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59130B1 - Anti-crossing system - Google Patents

Anti-cross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130B1
KR102159130B1 KR1020190008297A KR20190008297A KR102159130B1 KR 102159130 B1 KR102159130 B1 KR 102159130B1 KR 1020190008297 A KR1020190008297 A KR 1020190008297A KR 20190008297 A KR20190008297 A KR 20190008297A KR 102159130 B1 KR102159130 B1 KR 102159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crosswalk
main body
unit
disp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2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91253A (en
Inventor
이태욱
김원규
남관현
정석찬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08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130B1/en
Publication of KR20200091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2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13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59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illumin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6Anti-collision systems for active traffic, e.g. moving vehicles, pedestrians, bik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 횡단보도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본체부, 본체부에 설치되되, 복수 개의 화살표 형상으로 구비되되, 폭방향으로 인접하여 형성되는 표시부, 본체부에 설치되어 객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표시부 및 감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인접된 복수 개의 표시부들은 LED를 구비하여 순차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crosswalks, and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a crosswalk,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provided in the shape of a plurality of arrows. A sensing unit for sensing and a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nsing unit are included, and a plurality of adjacent display units are provided with LEDs and are sequentially driven.

Description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Anti-crossing system}Anti-crossing system {Anti-crossing system}

본 발명은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횡단보도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본체부, 본체부에 설치되되, 복수개의 화살표 형상으로 구비되되, 폭방향으로 인접하여 형성되는 표시부, 본체부에 설치되어 객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인접된 복수 개의 표시부들은 LED를 구비하여 순차적으로 구동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crosswalks, and more particularly, a main body installed on both sides of a crosswalk, installed in the main body, provided in the shape of a plurality of arrows, and a display portion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the main body A system including a sensing unit installed in the unit to detect an objec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mponents, and a plurality of adjacent display units are provided with LEDs and are sequentially driven.

도로교통공단에서 발표한 교통사고 통계에 따르면 2016년 무단횡단 교통사고 발생건수가 5266건으로 2014년 4093건 보다 약 20%의 수치가 증가하였다.According to the traffic accident statistics released by the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he number of unauthorized crossing traffic accidents in 2016 was 5,266, up 20% from 4093 in 2014.

또한, 질병관리본부에서 발표한 통계자료에서는 보행자 교통사고로 인해 입원한 입원환자는 2018년 기준 연평균 약 5만명에 달하며, 사고 발생 장소는 횡단보도가 전체의 약 67%로 가장 큰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atistics releas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number of inpatients hospitalized due to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reached an annual average of about 50,000 as of 2018, and crosswalks at the location of accidents accounted for the largest number at about 67% of the total. .

이와 같이, 무단횡단으로 인하여 부상을 입거나 사망하는 일이 우리 사회에 빈번하게 많이 일어나고, 수치가 매해 증가하여 사회의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In this way, injuries or deaths due to trespassing frequently occur in our society, and the number increases every year, which is a problem in society.

이러한 무단횡단의 원인은 주로 바쁜 생활 또는 기다림의 지루함이 있었고, 또한, 무단횡단은 교통사고의 주된 원인임에도 불구하고 그 심각성을 느끼지 못하는데 문제가 있다.The cause of such crossing is mainly busy life or boredom of waiting, and there is a problem in not feeling the seriousness of crossing despite being the main cause of traffic accidents.

무단횡단은 강력한 계도, 단속 및 시민 캠페인이 절실하지만 이러한 단속과 계도만으로 횡행하는 무단횡단을 근절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In the case of trespassing,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strong guidance, crackdowns, and civil campaigns, but there is a limit to eradicating such crackdowns and guidance alone.

이에, 무단횡단 근절을 위한 특단의 대책과 시설 마련 및 방지 시스템의 개발 및 도입이 절실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nd introduce special measures and facilities preparation and prevention systems to eradicate unauthorized crossing.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06562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06562

본 발명은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횡단보도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본체부, 본체부에 설치되되, 복수개의 화살표 형상으로 구비되되, 폭방향으로 인접하여 형성되는 표시부, 본체부에 설치되어 객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인접된 복수 개의 표시부들은 LED를 구비하여 순차적으로 구동하여 보행자로 하여금 무단횡단을 방지하게 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crosswalks, and more particularly, a main body installed on both sides of a crosswalk, installed in the main body, provided in the shape of a plurality of arrows, and a display portion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the main body It includes a sensing unit installed in the unit to detect an object and a control unit to control the components, and a plurality of adjacent display units are provided with LEDs and are sequentially driven to prevent pedestrians from crossing.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 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은 횡단보도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되, 복수 개의 화살표 형상으로 구비되되, 폭방향으로 인접하여 형성되는 표시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객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표시부 및 상기 감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인접된 복수 개의 상기 표시부들은 LED를 구비하여 순차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for preventing stepless cro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installed on both sides of a crosswalk; A display unit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provided in the shape of a plurality of arrows and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A sensing unit installed on the main body to detect an objec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and the sensing unit, wherein a plurality of adjacent display units are provided with LEDs and are sequentially drive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의 상기 본체부는, 상기 횡단보도를 향하여 복수 개로 구비되어 소정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본체부의 각각의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객체의 감지 횟수를 수신받아 감지 횟수를 비교하고, 상대적으로 감지 횟수가 많은 상기 표시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cro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plural toward the crosswalk and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rranged side by side, and the control unit comprises: the detection unit in each of the plurality of main body portions. The number of detections of an object is received, the number of detections is compared, and the display unit having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detections is drive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의 상기 제어부는, 시간 테이블을 구비하여 상기 횡단보도를 보행자들이 이용하는 시간대를 설정할 수 있고, 이용이 적은 시간대에는 구동을 중지시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of the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crosswal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time table to set a time zone for pedestrians to use the crosswalk, and to stop driving at a time when the use is low,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To do.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의 상기 표시부는, 동일한 화살표 형상의 제1 표시부 내지 제4 표시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 표시부에서 상기 제4 표시부로 갈수록 색 농도가 진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of the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cro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unit includes first to fourth display units having the same arrow shape, and the color density becomes darker from the first display unit to the fourth display unit. .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의 상기 본체부의 표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of the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부는 본체부를 지나 무단횡단을 하려는 보행자에게 붉은 계열의 빛을 점등 및 점멸을 반복하여 깜박이는 형태로 경고를 발생시켜 무단횡단을 하려는 보행자에게 무단횡단을 하려는 행동을 지양할 수 있고, 무단횡단으로 인한 사고율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generates a warning in the form of flashing a red light to a pedestrian who wants to cross the body without a red light, so that the pedestrian who wants to cross the cross can be avoid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accident rate due to unauthorized crossing.

또한, 출,퇴근 시간대와 같이 많은 사람들이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시간 대에는 신호를 대기하고 횡단보도를 건너는데 혼란이 야기되는 문제점을 표시부는 감지부에 의해 보행자를 횟수로 감지하여 상대적으로 많이 대기하고 있는 지점에 점등하여 규칙을 발생시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during times when many people use the crosswalk, such as commute and commute, the display unit detects the number of pedestrians and waits relatively a lot. It has the effect of solving the conventional problem by generating a rule by lighting it at a point where there is.

또한, 밤과 같이 어두운 시간 대에 운전자는 횡단보도 및 이를 이용하려고 신호를 대기하는 보행자들을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한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의 본체부 및 표시부의 구동으로 인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 시인성이 증대되므로 사고가 예방되고,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driver to check crosswalks and pedestrians waiting for a signal to use them in dark times such as at night. Due to the driving of the main body and display unit of the unauthorized crosswalk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s visibility Since the visibility can be increased, accidents are prevented and stability is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의 본체부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의 사용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plan view of a main body of a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use of the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cro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cro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cro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as examples in order to sufficiently convey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rdinary practitioner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devic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bers indicate the same element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i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the drawings, the sizes and relative sizes of layers and region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descrip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and therefore,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ctions and/or elements, and/or elements, steps, ac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does not exclude additions.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길이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이며, "폭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y축 방향이다. The definitions of terms used below are as follows. "Longitudinal direction" refers to the x-axis direction based on FIG. 1, and "width direction" refers to the y-axis direction based on FIG. 1.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의 본체부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의 사용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plan view of a main body of a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ure 2 shows an embodiment of the use of the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cro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cro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ure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cro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은 본체부(100), 표시부(200), 감지부(300), 제어부(400) 및 전원부(500)를 포함한다.The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cro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 display 200, a detection unit 300, a control unit 400, and a power supply unit 500.

본 발명은 횡단보도(10)에서 신호를 기다리는 보행자들을 위한 지시등 혹은 유도등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고, 무단횡단의 발생률을 줄이기 위한 목적이며, 신호를 대기하는 보행자들에게 본 발명에 의한 횡단보도 방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규칙을 발생시켜 신호를 대기 또는 신호에 따라 횡단보도(10)를 건너는데 있어서 혼란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에 관련한 구성 및 효과를 서술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indicator lights or guidance lights for pedestrians waiting for a signal at the pedestrian crossing 10, and is for the purpose of reducing the incidence of unauthorized crossing, and a crosswalk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pedestrians waiting for a signal It has the purpose of preventing confusion in waiting for a signal or crossing the crosswalk 10 according to the signal by generating a rule by using. The composition and effects related to this should be described.

본체부(1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형상으로 유도등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횡단보도(10)를 향하여 인도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또한, 도면에 나타나는 본체부(100)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main body 100 may have a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may include a form of a guide lamp, and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idewalk toward the crosswalk 10. In addition,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body portion 100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또한, 본체부(100)의 재질은 열적특성, 기계적특성 및 광학특성 등이 우수한 강화 플라스틱으로 구현되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인도의 바닥면에 설치되므로 마찰 및 사람들이 밟고 지나가는 힘에 대응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main body 100 is implemented with reinforced plastic having excellent thermal properties, mechanical properties, and optical properties, and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sidewalk used by many people, so that it can respond to friction and the force that people step on. .

표시부(200)는 본체부(100)에 설치되며, 화살표 형상을 표현하는 복수 개의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폭방향으로 인접되어 표현된다. 이때, 본체부(100)에 설치되는 표시부(200)의 복수 개의 이미지는 화살표 형상에 국한되는 것이 아닌, 신호를 대기하는 보행자들에게 위험을 인지하기 위한 이미지로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고, 특정 이미지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display unit 200 is installed on the body unit 100, and a plurality of images representing the shape of arrows are sequentially display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images of the display unit 200 installed on the main body 100 are not limited to the shape of an arrow, but may be variously expressed as images for recognizing danger to pedestrians waiting for a signal. Not limited.

표시부(200)는 화살표 형상으로 동일하게 제1 표시부(210), 제2 표시부(220), 제3 표시부(230) 및 제4 표시부(240)를 구비한다.The display unit 200 includes a first display unit 210, a second display unit 220, a third display unit 230, and a fourth display unit 240 in the same shape as an arrow.

도 1과 같이, 제1 표시부(210)의 상부에서 제2 표시부(220)가 수직방향으로 인접하여 위치되고, 동일한 방식으로 제3 표시부(230) 및 제4 표시부(240)는 제1 표시부(210) 및 제2 표시부(220)와 동일선상에서 폭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된다.As shown in FIG. 1, the second display unit 220 is positioned vertically adjacent to the first display unit 210, and in the same manner, the third display unit 230 and the fourth display unit 240 are provided with the first display unit ( 21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2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same line.

이때, 표시부(200)는 제1 표시부(210) 내시 제4 표시부(240) 순으로 색 농도가 진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신호를 대기하는 사람들에게 방향을 제시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20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or density is increased in the order of the first display unit 210 and the fourth display unit 240 in the endoscope. Due to this,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give directions to those waiting for a signal.

또한, 표시부(200)는 LED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ED는 공지의 LED 모듈로써, 회로기판에 다수의 LED 소자가 일정한 배열로 장착되는 구성으로,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고, 후술할 제어부(400)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00)를 3차원 디스플레이로 구현되는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로, 시스템과 효과는 후술하도록 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lay unit 200 includes an LED. LED is a known LED module,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LED elements are mounted in a certain arrangement on a circuit board,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LEDs), driven by a control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do. In addition,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and 3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3D displays. Implementing the display unit 200 as a three-dimensional display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cro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ystem and effects will be described later.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의 형태를 포함하는 표시부(200)는 상황에 따라 색이 상이하게 발생될 수 있고, 순차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00 including such a display shape may have different colors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may be sequentially generated.

다음에서 상세하게 효과를 서술하도록 한다.The eff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첫째로, 도 2과 같이, 횡단보도(20)를 향하여 배치되었을 때, 신호를 대기하는 보행자들 중 본체부(100)를 지나 횡단보도(20)를 향하여 무단횡단을 하려는 보행자에게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ure 2, when arranged toward the crosswalk 20, among the pedestrians waiting for a signal, light is generated to the pedestrians who want to cross the crosswalk 20 past the main body 100 I can.

일 예로, 표시부(200)는 본체부(100)를 지나 무단횡단을 하려는 보행자에게 붉은 계열의 빛을 점등 및 점멸을 반복하여 깜박이는 형태로 경고를 줄 수 있다. 이는, 제어부(400)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표시부(200)의 빛은 붉은 계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경고를 줄 수 있는 색에 한정하여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unit 200 may give a warning in the form of blinking repeatedly lit and blinking a red light to a pedestrian who wants to cross the body unit 100 without permission. This may be driven by the control unit 400, and the light of the display unit 200 may be provided not limited to a red color, but limited to a color capable of giving a warning.

따라서, 무단횡단을 하려는 보행자에게 표시부(200)를 통해 경고를 발생시켜 무단횡단을 하려는 행동을 지양할 수 있고, 무단횡단으로 인한 사고율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Accordingly, by generating a warning to the pedestrian who wants to cross the crossing through the display unit 2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ehavior of crossing without permission, and the effect of preventing an accident rate due to the crossing occurs.

두번째로, 일반적으로 횡단보도(10)는 도 2와 같이, 제1 횡단보도(11)와 제2 횡단보도(12)를 구비하여 교차로 위치되어 도로 위에 도로 표지의 형태로 설치된다. 제1 횡단보도(11) 및 제2 횡단보도(12)를 출,퇴근 시간대와 같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시간 대에는 신호를 대기하고 신호를 지켜 횡단보도(10)를 건너는데 혼란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Second, in general, the crosswalk 10 is located at an intersection with a first crosswalk 11 and a second crosswalk 12 as shown in FIG. 2 and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 road sign on the road. There is a problem that confusion is caused when crossing the crosswalk 10 by waiting for the signal and watching the signal during times when many people use the first crosswalk 11 and the second crosswalk 12 during the commute and commute period. have.

이에, 본 발명에 의한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의 표시부(200)는 후술할 감지부(300)에 의해 보행자를 횟수로 감지하여 상대적으로 많이 대기하고 있는 지점에 점등하여 규칙을 발생시켜 횡단보도(10)를 건너는데 있어서 혼란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display unit 200 of the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cro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pedestrian as a number of times by a detection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urns on at a point where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waiting is generated to generate a rule to thereby generate a crosswalk 10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confusion in crossing.

즉, 횡단보도(10)를 향하여 본체부(100A, 100B, 100C, 100D)가 나란히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어 배치되는데, 보행자를 감지하여 상대적으로 본체부(100A, 100B) 보다 본체부(100C, 100D)에 많이 위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본체부(100C, 100D)의 표시부(200)를 구동시켜 제2 횡단보도(12)를 이용하여 도로를 건널 수 있게 하는 규칙을 발생시킬 수 있다.That is, the main body parts 100A, 100B, 100C, and 100D are arranged side by sid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crosswalk 10, and the main body part is relatively more than the main body parts 100A, 100B by detecting pedestrians. If there are many locations in (100C, 100D),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rule that enables the display unit 200 of the main body 100C, 100D to be driven to cross the road using the second crosswalk 12. .

또한, 횡단보도(10)를 향하여 본체부(100a, 100b, 100c, 100d)가 나란히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어 배치되는데, 본체부(100c, 100d) 보다 본체부(100a, 100b)가 상대적으로 보행자의 횟수가 많이 감지될 경우에 본체부(100a, 100b)의 표시부(200)를 구동시켜 제1 횡단보도(11)를 이용하여 도로를 건널 수 있게 하는 규칙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parts 100a, 100b, 100c, and 100d are arranged side by si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crosswalk 10, and the main body parts 100a, 100b are more than the main body parts 100c, 100d. When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pedestrians is detected, a rule that enables the display unit 200 of the main body parts 100a and 100b to be driven to cross the road using the first crosswalk 11 may be generated.

따라서, 횡단보도(10)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각각의 본체부(100) 및 표시부(200)를 통해 시각적으로 먼저 전달받을 수 있으므로, 신호 대기 후에 도로를 건너면서 서로 부딪히거나 보행자들이 몰려 발생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people who use the crosswalk 10 can be visually transmitted first through each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display unit 200, so that the inconvenience caused by colliding with each other while crossing the road after waiting for a signal or crowding of pedestrian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liminate the box.

위와 같이, 상황에 따라 표시부(200)를 구동시킬 수 있고, 제1 표시부(210)에서 제2 표시부(240)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방식을 포함하여 신호를 대기하는 보행자들로 하여금 순간적으로 집중도를 높여 위와 같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As above, it is possible to drive the display unit 200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cluding a method in which the first display unit 210 is sequentially turned on toward the second display unit 240 so that pedestrians waiting for the signal can be momentarily concentrated. You can maximize the above effect by increasing the value.

마지막으로, 밤과 같이 어두운 시간 대에 운전자는 횡단보도(10) 및 이를 이용하려고 신호를 대기하는 보행자들을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한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의 본체부(100) 및 표시부(200)로 인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 시인성이 증대되므로 사고가 예방되고,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Final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driver to check the pedestrian crossing 10 and the pedestrians waiting for a signal to use it in dark times such as at night. The main body 100 and the display unit of the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cro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200),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driver's field of view, thereby increasing visibility, thereby preventing accidents and improving stability.

즉, 운전자는 어두운 밤과 같은 경우에는 횡단보도(10)를 이용하는 보행자들을 확인하기 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각각의 본체부(100)에 설치된 표시부(200)로 인하여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어 운전자의 시인성이 증대되어 어두운 시간대의 횡단보도(10)에서 사고율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more difficult for the driver to identify pedestrians using the crosswalk 10 in the case of a dark night. However, due to the display unit 200 installed in each main unit 100, the driver's visibility is increased because it can be visually recognized, thereby reducing the accident rate in the crosswalk 10 in a dark time.

이와 같은 구동은 감지부(300)를 통해 구동되어 진다.(도 3 참조)Such driving is driven through the sensing unit 300 (see FIG. 3).

감지부(300)는 본체부(100)부에 설치되어 상대적으로 횡단보도(10)와 가까운 쪽에 위치하여 횡단보도를 향하여 가는 보행자들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들로 구비된다. 일 예로, 감지부(300)는 열화상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및 초음파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차도를 무단횡단 하려는 보행자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감지부(300)는 열화상 카메라 또는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도로 진입하는 보행체에 대하여 횟수로 감지할 수 있다.The detection unit 300 is provided with sensor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0 and positioned relatively close to the crosswalk 10 to recognize pedestrians going toward the crosswalk.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300 may include a thermal imaging camera, an infrared camera, an ultrasonic sensor, and the like, and may detect a pedestrian who attempts to cross a road without permission. For example, the detection unit 300 may detect the number of times a pedestrian entering the roadway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or an infrared camera.

또한, 감지부(300)는 보행자 신호등 또는 차량 신호등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감지부(300)는 보행자 신호등의 신호가 빨간색이고, 차량 신호동의 신호가 파란색일 경우, 보행자를 식별하고 무단 횡단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ction unit 300 may be connected to a pedestrian traffic light or a vehicle traffic light. Accordingly, when the signal of the pedestrian traffic light is red and the signal of the vehicle signal is blue, the detection unit 300 may identify the pedestrian and detect whether or not to cross the vehicle without permission.

제어부(400)는 통상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본체부(100) 내부 혹은 신호등 및 횡단보도(10) 근처에 지지대를 동반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400)는 각각의 표시부(200) 및 감지부(300)를 구동하기 위해 신호를 수신 및 출력을 공급하여 동작을 지시하는 공지의 제어장치(control unit)로,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이는, 공지의 제어 기술인 프로세서 및 알고리즘 등에 의해 저장 및 실행될 수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400 gener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crosswal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preferably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0 or near a traffic light and a crosswalk 10 along with a support.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0 is a known control unit that instructs the operation by receiving and supplying signals to drive the respective display unit 200 and the sensing unit 300, and controls the components. do. Since this can be stored and executed by a processor and an algorithm, which are known control technologies,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제어부(400)는 스피커가 구비되어 소리 또는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스피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음향 출력 모듈 및 프로젝터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400 may be provided with a speaker to output sound or voice. It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and may include an audio output module and a projector module, not limited to a speaker.

위와 같은 제어부(400)는 각각의 감지부(300)의 신호를 수신 받을 수 있고, 이를 조합하여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표시부(200)에 붉은 계열의 색상으로 점등시키기 위해 제어를 할 경우에는 스피커에서 음성이 동시에 출력되어 무단횡단을 하려는 보행자에게 시각뿐 만 아니라 청각으로도 경고를 인지하게 하여 무단행동을 하는 보행자의 행동을 규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ontrol unit 400 as described above may receive signals from each of the sensing units 300, and may combine and transmit a signal for driving. In addition, in the case of controlling each display unit 200 to light up in a red color, a voice is output from the speaker at the same time, so that pedestrians who want to crosswalk are not only visually but also audible to recognize the warning to prevent unauthorized action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gulate the behavior of pedestrians who do.

또한, 제어부(400)는 시간 테이블을 구비하여 상기 횡단보도를 보행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시간대를 설정할 수 있고, 이용이 적은 시간대에는 구동을 중지시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0 may have a time table to set a time zone in which pedestrians mainly use the crosswalk, and stop driving during a time when the use is less,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즉, 상대적으로 보행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시간 대인 출,퇴근 시간 및 등하교 시간이 설정된 시간 테이블을 구비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보행자들의 이용이 적은 시간대에는 구동을 임의적으로 중지시켜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have a time table in which the commute, commute time, and commute time, which are the times mainly used by pedestrians, can be provided, and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by arbitrarily stopping driving during times when the use of pedestrians is relatively low. have.

전원부(500)는 도면에 미 도시되었지만,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power supply unit 50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0 to supply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a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or a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 구현에 따르면, 예를 들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field programmbled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등의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hardware implementation, for exampl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ed gate arrays (FPGAs), processors ),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cro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본 발명에 의한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의 표시부(200)는 서술한 바와 같이 3D 디스플레이 또는 3D 홀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입체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The display unit 200 of the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cro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3D display or a 3D hologram as described above to exhibit a three-dimensional shape.

여기서, 디지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실시간 기록되는 이미지를 가간섭성이 있는 광원을 활용하여 3차원 입체 영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때, 가간섭성이란, 기다란 실 같은 빛의 성질을 의미한다. 따라서, 형광등, 백열등, LED 등은 이런 간섭성이 없으므로, 짧은 실 조각 같은 광선이 사방으로 퍼져 나가는 방식으로 입체 형상을 형성할 수 없다. 이와 같은 홀로그램은 광선들이 서로 만나 간섭하는 원리를 통해 입체적으로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광선들이 보강 간섭하는 위치에서 밝은 빛으로 된 점이 생기고 이러한 점을 수천수만 개씩 원하는 이미지 패턴으로 만들어 주면 공간에 떠있는 3차원 입체 이미지가 만들어지게 된다. 이러한 간섭으로 이루어지는 빛의 점들이 디스플레이에서 필셀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Here, in the digital holographic display, an image recorded in real time through the display may be implemented as a 3D stereoscopic image by using a light source having coherence. At this time, the coherence means the property of long, threadlike light. Therefore, since fluorescent lamps, incandescent lamps, LEDs, etc. do not have such interference, a three-dimensional shape cannot be formed in such a way that a short piece of thread-like rays spread out in all directions. Such a hologram can form an image three-dimensionally through the principle that rays meet and interfere with each other. A bright light dot is created at the place where the rays interfere constructively, and if you create a desired image pattern by tens of thousands of these dots, a three-dimensional image floating in space is created. It can be seen that the light points made by such interference act as a pixel in the display.

또한, 표시부(200)는 프로젝터 모듈로 구현될 수 있고, 프로젝터 모듈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모듈, LCD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은 도면에 미 도시 되었지만,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00 may be implemented as a projector module, and the projector module may be divided into a cathode ray tube (CRT) module, an LCD module, and a digital light processing (DLP) module, depending on the type of device of the display means. In particular, the DLP module may be advantageous for miniaturization of a projector module by expanding and projecting an image generated by reflecting light generated from a light source onto a 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 chip. Specifically, the projector module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a light source that generates light for outputting an image to the outside, an image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n image to be output to the outside using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and a certain focus of the image It may include a lens for enlarged output from a distance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projector module may include a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direction of image projection by mechanically moving the lens or the entire module.

이와 같은, 디지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로 구비된 본 발명에 의한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에서 표시부(200)는 일 예로, 강아지 형상으로 구현되어 강아지가 신발을 깨무는 행동으로 보행자가 뒤로 물러서도록 유도하여 무단횡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상업적 광고 및 마케팅 활동으로 활용이 가능함에 따라, 짧은 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수익창출을 위한 프로모션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의 활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In such a digital holographic display, the display unit 200 in the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cro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the shape of a dog, for example, to induce a pedestrian to retreat by a dog biting a shoe to prevent unauthorized cross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In addition, since it can be used for various commercial advertisements and marketing activities, promotions for generating profits can be effectively carried out within a short time, thereby increasing the utility of the unauthorized crosswalk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체부(100)에는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body part 100.

상기 코팅층(미도시)은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되는 것으로, 상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층은 대전 방지 효과 및 방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에 의해 먼지 등의 부착을 방지함과 동시에 발수 효과로 인해, 우수한 방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전도성 필러 및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ating layer (not shown) is coated using a coating composition, and the coating layer using the coating composition may exhibit an antistatic effect and a waterproof effect. Specifically, the coating layer prevents adhesion of dust and the like, and at the same time, due to the water-repellent effect, an excellent waterproof effect may be exhibited. More specifically, the coat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iloxane-based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 It may include a conductive filler and carbon nanotubes.

[화학식 1][Formula 1]

Figure 112019007947742-pat00001
Figure 112019007947742-pat00001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Where n is an integer from 1 to 100.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한 이후, 접촉각 측정 결과, 130 내지 140도로 확인되었으며, 상기 접촉각의 범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코팅층에 의해 방수 효과가 나타난다고 할 것이다. After forming the coating layer using the coat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angle measurement result was found to be 130 to 140 degrees, and as can be seen in the range of the contact angle, it will be said that the waterproof effect is exhibited by the coating layer.

상기 전도성 필러는 실리카, 알루미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필러의 입자 직경은 70 내지 100㎛이지만,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전도성 필러는 대전방지층 내에서 전기 전도성을 나타낼 수 있다. The conductive fill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a, alumina, and mixtures thereof.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conductive filler is 70 to 100 μm,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The conductive filler may exhibit electrical conductivity in the antistatic layer.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소량 포함되어, 대전방지층 내의 대전 방지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고가의 전도성 필러인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 내의 코팅층에는 소량 포함되어, 지속적인 대전방지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The carbon nanotubes are contained in a small amount, so that the antistatic effect in the antistatic layer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Considering that the carbon nanotube is an expensive conductive filler, it is contained in a small amount in the coating layer in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it can maintain a continuous antistatic effect.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코팅층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전도성 필러 및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여, 대전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실록산계 화합물은 친수성 부분과 소수성 부분으로 구별된다. 친수성 부분은 비공유 전자쌍을 포함하는 산소 원자에 의해, 물 분자와 수소 결합이 가능하다. 반면,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포함하는 소수성기를 추가로 포함함에 따라, 친수성 부분의 반대 부분은 소수성기가 작용한다. 따라서, 친수성 부분이 대전방지층의 표면으로 위치하게 되고, 소수성 부분이 그 반대로 위치하게 되어, 반영구적인 대전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oating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iloxane-based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By including a conductive filler and carbon nanotubes, it may exhibit an antistatic effect. The siloxane-based compound is divided into a hydrophilic portion and a hydrophobic portion. The hydrophilic moiety is capable of hydrogen bonding with water molecules by means of an oxygen atom containing an unshared electron pair. On the other hand, as a hydrophobic group including an alkyl group or an aryl group is additionally included, a hydrophobic group acts on the opposite portion of the hydrophilic portion. Therefore, the hydrophilic portion is positioned as the surface of the antistatic layer, and the hydrophobic portion is positioned oppositely, thereby exhibiting a semi-permanent antistatic effect.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전도성 필러, 탄소나노튜브 및 유기용매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In order to form the coating layer, the coating composition is more specifically a siloxane-based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It can be prepared by mixing a conductive filler, a carbon nanotube, and an organic solvent.

상기 유기 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헥세인, 프로페인, 톨루엔, 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The organic solven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anol, methanol, butanol, hexane, propane, toluene, phenol, and mixtures thereof.

상기 코팅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40 내지 60 중량부, 전도성 필러 20 내지 40 중량부 및 탄소나노튜브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대전 방지 및 방수 효과가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The coating composition may include 40 to 60 parts by weight of the siloxan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20 to 40 parts by weight of a conductive filler, and 5 to 15 parts by weight of carbon nanotube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organic solvent. In the case of the above range, the synergistic effect of antistatic and waterproof effects due to the interaction of the respective constituents is exhibited to a degree of critical significance, and if it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 synergistic effect is rapidly reduced or almost no.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팅 조성물의 점도는 1500 내지 1800cP이며, 상기 점도가 1500cP 미만인 경우에는 기재층의 일면에 코팅 시 흘러내려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1800cP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More preferably, the viscosity of the coating composition is 1500 to 1800 cP, and if the viscosity is less than 1500 cP, there is a problem that it flows down during coating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layer, making it difficult to form a coating layer, and if it exceeds 1800 cP, it is unifor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ormation of the coating layer is not easy.

[제조예 1: 코팅층의 제조][Production Example 1: Preparation of coating layer]

1. 코팅 조성물의 제조1. Preparation of coating composition

톨루엔 및 페놀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유기 용매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전도성 필러 및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하여, 대전방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n antistatic composition was prepared by mixing a siloxane-based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a conductive filler, and a carbon nanotube in an organic solvent in which toluene and phenol we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1:1:

[화학식 1][Formula 1]

Figure 112019007947742-pat00002
Figure 112019007947742-pat00002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Where n is an integer from 1 to 100.

상기 대전방지 조성물의 보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A more specific composition of the antistatic composition is shown in Table 1 below.

TX1
TX1
TX2
TX2
TX3
TX3
TX4
TX4
TX5
TX5
유기용매
Organic solvent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폴리실록산
Polysiloxane
30
30
40
40
50
50
60
60
70
70
전도성 필러
Conductive filler
10
10
20
20
30
30
40
40
50
50
탄소나노튜브
Carbon nanotube
1
One
5
5
10
10
15
15
20
20

(단위 중량부)(Unit weight part)

2. 코팅층의 제조2. Preparation of coating layer

기재층의 일면에 상기 DX1 내지 DX5의 코팅 조성물을 도포 후, 경화시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대전 방지 및 균일 코팅층의 형성을 실험하기 위해, 태양광패널 대신 폴리카보네이트를 기재층으로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After applying the coating composition of DX1 to DX5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layer, it was cured to form a coating layer. In order to test antistatic and uniform coating layer formation, an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polycarbonate as a base layer instead of a solar panel.

[실험예 1: 대전방지 효과 실험][Experimental Example 1: Antistatic Effect Experiment]

1. 점도 측정1. Viscosity measurement

폴리카보네이트 기재층의 일면에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기 전에, 대전방지 조성물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점도 측정은 레오미터 (Rheometer, Compac-100, Sun Sci. Co., Japan)를 이용하였다. 점도 측정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Before forming the antistatic layer on one side of the polycarbonate base layer, the viscosity of the antistatic composition was measured. The viscosity was measured using a rheometer (Rheometer, Compac-100, Sun Sci. Co., Japan). The viscosity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TX1
TX1
TX2
TX2
TX3
TX3
TX4
TX4
TX5
TX5
점도(cP)
Viscosity (cP)
620
620
1520
1520
1600
1600
1750
1750
1910
1910

2. 표면 전기 저항 측정2.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measurement

폴리카보네이트 기재의 일면에 TX1 내지 TX5의 대전방지층이 형성된 보호층에 대해, Resistance Meter SIMCO 저항기 ST-4(23℃, 상대습도 50%)를 이용하여 표면전기저항을 측정하였다. For the protective layer in which the antistatic layer of TX1 to TX5 was formed on one side of the polycarbonate substrate,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was measured using a Resistance Meter SIMCO resistor ST-4 (23° C., 50% relative humidity).

비교예로, 대전방지층이 형성되지 않은 폴리카보네이트 기재에 대한 표면전기저항도 함께 측정하였다.As a comparative example, the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polycarbonate substrate on which the antistatic layer was not formed was also measured.

비교예
Comparative example
TX1
TX1
TX2
TX2
TX3
TX3
TX4
TX4
TX5
TX5
표면전기저항
(Ω/cm2)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Ω/cm2)
7.4×1011 내지 1.6×1012
7.4×1011 to 1.6×1012
6.4×109 내지 1.4×1010
6.4×109 to 1.4×1010
1.4×109 내지 1.6×1010
1.4×109 to 1.6×1010
4.4×107 내지 2.1×108
4.4×107 to 2.1×108
6.5×107 내지 4.5×108
6.5×107 to 4.5×108
5.8×108 내지 7.8×108
5.8×108 to 7.8×108

상기 표 3에 따르면, 대전방지층이 형성되지 않은 비교예에 비해, TX 1 내지 TX5의 표면전기저항이 낮으므로, 전기전도도가 우수하여, 우수한 대전방지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able 3,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antistatic layer was not formed, since the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of TX 1 to TX5 was low, it was confirmed tha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was excellent, and thus an excellent antistatic effect was exhibited.

3. 표면 외관에 대한 평가3. Evaluation of surface appearance

대전방지 조성물의 점도 차이로 인해, 코팅층을 제조한 이후, 균일한 표면이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고, 하기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Due to the difference in viscosity of the antistatic composition, after preparing the coating layer,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as to whether a uniform surface was formed. Evaluation was conducted as to whether or not a uniform coating layer was formed, and evaluation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 균일한 코팅층 형성○: Uniform coating layer formation

×: 불균일한 코팅층의 형성×: formation of a non-uniform coating layer

TX1
TX1
TX2
TX2
TX3
TX3
TX4
TX4
TX5
TX5
관능 평가
Sensory evaluation
×
×






×
×

코팅층을 형성할 때, 일정 점도 미만인 경우에는 폴리카보네이트의 표면에서 흐름이 발생하여, 경화 공정 이후,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어려운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생산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도, 조성물의 균일 도포가 어려워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불가하였다.When forming the coating layer, when it is less than a certain viscosity, flow occurs on the surface of the polycarbonate, and there are many cases where it is difficult to form a uniform coating layer after the curing process. Accordingly, a problem of lowering the production yield may occur. In addition, even when the viscosity is too high, it was difficult to uniformly apply the composition, and thus it was impossible to form a uniform coating layer.

4. 발수각의 측정4. Measurement of water repellency angle

상기 기재층에 코팅층을 형성한 이후, 발수각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After forming the coating layer on the substrate layer,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water repellency are shown in Table 5 below.

전진 접촉각(°) Advance contact angle (°) 정지 접촉각(°)Stop contact angle (°) 후진 접촉각(°)Reverse contact angle (°) TX1TX1 117.±12.9117.±12.9 112.1±4.1112.1±4.1 < 10<10 TX2TX2 132.4±1.5132.4±1.5 131.5±2.7131.5±2.7 141.7±3.4141.7±3.4 TX3TX3 138.9±3.0138.9±3.0 138.9±2.7138.9±2.7 139.8±3.7139.8±3.7 TX4TX4 136.9±2.0136.9±2.0 135.6±2.6135.6±2.6 140.4±3.4140.4±3.4 TX5TX5 116.9±0.7116.9±0.7 115.4±3.0115.4±3.0 < 10<10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TX1 내지 TX5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한 이후, 접촉각을 측정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As shown in Table 5, after forming the coating layer using the coating composition of TX1 to TX5, the contact angle was measured and the result was confirmed.

TX1 및 TX5는 후진 접촉각이 10도 미만으로 측정되었다. 즉,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최적의 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 물방울이 피닝(Pinning)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TX2 내지 4에서는 피닝 현상이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하여 우수한 방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X1 and TX5 were measured to have a reverse contact angle of less than 10 degrees. That is, when it is out of the optimum range for preparing the coating composition, it was confirmed that a phenomenon in which water droplets are pinned occurs.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inning phenomenon did not occur in TX2 to 4, and it was confirmed that an excellent waterproof effect could be exhibited.

따라서, 위와 같은 성질의 코팅층이 본체부(100)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므로, 대전 방지 효과 및 방수 효과가 발생하여 녹이 슬거나 부패되기 쉬운 외부 환경에서 수명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Therefore, since the coating layer having the above properties is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 antistatic effect and a waterproof effect are generated, and thus the lifespan is increased in an external environment where rust or decay occurs.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ROM, RAM, 플레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um), ROM, RAM, flash memory, etc.,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Examples of the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can be changed to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spirit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field.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10 : 횡단보도, 11 : 제1 횡단보도
12 : 제2 횡단보도, 20 : 사람,
100 : 본체부, 200 : 표시부,
210 : 제1 표시부, 220 : 제2 표시부,
230 : 제3 표시부, 240 : 제4 표시부,
300 : 감지부, 400 : 제어부,
500 : 전원부.
10: crosswalk, 11: first crosswalk
12: 2nd crosswalk, 20: people,
100: main body, 200: display,
210: first display unit, 220: second display unit,
230: third display unit, 240: fourth display unit,
300: detection unit, 400: control unit,
500: power supply.

Claims (5)

횡단보도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되, 복수 개의 화살표 형상으로 구비되되, 폭방향으로 인접하여 형성되는 표시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객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표시부 및 상기 감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인접된 복수 개의 상기 표시부들은 LED를 구비하여 순차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횡단보도를 향하여 복수 개로 구비되어 소정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본체부의 각각의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객체의 감지 횟수를 수신받아 감지 횟수를 비교하고, 상대적으로 감지 횟수가 많은 상기 표시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시간 테이블을 구비하여 상기 횡단보도를 보행자들이 이용하는 시간대를 설정할 수 있고, 이용이 적은 시간대에는 구동을 중지시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표시부는,
동일한 화살표 형상의 제1 표시부 내지 제4 표시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 표시부에서 상기 제4 표시부로 갈수록 색 농도가 진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본체부의 표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코팅층은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대전 방지 및 방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코팅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전도성 필러 및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무단횡단 방지 시스템:
[화학식 1]
Figure 112020050593457-pat00007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Body part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rosswalk;
A display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provided in the shape of a plurality of arrows and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A sensing unit installed on the main body to detect an object; And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and the detection unit,
A plurality of adjacent display units are provided with LEDs and are sequentially driven,
The body part,
It is provided in plural toward the crosswalk and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rranged side by side,
The control unit,
Each of the detection units of the plurality of body units receives the number of detections of the object, compares the number of detections, and drives the display unit having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detections,
The control unit,
With a time table, it is possible to set a time zone for pedestrians to use the crosswalk,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y stopping driving at a time when the use is low,
The display unit,
Provided with the first to fourth display portions of the same arrow shape,
The color density becomes darker from the first display unit to the fourth display unit,
A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coating layer is formed using a coating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exhibits antistatic and waterproof effects,
The coating composition may include a siloxane-based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below; Containing a conductive filler and carbon nanotubes;
Trespass Prevention System:
[Formula 1]
Figure 112020050593457-pat00007

Here, n is an integer from 1 to 10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08297A 2019-01-22 2019-01-22 Anti-crossing system Active KR1021591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297A KR102159130B1 (en) 2019-01-22 2019-01-22 Anti-cross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297A KR102159130B1 (en) 2019-01-22 2019-01-22 Anti-cross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253A KR20200091253A (en) 2020-07-30
KR102159130B1 true KR102159130B1 (en) 2020-09-23

Family

ID=71839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297A Active KR102159130B1 (en) 2019-01-22 2019-01-22 Anti-cross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13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461B1 (en) * 2020-12-31 2023-05-2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Traffic accident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802B1 (en) 2012-05-30 2013-12-03 최원근 Using an led light beam crossing signal device theft
JP2014237530A (en) 2013-06-10 2014-12-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passenger guiding device and elevator passenger guiding method
KR101702343B1 (en) * 2016-07-22 2017-02-03 주식회사 홍우비앤티 Safety guidance block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836B1 (en) * 2011-10-11 2013-11-20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Sign lamps and sign device using it
KR101884001B1 (en) 2016-07-08 2018-08-01 원유석 pedestrians and drivers attention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1942709B1 (en) * 2017-03-07 2019-02-27 주식회사 효성티앤에스 Sidewalk Block with Lighting Mea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802B1 (en) 2012-05-30 2013-12-03 최원근 Using an led light beam crossing signal device theft
JP2014237530A (en) 2013-06-10 2014-12-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passenger guiding device and elevator passenger guiding method
KR101702343B1 (en) * 2016-07-22 2017-02-03 주식회사 홍우비앤티 Safety guidance b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253A (en) 202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504377A (en) Road marking system
JP2019517032A (en) Hybrid reflection-emitting image display
US9896020B2 (en) Vehicle lighting assembly
JP2012515416A (en) Large area light panel and screen
KR101466546B1 (en) Duplex Signboard for Edge Type surface light source
JP2004513484A (en) Emission display brightness enhancement
KR20130064140A (en) Illumin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CN104459845A (en) Quantum dot light diffusion film
US20100117524A1 (en) Light emitting device
KR20170044790A (en) Back light unit
CN104582996B (en) Device for showing information in the car
KR102159130B1 (en) Anti-crossing system
KR20200009930A (en) Display apparatus and light guide plate
KR101970997B1 (en) A attached/insertion type railing advertisement device using transparent led film
KR20200030918A (en) Visual guidance facilities using partial adhesion
US10876712B2 (en) Comfort of outdoor luminaires due to phyllotactic arrangement of LED sources
KR20200123579A (en) Crosswalk signal display system using luminous braille block
KR101559544B1 (en) Safety sign board of CCTV using crime prevention
KR101471389B1 (en) Apparatus of surface light source for signboard
US20170351018A1 (en) Light emitting arrangement for illuminated surfaces
KR101300923B1 (en) Road border with LED signs
TWM504254U (en) Sidelight type smart substrate display device
CN204303298U (en) A kind of illuminating traffic label
JP7439421B2 (en) dimming system
CN202584645U (en) Light reflecting and emitting 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9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