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396B1 - The structure to extend the length for penetration of prestressed concrete pole and the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The structure to extend the length for penetration of prestressed concrete pole and the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2396B1 KR102152396B1 KR1020180160597A KR20180160597A KR102152396B1 KR 102152396 B1 KR102152396 B1 KR 102152396B1 KR 1020180160597 A KR1020180160597 A KR 1020180160597A KR 20180160597 A KR20180160597 A KR 20180160597A KR 102152396 B1 KR102152396 B1 KR 1021523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pper structure
- pole
- concrete
- depth
- lengt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513 prestressed concrete Substances 0.000 title 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72 high-strength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24 Flood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92—Holders used for protection, repair or reinforcement of the post or po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 B28B23/18—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for the production of elongated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 B28B23/2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the shap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or rotational mould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1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s, e.g. with metal coverings, with permanent form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전주의 하단부에 부착하여 전주의 근입 깊이를 충분히 확보하여 전주의 전도 안전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콘크리트 전주 근입 깊이 보강을 위한 길이연장 복합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전주의 지지력 증대와 침하는 방지하는 하부구조물과,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구조물 상부에 고정결합하며, 내부에 상기 전주가 삽입되어 상기 전주의 근입 깊이를 보강하는 상부구조물 및 상기 상부구조물에 삽입된 상기 전주를 고정하는 쐐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gth extension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depth of the concrete pole in order to increase the overturning safety of the pole by attaching it to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pole, and in more detail, it is made in a column shape. A lower structure that increases the supporting power of the pole and prevents it from sinking, and the upper structure that is formed in a column shape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lower structure, and the pole is inserted into the upper structure to reinforce the proximal depth of the pole and inserted into the upper structur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edge member for fixing the electric pole.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전주의 하단부에 부착하여 전주의 근입 깊이를 충분히 확보하여 전주의 수평지지력 및 전도 안전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콘크리트 전주 근입 깊이 보강을 위한 길이연장 복합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gth extension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depth of the concrete pole in order to increase the horizontal bearing capacity and the safety of the electric pole by attaching to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pole to secure the depth of the pole.
최근 통신망의 발달로 인해 조가선이 늘어나고, 태풍, 호우, 홍수 같은 자연재해로 인해 전주에 가해지는 하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토사의 유실에 따른 지반의 약화로 전주의 전도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전주의 수평지지력 및 전도 안전성 확보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networks, the number of ships has increased, the load on the pole is constantly increasing due to natural disasters such as typhoons, heavy rains, and floods, and overturning accidents are frequently occurring due to the weakening of the ground due to the loss of soil. In addition, the demand for securing horizontal bearing capacity and overturning safety of poles is constantly increasing.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전주는 완만한 구배를 갖는 원기둥 형태로서, 화물운송조건을 고려하여 10m에서 최대 16m의 길이로 제작되고 있다.In general, concrete poles are in the shape of a cylinder with a gentle gradient, and are manufactured in lengths from 10m to maximum 16m in consideration of cargo transportation conditions.
이러한 전주는 원형구덩이 굴착에 의하여 건주하게 되는데 이때 전주 근입 깊이는 전주에 가해지는 하중 및 토질의 상태에 따라 다양하며,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길이 16m의 고강도 콘크리트 전주의 근입 깊이는 2.8m로 규정되어 있다.These poles are built by excavation of a circular pit.At this time, the depth of the poles is varied depending on the load applied to the poles and the condition of the soil, and the depth of the high-strength concrete poles of 16m length generally used in Korea is 2.8m. Has been.
상술한 바와 같이 16m 고강도 콘크리트전주의 근입 깊이는 2.8m로 규정되어 있으나, 모래토질 및 수분이 많은 점토 등 연약지반이나 경사지의 경우 전주의 지지력 및 전도 안전율을 확보하기 위하여 최대 1m의 추가 근입을 가산하여 시공하여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epth of penetration of the 16m high-strength concrete pole is defined as 2.8m, but in the case of soft ground or slopes such as sandy soil and clay with a lot of moisture, an additional depth of 1m is added to secure the support of the pole and the safety rate of fall. Must be constructed.
그러나, 최대 16m로 규정되어 있는 콘크리트 전주(10)의 길이를 감안하여 지반에 설치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전주(10)를 기존 2.8m에서 3.8m로 깊게 근입할 경우, 해당 전주(10)의 편차길이(Ha)로 인해 전력선 또한 지상 높이가 낮아질 수밖에 없어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아지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점를 가지고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installing on the ground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 of th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주의 길이를 17m 이상으로 길게 할 경우 운송 문제로 사용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전주 건주시 충분한 근입깊이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주가 근입되는 지반에 전주근가를 설치하거나, 지선 및 지주를 추가 시공하여 전주의 전도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f the length of the pole is longer than 17m, the use of the pole is bound to be limited due to transportation problems. Therefore, when it is not possible to secure a sufficient depth of penetration in the construction of Jeonju, as shown in FIG. 2, the Jeonju construction is secured by installing the Jeonju near the ground, or by additionally constructing a branch line and a pillar.
그러나, 전주 근가의 경우 연약지반에서는 큰 효과를 얻을 수 없는 실정이며, 지선 및 지주를 통한 지지력 확보 방안의 경우 시공비용의 증가 및 협소한 시공현장에서 추가적인 공간 확보가 어려운 경우가 많아 시공 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near Jeonju, a large effect cannot be obtained on soft ground, and in the case of securing support through branch lines and posts, it is often difficult to increase construction cost and secure additional space in a narrow construction site. Have.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주의 하단부에 부착되되 전주의 길이를 연장하여 근입 깊이를 확보하고, 지선과 지주를 대체하여 전주의 수평지지력 및 전도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확장형 근가를 구비한 콘크리트 전주의 길이 연장 복합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 the extension type root cost that is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pole, but extends the length of the pole to secure the depth of infeed, and replaces the branch line and the pole, can increase the horizontal support and the safety of the felling of the pol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omposite structure that extends the length of the equipped concrete pole.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전주 근입 깊이 보강을 위한 길이연장 복합구조물은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전주의 지지력 증대와 침하를 방지하는 하부구조물과,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구조물 상부에 고정결합하며, 내부에 상기 전주가 삽입되어 상기 전주의 근입 깊이를 보강하는 상부구조물 및 상기 상부구조물에 삽입된 상기 전주를 고정하는 쐐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length-extending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depth of proximal to a concrete p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column shape, but consists of a lower structure that increases the supporting power of the pole and prevents settling, and a column shape. It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ic pole is inserted into the upper structure to reinforce the proximal depth of the electric pole, and a wedge member for fixing the electric pole inserted into the upper structure.
또한 상기 하부구조물은 다수의 PC강선으로 이루어진 철근구조물에 의해 기둥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structure can maintain the column shape by a reinforced structure made of a plurality of PC steel wires.
또한 상기 하부구조물 하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형의 근가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구조물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생에 의해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circular approximate body protruding outwardly, and the lower structure is preferably formed by curing the concrete structure.
또한 상기 상부구조물은 하부에 하방으로 다수 연장형성되되 상기 하부구조물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양생되어 상기 상부구조물과 상기 하부구조물의 부착력을 향상시키는 부착돌기, 상기 상부구조물 내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전주 외면과 접촉하여 삽입되는 상기 전주가 상기 상부구조물 중심에 위치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돌기, 상기 상부구조물에 상기 전주가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pper structure is formed to extend downwardly in the lower part, but is cured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lower structure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upper structure and the lower structure, the attachment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guide protrusion for guiding the electric pole inserted in contact with to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tructure, and a support means supported on the ground so that the electric pole can be stably inserted into the upper structure.
또한 상기 지지수단은 봉이나 바(BAR) 형상으로 소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지면에 지지되어 상기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지봉, 상기 상부구조물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되 그 내부에 상기 지지봉이 삽입되어 상기 상부구조물이 해당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삽입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pport means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shape of a bar or a bar, and is supported on the ground to support the upper structure, and at least one or more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is formed, and the support bar is inserted therei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insertion piece provided so that the upper structure can be supported on the corresponding ground.
또한 상기 쐐기부재는 두 분체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구조물에 링 형상을 갖도록 결합하되 상기 상부구조물 상단에 안착하는 플랜지가 형성된 한 쌍의 안착몸체, 각각의 상기 안착몸체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상부구조물 내면과 상기 전주 외면 사이에 끼움 결합하여 상기 상부구조물 내부에 삽입된 상기 전주를 쐐기방식으로 고정하는 쐐기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edge member is composed of two powders and is coupled to the upper structure to have a ring shape, but a pair of seating bodies having a flange seated on the upper structure of the upper structure, and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each of the seating bodies, the upper structur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wedge body that is fitted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to fix the electric pole inserted into the upper structure in a wedge manner.
또한 상기 플랜지 외경은 상기 상부구조물의 외경과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에는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상부구조물의 제1관통공이 형성된 체결편과 고정 결합하기 위한 제1결합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uter diameter of the flange is formed equal to o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structure, and the flange is preferably formed with a first coupling hole for fixedly coupling with a fastening piece in which the first through hole of the upper structure is formed by a fastening means.
또한 상기 쐐기체는 상기 안착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호(弧) 형상으로 갖도록 돌출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안착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호(弧) 형상을 갖도록 다수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edge body is preferably formed to protrude to have an arc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ing body, or to have a plurality of protrusions to have an arc shap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ing body.
또한 상기 쐐기체는 상기 상부구조물에 형성된 제2관통공과 대향되되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상부구조물과 상기 안착몸체가 고정 결합하기 위한 제2결합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edge body is opposed to the second through hole formed in the upper structure, and a second coupling hole for fixing the upper structure and the seating body is formed by a fastening means.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콘크리트 재질을 이용하여 소정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하부구조물, 상기 하부구조물 상부에 고정 결합하되 그 내부에 전주가 소정 깊이로 삽입되는 상부구조물 및 상기 상부구조물에 삽입된 전주 사이에 쐐기부재의 구성들을 통해 굴착된 토설공에 삽입되는 해당 전주의 근입 깊이를 확보함과 더불어, 지반의 성질에 따라 상기 하부구조물 하부에 형성되는 원형의 근가체를 이용하여 전주의 수평지지력 및 전도 안정성 증대와 지선과 지주를 대체하여 시공 비용의 절감 및 시공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ower structu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using a concrete material differently from the prior art, an upper structure that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tructure, but the electric pole is inserted to a predetermined depth therein, and the upper structure inserted into the upper structure. In addition to securing the depth of penetration of the corresponding pole inserted into the excavated earth hole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e wedge member between the poles, the horizontal support of the poles using a circular rough body formed under the low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ground And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nduction stability and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and providing convenience of construction by replacing the branch line and the support.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전주체 설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전주 근입 깊이 보강을 위한 길이연장 복합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대한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전주 근입 깊이 보강을 위한 길이연장 복합구조물의 하부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전주 근입 깊이 보강을 위한 길이연장 복합구조물의 상부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 대한 지지수단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전주 근입 깊이 보강을 위한 길이연장 복합구조물의 쐐기부재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대한 쐐기부재와 상부구조물의 결합 관계도.
도 10은 도 8에 대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전주 근입 깊이 보강을 위한 길이연장 복합구조물의 쐐기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
도 12는 도 11에 대한 평면도.
도 13은 도 11에 대한 결합 관계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전주 근입 깊이 보강을 위한 길이연장 복합구조물의 쐐기부재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
도 15는 도 14에 대한 평면도.
도 16은 도 14에 대한 결합 관계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전주 근입 깊이 보강을 위한 길이연장 복합구조물의 사용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전주 근입 깊이 보강을 위한 길이연장 복합구조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9 내지 도 22는 도 18에 대한 금형을 이용하여 상부구조물과 결합한 하부구조물의 성형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전주 근입 깊이 보강을 위한 길이연장 복합구조물의 제조방법의 금형에 대한 다른 실시예.1 and 2 are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electric pole installa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length extension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depth of the concrete pol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view of Figure 3;
5 is a view showing a lower structure of a length-extended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depth of the concrete p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upper structure of the length-extended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depth of the concrete pol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tate of use of the support means for Figure 6.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edge member of the length extension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depth of the concrete pol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wedge member and the upper structure of FIG. 8;
Fig. 10 is a plan view of Fig. 8;
11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wedge member of the length-extended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depth of the concrete pol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of FIG. 11;
Fig. 13 is a diagram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with Fig. 11;
14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wedge member of the length-extended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depth of the concrete p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lan view of FIG. 14;
Fig. 16 is a diagram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with Fig. 14;
Figure 17 is a state of use of the length extension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depth of the concrete pol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ength-extended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depth of the concrete pol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19 to 22 are diagrams illustrating step-by-step molding of a lower structure combined with an upper structure using the mold of FIG. 18;
23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mold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ength-extended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depth of the proximal to the concrete p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전주 근입 깊이 보강을 위한 길이연장 복합구조물(이하 간략하게 '복합구조물'이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length extension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depth of proximal penetration of a concrete p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composit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구조물은 크게 하부구조물(100), 상부구조물(200) 및 쐐기부재(300)를 포함한다.First,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composi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부구조물(1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설된 지면에 전주(E/P)를 삽입시에 해당 전주(E/P)의 지지력을 증대하고, 침하는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하부구조물(100)은 후술하는 금형(20)에 투입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생에 의해 기둥형상으로 성형되며, 그 내부에는 일반적인 철근구조물(110)에 의해 골격을 형성하여 기둥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도 21 및 도 22 참조).The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생에 의해 성형되는 하부구조물(100)은 상부구조물(200)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부착돌기(210)가 삽입된 상태로 양생이 이루어져 상기 상부구조물(200)과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The
하부구조물(100) 하부 외면에는 그 지름을 서로 달리하는 원형의 근가체(120)가 외측 방향으로 더 돌출형성되어 상부구조물(200)에 삽입되어 토설공에 삽입된 전주(E/P)의 지지력 향상 및 그 접촉면적의 증대에 의한 침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그리고, 상부구조물(200)은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한 하부구조물(100) 상부에 고정결합하되 그 내부에 전주(E/P)가 삽입되어 상기 하부구조물(100)과 함께 해당 전주(E/P)의 근입 깊이를 보강하기 위한 구성이다.In addition, the
상부구조물(200)은 금속재질의 강관(steel pipe)으로 성형되어 그 내부에 전주(E/P) 하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상부구조물(200)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착돌기(210)가 돌출 형성되어 하부구조물(100)과 고정 결합이 용이하도록 한다.The
여기서, 부착돌기(210)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구조물(200) 하부에 방사상으로 다수 하방으로 길이를 갖도록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돌기(210)는 양생되는 하부구조물(100)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구조물(200)과 상기 하부구조물(100)이 서로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이때, 부착돌기(210) 하부는 상부구조물(200)과 하부구조물(100)의 결합력을 증대하기 위해 소정각도로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강관 형태의 상부구조물(200)의 내면에는 삽입된 전주(E/P)가 상기 상부구조물(200)의 중심에 위치하여 삽입될 수 있게 안내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안내돌기(220)가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On the inner surface of the steel pipe-shaped
한편, 상부구조물(200) 외면에는 그 내부에 전주(E/P)가 삽입시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23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수단(230)은 지지봉(231) 및 삽입편(233)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surface of the
지지봉(231)은 소정길이를 갖는 봉이나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길이는 토설공의 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해당 토설공 내부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구조물을 삽입하기 이전에 지상에서 상부구조물(200)이 해당 토설공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The
삽입편(233)은 상부구조물(200) 외면에 복수의 구성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토설공 외부에 지지된 지지봉(231)이 삽입되어 상부구조물(200)이 지상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The
이때, 삽입편(233)은 지지봉(231)이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상부구조물(200)이 거치될 수 있게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그리고, 상기 쐐기부재(300)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부구조물(200) 내부에 삽입된 전주(E/P)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안착몸체(310) 및 쐐기체(320-1,320-2)를 포함한다.And, the
안착몸체(310)는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몸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외면에는 상부구조물(200) 상단에 안착하기 위한 플랜지(311)가 형성된다.The
이때, 플랜지(31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구조물(200)의 외경과 동일한 지름을 갖도록 형성하여 안착몸체(310)가 상기 상부구조물(200) 상단에 안착하도록 하거나 상기 플랜지(311)의 외경을 상기 상부구조물(200)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상기 플랜지(311)가 근가체(12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1 내지 도 13 참조).At this time, the
아울러 플랜지(311)에는 볼트나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P)에 의해 상부구조물(200)과 고정결합하기 위한 제1결합공(313)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구조물(200) 역시, 상기 제1결합공(313)과 대향되는 위치에 제1관통공(241)이 천공형성되어 상기 체결수단(P)에 의해 안착몸체(310)와 상기 상부구조물(200)이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도 10 및 도 12 참조)In addition, the
쐐기체(320-1,320-2)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안착몸체(310) 하부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되 상부구조물(200) 내면과 상기 상부구조물(200)에 삽입된 전주(E/P) 외면 사이에 쐐기방식으로 끼움 결합하여 상기 상부구조물(200)과 상기 전주(E/P) 간의 고정력을 극대화한다(도 7 참조).The wedge body (320-1, 320-2) is formed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ing body (310) consisting of a pair,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20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E/P) inserted into the upper structure (200) The fixing force between the
이때, 쐐기체(320-2)는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안착몸체(310)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의 유닛으로 호(弧) 형상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거나 각각의 상기 안착몸체(310)에 서로 이웃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부구조물(200)과 전주(E/P) 사이에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쐐기체(320-1)의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4 참조).At this time, the wedge body 320-2 is formed protruding to have an arc shape as one unit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each
아울러 쐐기체(320-2)는 필요에 따라, 상술한 제1결합공(313)과 동일 효과를 갖도록 하기 위한 제2결합공(3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결합공(321)과 대향되는 위치의 상부구조물(200) 역시, 체결수단(P)이 관통 삽입되기 위한 제2관통공(250)이 형성된다(도 15 및 도 16 참조).In addition, the wedge body 320-2 may be provided with a
하기에는 상술한 복합구조물의 구성을 토대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전주 근입 깊이 보강을 위한 길이연장 복합구조물 제조방법이하, 간략하게 '제조방법'이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ength-extended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depth of protrusion of a concrete p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ased on the configuration of the composite structure described above. .
설명에 앞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크게 1)쐐기부재를 성형하는 단계(S100), 2)상부구조물을 성형하는 단계(S200), 3)철근구조물을 성형하는 단계(S300), 4)하부금형(23)에 상부구조물과 철근구조물을 삽입하는 단계(S400), 5)하부금형에 콘크리트를 투입하는 단계(S500), 6)금형을 회전시켜 상부구조물이 고정 설치된 하부구조물을 성형하는 단계(S600) 및 7)하부구조물을 탈형하는 단계(S700)를 포함하며, 이하에는 이와 같은 제조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as shown in FIG. 18,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1) forming a wedge member (S100), 2) forming an upper structure (S200), 3) forming a reinforcing bar structure Step (S300), 4) Inserting the upper structure and the reinforced structure into the lower mold (23) (S400), 5) Injecting concrete into the lower mold (S500), 6) Rotating the mold to make the upper structure It includes a step (S600) of forming the fixedly installed substructure (S600) and a step (S700) of demolding the substructure (S700), and the following manufacturing metho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금형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안착몸체(310)와 상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이루어진 쐐기체(320-1,320-2)를 포함하는 쐐기부재(300)를 금속재질로 성형하며, 해당 쐐기체(320-1,320-2)의 성형 기준은 전주(10)를 지면에 설치하고자 하는 작업자나 관리자의 권한에 의해 그 지반의 성질에 따라 선택하여 성형할 수 있도록 한다.First,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edge member including a
그 다음, 다른 금형수단을 이용하여 안내돌기(220)와 부착돌기(210)를 포함하는 상부구조물(200)을 강관형상으로 성형한다.Then, the
상부구조물(200)의 높이는 전주(E/P)나 지반의 성질에 따라 그 높이를 달리하여 성형할 수 있도록 한다(도 13 참조).The height of the
아울러 부착돌기(210)는 상부구조물(200)의 높이와 대비되는 길이를 갖도록 상기 상부구조물(200) 하면에 하방으로 다수 돌출형성되어 하부구조물(100)와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그 다음,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구조물(100)의 골격을 이루는 철근구조물(110)을 성형하되 상기 철근구조물(110)은 방사상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철근 및 이들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나선방향으로 감겨지는 나선철주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Then, as shown in FIG. 19, the reinforcing
그 다음,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금형(21)이 탈거된 하부금형(23) 내부에 전 단계에서 미리 성형한 상부구조물(200)과 철근구조물(110)을 함께 삽입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20, the
이때, 상부구조물(200) 하부에 돌출형성된 각각의 부착돌기(210)는 철근구조물(110) 내부로 그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금형(23) 내부에 구비되어 하부구조물(100)를 성형시에 상기 부착돌기(210)에 의해 상부구조물(200)와 용이하게 서로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each
아울러 철근구조물(110)과 상부구조물(200)이 삽입되어 상기 상부구조물(200)이 결합한 하부구조물(100)이 성형되는 성형공간부(27)가 상부금형(21) 내부를 포함한 하부금형(23)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성형공간부(27)는 격벽(25)에 의해 서로 독립되게 분할 형성되어 하나의 금형(20)을 통해 다수의 하부구조물(100)이 성형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reinforced
그 다음,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구조물(100)을 성형하기 위한 콘크리트 혼합물을 하부금형(23)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성형공간부(27)에 투입한다.Then, as shown in FIG. 21, the concrete mixture for forming the
그 다음, 성형공간부(27)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게 상부금형(21)을 하부금형(23)에 결합한 금형(20)을 회전시켜 상기 금형(20) 내부에 원심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하여 근가체(120)가 구비된 하부구조물(100)로 구성되되 상부구조물(200)과 고정 결합하는 하부구조물(100)을 성형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를 양생한다.Then, by rotating the
마지막으로,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금형(21)을 탈거하고, 콘크리트 양생에 의해 성형된 하부구조물(100)을 성형공간부(27)에서 탈형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이 모두 완성되게 된다.Finally, as shown in FIG. 22, the
한편, 금형(20)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성형공간부(27)를 형성하여 하나의 상기 금형(20)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상부구조물(200)과 하부구조물(100)을 다수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3, the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복합구조물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콘크리트 재질을 이용하여 소정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하부구조물(100), 상기 하부구조물(100) 상부에 고정 결합하되 그 내부에 전주(10)가 소정 깊이로 삽입되는 상부구조물(200) 및 상기 상부구조물(200)에 삽입된 전주(10) 사이에 쐐기부재(300)의 구성들을 통해 굴착된 토설공에 삽입되는 해당 전주(10)의 근입 깊이를 확보함과 더불어, 지반의 성질에 따라 상기 하부구조물(100) 하부에 형성되는 원형의 근가체(120)를 이용하여 전주(10)의 수평지지력 및 전도 안정성 증대와 지선과 지주를 대체하여 시공 비용의 절감 및 시공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As shown in FIG. 17, the composi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as 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etc.,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but this is provided only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If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and all things that are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elong to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하부구조물 110: 철근구조물
120: 근가체 200: 상부구조물
210: 부착돌기 220: 안내돌기
230: 지지수단 231: 지지봉
233: 삽입편 240: 체결편
241: 제1관통공 250: 제2관통공
300: 쐐기부재 310: 안착몸체
311: 플랜지 313: 제1결합공
320-1,320-2: 쐐기체 321: 제2결합공
E/P: 전주 P: 체결수단100: substructure 110: reinforced structure
120: approximate body 200: superstructure
210: attachment protrusion 220: guide protrusion
230: support means 231: support rod
233: insertion piece 240: fastening piece
241: first through hole 250: second through hole
300: wedge member 310: seating body
311: flange 313: first coupling hole
320-1,320-2: wedge body 321: second coupling hole
E/P: Jeonju P: Fastening means
Claims (11)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구조물(100) 상부에 고정결합하며, 내부에 상기 전주(E/P)가 삽입되어 상기 전주(E/P)의 근입 깊이를 보강하는 상부구조물(200); 및
상기 상부구조물(200)에 삽입된 상기 전주(E/P)를 고정하는 쐐기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구조물(200)은
하부에 하방으로 다수 연장형성되되 상기 하부구조물(100)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양생되어 상기 상부구조물(200)과 상기 하부구조물(100)의 부착력을 향상시키는 부착돌기(210), 상기 상부구조물(200) 내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전주(E/P) 외면과 접촉하여 삽입되는 상기 전주(E/P)가 상기 상부구조물(200) 중심에 위치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돌기(220), 상기 상부구조물(200)에 상기 전주(E/P)가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수단(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전주 근입 깊이 보강을 위한 길이연장 복합구조물.
Doedoe made in the shape of a column, the lower structure 100 for preventing settlement and increase of the supporting force of the electric pole (E/P);
An upper structure 200 formed in a column shape,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tructure 100, and inserting the electric pole (E/P) therein to reinforce the proximal depth of the electric pole (E/P); And
Including; a wedge member 300 for fixing the electric pole (E / P) inserted into the upper structure 200,
The upper structure 200 is
An attachment protrusion 210, which is formed extending downwardly in the lower part, but is cured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lower structure 100 to improve adhesion between the upper structure 200 and the lower structure 100, and the upper structure ( 200) a guide protrusion 220 protruding on the inner surface and guiding the electric pole (E/P) insert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E/P) to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tructure 200, the upper part A length extension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depth of proximal to a concrete po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ing means 230 supported on the ground so that the pole (E/P) can be stably inserted into the structure 200.
상기 하부구조물(100)은 철근구조물(110)에 의해 기둥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전주 근입 깊이 보강을 위한 길이연장 복합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structure 100 is a length-extended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depth of the concrete pole, characterized in that to maintain the column shape by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상기 하부구조물(100) 하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형의 근가체(1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구조물(100)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생에 의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전주 근입 깊이 보강을 위한 길이연장 복합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Under the lower structure 100
A length-extended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depth of protrusion of a concrete po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ircular approximate body 120 protruding outwardly, and the lower structure 100 is formed by curing the concrete structure.
상기 지지수단(230)은
봉이나 바(BAR) 형상으로 소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지면에 지지되어 상기 상부구조물(200)을 지지하는 지지봉(231), 상기 상부구조물(200)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되 그 내부에 상기 지지봉(231)이 삽입되어 상기 상부구조물(200)이 해당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삽입편(2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전주 근입 깊이 보강을 위한 길이연장 복합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means 230 is
It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shape of a bar or a bar, and is supported on the ground to support the upper structure 200, at least one support rod 231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200, A length extension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depth of proximal penetration of a concrete po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sert 233 provided so that the support rod 231 is inserted so that the upper structure 200 can be supported on the ground.
상기 쐐기부재(300)는
두 분체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구조물(200)에 링 형상을 갖도록 결합하되 상기 상부구조물(200) 상단에 안착하는 플랜지(311)가 형성된 한 쌍의 안착몸체(310), 각각의 상기 안착몸체(310)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상부구조물(200) 내면과 상기 전주(E/P) 외면 사이에 끼움 결합하여 상기 상부구조물(200) 내부에 삽입된 상기 전주(E/P)를 쐐기방식으로 고정하는 쐐기체(320-1,32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전주 근입 깊이 보강을 위한 길이연장 복합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wedge member 300 is
A pair of seating bodies 310, each of which is made of two powders and coupled to the upper structure 200 so as to have a ring shape, but having a flange 311 seated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structure 200, and each of the seating bodies 310 It is formed protruding downward on the lower surface, and is fitt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20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E/P) to fix the electric pole (E/P) inserted into the upper structure 200 in a wedge method A length-extended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depth of the concrete po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edge body (320-1,320-2).
상기 플랜지(311) 외경은 상기 상부구조물(200)의 외경과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311)에는 체결수단(P)에 의해 상기 상부구조물(200)의 제1관통공(241)이 형성된 체결편(240)과 고정 결합하기 위한 제1결합공(3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전주 근입 깊이 보강을 위한 길이연장 복합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6,
The flange 311 has an outer diameter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structure 200, and the flange 311 has a first through hole 241 of the upper structure 200 by a fastening means P. A length-extended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depth of proximal penetration of a concrete pole,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coupling hole 313 for fixed coupling with the formed fastening piece 240 is formed.
상기 쐐기체(320-1,320-2)는 상기 안착몸체(310)의 길이방향으로 호(弧) 형상으로 갖도록 돌출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안착몸체(31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호(弧) 형상을 갖도록 다수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전주 근입 깊이 보강을 위한 길이연장 복합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6,
The wedge bodies 320-1 and 320-2 are formed to protrude to have an arc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ing body 310, or have an arc shap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ing body 310 A length-extended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depth of a concrete pol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to have a.
상기 쐐기체(320-2)는 상기 상부구조물(200)에 형성된 제2관통공(250)과 대향되되 체결수단(P)에 의해 상기 상부구조물(200)과 상기 안착몸체(310)가 고정 결합하기 위한 제2결합공(3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전주 근입 깊이 보강을 위한 길이연장 복합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6,
The wedge body (320-2) is opposed to the second through hole (250) formed in the upper structure (200), but the upper structure (200) and the seating body (310) are fixedly coupled by a fastening means (P) A length-extended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depth of the concrete p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upling hole 321 is formed for the purpose.
2)개방된 상부를 통해 전주(E/P)가 삽입될 수 있는 기둥형상의 상부구조물(200)을 성형하는 단계;
3)철근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철근구조물(110)을 성형하는 단계;
4)상기 철근구조물(110)과 상기 상부구조물(200)을 상부금형(21)이 탈거된 하부금형(23) 내부에 함께 구비하는 단계;
5)상기 하부금형(23) 내부에 콘크리트를 투입하는 단계;
6)상기 하부금형(23) 내부에 기밀이 유지될 수 있게 상기 상부금형(21)을 상기 하부금형(23)과 결합 후, 회전시켜 그 원심력에 의해 투입된 콘크리트가 양생하여 상기 철근구조물(110)을 골조로 하는 하부구조물(100)이 상기 상부구조물(200)과 고정 결합할 수 있게 성형하는 단계; 및
7)상기 상부금형(21)을 상기 하부금형(23)에서 탈거하여 상기 상부구조물(200)이 결합한 상기 하부구조물(100)을 탈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전주 근입 깊이 보강을 위한 길이연장 복합구조물 제조방법.
1) forming the wedge member 300;
2) forming a columnar upper structure 200 into which the electric pole (E/P) can be inserted through the opened upper part;
3) forming a reinforcing bar structure 110 made of a combination of reinforcing bars;
4) providing the reinforced structure 110 and the upper structure 200 together inside the lower mold 23 from which the upper mold 21 is removed;
5) Injecting concrete into the lower mold 23;
6) After combining the upper mold 21 with the lower mold 23 to maintain airtightness inside the lower mold 23, the reinforced structure 110 is rotated to cure the concrete input by the centrifugal force. Molding the lower structure 100 as a frame to be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tructure 200; And
7) removing the upper mold (21) from the lower mold (23) and demolding the lower structure (100) to which the upper structure (200) is joine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ength-extended composite structure for use.
상기 4)단계에서 상기 상부구조물(200)은 그 하부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부착돌기(220)가 상기 철근구조물(110)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게 상기 하부금형(23)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6)단계에서 콘크리트가 양생시에 상기 부착돌기(220)를 통해 상기 상부구조물(200)과 상기 하부구조물(100)이 서로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전주 근입 깊이 보강을 위한 길이연장 복합구조물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step 4), the upper structure 200 is provided inside the lower mold 23 so that a plurality of attachment protrusions 220 protruding downwardly from the lower portion thereof can be inserted into the reinforced structure 110. The length for reinforcing the depth of the protrusion of concret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tructure 200 and the lower structure 100 can b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attachment protrusion 220 when the concrete is cured in step 6). Method of manufacturing an extended composite structu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0597A KR102152396B1 (en) | 2018-12-13 | 2018-12-13 | The structure to extend the length for penetration of prestressed concrete pole and the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0597A KR102152396B1 (en) | 2018-12-13 | 2018-12-13 | The structure to extend the length for penetration of prestressed concrete pole and the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2706A KR20200072706A (en) | 2020-06-23 |
KR102152396B1 true KR102152396B1 (en) | 2020-09-04 |
Family
ID=71138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0597A Active KR102152396B1 (en) | 2018-12-13 | 2018-12-13 | The structure to extend the length for penetration of prestressed concrete pole and the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2396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5131B1 (en) * | 2008-09-19 | 2009-02-24 | 대실종합건설 주식회사 | Column fix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55928A (en) * | 2013-11-14 | 2015-05-22 | 주식회사 천지콘텍 | Base Concrete Structure having a Fixing Connector for Fense Post |
-
2018
- 2018-12-13 KR KR1020180160597A patent/KR10215239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5131B1 (en) * | 2008-09-19 | 2009-02-24 | 대실종합건설 주식회사 | Column fix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2706A (en) | 2020-06-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05092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this precast retaining wall panel using precast retaining wall panel and semi-dry backfill | |
KR101394235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complex pile for great soft ground | |
KR102018567B1 (en) |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0588445B1 (en) | Environment-friendly electric pole installation method | |
KR100824713B1 (en) | Shelf retaining wall using PC wall board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211469B1 (en) | Retaining wall structure having prefabricated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
EP3225746B1 (en) | A bearing structure | |
KR20190109890A (en) | Composite phc pile for soil retaining wall | |
KR20080092639A (en) | Foundation of landlord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2152396B1 (en) | The structure to extend the length for penetration of prestressed concrete pole and the method thereof | |
KR100910884B1 (en) | Multi-stage cone base | |
KR100799848B1 (en) | Site-pouring top pile with reinforced coupling structure | |
KR101838244B1 (en) | Cast-in-place reinforced top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423932B1 (en) | Head reinforced apparatus for steel pipe piles | |
KR100645024B1 (en) | Precast structure for fixing pillar members | |
JP6345328B1 (en) | Original position building method and original position structure | |
KR100483350B1 (en) | In place assembling top blocks and their reinforced complex foundation method | |
KR100395172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basic concrete structure of pole in electric railroads by using disposable form and concrete structure thereof | |
KR101017979B1 (en) | Eco-friendly Landscaping Retaining Wall | |
KR100440091B1 (en) | Structure of Block type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2123666B1 (en) | Implant pile installer in architecture foundation system and a universal implant pile method | |
EP3124705A1 (en) | Formers | |
KR200414071Y1 (en) | Civil construction slope reinforcement frame | |
KR100322623B1 (en) | An accessory for concrete block attachment | |
KR101201918B1 (en) | Panel, Fence using the panel, Construction method of fill-up ground within mixed soil using the fe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8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