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605B1 - 지그를 이용한 틀니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지그를 이용한 틀니 제작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6605B1 KR102156605B1 KR1020190022710A KR20190022710A KR102156605B1 KR 102156605 B1 KR102156605 B1 KR 102156605B1 KR 1020190022710 A KR1020190022710 A KR 1020190022710A KR 20190022710 A KR20190022710 A KR 20190022710A KR 102156605 B1 KR102156605 B1 KR 1021566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ig
- denture
- dentures
- milling
- rigi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0—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 A61C13/1003—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by embedding in base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0—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 A61C13/1003—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by embedding in base material
- A61C13/1013—Arch forms
- A61C13/1016—Methods or apparatus for mounting, holding or positioning a set of tee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1—In-situ dentures; Trial or temporary dentu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61C13/0019—Production methods using three dimensional print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0—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 A61C13/1003—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by embedding in base material
- A61C13/1006—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by embedding in base material characterised by a tooth shape which improves reten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0—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 A61C13/102—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to be fixed to a fram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70/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연성지그(20)를 강성지그(10)의 중앙에 형성되는 구멍에 삽입하는 단계;
연성지그(20)가 내부에 결합된 강성지그(10)를 밀링에 넣고 의치뿌리들을 밀링의 제어부에서 설정하는 깊이로 각각 절삭하는 단계;
상기 절삭된 의치를 잇몸구조물의 의치홈에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발명은 의치가 심어진 상하악모양의 연성지그를 강성지그내에 결합하여, 밀링작업시 치아뿌리들을 착용자의 본 치아와 동일한 깊이로 각각 절삭하여 잇몸구조물에 삽입하여 틀니를 제작함으로써 틀니제작이 정확하고 편리하며 신속하며 경제적이며 심미감이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곧 의치전체를 3D 프린터나 밀링가공하는 대신 지그를 사용하여 의치뿌리부분만 간단히 가공함으로써 가공시간이 수십분의 1로 줄어들며, 따라서 제작단가도 줄어드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발명의 강성지그 내에 연성지그가 결합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본발명의 의치가 연성지그내부의 의치홀에 삽입된 상태도
도 5는 본발명의 연성지그내 연질충진재가 의치주위에 충진된 상태도
도 6은 본발명의 강성지그에 물림홈이 형성된 사시도
도 7은 본발명의 의치가 연성지그내에 삽입되어 가공된 상태도
21 : 의치홀 2 : 언더컷
30 : 의치 11 : 물림홈
22 : 연질충진재
Claims (3)
- 상, 하악 모양의 연성지그(20)에 의치(30)들을 심는 단계;
연성지그(20)를 강성지그(10)의 중앙에 형성되는 구멍에 삽입하는 단계;
연성지그(20)가 내부에 결합된 강성지그(10)를 밀링에 넣고 의치뿌리들을 밀링의 제어부에서 설정하는 깊이로 각각 절삭하는 단계;
상기 절삭된 의치를 잇몸구조물의 의치홈에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그를 이용한 틀니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성지그는 실리콘으로 만들어져서 탄성이 있으며 아치 형상이며, 내부에 상하악 모양의 작은 아치형상 의치홀이 형성되어, 다수개의 의치들이 심어지고, 상기 의치는 의치의 뿌리부분인 잇몸에 심어지는 부분이 위로 향하고 음식물을 씹는 이 끝단부는 하부로 향하게 하는 것으로, 후공정인 밀링가공에서 이뿌리와 언더컷 부분을 가공하게 용이하게 하되,
착용자마다 치열의 크기가 다르므로 연성지그의 외관은 같으며 내부의 의치를 심는 의치홀의 깊이와 폭이 착용자마다 각각 서로 다르게 형성하며,
상기 다수개의 의치를 감싸주는 연질지그는 치아의 모양 및 크기에 따라 1차로 따로 제조되고, 이미 만들어진 이 지그에 모양 및 크기가 맞는 의치를 2차로 선택하여 심어주어서 다수의 의치가 심어진 일체형 연질지그를 제조완성하되, 연질지그는 전체치아를 감싸주어서 의치가 빠지지 않게 하며 이후 공정에서의 경질지그에 삽입하기 쉽게 하고 밀링작업시도 치아의 위치의 변형이나 빠지지 않게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의치홀에 다수개의 의치를 삽입한 후 실리콘 연질충진재를 의치홀과 의치들 사이의 빈공간에 채워서 의치가 더욱 빠지지 않게 하며 밀링작업시도 빠지지 않게 하는 것이며,
이후 상기 연성지그를 강성지그의 중앙 구멍에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강성지그는 외관이 둥근 원판 형상이며, 가운데 구멍이 형성되며, pet, 플라스틱 또는 철로 만든 딱딱한 재질로서, 상기 강성지그의 가운데의 중앙 구멍은 연성지그의 아치형태가 삽입될 수 있게 삼각형 형상이되, 양측변은 연성지그와 동일한 아치를 이루게 되며, 강성지그의 내벽에는 상하악이 삽입, 고정되게 다수개의 가이드돌기가 상하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연성지그의 외연부에는 강성지그의 다수 개의 가이드돌기와 대응되게 다수 개의 가이드 홈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이후 상기 강성지그가 내부에 결합된 연성지그를 밀링에 안치하고 밀링기계에서 밀링가공을 하는 것이며, 이때 강성지그에 형성된 의치뿌리를 밀링의 제어부의 소프트웨어에서 설정하는 깊이로 각각 절삭하는 것으로,의치뿌리들을 착용자의 본 치아와 동일한 높낮이, 크기로 각각 절삭할 수 있는 것이며,
마지막으로 가공된 의치를 잇몸구조물에 삽입하여 심어서 틀니를 완성하는 것으로,
상기 잇몸구조물은 재질이 PMMA 또는 나일론 재질이며, 상기 잇몸구조물은 밀링가공 내지 3D 프린터 방법에 의해서 가공되며, 의치가 심어지는 의치홈도 이때 동시에 밀링가공 내지 3D 프린터 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것이며, 이때 뿌리 부위에 언더컷(Undercut)을 형성하여 틀니를 제작함으로써 치아와 잇몸구조가 접착제에 의해 결합하는 강도가 크며 틀니제작이 정확하고 편리하며 신속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를 이용한 틀니 제작방법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2710A KR102156605B1 (ko) | 2019-02-26 | 2019-02-26 | 지그를 이용한 틀니 제작방법 |
PCT/KR2019/004197 WO2020175737A1 (ko) | 2019-02-26 | 2019-04-09 | 지그를 이용한 틀니 제작방법 |
US16/495,517 US11331173B2 (en) | 2019-02-26 | 2019-04-09 | Method of manufacturing denture by using ji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2710A KR102156605B1 (ko) | 2019-02-26 | 2019-02-26 | 지그를 이용한 틀니 제작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8516A KR20200108516A (ko) | 2020-09-21 |
KR102156605B1 true KR102156605B1 (ko) | 2020-09-23 |
Family
ID=72239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2710A Active KR102156605B1 (ko) | 2019-02-26 | 2019-02-26 | 지그를 이용한 틀니 제작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1331173B2 (ko) |
KR (1) | KR102156605B1 (ko) |
WO (1) | WO202017573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6605B1 (ko) * | 2019-02-26 | 2020-09-23 | 주식회사 덴솔프라임 | 지그를 이용한 틀니 제작방법 |
KR20240138254A (ko) | 2023-03-10 | 2024-09-20 | 강해랑 | 틀니 제작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틀니 제작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087327A1 (en) | 2011-05-16 | 2014-03-27 | Amann Girrbach Ag | Prosthetic tooth support |
JP6469865B2 (ja) * | 2014-11-25 | 2019-02-13 | クルツァ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Kulzer GmbH | 人工歯への義歯床のプリントによる歯科用補綴物の作製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54962A (ko) * | 2010-11-22 | 2012-05-31 | 김중헌 | 치모형 제작 장치 |
DE102012007706B4 (de) * | 2012-04-19 | 2019-10-02 | Kulzer Gmbh |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künstlichen Gebisses |
KR101363612B1 (ko) * | 2012-11-09 | 2014-02-17 | 이희성 | 퍼티를 사용한 틀니의 제조 방법 |
DK2742906T3 (en) * | 2012-12-17 | 2016-10-03 | Ivoclar Vivadent Ag | A method and system for the construction of a dental prosthesis. |
KR101808108B1 (ko) * | 2016-10-12 | 2017-12-13 | (주)예스바이오골드 | 치아모형 조립체 |
KR20180096453A (ko) * | 2017-02-21 | 2018-08-29 | 주식회사 아트덴트 | 아크릴레진을 이용하여 구강내 장치를 제작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지그 장치 |
DE102017108592B4 (de) * | 2017-04-21 | 2018-12-27 | Heraeus Kulzer Gmbh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entalprothese mit parallelen Wurzeln der Prothesenzähne |
KR101867040B1 (ko) | 2017-05-04 | 2018-06-14 | 주식회사 디오 | 조립식 틀니장치 |
KR102156605B1 (ko) * | 2019-02-26 | 2020-09-23 | 주식회사 덴솔프라임 | 지그를 이용한 틀니 제작방법 |
KR102040285B1 (ko) * | 2019-03-19 | 2019-11-07 | 주식회사 덴솔프라임 | 의치 밀링가공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트레이 캡 지그를 이용한 틀니 제작방법 |
-
2019
- 2019-02-26 KR KR1020190022710A patent/KR102156605B1/ko active Active
- 2019-04-09 WO PCT/KR2019/004197 patent/WO202017573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9-04-09 US US16/495,517 patent/US11331173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087327A1 (en) | 2011-05-16 | 2014-03-27 | Amann Girrbach Ag | Prosthetic tooth support |
JP6469865B2 (ja) * | 2014-11-25 | 2019-02-13 | クルツァ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Kulzer GmbH | 人工歯への義歯床のプリントによる歯科用補綴物の作製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10378801A1 (en) | 2021-12-09 |
US11331173B2 (en) | 2022-05-17 |
WO2020175737A1 (ko) | 2020-09-03 |
KR20200108516A (ko) | 2020-09-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42600B2 (en) | Denture as well as method of producing a denture | |
EP3791824B1 (en) | Method for displaying repositioning jaw elements | |
EP1621157B1 (en) | Method of arranging artificial teeth | |
US10144100B2 (en) | Method of preparation for restoring tooth structure | |
US11154385B2 (en) | Tooth unit and method for producing denture base | |
KR101956072B1 (ko) | 디지털틀니 제조방법 | |
KR20180039146A (ko) | 치과용 미용품 수복물 모형 및 치과용 오버레이 장치 | |
KR102156605B1 (ko) | 지그를 이용한 틀니 제작방법 | |
KR20160111459A (ko) | 무치악 환자용 교합 채득 도구 | |
JP4495245B2 (ja) | 人工臼歯 | |
KR102040285B1 (ko) | 의치 밀링가공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트레이 캡 지그를 이용한 틀니 제작방법 | |
JP5275205B2 (ja) | 人工臼歯 | |
KR102541583B1 (ko) | 치아수복용 임시보철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임시보철의 제조방법 | |
KR101871117B1 (ko) | 수술 전의 치은 피개형 임플란트 임시 보철물 제작방법 | |
JP6708856B2 (ja) | 人工臼歯排列用治具 | |
US11877902B2 (en) | Reinforcing-structure simultaneous-embedding-type plate den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KR102476397B1 (ko) | 구강 모형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098489B1 (ko) | 틀니 제작을 위한 왁스 틀니 제작방법 | |
KR101485000B1 (ko) | 교합만곡을 만족하는 4개의 구치를 구비하는 인공치아 | |
JP5001329B2 (ja) | 人工歯の排列方法 | |
JP2022024992A (ja) | 補強構造一挙埋入式有床義歯とその製作方法 | |
KR101590439B1 (ko) | 유지홈을 구비한 인공치아 | |
JP2004008487A (ja) | 義歯作製用フィット治具及び義歯作製方法 | |
JP2022055460A (ja) | 義歯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S6219860B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9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