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671B1 - 건물의 외벽선을 이용한 구역 형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건물의 외벽선을 이용한 구역 형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6671B1 KR102156671B1 KR1020200004131A KR20200004131A KR102156671B1 KR 102156671 B1 KR102156671 B1 KR 102156671B1 KR 1020200004131 A KR1020200004131 A KR 1020200004131A KR 20200004131 A KR20200004131 A KR 20200004131A KR 102156671 B1 KR102156671 B1 KR 1021566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ildings
- area
- wall
- zone
- buil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역 형성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구역과, 종래의 부지 구획선을 기준으로 한 구역을 대비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에 따른 예시적인 구역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의 일부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상세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에 따른 예시적인 구역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구역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5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에 따른 예시적인 구역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6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이 일부 변형된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17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에 따른 예시적인 구역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이 일부 변형된 다른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19는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에 따른 예시적인 구역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이 일부 변형된 또다른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21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에 따른 예시적인 구역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3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이 일부 변형된 또다른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24 내지 도 26은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에 따른 예시적인 구역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될 수 있는 예시적인 구역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역 형성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의 예시도이다.
Claims (21)
-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외벽선 데이터를 얻되, 상기 외벽선 데이터는 복수의 건물 각각의 외벽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단계;
상기 외벽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건물 각각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대표점을 설정하되, 상기 대표점은 외벽선을 구성하는 외벽 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이고, 상기 대표점의 개수는 상기 외벽 직선 각각에 대하여 부여되는 가중치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인,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건물 각각의 상기 대표점들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건물이 점유하는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역 형성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외벽선이 평탄화 되도록 상기 외벽선 데이터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된 외벽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건물이 점유하는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역 형성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점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외벽 직선 각각에 대하여 복수의 대표점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역 형성 방법.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상기 외벽 직선의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록 높게 형성되는 것인,
구역 형성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선 데이터를 얻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건물 각각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얻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건물 각각의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건물 각각의 위치 대표점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최근접 건물의 상기 위치 대표점 사이의 거리가 기준치 이하인 건물들의 그룹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외벽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그룹에 포함된 건물들이 점유하는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역 형성 방법.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대표점은,
상기 복수의 건물 각각의 외벽선이 이루는 다각형의 무게중심인,
구역 형성 방법.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최근접 건물은,
제1 업종 관련성이 인정되는 건물인,
구역 형성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선 데이터를 얻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건물 각각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최근접 건물의 외벽선 사이의 최단 거리가 기준치 이하인 건물들의 그룹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외벽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그룹에 포함된 건물들이 점유하는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역 형성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선 데이터는,
제1 업종 관련성이 인정되는 복수의 건물 각각의 외벽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구역 형성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1 업종과의 관련성이 인정되는 복수의 건물들 중, 최근접 건물 사이의 거리가 기준치 이하인 건물들의 그룹이 점유하는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업종과의 관련성이 인정되는 복수의 건물들은, 상기 제1 업종의 사업장이 입주한 건물 및 상기 제1 업종과의 관련성이 인정되는 공공 건물을 포함하는,
구역 형성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1 업종과의 관련성이 인정되는 복수의 건물들 중, 최근접 건물 사이의 거리가 기준치 이하인 건물들의 그룹이 점유하는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업종과의 관련성이 부정되는 지형 지물의 영역을 상기 형성된 구역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역 형성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제1 업종, 제2 업종 및 상기 제1 업종과 상기 제2 업종 간의 논리 관계를 포함하는 조건식을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건물들 중, 상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건물들 중 최근접 건물 사이의 거리가 기준치 이하인 건물들의 그룹이 점유하는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역 형성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건물 각각의 상기 대표점들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건물이 점유하는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건물 각각의 상기 대표점들 모두를 포함하는 오목 선체를 확대함으로써 상기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역 형성 방법.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선체를 확대함으로써 상기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오목 선체 내부에 포함된 건물의 개수가 많을수록 높게 설정되는 확대 비율에 따라 상기 오목 선체를 확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역 형성 방법.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선체를 확대함으로써 상기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오목 선체 내부에 포함된 상기 대표점의 개수가 많을수록 높게 설정되는 확대 비율에 따라 상기 오목 선체를 확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역 형성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된 구역이 오버레이 된 디지털 지도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지도에 대한 줌-아웃(zoom-out)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고, 상기 줌-아웃에 따른 축적 레벨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형성된 구역을 단순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역 형성 방법. -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된 구역을 단순화 하는 단계는,
상기 형성된 구역의 형상을 기 지정된 형상으로 치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역 형성 방법. -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된 구역의 형상을 기 지정된 형상으로 치환하는 단계는,
상기 기 지정된 형상으로 치환된 구역의 표시 색상을 상기 형성된 구역 내부의 건물 수에 따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역 형성 방법. -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된 구역의 형상을 기 지정된 형상으로 치환하는 단계는,
상기 기 지정된 형상으로 치환된 구역의 표시 색상을 상기 형성된 구역의 넓이에 따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역 형성 방법. - 프로세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로드(load)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외벽선 데이터를 얻되, 상기 외벽선 데이터는 복수의 건물 각각의 외벽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인스트럭션(instruction);
상기 외벽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건물 각각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대표점을 설정하되, 상기 대표점은 외벽선을 구성하는 외벽 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이고, 상기 대표점의 개수는 상기 외벽 직선 각각에 대하여 부여되는 가중치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인, 인스트럭션; 및
상기 복수의 건물 각각의 상기 대표점들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건물이 점유하는 구역을 형성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구역 형성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4131A KR102156671B1 (ko) | 2020-01-13 | 2020-01-13 | 건물의 외벽선을 이용한 구역 형성 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4131A KR102156671B1 (ko) | 2020-01-13 | 2020-01-13 | 건물의 외벽선을 이용한 구역 형성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56671B1 true KR102156671B1 (ko) | 2020-09-16 |
Family
ID=72669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4131A Active KR102156671B1 (ko) | 2020-01-13 | 2020-01-13 | 건물의 외벽선을 이용한 구역 형성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667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837395A (zh) * | 2020-12-25 | 2021-05-25 | 佛山欧神诺云商科技有限公司 | 一种快速构建户型结构的建模方法、电子设备、存储介质 |
CN112861205A (zh) * | 2020-12-25 | 2021-05-28 | 佛山欧神诺云商科技有限公司 | 一种墙体建模方法、电子设备、存储介质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82722A (ko) * | 2010-01-12 | 2011-07-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맵 브라우징 장치 및 방법 |
JP2011198163A (ja) * | 2010-03-23 | 2011-10-06 | Yahoo Japan Corp | 地図データ処理装置及び方法 |
KR101130284B1 (ko) * | 2011-10-12 | 2012-03-26 | 주식회사 어스비젼텍 | 수치지도를 이용한 실감정사영상 정확도 검사 시스템 및 검사방법 |
KR101489216B1 (ko) * | 2013-10-21 | 2015-02-06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직선을 기반으로 장소를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 |
-
2020
- 2020-01-13 KR KR1020200004131A patent/KR10215667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82722A (ko) * | 2010-01-12 | 2011-07-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맵 브라우징 장치 및 방법 |
JP2011198163A (ja) * | 2010-03-23 | 2011-10-06 | Yahoo Japan Corp | 地図データ処理装置及び方法 |
KR101130284B1 (ko) * | 2011-10-12 | 2012-03-26 | 주식회사 어스비젼텍 | 수치지도를 이용한 실감정사영상 정확도 검사 시스템 및 검사방법 |
KR101489216B1 (ko) * | 2013-10-21 | 2015-02-06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직선을 기반으로 장소를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837395A (zh) * | 2020-12-25 | 2021-05-25 | 佛山欧神诺云商科技有限公司 | 一种快速构建户型结构的建模方法、电子设备、存储介质 |
CN112861205A (zh) * | 2020-12-25 | 2021-05-28 | 佛山欧神诺云商科技有限公司 | 一种墙体建模方法、电子设备、存储介质 |
CN112861205B (zh) * | 2020-12-25 | 2023-03-28 | 佛山欧神诺云商科技有限公司 | 一种墙体建模方法、电子设备、存储介质 |
CN112837395B (zh) * | 2020-12-25 | 2023-03-28 | 佛山欧神诺云商科技有限公司 | 一种快速构建户型结构的建模方法、电子设备、存储介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550842B2 (en) | Geographic population health information system | |
US20180052593A1 (en) | Providing visual selection of map data for a digital map | |
KR102156671B1 (ko) | 건물의 외벽선을 이용한 구역 형성 방법 및 장치 | |
US20080077875A1 (en) | Method And Computer System for Displaying A Weighted Tree Based on Hyperbolic Geometry | |
US8294710B2 (en) | Extensible map with pluggable modes | |
US20130151422A1 (en) | Rank and display comparables with user-alterable data points | |
KR102651593B1 (ko) | 단독건축물 자동건축설계 장치 및 방법 | |
JP2019070903A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CN110059209A (zh) | 房源信息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
US20090231340A1 (en) | Method and system for graphically displaying data | |
JPWO2014064864A1 (ja) | 画像描画装置、画像描画方法、及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 |
KR102431169B1 (ko) | 구역 형성 방법 및 장치 | |
CN115272025A (zh) | 确定人口分布热力数据的方法、装置和存储介质 | |
JP7422682B2 (ja) | 改良された地理的指標付け | |
WO2021081767A1 (zh) | 位置点确定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 |
US11978160B2 (en) | GPU-based digital map tile generation method and system | |
US20210182319A1 (en) | Map search interface system for gis objects having non-specifiable location attributes | |
JP2024050195A (ja) | 住環境評価システム及び住環境評価方法 | |
CN113240306B (zh) | 基于人工智能和大数据的商场选址方法及系统 | |
Yan et al. | An approach to simplifying point features on maps using the multiplicative weighted Voronoi diagram | |
CN114238677A (zh) | 一种多视图展示方法、装置、设备和介质 | |
WO2022140704A1 (en) | A method for presenting sites using their similarity and travel duration | |
CN116547560A (zh) | 电力线地理校正 | |
KR20210094799A (ko) | 부동산 클러스터를 시각화하는 방법 및 장치 | |
KR102561469B1 (ko) | 부동산의 개발 또는 정비 사업에 관한 시각적인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1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9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