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52545B1 -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 Google Patents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545B1
KR102152545B1 KR1020190158732A KR20190158732A KR102152545B1 KR 102152545 B1 KR102152545 B1 KR 102152545B1 KR 1020190158732 A KR1020190158732 A KR 1020190158732A KR 20190158732 A KR20190158732 A KR 20190158732A KR 102152545 B1 KR102152545 B1 KR 102152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opening
fire extinguishing
closing
ga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용진
Original Assignee
전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용진 filed Critical 전용진
Priority to KR1020190158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5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54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of highly inflammable material, e.g. light metals, petroleum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5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with two or more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1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controlled by a signal from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18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gases or vapours that do not support combustion, e.g. steam, carbon dioxid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18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gases or vapours that do not support combustion, e.g. steam, carbon dioxide
    • A62C99/0027Carbon dioxide extinguish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은, 목조건물의 화재감시구역에 위치하는 화재 감시기; 화재감시구역에 설치된 스프링클러; 화재감시구역에 위치하며, 소화 가스가 저장된 복수의 소화 탱크; 복수의 소화 탱크와 파이프라인에 의해 연결되며, 화재감시구역으로 설치되는 메인 소화 파이프; 메인 소화 파이프에 연결되며, 화재감시구역의 영역별로 배치되며 소화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이 있는 복수의 서브 소화 파이프; 파이프라인과 복수의 소화 탱크를 각각 연결하도록 복수의 소화 탱크에 각각 설치되며, 파이프라인 측으로 소화 가스의 유동을 단속하는 개폐수단; 화재감시구역의 물체 동작 혹은 음성을 감지하는 감지수단; 화재 감시기와 감지수단에서 신호를 받고 스프링클러와 개폐수단 중 어느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화재감시구역에 있는 창문에 설치되며 창문을 깨뜨리는 창문 브레이커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화재 감시기에서 화재 감지 신호를 전송받고, 감지수단에서 물체 동작 혹은 음성이 감지된 신호를 전송받으면 스프링클러를 작동시키며,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신호의 전송이 없으면 개폐수단을 작동시키되, 감지수단과 화재 감시기의 감지 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창문 브레이커를 작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Wooden Building Fire Protection System}
본 발명은 목조건물 주로 목조건물에 설치되어 목조건물의 화재를 방재하는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목조건물은 한옥, 목조주택, 목조빌딩 등과 같이 다양한 목재를 사용하여 지은 구조물로서, 건축물에 적합한 목재들을 공장에서 미리 가공하여 마련하고, 건축물을 올리기 위한 기초가 만들어진 장소에서 조립 작업이 가능하다.
목조건물은 나무를 사용하므로 친환경성을 갖고 나무 종류에 따라 인체에 유익한 물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철근 콘크리트 건물과 비교하여 지진에 강한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철근 콘크리트 건물을 대체할 수 있는 건물을 짓기 위한 방부 및 방염 처리된 고압축 고강도 목재가 개발되어 있으며, 유럽에서는 이를 사용하여 고층 건물을 지은 실례가 있다.
최근에는 방염 기술이 발달하여 화염에 노출된 상태에서도 외부 표면의 일부만 검게 그을리거나 타게 되며, 내부 심부의 일정 단면은 강도가 유지되는 목재가 개발되어 있으며, 목재빌딩의 건축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목조건물은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과 비교하여 재료의 특성상 화재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는 사실은 부인하기 어려우며, 이에 대비한 소방방재 시스템의 설치는 필수적이다.
철근 콘크리트 건물에 사용되는 소방방재 시스템은, 주로 소화수를 분사하는 스프링클러를 사용하므로, 소화 라인과 같은 시스템 자체의 하중에 의한 부하가 크고, 분사된 물이 목재에 흡수되므로 건축물에 구조적인 변형 및 약화를 초래하며, 배수와 내부 건조를 위한 별도의 설비를 배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목조건물에 적합하게 설치가 용이하며, 목재에 대한 수분 흡수가 적으므로 목조건물의 구조를 그대로 유지시키며, 복합 소화 및 경보 성능이 뛰어난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은, 목조건물의 화재감시구역에 위치하는 화재 감시기; 상기 화재감시구역에 설치된 스프링클러; 상기 화재감시구역에 위치하며, 소화 가스가 저장된 복수의 소화 탱크; 상기 복수의 소화 탱크와 파이프라인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화재감시구역으로 설치되는 메인 소화 파이프; 상기 메인 소화 파이프에 연결되며, 상기 화재감시구역의 영역별로 배치되며 소화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이 있는 복수의 서브 소화 파이프; 상기 파이프라인과 복수의 소화 탱크를 각각 연결하도록 상기 복수의 소화 탱크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라인 측으로 소화 가스의 유동을 단속하는 개폐수단; 상기 화재감시구역의 물체 동작 혹은 음성을 감지하는 감지수단; 상기 화재 감시기와 감지수단에서 신호를 받고 상기 스프링클러와 개폐수단 중 어느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화재감시구역에 있는 창문에 설치되며 창문을 깨뜨리는 창문 브레이커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감시기에서 화재 감지 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감지수단에서 물체 동작 혹은 음성이 감지된 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스프링클러를 작동시키며, 상기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신호의 전송이 없으면 상기 개폐수단을 작동시키되, 상기 감지수단과 상기 화재 감시기의 감지 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창문 브레이커를 작동시킨다.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복수의 소화 탱크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설치된 제1 개폐부; 상기 복수의 소화 탱크 중 다른 하나의 상부에 설치된 제2 개폐부; 및 상기 제1 개폐부와 제2 개폐부를 연결하는 작동연결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개폐부가 전기신호로 개방되며, 상기 제2 개폐부가 상기 제1 개폐부를 통과하는 소화 가스의 압력이 작용하는 작동연결라인에 의해 개방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소화 탱크의 소화 가스가 상기 메인 소화 파이프에서 합류되어 상기 서브 소화 파이프로 공급된다.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복수의 소화 탱크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서 상기 소화 탱크의 내부로 연결 설치되며 유체 통로가 마련된 제1 밸브 하우징; 상기 제1 밸브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밸브 하우징의 유체 통로를 개폐하는 제1 밸브체; 및 상기 제1 밸브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밸브체를 동작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개폐부는, 상기 복수의 소화 탱크 중 다른 하나의 상부에서 상기 소화 탱크의 내부로 연결 설치된 제2 밸브 하우징; 상기 제2 밸브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밸브 하우징의 유체 통로를 개폐하는 제2 밸브체; 및 상기 제2 밸브 하우징에서 상기 제2 밸브체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밸브체를 동작시키도록 상기 작동연결라인의 압력을 받는 플런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수단은, 적외선 촬영센서를 구비한 동작 감지부와, 소리센서를 구비한 음성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소화 탱크는 어느 하나는 아르곤 또는 질소 가스가 저장되며, 다른 하나는 이산화탄소가 저장되되, 상기 화재감시구역에 설치되며, 인체에 무해한 소화 약제를 분사시키는 소화 약제 분사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화 약제 분사기는, 상기 화재감시구역의 내벽에 결합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각도 조절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소화 약제가 저장된 약제통을 구비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전면부에 배치되며, 복수의 노즐 구멍이 형성된 분사판; 및 상기 약제통의 소화 약제가 분사되도록 상기 약제통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전자개폐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감시기의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화재 감지 신호에 의해 상기 전자개폐밸브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화재 감시기는 연기에 의한 공기 오염을 측정하는 복수의 가스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가스 센서에서 측정된 공기 오염이 호흡이 곤란한 일정 수준 이상이면 상기 창문 브레이커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은, 상기 화재 감시기의 화재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전송받는 소방방재 서버; 상기 소방방재 서버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화재 경보부; 상기 화재 경보부로부터 상기 화재 경보를 수신 알림하는 앱이 탑재된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화재 감시기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화재 경보를 직접 알림하는 비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창문 브레이커는, 강화 유리에 충격을 가해 강화 유리를 파괴하도록 마련된 파괴 부재를 구비한 전진 파괴부; 상기 전진 파괴부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전진 파괴부의 파괴 부재가 돌출되는 파괴 개구와 상기 파괴 개구의 반대 측에 위치하며 상기 전진 파괴부에 전진 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진 개구가 마련된 파괴 본체; 상기 파괴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파괴 부재가 상기 파괴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전진 파괴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내부 스프링; 및 상기 파괴 본체의 전진 개구 측에 연결되며, 상기 파괴 개구 측으로 전진 가스에 의한 전진 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압력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진 파괴부가 상기 압력 공급부의 전진 압력에 의해 상기 파괴 본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진 파괴부의 파괴 부재가 강화 유리에 대해 복수 접촉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파괴 본체는, 상기 파괴 개구에 연결되며, 상기 파괴 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이동 수용부; 상기 전진 개구에 연결되며, 상기 전진 파괴부의 전진력을 받는 후미부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전진 수용부; 및 상기 이동 수용부와 상기 전진 수용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진 파괴부의 회전을 안내하도록 상기 전진 파괴부에 접촉되는 나선 배치의 회전 안내 돌기가 마련된 회전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 공급부는, 상기 전진 개구에 상기 전진 가스를 제공하는 가스 용기; 상기 가스 용기와 상기 전진 개구를 연결하는 가스 파이프; 및 상기 가스 파이프 측으로 상기 전진 가스의 유동을 단속하도록 상기 가스 용기와 가스 파이프 사이에 위치하는 개폐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은, 목조건물에 적합하게 설치가 용이하며, 목재에 대한 수분 흡수가 적으므로 목조건물의 구조를 그대로 유지시키며, 복합 소화 및 경보 성능이 뛰어난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이 복층 목조건물에 설치된 층별 설치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층별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개폐수단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1의 창문 브레이커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도 2의 소화약제 소화기의 상세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들을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은, 목조건물(10)의 화재감시구역(20)에 위치하는 화재 감시기(100), 화재감시구역(20)에 설치된 스프링클러(110), 화재감시구역(20)에 위치하며 소화 가스가 저장된 복수의 소화 탱크(115, 116), 복수의 소화 탱크(115, 116)와 파이프라인에 의해 연결되며 화재감시구역(20)으로 설치되는 메인 소화 파이프(117), 메인 소화 파이프(117)에 연결되며 화재감시구역(20)의 영역별로 배치되며 소화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이 있는 복수의 서브 소화 파이프(118), 파이프라인과 복수의 소화 탱크(115, 116)를 각각 연결하도록 복수의 소화 탱크(115, 116)에 각각 설치되며 파이프라인 측으로 소화 가스의 유동을 단속하는 개폐수단(120), 화재감시구역(20)의 물체 동작 혹은 음성을 감지하는 감지수단(130), 화재 감시기(100)와 감지수단(130)에서 신호를 받고 스프링클러(110)와 개폐수단(120) 중 어느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35), 및 화재감시구역(20)에 있는 창문(30)에 설치되며 창문(30)을 깨뜨리는 창문 브레이커(140)를 포함한다.
화재 감시기(100)는 목조건물(10)의 화재감시구역(20)에 연기, 화염, 가스 등을 감지하여 화재 발생을 감시하도록 설치된 것으로서, 각각의 화재감시구역(20)에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화재 감시기(100)는 연기에 의한 공기 오염을 측정하는 복수의 가스 센서(101)를 더 포함한다. 가스 센서(101, 102)로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황 및 질소 산화물 등 화재에 의해 발생되는 유독 가스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목조건물(10)에서는 특히 나무를 많이 사용하게 되므로, 목재를 태우면서 나오는 가스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스프링클러(110)는 천정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도의 수관과 연결되어 별도의 부가적인 압력 없이 물을 분사할 수 있는 것으로서, 중심부에서 방사형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구성된 방사형 노즐(111)과 원거리까지 분사하도록 구성된 회전형 노즐(112)을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스프링클러(110)는 화재감시구역(20)에 사람이 있을 때 사용되며, 사람이 없을 때는 소화 탱크(115, 116)의 소화 가스가 사용된다.
소화 탱크(115, 116)는 복수로 메인 소화 파이프(117)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소화 탱크(115, 116)는 서로 다른 가스를 메인 소화 파이프(117) 측으로 공급하거나 같은 소화 가스를 공급할 수도 있다.
복수의 소화 탱크(115, 116) 중 어느 하나는 아르곤 또는 질소 가스가 저장되며, 다른 하나는 이산화탄소가 저장될 수 있다.
서브 소화 파이프(118)는 메인 소화 파이프(117)에 화재감시구역(20)으로 연장 배치된 것으로서, 소화 가스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들이 배열되어 있다.
서브 소화 파이프(118)의 노즐은 천정을 따른 수평 방향의 제1 노즐(118a), 수직 하방의 제2 노즐(118b), 및 경사 방향의 제3 노즐(118c)을 포함한 분사 방향이 고르게 설정된 것이다. 서브 소화 파이프(118)는 화재감시구역(20)의 넓이에 따라 복수의 라인으로 설치될 수 있다.
개폐수단(120)은 제어부(135)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것으로서, 소화 탱크(115, 116) 측에서 메인 소화 파이프(117) 측으로 소화 가스의 공급을 단속하도록 구성된다.
개폐수단(120)은 복수의 소화 탱크(115, 116) 중 한쪽 소화 탱크(115)의 상부에 설치된 제1 개폐부(121), 복수의 소화 탱크(115, 116) 중 다른 한쪽 소화 탱크(116)의 상부에 설치된 제2 개폐부(125), 및 제1 개폐부(121)와 제2 개폐부(125)를 연결하는 작동연결라인(129)을 포함한다.
제1 개폐부(121)가 전기신호로 개방되며, 제2 개폐부(125)가 제1 개폐부(121)를 통과하는 소화 가스의 압력이 작용하는 작동연결라인(129)에 의해 개방됨으로써 복수의 소화 탱크(115, 116)의 소화 가스가 메인 소화 파이프(117)에서 합류되어 서브 소화 파이프(118)로 공급된다.
제1 개폐부(121)는, 한쪽 소화 탱크(115)의 상부에서 소화 탱크(115)의 내부로 연결 설치되며 유체 통로가 마련된 제1 밸브 하우징(122), 제1 밸브 하우징(122)에 설치되며 제1 밸브 하우징(122)의 유체 통로를 개폐하는 제1 밸브체(123), 및 제1 밸브체(123)에 연결되어 제1 밸브체(123)를 동작시키는 솔레노이드(124)를 포함한다.
제2 개폐부(125)는, 다른 한쪽 소화 탱크(116)의 상부에서 소화 탱크(116)의 내부로 연결 설치된 제2 밸브 하우징(126), 제2 밸브 하우징(126)에 설치되며 제2 밸브 하우징(126)의 유체 통로를 개폐하는 제2 밸브체(127), 및 제2 밸브 하우징(126)에서 제2 밸브체(127)에 연결되어 제2 밸브체(127)를 동작시키도록 작동연결라인(129)의 압력을 받는 플런저(128)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수단(130)은 화재감시구역(20)에 사람이 있는지 감지하는 것으로서, 사람이 있을 때는 인체의 동작이나 음성이 있게 되므로, 동작과 음성의 감지에 의해 사람의 존재가 확인될 수 있다. 감지수단(130)으로는 인체의 감지를 적외선 촬영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감지수단(130)은, 적외선 촬영센서를 구비한 동작 감지부(131)와, 소리센서를 구비한 음성 감지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5)는 화재 감시기(100)에서 화재 감지 신호를 전송받고, 감지수단(130)에서 물체 동작 혹은 음성이 감지된 신호를 전송받으면 스프링클러(110)를 작동시키며, 감지수단(130)에서 감지된 신호의 전송이 없으면 개폐수단(120)을 작동시키되, 감지수단(130)과 화재 감시기(100)의 감지 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창문 브레이커(140)를 작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목조건물(10)의 화재감시구역(20)에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스프링클러(110)를 작동시켜 화재를 진압하고, 사람이 화재감시구역(20)에서 대피하면 개폐수단(120)에 의해 소화 탱크(115, 116)의 소화 가스를 사용한다.
화재는 순식간에 연기를 발생시켜 호흡을 곤란케 하며, 시야를 가리어 진압과 대피를 어렵게 만든다.
창문 브레이커(140)는 화재가 일정 시간 지속되어 연기 농도가 높아지기 전에 작동된다. 제어부(135)는 화재 감시기(100)에서 화재 감지가 일정 시간 유지되는 정도로서 화재 시간을 측정하고 창문 브레이커(1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35)는 복수의 가스 센서(101, 102)에서 측정된 공기 오염이 호흡이 곤란한 일정 수준 이상이면 창문 브레이커(1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35)는 화재 감시기(100)에서 화재 발생이 감지된 후 적어도 2분 내로 창문 브레이커(1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창문 브레이커(140)의 작동에 의해 창문(30) 유리가 깨지면서 연기가 배출될 수 있으며, 환기가 이루어지며 창문(30)을 통해서도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창문(30)에 강화 유리가 사용된 경우에는 인력으로 창문(30)을 깨기가 어려우므로, 창문 브레이커(140)의 설치는 대형 목조건물(10)에 필수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창문 브레이커(140)는 강화 유리에 충격을 가해 강화 유리를 파괴하도록 마련된 파괴 부재(142)를 구비한 전진 파괴부(141), 전진 파괴부(141)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전진 파괴부(141)의 파괴 부재(142)가 돌출되는 파괴 개구(151)와 파괴 개구(151)의 반대 측에 위치하며 전진 파괴부(141)에 전진 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진 개구(152)가 마련된 파괴 본체(150)를 포함한다.
파괴 본체(150)는 파괴 개구(151)에 연결되며 파괴 부재(142)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이동 수용부(153), 전진 개구(152)에 연결되며 전진 파괴부(141)의 전진력을 받는 후미부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전진 수용부(154), 및 이동 수용부(153)와 전진 수용부(154) 사이에 위치하며 전진 파괴부(141)의 회전을 안내하도록 전진 파괴부(141)에 접촉되는 나선 배치의 회전 안내 돌기(156)가 마련된 회전 안내부(155)를 포함한다.
창문 브레이커(140)는 파괴 본체(150)의 내부에 위치하며 파괴 부재(142)가 파괴 본체(15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전진 파괴부(141)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내부 스프링(157), 및 파괴 본체(150)의 전진 개구(152) 측에 연결되며 파괴 개구(151) 측으로 전진 가스에 의한 전진 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압력 공급부(160)를 포함한다.
압력 공급부(160)는 전진 개구(152)에 전진 가스를 제공하는 가스 용기(161), 가스 용기(161)와 전진 개구(152)를 연결하는 가스 파이프(162), 및 가스 파이프(162) 측으로 전진 가스의 유동을 단속하도록 가스 용기(161)와 가스 파이프(162) 사이에 위치하는 개폐 밸브(170)를 포함할 수 있다.
창문 브레이커(140)는 전진 파괴부(141)가 압력 공급부(160)의 전진 압력에 의해 파괴 본체(150)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전진 파괴부(141)의 파괴 부재(142)가 창문 유리에 대해 복수 접촉 구조로 마련됨으로써 창문 유리를 용이하게 파괴할 수 있다.
가스 용기(161)는 파괴 본체(150)에 가스 파이프(162)로 연결된다. 가스 파이프(162)는 추진 가스의 공급을 위한 파이프라인으로 고압에 견딜 수 있는 금속재의 관으로 마련된다.
개폐 밸브(170)는 가스 파이프(162) 측으로 추진 가스의 유동을 단속하도록 가스 용기(161)와 가스 파이프(162) 사이에 위치한다.
개폐 밸브(170)는 파괴 본체(150)에 있는 전진 파괴부(141)를 회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가스 파이프(162) 측으로 전진 가스의 유동을 허용한다.
개폐 밸브(170)는 밸브 몸체(171), 가스 밸브(174), 그리고 개폐 작동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몸체(171)는 가스 용기(161)와 가스 파이프(162)를 연결하며 개폐 유로(172)가 마련된 것이다.
가스 밸브(174)는 밸브 몸체(171)의 개폐 유로(172)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일 방향의 회전 위치에서 개폐 유로(172)를 연결하는 연결 유로(176)가 마련되며 타 방향의 회전 위치에서 개폐 유로(172)를 차단하는 밸브체(175)를 구비한 것이다.
개폐 작동부(180)는 가스 밸브(174)가 회전 가능하게 위치 고정되며 가스 밸브(174)의 회전을 위한 작동 원판(181)을 구비한 것이다.
개폐 밸브(170)는 가스 용기(161)와 가스 파이프(162)를 연결하는 밸브 몸체(171)의 개폐를 위한 작동 원판(181)에 회전 작동 자기력을 제공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하우징(182)이 결합된다. 작동 원판(181)은 솔레노이드 하우징(182)의 솔레노이드 코일(185)에 가해지는 전선의 전자기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개폐 밸브(170)는 전기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밸브체(175)가 회전 구동될 수 있으며, 밸브 몸체(171)의 개폐 유로(172)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개폐 밸브(170)의 자동 구현이 가능하므로, 작동 버튼, 관제 센터 또는 제어부(135)의 신호에 의해 파괴 부재(142)가 동작되어 유리창이 자동 파괴된다.
개폐 밸브(170)는 솔레노이드(124) 방식으로 구동되는 작동 원판(181)에 의해 밸브체(175)가 회전되고 밸브체(175)의 연결 유로(176)가 개폐 유로(172)와 동일 축선으로 배치됨에 따라 가스 파이프(162) 측으로 가스 용기(161)의 충전 가스의 유동을 허용한다.
충전 가스가 파괴 본체(150)의 피스톤 헤드(143)에 가해지면서 파괴 부재(142)가 파괴 개구(151)를 통해 회전되면서 돌출되며, 파괴 부재(142)에 접촉되는 강화 유리가 파괴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은, 화재감시구역(20)에 설치되며 인체에 무해한 소화 약제를 분사시키는 소화 약제 분사기(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화 약제 분사기(190)는 화재감시구역(20)의 내벽에 결합된 브라켓(191), 브라켓(191)에 각도 조절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소화 약제가 저장된 약제통(193)을 구비한 케이싱(192), 케이싱(192)의 전면부에 배치되며 복수의 노즐 구멍(195)이 형성된 분사판(194), 및 약제통(193)의 소화 약제가 분사되도록 약제통(193)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전자개폐밸브(196)를 포함한다.
제어부(135)는 화재 감시기(100)의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화재 감지 신호에 의해 전자개폐밸브(196)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약제통(193)의 소화 약제가 분사판(194)을 통해 분사되어 화염을 진화할 수 있다.
본 실시에 따른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은, 화재 감시기(100)의 화재 감지 신호를 제어부(135)를 통해 전송받는 소방방재 서버(200), 소방방재 서버(200)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화재 경보부(210), 화재 경보부(210)로부터 화재 경보를 수신 알림하는 앱이 탑재된 사용자 단말(220), 및 화재 감시기(10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단말에 화재 경보를 직접 알림하는 비컨(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소방방재 서버(200)는 화재 감시기(100)의 화재 감시 신호를 제어부(135)를 통해 전송받으며, 이를 화재 경보부(210)에 전송할 수 있다. 화재 경보부(210)는 화재 감시 신호가 수신되면 목조건물(10) 내부에 화재 경보를 울릴 수 있다.
사용자 단말(220)은 목조건물(10) 내에 있는 사람들이나 건물 관리자들이 소지하고 있는 것으로서, 화재 경보부(210)로부터 화재 발생을 알리는 신호를 받을 수 있다. 화재 경보부(210)에는 블루투스나 지그비 같은 근접 통신 모듈이 탑재된다.
사용자 단말(220)의 앱은 화재 경보를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을 진동시키거나 경보음을 내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화재 경보를 알릴 수 있다.
비컨(230)은 실질적으로 화재 경보부(210)의 근접 통신이 닿지 않는 목조건물(10)의 통신 사각지대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통신 사각지대에 있는 사람들은 비컨(230)을 통해 화재 경보를 수신할 수 있다.
비컨(230)은 화재 경보부(210)에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100: 화재 감시기 101: 가스 센서
110: 스프링클러 111: 방사형 노즐
112: 회전형 노즐 115, 116: 소화 탱크
117: 메인 소화 파이프 118: 서브 소화 파이프
118a: 제1 노즐 118b: 제2 노즐
118c: 제3 노즐 120: 개폐수단
121: 제1 개폐부 122: 제1 밸브 하우징
123: 제1 밸브체 124: 솔레노이드
125: 제2 개폐부 126: 제2 밸브 하우징
127: 제2 밸브체 128: 플런저
129: 작동연결라인 130: 감지수단
131: 동작 감지부 132: 음성 감지부
135: 제어부 140; 창문 브레이커
141: 전진 파괴부 142: 파괴 부재
143: 피스톤 헤드 150: 파괴 본체
151: 파괴 개구 152: 전진 개구
153: 이동 수용부 154: 전진 수용부
155: 회전 안내부 156: 회전 안내 돌기
157: 내부 스프링 160: 압력 공급부
161: 가스 용기 162: 가스 파이프
170: 개폐 밸브 171: 밸브 몸체
172: 개폐 유로 174: 가스 밸브
175: 밸브체 176: 연결 유로
180: 개폐 작동부 181: 작동 원판
182: 솔레노이드 하우징 185: 솔레노이드 코일
190: 소화 약제 분사기
191: 브라켓 192: 케이싱
193: 약제통 194: 분사판
195: 노즐 구멍 196: 전자개폐밸브
200: 소방방재 서버 210: 화재 경보부
220: 사용자 단말 230: 비컨

Claims (10)

  1. 목조건물의 화재감시구역에 위치하는 화재 감시기;
    상기 화재감시구역에 설치된 스프링클러;
    상기 화재감시구역에 위치하며, 소화 가스가 저장된 복수의 소화 탱크;
    상기 복수의 소화 탱크와 파이프라인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화재감시구역으로 설치되는 메인 소화 파이프;
    상기 메인 소화 파이프에 연결되며, 상기 화재감시구역의 영역별로 배치되며 소화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이 있는 복수의 서브 소화 파이프;
    상기 파이프라인과 복수의 소화 탱크를 각각 연결하도록 상기 복수의 소화 탱크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라인 측으로 소화 가스의 유동을 단속하는 개폐수단;
    상기 화재감시구역의 물체 동작 혹은 음성을 감지하는 감지수단;
    상기 화재 감시기와 감지수단에서 신호를 받고 상기 스프링클러와 개폐수단 중 어느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화재감시구역에 있는 창문에 설치되며 창문을 깨뜨리는 창문 브레이커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감시기에서 화재 감지 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감지수단에서 물체 동작 혹은 음성이 감지된 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스프링클러를 작동시키며, 상기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신호의 전송이 없으면 상기 개폐수단을 작동시키되, 상기 감지수단과 상기 화재 감시기의 감지 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창문 브레이커를 작동시키며,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복수의 소화 탱크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설치된 제1 개폐부;
    상기 복수의 소화 탱크 중 다른 하나의 상부에 설치된 제2 개폐부; 및
    상기 제1 개폐부와 제2 개폐부를 연결하는 작동연결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개폐부가 전기신호로 개방되며, 상기 제2 개폐부가 상기 제1 개폐부를 통과하는 소화 가스의 압력이 작용하는 작동연결라인에 의해 개방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소화 탱크의 소화 가스가 상기 메인 소화 파이프에서 합류되어 상기 서브 소화 파이프로 공급되는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복수의 소화 탱크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서 상기 소화 탱크의 내부로 연결 설치되며 유체 통로가 마련된 제1 밸브 하우징;
    상기 제1 밸브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밸브 하우징의 유체 통로를 개폐하는 제1 밸브체; 및
    상기 제1 밸브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밸브체를 동작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개폐부는,
    상기 복수의 소화 탱크 중 다른 하나의 상부에서 상기 소화 탱크의 내부로 연결 설치된 제2 밸브 하우징;
    상기 제2 밸브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밸브 하우징의 유체 통로를 개폐하는 제2 밸브체; 및
    상기 제2 밸브 하우징에서 상기 제2 밸브체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밸브체를 동작시키도록 상기 작동연결라인의 압력을 받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적외선 촬영센서를 구비한 동작 감지부와, 소리센서를 구비한 음성 감지부를 포함하는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화 탱크는 어느 하나는 아르곤 또는 질소 가스가 저장되며, 다른 하나는 이산화탄소가 저장되되,
    상기 화재감시구역에 설치되며, 인체에 무해한 소화 약제를 분사시키는 소화 약제 분사기를 더 포함하는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 약제 분사기는,
    상기 화재감시구역의 내벽에 결합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각도 조절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소화 약제가 저장된 약제통을 구비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전면부에 배치되며, 복수의 노즐 구멍이 형성된 분사판; 및
    상기 약제통의 소화 약제가 분사되도록 상기 약제통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전자개폐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감시기의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화재 감지 신호에 의해 상기 전자개폐밸브를 작동시키는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시기는 연기에 의한 공기 오염을 측정하는 복수의 가스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가스 센서에서 측정된 공기 오염이 호흡이 곤란한 일정 수준 이상이면 상기 창문 브레이커를 작동시키는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시기의 화재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전송받는 소방방재 서버;
    상기 소방방재 서버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화재 경보부;
    상기 화재 경보부로부터 상기 화재 경보를 수신 알림하는 앱이 탑재된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화재 감시기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화재 경보를 직접 알림하는 비컨을 포함하는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 브레이커는,
    강화 유리에 충격을 가해 강화 유리를 파괴하도록 마련된 파괴 부재를 구비한 전진 파괴부;
    상기 전진 파괴부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전진 파괴부의 파괴 부재가 돌출되는 파괴 개구와 상기 파괴 개구의 반대 측에 위치하며 상기 전진 파괴부에 전진 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진 개구가 마련된 파괴 본체;
    상기 파괴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파괴 부재가 상기 파괴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전진 파괴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내부 스프링; 및
    상기 파괴 본체의 전진 개구 측에 연결되며, 상기 파괴 개구 측으로 전진 가스에 의한 전진 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압력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진 파괴부가 상기 압력 공급부의 전진 압력에 의해 상기 파괴 본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진 파괴부의 파괴 부재가 강화 유리에 대해 복수 접촉 구조로 마련되는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 본체는,
    상기 파괴 개구에 연결되며, 상기 파괴 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이동 수용부;
    상기 전진 개구에 연결되며, 상기 전진 파괴부의 전진력을 받는 후미부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전진 수용부; 및
    상기 이동 수용부와 상기 전진 수용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진 파괴부의 회전을 안내하도록 상기 전진 파괴부에 접촉되는 나선 배치의 회전 안내 돌기가 마련된 회전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 공급부는,
    상기 전진 개구에 상기 전진 가스를 제공하는 가스 용기;
    상기 가스 용기와 상기 전진 개구를 연결하는 가스 파이프; 및
    상기 가스 파이프 측으로 상기 전진 가스의 유동을 단속하도록 상기 가스 용기와 가스 파이프 사이에 위치하는 개폐 밸브를 포함하는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KR1020190158732A 2019-12-03 2019-12-03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Active KR102152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732A KR102152545B1 (ko) 2019-12-03 2019-12-03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732A KR102152545B1 (ko) 2019-12-03 2019-12-03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545B1 true KR102152545B1 (ko) 2020-09-07

Family

ID=72472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732A Active KR102152545B1 (ko) 2019-12-03 2019-12-03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54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560B1 (ko) * 2020-09-29 2021-02-09 창전이앤시 주식회사 도로터널내 졸음방지장치
KR102249119B1 (ko) * 2021-01-12 2021-05-07 (주)세정이에프씨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102334522B1 (ko) * 2021-03-19 2021-12-03 (주)동남종합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소방용 스프링클러 설비
KR20220038928A (ko) * 2020-09-21 2022-03-29 주식회사 동양기술 가스 분사장치
KR102552605B1 (ko) * 2022-07-14 2023-07-07 (주)대진소방이엔씨 건축물용 안전형 제연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384B1 (ko) * 2009-08-05 2010-01-13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목조문화재용 미분무 소화설비
KR101436471B1 (ko) * 2013-05-03 2014-09-0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질식사고를 방지하는 이산화탄소 안전 소화설비 및 이산화탄소 안전 소화방법
KR20170028680A (ko) * 2015-09-04 2017-03-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화재 방재시스템 및 방법
KR101891516B1 (ko) * 2017-07-12 2018-08-24 최민수 강화 유리 자동 파괴 장치
KR101909411B1 (ko) * 2018-02-13 2018-10-17 배제순 비상탈출용 유리파괴장치
KR101993606B1 (ko) * 2018-11-15 2019-06-27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소화가스 및 스프링클러 겸용 분사헤드 및 이를 이용한 소화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384B1 (ko) * 2009-08-05 2010-01-13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목조문화재용 미분무 소화설비
KR101436471B1 (ko) * 2013-05-03 2014-09-0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질식사고를 방지하는 이산화탄소 안전 소화설비 및 이산화탄소 안전 소화방법
KR20170028680A (ko) * 2015-09-04 2017-03-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화재 방재시스템 및 방법
KR101891516B1 (ko) * 2017-07-12 2018-08-24 최민수 강화 유리 자동 파괴 장치
KR101909411B1 (ko) * 2018-02-13 2018-10-17 배제순 비상탈출용 유리파괴장치
KR101993606B1 (ko) * 2018-11-15 2019-06-27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소화가스 및 스프링클러 겸용 분사헤드 및 이를 이용한 소화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8928A (ko) * 2020-09-21 2022-03-29 주식회사 동양기술 가스 분사장치
KR102479961B1 (ko) * 2020-09-21 2022-12-21 주식회사 동양기술 가스 분사장치
KR102214560B1 (ko) * 2020-09-29 2021-02-09 창전이앤시 주식회사 도로터널내 졸음방지장치
KR102249119B1 (ko) * 2021-01-12 2021-05-07 (주)세정이에프씨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102334522B1 (ko) * 2021-03-19 2021-12-03 (주)동남종합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소방용 스프링클러 설비
KR102552605B1 (ko) * 2022-07-14 2023-07-07 (주)대진소방이엔씨 건축물용 안전형 제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2545B1 (ko)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KR102063304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물 안전장치
KR101062239B1 (ko) 천정 부착 타입형 자동소화장치
KR101761721B1 (ko)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KR102168693B1 (ko) 실내용 화재감지 시스템
CN101485926B (zh) 一种消防烟雾报警与自动喷淋联动系统及其工作方法
KR102217553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물 안전장치
CN207701032U (zh) 一种消防窗
KR102226529B1 (ko)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장치
KR20200044213A (ko)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안전관리시스템
KR102402164B1 (ko) 건축물용 초기화재 진압설비
CN201244311Y (zh) 一种用于物流仓储场地的消防烟雾报警与自动喷淋联动系统
KR102137400B1 (ko) 방화 및 방연 시스템
KR102073356B1 (ko)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KR101993606B1 (ko) 소화가스 및 스프링클러 겸용 분사헤드 및 이를 이용한 소화시스템
KR100566486B1 (ko) 화재 진화 방법 및 장치
KR102349411B1 (ko) 건물 화재 진압시스템
CN211647889U (zh) 一种智能消防防火门
JPH10118214A (ja) ウォーターミストを利用した消火、消煙方法及びその装置
KR102723054B1 (ko) 건축물용 안전형 제연기능 탑재 소방장치
JP4107458B2 (ja) 消火用設備
CN209771146U (zh) 一种带红外和氧气监测的文物古建筑自动气体灭火系统
KR100587475B1 (ko) 방화문을 이용한 연소가스 차폐장치
KR102723056B1 (ko) 신속화재진압을 위한 안전기능 탑재 소방장치
KR102627402B1 (ko) 주변기기 연동이 가능한 IoT 스마트 스프링클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8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