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620B1 - Room open and close apparatus - Google Patents
Room open and close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1620B1 KR102151620B1 KR1020190032031A KR20190032031A KR102151620B1 KR 102151620 B1 KR102151620 B1 KR 102151620B1 KR 1020190032031 A KR1020190032031 A KR 1020190032031A KR 20190032031 A KR20190032031 A KR 20190032031A KR 102151620 B1 KR102151620 B1 KR 1021516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tch
- locking
- lever
- handle
- shaft conn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1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 E05B13/105—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the handle being a pushbutt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45—Silencing devices; Noise redu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05B3/08—Fastening the spindle to the foll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푸쉬풀 방식으로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편리하고 부드럽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고, 손잡이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전환하여 래치볼트의 인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방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om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push-pull method allows the user to conveniently and smoothly open the door with little force, and converts the linear motion of the handle into a rotational motion to facilitate the insertion of the latch bolt. It relates to a room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at can be performed.
일반적으로 도어락 장치는 몸체 형상 및 작동 구조에 따라 원통형, 튜블라형, 상자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원통형이나 튜블라형 도어락 장치는 사무실이나 가정의 일반적인 도어에 부착하여 사용하고, 상자형 도어락 장치는 아파트의 현관이나 방화문처럼 케이싱 전면에 손잡이를 부착하여 사용한다.In general, the door lock device may be classified into a cylindrical shape, a tubular type, and a box type according to a body shape and an operation structure. Cylindrical or tubular door lock devices are used by attaching them to general doors of offices or homes, and box-type door lock devices are used by attaching a handle to the front of the casing like the entrance or fire door of an apartment.
이와 같은 도어락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는 도어의 양면에 각각 회전식 손잡이가 구비되고, 각 손잡이와 연동되는 래치가 도어의 단부에서 돌출된 상태로 탄설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면 래치가 도어 내측으로 삽설되어 도어를 밀거나 당기면 도어가 개방된다.In the general structure of such a door lock device, rotary handle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oor, and the latches interlocked with the handles are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end of the door.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and rotates the door, the latch The door is inserted inside and is opened when the door is pushed or pulled.
따라서, 도어락 장치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회전시키는 제1 동작과,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겨서 개방하는 제2 동작으로 2단계의 동작을 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open the door lock device, there is a cumbersome and inconvenient problem because the user must perform a second operation in which the user holds and rotates the handle and the second operation in which the door is pushed or pulled to open in the rotated state.
또한,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거나 손잡이 회전에 어려움을 갖는 노약자나 어린 아이들은 출입에 불편함을 초래하고, 타인이 도와줘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lderly or young children holding objects in both hands or having difficulty rotating the handle cause discomfort in entering and exiting, and others must help.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푸쉬풀(push-pull) 도어락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푸쉬풀 도어락 장치는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만으로 도어를 개방시키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push-pull door lock device has recently been proposed. The push-pull door lock device is convenient in use because the door is opened only by pushing or pulling the handle.
그러나, 최근에 개발된 푸쉬풀 도어락 장치들은 도어 개방시 래치볼트가 래치헤드의 직선면과 수평인 방향으로 이동되어 도어틀의 홈으로부터 빠져 나오기 때문에 도어를 빠르게 개방시키면 래치헤드의 직선면이 도어틀의 홈으로부터 미처 빠져 나오지 못하고 도어틀의 홈에 걸리게 되어 덜컥거리게 된다.However, recently developed push-pull door lock devices move the latch bolt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straight side of the latch head and come out from the groove of the door frame when the door is opened. When the door is opened quickly, the straight side of the latch head becomes the door frame. It does not come out from the groove of the door and is caught in the groove of the door frame, causing a rattling.
그리고, 푸쉬풀 도어락 장치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과도한 힘을 사용하거나 래치헤드가 도어틀의 홈에 걸려서 문이 열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open the push-pull door lock device, excessive force is used or the latch head is caught in the groove of the door frame and the door is not opened.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래치헤드의 직선면이 도어틀의 홈에 걸리지 않아 도어 개방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도어의 닫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방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noise generated when the door is opened because the straight surface of the latch head is not caught in the groove of the door frame, and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can be stably maintaine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room opening and clos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푸쉬 또는 풀에 의한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전환하여 래치볼트의 래치헤드를 부드럽게 회전시킴에 따라 적은 힘으로 편리하고 부드럽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방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om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at can conveniently and smoothly open a door with a small force as the latch head of the latch bolt is smoothly rotated by converting a linear motion by a user's push or pull into a rotational motion.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복수의 레그부를 가지고, 도어 내에 삽입 고정되는 스테이션 유닛; 상기 스테이션 유닛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회전에 따라 래치볼트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작동 레버; 일단이 걸림편을 통해 손잡이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손잡이의 푸쉬풀 방향에 따라 상기 작동 레버를 서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 운동 시키도록 상호 대향하도록 이루어져 직선 운동하는 한 쌍의 걸림부로 구성되는 회전 레버; 및 상기 스테이션 유닛과 일체로 결합되는 외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방 개폐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s and 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tion unit having a plurality of leg portions, inserted and fixed in the door; An operation lev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station unit and configured to open a latch bolt according to the rotation; A rotating lev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handle through a locking piece, and having a pair of locking portions having a linear motion with the other end facing each other so as to rotate the operation lever in the same direction according to the push-pull direction of the handle; And an outer case integrally coupled with the station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는 일단이 상기 스테이션 유닛의 중심부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며, 일단 내부에 일정 깊이의 수용홈이 형성되는 제1 레버 블록; 상기 관통공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손잡이의 푸쉬풀 방향에 따라 특정 걸림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동 블록; 및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수용홈에서 탄성 지지되고, 상기 래치볼트와 연결되어 래치헤드를 선택적으로 인입시키는 제2 레버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lever is a first lever block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station unit, the other e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direction, and having a receiving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nside one end ; A rotation block inserted and fixed in the through hole and rotated by a specific locking portion according to a push-pull direction of the handle; And a second lever block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receiving groove by an elastic member and connected to the latch bolt to selectively insert the latch hea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 레버는 일단에 걸림편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홈에 끼움 고정되고, 타단에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 레버를 회전시키며, 축 연결공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 걸림부; 상기 각각의 축 연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걸림부를 상호 연결하는 축 연결 블록; 및 상기 축 연결 블록이 상기 축 연결공에 삽입된 후 상기 축 연결 블록의 일단 및 타단 각각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에 의해 위치 고정되는 고정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lever has a locking piece formed at one end to be fitted into the groove of the handle, and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at the other end to rotate the operation lever, and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having a shaft connection hole formed therein. ; A shaft connection block inserted into each of the shaft connection holes to interconnect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ft connection block is inserted into the shaft connection hole, and then fitt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haft connection block, and is preferably composed of a fixed block fixed in position by the outer cas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걸림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각각 날개편이 형성되고, 상기 축 연결 블록에 감겨져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날개편 각각으로 연장되는 회동탄성부재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are each form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by a rotational elastic member wound around the shaft connection block and extending to each of the outer case and the wing piece. It is desirable to be configur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래치볼트는 선단에 래치커버가 연결되고,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일면에 외부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측면에 삽입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수용부 내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제1 결합부와 타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몸체;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1 결합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래치헤드; 상기 래치헤드의 중공 내부에 일단이 삽입되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몸체의 래치바 관통창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래치바;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2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래치헤드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래치바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도어의 개방시에는 상기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래치바의 후방이동을 허용하는 스토퍼; 상기 가이드몸체의 후면과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몸체와 일체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리트렉터;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가이드몸체와 연결되는 허브체; 및 상기 리트렉터와 상대적으로 연동되어 상기 도어 개방에 따른 회전에 의해 상기 리트렉터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래치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ch cover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latch cover,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therein, and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to be inserted and mounted on the side of the door; A guide body that is movably coupled 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case and includes a first coupling portion protruding from one surface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surface; A latch head hingedly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of the guide body and protruding outside the opening; A latch bar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hollow interior of the latch head and hinged,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hrough the latch bar through window of the guide body; It is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of the guide body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latch bar so that the latch head does not rotate around the hing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latch head, and when the door is opened, the latch head is hinged. A stopper allowing the rearward movement of the latch bar so as to rotate around a; A retractor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body and configured to move integrally with the guide body; A hub body connected to the guide body through an elastic member; And a latch cam that is relatively interlocked with the retractor to relatively move the retractor by rotation according to the door opening.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복수의 레그부를 가지고, 도어 내에 삽입 고정되는 스테이션 유닛; 상기 스테이션 유닛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회전에 따라 래치볼트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작동 레버; 일단이 걸림편을 통해 손잡이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손잡이의 푸쉬풀 방향에 따라 상기 작동 레버를 서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 운동 시키도록 상호 대향하도록 이루어져 직선 운동하는 한 쌍의 걸림부로 구성되는 회전 레버; 및 상기 스테이션 유닛과 일체로 결합되는 외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볼트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부와 타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몸체, 상기 제1 결합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 외측으로 돌출되는 래치헤드, 일단이 상기 래치헤드와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몸체의 래치바 관통창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래치바, 상기 제2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래치바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상기 래치바의 후방이동을 허용하는 스토퍼, 상기 가이드몸체의 후면에서 상기 가이드몸체와 일체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리트렉터,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가이드몸체와 연결되는 허브체, 및 상기 도어 개방에 따른 회전에 의해 상기 리트렉터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래치캠을 포함하는 방 개폐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s and 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tion unit having a plurality of leg portions, inserted and fixed in the door; An operation lev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station unit and configured to open a latch bolt according to the rotation; A rotating lev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handle through a locking piece, and having a pair of locking portions having a linear motion with the other end facing each other so as to rotate the operation lever in the same direction according to the push-pull direction of the handle; And an outer case integrally coupled with the station unit, wherein the latch bolt is coupled to be movable within the case and the case, and includes a first coupling portion protruding from one surface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surface. A guide body that is hinged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case, a latch bar having one end hingedly coupled with the latch head,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hrough the latch bar through window of the guide body, A stopper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latch bar or allowing the latch bar to move backward, a retractor configured to be integrally movable with the guide body from the rear of the guide body, and an elastic member. There is provided a room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cluding a hub body connected to the guide body through and a latch cam for relatively moving the retractor by rotation according to the door opening.
본 발명에 따른 방 개폐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room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은 래치헤드의 직선면이 도어틀의 홈에 걸리지 않아 도어 개방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도어의 닫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raight surface of the latch head does not get caught in the groove of the door frame, noise generated when the door is opened can be minimized, and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can be stably maintained.
본 발명은 사용자의 푸쉬 또는 풀에 의한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전환하여 래치볼트의 래치헤드를 부드럽게 회전시킴에 따라 적은 힘으로 편리하고 부드럽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onverting a linear motion by a user's push or pull into a rotational motion to smoothly rotate the latch head of a latch bolt to open the door conveniently and smoothly with little forc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 개폐 장치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 개폐 장치를 도시한 투명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 개폐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방 개폐 장치의 작동 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방 개폐 장치의 작동 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방 개폐 장치의 작동 레버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방 개폐 장치의 회전 레버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 개폐 장치의 래치볼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oom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door.
Figure 2 is a transpare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om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om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views showing before the operation of the room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room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perspective and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operating lever of the room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perspective and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rotating lever of the room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atch bolt of the room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those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to.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scope of rights is not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just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are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refer to implemented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is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for example,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has a specific sequence clearly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tated, it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That is, each of the steps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cannot be constru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방 개폐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room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 개폐 장치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 개폐 장치를 도시한 투명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 개폐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oom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door, Figure 2 is a transpare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om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room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n.
또한,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방 개폐 장치의 작동 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방 개폐 장치의 작동 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방 개폐 장치의 작동 레버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방 개폐 장치의 회전 레버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 개폐 장치의 래치볼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In addition, Figures 4a and 4b are views showing before the operation of the room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a and 5b are views showing after the operation of the room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a and 6b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ng lever of the room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a and 7b are perspective and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rotating lever of the room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atch bolt of the room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 개폐 장치(100)는 스테이션 유닛(110), 작동 레버(120), 회전 레버(130), 및 외부 케이스(140)로 이루어지고, 도어(1)를 사이에 두고 양 측에 서로 대응되는 방향에서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 to 8, the room opening and
방 개폐 장치(100)는 도어(1)를 중심으로 양 측에 각각 구비되어 도어(1)의 관통공을 통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서로 대응되는 방향에 래치볼트(200)가 삽입 및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한 푸쉬풀 동작에 따라 도어(1)를 개폐할 수 있다.The room opening and
래치볼트(200)는 선단에 래치커버(211)가 연결되고,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수용부의 일면에 외부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도어(1)의 측면에 삽입장착되는 케이스(210), 케이스(210)의 수용부 내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제1 결합부(221)와 타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제2 결합부(222)를 포함하는 가이드몸체(220), 가이드몸체(220)의 제1 결합부(221)와 힌지 결합되어 개구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래치헤드(230), 래치헤드(230)의 중공 내부에 일단이 삽입되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가이드몸체(220)의 래치바 관통창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래치바(240), 가이드몸체(220)의 제2 결합부(222)와 결합되어 래치헤드(230)에 외력이 가해질 때 래치헤드(230)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래치바(240)의 이동을 제한하고, 도어(1)의 개방시에는 래치헤드(230)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래치바(240)의 후방이동을 허용하는 스토퍼(250), 가이드몸체(220)의 후면과 연결되고, 가이드몸체(220)와 일체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리트렉터(260), 탄성부재를 통해 가이드몸체(220)와 연결되는 허브체(270), 및 리트렉터(260)와 상대적으로 연동되어 도어(1) 개방에 따른 회전에 의해 리트렉터(260)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래치캠(2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또한, 본 발명은 도어(1)에 설치되어 도어(1)의 폐쇄시 래치커버(211)와 맞닿는 스트라이커(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라이커(2)는 래치헤드(230)를 수용할 수 있는 홈(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종래의 스트라이커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구성과는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2-1)은 사각형, 다각형, 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직각을 이루거나 비스듬한 각(예각, 둔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즉, 종래의 스트라이커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어 도어(1)와 관통홀 사이에 래치헤드(230)의 수용 공간을 제공하도록 별도의 플라스틱 재질의 구성 부품을 더 포함해야 하나,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커(2)는 관통홀이 아닌 홈(2-1)을 포함하고 있어 제조시 일체로 한번에 사출할 수 있고 부품 수 및 비용이 절감되는 특징이 있다.That is, the conventional striker has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so that a separate plastic component should be further included to provide an accommodation space for the
방 개폐 장치(100)는 양 측에서 각각 사용자에 의해 푸쉬 또는 풀 되는 손잡이(10)가 연결될 수 있다.The room opening and
손잡이(10)는 사용자의 푸쉬풀 동작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할 외부 케이스(140)를 따라 반원을 그리며 상하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사용 목적에 따라 하나 이상의 조립체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본 발명에 따른 방 개폐 장치(100)는 복수의 레그부(111-1, 112-1)를 가지고, 도어(1) 내에 삽입 고정되는 스테이션 유닛(110), 스테이션 유닛(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회전에 따라 래치볼트(200)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작동 레버(120), 일단이 걸림편(131-1)을 통해 손잡이(10)와 결합되고, 타단이 손잡이(10)의 푸쉬풀 방향에 따라 작동 레버(120)를 서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 운동 시키도록 상호 대향하도록 이루어져 직선 운동하는 한 쌍의 걸림부(131, 132)로 구성되는 회전 레버(130), 및 스테이션 유닛(110)과 일체로 결합되는 외부 케이스(140)를 포함한다.The room opening/
스테이션 유닛(110)은 상부 스테이션 유닛(111)과 하부 스테이션 유닛(112)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스테이션 유닛(111)의 복수의 레그부(111-1)와 하부 스테이션 유닛(112)의 복수의 레그부(112-1)가 상호 맞닿아 결합될 수 있다. The
상부 스테이션 유닛(111)과 하부 스테이션 유닛(112)은 그 사이에서 래치볼트(200)가 결합되고, 도어(1) 내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상부 스테이션 유닛(111)과 하부 스테이션 유닛(112)은 원형의 베이스판에 각각 복수의 레그부(111-1, 112-1)가 연장 형성되고, 복수의 레그부(111-1, 112-1) 중 일부를 통해 상호 결합되며, 나머지를 통해 래치볼트(200)가 움직이거나 이동하지 않도록 래치볼트(200)를 고정시킬 수 있다.The
본 발명에 따른 방 개폐 장치(100)는 스테이션 유닛(110)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에서 서로 대응하는 구성을 가지도록 배치 및 결합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상부 스테이션 유닛(111)과 하부 스테이션 유닛(112)을 스테이션 유닛(110)으로 통칭하여 설명한다.Since the room opening/
스테이션 유닛(110)은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에 작동 레버(120)가 결합되어 회전 레버(130)에 의해 작동 레버(120)가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The
작동 레버(120)는 스테이션 유닛(110)의 중심부에 결합되어 회전 레버(13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회전에 따라 래치볼트(200)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동 레버(120)는 직선 운동하는 회전 레버(130)에 의해 회전 운동 하도록 형성되며, 제1 레버 블록(121), 회동 블록(122) 및 제2 레버 블록(12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제1 레버 블록(121)은 일단이 스테이션 유닛(110)의 중심부에 삽입되고, 일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스테이션 유닛(11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레버 블록(121)의 일단은 내부에 일정 깊이의 수용홈(121-2)이 형성되고, 수용홈(121-2)에 탄성 부재(S1)와 제2 레버 블록(123)이 끼워져 탄성 부재(S1)를 통해 제2 레버 블록(123)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용홈(121-2)은 사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작동 레버(120)가 회전할 때 헛돌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제1 레버 블록(121)은 타단이 회전 레버(130)에 의한 회전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관통공(121-1)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121-1)은 회동 블록(122)이 끼워지고, 회동 블록(122)이 회전 레버(130)의 걸림부(131, 132)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작동 레버(120)를 전체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A through hole 121-1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회동 블록(122)은 제1 레버 블록(121)의 관통공(121-1)에 삽입 고정되고, 손잡이(10)의 푸쉬풀 방향에 따라 제1 걸림부(131) 또는 제2 걸림부(132)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The
회동 블록(122)은 머리부와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회동 끼움체(122-1)와 고정홀이 형성되는 회동 고정체(12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동 블록(122)은 회동 끼움체(122-1)의 연장부가 제1 레버 블록(121)의 관통공(121-1)에 끼워진 후 회동 고정체(122-2)의 고정홀을 통해 연장부를 고정하여 회동 끼움체(122-1)가 관통공(121-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회동 블록(122)은 관통공(121-1)을 중심으로 양 측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배치되고, 제1 걸림부(131)에 의해 회동 끼움체(122-1)가 밀려 회전하거나 제2 걸림부(132)에 의해 회동 고정체(122-2)가 밀려 회전할 수 있다. 즉, 회동 블록(122)은 푸쉬 또는 풀의 동작에 따라 제1 걸림부(131) 및 제2 걸림부(132) 중 하나에 의해서만 회전되고, 제1 걸림부(131)에 의한 회전과 제2 걸림부(132)에 의한 회전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 레버(120)는 사용자의 푸쉬 동작과 풀 동작 모두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고, 래치볼트(200)를 개방하여 도어(1)를 개폐할 수 있다.The
제2 레버 블록(123)은 일단이 탄성 부재(S1)에 의해 제1 레버 블록(121)의 수용홈(121-2)에서 탄성 지지되고, 타단이 래치볼트(200)와 연결되어 래치헤드(230)를 선택적으로 인입시킬 수 있다.The
제2 레버 블록(123)은 수용홈(121-2)에 대응하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제2 레버 블록(123)은 래치볼트(200)의 래치캠(280)에 끼움 결합되고, 회전 레버(130)에 의해 회전하면 래치캠(280)을 회전시켜 래치캠(280)의 회전에 따라 리트렉터(260)가 견인되도록 하여 리트렉터(260)와 연동되는 래치헤드(230)가 내부로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The
회전 레버(130)는 일단이 손잡이(10)와 결합되고, 타단이 손잡이(10)의 푸쉬풀 방향에 따라 작동 레버(120)를 서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 운동 시킬 수 있다. 회전 레버(130)는 손잡이(10)와 일체로 결합되어 직선 운동하게 되고, 직선 운동에 따라 작동 레버(120)의 회동 블록(122)을 회전시켜 래치볼트(200)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The
회전 레버(130)는 제1 걸림부(131), 제2 걸림부(132), 축 연결 블록(133), 및 고정 블록(134)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제1 걸림부(131)는 제2 걸림부(132)와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축 연결 블록(133)을 통해 제2 걸림부(13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걸림부(131)는 일단에 걸림편(131-1)이 형성되어 제2 걸림부(132)의 걸림편(132-1)과 함께 손잡이(10)의 홈(10-1)에 끼움 고정될 수 있다. The
여기에서, 도어(1)를 기준으로 외부에서 손잡이(10)와 결합되는 부분은 걸림편(131-1)이 형성되어 외부의 손잡이(10)와 회전 레버(130)를 일체로 결합할 수 있으며, 도어(1)를 기준으로 내부에서 손잡이(10)와 결합되는 부분은 볼트-너트와 같은 결합 부재를 통해 내부의 손잡이(10)와 회전 레버(130)를 결합할 수 있다. 이는, 외부에서도 볼트-너트와 같은 결합 부재를 통해 손잡이(10)와 회전 레버(130)를 결합한다면 회전 레버(130)로부터 손잡이(10)를 쉽게 분리하여 손잡이(10)의 도난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며, 걸림편(131-1)을 통해 손잡이(10)와 회전 레버(130)를 한번 결합하면 분리하지 못하도록 하여 손잡이(10)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Here, the part that is coupled with the
걸림편(131-1)은 제1 걸림부(131)의 일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돌출되고, 제1 걸림부(131)와 손잡이(10)의 결합 시 손잡이(10)의 홈(10-1)에 수용된 후 외부 힘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더 젖혀지면서 손잡이(10)와 일체화될 수 있다. The locking piece 131-1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제1 걸림부(131)는 타단에 걸림 돌기(131-2)가 형성되어 손잡이(10)의 푸쉬 또는 풀 방향에 따라 작동 레버(120)의 회동 블록(122)를 특정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걸림 돌기(131-2)는 손잡이(10)의 푸쉬 방향에 따라 회동 블록(122)에 걸리도록 형성된다면, 손잡이(10)의 풀 방향에 대해서는 제2 걸림부(132)의 걸림 돌기(132-2)가 회동 블록(122)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제1 걸림부(131)는 걸림편(131-1)과 걸림 돌기(131-2) 사이에 축 연결공(131-3)이 형성되어 축 연결공(131-3)에 삽입되는 축 연결 블록(133)에 의해 제2 걸림부(132)와 연결될 수 있다.The
또한, 제1 걸림부(131)는 걸림편(131-1)과 축 연결공(131-3) 사이에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돌출되는 날개편(131-4)이 형성될 수 있다. 날개편(131-4)은 축 연결 블록(133)에 감겨져 연장되는 회동탄성부재(S2)의 끝단 중 하나가 끼워질 수 있다. 날개편(131-4)은 회동탄성부재(S2)를 통해 다른 끝단이 끼워지는 외부 케이스(140)와 연동되어 손잡이(10)의 푸쉬풀에 따라 회전된 회전 레버(13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는 회동탄성부재(S2)가 감겨지는 축 연결 블록(133)과 회동탄성부재(S2)의 끝단 각각이 위치하는 날개편(131-4) 및 외부 케이스(140) 간의 탄성에 의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제2 걸림부(132)는 제1 걸림부(131)와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축 연결 블록(133)을 통해 제1 걸림부(13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걸림부(132)는 제1 걸림부(131)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 걸림부(131)의 구성 및 역할과 동일하나, 아래에서 한번 더 설명한다.The
제2 걸림부(132)는 일단에 걸림편(132-1)이 형성되어 제1 걸림부(131)의 걸림편(131-1)과 함께 손잡이(10)의 홈(10-1)에 끼움 고정될 수 있다. The
여기에서, 도어(1)를 기준으로 외부에서 손잡이(10)와 결합되는 부분은 걸림편(132-1)이 형성되어 외부의 손잡이(10)와 회전 레버(130)를 일체로 결합할 수 있으며, 도어(1)를 기준으로 내부에서 손잡이(10)와 결합되는 부분은 볼트-너트와 같은 결합 부재를 통해 내부의 손잡이(10)와 회전 레버(130)를 결합할 수 있다. 이는, 외부에서도 볼트-너트와 같은 결합 부재를 통해 손잡이(10)와 회전 레버(130)를 결합한다면 회전 레버(130)로부터 손잡이(10)를 쉽게 분리하여 손잡이(10)의 도난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며, 걸림편(132-1)을 통해 손잡이(10)와 회전 레버(130)를 한번 결합하면 분리하지 못하도록 하여 손잡이(10)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Here, the part that is coupled with the
걸림편(132-1)은 제2 걸림부(132)의 일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돌출되고, 제2 걸림부(132)와 손잡이(10)의 결합 시 손잡이(10)의 홈(10-1)에 수용된 후 외부 힘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더 젖혀지면서 손잡이(10)와 일체화될 수 있다. The locking piece 132-1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제2 걸림부(132)는 타단에 걸림 돌기(132-2)가 형성되어 손잡이(10)의 푸쉬 또는 풀 방향에 따라 작동 레버(120)의 회동 블록(122)를 특정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걸림 돌기(132-2)는 손잡이(10)의 풀 방향에 따라 회동 블록(122)에 걸리도록 형성된다면, 손잡이(10)의 푸쉬 방향에 대해서는 제1 걸림부(131)의 걸림 돌기(131-2)가 회동 블록(122)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제2 걸림부(132)는 걸림편(132-1)과 걸림 돌기(132-2) 사이에 축 연결공(132-3)이 형성되어 축 연결공(132-3)에 삽입되는 축 연결 블록(133)에 의해 제1 걸림부(131)와 연결될 수 있다.The
또한, 제2 걸림부(132)는 걸림편(132-1)과 축 연결공(132-3) 사이에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돌출되는 날개편(132-4)이 형성될 수 있다. 날개편(132-4)은 축 연결 블록(133)에 감겨져 연장되는 회동탄성부재(S2)의 끝단 중 하나가 끼워질 수 있다. 날개편(132-4)은 회동탄성부재(S2)를 통해 다른 끝단이 끼워지는 외부 케이스(140)와 연동되어 손잡이(10)의 푸쉬풀에 따라 회전된 회전 레버(13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는 회동탄성부재(S2)가 감겨지는 축 연결 블록(133)과 회동탄성부재(S2)의 끝단 각각이 위치하는 날개편(132-4) 및 외부 케이스(140) 간의 탄성에 의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즉, 회동탄성부재(S2)는 제1 걸림부(131)의 날개편(131-4)과 외부 케이스(140)를 연결하고, 제2 걸림부(132)의 날개편(132-4)과 외부 케이스(140)를 각각 연결하기 위해 두 개로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rotational elastic member S2 connects the wing piece 131-4 of the
축 연결 블록(133)은 제1 걸림부(131)와 제2 걸림부(132) 각각의 축 연결공(131-3, 132-3)에 삽입되어 제1 걸림부(131)와 제2 걸림부(132)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The
축 연결 블록(133)은 축 연결공(131-3, 132-3)에 삽입된 후 제1 걸림부(131)와 제2 걸림부(132) 각각의 외측에서 고정 블록(134)의 홀(134-1)에 끼워져 고정 블록(13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After the
축 연결 블록(133)은 회동탄성부재(S2)를 통해 제1 걸림부(131)의 날개편(131-4)과 외부 케이스(140), 제2 걸림부(132)의 날개편(132-4)과 외부 케이스(140) 각각과 연동되어 회전 레버(130)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The
고정 블록(134)은 대략 ㄷ자로 형성되고, 소정의 홀(134-1)이 형성되어 축 연결 블록(133)이 제1 걸림부(131)의 축 연결공(131-3)과 제2 걸림부(132)의 축 연결공(132-3)에 삽입된 후 홀(134-1)에 축 연결 블록(133)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The fixing
고정 블록(134)은 외부 케이스(14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어 회전 레버(130)를 외부 케이스(140)에 안정적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축 연결 블록(133)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xed
외부 케이스(140)는 도어(1)의 관통공을 덮어 씌우는 역할로, 도어(1) 인근에 배치되는 덮개부와, 덮개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반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는 그 내부에서 스테이션 유닛(110)의 일부와 작동 레버(120)의 일부를 감쌀 수 있고, 반원부는 그 내부에서 작동 레버(120)의 일부와 회전 레버(130)의 일부를 감쌀 수 있다. 또한, 반원부는 그 중심부가 관통되어 회전 레버(130)가 통과하는 회전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The
외부 케이스(140)는 반원부를 따라 손잡이(10)가 상하 방향으로 푸쉬 또는 풀 되도록 하고, 회전 슬릿을 관통하여 회전 레버(13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로 노출된 회전 레버(130)의 일부에는 손잡이(10)가 연결되어 손잡이(10)의 푸쉬 또는 풀(상하 방향) 동작에 의해 회전 레버(130)가 회전 슬릿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The
외부 케이스(140)는 도어(1) 방향으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복수의 돌기가 도어(1)의 외측에 박히게 됨에 따라 도어(1)로부터 회전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In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방 개폐 장치(100)의 작동 상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ng state of the room opening and
먼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소 상태에서는 회전 레버(130)가 그 내부에 배치되는 회동탄성부재(S2)에 의해 어느 방향으로도 치우치지 않고 중앙에 위치하고, 그에 따라 작동 레버(120)의 제2 레버 블록(123)이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래치볼트(200)의 래치캠(280)에 끼워져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First, as shown in FIGS. 4A and 4B, in a normal state, the
이러한 상태에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10)를 밀거나(푸쉬) 잡아 당기면(풀) 손잡이(10)가 외부 케이스(140)의 반원부를 따라 상방 내지 하방으로 회전 이동한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S. 5A and 5B, when the user pushes (push) or pulls (pull) the
손잡이(10)가 회전 이동하면, 손잡이(10)와 연결되어 있는 회전 레버(130)가 직선 이동하게 되고, 회전 레버(130)의 직선 이동으로 인해 회전 레버(130)의 제1 걸림부(131) 또는 제2 걸림부(132)가 작동 레버(120)의 회동 블록(122)을 밀어 회전시킨다.When the
작동 레버(120)의 회동 블록(122)이 회전하면 회동 블록(122)이 끼워진 제1 레버 블록(121)이 회전하고, 제1 레버 블록(121)에 끼워진 제2 레버 블록(123)도 회전하게 되어, 제2 레버 블록(123)이 끼워져 결합되어 있는 래치볼트(200)의 래치캠(280)이 회전하여 리트렉터(260)를 견인시키고, 리트렉터(260)의 견인으로 인해 리트렉터(260)와 연동되어 있는 래치헤드(230)가 후방으로 젖혀지면서 도어(1)가 개방될 수 있다.When the rotation block 122 of the
이와 같이 도어(1)가 개방된 상태에서 손잡이(10)를 당기거나 미는 힘이 제거되면, 회동탄성부재(S2)에 의해 회전 레버(130)가 원위치로 복원되고, 그에 따라 작동 레버(120)도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pulling or pushing force of the
이때 작동 레버(120)의 회동 블록(122)은 제1 걸림부(131)의 걸림 돌기(131-2)와 제2 걸림부(132)의 걸림 돌기(132-2)로부터 간섭되지 않고 제1 걸림부(131)의 걸림 돌기(131-2)와 제2 걸림부(132)의 걸림 돌기(132-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tation block 122 of th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it is obvious that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us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Modification example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방 개폐 장치
110: 스테이션 유닛
120: 작동 레버
130: 회전 레버
140: 외부 케이스
10: 손잡이
1: 도어100: room opening and closing device
110: station unit
120: operating lever
130: rotary lever
140: outer case
10: handle
1: door
Claims (6)
상기 스테이션 유닛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회전에 따라 래치볼트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작동 레버;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돌출되는 걸림편을 통해 일단이 손잡이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손잡이의 푸쉬풀 방향에 따라 상기 작동 레버를 서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 운동 시키도록 상호 대향하도록 이루어져 직선 운동하는 한 쌍의 걸림부로 구성되는 회전 레버; 및
상기 스테이션 유닛과 일체로 결합되는 외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레버는
일단에 상기 걸림편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홈에 끼움 고정되고, 타단에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 레버를 회전시키며, 축 연결공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 걸림부;
상기 각각의 축 연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걸림부를 상호 연결하는 축 연결 블록; 및
상기 축 연결 블록이 상기 축 연결공에 삽입된 후 상기 축 연결 블록의 일단 및 타단 각각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에 의해 위치 고정되는 고정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걸림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각각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돌출되는 날개편이 형성되고, 상기 축 연결 블록에 감겨져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날개편 각각으로 연장되는 회동탄성부재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방 개폐 장치.
A station unit that has a plurality of leg portions and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door;
An operation lev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station unit and configured to open a latch bolt according to the rotation;
A pair of linear motion consisting of one end is coupled to the handle through a locking piece protruding in an outward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s made to face each other so as to rotate the operating lever in the same direction according to the push-pull direction of the handle. Rotating lever consisting of a locking portion; And
Including an outer case integrally coupled with the station unit,
The rotating lever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having the locking pieces formed at one end to be fitted into the grooves of the handle, locking protrusions formed at the other end to rotate the operation lever, and forming shaft connection holes;
A shaft connection block inserted into each of the shaft connection holes to interconnect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And
After the shaft connection block is inserted into the shaft connection hole, it is fitted to each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haft connection block, and consists of a fixed block that is fixed in position by the outer case,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Wing pieces protruding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re formed so as to be inclined in the inward direction, respectively, and are wound around the shaft connection block and configured to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 by a rotational elastic member extending to each of the outer case and the wing pieces.
Room opening and closing device.
상기 작동 레버는
일단이 상기 스테이션 유닛의 중심부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 레버에 의한 회전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며, 일단 내부에 일정 깊이의 수용홈이 형성되는 제1 레버 블록;
상기 관통공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손잡이의 푸쉬풀 방향에 따라 특정 걸림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동 블록; 및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수용홈에서 탄성 지지되고, 상기 래치볼트와 연결되어 래치헤드를 선택적으로 인입시키는 제2 레버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방 개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rating lever is
A first lever block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station unit, the other e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direction by the rotation lever, and one end having a receiving groove of a predetermined depth formed therein;
A rotation block inserted and fixed in the through hole and rotated by a specific locking portion according to a push-pull direction of the handle; And
Consisting of a second lever block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receiving groove by an elastic member and connected to the latch bolt to selectively draw in the latch head
Room opening and closing device.
상기 래치볼트는
선단에 래치커버가 연결되고,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일면에 외부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측면에 삽입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수용부 내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제1 결합부와 타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몸체;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1 결합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래치헤드;
상기 래치헤드의 중공 내부에 일단이 삽입되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몸체의 래치바 관통창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래치바;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2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래치헤드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래치바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도어의 개방시에는 상기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래치바의 후방이동을 허용하는 스토퍼;
상기 가이드몸체의 후면과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몸체와 일체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리트렉터;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가이드몸체와 연결되는 허브체; 및
상기 리트렉터와 상대적으로 연동되어 상기 도어 개방에 따른 회전에 의해 상기 리트렉터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래치캠을 포함하는
방 개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atch bolt is
A case in which a latch cover is connected to a front end, a receiving portion is formed therein,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inserted into a side of the door;
A guide body that is movably coupled 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case and includes a first coupling portion protruding from one surface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surface;
A latch head hingedly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of the guide body and protruding outside the opening;
A latch bar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hollow interior of the latch head and hinged,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hrough the latch bar through window of the guide body;
It is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of the guide body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latch bar so that the latch head does not rotate around the hing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latch head, and when the door is opened, the latch head is hinged. A stopper allowing the rearward movement of the latch bar so as to rotate around a;
A retractor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body and configured to move integrally with the guide body;
A hub body connected to the guide body through an elastic member; And
Comprising a latch cam that is relatively interlocked with the retractor to relatively move the retractor by rotation according to the door opening
Room opening and closing device.
상기 스테이션 유닛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회전에 따라 래치볼트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작동 레버;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돌출되는 걸림편을 통해 일단이 손잡이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손잡이의 푸쉬풀 방향에 따라 상기 작동 레버를 서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 운동 시키도록 상호 대향하도록 이루어져 직선 운동하는 한 쌍의 걸림부로 구성되는 회전 레버; 및
상기 스테이션 유닛과 일체로 결합되는 외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볼트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부와 타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몸체, 상기 제1 결합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 외측으로 돌출되는 래치헤드, 일단이 상기 래치헤드와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몸체의 래치바 관통창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래치바, 상기 제2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래치바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상기 래치바의 후방이동을 허용하는 스토퍼, 상기 가이드몸체의 후면에서 상기 가이드몸체와 일체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리트렉터,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가이드몸체와 연결되는 허브체, 및 상기 도어 개방에 따른 회전에 의해 상기 리트렉터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래치캠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레버는
일단에 상기 걸림편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홈에 끼움 고정되고, 타단에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 레버를 회전시키며, 축 연결공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 걸림부;
상기 각각의 축 연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걸림부를 상호 연결하는 축 연결 블록; 및
상기 축 연결 블록이 상기 축 연결공에 삽입된 후 상기 축 연결 블록의 일단 및 타단 각각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에 의해 위치 고정되는 고정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걸림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각각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돌출되는 날개편이 형성되고, 상기 축 연결 블록에 감겨져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날개편 각각으로 연장되는 회동탄성부재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방 개폐 장치.
A station unit that has a plurality of leg portions and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door;
An operation lev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station unit and configured to open a latch bolt according to the rotation;
A pair of linear motion consisting of one end is coupled to the handle through a locking piece protruding in an outward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s made to face each other so as to rotate the operating lever in the same direction according to the push-pull direction of the handle. Rotating lever consisting of a locking portion; And
Including an outer case integrally coupled with the station unit,
The latch bolt is
Case, a guide body that is coupled to be movable in the case, and includes a first coupling portion protruding from one surface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surface, and hingedly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to protrude outside the case. A latch head, a latch bar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latch head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hrough a latch bar through window of the guide body, and a latch bar coupled wit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to limit movement of the latch bar or the latch bar A stopper allowing rearward movement of the guide body, a retractor configured to be integrally movable with the guide body from the rear of the guide body, a hub body connected to the guide body through an elastic member, and rotation according to the door opening It includes a latch cam for relatively moving the retractor,
The rotating lever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having the locking pieces formed at one end to be fitted into the grooves of the handle, locking protrusions formed at the other end to rotate the operation lever, and forming shaft connection holes;
A shaft connection block inserted into each of the shaft connection holes to interconnect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And
After the shaft connection block is inserted into the shaft connection hole, it is fitted to each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haft connection block, and consists of a fixed block that is fixed in position by the outer case,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Wing pieces that protrude to incline inward are formed in directions facing each other, and are wound around the shaft connection block and configured to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 by a rotational elastic member extending to each of the outer case and the wing pieces.
Room opening and closing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2031A KR102151620B1 (en) | 2019-03-20 | 2019-03-20 | Room open and close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2031A KR102151620B1 (en) | 2019-03-20 | 2019-03-20 | Room open and close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51620B1 true KR102151620B1 (en) | 2020-09-03 |
Family
ID=72469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2031A Expired - Fee Related KR102151620B1 (en) | 2019-03-20 | 2019-03-20 | Room open and close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1620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6127Y1 (en) * | 2002-08-28 | 2002-11-29 | (주)화진금속 | Spindle installation structures of door latch assembly |
KR20140136718A (en) * | 2013-05-21 | 2014-12-01 | 주식회사 아이레보 | Tilt type doorlock |
KR20160000788A (en) * | 2014-06-25 | 2016-01-05 | 남경훈 | A push & pull door lock assembly |
JP3204263U (en) * | 2016-03-07 | 2016-05-26 | 技研金物株式会社 | Push-pull lock operation unit for partition doors |
KR101956107B1 (en) * | 2017-11-20 | 2019-03-12 | 윤채희 | Latch bolt for using push-pull door lock |
-
2019
- 2019-03-20 KR KR1020190032031A patent/KR10215162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6127Y1 (en) * | 2002-08-28 | 2002-11-29 | (주)화진금속 | Spindle installation structures of door latch assembly |
KR20140136718A (en) * | 2013-05-21 | 2014-12-01 | 주식회사 아이레보 | Tilt type doorlock |
KR20160000788A (en) * | 2014-06-25 | 2016-01-05 | 남경훈 | A push & pull door lock assembly |
JP3204263U (en) * | 2016-03-07 | 2016-05-26 | 技研金物株式会社 | Push-pull lock operation unit for partition doors |
KR101956107B1 (en) * | 2017-11-20 | 2019-03-12 | 윤채희 | Latch bolt for using push-pull door loc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56644B2 (en) |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entrance | |
KR101745271B1 (en) | Fence for protecting baby and pet | |
KR101601189B1 (en) | Push-Pull Door Lock Assembly | |
KR101188995B1 (en) | door lock | |
KR101810488B1 (en) | Latch Bolt For Using Push-Pull Door Lock | |
WO2010095831A2 (en) | Door lock | |
KR101533194B1 (en) | Door latch assembly | |
KR101663162B1 (en) | Door Lock having Rotatable Latch Bolt | |
KR101810480B1 (en) | Latch Bolt For Using Push-Pull Door Lock | |
KR102151620B1 (en) | Room open and close apparatus | |
KR101810487B1 (en) | Latch Bolt For Using Push-Pull Door Lock | |
KR102151621B1 (en) | Open and close apparatus | |
KR101162618B1 (en) | Handle for locking door | |
KR101956107B1 (en) | Latch bolt for using push-pull door lock | |
US6139072A (en) | Push-pull door lock | |
KR100943543B1 (en) | Safe type door lock device | |
KR101962898B1 (en) | Latch bolt for using push-pull door lock | |
KR102009521B1 (en) | Push-pull door lock device | |
KR20190001685U (en) | Doorknob for Fence | |
KR101312239B1 (en) |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exit | |
JP4195127B2 (en) | Door lock | |
JPH0941767A (en) | Security lock | |
KR102286550B1 (en) | Safety door | |
KR200331148Y1 (en) | Door lock | |
KR101642838B1 (en) |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by Push, Pull or Turning on the Hand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8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