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657B1 - Braille actuator and Braille outputting devic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raille actuator and Braille outputting device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0657B1 KR102150657B1 KR1020170069827A KR20170069827A KR102150657B1 KR 102150657 B1 KR102150657 B1 KR 102150657B1 KR 1020170069827 A KR1020170069827 A KR 1020170069827A KR 20170069827 A KR20170069827 A KR 20170069827A KR 102150657 B1 KR102150657 B1 KR 1021506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ille
- rotating member
- electromagnet
- protrusion
- actua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자 액츄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점자 출력 장치를 공개한다. 본 발명의 점자 액츄에이터는, 바닥면에 설치되고 전류의 흐름에 따라서 극성이 변화되는 전자석과, 상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하면에 영구자석이 설치되어 전자석과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하여 회전하는 회전 부재와, 밑면이 회전 부재의 경사면과 접촉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회전 부재가 회전하면 회전 부재의 경사면을 따라서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점자 돌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는 전자석에 전류를 인가하여 회전 부재의 영구자석과 척력 또는 인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고, 회전하는 회전부재의 상면이 점자 돌기의 밑면을 상승시켜 점자를 출력한 후, 전자석으로의 전류 공급을 차단하여도 점자 돌기는 회전 부재에 의해서 지지되어 출력 상태를 유지하므로, 점자 출력에 소비되는 전력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braille actuator and a braille output device using the same. The braille actu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magnet that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and whose polarity is changed according to the flow of current, and a rotating member that rotates by the action of the electromagnet and attractive force or repulsive force as the upper surface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and a permanent magnet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so as to contact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and when the rotating member rotates, it includes a braille protrusion that rises or descends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With this configuration, the actu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the rotating member by applying electric current to the electromagnet so that the permanent magnet of the rotating member and repulsive force or attraction ac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raises the bottom surface of the braille projection to reduce braille. After outputting, even if the current supply to the electromagnet is cut off, the braille protrusion is supported by the rotating member to maintain the output state, so that power consumed for braille outpu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점자 액츄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점자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ille actuator and a braille output device using the same.
최근 스마트폰 및 스마트패드 등의 각종 휴대 전자 장치의 보급이 급증하고 있으며, 사람들은 언제 어디서나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여 열람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휴대용 전자 장치들은 정상인을 기준으로 설계되어 있으므로 시각 장애인이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였다.Recently, the spread of variou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smart pads is increasing rapidly, and people can search and read the information they want anytime, anywhere. However, since these general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re designed based on a normal pers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use.
최근에는, 시각 장애인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고,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점자시계이다. 점자 시계는 시계의 표면에 돌출된 점자 돌기를 시각 장애인이 감지함으로써 시간을 파악할 수 있는 장치로서, 점자 시계는 영구 자석과 전자석을 이용하여, 돌출시키고자 하는 점자 돌기 주변에 설치된 전자석에 전류를 인가하여 전자석과 영구 자석 사이에 척력 또는 인력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정보를 출력한다.Recently, devices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visually impaired are being developed, and a representative of them is a braille watch. A braille watch is a device that allows the visually impaired to detect the time by detecting the braille protrusions protruding on the surface of the watch.The braille watch uses a permanent magnet and an electromagnet to apply electric current to the electromagnet installed around the braille protrusion to be protruded. Thus, information is output by creating a repulsive force or attractive force between the electromagnet and the permanent magnet.
그러나, 이러한 점자 시계를 비롯한 대부분의 전자석을 이용한 점자 출력 장치의 경우, 사용자가 점자를 판독하는 동안 점자 돌기의 돌출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전자석에 지속적으로 전류를 공급하여 전자석의 상태를 유지하여야 할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점자를 터치하여 점자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힘이 인가될 때에도 점자 돌기의 돌출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전자석에 상대적으로 높은 전류를 지속적으로 인가해야하므로 전력소모가 매우 많았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기술은 제한된 배터리 전력을 이용해야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는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였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braille output device using most electromagnets including such a braille watch, the protrusion of the braille protrusion must be maintained while the user is reading the braille, so the state of the electromagnet must be maintained by continuously supplying current to the electromagnet. In addition, even when the user touches the braille and the force is appli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raille protrudes, the protruding state of the braille protrusion must be maintained.Therefore, a relatively high current must be continuously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which consumes a lot of power. . Therefore, this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apply to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hat must use limited battery pow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적은 소비 전력만으로도 점자를 돌출시키고 돌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점자 액츄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점자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aille actuator and a braille output device using the same, which can protrude braille and maintain the protruding state with only a small power consum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자 액츄에이터는, 바닥면에 설치되고, 전류의 흐름에 따라서 극성이 변화되는 전자석; 상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하면에 영구자석이 설치되어, 상기 전자석과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하여 회전하는 회전 부재; 및 밑면이 상기 회전 부재의 경사면과 접촉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 부재의 경사면을 따라서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점자 돌기를 포함한다.Braille actu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electromagnet is installed on the floor, the polarity is changed according to the flow of current; A rotating member having an upper surfac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a permanent magnet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rotating by the electromagnet and an attractive force or repulsive force; And a braille protrusion having a bottom surfac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so as to contact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and rising or falling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when the rotating member rotate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자 액츄에이터에서, 상기 점자 돌기의 측면에는 상기 점자 돌기의 회전을 방지하면서 상기 점자 돌기가 상하 이동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braille actuato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braille projection to prevent rotation of the braille projection while allowing the braille projection to only move up and dow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자 액츄에이터에서, 상기 회전부재 및 상기 점자돌기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가이드부가 결합하는 가이드 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braille actuato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further includes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rotating member and the braille protrusion therein, and wherein the guide part is coupl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part of the housing The groove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자 액츄에이터에서, 상기 회전 부재는 180도 만큼 회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braille actuato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member may rotate by 180 degree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자 액츄에이터에서, 상기 회전부재 및 상기 점자 돌기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자석과 상기 영구 자석은 상기 회전 부재 단면의 원주를 따라서 원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braille actuato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member and the braille protrusion ar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electromagnet and the permanent magnet may be arranged circular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rotating memb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자 액츄에이터에서, 상기 전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이 차지하는 원주상의 길이의 합은 상기 회전부재의 원주 길이의 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braille actuato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m of the circumferential lengths occupied by the electromagnet and the permanent magnet is 50% of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rotating memb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자 액츄에이터에서, 상기 전자석은 제 1 전자석 및 제 2 전자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전자석과 상기 제 2 전자석은 서로 마주보는 면과 서로 반대되는 면이 각각 동일한 극성을 갖도록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braille actuato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magnet is composed of a first electromagnet and a second electromagnet, and the first electromagnet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have a surface facing each other and a surface opposite to each other. Current can be supplied to have the same polarit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자 액츄에이터에서, 상기 회전 부재 상면의 최고점 및 상기 점자 돌기 밑면의 최저점은 수평으로 절개면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점자 돌기가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의 절개면과 상기 점자 돌기의 절개면은 서로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braille actuato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est poi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and the lowest poin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raille protrusion are horizontally cut, so that in a state where the braille protrusion protrudes, the rotating member The cut surface of and the cut surface of the braille protrusion may be supported by contacting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자 액츄에이터에서,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점자 돌기의 중심을 관통하는 중심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braille actuato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central axis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rotating member and the braille projec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자 액츄에이터에서, 상기 회전 부재의 상면의 가장자리와, 상기 점자 돌기 밑면의 가장자리는 둥글게 처리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braille actuato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and the edg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raille protrusion may be rounded.
한편,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자 출력 장치는, 복수의 셀이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복수의 셀에 각각 설치되는 상술한 점자 액츄에이터;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커버부; 및 사용자에게 출력될 정보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셀에 설치된 액츄에이터의 전자석으로 전류를 공급하여, 각 셀에 설치된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드라이버 회로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braille output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a base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cells are formed; The above-described braille actuators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cells; A cover portion coupled to the base portion; And a driver circuit for controlling actuators installed in each cell by supplying current to the electromagnets of actuators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cells according to information to be output to the user.
본 발명의 점자 액츄에이터는, 바닥면에 설치되고 전류의 흐름에 따라서 극성이 변화되는 전자석과, 상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하면에 영구자석이 설치되어 전자석과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하여 회전하는 회전 부재와, 밑면이 회전 부재의 경사면과 접촉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회전 부재가 회전하면 회전 부재의 경사면을 따라서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점자 돌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는 전자석에 전류를 인가하여 회전 부재의 영구자석과 척력 또는 인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고, 회전하는 회전부재의 상면이 점자 돌기의 밑면을 상승시켜 점자를 출력한 후, 전자석으로의 전류 공급을 차단하여도 점자 돌기는 회전 부재에 의해서 지지되어 출력 상태를 유지하므로, 점자 출력에 소비되는 전력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The braille actu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magnet that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and whose polarity is changed according to the flow of current, and a rotating member that rotates by the action of the electromagnet and attractive force or repulsive force as the upper surface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and a permanent magnet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so as to contact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and when the rotating member rotates, it includes a braille protrusion that rises or descends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With this configuration, the actu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the rotating member by applying electric current to the electromagnet so that the permanent magnet of the rotating member and repulsive force or attraction ac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raises the bottom surface of the braille projection to reduce braille. After outputting, even if the current supply to the electromagnet is cut off, the braille protrusion is supported by the rotating member to maintain the output state, so that power consumed for braille outpu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자 액츄에이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라서,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 전자석과 회전 부재에 설치된 영구자석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라서,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 전자석과 회전 부재에 설치된 영구자석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회전 부재가 회전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자 액츄에이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자 액츄에이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자 액츄에이터를 이용한 점자 출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braille actu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lectromagnet fixedly installed on a floor and a permanent magnet installed on a rotating member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lectromagnet fixedly installed on a surface and a permanent magnet installed on a rotating member.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rotating the rotat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braille actu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braille actu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raille output device using a braille actu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자 액츄에이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braille actu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점자 액츄에이터는 전자석(400), 회전 부재(100), 및 점자 돌기(20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하우징(300)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braille actu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n
먼저, 전자석(400)은 점자 액츄에이터의 바닥면(500)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유입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서 극성이 변화된다. 전자석(400)은 철심과 같은 자기 코어에 코일이 감긴 형태의 일반적인 전자석(400)으로 구현될 수 있다.First, the
회전 부재(100)는 상면(110)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하면(120)에 영구 자석(130)이 설치되어, 하면에 설치된 영구 자석(130)이 전자석(400)과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점자 돌기(20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부재이다. 회전 부재(1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2을 참조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The rotating
점자 돌기(200)는 밑면(210)이 회전 부재(100)의 경사면과 접촉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회전 부재(100)가 회전하면, 회전 부재(100)의 경사면을 따라서 상승하거나 하강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점자 돌기(200)의 경사면이 형성하는 경사각은 회전 부재(100)의 경사면이 형성하는 경사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회전 부재(100)의 경사면과 점자 돌기(200)의 경사면은 서로 밀착된다. 그러나, 양 경사면이 완전히 밀착되지 않아도 무방하다.The
또한, 점자 돌기(200)의 측면에는 점자 돌기(200)가 회전부재(100)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점자 돌기(200)가 상하 이동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
한편, 본 발명의 점자 액츄에이터는 점자 돌기(200) 및 회전 부재(100)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30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0)의 측면에는 점자 돌기(200)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부(220)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부(220)가 결합하는 가이드 홈(310)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Meanwhile, the braille actu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점자 액츄에이터의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점자가 돌출되지 않은 상태(도 1의 (a) 참조)에서는, 회전 부재(100)의 상면(110)인 경사면과 점자 돌기(200)의 밑면(210)인 경사면이 서로 밀착되게 맞닿아 있다. 이렇게 점자가 돌출되지 않은 상태는 전자석(400)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회전 부재(100)의 상면(110)의 최고점(111)은 점자 돌기(200)의 밑면(210)의 최고점(211)과, 회전 부재(100)의 상면(110)의 최저점(112)은 점자 돌길의 밑면(210)의 최저점과 맞닿아 있거나, 일직선상에 배치되게 된다. Referring to FIG. 1, looking at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braille actu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n a state in which the braille does not protrude (refer to (a) of FIG. 1),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braille which are the
그 후, 점자 돌기(200)를 돌출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바닥면(500)에 고정 설치된 전자석(400)에 전류를 공급하여 회전 부재(100)의 하면(120)에 설치된 영구 자석(130)과 전자석(400)간에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회전 부재(100)를 180도 회전시킨다.Thereafter, when the
회전 부재(100)가 회전되면, 상면(110)에 형성된 경사면의 방향이 180도 회전되고, 이 과정에서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되어 있던 회전 부재(100)의 상면(110)과 점자 돌기(200)의 밑면(210)이 서로 어긋나면서, 회전 부재(100)의 경사면(110)이 점자 돌기(200)의 경사면(210)을 상승시켜 점자 돌기(200)가 외부로 돌출된다. 점자 돌기(200)가 돌출된 상태에서, 회전 부재(100)의 상면(110)의 최고점(111)은 점자 돌기(200)의 밑면(210)의 최저점(212)과 맞닿거나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회전 부재(100)의 상면(110)의 최저점(112)은 점자 돌기(200)의 밑면(210)의 최고점(211)과 일직선상에 배치된다.When the rotating
회전이 완료되면, 전자석(400)에 공급되던 전류의 공급은 차단된다. 이렇게 전류 공급이 차단되어도, 회전 부재(100)는 전자석(400)에 남아있는 잉여 자력과 바닥면(500)과의 마찰력에 의해서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점자 돌기(200) 역시 회전 부재(100)와의 마찰력에 의해서 회전 부재(100)에 의해서 지지되어 돌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사용자가 점자 돌기(200)의 위에서 아래로 압력을 가한다 하더라도, 가해진 압력은 수직 방향으로 전달되므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회전 부재(100)에 의해서 지지되어 돌출 상태가 유지된다.When the rotation is complete, the supply of current supplied to the
한편, 돌출되었던 점자 돌기(200)를 다시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 상태로 환원시키기 위해서는(내부로 넣기 위해서는), 점자 돌기(200)를 돌출시킬때와 전자석(400)의 극성이 반대가 되도록 전류를 공급한다. 그러면, 회전 부재(100)는 점자 돌기(200)를 돌출시킬때와 반대로 회전하게 되어, 돌출되었던 점자 돌기(200) 역시 하강하여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상태로 환원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return the protruding
이렇게, 본 발명은 점자 돌기(200)의 상태를 변경할 때, 즉, 점자 돌기(200)를 돌출시키거나, 돌출된 점자 돌기(200)를 내부로 넣을때에만 전류가 공급되고, 돌출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에는 전류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종래 기술에 비해서 현저하게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rent is supplied only when the state of the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회전 부재(100)가 회전할 때 점자 돌기(200)와의 마찰력을 가능한 감소시키면서 부드럽게 점자 돌기(200)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회전 부재(100)의 상면(110)의 가장자리와, 점자 돌기(200) 밑면(210)의 가장자리는 둥글게 처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라서, 바닥면(500)에 고정 설치된 전자석(400)과 회전 부재(100)에 설치된 영구 자석(130)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2A and 2B show the structure of the
먼저, 도 2a를 참조하여 제 1 실시예를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점자 돌기(200) 및 회전 부재(100)는 모두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전자석(400)과 영구 자석(130)은 회전 부재(100) 단면의 원주를 따라서 원형으로 배열되며, 전자석(400)과 영구 자석(130)이 차지하는 원주상의 길이의 합은, 회전 부재(100)의 원주 길이의 50%이다. 따라서, 회전 부재(100)는 180도 만큼 회전이 가능하다.First,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A, the
본 발명의 전자석(400)은 도 2a의 (b) 및 (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전자석(400)(제 1 전자석(410) 및 제 2 전자석(420))으로 구성된다. 제 1 전자석(410)은, 도 1의 (a)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점자 돌기(200)가 안쪽에 수용되어 회전 부재(100)와 밀착된 상태에서 영구 자석(130)과 접촉하고, 제 2 전자석(420)은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자 돌기(200)가 돌출된 상태에서 영구 자석(130)과 접촉한다. The
여기서, 제 1 전자석(410)과 제 2 전자석(420)은 도 2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자기 코어와 자기 코어 둘레에 감긴 전선을 구비하여 각 전자석(400)에 공급되는 전류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서로 자기력선의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즉, 서로 마주보는 극이 동일한 극성을 갖도록) 구동될 수도 있다. Here, the
또한, 제 1 전자석(410)과 제 2 전자석(420)은 도 2a의 (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코어만이 별개로 분리되어 존재하고, 자기 코어들 둘레를 감싸는 전선은 공유하되, 자기력선의 방향만 상호 반대가 되도록 자기 코어들 둘레에 전선이 감기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이하에서는, 도 2a의 (c)에 도시된 제 1 전자석(410) 및 제 2 전자석(420)을 이용하여 구현된 예를 설명한다. 도 2a의 (b)에 도시된 예는 제 1 전자석(410) 및 제 2 전자석(420)에 공급되는 전류 방향을 각각 제어하여 극성을 제어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도 2a의 (c)에 도시된 전자석(400)들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방식과 동일함을 당업자는 알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an example implemented by using the
한편, 도 2b에 도시된 제 2 실시예를 설명하면, 점자 돌기(200) 및 회전 부재(100)는 모두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영구 자석(130)은 N극과 S극이 회전 부재(100)의 하면에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교대로 배치되도록 회전 부재(100)의 하면 전체에 형성 또는 설치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2B, the
도 2b의 (a)에 도시된 예에서는, 4개의 영구자석(300)이 그 극성이 서로 교대로 배치되도록 회전 부재(100)의 하면에 형성 또는 설치되고, 영구 자석(300)과 접촉하는 바닥면(500) 역시, 영구 자석(300)의 극성과 대응되도록 4개의 전자석(300)이 고정 설치되었다.In the example shown in (a) of FIG. 2B, the four
또한, 도 2b의 (b)에 도시된 예에서는, 2개의 영구 자석(300)이 서로 다른 극성이 배치되도록 회전 부재(100)의 하면에 형성 또는 설치되고, 영구 자석(300)과 접촉하는 바닥면(500) 역시, 영구 자석(300)의 극성과 대응되도록 2개의 전자석(300)이 고정 설치되었다.In addi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ure 2b (b), two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회전 부재(100)가 회전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2a에 도시된 제 1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회전 부재(100)가 회전하는 방식을 설명한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rotating the rotating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a)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전자석(400)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아 전자석(400)이 극성을 갖지 않고, 회전 부재(100)에 설치된 영구 자석(130)은 제 1 전자석(410)과 접촉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3, in the state shown in FIG. 1(a), as shown in FIG. 3(a), current is not supplied to all
이 때,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부재(100)를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점자 돌기(200)를 상승시켜 외부로 돌출시키기 위해서, 제 1 전자석(410)의 영구 자석(130)과의 접촉면이 영구 자석(130)과 척력이 작용하고, 제 1 전자석(410)의 접촉면과 반대되는 제 2 전자석(420)의 일면이 제 1 전자석(410)의 접촉면과 동일한 극성을 갖음으로써 영구 자석(130)과 인력이 작용하도록 전류를 공급한다. At this time, as shown in (b) of FIG. 1, in order to raise the
도 3의 (b)를 참조하면, 제 1 전자석(410)의 접촉면에 접하는 영구 자석(130)의 극성이 S극 이므로, 제 1 전자석(410)의 접촉면에 S극이 형성되도록 제 1 전자석(410)에 전류를 공급하면 제 1 전자석(410)과 영구 자석(130)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여, 회전 부재(100)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Referring to FIG. 3B, since the polarity of the
회전하는 영구 자석(130)은 제 2 전자석(420)의 S극과 영구 자석(130)의 N극 간에 인력이 작용하여, 영구 자석(130)의 N극이 제 2 전자석(420)의 S극과 접촉함으로써, 회전 부재(100)는 180도만큼 회전하게 된다.(도 3의 (c) 참조)The rotating
마지막으로, 영구 자석(130)이 제 2 전자석(420)에 접촉하면, 즉, 점자 돌기(200)가 상승하여 외부로 돌출되면, 전자석(400)에 공급되던 전류는 차단되고, 점자 돌기(200)의 돌출상태는 회전 부재(100)가 지지하여 유지된다.(도 3의 (d) 참조)Finally, when the
한편, 제 1 전자석(410) 및 제 2 전자석(420)이 권선되는 전선을 공유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전선이 권선되어 각각 극성이 제어되는 경우에는, 점자 돌기(200)가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영구 자석(130)의 S극에 접촉하는 제 1 전자석(410) 접촉면에 S극이 형성되고, 제 2 전자석(420)의 반대면에도 S극이 형성되도록 전류를 공급하면 도 3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회전 부재(100)가 회전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한편,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구동회로가 수 ms 단위를 전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경우에는 전자석(400)을 1개만 이용하여도 동작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 1 전자석(410)과 제 2 전자석(420)을 연결한 길이의 전자석(400)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에, 영구 자석(130)의 S극과 접촉하는 전자석(400)의 면에 S극이 형성되도록 순간적으로 전류 펄스를 인가한다. 단, 이 때 인가되는 전류 펄스의 크기는 도 3에 도시된 전류의 크기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riving circuit for driving the actu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current supply in units of several ms, it is possible to operate even by using only one
전자석(400)의 접촉면에 S극이 순간적으로 형성되면, 영구 자석(130)은 척력에 의해서 회전을 시작하고, 펄스의 듀티사이클이 종료되어 전자석(400)에 형성된 극성은 소멸되어도, 영구 자석(130)은 관성에 의해서 회전을 지속한다. 영구 자석(130)이 이동해야 하는 전체 원주 길이의 50%를 넘게 이동하는 순간, 전자석(400)의 반대면에 S극이 작용하도록 이전에 공급된 것과 반대 방향의 전류를 공급한다. 그러면, 영구 자석(130)의 N극과 전자석(400)의 반대면에 형성된 S극간에 인력이 작용하여 영구 자석(130)의 N극은 전자석(400)의 반대면과 접촉함으로써 영구 자석(130) 및 영구 자석(130)이 설치된 회전 부재(100)는 180도를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점자 돌기(200)는 외부로 돌출된다. 이러한 예에서, 최초로 인가되는 전류 펄스의 크기 및 폭과, 인가되었던 전류 펄스와 다른 방향의 전류를 공급하는 시간차 등은 회전 부재(100)의 무게, 재질 등을 고려하여 사전에 계산되거나 다수의 실험을 통해서 사전에 정의될 수 있다.When the S pole is momentarily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한편,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의 경우에도, 전자석(400)과 영구자석(130)의 배치만이 제 1 실시예와 차이가 있을 뿐, 영구 자석을 회전시키는 기술적 사상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even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S. 2A and 2B, only the arrangement of the
한편,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는, 회전 부재(100)가 회전하면서 하우징(300) 측면과 접촉함으로써 마찰력의 영향을 받고, 점자 돌기(200)가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하우징(300) 측면과 접촉하여 마찰력의 영향을 받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바닥면(500)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어 회전 부재(100)와 점자 돌기(200)의 중심을 관통하는 중심축(5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중심축(550)과 회전 부재(100) 및 점자 돌기(200)간의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중심축(550)에는 윤활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while the rotating
한편,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는, 회전 부재(100)가 회전하여 점자 돌기(200)가 돌출된 상태에서 돌출 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회전 부재(100) 상면(110)의 최고점(111) 및 상기 점자 돌기(200) 밑면(210)의 최저점(212)에 수평으로 절개면(113,213)을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5, so that the protruding state is more firmly maintained in the state where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부재(100) 상면(110)의 최고점(111) 및 상기 점자 돌기(200) 밑면(210)의 최저점(212)에 수평으로 절개면(113,213)을 형성하면, 점자가 돌출된 상태에서 양 절개면(113,213)이 서로 맞닿아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점자 돌기(200)를 살짝 접촉하여 점자 돌기(200)가 약간 회전하는 경우에도, 절개면(113,213)에 의해서 지지되므로, 경사면을 따라서 아래로 하강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 절개면의 마찰력을 고려하여, 절개면이 없는 경우보다 전자석(400)의 세기를 더 세게 하여야 한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cutting surfaces 113 and 213 are horizontally formed at the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자 액츄에이터를 이용한 점자 출력 장치(6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6A and 6B are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점자 출력 장치(600)는, 베이스부(610), 커버부(620), 및 드라이버 회로(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6A and 6B, the
베이스부(610)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자 액츄에이터들이 하나씩 설치되는 복수의 셀(612)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셀(612)에 액츄에이터들이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A plurality of
커버부(620)에는 점자 돌기(200)가 돌출될 수 있도록 점자 홈(622)이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부(610)와 결합되어 점자 액츄에이터 전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드라이버 회로(630)는 사용자에게 출력될 정보에 따라서, 복수의 셀(612)에 설치된 점자 액츄에이터의 전자석(400)으로 전류를 공급하여, 각 셀(612)에 설치된 점자 액츄에이터를 제어한다. 이 때, 드라이버 회로(630)는 베이스부(6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around its preferred embodiment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illustrative point of view rather than a limiting point of vie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회전 부재 110 회전부재 상면
111 상면의 최고점 112 상면의 최저점
113 절개면
120 회전부재 하면 130 영구 자석
200 점자 돌기 210 점자 돌기 밑면
211 밑면 최고점 212 밑면 최저점
213 절개면
220 가이드부 300 하우징
310 가이드홈 400 전자석
410 제 1 전자석 420 제 2 전자석
500 바닥면 550 중심축
600 점자 출력 장치 610 베이스부
612 셀 620 커버부
622 점자 홈 630 드라이버 회로100 rotating
111 Highest point on top 112 Lowest point on top
113 Incision plane
120 Permanent magnet under the rotating member
200
211 Bottom
213 incision
220
310
410
500
600
612
622
Claims (11)
상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 구동 부재에 의해서 발생한 회전력에 의해서 회전하는 상기 회전 부재; 및
밑면이 상기 회전 부재의 경사면과 접촉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 부재의 경사면을 따라서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점자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액츄에이터.A rotation driving member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and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member according to the flow of current;
The rotation member having an upper surfac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and rotating by a rotation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 driving member; And
Braille actu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to contact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and when the rotating member rotates, a braille protrusion that rises or descends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상기 점자 돌기의 측면에는 상기 점자 돌기의 회전을 방지하면서 상기 점자 돌기가 상하 이동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액츄에이터.The method of claim 1,
Braille actuator,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portion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braille protrusion to prevent rotation of the braille protrusion while allowing the braille protrusion to only move up and down.
상기 회전부재 및 상기 점자돌기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가이드부가 결합하는 가이드 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액츄에이터.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rotating member and the braille projection therein,
Braille actu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groove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portion of the housing to which the guide portion is coupled.
상기 회전 부재는 180도 만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액츄에이터.The method of claim 1,
Braille actu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member rotates by 180 degrees.
상기 회전 부재 상면의 최고점 및 상기 점자 돌기 밑면의 최저점은 수평으로 절개면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점자 돌기가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의 절개면과 상기 점자 돌기의 절개면은 서로 접촉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액츄에이터.The method of claim 1,
The highest poi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and the lowest poin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raille protrusion are horizontally cut, so when the braille protrusion protrudes, the cut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and the cut surface of the braille protrusio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support Braille actuator,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점자 돌기의 중심을 관통하는 중심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액츄에이터.The method of claim 1,
Braille actu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entral axis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rotation member and the braille projection.
상기 회전 부재의 상면의 가장자리와, 상기 점자 돌기 밑면의 가장자리는 둥글게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액츄에이터.The method of claim 1,
Braille actuators, characterized in that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and the edg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raille projection are rounded.
상기 복수의 셀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점자 액츄에이터;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커버부; 및
사용자에게 출력될 정보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셀에 설치된 점자 액츄에이터의 회전 구동 부재로 전류를 공급하여, 각 셀에 설치된 점자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드라이버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출력 장치.A base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cells is formed;
The braille actuator of any one of claims 1 to 7,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cells;
A cover portion coupled to the base portion; And
And a driver circuit for controlling the braille actuators installed in each cell by supplying current to a rotation driving member of the braille actuators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cells according to information to be output to the us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9827A KR102150657B1 (en) | 2017-06-05 | 2017-06-05 | Braille actuator and Braille outputting device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9827A KR102150657B1 (en) | 2017-06-05 | 2017-06-05 | Braille actuator and Braille outputting device using the sam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43111A Division KR101746469B1 (en) | 2015-03-27 | 2015-03-27 | Braille actuator and Braille outputting device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1458A KR20170071458A (en) | 2017-06-23 |
KR102150657B1 true KR102150657B1 (en) | 2020-10-20 |
Family
ID=59283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9827A Active KR102150657B1 (en) | 2017-06-05 | 2017-06-05 | Braille actuator and Braille outputting device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065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29908B1 (en) * | 2018-05-24 | 2022-08-08 | 주식회사 닷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CN112292722B (en) | 2018-05-24 | 2023-02-17 | 株式会社Dot | Information output device |
KR102240007B1 (en) * | 2018-05-24 | 2021-05-03 | 주식회사 닷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KR102214584B1 (en) * | 2018-05-24 | 2021-02-09 | 주식회사 닷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KR102130777B1 (en) * | 2018-06-08 | 2020-07-08 | 주식회사 닷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US12260743B2 (en) | 2018-06-08 | 2025-03-25 | Dot Incorporation | Information output device |
KR102180048B1 (en) * | 2019-03-11 | 2020-11-17 | 주식회사 닷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KR102439208B1 (en) * | 2020-12-23 | 2022-09-02 | 주식회사 닷 | information output device |
KR20220113893A (en) * | 2021-04-07 | 2022-08-17 | 주식회사 닷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56898A (en) | 2000-11-17 | 2002-05-31 | Nec Access Technica Ltd | Braille display device |
US20040145455A1 (en) | 2003-01-28 | 2004-07-29 | Dwain Gipson | Scanning braille presentation |
KR101181811B1 (en) | 2010-09-27 | 2012-09-12 | 한국과학기술원 | Method of outputting braille using braille output actuato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57764A (en) * | 2007-12-03 | 2009-06-08 | 엘지엔시스(주) | Braille display and method and automation equipment having same |
KR101136129B1 (en) * | 2010-08-30 | 2012-04-17 | 손화용 | The Braille machine |
-
2017
- 2017-06-05 KR KR1020170069827A patent/KR10215065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56898A (en) | 2000-11-17 | 2002-05-31 | Nec Access Technica Ltd | Braille display device |
US20040145455A1 (en) | 2003-01-28 | 2004-07-29 | Dwain Gipson | Scanning braille presentation |
KR101181811B1 (en) | 2010-09-27 | 2012-09-12 | 한국과학기술원 | Method of outputting braille using braille output actu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1458A (en) | 2017-06-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50657B1 (en) | Braille actuator and Braille outputting device using the same | |
KR101746469B1 (en) | Braille actuator and Braille outputting device using the same | |
US10453359B2 (en) | Braille learning apparatus and braille learning method using the same | |
CN105683865B (en) | Magnetic actuator for haptic response | |
KR101181811B1 (en) | Method of outputting braille using braille output actuator | |
CN112292653B (en) | Information output device | |
US11322003B2 (en) | Information output device | |
US20240339045A1 (en) | Information output device | |
US20250201090A1 (en) | Information output device | |
US11139098B2 (en) | Bi-stable actuator based on electromagnetic attraction | |
JP2015139267A (en) | Power generatio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power generation input device | |
KR20200006025A (en)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
CN111697754B (en) | Tactile displays and terminal equipment | |
KR20220130879A (en) | braille module | |
KR102055304B1 (en)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
RU2726683C1 (en) | Information output device | |
US7479715B2 (en) | Omnidirectional electrical generators | |
KR20190028682A (en)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
KR101763397B1 (en)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
KR101763399B1 (en)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
KR102666483B1 (en) | Actuator, output device and input device | |
KR20190138400A (en) | Braille module with latch structure and braille assembly | |
JP2022161962A (en) | Electronic device | |
EP2939720A1 (en) | Scene puzzle | |
JP4047911B2 (en) | DC drive electrostatic actu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60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50327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5004311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3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170605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26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8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