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60742B1 - 청각장애인을 위한 경보 표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청각장애인을 위한 경보 표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742B1
KR102160742B1 KR1020200063092A KR20200063092A KR102160742B1 KR 102160742 B1 KR102160742 B1 KR 102160742B1 KR 1020200063092 A KR1020200063092 A KR 1020200063092A KR 20200063092 A KR20200063092 A KR 20200063092A KR 102160742 B1 KR102160742 B1 KR 102160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module
sensor
information
notific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정현
Original Assignee
지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정현 filed Critical 지정현
Priority to KR1020200063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7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74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4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e.g. through the touch sens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9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deaf pers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6Transformation of speech into a non-audible representation, e.g. speech visualisation or speech processing for tactile aids
    • G10L21/10Transforming into visible inform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6Transformation of speech into a non-audible representation, e.g. speech visualisation or speech processing for tactile aids
    • G10L21/16Transforming into a non-visible represent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6Transformation of speech into a non-audible representation, e.g. speech visualisation or speech processing for tactile aids
    • G10L21/18Details of the transformation pro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syc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각장애인을 위한 경보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련되며, 이는 청각장애인에게 생활 알림 신호를 전달함에 있어 시각에 의존하는 알림방식에서 벗어나 후각 알림모듈, 촉각 알림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소리정보를 예비 알림하도록 구조 개선되어, 청각장애인이 취침 중이거나 독서를 하는 등의 행위로 인해 주변 상황을 인지할 수 없는 경우에도 신속하고 즉각적인 정보 전달이 가능함과 더불어 특히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감지센서의 고장 여부를 간단하게 자가 테스트하여 위급상황발생시 알리기능의 신뢰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소리감지센서(100), 서버(200), 노티스부(300), 자가 테스트부(400)를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청각장애인을 위한 경보 표시장치 및 방법{ALARM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THE HEARING IMPAIRED}
본 발명은 청각장애인을 위한 경보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청각장애인에게 생활 알림 신호를 전달함에 있어 시각에 의존하는 알림방식에서 벗어나 후각 알림모듈, 촉각 알림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소리정보를 예비 알림하도록 구조 개선되어, 청각장애인이 취침 중이거나 독서를 하는 등의 행위로 인해 주변 상황을 인지할 수 없는 경우에도 신속하고 즉각적인 정보 전달이 가능함과 더불어 특히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감지센서의 고장 여부를 간단하게 자가 테스트하여 위급상황발생시 알리기능의 신뢰도 향상을 도모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경보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 난청이 있는 사람(노인 포함)을 포함하는 청각장애인은 전체인구 중 10~20%정도(대략 750만명)가 있다. 청각장애인은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청취 능력을 상실하였거나, 청취 능력이 약한 사람들로서, 주변의 소리를 잘 듣지 못한다.
따라서, 청각장애인의 경우에 외부의 방문자에 의한 노크나 음성을 들을 수 없기 때문에 방문자가 왔는지를 내부에서 알기가 거의 불가능함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방문자가 있을 경우 내부의 청각장애인이 방문자가 왔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한 청각장애인용 방문자 표시장치의 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 10-0806639호에서, 소리 발생을 감시할 복수의 장소에 각기 설치되어 주변의 소리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 개의 마이크와, 스위칭 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면서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의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제 1 멀티플렉서와,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들 각각에 대하여 경보를 발생할 색상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하는 것을 제어하고, 상기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 1 멀티플렉서를 스위칭시키면서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들의 신호를 입력하여 경보를 발생해야 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경보를 발생해야 될 경우에 해당 마이크에 미리 설정된 색상으로 경보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칼라 램프가, 경보를 발생해야 되는 해당 마이크에 설정된 색상으로 점등되면서 경보를 표시하게 하는 램프 구동부;를 포함하여 있는 기술이 선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센서의 종류에 따라 램프의 점등 색상을 가변시켜 청각장애인이 소리 및 경보가 발생한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나, 이는 시각에 의존하는 알림방식으로 특성상 청각장애인이 취침 중이거나 독서를 하는 등의 행위로 인해 주변 상황을 인지할 수 없는 경우 램프의 점등 색상으로 표현되는 경보 신호가 무용지물인 실정이고, 특히 마이크 정상작동여부를 검증할 방법이 없어서 고장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이 따랐다.
KR 10-0806639 B1 (2011.12.15.)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청각장애인에게 생활 알림 신호를 전달함에 있어 시각에 의존하는 알림방식에서 벗어나 후각 알림모듈, 촉각 알림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소리정보를 예비 알림하도록 구조 개선되어, 청각장애인이 취침 중이거나 독서를 하는 등의 행위로 인해 주변 상황을 인지할 수 없는 경우에도 신속하고 즉각적인 정보 전달이 가능함과 더불어 특히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감지센서의 고장 여부를 간단하게 자가 테스트하여 위급상황발생시 알리기능의 신뢰도 향상을 도모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경보 표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소리 발생을 감시할 복수의 위치에 각기 설치되어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소리감지센서(100); 상기 소리감지센서(100) 마다 색인 번호를 할당하고, 색인 번호별 위치정보를 설정하는 센서설정모듈(220)과, 복수의 소리감지센서(100)에서 수신된 소리정보의 레벨 기준으로 순차 정렬하여 가장 높은 소리가 감지된 소리감지센서(100)의 색인 번호에 해당하는 위치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생성모듈(240)과, 가장 높은 소리가 감지된 소리감지센서(100)의 레벨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레벨정보 생성모듈(260)을 포함하는 서버(200); 상기 서버(200)에서 생성된 위치식별정보 및 레벨식별정보를 수신하여, 후각 알림모듈(320), 촉각 알림모듈(33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소리감지센서(100)에서 수신된 소리정보를 예비 알림한 후, 시각 알림모듈(310)을 이용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소리감지센서(100)에서 수신된 소리정보를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노티스부(300); 및 상기 노티스부(300)를 통하여 어느 하나의 소리감지센서(100)와 대응하는 위치를 지정하여 소리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소리출력모듈(410)과, 상기 소리감지센서(100)와 대응하는 위치마다 설치되고, 소리출력모듈(410) 정보를 서버(200)에서 수신하여, 소리출력모듈(410)에서 지정된 소리감지센서(100) 측으로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모듈(420)과, 스피커모듈(420)에서 출력된 소리가 노티스부(300)에서 지정된 위치의 소리감지센서(100)에서 감지되면 정상작동 신호를 출력하고, 스피커모듈(420)에서 출력된 소리가 노티스부(300)에서 지정된 위치의 소리감지센서(100)에서 미감지되면 오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검증모듈(430)을 포함하는 자가 테스트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정보 생성모듈(240)은 복수의 소리감지센서(100) 마다 할당된 색인 번호의 위치정보를 숫자, 이미지, 색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식별정보로 변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레벨정보 생성모듈(260)은 소정의 소리 세기별로 단계를 구분하고, 각 단계를 이미지, 색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소리레벨정보로 변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티스부(300)의 후각 알림모듈(320)은 소리감지센서(100)와 대응하는 위치마다 설치되고, 서버(2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어 방향제를 분사하는 향기분사부(322)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향제분사부(322)는 꽃향, 과일향, 나무향, 아로마향을 포함하는 안전상황 알림향기를 분사하는 제 1분사모듈(323)과, 타는 향, 맘모니아 향을 포함하는 자극적인 향으로 비상상황 알림향기를 분사하는 제 2분사모듈(324)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각 알림모듈(320)은 레벨정보 생성모듈(260)을 통하여 소정의 소리 세기별로 구분된 단계 중 설정 값 미만 단계의 소리가 출력되는 경우 제 1분사모듈(323)를 on 작동하고, 설정 값 이상의 단계로 소리가 출력되는 경우 제 2분사모듈(324)이 on 작동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200)는 소리감지센서(100)와 대응하는 위치마다 설치되는 움직임 감지센서(326)를 이용하여, 소리감지센서(100)를 통하여 소리가 감지된 위치에 움직임이 감지되면 향기분사부(322) 작동을 비활성화하고, 소리감지센서(100)를 통하여 소리가 감지된 위치에 움직임이 미감지되면 향기분사부(323) 작동이 활성화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티스부(300)의 촉각 알림모듈(330)은 서버(200)와 스마트폰 및 스마트워치의 진동모드와 연동에 의해 출력되고, 상기 소리감지센서(100)에서 소리정보가 수신되면, 서버(200)에서 촉각 알림모듈(330)을 통하여 진동 신호가 노티스부(300)로 출력하며, 상기 촉각 알림모듈(330)의 진동 신호는 레벨정보 생성모듈(260)을 통하여 소정의 소리 세기별로 구분된 단계 중 설정 값 이상의 단계로 소리가 출력되는 경우 지속진동을 통하여 비상상황 신호를 출력하고, 설정 값 미만 단계의 소리가 출력되는 경우 간헐 진동을 출력하여 일반상황 알림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티스부(300)의 촉각 알림모듈(330)은 소리감지센서(100)와 대응하는 위치마다 설치되고, 서버(2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어 송풍을 분사하는 송풍발생부(3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촉각 알림모듈(330)은 레벨정보 생성모듈(260)을 통하여 소정의 소리 세기별로 구분된 단계 중 설정 값 미만 단계의 소리가 출력되는 경우 송풍발생부(332)를 통하여 약풍을 출력하고, 설정 값 이상의 단계로 소리가 출력되는 경우 송풍발생부(332)을 통하여 강풍을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기 서버(200)는 소리감지센서(100)와 대응하는 위치마다 설치되는 움직임 감지센서(326)를 이용하여, 소리감지센서(100)를 통하여 소리가 감지된 위치에 움직임이 감지되면 송풍발생부(332) 작동을 비활성화하고, 소리감지센서(100)를 통하여 소리가 감지된 위치에 움직임이 미감지되면 송풍발생부(332) 작동이 활성화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청각장애인을 위한 경보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소리 발생을 감시할 복수의 위치에 각기 설치되어 소리감지센서(100)를 이용하여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정보 감지단계(S1); 상기 소리감지센서(100) 마다 색인 번호를 할당하고, 색인 번호별 위치정보를 설정하는 센서설정모듈(220)과, 복수의 소리감지센서(100)에서 수신된 소리정보의 레벨 기준으로 순차 정렬하여 가장 높은 소리가 감지된 소리감지센서(100)의 색인 번호에 해당하는 위치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생성모듈(240)과, 가장 높은 소리가 감지된 소리감지센서(100)의 레벨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레벨정보 생성모듈(260)을 포함하는 서버(200)를 이용하여 소리 발생 위치, 레벨를 연산하는 소리정보 연상단계(S2); 및 상기 서버(200)에서 생성된 위치식별정보 및 레벨식별정보를 수신하여, 후각 알림모듈(320), 촉각 알림모듈(33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소리감지센서(100)에서 수신된 소리정보를 예비 알림한 후, 시각 알림모듈(310)을 이용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소리감지센서(100)에서 수신된 소리정보를 노티스부(300)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소리정보 출력단계(S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청각장애인에게 생활 알림 신호를 전달함에 있어 시각에 의존하는 알림방식에서 벗어나 후각 알림모듈, 촉각 알림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소리정보를 예비 알림하도록 구조 개선되어, 청각장애인이 취침 중이거나 독서를 하는 등의 행위로 인해 주변 상황을 인지할 수 없는 경우에도 신속하고 즉각적인 정보 전달이 가능함과 더불어 특히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감지센서의 고장 여부를 간단하게 자가 테스트하여 위급상황발생시 알리기능의 신뢰도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경보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경보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경보 표시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경보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경보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청각장애인을 위한 경보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련되며, 이는 청각장애인에게 생활 알림 신호를 전달함에 있어 시각에 의존하는 알림방식에서 벗어나 후각 알림모듈, 촉각 알림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소리정보를 예비 알림하도록 구조 개선되어, 청각장애인이 취침 중이거나 독서를 하는 등의 행위로 인해 주변 상황을 인지할 수 없는 경우에도 신속하고 즉각적인 정보 전달이 가능함과 더불어 특히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감지센서의 고장 여부를 간단하게 자가 테스트하여 위급상황발생시 알리기능의 신뢰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소리감지센서(100), 서버(200), 노티스부(300), 자가 테스트부(400)를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소리감지센서(100)는 소리 발생을 감시할 복수의 위치에 각기 설치되어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소리감지센서(100)는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설치되는바, 일예로서 주거공간에 적용시, 각 방, 주방, 거실, 화장실, 현관 내부, 현관 외부에 설치되어, 각 영역에서 발생되는 소리정보를 감지하게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버(200)는 상기 소리감지센서(100) 마다 색인 번호를 할당하고, 색인 번호별 위치정보를 설정하는 센서설정모듈(220)과, 복수의 소리감지센서(100)에서 수신된 소리정보의 레벨 기준으로 순차 정렬하여 가장 높은 소리가 감지된 소리감지센서(100)의 색인 번호에 해당하는 위치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생성모듈(240)과, 가장 높은 소리가 감지된 소리감지센서(100)의 레벨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레벨정보 생성모듈(260)을 포함한다. 여기서 서버(200)는 스마트 폰 또는 관리실 서버, 웹 서버를 포함하고, 유,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위치정보 생성모듈(240)은 복수의 소리감지센서(100) 마다 할당된 색인 번호의 위치정보를 숫자, 이미지, 색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식별정보로 변환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레벨정보 생성모듈(260)은 소정의 소리 세기별로 단계를 구분하고, 각 단계를 이미지, 색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소리레벨정보로 변환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위치식별정보와 소리레벨정보는 서로 다른 타입으로 변환 출력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티스부(300)는 상기 서버(200)에서 생성된 위치식별정보 및 레벨식별정보를 수신하여, 후각 알림모듈(320), 촉각 알림모듈(33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소리감지센서(100)에서 수신된 소리정보를 예비 알림한 후, 시각 알림모듈(310)을 이용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소리감지센서(100)에서 수신된 소리정보를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도 1에서, 상기 노티스부(300)의 후각 알림모듈(320)은 소리감지센서(100)와 대응하는 위치마다 설치되고, 서버(2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어 방향제를 분사하는 향기분사부(322)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향제분사부(322)는 꽃향, 과일향, 나무향, 아로마향을 포함하는 안전상황 알림향기를 분사하는 제 1분사모듈(323)과, 타는 향, 맘모니아 향을 포함하는 자극적인 향으로 비상상황 알림향기를 분사하는 제 2분사모듈(32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후각 알림모듈(320)은 레벨정보 생성모듈(260)을 통하여 소정의 소리 세기별로 구분된 단계 중 설정 값 미만 단계의 소리가 출력되는 경우 제 1분사모듈(323)를 on 작동하고, 설정 값 이상의 단계로 소리가 출력되는 경우 제 2분사모듈(324)이 on 작동되도록 설정된다.
이때, 상기 서버(200)는 소리감지센서(100)와 대응하는 위치마다 설치되는 움직임 감지센서(326)를 이용하여, 소리감지센서(100)를 통하여 소리가 감지된 위치에 움직임이 감지되면 향기분사부(322) 작동을 비활성화하고, 소리감지센서(100)를 통하여 소리가 감지된 위치에 움직임이 미감지되면 향기분사부(323) 작동이 활성화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노티스부(300)의 촉각 알림모듈(330)은 서버(200)와 스마트폰 및 스마트워치의 진동모드와 연동에 의해 출력된다. 상기 소리감지센서(100)에서 소리정보가 수신되면, 서버(200)에서 촉각 알림모듈(330)을 통하여 진동 신호가 노티스부(300)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촉각 알림모듈(330)의 진동 신호는 레벨정보 생성모듈(260)을 통하여 소정의 소리 세기별로 구분된 단계 중 설정 값 이상의 단계로 소리가 출력되는 경우 지속진동을 통하여 비상상황 신호를 출력하고, 설정 값 미만 단계의 소리가 출력되는 경우 간헐 진동을 출력하여 일반상황 알림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노티스부(300)의 촉각 알림모듈(330)은 소리감지센서(100)와 대응하는 위치마다 설치되고, 서버(2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어 송풍을 분사하는 송풍발생부(33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촉각 알림모듈(330)은 레벨정보 생성모듈(260)을 통하여 소정의 소리 세기별로 구분된 단계 중 설정 값 미만 단계의 소리가 출력되는 경우 송풍발생부(332)를 통하여 약풍을 출력하고, 설정 값 이상의 단계로 소리가 출력되는 경우 송풍발생부(332)을 통하여 강풍을 출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기 서버(200)는 소리감지센서(100)와 대응하는 위치마다 설치되는 움직임 감지센서(326)를 이용하여, 소리감지센서(100)를 통하여 소리가 감지된 위치에 움직임이 감지되면 송풍발생부(332) 작동을 비활성화하고, 소리감지센서(100)를 통하여 소리가 감지된 위치에 움직임이 미감지되면 송풍발생부(332) 작동이 활성화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청각장애인에게 생활 알림 신호를 전달함에 있어 시각에 의존하는 알림방식에서 벗어나 후각 알림모듈, 촉각 알림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소리정보를 예비 알림하도록 구조 개선되어, 청각장애인이 취침 중이거나 독서를 하는 등의 행위로 인해 주변 상황을 인지할 수 없는 경우에도 신속하고 즉각적인 정보 전달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가 테스트부(400)은 상기 노티스부(300)를 통하여 어느 하나의 소리감지센서(100)와 대응하는 위치를 지정하여 소리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소리출력모듈(410)과, 상기 소리감지센서(100)와 대응하는 위치마다 설치되고, 소리출력모듈(410) 정보를 서버(200)에서 수신하여, 소리출력모듈(410)에서 지정된 소리감지센서(100) 측으로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모듈(420)과, 스피커모듈(420)에서 출력된 소리가 노티스부(300)에서 지정된 위치의 소리감지센서(100)에서 감지되면 정상작동 신호를 출력하고, 스피커모듈(420)에서 출력된 소리가 노티스부(300)에서 지정된 위치의 소리감지센서(100)에서 미감지되면 오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검증모듈(430)을 포함한다.
이에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감지센서(100)의 고장 여부를 간단하게 자가 테스트하여 위급상황발생시 알리기능의 신뢰도 향상을 도모하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경보 표시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경보 표시장치 및 방법은, 소리 발생을 감시할 복수의 위치에 각기 설치되어 소리감지센서(100)를 이용하여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정보 감지단계(S1)와, 상기 소리감지센서(100) 마다 색인 번호를 할당하고, 색인 번호별 위치정보를 설정하는 센서설정모듈(220)과, 복수의 소리감지센서(100)에서 수신된 소리정보의 레벨 기준으로 순차 정렬하여 가장 높은 소리가 감지된 소리감지센서(100)의 색인 번호에 해당하는 위치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생성모듈(240)과, 가장 높은 소리가 감지된 소리감지센서(100)의 레벨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레벨정보 생성모듈(260)을 포함하는 서버(200)를 이용하여 소리 발생 위치, 레벨를 연산하는 소리정보 연상단계(S2)와, 상기 서버(200)에서 생성된 위치식별정보 및 레벨식별정보를 수신하여, 후각 알림모듈(320), 촉각 알림모듈(33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소리감지센서(100)에서 수신된 소리정보를 예비 알림한 후, 시각 알림모듈(310)을 이용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소리감지센서(100)에서 수신된 소리정보를 노티스부(300)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소리정보 출력단계(S3)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청각장애인에게 생활 알림 신호를 전달함에 있어 시각에 의존하는 알림방식에서 벗어나 후각 알림모듈, 촉각 알림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소리정보를 예비 알림하도록 구조 개선되어, 청각장애인이 취침 중이거나 독서를 하는 등의 행위로 인해 주변 상황을 인지할 수 없는 경우에도 신속하고 즉각적인 정보 전달이 가능함과 더불어 특히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감지센서의 고장 여부를 간단하게 자가 테스트하여 위급상황발생시 알리기능의 신뢰도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또는 “~에 이웃하는” 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 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은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소리감지센서 200: 서버
300: 노티스부 400: 자가 테스트부

Claims (3)

  1. 소리 발생을 감시할 복수의 위치에 각기 설치되어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소리감지센서(100);
    상기 소리감지센서(100) 마다 색인 번호를 할당하고, 색인 번호별 위치정보를 설정하는 센서설정모듈(220)과, 복수의 소리감지센서(100)에서 수신된 소리정보의 레벨 기준으로 순차 정렬하여 가장 높은 소리가 감지된 소리감지센서(100)의 색인 번호에 해당하는 위치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생성모듈(240)과, 가장 높은 소리가 감지된 소리감지센서(100)의 레벨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레벨정보 생성모듈(260)을 포함하는 서버(200);
    상기 서버(200)에서 생성된 위치식별정보 및 레벨식별정보를 수신하여, 후각 알림모듈(320), 촉각 알림모듈(33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소리감지센서(100)에서 수신된 소리정보를 예비 알림한 후, 시각 알림모듈(310)을 이용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소리감지센서(100)에서 수신된 소리정보를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노티스부(300); 및
    상기 노티스부(300)를 통하여 어느 하나의 소리감지센서(100)와 대응하는 위치를 지정하여 소리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소리출력모듈(410)과, 상기 소리감지센서(100)와 대응하는 위치마다 설치되고, 소리출력모듈(410) 정보를 서버(200)에서 수신하여, 소리출력모듈(410)에서 지정된 소리감지센서(100) 측으로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모듈(420)과, 스피커모듈(420)에서 출력된 소리가 노티스부(300)에서 지정된 위치의 소리감지센서(100)에서 감지되면 정상작동 신호를 출력하고, 스피커모듈(420)에서 출력된 소리가 노티스부(300)에서 지정된 위치의 소리감지센서(100)에서 미감지되면 오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검증모듈(430)로 구성된 자가 테스트부(400);를 포함하며,
    후각 알림모듈(320)은 소리감지센서(100)와 대응하는 위치마다 설치되고, 서버(2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어 방향제를 분사하는 향기분사부(322)로 이루어지고, 상기 향기분사부(322)는 꽃향, 과일향, 나무향, 아로마향을 포함하는 안전상황 알림향기를 분사하는 제 1분사모듈(323)과, 타는 향, 암모니아 향을 포함하는 자극적인 향으로 비상상황 알림향기를 분사하는 제 2분사모듈(324)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각 알림모듈(320)은 레벨정보 생성모듈(260)을 통하여 소정의 소리 세기별로 구분된 단계 중 설정 값 미만 단계의 소리가 출력되는 경우 제 1분사모듈(323)를 on 작동하고, 설정 값 이상의 단계로 소리가 출력되는 경우 제 2분사모듈(324)이 on 작동되도록 설정되고,
    촉각 알림모듈(330)은 서버(200)와 스마트폰 및 스마트워치의 진동모드와 연동에 의해 출력되고, 상기 소리감지센서(100)에서 소리정보가 수신되면, 서버(200)에서 촉각 알림모듈(330)을 통하여 진동 신호가 노티스부(300)로 출력하며, 상기 촉각 알림모듈(330)의 진동 신호는 레벨정보 생성모듈(260)을 통하여 소정의 소리 세기별로 구분된 단계 중 설정 값 이상의 단계로 소리가 출력되는 경우 지속진동을 통하여 비상상황 신호를 출력하고, 설정 값 미만 단계의 소리가 출력되는 경우 간헐 진동을 출력하여 일반상황 알림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되거나, 촉각 알림모듈(330)이 소리감지센서(100)와 대응하는 위치마다 설치되고, 서버(2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어 송풍을 분사하는 송풍발생부(3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촉각 알림모듈(330)은 레벨정보 생성모듈(260)을 통하여 소정의 소리 세기별로 구분된 단계 중 설정 값 미만 단계의 소리가 출력되는 경우 송풍발생부(332)를 통하여 약풍을 출력하고, 설정 값 이상의 단계로 소리가 출력되는 경우 송풍발생부(332)를 통하여 강풍을 출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서버(200)는 소리감지센서(100)와 대응하는 위치마다 설치되는 움직임 감지센서(326)를 이용하여, 소리감지센서(100)를 통하여 소리가 감지된 위치에 움직임이 감지되면 향기분사부(322) 작동을 비활성화하고, 소리감지센서(100)를 통하여 소리가 감지된 위치에 움직임이 미감지되면 향기분사부(323) 작동이 활성화되도록 구비되거나, 소리감지센서(100)를 통하여 소리가 감지된 위치에 움직임이 감지되면 송풍발생부(332) 작동을 비활성화하고, 소리감지센서(100)를 통하여 소리가 감지된 위치에 움직임이 미감지되면 송풍발생부(332) 작동이 활성화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경보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생성모듈(240)은 복수의 소리감지센서(100) 마다 할당된 색인 번호의 위치정보를 숫자, 이미지, 색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식별정보로 변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레벨정보 생성모듈(260)은 소정의 소리 세기별로 단계를 구분하고, 각 단계를 이미지, 색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소리레벨정보로 변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경보 표시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상기 제 1 항 내지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의 청각장애인을 위한 경보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소리 발생을 감시할 복수의 위치에 각기 설치되어 소리감지센서(100)를 이용하여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정보 감지단계(S1);
    상기 소리감지센서(100) 마다 색인 번호를 할당하고, 색인 번호별 위치정보를 설정하는 센서설정모듈(220)과, 복수의 소리감지센서(100)에서 수신된 소리정보의 레벨 기준으로 순차 정렬하여 가장 높은 소리가 감지된 소리감지센서(100)의 색인 번호에 해당하는 위치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생성모듈(240)과, 가장 높은 소리가 감지된 소리감지센서(100)의 레벨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레벨정보 생성모듈(260)을 포함하는 서버(200)를 이용하여 소리 발생 위치, 레벨를 연산하는 소리정보 연상단계(S2); 및
    상기 서버(200)에서 생성된 위치식별정보 및 레벨식별정보를 수신하여, 후각 알림모듈(320), 촉각 알림모듈(33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소리감지센서(100)에서 수신된 소리정보를 예비 알림한 후, 시각 알림모듈(310)을 이용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소리감지센서(100)에서 수신된 소리정보를 노티스부(300)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소리정보 출력단계(S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경보 표시방법.
KR1020200063092A 2020-05-26 2020-05-26 청각장애인을 위한 경보 표시장치 및 방법 Active KR102160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092A KR102160742B1 (ko) 2020-05-26 2020-05-26 청각장애인을 위한 경보 표시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092A KR102160742B1 (ko) 2020-05-26 2020-05-26 청각장애인을 위한 경보 표시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742B1 true KR102160742B1 (ko) 2020-09-28

Family

ID=72801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092A Active KR102160742B1 (ko) 2020-05-26 2020-05-26 청각장애인을 위한 경보 표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7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36301A1 (en) * 1994-03-02 1996-11-21 Ab Transistor A portable modular alarm system
KR100806639B1 (ko) 2006-07-06 2008-02-26 주식회사 한국스테노 청각장애 및 난청인용 상황별 인식장치
KR20110103726A (ko) * 2010-03-15 2011-09-2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감성정보를 포함하는 청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안내방법
KR20120131699A (ko) * 2011-05-26 2012-12-05 (주)한아이티 청각장애인용 알림 시스템
KR20160038495A (ko) * 2014-09-30 2016-04-0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소리 발생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36301A1 (en) * 1994-03-02 1996-11-21 Ab Transistor A portable modular alarm system
KR100806639B1 (ko) 2006-07-06 2008-02-26 주식회사 한국스테노 청각장애 및 난청인용 상황별 인식장치
KR20110103726A (ko) * 2010-03-15 2011-09-2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감성정보를 포함하는 청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안내방법
KR20120131699A (ko) * 2011-05-26 2012-12-05 (주)한아이티 청각장애인용 알림 시스템
KR20160038495A (ko) * 2014-09-30 2016-04-0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소리 발생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8917B2 (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based building and fire systems management system
US20180114430A1 (en) Method and System for Object Location Notification in a Fire Alarm System
US9747814B2 (en) General purpose device to assist the hard of hearing
US8400266B2 (en) Monitoring device, monitoring method, and monitoring program
JPWO2009116203A1 (ja) 警報器
CN109166265A (zh) 消防联动网络广播系统的分级报警方法、终端及存储介质
KR101773898B1 (ko) 보호객체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60742B1 (ko) 청각장애인을 위한 경보 표시장치 및 방법
US200602269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a user of a security system
CN205265839U (zh) 一种智能电子猫眼监控系统
US9542831B2 (en) Audible/visible evacuation notification device
KR20200072728A (ko) 화재감지 센서장치 및 시스템
KR20220039030A (ko) 청각장애인을 위한 신속한 정보전달이 가능한 경보 표시방법
KR101615824B1 (ko) 위급상황 cctv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78396B1 (ko) 청각장애인용 호출 시스템
KR102719670B1 (ko) 스피커 셀렉터를 이용하는 오디오 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인공지능 오디오 시스템
KR101074470B1 (ko) 가로등용 옥외 비상 호출부를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
CN113194396B (zh) 助听器及其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20151587A (ko) P형 수신기의 비화재보 처리시스템
KR20190079012A (ko) 스마트 미러를 이용한 농장 관리 시스템
KR101869908B1 (ko) 조명 기구
WO2019034244A1 (en) IMAGE DISPLAY DEVICE WITH PRIORITY ALLOCATION FUNCTION TO SOUNDS
KR101996999B1 (ko) Iot 기반의 스마트 방범 시스템 및 방법
KR101883398B1 (ko) 조명 기구
JP2013041627A (ja) 警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007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9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