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58818B1 - 슬림형 월 마운트 - Google Patents

슬림형 월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818B1
KR102158818B1 KR1020190036529A KR20190036529A KR102158818B1 KR 102158818 B1 KR102158818 B1 KR 102158818B1 KR 1020190036529 A KR1020190036529 A KR 1020190036529A KR 20190036529 A KR20190036529 A KR 20190036529A KR 102158818 B1 KR102158818 B1 KR 102158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m
wall
wall mount
head
guide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식
Original Assignee
동오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오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오정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6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8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81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림형 월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비교적 구조의 월 마운트를 이용한 슬림형 대형 TV를 벽면 사이와 거리를 최소화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장착된 구조는 걸이부재에 간단히 탈거 가능하면서 고정부재로서 베이스플레이트의 후방에서 걸이부재를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구조와 더불어 가장자리측의 보강리브, 후면이 함몰되고 전면이 돌출된 설치부는 베이스플레이트의 휨 발생없이 충분히 고중량의 TV무게를 안정감 있게 지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벽면 밀착은 TV에 가해지는 외력에 저항감을 향상시키고, 파손율을 줄여줄 수 있다.

Description

슬림형 월 마운트{Slim type wall mount}
본 발명은 슬림형 월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최소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조의 월 마운트를 제공하여 월 마운트에 슬림형 대형 TV를 벽 사이와의 거리를 최소화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대상물의 고정된 상태에서는 충분히 고중량의 무게를 안정감 있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슬림형 월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슬림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설치 공간 점유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벽면에 고정하는 설치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월 마운트(Wall mount)를 이용하고 있다.
슬림형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LCD TV, PDP TV 및 OLED TV 등이 있는데, 슬림화 및 고화질 제품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 중이며, 특히 OLED TV의 시장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다. 그리고, 슬림형 TV의 경우에는 40% 이상이 벽걸이형 TV로 설치되고 있어, 벽걸이형 TV 시장이 성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벽면에 초밀착하는 벽걸이형 TV가 개발되어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벽걸이형 TV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월마운트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LCD TV나 PDP TV와 같은 기존의 벽걸이형 TV는 시야각이 좁아 TV를 회전해야 하기 때문에 넓은 설치 공간이 필요하고, 그로 인해 벽에서 돌출되어 설치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최근 개발된 최신형 OLED TV는 광시야각을 확보함에 따라 TV를 회전할 필요가 없으므로, 벽에서 돌출하도록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초슬림 벽걸이형 TV는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고 인테리어 측면에서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OLED 벽걸이형 TV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초슬림 월 마운트의 개발이 필요하다.
통상적으로 슬림형 TV 제품은 대부분 두께 7㎜ 이하로서 휨에 의한 크랙에 취약하며, 기존의 월 마운트를 이용한 OLED TV 고정 시에는 벽과 TV 사이 공간이 넓어 외부 힘에 의한 파손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초슬림 OLED TV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서는 넓은 면적에 대한 서포트가 필요하며, 벽과 TV 사이 공간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통상적인 벽걸이 TV용 월 마운트는 강판 또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하고 있어 중량이 6~8㎏으로 무겁고,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개발비용이 높으며, 복잡한 생산 공정으로 인해 단가가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
한편, 월 마운트와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벽면에 부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며, 다단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각도조절부를 갖는 고정브래킷과; 고정브래킷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되는 회동브래킷과; 고정브래킷 및 회동브래킷을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링크와; 연결링크에 연결되어 각도조절부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며, 각도조절부에 대해 슬라이딩 승강됨으로써 고정브래킷에 대한 회동브래킷의 경사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플런저유닛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각도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절된 화면각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월 마운트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벽면에 가로 방향으로 부착되며 양 단부의 절곡부에 걸림홈이 형성된 간격유지브래킷과, 벽면의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부측에 상기 걸림홈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전면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걸림 고정되는 다수의 결합공이 형성된 지지브래킷으로 구성된 월 마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브래킷의 양 단에 상기 지지브래킷의 결합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가 형성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에 따라 별도로 월 마운트 장치를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사라지고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벽걸이 디스플레이 장치용 월 마운트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벽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전단에 메인환형결합부를 가지는 베이스브라켓과; 메인환형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서브환형결합부 및 내주면에 제1만곡면이 형성된 제1만곡부를 가지는 제1만곡브라켓과; 제1서브환형결합부에 고정되는 제2서브환형결합부 및 내주면에 상기 제1만곡면에 대향되는 제2만곡면이 형성된 제2만곡부를 가지는 제2만곡브라켓과; 제1,2만곡부 내부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제1,2만곡면에 밀착되는 만곡면이 형성된 구형브라켓과; 구형브라켓에 결합되는 축부와; 축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패널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거치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패널디스플레이 틸팅 및 스위블 월 마운트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4는, 높이가 고정된 슬라이드가이드(Slide Guide), 상기 슬라이드가이드에 안내되어 상하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바디(Slide Body) 및, 상기 슬라이드바디에 결합되고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되는 장착유닛;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의 설치 높이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월 마운트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KR 10-[0019] 2005-0028518 A KR 10-0763283 B1 KR 10-0861690 B1 KR 10-2009-0016932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최소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조의 월 마운트를 제공하여 월 마운트에 슬림형 대형 TV를 벽 사이와의 거리를 최소화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대상물의 고정된 상태에서는 충분히 고중량의 무게를 안정감 있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슬림형 월 마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슬림형 대형 TV의 후면측 베사(VESA)규격에 맞게 고정되어 체결된 세트홀더의 머리부를 걸어 벽면으로부터 TV를 밀착 고정하도록 된 슬림형 월 마운트에 있어서,
상기 슬림형 월 마운트는, 직사각형의 판으로, 가장자리에는 전면으로 절곡된 보강리브가 형성되고, 장변 측의 보강리브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세트홀더의 머리부를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되며, 전면 상에는 후면은 함몰되고 전면은 돌출된 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부 양측에는 ∪자형으로 상부가 확장된 장착안내공이 관통형성되되, 상기 장착안내공의 양측에는 전방은 돌출되고 후방은 함몰된 걸이홈턱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안내공의 하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절곡된 지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걸이홈턱의 상부와 하부에는 조립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설치부의 외곽으로는 벽면에 고정피스가 관통되어 고정되는 장공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설치부의 중간에는 벽면에 고정피스가 관통되어 고정되는 센터공이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걸이홈턱 후방에서 양단이 안내되고, 하부는 지지턱에 안착되어 상기 세트홀더의 머리부를 탄력적으로 걸어 지지하도록 사각 단면을 갖는 사각봉을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 양단은 상기 걸이홈턱에 안내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사이에 세트홀더의 머리부를 탄력적으로 안내하는 삽입탄력부와, 상기 삽입탄력부로부터 원형의 라운드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세트홀더의 머리부가 안착되는 안착부로 이루어진 걸이부재와;
상부로부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장착안내공의 형상을 갖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의 양측에는 상기 조립공에 안내 조립되는 결합보스가 각각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상기 장착안내공이 형성된 설치부의 함몰된 면에 부착되고, 함몰되지 않은 배면과 동일선상을 이루어 상기 걸이부재의 후방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슬림형 월 마운트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부재는, 설치부의 함몰된 두께를 갖는 접착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월 마운트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의 월 마운트를 이용한 슬림형 대형 TV를 벽면 사이와 거리를 최소화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장착된 구조는 걸이부재에 간단히 탈거 가능하면서 고정부재로서 베이스플레이트의 후방에서 걸이부재를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구조와 더불어 가장자리측의 보강리브, 후면이 함몰되고 전면이 돌출된 설치부는 베이스플레이트의 휨 발생없이 충분히 고중량의 TV무게를 안정감 있게 지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벽면 밀착은 TV에 가해지는 외력에 저항감을 향상시키고, 파손율을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월 마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월 마운트를 분리하여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월 마운트의 후면에 고정플레이트의 결합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고정플레이트의 결합보스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일부분 확대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TV 후면에 세트홀더가 장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월 마운트에 TV의 장착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월 마운트에 TV가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걸이부재에 TV측의 세터 홀더가 안내되어 안착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고정부재가 적용된 월 마운트를 도시한 일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슬림형 대형 TV(1)의 후면측 베사(VESA)규격에 맞게 고정되어 체결된 세트홀더(2)의 머리부를 걸어 벽면(W)으로부터 TV를 밀착 고정하도록 된 슬림형 월 마운트(100)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슬림형 월 마운트(100)는, 베이스플레이트, 걸이부재, 고정부재로 크게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는 금속판재를 직사각형의 판으로 프레스으로 제작된 것으로, 그 가장자리에는 전면으로 절곡된 보강리브(11)가 형성되고, 장변 측의 보강리브(11)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세트홀더의 머리부(2)를 안내하는 안내부(12)가 형성되며, 전면 상에는 후면은 함몰되고 전면은 돌출된 설치부(13)가 형성된다.
상기 설치부(13) 양측에는 ∪자형으로 상부가 확장된 장착안내공(14)이 관통형성되되, 상기 장착안내공(14)의 양측에는 전방은 돌출되고 후방은 함몰된 걸이홈턱(14a)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안내공(14)의 하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절곡된 지지턱(14b)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홈턱(14a)의 상부와 하부에는 조립공(15)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설치부(13)의 외곽으로는 벽면에 고정피스(S)가 관통되어 고정되는 장공(16)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설치부(13)의 중간에는 벽면(W)에 고정피스가 관통되어 고정되는 센터공(17)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재(20)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걸이홈턱(14a) 후방에서 양단이 안내되고, 하부는 지지턱(14b)에 안착되어 상기 세트홀더(2)의 머리부를 탄력적으로 걸어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사각 단면을 갖는 사각봉을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 양단은 상기 걸이홈턱에 안내 지지되는 지지부(21)와, 상기 지지부(21)사이에 세트홀더(2)의 머리부를 탄력적으로 안내하는 삽입탄력부(22)와, 상기 삽입탄력부(22)로부터 원형의 라운드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세트홀더(2)의 머리부가 안착되는 안착부(23)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는 장착안내공(14)이 형성된 설치부(13)의 함몰된 면에 부착되고, 함몰되지 않은 배면과 동일선상을 이루어 상기 걸이부재(20)의 후방 이탈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부로부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장착안내공(14)의 형상을 갖는 절개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31)의 양측에는 상기 조립공(15)에 안내 조립되는 결합보스(32)가 각각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플레이트(30)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고정부재는, 첨부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부(13)의 함몰된 두께를 갖는 접착테이프(40)를 이용하여 상기 걸이부재(20)의 후방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월 마운트는 TV의 후면에 마련된 베사(VESA)규격에 따라 그 좌우 길이 및 폭은 달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트홀더는 일종의 나사체결부품으로서, 머리부에 십자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재로부터 전방 이탈방지를 위한 걸림턱을 갖는 머리부 및 머리부로부터 수나사체결부가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슬림형 월 마운트를 이용한 벽면 설치 및 TV설치에 따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월 마운트(100)의 설치를 위해 설치부(13)의 후면측에서는 준비된 걸이부재(20)의 지지부(21)를 장착안내공(14)측의 걸이홈턱(14a)에 각각 안내시키고, 그 후면에서 고정부재인 고정플레이트(30)를 조립공(15)에 맞추어 보스(15)를 일치시켜 조립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의 고정플레이트(30)는 그 두께가 함몰된 설치부(13)의 후면에 일치됨과 동시에, 장착안내공(14)과 절개부(31)가 일치된 상태이며, 상기 걸이부재(20)의 삽입탄력부(22) 하단은 장착안내공(14)의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턱(14b)에 안착되어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전방으로 이탈이 방지된 상태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고정부재는 접착테이프(40)를 이용하여 상기 설치부(13)의 후면측에서 첨부된 도 9에서와 같이 부착하면, 상기 걸이부재(20)는 상기와 같이 동일하게 걸이부재의 이탈을 장지하는 형태로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접착테이프(40)는 설치부(13)의 함몰된 후면깊이의 두께를 갖는 테이프이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베이스플레이트(10)를 벽면(W)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TV가 위치될 곳을 선정하고, 드릴로 구멍을 낸 다음, 고정피스(S)가 체결되기 위한 캘블럭(도면에서 생략함)을 삽입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캘블럭을 기준으로 베이스플레이트(10)를 위치시키고, 장공(16)을 통해 상기 고정피스(S)를 박아 베이스플레이트(10)를 부착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장공(16)을 통해 고정피스를 박은 상태에서 최종적으로는 센터공(17)에도 고정피스(S)를 박아 베이스플레이트(10)의 부착을 완성한다.
좀더 바람직한 베이스플레이트(10)의 부착은 수평계를 이용하여 벽면으로부터 베이스플레이트의 설치지점을 정확히 미연에 가 세팅해 본 상태에서 작업하면 좋다.
한편, 대상이 되는 TV(1) 후면에는 세트홀더(2)를 4지점 체결하여 고정한 다음 TV를 들어 첨부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측 두개의 세트홀더(2)를 첨부된 도 6에서와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안내하여 TV를 장착한다.
상기 4지점의 세트홀더(2) 중 하부측 두개의 세트홀더(2)는 TV(1) 후면이 벽면에 밀착되어 평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세트홀더의 수나사체결부의 체결 정도를 조정한 상태에서 장착이 이루어진다.
상기 TV(1)의 장착은 벽면(W)에 TV(1) 후면을 근접시켜 밀착시키되, 베이스플레이트(10)의 보강리브(11)측에 형성된 안내부(12)의 상부측에서 TV를 양측에서 잡고 하부로 내려주면, 상기 두개의 세트홀더(2)는 안내부(12)를 지나 설치부(13)의 장착안내공(14)을 따라 하부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장착안내공(14)에 조립된 걸이부재(20)의 삽입탄력부(22)를 거쳐 안착부(23)에 세트홀더(2)의 머리부, 즉 머리부에 형성된 걸림턱이 걸려지는 상태가 되어 첨부된 도 7에서와 같이, 벽면에 최대한 TV(1)를 밀착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걸이부재(20)의 삽입탄력부(22)에 안내되는 세트홀더(2)는 첨부된 도 8에서 순차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세트홀더의 머리부가 삽입됨에 따라 양측으로 벌려지고 안착부(23)에 도달하는 머리부는 안착되어 지지된다.
한편, 상기 TV(1)의 탈거는 반대로 TV를 양쪽에서 마주 잡고 상향 들어올리면, 상기 걸이부재(20)로부터 걸려진 세트홀더의 머리부는 역순으로 걸이부재 및 베이스프레임(10)의 보강리브(11)측 안내부(12)를 통해 이격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탈거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월 마운트는 가장자리의 보강리브 및 설치부와 같이 후면은 함몰되고 전방은 돌출된 형태를 갖기 때문에 TV를 장착한 오랜 시간에도 베이스플레이트의 변형이 없어 안정된 TV거치에 유리함을 제공한다.
또한, 슬림하게 제작 판매되고 있는 소형 TV는 물론, 대형 TV(70인치이상)를 손쉽게 벽면과 거의 밀착되는 형태로 장착할 수 있으며, 안정된 거치로서 접촉면적을 넓혀 TV의 휨 발생 및 크랙 발생을 방지하고, TV와 벽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한 파손 가능성을 최대한 낮추어 줄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TV 2: 세트홀더
10: 베이스플레이트 11: 보강리브
12: 안내부 13: 설치부
14: 장착안내공 14a: 걸이홈턱
14b: 지지턱 15: 조립공
16: 장공 17: 센터공
20: 걸이부재 21: 지지부
22: 삽입탄력부 23: 안착부
30: 고정플레이트 31: 절개부
32: 결합보스 40: 접착테이프
100: 월 마운트 S: 고정피스
W: 벽면

Claims (4)

  1. 슬림형 대형 TV(1)의 후면측 베사(VESA)규격에 맞게 고정되어 체결된 세트홀더(2)의 머리부를 걸어 벽면(W)으로부터 TV를 밀착 고정하도록 된 슬림형 월 마운트(100)에 있어서,
    상기 슬림형 월 마운트(100)는,
    직사각형의 판으로, 가장자리에는 전면으로 절곡된 보강리브(11)가 형성되고, 장변 측의 보강리브(11)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세트홀더의 머리부(2)를 안내하는 안내부(12)가 형성되며, 전면 상에는 후면은 함몰되고 전면은 돌출된 설치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부(13) 양측에는 ∪자형으로 상부가 확장된 장착안내공(14)이 관통형성되되, 상기 장착안내공(14)의 양측에는 전방은 돌출되고 후방은 함몰된 걸이홈턱(14a)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안내공(14)의 하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절곡된 지지턱(14b)이 형성되며, 상기 걸이홈턱(14a)의 상부와 하부에는 조립공(15)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설치부(13)의 외곽으로는 벽면에 고정피스(S)가 관통되어 고정되는 장공(16)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설치부(13)의 중간에는 벽면(W)에 고정피스가 관통되어 고정되는 센터공(17)이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걸이홈턱(14a) 후방에서 양단이 안내되고, 하부는 지지턱(14b)에 안착되어 상기 세트홀더(2)의 머리부를 탄력적으로 걸어 지지하도록 사각 단면을 갖는 사각봉을 절곡 형성한 것으로, 양단은 상기 걸이홈턱에 안내 지지되는 지지부(21)와, 상기 지지부(21)사이에 세트홀더(2)의 머리부를 탄력적으로 안내하는 삽입탄력부(22)와, 상기 삽입탄력부(22)로부터 원형의 라운드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세트홀더(2)의 머리부가 안착되는 안착부(23)로 이루어진 걸이부재(20)와;
    상부로부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장착안내공(14)의 형상을 갖는 절개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31)의 양측에는 상기 조립공(15)에 안내 조립되는 결합보스(32)가 각각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플레이트(30)로 이루어져 상기 장착안내공(14)이 형성된 설치부(13)의 함몰된 면에 부착되고, 함몰되지 않은 배면과 동일선상을 이루어 상기 걸이부재(20)의 후방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월 마운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설치부(13)의 함몰된 두께를 갖는 접착테이프(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월 마운트.
KR1020190036529A 2019-03-29 2019-03-29 슬림형 월 마운트 Active KR102158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529A KR102158818B1 (ko) 2019-03-29 2019-03-29 슬림형 월 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529A KR102158818B1 (ko) 2019-03-29 2019-03-29 슬림형 월 마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8818B1 true KR102158818B1 (ko) 2020-09-25

Family

ID=72707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529A Active KR102158818B1 (ko) 2019-03-29 2019-03-29 슬림형 월 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8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7403A1 (ko) * 2022-03-03 2023-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월마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171841A1 (ko) * 2022-03-10 2023-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50001037A (ko) 2023-06-28 2025-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8518A (ko) 2003-09-18 2005-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월 마운트
KR100763283B1 (ko) 2006-07-05 2007-10-04 주식회사 에이텍 벽걸이 디스플레이 장치용 월 마운트 장치
JP2008069937A (ja) * 2006-09-15 2008-03-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壁掛け装置及び表示装置
KR100861690B1 (ko) 2008-05-22 2008-10-06 태우 주식회사 패널디스플레이 틸팅 및 스위블 월마운트
KR20090016932A (ko) 2007-08-13 2009-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의 월마운트시스템
JP2013079669A (ja) * 2011-10-03 2013-05-02 Sharp Corp 壁掛構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8518A (ko) 2003-09-18 2005-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월 마운트
KR100763283B1 (ko) 2006-07-05 2007-10-04 주식회사 에이텍 벽걸이 디스플레이 장치용 월 마운트 장치
JP2008069937A (ja) * 2006-09-15 2008-03-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壁掛け装置及び表示装置
KR20090016932A (ko) 2007-08-13 2009-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의 월마운트시스템
KR100861690B1 (ko) 2008-05-22 2008-10-06 태우 주식회사 패널디스플레이 틸팅 및 스위블 월마운트
JP2013079669A (ja) * 2011-10-03 2013-05-02 Sharp Corp 壁掛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7403A1 (ko) * 2022-03-03 2023-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월마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171841A1 (ko) * 2022-03-10 2023-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50001037A (ko) 2023-06-28 2025-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8049B2 (en) Resilient mounting system with tilt capabilities
US11602217B2 (en) Wall mount system
KR102158818B1 (ko) 슬림형 월 마운트
US20070023599A1 (en) Adjustable display mount apparatus and system
US7963489B2 (en) Extension mechanism for a mounting system
CN102112795B (zh) 面板显示器悬挂系统和设有面板显示器悬挂系统的面板显示器
US7738245B1 (en) Display mount
WO2007014227A2 (en) Display mount apparatus and system
KR200485121Y1 (ko)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고정장치
KR101356510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월마운트시스템
CN107387962B (zh) 一种可调的显示器安装支架
JP2013238857A (ja) 可変式ディスプレイスタンド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9630843A (zh) 一种用于室内建筑电视机安装用的壁挂支架
GB2443267A (en) An adjustable visual display unit mount
JP2003015541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取付装置
KR20210119095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US20050263671A1 (en) Wall-mounting supporter
KR200279427Y1 (ko) 액정 모니터의 승강장치
KR20140000628U (ko)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대
US8439323B1 (en) Display hanging system
CN211344705U (zh) 一种壁挂式计算机底座
US12345374B2 (en) Wall mount for display apparatus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102828571B1 (ko)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 거치대
KR20090061701A (ko) 벽걸이 티브이 고정장치
KR10277186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9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