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948B1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60948B1 KR102160948B1 KR1020140098524A KR20140098524A KR102160948B1 KR 102160948 B1 KR102160948 B1 KR 102160948B1 KR 1020140098524 A KR1020140098524 A KR 1020140098524A KR 20140098524 A KR20140098524 A KR 20140098524A KR 102160948 B1 KR102160948 B1 KR 1021609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
- display panel
- area
- pixels
- displa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22—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 passive matrix
- G09G3/3629—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 passive matrix using liquid crystals having memory effects, e.g. ferroelectric liquid crystals
- G09G3/364—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 passive matrix using liquid crystals having memory effects, e.g. ferroelectric liquid crystals with use of subpixe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에 게이트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구동부; 및 상기 표시패널에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은 표시영역 내에 영역별로 크기가 다른 서브 픽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play panel; A gate driver supplying a gate signal to the display panel; And a data driver supplying a data signal to the display panel, wherein the display panel includes sub-pixels having different sizes for each area in the display area.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 매체인 표시장치의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전기영동표시장치(Electro Phoretic Display; EPD) 및 플라즈마액정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과 같은 표시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market for display devices, which is a connection medium between users and information, is growing. Accordingly,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an electrophoretic display (EPD), and a plasma display panel (PDP) ), the use of display devices is increasing.
표시장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 및 구동부를 제어하는 타이밍제어부가 포함된다. 구동부에는 표시패널에 게이트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구동부 및 표시패널에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구동부 등이 포함된다.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panel including subpixels arranged in a matrix form,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and a tim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The driver includes a gate driver that supplies a gate signal to the display panel and a data driver that supplies a data signal to the display panel.
앞서 설명된 표시장치들 중 액정표시장치 및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와 같은 표시장치는 소형, 중형 및 대형에 이르기까지 구현되고 있다. 대형 표시장치의 경우 표시패널의 화면비율을 달리하여 시네마 텔레비전이나 광고용으로 사용되는 등 다양한 분야로 사용되고 있다.Among the display devices described above, display devic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re implemented in a range of small, medium, and large sizes. In the case of a large display device, it i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being used for cinema television or advertisement by varying the aspect ratio of the display panel.
그런데, 종래 시네마 텔레비전 등에 사용되는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의 화면이 특정비율로 고정되어 있어 입력된 데이터신호와 표시패널의 화면비율이 다를 경우 왜곡된 비율로 화면을 표시할 수밖에 없었다. 이 밖에도, 종래 시네마 텔레비전 등에 사용되는 표시장치는 고정된 화면비율만 표시할 수 있는 등의 제약 사항이 많은 단점이 있었다.However, in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used for a cinema television, etc., the screen of the display panel is fixed at a specific ratio, so when the input data signal and the screen ratio of the display panel are different, the screen has to be displayed at a distorted ratio. In addition, conventional display devices used for cinema televisions and the like have many limitations, such as being able to display only a fixed aspect ratio.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력된 비율보다 높은 비율의 화면을 구현함과 더불어 중앙의 세밀감을 살리고 외곽의 임장감을 향상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technology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realizing a screen having a higher ratio than an input ratio, utilizing a detailed feeling in the center, and improving the appearance of an exterior.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은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에 게이트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구동부; 및 상기 표시패널에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은 표시영역 내에 영역별로 크기가 다른 서브 픽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play panel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gate driver supplying a gate signal to the display panel; And a data driver supplying a data signal to the display panel, wherein the display panel includes sub-pixels having different sizes for each area in the display area.
상기 표시패널은 중앙영역과, 상기 중앙영역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하는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영역에 형성된 서브 픽셀과 상기 좌측영역 및 상기 우측영역에 형성된 서브 픽셀의 크기가 다를 수 있다.The display panel includes a central region, and a left region and a right region position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central region, and the sub-pixel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and the sub-pixels formed in the left region and the right region are different in size. I can.
상기 좌측영역 및 상기 우측영역에 형성된 서브 픽셀은 상기 중앙영역에 형성된 서브 픽셀보다 크고, 상기 좌측영역 및 상기 우측영역에 형성된 서브 픽셀의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The sub-pixel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regions may be larger than the sub-pixel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and the sub-pixel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regions may have the same size.
상기 좌측영역 및 상기 우측영역에 형성된 서브 픽셀은 위치별로 크기가 다를 수 있다.Sub-pixel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regions may have different sizes according to positions.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표시영역의 중심영역에 형성된 서브 픽셀로부터 멀어질수록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may increase in size as it moves away from the sub-pixel form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display area.
상기 크기가 다른 서브 픽셀은 단축방향의 길이, 장축방향의 길이 또는 장축 및 단축방향의 길이가 다를 수 있다.Subpixels having different sizes may have different lengths in a short axis direction, a length in a major axis direction, or a length in a major axis and a minor axis direction.
본 발명은 입력된 비율보다 높은 비율의 화면을 구현함과 더불어 중앙의 세밀감을 살리고 외곽의 임장감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된 비율보다 높은 비율의 화면을 구현 시 화면의 왜곡비를 낮출 수 있어 표시품질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네마 텔레비전 등에 사용되는 표시장치 구현시 제약 사항을 탈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realizing a screen with a higher ratio than the input ratio, maximizing the detail of the center and improving the sense of appearance of the outer sid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creen having a higher ratio than the input ratio is realized, the distortion ratio of the screen can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display quality.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voiding the restrictions when implementing a display device used in a cinema television or the like.
도 1은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브 픽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구성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서브 픽셀 구성도.
도 5는 도 4의 구성에 따른 서브 픽셀의 영역별 차이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서브 픽셀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서브 픽셀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단면 구성 예시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device.
FIG.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ub-pixel shown in FIG. 1;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display device.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ub-pixel of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differences between regions of subpixel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FIG. 4;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ub-pixel of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ub-pixel of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브 픽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구성한 평면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FIG.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sub-pixel illustrated in FIG. 1, and FIG.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에는 영상공급부(110), 타이밍제어부(120), 게이트구동부(130), 데이터구동부(140) 및 표시패널(150)이 포함된다.As illustrated in FIG. 1,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n
영상공급부(110)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DE), 클럭신호(CLK) 및 데이터신호(DATA)를 포함하는 구동신호를 타이밍제어부(120)에 공급한다.The
타이밍제어부(120)는 게이트구동부(1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와 데이터구동부(14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를 출력한다. 타이밍제어부(120)는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와 함께 데이터신호(DATA)를 데이터구동부(140)에 공급한다.The
게이트구동부(130)는 타이밍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에 응답하여 게이트전압의 레벨을 시프트시키면서 게이트신호를 출력한다. 게이트구동부(130)는 게이트라인들(GL1 ~ GLm)을 통해 표시패널(150)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SP)에 게이트신호를 공급한다. 게이트구동부(130)는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 형태로 형성되거나 표시패널(150)에 게이트인패널(Gate In Panel) 방식으로 형성된다.The
데이터구동부(140)은 타이밍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에 응답하여 데이터신호(DATA)를 샘플링하고 래치하며 감마 기준전압에 대응하여 디지털 형태의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데이터구동부(140)는 데이터라인들(DL1 ~ DLn)을 통해 표시패널(150)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SP)에 데이터신호(DATA)를 공급한다. 데이터구동부(140)는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 형태로 형성된다.The
표시패널(150)은 게이트구동부(130)로부터 공급된 게이트신호와 데이터구동부(14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패널(150)에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빛을 발광하거나 빛을 제어하는 서브 픽셀들(SP)이 포함된다.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서브 픽셀에는 게이트라인(GL1)과 데이터라인(DL1)에 연결된 스위칭 트랜지스터(SW)와 스위칭 트랜지스터(SW)를 통해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픽셀회로(PC)가 포함된다. 픽셀회로(PC)의 구성에 따라 서브 픽셀들(SP)은 액정소자를 포함하는 액정표시패널로 구성되거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패널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one sub-pixel operates in response to a switching transistor SW connected to a gate line GL1 and a data line DL1, and a data signal DATA supplied through the switching transistor SW. And a pixel circuit (PC).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pixel circuit PC, the sub-pixels SP are configur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ncluding a liquid crystal device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includ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표시패널(150)이 액정표시패널로 구성된 경우, 이는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또는 ECB(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ngence) 모드로 구현된다. 표시패널(150)이 유기발광표시패널로 구성된 경우, 이는 전면발광(Top-Emission) 방식, 배면발광(Bottom-Emission) 방식 또는 양면발광(Dual-Emission) 방식으로 구현된다. 그러나, 서브 픽셀은 액정소자나 유기발광소자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성(예컨대, 전기영동소자)될 수도 있다.When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에 포함된 장치들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게이트구동부(130)는 표시패널(150)의 해상도 및 크기에 대응하여 다수로 존재할 수 있으며 표시패널(150)의 제1측면(좌측)에 부착된 제1연성기판(131) 상에 실장될 수 있다. 게이트구동부(130)는 표시패널(150)의 해상도 및 크기에 대응하여 구성될 수 있으므로, 이는 제1측면과 더불어 제2측면(우측)에 부착된 연성기판 상에 실장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하여, 게이트구동부(130)로부터 출력된 게이트신호는 표시패널(150)의 서브 픽셀들에 연결된 게이트라인들을 통해 공급된다.As shown in FIG. 3, devices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The
데이터구동부(140)는 표시패널(150)의 해상도 및 크기에 대응하여 다수로 존재할 수 있으며 표시패널(150)의 제3측면(상측 또는 하측)에 부착된 제2연성기판(145)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데이터구동부(14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신호는 표시패널(150)의 서브 픽셀들에 연결된 데이터라인들을 통해 공급된다.The
타이밍제어부(120)는 제1외부기판(125) 상에 실장된다. 제1외부기판(125)은 제1연결기판(127)을 통해 제2외부기판(147)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외부기판(147)은 다수의 데이터구동부(140)가 실장된 다수의 제2연성기판(14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로 인하여, 타이밍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신호와 각종 타이밍 제어신호 등은 제1연결기판(127) 및 제2외부기판(147)을 거쳐 게이트구동부(130)와 데이터구동부(140)로 공급된다.The
영상공급부(110)는 제3외부기판(115) 상에 실장된다. 제3외부기판(115)은 제2연결기판(117)을 통해 제1외부기판(13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로 인하여, 영상공급부(110)로부터 출력된 구동신호는 제2연결기판(117)을 거쳐 타이밍제어부(120)로 공급된다.The
앞서 설명된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의 화면비율을 달리하여 시네마 텔레비전이나 광고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대형 표시장치로 구현된다. 한편, 종래 시네마 텔레비전 등에 사용되는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의 화면이 특정비율로 고정되어 있어 입력된 데이터신호와 표시패널의 화면비율이 다를 경우 왜곡된 비율로 화면을 표시할 수밖에 없었다. 이 밖에도, 종래 시네마 텔레비전 등에 사용되는 표시장치는 고정된 화면비율만 표시할 수 있는 등의 제약 사항이 많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종래 시네마 텔레비전 등에 사용되는 표시장치의 단점을 개선 및 극복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된다.The above-described display device is implemented as a large display device that can be used for cinema television or advertisement by varying the aspect ratio of the display panel. Meanwhile, in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used for a cinema television, etc., the screen of the display panel is fixed at a specific ratio, so when the input data signal and the screen ratio of the display panel are different, the screen has to be displayed at a distorted ratio. In addition, conventional display devices used for cinema televisions and the like have many limitations, such as being able to display only a fixed aspect rati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as follows in order to improve and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a display device used in a conventional cinema television or the like.
<제1실시예><First Example>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서브 픽셀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의 구성에 따른 서브 픽셀의 영역별 차이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ub-pixel of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differences between regions of sub-pixel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FIG. 4.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150)은 중앙영역(CA)과 중앙영역(CA)을 기준으로 주변에 위치하는 비중앙영역(LA, RA)에 형성된 서브 픽셀의 크기가 다르다. 중앙영역(CA)과 비중앙영역(LA, RA)은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이므로 표시패널(150)의 표시영역에 포함된다.As shown in FIG. 4, the
구체적으로, 표시패널(150)은 중앙영역(CA), 좌측영역(LA) 및 우측영역(RA)으로 영역이 구분된다. 좌측영역(LA) 및 우측영역(RA)에 형성된 제2 및 제3서브 픽셀(SP_la, SP_ra)은 중앙영역(CA)에 형성된 제1서브 픽셀(SP_ca)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제1, 제2 및 제3서브 픽셀(SP_ca, SP_la, SP_ra)의 크기는 SP_la > SP_ca < SP_ra의 관계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및 제3서브 픽셀(SP_la, SP_ra)의 크기는 SP_la = SP_ra의 관계를 갖도록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중앙영역(CA)에 형성된 제1서브 픽셀(SP_ca)과 좌측영역(LA) 및 우측영역(RA)에 형성된 제2 및 제3서브 픽셀(SP_la, SP_ra)의 경우, 제1축방향(x, 단축방향)의 길이는 동일하지만 제2축방향(y, 장축방향)의 길이는 다르다.In the case of the first sub-pixel SP_ca formed in the center area CA and the second and third sub-pixels SP_la and SP_ra formed in the left area LA and the right area RA, the first axis direction (x, The length of the minor axis direction) is the same, but the length of the second axis direction (y, major axis direction) is different.
구체적으로, 제1, 제2 및 제3서브 픽셀(SP_ca, SP_la, SP_ra)의 제1축방향(x)의 길이는 동일하지만 제2축방향(y)의 길이는 제2 및 제3서브 픽셀(SP_la, SP_ra)이 더 길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제1서브 픽셀(SP_ca)과 제2 및 제3서브 픽셀(SP_la, SP_ra)의 크기를 달리하기 위해 제1서브 픽셀(SP_ca) 대비 제2 및 제3서브 픽셀(SP_la, SP_ra)의 제1축방향(x)과 제2축방향(y)의 길이를 함께 늘일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bpixels SP_ca, SP_la, and SP_ra have the same length in the first axis direction (x), but the length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y) is the second and third subpixels. (SP_la, SP_ra) is longer.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second and third sub-pixels compared to the first sub-pixel (SP_ca) in order to vary the size of the first sub-pixel (SP_ca) and the second and third sub-pixels (SP_la, SP_ra) The lengths of the first axis direction (x) and the second axis direction (y) of (SP_la, SP_ra) may be increased together.
이와 같이, 중앙영역(CA) 보다 비중앙영역(LA, RA)에 위치하는 서브 픽셀들의 크기를 증가시키면 시각적으로 몰입감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므로 기 설정된 화면비율 대비 큰 화면비율로 화면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제1실시예는 16:9의 화면비율로 영상이 공급되더라도 21:9의 화면비율로 화면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위의 예는 입력되는 데이터신호가 화면비율이 16:9일 때를 예로 하므로 서브 픽셀들의 크기를 21:9의 화면비율에 적합하게 구성한다고 설명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므로, 입력되는 데이터신호의 화면비율과 서브 픽셀들의 크기의 변화에 따라 실질적으로 표시패널 상에 구현되는 화면비율 또한 다양한 형태로 달라질 수 있다.In this way, increasing the size of the sub-pixels located in the non-central areas (LA, RA) rather than the center area (CA) can increase the visual immersion, so that the screen can be expressed with a larger aspect ratio compared to the preset aspect ratio. do. For example, in the first embodiment, even if an image is supplied in a 16:9 aspect ratio, a screen can be expressed in a 21:9 aspect ratio.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 example assumes that the input data signal has an aspect ratio of 16:9, so that the size of the sub-pixels is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the aspect ratio of 21:9. Therefore, the aspect ratio substantially implemented on the display panel may also vary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aspect ratio of the input data signal and the size of the sub-pixels.
한편, 도 4와 같은 형태로 서브 픽셀을 구성하면 중앙영역(CA), 좌측영역(LA) 및 우측영역(RA)에 형성된 서브 픽셀의 개수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ub-pixels are configured in the shape as shown in FIG. 4, a difference occurs in the number of sub-pixels formed in the center area CA, the left area LA, and the right area RA.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영역(LA) 및 우측영역(RA)에 형성된 서브 픽셀의 개수는 중앙영역(CA)에 형성된 서브 픽셀의 개수보다 많다. 그 이유는 좌측영역(LA) 및 우측영역(RA)에 형성된 서브 픽셀의 크기가 중앙영역(CA)에 형성된 서브 픽셀의 크기보다 크기 때문이다.As shown in FIG. 5, the number of subpixels formed in the left area LA and the right area RA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subpixels formed in the center area CA. This is because the size of the sub-pixels formed in the left area LA and the right area RA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sub-pixels formed in the center area CA.
설명을 보충하면, 각 영역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영역에서 서브 픽셀의 크기가 커지면 한정된 영역에 형성할 수 있는 서브 픽셀의 개수는 적어지고 이와 반대로 서브 픽셀의 크기가 작아지면 서브 픽셀의 개수는 상대적으로 많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앙영역(CA), 좌측영역(LA) 및 우측영역(RA)에 형성된 서브 픽셀(SP_ca, SP_la, SP_ra)의 개수는 좌측영역(LA) < 중앙영역(CA) > 우측영역(RA)의 관계를 갖는다. Supplementing the explanation, since each region is limited, if the size of the subpixel in the region increases, the number of subpixels that can be formed in the limited region decreases. Conversely, if the size of the subpixel decreases, the number of subpixels becomes relatively small. This is because there are many. Therefore, the number of subpixels SP_ca, SP_la, and SP_ra formed in the center area CA, the left area LA, and the right area RA is the left area LA <center area CA> the right area RA Have a relationship.
<제2실시예><Second Example>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서브 픽셀 구성도이다.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ub-pixel of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150)은 중앙영역(CA)과 중앙영역(CA)을 기준으로 주변에 위치하는 비중앙영역(LA, RA)에 형성된 서브 픽셀의 크기가 다르다. 중앙영역(CA)과 비중앙영역(LA, RA)은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이므로 표시패널(150)의 표시영역에 포함된다. 특히, 비중앙영역(LA, RA)에 형성된 서브 픽셀 간에도 크기가 다르다.As shown in FIG. 6, the
구체적으로, 표시패널(150)은 중앙영역(CA), 좌측영역(LA) 및 우측영역(RA)으로 영역이 구분된다. 측영역(LA) 및 우측영역(RA)에 형성된 제2 및 제3서브 픽셀(SP_la, SP_ra)은 중앙영역(CA)에 형성된 제1서브 픽셀(SP_ca)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제1, 제2 및 제3서브 픽셀(SP_ca, SP_la, SP_ra)의 크기는 SP_la > SP_ca < SP_ra의 관계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및 제3서브 픽셀(SP_la, SP_ra)의 크기는 SP_la = SP_ra의 관계를 갖도록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또한, 좌측영역(LA)에 형성된 서브 픽셀 간에도 크기가 다른데 그 예로 좌측영역(LA)의 외곽에 형성된 제2-2서브 픽셀(SP_la2)은 자신보다 내측에 형성된 제2-1서브 픽셀(SP_la1)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우측영역(RA)에 형성된 서브 픽셀 간에도 마찬가지이므로, 우측영역(RA)의 외곽에 형성된 제3-2서브 픽셀(SP_ra2)은 자신보다 내측에 형성된 제3-1서브 픽셀(SP_ra1)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동일한 영역 내에 위치하는 서브 픽셀들 간에도 위치별로 크기가 달라진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sub-pixels formed in the left area LA is also different. For example, the 2-2 sub-pixel SP_la2 formed outside the left area LA is the 2-1 sub-pixel SP_la1 formed inside the left area LA. Is formed larger. This is the same between the sub-pixels formed in the right area RA, so the 3-2 sub-pixel SP_ra2 formed outside the right area RA is formed larger than the 3-1 sub-pixel SP_ra1 formed inside the right area RA. do. That is, the size of sub-pixels located in the same area varies according to positions.
제2실시예 또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중앙영역(CA)에 형성된 제1서브 픽셀(SP_ca)과 좌측영역(LA) 및 우측영역(RA)에 형성된 제2 및 제3서브 픽셀(SP_la, SP_ra)의 크기를 달리하기 위해 제1축방향(x, 단축방향)의 길이나 제2축방향(y, 장축방향)의 길이 또는 제1축방향(x) 및 제2축방향(y)의 길이를 달리할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sub-pixel SP_ca formed in the center area CA, and the second and third sub-pixels SP_la formed in the left area LA and the right area RA. To vary the size of SP_ra), the length of the first axis direction (x, minor axis direction) or the length of the second axis direction (y, major axis direction), or the first axis direction (x) and the second axis direction (y) You can vary the length.
제2실시예와 같이 좌측영역(LA) 및 우측영역(RA)에 형성된 서브 픽셀의 크기를 위치별로 달리하면 서브 픽셀의 크기가 비약적으로 달라 영상 표현시 발생할 수 있는 이질적인 느낌을 완화할 수 있다.If the sizes of the sub-pixels formed in the left area LA and the right area RA are changed by location a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ize of the sub-pixels is drastically different, so that heterogeneous feelings that may occur when displaying an image can be alleviated.
이와 같이, 중앙영역(CA) 보다 비중앙영역(LA, RA)에 위치하는 서브 픽셀들의 크기를 증가시키면 시각적으로 몰입감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므로 예컨대 16:9의 화면비율로 영상이 공급되더라도 21:9의 화면비율로 화면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위의 예는 입력되는 데이터신호가 화면비율이 16:9일 때를 예로 하므로 서브 픽셀들의 크기를 21:9의 화면비율에 적합하게 구성한다고 설명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In this way, if the size of the sub-pixels located in the non-central areas LA and RA is increased than the central area CA, it is possible to visually increase the sense of immersion, so even if an image is supplied in an aspect ratio of 16:9, for example, 21: The screen can be expressed with an aspect ratio of 9.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 example assumes that the input data signal has an aspect ratio of 16:9, so that the size of the sub-pixels is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the aspect ratio of 21:9.
한편, 앞서 설명된 제1 및 제2실시예에서 정의된 중앙영역(CA), 좌측영역(LA) 및 우측영역(RA)의 크기는 구현하고자 하는 화면비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도면에서는 중앙영역(CA), 좌측영역(LA) 및 우측영역(RA)의 비율을 1:1:1로 동일하게 설정하였지만, 이는 1:2:1과 같은 형태로 달라질 수 있다.Meanwhile, the sizes of the center area CA, the left area LA, and the right area RA defined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vary according to an aspect ratio to be implemented. That is, in the drawing, the ratio of the center area CA, the left area LA, and the right area RA is set to be 1:1:1, but this may be changed in a form such as 1:2:1.
<제3실시예><Third Example>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서브 픽셀 구성도이다.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ub-pixel of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150)은 서브 픽셀의 크기가 모든 영역에서 다르다.As shown in FIG. 7, in the
구체적으로, 표시패널(150)의 서브 픽셀들은 중심영역(CP)으로부터 좌측끝영역(LP)이나 우측끝영역(RP)으로 갈수록 크기가 증가한다. 그 예로, 좌측끝영역(LP)에 인접한 좌측외곽 서브 픽셀(SP_lae)과 중심영역(CP)에 형성된 중심 서브 픽셀(SP_ca) 그리고 이들 사이에 형성된 서브 픽셀들의 크기의 변화를 보면 알 수 있다. 다른 예로, 우측끝영역(RP)에 인접한 우측외곽 서브 픽셀(SP_rae)과 중심영역(CP)에 형성된 중심 서브 픽셀(SP_ca) 그리고 이들 사이에 형성된 서브 픽셀들의 크기의 변화를 보면 알 수 있다.Specifically, the subpixels of the
위의 설명에서는 단순히 제1축방향(x)에 놓인 한 라인의 서브 픽셀들의 크기 변화를 비교할 수 있도록 x1과 x2의 방향을 따라 크기가 점증하는 것을 나타낸 것뿐이다. 그러므로, 표시패널(150)의 서브 픽셀은 중심영역(CP)을 기준으로 멀어질수록 크기가 증가하도록 형성되는바, 제2축방향(y)에서도 도 7과 같은 규칙을 가지고 서브 픽셀들의 크기가 점증하게 된다.The above description merely shows that the size increases along the directions of x1 and x2 so that the size change of the subpixels of one line placed in the first axis direction (x) can be compared. Therefore, the sub-pixels of the
제3실시예 또한 제1 및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중심영역(CP)에 형성된 중심 서브 픽셀(SP_ca)을 기준으로 크기를 점증시키기 위해 제1축방향(x, 단축방향)의 길이나 제2축방향(y, 장축방향)의 길이 또는 제1축방향(x) 및 제2축방향(y)의 길이를 달리할 수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n order to increase the size based on the central sub-pixel SP_ca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CP, the length or the first axis direction (x, short axis direction) is The length in the biaxial direction (y, the major axis direction) or the length in the first axis direction (x) and the second axis direction (y) may be different.
제3실시예와 같이 중심영역(CP)에 형성된 중심 서브 픽셀(SP_ca)을 기준으로 모든 서브 픽셀의 크기를 점증시키면 서브 픽셀의 크기가 비약적으로 달라 영상 표현시 발생할 수 있는 이질적인 느낌을 더욱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서브 픽셀의 크기가 외곽으로 갈수록 점증하게 됨에 따라 몰입감은 물론 임장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As in the third embodiment, if the size of all sub-pixels is increased based on the central sub-pixel SP_ca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CP, the size of the sub-pixels is drastically different, so that the heterogeneous feeling that may occur during image expression can be further alleviated. I can. In addition, as the size of the sub-pixels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outside, an effect of enhancing the sense of immersion and presence is expected.
이와 같이, 중심영역(CP)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서브 픽셀들의 크기를 점증시키면 시각적으로 몰입감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므로 예컨대 16:9의 화면비율로 영상이 공급되더라도 21:9의 화면비율로 화면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위의 예는 입력되는 데이터신호가 화면비율이 16:9일 때를 예로 하므로 서브 픽셀들의 크기를 21:9의 화면비율에 적합하게 구성한다고 설명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In this way, increasing the size of the sub-pixels gradually increases the size of the sub-pixels as they move away from the center area CP. Therefore, even if an image is supplied in a 16:9 aspect ratio, the screen can be expressed in a 21:9 aspect ratio. You will be able to.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 example assumes that the input data signal has an aspect ratio of 16:9, so that the size of the sub-pixels is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the aspect ratio of 21:9.
<제4실시예><Fourth Example>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단면 구성 예시도이다.8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설명된 제1 내지 제3실시예는 서브 픽셀의 배치나 구현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표시패널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다음의 도 8과 같은 구조에 적용하는 것을 예로 설명한다.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display panels according to an arrangement or implementation method of sub-pixels. However,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that is applied to the structure shown in FIG. 8 below.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된 제1 내지 제3실시예는 평면형 표시패널(150)에 적용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8A,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o the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된 제1 내지 제3실시예는 시청자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곡면형 표시패널(150)에 적용될 수 있다.As shown in (b) of FIG. 8,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the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된 제1 내지 제3실시예는 기본적으로 평면형태를 취하지만 시청자가 위치하는 방향인 r1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제1가변형(또는 오목형) 표시패널(150)에 적용될 수 있다.As shown in (c) of FIG. 8,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asically take a planar shape, but a first variable (or concave type) that can be bent in the direction r1, the direction in which the viewer is located. ) It can be applied to the
도 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된 제1 내지 제3실시예는 기본적으로 평면형태를 취하지만 시청자가 위치하는 반대방향인 r2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제2가변형(또는 볼록형) 표시패널(150)에 적용될 수 있다.As shown in (d) of FIG. 8,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asically take a planar shape, but a second variable (or convex type) that can be bent in the direction r2, which is the opposite direction in which the viewer is positioned. ) It can be applied to the
한편, 도 8의 (a) 내지 (d)에 도시된 형태의 표시패널(150)에 제1 내지 제3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기존과 동일하게 설계된 구동장치, 회로부 및 기구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설명을 덧붙이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whe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are applied to the
① 표시패널 구조:① Display panel structure:
표시패널의 중앙부분은 종래(16:9 비율의 표시패널)과 동일한 서브 픽셀의 구조 및 크기를 갖도록 설계한다.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is designed to have the same sub-pixel structure and size as in the conventional (16:9 ratio display panel).
표시패널의 외곽부분은 서브 픽셀의 크기를 크게 하고, 표시패널의 전체 화면의 비율이 21:9 가 되도록 서브 픽셀을 배치 및 구성한다.Sub-pixels are arranged and configured so that the size of sub-pixels is increased in the outer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ratio of the entire screen of the display panel is 21:9.
② 회로부:② Circuit part:
종래(16:9 비율의 표시패널) 비율의 회로 구성도와 동일하게 구성하고, 데이터구동부의 위치는 표시패널의 외곽부분의 메탈라인에 맞게 위치시킨다.It is configured in the same way as the conventional circuit diagram of the ratio (16:9 ratio display panel), and the position of the data driver is positioned to match the metal line of the outer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③ 기구부(백라이트 유닛이나 커버 등):③ Mechanism (backlight unit or cover, etc.):
종래(16:9 비율의 표시패널) 비율의 회로 구성도와 동일하게 구성하고, 데이터구동부의 위치에 맞게 백라이트 유닛이나 커버 등을 구성한다.It is configured in the same way as the conventional circuit diagram of the ratio (16:9 ratio display panel), and the backlight unit or cover is configur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data driver.
그러나, 입력되는 데이터신호의 화면비율이 서브 픽셀의 크기의 변화나 구현하고자 하는 화면비율에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 데이터신호 등을 가변해야 하는바 기존과 다른 구동장치 등이 요구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장치의 설계 변경과 더불어 알고리즘의 변경이 필요하게 된다.However, when the aspect ratio of the input data signal is difficult to apply to the change in the size of the sub-pixel or the aspect ratio to be implemented, the data signal or the like needs to be varied, so a different driving device may be required. Therefore,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design of the device and change the algorithm.
이상 본 발명은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이용하는 액정표시장치(LCD)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LED)에서 NCT(Novel Cinema TV)를 구현하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Novel Cinema TV (NCT) in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using a thin film transistor (TFT),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1. 일반적인 16:9 영상(UHD, FHD)으로 중앙의 세밀감을 살리면서 외곽에 21:9 비율(UHD, FHD)의 임장감을 구현할 수 있다.1. With a general 16:9 video (UHD, FH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21:9 ratio (UHD, FHD) on the outside while maintaining the detail in the center.
2. 종래 16:9 비율의 표시패널(UHD, FHD)에서 사용되는 동일한 회로 구성을 이용하면서도 21:9 비율 등과 같이 비율을 증대할 수 있다.2. While using the same circuit configuration used in conventional 16:9 ratio display panels (UHD, FH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atio such as 21:9 ratio.
3. 종래 16:9 비율의 표시패널(UHD, FHD)에서 사용되는 동일한 인터페이스(Interface)를 그대로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다만, 표시패널의 구조 변화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적절히 변화시켜 구현할 수 있다.3. It can be implemented by using the same interface used in conventional 16:9 ratio display panels (UHD, FHD). However, it can be implemented by appropriately changing the interface according to the structural change of the display panel.
이상 본 발명은 입력된 비율보다 높은 비율의 화면을 구현함과 더불어 중앙의 세밀감을 살리고 외곽의 임장감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된 비율보다 높은 비율의 화면을 구현 시 화면의 왜곡비를 낮출 수 있어 표시품질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네마 텔레비전 등에 사용되는 표시장치 구현시 제약 사항을 탈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realizing a screen having a higher ratio than the input ratio, utilizing the detail in the center, and improving the sense of appearance of the outsid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creen having a higher ratio than the input ratio is realized, the distortion ratio of the screen can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display quality.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voiding the restrictions when implementing a display device used in a cinema television or the lik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can be implement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as non-limiting. In addi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In addition,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영상공급부 120: 타이밍제어부
130: 게이트구동부 140: 데이터구동부
150: 표시패널 CA: 중앙영역
LA: 좌측영역 RA: 우측영역
SP_ca, SP_la, SP_ra: 제1, 제2 및 제3서브 픽셀110: image supply unit 120: timing control unit
130: gate driving unit 140: data driving unit
150: display panel CA: center area
LA: left area RA: right area
SP_ca, SP_la, SP_ra: first, second and third sub-pixels
Claims (6)
상기 표시패널에 게이트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구동부; 및
상기 표시패널에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은 표시영역 내에 영역별로 크기가 다른 서브 픽셀을 갖고,
상기 표시패널은
중앙영역과, 상기 중앙영역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하는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영역 및 상기 우측영역에 형성된 서브 픽셀은 상기 중앙영역에 형성된 서브 픽셀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Display panel;
A gate driver supplying a gate signal to the display panel; And
A data driver supplying a data signal to the display panel,
The display panel has sub-pixels having different sizes for each area in the display area,
The display panel
A central region, and a left region and a right region position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central region,
And the sub-pixels formed in the left area and the right area are larger than the sub-pixels formed in the center area.
상기 좌측영역 및 상기 우측영역에 형성된 서브 픽셀의 크기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device, wherein the size of the subpixels formed in the left area and the right area is the same.
상기 좌측영역 및 상기 우측영역에 형성된 서브 픽셀은 위치별로 크기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sub-pixels formed in the left area and the right area have different sizes according to positions.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표시영역의 중심영역에 형성된 서브 픽셀로부터 멀어질수록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panel
And the size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sub-pixel form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display area increases.
상기 크기가 다른 서브 픽셀은
단축방향의 길이, 장축방향의 길이 또는 장축 및 단축방향의 길이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The method of claim 1,
Sub-pixels of different sizes are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in the minor axis direction, the length in the major axis direction, or the length in the major axis and the minor axis direction are differen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8524A KR102160948B1 (en) | 2014-07-31 | 2014-07-31 |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8524A KR102160948B1 (en) | 2014-07-31 | 2014-07-31 | Display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7192A KR20160017192A (en) | 2016-02-16 |
KR102160948B1 true KR102160948B1 (en) | 2020-10-05 |
Family
ID=55447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8524A Active KR102160948B1 (en) | 2014-07-31 | 2014-07-31 | Display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60948B1 (en)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3810B1 (en) * | 2003-08-11 | 2010-08-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4-color liquid crystal display |
KR101217554B1 (en) * | 2006-05-09 | 2013-01-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seamless foldable display device |
JP5322427B2 (en) * | 2007-12-19 | 2013-10-23 | 三菱電機株式会社 | Liquid crystal display |
US20130083080A1 (en) * | 2011-09-30 | 2013-04-04 | Apple Inc. | Optical system and method to mimic zero-border display |
CN103515410B (en) * | 2012-06-29 | 2016-08-03 | 乐金显示有限公司 |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
-
2014
- 2014-07-31 KR KR1020140098524A patent/KR102160948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7192A (en) | 2016-0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05899B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9646559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102279353B1 (en) | Display panel | |
KR101354386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 |
WO2018095437A1 (en) | Distributive-driving of liquid crystal display (lcd) panel | |
KR101224462B1 (en) |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US11037505B2 (en) |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multiplexer | |
TW201523572A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20150004225A (en) | Display device | |
KR102577246B1 (en) | Display device | |
KR20110024615A (en) | LC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20130009312A (en) | Image display device | |
US9857649B2 (en) |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KR101654324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 |
KR101336851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 |
KR102180914B1 (en) | Display device | |
KR102160948B1 (en) | Display Device | |
KR102572965B1 (en) | Display device | |
KR102244985B1 (en) | Display panel | |
US9672785B2 (en) | Dual data driv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 |
KR102623334B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reof | |
KR101797763B1 (en) |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102732567B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reof | |
KR102016566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102061874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3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6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7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9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