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289B1 - 외장 배터리 - Google Patents
외장 배터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61289B1 KR102161289B1 KR1020130051300A KR20130051300A KR102161289B1 KR 102161289 B1 KR102161289 B1 KR 102161289B1 KR 1020130051300 A KR1020130051300 A KR 1020130051300A KR 20130051300 A KR20130051300 A KR 20130051300A KR 102161289 B1 KR102161289 B1 KR 1021612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e cell
- voltage
- mcu
- output
- curr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90 polydopa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batteries; for 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4—Overcurrent protec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6—Overdischarge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이차전지에서의 PCM의 구조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배터리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장 배터리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303: 입력단 305: 충전부
307: 베어셀 309: DC-DC 변환부
311: 출력단 313: 표시부
321: 제1 스위치 323: 제2 스위치
331: 전압 센싱부 333, 433: 전류 센싱부
Claims (12)
- 일단의 입력단과 타단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베어셀;
충전기로부터 입력단에 공급된 외부 전원을 상기 베어셀에 공급하는 충전부;
상기 베어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다른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외부 기기가 연결된 출력단으로 전달하는 DC-DC 변환부;
상기 베어셀의 출력 전압 및 상기 베어셀의 출력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베어셀의 과충전, 과방전 및 방전 과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MCU(Main Controller Unit);
상기 MCU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충전부와 상기 입력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베어셀과 상기 DC-DC 변환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MCU는,
i) 상기 베어셀의 출력 전압이 과충전 방지 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제1 스위치를 오프시켜 상기 외부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거나,
ii) 상기 베어셀의 출력 전압이 과방전 방지 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제2 스위치를 오프시켜 상기 베어셀의 출력 전류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배터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출력 전압을 센싱하여 상기 MCU로 전달하는 전압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배터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센싱되는 출력 전압이 과충전 방지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제1 스위치를 오프시켜 상기 외부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배터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센싱되는 출력 전압이 과방전 방지 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제2 스위치를 오프시켜 상기 베어셀의 출력 전류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배터리.
-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되는 출력 전압이 상기 과충전 방지 전압 이하로 떨어지거나, 상기 과방전 방지 전압 이상으로 올라가면 상기 제1 스위치 또는 상기 제2 스위치를 온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배터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셀과 상기 DC-DC 변환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어셀의 출력 전류를 센싱하여 상기 MCU로 전달하는 전류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배터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C-DC 변환부 및 상기 출력단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DC-DC 변환부 출력 전류를 센싱하여 상기 MCU로 전달하는 전류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배터리.
-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센싱부는 전류검출저항(Current Shunt Resis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배터리.
-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센싱되는 베어셀의 출력 전류 또는 DC-DC 변환부의 출력 전류가 방전 과전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제2 스위치를 오프시켜 상기 베어셀의 출력 전류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배터리.
-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센싱되는 베어셀의 출력 전류 또는 DC-DC 변환부의 출력 전류가 방전 과전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제2 스위치를 온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배터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입력단의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단에 연결된 충전기의 사양을 확인하고, 상기 충전기의 사양에 따른 최대충전전류를 상기 베어셀에 공급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배터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셀의 용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MCU는 상기 베어셀의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배터리.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1300A KR102161289B1 (ko) | 2013-05-07 | 2013-05-07 | 외장 배터리 |
US14/255,950 US9385544B2 (en) | 2013-05-07 | 2014-04-17 | External batte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1300A KR102161289B1 (ko) | 2013-05-07 | 2013-05-07 | 외장 배터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2160A KR20140132160A (ko) | 2014-11-17 |
KR102161289B1 true KR102161289B1 (ko) | 2020-09-29 |
Family
ID=51864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51300A Active KR102161289B1 (ko) | 2013-05-07 | 2013-05-07 | 외장 배터리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385544B2 (ko) |
KR (1) | KR10216128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761913B2 (en) * | 2015-08-26 | 2017-09-12 | Solarcity Corporation | High efficiency high voltage battery pack for onsite power generation systems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30017263A (ko) * | 1992-01-22 | 1993-08-30 | 이헌조 | 충전용 배터리의 자동 충방전 회로 |
KR200269832Y1 (ko) * | 2001-12-28 | 2002-03-23 | (주)에스피에스 | 스마트 기능을 가지는 외장형 배터리팩 |
JP4059838B2 (ja) * | 2003-11-14 | 2008-03-12 | ソニー株式会社 | バッテリパック、バッテリ保護処理装置、およびバッテリ保護処理装置の制御方法 |
WO2005120160A2 (en) * | 2004-06-10 | 2005-12-22 | Sendyne Corporation | External versatile battery with power saving mode |
KR20060022722A (ko) * | 2006-02-10 | 2006-03-10 | (주)베이온 | 휴대단말기용 외장형 배터리팩 |
KR100781792B1 (ko) | 2006-02-10 | 2007-12-04 | (주)배터릭스 | 2차전지 잔량 측정용 집적회로 |
KR20070088991A (ko) | 2006-02-27 | 2007-08-3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Pcm이 장착되지 않은 안전한 이차전지 |
US8319471B2 (en) * | 2006-12-06 | 2012-11-27 | Solaredge, Ltd. | Battery power delivery module |
KR20110019970A (ko) | 2009-08-21 | 2011-03-02 | 주식회사 레오모터스 | 배터리의 과충전 또는 과방전을 방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 |
KR101667707B1 (ko) * | 2009-10-22 | 2016-10-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의 usb전용 충전기 판별방법 |
-
2013
- 2013-05-07 KR KR1020130051300A patent/KR102161289B1/ko active Active
-
2014
- 2014-04-17 US US14/255,950 patent/US9385544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2160A (ko) | 2014-11-17 |
US20140333251A1 (en) | 2014-11-13 |
US9385544B2 (en) | 2016-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75393B1 (ko) | 외장 배터리 | |
EP2528155B1 (en) | Battery pack | |
KR101097262B1 (ko) | 배터리 팩, 이의 충전방법 | |
KR102028170B1 (ko) | 셀 밸런싱 회로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 |
US9537331B2 (en) | Battery pack | |
JP5100736B2 (ja) | 二次電池 | |
KR101182890B1 (ko) | 배터리 팩 충전 제어 시스템 | |
US9643506B2 (en) | Portable backup charger | |
US9018906B2 (en) | Battery pack | |
KR101193170B1 (ko) |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방법 | |
US20090009138A1 (en) | Over-voltage protected battery charger with bypass | |
KR20130066462A (ko) | 배터리 팩의 보호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 |
US20240305124A1 (en) | Battery pack | |
KR20150107032A (ko) | 배터리 팩 | |
EP3928409A1 (en) | Reverse polarity protected battery module | |
KR102161289B1 (ko) | 외장 배터리 | |
EP2221940B1 (en) | Self-discharge circuit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
US9768633B2 (en) | External battery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101973049B1 (ko) | 외장 배터리 | |
JP2010011574A (ja) | 充放電制御回路 | |
US20150263562A1 (en) | External battery | |
EP4568056A1 (en) | Battery pack group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200310501Y1 (ko) | 대용량 슬림형 전자기기용 배터리 충전 겸용 보조 전원장치 | |
KR20140127484A (ko) | 배터리팩을 이용한 에너지 저장장치 | |
KR20160143290A (ko) | 배터리 팩 및 이를 이용한 구동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4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5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9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