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807B1 -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전력 전송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입력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전력 전송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입력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5807B1 KR102155807B1 KR1020190078769A KR20190078769A KR102155807B1 KR 102155807 B1 KR102155807 B1 KR 102155807B1 KR 1020190078769 A KR1020190078769 A KR 1020190078769A KR 20190078769 A KR20190078769 A KR 20190078769A KR 102155807 B1 KR102155807 B1 KR 1021558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transmission
- wireless power
- transmission devices
- input
- magnitu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4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674 electromagnetic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26 mechanical processes and func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의 상호 인덕턴스와 송신 코일 전류 간의 크기 비율에 따라 발생하는 전력 손실 정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전력 전송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입력 전원 제어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전력 전송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입력 전원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311: 직류 전원 공급부 312: 전압 제어부
313: 저항 측정부 314: 입력 저항 조정부
315: 기준 저항 값 저장부 316: 감소 제어부
317: 증가 제어부 318: 기준 저항 결정부
321, 322, 323: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330: 무선 전력 수신 장치
Claims (14)
-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에 대해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직류 전원 공급부; 및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의 송신 코일에서 확인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수신 코일과의 상호 인덕턴스와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의 송신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간의 크기 비율이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에 대해 모두 일치하도록, 상기 직류 전원 공급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의 크기를 조정하는 전압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에 대한 입력 저항의 크기를 측정하는 저항 측정부; 및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에서 측정된 입력 저항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직류 전원 공급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에 대한 입력 저항의 크기를 모두 동일한 값으로 일치시키는 입력 저항 조정부
를 포함하는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전력 전송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입력 전원 제어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기준 저항 값이 저장되어 있는 기준 저항 값 저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 저항 조정부는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에서 측정된 입력 저항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에 대한 입력 저항의 크기가 상기 기준 저항 값과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직류 전원 공급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의 크기를 조정하는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전력 전송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입력 전원 제어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저항 조정부는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측정된 입력 저항의 크기가 상기 기준 저항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측정되는 입력 저항의 크기가 상기 기준 저항 값과 일치하게 될 때까지 상기 직류 전원 공급부에 의해 상기 제1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감소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인 제2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측정된 입력 저항의 크기가 상기 기준 저항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측정되는 입력 저항의 크기가 상기 기준 저항 값과 일치하게 될 때까지 상기 직류 전원 공급부에 의해 상기 제2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증가 제어부
를 포함하는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전력 전송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입력 전원 제어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에 대한 입력 저항의 크기가 상기 기준 저항 값과 동일하게 조정되면, 상기 기준 저항 값의 크기를 조정하면서 상기 기준 저항 값의 크기 조정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에 대한 입력 저항의 크기 변화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효율을 반복적으로 체크함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시점에서의 상기 기준 저항 값의 크기를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최종 기준 저항 값의 크기로 결정하는 기준 저항 결정부
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전력 전송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입력 전원 제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에 대한 입력 저항의 크기가 모두 동일한 값으로 일치하게 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의 송신 코일의 반사 저항이 모두 일치하게 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의 송신 코일에서의 상호 인덕턴스와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의 송신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간의 크기 비율이 모두 동일한 비례 상수로 고정되어 동작하는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전력 전송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입력 전원 제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은 상기 직류 전원 공급부에 의해 인가되는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스위치, 상기 인버터 스위치에 연결되는 제1 인덕터와 제1 커패시터, 및 상기 제1 커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된 제2 커패시터로 구성되되, 상기 제2 커패시터에 송신 코일이 직렬로 연결된 회로 구조를 갖는 LCC 인버터로 구성되는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전력 전송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입력 전원 제어 장치. - 직류 전원 공급부가,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에 대해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및
전압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의 송신 코일에서 확인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수신 코일과의 상호 인덕턴스와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의 송신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간의 크기 비율이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에 대해 모두 일치하도록, 상기 직류 전원 공급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의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직류 전압의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는
저항 측정부가,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에 대한 입력 저항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입력 저항 조정부가,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에서 측정된 입력 저항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직류 전원 공급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에 대한 입력 저항의 크기를 모두 동일한 값으로 일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전력 전송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입력 전원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 삭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전압의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기준 저항 값이 저장되어 있는 기준 저항 값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일한 값으로 일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입력 저항 조정부가,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에서 측정된 입력 저항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에 대한 입력 저항의 크기가 상기 기준 저항 값과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직류 전원 공급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의 크기를 조정하는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전력 전송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입력 전원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값으로 일치시키는 단계는
감소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측정된 입력 저항의 크기가 상기 기준 저항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측정되는 입력 저항의 크기가 상기 기준 저항 값과 일치하게 될 때까지 상기 직류 전원 공급부에 의해 상기 제1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단계; 및
증가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인 제2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측정된 입력 저항의 크기가 상기 기준 저항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측정되는 입력 저항의 크기가 상기 기준 저항 값과 일치하게 될 때까지 상기 직류 전원 공급부에 의해 상기 제2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전력 전송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입력 전원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기준 저항 결정부가,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에 대한 입력 저항의 크기가 상기 기준 저항 값과 동일하게 조정되면, 상기 기준 저항 값의 크기를 조정하면서 상기 기준 저항 값의 크기 조정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에 대한 입력 저항의 크기 변화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효율을 반복적으로 체크함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시점에서의 상기 기준 저항 값의 크기를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최종 기준 저항 값의 크기로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전력 전송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입력 전원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에 대한 입력 저항의 크기가 모두 동일한 값으로 일치하게 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의 송신 코일의 반사 저항이 모두 일치하게 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의 송신 코일에서의 상호 인덕턴스와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의 송신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간의 크기 비율이 모두 동일한 비례 상수로 고정되어 동작하는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전력 전송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입력 전원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 각각은 상기 직류 전원 공급부에 의해 인가되는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스위치, 상기 인버터 스위치에 연결되는 제1 인덕터와 제1 커패시터, 및 상기 제1 커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된 제2 커패시터로 구성되되, 상기 제2 커패시터에 송신 코일이 직렬로 연결된 회로 구조를 갖는 LCC 인버터로 구성되는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전력 전송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입력 전원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8769A KR102155807B1 (ko) | 2019-07-01 | 2019-07-01 |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전력 전송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입력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8769A KR102155807B1 (ko) | 2019-07-01 | 2019-07-01 |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전력 전송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입력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55807B1 true KR102155807B1 (ko) | 2020-09-14 |
Family
ID=72471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8769A Active KR102155807B1 (ko) | 2019-07-01 | 2019-07-01 |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전력 전송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입력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5807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114615A1 (ko) * | 2020-11-25 | 2022-06-0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전력 송신 장치 및 전력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최대 효율 동작 점 추적 방법 |
WO2022119102A1 (ko) * | 2020-12-02 | 2022-06-0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
KR20220112428A (ko) * | 2021-02-04 | 2022-08-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WO2023132406A1 (ko) * | 2022-01-04 | 2023-07-13 | 한국과학기술원 | 다중 수신 무선전력전송의 최적 동작 상태 결정을 위한 송수신 간의 상호 인덕턴스 실시간 추정 방법 및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36197A (ko) * | 2011-06-07 | 2014-03-25 |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 비접촉 급전 시스템, 비접촉 급전 장치, 비접촉 급전 프로그램 및 비접촉 급전 방법 |
KR20160122806A (ko) * | 2014-02-14 | 2016-10-24 | 메사추세츠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 무선 전력 전송 |
KR20170120585A (ko) * | 2014-12-31 | 2017-10-31 | 메사추세츠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 무선 전력 전송의 적응적 제어 |
-
2019
- 2019-07-01 KR KR1020190078769A patent/KR10215580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36197A (ko) * | 2011-06-07 | 2014-03-25 |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 비접촉 급전 시스템, 비접촉 급전 장치, 비접촉 급전 프로그램 및 비접촉 급전 방법 |
KR20160122806A (ko) * | 2014-02-14 | 2016-10-24 | 메사추세츠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 무선 전력 전송 |
KR20170120585A (ko) * | 2014-12-31 | 2017-10-31 | 메사추세츠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 무선 전력 전송의 적응적 제어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114615A1 (ko) * | 2020-11-25 | 2022-06-0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전력 송신 장치 및 전력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최대 효율 동작 점 추적 방법 |
WO2022119102A1 (ko) * | 2020-12-02 | 2022-06-0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
KR20220112428A (ko) * | 2021-02-04 | 2022-08-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WO2022169166A1 (ko) * | 2021-02-04 | 2022-08-1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KR102810126B1 (ko) | 2021-02-04 | 2025-05-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WO2023132406A1 (ko) * | 2022-01-04 | 2023-07-13 | 한국과학기술원 | 다중 수신 무선전력전송의 최적 동작 상태 결정을 위한 송수신 간의 상호 인덕턴스 실시간 추정 방법 및 장치 |
US12301015B2 (en) | 2022-01-04 | 2025-05-13 |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Real-time approxim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mutual inductance between transmitters and receivers for determining optimal operating condition in multiple-receiver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55807B1 (ko) |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들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전력 전송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입력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US11159051B2 (en) | Resonant contactless power supply equipment, electrical transmitter and contactless power supply method | |
US11569673B2 (en) | Charge control circuitry in a wireless power receiver | |
US9954397B2 (en) | Feed unit including power transmission coil and feed system | |
KR101262615B1 (ko) | 무선전력 송신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및 무선전력 전송 방법 | |
KR101237300B1 (ko) |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위한 전력 전송 방법 | |
JP6706270B2 (ja) | レシーバ電圧およびリアクタンスを調整するための補助レシーバコイル | |
TWI565176B (zh) | Non - contact induction transmission equipment | |
US11063443B2 (en) | Tuning circuit, tuning method and resonance-type contactless power supply | |
TWI555295B (zh) | Resonant non-contact power supply and power receiver | |
TW201703396A (zh) | 諧振型非接觸供電裝置、電能接收端和控制方法 | |
TW201644151A (zh) | 諧振型非接觸供電裝置、電能發射端和控制方法 | |
WO2012092183A2 (en) | System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 |
TW201703395A (zh) | 諧振型非接觸供電裝置、電能發射端和控制方法 | |
CN107959358B (zh) | 一种无线充电装置的控制方法及无线充电装置 | |
KR102200786B1 (ko) | 무선 전력 송신용 lcc 인버터 및 그 동작 방법 | |
KR20210129561A (ko) | 과전압 보호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CN109193962A (zh) | 带降压式变换器谐振式无线电能传输系统的自动调压方法 | |
US11962175B2 (en) | Electronic device to wirelessly receive pow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US10355532B2 (en) | Inductive power transfer | |
US11437857B2 (en)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 |
KR101905882B1 (ko) | 무선전력 송신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및 무선전력 전송 방법 | |
US20230299617A1 (en)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wireless power receiver and wireless power device | |
CN108616170A (zh) | 电能发射电路、电路模块及应用其的无线充电装置 | |
KR20160092093A (ko) | 송신부 코일 임피던스 감지 무선충전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9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