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052B1 - 영상에서 객체를 분리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에서 객체를 분리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61052B1 KR102161052B1 KR1020130101999A KR20130101999A KR102161052B1 KR 102161052 B1 KR102161052 B1 KR 102161052B1 KR 1020130101999 A KR1020130101999 A KR 1020130101999A KR 20130101999 A KR20130101999 A KR 20130101999A KR 102161052 B1 KR102161052 B1 KR 1021610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information
- pixels
- model
- are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62—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graph-based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94—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foreground-background segment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72—Graph-based image proces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92—Interactive image processing based on input by us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92—Interactive image processing based on input by user
- G06T2207/20101—Interactive definition of point of interest, landmark or see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112—Image segmentation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a 내지 도 2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생성부가 제 2 영상을 생성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부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부가 동작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를 분리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객체에 존재하는 결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부가 가중치 λ를 최적화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10: 인터페이스부
120: 영상 생성부
130: 분리부
Claims (42)
- 객체를 포함하는 제 1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 영상 내의 소정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영상을 전경 영역, 전경 가능성이 있는 영역, 배경 영역, 배경 가능성이 있는 영역, 및 어느 영역인지 알 수 없는 영역들로 구분하는 단계;
사용자의 추가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구분된 각각의 영역들을 보정함으로써 제 2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영상 및 상기 제 2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영상에서 상기 객체를 분리(segmentation)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에서 객체를 분리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를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의 컬러 정보 및 상기 제 2 영상에 포함된 상기 영역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영상에서 상기 객체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갱신된 상기 영역들의 정보 및 상기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하는 단계를 소정의 횟수만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컬러 정보 및 상기 영역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전경(foreground) 모델 및 배경(background)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 간의 유사도를 나타내는 데이터 항(data term) 및 이웃하는 픽셀 간의 유사도를 나타내는 스무드 항(smoothness term)을 조합하여 상기 제 1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의 에너지 함수를 나타내는 그래프(graph)를 구성(construction)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그래프에 그래프 컷(graph cut)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제 1 영상에서 상기 객체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분리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영상에 포함된 상기 영역들의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컬러 정보 및 상기 갱신된 영역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기 생성된 전경 모델 및 기 생성된 배경 모델을 갱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 간의 유사도를 나타내는 데이터 항 및 이웃하는 픽셀 간의 유사도를 나타내는 스무드 항을 조합하여 상기 제 1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의 에너지 함수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재구성(reconstruction)하는 단계; 및
상기 재구성된 그래프에 그래프 컷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분리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경 영역 내의 소정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형상 사전 정보(shape prior)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형상 사전 정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 1 영상에서 상기 객체를 분리하는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경 영역에 포함된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픽셀들 중 최초로 선택된 픽셀로부터 상기 객체를 나타내는 픽셀들의 가시성(visibility)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가시성을 이용하여 상기 형상 사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형상 사전 정보를 더 포함하여 상기 분리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객체를 나타내는 영역과 상기 분리된 객체를 포함하지 않는 영역이 구별된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객체를 포함하지 않는 영역을 나타내는 픽셀들에 소정의 효과를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객체를 나타내는 영역과 상기 효과가 적용된 영역이 포함된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효과는 배경 열화(background blur), 움직임 열화(motion blur), 모서리 필터(edge filter), 배경 스워핑(backgound swapping), 흑백 배경(black and white background) 처리 중 어느 하나인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는 폐 루프(closed loop)에 대응하는 신호, 스트로크(stroke)에 대응하는 신호 및 상기 제 1 영상 내의 소정의 위치를 지정하는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영상 내의 소정의 위치에 폐 루프를 그리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이고,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 중 상기 폐 루프의 궤적에 대응하는 픽셀들을 선택하는 단계인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영상 내의 소정의 위치에 스트로크를 그리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이고,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 중 상기 스트로크의 궤적에 대응하는 픽셀들을 선택하는 단계인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영상 내에 소정의 위치를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이고,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 중 상기 지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픽셀을 선택하는 단계인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제 1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제 1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신호는 사용자가 입력한 폐 루프에 대응하는 신호, 스트로크(stroke)에 대응하는 신호 및 상기 제 1 영상 내의 소정의 위치를 지정하는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횟수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영상을 반복하여 보정하는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항과 상기 스무드 항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나타내는 가중치를 더 포함하여 상기 그래프를 구성하고,
상기 가중치는 적어도 2 이상의 후보 가중치들을 이용하여 결정되는 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상기 제 1 영상에서 상기 객체를 분리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경 모델 및 상기 배경 모델 각각에 대하여 적색 컬러 모델, 녹색 컬러 모델 및 청색 컬러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경 모델 및 상기 배경 모델 각각에 대하여 그레이 스케일 강도(gray scale intensity), 제 1 텍스쳐(texture) 파라미터 및 제 2 텍스쳐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가우시안 혼합 모델(Gaussian mixture model, GMM)을 이용하여 상기 전경 모델 및 상기 배경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가우시안 혼합 모델에 포함된 가우시안의 개수는 상기 제 1 영상에 대응하여 적응적으로 결정되는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객체를 포함하는 제 1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제 1 영상 내의 소정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영상을 전경 영역, 전경 가능성이 있는 영역, 배경 영역, 배경 가능성이 있는 영역, 및 어느 영역인지 알 수 없는 영역들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각각의 영역들을 사용자의 추가 입력에 기초하여 보정함으로써 제 2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 및
상기 제 1 영상 및 상기 제 2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영상에서 상기 객체를 분리(segmentation)하는 분리부;를 포함하는 영상에서 객체를 분리하는 장치. -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제 1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의 컬러 정보 및 상기 제 2 영상에 포함된 상기 영역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영상에서 상기 객체를 분리하는 전처리부;
상기 분리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갱신된 상기 영역들의 정보 및 상기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는 갱신부; 및
상기 갱신부의 동작을 소정의 횟수만큼 반복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 -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상기 컬러 정보 및 상기 영역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전경(foreground) 모델 및 배경(background)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 간의 유사도를 나타내는 데이터 항(data term) 및 이웃하는 픽셀 간의 유사도를 나타내는 스무드 항(smoothness term)을 조합하여 상기 제 1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에 대한 에너지 함수를 나타내는 그래프(graph)를 구성(construction)하고,
상기 구성된 그래프에 그래프 컷(graph cut)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제 1 영상에서 상기 객체를 분리하는 장치. -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부는
상기 분리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영상에 포함된 상기 영역들의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컬러 정보 및 상기 갱신된 영역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기 생성된 전경 모델 및 배경 모델을 갱신하고,
상기 제 1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 간의 유사도를 나타내는 데이터 항 및 이웃하는 픽셀 간의 유사도를 나타내는 스무드 항을 조합하여 상기 제 1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에 대한 에너지 함수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재구성(reconstruction)하고,
상기 재구성된 그래프에 그래프 컷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분리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는 장치. -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전경 영역 내의 소정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처리부는
상기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형상 사전 정보(shape prior)를 획득하고,
상기 형상 사전 정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 1 영상에서 상기 객체를 분리하는 장치.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경 영역에 포함된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픽셀들 중 최초로 선택된 픽셀로부터 상기 객체를 나타내는 픽셀들의 가시성(visibility)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가시성을 이용하여 상기 형상 사전 정보를 획득하는 장치.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부는 상기 형상 사전 정보를 더 포함하여 상기 분리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는 장치. -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객체를 포함하지 않는 영역을 나타내는 픽셀들에 소정의 효과를 적용하는 효과 적용부; 및
상기 분리된 객체를 나타내는 영역과 상기 효과가 적용된 영역이 포함된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장치. -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는 폐 루프(closed loop)에 대응하는 신호, 스트로크(stroke)에 대응하는 신호 및 상기 제 1 영상 내의 소정의 위치를 지정하는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 1 영상 내의 소정의 위치에 폐 루프를 그리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 중 상기 폐 루프의 궤적에 대응하는 픽셀들을 선택하는 단계인 장치. -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 1 영상 내의 소정의 위치에 스트로크를 그리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 중 상기 스트로크의 궤적에 대응하는 픽셀들을 선택하는 장치. -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 1 영상 내에 소정의 위치를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 중 상기 지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픽셀을 선택하는 장치. -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수신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제 1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수신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제 1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영상을 보정하고,
상기 입력 신호는 사용자가 입력한 폐 루프에 대응하는 신호, 스트로크(stroke)에 대응하는 신호 및 상기 제 1 영상 내의 소정의 위치를 지정하는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횟수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영상을 반복하여 보정하는 장치.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상기 데이터 항과 상기 스무드 항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나타내는 가중치를 더 포함하여 상기 그래프를 구성하고,
상기 가중치는 적어도 2 이상의 후보 가중치들을 이용하여 결정되는 장치. -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상기 제 1 영상에서 상기 객체를 분리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장치.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상기 전경 모델 및 상기 배경 모델 각각에 대하여 적색 컬러 모델, 녹색 컬러 모델 및 청색 컬러 모델을 생성하는 장치.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상기 전경 모델 및 상기 배경 모델 각각에 대하여 그레이 스케일 강도(gray scale intensity), 제 1 텍스쳐(texture) 파라미터 및 제 2 텍스쳐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장치.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가우시안 혼합 모델(Gaussian mixture model, GMM)을 이용하여 상기 전경 모델 및 상기 배경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가우시안 혼합 모델에 포함된 가우시안의 개수는 상기 제 1 영상에 대응하여 적응적으로 결정되는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1999A KR102161052B1 (ko) | 2013-08-27 | 2013-08-27 | 영상에서 객체를 분리하는 방법 및 장치. |
US14/469,406 US9478040B2 (en) | 2013-08-27 | 2014-08-26 | Method and apparatus for segmenting object in image |
EP14182426.8A EP2846309B1 (en) | 2013-08-27 | 2014-08-27 | Method and apparatus for segmenting object in image |
US15/269,388 US10235761B2 (en) | 2013-08-27 | 2016-09-19 | Method and apparatus for segmenting object in im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1999A KR102161052B1 (ko) | 2013-08-27 | 2013-08-27 | 영상에서 객체를 분리하는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4719A KR20150024719A (ko) | 2015-03-09 |
KR102161052B1 true KR102161052B1 (ko) | 2020-09-29 |
Family
ID=51453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01999A Active KR102161052B1 (ko) | 2013-08-27 | 2013-08-27 | 영상에서 객체를 분리하는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2) | US9478040B2 (ko) |
EP (1) | EP2846309B1 (ko) |
KR (1) | KR10216105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1052B1 (ko) * | 2013-08-27 | 2020-09-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영상에서 객체를 분리하는 방법 및 장치. |
US10885636B2 (en) | 2017-11-07 | 2021-01-05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Object segment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Gaussian mixture model and total variation |
CN111223118A (zh) * | 2018-11-27 | 2020-06-02 | 富士通株式会社 |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方法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
US10878577B2 (en) * | 2018-12-14 | 2020-12-29 | Canon Kabushiki Kaisha |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segmenting an image of a scene |
CN110276344B (zh) * | 2019-06-04 | 2023-11-24 |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 一种图像分割的方法、图像识别的方法以及相关装置 |
KR102230361B1 (ko) * | 2019-09-18 | 2021-03-23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단일 이미지를 이용하는 배경이미지 복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US11217020B2 (en) | 2020-03-16 | 2022-01-04 | Snap Inc. | 3D cutout image modification |
CN111539993B (zh) * | 2020-04-13 | 2021-10-19 | 中国人民解放军军事科学院国防科技创新研究院 | 基于分割的空间目标视觉跟踪方法 |
US11361152B2 (en) * | 2020-07-20 | 2022-06-14 | Labelbox, Inc.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content labeling |
CN113570678A (zh) * | 2021-01-20 | 2021-10-29 |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 基于人工智能的图像上色方法、装置、电子设备 |
US12020358B2 (en) | 2021-10-29 | 2024-06-25 | Snap Inc. | Animated custom sticker creation |
US11995757B2 (en) | 2021-10-29 | 2024-05-28 | Snap Inc. | Customized animation from vide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216976A1 (en) | 2010-03-05 | 2011-09-08 | Microsoft Corporation | Updating Image Segmentation Following User Input |
Family Cites Families (3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901105A1 (en) * | 1997-08-05 | 1999-03-10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processing apparatus |
US6647146B1 (en) * | 1997-08-05 | 2003-11-11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processing apparatus |
DE69823116D1 (de) * | 1997-08-05 | 2004-05-19 | Canon Kk | Bildverarbeitungsverfahren und -gerät |
US6349113B1 (en) * | 1997-11-03 | 2002-02-19 | At&T Corp. | Method for detecting moving cast shadows object segmentation |
US6975755B1 (en) * | 1999-11-25 | 2005-12-13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
US7660473B2 (en) | 2002-11-01 | 2010-02-09 | Ricoh Co., Ltd. | Error concealment using icons for JPEG and JPEG 2000 compressed images |
US7660463B2 (en) | 2004-06-03 | 2010-02-09 | Microsoft Corporation | Foreground extraction using iterated graph cuts |
US7430339B2 (en) | 2004-08-09 | 2008-09-30 | Microsoft Corporation | Border matting by dynamic programming |
US20070165966A1 (en) * | 2005-07-15 | 2007-07-19 |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 | Closed form method and system for matting a foreground object in an image having a background |
US7724952B2 (en) * | 2006-05-15 | 2010-05-25 | Microsoft Corporation | Object matting using flash and no-flash images |
US20080136820A1 (en) * | 2006-10-20 | 2008-06-12 | Microsoft Corporation | Progressive cut: interactive object segmentation |
US20080181507A1 (en) * | 2007-01-29 | 2008-07-31 | Intellivision Technologies Corp. | Image manipulation for videos and still images |
US7995841B2 (en) | 2007-09-24 | 2011-08-09 | Microsoft Corporation | Hybrid graph model for unsupervised object segmentation |
US7876947B2 (en) * | 2007-10-10 | 2011-01-25 |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agged material using alpha matting |
US8175384B1 (en) * | 2008-03-17 | 2012-05-08 | Adobe Systems Incorpora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riminative alpha matting |
JP2009276294A (ja) * | 2008-05-16 | 2009-11-26 | Toshiba Corp | 画像処理方法 |
GB2478156A (en) * | 2010-02-26 | 2011-08-31 | Sony Corp |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disparity map for stereoscopic images |
US8498481B2 (en) | 2010-05-07 | 2013-07-30 | Microsoft Corporation | Image segmentation using star-convexity constraints |
US8625888B2 (en) * | 2010-07-21 | 2014-01-07 | Microsoft Corporation | Variable kernel size image matting |
US8386964B2 (en) | 2010-07-21 | 2013-02-26 | Microsoft Corporation | Interactive image matting |
JP5505164B2 (ja) * | 2010-07-23 | 2014-05-28 | ソニー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US8884980B2 (en) * | 2010-09-24 | 2014-11-11 | Taaz, Inc. |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hair color in digital images |
US8855411B2 (en) * | 2011-05-16 | 2014-10-07 | Microsoft Corporation | Opacity measurement using a global pixel set |
US20130009989A1 (en) * | 2011-07-07 | 2013-01-10 | Li-Hui Chen | Methods and systems for image segmentation and related applications |
JP5947507B2 (ja) * | 2011-09-01 | 2016-07-06 | キヤノン株式会社 |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KR101953306B1 (ko) | 2012-02-08 | 2019-03-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사용자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3d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EP2637139A1 (en) * | 2012-03-05 | 2013-09-11 | Thomson Licensing | Method and apparatus for bi-layer segmentation |
WO2013144418A1 (en) | 2012-03-29 | 2013-10-03 | Nokia Corporation | Image segmentation |
CN103177446B (zh) * | 2013-03-13 | 2016-03-30 | 北京航空航天大学 | 基于邻域和非邻域平滑先验的图像前景精准提取方法 |
US9102055B1 (en) * | 2013-03-15 | 2015-08-11 | Industrial Perception, Inc. | Detection and reconstruction of an environment to facilitate robotic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
KR102161052B1 (ko) * | 2013-08-27 | 2020-09-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영상에서 객체를 분리하는 방법 및 장치. |
US9443316B1 (en) * | 2015-07-21 | 2016-09-13 | Sony Corporation | Semi-automatic image segmentation |
US20170039683A1 (en) * | 2015-08-06 | 2017-02-09 | Fuji Xerox Co., Ltd.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
US10540768B2 (en) * | 2015-09-30 | 2020-01-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to segment object from image |
US10089721B2 (en) * | 2016-09-08 | 2018-10-02 | Sony Corporation |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object boundary smoothening for image segmentation |
-
2013
- 2013-08-27 KR KR1020130101999A patent/KR102161052B1/ko active Active
-
2014
- 2014-08-26 US US14/469,406 patent/US9478040B2/en active Active
- 2014-08-27 EP EP14182426.8A patent/EP2846309B1/en active Active
-
2016
- 2016-09-19 US US15/269,388 patent/US10235761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216976A1 (en) | 2010-03-05 | 2011-09-08 | Microsoft Corporation | Updating Image Segmentation Following User Input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GrabCut" . Interactive Foreground Extraction using Iterated Graph Cuts, SIGGRAPH '04 ACM SIGGRAPH 2004.* |
Star Shape Prior for Graph-Cut Image Segmentation, ECCV 2008: Computer Vision, 2008.10.1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4719A (ko) | 2015-03-09 |
EP2846309B1 (en) | 2019-07-31 |
US9478040B2 (en) | 2016-10-25 |
EP2846309A1 (en) | 2015-03-11 |
US20150063697A1 (en) | 2015-03-05 |
US20170004628A1 (en) | 2017-01-05 |
US10235761B2 (en) | 2019-03-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61052B1 (ko) | 영상에서 객체를 분리하는 방법 및 장치. | |
US10074161B2 (en) | Sky editing based on image composition | |
JP6188400B2 (ja) | 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方法 | |
CN107077624B (zh) | 跟踪手部/身体姿势 | |
US8669995B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stroke grouping for high-level sketch editing | |
US12266051B2 (en) | UV mapping on 3D objects with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 |
JP2013125322A (ja) | 学習装置、プログラム及び学習方法 | |
WO2018017440A1 (en) | Automatic generation of semantic-based cinemagraphs | |
US11468571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image | |
US11043027B2 (en) | Three-dimensional graphics image processing | |
US11720745B2 (en) | Detecting occlusion of digital ink | |
CN118710781A (zh) | 利用端到端机器学习模型的面部表情和姿势转移 | |
US11276202B2 (en) | Moving image generation apparatus, moving image gener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 |
US20240331114A1 (en) | Improving digital image inpainting utilizing plane panoptic segmentation and plane grouping | |
US20230237777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learning apparatus, image recognition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learning method, image recognition method, and non-transitory-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
Meng et al. | Globally measuring the similarity of superpixels by binary edge maps for superpixel clustering | |
KR101554421B1 (ko) | 구조 기반 이미지 확장 방법 및 장치 | |
US11748930B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rigging a point cloud for animation | |
KR102572415B1 (ko) | 레퍼런스 이미지의 검증을 통해 자연스러운 3차원 디지털 트윈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US20230169708A1 (en) | Image and video matting | |
JP7549841B2 (ja) | 画像処理装置、画像認識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認識プログラム | |
US20210035318A1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
JP2005234811A (ja) | 検出装置、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8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8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9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