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58658B1 -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658B1
KR102158658B1 KR1020157032693A KR20157032693A KR102158658B1 KR 102158658 B1 KR102158658 B1 KR 102158658B1 KR 1020157032693 A KR1020157032693 A KR 1020157032693A KR 20157032693 A KR20157032693 A KR 20157032693A KR 102158658 B1 KR102158658 B1 KR 102158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layer
polarizing plate
capacitive touch
display device
substr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2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9564A (ko
Inventor
데츠야 도요시마
슌스케 야마나카
šœ스케 야마나카
Original Assignee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9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65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01L27/323
    • H01L51/5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6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placement of the optical elements
    • G02F1/133562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placement of the optical elements on the viewer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5Multifunctional compensa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8Waveplates, i.e. plates with a retardation value of lambda/n
    • G02F2001/133562
    • G02F2001/133635
    • G02F2001/133638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413/00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 G02F2413/01Number of plates being 1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413/00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 G02F2413/08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with a particular optical axis orienta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커버층의 사이에, 시인측 편광판과,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제 1 도전층, 유전체층 및 제 2 도전층과, 기재를 갖는 적층체를 구비하고, 제 1 도전층, 유전체층, 제 2 도전층 및 기재는, 시인측 편광판보다 커버층측에 위치하고, 제 1 도전층은, 기재의 한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유전체층은, 제 1 도전층의 기재측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제 2 도전층은, 유전체층의 제 1 도전층측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기재는, (2n-1)λ/4의 위상차[단, n은 양의 정수이다]를 갖는 광학 필름을 갖고, 시인측 편광판은, 편광 필름을 갖고, 적층 방향에서 볼 때, 광학 필름의 지상축과 편광 필름의 투과축의 교차각이 약 45°이다.

Description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DISPLAY DEVICE WITH CAPACITIVE TOUCH PANEL}
본 발명은,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노트북 PC, OA 기기, 의료 기기, 카 내비게이션, 휴대 전화 등의 휴대식 전자 장치, 개인 정보 단말(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트) 등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는, 입력 수단을 겸비하는 디스플레이로서,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터치 패널의 방식으로서는, 정전 용량식, 광학식, 초음파식, 전자 유도식, 저항막식 등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그 중에서도, 손가락 끝과 도전층의 사이에서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인식하여 입력 좌표를 검지하는 정전 용량식이, 저항막식과 함께 현재의 터치 패널의 주류가 되어 오고 있다.
종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로서는, 예컨대, 백라이트측으로부터 시인측(視認側)을 향해서, 백라이트측 편광판과, 2매의 유리 기판(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의 사이에 액정층을 끼워서 이루어지는 액정 패널과, 시인측 편광판과, 터치 센서부와, 커버 유리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액정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리고, 상술한 종래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액정 패널과 시인측 편광판의 사이에 시야각 보상용의 위상차 필름을 마련하는 일이 있다.
또한, 종래의 터치 패널 부착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시인측 편광판과 커버 유리층의 사이에 1/4 파장판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액정 패널측으로부터 시인측 편광판을 지나서 커버 유리층측으로 나아가는 직선 편광을 1/4 파장판으로 원 편광 또는 타원 편광으로 바꾸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이와 같이 하면, 편광 선글라스를 장착한 상태에서 터치 패널 부착 액정 표시 장치를 조작했을 때에, 시인측 편광판의 투과축과 편광 선글라스의 투과축이 직교하여, 소위 크로스 니콜(cross-nicol) 상태가 된 경우에도, 표시 내용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종래, 다른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로서, 표시 패널측(발광측)으로부터 시인측을 향해서, 유기 EL 표시(OLED) 패널 및 그 OLED 패널보다 시인측에 위치하는 배리어 유리층으로 이루어지는 표시 패널과, 1/4 파장판 및 그 1/4 파장판보다 시인측에 위치하는 편광판으로 이루어지는 반사 방지용의 원 편광판과, 터치 센서부와, 커버 유리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유기 EL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2 참조). 이와 같은 유기 EL 표시 장치에 의하면, 입사 외광(자연광)의 OLED 패널의 표면(특히, OLED 패널에 있어서의 전극의 표면)에서의 반사에 의해 표시 내용을 시인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종래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는 모두, 터치 센서부가, 예컨대, 표면에 도전층을 형성한 2매의 투명 기판을, 한쪽의 투명 기판의 도전층과, 다른 쪽의 투명 기판의 도전층을 형성한 쪽과는 반대쪽의 면이 대향하도록 적층하여 형성되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3 참조).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9-169837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13-41566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2013-3952호 공보
여기서, 최근,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에는, 장치의 박형화ㆍ경량화가 더욱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에서는, 표면에 도전층을 형성한 2매의 투명 기판을 이용하여 터치 센서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액정 패널 또는 OLED 패널과 커버 유리층의 사이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결과적으로 장치 전체의 두께가 두꺼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액정 패널 또는 OLED 패널과 커버 유리층의 사이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시야각 보상용의 위상차 필름이나, 편광 선글라스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1/4 파장판이나, 반사 방지용의 원 편광판을 마련한 경우 등, 액정 패널 또는 OLED 패널과 커버 유리층의 사이의 부재의 수가 많은 경우에 컸다.
그래서, 본 발명은, 박형화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편광 선글라스를 장착한 상태에서도 조작이 가능하고, 또한, 박형화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사 외광의 반사광에 의해 표시 내용을 시인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박형화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3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행했다. 그리고, 본 발명자들은,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에 이용되고 있는 광학 부재(예컨대, 위상차 필름이나, 1/4 파장판이나, 반사 방지용의 원 편광판 등)의 한쪽의 표면상에 2층의 도전층과 도전층 사이에 위치하는 유전체층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도전층 형성용의 투명 기판이 불필요하게 되고,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에 착상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유리하게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고,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커버층의 사이에, 시인측 편광판과,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제 1 도전층, 유전체층 및 제 2 도전층과, 기재를 갖는 적층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도전층, 상기 유전체층, 상기 제 2 도전층 및 상기 기재는, 상기 시인측 편광판보다 상기 커버층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도전층은, 상기 기재의 한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유전체층은, 상기 제 1 도전층의 상기 기재측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도전층은, 상기 유전체층의 상기 제 1 도전층측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기재는, (2n-1)λ/4의 위상차[단, n은 양의 정수이다]를 갖는 광학 필름을 갖고, 상기 시인측 편광판은, 편광 필름을 갖고, 적층 방향에서 볼 때, 상기 광학 필름의 지상축과 상기 편광 필름의 투과축의 교차각이 약 4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광에 소정의 위상차를 주는 광학 필름을 갖는 기재를 시인측 편광판보다 커버층측에 마련하고, 또한, 광학 필름의 지상축과 편광 필름의 투과축의 교차각을 약 45°로 하면, 편광 선글라스를 장착한 상태에서도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제 1 도전층, 유전체층 및 제 2 도전층을 기재의 한쪽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형성하면, 도전층을 형성하기 위한 투명 기판을 삭감하고, 터치 센서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표시 패널과 커버층의 사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약 45°」란, 표시 패널측으로부터 시인측 편광판을 지나서 커버층측으로 나아가는 직선 편광을 기재의 광학 필름으로 원 편광 또는 타원 편광으로 바꾸어 편광 선글라스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조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각도이고, 예컨대, 45°±10°의 각도 범위를 가리킨다.
여기서, 상기 제 1 발명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는, 상기 제 1 도전층이, 상기 기재의 상기 커버층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편광 필름이, 상기 시인측 편광판의 상기 커버층측의 표면에 위치하고, 상기 기재가, 상기 편광 필름의 상기 커버층측의 표면에 접합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기재를 편광 필름의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편광 필름의 커버층측 보호 필름이 불필요하게 되고, 표시 패널과 커버층의 사이의 두께를 더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유리하게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고, 본 발명의 제 2 발명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커버층의 사이에, 시인측 편광판과,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제 1 도전층, 유전체층 및 제 2 도전층과, 광학 보상용 기재를 갖는 적층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도전층, 상기 유전체층, 상기 제 2 도전층 및 상기 광학 보상용 기재는, 상기 시인측 편광판보다 상기 표시 패널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도전층은, 상기 광학 보상용 기재의 한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유전체층은, 상기 제 1 도전층의 상기 광학 보상용 기재측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도전층은, 상기 유전체층의 상기 제 1 도전층측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광학 보상용 기재는, 광학 보상용의 위상차 필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광학 보상용의 위상차 필름을 갖는 광학 보상용 기재를 시인측 편광판보다 표시 패널측에 마련하면, 시야각 의존성이나, 비스듬히 볼 때의 편광판의 빛샘 현상을 보상할 수 있다. 또한,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제 1 도전층, 유전체층 및 제 2 도전층을 광학 보상용 기재의 한쪽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형성하면, 도전층을 형성하기 위한 투명 기판을 삭감하고, 터치 센서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표시 패널과 커버층의 사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발명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는, 상기 커버층과 상기 시인측 편광판의 사이에, (2n-1)λ/4의 위상차[단, n은 양의 정수이다]를 갖는 광학 필름을 더 구비하고, 상기 시인측 편광판은, 편광 필름을 갖고, 적층 방향에서 볼 때, 상기 광학 필름의 지상축과 상기 편광 필름의 투과축의 교차각이 약 4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광에 소정의 위상차를 주는 광학 필름을 시인측 편광판보다 커버층측에 마련하고, 또한, 광학 필름의 지상축과 편광 필름의 투과축의 교차각을 약 45°로 하면, 편광 선글라스를 장착한 상태에서도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제 2 발명에 있어서, 「약 45°」란, 표시 패널측으로부터 시인측 편광판을 지나서 커버층측으로 나아가는 직선 편광을 광학 필름으로 원 편광 또는 타원 편광으로 바꾸어 편광 선글라스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조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각도이고, 예컨대, 45°±10°의 각도 범위를 가리킨다.
또한, 상기 제 2 발명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는, 상기 제 1 도전층이, 상기 광학 보상용 기재의 상기 표시 패널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인측 편광판은, 편광 필름을 갖고, 상기 편광 필름이, 상기 시인측 편광판의 상기 표시 패널측의 표면에 위치하고, 상기 광학 보상용 기재가, 상기 편광 필름의 상기 표시 패널측의 표면에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광학 보상용 기재를 편광 필름의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편광 필름의 표시 패널측 보호 필름이 불필요하게 되고, 표시 패널과 커버층의 사이의 두께를 더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유리하게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고, 본 발명의 제 3 발명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커버층의 사이에, 시인측 편광판과,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제 1 도전층, 유전체층 및 제 2 도전층을 갖는 적층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도전층은, 상기 시인측 편광판의 한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유전체층은, 상기 제 1 도전층의 상기 시인측 편광판측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도전층은, 상기 유전체층의 상기 제 1 도전층측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제 1 도전층, 유전체층 및 제 2 도전층을 시인측 편광판의 한쪽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형성하면, 도전층을 형성하기 위한 투명 기판을 삭감하고, 터치 센서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표시 패널과 커버층의 사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제 3 발명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이, 액정 패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유리하게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고, 본 발명의 제 4 발명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커버층의 사이에, 원 편광판과,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제 1 도전층, 유전체층 및 제 2 도전층을 갖는 적층체를 구비하고, 상기 원 편광판은, 기재와,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전층, 상기 유전체층, 상기 제 2 도전층 및 상기 기재는, 상기 편광판보다 상기 표시 패널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도전층은, 상기 기재의 한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유전체층은, 상기 제 1 도전층의 상기 기재측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도전층은, 상기 유전체층의 상기 제 1 도전층측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기재는, λ/4의 위상차를 갖는 광학 필름을 갖고, 상기 편광판은, 편광 필름을 갖고, 적층 방향에서 볼 때, 상기 광학 필름의 지상축과 상기 편광 필름의 투과축의 교차각이 약 4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광학 필름의 지상축과 편광 필름의 투과축의 교차각을 약 45°로 하면, 편광판과, λ/4의 위상차를 갖는 광학 필름을 갖는 기재로 원 편광판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광에 λ/4의 위상차를 주는 광학 필름을 갖는 기재를 편광판보다 표시 패널측에 갖는 원 편광판을 표시 패널과 커버층의 사이에 마련하면, 입사 외광의 반사광에 의해 표시 내용을 시인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제 1 도전층, 유전체층 및 제 2 도전층을 기재의 한쪽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형성하면, 도전층을 형성하기 위한 투명 기판을 삭감하고, 터치 센서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표시 패널과 커버층의 사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4 발명에 있어서, 「약 45°」란, 입사 외광의 반사광에 의해 표시 내용을 시인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각도이고, 예컨대, 45°±5°의 각도 범위를 가리킨다. 또한, 원 편광판을 구성하는 편광판과 기재는, 적층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더라도 좋고, 편광판과 기재의 사이에는 다른 부재가 개재되어 있더라도 좋다.
여기서, 상기 제 4 발명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는, 상기 제 1 도전층이, 상기 기재의 상기 표시 패널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편광 필름이, 상기 편광판의 상기 표시 패널측의 표면에 위치하고, 상기 기재가, 상기 편광 필름의 상기 표시 패널측의 표면에 접합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기재를 편광 필름의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편광 필름의 표시 패널측 보호 필름을 불필요하게 하고, 표시 패널과 커버층의 사이의 두께를 더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유리하게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고, 본 발명의 제 5 발명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커버층의 사이에, 원 편광판과,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제 1 도전층, 유전체층 및 제 2 도전층을 갖는 적층체를 구비하고, 상기 원 편광판은, 기재와,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는, 상기 편광판보다 상기 표시 패널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도전층은, 상기 편광판의 한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유전체층은, 상기 제 1 도전층의 상기 편광판측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도전층은, 상기 유전체층의 상기 제 1 도전층측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기재는, λ/4의 위상차를 갖는 광학 필름을 갖고, 상기 편광판은, 편광 필름을 갖고, 적층 방향에서 볼 때, 상기 광학 필름의 지상축과 상기 편광 필름의 투과축의 교차각이 약 4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광학 필름의 지상축과 편광 필름의 투과축의 교차각을 약 45°로 하면, 편광판과, λ/4의 위상차를 갖는 광학 필름을 갖는 기재로 원 편광판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광에 λ/4의 위상차를 주는 광학 필름을 갖는 기재를 편광판보다 표시 패널측에 갖는 원 편광판을 표시 패널과 커버층의 사이에 마련하면, 입사 외광의 반사광에 의해 표시 내용을 시인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제 1 도전층, 유전체층 및 제 2 도전층을 편광판의 한쪽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형성하면, 도전층을 형성하기 위한 투명 기판을 삭감하고, 터치 센서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표시 패널과 커버층의 사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5 발명에 있어서, 「약 45°」란, 입사 외광의 반사광에 의해 표시 내용을 시인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각도이고, 예컨대, 45°±5°의 각도 범위를 가리킨다. 또한, 원 편광판을 구성하는 편광판과 기재는, 적층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더라도 좋고, 편광판과 기재의 사이에는 다른 부재가 개재되어 있더라도 좋다.
여기서, 상기 제 5 발명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는, 상기 제 1 도전층이, 상기 편광판의 상기 커버층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편광 필름이, 상기 편광판의 상기 표시 패널측의 표면에 위치하고, 상기 기재가, 상기 편광 필름의 상기 표시 패널측의 표면에 접합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기재를 편광 필름의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편광 필름의 표시 패널측 보호 필름을 불필요하게 하고, 표시 패널과 커버층의 사이의 두께를 더 얇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4~제 5 발명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는, 상기 광학 필름이, 역 파장 분산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광학 필름에 입사한 광이 장파장이 될수록 주어지는 위상차의 절대값이 커지고, 단파장이 될수록 주어지는 위상차의 절대값이 작아지므로, 넓은 파장 영역에서 소망하는 편광 특성을 얻어, 직선 편광을 양호하게 원 편광으로 바꿀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유리하게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고, 본 발명의 제 6 발명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커버층의 사이에, 원 편광판과,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제 1 도전층, 유전체층 및 제 2 도전층을 갖는 적층체를 구비하고, 상기 원 편광판은, 편광판과, 상기 편광판보다 상기 표시 패널측에 위치하는 기재와, 상기 편광판과 상기 기재의 사이에 위치하는 편광판측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판은, 편광 필름을 갖고, 상기 기재는, λ/4의 위상차를 갖는 광학 필름을 갖고, 상기 편광판측 기재는, λ/2의 위상차를 갖는 다른 광학 필름을 갖고, 상기 제 1 도전층은, 도전층 피형성 부재의 한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유전체층은, 상기 제 1 도전층의 상기 도전층 피형성 부재측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도전층은, 상기 유전체층의 상기 제 1 도전층측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도전층 피형성 부재가, 상기 기재, 상기 편광판측 기재 또는 상기 편광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편광판과, 광에 λ/2의 위상차를 주는 다른 광학 필름을 갖는 편광판측 기재와, 광에 λ/4의 위상차를 주는 광학 필름을 갖는 기재를 포함하는 원 편광판을 표시 패널과 커버층의 사이에 마련하면, 입사 외광의 반사광에 의해 표시 내용을 시인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제 1 도전층, 유전체층 및 제 2 도전층을, 기재, 편광판측 기재 및 편광판으로부터 선택되는 도전층 피형성 부재의 한쪽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형성하면, 도전층을 형성하기 위한 투명 기판을 삭감하고, 터치 센서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표시 패널과 커버층의 사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 「원 편광판」이란, 커버층측으로부터 표시 패널측을 향해서 입사한 광을 직선 편광으로 바꾼 후, 그 직선 편광을 원 편광으로 바꿈과 아울러, 그 원 편광의 표시 패널에서의 반사광인 역 원 편광을 상기 직선 편광과는 직교하는 다른 직선 편광으로 바꾸는 것에 의해, 반사광의 커버층측으로의 투과를 방지할 수 있는 부재이다. 따라서, 상기 제 6 발명에서는, 기재, 편광판측 기재 및 편광판은, 원 편광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배치하면 되고, 원 편광판을 구성하는 편광판과, 기재와, 편광판측 기재는, 적층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더라도 좋고, 각 부재 사이에는 다른 부재가 개재되어 있더라도 좋다.
여기서, 상기 제 6 발명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는, 상기 편광 필름이, 상기 편광판의 상기 표시 패널측의 표면에 위치하고, 상기 편광판측 기재가, 상기 편광 필름의 상기 표시 패널측의 표면에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편광판측 기재를 편광 필름의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편광 필름의 표시 패널측 보호 필름이 불필요하게 되고, 표시 패널과 커버층의 사이의 두께를 더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6 발명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는, 적층 방향에서 볼 때, 상기 광학 필름의 지상축과 상기 편광 필름의 투과축의 교차각이 약 75°이고, 상기 다른 광학 필름의 지상축과 상기 편광 필름의 투과축의 교차각이 약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6 발명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는, 적층 방향에서 볼 때, 상기 광학 필름의 지상축과 상기 편광 필름의 투과축의 교차각이 약 90°이고, 상기 다른 광학 필름의 지상축과 상기 편광 필름의 투과축의 교차각이 약 22.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광학 필름과 다른 광학 필름으로 소위 광대역 1/4 파장판을 형성하고, 넓은 파장 영역에서 소망하는 편광 특성을 얻어, 직선 편광을 양호하게 원 편광으로 바꿀 수 있다. 따라서, 입사 외광의 반사광에 의해 표시 내용을 시인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양호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제 6 발명에 있어서, 「약 75°」 및 「약 15°」란, 광대역 1/4 파장판을 형성하여 입사 외광의 반사광에 의해 표시 내용을 시인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각도이고, 각각, 예컨대, 「75°±5°」, 「15°±5°」의 각도 범위를 가리키고, 「약 75°」 및 「약 15°」란, 편광 필름의 투과축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측정된 각도이다. 또한, 「약 90°」 및 「약 22.5°」란, 광대역 1/4 파장판을 형성하여 입사 외광의 반사광에 의해 표시 내용을 시인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각도이고, 각각, 예컨대, 「90°±5°」, 「22.5°±5°」의 각도 범위를 가리키고, 「약 90°」 및 「약 22.5°」란, 편광 필름의 투과축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측정된 각도이다.
그리고, 상기 제 4~제 6 발명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이, 유기 EL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제 2 발명 및 제 4~제 6 발명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는, 상기 광학 필름 및/또는 상기 다른 광학 필름이, 경사 연신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 및/또는 다른 광학 필름이 경사 연신 필름이면, 편광판과, 광학 필름 및/또는 다른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롤투롤(roll-to-roll)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제 2 발명 및 제 4~제 6 발명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는, 상기 광학 필름, 상기 위상차 필름, 및/또는, 상기 다른 광학 필름이,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제 6 발명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는, 상기 제 1 도전층 및 상기 제 2 도전층이, 산화인듐주석, 카본 나노튜브 또는 은 나노와이어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박형화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편광 선글라스를 장착한 상태에서도 조작이 가능하고, 또한, 박형화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입사 외광의 반사광에 의해 표시 내용을 시인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박형화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b)~(c)는, 도 1(a)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변형예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 2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b)~(c)는 도 2(a)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변형예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 3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b)는 도 3(a)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변형예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 4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b)~(c)는 도 4(a)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변형예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 5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b)~(c)는 도 5(a)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변형예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 6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b)는 도 6(a)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변형예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 7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b)~(d)는 도 7(a)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변형예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를 붙인 것은,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공간 부분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의 층 또는 필름을 마련하더라도 좋다. 여기서, 추가의 층 또는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각 부재끼리를 접합하여 일체화하기 위한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을 들 수 있고,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은, 가시광에 대하여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쓸데없는 위상차를 발생시키지 않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제 1 실시 형태)>
도 1(a)에,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도 1(a)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는, 화면에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기능과, 조작자가 접촉한 화면 위치를 검지하여 외부에 정보 신호로서 출력하는 터치 센서 기능을 겸비하는 장치이다.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는, 백라이트가 조사되는 쪽(도 1(a)에서는 아래쪽. 이하, 간단히 「백라이트측」이라고 한다.)으로부터 조작자가 화상을 시인하는 쪽(도 1(a)에서는 위쪽. 이하, 간단히 「시인측」이라고 한다.)을 향해서, 백라이트측 편광판(10)과, 표시 패널(20)로서의 액정 패널과, 광학 보상용의 위상차 필름(30)과, 시인측 편광판(40)과, 기재(50)와, 제 1 도전층(61)과, 유전체층(62)과, 제 2 도전층(63)과, 커버층(70)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갖고 있다. 그리고, 이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에서는, 제 1 도전층(61)이, 기재(50)의 한쪽(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유전체층(62)이, 제 1 도전층(61)의 기재(50)측과는 반대쪽(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제 2 도전층(63)이, 유전체층(62)의 제 1 도전층(61)측과는 반대쪽(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 백라이트측 편광판(10)과, 표시 패널(20)과, 위상차 필름(30)과, 시인측 편광판(40)과, 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이 형성된 기재(50)와, 커버층(70)은,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 혹은, 부재 표면의 플라즈마 처리 등의 기지의 수단을 이용하여 각 부재끼리를 서로 접합하는 것에 의해, 일체화할 수 있다. 즉, 도 1(a)에 있어서의 적층 구조의 극간 부분에는, 예컨대,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이 형성된다.
[백라이트측 편광판]
백라이트측 편광판(10)으로서는, 편광 필름을 갖는 기지의 편광판, 예컨대, 편광 필름을 2매의 보호 필름으로 끼워서 이루어지는 편광판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백라이트측 편광판(10)은, 백라이트측 편광판(10)의 편광 필름의 투과축과,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시인측 편광판(40)의 편광 필름(42)의 투과축이 적층 방향(도 1(a)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볼 때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표시 패널(20)로서의 액정 패널을 이용한 화상의 표시를 가능하게 한다.
[표시 패널(액정 패널)]
표시 패널(20)로서의 액정 패널로서는, 2매의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끼워서 이루어지는 액정 패널, 예컨대, 백라이트측에 위치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21)과, 시인측에 위치하는 컬러 필터 기판(23)의 사이에 액정층(22)을 끼워서 이루어지는 액정 패널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에서는, 백라이트측 편광판(10)과 시인측 편광판(40)의 사이에 배치된 액정 패널의 액정층(22)에 통전하는 것에 의해, 조작자에 대하여 소망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또,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21) 및 컬러 필터 기판(23)으로서는, 기지의 기판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액정층(22)으로서는, 기지의 액정층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에 이용할 수 있는 표시 패널(20)은, 상기 구조의 액정 패널로 한정되지 않는다.
[위상차 필름]
위상차 필름(30)은, 광학 보상용의 필름이고, 액정층(22)의 시야각 의존성이나, 비스듬히 볼 때의 편광판(10, 40)의 빛샘 현상을 보상하여,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의 시야각 특성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위상차 필름(30)으로서는, 예컨대, 기지의 종 1축 연신 필름, 횡 1축 연신 필름, 종횡 2축 연신 필름, 또는, 액정성 화합물을 중합시켜서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위상차 필름(30)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기지의 방법으로 제막하여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1축 연신 또는 2축 연신한 것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시판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에스시나」, 「SCA40」(세키스이화학공업 제품), 「제오노아필름」(니폰제온 제품), 「아톤필름」(JSR 제품) 등을 들 수 있다(모두 상품명).
또, 위상차 필름(30)의 양 표면에는, 후술하는 기재(50)와 동일하게 하드 코트층이나 광학 기능층을 형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위상차 필름(30)은, 적층 방향으로 볼 때, 위상차 필름(30)의 지상축과 편광판(10, 40)의 편광 필름의 투과축이, 예컨대, 평행이 되도록, 또는, 직교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시인측 편광판]
시인측 편광판(40)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편광 필름(42)을 2매의 보호 필름(백라이트측 보호 필름(41) 및 커버층측 보호 필름(43))의 사이에 끼워서 이루어지는 편광판(40)을 이용할 수 있다.
[광학 필름을 갖는 기재]
적층 방향 한쪽(도 1(a)에서는 커버층(70)측)의 표면에 제 1 도전층(61)이 형성된 기재(50)는, (2n-1)λ/4의 위상차[단, n은 양의 정수이다]를 갖는 광학 필름(52)과, 광학 필름(52)의 양 표면에 형성된 하드 코트층(51, 53)을 갖고 있다. 또, 기재(50)의 광학 필름(52)은, 해당 광학 필름(52)의 지상축과 시인측 편광판(40)의 편광 필름(42)의 투과축의 교차각이, 적층 방향에서 볼 때, 소정의 각도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소정의 각도」란, 표시 패널(20)로서의 액정 패널측으로부터 시인측 편광판(40)을 지나서 커버층(70)측으로 나아가는 직선 편광을 원 편광 또는 타원 편광으로 바꾸어, 조작자가 편광 선글라스를 장착한 상태에서도 표시 내용을 시인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각도이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각도는, 약 45° 정도, 보다 구체적으로는 45°±10°, 바람직하게는 45°±3°, 보다 바람직하게는 45°±1°, 더 바람직하게는 45°±0.3°의 범위 내의 각도이다.
또한, 「(2n-1)λ/4의 위상차[단, n은 양의 정수이다]를 갖는다」란, 광학 필름(52)을 적층 방향으로 투과한 광에 대하여 주는 위상차(리타데이션 Re)가 광의 파장 λ의 약 (2n-1)/4배[단, n은 양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1이다]인 것을 가리킨다. 구체적으로는, 투과하는 광의 파장 범위가 400㎚~700㎚인 경우, Re가 파장 λ의 약 (2n-1)/4배라는 것은, Re가 (2n-1)λ/4±65㎚, 바람직하게는 (2n-1)λ/4±30㎚, 보다 바람직하게는 (2n-1)λ/4±10㎚의 범위인 것을 말한다. 또, Re는, 식 : Re=(nx-ny)×d[식 중, nx는 필름면 내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ny는 필름면 내의 지상축에 면 내에서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이고, d는 광학 필름(52)의 두께이다]로 표현되는 면 내 방향 리타데이션이다.
[[광학 필름]]
광학 필름(52)으로서는, 열가소성 수지를 제막 및 연신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배향 처리가 실시된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열가소성 수지의 연신 방법으로서는, 기지의 연신 방법을 이용할 수 있지만, 경사 연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52)은, 광학 필름(52)의 지상축과 시인측 편광판(40)의 편광 필름(42)의 투과축이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도록 적층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연신 처리(종 연신 처리 또는 횡 연신 처리)를 실시한 연신 필름의 광축의 방향은, 필름의 폭 방향과 평행한 방향 또는 폭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그 때문에, 해당 일반적인 연신 필름과, 편광 필름을 소정의 각도로 적층하려면, 연신 필름을 비스듬히 일정한 크기로 재단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경사 연신한 필름에서는, 광축의 방향이 필름의 폭 방향에 대하여 경사한 방향이 되므로, 광학 필름(52)으로서 경사 연신 필름을 사용하면, 시인측 편광판(40) 및 광학 필름(52)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롤투롤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시인측 편광판(40) 및 광학 필름(52)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롤투롤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광학 필름(52)으로서 이용하는 경사 연신 필름의 배향각은, 적층체를 형성했을 때에 광학 필름(52)의 지상축과 편광 필름(42)의 투과축이 상기 소정의 각도가 되도록 조정하면 된다.
경사 연신의 방법으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소 50-8348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 2-11392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 3-18270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0-991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2-8655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2-22944호 공보 등에 기재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경사 연신에 이용하는 연신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텐터식 연신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텐터식 연신기에는, 횡 1축 연신기, 동시 2축 연신기 등이 있지만, 긴 필름을 연속적으로 경사 연신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타입의 연신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를 경사 연신할 때의 온도는, 열가소성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를 Tg로 하면, 바람직하게는 Tg-30℃로부터 Tg+60℃의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Tg-10℃로부터 Tg+50℃의 사이이다. 또한, 연신 배율은, 통상, 1.01~30배, 바람직하게는 1.01~10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5배이다.
광학 필름(52)의 형성에 사용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알릴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올레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가 바람직하고, 시클로올레핀 폴리머가 더 바람직하고,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등의 극성기를 갖지 않는 시클로올레핀 폴리머가 특히 바람직하다.
시클로올레핀 폴리머로서는, 노르보르넨계 수지, 단일 고리의 환상(環狀) 올레핀계 수지, 환상 공역 디엔계 수지, 비닐 지환식 탄화수소계 수지, 및, 이들의 수소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노르보르넨계 수지는, 투명성과 성형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노르보르넨계 수지로서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개환 중합체 또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와 다른 단량체의 개환 공중합체 또는 그들의 수소화물, 혹은,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부가 중합체 또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와 다른 단량체의 부가 공중합체 또는 그들의 수소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시판되는 시클로올레핀 폴리머로서는, 예컨대, 「Topas」(Ticona 제품), 「아톤」(JSR 제품), 「제오노아(ZEONOR)」 및 「제오넥스(ZEONEX)」(니폰제온 제품), 「아펠」(미츠이화학 제품) 등이 있다(모두 상품명). 이와 같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를 제막하여, 열가소성 수지제의 광학 필름(52)을 얻을 수 있다. 제막에는, 용제 캐스트법이나 용융 압출법 등, 공지의 제막 수법이 적절하게 이용된다. 또한, 제막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도 시판되고 있고, 예컨대, 「에스시나」, 「SCA40」(세키스이화학공업 제품), 「제오노아필름」(니폰제온 제품), 「아톤필름」(JSR 제품) 등이 있다(모두 상품명). 연신 전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일반적으로는 미연신의 긴 필름이고, 길다는 것은, 필름의 폭에 비하여 적어도 5배 정도 이상의 길이를 갖는 것을 말하고, 바람직하게는 10배 또는 그 이상의 길이를 갖고, 구체적으로는 롤 형상으로 감겨져 보관 또는 운반되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을 말한다.
상술한 열가소성 수지는, 유리 전이 온도가,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250℃이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의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은, 바람직하게는 10×10-12Pa-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10-12Pa-1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10-12Pa-1 이하이다. 광탄성 계수 C는, 복굴절을 Δn, 응력을 σ로 했을 때, C=Δn/σ로 표현되는 값이다. 광탄성 계수가 이와 같은 범위에 있는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면, 광학 필름의 면 내 방향 리타데이션 Re의 편차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광학 필름을, 액정 패널을 이용한 표시 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의 단부의 색상이 변화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광학 필름(52)의 형성에 이용하는 열가소성 수지에는, 다른 배합제를 배합하더라도 좋다. 배합제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층상 결정 화합물; 무기 미립자; 산화 방지제, 열 안정제, 광 안정제, 내후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근적외선 흡수제 등의 안정제; 윤활제, 가소제 등의 수지 개질제; 염료나 안료 등의 착색제; 대전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배합제는,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고, 그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선택된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인계 산화 방지제, 유황계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페놀계 산화 방지제, 특히 알킬 치환 페놀계 산화 방지제가 바람직하다. 이들의 산화 방지제를 배합하는 것에 의해, 투명성, 저흡수성 등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필름 성형시의 산화 열화 등에 의한 필름의 착색이나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들의 산화 방지제는, 각각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고, 그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선택되지만,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통상 0.001~5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01~1질량부이다.
무기 미립자로서는, 0.7~2.5㎛의 평균 입자 지름과, 1.45~1.55의 굴절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점토, 활석, 실리카, 제올라이트, 하이드로탈시트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실리카, 제올라이트 및 하이드로탈시트가 바람직하다. 무기 미립자의 첨가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통상 0.001~1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005~5질량부이다.
윤활제로서는, 탄화수소계 윤활제; 지방산계 윤활제; 고급 알코올계 윤활제; 지방산 아마이드계 윤활제; 지방산 에스테르계 윤활제; 금속 비누계 윤활제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탄화수소계 윤활제, 지방산 아마이드계 윤활제 및 지방산 에스테르계 윤활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 중에서도, 융점이 80℃~150℃ 및 산가가 10㎎KOH/㎎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융점이 80℃~150℃를 벗어나고, 또한 산가가 10㎎KOH/㎎보다 커지면 헤이즈(haze) 값이 커질 우려가 있다.
그리고, 광학 필름(52)으로서 이용되는 연신 필름의 두께는, 예컨대, 5~200㎛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20~100㎛이다. 필름이 너무 얇으면 강도가 부족하거나 리타데이션 값이 부족할 우려가 있고, 너무 두꺼우면 투명성이 저하하거나 목적의 리타데이션 값을 얻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또한, 광학 필름(52)으로서 이용되는 연신 필름은, 필름 내에 잔류하고 있는 휘발성 성분의 함유량이 100질량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휘발성 성분 함유량이 상기 범위에 있는 연신 필름은,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표시 얼룩이 발생하지 않고, 광학 특성의 안정성이 우수하다. 여기서, 휘발성 성분은, 열가소성 수지에 미량 포함되는 분자량이 200 이하인 비교적 끓는점이 낮은 물질이고,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를 중합했을 때에 잔류한 잔류 단량체나,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휘발성 성분의 함유량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열가소성 수지를 분석하는 것에 의해 정량할 수 있다.
또, 휘발성 성분 함유량이 100질량ppm 이하인 연신 필름을 얻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a) 휘발성 성분 함유량이 100질량ppm 이하인 미연신 필름을 경사 연신하는 방법, (b) 휘발성 성분 함유량이 100질량ppm을 넘는 미연신 필름을 이용하여, 경사 연신의 공정 중, 또는 연신 후에 건조하여 휘발성 성분 함유량을 저감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휘발성 성분 함유량이 보다 저감된 연신 필름을 얻으려면, (a)의 방법이 바람직하다. (a)의 방법에 있어서, 휘발성 성분 함유량이 100질량ppm 이하인 미연신 필름을 얻으려면, 휘발성 성분 함유량이 100질량ppm 이하인 수지를 용융 압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광학 필름(52)으로서 이용되는 연신 필름의 포화 흡수율은, 바람직하게는 0.01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7질량% 이하이다. 포화 흡수율이 0.01질량%를 넘으면, 사용 환경에 따라 연신 필름에 치수 변화가 생겨 내부 응력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 그리고, 예컨대, 표시 패널(20)로서 반사형 액정 패널을 이용한 경우에, 흑색 표시가 부분적으로 옅어지는(희게 보이는) 등의 표시 얼룩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포화 흡수율이 상기 범위에 있는 연신 필름은,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표시 얼룩이 발생하지 않고, 광학 특성의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포화 흡수율」은, ASTM D570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연신 필름의 포화 흡수율은, 필름의 형성에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종류 등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광학 필름(52)으로서 이용되는 연신 필름의 비유전율은,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비유전율」은, ASTM D150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하드 코트층]]
광학 필름(52)의 양 표면에 형성된 하드 코트층(51, 53)은, 광학 필름(52)의 상처나 컬(curl)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하드 코트층(51, 53)의 형성에 이용되는 재료로서는, JIS K5700에 규정되는 연필 경도 시험에서, 「HB」 이상의 경도를 나타내는 것이 적합하다. 이와 같은 재료로서는, 예컨대, 유기 실리콘계, 멜라민계, 에폭시계, 아크릴레이트계, 다관능 (메타)아크릴계 화합물 등의 유기계 하드 코트층 형성 재료; 이산화규소 등의 무기계 하드 코트층 형성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접착력이 양호하고, 생산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다관능 (메타)아크릴계 화합물의 하드 코트층 형성 재료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메타)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가리키고, (메타)아크릴이란,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을 가리킨다.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중합성 불포화기를 분자 내에 1개 갖는 것, 2개 갖는 것, 3개 이상 갖는 것, 중합성 불포화기를 분자 내에 3개 이상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단독으로 이용되더라도 좋고, 2종류 이상의 것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하드 코트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하드 코트층 형성 재료의 도공액을, 딥법, 스프레이법, 슬라이드 코트법, 바 코트법, 롤 코터법, 다이 코터법, 그라비아 코터법, 스크린 인쇄법 등, 공지의 방법에 의해 광학 필름(52)상에 도공하고, 공기나 질소 등의 분위기하에서 건조에 의해 용제를 제거한 후에, 아크릴계 하드 코트층 재료를 도포하고,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에 의해 가교 경화시키거나, 실리콘계, 멜라민계, 에폭시계의 하드 코트층 재료를 도포하고, 열 경화시키거나 하여 행해진다. 건조시에, 도막의 막 두께 불균일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도막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흡기와 배기를 조정하여, 도막 전면이 균일하게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으로 경화하는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도포 후의 하드 코트층 형성 재료를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시키는 조사 시간은, 통상 0.01초부터 10초의 범위이고, 에너지선 원(source)의 조사량은, 자외선 파장 365㎚에서의 적산 노광량으로서, 통상 40mJ/㎠로부터 1000mJ/㎠의 범위이다. 또한, 자외선의 조사는, 예컨대 질소 및 아르곤 등의 불활성 가스 중에서 행하더라도 좋고, 공기 중에서 행하더라도 좋다.
또, 하드 코트층(51, 53)을 마련하는 경우, 광학 필름(52)으로서 이용하는 연신 필름에는, 하드 코트층(51, 53)과의 접착성을 높일 목적으로 표면 처리를 실시하더라도 좋다. 그 표면 처리로서는,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처리, 알칼리 처리, 코팅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광학 필름(52)이 열가소성 노르보르넨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코로나 처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열가소성 노르보르넨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52)과 하드 코트층(51, 53)의 밀착을 강고하게 할 수 있다. 코로나 처리 조건으로서는, 코로나 방전 전자의 조사량이 1~1000W/㎡/min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로나 처리 후의 광학 필름(52)의 물에 대한 접촉각은, 10~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드 코트층 형성 재료의 도공액은, 코로나 처리를 한 직후에 도공하더라도, 제전(除電)시키고 나서 도공하더라도 좋지만, 하드 코트층(51, 53)의 외관이 양호해지기 때문에, 제전시키고 나서 도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52)상에 형성되는 하드 코트층(51, 53)의 평균 두께는, 통상 0.5㎛ 이상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2㎛ 이상 15㎛ 이하이다. 하드 코트층(51, 53)의 두께가 이것보다 너무 두꺼우면, 시인성에서 문제가 될 가능성이 있고, 너무 얇으면 내찰상성이 뒤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하드 코트층(51, 53)의 헤이즈는, 0.5% 이하, 바람직하게는 0.3% 이하이다. 이와 같은 헤이즈 값의 하드 코트층(51, 53)은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 내에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 하드 코트층 형성 재료에는,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유기 입자, 무기 입자, 광 증감제, 중합 금지제, 중합 개시 조제, 레벨링제, 습윤성 개량제, 계면활성제,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실란 커플링제 등을 첨가하더라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에서는, 기재(50)는, 하드 코트층(51, 53)을 갖고 있지 않더라도 좋고, 또한, 하드 코트층(51, 53) 대신에, 혹은, 더하여, 인덱스 매칭층이나 저굴절률층 등의 광학 기능층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
[[인덱스 매칭층]]
여기서, 인덱스 매칭층은, 기재(50)의 광학 필름(52)과 기재(50)에 인접 배치된 부재의 사이, 예컨대, 광학 필름(52)과 제 1 도전층(61)의 사이에 생기는 굴절률의 차이에 기인하여 일어나는 층의 계면에 있어서의 광의 반사를 막을 목적으로, 예컨대, 광학 필름(52)과 제 1 도전층(61)의 사이(계면)에 마련되는 것이다. 인덱스 매칭층으로서는, 교대로 배치된 복수의 고굴절률막 및 저굴절률막을 포함하는 것이나, 지르코니아 등의 금속을 포함하는 수지층을 들 수 있다. 광학 필름(52)과 기재(50)에 인접 배치되는 부재(예컨대, 제 1 도전층(61))의 굴절률이 크게 상이했다고 하더라도, 인덱스 매칭층에 의해, 기재(50)의, 제 1 도전층(61)이 마련되어 있는 영역과, 제 1 도전층(61)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서 반사율이 크게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저굴절률층]]
저굴절률층은, 광의 반사를 방지할 목적으로 마련되는 것이고, 예컨대 하드 코트층(51, 53)상에 마련할 수 있다. 하드 코트층(51, 53)상에 마련하는 경우, 저굴절률층이란, 하드 코트층(51, 53)의 굴절률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 층을 가리킨다. 저굴절률층의 굴절률은, 23℃, 파장 550㎚에서 1.30~1.4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1.35~1.40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저굴절률층으로서는, SiO2, TiO2, NaF, Na3AlF6, LiF, MgF2, CaF2, SiO, SiOX, LaF3, CeF3, Al2O3, CeO2, Nd2O3, Sb2O3, Ta2O5, ZrO2, ZnO, ZnS 등으로 이루어지는 무기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기 화합물과,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실록산계 폴리머 등의 유기 화합물의 혼합물도 저굴절률층 형성 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일례로서, 자외선 경화 수지와 실리카 중공(中空) 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고,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형성한 저굴절률층을 들 수 있다. 저굴절률층의 막 두께는, 막 두께 70㎚ 이상 12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110㎚ 이하이다. 저굴절률층의 막 두께가 120㎚를 넘으면, 반사색에 색감이 부가되어, 흑색을 표시할 때의 색 재현성이 없어지기 때문에, 시인성이 저하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제 1 도전층]
제 1 도전층(61)은, 기재(50)의 한쪽(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도전층(61)은, 유전체층(62)을 사이에 두고 적층 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하는 제 2 도전층(63)과 함께 정전 용량식의 터치 센서를 구성한다.
여기서, 제 1 도전층(61)은,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 투과도를 갖고, 또한 도전성을 갖는 층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도전성 폴리머; 은 페이스트나 폴리머 페이스트 등의 도전성 페이스트; 금이나 구리 등의 금속 콜로이드; 산화인듐주석(주석 도핑 산화인듐 : ITO), 안티몬 도핑 주석 산화물(ATO), 불소 도핑 주석 산화물(FTO), 알루미늄 도핑 아연 산화물(AZO), 카드뮴 산화물, 카드뮴-주석 산화물, 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의 금속 산화물; 요오드화구리 등의 금속 화합물; 금(Au), 은(Ag), 백금(Pt), 팔라듐(Pd) 등의 금속; 은 나노와이어나 카본 나노튜브(CNT) 등의 무기 또는 유기계 나노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산화인듐주석, 카본 나노튜브 또는 은 나노와이어가 바람직하고, 광 투과성 및 내구성의 관점에서는 산화인듐주석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CNT를 사용하는 경우, 이용되는 CNT는, 단층 CNT, 2층 CNT, 3층 이상의 다층 CNT의 어느 것이더라도 좋지만, 직경이 0.3~100㎚이고, 길이가 0.1~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전층의 투명성을 높여, 표면 저항값을 저감하는 관점에서는, 직경 10㎚ 이하, 길이 1~10㎛의 단층 CNT 또는 2층 CNT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CNT의 집합체에는 어모퍼스 카본이나 촉매 금속 등의 불순물은 가능한 한 포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기재(50)의 표면상으로의 제 1 도전층(61)의 형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스퍼터링법, 진공 증착법, CVD법, 이온 플레이팅법, 졸ㆍ겔법, 코팅법 등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유전체층(절연층)]
유전체층(62)은, 제 1 도전층(61)의 한쪽(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유전체층(62)은, 유전체로 이루어지고, 제 1 도전층(61)과 제 2 도전층(63)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제 1 도전층(61)과 제 2 도전층(63)의 사이에 정전 용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유전체층(62)으로서는, 기지의 유전체, 예컨대, 아크릴계 재료, 폴리이미드계 재료, 에폭시계 재료, 폴리에스테르계 재료, 폴리우레탄계 재료, 폴리스티렌계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된 층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도전층(61)의 표면으로의 유전체층(62)의 형성은, 기지의 수법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또, 유전체층(62)은, 제 1 도전층(61)과 제 2 도전층(63)의 사이에 정전 용량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그 구조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유전체층(62)은, 1층 구조이더라도 좋고, 다층 구조이더라도 좋다. 또한, 유전체층(62)은, 한 종류의 재료만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고, 여러 종류의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제 2 도전층]
제 2 도전층(63)은, 유전체층(62)의 한쪽(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도전층(63)은, 유전체층(62)을 사이에 두고 적층 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하는 제 1 도전층(61)과 함께 정전 용량식의 터치 센서를 구성한다.
그리고, 제 2 도전층(63)은, 제 1 도전층(61)과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도전층(6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유전체층(62)의 표면상에 제 2 도전층(63)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정전 용량식의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도전층(61, 63)은, 패턴화하여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도전층(61) 및 제 2 도전층(63)은, 대향 배치하여 적층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직선 격자, 파선 격자 또는 다이아몬드 형상 격자 등을 형성하는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파선 격자란, 교차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만곡부를 갖는 형상을 가리킨다.
그리고, 패턴화된 제 1 도전층(61) 및 제 2 도전층(63)은, 예컨대, 기판(50)의 표면에 ITO로 이루어지는 제 1 전극층 패턴(제 1 도전층(61))을 형성하고, 그 위에 유전체층(62)을 형성하고, 해당 유전체층(62)의 위에 ITO로 이루어지는 제 2 전극층 패턴(제 2 도전층(63))을 제 1 전극층 패턴에 대하여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제 1 도전층(61) 및 제 2 도전층(63)의 두께는, 예컨대 ITO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10~150㎚로 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15~70㎚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1 도전층(61) 및 제 2 도전층(63)의 표면 저항률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100~1000Ω/□로 할 수 있다.
[커버층]
커버층(70)은, 기지의 부재, 예컨대, 유리제 또는 플라스틱제의, 가시광에 대하여 투명한 판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에 의하면, 시인측 편광판(40)과 커버층(70)의 사이에 소정의 위상차를 갖는 광학 필름(52)을 구비한 기재(50)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시인측 편광판(40)을 지나서 커버층(70)측으로 나아가는 직선 편광을 원 편광 또는 타원 편광으로 바꿀 수 있다. 따라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는, 조작자의 편광 선글라스의 투과축과 시인측 편광판(40)의 편광 필름(42)의 투과축이 직교하여, 소위 크로스 니콜 상태가 된 경우에도, 조작자가 표시 내용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에서는, 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이 하나의 기재(50)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1 도전층을 형성하기 위한 투명 기판 및 제 2 도전층을 형성하기 위한 투명 기판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터치 센서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시인측 편광판(40)과 커버층(70)의 사이에 존재하는 부재의 수를 삭감하여, 표시 패널(20)로서의 액정 패널과 커버층(70)의 사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장치(100)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을 달성할 수 있다. 또, 이 표시 장치(100)에서는, 기재(50)의 한쪽의 면에만 도전층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기재(50)의 양면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균일한 두께의 도전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례의 표시 장치(100)에서는,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을 시인측 편광판(40)과 커버층(70)의 사이에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시인측 편광판(40)보다 표시 패널(20)로서의 액정 패널측에 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을 마련한 경우와 비교하여, 장치의 두께를 얇게 한 경우에도, 액정 패널과,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의 사이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결과, 표시 패널(20)측으로부터 받는 전기적인 노이즈의 영향에 의한 터치 센서의 감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이 표시 장치(100)에서는, 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을 기재(50)보다 커버층(70)측에 형성하고 있으므로, 표시 패널(20)과,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의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고, 표시 패널(20)측으로부터 받는 전기적인 노이즈의 영향에 의한 터치 센서의 감도 저하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제 1 실시 형태의 제 1 변형예)>
도 1(b)에, 상기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의 일 변형예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도 1(b)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A)는,
ㆍ제 1 도전층(61)이, 기재(50)의 한쪽(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지 않고, 기재(50)의 다른 쪽(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
ㆍ유전체층(62)이 제 1 도전층(61)의 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제 2 도전층(63)이 유전체층(62)의 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
ㆍ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이, 시인측 편광판(40)과 기재(5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점
에 있어서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와 구성이 상이하고, 다른 점에서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A)에 의하면,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와 동일하게, 조작자의 편광 선글라스의 투과축과 시인측 편광판(40)의 편광 필름(42)의 투과축이 직교하여, 소위 크로스 니콜 상태가 된 경우에도, 조작자가 표시 내용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표시 패널(20)로서의 액정 패널과 커버층(70)의 사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표시 장치(100A)에 있어서도, 시인측 편광판(40)보다 표시 패널(20)측에 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을 마련한 경우와 비교하여, 표시 패널(20)측으로부터 받는 전기적인 노이즈의 영향에 의한 터치 센서의 감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기재(50)의 양면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균일한 두께의 도전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제 1 실시 형태의 제 2 변형예)>
도 1(c)에, 상기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의 다른 변형예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도 1(c)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B)는,
ㆍ시인측 편광판(40)이 커버층측 보호 필름(43)을 갖고 있지 않고, 편광 필름(42)이 시인측 편광판(40)의 커버층(70)측의 표면(도 1(c)에서는 상면)에 위치하고 있는 점,
ㆍ기재(50)가 시인측 편광판(40)의 편광 필름(42)의 커버층(70)측의 표면에 접합되어 있는 점
에 있어서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와 구성이 상이하고, 다른 점에서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여기서, 기재(50)의 편광 필름(42)상으로의 접합은, 기지의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B)에 의하면,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와 동일하게, 조작자의 편광 선글라스의 투과축과 시인측 편광판(40)의 편광 필름(42)의 투과축이 직교하여, 소위 크로스 니콜 상태가 된 경우에도, 조작자가 표시 내용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표시 패널(20)로서의 액정 패널과 커버층(70)의 사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0B)에서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와 동일하게, 표시 패널(20)측으로부터 받는 전기적인 노이즈의 영향에 의한 터치 센서의 감도 저하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기재(50)의 양면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균일한 두께의 도전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이 표시 장치(100B)에서는, 기재(50)를 편광 필름(42)의 보호 필름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으므로, 시인측 편광판(40)의 커버층측 보호 필름이 불필요하게 되어, 시인측 편광판(4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의 두께를 더 얇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이 표시 장치(100B)에서는, 기재(50)로서, 광학 필름(52)의 편광 필름(42)측에 하드 코트층(51)을 갖지 않는 기재(즉, 광학 필름(52)이 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위치하는 기재)를 사용하고, 광학 필름(52)과 편광 필름(42)을 접합하더라도 좋다. 시인측 편광판(40)의 커버층측 보호 필름에 더하여 기재(50)의 하드 코트층(51)도 불필요하게 되면,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의 두께를 보다 한층 얇게 할 수 있다.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제 2 실시 형태)>
도 2(a)에, 본 발명에 따르는 제 2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도 2(a)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200)는,
ㆍ제 1 도전층(61)이, 기재(50)의 한쪽(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지 않고, 광학 보상용의 위상차 필름(30)으로 이루어지는 광학 보상용 기재의 한쪽(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
ㆍ제 1 도전층(61)과, 제 1 도전층(61)의 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된 유전체층(62)과, 유전체층(62)의 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된 제 2 도전층(63)이, 시인측 편광판(40)보다 표시 패널(20)측, 구체적으로는 시인측 편광판(40)과 광학 보상용의 위상차 필름(3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점
에 있어서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와 구성이 상이하고, 다른 점에서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또, 제 2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는, 기재(50)를 갖고 있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광학 보상용 기재는, 위상차 필름의 표면에 하드 코트층이나 광학 기능층을 형성한 것이더라도 좋다.
여기서, 위상차 필름(30)으로 이루어지는 광학 보상용 기재상으로의 제 1 도전층(61)의 형성은,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에 있어서의 제 1 도전층(61)의 형성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200)에 의하면, 기재(50)를 갖고 있으므로,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와 동일하게, 조작자의 편광 선글라스의 투과축과 시인측 편광판(40)의 편광 필름(42)의 투과축이 직교하여, 소위 크로스 니콜 상태가 된 경우에도, 조작자가 표시 내용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200)에서는, 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이 하나의 광학 보상용 기재(위상차 필름(30))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1 도전층을 형성하기 위한 투명 기판 및 제 2 도전층을 형성하기 위한 투명 기판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표시 패널(20)로서의 액정 패널의 시야각 의존성이나, 비스듬히 볼 때의 편광판의 빛샘 현상을 위상차 필름(30)으로 보상하면서, 터치 센서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에 존재하는 부재의 수를 삭감하여,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장치(200)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을 달성할 수 있다. 또, 이 표시 장치(200)에서는, 광학 보상용 기재(위상차 필름(30))의 한쪽의 면에만 도전층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광학 보상용 기재(위상차 필름(30))의 양면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균일한 두께의 도전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는 제 2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에서는, 기재(50)를 편광 필름(42)의 보호 필름으로서 기능시켜, 시인측 편광판(40)의 커버층측 보호 필름이 불필요하게 되어, 시인측 편광판(4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즉, 제 2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에서는, 편광 필름(42)을 시인측 편광판(40)의 커버층(70)측의 표면에 위치시켜, 기재(50)를 시인측 편광판(40)의 편광 필름(42)의 커버층(70)측의 표면에 접합하는 것에 의해,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의 두께를 더 얇게 할 수 있다.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제 2 실시 형태의 제 1 변형예)>
도 2(b)에, 상기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200)의 일 변형예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도 2(b)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200A)는,
ㆍ제 1 도전층(61)이, 광학 보상용의 위상차 필름(30)(광학 보상용 기재)의 한쪽(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지 않고, 위상차 필름(30)의 다른 쪽(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
ㆍ유전체층(62)이 제 1 도전층(61)의 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제 2 도전층(63)이 유전체층(62)의 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
ㆍ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이, 위상차 필름(30)과 표시 패널(2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점
에 있어서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200)와 구성이 상이하고, 다른 점에서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20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200A)에 의하면,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200)와 동일하게, 조작자의 편광 선글라스의 투과축과 시인측 편광판(40)의 편광 필름(42)의 투과축이 직교하여, 소위 크로스 니콜 상태가 된 경우에도, 조작자가 표시 내용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20)로서의 액정 패널의 시야각 의존성이나, 비스듬히 볼 때의 편광판의 빛샘 현상을 위상차 필름(30)으로 보상하면서, 터치 센서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광학 보상용 기재(위상차 필름(30))의 양면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균일한 두께의 도전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제 2 실시 형태의 제 2 변형예)>
도 2(c)에, 상기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200)의 다른 변형예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도 2(c)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200B)는,
ㆍ제 1 도전층(61)이, 광학 보상용의 위상차 필름(30)(광학 보상용 기재)의 한쪽(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지 않고, 위상차 필름(30)의 다른 쪽(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
ㆍ유전체층(62)이 제 1 도전층(61)의 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제 2 도전층(63)이 유전체층(62)의 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
ㆍ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이, 위상차 필름(30)과 표시 패널(2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점,
ㆍ시인측 편광판(40)이 표시 패널측 보호 필름(41)을 갖고 있지 않고, 편광 필름(42)이 시인측 편광판(40)의 표시 패널(20)측의 표면(도 2(c)에서는 하면)에 위치하고 있는 점,
ㆍ광학 보상용의 위상차 필름(30)(광학 보상용 기재)이 시인측 편광판(40)의 편광 필름(42)의 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접합되어 있는 점
에 있어서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200)와 구성이 상이하고, 다른 점에서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20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여기서, 위상차 필름(30)(광학 보상용 기재)의 편광 필름(42)상으로의 접합은, 기지의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200B)에 의하면,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200)와 동일하게, 조작자의 편광 선글라스의 투과축과 시인측 편광판(40)의 편광 필름(42)의 투과축이 직교하여, 소위 크로스 니콜 상태가 된 경우에도, 조작자가 표시 내용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20)로서의 액정 패널의 시야각 의존성이나, 비스듬히 볼 때의 편광판의 빛샘 현상을 위상차 필름(30)으로 보상하면서, 터치 센서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광학 보상용 기재(위상차 필름(30))의 양면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균일한 두께의 도전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이 표시 장치(200B)에서는, 위상차 필름(30)(광학 보상용 기재)을 편광 필름(42)의 보호 필름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으므로, 시인측 편광판(40)의 표시 패널측 보호 필름이 불필요하게 되어, 시인측 편광판(4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의 두께를 더 얇게 할 수 있다.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제 3 실시 형태)>
도 3(a)에, 본 발명에 따르는 제 3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도 3(a)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300)는,
ㆍ제 1 도전층(61)이, 기재(50)의 한쪽(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지 않고, 시인측 편광판(40)의 한쪽(커버층(70)측)의 표면, 구체적으로는 시인측 편광판(40)의 커버층측 보호 필름(43)의 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
ㆍ제 1 도전층(61)과, 제 1 도전층(61)의 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된 유전체층(62)과, 유전체층(62)의 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된 제 2 도전층(63)이, 시인측 편광판(40)과 기재(5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점
에 있어서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와 구성이 상이하고, 다른 점에서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또, 제 3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는, 광학 필름(52)을 갖는 기재(50) 및 위상차 필름(30)을 갖고 있지 않더라도 좋고, 또한, 기재(50) 및 위상차 필름(30)의 어느 한쪽만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
여기서, 시인측 편광판(40)상으로의 제 1 도전층(61)의 형성은,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에 있어서의 제 1 도전층(61)의 형성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300)에 의하면, 기재(50)를 갖고 있으므로,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와 동일하게, 조작자의 편광 선글라스의 투과축과 시인측 편광판(40)의 편광 필름(42)의 투과축이 직교하여, 소위 크로스 니콜 상태가 된 경우에도, 조작자가 표시 내용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300)에서는, 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이 하나의 시인측 편광판(40)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1 도전층을 형성하기 위한 투명 기판 및 제 2 도전층을 형성하기 위한 투명 기판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터치 센서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에 존재하는 부재의 수를 삭감하여, 표시 패널(20)로서의 액정 패널과 커버층(70)의 사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장치(300)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을 달성할 수 있다. 또, 이 표시 장치(300)에서는, 시인측 편광판(40)의 한쪽의 면에만 도전층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시인측 편광판(40)의 양면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균일한 두께의 도전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례의 표시 장치(300)에서는,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을 시인측 편광판(40)과 커버층(70)의 사이에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시인측 편광판(40)보다 표시 패널(20)측에 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을 마련한 경우와 비교하여, 장치의 두께를 얇게 한 경우에도, 액정 패널과,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의 사이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결과, 표시 패널(20)측으로부터 받는 전기적인 노이즈의 영향에 의한 터치 센서의 감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제 3 실시 형태의 제 1 변형예)>
도 3(b)에, 상기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300)의 일 변형예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도 3(b)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300A)는,
ㆍ제 1 도전층(61)이, 시인측 편광판(40)의 한쪽(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지 않고, 시인측 편광판(40)의 다른 쪽(표시 패널(20)측)의 표면, 구체적으로는 시인측 편광판(40)의 표시 패널측 보호 필름(41)의 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
ㆍ유전체층(62)이 제 1 도전층(61)의 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제 2 도전층(63)이 유전체층(62)의 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
ㆍ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이, 시인측 편광판(40)과 위상차 필름(3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점
에 있어서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300)와 구성이 상이하고, 다른 점에서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30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300A)에 의하면,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300)와 동일하게, 조작자의 편광 선글라스의 투과축과 시인측 편광판(40)의 편광 필름(42)의 투과축이 직교하여, 소위 크로스 니콜 상태가 된 경우에도, 조작자가 표시 내용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표시 패널(20)로서의 액정 패널과 커버층(70)의 사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시인측 편광판(40)의 양면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균일한 두께의 도전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제 4 실시 형태)>
도 4(a)에, 본 발명에 따르는 제 4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도 4(a)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는, 화면에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기능과, 조작자가 접촉한 화면 위치를 검지하여 외부에 정보 신호로서 출력하는 터치 센서 기능을 겸비하는 장치이다.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는, 유기 EL 표시(OLED) 패널이 배치되는 쪽(도 4(a)에서는 아래쪽. 이하, 간단히 「표시 패널측」이라고 한다.)으로부터 조작자가 화상을 시인하는 쪽(도 4(a)에서는 위쪽. 이하, 간단히 「시인측」이라고 한다.)을 향해서, 표시 패널(20)로서의 유기 EL 표시(OLED) 패널(24) 및 배리어층(25)과, 제 2 도전층(63)과, 유전체층(62)과, 제 1 도전층(61)과, 기재(50)와, 편광판(40)과, 커버층(70)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갖고 있다. 그리고, 이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에서는, 제 1 도전층(61)이, 기재(50)의 한쪽(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유전체층(62)이, 제 1 도전층(61)의 기재(50)측과는 반대쪽(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제 2 도전층(63)이, 유전체층(62)의 제 1 도전층(61)측과는 반대쪽(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표시 장치(400)에서는, 편광판(40)과, 편광판(40)보다 표시 패널(20)측에 위치하는 기재(50)가 원 편광판을 구성하고 있다.
또, 표시 패널(20)과, 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이 형성된 기재(50)와, 편광판(40)과, 커버층(70)은,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 혹은, 부재 표면의 플라즈마 처리 등의 기지의 수단을 이용하여 각 부재끼리를 서로 접합하는 것에 의해, 일체화할 수 있다. 즉, 도 4(a)에 있어서의 적층 구조의 극간 부분에는, 예컨대,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이 형성된다.
[유기 EL 표시(OLED) 패널]
유기 EL 표시(OLED) 패널(24)로서는, 예컨대, 투명 기판 표면에 투명한 전극 재료에 의해 형성된 투명 전극과, 이 투명 전극에 적층되고, EL 재료로 이루어지는 발광층과, 이 발광층에 적층되고, 상기 투명 전극에 대향하여 형성된 배면 전극을 갖고, 투명 기판측에 발광하는 유기 EL 표시(OLED) 패널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에서는, 유기 EL 표시(OLED) 패널(24)에 통전하는 것에 의해, 조작자에 대하여 소망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또, 투명 전극, 발광층 및 배면 전극으로서는, 기지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에 이용할 수 있는 표시 패널은, 상기 구조의 유기 EL 표시(OLED) 패널(24)을 사용한 것으로 한정되는 일은 없다.
[배리어층]
유기 EL 표시(OLED) 패널(24)의 시인측에 위치하는 배리어층(25)으로서는, 기지의 부재, 예컨대, 유리제 또는 플라스틱제의, 가시광에 대하여 투명한 판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 2 도전층]
제 2 도전층(63)은, 유전체층(62)의 한쪽(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도전층(63)은, 유전체층(62)을 사이에 두고 적층 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하는 제 1 도전층(61)과 함께 정전 용량식의 터치 센서를 구성한다.
여기서, 제 2 도전층(63)으로서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유전체층(62)상에 제 2 도전층(63)을 형성할 수 있다.
[유전체층(절연층)]
유전체층(62)은, 제 1 도전층(61)의 한쪽(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유전체층(62)은, 유전체로 이루어지고, 제 1 도전층(61)과 제 2 도전층(63)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제 1 도전층(61)과 제 2 도전층(63)의 사이에 정전 용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유전체층(62)으로서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 1 도전층(61)상에 유전체층(62)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도전층]
제 1 도전층(61)은, 기재(50)의 한쪽(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도전층(61)은, 유전체층(62)을 사이에 두고 적층 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하는 제 2 도전층(63)과 함께 정전 용량식의 터치 센서를 구성한다.
여기서, 제 1 도전층(61)으로서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기재(50)상에 제 1 도전층(61)을 형성할 수 있다.
[광학 필름을 갖는 기재]
적층 방향 한쪽(도 4(a)에서는 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제 1 도전층(61)이 형성된 기재(50)는, λ/4의 위상차를 갖는 광학 필름(52)과, 광학 필름(52)의 양 표면에 형성된 하드 코트층(51, 53)을 갖고 있다. 그리고, 기재(50)의 광학 필름(52)은, 해당 광학 필름(52)의 지상축과,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편광판(40)의 편광 필름(42)의 투과축의 교차각이, 적층 방향에서 볼 때, 소정의 각도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소정의 각도」란, 편광판(40)과 광학 필름(52)으로 원 편광판을 형성하고, 입사 외광의 반사광에 의해 표시 내용을 시인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각도이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각도는, 커버층(70)측으로부터 편광판(40)을 지나서 표시 패널(20)측으로 나아가는 직선 편광을 광학 필름(52)으로 원 편광으로 할 수 있는 각도(예컨대, 약 45° 정도), 보다 구체적으로는 45°±5°, 바람직하게는 45°±3°, 보다 바람직하게는 45°±1°, 더 바람직하게는 45°±0.3°의 범위 내의 각도이다.
또한, 「λ/4의 위상차를 갖는다」란, 광학 필름(52)을 적층 방향으로 투과한 광에 대하여 주는 위상차(리타데이션 Re)가 광의 파장 λ의 약 1/4배인 것을 가리킨다. 구체적으로는, 투과하는 광의 파장 범위가 400㎚~700㎚인 경우, Re가 파장 λ의 약 1/4배라는 것은, Re가 λ/4±65㎚, 바람직하게는 λ/4±30㎚, 보다 바람직하게는 λ/4±10㎚의 범위인 것을 말한다. 또, Re는, 식 : Re=(nx-ny)×d[식 중, nx는 필름면 내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ny는 필름면 내의 지상축에 면 내에서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이고, d는 광학 필름(52)의 두께이다]로 표현되는 면 내 방향 리타데이션이다.
[[광학 필름]]
광학 필름(52)으로서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이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에 있어서 원 편광판의 일부를 구성하는 광학 필름(52)은, 광학 필름에 입사한 광이 장파장측에서 주어지는 위상차가 커지고, 단파장측에서 주어지는 위상차가 작아지는 역 파장 분산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광학 필름에 입사한 광이 장파장이 될수록 주어지는 위상차의 절대값이 커지고, 단파장이 될수록 주어지는 위상차의 절대값이 작아지므로, 넓은 파장 영역에서 소망하는 편광 특성을 얻어, 직선 편광을 원 편광으로 바꿀 수 있다.
[[하드 코트층]]
광학 필름(52)의 양 표면에 형성된 하드 코트층(51, 53)으로서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와 동일하게, 기재(50)는, 하드 코트층(51, 53)을 갖고 있지 않더라도 좋고, 또한, 하드 코트층(51, 53) 대신에, 혹은, 더하여, 인덱스 매칭층이나 저굴절률층 등의 광학 기능층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
[[인덱스 매칭층]]
인덱스 매칭층으로서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 기재(50)에 직접 적층하는 층(예컨대, 도전층, 접착제층, 점착제층)과의 굴절률 차이가 0.05 이상이더라도, 계면 반사의 영향이 없는(예컨대, 원 편광판을 형성하는 기재(50)의 표시 패널(20)측에 제 1 도전층(61)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덱스 매칭층을 마련하지 않더라도 좋다.
[[저굴절률층]]
저굴절률층으로서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편광판]
편광판(40)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일 없이,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0)에서 이용한 시인측 편광판과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편광판(40)으로서는, 편광 필름(42)을 2매의 보호 필름(표시 패널측 보호 필름(41) 및 커버층측 보호 필름(43))의 사이에 끼워서 이루어지는 편광판(40)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편광 필름(42)의 투과축과 기재(50)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52)의 지상축은, 적층 방향(도 4(a)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볼 때, 약 45°로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또, 경사 연신한 필름을 광학 필름(52)으로서 이용한 기재(50)를 사용하고, 편광판(40) 및 기재(50)를 포함하는 적층체를 롤투롤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광학 필름(52)으로서 이용하는 경사 연신 필름의 배향각은, 적층체를 형성했을 때에 광학 필름(52)의 지상축과 편광 필름(42)의 투과축이 상기 소정의 각도가 되도록 조정하면 된다.
[커버층]
커버층(70)은, 기지의 부재, 예컨대, 유리제 또는 플라스틱제의, 가시광에 대하여 투명한 판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에 의하면, 커버층(70)과 표시 패널(20)의 사이에, 편광 필름(42)을 갖는 편광판(40)과, 소정의 위상차를 갖고 또한 소정의 광축 각도로 배치된 광학 필름(52)을 갖는 기재(50)로 이루어지는 원 편광판을 배치하고 있으므로, 입사 외광의 반사광에 의해 표시 내용을 시인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버층(70)측으로부터 편광판(40)을 지나서 표시 패널(20)측으로 나아가는 직선 편광을, 기재(50)의 광학 필름(52)으로 원 편광으로 바꿈과 아울러, 그 원 편광의 표시 패널(20)에서의 반사광인 역 원 편광을 기재(50)의 광학 필름(52)으로 상기 직선 편광과 직교하는 다른 직선 편광으로 바꾸어, 편광판(40)으로 그 다른 직선 편광의 커버층(70)측으로의 투과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에서는, 반사광에 저해되지 않고서, 조작자가 표시 내용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에서는, 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이 하나의 기재(50)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1 도전층을 형성하기 위한 투명 기판 및 제 2 도전층을 형성하기 위한 투명 기판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터치 센서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에 존재하는 부재의 수를 삭감하여,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장치(400)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을 달성할 수 있다. 또, 이 표시 장치(400)에서는, 기재(50)의 한쪽의 면에만 도전층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기재(50)의 양면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균일한 두께의 도전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에서는, 원 편광판을 구성하는 기재(50)의 표시 패널(20)측에 제 1 도전층(61)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기재(50)에 인덱스 매칭층을 마련하지 않더라도 좋다.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제 4 실시 형태의 제 1 변형예)>
도 4(b)에, 상기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의 일 변형예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도 4(b)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A)는,
ㆍ제 1 도전층(61)이, 기재(50)의 한쪽(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지 않고, 기재(50)의 다른 쪽(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
ㆍ유전체층(62)이, 제 1 도전층(61)의 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제 2 도전층(63)이, 유전체층(62)의 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
ㆍ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이, 기재(50)와 편광판(4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점
에 있어서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와 구성이 상이하고, 다른 점에서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A)에 의하면,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와 동일하게, 입사 외광의 반사광에 의해 표시 내용을 시인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A)에 의하면, 반사광에 저해되지 않고서, 조작자가 표시 내용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기재(50)의 양면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균일한 두께의 도전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제 4 실시 형태의 제 2 변형예)>
도 4(c)에, 상기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의 다른 변형예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도 4(c)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B)는,
ㆍ편광판(40)이 표시 패널측 보호 필름(41)을 갖고 있지 않고, 편광 필름(42)이 편광판(40)의 표시 패널(20)측의 표면(도 4(c)에서는 하면)에 위치하고 있는 점,
ㆍ기재(50)가 편광판(40)의 편광 필름(42)의 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접합되어 있는 점
에 있어서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와 구성이 상이하고, 다른 점에서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여기서, 기재(50)의 편광 필름(42)상으로의 접합은, 기지의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B)에 의하면,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와 동일하게, 입사 외광의 반사광에 의해 표시 내용을 시인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B)에 의하면, 반사광에 저해되지 않고서, 조작자가 표시 내용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기재(50)의 양면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균일한 두께의 도전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B)에서는, 기재(50)의 표시 패널(20)측에 제 1 도전층(61)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와 동일하게, 기재(50)에 인덱스 매칭층을 마련하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이 표시 장치(400B)에서는, 기재(50)를 편광 필름(42)의 보호 필름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으므로, 편광판(40)의 표시 패널측 보호 필름이 불필요하게 되어, 편광판(4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의 두께를 더 얇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이 표시 장치(400B)에서는, 기재(50)로서, 광학 필름(52)의 편광 필름(42)측에 하드 코트층(53)을 갖지 않는 기재(즉, 광학 필름(52)이 커버층(70)측의 표면에 위치하는 기재)를 사용하고, 광학 필름(52)과 편광 필름(42)을 접합하더라도 좋다. 편광판(40)의 표시 패널측 보호 필름에 더하여 기재(50)의 하드 코트층(53)도 불필요하게 되면,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의 두께를 보다 한층 얇게 할 수 있다.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제 5 실시 형태)>
도 5(a)에, 본 발명에 따르는 제 5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도 5(a)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500)는,
ㆍ제 1 도전층(61)이, 기재(50)의 한쪽(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지 않고, 편광판(40)의 한쪽(표시 패널(20)측)의 표면, 구체적으로는 편광판(40)의 표시 패널측 보호 필름(41)의 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
ㆍ제 1 도전층(61)과, 제 1 도전층(61)의 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형성된 유전체층(62)과, 유전체층(62)의 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형성된 제 2 도전층(63)이, 편광판(40)과 기재(5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점
에 있어서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와 구성이 상이하고, 다른 점에서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여기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에 있어서의 제 1 도전층(61)의 형성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편광판(40)상에 제 1 도전층(6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500)에 의하면,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와 동일하게, 입사 외광의 반사광에 의해 표시 내용을 시인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500)에 의하면, 반사광에 저해되지 않고서, 조작자가 표시 내용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500)에서는, 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이 하나의 편광판(40)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1 도전층을 형성하기 위한 투명 기판 및 제 2 도전층을 형성하기 위한 투명 기판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터치 센서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에 존재하는 부재의 수를 삭감하여,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장치(500)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을 달성할 수 있다. 또, 이 표시 장치(500)에서는, 편광판(40)의 한쪽의 면에만 도전층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편광판(40)의 양면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균일한 두께의 도전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제 5 실시 형태의 제 1 변형예)>
도 5(b)에, 상기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500)의 일 변형예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도 5(b)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500A)는,
ㆍ제 1 도전층(61)이, 편광판(40)의 한쪽(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지 않고, 편광판(40)의 다른 쪽(커버층(70)측)의 표면, 구체적으로는 편광판(40)의 커버층측 보호 필름(43)의 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
ㆍ유전체층(62)이, 제 1 도전층(61)의 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제 2 도전층(63)이, 유전체층(62)의 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
ㆍ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이, 커버층(70)과 편광판(4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점
에 있어서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500)와 구성이 상이하고, 다른 점에서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50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500A)에 의하면,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500)와 동일하게, 입사 외광의 반사광에 의해 표시 내용을 시인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500A)에 의하면, 반사광에 저해되지 않고서, 조작자가 표시 내용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편광판(40)의 양면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균일한 두께의 도전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표시 장치(500A)에서는,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을 편광판(40)과 커버층(70)의 사이에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편광판(40)보다 표시 패널(20)측에 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을 마련한 경우와 비교하여, 장치의 두께를 얇게 한 경우에도, 표시 패널과,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의 사이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결과, 표시 패널(20)측으로부터 받는 전기적인 노이즈의 영향에 의한 터치 센서의 감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제 5 실시 형태의 제 2 변형예)>
도 5(c)에, 상기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500)의 다른 변형예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도 5(c)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500B)는,
ㆍ제 1 도전층(61)이, 편광판(40)의 한쪽(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지 않고, 편광판(40)의 다른 쪽(커버층(70)측)의 표면, 구체적으로는 편광판(40)의 커버층측 보호 필름(43)의 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
ㆍ유전체층(62)이 제 1 도전층(61)의 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제 2 도전층(63)이 유전체층(62)의 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
ㆍ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이, 커버층(70)과 편광판(4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점,
ㆍ편광판(40)이 표시 패널측 보호 필름(41)을 갖고 있지 않고, 편광 필름(42)이 편광판(40)의 표시 패널(20)측의 표면(도 5(c)에서는 하면)에 위치하고 있는 점,
ㆍ기재(50)가 편광판(40)의 편광 필름(42)의 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접합되어 있는 점
에 있어서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500)와 구성이 상이하고, 다른 점에서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50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여기서, 기지의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을 이용하여 기재(50)를 편광 필름(42)상에 접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500B)에 의하면,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500)와 동일하게, 입사 외광의 반사광에 의해 표시 내용을 시인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500B)에 의하면, 반사광에 저해되지 않고서, 조작자가 표시 내용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편광판(40)의 양면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균일한 두께의 도전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표시 장치(500B)에서는,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을 편광판(40)과 커버층(70)의 사이에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편광판(40)보다 표시 패널(20)측에 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을 마련한 경우와 비교하여, 장치의 두께를 얇게 한 경우에도, 표시 패널과,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의 사이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결과, 표시 패널(20)측으로부터 받는 전기적인 노이즈의 영향에 의한 터치 센서의 감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표시 장치(500B)에서는, 기재(50)를 편광 필름(42)의 보호 필름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으므로, 편광판(40)의 표시 패널측 보호 필름이 불필요하게 되어, 편광판(4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의 두께를 더 얇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이 표시 장치(500B)에서는, 기재(50)로서, 광학 필름(52)의 편광 필름(42)측에 하드 코트층(53)을 갖지 않는 기재(즉, 광학 필름(52)이 커버층(70)측의 표면에 위치하는 기재)를 사용하고, 광학 필름(52)과 편광 필름(42)을 접합하더라도 좋다. 편광판(40)의 표시 패널측 보호 필름에 더하여 기재(50)의 하드 코트층(53)도 불필요하게 되면,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의 두께를 보다 한층 얇게 할 수 있다.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제 6 실시 형태)>
도 6(a)에, 본 발명에 따르는 제 6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도 6(a)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600)는,
ㆍ편광판(40)이 표시 패널측 보호 필름(41)을 갖고 있지 않고, 편광 필름(42)이 편광판(40)의 표시 패널(20)측의 표면(도 6(a)에서는 하면)에 위치하고 있는 점,
ㆍ기재(50)가 편광판(40)의 편광 필름(42)의 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접합되어 있는 점,
ㆍ기재(50)와 표시 패널(20)의 사이에 다른 기재(80)를 더 구비하고 있는 점,
ㆍ제 1 도전층(61)이, 기재(50)의 한쪽(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지 않고, 다른 기재(80)의 한쪽(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
ㆍ제 1 도전층(61)과, 제 1 도전층(61)의 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형성된 유전체층(62)과, 유전체층(62)의 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형성된 제 2 도전층(63)이, 다른 기재(80)와 표시 패널(2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점
에 있어서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와 구성이 상이하고, 다른 점에서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여기서, 기재(50)의 편광 필름(42)상으로의 접합은, 기지의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다른 기재]
또한, 다른 기재(80)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기지의 광학 필름을 갖는 기재나, 가시광에 대하여 투명하고, 또한, 쓸데없는 위상차를 발생시키지 않는 기재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기재(80)상으로의 제 1 도전층(61)의 형성은,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에 있어서의 제 1 도전층(61)의 형성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600)에 의하면,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와 동일하게, 입사 외광의 반사광에 의해 표시 내용을 시인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600)에 의하면, 반사광에 저해되지 않고서, 조작자가 표시 내용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600)에서는, 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이 하나의 다른 기재(80)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1 도전층을 형성하기 위한 투명 기판 및 제 2 도전층을 형성하기 위한 투명 기판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터치 센서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에 존재하는 부재의 수를 삭감하여,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장치(600)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을 달성할 수 있다. 또, 이 표시 장치(600)에서는, 다른 기재(80)의 한쪽의 면에만 도전층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다른 기재(80)의 양면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균일한 두께의 도전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600)에서는, 원 편광판을 구성하는 기재(50)보다 표시 패널(20)측에 위치하는 다른 기재(80)에 제 1 도전층(61)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와 동일하게, 다른 기재(80) 등에 인덱스 매칭층을 마련하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이 표시 장치(600)에서는, 기재(50)를 편광 필름(42)의 보호 필름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으므로, 편광판(40)의 표시 패널측 보호 필름이 불필요하게 되어, 편광판(4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의 두께를 더 얇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이 표시 장치(600)에서는, 기재(50)로서, 광학 필름(52)의 편광 필름(42)측에 하드 코트층(53)을 갖지 않는 기재(즉, 광학 필름(52)이 커버층(70)측의 표면에 위치하는 기재)를 사용하고, 광학 필름(52)과 편광 필름(42)을 접합하더라도 좋다. 편광판(40)의 표시 패널측 보호 필름에 더하여 기재(50)의 하드 코트층(53)도 불필요하게 되면,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의 두께를 보다 한층 얇게 할 수 있다.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제 6 실시 형태의 제 1 변형예)>
도 6(b)에, 상기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600)의 일 변형예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도 6(b)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600A)는,
ㆍ제 1 도전층(61)이, 다른 기재(80)의 한쪽(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지 않고, 다른 기재(80)의 다른 쪽(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
ㆍ유전체층(62)이 제 1 도전층(61)의 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제 2 도전층(63)이 유전체층(62)의 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
ㆍ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이, 다른 기재(80)와 기재(5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점
에 있어서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600)와 구성이 상이하고, 다른 점에서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60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600A)에 의하면,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600)와 동일하게, 입사 외광의 반사광에 의해 표시 내용을 시인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600A)에 의하면, 반사광에 저해되지 않고서, 조작자가 표시 내용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기재(80)의 양면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균일한 두께의 도전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600A)에서는, 기재(50)보다 표시 패널(20)측에 위치하는 다른 기재(80)에 제 1 도전층(61)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600)와 동일하게, 다른 기재(80) 등에 인덱스 매칭층을 마련하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이 표시 장치(600A)에서는,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600)와 동일하게, 편광판(40)의 표시 패널측 보호 필름이 불필요하게 되어, 편광판(4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의 두께를 더 얇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이 표시 장치(600A)에서는,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600)와 동일하게, 기재(50)로서, 광학 필름(52)의 편광 필름(42)측에 하드 코트층(53)을 갖지 않는 기재를 사용하고,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의 두께를 보다 한층 얇게 하더라도 좋다.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제 7 실시 형태)>
도 7(a)에, 본 발명에 따르는 제 7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도 7(a)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700)는,
ㆍ편광판(40)이 표시 패널측 보호 필름(41)을 갖고 있지 않고, 편광 필름(42)이 편광판(40)의 표시 패널(20)측의 표면(도 7(a)에서는 하면)에 위치하고 있는 점,
ㆍ기재(50)와, 편광판(40)의 사이,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재(50)와 편광판(40)의 편광 필름(42)의 사이에 편광판측 기재(90)를 더 포함하고, 원 편광판이, 기재(50)와, 편광판측 기재(90)와, 편광판(40)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
ㆍ편광판측 기재(90)가 편광판(40)의 편광 필름(42)의 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접합되어 있는 점,
ㆍ편광판측 기재(90)가, λ/2의 위상차를 갖는 다른 광학 필름(92)을 갖는 점,
ㆍ광학 필름(52)의 지상축과, 다른 광학 필름(92)의 지상축과, 편광 필름(42)의 투과축이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고 있는 점
에 있어서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와 구성이 상이하고, 다른 점에서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여기서, 편광판측 기재(90)의 편광 필름(42)상으로의 접합은, 기지의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편광판측 기재]
편광판측 기재(90)는, λ/2의 위상차를 갖는 다른 광학 필름(92)과, 광학 필름(92)의 양 표면에 형성된 하드 코트층(91, 93)을 갖고 있다. 그리고, 다른 광학 필름(92)은, 광에 대하여 주는 위상차를 λ/2로 한 것 이외에는 광학 필름(52)과 동일한 재료 및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에서는, 편광판측 기재(90)는, 하드 코트층(91, 93)을 갖고 있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편광판측 기재(90)는, 기재(50)와 동일하게, 하드 코트층(91, 93) 대신에, 혹은, 더하여, 인덱스 매칭층이나 저굴절률층 등의 광학 기능층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
여기서, 「λ/2의 위상차를 갖는다」란, 편광판측 기재(90)의 다른 광학 필름(92)을 적층 방향으로 투과한 광에 대하여 주는 위상차(리타데이션 Re)가 광의 파장 λ의 약 1/2인 것을 가리킨다. 구체적으로는, 투과하는 광의 파장 범위가 400㎚~700㎚인 경우, Re가 파장 λ의 약 1/2배라는 것은, Re가 λ/2±65㎚, 바람직하게는 λ/2±30㎚, 보다 바람직하게는 λ/2±10㎚의 범위인 것을 말한다. 또, Re는, 식 : Re=(nx-ny)×d[식 중, nx는 필름면 내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ny는 필름면 내의 지상축에 면 내에서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이고, d는 다른 광학 필름(92)의 두께이다]로 표현되는 면 내 방향 리타데이션이다.
또한, 기재(50)의 광학 필름(52) 및 편광판측 기재(90)의 다른 광학 필름(92)은, 2매의 조합으로 λ/4의 위상차를 주는 광학판(소위, 광대역 1/4 파장판)이 되는 것이고, 광학 필름(52) 및 다른 광학 필름(92)은, 모두, 동일한 파장 분산 특성을 갖고 있는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학 필름(52) 및 다른 광학 필름(92)은, 광학 필름(52)의 지상축과, 편광판(40)의 편광 필름(42)의 투과축의 교차각, 및, 편광판측 기재(90)의 다른 광학 필름(92)의 지상축과, 편광판(40)의 편광 필름(42)의 투과축의 교차각이, 각각, 적층 방향에서 볼 때, 소정의 각도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소정의 각도」란, 광대역 1/4 파장판을 형성할 수 있는 각도, 구체적으로는, 커버층(80)측으로부터 편광판(40)을 지나서 표시 패널(20)측으로 나아가는 직선 편광 A가 다른 광학 필름(92) 및 광학 필름(5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 원 편광 A로 바뀌고, 또한, 원 편광 A가 표시 패널(20)에서 반사하여 이루어지는 역 원 편광 B가 광학 필름(52) 및 다른 광학 필름(9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 상기 직선 편광 A와 직교하는 다른 직선 편광 B로 바뀌는 각도이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각도」는, 다른 광학 필름(92) 및 광학 필름(52)이 동일한 파장 분산 특성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광학 필름(52)의 지상축과 편광 필름(42)의 투과축의 교차각을 X°, 편광판측 기재(90)의 다른 광학 필름(92)의 지상축과 편광 필름(42)의 투과축의 교차각을 Y°로 했을 때에, X-2Y=45°가 성립되는 각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각도」는, 예컨대, (ⅰ) 광학 필름(52)의 지상축과 편광 필름(42)의 투과축의 교차각을 약 75°로 하고, 편광판측 기재(90)의 다른 광학 필름(92)의 지상축과 편광 필름(42)의 투과축의 교차각을 약 15°로 한 조합, (ⅱ) 광학 필름(52)의 지상축과 편광 필름(42)의 투과축의 교차각을 약 90°로 하고, 편광판측 기재(90)의 다른 광학 필름(92)의 지상축과 편광 필름(42)의 투과축의 교차각을 약 22.5°로 한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약 75°」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75°±5°, 바람직하게는 75°±3°, 보다 바람직하게는 75°±1°, 더 바람직하게는 75°±0.3°의 범위 내의 각도이고, 「약 15°」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15°±5°, 바람직하게는 15°±3°, 보다 바람직하게는 15°±1°, 더 바람직하게는 15°±0.3°의 범위 내의 각도이고, 「약 90°」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90°±5°, 바람직하게는 90°±3°, 보다 바람직하게는 90°±1°, 더 바람직하게는 90°±0.3°의 범위 내의 각도이고, 「약 22.5°」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22.5°±5°, 바람직하게는 22.5°±3°, 보다 바람직하게는 22.5°±1°, 더 바람직하게는 22.5°±0.3°의 범위 내의 각도이다.
또, 편광판(40)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롤투롤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점에서, 편광 필름(42)의 투과축과의 교차각이 약 90°가 되는 광학 필름(52)은, 종 연신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고, 편광 필름(42)의 투과축과의 교차각이 약 75°가 되는 광학 필름(52)은, 경사 연신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고, 편광 필름(42)의 투과축과의 교차각이 약 15°가 되는 다른 광학 필름(92)은, 경사 연신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고, 편광 필름(42)의 투과축과의 교차각이 약 22.5°가 되는 다른 광학 필름(92)은, 경사 연신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700)에 의하면, 커버층(70)과 표시 패널(20)의 사이에, 편광 필름(42)을 갖는 편광판(40)과, 소정의 위상차를 갖고 또한 소정의 광축 각도로 배치된 다른 광학 필름(92)을 갖는 편광판측 기재(90)와, 소정의 위상차를 갖고 또한 소정의 광축 각도로 배치된 광학 필름(52)을 갖는 기재(50)로 이루어지는 원 편광판을 배치하고 있으므로, 입사 외광의 반사광에 의해 표시 내용을 시인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버층(70)측으로부터 편광판(40)을 지나서 표시 패널(20)측으로 나아가는 직선 편광을, 편광판측 기재(90)의 다른 광학 필름(92) 및 기재(50)의 광학 필름(52)으로 이루어지는 광대역 1/4 파장판으로 원 편광으로 바꿈과 아울러, 그 원 편광의 표시 패널(20)에서의 반사광인 역 원 편광을 광대역 1/4 파장판(편광판측 기재(90)의 다른 광학 필름(92) 및 기재(50)의 광학 필름(52))으로 상기 직선 편광과 직교하는 다른 직선 편광으로 바꾸어, 편광판(40)으로 그 다른 직선 편광의 커버층(70)측으로의 투과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700)에서는, 반사광에 저해되지 않고서, 조작자가 표시 내용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700)에서는, 도전층 피형성 부재로서의 기재(50)에 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1 도전층을 형성하기 위한 투명 기판 및 제 2 도전층을 형성하기 위한 투명 기판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터치 센서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에 존재하는 부재의 수를 삭감하여,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장치(700)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을 달성할 수 있다. 또, 이 표시 장치(700)에서는, 도전층 피형성 부재로서의 기재(50)의 한쪽의 면에만 도전층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기재(50)의 양면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균일한 두께의 도전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700)에서는, 원 편광판을 구성하는 기재(50)의 표시 패널(20)측에 제 1 도전층(61)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기재(50)에 인덱스 매칭층을 마련하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이 표시 장치(700)에서는, 편광판측 기재(90)를 편광 필름(42)의 보호 필름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으므로, 편광판(40)의 표시 패널측 보호 필름이 불필요하게 되어, 편광판(4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의 두께를 더 얇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이 표시 장치(700)에서는, 편광판측 기재(90)로서, 다른 광학 필름(92)의 편광 필름(42)측에 하드 코트층(93)을 갖지 않는 기재(즉, 다른 광학 필름(92)이 커버층(70)측의 표면에 위치하는 기재)를 사용하고, 다른 광학 필름(92)과 편광 필름(42)을 접합하더라도 좋다. 편광판(40)의 표시 패널측 보호 필름에 더하여 편광판측 기재(90)의 하드 코트층(93)도 불필요하게 되면,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의 두께를 보다 한층 얇게 할 수 있다.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제 7 실시 형태의 제 1 변형예)>
도 7(b)에, 상기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700)의 일 변형예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도 7(b)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700A)는,
ㆍ제 1 도전층(61)이, 도전층 피형성 부재로서의 기재(50)의 한쪽(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지 않고, 도전층 피형성 부재로서의 기재(50)의 다른 쪽(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
ㆍ유전체층(62)이, 제 1 도전층(61)의 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제 2 도전층(63)이, 유전체층(62)의 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
ㆍ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이, 기재(50)와 편광판측 기재(9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점
에 있어서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700)와 구성이 상이하고, 다른 점에서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70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700A)에 의하면,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700)와 동일하게, 입사 외광의 반사광에 의해 표시 내용을 시인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700A)에 의하면, 반사광에 저해되지 않고서, 조작자가 표시 내용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전층 피형성 부재로서의 기재(50)의 양면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균일한 두께의 도전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700A)에서는,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700)와 동일하게, 기재(50) 등에 인덱스 매칭층을 마련하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이 표시 장치(700A)에서는,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700)와 동일하게, 편광판(40)의 표시 패널측 보호 필름이 불필요하게 되어, 편광판(4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제 7 실시 형태의 제 2 변형예)>
도 7(c)에, 상기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700)의 다른 변형예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도 7(c)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700B)는,
ㆍ도전층 피형성 부재가, 기재(50)가 아닌 편광판측 기재(90)이고, 제 1 도전층(61)이, 도전층 피형성 부재로서의 편광판측 기재(90)의 한쪽(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
ㆍ유전체층(62)이, 제 1 도전층(61)의 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제 2 도전층(63)이, 유전체층(62)의 표시 패널(2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
ㆍ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이, 기재(50)와, 도전층 피형성 부재로서의 편광판측 기재(9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점
에 있어서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700)와 구성이 상이하고, 다른 점에서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70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여기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에 있어서의 제 1 도전층(61)의 형성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편광판측 기재(90)상에 제 1 도전층(6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700B)에 의하면,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700)와 동일하게, 입사 외광의 반사광에 의해 표시 내용을 시인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700B)에 의하면, 반사광에 저해되지 않고서, 조작자가 표시 내용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 이 표시 장치(700B)에서는, 도전층 피형성 부재로서의 편광판측 기재(90)의 한쪽의 면에만 도전층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편광판측 기재(90)의 양면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균일한 두께의 도전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700B)에서는, 편광판측 기재(90)의 표시 패널(20)측에 제 1 도전층(61)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편광판측 기재(90) 등에 인덱스 매칭층을 마련하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이 표시 장치(700B)에서는,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700)와 동일하게, 편광판(40)의 표시 패널측 보호 필름을 불필요하게 하여, 편광판(4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제 7 실시 형태의 제 3 변형예)>
도 7(d)에, 상기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700)의 다른 변형예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도 7(d)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700C)는,
ㆍ도전층 피형성 부재가, 기재(50)가 아닌 편광판(40)이고, 제 1 도전층(61)이 도전층 피형성 부재로서의 편광판(40)의 커버층(70)측의 표면, 구체적으로는 편광판(40)의 커버층측 보호 필름(43)의 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
ㆍ유전체층(62)이 제 1 도전층(61)의 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제 2 도전층(63)이 유전체층(62)의 커버층(70)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
ㆍ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이, 커버층(70)과, 도전층 피형성 부재로서의 편광판(4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점
에 있어서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700)와 구성이 상이하고, 다른 점에서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70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여기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400)에 있어서의 제 1 도전층(61)의 형성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편광판(40)상에 제 1 도전층(6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700C)에 의하면,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700)와 동일하게, 입사 외광의 반사광에 의해 표시 내용을 시인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700C)에 의하면, 반사광에 저해되지 않고서, 조작자가 표시 내용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표시 패널(20)과 커버층(70)의 사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 이 표시 장치(700C)에서는, 도전층 피형성 부재로서의 편광판(40)의 한쪽의 면에만 도전층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편광판(40)의 양면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균일한 두께의 도전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표시 장치(700C)에서는, 앞의 일례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700)와 동일하게, 편광판(40)의 표시 패널측 보호 필름이 불필요하게 되어, 편광판(4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표시 장치(700C)에서는,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을 편광판(40)보다 커버층(70)측, 구체적으로는 편광판(40)과 커버층(70)의 사이에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편광판(40)보다 표시 패널(20)측에 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을 마련한 경우와 비교하여, 장치의 두께를 얇게 한 경우에도, 표시 패널과,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제 1 도전층(61), 유전체층(62) 및 제 2 도전층(63)의 사이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결과, 표시 패널(20)측으로부터 받는 전기적인 노이즈의 영향에 의한 터치 센서의 감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일례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는, 상기 일례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에는, 적절하게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산업상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박형화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편광 선글라스를 장착한 상태에서도 조작이 가능하고, 또한, 박형화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입사 외광의 반사광에 의해 표시 내용을 시인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박형화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10 : 백라이트측 편광판
20 : 표시 패널
21 :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22 : 액정층
23 : 컬러 필터 기판
24 : 유기 EL 표시(OLED) 패널
25 : 배리어층
30 : 위상차 필름
40 : 시인측 편광판, 편광판
41 : 표시 패널측 보호 필름
42 : 편광 필름
43 : 커버층측 보호 필름
50 : 기재
51, 53 : 하드 코트층
52 : 광학 필름
61 : 제 1 도전층
62 : 유전체층
63 : 제 2 도전층
70 : 커버층
80 : 다른 기재
90 : 편광판측 기재
91, 93 : 하드 코트층
92 : 다른 광학 필름
100, 100A, 100B :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200, 200A, 200B :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300, 300A :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400, 400A, 400B :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500, 500A, 500B :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600, 600A :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700, 700A, 700B, 700C :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Claims (26)

  1. 표시 패널과 커버층의 사이에, 시인측 편광판과,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제 1 도전층, 유전체층 및 제 2 도전층과, 기재를 갖는 적층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도전층, 상기 유전체층, 상기 제 2 도전층 및 상기 기재는, 상기 시인측 편광판보다 상기 커버층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도전층은, 상기 기재의 한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유전체층은, 상기 제 1 도전층의 상기 기재측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도전층은, 상기 유전체층의 상기 제 1 도전층측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기재는, (2n-1)λ/4의 위상차[단, n은 양의 정수이다]를 갖는 광학 필름을 갖고,
    상기 시인측 편광판은, 편광 필름을 갖고,
    적층 방향에서 볼 때, 상기 광학 필름의 지상축과, 상기 편광 필름의 투과축의 교차각이 45°±10°인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층이, 상기 기재의 상기 커버층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편광 필름이, 상기 시인측 편광판의 상기 커버층측의 표면에 위치하고,
    상기 기재가, 상기 편광 필름의 상기 커버층측의 표면에 접합되어 있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3. 표시 패널과 커버층의 사이에, 시인측 편광판과,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제 1 도전층, 유전체층 및 제 2 도전층과, 광학 보상용 기재를 갖는 적층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도전층, 상기 유전체층, 상기 제 2 도전층 및 상기 광학 보상용 기재는, 상기 시인측 편광판보다 상기 표시 패널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도전층은, 상기 광학 보상용 기재의 한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유전체층은, 상기 제 1 도전층의 상기 광학 보상용 기재측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도전층은, 상기 유전체층의 상기 제 1 도전층측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광학 보상용 기재는, 광학 보상용의 위상차 필름을 갖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과 상기 시인측 편광판의 사이에, (2n-1)λ/4의 위상차[단, n은 양의 정수이다]를 갖는 광학 필름을 더 구비하고,
    상기 시인측 편광판은, 편광 필름을 갖고,
    적층 방향에서 볼 때, 상기 광학 필름의 지상축과 상기 편광 필름의 투과축의 교차각이 45°±10°인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층이, 상기 광학 보상용 기재의 상기 표시 패널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인측 편광판은, 편광 필름을 갖고,
    상기 편광 필름이, 상기 시인측 편광판의 상기 표시 패널측의 표면에 위치하고,
    상기 광학 보상용 기재가, 상기 편광 필름의 상기 표시 패널측의 표면에 접합되어 있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6. 표시 패널과 커버층의 사이에, 시인측 편광판과,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제 1 도전층, 유전체층 및 제 2 도전층을 갖는 적층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도전층은, 상기 시인측 편광판의 한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유전체층은, 상기 제 1 도전층의 상기 시인측 편광판측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도전층은, 상기 유전체층의 상기 제 1 도전층측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이, 액정 패널인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8. 표시 패널과 커버층의 사이에, 원 편광판과,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제 1 도전층, 유전체층 및 제 2 도전층을 갖는 적층체를 구비하고,
    상기 원 편광판은, 기재와,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전층, 상기 유전체층, 상기 제 2 도전층 및 상기 기재는, 상기 편광판보다 상기 표시 패널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도전층은, 상기 기재의 한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유전체층은, 상기 제 1 도전층의 상기 기재측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도전층은, 상기 유전체층의 상기 제 1 도전층측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기재는, λ/4의 위상차를 갖는 광학 필름을 갖고,
    상기 편광판은, 편광 필름을 갖고,
    적층 방향에서 볼 때, 상기 광학 필름의 지상축과, 상기 편광 필름의 투과축의 교차각이 45°±5°인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층이, 상기 기재의 상기 표시 패널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편광 필름이, 상기 편광판의 상기 표시 패널측의 표면에 위치하고,
    상기 기재가, 상기 편광 필름의 상기 표시 패널측의 표면에 접합되어 있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10. 표시 패널과 커버층의 사이에, 원 편광판과,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제 1 도전층, 유전체층 및 제 2 도전층을 갖는 적층체를 구비하고,
    상기 원 편광판은, 기재와,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는, 상기 편광판보다 상기 표시 패널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도전층은, 상기 편광판의 한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유전체층은, 상기 제 1 도전층의 상기 편광판측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도전층은, 상기 유전체층의 상기 제 1 도전층측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기재는, λ/4의 위상차를 갖는 광학 필름을 갖고,
    상기 편광판은, 편광 필름을 갖고,
    적층 방향에서 볼 때, 상기 광학 필름의 지상축과 상기 편광 필름의 투과축의 교차각이 45°±5°인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층이, 상기 편광판의 상기 커버층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편광 필름이, 상기 편광판의 상기 표시 패널측의 표면에 위치하고,
    상기 기재가, 상기 편광 필름의 상기 표시 패널측의 표면에 접합되어 있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이, 역 파장 분산 특성을 갖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13. 표시 패널과 커버층의 사이에, 원 편광판과,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제 1 도전층, 유전체층 및 제 2 도전층을 갖는 적층체를 구비하고,
    상기 원 편광판은, 편광판과, 상기 편광판보다 상기 표시 패널측에 위치하는 기재와, 상기 편광판과 상기 기재의 사이에 위치하는 편광판측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판은, 편광 필름을 갖고,
    상기 기재는, λ/4의 위상차를 갖는 광학 필름을 갖고,
    상기 편광판측 기재는, λ/2의 위상차를 갖는 다른 광학 필름을 갖고,
    상기 제 1 도전층은, 도전층 피형성 부재의 한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유전체층은, 상기 제 1 도전층의 상기 도전층 피형성 부재측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도전층은, 상기 유전체층의 상기 제 1 도전층측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도전층 피형성 부재가, 상기 기재, 상기 편광판측 기재 또는 상기 편광판인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이, 상기 편광판의 상기 표시 패널측의 표면에 위치하고,
    상기 편광판측 기재가, 상기 편광 필름의 상기 표시 패널측의 표면에 접합되어 있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볼 때,
    상기 광학 필름의 지상축과 상기 편광 필름의 투과축의 교차각이 75°±5°이고,
    상기 다른 광학 필름의 지상축과 상기 편광 필름의 투과축의 교차각이 15°±5°인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16.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볼 때,
    상기 광학 필름의 지상축과 상기 편광 필름의 투과축의 교차각이 90°±5°이고,
    상기 다른 광학 필름의 지상축과 상기 편광 필름의 투과축의 교차각이 22.5°±5°인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17. 제 8 항, 제 10 항 및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이, 유기 EL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18. 제 1 항, 제 8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이, 경사 연신 필름인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19. 제 1 항, 제 8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이,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층 및 상기 제 2 도전층이, 산화인듐주석, 카본 나노튜브 또는 은 나노와이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 및/또는 상기 다른 광학 필름이, 경사 연신 필름인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2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이,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23.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 및/또는 상기 다른 광학 필름이,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24. 제 22 항 또한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층 및 상기 제 2 도전층이, 산화인듐주석, 카본 나노튜브 또는 은 나노와이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25. 제 1 항, 제 3 항, 제 6 항, 제 8 항, 제 10 항 및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층이 1층 구조인,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26.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필름의 비유전율이 2 이상 5 이하인,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KR1020157032693A 2013-05-16 2014-04-09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Active KR1021586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04313 2013-05-16
JP2013104313 2013-05-16
PCT/JP2014/002055 WO2014185001A1 (ja) 2013-05-16 2014-04-09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564A KR20160009564A (ko) 2016-01-26
KR102158658B1 true KR102158658B1 (ko) 2020-09-22

Family

ID=51897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693A Active KR102158658B1 (ko) 2013-05-16 2014-04-09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9857633B2 (ko)
JP (1) JP6424816B2 (ko)
KR (1) KR102158658B1 (ko)
CN (1) CN105210137B (ko)
TW (2) TWI621055B (ko)
WO (1) WO20141850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41556A1 (en) * 2013-06-27 2016-05-19 Konica Minolta, Inc. Surface emitting device and smart device
JP6204858B2 (ja) * 2014-03-25 2017-09-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CN105094394B (zh) * 2014-04-29 2018-06-12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
CN104656993A (zh) * 2015-02-13 2015-05-27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薄膜式触控面板结构
KR102380157B1 (ko) * 2015-03-04 2022-03-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80155B1 (ko) * 2015-03-25 2022-03-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124372A (ko) * 2015-04-17 2016-10-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JP6640847B2 (ja) 2015-05-29 2020-02-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6784481B2 (ja) 2015-07-13 2020-11-11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用円偏光板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JP2017102443A (ja) * 2015-11-20 2017-06-08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および該光学積層体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
WO2017086338A1 (ja) * 2015-11-20 2017-05-26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および該光学積層体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
JP6453746B2 (ja) * 2015-12-02 2019-01-16 日東電工株式会社 長尺状の光学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2535829B1 (ko) * 2016-04-26 2023-05-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액정 표시 패널
EP3239747B1 (en) * 2016-04-29 2023-01-18 Samsung Display Co., Ltd. Polarization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779906B1 (ko) * 2016-07-21 2017-09-1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필름 터치 센서
TWM532656U (zh) * 2016-08-09 2016-11-21 揚昇照明股份有限公司 觸控有機發光二極體顯示裝置以及觸控裝置
JP6704825B2 (ja) * 2016-09-27 2020-06-03 ホシデン株式会社 タッチ入力装置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入力装置
US20200099009A1 (en) * 2017-03-30 2020-03-26 Zeon Corporation Multilayer film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s, and polarizing plate, anti-reflection film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each of which comprises same
CN107340922A (zh) * 2017-07-12 2017-11-10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整合型触控显示器
CN108694594A (zh) * 2018-05-29 2018-10-2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商品溯源方法及装置、电子设备
JP7333168B2 (ja) * 2018-11-19 2023-08-24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偏光素子、偏光素子の製造方法及び光学機器
TWI832596B (zh) * 2022-12-05 2024-02-11 宏碁股份有限公司 動態調整觸控板靈敏度的方法及電子裝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9458A (ja) * 2008-07-11 2010-02-18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複合偏光板
WO2012073964A1 (ja) * 2010-11-30 2012-06-07 日東電工株式会社 タッチ入力機能を有する表示パネ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3482A (ko) 1973-11-26 1975-07-05
JPH02113920A (ja) 1988-10-25 1990-04-26 Mitsubishi Kasei Corp 延伸フィルム又はシートの製造方法
JPH03182701A (ja) 1989-12-13 1991-08-08 Nippon Kayaku Co Ltd 延伸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法
JP2000009912A (ja) 1998-06-25 2000-01-14 Nitto Denko Corp 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位相差板
JP2002022944A (ja) 2000-07-06 2002-01-23 Fuji Photo Film Co Ltd 円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086554A (ja) 2000-07-10 2002-03-26 Fuji Photo Film Co Ltd ポリマーフィルムの延伸方法、偏光膜、偏光板および位相差膜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2311239A (ja) * 2001-04-16 2002-10-23 Nitto Denko Corp 1/4波長板、円偏光板及び表示装置
JP4288882B2 (ja) 2001-10-23 2009-07-01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7190354B2 (en) * 2002-07-15 2007-03-13 Fuji Photo Film Co., Ltd. Inner type touch panel,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display unit
JP4618675B2 (ja) 2005-02-08 2011-01-26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偏光素子、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8009262B2 (en) * 2005-02-14 2011-08-30 American Panel Corporation Flat panel display wtih external integral heater
JP2007025228A (ja) * 2005-07-15 2007-02-01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
JP4363429B2 (ja) * 2006-08-31 2009-11-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偏光板及び液晶装置、並びに電子機器
JP4997591B2 (ja) * 2007-03-30 2012-08-08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付き液晶表示装置及び端末装置
US20090015761A1 (en) * 2007-05-04 2009-01-15 Itronix Corporation Combination transparent touch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stack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CN101377587A (zh) * 2007-08-30 2009-03-04 颖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器以及光学薄膜
JP2009169837A (ja) 2008-01-18 2009-07-30 Fujitsu Component Ltd タッチパネル付き液晶ディスプレイ
JP2009283349A (ja) * 2008-05-23 2009-12-03 Konica Minolta Opto Inc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ディスプレイ用光取り出し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ディスプレイ
TWM349000U (en) * 2008-06-04 2009-01-11 Tpk Touch Solutions Inc Capacitive touch display panel
KR101322015B1 (ko) * 2008-06-24 2013-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2011048359A (ja) * 2009-07-31 2011-03-10 Fujifilm Corp 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5502023B2 (ja) * 2010-09-03 2014-05-2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を有する光学フィルム積層体ロールの製造方法
JP4691205B1 (ja) * 2010-09-03 2011-06-01 日東電工株式会社 薄型高機能偏光膜を含む光学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
WO2012046702A1 (ja) * 2010-10-08 2012-04-1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5797025B2 (ja) 2011-06-20 2015-10-21 日東電工株式会社 静電容量タッチパネル
JP5400904B2 (ja) 2011-07-15 2014-01-2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一体型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9377571B2 (en) * 2011-08-05 2016-06-28 Lg Chem, Ltd. Optical film
US9720534B2 (en) * 2011-12-22 2017-08-01 Shenzhen Huiding Technology Co., Ltd. Capacitive touch sensor partially integrated with LCD display
JP6585384B2 (ja) * 2014-06-13 2019-10-0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
KR102264760B1 (ko) * 2014-11-26 2021-06-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790318B2 (en) * 2016-11-22 2020-09-2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9458A (ja) * 2008-07-11 2010-02-18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複合偏光板
WO2012073964A1 (ja) * 2010-11-30 2012-06-07 日東電工株式会社 タッチ入力機能を有する表示パネ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4185001A1 (ja) 2017-02-23
TW201502936A (zh) 2015-01-16
US20180107043A1 (en) 2018-04-19
US20160085100A1 (en) 2016-03-24
TW201502937A (zh) 2015-01-16
US20190171051A1 (en) 2019-06-06
TWI628578B (zh) 2018-07-01
WO2014185001A1 (ja) 2014-11-20
US9857633B2 (en) 2018-01-02
CN105210137B (zh) 2018-11-16
KR20160009564A (ko) 2016-01-26
TWI621055B (zh) 2018-04-11
US10656468B2 (en) 2020-05-19
US10209567B2 (en) 2019-02-19
JP6424816B2 (ja) 2018-11-21
CN105210137A (zh)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8658B1 (ko)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KR102257958B1 (ko)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US10353527B2 (en) Display device with capacitive touch panel
JP6432506B2 (ja)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JP6380382B2 (ja)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4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9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