이 고정 힌지(60)에 대해 고정되게 된다. The side of the locking
제1 및 제2걸림부재(75)(85)는 제1 및 제2몸체(10)(20)와 함께 제1 및 제2힌지축(51)(52)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제1 및 제2걸림부재(75)(85)는 로킹부재(90)에 대해 접근하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힌지 프레임(70)(80)에 의해 지지된다. 제1 및 제2탄성부재(76)(86)는 제1 및 제2걸림부재(75)(85)가 록킹부(93)와 접촉을 유지하도록 제1 및 제2걸림부재(75)(85)에 탄성력을 인가한다. The first and
록킹부재(90)의 측면에는 연동바(100)가 수용되는 연동홈(94)이 형성된다. 연동바(100)는 제1힌지 프레임(70)과 제2힌지 프레임(80)을 연결하여 제1 및 제2힌지 프레임(70,80)이 동기되어 회전하도록 한다. 연동바(100)의 양단에는 제1 및 제2연결돌기(101,102)가 형성된다. 제1연결돌기(101)는 제1힌지 프레임(70)에 형성된 제1연결구멍에 삽입되고, 제2연결돌기(102)는 제2힌지 프레임(80)에 형성된 제2연결구멍(84)에 삽입된다. 연동바(100)의 제1 및 제2연결돌기(101,102)를 제1 및 제2힌지 프레임(70,80)의 제1 및 제2연결구멍(84)에 결합하면, 제1 및 제2몸체(10,20)가 동기되어 회전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걸림부재(75)(85) 중 어느 하나가 로킹부(93)에 걸리면 제1 및 제2몸체(10)(20)가 회전되지 않도록 록킹된다.An interlocking
제1지지암(110)은 제1몸체(10)의 이동에 따라 제1지지날개(12)를 이동시킨다. 제2지지암(120)은 제2몸체(20)의 이동에 따라 제2지지날개(22)를 이동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는 지지위치와 수납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1 및 제2몸체(10)(20)가 펼쳐진 위치에 있을 때에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는 지지위치에 위치하며, 제1 및 제2몸체(10)(20)가 접힌 위치에 위치할 때에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는 수납위치에 위치한다. 제1 및 제2몸체(10)(20)를 펼쳐진 위치와 접힌 위치 사이의 경사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펼쳐진 위치로부터 경사 위치까지의 구간에서는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가 지지위치에 유지되고, 경사 위치를 넘어서 접히게 되면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가 수납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가 지지위치에서 수납위치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수납 개시 각도는 경사 위치에 대응되는 각도 이상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접철식 기기(1)는 통상 90도 이상의 열림 각도에서 사용되므로,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가 열림 각도 90도 ~ 180도 범위에서 지지위치에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제1 및 제2지지암(110,120)은 펼쳐진 위치로부터 수납 개시 각도에 대응되는 수납 개시 위치까지의 구간에서는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를 지지위치에 유지시키고, 수납 개시 위치를 넘어서 접힐 때에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가 수납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지지암(110,120)은 각각 제1 및 제2힌지축(51,52)에 대해 고정된 위치를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and
구체적으로, 도 7,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암(110)의 양단에는 제1안내 핀(111)과 제1피벗 핀(112)이 마련되고, 제2지지암(120)의 양단에는 제2안내 핀(121)과 제2피벗 핀(122)이 마련된다. 제1 및 제2피벗핀(112,122)은 록킹부재(9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록킹부재(90)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피벗핀(112,122)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및 제2피벗 구멍(95,96)이 마련된다. 제1 및 제2안내핀(111,121)은 제1 및 제2힌지 프레임(70,80) 각각의 일측벽에 형성된 제1 및 제2안내 슬롯(73,83)에 삽입된다. 제1안내핀(111)은 제1안내 슬롯(73)을 관통하여 제1지지날개(12)의 아래로 연장되어 제1지지날개(12)를 지지한다. 따라서, 제1안내 슬롯(73)에 의해 제1안내핀(111)이 이동하면, 제1지지날개(12)도 회전축(14)을 중심으로 선회하게 된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7, 7B and 7C, a
마찬가지로, 제2안내핀(121)은 제2안내 슬롯(83)을 관통하여 제2지지날개(22)의 아래로 연장되어 제2지지날개(22)를 지지한다. 따라서, 제2안내 슬롯(83)에 의해 제2안내핀(121)이 이동하면, 제2지지날개(22)도 회전축(24)을 중심으로 선회하게 된다.Likewise, the
제1 및 제2힌지 프레임(70)(80) 각각의 일 측벽에 마련된 제1 및 제2안내 슬롯(73,83)은 지지구간(73a)과 수납구간(73b)을 포함한다. 지지구간(73a)은 펼쳐진 위치로부터 수납 개시 위치까지의 구간에 대응되며, 수납구간(73b)은 수납 개시 위치로부터 접힌 위치까지의 구간에 대응된다. 지지구간(73a)은 제1 및 제2몸체(10)(20)가 펼쳐진 위치에서 수납 개시 위치까지 회동되는 동안에 제1 및 제2지지암(110)(120)의 제1 및 제2안내핀(111,121)이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를 지지하는 위치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수납구간(73b)은 제1 및 제2몸체(10)(20)가 수납 개시 위치로부터 접힌 위치로 회동되는 동안에 제1 및 제2안내핀(111,121)이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1 및 제2지지암(110,120)이 회동한다. 그러면,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가 자중에 의하여 지지위치로부터 수납위치로 회동한다. The first and
도 10a는 접철식 기기(1)의 제1 및 제2몸체(10)(20)가 펼쳐진 상태일 때, 제1지지날개(12)를 나타낸다. 제2지지날개(22)는 제1지지날개(12)와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도 10a에서는 제1지지날개(12)만을 도시하였다.10A shows the
도 10a를 참조하면, 제1안내핀(111)은 제1안내 슬롯(73)의 지지구간(73a)에 위치하고, 제1지지날개(12)는 제1지지암(110)의 제1안내 핀(111)에 의하여 지지되어 지지위치에 유지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지지날개(22)도 제2지지암(120)의 제2안내핀(121)에 의해 지지위치에 유지된다. 구체적으로, 제2지지암(120)의 제2안내핀(121)은 제2안내 슬롯(83)의 지지구간(83a)(도 7c 참조)에 위치하고, 제2지지날개(22)는 제2안내핀(121)에 의하여 지지되어 지지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는 제1 및 제2고정부(11,21),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 및 후술하는 중앙 지지부재(150)에 의하여 지지되어 평평한 상태로 유지된다.Referring to FIG. 10A, the
도 10a의 상태에서 제1 및 제2몸체(10)(20)가 접히기 시작하면, 제1 및 제2몸체(10)(20)는 경로차 보상 유닛에 의하여 제1 및 제2힌지축(51,5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 및 제2몸체(10)(20)가 수납 개시 위치에 도달될 때까지 제1 및 제2안내 핀(51,52)은 제1 및 제2안내 슬롯(73,83)의 지지구간(73a,83a)에 의하여 안내되므로, 제1 및 제2지지암(110,120)은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를 지지하는 위치에 유지된다.When the first and
제1 및 제2몸체(10)(20)가 수납 개시 위치를 넘어서 접히면, 제1 및 제2안내 핀(111,121)이 제1 및 제2안내 슬롯(73,83)의 수납구간(73b,83b)에 의하여 안내된다. 제1 및 제2지지암(110,120)은 제1 및 제2피벗 핀(112,122)을 중심으로 하여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도 제1 및 제2몸체(10,20)의 바닥면을 향해 회동하여 제1 및 제2몸체(10)(20) 내에 수납공간(30)(도 3 참조)을 형성한다. 이때,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의 상면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의 일부(43b,43d)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이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와 함께 제1 및 제2몸체(10,20)의 바닥면 쪽으로 완만하게 구부러지면서 만곡부(44)를 형성하여 수납공간(30)으로 수납된다. When the first and
이때,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의 회전축(14,24)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몸체(10,20)의 측벽(10a,20a)에 마련된 장공(15,25)을 따라 제1 및 제2고정부(11,21) 쪽으로 이동하므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와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 사이에서 발생하는 경로차를 흡수한다. 즉,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와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 사이에서 발생하는 경로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의 회전축(14,24)이 제1 및 제2몸체(10,20)의 측벽(10a,20a)에 마련된 장공(15,25)을 따라 특정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를 규제하지 않을 경우에 발생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에 걸리는 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기기가 접혀진 상태일 때, 제1지지날개와 제1안내 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상술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가 지지위치와 수납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에 대응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이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와 함께 이동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규제부재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의 일부분(43b,43d)을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 각각의 상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6)와, 제1 및 제2몸체(10,20) 각각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 각각의 한 쌍의 제1 및 제2회전축(14,24)이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장공(15,25)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and
제1 및 제2안내 슬롯(73,83)의 형태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안내 슬롯(73,83)의 형태는 제1 및 제2힌지축(51)(52)에 대한 제1 및 제2피벗 구멍(95,96)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shapes of the first and
제1 및 제2이동부재(130,140)는 제1 및 제2힌지 프레임(70,80)의 제1측벽에, 제1 및 제2힌지 프레임(70,80) 각각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1 및 제2이동부재(130,140)는 제1 및 제2몸체(10,20)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이동부재(130,140)는 제1 및 제2몸체(10,20)의 제1 및 제2힌지축(51,52)에 대한 이동량을 규제한다. The first and second moving
도 7a는 도 5의 힌지유닛(50)의 고정 힌지(60)와 제1 및 제2규제 슬롯(131,141)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7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xed
도 7a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이동부재(130,140)에는 각각 제1 및 제2규제 슬롯(131,141)이 마련된다. 제1 및 제2규제 슬롯(131,141)은 제1 및 제2몸체(10)(2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제1 및 제2몸체(10)(20)의 이동량을 규제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제1 및 제2규제 슬롯(131,141)에는 고정 힌지(60)의 제1 및 제2기준핀(61,62)이 삽입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 및 제2이동부재(130,140)의 제1 및 제2규제 슬롯(131,141)과 고정 힌지(60)의 제1 및 제2기준핀(61,62)이 경로차 보상유닛을 구성한다. Referring to FIG. 7A, first and secon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는 제1 및 제2몸체(10,20)가 펼쳐진 위치와 접힌 위치 사이에서 이동함에 따라 지지위치와 수납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는 고정 힌지(60)에 고정된 록킹부재(90)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및 제2지지암(110,120)의 제1 및 제2안내 핀(111,121)과 제1 및 제2힌지 프레임(70,80)의 제2측벽에 형성된 제1 및 제2안내 슬롯(73,83)에 의해 회동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몸체(10,20)의 이동에 따라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가 지지위치와 수납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를 작동시키는 작동 유닛은 제1 및 제2몸체(10,20)와 함께 이동하는 제1 및 제2힌지 프레임(70,80)의 제1 및 제2안내 슬롯(73,83)과, 록킹부재(90)를 기준으로 회전하며 제1 및 제2안내 슬롯(73,83)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는 제1 및 제2지지암(110,1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는 제1 및 제2몸체(10,20)의 상면에 설치되며, 제1몸체(10)의 제1고정부(11)에 고정되는 제1부분(41)과 제2몸체(20)의 제2고정부(21)에 고정되는 제2부분(42), 및 제1부분(41)과 제2부분(42) 사이에 위치하는 제3부분(43)을 포함한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는 상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이상에서는 제1 및 제2몸체(10,20)를 접을 때, 제1 및 제2고정부(11,21)와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의 연결 부분에서 발생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에 걸리는 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한 쌍의 장공(15,25)이 제1 및 제2몸체(10,20)에 형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로서, 한 쌍의 장공은 제1 및 제2지지날개에 형성하고, 제1 및 제2몸체에 한 쌍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이러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In the above, when the first and
도 11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기기가 펼쳐진 상태일 때, 지지날개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기기가 접혀진 상태일 때, 지지날개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1A is a view showing a position of a support wing when a foldab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n unfolded state, and FIG. 11B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a support wing when the foldab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It is a diagram showing the location.
도 11a를 참조하면, 회전축(14')은 제1몸체(10)의 측벽(10a)에 설치되고, 장공(15')은 제1지지날개(12)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지지판(12a)에 형성된다. 이때, 장공(15')은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안내핀(111)은 제1안내 슬롯(73)의 지지구간(73a)에 위치하고, 제1지지날개(12)는 제1지지암(110)의 제1안내핀(111)에 의하여 지지되어 지지위치에 유지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지지날개(22)도 제2안내 슬롯(83)에 의해 이동하는 제2안내핀(121)에 의해 지지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는 제1 및 제2고정부(11,21),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 및 후술하는 중앙 지지부재(150)에 의하여 지지되어 평평한 상태로 유지된다.Referring to FIG. 11A, the rotating shaft 14' is installed on the
제1 및 제2몸체(10)(20)가 접히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안내 핀(111)이 제1안내 슬롯(73)의 수납구간(73b)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1지지날개(12)도 제1몸체(10)의 바닥면을 향해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제1몸체(10) 내에 수납공간(30)을 형성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지지날개(22)도 제2안내 슬롯(83)에 의해 이동하는 제2안내 핀(121)에 의해 수납구간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2지지날개(22)도 제2몸체(20)의 바닥면을 향해 회동하여 제2몸체(20) 내에 수납공간(30)을 형성한다. 이때,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의 상면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의 일부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이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와 함께 제1 및 제2몸체(10,20)의 바닥면 쪽으로 완만하게 구부러지면서 만곡부를 형성하여 수납공간(30)으로 수납된다. When the first and
이때,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에 형성된 제1 및 제2장공(15')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몸체(10,20)의 측벽(10a)에 마련된 제1 및 제2회전축(14')을 따라 제1 및 제2고정부(11,21) 쪽으로 이동하므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와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 사이에서 발생하는 경로차를 흡수한다. 따라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를 규제하지 않을 경우에 발생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에 걸리는 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이상에서는 몸체를 접을 때, 제1 및 제2지지부(11,21)와 제3지지부의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의 연결 부분에서 발생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에 걸리는 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공(15,25)이 제1 및 제2지지부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몸체(10,20)나 제3지지부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에 형성되고, 회전축(14,14')은 상대 부재에 설치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In the above, when the body is folded, distortion of the
그러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15"-1,15"-2)을 제3지지부의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와 제1 및 제2지지부(11,21)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몸체(10,20)에 모두 형성하고, 회전축(14")은 별도로 형성하여 마주하는 2개의 장공(15"-1,15"-2)에 삽입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참고로, 제2지지날개(22)는 제1지지날개(12)와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도 19에서는 제1지지날개(12)의 일측과 제1지지부(11)의 일측에 설치된 장공(15"-1,15"-2)만을 도시하였다.However, as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19, the first and
구체적으로, 제3지지부의 제1지지날개(12)와 제2지지날개(22)에 각각 제1장공(15"-1)와 제2장공을 형성하고, 제1지지날개(12)가 설치되는 제1지지부(11)에 제1장공(15"-1)에 대응하는 제3장공(15"-2)을 형성하고, 제2지지날개(22)가 설치되는 제2지지부(21)에 제2장공에 대응하는 제4장공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1지지부(11)와 제3지지부의 제1지지날개(12)는 제1장공(15"-1)과 제3장공(15"-2)에 제1회전축(14")을 삽입하여 제1지지부(11)와 제3지지부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또한, 제2지지부(21)와 제3지지부의 제2지지날개(22)는 제2장공과 제4장공에 제2회전축을 삽입하여 제2지지부(21)와 제3지지부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Specifically, a first long hole (15"-1) and a second long hole are formed in the
도 12a 및 도 12b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보강 박판이 설치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2A and 12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reinforcing thin plate is installed on a rear surface of a flexible display.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고정부의 일단과 지지날개가 서로 인접하는 부분에 고정부의 일부와 지지날개의 일부에 대응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영역의 후면에는 보강 박판이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2A and 12B, a reinforcing thin plate may be installed on a rear surface of a region of the flexible display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fixing part and a part of the support blade at a part where one end of the fixing part and the support blade are adjacent to each other.
예를 들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1부분(41)이 제1몸체(10)의 제1고정부(11)에 고정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의 일부분(43b)이 제1지지날개(12)의 상면에 고정된 경우에, 제1고정부(11)와 제1지지날개(12)에 고정되지 않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부분(43a)의 후면에 보강 박판(160)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 박판(160)은 제1고정부(11)의 일단 부근과 제1지지날개(12)의 일부의 영역을 덮을 수 있도록, 제1고정부(11)의 접착부(17)와 제1지지날개(12)의 고정부재(16)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폭과 제1지지날개(12)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보강 박판(160)은 얇은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에서는 제1지지날개(12)에 의해 지지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부분만을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제2지지날개(22)에 의해 지지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부분에도 제1지지날개(12)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과 동일하게 보강 박판(160)이 설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보강 박판(160)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보다 큰 강성을 갖고 있으므로, 도 12a와 같이 제1 및 제2몸체(10,20)가 펼쳐진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제1 및 제2고정부(11,21)와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 사이의 공간에 대응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부분을 누를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가 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Since the reinforcing
또한, 도 12b와 같이 제1 및 제2몸체(10,20)가 접힌 위치에 있는 경우에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는 하향으로 경사지게 된다.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가 하향으로 회전할 때, 보강 박판(160)은 늘어나지 않고 휘기만 하므로 보강 박판(160)의 상측에 위치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가 받는 인장 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B, when the first and
접철식 기기(1)의 제1 및 제2몸체(10,20)를 접힌 위치로 할 경우에는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가 하향 회전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이 일정한 곡률로 굽혀져서 만곡부(44)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몸체(10,20)의 제1 및 제2고정부(11,21)와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의 일부분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굽힘에 대응하는 곡면을 형성한다. 이 곡면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When the first and
도 13a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굽힘에 대응하는 곡면을 지지날개에만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b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굽힘에 대응하는 곡면을 지지날개가 설치된 몸체의 일부로부터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3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bending of a flexible display is formed only on the support blades, and FIG. 1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bending of the flexible display is formed from a part of the body in which the support blades are installed .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굽힘에 대응하는 곡면(170)은 모두 제1지지날개(12)에만 형성할 수 있다. 곡면(170)은 제1고정부(11)의 일단과 인접한 제1지지날개(12)의 상면의 일부분에 형성된다. 즉, 곡면(170)은 제1지지날개(12)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14) 또는 장공(15')이 형성된 부분의 상측에 형성된다. 제1고정부(11)의 일단에서 곡면(170)이 끝나는 제1지지날개(12)의 지점(P)까지의 거리를 L1이라고 할 때, 곡면(170)에 의해 형성되는 홈(171)의 깊이는 t1이 된다. As shown in FIG. 13A, all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굽힘에 대응하는 곡면(170')을 제1고정부(11)의 일단의 일부 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제1지지날개(12)까지 이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곡면(170')의 일부는 제1고정부(11)의 일단 부근에 형성되고, 곡면(170')의 나머지 부분은 제1지지날개(12)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1지지날개(12)에 형성되는 곡면의 길이는 줄어들게 된다. 제1지지날개(12)가 수평 위치에 있을 때, 곡면(170')에 대응하는 수평 길이를 L2이라고 할 수 있다. L2의 길이를 L1과 동일하게 할 때, 제1고정부(11)의 일단에서 곡면(170')이 끝나는 제1지지날개(12)의 지점(P)까지의 거리(L3)는 L2보다 작게 된다(L3<L2). 또한, 곡면(170')에 의해 형성되는 홈(171')의 깊이(t2)도 곡면(170)을 모두 제1지지날개(12)에 형성한 경우의 홈 깊이(t1)보다 깊이가 줄어들게 된다. 즉, t2 < t1이 된다.13B, a
도 13a 및 도 13b는 제1 몸체(10)에 설치된 제1지지날개(12)를 도시하고 이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제2몸체(20)에 설치된 제2지지날개(22)에도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13A and 13B show and describe the
따라서, 이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굽힘에 대응하는 곡면(170')을 제1 및 제2고정부(11,21)로부터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에 걸치도록 형성하면, 제1 및 제2몸체(10,20)를 펼쳤을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가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영역의 길이와 깊이를 줄일 수 있게 된다.Therefore, if the
이상에서는 접철식 기기(1)의 제1 및 제2몸체(10,20)를 접힌 위치로 할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에서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디스플레이 규제부재의 일 예로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의 일부를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에 고정하고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의 회전축(14,24)을 장공(15,25)에 의해 지지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일 예일 뿐이며,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를 수납위치로 이동시킬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에서 발생하는 왜곡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In the above, as an example of a display regulating member that prevents distortion from occurring in the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기기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규제부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regulating member used in a fold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규제부재는 제1지지날개(12)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장홈(180)과 상기 복수의 장홈(180)에 수용되는 슬라이딩 젤(sliding gel)(181)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the display regulating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제1지지날개(12)는 제1몸체(10)의 제1고정부(11)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지지날개(12)는 상술한 바와 같은 작동 유닛에 의해 수평 상태와 하향으로 경사진 상태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지지날개(12)의 상면에는 복수의 장홈(180)이 형성된다. 복수의 장홈(180)은 제1지지날개(12)의 상면에 제1지지날개(12)를 관통하지 않는 일정한 깊이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복수의 장홈(18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날개(12)의 폭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복수의 장홈(180)은 제1지지날개(12)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복수의 홈(180)에는 슬라이딩 젤(sliding gel)(181)이 충전된다. 슬라이딩 젤(181)은 제1지지날개(12)가 지지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부분이 제1지지날개(12)에 대해 슬라이딩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가 제1지지날개(12)의 상면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점성을 갖는 유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라이딩 젤(181)은 적절한 점도를 갖는 윤활유, 그리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는 슬라이딩 젤(181)의 점성으로 제1지지날개(12)에 부착된 상태가 된다. 또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는 제1지지날개(12)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허용된다. A sliding gel (181) is filled in the plurality of grooves (180). The sliding
제1지지날개(12)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일부는 제1몸체(10)의 제1고정부(11)에 고정된다. 또한, 이외의 제1지지날개(12)의 구조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기기(1)의 제1지지날개(12)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 part of the
도 14에서는 제1지지날개(12)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제2지지날개(22)도 제1지지날개(12)와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FIG. 14, only the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은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의 상면에 부착된 상태로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므로, 제1 및 제2몸체(10,20)를 접을 때 발생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에 인가되는 응력을 흡수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기기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규제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display regulating member used in a fold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규제부재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후면에 부착된 제1스티프너(stiffener)(19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the display regulating member may include a
제1지지날개(12)는 제1몸체(10)의 제1고정부(11)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지지날개(12)는 상술한 바와 같은 작동 유닛에 의해 수평 상태와 하향 경사 상태에 위치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는 제1고정부(11)와 제1지지날개(12)의 상측에 위치한다. 제1고정부(11)에 대응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1부분(41)은 양면테이프와 같은 고정부재(17)에 의해 제1고정부(11)에 고정된다. 제1지지날개(12)에 대응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의 일부는 제1지지날개(12)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몸체(10,20)를 접을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의 일부 영역은 제1지지날개(12)의 상면에 대해 슬라이딩한다.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스티프너(190)는 제1지지날개(12)에 대해 슬라이딩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부분의 후면에 고정된다. 제1스티프너(19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에 비해 강성이 있으므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가 제1지지날개(12)에 대해 슬라이딩하는 것을 지지하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스티프너(190)는 제1지지날개(12)의 상면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다.The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지지날개(22)에 대응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의 영역에도 제2스티프너를 설치한다. 제2스티프너는 도 15에 도시된 제1스티프너(190)와 동일한 형태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후면에 부착된다. Although not shown, a second stiffener is also installed in an area of the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의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에 대응하는 부분의 하면에 제1 및 제2스티프너(190)가 부착된 상태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이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므로, 제1 및 제2몸체(10,20)를 접을 때 발생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irst and
한편, 접철식 기기(1)의 제1 및 제2몸체(10,20)의 사이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부분(43)의 중앙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중앙 지지부재(1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기기에 사용될 수 있는 중앙 지지부재의 일 예에 대해 설명한다.Meanwhile, between the first and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기기(1)의 제1 및 제2몸체(10,20)가 펼쳐진 경우, 중앙 지지부재(150)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를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기기가 접힌 경우, 중앙 지지부재의 위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기기에 사용되는 중앙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도 16을 참조하면, 접철식 기기(1)의 제1 및 제2몸체(10,20)가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중앙 지지부재(15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영역(43)의 중앙부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몸체(10,20)가 펼쳐진 상태일 때, 중앙 지지부재(150)는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일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제3영역(43)의 중앙부에 힘을 가하는 경우에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가 아래로 눌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Referring to FIG. 16, when the first and
중앙 지지부재(150)의 일 예가 도 18에 도시되어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중앙 지지부재(150)는 메인 지지부(151)와 보조 지지부(153)를 포함한다. An example of the
메인 지지부(151)는 대략 사각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다. 메인 지지부(151)의 양 측면에는 보조 지지부(153)가 설치되는 복수의 결합홈(152)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결합홈(152) 각각의 바닥은 지지턱(152a)의 기능을 하여 보조 지지부(153)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보조 지지부(153)는 메인 지지부(151)의 양 측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2개가 마련된다. 보조 지지부(153)는 대략 사각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메인 지지부(151)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다. 보조 지지부(153)의 일측에는 메인 지지부(151)의 복수의 결합홈(152)에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결합돌기(154)가 마련된다. 메인 지지부(151)의 결합홈(152)과 보조 지지부(153)의 결합돌기(154)는 힌지 구조로 결합된다. 따라서, 보조 지지부(153)는 메인 지지부(151)에 대해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보조 지지부(153)의 회전은 메인 지지부(151)의 바닥(152a)에 의해 제한되므로 보조 지지부(153)는 메인 지지부(151)에 대해 상측으로만 회전할 수 있고 아래 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없다. Two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앙 지지부재(150)를 구비한 접철식 기기(1)는 펼쳐진 상태가 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지지부재(150)가 제1 및 제2지지날개(12,2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중간부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또한, 제1 및 제2몸체(10,20)를 접힌 위치로 할 경우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지지부재(150)의 메인 지지부(151)는 아래로 하강하고, 2개의 보조 지지부(153)는 물방울 형태로 만곡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만곡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경사진 상태가 된다. In addition, when the first and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앙 지지부재(150)를 구비한 접철식 기기(1)는 제1 및 제2몸체(10,20)가 펼쳐진 경우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중앙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제1 및 제2몸체(10,20)가 접힌 상태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0)의 만곡부와 간섭되지 않는다. Therefore,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an exemplary manner. Terms used herein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limiting sen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according to the above content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reely practic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unless otherwise stated.
1; 접철식 기기 10; 제1몸체
11; 제1고정부 12; 제1지지날개
14,24; 회전축 15,25; 장공
20; 제2몸체 21; 제2고정부
22; 제2지지날개 30; 수납공간
4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44; 만곡부
50; 힌지 유닛 51,52; 힌지축
60; 고정 힌지 70,80; 힌지 프레임
73,83; 안내 슬롯 75,85; 걸림부재
90; 록킹부재 100; 연동바
110,120; 지지암 111,121; 안내 핀
130,140; 이동부재 150; 중앙 지지부재
160; 보강 박판 170; 곡면
180; 장홈 190; 스티프너One;
11; The first fixed
14,24;
20;
22;
40;
50;
60; Fixed hinges 70,80; Hinged frame
73,83;
90; Locking
110,120; Support arm 111,121; Guide pin
130,140; Moving
160; Reinforcing
180;
Claims (20)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1부분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부분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3부분을 지지하는 제3지지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를 연결하는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를 연결하는 제2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가 상기 제3지지부에 대해 회전되도록 설치된 힌지유닛;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 중 적어도 한 곳과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 중 적어도 한 곳에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가 상기 제3지지부에 대해 회전할 때,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이 장공의 내부 표면을 따라 특정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비된 장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기기.A flexible display including a first portion, a second portion, and a third portion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A body including a first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 first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a second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 secon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and a third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 thir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And a first rotation shaft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third support part, and a second rotation shaft connecting the second support part and the third support part, wherein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are opened. A hinge unit installed such that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rotate with respect to the third support portion when the state is changed from the state to the closed state; And
It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a long hole provided to move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to a specific position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long hole when the second support part rotates with respect to the third support part. .
상기 제3지지부는 상기 제1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지지날개와 상기 제2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지지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기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hird support part includes a first support blad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art and a second support blad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part.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제1지지날개의 양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제2지지날개의 양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장공은 상기 제1지지날개의 상기 제1회전축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지부에 형성되는 제1장공과 상기 제2지지날개의 상기 제2회전축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2지지부에 형성되는 제2장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기기.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rotation shaf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wing, the second rotation shaf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upport wing,
The long hole is formed in a second support portion to accommodate the first long hole formed in the first support portion to accommodate the first rotation axis of the first support wing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of the second support wing Foldable device comprising a second long hole.
상기 제1 및 제2장공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기기.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and second long holes are fold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linear shape.
상기 장공은 상기 제1지지날개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제1장공과, 상기 제2지지날개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제2장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제1지지날개의 상기 제1장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제2지지날개의 상기 제2장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지지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기기.The method of claim 2,
The long hole includes a first long hol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wing, and a second long hol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upport wing,
The first rotation shaft is installed on the first support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long hole of the first support blade,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ong hole of the second support blade. Fold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two support.
상기 제 1 및 제2장공은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기기.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and second long holes are fold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curved shape.
상기 장공은 상기 제1지지날개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제1장공, 상기 제2지지날개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제2장공, 상기 제1지지날개의 제1장공을 마주하는 제1지지부에 형성되는 제3장공, 및 상기 제2지지날개의 제2장공을 마주하는 제4장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제1지지날개의 제1장공과 상기 제1지지부의 제3장공에 삽입되며,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제2지지날개의 제2장공과 상기 제2지지부의 제4장공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기기.The method of claim 2,
The long hole is formed in a first long hol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wing, a second long hol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upport wing, and a first support portion facing the first long hole of the first support wing It includes a third long hole, and a fourth long hole facing the second long hole of the second support wing,
The first rotation shaft is inserted into the first long hole of the first support wing and the third long hole of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is a second long hole of the second support wing and a fourth long hole of the second support wing Fold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serted into the.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3부분을 상기 제1 및 제2지지날개의 상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기기.The method of claim 2,
And a fixing member fixing the thir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wings.
상기 고정부재는 양면테이프,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기기.The method of claim 8,
The fixing member is a fold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ouble-sided tape and an adhesive.
상기 제1지지부의 일부와 상기 제3지지부의 일부를 덮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1보강 박판; 및
상기 제2지지부의 일부와 상기 제3지지부의 일부를 덮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2보강 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기기.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reinforcing thin plate installed to cover a part of the first support part and a part of the third support part and support a part of the flexible display; And
And a second reinforcing sheet that covers a part of the second support part and a part of the third support part and is installed to support a part of the flexible display.
상기 제1 및 제2보강 박판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기기.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thin plates are fold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지지날개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3부분을 상기 제1 및 제2부분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위치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 사이에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만곡된 제3부분이 수용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지지날개를 작동시키는 작동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기기.The method of claim 2,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blades support the thir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and the first And an operation unit for operat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blades to move between the storage positions forming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curved thir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is accommodat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parts. Folding device
상기 작동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와 함께 이동하는 제1 및 제2안내 슬롯과 상기 제1 및 제2안내 슬롯에 의해 이동하는 제1 및 제2지지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기기.The method of claim 12,
The operation unit comprises first and second guide slots that move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and first and second support arms that move by the first and second guide slots. device.
상기 제1 및 제2지지암은 상기 제1 및 제2안내 슬롯을 관통하며 상기 제1 및 제2지지날개의 하부까지 연장된 제1 및 제2안내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기기.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arms include first and second guide pins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guide slots and extending to the low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wings.
상기 제3지지부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3부분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중앙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기기.The method of claim 2,
The third support portion further comprises a central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a central portion of the thir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1부분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부분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3부분을 지지하는 제3지지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를 연결하는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를 연결하는 제2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가 상기 제3지지부에 대해 회전되도록 설치된 힌지유닛; 및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3부분의 일부분이 상기 제3지지부와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제3 부분의 일부분과 상기 제3 지지부를 부착하는 디스플레이 규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기기.A flexible display including a first portion, a second portion, and a third portion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A body including a first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 first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a second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 secon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and a third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 thir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And a first rotation shaft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third support part, and a second rotation shaft connecting the second support part and the third support part, wherein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are opened. A hinge unit installed such that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rotate with respect to the third support portion when the state is changed from the state to the closed state; And
A display regulating member attaching a portion of the third portion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so that a portion of the thir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moves together with the third support portion when the flexible display is changed from an open state to a closed state; Foldable device comprising a.
상기 제3지지부는 상기 제1회전축에 의해 상기 제1지지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지지날개와 상기 제2회전축에 의해 상기 제2지지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지지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기기.The method of claim 16,
The third support part includes a first support blad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art by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a second support blad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part by the second rotation shaft. Fold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디스플레이 규제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날개 각각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장홈; 및
상기 복수의 장홈에 수용되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3부분을 상기 제1 및 제2지지날개의 상면에 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딩 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기기.The method of claim 17,
The display regulating member,
A plurality of long groove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blades; And
And a sliding gel that is accommodated in the plurality of elongated grooves and allows the thir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to slide while being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wings.
상기 슬라이딩 젤은 윤활유, 그리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기기.The method of claim 18,
The sliding gel is a fold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a lubricant and grease.
상기 디스플레이 규제부재는,
상기 제1지지날개에 대응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3부분의 일부의 후면에 고정되는 제1스티프너; 및
상기 제2지지날개에 대응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3부분의 일부의 후면에 고정되는 제2스티프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기기.
The method of claim 17,
The display regulating member,
A first stiffener fixed to a rear surface of a part of the thir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pport wing; And
And a second stiffener fixed to a rear surface of a portion of the thir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upport wing.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6/003791 WO2016163852A1 (en) | 2015-04-09 | 2016-04-11 | Foldable device |
CN201910791170.9A CN110502073B (en) | 2015-04-09 | 2016-04-11 | Folding device |
EP21183044.3A EP3907583A1 (en) | 2015-04-09 | 2016-04-11 | Foldable device |
CN201680000502.1A CN106255935B (en) | 2015-04-09 | 2016-04-11 | Folding device |
EP16776955.3A EP3282341B1 (en) | 2015-04-09 | 2016-04-11 | Foldable device |
US15/399,410 US10365691B2 (en) | 2015-04-09 | 2017-01-05 | Foldable device |
US16/406,554 US10883534B2 (en) | 2015-04-09 | 2019-05-08 | Foldable device |
US17/113,947 US11268565B2 (en) | 2015-04-09 | 2020-12-07 | Foldable device |
US17/589,144 US11624400B2 (en) | 2015-04-09 | 2022-01-31 | Foldable device |
US18/295,034 US12049919B2 (en) | 2015-04-09 | 2023-04-03 | Foldable device |
US18/777,031 US20240369098A1 (en) | 2015-04-09 | 2024-07-18 | Foldabl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562172365P | 2015-06-08 | 2015-06-08 | |
US62/172,365 | 2015-06-0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4299A KR20160144299A (en) | 2016-12-16 |
KR102163739B1 true KR102163739B1 (en) | 2020-10-12 |
Family
ID=57735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1703A Active KR102163739B1 (en) | 2015-04-09 | 2016-01-06 | Foldable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63739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277465A1 (en) * | 2021-06-30 | 2023-01-0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sliding and folding operations |
WO2025023794A1 (en) * | 2023-07-27 | 2025-01-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hinge assembl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627805B1 (en) | 2017-05-17 | 2025-04-09 |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 Foldable mobile terminal |
EP3627802B1 (en) | 2017-05-17 | 2021-08-04 |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 Foldable mobile terminal |
EP3627804A4 (en) | 2017-05-17 | 2020-05-27 |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 FOLDING MECHANISM, FOLDING MECHANISM ARRANGEMENT AND FOLDING MOBILE TERMINAL |
EP3627803B1 (en) | 2017-05-17 | 2023-08-16 |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 Foldable mobile terminal |
JP6776460B2 (en) | 2017-05-17 | 2020-10-28 |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 Foldable mobile terminal |
KR102524651B1 (en) * | 2017-12-29 | 2023-04-2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Foldable display device |
KR102576840B1 (en) | 2019-02-19 | 2023-09-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Structure of Hing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CN112233550A (en) * | 2019-07-15 | 2021-01-15 |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 Bendable device and folding display device |
CN112995368B (en) | 2019-12-13 | 2021-12-21 | 华为技术有限公司 | A hinge and mobile terminal |
CN113883156A (en) | 2020-07-01 | 2022-01-04 | 华为技术有限公司 | Folding module and folding electronic equipment |
KR102798666B1 (en) * | 2019-12-13 | 2025-04-18 |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 Rotating shaft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
EP4395289A3 (en) * | 2019-12-27 | 2024-08-28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Electronic device |
KR102641514B1 (en) | 2020-02-10 | 2024-02-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inge assembly |
CN111352536B (en) * | 2020-04-15 | 2024-10-15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Electronic equipment |
WO2022040990A1 (en) * | 2020-08-26 | 2022-03-03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
KR20220037246A (en) * | 2020-09-17 | 2022-03-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
CN114439844B (en) * | 2020-11-04 | 2025-06-20 | 深圳市富世达通讯有限公司 | Hinge |
CN115013420B (en) * | 2021-03-03 | 2025-04-22 | 深圳市富世达通讯有限公司 | Hinge |
KR102552471B1 (en) * | 2021-12-15 | 2023-07-11 | 주식회사 파인엠텍 | Hinge device of in-out foldable mobile device using flexible display panel |
CN114203049B (en) * | 2021-12-23 | 2023-11-28 |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 Bending supporting mechanism, flexible display device and bending jig |
KR102426412B1 (en) * | 2022-01-22 | 2022-07-29 | 주식회사 아이피엘랩스 | Hinge apparatus for foldable device |
KR102560376B1 (en) * | 2022-01-28 | 2023-07-27 | 주식회사 아이피엘랩스 | Hinge apparatus for foldable device |
KR102560389B1 (en) * | 2022-06-03 | 2023-07-26 | 윤태중 | Hinge apparatus for foldable device |
KR102635359B1 (en) * | 2022-07-05 | 2024-02-08 | 성우전자 주식회사 | Hinge module for flexible display apparatu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042293A1 (en) * | 2012-08-07 | 2014-02-13 | Polymer Vision B.V. | Display system with a flexible display |
KR101442622B1 (en) * | 2013-05-21 | 2014-09-22 | 오재헌 | Electric Device having Flexible Disply Modul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1118B1 (en) * | 2013-09-30 | 2020-10-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Foldable device |
-
2016
- 2016-01-06 KR KR1020160001703A patent/KR10216373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042293A1 (en) * | 2012-08-07 | 2014-02-13 | Polymer Vision B.V. | Display system with a flexible display |
KR101442622B1 (en) * | 2013-05-21 | 2014-09-22 | 오재헌 | Electric Device having Flexible Disply Modul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277465A1 (en) * | 2021-06-30 | 2023-01-0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sliding and folding operations |
WO2025023794A1 (en) * | 2023-07-27 | 2025-01-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hinge assembl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4299A (en) | 2016-1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63739B1 (en) | Foldable device | |
US12049919B2 (en) | Foldable device | |
US10883534B2 (en) | Foldable device | |
US10365691B2 (en) | Foldable device | |
US11068032B2 (en) | Electronic device | |
US11567540B2 (en) | Foldable device | |
KR101290267B1 (en) | Display device having variable display area | |
US10310551B2 (en) | Foldable device | |
KR102235171B1 (en) | Foldable display apparatus | |
KR102034585B1 (en) | Display Device | |
KR102015398B1 (en) | Foldable display apparatus | |
WO2022247565A1 (en) | Rotating mechanism, suppor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 |
US20200329573A1 (en) | Hinge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 |
KR102210047B1 (en) | Foldable display apparatus | |
JP6255113B2 (en) | Display device | |
KR102110975B1 (en) | Foldable display apparatus changing curvature of display | |
KR20160083318A (en) | Foldable display apparatus | |
EP3282341B1 (en) | Foldable device | |
KR102273675B1 (en) | fold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 |
TWI519933B (en) | Electronic device with foldable/unfoldable function | |
CN114627757A (en) | Foldable display device | |
US12336123B2 (en) | Foldable display device and supporting assembly thereof | |
CN110162141B (en) | Non-overlapping hinge mechanism suitable for folding screen | |
US8744538B2 (en) | Fully flat slider | |
WO2021088020A1 (en) | Electronic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0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2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1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18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0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