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786B1 - Ice coffee maker - Google Patents
Ice coffee mak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1786B1 KR102151786B1 KR1020180145186A KR20180145186A KR102151786B1 KR 102151786 B1 KR102151786 B1 KR 102151786B1 KR 1020180145186 A KR1020180145186 A KR 1020180145186A KR 20180145186 A KR20180145186 A KR 20180145186A KR 102151786 B1 KR102151786 B1 KR 1021517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oling
- coffee
- cooling plate
- coffee liquid
- faste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0—Urns with devices for keeping beverages hot or cool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가루가 수용되어 뜨거운 물에 의해 커피액이 추출되는 커피액 추출부; 및 내측벽에 고정 설치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는 냉각부를 포함하여, 상기 커피액 추출부에서 추출된 뜨거운 상태의 커피액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 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냉각 용기는, 상기 커피액 추출부에서 추출된 커피액이 상기 냉각부로 낙하되어, 상기 냉각부에 커피액이 접촉됨에 따라 커피액의 온도가 낮아지는 아이스 커피 메이커를 포함하는 일회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for receiving coffee powder and extracting the coffee liquid by hot water; And a cooling container fixedly installed on the inner wall and protruding inwardly, the cooling container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hot coffee liquid extracted from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part, wherein the cooling container includes,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par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sposable container including an ice coffee maker in which the coffee liquid extracted from falls to the cooling unit and the temperature of the coffee liquid is lowered as the coffee liqui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oling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아이스 커피 메이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coffee maker.
일반적으로 커피원두를 추출하는 방법으로 커피 메이커를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한다. 커피 메이커는 커피원두 가루가 수용된 드리퍼에 히터에 의해 가열된 물을 공급하여 커피액을 우려내는 기기이다.In general, coffee is extracted using a coffee maker as a method of extracting coffee beans. A coffee maker is a device that pours coffee liquid by supplying water heated by a heater to a dripper containing coffee bean powder.
구체적으로, 커피 메이커는 대부분 커피가루를 커피망 또는 커피필터에 담아 깔대기형태의 커피 드립퍼에 넣고, 커피가루 위에서 온수를 적절하게 흩뿌리면서 흘려주면, 커피원두로부터 추출액이 추출된다. 즉, 커피가루와 온수가 섞였다가 중력으로 인하여 온수가 아래로 배출되면서 커피액이 추출되는 방식이다.Specifically, most coffee makers put coffee powder in a coffee net or a coffee filter and put it in a funnel-type coffee dripper, and when hot water is appropriately sprinkled on the coffee powder, the extract is extracted from the coffee beans. That is, coffee powder and hot water are mixed and then the hot water is discharged downward due to gravity, and the coffee liquid is extracted.
일반적으로, 커피가루 추출시킨 뜨거운 커피액(hot coffee liquid)을 차갑게 아이스 음료로 제조하기 위해서, 얼음이나 냉수를 뜨거운 커피액과 섞어, 커피액의 온도를 낮춘다. In general, in order to prepare a hot coffee liquid extracted from coffee powder into a cold iced beverage, ice or cold water is mixed with the hot coffee liquid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coffee liquid.
그러나 종래와 같이, 추출한 뜨거운 커피액을 얼음에 의해서 냉각시키는 아이스 커피 추출방법은 커피의 농도를 연하게 한다. 이에, 추출된 커피액의 커피 향의 풍미가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s in the prior art, the ice coffee extraction method in which the extracted hot coffee liquid is cooled by ice makes the coffee concentration softer.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ffee flavor of the extracted coffee liquid is weaken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뜨거운 물을 통해 추출된 풍부한 향을 가진 커피를 급속 냉각시켜 커피 향미를 보존시킬 수 있는 아이스 커피 메이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n ice coffee maker capable of preserving coffee flavor by rapidly cooling coffee having a rich aroma extracted through hot water.
또한, 뜨거운 커피 추출액에 얼음을 녹여 아이스 커피를 만드는 방식이 아닌, 커피 추출액을 급속 냉각시켜 아이스 커피를 제조함으로써, 진하고 풍부한 커피를 제조할 수 있는 아이스 커피 메이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it is not a method of making ice coffee by melting ice in a hot coffee extract, but by rapidly cooling the coffee extract to prepare ice coffee, thereby providing an ice coffee maker capable of producing a rich and rich coffe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피가루가 수용되어 뜨거운 물에 의해 커피액이 추출되는 커피액 추출부; 및 내측벽에 고정 설치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는 냉각부를 포함하여, 상기 커피액 추출부에서 추출된 뜨거운 상태의 커피액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 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냉각 용기는, 상기 커피액 추출부에서 추출된 커피액이 상기 냉각부로 낙하되어, 상기 냉각부에 커피액이 접촉됨에 따라 커피액의 온도가 낮아지는 아이스 커피 메이커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for receiving coffee powder and extracting the coffee liquid by hot water; And a cooling container fixedly installed on the inner wall and protruding inwardly, the cooling container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hot coffee liquid extracted from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part, wherein the cooling container includes,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part An ice coffee maker is provided in which the coffee liquid extracted from falls to the cooling unit and the temperature of the coffee liquid is lowered as the coffee liqui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oling unit.
또한, 상기 냉각 용기는, 내측벽의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체결홈;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홈에 상기 냉각부가 탈착 가능한 아이스 커피 메이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ling container includes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length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inner wall facing each other, but providing an ice coffee maker in which the cooling unit is detachable to the fastening groove. can do.
또한, 상기 냉각부는, 상기 냉각 용기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낙하하는 커피액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판;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용기는, 상기 냉각 용기의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냉각판의 하부와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냉각 용기의 내측으로 삽입되거나 외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상기 냉각판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바;를 더 포함하는 아이스 커피 메이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ling unit may include a fastening unit fastened to the cooling container; And a cooling plate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astening part and lowers the temperature of the falling coffee liquid, wherein the cooling container passes through a side wall of the cooling container and is disposed to contact a lower portion of the cooling plate, An ice coffee maker further comprising a; angle adjustment bar for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cooling plate as it is inserted into the cooling container or protrudes to the outside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냉각 용기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냉각판과 연결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판은, 단부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홈;을 포함하여, 상기 연결홈에 삽입된 상기 돌출부와 상기 냉각판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냉각판이 회동 가능한 아이스 커피 메이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stening part may include a fixing part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astening groove; 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ixing part to the inside of the cooling container and connected to the cooling plate, wherein the cooling plate includes a connection groove formed at an end thereof so that the protrusion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The protrusion and the cooling plate inserted in the hinge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provide an ice coffee maker in which the cooling plate is rotatable.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냉각 용기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냉각판과 힌지 결합되는 톱니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판은, 상기 톱니부가 위치되는 연결홈; 및 상기 연결홈에 내측에 형성되어, 단부가 상기 톱니부의 걸림홈에 위치될 수 있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홈에 삽입된 상기 톱니부와 상기 냉각판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냉각판이 회동 가능하고, 상기 냉각판이 회동될 때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톱니부의 상기 걸림홈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되어, 상기 냉각판을 회동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아이스 커피 메이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stening part may include a fixing part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astening groove; And a toothed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xing portion into the cooling vessel and hingedly coupled to the cooling plate, wherein the cooling plate includes: a connection groove in which the toothed portion is located; And an elastic member formed inside the connection groove and having an end positioned in the engaging groove of the toothed portion. Including, wherein the toothed portion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and the cooling plate are hinged, so that the cooling plate is rotatable, and when the cooling plate is rotated, the elastic member is located in any one of the locking grooves of the toothed portion. ,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ce coffee maker capable of fixing the rotating state of the cooling plat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뜨거운 물을 통해 추출된 풍부한 향을 가진 커피를 급속 냉각시켜 커피 향미를 보존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ffee having a rich aroma extracted through hot water can be rapidly cooled to preserve the coffee flavor.
또한, 뜨거운 커피 추출액에 얼음을 녹여 아이스 커피를 만드는 방식이 아닌, 커피 추출액을 급속 냉각시켜 아이스 커피를 제조함으로써, 진하고 풍부한 커피를 제조할 수 있다.In addition, instead of making ice coffee by melting ice in a hot coffee extract, the coffee extract is rapidly cooled to prepare ice coffee, thereby producing a rich and rich coffe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커피 메이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냉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냉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따른 냉각부가 냉각 용기에 설치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ice coffe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ool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cool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cooling unit according to FIG. 3.
5 is a view showing a cool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cooling unit according to FIG. 5.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n which the cooling unit according to FIG. 5 is installed in a cooling containe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only one means for efficiently describ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커피 메이커(1)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도 1을 참조하면, 아이스 커피 메이커(1)는 커피액 추출부(10), 냉각 용기(20) 및 아이스커피 수용부(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커피액 추출부(10)에는 커피가루가 수용되어, 뜨거운 물에 의해 커피액이 추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커피액 추출부(10)는 커피 드리퍼일 수 있다. 커피액 추출부(10)는 냉각 용기(20)의 상측에 위치되어, 커피액 추출부(10)에서 추출되는 커피액은 냉각 용기(20)로 낙하할 수 있다. 커피액 추출부(10)는 추출 관로(11)를 포함할 수 있다.Coffee powder is accommodated in the coffee
추출 관로(11)는 커피액 추출부(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추출 관로(11)는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피액 추출부(10)가 냉각 용기(20)의 중심에 위치된 경우, 추출 관로(11)의 단부는 냉각 용기(20)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추출 관로(11)를 통해 낙하하는 커피액은 냉각 용기(20)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낙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기준으로 일 측은 좌측, 타 측은 우측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The
추출 관로(11)는 커피액 추출부(10)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추출 관로(11)가 회전되어, 추출 관로(11)의 단부가 냉각 용기(20)의 좌측에 위치될 수 있고, 또는 추출 관로(11)의 단부가 냉각 용기(20)의 우측에 위치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추출 관로(11)의 단부가 냉각 용기(20)의 좌측 또는 우측과 같이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쳐져 위치되도록 하는 이유는, 추출 관로(11)를 통해 낙하하는 커피액이 냉각 용기(20)의 냉각부(21)로 낙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this way, the reason that the end of the
냉각 용기(20)는 커피액 추출부(10)에서 추출되어 낙하하는 커피액을 냉각시켜, 아이스커피 수용부(30)로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각 용기(20)는 커피액 추출부(10)에서 추출된 뜨거운 상태의 커피액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The
냉각 용기(20)는 내측벽에 고정 설치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는 냉각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부(21)는 냉각 용기(20) 내측벽의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서 엇갈리며 배치될 수 있다.The
냉각부(21)는 체결부(211) 및 냉각판(21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체결부(211)는 냉각부(21)가 냉각 용기(20)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부분일 수 있다. 체결부(211)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체결부(211)는 절곡된 “L”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절곡된 부분이 형성됨으로써, 체결부(211)가 냉각 용기(20)에 삽입된 상태의 체결력이 증가될 수 있다.The fastening
냉각판(212)은 커피액과 접촉되는 부분일 수 있다. 냉각판(212)은 냉각 용기(20)의 내측에서 하방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냉각판(212)이 냉각 용기(20)의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냉각판(212)으로 낙하된 커피액이 냉각 용기(20)의 하부로 떨어질 수 있다.The
냉각판(212)은 커피액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소정의 낮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냉각판(212)은 내부에 냉각유로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냉각판(212)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다양한 냉각판(212)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커피액 추출부(10)에서 추출된 커피액이 냉각부(21)로 낙하되어, 냉각부(21)에 접촉되는 커피액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즉, 냉각부(21)는 차가운 온도를 유지하여, 냉각부(21)로 낙하하는 커피액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The coffee liquid extracted from the coffee
이와 같이, 냉각 용기(20)는 뜨거운 상태로 추출되는 커피액을 추출된 직후 급속 냉각시킬 수 있다. 얼음을 이용하지 않고, 추출된 상태의 커피액의 온도를 낮춤으로써, 커피의 농도를 진하게 유지하며 아이스 커피를 제조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oling
아이스커피 수용부(30)는 냉각 용기(20) 하측에 배치되어, 냉각 용기(20)에서 배출되는 아이스커피가 수용될 수 있다. 아이스커피의 측벽 및 바닥은 아이스커피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냉장 용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ic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용기(20)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cooling
도 2를 참조하면, 냉각 용기(20)는 체결홈(2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cooling
체결홈(22)에는 냉각부(21)의 체결부(211)가 삽입되어, 냉각부(21)가 냉각 용기(20)에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체결홈(22)은 냉각부(21)의 체결부(21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냉각부(21)의 체결부(211)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The
체결홈(22)은 냉각 용기(20) 내측벽의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에서, 양 측면 각각에 냉각 용기(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22)에 냉각부(21)의 체결부(211)를 탈착하여, 냉각 용기(20)에 설치되는 냉각부(21)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홈(22)에 필요한 개수만큼의 냉각부(21)를 체결할 수 있다. 일 예로, 냉각부(21)의 체결 개수를 증가시켜, 아이스커피의 온도를 더욱 낮출 수 있다. 즉, 커피액을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 유로를 증가시킬 수 있다.A plurality of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용기(2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냉각부(21)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cooling
이하에서는, 중복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와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in order to prevent overlapping descriptions, differences from FIGS. 1 and 2 will be described.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냉각부(21)는 체결부(211) 및 냉각판(212)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211)는 냉각 용기(20)의 체결홈(22)에 체결되고, 냉각판(212)은 체결부(211)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냉각판(212)이 회동되어, 냉각판(212)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3 and 4, the cooling
구체적으로, 체결부(211)는 고정부(2111) 및 돌출부(2112)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고정부(2111)는 체결홈(22)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이때, 고정부(2111)의 일측 단부에는 단면이 원형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냉각 용기(20)의 체결홈(22)은 고정부(2111)의 단면과 대응되도록, 체결홈(22)의 단면이 원형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홈(22)에 고정부(2111)가 삽입될 수 있다.The fixing
고정부(2111)의 단부인 원형부분은 소정의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체결홈(22)에 삽입될 때, 고정부(2111)는 탄성력에 의해 압축 및 팽창 과정을 통해 체결홈(22)에 억지 끼움될 수 있다.The circular portion, which is an end of the fixing
돌출부(2112)는 고정부(2111)의 타측에서 돌출되어, 냉각판(212)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2112)는 냉각 용기(20)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냉각판(212)은 일측 단부에 돌출부(21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홈(2121)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홈(2121)에 돌출부(2112)가 위치된 상태에서, 체결부재(213)가 냉각판(212)의 일측 단부와 돌출부(2112)를 동시에 관통하며 고정할 수 있다. 즉, 냉각판(212)은 고정부(2111)의 돌출부(2112)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The
냉각 용기(20)는 체결홈(22), 조절바 삽입홈(23) 및 각도 조절바(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oling
상술한 바와 같이, 체결홈(22)은 냉각부(21)의 고정부(2111)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211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조절바 삽입홈(23)은 복수의 체결홈(22) 각각의 하측에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조절바 삽입홈(23)에는 각도 조절바(24)가 삽입될 수 있다.The adjustment
각도 조절바(24)는 조절바 삽입홈(23)에 삽입되어, 냉각 용기(20) 내측까지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도 조절바(24)는 냉각 용기(20)의 내측으로 삽입되거나 냉각 용기(2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각도 조절바(24)의 용기 내측에 위치한 단부는 냉각판(212)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즉, 냉각판(212)의 하면과 맞닿도록 위치되는 각도 조절바(24)는 냉각판(212)의 하측에서 냉각판(212)을 지지할 수 있다.The end of the
이 상태에서, 각도 조절바(24)가 냉각 용기(2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각도 조절바(24)가 냉각판(212)의 하면을 미는 힘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냉각판(212)이 상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각판(212)이 상승한 경우는 냉각판(212)의 경사도가 낮아질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the
반면에, 각도 조절바(24)가 냉각 용기(20)의 외측으로 돌출되면, 각도 조절바(24)에 의해 지지되던 냉각판(212)이 하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각판(212)이 하강한 경우는 냉각판(212)의 경사도가 높아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이와 같이, 냉각판(212)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도가 낮아진 냉각판(212)으로 커피액이 낙하할 경우, 커피액이 냉각판(212) 상에 머무는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또는, 경사도가 높아진 냉각판(212)으로 커피액이 낙하할 경우, 커피액이 냉각판(212)에서 보다 빠르게 낙하할 수 있다. 즉, 커피액이 냉각판(212) 상에 머무는 시간이 감소하게 된다.In this way, the angle of the
즉, 냉각판(212)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냉각판(212) 상에 커피액이 머무는 시간을 조절하여, 커피액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at is,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용기(2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냉각부(2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5에 따른 냉각부(21)가 냉각 용기(20)에 설치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cooling
이하에서는, 중복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도 3 및 도 4와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in order to prevent overlapping descriptions, differences from FIGS. 3 and 4 will be described.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체결부(211)는 고정부(2111), 톱니부(2113) 및 나사부(2114)를 포함할 수 있다.5 to 7, the
고정부(2111)는 체결홈(2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2111) 및 체결홈(22)의 단면은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톱니부(2113)는 고정부(2111)에서 냉각 용기(20)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냉각판(212)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톱니부(2113)는 톱니 기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외주면에 돌기와 걸림홈이 반복하여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The
냉각판(212)은 연결홈(2121) 및 탄성부재(21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연결홈(2121)은 냉각판(212)의 일측 단부에서 톱니부(2113)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홈(2121)에 톱니부(2113)가 위치된 상태에서, 체결부재(213)가 냉각판(212)의 일측 단부와 톱니부(2113)의 중심부를 동시에 관통하며 고정할 수 있다. 즉, 냉각판(212)은 고정부(2111)의 톱니부(2113)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The
탄성부재(2122)는 연결홈(2121)에서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소정의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탄성부재(2122)는 연결홈(2121)에 위치되는 톱니부(2113)의 걸림홈에 위치될 수 있다.The
연결홈(2121)에 삽입된 톱니부(2113)와 냉각판(212)이 힌지 결합되어, 냉각판(212)이 회동될 수 있다. 각도 조절바(24)가 냉각 용기(20) 내측으로 삽입되거나, 냉각 용기(20)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냉각판(212)이 회동되어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냉각판(212)이 회동될 때, 탄성부재(2122)가 톱니부(2113)의 걸림홈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되어, 냉각판(212)을 회동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The
나사부(2114)는 고정부(2111)의 타측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나사부(2114)는 냉각 용기(2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고정부(2111)를 냉각 용기(20)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2115)와 체결될 수 있다.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and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 아이스 커피 메이커 10: 커피 추출부
11: 추출관로 20: 냉각 용기
21: 냉각부 211: 체결부
212: 냉각판 22: 체결홈
23: 배출구 24: 각도 조절바
30: 아이스 커피 수용부1: ice coffee maker 10: coffee extraction unit
11: extraction line 20: cooling vessel
21: cooling part 211: fastening part
212: cooling plate 22: fastening groove
23: outlet 24: angle adjustment bar
30: ice coffee receiving part
Claims (5)
내측벽에 고정 설치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는 냉각부를 포함하여, 상기 커피액 추출부에서 추출된 뜨거운 상태의 커피액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 용기는,
상기 커피액 추출부에서 추출된 커피액이 상기 냉각부로 낙하되어, 상기 냉각부에 커피액이 접촉됨에 따라 커피액의 온도가 낮아지고,
내측벽의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체결홈;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홈에 상기 냉각부가 탈착 가능하며,
상기 냉각부는,
상기 냉각 용기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낙하하는 커피액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판;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용기의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냉각판의 하부와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냉각 용기의 내측으로 삽입되거나 외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상기 냉각판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바;를 더 포함하는 아이스 커피 메이커.
A coffee liquid extracting unit in which coffee powder is accommodated and the coffee liquid is extracted by hot water; And
Including; a cooling container fixedly installed on the inner wall, including a cooling unit protruding inward,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hot coffee liquid extracted from the coffee liquid extraction unit,
The cooling container,
The coffee liquid extracted from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part falls to the cooling part, and the temperature of the coffee liquid decreases as the coffee liqui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oling part,
Including; on both sides of the inner wall facing each other,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along the length direction;
The cooling unit is detachable from the fastening groove,
The cooling unit,
A fastening part fastened to the cooling container; And
Including;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astening portion, the cooling plate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falling coffee liquid,
An angle adjustment bar that penetrates the sidewall of the cooling container and is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cooling plate, and adjusts the rotation angle of the cooling plate as it is inserted into or protruded outward of the cooling container. Ice coffee maker.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냉각 용기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냉각판과 연결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판은,
단부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홈;을 포함하여,
상기 연결홈에 삽입된 상기 돌출부와 상기 냉각판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냉각판이 회동 가능한 아이스 커피 메이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astening part,
A fixing part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astening groove; And
Including;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ixing portion to the inside of the cooling container, and connected to the cooling plate,
The cooling plate,
Including; a connection groove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at the end,
Th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and the cooling plate are hing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ooling plate is rotatable.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냉각 용기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냉각판과 연결되는 톱니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판은,
상기 톱니부가 위치되는 연결홈; 및
상기 연결홈에 내측에 형성되어, 단부가 상기 톱니부의 걸림홈에 위치될 수 있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홈에 삽입된 상기 톱니부와 상기 냉각판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냉각판이 회동 가능하고, 상기 냉각판이 회동될 때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톱니부의 상기 걸림홈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되어, 상기 냉각판을 회동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아이스 커피 메이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astening part,
A fixing part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astening groove; And
Including; a toothed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xing portion to the inside of the cooling container, and connected to the cooling plate,
The cooling plate,
A connection groove in which the toothed portion is located; And
An elastic member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nnection groove and having an end positioned in the engaging groove of the toothed portion; Including,
The toothed portion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and the cooling plate are hing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ooling plate is rotatable, and when the cooling plate is rotated, the elastic member is located in one of the locking grooves of the toothed portion, and the cooling plate Ice coffee maker which can fix the rotated sta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5186A KR102151786B1 (en) | 2018-11-22 | 2018-11-22 | Ice coffee mak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5186A KR102151786B1 (en) | 2018-11-22 | 2018-11-22 | Ice coffee mak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9883A KR20200059883A (en) | 2020-05-29 |
KR102151786B1 true KR102151786B1 (en) | 2020-09-03 |
Family
ID=70912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5186A Active KR102151786B1 (en) | 2018-11-22 | 2018-11-22 | Ice coffee mak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1786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81479A (en) * | 2005-12-29 | 2007-07-19 | Fujitaka:Kk | coffee maker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H706100A1 (en) | 2012-02-08 | 2013-08-15 | Wmf Wuerttemberg Metallwaren | Coffee grinder and removable filter holder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coffee maker. |
-
2018
- 2018-11-22 KR KR1020180145186A patent/KR10215178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81479A (en) * | 2005-12-29 | 2007-07-19 | Fujitaka:Kk | coffee mak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9883A (en) | 2020-05-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12885B2 (en) | Automatic coffee maker and method of preparing a brewed beverage | |
US10827874B2 (en) | Automatic beverage maker | |
ES2996692T3 (en) | Coffee-making apparatus and method | |
US20150359378A1 (en) | Automatic coffee maker and method of preparing a brewed beverage | |
KR100712900B1 (en) | Beverage Extractor | |
KR20050046558A (en) | Coffee maker | |
KR20120078180A (en) | A stable device that the water pressure of a dutch coffee organization | |
KR101190168B1 (en) | Apparatus for making tea | |
KR102151786B1 (en) | Ice coffee maker | |
KR100827034B1 (en) | Beverage maker | |
US10646065B2 (en) | Funnel assembly for making powdered beverage | |
US20180255960A1 (en) | Automatic Beverage Maker | |
KR101257302B1 (en) | Siphon Coffee Extractor | |
KR101615996B1 (en) | Portable device for dripping dutch coffee | |
KR200480142Y1 (en) | The dutch won the amount of coffee storage container easy dutch coffee drip eject apparatus | |
KR101825620B1 (en) | Coffee extracting apparatus for coffee machine | |
WO2021101398A1 (en) | Machine for preparing juice from a frozen food preparation | |
KR101822756B1 (en) |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in a refrigerate environment | |
KR101670479B1 (en) | Coffee drip device | |
KR102402420B1 (en) | Cold brew maker | |
JP3225984U (en) | Drink extractor with cooling function | |
EP4442174A1 (en) | Coffee machine | |
RU2781526C2 (en) | Beverage making device with foam grinding | |
KR101950966B1 (en) | Egg Cooking Equipment | |
KR20190051282A (en) | Manufacturing apparatus for dutch coffee having a rotating pla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4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8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