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518B1 - Filtration Device for Aquarium - Google Patents
Filtration Device for Aquariu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4518B1 KR102154518B1 KR1020180051882A KR20180051882A KR102154518B1 KR 102154518 B1 KR102154518 B1 KR 102154518B1 KR 1020180051882 A KR1020180051882 A KR 1020180051882A KR 20180051882 A KR20180051882 A KR 20180051882A KR 102154518 B1 KR102154518 B1 KR 1021545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pipe
- aquarium
- discharge
- upper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수심이 증가하여도 기포가 잘 발생하고 미세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다공질구조로 이루어지고 수조 내부에 설치되어 수조 내부의 물이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면서 이물질이 여과되는 여과필터와, 원심필터의 내부에 설치되고 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통수공이 형성되는 통수관과, 흡입구 및 배출구를 구비하고 날개차의 회전에 의해 통수관 내부의 물을 흡입구를 통해 흡입하여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원심펌프와, 통수관 내부의 물이 흡입구로 흡입될 때 흡입구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설치되는 공기유입관과, 원심펌프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물과 공기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구멍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배출유도관을 포함하는 수족관용 여과장치를 제공한다.The filter has a porous structure and is installed inside the tank so that foreign matter is filtered as the water in the tank flows into the inside from the outside so that bubbles can be generated well and fine bubbles are generated even when the water depth increases. A centrifugal pump that is installed inside and has a water passage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water through hol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ide, an inlet and an outlet, and sucks the water inside the water pipe through the inlet and discharges it through the outlet by rotation of the impeller. Wow, an air inlet pipe installed to allow air to flow into the suction port when water inside the water passage pipe is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centrifugal pump to discharge water and ai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provides a filtering device for an aquarium including a discharge induction pipe formed every time.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족관용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조 내부의 수질을 정화하면서 기포를 발생시키는 수족관용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ration device for an aquarium,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ltration device for an aquarium that generates bubbles while purifying the quality of water in a tank.
일반적으로 수족관에는 수조 내부의 수질 정화를 위해 여과장치가 설치된다. 여과장치는 펌프로 물을 순환시키고 물의 순환경로에 필터를 설치하여 수중의 오염물질을 걸러낸다.In general, a filtration device is installed in an aquarium to purify the water inside the tank. The filtration device circulates water with a pump and filters contaminants in the water by installing a filter in the water circulation path.
여과장치는 수조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며, 수조 내부에 설치되는 여과장치는 수조의 밑바닥이나 측벽에 주로 설치된다.The filtering device is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tank, and the filtering device installed inside the tank is mainly installed at the bottom or side wall of the tank.
한편, 수족관에는 여과장치와 더불어 기포발생기가 설치된다. 기포발생기는 에어펌프를 이용하여 외부 공기를 수중에 유입시켜 수조 내부의 생물체에 산소를 제공하고 수중에서 기포를 발생시켜 시각적인 미감을 유발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aquarium, a bubble generator is installed along with a filtering device. The bubble generator uses an air pump to introduce external air into the water to provide oxygen to the organisms inside the tank, and to generate bubbles in the water, causing a visual aesthetic.
그런데, 기포발생기는 별도의 전원공급이 필요하고 소음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으며 여과장치와 별도로 설치되므로 설치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bubble generator requires a separate power supply and causes noise, and is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filtering device, installation is cumbersome.
실용신안공보 제92-0005675호에는 수중의 이물질 여과됨과 동시에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수족관용 다단식 기포발생기가 개시되어 있다.Utility Model Publication No. 92-0005675 discloses a multi-stage bubble generator for an aquarium capable of generating bubbles while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 water.
수족관용 다단식 기포발생기는 배수가 이루어지는 부분, 즉 배수파이프와 연결되는 기포공급관에서 기포를 발생시키므로 기포 발생부위의 수심에 따라 기포가 잘 발생하지 않는다. 즉 확개관으로 물이 배출될 때 관로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대기와의 압력차로 인해 공기공급호스로 공기가 유입되어 기포가 발생하게 되는데, 수심이 깊어지면 수압이 커져 압력차가 크지 않게 되어 기포가 잘 발생하지 않게 된다.Multi-stage bubble generators for aquariums generate bubbles in the part where drainage is performed, that is, in the bubble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drainage pipe, so bubbles are not easily generated depending on the depth of the bubble generation site. In other words, when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expansion pipe, the pressure in the pipe is lowered, and air is introduced into the air supply hose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with the atmosphere, and bubbles are generated. Does not occur.
그리고 수족관용 다단식 기포발생기는 기포공급관이 수조의 밑바닥에 가깝도록 수심을 깊게 설정하기 어려우므로 기포가 수중에 체류하는 시간이 짧아져서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기 어렵다.In addition, in the multi-stage bubble generator for an aquarium, it is difficult to set the depth of water so that the bubble supply pipe is close to the bottom of the tank, so the time for the bubbles to stay in the water is shortened, making it difficult to increase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또한, 수족관용 다단식 기포발생기는 발생하는 기포의 크기가 큰 경우 물의 파동이 커져 물고기나 수초 등의 생물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수면에서 기포가 터지면서 소음을 유발하고 수조 외부로 물이 튀어나가게 된다.In addition, the multi-stage bubble generator for aquariums has a large wave of water when the generated bubbles are large, which adversely affects living organisms such as fish and aquatic plants, as well as bubbles bursting from the surface, causing noise, and water splashing out of the tank. .
나아가, 수족관용 다단식 기포발생기는 모터 아래쪽에 필터가 설치되므로 필터의 교체나 청소를 위한 분해 결합이 불편하고, 수조에서 장치 전체를 분리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Further, in the multi-stage bubble generator for an aquarium, since the filter is installed under the motor, it is inconvenient to disassemble and combine the filter for replacement or cleaning,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ntire device must be separated from the water tank.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므로 기포발생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미세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필터의 교체 및 청소가 용이한 수족관용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looking at the above points, and since the air for generating bubbles flows smoothly, the amount of bubbles generated can be increased, micro bubbles can be generated, and the filter for an aquarium is easy to replace and clean. To provide, has a purpose.
본 발명이 제안하는 수족관용 여과장치는 다공질구조로 이루어지고 수조 내부에 설치되어 수조 내부의 물이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면서 이물질이 여과되는 여과필터와, 상기 여과필터의 내부에 설치되고 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통수공이 형성되는 통수관과, 흡입구 및 배출구를 구비하고 날개차의 회전에 의해 상기 통수관 내부의 물을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원심펌프와, 상기 통수관 내부의 물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될 때 상기 흡입구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설치되는 공기유입관과, 상기 원심펌프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물과 공기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구멍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배출유도관을 포함한다.The filter device for an aquarium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rous structure and is installed inside the tank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as water inside the tank flow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nd the filter is installed inside the filter and has a fixed side surface. A centrifugal pump having a water passing pipe in which a plurality of water passing holes are formed at intervals, a suction port and a discharge port, and suctioning water inside the water passing pipe through the suction port and discharging it through the discharge port by rotation of the impeller; and An air inlet pipe installed to allow air to flow into the suction port when water inside the pipe is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centrifugal pump and through which water and air are discharged ar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It includes a discharge induction pipe formed every time.
상기 배출유도관은 상기 원심펌프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물과 기포가 상기 수조의 하부쪽으로 이송되게 수직으로 수직이송통로를 형성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부 끝부분에 연결되고 수직부에서 이송되는 물과 기포가 수평으로 이송되게 수평이송통로를 형성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상기 배출구멍이 형성되는 수평부를 포함한다.The discharge induction pipe includes a vertical part forming a vertical transfer passage vertically so that water and air bubble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of the centrifugal pump are transferred to the lower side of the water tank, and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art and transferred from the vertical part. It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forming a horizontal transfer passage so that water and air bubbles are transported horizontally, and in which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수조의 바닥에 설치되는 여과층 내부에 집수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팔레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유도관은 끝단에 출수구를 더 형성하여 상기 집수공간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pallets forming a collection space inside the filtration layer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and the discharge induction pipe may be disposed in the collection space by further forming a water outlet at the end.
상기 팔레트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통수구멍이 형성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형성되고 수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다리와, 상기 상판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다리 사이에 결합되며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복수의 측판을 포함한다.The pallet includes an upper plate having a plurality of water-through hole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plurality of support legs formed under the upper plate and supporting the upper plat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and vertically installed under the upper plate and supporting the pallet. It is coupled between the legs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ide plates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상기 팔레트는 동일평면상에 여러 개를 연이어 설치할 수 있도록 결합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상판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조립돌기와, 상기 상판의 모서리에 형성되고 다른 상판에 형성되는 상기 조립돌기와 결합되는 조립홈을 포함한다.The pallet further includes a coupling portion to be installed in succession on the same plane, and the coupling portion is coupled with an assembly protrusion formed at the corner of the upper plate, and the assembly protrusion formed at the corner of the upper plate and formed on another upper plate. Includes assembly groo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용 여과장치에 의하면, 원심펌프의 흡입구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므로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기포가 잘 발생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filtering device for an aquar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of the centrifugal pump, air is smoothly introduced and bubbles are well generated.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용 여과장치에 의하면, 흡입구로 흡입되어 형성되는 기포가 날개차에 의해 쪼개지면서 미세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수조 내의 용존산소량이 증가시킬 수 있고 물의 파동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기포가 터지는 소음과 물이 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nd according to the filter device for an aquar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ir bubbles formed by being sucked through the inlet may be split by the impeller and generate micro bubbles,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n the tank can be increased and the wave of water can be reduced. It can prevent bubbles popping noise and water splash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용 여과장치에 의하면, 기포가 배출되는 위치를 수심이 깊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기포가 부상하는 거리가 늘어나서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iltration apparatus for an aquar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sition at which the bubbles are discharged can be set at a deeper depth, the distance at which the bubbles float can be increased,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용 여과장치에 의하면, 펌프의 상부쪽에 필터가 설치되므로 필터의 교체, 청소 등이 용이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ilter device for an aquar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lter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pump, it is easy to replace and clean the filter.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용 여과장치에 의하면, 수조의 바닥에 팔레트가 설치되고 팔레트 하부로 물을 순환시키므로 수조의 바닥에서도 추가로 물을 여과하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 according to the filtration apparatus for an aquar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allet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tank and water is circulated under the pallet, it is possible to further filter water from the bottom of the tank.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용 여과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용 여과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용 여과장치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용 여과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용 여과장치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용 여과장치의 팔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용 여과장치의 팔레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용 여과장치의 팔레트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용 여과장치의 팔레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용 여과장치의 팔레트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ing device for an aquariu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howing a filtering device for an aquariu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ltering device for an aquariu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a filtering device for an aquariu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ltering device for an aquariu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llet of a filtering device for an aquariu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a pallet of an aquarium filter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howing a pallet of an aquarium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showing a pallet of an aquarium filter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ottom view showing a pallet of a filtering device for an aquariu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여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Next,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ilter device for an aquar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에서 동일한 기능을 하는 기술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echnical 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and repeated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to avoid redundant descriptions.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illustratively shown in order to effectively show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용 여과장치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공질구조로 이루어지고 수조(2) 내부에 설치되어 수조(2) 내부의 물이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면서 이물질이 여과되는 여과필터(10)와, 상기 여과필터(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통수공(22)이 형성되는 통수관(20)과, 흡입구(32) 및 배출구(34)를 구비하고 날개차(31)의 회전에 의해 상기 통수관(20) 내부의 물을 상기 흡입구(32)를 통해 흡입하여 상기 배출구(34)를 통해 배출하는 원심펌프(30)와, 상기 통수관(20) 내부의 물이 상기 흡입구(32)로 흡입될 때 상기 흡입구(32)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설치되는 공기유입관(40)과, 상기 원심펌프(30)의 배출구(34)에 연결되고 물과 공기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구멍(52)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배출유도관(50)을 포함한다.The filter device for an aquariu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rous structure and is installed inside the
도면에서 실선화살표는 물의 이동방향을 나타내고, 점선화살표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나타낸다.In the drawing, the solid arrow indicate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water, and the dotted arrow indicate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ir.
상기 여과필터(10)는 상기 통수관(20)의 측면을 감싸고 내면이 상기 통수관(20)의 외면에 밀착되게 조립된다. 여과필터(10)는 스펀지, 발포수지, 천, 부직포, 발포금속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선택하여 구성되고 대략 5~50㎜ 정도의 두께로 형성된다.The
상기와 같이 통수관(20)의 측면에 여과필터(10)가 설치되면 상기 통수공(22)을 통해 통수관(20) 내부로 쉽게 물이 유입되기 어렵고 상기 원심펌프(30)의 흡입력으로 인해 통수관(20) 내부의 압력이 저하되면서 통수관(20) 내부에도 흡입력이 작용한다.When the
상기 통수관(20)은 상기 여과필터(10)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여과되어 정화된 물이 통수공(22)을 통해 유입되게 구성된다.The
상기 통수공(22)은 폭이 좁고 세로로 길게 형성되고 통수관(20)의 측면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형성된다.The water-through
상기 통수관(20)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조(2)의 내부에 상하로 길게 형성하여 설치되며 하단부가 상기 원심펌프(30)의 흡입구(32)와 연결된다.The
상기 통수관(20)과 흡입구(32)는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여과필터(10)의 청소나 교체 등을 행할 경우 상기 통수관(20)을 흡입구(32)에서 쉽게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통수관(20)의 하단부가 흡입구(32)의 외주면에 끼움결합되게 구성되거나 통수관(20)과 흡입구(32)가 나사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원심펌프(30)는 수직으로 중심축이 설치되는 원심형 날개차(31)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차(31)의 중심축 상부에는 상기 흡입구(32)가 형성되고 날개차(31)의 바깥쪽에는 상기 배출구(34)가 형성된다.The
상기 흡입구(32)를 통해 유입되는 물과 공기를 회전되는 원심형 날개차(31)에 의해 교반이 이루어지면서 기포를 작은 크기로 미세화시킬 수 있다.As the water and air flowing through the
상기 날개차(31)의 날개에는 복수의 관통구멍을 형성하면 기포를 더 작게 더 많이 만들 수도 있다.If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blades of the
상기 원심펌프(30)는 상기 수조(2)의 벽면에 고정된다. 원심펌프(30)는 일측에 빨판(36)을 구비하여 수조(2)의 벽면에 흡착 고정될 수 있다.The
상기 공기유입관(40)은 상기 원심펌프(30)의 흡입구(32)로 상기 통수관(20) 내부의 물이 흡입될 때 통수관(20) 내부의 압력이 저하되면서 대기중의 공기가 유입되게 구성된다. 즉 공기유입관(40)은 한쪽(상부쪽) 끝부분이 대기중에 설치되고 다른쪽(아래쪽) 끝부분이 상기 통수관(20)의 내부에 설치된다.When the water inside the
상기 공기유입관(40)은 공기의 유입량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다른쪽 끝부분을 흡입구(32)에 근접되게 설치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상기 배출유도관(50)은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물과 기포를 상기 수조(2)의 하단부로 안내하고 하단부에서 물과 기포를 배출시켜 기포가 부상하는 구간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The
상기 배출유도관(50)은 상기 원심펌프(30)의 배출구(34)에서 배출되는 물과 기포가 상기 수조(2)의 하부쪽으로 이송되게 수직으로 수직이송통로를 형성하는 수직부(51)와, 상기 수직부(51)의 하부 끝부분에 연결되고 수직부(51)에서 이송되는 물과 기포가 수평으로 이송되게 수평이송통로를 형성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상기 배출구멍(55)이 형성되는 수평부(54)를 포함한다.
The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용 여과장치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조(2)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여과층(4) 내부에 집수공간(6)을 형성하는 복수의 팔레트(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유도관(50)은 끝단에 출수구(58)를 더 형성하여 상기 집수공간(6)에 물이 배출되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filter device for an aquariu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allets forming a
상기 여과층(4)는 일반적으로 수조의 바닥에 설치되는 여과층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즉 여과층은 모래, 자갈 등을 수조(2) 바닥에 설치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팔레트(60)는 도 5~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통수구멍(62)이 형성되는 상판(61)과, 상기 상판(61)의 하부에 형성되고 수조(2)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판(61)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다리(66)와, 상기 상판(61)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다리(66) 사이에 결합되며 복수의 관통구멍(69)이 형성되는 복수의 측판(68)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5 to 8, the
상기 상판(61)은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된다.The
상기 지지다리(66)는 상기 상판(61)의 코너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측판(68)의 끝부분이 조립되는 홈부(67)가 둘레를 따라 4개소에 형성된다.The
상기 팔레트(6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평면상에 여러 개를 연이어 설치할 수 있도록 결합부(63)를 더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상기 결합부(63)는 상기 상판(61)의 전후 및 좌우방향 4개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조립돌기(64)와, 상기 상판(61)의 전후 및 좌우방향 4개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고 다른 상판(61)에 형성되는 상기 조립돌기(64)와 결합되는 복수의 조립홈(65)을 포함한다.The
상기 배출유도관(50)은 상기 수평부(54)의 끝부분에서 연장되고 하향으로 수직으로 굽어져 형성되며 끝단에 상기 출수구(58)가 형성되는 연장부(56)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장부(56)는 끝단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출수구(58)의 개구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상기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sinc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xcept for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여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 및 발명의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In the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ilter device for an aquar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 : 수조 4 : 여과층
6 : 집수공간 10 : 여과필터
20 : 통수관 22 : 통수공
30 : 원심펌프 31 : 날개차
32 : 흡입구 34 : 배출구
40 : 공기유입관 50 : 배출유도관
60 : 팔레트2: water tank 4: filtration layer
6: collection space 10: filtration filter
20: water pipe 22: water pipe
30: centrifugal pump 31: impeller
32: inlet 34: outlet
40: air inlet pipe 50: discharge induction pipe
60: pallet
Claims (5)
상기 여과필터의 내부에 설치되고 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통수공이 형성되는 통수관과,
흡입구 및 배출구를 구비하고 날개차의 회전에 의해 상기 통수관 내부의 물을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원심펌프와,
상기 통수관 내부의 물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될 때 상기 흡입구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설치되는 공기유입관과,
상기 원심펌프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물과 공기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구멍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배출유도관을 포함하는 수족관용 여과장치.A filtration filter that has a porous structure and is installed inside the tank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as water in the tank flow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 water passing pipe installed inside the filtration filter and having a plurality of water passing hole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ide thereof;
A centrifugal pump having a suction port and an discharge port and suctioning water inside the water pipe through the suction port and discharging it through the discharge port by rotation of the impeller;
An air inlet pipe installed to allow air to be introduced into the inlet when water inside the water passage pipe is sucked into the inlet,
A filtration device for an aquarium comprising a discharge induction pip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centrifugal pump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through which water and air are discharged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배출유도관은 상기 원심펌프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물과 기포가 상기 수조의 하부쪽으로 이송되게 수직으로 수직이송통로를 형성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부 끝부분에 연결되고 수직부에서 이송되는 물과 기포가 수평으로 이송되게 수직이송통로를 형성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상기 배출구멍이 형성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수족관용 여과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charge induction pipe includes a vertical part forming a vertical transfer path so that water and air bubble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of the centrifugal pump are transferred to the lower side of the water tank, and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art and transferred from the vertical part. A filtration apparatus for an aquarium comprising a horizontal portion in which a vertical transfer passage is formed so that water and air bubbles are transported horizontally,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a length direction.
상기 수조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는 여과층 내부에 집수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팔레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유도관은 끝단에 출수구를 더 형성하여 상기 집수공간에 배치하는 수족관용 여과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pallets forming a collection space inside the filtration layer install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water tank,
The discharge induction pipe further forms an outlet at the end of the aquarium filtration device disposed in the collection space.
상기 팔레트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통수구멍이 형성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형성되고 수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다리와, 상기 상판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다리 사이에 결합되며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복수의 측판을 포함하는 수족관용 여과장치.The method of claim 3,
The pallet includes an upper plate having a plurality of water-through hole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plurality of support legs formed under the upper plate and supporting the upper plat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and vertically installed under the upper plate and supporting the pallet. A filtering device for an aquarium comprising a plurality of side plates coupled between the legs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상기 팔레트는 동일평면상에 여러 개를 연이어 설치할 수 있도록 결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상판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조립돌기와, 상기 상판의 모서리에 형성되고 다른 상판에 형성되는 상기 조립돌기와 결합되는 조립홈을 포함하는 수족관용 여과장치.The method of claim 4,
The pallet further includes a coupling portion to be installed in succession on the same plane,
The coupling portion is an aquarium filtration device comprising an assembly protrusion formed at the corner of the upper plate, and an assembly groove formed at the corner of the upper plate and coupled to the assembly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upper pla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1882A KR102154518B1 (en) | 2018-05-04 | 2018-05-04 | Filtration Device for Aquariu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1882A KR102154518B1 (en) | 2018-05-04 | 2018-05-04 | Filtration Device for Aquariu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7353A KR20190127353A (en) | 2019-11-13 |
KR102154518B1 true KR102154518B1 (en) | 2020-09-10 |
Family
ID=68534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1882A Active KR102154518B1 (en) | 2018-05-04 | 2018-05-04 | Filtration Device for Aquariu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451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81340B1 (en) * | 2020-12-21 | 2022-04-01 | 김두곤 | Filtration Device for Fishtank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83427B1 (en) | 2021-02-18 | 2024-07-30 | 정지영 | Filter device for aquarium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1056B1 (en) | 2007-10-01 | 2008-01-04 | 강동완 | Debris Removal Device for Aquariums |
KR101156799B1 (en) | 2012-01-09 | 2012-06-18 | 박근하 | Aquarium with filtering function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85310A (en) * | 1993-04-05 | 1994-10-11 | Mizuki Ono | Filter for breeding aquarium |
JPH09107846A (en) * | 1995-10-13 | 1997-04-28 | Nitsusoo:Kk | Filter for water tank |
-
2018
- 2018-05-04 KR KR1020180051882A patent/KR10215451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1056B1 (en) | 2007-10-01 | 2008-01-04 | 강동완 | Debris Removal Device for Aquariums |
KR101156799B1 (en) | 2012-01-09 | 2012-06-18 | 박근하 | Aquarium with filtering functio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81340B1 (en) * | 2020-12-21 | 2022-04-01 | 김두곤 | Filtration Device for Fishtank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7353A (en) | 2019-11-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54518B1 (en) | Filtration Device for Aquarium | |
KR101861284B1 (en) | Filtering Device for Aquarium | |
KR101348586B1 (en) | Floater skimmer | |
CN214528342U (en) | Float-type aeration stirrer | |
KR20210023449A (en) | Filtration Device for Small Size fishtank | |
KR102608176B1 (en) | Filtration Device for Fishtank | |
KR200449925Y1 (en) | Seat type separable water filter | |
CN218451927U (en) | Sewage filtering treatment device | |
CN210636541U (en) | duct | |
CN210751517U (en) | Filter machine | |
CN212700768U (en) | Semi-submersible type diaphragm air-suction-preventing filtering device | |
JP3119087U (en) | Aquarium purification equipment | |
JP2005188490A (en) | Sand pump | |
JPH08108198A (en) | Purification float fountain | |
KR20160028293A (en) | Air washer | |
JP2006280314A (en) | Shape of water tank for aquarium fish and filtering method | |
JP3738277B2 (en) | Self-cleaning strainer and aeration apparatus using self-cleaning strainer | |
KR102683427B1 (en) | Filter device for aquarium | |
CN112674685A (en) | Filtration system and dish washer | |
US20250214005A1 (en) | Water pump and filter assembly for water pump | |
WO2014180481A1 (en) | A biological purific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cleaning individual filtering elements | |
CN213587203U (en) | Multidirectional water circulation oblique flow side hanging type aquarium purifying device | |
CN219549149U (en) | Updraught bottom suction dual-mode anti-blocking pond water pump | |
JPH10337131A (en) | Fish-farming installation | |
KR20090006390A (en) | Countertop water treatment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8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009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9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