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61506B1 -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506B1
KR102161506B1 KR1020190012453A KR20190012453A KR102161506B1 KR 102161506 B1 KR102161506 B1 KR 102161506B1 KR 1020190012453 A KR1020190012453 A KR 1020190012453A KR 20190012453 A KR20190012453 A KR 20190012453A KR 102161506 B1 KR102161506 B1 KR 102161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flow
flow meter
controller
display
contr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4968A (ko
Inventor
장정우
Original Assignee
장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정우 filed Critical 장정우
Priority to KR1020190012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506B1/ko
Publication of KR20200094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4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50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7/0605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olid materials
    • G05D7/0611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et value given to the control el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6Programming the PL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1/00Control of flow ratio
    • G05D11/02Controlling ratio of two or more flows of fluid or fluent material
    • G05D11/13Controlling ratio of two or more flows of fluid or fluent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11/135Controlling ratio of two or more flows of fluid or fluent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by sensing at least one property of the mixture
    • G05D11/137Controlling ratio of two or more flows of fluid or fluent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by sensing at least one property of the mixture by sensing the density of the mix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가 제공된다. 상기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는, 적어도 하나의 질량 유량계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PLC(Programming Logic Controller);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량 유량계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PLC의 제어에 따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량 유량계의 출력 값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유닛; 및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질량 유량계의 출력 값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Mass Flow Meter Controller}
본 발명은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질량 유량계를 제어하면서 동시에 각 질량 유량계로부터의 출력 값을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질량 유량계에 대한 제어를 보다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에 관한 발명이다.
유체의 온도 또는 압력이 크게 변화하는 조건에서는 유체의 밀도가 온도 또는 압력에 의해 변화하기 때문에 부피 유량을 측정하게 되면 정확도 측면에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게 되고, 따라서 필요한 경우에 온도 또는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보정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시스템을 오히려 복잡하게 만들면서 상당한 오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질량(mass)은 다른 물리량으로부터 측정 단위가 유도되지 않는 측정 기준으로서, 시간 등의 단위와 함께 모든 물리적인 측정의 기초를 이룬다. 질량 유량계(MFC/M; mass flow controller/meter)는 이러한 불변성의 질량을 측정함으로써 복잡한 계산을 필요로 하지 않고 유체 성질의 변화에 대한 보정 없이 직선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질량 유량계를 제어하기 위한 일반적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가 도 1a에 도시된다. 도 1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존의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는 전원 버튼, 비례 제어식 유량 제어 밸브 등이 표시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표시부에는 유량의 현재 유량 값(표시부 상측)과 설정 유량 값(표시부 하측)이 7-세그먼트(seven-segment) 디스플레이 형태로 구비될 뿐이며, 그에 따라 사용자에게 매우 제한적인 기능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그친다.
또한, 도 1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존의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를 활용하여 복수의 질량 유량계(2; 2-1, 2-2, … 2-N)를 제어하는 경우에 복수의 질량 유량계(2) 각각에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 1-1, 1-2, … 1-N)가 구비되어야만 했으며, 이는 질량 유량계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에 있어 상당한 비용 증가를 초래하였다. 또한, 기존의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를 활용하여 복수의 질량 유량계(2; 2-1, 2-2, … 2-N)를 제어하는 경우에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를 통해 사용자가 해당 채널 이외의 다른 채널의 출력 값을 동시에 확인할 수 없다는 제약이 있었다.
그러므로, 질량 유량계를 제어함에 있어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그리고 보다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질량 유량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복수의 질량 유량계를 제어하는 경우에도 제반 비용의 증가가 없이 복수의 질량 유량계의 동시 제어 및 출력 값 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타입의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에 관한 요구가 당업계에서 상당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질량 유량계의 출력 값 표시와 설정 값 제어 및 표시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보다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질량 유량계의 출력 값을 적산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누적된 출력 값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이후의 출력 값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질량 유량계를 동시 제어하면서 또한 그 출력 값을 함께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질량 유량계에 대한 사용자 제어를 보다 용이하게 하는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정 값 대비 출력 값의 오차가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알람을 제공함으로써 추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질량 유량계의 유량을 일시 정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일시 정지의 해제 시에 기존 설정 값으로 복귀하도록 함으로써 질량 유량계에 대한 사용자 제어 및 편의를 보다 개선하는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에서도 인증된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 등을 통해 질량 유량계를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는, 적어도 하나의 질량 유량계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PLC(Programming Logic Controller);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량 유량계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PLC의 제어에 따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량 유량계의 출력 값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유닛; 및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질량 유량계의 출력 값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량 유량계는 복수의 질량 유량계를 포함하고, 상기 PLC는 상기 복수의 질량 유량계를 동시에 제어하도록 추가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량 유량계와 디지털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지털 통신은 RS-485 기반의 병렬 통신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는,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질량 유량계의 출력 값을 적산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저장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적산 저장된 질량 유량계의 출력 값을 수치 및 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는, 시각적 알람 및 청각적 알람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알람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PLC는, 상기 질량 유량계의 출력 값이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알람 유닛을 활성화하도록 추가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장치에 내장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량 유량계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외부 PLC와의 연결을 위한 아날로그 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량 유량계의 동작 모드를 디지털 모드와 아날로그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모드 전환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모드 전환 수단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량 유량계가 상기 아날로그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외부 PLC에 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량 유량계의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복수의 질량 유량계 전체의 출력 값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복수의 질량 유량계 중 일부의 출력 값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질량 유량계 중 어느 하나의 출력 값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제어 시스템은, 상기의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 및 상기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에 의해 유량이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질량 유량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에 의하면, 질량 유량계의 출력 값 표시와 설정 값 제어 및 표시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보다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에 의하면, 질량 유량계의 출력 값을 적산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누적된 출력 값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이후의 출력 값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에 의하면, 복수의 질량 유량계를 동시 제어하면서 또한 그 출력 값을 함께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질량 유량계에 대한 사용자 제어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에 의하면, 설정 값 대비 출력 값의 오차가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알람을 제공함으로써 추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에 의하면, 질량 유량계의 유량을 일시 정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일시 정지의 해제 시에 기존 설정 값으로 복귀하도록 함으로써 질량 유량계에 대한 사용자 제어 및 편의를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에 의하면, 외부에서도 인증된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 등을 통해 질량 유량계를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a 및 도 1b는 기존의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의 개략적인 제품 외형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되는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를 포함하는 질량 유량계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의 다-채널 디스플레이 중에서 2-채널 및 4-채널 동시 디스플레이를 각각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의 특정 채널의 세부 디스플레이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의 알람 동작을 활성화하기 위한 오차 범위 및 오차 딜레이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의 개략적인 제품 외형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되는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를 포함하는 질량 유량계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가 설정 유량 값과 현재 유량 값을 7-세그먼트의 매우 단순한 디스플레이 형태로만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에 그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도 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는 장치의 전면부에 터치스크린 패널(TSP; touch screen panel)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유닛(12)이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2)을 통해 사용자는 이하의 도 3 내지 도 5에서 예시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질량 유량계(20)의 출력 값을 보다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질량 유량계(20)에 대한 다양한 제어 동작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의 동작, 기능, 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는 PLC(Programming Logic Controller, 11)와, 디스플레이 유닛(12)과, 통신 유닛(13)과, 저장 유닛(14)과, 알람 유닛(15)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b에 제시되는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의 엘리먼트(11, 12, 13, 14, 15)는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의 동작, 기능 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엘리먼트에 불과하며, 따라서 추가의 엘리먼트(예를 들어, 입력 유닛, 전원 유닛, 등)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질량 유량계(MFM; mass flow meter, 20)는 유체의 체적(volume) 유량이 아닌 질량(mass) 유량을 측정하는 방식의 유량계로서, 크게 질량 유량에 비례하는 양을 검출하는 방식의 직접형 질량 유량계와, 체적 유량계 및 밀도계를 조합하여 질량 유량을 측정하는 방식의 간접형 질량 유량계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접형 질량 유량계에는 열식 질량 유량계, 차압식 질량 유량계, 코리올리 질량 유량계, 각운동량식 질량 유량계, 자이로식 질량 유량계, 터빈 질량 유량계, 등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20)는 액체용 질량 유량계 및 기체용 질량 유량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는 액체용 질량 유량계뿐만 아니라 기체용 질량 유량계를 또한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20)는 디지털 모드 또는 아날로그 모드로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고, 디지털 모드와 아날로그 모드 사이에서 동작 모드가 전환될 수 있으며, 그러한 동작 모드의 전환은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질량 유량계(20)의 동작 모드 전환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PLC(11)는 적어도 하나의 질량 유량계(20)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PLC(11)는 프로그램 가능 로직 제어기로서 지칭될 수도 있으며, 기존의 각종 릴레이(relay), 타이머(timer), 카운터(counter) 등의 기능을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프로그램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통합한 장치에 해당한다. PLC(11)는 시퀀스 제어뿐만 아니라 산술 연산, 논리 연산, 함수 연산, 조절 연산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고, 기존의 릴레이에 비해 제어 기능의 신뢰성이 뛰어나며, 제어 내용을 용이하게 수정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에 따라 복잡한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통신 유닛(13)은 적어도 하나의 질량 유량계(2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어, PLC(110)의 제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질량 유량계(20)의 출력 값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PLC(11)는 통신 유닛(13)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질량 유량계(20)로부터, 보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질량 유량계(20)로부터 출력 값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2)에 표시하면서, 또한 복수의 질량 유량계(20)를 동시에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유닛(13)은 적어도 하나의 질량 유량계(20)와 디지털 통신(digital communication)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통신은 RS-485 기반의 모드버스(Modbus) RTU 프로토콜을 활용한 병렬 통신으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PLC(11)는 통신 유닛(13)에서 지원하는 RS-485 기반의 모드버스 RTU 프로토콜을 활용한 병렬 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질량 유량계(20)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참고로, 모드버스 RTU 통신의 경우 RS-485의 인터페이스, 9,600bps의 전송 속도, 1(start bit)-8(data bits)-1(stop bit)의 데이터 형식, 반 이중 비동기의 전송 방식, CRC(cyclic redundancy check) 에러 검출, 등의 사양을 갖는다. 또한, 모드버스 RTU 프로토콜의 경우 마스터(master)/슬레이브(slave) 구조로서 마스터는 슬레이브에 요청을 할 수 있고, 슬레이브는 마스터로부터의 요청에 대해서 응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는 모드버스 RTU 디지털 통신 방식을 활용함으로써 질량 유량계(20)의 제어 범위를 1% 내지 100%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 제어의 값이 2% 내지 100%인 것과 비교하여 제어 하한을 보다 1% 더 낮춤으로써 전체 제어 가능 범위를 보다 확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참고로,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는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와 질량 유량계(20) 사이의 디지털 통신으로서 RS-485 모드버스 RTU 통신을 예시적으로 기술하고 있지만, 그 이외의 다른 추가적인 방식의 디지털 통신이 또한 구현 가능할 것이며, PLC(11)는 다양한 질량 유량계(20)가 갖는 그러한 다른 방식의 추가적인 디지털 통신을 또한 지원하도록 추가로 프로그래밍 또는 매칭될 수 있다.
추가로,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가 질량 유량계(20)와 접속되어 상기 질량 유량계(20)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는 PLC(11) 기반으로 구현되므로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 압력계, 레귤레이터(regulator) 등의 다른 장치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유닛(13)은 복수의 질량 유량계(20)와 동시에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PLC(11)는 상기 복수의 질량 유량계(20)를 동시에 제어하도록 추가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존의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가 단지 하나의 질량 유량계(2)와 아날로그 방식으로 결합되어 단지 하나의 질량 유량계(2)만을 제어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는 동시에 복수의 질량 유량계(20; 20-1, 20-2, … 20-M, 여기서 M은 2 이상의 자연수)와 통신하면서 PLC(11)를 통해 복수의 질량 유량계(2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유닛(12)을 통해 복수의 질량 유량계(20)의 출력 값을 표시할 수 있고, 저장 유닛(14)을 통해 복수의 질량 유량계(20)로부터의 출력 값을 저장할 수 있으며, 알람 유닛(15)을 통해 복수의 질량 유량계(20) 각각의 이상 동작에 관한 알람을 표시할 수 있다.
참고로,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와 복수의 질량 유량계(20) 각각 사이의 통신 가능한 결합을 ‘채널(channel)’의 용어로 지칭하기로 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는 다-채널(multi-channel) 통신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러한 다-채널의 개수는 2채널, 3채널, 4채널 … 등일 수 있다.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서 2-채널 방식(예를 들어, 도 3a 참조)과 4-채널 방식(예를 들어, 도 3b 참조)을 예시적으로 기술하고 있으나, 다-채널의 채널 개수는 다양한 구현예 또는 실시예에 따라 변화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디스플레이 유닛(12)은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 전면부에 터치스크린 패널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유닛(12)은 터치 감지 방식에 따라 정전용량방식 터치스크린, 표면초음파방식 터치스크린, 초음파방식 터치스크린, 저항막방식(감압방식) 터치스크린, 적외선방식 터치스크린,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12)은 이러한 다양한 타입의 터치스크린 중 어느 하나의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a에도 예시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12)은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의 경사 전면부의 거의 전체를 커버하는 크기로 구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에게 보다 시각적으로 유리한 표시 및 제어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는 동시에 복수의 질량 유량계(20)의 출력 값을 표시 및 제어할 수 있는데, 여기서 디스플레이 유닛(12)을 통해서 복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의 그래프가 표시될 수 있거나, 복수의 채널 중 일부의 채널의 그래프가 표시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채널 모두의 그래프가 표시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3에서 다시 기술하기로 한다.
저장 유닛(14)은 통신 유닛(13)을 통해 수신되는 질량 유량계(20)의 출력 값을 적산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기존의 일반적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는 질량 유량계(2)로부터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단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는 내부에 구비되는 저장 유닛(14)을 통해 질량 유량계(20)의 기능, 동작, 등에 관한 다양한 값(예를 들어, 출력 값, 등)을 적산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유닛(14)의 적산 저장 동작에 대응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12)은 적산 저장된 질량 유량계(20)의 출력 값을 수치 및/또는 그래프로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저장 유닛(14)에는 질량 유량계(20)에 관한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에는 소정의 컨텐츠, 사용자 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저장 유닛(14)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HDD(Hard Disk Drive),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CF(Compact Flash)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SM(Smart Media) 카드, MMC(Multimedia)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저장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외부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가 복수의 질량 유량계(20)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유닛(14)은 복수의 채널 각각의 데이터를 별개로 적산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다른 채널 데이터와의 혼동, 혼용 등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 내부에 저장 유닛(14)이 구비되고 그러한 저장 유닛(14)에 질량 유량계(20)로부터의 출력 값 등의 데이터가 적산 저장되는 실시예에 추가적으로 및/또는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는 외부 메모리 장치(예를 들어, USB 메모리, 등)와의 연결을 위한 포트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그러한 포트를 통해 질량 유량계(20)로부터의 출력 값, 등이 상기 외부 메모리 장치에 실시간으로 적산 저장되도록 본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는 디스플레이 유닛(12)을 통해 각 채널 데이터의 적산 동작을 온/오프하는 인터페이스, 적산 동작을 리셋(reset)하는 인터페이스, 현재까지 적산된 데이터의 값을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채널에서의 유량 값에 관한 누적 동작을 활성화/비활성화할 수 있고, 누적 값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누적 값을 리셋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는 각 질량 유량계(20)로부터의 출력 값 등을 적산 저장함으로써, 해당 채널에서의 이후의 출력 값을 보다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도록 하고, 시간에 따른 유량 값의 변화를 그래프 등의 형태로서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알람 유닛(15)은 질량 유량계(20)의 유량 값 등이 이상 범위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그러한 이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유닛으로서, 시각적 알람(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유닛(12)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이상 문구, 깜빡임 등을 표시) 및/또는 청각적 알람(예를 들어,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에 구비된 스피커 수단 등을 통해 미리 저장된 사운드를 출력)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LC(11)는 질량 유량계(20)의 출력 값이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 알람 유닛(15)을 활성화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는 2%, 3% 등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거나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의 제작 시에 특정 수치에 디폴트로 설정될 수 있으며, PLC(11)는 질량 유량계(20)의 출력 값이 2%, 3%, 등의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 알람 유닛(15)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활성화된 알람 유닛(15)에 의해 시각적인 알람 및/또는 청각적인 알람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채널의 유량 값에 이상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특정 채널의 현재 출력 값을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와 비교하는 본 실시예에 더하여,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알람 유닛(15)을 활성화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으로서 오차 딜레이를 추가로 고려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LC(11)는 질량 유량계(20)의 출력 값이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예를 들어, 2%, 3%, 등)를 초과하면서 동시에 오차의 지속 시간이 미리 설정된 오차 딜레이(예를 들어, 3초, 5초, 등)를 충족하는 경우에 알람 유닛(15)을 활성화하도록 추가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일시적인 환경적 원인으로 상당히 짧은 시간 동안에만 질량 유량계(20)의 출력 값이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알람 유닛(15)의 활성화를 배제하도록 함으로써 질량 유량계(20)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편의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추가로, 도 2a 및 도 2b에는 명시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는 아날로그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아날로그 포트를 통해서 외부 장치에 내장되어 적어도 하나의 질량 유량계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외부 PLC와 연결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가 아닌 외부 장치(예를 들어, 관제실 제어, 등)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질량 유량계(20)의 제어를 구현할 수도 있고, 이를 위해 외부 PLC가 내장된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해 아날로그 포트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에 의한 질량 유량계(20)의 제어 시에 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는 질량 유량계(20)로부터의 출력 값을 표시하는 기능, 등 제한적인 동작만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는 적어도 하나의 질량 유량계(20)의 동작 모드를 디지털 모드와 아날로그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모드 전환 수단(58, 도 4 참조)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모드 전환 수단(58)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질량 유량계(20)가 아날로그 모드로 전환될 때에 외부 PLC에 의한 질량 유량계(20)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참고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기존의 질량 유량계(2)는 동작 모드의 변경을 위해서 질량 유량계(2)의 외측 적어도 일부 영역에 구비된 버튼을 눌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는 디스플레이 유닛(12)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제공되는 모드 전환 수단(58)을 단순히 터치함으로써 질량 유량계(20)의 동작 모드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질량 유량계(20) 제어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인증 절차를 통해서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가 사용자 단말(미도시)과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인증된 사용자(예를 들어, 감독 책임자, 등)는 외부에서도 사용자 단말 등의 장치를 통해서 복수의 질량 유량계(20)의 현재 상태를 용이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원격으로 질량 유량계(20)를 제어할 수 있도록 본 질량 유량계 제어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의 다-채널 디스플레이 중에서 2-채널 및 4-채널 동시 디스플레이를 각각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는 복수의 질량 유량계(20)와 통신하면서 동시에 복수의 질량 유량계(20)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유닛(12)을 통해 다-채널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고, 그러한 다-채널 디스플레이의 예가 도 3a 및 도 3b에 각각 도시된다.
도 3a의 2-채널 디스플레이 방식 및 도 3b의 4-채널 디스플레이 방식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의 디스플레이 유닛(12)은 현재의 시각 정보뿐만 아니라 복수 채널 각각의 유량 정보(예를 들어, 현재 값, 설정 값, 퍼센트,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각 채널의 유량 정보로서 최대 유량 값, 현재 유량 값, 설정 유량 값, 퍼센트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또는 구현예에 따라 표시되는 각 채널의 유량 정보는 더 추가되거나 변경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여기서, 항목 ‘퍼센트’는 해당 채널의 최대 유량 값 대비 설정 유량 값을 나타내는 수치로서 사용자가 설정 값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퍼센트가 계산되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되는 예에서 채널1(#1)의 최대 유량 값은 20 ln/min이고 사용자가 설정 값을 8.00으로 입력하면 퍼센트는 8 / 20 * 100 = 40.0%로 자동으로 계산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자동 계산 및 표시는 PLC(1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해당 채널(#1)에서 사용자가 설정 값을 10.00으로 수정 입력하면 퍼센트는 50.0%으로 수정되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의 설정 값 입력에 대응하여 퍼센트가 자동 계산 및 표시되는 실시예에 대안적으로, 사용자가 퍼센트 항목을 먼저 입력하는 경우에 그에 따른 설정 값이 자동으로 계산되어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것도 또한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되는 예에서 채널2(#2)의 설정 값으로 사용자가 3.00을 입력하면 최대 유량 값 대비 설정 값의 비율인 퍼센트 3.00 / 10.00 * 100 = 30.0%가 자동으로 계산되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자동 계산 및 표시는 PLC(1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의 특정 채널의 세부 디스플레이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채널 통신으로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가 복수의 질량 유량계(20)로부터의 출력 값을 표시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UI 변경 메뉴(63)를 통해 특정 채널의 세부 디스플레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참고로, 도 4에 도시되는 UI 변경 메뉴(63)를 통해 복수의 질량 유량계(20) 모두를 디스플레이하는 항목(예를 들어, ‘메인’ 항목), 복수의 질량 유량계(20) 각각의 세부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항목(예를 들어, ‘MFC#1’, ‘MFC#2’), 오차/오차 딜레이 등의 설정을 위한 항목(예를 들어, ‘설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 및 도 5에도 예시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UI 변경 메뉴(63)를 통해 현재 실행되는 항목은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질량 유량계(20)의 세부 제어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질량 유량계 넘버(51)와 그 시리얼 넘버(52)가 상부 좌측 영역에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해당 채널의 유량 현재 값(53), 설정 값(54) 및 퍼센트(55)가 순차로 표시될 수 있으며, 적산 항목(56)에는 적산 온/오프(56-1), 적산 리셋(56-2), 적산 값 표시(56-3) 항목이 제공될 수 있다.
추가로, 해당 채널의 유량을 일시 정지할 수 있는 일시정지항목(57)이 더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일시정지항목(57)을 활성화함으로써(예를 들어, 클릭함으로써) 질량 유량계(20)의 유량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일시정지항목(57)을 활성화 해제함으로써(예를 들어, 다시 클릭함으로써) 질량 유량계(20)의 유량을 특정 값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여기서 특정 값은 일시정지 이전의 설정 값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질량 유량계(20)의 배치 환경에서 질량 유량계(20)의 이상을 발견한 경우 사용자는 간단히 일시정지항목(57)을 클릭함으로써 질량 유량계(20)의 동작을 일시 정지하여 장치의 이상 유무를 체크할 수 있다.
추가로, 해당 채널에 대응하는 질량 유량계(20)의 동작 모드를 디지털 모드 또는 아날로그 모드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 전환 수단(58)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모드 전환 수단(58)을 활성화함으로써(예를 들어, 클릭함으로써) 질량 유량계(2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에 내장된 외부 PLC에 의해서 질량 유량계(20)의 제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모드 전환 수단(58)에 의해서 질량 유량계(20)의 동작 모드를 아날로그 동작 모드로 전환하고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에 추가 구비된 아날로그 포트를 통해 그러한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야 함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추가로, 각 채널의 세부 제어 디스플레이에는 시간에 따른 유량 값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그래프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러한 그래프의 상측에는 유량 대상물(59), 유량 최대 값 및 단위(60, 61)가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그래프의 하측에는 그래프를 앞으로 이동시키거나, 일시 정지시키거나 또는 뒤로 이동시키는 버튼이 제공될 수 있고, 그래프의 크기를 축소/확대하는 버튼, 그래프를 시간으로 축소/확대하는 버튼, 등이 추가로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10)의 알람 동작을 활성화하기 위한 오차 범위 및 오차 딜레이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LC(11)는 질량 유량계(20)의 출력 값이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예를 들어, 2%, 3%, 등)를 초과하는 경우, 또는 질량 유량계(20)의 출력 값이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서 동시에 오차 딜레이가 미리 설정된 값(예를 들어, 3s, 5s, 등)을 초과하는 경우에 알람 유닛(15)을 활성화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으며, PLC(11)에 의한 제어에 따라 알람 유닛(15)은 시각적 알람 및/또는 청각적 알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질량 유량계(20)의 동작/기능 이상을 보다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관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에 의하면, 질량 유량계의 출력 값 표시와 설정 값 제어 및 표시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보다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에 의하면, 질량 유량계의 출력 값을 적산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누적된 출력 값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이후의 출력 값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에 의하면, 복수의 질량 유량계를 동시 제어하면서 또한 그 출력 값을 함께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질량 유량계에 대한 사용자 제어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에 의하면, 설정 값 대비 출력 값의 오차가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알람을 제공함으로써 추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에 의하면, 질량 유량계의 유량을 일시 정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일시 정지의 해제 시에 기존 설정 값으로 복귀하도록 함으로써 질량 유량계에 대한 사용자 제어 및 편의를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에 의하면, 외부에서도 인증된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 등을 통해 질량 유량계를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되거나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컨대, 명령들이 실행될 때 방법을 수행하게끔 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지원하도록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서 또는 개별 디바이스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부"로 기재된 구성요소들, 유닛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등은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유닛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특징들의 묘사는 서로 다른 기능적 실시예들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이들이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되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관련된 기능은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통의 또는 개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
11: PLC
12: 디스플레이 유닛
13: 통신 유닛
14: 저장 유닛
15: 알람 유닛
20: 질량 유량계

Claims (10)

  1.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로서,
    적어도 하나의 질량 유량계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PLC(Programming Logic Controller);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량 유량계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PLC의 제어에 따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량 유량계의 출력 값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유닛;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질량 유량계의 출력 값을 디스플레이하되, 터치스크린 패널의 형태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질량 유량계의 출력 값이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면서 오차의 지속 시간이 미리 결정된 오차 딜레이를 충족하는 경우에 활성화되도록 구성되는 알람 유닛; 및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질량 유량계의 출력 값을 복수의 질량 유량계에 대해 각각 별개로 적산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저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상기 저장 유닛에의 적산 저장을 리셋하기 위한 적산 리셋 항목 및 상기 질량 유량계의 동작 모드를 디지털 모드와 아날로그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한 모드 전환 수단이 터치 방식으로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상기 질량 유량계의 최대 유량 값 대비 설정 유량 값을 나타내는 퍼센트가 표시되되, 상기 PLC는 입력되는 설정 유량 값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퍼센트를 계산하여 표시하도록 추가로 프로그래밍되는,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량 유량계는 복수의 질량 유량계를 포함하고, 상기 PLC는 상기 복수의 질량 유량계를 동시에 제어하도록 추가로 프로그래밍되는,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량 유량계와 디지털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통신은 RS-485 기반의 병렬 통신으로 구현되는,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적산 저장된 질량 유량계의 출력 값을 수치 및 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유닛은, 시각적 알람 및 청각적 알람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
  7.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장치에 내장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량 유량계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외부 PLC와의 연결을 위한 아날로그 포트를 더 포함하는,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 수단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량 유량계가 상기 아날로그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외부 PLC에 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량 유량계의 제어가 가능한,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복수의 질량 유량계 전체의 출력 값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복수의 질량 유량계 중 일부의 출력 값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질량 유량계 중 어느 하나의 출력 값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 및
    상기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에 의해 유량이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질량 유량계를 포함하는,
    질량 유량계 제어 시스템.
KR1020190012453A 2019-01-31 2019-01-31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 Active KR102161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453A KR102161506B1 (ko) 2019-01-31 2019-01-31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453A KR102161506B1 (ko) 2019-01-31 2019-01-31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968A KR20200094968A (ko) 2020-08-10
KR102161506B1 true KR102161506B1 (ko) 2020-10-05

Family

ID=72049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453A Active KR102161506B1 (ko) 2019-01-31 2019-01-31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5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19919A (zh) * 2022-04-08 2022-07-08 南京大学 一种食用油脂计量检测方法与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7074A (ja) * 2007-02-16 2008-08-28 Almex Koosei Kk 流量監視システム
JP2009115808A (ja) * 2008-12-18 2009-05-28 Yamatake Corp 流量計測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7074A (ja) * 2007-02-16 2008-08-28 Almex Koosei Kk 流量監視システム
JP2009115808A (ja) * 2008-12-18 2009-05-28 Yamatake Corp 流量計測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968A (ko) 2020-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9576B1 (en) Automatic fluid flow shut-off device
US67755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medical device
US7872201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gramming a weighing scale using a key signal to enter a programming mode
KR102721723B1 (ko) 프로그래밍가능한 논리 제어기 기반 시스템 및 제어된 환경에서 공기를 샘플링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CN103324483B (zh) 智能终端的应用显示隐藏的方法和装置
KR102161506B1 (ko)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
JP7202144B2 (ja) ポンプ装置、ポンプ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JP5162766B2 (ja) ガスメータ
EA013388B1 (ru) Программируемое электронное реле давления с дисплеем
KR102226341B1 (ko) 질량 유량계 컨트롤러
KR101216741B1 (ko) 양방향 문자 경보시스템
CN212206156U (zh) 变送器系统
EP3179218B1 (en) Equipment for controlling, measuring and communicating a physical quantity of a container containing a fluid under pressure
CN202853672U (zh) 流量计
EP3639128A1 (en) Field device interfaces in industrial control systems
JP4794831B2 (ja) ガスメータ
CN206292290U (zh) 电压监测装置
JP2009068956A (ja) 流量計測装置、流量計測システム、及び流量計測方法
JP5652650B2 (ja) 差圧伝送器
CN104810783A (zh) 模拟电流输出模块
JP4659400B2 (ja) ガスメータ
KR102363253B1 (ko) 휴대용 계량자료 설정장치 그 설정방법
KR101621965B1 (ko) 보일러의 제어 데이터 학습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020535B1 (ko) 압력전송기의 설정을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방법
KR101824024B1 (ko)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변속 유체 커플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9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