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53363B1 - 상승작용적 살진균 조성물 - Google Patents

상승작용적 살진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363B1
KR102153363B1 KR1020157020468A KR20157020468A KR102153363B1 KR 102153363 B1 KR102153363 B1 KR 102153363B1 KR 1020157020468 A KR1020157020468 A KR 1020157020468A KR 20157020468 A KR20157020468 A KR 20157020468A KR 102153363 B1 KR102153363 B1 KR 102153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plants
synergistic
formula
mix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0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3165A (ko
Inventor
데이비드 쥐 위메트
존 티 매티슨
쳉린 야오
올라보 코레아 다실바
그렉 케미트
Original Assignee
다우 아그로사이언시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 아그로사이언시즈 엘엘씨 filed Critical 다우 아그로사이언시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50103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3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36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41,3-Diazines; Hydrogenated 1,3-diaz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2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two or more hetero at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3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01N43/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6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647Triazoles; Hydrogenated triazoles
    • A01N43/653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300/00Combinations or 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covered by classes A01N27/00 - A01N65/48 with other active or formulation relevant ingredients, e.g. specific carrier materials or surfactants, covered by classes A01N25/00 - A01N65/48
    • Y10S514/91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상승작용적 살진균 혼합물은 살진균 유효량의 하기 구조적으로 나타내어진 화학식 I의 화합물, (3S,6S,7R,8R)-8-벤질-3-(3-((이소부티릴옥시)메톡시)-4-메톡시피콜린아미도)-6-메틸-4,9-디옥소-1,5-디옥소난-7-일 이소부티레이트, 및 하나 이상의 트리아졸 살진균제를 함유한다.
<화학식 I>

Description

상승작용적 살진균 조성물 {SYNERGISTIC FUNGICIDAL COMPOSITIONS}
본 개시내용은 살진균 유효량의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트리아졸을 함유하는 상승작용적 살진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15073092988-pct00001
살진균제는 진균에 의해 유발되는 손상에 대해 식물을 보호하도록 작용하는 천연 또는 합성 기원의 화합물이다. 현행 농법은 살진균제의 사용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사실상, 일부 작물은 살진균제의 사용 없이는 유용하게 성장할 수 없다. 살진균제의 사용은 재배자가 수확량 및 작물 품질을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작물의 가치를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대부분의 상황에서, 작물 가치의 증가는 살진균제 사용 비용의 3배 이상에 달한다.
그러나, 1종의 살진균제가 모든 상황에 유용한 것은 아니며, 단일 살진균제의 반복된 사용은 빈번하게 상기 살진균제 및 관련 살진균제에 대한 저항성 발생으로 이어진다. 결과적으로, 보다 안전하고 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지며 보다 낮은 적용량이 요구되고 사용하기가 보다 용이하며 보다 비용이 낮은 살진균제, 및 살진균제 조합을 제조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상승작용을 일으키는, 즉 2종 이상의 화합물의 활성이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의 화합물의 활성을 초과하는 조합이 또한 연구되고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은 살진균제 화합물을 포함하는 상승작용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목적은 이들 상승작용적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승작용적 조성물은 자낭균류 및 담자균류 강의 진균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의 방지 또는 치유 또는 둘 다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승작용적 조성물은 밀 잎무늬병 (미코스파에렐라 그라미니콜라(Mycosphaerella graminicola); 불완전세대: 세프토리아 트리티시(Septoria tritici); 바이엘(Bayer) 코드 SEPTTR에 의해 유발); 및 밀 갈색녹병 (푹시니아 레콘디타 f. sp. 트리티시(Puccinia recondita f. sp. tritici), 동의어 푹시니아 트리티시나(Puccinia triticina); 바이엘 코드 PUCCRT에 의해 유발)을 비롯하여, 자낭균문 및 담자균문 병원체에 대한 효능을 개선시켰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상승작용적 조성물은 그의 사용 방법과 함께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은 살진균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트리아졸 살진균제를 포함하는 상승작용적 살진균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살진균 유효량"은 어구 "진균을 방제하거나 감소시키는데 유효한 양"과 동의어이고, 살진균 조성물에 관하여 유의한 수의 진균을 사멸시키거나 그의 성장, 증식, 분열, 번식 또는 확산을 물질적으로 억제하는 양으로 사용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 (3S,6S,7R,8R)-8-벤질-3-(3-((이소부티릴옥시)메톡시)-4-메톡시피콜린아미도)-6-메틸-4,9-디옥소-1,5-디옥소난-7-일 이소부티레이트는 MET III Qi 부위에서 작용하며 하기 구조를 보유하는 마크로시클릭 피콜아미드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15073092988-pct00002
이는 밀의 잎무늬병 (미코스파에렐라 그라미니콜라; 불완전세대: 세프토리아 트리티시; 바이엘 코드 SEPTTR에 의해 유발)을 비롯하여 (이에 제한되지는 않음) 경제적으로 중요한 곡류 병원체를 방제하는데 효과적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트리아졸은 테부코나졸, 프로피코나졸, 메트코나졸 및 시프로코나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테부코나졸은 α-[2-(4-클로로페닐)에틸]-α-(1,1-디메틸에틸)-1H-1,2,4-트리아졸-1-에탄올에 대한 일반 명칭이며, 하기 구조를 보유한다:
Figure 112015073092988-pct00003
그의 살진균 활성은 문헌 [The Pesticide Manual, Fourteenth Edition, 2006]에 기재되어 있다. 테부코나졸은 다양한 농업 작물, 특히 곡류, 예를 들어 밀, 보리 및 카놀라, 뿐만 아니라 땅콩, 유지종자 평지, 포도, 인과류, 핵과류, 및 바나나에서 진균성 질병을 방제하는데 사용되는 상업적 살진균제이다.
프로피코나졸은 1-[[2-(2,4-디클로로페닐)-4-프로필-1,3-디옥솔란-2-일]메틸]-1H-1,2,4-트리아졸에 대한 일반 명칭이며, 하기 구조를 보유한다:
Figure 112015073092988-pct00004
그의 살진균 활성은 문헌 [The Pesticide Manual, Fourteenth Edition, 2006]에 기재되어 있다. 프로피코나졸은 곡류에서 코클리오볼루스 사티부스(Cochliobolus sativus), 에리시페 그라미니스(Erysiphe graminis), 렙토스파에리아 노도룸(Leptosphaeria nodorum), 푹시니아 종, 세프토리아 종, 피레노포라 테레스(Pyrenophora teres), 피레노포라 트리티시-레펜티스(Pyrenophora tritici -repentis) 및 린코스포리움 세칼리스(Rhynchosporium secalis)에 의해 유발된 질병을 방제한다.
메트코나졸은 5-[(4-클로로페닐)메틸]-2,2-디메틸-1-(1H-1,2,4-트리아졸-1-일메틸)시클로펜탄올에 대한 일반 명칭이며, 하기 구조를 보유한다:
Figure 112015073092988-pct00005
그의 살진균 활성은 문헌 [The Pesticide Manual, Fourteenth Edition, 2006]에 기재되어 있다. 메트코나졸은 곡류 작물의 광범위한 잎 질병을 방제한다.
시프로코나졸은 α-(4-클로로페닐)-α-(1-시클로프로필에틸)-1H-1,2,4-트리아졸-1-에탄올에 대한 일반 명칭이며, 하기 구조를 보유한다:
Figure 112015073092988-pct00006
그의 살진균 활성은 문헌 [The Pesticide Manual, Fourteenth Edition, 2006]에 기재되어 있다. 시프로코나졸은 곡류 및 사탕무에서 세프토리아, 녹병, 흰가루병, 린코스포리움, 세르코스포라(Cercospora) 및 라물라리아(Ramularia)를 방제한다.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에서, 살진균 효과가 상승작용적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대 트리시클라졸의 중량비는 일반적으로 약 1:16 내지 약 64:1의 범위 내에 있다. 살진균 효과가 상승작용적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대 테부코나졸의 중량비는 약 1:16 내지 약 60:1의 범위 내에 있다. 살진균 효과가 상승작용적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대 프로피코나졸의 중량비는 약 1:64 내지 약 64:1의 범위 내에 있다. 살진균 효과가 상승작용적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대 메트코나졸의 중량비는 약 1:4 내지 약 16:1의 범위 내에 있다. 살진균 효과가 상승작용적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대 시프로코나졸의 중량비는 약 1:16 내지 약 64:1의 범위 내에 있다.
상승작용적 조성물이 적용되는 비율은 구체적 조성물, 방제될 진균의 특정한 유형, 요구되는 방제의 정도 및/또는 적용 시기 및 방법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은 조성물 중 활성 성분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헥타르당 약 50 그램 (g/ha) 내지 약 2300 g/ha의 적용률로 적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은 약 100 g/ha 내지 약 550 g/ha의 적용률로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트리아졸은 약 50 g/ha 내지 약 250 g/ha의 비율로 적용될 수 있다. 테부코나졸은 약 50 g/ha 내지 약 250 g/ha의 비율로 적용될 수 있고,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약 50 g/ha 내지 약 300 g/ha의 비율로 적용될 수 있다. 프로피코나졸은 약 50 g/ha 내지 약 250 g/ha의 비율로 적용될 수 있고,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약 50 g/ha 내지 약 300 g/ha의 비율로 적용될 수 있다. 메트코나졸은 약 50 g/ha 내지 약 250 g/ha의 비율로 적용될 수 있고,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약 50 g/ha 내지 약 300 g/ha의 비율로 적용될 수 있다. 시프로코나졸은 약 50 g/ha 내지 약 250 g/ha의 비율로 적용될 수 있고,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약 50 g/ha 내지 약 300 g/ha의 비율로 적용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상승작용적 혼합물의 성분은 개별적으로 또는 다중부 살진균 시스템의 일부로서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상승작용적 혼합물은 보다 다양한 바람직하지 않은 질병을 방제하기 위해 1종 이상의 다른 살진균제와 함께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살진균제(들)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 본원에 청구된 화합물은 다른 살진균제(들)와 함께 제제화되거나, 다른 살진균제(들)와 탱크 혼합되거나 또는 다른 살진균제(들)와 순차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살진균제는 2-(티오시아네이토메틸티오)-벤조티아졸, 2-페닐페놀, 8-히드록시퀴놀린 술페이트, 아메톡트라딘, 아미술브롬, 안티마이신, 암펠로미세스 퀴스쿠알리스(Ampelomyces quisqualis), 아자코나졸, 아족시스트로빈, 바실루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루스 서브틸리스 균주 QST713, 베날락실, 베노밀, 벤티아발리카르브-이소프로필, 벤질아미노벤젠-술포네이트 (BABS) 염, 비카르보네이트, 비페닐, 비스메르티아졸, 비테르타놀, 빅사펜, 블라스티시딘-S, 보락스, 보르도(Bordeaux) 혼합물, 보스칼리드, 브로무코나졸, 부피리메이트, 다황화칼슘, 캅타폴, 캅탄, 카르벤다짐, 카르복신, 카르프로파미드, 카르본, 클라자페논, 클로로네브, 클로로탈로닐, 클로졸리네이트, 코니오티리움 미니탄스(Coniothyrium minitans), 수산화구리, 구리 옥타노에이트, 옥시염화구리, 황산구리, 황산구리 (삼염기성), 산화제1구리, 시아조파미드, 시플루페나미드, 시목사닐, 시프로코나졸, 시프로디닐, 다조메트, 데바카르브, 디암모늄 에틸렌비스-(디티오카르바메이트), 디클로플루아니드, 디클로로펜, 디클로시메트, 디클로메진, 디클로란, 디에토펜카르브, 디페노코나졸, 디펜조쿼트 이온, 디플루메토림, 디메토모르프, 디목시스트로빈, 디니코나졸, 디니코나졸-M, 디노부톤, 디노캅, 디페닐아민, 디티아논, 도데모르프, 도데모르프 아세테이트, 도딘, 도딘 유리 염기, 에디펜포스, 에네스트로빈, 에네스트로부린, 에폭시코나졸, 에타복삼, 에톡시퀸, 에트리디아졸, 파목사돈, 페나미돈, 페나리몰, 펜부코나졸, 펜푸람, 펜헥사미드, 페녹사닐, 펜피클로닐, 펜프로피딘, 펜프로피모르프, 펜피라자민, 펜틴, 펜틴 아세테이트, 펜틴 히드록시드, 페르밤, 페림존, 플루아지남, 플루디옥소닐, 플루모르프, 플루오피콜리드, 플루오피람, 플루오로이미드, 플루옥사스트로빈, 플루퀸코나졸, 플루실라졸, 플루술파미드, 플루티아닐, 플루톨라닐, 플루트리아폴, 플룩사피록사드, 폴페트, 포름알데히드, 포세틸, 포세틸-알루미늄, 푸베리다졸, 푸랄락실, 푸라메트피르, 구아자틴, 구아자틴 아세테이트, GY-81, 헥사클로로벤젠, 헥사코나졸, 히멕사졸, 이마잘릴, 이마잘릴 술페이트, 이미벤코나졸, 이미녹타딘, 이미녹타딘 트리아세테이트, 이미녹타딘 트리스(알베실레이트), 아이오도카르브, 이프코나졸, 이프펜피라졸론, 이프로벤포스, 이프로디온, 이프로발리카르브, 이소프로티올란, 이소피라잠, 이소티아닐, 카수가마이신, 카수가마이신 히드로클로라이드 수화물, 크레속심-메틸, 라미나린, 만코퍼, 만코제브, 만디프로파미드, 마네브, 메페녹삼, 메파니피림, 메프로닐, 멥틸-디노캅, 염화제2수은, 산화제2수은, 염화제1수은, 메탈락실, 메탈락실-M, 메탐, 메탐-암모늄, 메탐-포타슘, 메탐-소듐, 메트코나졸, 메타술포카르브, 메틸 아이오다이드, 메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메티람, 메토미노스트로빈, 메트라페논, 밀디오마이신, 미클로부타닐, 나밤, 니트로탈-이소프로필, 누아리몰, 옥틸리논, 오푸레이스, 올레산 (지방산), 오리사스트로빈, 옥사딕실, 옥신-구리, 옥스포코나졸 푸마레이트, 옥시카르복신, 페푸라조에이트, 펜코나졸, 펜시쿠론, 펜플루펜, 펜타클로로페놀, 펜타클로로페닐 라우레이트, 펜티오피라드, 페닐수은 아세테이트, 포스폰산, 프탈리드, 피콕시스트로빈, 폴리옥신 B, 폴리옥신, 폴리옥소림, 중탄산칼륨, 포타슘 히드록시퀴놀린 술페이트, 프로베나졸, 프로클로라즈, 프로시미돈, 프로파모카르브, 프로파모카르브 히드로클로라이드, 프로피코나졸, 프로피네브, 프로퀴나지드, 프로티오코나졸, 피라클로스트로빈, 피라메토스트로빈, 피라옥시스트로빈, 피라조포스, 피리벤카르브, 피리부티카르브, 피리페녹스, 피리메타닐, 피리오페논, 피로퀼론, 퀴노클라민, 퀴녹시펜, 퀸토젠, 레이노우트리아 사칼리넨시스(Reynoutria sachalinensis) 추출물, 세닥산, 실티오팜, 시메코나졸, 소듐 2-페닐페녹시드, 중탄산나트륨, 소듐 펜타클로로페녹시드, 스피록사민, 황, SYP-Z048, 타르 오일, 테부코나졸, 테부플로퀸, 테크나젠, 테트라코나졸, 티아벤다졸, 티플루자미드, 티오파네이트-메틸, 티람, 티아디닐, 톨클로포스-메틸, 톨릴플루아니드, 트리아디메폰, 트리아디메놀, 트리아족시드, 트리시클라졸, 트리데모르프, 트리플록시스트로빈, 트리플루미졸, 트리포린, 트리티코나졸, 발리다마이신, 발리페날레이트, 발리페날, 빈클로졸린, 지네브, 지람, 족사미드, 칸디다 올레오필라(Candida oleophila), 푸사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글리오클라디움(Gliocladium) 종, 플레비옵시스 기간테아(Phlebiopsis gigantea), 스트렙토미세스 그리세오비리디스(Streptomyces griseoviridis), 트리코더마(Trichoderma) 종, (RS)-N-(3,5-디클로로페닐)-2-(메톡시메틸)-숙신이미드, 1,2-디클로로프로판, 1,3-디클로로-1,1,3,3-테트라플루오로아세톤 수화물, 1-클로로-2,4-디니트로나프탈렌, 1-클로로-2-니트로프로판, 2-(2-헵타데실-2-이미다졸린-1-일)에탄올, 2,3-디히드로-5-페닐-1,4-디티-인 1,1,4,4-테트라옥시드, 2-메톡시에틸수은 아세테이트, 2-메톡시에틸수은 클로라이드, 2-메톡시에틸수은 실리케이트, 3-(4-클로로페닐)-5-메틸로다닌, 4-(2-니트로프로프-1-에닐)페닐 티오시아네이템, 암프로필포스, 아닐라진, 아지티람, 다황화바륨, 바이엘(Bayer) 32394, 베노다닐, 벤퀴녹스, 벤탈루론, 벤자마크릴; 벤자마크릴-이소부틸, 벤자모르프, 비나파크릴, 비스(메틸수은) 술페이트, 비스(트리부틸주석) 옥시드, 부티오베이트, 카드뮴 칼슘 구리 아연 크로메이트 술페이트, 카르바모르프, CECA, 클로벤티아존, 클로라니포르메탄, 클로르페나졸, 클로르퀴녹스, 클림바졸, 구리 비스(3-페닐살리실레이트), 구리 아연 크로메이트, 쿠프라네브, 제2구리 히드라지늄 술페이트, 쿠프로밤, 시클라푸라미드, 시펜다졸, 시프로푸람, 데카펜틴, 디클론, 디클로졸린, 디클로부트라졸, 디메티리몰, 디녹톤, 디노술폰, 디노테르본, 디피리티온, 디탈림포스, 도디신, 드라족솔론, EBP, ESBP, 에타코나졸, 에템, 에티림, 페나미노술프, 페나파닐, 페니트로판, 플루오트리마졸, 푸르카르바닐, 푸르코나졸, 푸르코나졸-시스, 푸르메시클록스, 푸로파네이트, 글리오딘, 그리세오풀빈, 할라크리네이트, 허큘레스(Hercules) 3944, 헥실티오포스, ICIA0858, 이소팜포스, 이소발레디온, 메베닐, 메카르빈지드, 메타족솔론, 메트푸록삼, 메틸수은 디시안디아미드, 메트술포박스, 밀네브, 뮤코염소산 무수물, 미클로졸린, N-3,5-디클로로페닐-숙신이미드, N-3-니트로페닐이타콘이미드, 나타마이신, N-에틸수은-4-톨루엔술폰아닐리드, 니켈 비스(디메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 OCH, 페닐수은 디메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 페닐수은 니트레이트, 포스디펜, 프로티오카르브; 프로티오카르브 히드로클로라이드, 피라카르볼리드, 피리디니트릴, 피록시클로르, 피록시푸르, 퀴나세톨; 퀴나세톨 술페이트, 퀴나자미드, 퀸코나졸, 라벤자졸, 살리실아닐리드, SSF-109, 술트로펜, 테코람, 티아디플루오르, 티시오펜, 티오클로르펜핌, 티오파네이트, 티오퀴녹스, 티옥시미드, 트리아미포스, 트리아리몰, 트리아즈부틸, 트리클라미드, 우르바시드, 자릴아미드, 및 그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트리아졸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제 형태로 적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트리아졸 살진균제는 테부코나졸, 프로피코나졸, 메트코나졸 및 시프로코나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원하는 경우에 식물학상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적용된다.
농축 제제는 적용을 위해 물 또는 또 다른 액체 중에 분산될 수 있거나, 또는 제제는 분진-유사 또는 과립상일 수 있으며 이는 이후 추가의 처리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제제는, 농약 분야에서 통상적이지만 상승작용적 조성물의 존재로 인해 신규하고 중요한 절차에 따라 제조된다.
가장 흔하게 적용되는 제제는 수현탁액 또는 에멀전이다. 이러한 수용성, 수현탁성 또는 유화성 제제는 통상적으로 습윤성 분말로 공지되어 있는 고체, 또는 통상적으로 유화성 농축물, 수성 현탁액 또는 현탁액 농축물로 공지되어 있는 액체이다. 본 개시내용은 전달 및 살진균제로서의 사용을 위해 상승작용적 조성물을 제제화할 수 있는 모든 비히클을 고려한다.
용이하게 인식되는 바와 같이, 이들 상승작용적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임의의 물질은, 이들이 이들 상승작용적 조성물의 항진균제로서의 활성을 유의하게 방해하지 않으면서 원하는 유용성을 제공하는 한, 사용될 수 있다.
압축되어 수분산성 과립을 형성할 수 있는 습윤성 분말은 상승작용적 조성물, 담체 및 농업상 허용되는 계면활성제의 친밀한 혼합물을 포함한다. 습윤성 분말 중의 상승작용적 조성물의 농도는 통상적으로 제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10 중량% 내지 약 9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5 중량% 내지 약 75 중량%이다. 습윤성 분말 제제의 제조시, 상승작용적 조성물은 임의의 미분된 고체, 예컨대 프로필라이트, 활석, 백악, 석고, 풀러토(Fuller's earth), 벤토나이트, 아타풀자이트, 전분, 카세인, 글루텐, 몬모릴로나이트 점토, 규조토, 정제 실리케이트 등과 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에서, 미분된 담체는 휘발성 유기 용매 중에서 상승작용적 조성물과 함께 분쇄 또는 혼합된다. 습윤성 분말의 약 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를 차지하는 효과적인 계면활성제는 술폰화 리그닌, 나프탈렌술포네이트, 알킬벤젠술포네이트, 알킬 술포네이트,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알킬 페놀의 에틸렌 옥시드 부가물을 포함한다.
상승작용적 조성물의 유화성 농축물은 편리한 농도, 예컨대 유화성 농축물 제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적합한 액체 중 약 10 중량% 내지 약 50 중량%를 차지한다. 상승작용적 조성물의 성분들은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수혼화성 용매이거나 수불혼화성 유기 용매와 유화제의 혼합물인 담체 중에 용해된다. 농축물은 수중유 에멀젼 형태의 분무 혼합물을 형성하기 위해 물 및 오일로 희석될 수 있다. 유용한 유기 용매는 방향족, 특히 석유의 고-비점 나프탈렌계 및 올레핀계 부분, 예컨대 중질 방향족 나프타를 포함한다. 유기 용매, 예컨대 예를 들어 로진 유도체를 비롯한 테르펜계 용매, 지방족 케톤 예컨대 시클로헥사논, 및 복합 알콜 예컨대 2-에톡시에탄올이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다양한 비이온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및 양쪽성 유화제, 또는 2종 이상의 유화제의 블렌드를 포함한다. 유화성 농축물을 제조하는데 유용한 비이온성 유화제의 예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및 알킬 및 아릴 페놀, 지방족 알콜, 지방족 아민 또는 지방산과 에틸렌 옥시드, 프로필렌 옥시드의 축합 생성물, 예컨대 폴리올 또는 폴리옥시알킬렌으로 가용화된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및 에톡실화 알킬 페놀을 포함한다. 양이온성 유화제는 4급 암모늄 화합물 및 지방 아민 염을 포함한다. 음이온성 유화제는 알킬아릴 술폰산의 유용성 염 (예를 들어, 칼슘), 술페이트화 폴리글리콜 에테르의 유용성 염 및 포스페이트화 폴리글리콜 에테르의 적절한 염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유화성 농축물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유기 액체는 방향족 액체, 예컨대 크실렌, 프로필 벤젠 분획; 또는 혼합 나프탈렌 분획, 미네랄 오일, 치환된 방향족 유기 액체, 예컨대 디옥틸 프탈레이트; 케로센; 다양한 지방산의 디알킬 아미드, 특히 지방 글리콜 및 글리콜 유도체의 디메틸 아미드, 예컨대 디에틸렌 글리콜의 n-부틸 에테르, 에틸 에테르 또는 메틸 에테르, 및 트리에틸렌 글리콜의 메틸 에테르이다. 2종 이상의 유기 액체의 혼합물이 또한 유화성 농축물의 제조에 종종 적합하게 사용된다. 바람직한 유기 액체는 크실렌 및 프로필 벤젠 분획이며, 크실렌이 가장 바람직하다. 표면-활성 분산제는 통상적으로 액체 제제에 사용되며 분산제와 상승작용적 조성물의 조합 중량의 0.1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제제는 또한 기타 상용성 첨가제, 예를 들어 식물 성장 조절제 및 농업에서 사용되는 기타 생물학적 활성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수성 현탁액은 수성 현탁액 제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5 중량% 내지 약 70 중량% 범위의 농도로 수성 비히클 중에 분산된 1종 이상의 수불용성 화합물의 현탁액을 포함한다. 현탁액은 상승작용적 조합의 성분들을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미세하게 분쇄하고, 분쇄된 물질을 물 및 상기 논의된 것과 동일한 유형으로부터 선택된 계면활성제로 구성된 비히클 내로 격렬하게 혼합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다른 성분, 예컨대 무기 염 및 합성 또는 천연 검이 또한 수성 비히클의 밀도 및 점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수성 혼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샌드 밀, 볼 밀, 또는 피스톤-유형 균질화기와 같은 기기에서 균질화함으로써 동시에 분쇄 및 혼합시키는 것이 종종 가장 효과적이다.
또한, 상승작용적 조성물은, 토양에 적용하기에 특히 유용한 과립 제제로서 적용될 수 있다. 과립 제제는 통상적으로, 전체적으로 또는 대부분이 조대하게 분쇄된 아타풀자이트, 벤토나이트, 규조토, 점토 또는 유사한 저가 물질로 이루어진 담체 중에 분산된, 과립 제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화합물을 함유한다. 이러한 제제는 통상적으로 상승작용적 조성물을 적합한 용매 중에 용해시키고, 이를 약 0.5 내지 약 3 mm 범위의 적절한 입자 크기로 사전형성된 과립 담체에 적용함으로써 제조된다. 이러한 제제는 또한 담체와 상승작용적 조성물의 도우 또는 페이스트를 제조하고 파쇄 및 건조하여 원하는 과립상 입자를 수득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승작용적 조성물을 함유하는 분진은 분말화된 형태의 상승작용적 조성물을 예를 들어 카올린 점토, 분쇄 화산암 등과 같은 적합한 분진성 농업용 담체와 친밀 혼합함으로써 간단히 제조된다. 분진은 적합하게는 약 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상승작용적 조성물/담체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제제는 상승작용적 조성물의 표적 작물 및 유기체에 대한 퇴적, 습윤 및 침투를 증진시키기 위해 농업상 허용되는 보조제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보조제 계면활성제는 제제의 성분으로서 또는 탱크 믹스로서 임의로 사용될 수 있다. 보조제 계면활성제의 양은 물의 분무-부피를 기준으로 하여 0.01 퍼센트 내지 1.0 퍼센트 v/v,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 퍼센트로 다양할 것이다. 적합한 보조제 계면활성제는 에톡실화 노닐 페놀, 에톡실화 합성 또는 천연 알콜, 에스테르 또는 술포숙신산의 염, 에톡실화 오르가노실리콘, 에톡실화 지방 아민, 및 계면활성제와 미네랄 오일 또는 식물성 오일의 블렌드를 포함한다.
제제는 임의로 1 중량% 이상의 1종 이상의 상승작용적 조성물과 또 다른 살충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는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의 살충 화합물은, 적용을 위해 선택된 매질 중에서 본 개시내용의 상승작용적 조성물과 상용성이며 본 발명의 화합물의 활성에 길항적이지 않은 살진균제, 살곤충제, 살선충제, 살응애제, 살절지동물제, 살박테리아제, 또는 그의 조합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다른 살충 화합물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살충 용도를 위한 보충 독성물질로서 사용된다. 살충 화합물 및 상승작용적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1:100 내지 100:1의 중량비로 함께 혼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진균 공격의 방제 또는 예방 방법을 그의 범위 내에 포함한다. 이들 방법은 진균의 생육지 또는 침입을 방지해야 하는 생육지 (예를 들어, 밀 식물에 대한 적용)에 살진균 유효량의 상승작용적 조성물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승작용적 조성물은 살진균 수준으로 다양한 식물을 처리하기에 적합하며, 낮은 식물독성을 나타낸다. 상승작용적 조성물은 보호제 또는 근절제 방식으로 유용하다. 상승작용적 조성물은 임의의 다양한 공지 기술에 의해 상승작용적 조성물로서 또는 상승작용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제로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승작용적 조성물은 식물의 상업적 가치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다양한 진균의 방제를 위해 식물의 뿌리, 종자 또는 잎에 적용될 수 있다. 상승작용적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제제 유형의 형태, 예를 들어 용액, 분진, 습윤성 분말, 액상수화제 농축물 또는 유화성 농축물로서 적용될 수 있다. 이들 물질은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편리하게 적용된다.
상승작용적 조성물은 특히 농업 용도에서 유의한 살진균 효과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승작용적 조성물은 농업 작물 및 원예 식물에 사용하기에 특히 효과적이다.
특히, 상승작용적 조성물은 유용한 식물 작물을 감염시키는 다양한 바람직하지 않은 진균을 방제하는데 효과적이다.
상승작용적 조성물은, 예를 들어 하기 대표적인 진균 종을 비롯한 다양한 자낭균류 진균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밀의 잎무늬병 (미코스파에렐라 그라미니콜라; 불완전세대: 세프토리아 트리티시; 바이엘 코드 SEPTTR); 밀의 밀껍질마름병 (렙토스파에리아 노도룸; 바이엘 코드 LEPTNO; 불완전세대: 스타고노스포라 노도룸(Stagonospora nodorum)); 보리의 점무늬병 (코클리오볼루스 사티붐(Cochliobolus sativum); 바이엘 코드 COCHSA; 불완전세대: 헬민토스포리움 사티붐(Helminthosporium sativum)); 사탕무의 잎반점병 (세르코스포라 베티콜라(Cercospora beticola); 바이엘 코드 CERCBE); 땅콩의 잎반점병 (미코스파에렐라 아라키디스(Mycosphaerella arachidis); 바이엘 코드 MYCOAR; 불완전세대: 세르코스포라 아라키디콜라(Cercospora arachidicola)); 오이 탄저병 (글로메렐라 라게나리움(Glomerella lagenarium); 불완전세대: 콜레토트리쿰 라게나리움(Colletotrichum lagenarium); 바이엘 코드 COLLLA); 사과 흑성병 (벤투리아 이나에쿠알리스(Venturia inaequalis); 바이엘 코드 VENTIN); 및 바나나의 검은시가토카병 (미코스파에렐라 피지엔시스(Mycosphaerella fijiensis); 바이엘 코드 MYCOFI).
상승작용적 조성물은 세프토리아 트리티시 (SEPTTR)에 의해 유발되는 밀 잎무늬병 및 푹시니아 레콘디타-트리티시 (PUCCRT)에 의해 유발되는 밀 갈색녹병을 비롯한 다양한 자낭균문 및 담자균문 병원체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하기 목록은 추가의 대표적인 진균 종을 포함한다: 푹시니아 스트리이포르미스(Puccinia striiformis) (PUCCST)에 의해 유발되는 밀의 줄녹병 및 푹시니아 그라미니스 f. sp. 트리티시(Puccinia graminis f. sp. tritici) (PUCCTR)에 의해 유발되는 밀의 줄기녹병. 통상의 기술자는 상기 진균 중 1종 이상에 대한 상승작용적 조성물의 효능이 살진균제로서의 상승작용적 조성물의 일반적 유용성을 확립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상승작용적 조성물은 살진균제로서의 광범위한 효능을 갖는다. 적용될 상승작용적 조성물의 정확한 양은 성분들의 상대량 뿐만 아니라, 목적하는 특정한 작용, 방제할 진균 종 및 그의 성장 단계, 및 상승작용적 조성물과 접촉될 식물의 부분 또는 다른 생성물에 의존적이다. 따라서, 상승작용적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제는 유사한 농도에서 또는 동일한 진균 종에 대해서 효과가 동등하지는 않을 수 있다.
상승작용적 조성물은 질병 억제 및 식물병리학상 허용되는 양으로 식물에 사용하기에 효과적이다. 용어 "질병 억제 및 식물병리학상 허용되는 양"은 방제를 원하는 식물 질병을 사멸 또는 억제시키지만, 식물에 유의하게 독성이 아닌 상승작용적 조성물의 양을 지칭한다. 이 양은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약 1000 ppm일 것이며, 약 2 내지 약 500 ppm이 바람직하다. 요구되는 상승작용적 조성물의 정확한 농도는 방제할 진균성 질병, 사용되는 제제의 유형, 적용 방법, 특정한 식물 종, 기후 조건 등에 따라 달라진다. 상승작용적 조성물에 적합한 적용률은 전형적으로 약 0.10 내지 약 4 파운드/에이커 (제곱 미터당 약 0.1 내지 0.45 그램, g/m2)에 상응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의 지면 분무기, 과립 적용기, 및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른 통상의 수단을 이용하여 진균 또는 그의 생육지에 적용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개시내용을 추가로 예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들은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실시예
사용된 적용률, 및 유도된 밀 갈색녹병 및 밀 잎무늬병의 질병 방제를 포함하는 대표적인 상승작용적 상호작용을 하기 표 1 - 5에 나타내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사용한 혼합물 연구를 위해: 처리는 화학식 I의 화합물, 개별적으로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과 2-원 혼합물로서 적용되는, 테부코나졸, 프로피코나졸, 메트코나졸 및 시프로코나졸을 포함하는 살진균제로 이루어졌다. 공업용 등급의 물질들을 아세톤 중에 용해시켜 원액을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여 각각의 개별 살진균제 성분에 대해 또는 2-원 혼합물에 대해 아세톤 중에서 3배 희석을 수행하였다. 110 백만분율 (ppm) 트리톤(Triton) X-100을 함유하는 9 부피의 물로 혼합 희석한 후, 목적 살진균제 비율을 수득하였다. 살진균제 용액 (10 밀리리터 (mL))을, 대향각으로 세팅된, 제곱 인치당 20 파운드 (psi)로 작동하는 2개의 6218-1/4 JAUPM 분무 노즐을 사용하는 자동화 부스 분무기를 이용하여 식물의 6개의 화분에 잎의 양면이 뒤덮이도록 적용하였다. 모든 분무된 식물을 추가의 처리 전에 공기 건조되도록 하였다. 대조 식물에 용매 블랭크를 동일한 방식으로 분무하였다.
1-일 보호제 실험을 위해, 식물에 관심 대상 병원체 (PUCCRT 또는 SEPTTR)의 수성 포자 현탁액을 접종하고, 이어서 이슬실에 두어 (1 - 3일) 감염이 일어나도록 하였다. 이어서, 증상 발생이 일어나도록 식물을 온실에 두었다. PUCCRT의 경우에 증상은 전형적으로 7 - 10일에 나타났고, SEPTTR의 경우에 증상은 전형적으로 25 - 30일에 나타났다.
3-일 치유 실험을 위해, 식물에 관심 대상 병원체 (PUCCRT 또는 SEPTTR)의 수성 포자 현탁액을 접종하고, 이어서 이슬실에 두어 (1 - 3일) 감염이 일어나도록 하였다. 식물을 이슬실로부터 꺼내고, 대략 1시간 (h) 동안 건조되도록 하고,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제제화된 시험 물질을 분무하고, 이어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증상 발생이 일어나도록 온실에 두었다.
질병 중증도가 대조 식물 상에서 50 - 100%에 이르렀을 때, 처리된 식물에 대한 감염 수준을 시각적으로 평가하고, 0 내지 100 퍼센트의 등급으로 채점하였다. 이어서, 대조 식물에 대한 처리 식물 상의 질병의 비율을 사용하여 질병 방제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콜비(Colby) 식을 이용하여 혼합물로부터 예상되는 살진균 효과를 결정하였다. (문헌 [Colby, S. R. Calculation of the synergistic and antagonistic response of herbicide combinations, Weeds 1967, 15, 20 - 22]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 표 1 - 5에서, 콜비 식을 이용하여 2종의 활성 성분, A 및 B를 함유하는 혼합물의 예상되는 활성을 계산하였다:
예상치 = A+B-(AxB/100), 여기서
A = 혼합물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농도에서의 활성 성분 A의 관찰된 효능;
B = 혼합물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농도에서의 활성 성분 B의 관찰된 효능.
또한, 하기 약어가 표 1 - 5에 적용된다:
% DC=퍼센트 질병 방제
% DC Obs=관찰된 퍼센트 질병 방제
% DC Exp=예상된 퍼센트 질병 방제
상승작용 지수=% DC Obs/% DC Exp
표 1. 1-일 보호 (1DP) 적용에서의 푹시니아 레콘디타-트리티시 (PUCCRT)에 의해 유발된 밀 갈색녹병의 방제에 대한 살진균제 혼합물의 효능의 평가.
Figure 112015073092988-pct00007
표 2. 3-일 치유 (3DC) 적용에서의 푹시니아 레콘디타-트리티시 (PUCCRT)에 의해 유발된 밀 갈색녹병의 방제에 대한 살진균제 혼합물의 효능의 평가.
Figure 112015073092988-pct00008
표 3. 1-일 보호 (1DP) 적용에서의 세프토리아 트리티시 (SEPTTR)에 의해 유발된 밀 잎무늬병의 방제에 대한 살진균제 혼합물의 효능의 평가.
Figure 112015073092988-pct00009
표 4. 3-일 치유 (3DC) 적용에서의 세프토리아 트리티시 (SEPTTR)에 의해 유발된 밀 잎무늬병의 방제에 대한 살진균제 혼합물의 효능의 평가.
Figure 112015073092988-pct00010
표 5. 재배지 연구 시험에서의 푹시니아 레콘디타-트리티시 (PUCCRT)에 의해 유발된 밀 갈색녹병의 방제에 대한 살진균제 혼합물의 효능의 평가.
Figure 112015073092988-pct00011
재배지 시험을 브라질 모지 미림에 위치한 다우 아그로사이언시스(Dow AgroSciences) 재배지 농장에서 수행하였다. 처리당 4회의 반복 플롯이 존재하였고, 각각의 플롯은 2 x 3.5 미터의 길이 및 폭을 가졌다. 플롯에 처리를 2회 (성장기 BBCH 33에 1회, 및 성장기 BBCH 61 - 65에 다시) 분무하였다. 처리는 XR 플랫 팬 노즐을 사용하여 150 리터 / 헥타르 (L/ha)의 분무 부피로 적용하였다. 질병 발생은 천연 접종물 (인위적으로 감염시키지 않음)에 의존적이었다. 각각의 질병 중증도 평가를 위해 플롯당 10개의 식물을 사용하였으며, 식물마다 모든 잎이 평가에 사용되었다.
상기 기재내용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개시내용을 실시하는 방법을 교시하는 목적을 위한 것이며, 상기 개시내용을 읽었을 때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해지는 본 발명의 실시의 모든 분명한 변형 및 변경을 상술하기 위해 의도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분명한 변형 및 변경은 하기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청구범위는, 문맥이 반대되는 것을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는 한, 의도된 목적을 충족시키는데 효과적인 임의의 순서로 청구된 성분 및 단계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10)

  1. 살진균 유효량의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3S,6S,7R,8R)-8-벤질-3-(3-((이소부티릴옥시)메톡시)-4-메톡시피콜린아미도)-6-메틸-4,9-디옥소-1,5-디옥소난-7-일 이소부티레이트, 및 하나 이상의 트리아졸 살진균제를 포함하는 상승작용적 살진균 혼합물로서,
    <화학식 I>
    Figure 112020048217918-pct00012

    여기서 하나 이상의 트리아졸 살진균제는 테부코나졸, 프로피코나졸, 메트코나졸 및 시프로코나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혼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트리아졸 살진균제가 테부코나졸이고, 화합물 I 대 테부코나졸의 중량비는 1:16 내지 64:1인 혼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트리아졸 살진균제가 프로피코나졸이고, 화합물 I 대 프로피코나졸의 중량비는 1:64 내지 64:1인 혼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트리아졸 살진균제가 메트코나졸이고, 화합물 I 대 메트코나졸의 중량비는 1:4 내지 16:1인 혼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트리아졸 살진균제가 시프로코나졸이고, 화합물 I 대 시프로코나졸의 중량비는 1:16 내지 64:1인 혼합물.
  6. 제1항에 있어서, 농업상 허용되는 보조제 또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혼합물.
  7. 살진균 유효량의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트리아졸 살진균제를 식물, 식물에 인접한 영역, 식물의 성장을 지지하도록 적합화된 토양, 식물의 뿌리, 식물의 잎, 및 식물을 생산하도록 적합화된 종자 중 하나 이상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에 대한 진균 공격의 방제 및 방지 방법으로서,
    <화학식 I>
    Figure 112020048217918-pct00013

    여기서 하나 이상의 트리아졸 살진균제는 테부코나졸, 프로피코나졸, 메트코나졸 및 시프로코나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적용 전에 농업상 허용되는 보조제 또는 담체를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트리아졸 살진균제와 혼합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57020468A 2012-12-31 2013-12-31 상승작용적 살진균 조성물 Active KR1021533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47464P 2012-12-31 2012-12-31
US61/747,464 2012-12-31
PCT/US2013/078524 WO2014106259A1 (en) 2012-12-31 2013-12-31 Synergistic fungicidal compos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3165A KR20150103165A (ko) 2015-09-09
KR102153363B1 true KR102153363B1 (ko) 2020-09-08

Family

ID=51017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0468A Active KR102153363B1 (ko) 2012-12-31 2013-12-31 상승작용적 살진균 조성물

Country Status (28)

Country Link
US (1) US9750248B2 (ko)
EP (1) EP2941126B1 (ko)
JP (2) JP6560619B2 (ko)
KR (1) KR102153363B1 (ko)
CN (1) CN105007738B (ko)
AR (1) AR094367A1 (ko)
AU (1) AU2013369670B2 (ko)
BR (1) BR112015015659B1 (ko)
CA (1) CA2896242A1 (ko)
CL (1) CL2015001842A1 (ko)
CR (1) CR20150339A (ko)
DK (1) DK2941126T3 (ko)
EC (1) ECSP15028116A (ko)
ES (1) ES2727663T3 (ko)
HK (1) HK1217156A1 (ko)
HU (1) HUE043708T2 (ko)
IL (1) IL239651B (ko)
LT (1) LT2941126T (ko)
MX (1) MX369107B (ko)
NZ (1) NZ709309A (ko)
PH (1) PH12015501496A1 (ko)
PL (1) PL2941126T3 (ko)
RU (1) RU2687225C2 (ko)
TW (1) TWI640248B (ko)
UA (1) UA116554C2 (ko)
UY (1) UY35254A (ko)
WO (1) WO2014106259A1 (ko)
ZA (1) ZA2015046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3925A (ko) * 2009-10-07 2012-08-23 다우 아그로사이언시즈 엘엘씨 곡물에서 진균 방제를 위한 상승작용적 살진균성 혼합물
HUE038806T2 (hu) 2012-12-28 2018-11-28 Dow Agrosciences Llc Szinergisztikus fungicid keverékek gombás fertõzések megfékezésére gabonákban
US9247742B2 (en) * 2012-12-31 2016-02-02 Dow Agrosciences Llc Synergistic fungicidal compositions
US10455835B2 (en) * 2012-12-31 2019-10-29 Dow Agrosciences Llc Fungicidal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leaf spots in sugar beets
AR097314A1 (es) * 2013-07-10 2016-03-09 Meiji Seika Pharma Co Ltd Composiciones sinérgicas para el control de enfermedades en plantas, que comprenden derivados del ácido picolínico
US9439422B2 (en) * 2013-10-01 2016-09-13 Dow Agrosciences Llc Use of macrocyclic picolinamides as fungicides
WO2015100184A1 (en) 2013-12-26 2015-07-02 Dow Agrosciences Llc Use of macrocyclic picolinamides as fungicides
CN106061256A (zh) 2013-12-26 2016-10-26 美国陶氏益农公司 具有杀真菌活性的大环吡啶酰胺化合物
NZ720916A (en) 2013-12-31 2017-06-30 Dow Agrosciences Llc Synergistic fungicidal mixtures for fungal control in cereals
WO2015171408A1 (en) 2014-05-06 2015-11-12 Dow Agrosciences Llc Macrocyclic picolinamides as fungicides
BR112017000169A2 (pt) 2014-07-08 2017-10-31 Dow Agrosciences Llc picolinamidas macrocíclicas como fungicidas
TW201625577A (zh) 2014-07-08 2016-07-16 陶氏農業科學公司 作爲殺真菌劑之巨環吡啶醯胺(二)
US20160037774A1 (en) * 2014-08-08 2016-02-11 Dow Agrosciences Llc Synergistic fungicidal mixtures for fungal control in cereals
KR20170100547A (ko) 2014-12-30 2017-09-04 다우 아그로사이언시즈 엘엘씨 살진균 활성을 갖는 피콜린아미드
ES2927889T3 (es) * 2014-12-30 2022-11-11 Corteva Agriscience Llc Composiciones fungicidas
EP3240424B1 (en) 2014-12-30 2020-09-16 Dow AgroSciences LLC Use of picolinamide compounds as fungicides
KR20170100549A (ko) 2014-12-30 2017-09-04 다우 아그로사이언시즈 엘엘씨 살진균 활성을 갖는 피콜린아미드 화합물
MX2017008407A (es) 2014-12-30 2017-10-02 Dow Agrosciences Llc Compuestos de picolinamida con actividad fungicida.
WO2016109305A1 (en) 2014-12-30 2016-07-07 Dow Agrosciences Llc Use of picolinamides as fungicides
WO2016174042A1 (en) 2015-04-27 2016-11-03 BASF Agro B.V. Pesticidal compositions
EP3141118A1 (en) * 2015-09-14 2017-03-15 Bayer CropScience AG Compound combination for controlling control phytopathogenic harmful fungi
EP3397058B1 (en) * 2015-12-30 2020-10-21 Dow Agrosciences LLC Fungal control of white mold
WO2017194363A1 (en) * 2016-05-10 2017-11-16 Bayer Cropscience Aktiengesellschaft Compound combination for controlling phytopathogenic harmful fungi
EP3245872A1 (en) 2016-05-20 2017-11-22 BASF Agro B.V. Pesticidal compositions
US10173982B2 (en) 2016-08-30 2019-01-08 Dow Agrosciences Llc Picolinamides as fungicides
US10244754B2 (en) 2016-08-30 2019-04-02 Dow Agrosciences Llc Picolinamide N-oxide compounds with fungicidal activity
US10231452B2 (en) 2016-08-30 2019-03-19 Dow Agrosciences Llc Thiopicolinamide compounds with fungicidal activity
WO2018045010A1 (en) 2016-08-30 2018-03-08 Dow Agrosciences Llc Pyrido-1,3-oxazine-2,4-dione compounds with fungicidal activity
BR102018000183B1 (pt) 2017-01-05 2023-04-25 Dow Agrosciences Llc Picolinamidas, composição para controle de um patógeno fúngico, e método para controle e prevenção de um ataque por fungos em uma planta
TW201842851A (zh) 2017-05-02 2018-12-16 美商陶氏農業科學公司 用於穀類中的真菌防治之協同性混合物
TWI774760B (zh) * 2017-05-02 2022-08-21 美商科迪華農業科技有限責任公司 用於蔬菜中的真菌防治之協同性混合物
JP7112429B2 (ja) 2017-05-02 2022-08-03 コルテバ アグリサイエンス エルエルシー 芝草上の真菌疾患に対する殺菌剤としての非環式ピコリンアミド化合物の使用
TWI774761B (zh) * 2017-05-02 2022-08-21 美商科迪華農業科技有限責任公司 用於穀物中的真菌防治之協同性混合物
BR102019004480B1 (pt) 2018-03-08 2023-03-28 Dow Agrosciences Llc Picolinamidas como fungicidas
CN112867396B (zh) 2018-10-15 2023-04-11 美国陶氏益农公司 用于合成氧基吡啶酰胺的方法
CN114554848A (zh) 2019-10-18 2022-05-27 科迪华农业科技有限责任公司 用于合成吡啶酰胺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10777A1 (en) 2001-12-03 2004-06-10 Annis Gary David Quinazolinones and pyridinylpyrimidinones for controlling invertebrate pests
US20040192924A1 (en) 2001-10-23 2004-09-30 Meyer Kevin Gerald Derivatives of uk-2a
US20110082160A1 (en) * 2009-10-07 2011-04-07 Dow Agrosciences Llc Synergistic fungicidal mixtures for fungal control in cereals
US20110166109A1 (en) 2009-07-16 2011-07-07 Bayer Cropscience Ag Synergistic Active Compound Combinations Comprising Phenyltriazol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6038A (en) 1992-06-01 1994-01-04 American Cyanamid Company 1-aryl-3-(3,4-dihydro-4-oxo-3-quinazolinyl)urea fungicidal agents
MY115814A (en) * 1995-06-16 2003-09-30 Bayer Ip Gmbh Crop protection compositions
FR2827286A1 (fr) 2001-07-11 2003-01-17 Aventis Cropscience Sa Nouveaux composes fongicides
EP1563731A1 (en) * 2004-02-12 2005-08-17 Bayer CropScience S.A. Fung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a pyridylethylbenzamide derivative and a compound capable of inhibiting the ergosterol biosynthesis
DE102005057837A1 (de) 2005-12-03 2007-06-06 Bayer Cropscience Ag Fungizide Wirkstoffkombination
PL2555615T3 (pl) * 2010-02-19 2014-09-30 Dow Agrosciences Llc Synergistyczna herbicydowo/fungicydowa kompozycja zawierająca kwas 4-amino-3-chloro-6-(4-chloro-2-fluoro-3-metoksyfenylo)pirydyno-2-karboksylowy oraz fungicy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2924A1 (en) 2001-10-23 2004-09-30 Meyer Kevin Gerald Derivatives of uk-2a
US20040110777A1 (en) 2001-12-03 2004-06-10 Annis Gary David Quinazolinones and pyridinylpyrimidinones for controlling invertebrate pests
US20110166109A1 (en) 2009-07-16 2011-07-07 Bayer Cropscience Ag Synergistic Active Compound Combinations Comprising Phenyltriazoles
US20110082160A1 (en) * 2009-10-07 2011-04-07 Dow Agrosciences Llc Synergistic fungicidal mixtures for fungal control in cere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1504603B (en) 2016-11-30
DK2941126T3 (da) 2019-06-03
LT2941126T (lt) 2019-05-10
TW201431491A (zh) 2014-08-16
RU2687225C2 (ru) 2019-05-07
JP2018138593A (ja) 2018-09-06
JP6560619B2 (ja) 2019-08-14
ECSP15028116A (es) 2016-01-29
HK1217156A1 (zh) 2016-12-30
JP2016501912A (ja) 2016-01-21
US20140187590A1 (en) 2014-07-03
CL2015001842A1 (es) 2016-07-01
BR112015015659A2 (pt) 2017-07-11
KR20150103165A (ko) 2015-09-09
WO2014106259A1 (en) 2014-07-03
PH12015501496B1 (en) 2015-09-28
EP2941126B1 (en) 2019-03-13
MX369107B (es) 2019-10-29
AU2013369670A1 (en) 2015-07-09
AU2013369670B2 (en) 2017-05-18
IL239651B (en) 2018-07-31
TWI640248B (zh) 2018-11-11
NZ709309A (en) 2019-12-20
AR094367A1 (es) 2015-07-29
BR112015015659B1 (pt) 2020-06-23
PH12015501496A1 (en) 2015-09-28
US9750248B2 (en) 2017-09-05
EP2941126A1 (en) 2015-11-11
MX2015008567A (es) 2015-09-07
EP2941126A4 (en) 2016-07-20
IL239651A0 (en) 2015-08-31
CN105007738B (zh) 2017-07-04
CN105007738A (zh) 2015-10-28
UA116554C2 (uk) 2018-04-10
UY35254A (es) 2014-07-31
PL2941126T3 (pl) 2019-08-30
RU2015131823A (ru) 2017-02-03
CA2896242A1 (en) 2014-07-03
ES2727663T3 (es) 2019-10-17
HUE043708T2 (hu) 2019-09-30
CR20150339A (es)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363B1 (ko) 상승작용적 살진균 조성물
JP6352489B2 (ja) 穀類において真菌を制御するための相乗的殺真菌混合物
KR102148190B1 (ko) 곡류에서의 진균 방제를 위한 상승작용적 살진균 혼합물
JP5655080B2 (ja) 穀類において真菌を制御するための5−フルオロシトシンを含有する相乗的殺真菌組成物
KR102488258B1 (ko) 곡류에서의 진균 방제를 위한 상승작용적 살진균 혼합물
JP5683592B2 (ja) 穀類における菌類防除のための5−フルオロピリミジン誘導体を含有する相乗性殺菌剤組成物
JP7249958B2 (ja) 野菜における真菌制御のための相乗的な混合物
JP7249956B2 (ja) 穀類における真菌制御のための相乗的な混合物
KR102152067B1 (ko) 상승작용적 살진균 조성물
JP6407166B2 (ja) テンサイ褐斑病を防除するための殺真菌性組成物
MX2013006830A (es) Interacciones fungicidas sinergicas de aminopirimidinas y otros fungicidas.
HK1171747B (en) Synergistic fungicidal compositions containing a 5-fluoropyrimidine derivative for fungal control in cereals
HK1176303A (en) Synergistic fungicidal composition containing 5-fluorocytosine for fungal control in cereals
HK1174203B (en) Synergistic fungicidal mixtures for fungal control in cere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2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9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