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57226B1 -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226B1
KR102157226B1 KR1020200027011A KR20200027011A KR102157226B1 KR 102157226 B1 KR102157226 B1 KR 102157226B1 KR 1020200027011 A KR1020200027011 A KR 1020200027011A KR 20200027011 A KR20200027011 A KR 20200027011A KR 102157226 B1 KR102157226 B1 KR 102157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ton
detachable
wire
bent
sha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태
Original Assignee
권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태 filed Critical 권혁태
Priority to KR1020200027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22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042Wound spring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 wi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2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solids
    • F16F2224/0258Shape-memory metals, e.g. Ni-Ti all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이 개시된다. 상기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은,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이불 및 상기 제1 이불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이불 상부에 부착되는 제2 이불로 이루어진 탈부착 가능한 이불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불 모서리 부분에는 탄성을 가지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탄성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이불 상부 모서리 부분의 상기 탄성수단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탄성수단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수단은, 중심부분이 원형으로 절곡되되, 사용자가 절곡된 부분의 양측을 가압하면 폭이 좁아지도록 형상이 변형되고, 가압을 해제하면 최초 상태의 절곡된 상태로 복원되는 형상기억합금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detachable duvet}
본 발명은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불 모서리 부분에 탈부착수단을 구비하여 이불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불은 보온을 위하여 솜, 오리털 등으로 구성된 이불속과 이불 속이 더럽혀지지 않도록 이불속을 천으로 감싼 커버로 구성된다.
한편, 이불은 하나로써 사계절을 모두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어 하절기에는 비교적 부피가 적고 두께가 얇은 홀겹 이불을 사용하고, 동절기에는 부피가 크고 두께가 굵으며, 내부에 솜 또는 오리털 등을 충전한 차렵이불이나 패딩이불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하절기에는 외피이불로써 홀겹 이불을 사용하다가 동절기가 되면 외피이불 내부에 솜 또는 오리털로 이루어진 내피이불을 넣어 동절기에 사용하기 적합한 부피감이 있는 이불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하나의 이불 겉 커버를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하여, 이불로부터 쉽게 커버를 분리시켜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이불도 있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외피이불 내부에 내피이불을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분리형 이불(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98724)"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분리형 이불은 외피이불 내부에 내피이불을 삽입할 경우 내피이불을 외피이불 내측에 연결하고 내피이불의 이동을 구속하는 연결수단(제1연결부)을 포함한다. 이러한 연결수단은 일측은 끈 형상으로 타측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리에 끈을 연결함으로써 외피이불 내측에 내피이불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분리형 이불은 끈과 고리 형태의 연결수단을 통해 상호연결함에 따라 내피이불과 외피이불의 탈부착하는데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불의 커버 부분을 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벨크로 타입의 착탈수단이 부착된 "커버 천 착탈식 이불(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80627)"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커버 천 착탈식 이불은 벨크로 타입의 착탈수단에 의해 쉽게 커버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커버를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이불과 천에 부착된 벨크로 부분을 정확히 맞대도록 위치시킨 상태로 부착해야함으로써 부착의 용이성이 떨어지고, 장기간 사용 시 벨크로 부분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이불과 커버를 스냅단추 형태의 착탈 수단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착탈식 커버를 갖는 이불(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59810)"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착탈식 커버를 갖는 이불은 이불에 커버를 부착하기 위해 복수 개의 스냅단추를 결합함에 따라 커버를 부착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처럼 종래에는 외피이불에 내피이불을 결합하거나 이불에 커버를 부착할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어 소비자가 사용하는데 보다 편리함을 제공하여 상품성을 높일 수 있도록 용이하고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결합수단을 구비한 이불에 대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9872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8062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59810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불 모서리 부분에 손쉽게 이불을 탈부착할 수 있는 탈부착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
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은,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이불 및 상기 제1 이불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이불 상부에 부착되는 제2 이불로 이루어진 탈부착 가능한 이불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불 모서리 부분에는 탄성을 가지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탄성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이불 상부 모서리 부분의 상기 탄성수단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탄성수단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수단은, 중심부분이 원형으로 절곡되되, 사용자가 절곡된 부분의 양측을 가압하면 폭이 좁아지도록 형상이 변형되고, 가압을 해제하면 최초 상태의 절곡된 상태로 복원되는 형상기억합금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이불, 상기 제1 이불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이불 상부에 부착되는 제2 이불 및 상기 제2 이불 하부에 배치되는 제3 이불로 이루어진 탈부착 가능한 이불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불 및 상기 제3 이불 모서리 부분에는 탄성을 가지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탄성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이불 상부 및 하부 모서리 부분의 상기 탄성수단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탄성수단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수단은, 중심부분이 원형으로 절곡되되, 사용자가 절곡된 부분의 양측을 가압하면 폭이 좁아지도록 형상이 변형되고, 가압을 해제하면 최초 상태의 절곡된 상태로 복원되는 형상기억합금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의 중심부분이 원형으로 절곡된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 양측단이 외측을 향해 벌어지도록 절곡되는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와이어는 형상기억합금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와이어의 형상기억합금 소재부분 외측에는 합성수지재로 피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불 또는 상기 제3 이불은, 상기 탄성수단이 구비되는 모서리 부분은 인접한 4곳의 측면에 비해 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불 또는 상기 제3 이불은, 상기 탄성수단이 구비되는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라운드진 모서리 부분의 양측이 일부 절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의 중심부분이 원형으로 절곡된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 양측단이 외측을 향해 벌어지도록 절곡되는 단부를 포함하되, 원형으로 절곡된 절곡부는 상기 제2 이불 또는 상기 제3 이불의 라운드진 모서리 부분에 구비되고, 양측으로 벌어진 단부는 상기 제2 이불 또는 상기 제3 이불의 모서리 부분의 절개된 부분 일측에 접하도록 구비되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제2 이불 또는 상기 제3 이불 모서리 부분에 내장되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중심부분이 원형으로 절곡된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상기 와이어 길이보다 단부가 길게 여유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의 원형으로 절곡된 부분을 가압하면 상기 와이어가 여유공간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면서 안내되도록 하는 이동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불은, 상기 탄성수단이 삽입 고정되는 모서리부분에는 상기 탄성수단 크기와 같거나 크게 상기 제2 이불 또는 상기 제3 이불 모서리 부분이 가려질 수 있도록 덮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부는, 상기 덮개부에 형성되되, 상기 탄성수단의 와이어 절곡 형상과 대응되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홈의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부는, 재봉(裁縫)에 의해 홈의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부는, 홈 내측으로 상기 탄성수단의 와이어 절곡 형상과 대응되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은,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이불 모서리 부분에 탄성을 가지고 최초 형상을 기억하여 형상 변형 후 최초 형태대로 복원가능한 탄성수단을 구비하고,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이불에 제2 이불에 구비된 탄성수단이 형상변형 되면서 끼움되고 최초 형태대로 복원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홈부를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제1 이불 및 제2 이불을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어 이불을 탈부착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용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의 와이어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에서 와이어에 이동관이 설치된 상태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요부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에서 와이어에 이동관이 설치된 상태의 작동 후 모습을 나타낸 요부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의 제1 이불의 홈부에 지지부재가 설치된 모습의 요부 도면.
도 8은 제1 이불, 제2 이불 및 제3 이불로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의 분해사시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불 모서리 부분에 손쉽게 이불을 탈부착할 수 있는 탈부착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은 크게 제1 이불(100) 및 제2 이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은 기본적으로 복수의 이불이 탈부착 가능하게 분리 및 결합되는 이불로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이불이 서로 밀착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이불은 각각 이불에 이불이 부착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이불에 커버가 부착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 이불(100) 및 제2 이불(200)은 각각 이불일 수도 있고, 상기 제1 이불(100) 및 제2 이불(200) 중 어느 하나는 이불 겉에 부착되는 커버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불(100) 및 제2 이불(200)은 내부에 솜 또는 오리털 등이 충전된 이불일 수도 있고, 내부에 충전재가 없는 홀겹 이불일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이불(100) 및 제2 이불(200)은 기본적인 이불의 구조는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불 또는 이불에 결합되는 커버의 형태 등 다양한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은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이불(100) 및 상기 제1 이불(100)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이불(100) 상부에 부착되는 제2 이불(2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이하에서는 2개의 이불이 결합되는 구성을 실시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1 이불(100) 및 상기 제2 이불(200)은 일반적인 이불 형태로서 내피(충전재가 충전된)와 외피 또는 홀겹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이불의 기본 형태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 다양한 이불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상기 제1 이불(100)은 하부에 배치되는 이불이고, 상기 제2 이불(200)은 상기 제1 이불(100) 상부에 배치되는 이불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제2 이불(200)은 모서리(210) 부분에는 탄성을 가지는 와이어(221)로 이루어진 탄성수단(22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이불(200)의 4곳의 모서리(210) 부분 각각에 상기 탄성수단(22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수단(220)이 구비되는 모서리(210) 부분은 인접한 4곳의 측면에 비해 더 돌출되도록 돌출부(23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돌출부(230)는 탄성수단(220)의 일부가 내장되는 부분으로 후술하는 상기 제1 이불(100)의 홈부(120)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의 와이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수단(220)은 상기 제2 이불(200) 모서리(210) 부분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비되고, 중심부분이 원형으로 절곡되되, 사용자가 절곡된 부분의 양측을 가압하면 폭이 좁아지도록 형상이 변형되고, 가압을 해제하면 최초 상태의 절곡된 상태로 복원되는 형상기억합금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어떤 상(모상〈母相〉)에서 형성된 합금이 다른 상에 있을 때에 변형(變形)을 받더라도, 모상으로 되돌리면 형상도 원래로 되돌아가는 성질(형상기억효과)을 가지는 합금을 말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보통의 금속은 일단 힘을 가하여 변형시키고 나면 가열하거나 냉각하거나 하는 것만으로는 원래의 모양으로 되돌아가지 않지만, 어떤 종류의 합금은 실온에서 변형을 하고 일정한 온도를 넘어서 가열하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간다는 성질을 나타낸다. 이러한 합금은 가공되기 전의 자신의 형상을 기억하고 원래 상태대로 돌아갈려는 성질을 가진다.
이러한 형상기억합금은 티탄과 니켈을 1 : 1의 비율로 섞은 티탄-니켈 합금과 구리-아연-알루미늄합금(아연 20~25%, 알루미늄 4~6%)이 실용화되어 있다. 이런 종류의 합금은 형상기억 외에도 두드러지게 큰 탄성, 뛰어난 자동흡수성(방진특성)등을 보인다. 어느 정도까지 변형하여도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는가, 또는 어느 정도의 힘이 얻어지는가 등은 합금에 따라서 다르며, 각각의 특징을 살린 이용이 개발되고 있다.
이처럼, 인간이 직접 작업하기 어려운 위치에 있는 튜브나 타이프의 조이기와 접속, 전원(電源)의 조인트, 온도제어기 등 외에 로봇, 의료용 재료, 우주·원자력공업, 직접회로 등 조립작업에의 응용되고 있다. 또한, 형상기억합금은 유연하고 인체친화성이 높아 의료용으로 사용되고 있고, 1986년 여성 속옷을 만드는 와코루사는 일반인들을 위한 형상기억합금 브래지어를 개발하기도 했다.
이와 같이, 일반적으로 형상기억합금의 성질을 이용하여 형태가 가변된 이후 다시 원래 상태로 복원되도록 하기 위해 여러 분야에서 형상기억합금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와이어(221)는 하나의 몸체로서 상기 와이어(221)의 중심부분이 원형으로 절곡된 절곡부(221a) 및 상기 절곡부(221a) 양측단이 외측을 향해 벌어지도록 절곡되는 단부(22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221)는 중심부분이 원형으로 절곡된 절곡부(221a)는 상기 제2 이불(200)의 모서리(210) 부분 중 돌출된 돌출부(230)에 위치되도록 내장되고, 상기 단부(221b)는 상기 상기 제2 이불(200)의 모서리(210) 부분 중 상기 절곡부(221a) 양측과 인접한 상기 제2 이불(200)의 측면 2곳 부분에 위치에 위치되도록 내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와이어(221)는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원형으로 형성될 경우 봉 형태의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정사각형 형태는 물론 보다 원활하게 탄력을 가지고 절곡될 수 있도록 직사각형 형태로서 납작한 단면을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직사각형 형태의 납작한 단면을 가질 경우에는 두께가 얇은 밴드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수단(220)의 상기 와이어(221)는 형상기억합금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와이어(221)의 형상기억합금 소재부분 외측에는 합성수지재로 피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형상기억합금 소재로 이루어진 와이어(221)의 외측에 합성수지재(예: PVC, PE, 테프론, 실리콘고무, 폴리우레탄)가 피복되어 형상복원을 도모하거나 세탁 시 부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에서 와이어에 이동관이 설치된 상태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요부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에서 와이어에 이동관이 설치된 상태의 작동 후 모습을 나타낸 요부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수단(220)은 상기 제2 이불(200) 모서리(210) 부분에 내장되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중심부분이 원형으로 절곡된 와이어(221) 및 상기 와이어(221)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상기 와이어(221) 길이보다 단부가 길게 여유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221)의 원형으로 절곡된 부분을 가압하면 상기 와이어가 여유공간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면서 안내되도록 하는 이동관(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관(222)은 상기 와이어(221)를 감싸도록 상기 제2 이불(200)의 모서리(210) 및 모서리(210) 양측과 인접한 측면부분 내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관(222)은 상기 와이어(221)의 총 길이보다 더 길게 양측단에 여유 공간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와이어(221) 양측을 가압하여 절곡시키면 상기 와이어(221) 양측 단부(221b)가 상기 이동관(222) 측단부까지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이동관(222)은 상기 와이어(221)의 이동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와이어(221)가 가압될 때나 가압된 이후에 복원될 경우 원활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관(222)은 기본적으로 내측면이 상기 와이어(221)의 외부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와이어(221)가 단면에서 봤을 때 돌출된 부분이 없는 단순히 원형 구조로 이루어질 경우 이와 대응되게 돌출된 부분이 없는 원형의 내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와이어(221)를 단면에서 봤을 때 외주면 원형 또는 다각형 구조로 이루어지되 일측이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질 경우, 이와 대응되도록 상기 이동관(222) 내측면에도 돌출된 부분과 대응되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221)는 상기 이동관(222)의 홈에 걸림되어 비틀림없이 길이방향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에서 제2 이불(200)의 상기 탄성수단(220)이 구비되는 모서리(210) 부분은 라운드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라운드진 모서리(210) 부분의 양측이 일부 절개되도록 절개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240)가 형성된 제2 이불(200)에 내장되는 상기 탄성수단(220)은 상기 와이어(221)의 중심부분이 원형으로 절곡된 절곡부(221a) 및 상기 절곡부(221a) 양측단이 외측을 향해 벌어지도록 절곡되는 단부(221b)를 포함하고, 원형으로 절곡된 절곡부(221a)는 상기 제2 이불(200)의 라운드진 모서리(210) 부분에 구비되고, 양측으로 벌어진 단부(221b)는 상기 제2 이불(200)의 모서리(210) 부분의 절개된 부분 일측에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개부(240)는 상기 제2 이불(200)의 모서리(210) 양측으로 일부 절개되어 생략된 형태로서, 상기 와이어(221)의 절곡부(221a)가 모서리(210)의 라운드진 절곡된 부분에 내장되고, 상기 단부(221b)가 상기 절개부(240) 일측에 밀착된 상태로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부(221b)는 상기 절개부(240) 일측에 밀착된 상태에서 길이가 연장되어 모서리(210)와 인접한 양측 2곳의 측면 라인을 따라 내장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절곡부(221a)가 구비된 라운드진 모서리(210) 부분이 후술하는 제1 이불의 홈부(120)에 걸림되어 고정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절개부(240)에 내장되는 상기 와이어(221)는 상술한 상기 이동관(222)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단부(221b)의 길이보다 길게 길이가 형성되되, 경우에 따라 상기 절개부(240)까지 또는 모서리(210)와 인접한 양측 2곳의 측면까지 연장되도록 길이가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221)는 상기 이동관(222)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각 절곡된 구간의 각도는 완만한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1 이불(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 이불(100) 상부 모서리 부분의 상기 탄성수단(220)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탄성수단(22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홈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부(120)는 상기 제2 이불(200)의 탄성수단(220)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탄성수단(220)이 삽입 고정되는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탄성수단(220) 크기와 같거나 크게 상기 제2 이불(200) 모서리(210) 부분이 가려질 수 있도록 덮개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덮개부(110) 내부로 상기 제2 이불(200)의 모서리(210) 부분이 삽입되어 가려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홈부(120)는 상기 덮개부(110)에 형성되되, 상기 탄성수단(220)의 와이어(221) 절곡 형상과 대응되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홈의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홈부(120)는 상기 와이어(221)의 절곡부(221a)가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도록 절곡부(221a)를 감싸 듯 밀착될 수 있도록 홈의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홈부(120)는 재봉(裁縫)에 의해 홈의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홈부(120)는 상기 와이어(221)의 절곡부(221a)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재봉(裁縫)에 의한 재봉선(121)이 홈의 형상을 이루고 홈부(120)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재봉선(121)에 의한 홈부(120)는 중심부분이 개방된 형태로서 상기 와이어(221)의 절곡부(221a)가 가압된 상태로 개방된 공간으로 삽입되고, 삽입된 이후 가압된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와이어(221)의 절곡부(221a)가 원래 상태로 복원되어 재봉선(121)에 의해 형성된 홈부(120)에 걸림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홈부(120)는 상기 상기 와이어(221)의 절곡부(221a)의 가압 전 상태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술한 상기 제2 이불(200)의 돌출부(230) 형상 또는 상기 절개부(240)가 형성된 모서리(210) 형상과 대응되도록 홈의 형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의 제1 이불의 홈부에 지지부재가 설치된 모습의 요부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홈부(120)는 홈 내측으로 상기 탄성수단(220)의 와이어(221) 절곡 형상과 대응되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와이어(221)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2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홈부(120)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221)와 삽입된 상태에서 밀착되는 측면 라인에 와이어(221)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122)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122)는 상기 와이어(221)의 외주면 일측을 일부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221)의 원활한 삽입 및 슬라이딩 이동을 도모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지지부재(122)는 상기 와이어(221)의 원활한 삽입 및 안내를 도모하되 삽입 시 저항은 최소화한 구조로서 와이어(221)의 외주면 형상과 동일하거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직경이 큰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이불(100) 상부에는 상기 제2 이불(200)이 상기 제1 이불(100)에 부착된 후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설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띠(13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띠(130)는 상기 제1 이불(100) 상부에 복수 개 또는 1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1개로 구비될 경우 제1 이불(100)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띠(130)는 제2 이불(200)의 상면을 일부 덮고 고정시키기 위해 밴드 또는 띠 형태로 제1 이불(100) 양측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제1 이불, 제2 이불 및 제3 이불로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은 크게 제1 이불(100), 제2 이불(200) 및 제3 이불(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은 기본적으로 복수의 이불이 탈부착 가능하게 분리 및 결합되는 이불로서, 하나의 이불을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으로 2개의 이불이 서로 밀착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이불은 각각 이불에 이불이 부착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이불에 커버가 부착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 이불(100), 제2 이불(200) 및 제3 이불(300)은 각각 이불일 수도 있고, 상기 제1 이불(100), 제2 이불(200) 및 제3 이불(300) 중 어느 하나는 이불 겉에 부착되는 커버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불(100), 제2 이불(200) 및 제3 이불(300) 내부에 솜 또는 오리털 등이 충전된 이불일 수도 있고, 내부에 충전재가 없는 홀겹 이불일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이불(100), 제2 이불(200) 및 제3 이불(300)은 기본적인 이불의 구조는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불 또는 이불에 결합되는 커버의 형태 등 다양한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은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이불(100), 상기 제1 이불(100)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이불(100) 상부에 부착되는 제2 이불(200) 및 상기 제1 이불(100) 하부에 배치되어 제1 이불(100) 상부에 부착되는 제3 이불(3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이하에서는 3개의 이불이 결합되는 구성을 실시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1 이불(100), 제2 이불(200) 및 제3 이불(300)은 일반적인 이불 형태로서 내피(충전재가 충전된)와 외피 또는 홀겹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이불의 기본 형태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 다양한 이불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상기 제1 이불(100)은 중간에 배치되는 이불이고, 상기 제2이불(200)은 상기 제1 이불(100) 상부에 배치되는 이불이고, 제3 이불(300)은 상기 제1 이불(100) 상부에 배치되는 이불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술한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이불(100) 및 제2 이불(200)은 기본적으로 상술한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과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3 이불(300)은 상기 제1 이불(100)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만, 제1 이불(100)의 하부에는 제3 이불(300)이 부착되기 위한 홈부(120) 구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이불(100) 상부와 하부 양면에는 제2 이불(200) 및 제3 이불(300)이 부착되기 위한 구성이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은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이불(200) 모서리(210) 부분에 탄성을 가지고 최초 형상을 기억하여 형상 변형 후 최초 형태대로 복원가능한 탄성수단(220)을 구비하고,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이불(100)에 제2 이불(200)에 구비된 탄성수단(220)이 형상변형 되면서 끼움되고 최초 형태대로 복원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홈부(120)를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제1 이불(100) 및 제2 이불(200)을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어 이불을 탈부착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용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제1 이불 110: 덮개부
120: 홈부 121: 재봉선
122: 지지부재 130: 고정띠
200: 제2 이불 210: 모서리
220: 탄성수단 221: 와이어
221a: 절곡부 221b: 단부
222: 이동관 230: 돌출부
240: 절개부 300: 제3 이불

Claims (13)

  1.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이불 및 상기 제1 이불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이불 상부에 부착되는 제2 이불로 이루어진 탈부착 가능한 이불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불 모서리 부분에는 탄성을 가지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탄성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이불 상부 모서리 부분의 상기 탄성수단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탄성수단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수단은,
    중심부분이 원형으로 절곡되되, 사용자가 절곡된 부분의 양측을 가압하면 폭이 좁아지도록 형상이 변형되고, 가압을 해제하면 최초 상태의 절곡된 상태로 복원되는 형상기억합금 소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의 중심부분이 원형으로 절곡된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 양측단이 외측을 향해 벌어지도록 절곡되는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와이어는 형상기억합금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와이어의 형상기억합금 소재부분 외측에는 합성수지재로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불은,
    상기 탄성수단이 구비되는 모서리 부분은 인접한 4곳의 측면에 비해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불은,
    상기 탄성수단이 구비되는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라운드진 모서리 부분의 양측이 일부 절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중심부분이 원형으로 절곡된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 양측단이 외측을 향해 벌어지도록 절곡되는 단부를 포함하고,
    원형으로 절곡된 절곡부는 상기 제2 이불의 라운드진 모서리 부분에 구비되고, 양측으로 벌어진 단부는 상기 제2 이불의 모서리 부분의 절개된 부분 일측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제2 이불 모서리 부분에 내장되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중심부분이 원형으로 절곡된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상기 와이어 길이보다 단부가 길게 여유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의 원형으로 절곡된 부분을 가압하면 상기 와이어가 여유공간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면서 안내되도록 하는 이동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불은,
    상기 탄성수단이 삽입 고정되는 모서리부분에는 상기 탄성수단 크기와 같거나 크게 상기 제2 이불 모서리 부분이 가려질 수 있도록 덮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덮개부에 형성되되, 상기 탄성수단의 와이어 절곡 형상과 대응되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홈의 형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재봉(裁縫)에 의해 홈의 형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홈 내측으로 상기 탄성수단의 와이어 절곡 형상과 대응되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
KR1020200027011A 2020-03-04 2020-03-04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 Active KR102157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011A KR102157226B1 (ko) 2020-03-04 2020-03-04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011A KR102157226B1 (ko) 2020-03-04 2020-03-04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226B1 true KR102157226B1 (ko) 2020-09-17

Family

ID=72707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011A Active KR102157226B1 (ko) 2020-03-04 2020-03-04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22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33U (ja) * 1993-06-23 1995-01-20 アポロ医療器株式会社 表裏生地間幅調整部材及び該部材を有する掛け蒲団
KR200280627Y1 (ko) 2002-03-05 2002-07-04 최영미 커버 천 착탈식 이불
JP2002238713A (ja) * 2001-02-19 2002-08-27 Kenji Hayano 布団セット
KR200359810Y1 (ko) 2004-05-13 2004-08-21 소대성 착탈식 커버를 갖는 이불
KR101698724B1 (ko) 2016-06-16 2017-01-20 유태식 분리형 이불
US20180206659A1 (en) * 2015-07-14 2018-07-26 ZaVarge Pty Ltd Improvements in bedd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33U (ja) * 1993-06-23 1995-01-20 アポロ医療器株式会社 表裏生地間幅調整部材及び該部材を有する掛け蒲団
JP2002238713A (ja) * 2001-02-19 2002-08-27 Kenji Hayano 布団セット
KR200280627Y1 (ko) 2002-03-05 2002-07-04 최영미 커버 천 착탈식 이불
KR200359810Y1 (ko) 2004-05-13 2004-08-21 소대성 착탈식 커버를 갖는 이불
US20180206659A1 (en) * 2015-07-14 2018-07-26 ZaVarge Pty Ltd Improvements in bedding
KR101698724B1 (ko) 2016-06-16 2017-01-20 유태식 분리형 이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6364B2 (en) Handle free claw clip
US20060150997A1 (en) Hair retention device
WO1997046134A1 (en) Flexible hair roller
US20160021955A1 (en) Pant Strap
US20100065079A1 (en) Hair accessory and method of styling hair
KR102157226B1 (ko)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이불
US20060283475A1 (en) Hair accessory and method of styling hair
CN102665463B (zh) 头饰品用止动安装部件及头饰品
US4085810A (en) Weight bearing treadle
US5979465A (en) Threaded hair twister
US20190142130A1 (en) Hair styling device
US20180103739A1 (en) Hair styling device
US20190320837A1 (en) Assemblable artificial christmas tree
US3747269A (en) Artificial holder for a floral accessory
US20180206663A1 (en) Artificial christmas tree
JPS5915829Y2 (ja) 連結装置
KR200468730Y1 (ko) 단일 프레임 고무장갑 건조대
JPH0734564Y2 (ja) アームバンド
KR101815676B1 (ko) 모피 목도리 구조체
US20080060658A1 (en) Blocking Device for Fallopian Tubes and Introduction Device Therefor
CN114929073A (zh) 衣架夹子
JP4616407B1 (ja) 紐保持具
US20090133455A1 (en) Latch key holder
KR200225726Y1 (ko) 휨 성이 자유로운 옷걸이
GB2067898A (en) Hair curl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9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