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54251B1 -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251B1
KR102154251B1 KR1020160131429A KR20160131429A KR102154251B1 KR 102154251 B1 KR102154251 B1 KR 102154251B1 KR 1020160131429 A KR1020160131429 A KR 1020160131429A KR 20160131429 A KR20160131429 A KR 20160131429A KR 102154251 B1 KR102154251 B1 KR 102154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witching
voltage
power supply
co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9966A (ko
Inventor
나원산
박진표
최중현
한철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to KR1020160131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251B1/ko
Priority to PCT/KR2017/011199 priority patent/WO2018070779A1/ko
Priority to US16/340,335 priority patent/US10958102B2/en
Priority to CN201780068414.XA priority patent/CN109937515B/zh
Publication of KR20180039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25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1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H01F38/32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1Energy harvesting or scaven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 H01F2027/408Association with diode or rectifi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9/00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 H01F29/02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with tappings on coil or winding; with provision for rearrangement or interconnection of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c-Dc Converters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변류기 코어에 서로 다른 권선 수를 갖는 복수의 코일을 권선하고 변류기에서 유도되는 전압을 근거로 적어도 하나의 코일이 정류부와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하여 기준을 벗어나는 전압이 유도되는 상태에서도 설정 범위 이내의 전력을 생산하도록 한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를 제시한다. 제시된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복수의 단위 코일을 구비한 변류기에서 유도되는 전압을 감지하는 센싱부, 변류기에서 유도된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 및 초기 구동시 설정시간 동안 복수의 단위 코일 중 가장 낮은 권선수를 갖는 단위 코일이 정류부와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하고, 초기 구동 후 설정시간이 지나면 센싱부에 감지한 전압을 근거로 복수의 단위 코일 중 적어도 하나가 정류부와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ELECTROMAGNETIC INDUCTIVE POWE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로와 변류기 간의 자기유도 현상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여 부하로 전원을 공급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기유도 현상을 이용한 전원 공급 방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자기유도 방식의 전원 공급 장치는 송전선로, 배전 선로 등과 같이 대용량 전류가 흐르는 전력선에 설치되는 변류기를 포함한다. 자기유도 방식 전원 공급 장치는 변류기에서 자기유도 현상을 통해 취득한 전력을 직류로 변환하여 부하로 공급한다.
종래의 자기유도 방식의 전원 공급 장치(이하,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단일 변류기에서 생산할 수 있는 전력량이 낮기 때문에 선로에 낮은 전류가 흐르는 경우 요구되는 전력(즉, 소비전력)을 생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복수의 변류기를 이용한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가 개발되었다. 종래의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복수의 변류기에서 생산한 교류 전류를 직류 전력으로 변환한 후 이를 합산하여 부하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종래의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복수의 변류기와 일 대 일로 연결되는 복수의 컨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종래의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변류기에서 생산한 교류 전류를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손실(Loss)이 발생하여, 전력 취득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변류기별로 컨버터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실장 부품 수량이 증가하여 설치 비용 및 유지 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선로에 낮은 전류가 흐르는 경우 변류기에 유도되는 기준 이하의 전류가 유도되어 직류 전력을 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실에 의해 필요한 전력(전원)을 생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초기 동작시 발생하는 높은 전압을 갖는 유입 전압(Inrush Voltage)에 의해 부품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44371호(명칭: 전자기 유도 방식 전원 공급 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변류기 코어에 서로 다른 권선 수를 갖는 복수의 코일을 권선하고 변류기에서 유도되는 전압을 근거로 적어도 하나의 코일이 정류부와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하여 기준을 벗어나는 전압이 유도되는 상태에서도 설정 범위 이내의 전력을 생산하도록 한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초기 구동시 설정시간 동안 가장 낮은 권선 수를 갖는 단위 코일이 정류부와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하여 초기 구동시 과도한 유입 전압에 의한 부품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전력선에 설치되어 전압을 유도하고, 복수의 단위 코일을 구비한 변류기, 변류기에서 유도되는 전압을 감지하는 센싱부, 변류기에서 유도된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 및 초기 구동시 설정시간 동안 복수의 단위 코일 중 가장 낮은 권선수를 갖는 단위 코일이 정류부와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하고, 초기 구동 후 설정시간이 지나면 센싱부에서 감지한 전압을 근거로 복수의 단위 코일 중 적어도 하나가 정류부와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스위칭부는 센싱부에서 감지한 전압이 최소 기준 전압 미만이면 복수의 단위 코일 중 둘 이상이 정류부와 연결되도록 스위칭하고, 센싱부에서 감지한 전압이 최소 기준 전압 이상이고 최대 기준 전압 이하이면 복수의 단위 코일 중 가장 높은 권선수를 갖는 단위 코일이 정류부와 연결되도록 스위칭하고, 센싱부에서 감지한 전압이 최대 기준 전압을 초과하면 복수의 단위 코일 중 가장 낮은 권선수를 갖는 단위 코일이 정류부와 연결되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
이때, 변류기는 서로 다른 권선 수를 갖는 2개 이상의 단위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변류기는 코어에 형성된 제1 단위 코일 및 코어에 형성되고, 제1 단위 코일보다 낮은 권선 수를 갖는 제2 단위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부는 제1 단위 코일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 입력 단자, 제1 단위 코일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입력 단자, 제2 단위 코일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3 입력 단자, 제2 단위 코일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4 입력 단자, 정류부와 연결되는 연결선에 연결된 제1 출력 단자 및 정류부와 연결되는 다른 연결선에 연결된 제2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칭부는 센싱부에서 감지한 전압이 최소 기준 전압 미만이면 제2 입력 단자를 제3 입력 단자로 스위칭하고, 제1 입력 단자를 제1 출력 단자로 스위칭하고 제4 입력 단자를 제2 출력 단자로 스위칭하여 제1 단위 코일 및 제2 단위 코일을 직렬 연결하고, 센싱부에서 감지한 전압이 최소 기준 전압 이상이고 최대 기준 전압 이하이면 제1 입력 단자를 제1 출력 단자로 스위칭하고 제2 입력 단자를 제2 출력 단자로 스위칭하여 제1 단위 코일이 정류부와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하고, 센싱부에서 감지한 전압이 최대 기준 전압을 초과하면 제3 입력 단자를 제1 출력 단자로 스위칭하고 제4 입력 단자를 제2 출력 단자로 스위칭하여 제2 단위 코일이 정류부와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
한편, 스위칭부는 기 구동시 설정시간 동안 제3 입력 단자를 제1 출력 단자로 스위칭하고, 제4 입력 단자를 제2 출력 단자로 스위칭하여 제2 단위 코일이 정류부와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전력선에서 유도된 전압에 따라 서로 다른 권선 수를 갖는 복수의 단위 코일을 중 적어도 하나가 정류부와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함으로써, 전력선의 전류 변화에 따라 전력유도 비율을 조정하여 일정한 전력을 부하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전력선에서 유도된 전압에 따라 서로 다른 권선 수를 갖는 복수의 단위 코일을 중 적어도 하나가 정류부와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함으로써, 기준을 벗어나는 전류(즉, 기준 미만의 전류, 기준 초과의 전류)가 유도되는 상태에서 부하에서 요구되는 범위 이내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전력선에서 유도된 전압이 기준 미만이면 복수의 단위 코일이 정류부와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함으로써, 전력선에서 유도된 전압이 낮은 상태에서도 부하에서 요구되는 범위 이내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전력선에서 유도된 전압이 기준을 초과하면 복수의 단위 코일 중 권선 수가 가장 낮은 단위 코일이 정류부와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함으로써, 전력선에서 유도된 전압이 과도한 상태에서도 부하에서 요구되는 범위 이내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전력선의 전류 변화에도 일정한 전력을 유도함으로써, 정류부의 복잡도 또는 용량을 감소시키므로, 최적 시스템의 구현이 용이하며,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초기 구동시 설정시간 동안 최소 권선 수를 갖는 단위 코일로 스위칭함으로써, 초기 동작시 발생하는 높은 전압의 유입 전압(Inrush Voltage)을 낮춰 유입 전압에 의해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입력 전압을 안정화함으로써, 전압 손실이 감소되어 전원 취득 효율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전력선에서 유도된 전압에 따라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복수의 단위 코일 중 적어도 하나를 직렬 연결함으로써, 정상 동작 구간(즉, 유도된 전압이 최소 기준 전압 이상 최대 기준 전압 이하인 구간)에서 효율적인 에너지 컨트롤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센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내지 도 6은 도 1의 스위칭부를 설명하기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100)는 변류기(110), 센싱부(120), 스위칭부(130) 및 정류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변류기(110)는 대용량 전류가 흐르는 전력선(200)에 설치되어, 전력선(200)에 흐르는 대용량 전류로부터 전압(또는 전류, 전력)를 유도한다. 변류기(110)는 클램프 타입 등과 같이 전력선(200)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일례로, 변류기(110)는 전력선(200)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그 내부의 코어(112)를 2 분할하여 상부 코어 및 하부 코어를 구성한다.
코어(112)에는 복수의 단위 코일(114)이 권선된다. 이때, 복수의 단위 코일(114) 중 적어도 2개의 단위 코일은 서로 다른 권선 수를 갖도록 권선된다.
일례로, 변류기(110)를 코어(112), 코어(112)를 권회하되 서로 다른 권선수를 갖도록 형성된 제1 단위 코일(114a) 및 제2 단위 코일(114b)을 구비한다. 여기서,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100)를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변류기(110)가 제1 단위 코일(114a) 및 제2 단위 코일(114b)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변류기(110)가 3개 이상의 단위 코일(1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코어(112)는 상부 코어 및 하부 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부 코어 및 하부 코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1 단위 코일(114a) 및 제2 단위 코일(114b)이 형성된다.
제1 단위 코일(114a)은 코어(112)를 복수회 권선하는 코일로 구성된다. 이때, 제1 단위 코일(114a)의 표면은 절연물로 코팅될 수 있다.
제2 단위 코일(114b)은 복수회 권선하는 코일로 구성된다. 제2 단위 코일(114b)은 제1 단위 코일(114a)과 다른 위치에 권선되거나, 동일 위치에 중복되어 권선될 수 있다. 이때, 제2 단위 코일(114b)의 표면은 절연물로 코팅될 수 있다.
한편, 제1 단위 코일(114a)과 제2 단위 코일(114b)은 대략 3:1 정도의 권선비를 갖도록 형성된다. 일례로, 제1 단위 코일(114a)이 코어(112)를 150회 권선하는 코일로 구성되는 경우, 제2 단위 코일(114b)은 코어(112)를 50회 권선하는 코일로 구성된다.
이때, 제1 단위 코일(114a) 및 제2 단위 코일(114b)의 양단은 스위칭부(130)에 연결된다.
센싱부(120)는 변류기(110)에서 유도된 전압을 감지한다. 이때, 센싱부(120)는 정류부(140)에 병렬로 연결되어 변류기(110)에 유도된 전압을 감지한다. 센싱부(120)는 감지한 전압을 스위칭부(130)로 전송한다. 여기서, 센싱부(120)는 감지한 전압을 근거로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칭부(1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센싱부(120)가 정류부(140)와 부하(300) 사이에 배치되어 일정한 전압(즉, 부하로 공급되는 전압)을 감지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하지만, 도 1에 도시된 정류부(140)는 변류기(110)에서 유도된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구성이며, 실제 구성에서는 센싱부(120)와 부하(300) 사이에 정류부(140)에서 변환된 직류 전압을 부하에서 요구되는 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미도시)가 배치된다.
따라서, 센싱부(120)에서 감지하는 전압값을 변류기(110)에서 유도된 교류 전압을 정류부(140)에서 변환한 직류 전압의 값을 의미한다.
또 다른 한편, 도 1에서는 센싱부(120)가 정류부(140)와 부하(300) 사이에 배치되어 정류부(140)와 병렬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센싱부(120)가 스위칭부(130)와 정류부(140) 사이에 배치되어 스위칭부를 통해 인가되는 교류 전압(즉, 변류기(110)에서 유도된 전압)의 값을 센싱할 수도 있다.
스위칭부(130)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100)의 초기 구동 여부 및 센싱부(120)에서 감지한 전압을 근거로 복수의 단위 코일(114) 중 적어도 하나가 정류부(140)에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한다.
스위칭부(130)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100)의 초기 구동시 설정시간(예를 들면, 대략 1분 정도) 동안 복수의 단위 코일(114) 중 가장 낮은 권선 수를 갖는 단위 코일(114)이 정류부(140)에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한다.
즉,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100)의 초기 구동시 변류기(110)에서 최대 기준 전압 이상의 전압이 유도되어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100)를 구성하는 소자나, 부하(300)를 구성하는 소자가 파손될 수 있다.
이에, 스위칭부(130)는 초기 구동시 설정시간 동안 복수의 단위 코일(114) 중 가장 낮은 권선 수를 갖는 단위 코일(114)이 정류부(140)에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하여, 최대 기준 전압 이하의 전압이 정류부(140)로 인가되도록 한다. 이때, 스위칭부(130)는 센싱부(120)에서 감지되는 전압이 없거나,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100)의 전원이 꺼지면 가장 낮은 권선 수를 갖는 단위 코일(114)이 정류부(140)에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것을 디폴트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스위칭부(130)는 정류부(140)로 인가되는 전압을 최대 기준 전압 이하로 유지하여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100) 및 부하(300)를 구성하는 소자들의 파손을 방지한다.
스위칭부(130)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100)의 초기 구동 후 설정시간이 지나면 센싱부(120)에 감지한 전압을 근거로 복수의 단위 코일(114) 중 적어도 하나가 정류부(140)와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한다.
이때, 스위칭부(130)는 센싱부(120)에서 감지한 전압이 최소 기준 전압 미만이면 복수의 단위 코일(114)이 정류부(140)에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하여, 변류기(110)에서 유도된 모든 전압을 정류부(140)로 인가한다. 여기서, 스위칭부(130)는 복수의 단위 코일(114) 중 일부(즉, 둘 이상)의 단위 코일(114)이 정류부(140)에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하여 최소 기준 전압 이상의 전압이 정류부(140)로 인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스위칭부(130)는 센싱부(120)에서 감지한 전압이 최소 기준 전압 이상이고 최대 기준 전압 이하이면 복수의 단위 코일(114) 중 가장 높은 권선수를 갖는 단위 코일(114)이 정류부(140)와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하여, 가장 높은 권선 수의 단위 코일(114)에서 유도된 전압을 정류부(140)로 인가한다.
스위칭부(130)는 센싱부(120)에서 감지한 전압이 최대 기준 전압을 초과하면 복수의 단위 코일(114) 중 가장 낮은 권선수를 갖는 단위 코일(114)이 정류부(140)와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하여, 가장 낮은 권선수의 단일 코일에서 유도된 전압을 정류부(140)로 인가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류기(110)가 코어(112)에 상호 이격되어 권선된 제1 단위 코일(114a) 및 제2 단위 코일(114b)로 구성되고, 제1 단위 코일(114a)이 제2 단위 코일(114b) 보다 높은 권선 수를 갖는 경우를 예로 들면, 스위칭부(130)는 제1 단위 코일(114a) 및 제2 단위 코일(114b)에 연결된 복수의 입력 단자(132a~132d)와 정류부(140)에 연결된 한 쌍의 출력 단자(134a, 134b) 및 복수의 전환 스위치(136a~136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스위칭부(130)는 제1 단위 코일(114a)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1 입력 단자(132a), 제1 단위 코일(114a)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2 입력 단자(132b), 제2 단위 코일(114b)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3 입력 단자(132c) 및 제2 단위 코일(114b)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4 입력 단자(132d)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부(130)는 정류부(140)와 연결되는 두 연결선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출력 단자(134a) 및 제2 출력 단자(134b)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부(130)는 제1 출력 단자(134a)를 제1 입력 단자(132a) 또는 제3 입력 단자(132c)로 스위칭하는 제1 전환 스위치(136a), 제2 출력 단자(134b)를 제2 입력 단자(132b) 또는 제4 입력 단자(132d)로 스위칭하는 제2 전환 스위치(136b), 제2 입력 단자(132b) 및 제2 입력 단자(132b)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제3 전환 스위치(136c)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부(130)는 변류기(110)에 유도되는 전압 또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100)의 초기 구동 여부를 근거로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의 연결을 스위칭하여 변류기(110)의 제1 단위 코일(114a) 및 제2 단위 코일(114b) 중 적어도 하나를 정류부(140)에 직렬 연결한다.
변류기(110)에 유도되는 전압이 최소 기준 전압 미만이면 부하(300)에서 요구하는 전압 미만의 전압이 인가되므로, 제1 단위 코일(114a) 및 제2 단위 코일(114b)에 유도되는 전압을 모두 정류부(140)로 인가되도록 해야 한다.
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부(130)는 제3 전환 스위치(136c)를 스위칭하여 제1 단위 코일(114a) 및 제2 단위 코일(114b)을 직렬 연결하고, 제1 전환 스위치(136a)가 제1 입력 단자(132a)와 제1 출력 단자(134a)에 연결되도록 스위칭하고, 제2 전환 스위치(136b)가 제4 입력 단자(132d)와 제2 출력 단자(134b)에 연결되도록 스위칭하여 제1 단위 코일(114a) 및 제2 단위 코일(114b)이 정류부(140)에 직렬 연결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제1 단위 코일(114a) 및 제2 단위 코일(114b)이 직렬 연결되어 구성되는 코일에서 유도되는 전압이 정류부(140)에 인가된다.
한편, 변류기(110)에 유도되는 전압이 최소 기준 전압 이상 최대 기준 전압 이하이면 부하(300)에서 요구하는 전압 범위 내의 전압이 정류부(140)에 인가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부(130)는 제1 전환 스위치(136a)가 제1 입력 단자(132a)와 제1 출력 단자(134a)에 연결되도록 스위칭하고, 제2 전환 스위치(136b)가 제2 입력 단자(132b)와 제2 출력 단자(134b)에 연결되도록 스위칭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권선 수를 갖는 제1 단위 코일(114a)에서 유도되는 전압을 정류부(140)로 인가하도록 한다.
또 다른 한편, 변류기(110)에서 유도되는 전압이 최대 기준 전압을 초과하면 정류부(140)를 구성하는 소자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부(130)는 제1 전환 스위치(136a)가 제3 입력 단자(132c)와 제1 출력 단자(134a)에 연결되도록 스위칭하고, 제2 전환 스위치(136b)가 제4 입력 단자(132d)와 제2 출력 단자(134b)에 연결되도록 스위칭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권선 수를 갖는 제2 단위 코일(114b)에서 유도되는 전압을 정류부(140)로 인가하도록 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100)의 초기 구동시 최대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 유입 전압(Inrush Voltage)이 인가되면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100) 또는 부하(300)를 구성하는 소자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칭부(130)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100)의 초기 구동시 설정시간 동안 제1 전환 스위치(136a)가 제3 입력 단자(132c)와 제1 출력 단자(134a)에 연결되도록 스위칭하고, 제2 전환 스위치(136b)가 제4 입력 단자(132d)와 제2 출력 단자(134b)에 연결되도록 스위칭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권선 수를 갖는 제2 단위 코일(114b)에서 유도되는 전압을 정류부(140)로 인가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스위칭부(130)는 변류기(110)에 유도되는 전압과 관계없이 정류부(140)로 설정 범위 내의 전압을 인가하여 소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정류부(140)는 연결선들을 통해 스위칭부(13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정류하여 직류로 변환하여 부하(300)로 공급한다. 정류부(140)는 복수의 다이오드로 구성된 전파(全波) 정류회로 또는 반파(半波) 정류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정류부(140)는 스위칭부(130)의 스위칭 구동에 따라 제1 단위 코일(114a) 및 제2 단위 코일(114b) 중 적어도 하나에서 유도된 전압을 직류로 변환하여 부하(300)로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전력선에서 유도된 전압에 따라 서로 다른 권선 수를 갖는 복수의 단위 코일을 중 적어도 하나가 정류부와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함으로써, 전력선의 전류 변화에 따라 전력유도 비율을 조정하여 일정한 전력을 부하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전력선에서 유도된 전압에 따라 서로 다른 권선 수를 갖는 복수의 단위 코일을 중 적어도 하나가 정류부와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함으로써, 기준을 벗어나는 전류(즉, 기준 미만의 전류, 기준 초과의 전류)가 유도되는 상태에서 부하에서 요구되는 범위 이내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전력선에서 유도된 전압이 기준 미만이면 복수의 단위 코일이 정류부와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함으로써, 전력선에서 유도된 전압이 낮은 상태에서도 부하에서 요구되는 범위 이내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전력선에서 유도된 전압이 기준을 초과하면 복수의 단위 코일 중 권선 수가 가장 낮은 단위 코일이 정류부와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함으로써, 전력선에서 유도된 전압이 과도한 상태에서도 부하에서 요구되는 범위 이내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전력선의 전류 변화에도 일정한 전력을 유도함으로써, 정류부의 복잡도 또는 용량을 감소시키므로, 최적 시스템의 구현이 용이하며,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초기 구동시 설정시간 동안 최소 권선 수를 갖는 단위 코일로 스위칭함으로써, 초기 동작시 발생하는 높은 전압의 유입 전압(Inrush Voltage)을 낮춰 유입 전압에 의해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입력 전압을 안정화함으로써, 전압 손실이 감소되어 전원 취득 효율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전력선에서 유도된 전압에 따라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복수의 단위 코일 중 적어도 하나를 직렬 연결함으로써, 정상 동작 구간(즉, 유도된 전압이 최소 기준 전압 이상 최대 기준 전압 이하인 구간)에서 효율적인 에너지 컨트롤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 110: 변류기
112: 코어 114: 단위 코일
114a: 제1 단위 코일 114b: 제2 단위 코일
120: 센싱부 122: 제1 센싱 모듈
124: 제2 센싱 모듈 130: 스위칭부
132: 입력 단자 134: 제1 출력 단자
136: 전환 스위치 140: 정류부
200: 전력선 300: 부하

Claims (11)

  1. 전력선에 설치되어 전압을 유도하고, 서로 다른 권선 수를 갖는 2개 이상의 단위 코일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 코일을 구비한 변류기;
    상기 변류기에서 유도되는 전압을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변류기에서 유도된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 및
    초기 구동시 설정시간 동안 상기 복수의 단위 코일 중 가장 낮은 권선수를 갖는 단위 코일이 상기 정류부와 연결되도록 스위칭하고, 초기 구동 후 설정시간이 지나면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한 전압을 근거로 상기 복수의 단위 코일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정류부와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한 전압이 최소 기준 전압 미만이면 상기 복수의 단위 코일 중 둘 이상이 상기 정류부와 연결되도록 스위칭할 수 있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한 전압이 최소 기준 전압 이상이고 최대 기준 전압 이하이면 상기 복수의 단위 코일 중 가장 높은 권선수를 갖는 단위 코일이 상기 정류부와 연결되도록 스위칭할 수 있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한 전압이 최대 기준 전압을 초과하면 상기 복수의 단위 코일 중 가장 낮은 권선수를 갖는 단위 코일이 상기 정류부와 연결되도록 스위칭할 수 있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류기는,
    코어에 형성된 제1 단위 코일; 및
    상기 코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단위 코일보다 낮은 권선 수를 갖는 제2 단위 코일을 포함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1 단위 코일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 입력 단자;
    상기 제1 단위 코일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입력 단자;
    상기 제2 단위 코일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3 입력 단자;
    상기 제2 단위 코일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4 입력 단자;
    정류부와 연결되는 연결선에 연결된 제1 출력 단자; 및
    정류부와 연결되는 다른 연결선에 연결된 제2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한 전압이 최소 기준 전압 미만이면 상기 제2 입력 단자를 상기 제3 입력 단자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1 입력 단자를 상기 제1 출력 단자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4 입력 단자를 제2 출력 단자로 스위칭하여 상기 제1 단위 코일 및 제2 단위 코일을 직렬 연결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한 전압이 최소 기준 전압 이상이고 최대 기준 전압 이하이면 상기 제1 입력 단자를 상기 제1 출력 단자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2 입력 단자를 상기 제2 출력 단자로 스위칭하여 상기 제1 단위 코일이 상기 정류부와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한 전압이 최대 기준 전압을 초과하면 상기 제3 입력 단자를 상기 제1 출력 단자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4 입력 단자를 상기 제2 출력 단자로 스위칭하여 상기 제2 단위 코일이 상기 정류부와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초기 구동시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3 입력 단자를 상기 제1 출력 단자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4 입력 단자를 상기 제2 출력 단자로 스위칭하여 상기 제2 단위 코일이 상기 정류부와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
KR1020160131429A 2016-10-11 2016-10-11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 Active KR102154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429A KR102154251B1 (ko) 2016-10-11 2016-10-11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
PCT/KR2017/011199 WO2018070779A1 (ko) 2016-10-11 2017-10-11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
US16/340,335 US10958102B2 (en) 2016-10-11 2017-10-11 Electromagnetic-inductive power supply apparatus
CN201780068414.XA CN109937515B (zh) 2016-10-11 2017-10-11 电磁感应供电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429A KR102154251B1 (ko) 2016-10-11 2016-10-11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966A KR20180039966A (ko) 2018-04-19
KR102154251B1 true KR102154251B1 (ko) 2020-09-09

Family

ID=61906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429A Active KR102154251B1 (ko) 2016-10-11 2016-10-11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58102B2 (ko)
KR (1) KR102154251B1 (ko)
CN (1) CN109937515B (ko)
WO (1) WO20180707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721B1 (ko) * 2016-10-19 2019-10-10 주식회사 아모센스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
KR102132903B1 (ko) * 2018-11-05 2020-07-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력선 에너지 하베스팅용 자기장 결합 장치
KR102369617B1 (ko) * 2020-01-02 2022-03-03 주식회사 폰 지중 송배전 선로에 설치가 용이하고 방수/방진 기능이 개선된 고출력 전원 공급장치용 전원용 변류기
US11791648B2 (en) * 2021-05-28 2023-10-17 Deltran Operations Usa, Inc. Automated battery charging
KR102814280B1 (ko) * 2023-01-12 2025-06-02 한국과학기술원 전력선 전류의 크기에 따라 2차 측 권선수를 조정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CN117060601B (zh) * 2023-10-12 2024-02-20 南方电网数字电网研究院股份有限公司 一种电磁感应取能装置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2116B1 (ko) * 1993-02-22 1998-12-15 마크 버게스 유도 접속의 보호장치
FR2706699B1 (fr) * 1993-06-10 1995-09-15 Gec Alsthom T & D Sa Dispositif pour la fourniture d'une tension à un circuit électronique, en particulier à un circuit électronique associé à un capteur d'intensité placé sur une ligne électrique.
KR100501486B1 (ko) * 2004-09-02 2005-07-25 (주)에이엔피테크놀러지 순시 탭 전환 방식의 자동 전압 조절기
CN100576711C (zh) * 2007-03-29 2009-12-30 雅米科技股份有限公司 感应电力系统
KR20100090009A (ko) * 2009-02-05 2010-08-1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류 유도 방식 기반의 전원 공급 장치
KR101029157B1 (ko) * 2009-07-02 2011-04-13 금종관 자동 전압 조절 장치
KR101391487B1 (ko) * 2010-04-30 2014-05-07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수전 장치 및 수전 방법
KR101189298B1 (ko) * 2011-07-27 2012-10-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공진 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
CN102437657A (zh) * 2011-12-23 2012-05-02 重庆大学 多线圈的电线能量采集器
KR101342585B1 (ko) * 2012-03-23 2013-12-17 유노시스템 주식회사 무접점 충전 시스템의 다층 코일 구조
CN103001334B (zh) * 2012-11-14 2016-06-08 广东电网公司佛山供电局 一种悬浮取电装置
KR101444371B1 (ko) * 2013-01-18 2014-09-24 (주)테라에너지시스템 전자기 유도 방식 전원 공급 장치
CN106471707B (zh) * 2014-05-15 2018-04-03 日产自动车株式会社 非接触供电装置
US20170237340A1 (en) * 2014-10-20 2017-08-17 Momentum Dynami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insic power factor correction
CN105119388B (zh) * 2015-09-01 2018-03-27 国网新疆电力公司经济技术研究院 宽电流范围工作的电流互感取能电源
KR20180016311A (ko) * 2016-08-05 2018-02-14 주식회사 아모센스 변류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KR102030721B1 (ko) * 2016-10-19 2019-10-10 주식회사 아모센스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37515B (zh) 2022-12-27
KR20180039966A (ko) 2018-04-19
US10958102B2 (en) 2021-03-23
US20200044483A1 (en) 2020-02-06
WO2018070779A1 (ko) 2018-04-19
CN109937515A (zh) 201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4251B1 (ko)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
US9130388B2 (en) Contactless electricity-supplying device
US10923951B2 (en) Magnetic induction power supply device
US20200153354A1 (en) Controlling voltage in ac power lines
US20160012953A1 (en) Modular transformer system
US20130021126A1 (en) Transformer
US20120243268A1 (en) Transformer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Transformers
JP7181650B2 (ja) 電磁誘導電源供給装置
CN102611079B (zh) 隔离式功率转换器的短路保护系统及方法
CN113193664B (zh) 自适应感应取电装置
JP5923341B2 (ja) 電圧調整装置
CN100397764C (zh) 电压变换器
TWI398086B (zh) 電源裝置和變壓裝置
KR20180062586A (ko) 변압기
US10249430B2 (en) Transformer and switched-mode power supply apparatus
KR101705062B1 (ko)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
CN106330156B (zh) 一种隔离式射频开关
JP5372597B2 (ja) 低圧電力契約用遮断器
KR20190037699A (ko) 고전압 전원공급장치
SE1100309A1 (sv) Transformer arrangement for high voltage applications
JP6320145B2 (ja) 電力変換装置および電力変換方法
JP2008271658A (ja) 無接触給電設備の2次側受電回路
CN110890794A (zh) 一种电源复合取能电路及静止同步串联补偿装置
JP2013027111A (ja) 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0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0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9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2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5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9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9101003544

Request date: 2019102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354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1025

Effective date: 20200730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200730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91025

Decision date: 20200730

Appeal identifier: 2019101003544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5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31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9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