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236B1 - Humidifying air cleaner - Google Patents
Humidifying air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1236B1 KR102151236B1 KR1020180124513A KR20180124513A KR102151236B1 KR 102151236 B1 KR102151236 B1 KR 102151236B1 KR 1020180124513 A KR1020180124513 A KR 1020180124513A KR 20180124513 A KR20180124513 A KR 20180124513A KR 102151236 B1 KR102151236 B1 KR 1021512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charge
- air purifier
- humidifying
- air
- storage tan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24F3/1603—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5—Adding liqui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1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 F04F5/16—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4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F5/02 - F04F5/42
- F04F5/46—Arrangements of nozz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4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F5/02 - F04F5/42
- F04F5/46—Arrangements of nozzles
- F04F5/466—Arrangements of nozzles with a plurality of nozzles arranged in parall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에는, 흡입부를 형성하는 케이스를 가지는 로어 바디 및 상기 로어 바디의 상측에 결합되며 토출공을 가지는 어퍼 바디가 포함되어, 공기 청정기의 하부로부터 상부로의 공기 유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로어 바디에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필터; 상기 필터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송풍장치; 및 상기 송풍장치의 출구측에 배치되며, 가습매체가 설치되는 저수조가 구비되는 가습장치가 포함되어, 공기의 청정, 송풍 및 가습기능이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에는, 상기 가습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토출유로를 형성하는 토출장치; 및 상기 토출유로에 설치되는 히터가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midified air purifier.
The humidified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body having a case forming an intake part and an upper bod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and having a discharge hole, and air flow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of the air cleaner. This is done. In the lower body, a filter installed under the case; A blowing device disposed on the outlet side of the filter; And a humidifying device disposed at the outlet side of the blowing device and provided with a storage tank in which a humidifying medium is installed, so that air cleaning, blowing, and humidifying functions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A discharge device detachably coupled to the humidifying device and forming a discharge passage on the upper body; And a heater installed in the discharge passage.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습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midified air purifier.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공기 청정기에는, 외부의 공기를 공기 청정기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및 공기 중 먼지나 세균등을 필터링 할 수 있는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The air purifier is understood as a device that sucks and purifies contaminated air and then discharges the purified air. As an example, the air purifier may include a blower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into the air purifier, and a filter capable of filtering dust or bacteria in the air.
가습기는 공기에 수분을 제공하기 위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가습한 후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이해된다. 종래 가습기는 진동판에서 물을 무화시켜 공기 중으로 토출하는 진동식 및 가습필터에서 자연증발시키는 자연증발식으로 구분된다. A humidifier is understood as a device that sucks air in, humidifies it, and then discharges it in order to provide moisture to the air. Conventional humidifiers are divided into a vibration type that atomizes water from a vibration plate and discharges it into the air, and a natural evaporation type that evaporates naturally from a humidification filter.
상기 자연식 증발식 가습기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디스크를 회전시키고, 공기 중의 디스크 표면에서 물이 자연증발되는 디스크식 가습기와, 물이 적셔진 가습매체에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자연증발되는 가습필터식 가습기로 구분된다. The natural evaporative humidifier is a disk-type humidifier that rotates a disk by using a driving force, and water naturally evaporates from the surface of the disk in the air, and a humidification filter-type humidifier that is naturally evaporated by air flowing in a humidifying medium moistened with water It is distinguished.
종래 가습기는 가습과정에서 유동되는 공기 중 일부가 필터에서 여과되었다. 그러나 종래 가습기는 가습 기능이 메인이기 때문에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이 미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In a conventional humidifier, some of the air flowing during the humidification process is filtered through a filter. However, conventional humidifiers have a weak function of purifying air because the humidifying function is the main function.
최근에는, 공기 청정기에 가습기능을 추가한 가습 공기청정기가 개발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a humidifying air purifier with a humidifying function added to the air purifier has been developed.
이러한 전기 가습 공기청정기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종래기술이 소개된다.In connection with such an electric humidification air purifier, the following prior art is introduced.
1. 한국 등록특허 번호 (등록일자) : 10-1765663 (2011년 12월 30일)1. Korean registered patent number (registration date): 10-1765663 (December 30, 2011)
2. 발명의 명칭 : 공기 청정기 및 그 운전방법2. Title of invention: Air purifier and its operation method
위 종래기술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공기 청정기의 전면에서 흡입된 공기는 후방으로 유동하면서 필터링 되고, 필터링 된 공기는 가습후 상방으로 방향 전환되어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나타난다.In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air sucked from the front of the air purifier is filtered while flowing backward, and the filtered air is turned upward after humidification to be discharged. According to this prior art, the following problems arise.
첫째, 공기 청정기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수직한 방향으로 꺽이면서 유동하므로, 유동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First, since the air sucked into the air purifier flows while being bent in a vertical direction, the flow performance may deteriorate.
둘째, 단순히 공기 청정 및 가습기능만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온풍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Seco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configured to simply perform air cleaning and humidification functions, and it cannot perform the function of warm air.
셋째, 가습유로 개폐유닛을 별도로 제어하여 선택적으로 가습을 수행하므로, 제어가 복잡하여 공기 청정기의 작동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Third, since the opening/closing unit is separately controlled with the humidifying oil to selectively perform humidification, the control is complicated, and thus the operational reliability of the air purifier may be lowered.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4가지의 공기조화 기능, 즉 송풍, 공기청정, 가습 및 온풍기능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ying air purifier capable of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performing four air conditioning functions, namely, blowing, air cleaning, humidifying and warm air functions.
또한, 온풍기능을 수행할 때 히터를 토출부에 인접하게 배치함으로써, 가열된 공기가 가습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온도 저하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ying air purifier capable of preventing a problem of a temperature drop occurring in a process of humidifying heated air by arranging a heater adjacent to a discharge portion when performing a warm air function.
또한, 상기 히터를 면상 히터로 구성함으로써, 히터의 목표온도에 빠르게 도달하고 열 손실을 줄일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ied air purifier capable of quickly reaching a target temperature of the heater and reducing heat loss by configuring the heater as a planar heater.
또한, 공기의 흡입부 및 토출부 구조를 개선하여 공기의 유동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ied air purifier capable of improving air flow performance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air intake and discharge parts.
또한, 필터의 구조를 개선하여, 필터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ying air purifier capable of improving filter performance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filter.
또한, 물통 커버만을 개방하여 간단하게 물을 보충할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umidified air purifier capable of simply replenishing water by opening only the water container cover.
또한, 청소성이 개선된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ied air purifier with improved cleaning properties.
또한, 직물 소재로 구성된 가습매체를 사용하여 가습효과가 개선되고 세척이 용이한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umidifying air purifier with improved humidification effect and easy cleaning by using a humidifying medium made of a fabric material.
또한, 어퍼 바디의 중앙부에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사용자 인식성이 향상되는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ied air purifier with improved user recognition by providing a display unit in the center of the upper body.
또한, 베이스의 면적을 공기 청정기의 본체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전도위험을 줄일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umidified air purifier capable of reducing the risk of falling because the area of the base is formed larger than that of the air purifi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에는, 흡입부를 형성하는 케이스를 가지는 로어 바디 및 상기 로어 바디의 상측에 결합되며 토출공을 가지는 어퍼 바디가 포함되어, 공기 청정기의 하부로부터 상부로의 공기 유동이 이루어진다.The humidificatio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body having a case forming an intake part and an upper bod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and having a discharge hole, and air flow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of the air cleaner. This is done.
상기 로어 바디에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필터; 상기 필터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송풍장치; 및 상기 송풍장치의 출구측에 배치되며, 가습매체가 설치되는 저수조가 구비되는 가습장치가 포함되어, 공기의 청정, 송풍 및 가습기능이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lower body, a filter installed under the case; A blowing device disposed on the outlet side of the filter; And a humidifying device disposed at the outlet side of the blowing device and provided with a storage tank in which a humidifying medium is installed, so that air cleaning, blowing, and humidifying functions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상기 어퍼 바디에는, 상기 가습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토출유로를 형성하는 토출장치; 및 상기 토출유로에 설치되는 히터가 포함된다.A discharge device detachably coupled to the humidifying device and forming a discharge passage on the upper body; And a heater installed in the discharge passage.
상기 필터와, 상기 송풍장치 및 상기 가습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어, 상하 방향으로의 공기 유동이 발생될 수 있다. The filter, the blowing device, and the humidifying device may be align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 lower portion of the case toward an upper portion, so that air flow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occur.
상기 흡입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공기의 흡입용량이 증대될 수 있다.The suction part is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so that the suction capacity of air may be increased.
상기 필터는 흡입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filter is disposed above the suction unit, and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그리고, 상기 필터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저면부 및 필터링 된 공기가 배출되는 상면부가 포함되어, 필터 성능이 개선된다. In addition, the filter includes a bottom portion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an upper surface portion through which the filtered air is discharged, thereby improving filter performance.
상기 송풍장치에는, 상기 필터의 상측에 배치되는 쉬라우드; 상기 쉬라우드의 상측에 결합되는 홀더; 및 상기 쉬라우드와 홀더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팬이 포함된다.The blower includes: a shroud disposed above the filter; A holder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hroud; And a fan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hroud and the holder.
상기 홀더의 상측에 결합되는 디퓨저가 더 포함되어, 공기 유동의 수렴이 이루어질 수 있다.A diffuser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holder may be further included, so that air flow may be converged.
상기 홀더는 상기 쉬라우드 보다 적어도 3배 이상 무겁게 형성되므로, 상기 홀더는 상기 쉬라우드를 가압하여 쉬라우드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holder is formed to be at least three times heavier than the shroud, the holder can prevent vibration of the shroud by pressing the shroud.
상기 가습장치에는, 상기 저수조의 상측에 구비되며, 물 유입부가 형성되는 상단부를 가지는 물통이 더 포함되어, 사용자의 급수가 용이하다.The humidification device further includes a bucket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tank and having an upper end portion on which a water inlet portion is formed, so that water supply by the user is easy.
상기 물 유입부는 서로 이격되는 2개의 유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2개의 유입부의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물통 유로가 형성되어, 급수경로와 공기 유로가 분리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water inlet portion includes two inlet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bucket passage through which air flows is formed between the two inlet portions, so that the water supply passage and the air passage are separated.
상기 저수조에는, 저수조 내벽; 상기 저수조 내벽을 둘러싸는 저수조 외벽; 및 상기 저수조 내벽의 하부와 상기 저수조 외벽의 하부를 연결하는 저면부가 포함되며, 상기 저수조의 물 저장공간은 상기 저수조 내벽, 상기 저수조 외벽 및 상기 저면부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In the storage tank, the inner wall of the storage tank; An outer wall of the storage tank surrounding the inner wall of the storage tank; And a bottom portion connec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reservoir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wall of the reservoir, and the water storage space of the reservoir may be defined by the inner wall of the reservoir, the outer wall of the reservoir, and the bottom face.
상기 저수조 내벽은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저수조 내벽의 내측에는, 상기 송풍장치와 연통하여 공기가 유동하는 저수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wall of the water storage tank may be formed so as to have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thereof open, and a water storage tank passage through which air flows in communication with the blower may be formed inside the inner wall of the water storage tank.
상기 가습 매체는, 상기 저수조 내벽의 외주면 및 개구된 상단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가습 매체의 설치가 용이하다.The humidification medium is disposed so as to c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wall of the storage tank and the opened upper end, so that installation of the humidification medium is easy.
상기 가습 매체는, 섬유 또는 합성 섬유로 구성된다.The humidification medium is composed of fibers or synthetic fibers.
상기 물통의 물 유입부에는, 가습 커버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급수가 용이하다.A humidification cov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water inlet portion of the bucket, so that water supply is easy.
상기 토출장치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2 토출부 및 상기 제 1,2 토출부의 하부를 연결하는 토출 연결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 1,2 토출부 및 상기 토출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토출장치는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discharge device includes first and second discharge parts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discharge connection part connecting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arts, and by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arts and the discharge connection part, the discharge The device may have a curved shape.
상기 히터의 가로 폭은 상기 물통 연결부의 가로 폭에 대응되어, 히팅 성능이 개선된다.The horizontal width of the heater corresponds to the horizontal width of the water container connection portion, thereby improving heating performance.
상기 토출장치에는, 상기 토출유로에 설치되는 유동 가이드가 더 포함되며, 상기 유동 가이드에 의하여, 상기 토출유로는 제 1,2 토출유로를 전후방으로 구획하여, 토출유동이 용이하게 형성된다.The discharge device further includes a flow guide installed in the discharge passage, and by the flow guide, the discharge passage divides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assages forward and backward, so that the discharge flow is easily formed.
상기 토출장치에는, 상기 제 1,2 토출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가 더 포함되어, 공기 청정기의 작동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The discharge device further includes a display unit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units, so that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air purifier can be easily checked.
상기 로어 바디의 하측에 구비되며, 회전 모터가 설치되는 베이스가 더 포함되며, 상기 회전 모터가 구동하면, 상기 로어 바디 및 상기 어퍼 바디는 상기 베이스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여, 공기청정 면적이 증대될 수 있다.A bas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body and on which a rotation motor is installed is further included. When the rotation motor is driven,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body rot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ased on the base, so that the air cleaning area is Can be augmented.
상기한 해결수단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4가지의 공기조화 기능, 즉 송풍, 공기청정, 가습 및 온풍기능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주변온도 및 습도에 따라 공기 청정기의 맞춤형 운전이 가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olution, four air conditioning functions, namely, blowing, air cleaning, humidification, and warm air functions can be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performed, so that customized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ambient temperature and humidity is possible. It can be possible.
또한, 온풍기능을 수행할 때 히터를 토출부에 인접하게 배치함으로써, 히터가 흡입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 가열된 공기가 가습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온도 저하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arranging the heater adjacent to the discharge unit when performing the hot air function, when the heater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uction uni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blem of temperature decrease occurring in the process of humidifying the heated air.
또한, 상기 히터를 면상 히터로 구성하고 토출부의 형상에 맞춰 절곡된 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히터의 목표온도에 빠르게 도달하고 열 손실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heater as a planar heater and arranging it in a curved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discharge part, it is possible to quickly reach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heater and reduce heat loss.
또한, 공기 청정기의 하부로부터 공기가 흡입되고 상방으로 유동하여 토출될 수 있으므로, 공기의 유동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ir is suck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purifier and can be discharged by flowing upward, the flow performance of air can be improved.
또한, 원통 형상의 필터를 배치하여 공기의 유동 면적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으므로, 공기의 필터링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ylindrical filter is disposed to sufficiently cover the flow area of air, air filtering performance may be improved.
또한, 물통 유입부가 공기 유로의 양측에 배치되고, 물통 커버만을 개방하여 간단하게 물을 보충할 수 있으므로, 물통과 공기유로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간단히 물통의 급수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나타난다.In addition, since the water tank inlet portions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ir flow path, and water can be replenished simply by opening only the water bottle cover, there is an effect that water supply of the water tank is possible without interference between the water tank and the air flow channel.
또한, 어퍼 바디를 분리한 후 가습장치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가습장치의 청소성이 개선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humidifying device can be easily removed after the upper body is removed, the cleaning property of the humidifying device can be improved.
또한, 직물 소재로 구성된 가습매체를 사용하여 가습효과가 개선될 수 있으며, 상기 가습매체를 저수조에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고 상기 가습매체의 세척이 용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umidification effect may be improved by using a humidifying medium made of a fabric material, and it is easy to mount the humidifying medium in a storage tank and washing the humidifying medium may be easy.
또한, 어퍼 바디의 중앙부에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사용자 인식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2개의 토출부 사이에 배치되므로, 토출부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디스플레이부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user recognition may be improved by providing a display unit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body. Further, since the display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two discharge units,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may not be disturbed by the display unit.
또한, 베이스의 면적을 공기 청정기의 본체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공기 청정기의 전도위험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rea of the base is formed larger than the area of the main body of the air purifier, the risk of falling of the air purifier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V-V'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와 제 1 케이스의 결합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와 지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와 지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IX-IX'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의 상측에 필터가 배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에 가습매체가 배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통과 가습 커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커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케이스 및 가습 장치의 결합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케이스의 내주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통과 내부 케이스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장치와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19의 XIX-XIX'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가 회전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umidified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umidified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umidified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V-V' of FIG. 1.
6 is a view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humidified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base and a first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se and a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se and a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X-IX' of FIG. 6.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lter is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a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umid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umid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umidifying medium is disposed in a 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ucket and a humidification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umidification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n inner case and a humid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an inn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bucket and an inn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lo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charge device and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IX-XIX' of FIG. 19.
2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ir flow in the humidified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ain body is rot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easily propose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umidified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umidified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10, 이하 공기청정기)에는,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100) 및 상기 베이스(100)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본체(200,300)가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100)는 원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본체(200,30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0)의 횡단면적은 상기 본체(200,300)의 횡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공기청정기(10)의 구조적인 안정성이 구현될 수 있다.1 and 2, in the humidified air purifier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se 100 placed on the ground and a main body 200,300 extending upwardly of the base 100 ) Is included. The base 100 may have a disk shape, and the
상기 본체(200,300)는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가로 방향, 즉 상하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The
상기 본체(200,300)에는, 상기 베이스(100)의 상측에 구비되는 로어 바디(200)가 포함된다. 상기 로어 바디(200)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100)의 상측으로 설정된 높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The
상기 로어 바디(200)에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의 케이스(210,220)가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210,220)의 하부 외주면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212)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부(212)는 다수 개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공기의 흡입용량이 증대될 수 있다.The
상기 케이스(210,220)의 상부에는 상기 케이스(210,220) 내부가 외부에 대하여 연통되도록 하는 관통공(228)이 포함된다. 상기 관통공(228)은 물통(240, 도 12 참조)이 위치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통(240)에 구비되는 밸브(248, 도 13 참조)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관통공(228)에 의하여 상기 물통(240)의 내부는 대기압을 형성하므로 상기 물통(240)에 저장된 물은 저수조(231, 도 12 참조)로 낙하할 수 있다.The upper portions of the
상기 케이스(210,220)에는, 제 1 케이스(210) 및 상기 제 1 케이스(210)의 상측에 맞춰지는 제 2 케이스(22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케이스(210,220)의 내경 및 외경은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2 케이스(210,220)가 분리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하나의 케이스로 일체 형성될 수도 있다.The
상기 본체(200,300)에는, 상기 로어 바디(200)의 상측에 구비되는 어퍼 바디(3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어퍼 바디(300)는 상기 로어 바디(200)의 상단 중앙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바디(300)는 상기 로어 바디(20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길쭉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상세히, 상기 로어 바디(200)의 상단 중앙부에는 상기 어퍼 바디(300)가 결합되고, 상단 양측부에는 급수를 위한 물통 커버(251,2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통 커버(251,255)는 사용자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In detail, the
상기 어퍼 바디(300)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공(325)을 가지는 토출장치(310) 및 상기 토출장치(310)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380)가 포함된다. The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IV-IV'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3 and 4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umidified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IV-IV' of FIG. 1, and FIG. 6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humidified air purifier according to.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에는, 베이스(100) 및 상기 베이스(100)의 상측에 구비되는 로어 바디(200)가 포함된다.3 to 6, the humidified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베이스(100)는 개구된 상부를 가지며 원통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0)는 고정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0)의 내부에는 로어 바디(200) 및 어퍼 바디(3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The base 100 may have an open upper portion and may be configured to have a cylindrical shape. The
상기 로어 바디(200)에는, 케이스(210,220) 및 상기 케이스(210,220)의 내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부품이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공기 청정기(10)의 송풍, 공기청정 및 가습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들이 포함될 수 있다. The
상세히, 상기 로어 바디(200)에는, 상기 베이스(100)의 상측에 결합되는 지지장치(110)가 포함된다. 상기 지지장치(110)는 상기 베이스(100)의 개구된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100)의 구동장치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바디(200)는 상기 지지장치(110)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장치(110)는 상기 제 1 케이스(210) 및 상기 내부 케이스(265)에 결합될 수 있다. In detail, the
그리고, 상기 지지장치(110)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흡입부(212)에 연통되는 흡입 개구부(111a, 도 9 참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입 개구부(111a)는 상기 지지장치(11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로어 바디(200)에는, 상기 지지장치(110)의 상측에 구비되는 내부 케이스(265)가 더 포함된다. 상기 내부 케이스(265)는 상단 및 하단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부 케이스(265)의 내측 하부에는 필터(270)가 지지되며, 내측 상부에는 가습장치(230)가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케이스(265)에는 체결부재(269, 도 11 참조)에 의하여 송풍장치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케이스(265)는 상대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 1,2 케이스(210,220)에 결합(체결)될 수 있다. The
상기 로어 바디(200)에는, 상기 지지장치(110)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장치(110)의 흡입 개구부(111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지나는 필터(2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필터(270)는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25~35mm)의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내부 케이스(265)의 내경에 맞춰지는 외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270)는 내부가 차 있는 필터로 구성되며, 공기는 상기 필터(270)의 저면으로 유입되어 필터링 되며, 필터링 된 공기는 상기 필터(270)의 상면으로 배출될 수 있다.The
상기 로어 바디(200)에는, 상기 필터(270)를 지지하는 링 형상의 필터지지부(275)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필터 지지부(275)는 상기 내부 케이스(265)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27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 지지부(275)는 상기 내부 케이스(265)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필터(27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지지부(275)에는, 상기 내부 케이스(265)와 결합되는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체결공(275a, 도 11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로어 바디(200)에는, 상기 필터(270)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송풍장치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필터(27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송풍장치에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280) 및 상기 팬(280)에 결합되는 팬 모터(282)가 포함된다. The
상기 팬(280)에는 축방향으로 원심팬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팬(280)에는 공기를 상방으로 경사지게 가이드 하는 다수의 블레이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팬 모터(282)는 상기 팬(280)의 상측에 축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에는 팬(280)을 지나는 공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흡음재(281)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흡음재(281)는 다공성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블레이드에 부착될 수 있다.The
상기 쉬라우드(260)는 상기 팬(280)의 흡입측에 배치되며, 상기 팬(280)의 하단부를 향하여 공기를 모아주도록 라운드진 내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260)의 하단부는 상기 팬(280)의 하단부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27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쉬라우드(260)의 하단부로 유입되어 상방으로 유동하며, 상기 팬(280)으로 흡입될 수 있다. The
상기 쉬라우드(260)의 하단부는 상기 필터(270)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쉬라우드(260)의 하단부는 상기 필터(27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설정거리(S1)만큼 이격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쉬라우드(260)의 하단부가 상기 필터(270)에 접촉되거나 너무 가까이 위치하면 상기 필터(270) 주변에서의 유동 저항이 발생하여 흡입 용량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상기 설정거리(S1)를 20mm 이상 확보하는 것으로 제안한다 (도 11 참조).The lower end of the
상기 송풍장치에는, 상기 쉬라우드(260)의 상측에 결합되는 홀더(284)가 더 포함된다. 상기 홀더(284)는 상기 쉬라우드(260)보다 더 무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284)는 금속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쉬라우드(260)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홀더(284)는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The blow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상기 홀더(284)의 무게는 상기 쉬라우드(260) 무게의 3배 이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284)의 무게는 상기 쉬라우드(260) 무게의 약 5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홀더(264)가 상기 쉬라우드(260)보다 무겁게 형성되어 상기 홀더(264)는 상기 쉬라우드(260)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어, 쉬라우드(260)에서의 진동에 따른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The weight of the
상기 홀더(284)의 내부에는 상기 팬(280)이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홀더(284)는 상기 팬(280)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팬 하우징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홀더(284)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공기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개구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쉬라우드(260)와 상기 홀더(284)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 상기 팬(280)이 설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송풍장치에는, 상기 홀더(284)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팬(280)을 통과하면서 상기 홀더(284)의 내주면측으로 발산되는 공기를 상방으로 모아주는 디퓨저(286)가 더 포함된다. 상기 디퓨저(286)는 상기 팬 모터(282)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팬(280)과 디퓨저(286)는 하나의 팬 모터(282)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The blow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상기 송풍장치에는, 상기 디퓨저(286)의 상측에 배치되는 디퓨저 가이드(288)가 더 포함된다. 상기 디퓨저 가이드(288)는 상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디퓨저(286)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퓨저(286)의 외주면과 상기 디퓨저 가이드(288)의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디퓨저(286)를 지나는 공기 유로가 형성한다. The air blower further includes a
상기 로어 바디(200)에는, 상기 송풍장치의 상측에 배치되는 가습장치(230)가 더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가습장치(230)는 상기 디퓨저(286)의 출구측, 즉 상기 디퓨저(286)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상기 가습장치(230)는 상기 내부 케이스(265)의 상부에 지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습장치(230)에는, 물통(240) 및 상기 물통(240)에 저장된 물이 집수되는 저수조(231)가 포함된다. 상기 물통(240)은 상기 저수조(231)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231)에는 가습매체(235)가 설치될 수 있다.The
상기 가습장치(230)에는, 상기 물통(240)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습커버(25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물통(240)의 상단부에는 개구된 물 유입부(245)가 형성되며, 상기 가습커버(250)는 상기 물 유입부(245)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상기 가습커버(250)가 분리되면, 사용자는 상기 물통(240)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장치를 지난 공기는 상기 가습매체(235)를 지나면서 가습되며, 가습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하여 어퍼 바디(300)측으로 유입된다. When the
상기 케이스(210,220)는 상기 로어 바디(2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 케이스(265)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로어 바디(200)의 상측에는 어퍼 바디(300)가 결합된다. 상기 어퍼 바디(300)는 상기 가습장치(230)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300)는 상기 로어 바디(200)에 결합되어, 함께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상기 어퍼 바디(300)에는 상기 가습장치(230)를 통과한 공기를 공기 청정기(10)로부터 배출시키는 토출장치(31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장치(310)에는 온풍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가열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열장치에는, 히터(330)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바디(300)에는, 상기 토출장치(310)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부(380)가 더 포함된다.The
상세히, 상기 토출장치(310)에는, 상기 가습장치(230)를 통과한 공기의 토출유로(351,355, 도 23 참조)를 형성하는 토출본체(320)가 포함된다. 상기 토출유로는 상기 토출본체(320)의 내부공간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In detail, the
상기 토출본체(3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토출부(320a,320b)가 포함된다. 상기 2개의 토출부(320a,320b)에는, 상기 로어 바디(200)의 상단부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토출부(320a) 및 상기 로어 바디(200)의 상단부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토출부(320b)가 포함된다.The
상기 제 1,2 토출부(320a,320b)에는, 각각 토출공(32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공(325)은 상기 제 1,2 토출부(320a,320b)에 각각 다수 개가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Discharge holes 325 are formed in the first and
상기 토출본체(320)에는, 상기 제 1,2 토출부(320a,320b)의 하부를 연결하는 토출 연결부(320c)가 더 포함된다. 상기 토출 연결부(320c)는 상기 제 1 토출부(320a)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 2 토출부(320b)의 하부를 향하여 가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본체(320)에는, 상기 가습 장치(230)의 물통(240)에 결합되는 물통 결합부(32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통 결합부(328)는 상기 토출 연결부(320c)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상기 토출본체(320)는, 상기 제 1,2 토출부(320a,320b) 및 상기 토출 연결부(320c)의 구성에 의하여,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U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상기 토출본체(320)에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330)가 구비된다. 상기 히터(330)는 상기 토출 유로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330)에는 면상 히터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330)는 상기 토출 본체(320)의 하부에 배치되며, 복수 개가 제공되어 상기 토출 본체(320)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상기 토출본체(320)에는, 서로 결합되는 2개의 파트가 포함된다. 상기 2개의 파트에는, 제 1 파트(321) 및 상기 제 1 파트(321)의 후측에 결합되는 제 2 파트(322)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파트(321,322)가 결합되면, 그 내부에 토출유로가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 본체(320)에는, 상기 제 1,2 파트(321,322)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커버(370)가 더 포함된다. The
상기 제 1 파트(321)의 후방부는 개구되며, 제 1 히터는 상기 제 1 파트(321)의 내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321) 및 상기 제 1 히터는 U 형상을 가지도록 절곡될 수 있다.The rear portion of the
상기 제 2 파트(322)의 전방부는 개구되며, 제 2 히터는 제 2 파트(322)의 내면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파트(322) 및 상기 제 2 히터는 U 형상을 가지도록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322)의 하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80)의 하측을 지지하는 디스플레이지지부(32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지지부(329)는 상기 제 2 파트(322)의 하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디스플레이지지부(329)는 상기 제 1 파트(321)의 하부에도 구비될 수 있다.The front portion of the
상기 토출본체(320)의 토출유로에는 상기 토출장치(310)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토출공(325)을 향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유동 가이드(34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유동 가이드(340)는 상기 히터(330)의 출구측, 즉 상기 히터(3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340)는 상기 토출본체(320)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를 상기 토출공(325)으로 가이드 한다.The discharge passage of th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와 제 1 케이스의 결합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와 지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와 지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6의 IX-IX'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의 상측에 필터가 배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7 is a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base and a first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se and a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se and a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IX-IX' of FIG. 6, and FIG. 11 is a filter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how it becomes.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100)의 상측에는, 제 1 케이스(21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210)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케이스(210)를 지지하는 지지장치(11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장치(110)는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7 to 11, the
상세히, 상기 지지장치(110)에는, 상기 제 1 케이스(210)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지지 본체(111)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지지 본체(111)는 상기 제 1 케이스(210)에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되거나, 열간 압입의 방식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본체(111)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케이스(210)의 흡입부(212)에 정렬되는 흡입 개구부(111a)를 가진다.In detail, the
상기 지지장치(110)에는, 상기 지지 본체(111)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케이스(210)의 내부에 위치한 베이스(100)의 상부공간을 덮는 모터 커버(113)가 더 포함된다. 상기 모터 커버(113)는 원판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 본체(111)의 하부는 상기 모터 커버(113)의 원주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상기 지지장치(110)에는, 상기 모터 커버(113)의 중심부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장치(110)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중심 브라켓(114)이 더 포함된다. 상기 중심 브라켓(114)은 상기 모터 커버(113)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상기 베이스(100)에는, 개구된 상단부 및 상기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는 함몰부(102)가 포함된다. 상기 함몰부(102)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100)의 내부에는 모터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공간은 상기 모터 커버(113)에 의하여 커버될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베이스(100)의 개구된 상단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베이스 홈(115)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홈(115)은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홈(115)에는 상기 지지장치(110)의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 홈(115)은 상기 지지장치(110)의 회전 가이드홈으로서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a
상기 베이스(100)의 내부에는, 상기 베이스(100)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축 지지부(106)가 구비된다. 상기 축 지지부(106)의 상단부는 상기 모터 커버(113)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Inside the
상기 축 지지부(106)에는 중심축(116)이 삽입되며, 상기 중심축(116)은 상기 중심 브라켓(114)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축 지지부(106)의 내부에서 자전할 수 있다. 상기 지지장치(110)가 회전할 때, 상기 중심축(116)은 상기 지지장치(110)의 안정적인 회전을 가이드 한다.A
상기 베이스(100)의 내부에는, 모터 하우징(115a)이 구비된다. 상기 모터 하우징(115a)은 상기 축 지지부(106)의 측방에 배치되며, 회전모터(115)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 하우징(115a)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모터 하우징(115a)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모터(115)가 배치될 수 있다.Inside the
상기 회전모터(115)에는 모터 축(115b)이 결합된다. 상기 모터 축(115b)은 상기 회전모터(115)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축(115b)에는 링크(115c)가 결합될 수 있다. A
상세히, 상기 링크(115c)는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링크(115c)의 일측부는 상기 모터 축(115b)에 결합되며, 타측부는 상기 일측부에 대하여 절곡되어 상기 모터 커버(113)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축(115b)이 회전하면 상기 링크(115c)는 상기 모터 축(115b)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상기 모터 커버(113)에는 회전력이 발생될 수 있다. In detail, the
그리고, 상기 모터 커버(113)는 상기 중심축(116)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좌우 방향"이라 함은, 상하 방향(축 방향)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커버(113), 즉 상기 지지장치(110)가 회전할 수 있는 최대 각도는 90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에 가습매체가 배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통과 가습 커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커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1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umid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umid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4 is a 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humidification medium, FIG. 15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ucket and a humidification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umidification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230)는 로어 바디(2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습장치(230)에는, 물통(240) 및 상기 물통(240)의 하측에 구비되는 저수조(231)가 포함된다. 사용자는 상기 물통(24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12 to 16, the
상기 물통(240)에는 상부가 개방된 물통 본체(241)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물통 본체(241)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대략 원통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물통(240)의 상부에는, 물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물 유입부(245a,245b)가 포함된다. 상기 물 유입부(245a,245b)에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1 유입부(245a) 및 제 2 유입부(245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유입부(245a,245b)에는 가습 커버(25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상세히, 상기 물통 본체(241)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물통 외벽(242)과, 상기 물통 외벽(242)의 내부에 배치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물통 내벽(243) 및 상기 물통 외벽(242)의 하단부와 상기 물통 내벽(243)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물통 저면부(244)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물통 외벽(242)의 상단부와 상기 물통 내벽(243)의 상단부 사이의 공간은 상기 제 1,2 유입부(245a,245b)를 형성한다.In detail, the
상기 물통 외벽(242)의 외주면과 상기 물통 내벽(243)의 외주면 사이에는 물이 저장되는 물통 저장공간(246)이 형성된다. 즉 상기 물통 저장공간(246)은 상기 물통 외벽(242)과 상기 물통 내벽(243)에 의하여 정의되며, 환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A
상기 물통(240)의 상부 및 하부는 개구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상세히, 상기 물통 내벽(243)의 내측에는 공기유로(241a)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로(241a)에는, 상기 송풍장치에서 토출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상세히, 공기는 상기 공기유로(241a)를 따라 상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로(241a)는 상방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물통 내벽(243)의 내부 공간이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연장되는 구성에 기인한다. 그리고, 상기 물통 저장공간(246)은 상기 공기유로(241a)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detail, air may flow upward along the
상기 물통(240)의 하부에는 내부 케이스(265)의 돌기 홈(266, 도 18 참조)에 끼워지는 돌기(249)가 포함된다. 상기 돌기(249)는 상기 물통(240)의 하부 외주면에 구비되며,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A
상기 저수조(231)는 상기 물통(240)의 하측에 결합된다. 일례로, 상기 저수조(231)의 상단 테두리 외측에 상기 물통(240)의 하부 테두리가 배치되도록, 상기 저수조(231)의 상부는 상기 물통(240)의 하부에 삽입될 수 있다.The
상기 저수조(231)는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되어 공기유로(231b)를 형성하고, 그 외측에 저수조 저장공간(231a)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저수조 저장공간(231a)은 상기 저수조(231)의 공기유로(231b)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통(240)의 공기유로(241a)를 "물통 유로", 상기 저수조(231)의 공기유로(231b)를 "저수조 유로"라 이름할 수 있다.The
상세히, 상기 저수조(231)에는, 원통형의 저수조 외벽(232)과, 상기 저수조 외벽(232)의 내측에 배치되는 저수조 내벽(233) 및 상기 저수조 외벽(232)의 하부와 상기 저수조 내벽(233)의 하부를 연결하는 저수조 저면부(234)가 포함된다. 상기 저수조 외벽(232)과, 상기 저수조 내벽(233) 및 상기 저수조 저면부(244)에 의하여 상기 저수조 저장공간(231a)이 정의될 수 있다. In detail, the
상기 물통(240)에 저장된 물은 상기 저수조(231)로 낙하하여, 상기 저수조 저장공간(231a)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물통(240)의 물통 저면부(244)에는, 밸브(24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248)는, 상기 물통(240)이 상기 저수조(231)의 상측에 결합될 때 상기 상기 저수조(231)의 저수조 저면부(234)에 구비되는 밸브 돌기(234a)에 의하여 눌러져서 개방되며, 상기 물통(240)의 물은 개방된 밸브(248)를 통하여 상기 저수조(231)로 낙하할 수 있다. 상기 밸브(248)에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The water stored in the
그리고, 상기 물통(240)이 상기 저수조(231)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밸브(248)는 상기 밸브 돌기(234a)로부터 이격되어 닫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통(240)으로부터 상기 저수조(231)로의 물 유입은 중단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상기 저수조 유로(231b)는 상기 저수조(231)의 상부 및 하부가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수조 내벽(233)의 내측에는 저수조 유로(231b)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저수조 유로(231b)는 상기 저수조 내벽(233)의 개구된 하부로부터 개구된 상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 유로(231b)의 하측에는 송풍장치의 공기유로가 연통되며, 상기 저수조 유로(231b)의 상측에는 상기 물통 유로(241a)가 연통될 수 있다.The
정리하면, 상기 가습장치(230)의 중앙측 상부 및 하부는 개구되어 공기유로(231b,241a)를 형성하며, 물 저장공간(231a,246)은 상기 공기유로(231b,241a)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로(231b,241a)에는, 저수조 유로(231b) 및 상기 저수조 유로(231b) 상측의 물통 유로(241a)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물 저장공간(231a,246)에는 저수조 저장공간(231a) 및 상기 저수조 저장공간(231a) 상측의 물통 저장공간(246)이 포함된다.In summary,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enter side of the
상기 저수조(231)에는, 가습매체(235)가 구비된다. 상기 가습매체(235)는 물의 흡수가 용이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습매체(235)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섬유 또는 합성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통공을 통하여,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A
상기 가습매체(235)는 상기 저수조 저장공간(231a)의 물에 담겨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저수조 내벽(233)의 외주면 및 개구된 상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습매체(235)의 일부분이 물에 적셔지면, 가습매체(235) 전체 부분으로 물의 확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 내벽(233)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가습매체(235)에 의하여 가습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가습매체(235)는 고정부재(236)에 의하여 상기 저수조(231)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재(236)에는 케이블 타이(cable tie), 링 부재 또는 와이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36)는 상기 가습매체(235)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저수조 내벽(233)에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가습장치(230)에는, 물통(240)의 물 유입부(245a,245b)를 커버하기 위한 가습 커버(250)가 더 포함된다. 상기 가습 커버(250)는 제 2 케이스(220)에 지지되며 상기 제 2 케이스(220)의 개구된 상부 중 적어도 일부분을 차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통(240)의 물 유입부(245a,245b)는 상기 제 2 케이스(220)의 상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상기 가습 커버(250)에는, 제 1 커버(251) 및 상기 제 1 커버(25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커버(255)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커버(251)에는, 개구부(252c)를 정의하는 링 형상의 제 1 커버본체(252a) 및 제 1 물 유입부(245a) 또는 제 2 물 유입부(2435b)를 커버하는 차폐부(252b)가 포함된다. 상기 차폐부(252b)는 상기 제 1 커버본체(252a)로부터 제 1 커버(251)의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반원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커버본체(252a)와 상기 차폐부(252b)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제 1 커버본체(252a)에는, 상기 제 2 커버(255)를 지지하는 지지 턱(253)이 포함된다. 상기 지지 턱(253)은 상기 제 1 커버본체(252a)의 상면에 단차지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커버본체(252a)의 외주면에는, 제 2 케이스(220)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제 1 자석부재(258a)가 구비된다. 상기 제 2 케이스(220)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습커버(250)를 지지하는 커버지지부(225)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지지부(225)는 상기 제 2 케이스(220)의 상부 내주면에 돌출되며, 상기 가습커버(250)의 하단부는 상기 커버지지부(225)의 상단부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자석부재(258a)는 상기 커버지지부(225) 상측의 제 2 케이스(220) 내주면에 자력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220)는 제 1 자석부재(258a)에 결합되는 금속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상기 제 2 커버(255)는 대략 반 원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커버(255)는 상기 차폐부(252b)의 형상과 유사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커버(255)에는, 상기 제 1 지지턱(253)에 지지되는 제 2 지지턱(257)을 가지는 제 2 커버본체(256)가 포함된다. The
그리고, 상기 제 2 커버본체(256)에는, 상기 제 1 커버(251)에 자력 결합되는 제 2 자석부재(258b)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자석부재(258b)는 상기 제 2 커버본체(256)의 내부에 심어져 배치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 1 커버(251)는 상기 제 2 자석부재(258b)에 결합되는 금속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가습커버(250)에는, 물통(240)의 물통 유로(241a)에 연통되는 공기유로(250a)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로(250a)를 "커버유로"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커버유로(250a)는 상기 가습커버(250)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유로(250a)의 양측에는 상기 차폐부(252b) 및 상기 제 2 커버(255)가 위치될 수 있다.The
상기 차폐부(252b)는 상기 제 1,2 유입부(245a,245b) 중 어느 하나를 차폐하며, 상기 제 2 커버(255)는 상기 다른 하나를 차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252b) 및 상기 제 2 커버(255)가 어떠한 물 유입부를 차폐하는지 여부는, 상기 가습 커버(250)가 상기 제 2 케이스(220)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shielding
상기 커버유로(250a)에는, 토출장치(310)의 물통 결합부(328)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유로(250a)를 통하여 상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물통 결합부(328)를 통하여 상기 토출장치(3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The water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케이스 및 가습 장치의 결합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케이스의 내주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통과 내부 케이스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n inner case and a humid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 is an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water container and an inner case according to an example.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230)는 내부 케이스(265)에 지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물통(240)에 구비되는 돌기(249)는 상기 내부 케이스(265)의 돌기 홈(266)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17 to 19, the
상기 돌기 홈(266)은 상기 내부 케이스(265)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내부 케이스(265)의 내주면에서 함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 홈(266)은 절곡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돌기 홈(266)에는, 상기 내부 케이스(265)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1 홈부(266a) 및 상기 제 1 홈부(266a)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꺽여지는 제 2 홈부(266b)가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돌기 홈(266)은 상기 제 1,2 홈부(266a,266b)에 의하여 "L"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상기 물통(240)의 장착과정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물통(240)은 상기 내부 케이스(265)의 개구된 상단부를 통하여 하방으로 이동되며, 이 때 상기 돌기(249)는 상기 돌기 홈(266)의 제 1 홈부(266a)에 삽입되어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물통(240)을 상하방향 기준 시계(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돌기(249)는 상기 제 2 홈부(266b)에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249)가 상기 제 2 홈부(266b)에 걸림이 이루어지면 상기 물통(240)의 회전은 중단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265)로의 장착이 완료될 수 있다.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상기 내부 케이스(265)의 내주면에는, 저수조(231)를 지지하는 케이스 턱(267)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 턱(267)은 상기 내부 케이스(265)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돌기 홈(266)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턱(267)은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20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lo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에는, 쉬라우드(260), 홀더(284) 및 디퓨저(286)가 송풍장치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0, in a bl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상기 쉬라우드(260)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쉬라우드 유로(260a)가 형성된다. 상기 쉬라우드 유로(260a)는 상기 쉬라우드(260)의 하단부(유입부)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그 유로 폭(d1)이 감소 후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공기는 상기 쉬라우드(260)로의 유입 속도가 증가하여 팬(280)으로 흡입될 수 있다.A
상기 홀더(284)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홀더 유로(284a)가 형성된다. 상기 홀더 유로(284a)는 상기 쉬라우드 유로(260a)와 연통되며, 상기 쉬라우드 유로(260a)의 상측에 형성된다. 상기 홀더 유로(284a)의 폭(d2)은 상기 쉬라우드 유로(260a)의 폭(d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더(284)의 내부에는 팬(280)의 설치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The
상기 쉬라우드(260)의 외경과 상기 홀더(284)의 외경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쉬라우드(260)와 상기 홀더(284)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The outer diameter of the
상기 디퓨저(286)는 상기 홀더(284)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팬(280)을 통과하면서 상기 홀더(284)의 내주면측으로 발산된 공기를 송풍장치의 중심부 방향으로 모아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디퓨저(286)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디퓨저(286) 상측에 설치되는 가습장치(230)의 공기유로(231b,241a)를 통과할 수 있다.The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장치와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19의 XIX-XIX'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charge device and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3 is an XIX- It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XIX'.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퍼 바디(300)에는, 토출본체(320)가 구비되는 토출장치(310) 및 상기 토출장치(310)에 결합되며 공기청정기(10)의 작동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80)가 포함된다.21 to 23, in the
상기 토출본체(320)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2 토출부(320a,320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토출부(320a,320b)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 1,2 토출부(320a320b)의 사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80)가 배치된다.The
상기 제 1,2 토출부(320a,320b)의 전면에는,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공(325)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공(325)은 슬릿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다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Discharge holes 325 for discharging air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s of the first and
상기 토출본체(320)에는, 상기 제 1,2 토출부(320a,320b)의 하부를 연결하는 토출 연결부(320c)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2 토출부(320a,320b) 및 상기 토출 연결부(320c)에 의하여, 상기 토출본체(320)는 절곡된 형상, 일례로 U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토출 연결부(320c)의 하부에는, 상기 물통(240)에 결합되는 물통 결합부(328)가 돌출된다. 상기 물통 결합부(328)는 상기 제 1,2 유입부(245a,245b)의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물통 본체(241)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물통 결합부(328)는 상기 물통 유로(241a)에 결합될 수 있다.A water
상기 토출본체(320)의 내부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토출유로(351,35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유로(351,355)에는 히터(331,332)가 설치될 수 있다.The
상세히, 상기 토출본체(320)는 2개의 파트(321,322)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파트(321,322)에는, 상기 토출공(325)을 형성하는 제 1 파트(321) 및 상기 제 1 파트(321)의 후측에 결합되는 제 2 파트(322)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파트(321,322)의 내부 공간은 상기 토출유로(351,355)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1,2 파트(321,322)는 각각 U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detail, the
상기 제 1 파트(321)에는 제 1 히터(331)가 설치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파트(321)에는 상기 제 1 히터(331)가 설치되는 제 1 함몰부(32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함몰부(321a)는 상기 제 1 파트(321)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함몰되도록 구성된다. A
상기 제 1 히터(331)는 상기 물통 연결부(328)의 상측 및 상기 토출본체(320)의 전방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히터(331)는 면상 히터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파트(321)의 형상에 대응하여 절곡된 U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상기 제 2 파트(322)에는 제 2 히터(332)가 설치된다. 상세히, 상기 제 2 파트(322)에는 상기 제 2 히터(332)가 설치되는 제 2 함몰부(32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함몰부(322a)는 상기 제 2 파트(321)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함몰되도록 구성된다. A
상기 제 2 히터(332)는 상기 물통 연결부(328)의 상측 및 상기 토출본체(320)의 후방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히터(332)는 면상 히터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파트(322)의 형상에 대응하여 절곡된 U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물통 연결부(328)의 폭(Wo)에 대응하는 가로 폭을 가지는 제 1,2 히터(331,332)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물통 연결부(328)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 1,2 히터(331,332)의 발열 면을 충분히 통과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and
상기 토출본체(320)의 내부에는, 히터(331,332)를 통과한 공기의 배출을 가이드 하는 유동 가이드(3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유동 가이드(340)에는, 상기 제 1 파트(321)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히터(331)를 통과한 가열 공기를 상기 토출공(325) 측으로 가이드 하는 제 1 가이드(341)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가이드(341)는 상기 제 1 히터(33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Inside the
그리고, 상기 제 1 가이드(341)는 상기 토출유로(351,355)를 제 1 토출유로(351) 및 제 2 토출유로(355)로 구획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유로(355)는 상기 제 1 토출유로(351)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가이드(341)는 상기 제 1,2 토출유로(351,35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제 1 토출유로(351)는 상기 제 1 히터(331)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이며, 상기 제 2 토출유로(355)는 상기 제 2 히터(332)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로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1,2 토출유로(351,355)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The
상기 제 1 가이드(341)는 상기 토출본체(320)의 대략 중앙부 높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이드(341)의 상부에는, 공기를 토출 본체(320)의 전방측으로 가이드 하기 위한 제 1 절곡부(341a)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절곡부(341a)는 상기 제 1 토출유로(351)의 상부를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가이드(341)에 의하여 안내된 공기는 다수의 토출공(325) 중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한 토출공(325)으로 안내될 수 있다.The
상기 유동 가이드(340)에는, 상기 제 2 파트(322)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히터(332)를 통과한 가열 공기를 상기 토출공(325) 측으로 가이드 하는 제 2 가이드(342)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가이드(342)는 상기 제 1 가이드(341)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가이드(34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제 1 가이드(341)의 상단부와 상기 제 2 가이드(342)의 하단부 사이에는 이격부(357)가 형성된다. 상기 이격부(357)는 상기 제 2 토출유로(355)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격부(357)에 의하여, 상기 제 2 토출유로(355)는 전방으로 꺽여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유로(355)의 공기는 상기 이격부(357)를 지나면서 상기 토출본체(320)의 전방 상부로 유동할 수 있다.In addition, a
상기 제 2 가이드(342)의 상부에는, 공기를 토출 본체(320)의 전방측으로 가이드 하기 위한 제 2 절곡부(342a)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절곡부(342a)는 상기 제 2 토출유로(355)의 상부를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가이드(342)에 의하여 안내된 공기는 다수의 토출공(325) 중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한 토출공(325)으로 안내될 수 있다.A second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가 회전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2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low of air in the humidified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rotat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4를 참조하여, 공기청정기(10)에서의 공기유동을 설명한다. 팬(280)이 구동하면, 공기는 공기청정기(10)의 하부에 형성된 흡입부(212)를 통하여 로어 바디(200)로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하여 필터(270)의 저면으로 유입되어 상면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First, with reference to FIG. 24, the air flow in the
상기 필터(270)에서 배출된 공기는 쉬라우드(260)로 흡입되어 팬(280)을 통과하고 홀더(284) 및 디퓨저(286)를 통과한다.The air discharged from the
상기 디퓨저(286)에서 배출된 공기는 가습장치(230)의 저수조 유로(231b) 및 물통 유로(241a)를 통하여 상방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상기 가습장치(230)에서 배출된 공기는 토출장치(310)의 물통 연결부(328)를 통하여 토출 본체(320)의 내부로 유동한다.The air discharged from the
공기는 상기 토출 본체(320)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배치된 제 1,2 히터(331,332)를 지나면서 가열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는 제 1 가이드(341)의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된 제 1,2 토출유로(351,355)로 분지되어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유로(351)를 유동하는 공기는 제 1 가이드(341)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토출공(325)으로 안내되며, 상기 제 2 토출유로(355)를 유동하는 공기는 제 2 가이드(342)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토출공(325)으로 안내될 수 있다.Air may be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다음으로, 도 25를 참조하면, 로어 바디(200) 및 어퍼 바디(300)는 상기 베이스(100)의 상측에서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베이스(100)에 구비되는 회전 모터(115)가 구동하면, 링크(115c)의 작용에 의하여 지지장치(110)에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지지장치(11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지지장치(110)에 결합된 내부 케이스(265) 및 제 1,2 케이스(210,220)는 축방향(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Next, referring to FIG. 25, the
그리고, 상기 내부 케이스(265)에 결합 또는 지지된 송풍장치 및 가습장치(230)도 함께 회전하므로, 상기 로어 바디(200)는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가습장치(230)의 상측에는 어퍼 바디(300)가 결합되므로, 상기 어퍼 바디(300) 또한 상기 로어 바디(20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blower and
이와 같이, 상기 어퍼 바디(300)가 회전하여 토출공(325)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이 변화될 수 있으므로, 공기 청정기(10)에 의한 공기청정 면적이 커질 수 있다. In this way, since the
10 : 공기 청정기 100 : 베이스
200 : 로어 바디 210,220 : 케이스
230 : 가습장치 231 : 저수조
240 : 물통 250 : 가습 커버
260 : 쉬라우드 265 : 내부 케이스
270 : 필터 280 : 팬
284 : 홀더 286 : 디퓨저
300 : 어퍼 바디 310 : 토출장치
320 : 토출 본체 330 : 히터
340 : 유동 가이드 351,355 : 토출유로10: air cleaner 100: base
200: lower body 210,220: case
230: humidification device 231: water storage tank
240: water bottle 250: humidification cover
260: shroud 265: inner case
270: filter 280: fan
284: holder 286: diffuser
300: upper body 310: discharge device
320: discharge body 330: heater
340: flow guide 351,355: discharge passage
Claims (26)
상기 로어 바디에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필터;
상기 필터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송풍장치; 및
상기 송풍장치의 출구측에 배치되며, 가습매체가 설치되는 저수조가 구비되는 가습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어퍼 바디에는,
상기 가습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토출유로를 형성하는 토출장치; 및
상기 토출유로에 설치되는 히터가 포함되고,
상기 토출장치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2 토출부 및 상기 제 1,2 토출부의 하부를 연결하는 토출 연결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 1,2 토출부 및 상기 토출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토출장치는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가습 공기청정기.An air purifier comprising a lower body having a case forming a suction part and an upper body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and having a discharge hole,
In the lower body,
A filter installed under the case;
A blowing device disposed on the outlet side of the filter; And
It is disposed at the outlet side of the blower, and includes a humidifying device provided with a storage tank in which a humidifying medium is installed,
In the upper body,
A discharge device detachably coupled to the humidification device and forming a discharge passage; And
A heater installed in the discharge passage is included,
The discharge device includes first and second discharge parts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discharge connection part connecting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arts,
By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arts and the discharge connection part, the discharge device is a humidified air purifier having a bent shape.
상기 필터와, 상기 송풍장치 및 상기 가습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는 가습 공기청정기.The method of claim 1,
The filter, the blowing device, and the humidifying device ar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 lower portion of the case toward an upper portion.
상기 흡입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습 공기청정기.The method of claim 2,
The suction unit is a humidified air purifier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상기 필터는 흡입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원통 형상을 가지는 가습 공기청정기.The method of claim 2,
The filter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unit, a humidified air purifier having a cylindrical shape.
상기 필터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저면부; 및
필터링 된 공기가 배출되는 상면부가 포함되는 가습 공기청정기.The method of claim 4,
In the filter,
A bottom portion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A humidified air purifier that includes an upper surface from which filtered air is discharged.
상기 송풍장치에는,
상기 필터의 상측에 배치되는 쉬라우드;
상기 쉬라우드의 상측에 결합되는 홀더; 및
상기 쉬라우드와 홀더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팬이 포함되는 가습 공기청정기.The method of claim 2,
In the blowing device,
A shroud disposed above the filter;
A holder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hroud; And
A humidifying air purifier including a fan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hroud and the holder.
상기 홀더의 상측에 결합되는 디퓨저가 더 포함되는 가습 공기청정기.The method of claim 6,
Humidifying air purifier further comprising a diffuser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holder.
상기 홀더는 상기 쉬라우드 보다 적어도 3배 이상 무겁게 형성되는 가습 공기청정기.The method of claim 6,
The holder is a humidified air purifier formed at least three times heavier than the shroud.
상기 홀더는 금속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쉬라우드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구성되는 가습 공기청정기.The method of claim 6,
The holder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the shroud is a humidified air purifier made of a plastic injection product.
상기 가습장치에는,
상기 저수조의 상측에 구비되며, 물 유입부가 형성되는 상단부를 가지는 물통이 더 포함되는 가습 공기청정기.The method of claim 2,
In the humidification device,
The humidification air purifier further comprises a water tank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tank and having an upper end portion in which a water inlet portion is formed.
상기 물 유입부는 서로 이격되는 2개의 유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2개의 유입부의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물통 유로가 형성되는 가습 공기청정기.The method of claim 10,
The water inlet includes two inle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the two inlet portions, a humidifying air purifier in which a water bottle passage through which air flows is formed.
상기 저수조에는,
저수조 내벽;
상기 저수조 내벽을 둘러싸는 저수조 외벽; 및
상기 저수조 내벽의 하부와 상기 저수조 외벽의 하부를 연결하는 저면부가 포함되는 가습 공기청정기.The method of claim 2,
In the storage tank,
The inner wall of the reservoir;
An outer wall of the storage tank surrounding the inner wall of the storage tank; And
A humidifying air purifier comprising a bottom portion connecting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reservoir and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wall of the reservoir.
상기 저수조의 물 저장공간은,
상기 저수조 내벽, 상기 저수조 외벽 및 상기 저면부에 의하여 정의되는 가습 공기청정기.The method of claim 12,
The water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tank,
A humidification air purifier defined by the inner wall of the storage tank, the outer wall of the storage tank, and the bottom portion.
상기 저수조 내벽은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저수조 내벽의 내측에는, 상기 송풍장치와 연통하여 공기가 유동하는 저수조 유로가 형성되는 가습 공기청정기.The method of claim 12,
The inner wall of the water tank is formed to open the upper and lower ends,
A humidification air purifier in which a storage tank flow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in communication with the blower is formed inside the inner wall of the storage tank.
상기 가습 매체는,
상기 저수조 내벽의 외주면 및 개구된 상단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가습 공기청정기.The method of claim 14,
The humidification medium,
A humidified air purifier disposed to c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wall of the reservoir and the opened upper end.
상기 가습 매체는, 섬유 또는 합성 섬유로 구성되는 가습 공기청정기.The method of claim 15,
The humidifying medium is a humidifying air purifier composed of fibers or synthetic fibers.
상기 물통의 물 유입부에는, 가습 커버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습 공기청정기.The method of claim 11,
A humidifying air purifier to which a humidifying cov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water inlet of the bucket.
상기 가습 커버에는,
상기 2개의 유입부 중 어느 하나를 차폐하는 차폐부를 가지는 제 1 커버; 및
상기 제 1 커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2개의 유입부 중 다른 하나를 차폐하는 제 2 커버가 포함되는 가습 공기청정기.The method of claim 17,
In the humidification cover,
A first cover having a shielding portion shielding one of the two inlet portions; And
A humidification air purifier comprising a second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ver and shielding the other of the two inlet portions.
상기 토출장치에는,
상기 토출 연결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습 장치에 결합되는 물통 연결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물통 연결부는 상기 토출 유로와 연통되는 가습 공기청정기.The method of claim 1,
In the discharge device,
It extends to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connection, further includes a water container connection coupled to the humidification device,
The water tank connection part is a humidified air purifier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assage.
상기 히터의 가로 폭은 상기 물통 연결부의 가로 폭에 대응되는 가습 공기청정기.The method of claim 20,
The horizontal width of the heater corresponds to the horizontal width of the water container connection portion of the humidification air purifier.
상기 히터에는,
상기 토출유로의 전방부에 구비되는 제 1 히터; 및
상기 토출유로의 후방부에 구비되는 제 2 히터가 포함되는 가습 공기청정기.The method of claim 1,
In the heater,
A first heater provided in a front portion of the discharge passage; And
A humidifying air purifier including a second heater provided at a rear portion of the discharge passage.
상기 토출장치에는, 상기 토출유로에 설치되는 유동 가이드가 더 포함되며,
상기 유동 가이드에 의하여, 상기 토출유로는 제 1,2 토출유로를 전후방으로 구획하는 가습 공기청정기.The method of claim 22,
The discharge device further includes a flow guide installed in the discharge passage,
By the flow guide, the discharge passage is a humidified air purifier that divides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assages in front and rear.
상기 히터에는, 절곡된 형상의 면상 히터가 포함되는 가습 공기청정기.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er is a humidification air purifier comprising a curved surface heater.
상기 토출장치에는,
상기 제 1,2 토출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가 더 포함되는 가습 공기청정기.The method of claim 1,
In the discharge device,
A humidifying air purifier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units.
상기 로어 바디의 하측에 구비되며, 회전 모터가 설치되는 베이스가 더 포함되며,
상기 회전 모터가 구동하면, 상기 로어 바디 및 상기 어퍼 바디는 상기 베이스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가습 공기청정기.The method of claim 1,
It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body, further includes a base on which a rotation motor is installed,
When the rotation motor is driven,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body rotate in a horizontal direction based on the bas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4513A KR102151236B1 (en) | 2018-10-18 | 2018-10-18 | Humidifying air cleaner |
KR1020200108818A KR102386686B1 (en) | 2018-10-18 | 2020-08-27 | Humidifying air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4513A KR102151236B1 (en) | 2018-10-18 | 2018-10-18 | Humidifying air cleaner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8818A Division KR102386686B1 (en) | 2018-10-18 | 2020-08-27 | Humidifying air clea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3737A KR20200043737A (en) | 2020-04-28 |
KR102151236B1 true KR102151236B1 (en) | 2020-09-02 |
Family
ID=70456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24513A Active KR102151236B1 (en) | 2018-10-18 | 2018-10-18 | Humidifying air clea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123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0681B1 (en) * | 2020-05-14 | 2022-04-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ean fan |
CN113669306B (en) | 2020-05-14 | 2023-08-11 | Lg电子株式会社 | Blower fan |
KR102489622B1 (en) * | 2021-02-10 | 2023-01-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pparatus for air cleaning |
KR102572846B1 (en) * | 2021-08-27 | 2023-08-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Blower |
KR102572845B1 (en) * | 2021-09-01 | 2023-08-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Blower |
KR102572844B1 (en) * | 2021-09-01 | 2023-08-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Blower |
WO2023033476A1 (en) * | 2021-09-01 | 2023-03-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Blower |
KR102518293B1 (en) | 2021-09-03 | 2023-04-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Blower |
KR102572842B1 (en) | 2021-09-03 | 2023-08-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Blower |
CN114738880A (en) * | 2022-04-19 | 2022-07-12 | 浙江岭工电器股份有限公司 | Energy-saving waterproof wireless heate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1849B1 (en) * | 2014-04-15 | 2014-11-20 | 박진영 | Rotatable air purifier |
KR101885999B1 (en) * | 2017-06-16 | 2018-08-06 | 김동선 | Multi-function blower that can be used as fan, hot air fan, air purifier, hair drye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19823B1 (en) * | 2015-10-30 | 2018-11-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Fresher |
KR20180029939A (en) * | 2017-10-24 | 2018-03-21 | 류이하 | Wet air cleaner |
-
2018
- 2018-10-18 KR KR1020180124513A patent/KR10215123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1849B1 (en) * | 2014-04-15 | 2014-11-20 | 박진영 | Rotatable air purifier |
KR101885999B1 (en) * | 2017-06-16 | 2018-08-06 | 김동선 | Multi-function blower that can be used as fan, hot air fan, air purifier, hair dry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3737A (en) | 2020-04-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51236B1 (en) | Humidifying air cleaner | |
JP7174082B2 (en) | steam generator | |
KR20120076284A (en) | Humidification apparatus | |
CN102089591B (en) | Humidifying device | |
KR20160149871A (en) | Evaporative humidifier | |
JP5953196B2 (en) | Humidifier | |
KR20180070525A (en) | Air Cleaner | |
JPH0593524A (en) | Cold fan | |
JP2012037144A (en) | Humidification unit, and humidification device mounting the same | |
KR102165914B1 (en) | Humidifying air cleaner | |
KR102386686B1 (en) | Humidifying air cleaner | |
KR102033061B1 (en) | Fan assembly and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including the same | |
KR20150146314A (en) | Humidifier | |
KR102165911B1 (en) | Humidifying air cleaner | |
KR102122582B1 (en) | Humidifying air cleaner | |
KR20220162551A (en) | Humidifier | |
JP6081639B2 (en) | Humidifier | |
JP6277293B2 (en) | Humidifier | |
JP2014031967A (en) | Humidification device | |
CN217715261U (en) | Humidifier | |
CN218237692U (en) | Humidifier | |
EP4455566A1 (en) | Humidifier | |
KR102702360B1 (en) | Air cleaner having humidifying function | |
JP6081010B2 (en) | Humidifier | |
KR102531715B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827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8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