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048B1 - 전력 증폭기 및 전력 증폭기의 전류 제한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 증폭기 및 전력 증폭기의 전류 제한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63048B1 KR102163048B1 KR1020150061419A KR20150061419A KR102163048B1 KR 102163048 B1 KR102163048 B1 KR 102163048B1 KR 1020150061419 A KR1020150061419 A KR 1020150061419A KR 20150061419 A KR20150061419 A KR 20150061419A KR 102163048 B1 KR102163048 B1 KR 1021630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current
- amplifying
- amplification
- power amplifi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9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9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669 fiel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6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polarisation voltage or current, e.g. gliding Class A
- H03F1/027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polarisation voltage or current, e.g. gliding Class A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output signal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0—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52—Circuit arrangements for protecting such amplifier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18—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bias of the gate of a FET being controlled by a control signal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1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output amplifying stage of an amplifier comprising two power stage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44—Diode used as protection means in an amplifier, e.g. as a limiter or as a switch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5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radio frequency amplifier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62—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current being sen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전력 증폭기를 예시한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력 증폭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전력 증폭기의 전류 제한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전력 증폭기를 예시한 회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전력 증폭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는 도 6의 전력 증폭기의 전류 제한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에 포함된 제1저항 또는 제2저항의 저항값에 따라 증폭부에 흐르는 전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의 전류 제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전류 제한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111: 제1 증폭단 112: 제2 증폭단
120: 센싱부 121: 제1저항
122: 제2저항 123: 다이오드
130: 바이어싱부 131: 제1반도체 스위치
132: 제2반도체 스위치 135: 전류원
136: 제1전류원 137: 제2전류원
S10: 전류 제공단계 S20: 전류 감지단계
S30: 전류 분배단계
Claims (16)
- 입력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에 연결되어 상기 증폭부의 제1 단자의 바이어스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에 연결되어 상기 증폭부의 제1 단자에 전류를 제공하여 바이어싱(biasing)하는 바이어싱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증폭부의 제1 단자의 바이어스에 기초하여 상기 바이어싱부에 의해 상기 증폭부에 제공되는 전류를 변경시키는 전력 증폭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
입력 신호를 증폭시키는 제1증폭단; 및
상기 제1증폭단에서 증폭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제2증폭단; 을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제2증폭단에 연결되는 전력 증폭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 베이스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시켜 콜렉터 단자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BJT)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의 바이어스 전류를 감지하는 전력 증폭기.
- 입력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에 연결되어 상기 증폭부의 바이어스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에 연결되어 상기 증폭부에 전류를 제공하여 바이어싱(biasing)하는 바이어싱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증폭부의 바이어스에 기초하여 상기 바이어싱부에 의해 상기 증폭부에 제공되는 전류를 변경시키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증폭부의 바이어스에 기초한 전류가 흐르는 다이오드;
상기 증폭부와 상기 다이오드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1저항; 및
상기 다이오드와 상기 바이어싱부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2저항; 을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증폭부의 바이어스 전류의 값이 클수록 상기 바이어싱부에 의해 증폭부에 제공되는 전류의 값을 줄이는 전력 증폭기.
- 입력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에 연결되어 상기 증폭부의 바이어스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에 연결되어 상기 증폭부에 전류를 제공하여 바이어싱(biasing)하는 바이어싱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증폭부의 바이어스에 기초하여 상기 바이어싱부에 의해 상기 증폭부에 제공되는 전류를 변경시키고,
상기 바이어싱부는 기준 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센싱부 및 접지로 전류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source)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에 제공되는 전류의 값에서 상기 기준 전류의 값을 나눈 값은 상기 증폭부의 바이어스 전류의 값이 클수록 작아지는 전력 증폭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는,
제1기준 전류를 생성하는 제1소스; 및
제2기준 전류를 생성하는 제2소스;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소스에서 접지로 흐르는 전류의 값은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된 바이어스 전류의 값이 클수록 커지고,
상기 제2소스에서 접지에 흐르는 전류의 값은 상기 제1소스에서 접지로 흐르는 전류의 값이 클수록 커지는 전력 증폭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부는,
상기 제1소스와 접지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소스에서 접지로 흐르는 전류를 베이스 단자로 입력 받아 이미터 단자로 출력하는 제1반도체 스위치; 및
상기 제2소스와 접지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소스에서 접지로 흐르는 전류를 콜렉터 단자로 입력 받아 이미터 단자로 출력하는 제2반도체 스위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반도체 스위치의 베이스 단자에 흐르는 전류의 값은 상기 제1반도체 스위치의 콜렉터 단자에 흐르는 전류의 값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전력 증폭기.
- 입력 신호를 증폭시키는 제1증폭부;
상기 제1증폭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제2증폭부;
상기 제2증폭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증폭부에서 상기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단자의 바이어스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 및 상기 제1증폭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증폭부에 전류를 제공하여 바이어싱(biasing)하는 바이어싱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제2증폭부에서 상기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단자의 바이어스에 기초하여 상기 바이어싱부에 의해 상기 제1증폭부에 제공되는 전류를 변경시키는 전력 증폭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증폭부는 베이스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시켜 콜렉터 단자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BJT)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의 바이어스 전류를 감지하고,
상기 바이어싱부는 상기 제2증폭부의 바이어스 전류의 값이 클수록 상기 제1증폭부에 제공되는 전류의 값을 작아지게 하는 전력 증폭기.
- 입력 신호를 증폭시키는 제1증폭부;
상기 제1증폭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제2증폭부;
상기 제2증폭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증폭부의 바이어스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 및 상기 제1증폭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증폭부에 전류를 제공하여 바이어싱(biasing)하는 바이어싱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제2증폭부의 바이어스에 기초하여 상기 바이어싱부에 의해 상기 제1증폭부에 제공되는 전류를 변경시키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제2증폭부의 바이어스에 기초한 전류가 흐르는 다이오드;
상기 제2증폭부와 상기 다이오드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1저항; 및
상기 다이오드와 상기 바이어싱부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2저항; 을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 입력 신호를 증폭시키는 제1증폭부;
상기 제1증폭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제2증폭부;
상기 제2증폭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증폭부의 바이어스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 및 상기 제1증폭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증폭부에 전류를 제공하여 바이어싱(biasing)하는 바이어싱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제2증폭부의 바이어스에 기초하여 상기 바이어싱부에 의해 상기 제1증폭부에 제공되는 전류를 변경시키고,
상기 바이어싱부는,
제1기준 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센싱부 및 접지로 전류를 제공하는 제1소스; 및
제2기준 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제1증폭부 및 접지로 전류를 제공하는 제2소스; 을 포함하고,
상기 제1소스에서 접지로 흐르는 전류의 값은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된 바이어스 전류의 값이 클수록 커지고,
상기 제2소스에서 접지에 흐르는 전류의 값은 상기 제1소스에서 접지로 흐르는 전류의 값이 클수록 커지는 전력 증폭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부는,
상기 제1소스와 접지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소스에서 접지로 흐르는 전류를 베이스 단자로 입력 받아 이미터 단자로 출력하는 제1반도체 스위치; 및
상기 제2소스와 접지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소스에서 접지로 흐르는 전류를 콜렉터 단자로 입력 받아 이미터 단자로 출력하는 제2반도체 스위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반도체 스위치의 베이스 단자에 흐르는 전류의 값은 상기 제1반도체 스위치의 콜렉터 단자에 흐르는 전류의 값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전력 증폭기.
- 전력 증폭기의 동작을 위한 전류를 제공하는 전류 제공단계;
상기 전력 증폭기가 동작할 때, 상기 전력 증폭기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단계; 및
상기 전력 증폭기에 흐르는 전류의 값이 기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전력 증폭기의 바이어스를 감지하는 센싱부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에 제공되는 전류의 일부가 싱크(sink)되도록 전류를 분배하는 전류 분배단계; 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의 전류 제한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기는,
입력 신호를 증폭시키는 제1증폭부; 및
상기 제1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제2증폭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 감지단계는 상기 제2증폭부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고,
상기 전류 분배단계는 상기 제1증폭부에 흐르는 전류를 분배하는 전력 증폭기의 전류 제한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분배단계는 상기 제2증폭부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1반도체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여 전류를 분배하고, 상기 제1증폭부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2반도체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여 전류를 분배하는 전력 증폭기의 전류 제한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1419A KR102163048B1 (ko) | 2015-04-30 | 2015-04-30 | 전력 증폭기 및 전력 증폭기의 전류 제한 방법 |
US15/071,599 US9735745B2 (en) | 2015-04-30 | 2016-03-16 | Power amplifier and method for limiting current in power amplifi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1419A KR102163048B1 (ko) | 2015-04-30 | 2015-04-30 | 전력 증폭기 및 전력 증폭기의 전류 제한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9370A KR20160129370A (ko) | 2016-11-09 |
KR102163048B1 true KR102163048B1 (ko) | 2020-10-08 |
Family
ID=57205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61419A Active KR102163048B1 (ko) | 2015-04-30 | 2015-04-30 | 전력 증폭기 및 전력 증폭기의 전류 제한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735745B2 (ko) |
KR (1) | KR10216304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78143B1 (ko) | 2020-01-20 | 2025-03-06 | 삼성전기주식회사 | 전력 증폭기 및 전력 증폭 모듈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02294A1 (ja) * | 2013-07-05 | 2015-01-08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電力増幅モジュール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20290A (en) * | 1991-06-03 | 1993-06-15 | Motorola, Inc. | Power amplifier |
CA2238955A1 (en) * | 1998-05-26 | 1999-11-26 | Gyles Panther | Novel biasing scheme for gaasfet amplifier |
JP2004193846A (ja) * | 2002-12-10 | 2004-07-08 | Renesas Technology Corp | 高周波電力増幅用電子部品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
JP2005064658A (ja) | 2003-08-08 | 2005-03-10 | Mitsubishi Electric Corp | 電力増幅器用過出力電圧保護回路 |
US7304539B2 (en) * | 2003-10-16 | 2007-12-04 | Renesas Technology Corporation | High frequency power amplifier circuit and electronic component for high frequency power amplifier |
KR20060036550A (ko) * | 2004-10-26 | 2006-05-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력증폭기의 바이어스 제어 장치 및 방법 |
KR20060092702A (ko) * | 2005-02-18 | 2006-08-23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출력전력이 조정가능한 전력증폭모듈 |
JP2007116651A (ja) * | 2005-09-22 | 2007-05-10 | Renesas Technology Corp | 高周波電力増幅用電子部品および無線通信装置 |
JP4946728B2 (ja) | 2007-08-23 | 2012-06-06 | 三菱電機株式会社 | 電力増幅器 |
-
2015
- 2015-04-30 KR KR1020150061419A patent/KR102163048B1/ko active Active
-
2016
- 2016-03-16 US US15/071,599 patent/US9735745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02294A1 (ja) * | 2013-07-05 | 2015-01-08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電力増幅モジュール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9370A (ko) | 2016-11-09 |
US9735745B2 (en) | 2017-08-15 |
US20160322940A1 (en) | 2016-1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68387B1 (ko) | 적응형 다중밴드 바이어스 제어 회로 및 파워 증폭 장치 | |
US10171036B2 (en) | Power amplification circuit | |
US9742358B2 (en) | Power amplification circuit | |
CN108880489B (zh) | 功率放大电路 | |
US9722546B2 (en) | Bias circuit for low quiescent current amplifier | |
US9705452B2 (en) | Protection circuit for power amplifier | |
KR102178526B1 (ko) | 전력 증폭기 | |
US12199573B2 (en) | Power amplifier circuit | |
JP2018007029A (ja) | バイアス回路 | |
US10148226B2 (en) | Bias circuit | |
CN110034731B (zh) | 功率放大电路 | |
CN109768775B (zh) | 功率放大电路 | |
KR102163048B1 (ko) | 전력 증폭기 및 전력 증폭기의 전류 제한 방법 | |
JP7419656B2 (ja) | 電流制御回路及び電力増幅回路 | |
US12316289B2 (en) | Power amplifying circuit | |
CN104734647A (zh) | 一种放大器系统及设备 | |
JP2005217997A (ja) | 高周波増幅器 | |
US20160344357A1 (en) | Power control method of amplifying module | |
US20150311867A1 (en) | High-frequency amplifier circuit | |
JP2016116022A (ja) | 高出力増幅器 | |
JP5438523B2 (ja) | 高周波増幅器 | |
JP2022122807A (ja) | 電力増幅回路 | |
JP2005303401A (ja) | 高周波増幅器および高周波増幅装置 | |
JP2011040815A (ja) | 電力センサ回路、電力増幅器および出力電圧制御方法 | |
JP2012029202A (ja) | 増幅回路およびバイアス発生回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1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4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8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9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