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53754B1 - Research matreial dealing system - Google Patents

Research matreial deal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754B1
KR102153754B1 KR1020120151399A KR20120151399A KR102153754B1 KR 102153754 B1 KR102153754 B1 KR 102153754B1 KR 1020120151399 A KR1020120151399 A KR 1020120151399A KR 20120151399 A KR20120151399 A KR 20120151399A KR 102153754 B1 KR102153754 B1 KR 102153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sub
ap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13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87076A (en
Inventor
주정훈
주현정
Original Assignee
주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훈 filed Critical 주정훈
Priority to KR1020120151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754B1/en
Publication of KR20140087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076A/en
Priority to KR1020200110826A priority patent/KR10226072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75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구자들이 학회나 협회에 발표하는 논문, 기고문, 포스터 발표자료들을 만들 때 실험을 통해 부수적으로 도출되는 많은 이미지, 그래프, 테이블, 데이터 셋 등을 웹이나 앱을 통해 거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앱의 경우, 학회 발표장 등에서 오프라인으로 발표자료를 관람할 때, 스마트 폰 앱을 실행시켜 발표자료를 비추면, 발표자료에 딸린 부수적인 자료들이 증강현실과 같은 형태로 스마트 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게 하여, 이들 중 원하는 것을 구매할 수 있게 하였다.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researchers to transact many images, graphs, tables, data sets, etc., which are incidental through experiments when creating papers, contributions, and poster presentations to be presented to conferences or associations through web or app. , In the case of the app, when viewing the presentation material offline at the conference hall, etc., when the presentation material is displayed by running the smart phone app, ancillary materials accompanying the presentation material are displayed on the smartphone screen in the form of augmented reality, It made it possible to purchase any of these.

Description

연구결과 자료 거래 시스템{RESEARCH MATREIAL DEALING SYSTEM}Research result data transaction system {RESEARCH MATREIAL DEALING SYSTEM}

본 발명은 연구과정에서 얻어지는 실험결과물에 대한 거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학술대회에 참가하는 학생, 연구원, 개발자, 교수 등의 참석자들이 논문, 기고문이나 포스터 형식으로 발표하는 발표자료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그래프, 이미지, 실험 데이터, 테이블 등의 자료를 회원들이 웹사이트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즉석 구매할 수 있게 하는 연구결과 자료 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action system for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in a research process, and in more detail, presentation materials presented in the form of papers, contributions or posters by participants such as students, researchers, developers, and professors participating in academic conferences. It relates to a research result data transaction system that enables members to instantly purchase data such as various graphs, images, experimental data, tables, etc. included in the website or smartphone application.

이공계 연구종사자들은 평소 많은 시간을 들여 실험을 수행하고 연구하며, 논문이나 기고문 또는 포스터 발표자료들을 만들어 낸다. 이들의 실험 자료는 사실상 방대하나, 실제 논문이나 기고문에 수록되거나 포스터 발표자료에 게재되는 자료는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이공계 종사자들의 연구 결과가 빛을 보게 되는 루트 역시 논문이나 특허 등에 한정되고 있으며, 전자는 명예 위주의 보상, 후자는 라이센싱이 될 경우에 한해 물질적인 보상이 이루어질 뿐, 그들의 방대한 연구결과물 대부분은 사장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이공계 종사자들이 들이는 노력에 비해 보상이 적절하지 않다는 문제점과도 궤를 같이하며, 사장되는 많은 연구결과물들의 효용가치 또한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공계 종사자들의 확보는 지속적으로 필요한데 비해 이공계 기피현상은 날로 심화되고 있어, 좀 더 용이한 방법으로 연구노력의 보상 수단이 필요하다고 본다. Researchers in science and engineering usually spend a lot of time conducting experiments and researching, and producing papers, articles, or poster presentations. Their experimental data are in fact vast, but only a few are included in actual papers or contributions or published in poster presentations. The route through which the research results of science and engineering practitioners can see the light is also limited to thesis and patents, and the former is honor-based compensation, the latter is only subject to licensing, and only material compensation is made, and most of their vast research results are obsolete. have. This reality is in line with the problem that the compensation is not appropriate compared to the efforts made by science and engineering workers, and the utility value of many of the research results that are dead is bound to be limited. While securing of workers in science and engineering is constantly necessary, the avoidance of science and engineering is intensifying day by day, so it seems that a means of compensating for research efforts in a more easy way is necessary.

또한, 상기와 같이 사장되는 연구 결과물들의 경우, 고가의 연구 장비를 가동하여 도출된 것이라는 점에서는 논문 등을 통해 드러나는 자료들과 동일한 것이며, 단지, 해당 시점의 해당 목적에 비추어 최상의 자료가 아니라는 것일 뿐 여전히 연구자들에게는 유용할 수 있는 자료들이다. 유용성이 있는 자료들의 사장은 실질상 연구에 대한 중복 투자를 낳고 있으며, 연구를 하고자 하는 자는 반드시 필요로 하는 고가의 장비들을 모두 갖추거나 장비를 빌려 처음부터 실험을 하여야 하므로, 노력의 중복은 물론, 설비에 얽매여 연구에는 필연적으로 고가의 설비 투자가 뒷받침되어야만 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있고 현실적으로도 그러하여 소규모 연구소나 개인 연구소는 찾아보기 힘들다. 만일, 연구 결과물을 손쉽게 유료로 거래할 수 있게 된다면, 이공계 종사자들은 논문과 특허 외에 연구성과를 보상받게 되므로 연구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고, 연구비 중복 투자를 해소할 수 있으며, 나아가 소규모나 개인연구소를 설비 투자 부담없이 설립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research results that are obsolete as described above, they are the same as those revealed through thesis in that they were derived by operating expensive research equipment, but only that they are not the best data in view of the purpose at the time. These are still data that can be useful to researchers. The president of useful materials is actually creating overlapping investments in research, and a person who wants to do research must have all the necessary expensive equipment or borrow equipment to conduct an experiment from the beginning. It is recognized that research has to be supported by expensive facility investment inevitably because it is confined to facilities, and in reality, it is difficult to find small or private research institutes. If research results can be easily traded for a fee, science and engineering practitioners will be rewarded for research achievements in addition to thesis and patents, thus inspiring research motivation, eliminating duplicate investments in research funds, and further establishing small or private research centers. It will be possible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establishment without burden of facility investment.

다음은 학회를 일례로 사장되는 연구결과물의 활용문제를 짚어보겠다.The following will take an example of an academic society and examine the problem of using research results.

학회가 개최되면, 많은 R&D 종사자들이 연구하여 온 결과물을 압축하여 만든 발표자료를 프레젠테이션 또는 포스터 게시물로 발표하게 된다. 특히, 포스터 발표는 소정 규격의 폼 보드 상에 실험과정 및/또는 결과를 담은 이미지, 데이터 테이블, 그래프 등이 실리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렇게 게시물로 올라오는 자료보다 훨씬 많은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중 선별된 자료만을 한정된 포스터 발표 공간에 수록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포스터 발표 자료를 열람하다 보면, 게시물이나 게시되지 않았으나 게시자에 의해 열람에 제공되는 자료 중에는 교육용 자료 내지는 연구용 자료로서 유용한 것들, 이를테면, 실험 도중 실패한 자료들(이들은 그 원인 해명의 단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입장비의 파손 사진(장비 업체 광고책자에서는 결코 알 수 없는 정보가 들어 있기 때문이다), 수많은 실험 데이터, 해석을 하지 못한 그래프 등이 그 예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자료에 대하여, 학회 참석자들은 단순 열람만 하고 지나치거나 게시자의 허락 하에 사진 촬영으로 담아 가는 경우가 있으나, 자료를 원하는 대로 자유롭게 수집할 수 없는 실정이다. When the conference is held, many R&D practitioners will present presentation materials created by compressing the research results as a presentation or poster post. In particular, poster presentations generally include images, data tables, graphs, etc. that contain the experimental process and/or results on a foam board of a predetermined standard, and contain much more data than those posted in this post. In most cases, only selected materials are included in the limited poster presentation space. When viewing these poster presentation materials, among the materials that have not been posted or posted but are provided for reading by the publisher, those that are useful as educational materials or research materials, such as materials that failed during the experiment (these can be clues to explain the cause). For example), pictures of damage to the purchased equipment (because it contains information that is never known in the equipment manufacturer's advertisement booklet), numerous experimental data, and graphs that have not been interpreted. For such materials, attendees of the conference may simply browse and overlook them, or take pictures with the permission of the publisher, but they cannot freely collect the data as they wish.

한편, 학술 발표 참석을 준비하는 학생이나 연구자들은 실험을 반복하여 수많은 데이터를 생산하지만 학술대회에서 직접 발표되는 자료는 매우 한정적이기 때문에 사장되는 자료들에 대해 노고에 대한 아쉬움이 남을 수밖에 없다. On the other hand, students and researchers preparing to attend an academic presentation repeat experiments to produce a lot of data, but the data presented directly at the academic conference is very limited, so there is no choice but to leave a regret for the hard work of the dead data.

또한, 포스터 발표의 경우, 폼 보드의 크기에 맞추어 대형 용지에 컬러 프린터로 출력하여 포스터를 게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르는 출력비용이 상당히 고가이나, 발표 종료 후 출력물은 모두 철거되며, 폼 보드도 함께 철거되어 자원의 낭비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poster presentation, the poster is printed out on a large-size pap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oam board by a color printer, and the printing cost is quite high, but after the presentation is finished, all prints are removed, and the foam board is also removed. There is also a problem of wasting resources.

본 발명과 관련된 분야의 선행기술로서는 대한민국특허출원제10-2007-0054371호가 있으나, 이는 사장되는 연구자료 자체의 거래에 대한 것은 아니고 인터넷상의 포괄적인 지식정보의 거래에 관한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 As a prior art in the field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7-0054371, but it does not refer to the transaction of the research data itself to be obsolete, but describes the technology for the transaction of comprehensive knowledge information on the Interne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공계 종사자들의 연구결과물을 거래할 수 있도록 연구결과물의 거래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특히, 학술대회 참석자들로 하여금 발표자료들을 공식적으로 거래할 수 있도록 자료 거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고자 하는 것이며, 특히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손 쉽게 자료를 구매할 수 있게 한 자료 거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action system for research results so that researchers in science and engineering can trade research results, and in particular, to provide a data transaction system for participants to officially trade presentation materials. In particular, it is to provide a data transaction system that enables users to easily purchase data using a smartphone application.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학술대회 포스터 발표를 기존의 폼 보드에 컬러 프린터로 출력한 종이를 게시하는 것을 개선하여 LCD 패널을 이용하여 발표물을 게시하도록 하고, 이 경우도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연구자료를 거래할 수 있도록 자료 거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posting of a paper printed out by a color printer on an existing foam board for a conference poster presentation so that the presentation can be posted using an LCD panel. It is intended to provide a data trading system so that research data can be traded.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연구자들이 학회나 협회에 발표하는 논문, 기고문, 포스터 발표자료들을 만들 때 실험을 통해 부수적으로 도출되는 많은 이미지, 그래프, 테이블, 데이터 셋 등을 웹이나 앱을 통해 거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앱의 경우, 학회 발표장 등에서 오프라인으로 발표자료를 관람할 때, 스마트 폰 앱을 실행시켜 발표자료를 비추면, 발표자료에 딸린 부수적인 자료들이 증강현실과 같은 형태로 스마트 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게 하여, 이들 중 원하는 것을 구매할 수 있게 하였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researchers to trade many images, graphs, tables, data sets, etc., which are incidental through experiments, when making papers, contributions, and poster presentations to be presented to conferences or associations. In the case of the app, when viewing the presentation material offline at the conference hall, etc., when the presentation material is displayed by running the smart phone app, additional data accompanying the presentation material are displayed on the smartphone screen in the form of augmented reality. Thus, it was possible to purchase any of these.

즉, 회원제 웹 사이트 서버; 및That is, the membership website server; And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고,Including; a mobile terminal;

상기 웹 사이트 서버에, On the website server,

회원들의 인적사항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단계;Build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members into a database;

회원들의 논문, 기고문, 또는 발표자료와 같은 기본 자료에 메인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상기 메인식별코드가 표시된 기본 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단계;Assigning a main identification code to basic data such as thesis, contributions, or presentations of members, and constructing the basic data on which the main identification code is displayed as a database;

상기 메인 식별코드가 표시된 기본자료에 수록된, 이미지, 테이블, 그래프 이외에 해당 기본 자료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도출된 또 다른 이미지, 테이블, 그래프 또는 데이터 셋을 포함한 부수적인 연구 결과자료에 각각의 메인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서브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서브 식별코드가 표시된 연구 결과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단계; 및In addition to images, tables, and graphs contained in the basic data on which the main identification code is displayed, each main identification code is included in additional research results including another image, table, graph, or data set derived from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basic data. Assigning a sub-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sub-identification code to construct a database of research result data on which the sub-identification code is displayed; And

웹 사이트상에 접속자들이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앱을 서버에 설치하여 웹 사이트에 표시하여, 접속자들이 휴대단말기에 상기 앱을 설치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Including; installing an app that visitors can download on the website on a server and displaying it on the website, so that the visitor can install the app on a mobile terminal; and

상기 앱은, 학회와 같은 오프라인에서 전시된 상기 메인 식별코드가 부여된 기본 자료를 휴대단말기의 영상 인식 모듈을 실행시켜 조준하면, 해당 메인 식별코드에 연관된 서브 식별코드가 부여된 부수적인 자료들을 상기 휴대단말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The app, when aiming at the basic data with the main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ffline, such as an academic conference, by executing the image recognition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recalls ancillary data with a sub identification code related to the main identification code. Display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앱을 실행시킨 휴대 단말기 소지자가 원할 경우, 상기 메인 식별코드가 부여된 기본 자료 또는 이에 연관된 서브 식별코드가 부여된 부수적인 자료를 상기 웹사이트 서버로부터 전송 요청하여, If the holder of the mobile terminal running the app wishes, transmits the basic data to which the main identification code has been assigned or the sub-identification code associated therewith from the website server,

상기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웹 사이트 서버로부터 휴대 단말기 소지자의 이메일 주소, 홈페이지, 블로그 또는 휴대전화번호 메시지로 해당 자료를 전송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결과자료 거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response to the transmission request, a research result data transaction system may be provided, wherein the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web site server to an e-mail address, a homepage, a blog, or a mobile phone number message of the mobile terminal hold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있어서, 오프라인에서 전시된 상기 메인 식별코드가 부여된 기본 자료는 포스터 발표용 LCD 패널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회 발표 자료 거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ference presentation material transa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ic material to which the main identification code exhibited offline is displayed through an LCD panel for poster presenta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있어서, 상기 메인 식별코드와 서브 식별코드는 각각, DOI(Digital Object Identifier), QR 코드, 컬러코드, 또는 바코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결과 자료 거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 the main identification code and the sub identification code, respectively, a research result data transa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y one of DOI (Digital Object Identifier), QR code, color code, or barcode Can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있어서, 상기 앱은 상기 부수적인 자료들의 서브 식별코드별로 선택 구매할 수 있는 결제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기본 자료 또는 부수적인 자료들을 유료로 거래하게 하고, 상기 결제 모듈은 결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제 수단은,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결제, 신용카드 결제, 연구비 카드 결제, 계좌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회 발표 자료 거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 the app includes a payment module that can selectively purchase for each sub-identification code of the auxiliary data, so that the basic data or auxiliary data are paid for transaction, and the payment module Including a means, the payment means may provide a conference presentation data transa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ayment using a mobile phone number, credit card payment, research fee card payment, and account transfer.

또한, 본 발명은,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회원 가입 단계를 거쳐 로그인하여 접속할 수 있는 회원제 웹 사이트 서버; A membership web site server that can log in and access through the membership registration step;

상기 회원제 웹 사이트 서버에, To the member-based website server,

회원들의 인적사항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단계;Build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members into a database;

회원들이 올린 논문, 기고문 또는 발표 자료에 메인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메인 식별코드가 부여된 기본 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단계;Assigning a main identification code to thesis, contributions or presentation materials posted by members, and constructing a database of basic data to which the main identification code is assigned;

상기 메인 식별코드가 표시된 기본자료에 수록된, 이미지, 테이블, 그래프 이외에 해당 기본 자료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도출된 또 다른 이미지, 테이블, 그래프 또는 데이터 셋을 포함한 연구 결과자료에 각각의 메인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서브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서브 식별코드가 표시된 연구 결과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단계;Corresponds to each main identification code to research result data including another image, table, graph, or data set derived from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basic data in addition to images, tables, and graphs included in the basic data on which the main identification code is displayed. Assigning a sub-identification code to construct a database of research result data on which the sub-identification code is displayed;

접속자가 특정 메인 식별코드가 부여된 기본 자료를 요청하여 해당 기본자료가 디스플레이되며, 이와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서브 식별코드가 표시된 연구 결과자료를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및A step of a visitor requesting basic data to which a specific main identification code is assigned,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basic data, and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displaying the research result data on which the sub identification code is displayed; And

상기 접속자의 선택에 따라 서브 식별코드가 표시된 연구 결과자료를 상기 접속자에게 다운로드 하여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 결과자료 거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search result data transaction system comprising: downloading to the visitor the research result data on which the sub-identification code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visitor.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있어서, 상기 메인 식별코드와 서브 식별코드는 DOI(Digital Object Identifier), QR코드, 컬러코드, 바코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 결과자료 거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 the main identification code and the sub identification code can provide a research result data transa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DOI (Digital Object Identifier), QR code, color code, barcode have.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있어서, 서브 식별코드가 표시된 연구 결과자료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는 상기 접속자가 서브 식별코드가 표시된 연구 결과자료의 디스플레이를 요청한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 결과자료 거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 in the case of sequentially displaying the research result data marked with the sub-identification code, the visitor requests the display of the study result data with the sub-identifying code displayed. System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있어서, 상기 서브 식별코드가 표시된 연구 결과자료를 상기 접속자에게 다운로드 하여 주는 단계는 유료로 진행되어 결제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제 단계는 결제 모듈과 결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제 수단은,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결제, 신용카드 결제, 연구비 카드 결제, 계좌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회 발표 자료 거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 the step of downloading the research result data on which the sub-identification code is displayed to the visitor is performed for a fee and further includes a payment step, and the payment step includes a payment module and a payment method. And, the payment means may provide a conference presentation data transa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payment using a mobile phone number, credit card payment, research fee card payment, and account transfer.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 앱을 활용하여 학회 참가자들 간에 풍부한 자료를 공유할 수 있고, 연구도중 생산되는 수많은 자료가 사장되지 않고 유용한 교육자료, 연구자료 또는 인용자료로 활용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ealth of data can be shared among participants of the conference by using a smartphone app, and numerous data produced during research are not obsolete and can be used as useful educational materials, research materials, or citation material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구 종사자들이 학회 참여를 통해 유료로 자료를 거래할 경우, 소정의 댓가를 얻을 수 있어 연구를 더욱 장려할 수 있는 하나의 모티브를 추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where research practitioners trade data for a fee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conference, it is possible to add a motive that can further encourage research because a predetermined price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웹 서버와 휴대 단말기에 필요한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거래 대상이 될 수 있는 그래프와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chemat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required for a web server and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graphs and data that can be a transaction target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학회나 협회 등은 가입 단계를 거쳐 로그인하여 접속할 수 있는 회원제 웹 사이트를 만들고 웹 사이트 서버를 구축한다. 상기 웹 사이트 서버에, 회원들의 성명, 주소, 이메일주소, 휴대전화번호, 블로그 주소, 홈페이지 주소 등의 인터넷 URL을 포함한 인적사항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다. 인적 사항의 기입 대상 항목은 상기와 동일할 필요는 없고 다만, 앱을 실행할 경우, 앱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휴대전화번호는 더욱 중요한 정보로 취급될 수 있다. 대개는 학회나 협회의 경우 기존의 웹 사이트를 구축하고 있으므로, 여기에 필요한 추가정보를 더 입력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First, an academy or an association creates a membership-based web site that can be accessed by logging in through the sign-up step, and establishes a web site server. In the web site server,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Internet URLs such as names, addresses, e-mail addresses, mobile phone numbers, blog addresses, and home page addresses of members are built into a database. The items to be filled in for personal information need not be the same as above, but, when running the app, the mobile phone number to which the app can be downloaded may be treated as more important information. In most cases, conferences and associations are building existing web sites, so you can build a database by entering additional information required here.

회원들은 휴대 단말기를 소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원들이 논문, 기고문, 또는 포스터 발표자료(전체의 이미지 자료일 수 있으나 PPT 등의 문서일 수도 있다)와 같은 기본 자료를 웹 사이트에 올리면, 그 기본 자료에 메인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상기 메인식별코드가 표시된 기본 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다.It is desirable for members to own a mobile terminal, and when members upload basic data such as thesis, contributions, or poster presentation (the whole image may be a document, such as a PPT) on the website, the basic data A main identification code is assigned to and the basic data on which the main identification code is displayed is built into a database.

상기 메인식별코드는 DOI(Digital Object Identifier)로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밖의 QR코드, 컬러코드, 바 코드 등 다양한 것으로 변형할 수 있다. The main identification code is preferably assigned as a digital object identifier (DOI), but it can be modified into a variety of other QR codes, color codes, and bar codes.

상기 메인 식별코드가 표시된 기본자료에는 대개 이미지, 테이블, 그래프 등이 수록되므로, 접속자가 이들을 볼 수 있음은 물론이며, 기본 자료는 대부분, 학회, 협회 세미나 등의 오프라인 모임에서 발표되므로 오프라인에서 볼 수 있다. The basic data marked with the above main identification code usually include images, tables, graphs, etc., so visitors can view them, and most of the basic data are presented at offline meetings such as conferences and association seminars, so they can be viewed offline. have.

그러나, 그외에 해당 기본 자료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도출된 또 다른 이미지, 테이블, 그래프 또는 데이터 셋이 다수 있을 수 있으므로, 이들을 거래 대상으로 할 수 있도록 이러한 부수적인 연구결과 자료들을 웹 사이트에 올리게 하고, 메인식별코드와 연관된 서브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이들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However, since there may be a number of other images, tables, graphs, or data sets derived from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basic data in addition to these, the additional research results data should be posted on the website so that they can be traded. Sub-identification codes related to the main identification code are assigned to build their database.

다음으로, 웹 사이트상에 접속자들이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앱을 서버에 설치하여 웹 사이트에 표시하여, 접속자들이 휴대단말기에 상기 앱을 설치할 수 있게 한다. Next, an app that visitors can download on the website is installed on the server and displayed on the website, so that the visitor can install the app on the mobile terminal.

상기 앱을 설치한 회원은, 학회와 같은 오프라인에서 전시된 상기 메인 식별코드가 부여된 기본 자료를 관람할 때, 앱을 온(ON) 시키면, 휴대단말기의 영상 인식 모듈(카메라 또는 캠코더 등)이 실행되어, 렌즈 부분을 통해 전시된 기본 자료의 메인식별코드가 새겨진 부분을 조준하면, 해당 메인 식별코드에 연관된 서브 식별코드가 부여된 부수적인 자료들이 상기 휴대단말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게 한다. 즉, 오프라인에 직접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부수적인 자료들이 기본자료들이 화면 일부에 동시에 나타나거나 시차를 두고 나타나게 하며, 증강현실과 같은 형태로 영상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다. 이때 이들에 대한 서브식별코드도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When a member who has installed the app, when viewing basic materials with the main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ffline, such as an academic conference, turns on the app, the image recognition module (camera or camcorder, etc.) of the mobile terminal is executed. Thus, when aiming at the portion engraved with the main identification code of the basic data displayed through the lens portion, additional data to which the sub identification code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main identification code is assigned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That is, auxiliary data that are not directly displayed offline may cause basic data to appear simultaneously on a part of the screen or appear at a time difference, and images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ugmented reality. At this time, sub-identification codes for them may also be displayed.

앱을 실행시킨 휴대 단말기 소지자는 본인의 연구에 필요하다거나 좀 다른 방식으로 데이터를 가공하고자 할 경우, 상기 메인 식별코드가 부여된 기본 자료 에 연관된 서브 식별코드가 부여된 부수적인 자료를 앱을 통해 구매할 수 있다. 기본자료의 구매도 동시에 할 수 있음은 물론이나, 본 발명의 목적상 사장되는 부수적 자료의 거래가 주목적이므로, 기본 자료의 구매가 필수적 이지는 않다. If the holder of the mobile terminal running the app is necessary for his or her research or wants to process data in a different way, the sub-identification code related to the basic data to which the main identification code has been assigned is provided through the app. Can be purchased. It is not only possible to purchase the basic data at the same time, but since the main purpose of the transaction of ancillary data that is obsolete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purchase basic data.

즉, 상기 앱에는 상기 웹사이트 서버로부터 디스플레이된 서브식별코드별 자료에 대한 전송 요청 버튼이 있어, 상기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웹 사이트 서버로부터 휴대 단말기 소지자의 이메일 주소, 홈페이지, 블로그 또는 휴대전화번호 메시지로 해당 자료를 전송하여 주게 된다. 전송 URL이나 휴대전화번호 등의 선택 또한 앱에서 선택버튼을 제공하여 가능하게 한다. That is, the app has a transmission request button for the data by sub-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from the website server, and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request, the mobile terminal holder's email address, homepage, blog, or mobile phone number message is sent from the website server. The data will be sent to you. Selection of transmission URL or mobile phone number is also possible by providing a selection button in the app.

연구결과 도출되는 수많은 부수적인 자료들의 사장을 막고 연구자들의 노력을 실질적으로 보상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게, 부수적인 자료들의 거래는 유료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앱은 상기 부수적인 자료들의 서브 식별코드별로 선택 구매할 수 있는 결제 모듈을 포함하며, 결제 모듈에 결제 수단을 포함시킨다. 결제 수단은,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결제, 신용카드 결제, 연구비 카드 결제, 계좌이체, 그외 사이버머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제모듈의 구축은 기존의 방식을 그대로 도입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he president of numerous ancillary data derived from research results and to substantially compensate for the efforts of researchers, it is desirable to pay for the transaction of ancillary data. Accordingly, the app includes a payment module that can selectively purchase for each sub-identification code of the auxiliary data, and includes a payment method in the payment module. Payment means may include payment using a mobile phone number, credit card payment, research fee card payment, account transfer, and other cyber money. In the construction of the payment module, an existing method can be introduced as it is, and since this is obvious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오프라인에서 전시된 상기 메인 식별코드가 부여된 기본 자료는 포스터 발표용 LCD 패널을 통해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발표자료가 전자매체로 입력되고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므로, 자원보존에 유익하다. 이때에도 상술한 메인식별코드와 서브 식별코드를 부여하는 기본자료와 부수적 자료들은 앱을 통해, 거래할 수 있으며, 거래 방식은 상기한 바와 같다. On the other hand, the basic material with the main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ffline can be displayed through an LCD panel for poster presentation. In this case, since the presentation material is input through an electronic medium and displayed on the screen, it is beneficial for resource conservation. . Even at this time, the basic data and auxiliary data that give the above-described main identification code and sub identification code can be traded through the app, and the transaction method is as described above.

부수적인 자료들의 가격은 회원들이 각자 원하는 액수를 기재하여 그 가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해당 자료를 도출하는 데 필요한 장비의 액수, 실험에 할애된 시간 등의 항목을 설정하여 놓고, 일정 구간으로 스케일링하여 놓은 후, 회원들이 이에 대해 기재하면, 최적가를 산출하여 가격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거래 당사자 간 가격 협의를 할 수 있는 일종의 경매 모듈을 구비하여 거래하게 할 수도 있다. The price of ancillary materials can be displayed by listing the amount each member wants, and in some cases, items such as the amount of equipment required to derive the data and the time spent on the experiment are set. After scaling to a certain section, if members write about it, the best price can be calculated and the price can be displayed. It is also possible to make a transaction by having a kind of auction module that allows price negotiations between trading parties.

다음은 본 발명에 따라 실질적으로 구현하는 일 실시예에 대한 설명이다. The following is a description of an embodiment substantially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로, 이에 대한 실제적인 운용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ctual operation thereof is schematically described as follows.

학회 발표장소에서 흔히 설치되는 포스터 발표자료(300)를 관람하던 참석자가 관심 있는 포스터 자료를 발견한 경우, 스마트 폰으로 해당 포스터 자료를 촬영하듯 초점을 맞추면 해당 포스터 자료의 DOI(Digital Object Identifier)가 스마트 폰 화면에 표시된다. 이어서 스마트 폰을 조작하여 해당 DOI의 자료를 다운로드 요청하면, 스마트 폰 소지자의 이메일(email), 홈페이지(homepage), 블로그(blog) 또는 휴대전화번호의 문자수신함으로 자료가 발송되는 것이다. 자료의 발송이 유료인 경우, 스마트 폰으로 결제를 하여야 하고, 결제 수단은 휴대폰 번호로 하여 통신료로 하는 결제, 신용카드 결제, 계좌이체 등으로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신용카드, 특히, 연구비 전용카드를 이용하게 하는 것이다. When a participant who is viewing the poster presentation material 300, which is commonly installed at the conference venue, finds a poster material of interest, if the focus is focused as if shooting the poster material with a smartphone, the DOI (Digital Object Identifier) of the poster material is displayed. It is displayed on the smartphone screen. Subsequently,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smartphone to request the download of the data of the corresponding DOI, the data is sent to the smartphone holder's email, homepage, blog, or text receiving box of the mobile phone number. If the data is sent for a fee, payment must be made with a smart phone, and the payment method can be a payment using a mobile phone number as a communication fee, a credit card payment, an account transfer, etc. Preferably, a credit card, in particular, a research fee It is to use a dedicated card.

이와 같은 학회 발표자료의 거래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하여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요한다(도 2 참조). In order to operate such a transaction system for conference presentation material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s required (see Fig. 2).

먼저, 학회에서 운용하는 웹 사이트에서는 서버에 인명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학회 발표에 참가하는 참가자들의 인명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인명 정보는 성명 외에 이메일(e-mail) 주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메일 주소 외에 접속 가능한 홈 페이지 주소나 블로그 주소, 휴대전화번호 등 자료를 송수신할 수 있는 계정을 반드시 포함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인명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실제로 학회개최 전 등록절차를 실시하여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학회 가입절차나 웹 사이트 로그인 절차를 통해서 미리 구축하여 놓은 인명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통합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First, the web site operated by the conference establishes a database of personal information on the server, and stores personal information of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conference presentations.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ersonal name information includes an e-mail address in addition to the name, and must include an account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such as an accessible home page address, blog address, and mobile phone number in addition to the e-mail address. The personal information database construction as described above can actually be performed by performing the registration procedure before the conference is held, and in some cases, it may be integrated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database established in advance through the conference registration process or the website login process.

또한, 학회에서 발표하게 될 자료에 대하여는 DOI(Digital Object Identifier)를부여하고, 웹 사이트 서버에 상기 DOI가 부여된 발표자료들을 전자파일로 하여 자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이때, DOI에는 자료작성자의 인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인명 정보를 통해, 누구의 자료인지 인식되면, 인명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인의 기타 정보(이메일 주소 등)를 알아 낼 수 있다. In addition, a DOI (Digital Object Identifier) is assigned to the data to be presented at the conference, and a data database is constructed by using the DOI-assigned presentation data as electronic files on the web site server. 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o include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person who created the data in the DOI, and if it is recognized whose data is through such personal information, the person's personal information database is searched to find out other information (email address, etc.) of the person concerned. I can.

웹 사이트에는 접속자가 웹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앱(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설치하여, 상기 언급한 자료 거래를 원하는 회원이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상기 앱을 자신의 스마트 폰이나 기타 모바일 스마트 기기에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앱 다운로드 전제조건으로서 개인 정보를 요구하여 인명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는 로그인 절차를 두거나, 별도의 인명정보 요구 절차를 둘 수 있다. On the website, a visitor installs an app (application) that can be downloaded from the website, and a member who wants to trade the above-mentioned data accesses the website and downloads the app to his or her smartphone or other mobile smart device. To receive. In this case, preferably, as a prerequisite for downloading the app, a login procedure for requesting personal information and storing it in the personal information database may be provided, or a separate personal information request procedure may be provided.

이와 같은 학회 발표 자료 거래 앱을 스마트 기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에 설치하게 되면, 포스터 발표 등의 발표 자료를 관람하던 휴대 단말기 소유자는 앱을 실행시킨 상태에서 발표 자료를 향해 휴대 단말기를 조준하면, 휴대 단말기에 들어있는 영상 인식 모듈과 앱 프로그램에 의한 DOI 인식 모듈에 의해, 발표 자료에 표지 된 DOI가 휴대 단말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며, 화면에 나타난 버튼 중 구매버튼을 클릭(터치)하면, 구매요청 정보를 송수신모듈에 의해, 웹 서버에 전송하여, 웹 서버의 자료 검색 모듈에서 해당 DOI의 발표자료를 검색하여 웹 서버의 송수신 모듈을 통해, 미리 등록하여둔 이메일 계정 등으로 전송받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자료 작성자 정보도 함께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conference presentation material transaction app is installed on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device, a mobile terminal owner who is viewing presentation materials such as a poster presentation can run the app and aim the mobile terminal at the presentation material, The DOI marked in the presentation material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by the image recognition module included in the image recognition module and the DOI recognition module by the app program, and if you click (touch) the purchase button among the buttons displayed on the screen, purchase request information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module, it is transmitted to the web server, the data search module of the web server retrieves the presentation material of the corresponding DOI, and can be transmitted to the e-mail account registered in advance through the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of the web server. In this case, it is desirable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author of the data.

또한, 발표자료에는 이미지, 그래프, 테이블 등이 포함되므로, 이들 각각에 대해 서브 DOI를 부여하여 상기 앱을 통해, 서브 DOI를 발표 자료 전체에 대한 DOI와 함께 또는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게 하고, 서브 DOI 단위별로 자료를 구매할 수 있게 한다. 즉, 발표 자료 전체에 대한 DOI를 통해 구매할 수도 있지만, 개개의 서브 DOI를 통해 꼭 필요한 자료별로 구매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ation material includes images, graphs, tables, etc., sub-DOIs are assigned to each of them so that the sub-DOI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DOI for the entire presentation material or sequentially through the above app. Make it possible to purchase materials separately. That is, it is possible to purchase the entire presentation material through DOI, but through individual sub-DOIs, it is possible to purchase each necessary material.

자료 거래를 유료화할 경우, 학회발표 자료 거래 앱에는 결제 모듈을 두어야 한다. 자료 데이터 베이스 구축시 각 DOI 및 서브 DOI 별로 가격 정보를 함께 저장하여 휴대 단말기와 웹 서버의 결제 모듈들에 가격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When making data transactions for a fee, a payment module must be placed in the conference presentation data transaction app. When building a data database, price information for each DOI and sub-DOI must be stored together to provide price information to the payment modules of the mobile terminal and web server.

결제 모듈은 이미 상용화된 것 중에서 선택 구현할 수 있으며, 결제 수단으로는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결제, 신용카드 결제, 연구비 카드 결제, 카드포인트 결제, 사이버 머니 결제, 자동이체 등 다양화할 수 있다. The payment module can be selected from among those already commercially available, and various payment methods such as payment using a mobile phone number, credit card payment, research fee card payment, card point payment, cyber money payment, and automatic transfer.

또한, 결제의 진행은, 웹 서버의 결제모듈에서, 결제 금액을 우선적으로 학회 명의로 개설한 통장으로 입금하고 소정의 수수료를 공제한 후, 자료작성자에게 통장 입금이나 사이버 머니 전송 등으로 제공할 수도 있고, 바로 전액을 자료작성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payment module of the web server, payment can be made by depositing the payment amount to a bankbook opened in the name of the society first, deducting a predetermined fee, and then providing the data creator by depositing a bankbook or sending cyber money. Alternatively, the entire amount can be provided to the data creator.

이와 같은 실시예를 통해, 연구자들로 하여금 많은 실험 자료들을 사장시키지 않고 활용하게 하면서도 금전적 보상을 인센티브로 제공하여 연구활동을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rough such an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further revitalize research activities by providing monetary rewards as incentives while allowing researchers to use many experimental data without obstructing them.

한편, 폼 보드에 컬러 프린터를 이용하여 출력한 종이를 발표자료로 게시하는 경우, 하나의 발표자료 당 5만 원의 출력비용이 들어가나 발표를 마친 후에는 대개 폐기 처분되거나 얼마간 자신의 연구실에 게시하였다가 역시 폐기 처분된다. 폼 보드 역시 일회용으로 사용될 경우가 많아 자원의 낭비가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포스터 발표장소에 LCD 패널을 설치하고, 발표자료의 작성이 이미 전자 파일로 되어 있으므로, 이를 LCD 패널을 통해 게시하게 하면, 발표자료를 폼 보드의 한정된 면적에 비해 충분히 게시할 수 있게 하고, 편리하게 발표를 실시하며, 장기적으로는 자원절약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a paper printed on a foam board using a color printer is posted as a presentation material, a printing cost of 50,000 won per presentation material is charged, but after the presentation is finished, it is usually disposed of or posted in his or her laboratory for some time. Then it is also disposed of. Since the foam board is also used for single use, there is a waste of resources. Therefore, if an LCD panel is installed in such a poster presentation place, and the presentation material is already written in an electronic file, if it is posted through the LCD panel, the presentation material can be sufficiently posted compared to the limited area of the foam board. Presentations are made conveniently, and in the long run, resource conservation can be achieved.

이와 같이 LCD 패널을 통해 포스터 발표를 할 경우, 발표 자료에는 DOI 대신 QR 코드를 표지하고, 상기 학회 발표 자료 거래 앱에서 DOI 대신 QR 코드를 영상 인식하게 하여 상기한 것과 동일한 구성에 의해, 발표자료를 무료/유료 거래할 수 있게 한다. 이 경우에도 이미지, 그래프, 테이블 등에 서브 QR 코드를 부여하여 개별 구매 가능하게 할 것이다. In this way, when a poster is presented through the LCD panel, a QR code is displayed on the presentation material instead of a DOI, and the conference presentation material transaction app recognizes the QR code instead of the DOI, so that the presentation material is display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above. Enables free/paid transactions. Even in this case, sub-QR codes will be assigned to images, graphs, and tables to enable individual purchase.

또한, 상기와 같은 자료들의 거래에 있어서, 자료의 가치별로 등급을 분류하고, 가격을 차등화하여 거래할 수 있다. 즉, 발표 자료에 나타나는 것은 대부분 그래인데, 그래프 자체는 일정 스케일마다 데이터를 기점으로 표시하여 그려진 것으로, 스케일 간격에는 정확한 데이터가 표시되지 않아, 실험자가 아닌 관람자는 간격중에 놓인 부분의 데이터는 단지 내삽으로 알 수 있을 뿐이다(도 3 참조). 따라서 이 같은 경우, 그래프에 대한 전체 데이터 셋(data set)은 훨씬 더 효용가치가 높은 자료가 되며, 관람자는 그래프에 대한 데이터 셋을 다른 자료보다 더 원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거래 대상 자료는 형태별, 예를 들면, 이미지, 그래프, 데이터와 같이 분류되어 가격을 차등화한 상태로 거래될 수 있다. 자료에 대한 물론 분류는 형태별이 아닌, 사용된 장비의 가치별로 분류되거나(고가 장비에서만 나오는 데이터, 일반적 장비에서 나오는 데이터 등), 데이터의 정교한 정도 등에 의해서도 분류될 수 있다. 데이터 셋이나, 고가 장비 및/도는 고가의 소프트웨어를 거친 자료들의 경우, 연구 분야가 동일/유사하나 다른 목적을 추구할 경우, 이전 단계를 거칠 필요없이 거래로 얻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후속연구를 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갖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transaction of data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trade by classifying the grade by the value of the data and differentially priced. In other words, most of what appears in the presentation material is yes, but the graph itself is drawn by displaying data as a starting point at a certain scale, and accurate data is not displayed at the scale interval, so that the spectator who is not the experimenter only interpolates the data of the part placed in the interval It can only be known (see Fig. 3). Therefore, in this case, the entire data set for the graph becomes much more valuable data, and the viewer may want the data set for the graph more than other data. Accordingly, the data subject to the transaction can be classified by type, such as images, graphs, and data, and traded in a state in which prices are differentiated. Of course, the classification of data can be classified not by type, but by the value of the equipment used (data only from expensive equipment, data from general equipment, etc.), or by the degree of elaboration of the data. In the case of data sets, expensive equipment and/or materials that have been subjected to expensive software, if the research field is the same/similar but pursues different purposes, follow-up research can be conducted based on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transaction without having to go through the previous steps. It has a great advantage.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고 단지 웹 사이트만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결과 자료 거래 시스템의 변형된 실시예를 구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implement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research result data transaction system as follows using only a web site without using a mobile terminal.

즉, 학회를 비롯한 각종 협회 또는 연구종사자들의 모임에서 운영하는 웹 사이트를 개설하고, 웹 사이트는 회원 가입 단계 및 로그인 단계를 거쳐 접속할 수 있게 한 후, 접속자(회원)가 학회 발표 자료, 논문, 기고문 등의 기본 자료를 올리면서(업로드), 이와 동시에 상기 기본 자료에는 비록 수록하지 않았지만 해당 연구를 통해 얻은 많은 부속 자료들(그래프, 이미지, 테이블, 데이터 셋 등)을 함께 올리면, 상기 기본 자료에는 메인 식별코드, 바람직하게는 DOI(Digital Object Identifier)를 부여하고 부속 자료들에는 각각 서브 식별코드, 바람직하게는, 서브 DOI를 부여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다음, 접속자들간에 상기 부속자료들을 거래할 수 있게 결제 모듈을 포함한 결제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after opening a website operated by various associations including academic associations or meetings of research workers, and allowing access to the website through the membership registration and login steps, visitors (members) can access the conference presentation materials, papers, and contributions. While uploading (uploading) basic data such as, etc., at the same time, if you upload a number of subsidiary data (graphs, images, tables, data sets, etc.) obtained through the study, although not included in the basic data, the main data An identification code, preferably a digital object identifier (DOI) is assigned, and a sub-identification code, preferably, a sub-DOI, is assigned to each of the sub-data to build a database, and then the sub-data can be traded between accessors. It provides a payment module including a payment module.

이 경우, 상기 연구결과 자료 거래 시스템은 웹 사이트 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회원제 웹 사이트 서버에는, 가입한 회원들의 인적사항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회원들이 올린 논문, 기고문 또는 포스터 발표 자료와 같은 기본 자료에 DOI(Digital Object Identifier)를 부여하여 DOI가 표시된 기본 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며, 여기에는 회원 정보, 즉, 작성자 정보를 포함하게 한다. In this case, the research result data transaction system has a web site server, and the member-based web site server builds a database of registered members' personal information, and basic data such as thesis, contributions or poster presentation data posted by the members By giving DOI (Digital Object Identifier) to the database, the basic data marked with the DOI is built into a database, which includes member information, that is, author information.

이와 같이 DOI가 표시된 기본자료에 수록되어 있는 이미지, 테이블, 그래프 등의 연구 자료 이외에 해당 기본 자료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도출된 또 다른 이미지, 테이블, 그래프 또는 데이터 셋을 포함한 연구 결과자료에도 자료마다 DOI(Digital Object Identifier)에 연관되는 각각의 서브 DOI(Digital Object Identifier)를 부여하여 서브 DOI가 표시된 부수적인 연구 결과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다. In addition to research data such as images, tables, and graphs contained in the basic data marked with DOI as described above, research results including other images, tables, graphs, or data sets derived from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corresponding basic data also contain DOI for each data. Each sub-DOI (Digital Object Identifier) related to the (Digital Object Identifier) is assigned, and additional research result data marked with the sub-DOI are constructed as a database.

그에 따라 접속자가 특정 DOI가 부여된 기본 자료를 요청하여 해당 기본자료가 디스플레이되어 이를 살펴볼 때, 이와 동시에 또는 시차적으로 좀 더 나중에(순차적으로) 서브 DOI가 표시된 부수적 연구 결과자료를 디스플레이되게 한다. 서브 DOI가 표시된 부수적 연구 결과자료의 디스플레이는 접속자가 기본 자료를 살펴보다가 관심을 갖고, 부수적인 자료들을 요청하는 경우에 한해 실행하게 할 수도 있다. Accordingly, when a visitor requests basic data to which a specific DOI has been assigned and the corresponding basic data is displayed and inspected, at the same time or at a later time (sequentially) additional research results with sub-DOIs are displayed. Display of ancillary research results with sub-DOIs can be performed only when the visitor is interested in looking at the basic data and requests additional data.

상기 접속자가 서브 DOI가 표시된 해당 자료를 구매하고자 선택하면 그에 따라 결제 모듈을 실행하여 결제를 하게 한 후, 서브 DOI가 표시된 연구 결과자료를 상기 접속자에게 다운로드 하여 주는 것으로 거래를 완성한다. When the visitor selects to purchase the data marked with the sub-DOI, a payment module is executed accordingly to make payment, and the transaction is completed by downloading the research result data marked with the sub-DOI to the visitor.

결제 모듈은 기존에 나와 있는 기술로 실행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할 수도 있다. 기본 자료와 부수적인 연구결과 자료들의 디스플레이 방식은 여러 가지 디자인으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ayment module can be executed with the existing technology, or can be executed as described abov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display method of basic data and additional research result data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esigns.

상기와 같이 하여 좀 더 편리하면서도 자원절약 및 환경보존에 있어 바람직한 발표용 하드웨어를 제공하고, 자료 활용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hardware for presentation that is more convenient and desirable for resource conservation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software for data utilization.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what i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at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described in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100: 웹 서버
200: 휴대 단말기
300: 발표 자료
100: web server
200: mobile terminal
300: Presentation material

Claims (8)

회원제 웹 사이트 서버; 및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웹 사이트 서버에,
회원들의 인적사항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단계;
회원들의 논문, 기고문, 또는 발표자료와 같은 기본 자료에 메인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상기 메인식별코드가 표시된 기본 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단계;
상기 메인 식별코드가 표시된 기본자료에 수록된, 이미지, 테이블, 그래프 이외에 해당 기본 자료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도출되고, 상기 메인 식별코드가 표시된 기본자료에 게시되지 않고 사장(死藏)될 또 다른 이미지, 테이블, 그래프 또는 데이터 셋을 포함한 부수적인 연구 결과자료에 각각의 메인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서브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서브 식별코드가 표시된 연구 결과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단계; 및
웹 사이트상에 접속자들이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앱을 서버에 설치하여 웹 사이트에 표시하여, 접속자들이 휴대단말기에 상기 앱을 설치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앱은, 학회와 같은 오프라인에서 전시된 상기 메인 식별코드가 부여된 기본 자료를 휴대단말기의 영상 인식 모듈을 실행시켜 조준하면, 해당 메인 식별코드에 연관된 서브 식별코드가 부여된, 오프라인에 직접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부수적인 자료들이 상기 휴대단말기 화면 일부에 기본 자료와 동시에 나타나거나 기본자료와 시차를 두고 나타나거나 증강현실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고,
앱을 실행시킨 휴대 단말기 소지자가 원할 경우, 상기 메인 식별코드가 부여된 기본 자료 또는 이에 연관된 서브 식별코드가 부여된 부수적인 자료를 상기 웹사이트 서버로부터 전송 요청하여,
상기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웹 사이트 서버로부터 휴대 단말기 소지자의 이메일 주소, 홈페이지, 블로그 또는 휴대전화번호 메시지로 해당 자료를 전송하여 주고,
상기 앱은 상기 부수적인 자료들의 서브 식별코드별로 선택 구매할 수 있는 결제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기본 자료 또는 부수적인 자료들을 유료로 거래하며,
상기 메인 식별코드와 서브 식별코드는 각각, DOI(Digital Object Identifier), QR 코드, 컬러코드, 또는 바코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결과자료 거래 시스템.
Membership website server; And
Including; a mobile terminal;
On the website server,
Build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members into a database;
Assigning a main identification code to basic data such as thesis, contributions, or presentations of members, and constructing the basic data on which the main identification code is displayed as a database;
Another image that is derived from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basic data in addition to images, tables, and graphs contained in the basic data on which the main identification code is displayed, and will be destroyed without being posted on the basic data on which the main identification code is displayed, Assigning a sub-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each main identification code to ancillary research result data including a table, graph, or data set, and constructing the research result data displaying the sub-identification code as a database; And
Including; installing an app that visitors can download on the website on a server and displaying it on the website, so that the visitor can install the app on a mobile terminal; and
The app, when aiming by executing the image recognition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at the basic material exhibited in an offline such as an academic conference, and a sub-identification code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main identification code, is directly displayed offline. Ancillary data that are not yet appear on a part of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at the same time as the basic data, appear at a time difference from the basic data, or are displayed in augmented reality form
If the holder of the mobile terminal running the app wishes, transmits the basic data to which the main identification code has been assigned or the sub-identification code associated therewith from the website server,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request, the corresponding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website server to the mobile terminal holder's email address, homepage, blog, or mobile phone number message,
The app includes a payment module that can be selectively purchased for each sub-identification code of the auxiliary materials, and deals with the basic data or auxiliary materials for a fee,
The main identification code and the sub identification code, respectively, a research result data transa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y one of DOI (Digital Object Identifier), QR code, color code, or barcode.
제1항에 있어서, 오프라인에서 전시된 상기 메인 식별코드가 부여된 기본 자료는 포스터 발표용 LCD 패널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결과자료 거래 시스템.








The research result data transac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ic data to which the main identification code is displayed offline is displayed through an LCD panel for poster present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151399A 2012-12-21 2012-12-21 Research matreial dealing system Active KR1021537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399A KR102153754B1 (en) 2012-12-21 2012-12-21 Research matreial dealing system
KR1020200110826A KR102260727B1 (en) 2012-12-21 2020-09-01 Research matreial deal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399A KR102153754B1 (en) 2012-12-21 2012-12-21 Research matreial dealing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826A Division KR102260727B1 (en) 2012-12-21 2020-09-01 Research matreial deal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076A KR20140087076A (en) 2014-07-09
KR102153754B1 true KR102153754B1 (en) 2020-09-08

Family

ID=51736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399A Active KR102153754B1 (en) 2012-12-21 2012-12-21 Research matreial deal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75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113B1 (en) * 2017-10-23 2020-03-02 주식회사 에이알미디어웍스 Exhibit space and exhibition guide system using smart glass based on augmented realit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7734A (en) * 2003-09-16 2005-03-21 (주) 교보문고 System and method for purchasing the books and theses of science and art with union
KR100882582B1 (en) * 2006-12-20 2009-02-12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Semantic Web-base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Its Method
KR20110040396A (en) * 2009-10-14 2011-04-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How to download content using barcode
KR20120036600A (en) * 2010-10-08 2012-04-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ice comparison service code-based
KR20120093466A (en) * 2011-02-15 2012-08-23 김경중 Online information provide method and book have search information code and data record t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076A (en)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51647B2 (en) Ratings using machine-readable representation
US95892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remote supply, display and/or presentation of dynamic informative contents
KR102187053B1 (en) Sever and method for providing book information
US10761693B2 (en) System for enhanced display of information on a user device
KR20130053007A (en) Exhibition operat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martphone
US20080091555A1 (en) User generated style content
KR101738826B1 (en) Contest management system
KR20180053966A (en) Contest management system
US20170235449A1 (en) Personalized Multimedia Autographing System
KR102153754B1 (en) Research matreial dealing system
JP2024113049A (en) Communication Systems and Programs
Dibbets Cinema Context and the genes of film history
KR102260727B1 (en) Research matreial dealing system
Hasnayen et al. Development of a2i access to informtiaon: A study on digital bangladesh
JP2022123366A (en) Card game type business digitalization learning support system
CN106777000A (en) Method for pushing, supplying system and mobile terminal based on entity card
KR20060015034A (en) Web hard service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image management and transaction
KR20140044169A (en) Bisiness model of treasure finding game using qr codes
KR20130094760A (en) Method for providing lottery type coupon service and coupon authentication method therefor
JP2019082919A (en) Distribution apparatus, distribution method and distribution program
Bezovski How to Launch and Grow Your Real Estate Agency: A Detailed Guide
XUAN Pag
de Winter et al. Reducing Waste Generated by International Students’ Mobility
JP2024015737A (en)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90340704A1 (en) Personalized Multimedia Autograph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2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2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4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9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3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4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1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5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5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4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11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5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901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9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