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963B1 - Spool with improved workability and precise controllability and a flow control valve using the spool - Google Patents
Spool with improved workability and precise controllability and a flow control valve using the spoo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9963B1 KR102149963B1 KR1020180152340A KR20180152340A KR102149963B1 KR 102149963 B1 KR102149963 B1 KR 102149963B1 KR 1020180152340 A KR1020180152340 A KR 1020180152340A KR 20180152340 A KR20180152340 A KR 20180152340A KR 102149963 B1 KR102149963 B1 KR 1021499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ool
- diameter
- land portion
- flow control
- lan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3 responsive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61 lubr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01—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 F15B13/0402—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for linearly sliding valves, e.g. spool va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66C13/42—Hydraulic transmit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40—Flow control
- F15B2211/405—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flow control means or valv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40—Flow control
- F15B2211/415—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s of the flow control means in the circuit
- F15B2211/41572—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s of the flow control means in the circuit being connected to a pressure source and an output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liding Valv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 형상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제1 유로(111)와 제2 유로(112)가 상기 내부 공간의 측면에 형성된 밸브 본체 및 상기 밸브 본체 내에서 상기 원통 형상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배치된 스풀(300)을 구비한 유량제어 밸브로서, 상기 스풀(300)은, 실린더 형상이며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갖는 스풀 로드(301); 상기 스풀 로드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 단부에 가깝게 형성된 제1 랜드부(310); 상기 제1 랜드부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2 단부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2 랜드부(320); 및 상기 제1 랜드부와 제2 랜드부 사이에 형성된 다중 직경의 제3 랜드부(330);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랜드부(330)는 상기 제1 단부측에서 제2 단부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된 소직경부(331), 경사부(332), 및 대직경부(33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를 개시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alve body having a cylindrical inner space, the first flow path 111 and the second flow path 112 formed on the side of the inner space, and the length of the cylindrical shape in the valve body A flow control valve having a spool 300 disposed to be slid in a direction, the spool 300 comprising: a spool rod 301 hav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having a cylindrical shape; A first land portion 310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spool rod and formed close to the first end portion; A second land portion 320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land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end portion; And a third land portion 330 having a multi-diameter formed between the first land portion and the second land portion, wherein the third land portion 330 moves from the first end side to the second end side. Disclosed is a flow control valve comprising a small diameter portion 331, an inclined portion 332, and a large diameter portion 333 formed in sequen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량제어 밸브에 사용되는 스풀 및 이 스풀을 구비한 유량제어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공 용이성과 제어 정밀성이 향상된 스풀 및 이를 구비한 유량제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ool used in a flow control valve and a flow control valve having the spo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ool having improved processing ease and control precision, and a flow control valve hav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굴삭기, 크레인, 지게차 등과 같은 산업용 장비는 장비를 구동하기 위한 실린더 등의 유압식 구동기를 구비하며 이러한 유압식 구동기는 작동 유체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유량제어 밸브를 구비한다. In general, industrial equipment such as excavators, cranes, forklifts, etc. have hydraulic actuators such as cylinders for driving the equipment, and such hydraulic actuators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low control valves for controlling working fluid.
도1은 실린더(70)를 구동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유량제어 밸브를 나타낸다. 유량제어 밸브는 밸브 하우징(10) 내부에 슬리브(20)가 부착되고 슬리브(20)의 내부 공간에 좌우로 왕복가능한 스풀(30)이 삽입된다. 스풀(30)은 스풀의 몸체에 해당하는 스풀 로드(31) 및 이 스풀 로드(31) 보다 큰 직경의 다수의 랜드부(32,33)로 구성된다. 1 shows a conventional general flow control valve for driving the
밸브를 개방할 경우, 예컨대 파이로트부의 피스톤(도시 생략)에 의해 스풀(30)이 오른쪽으로 슬라이딩하면 제1 유로(11)와 제2 유로(12)가 개방되어 탱크(6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제1 및 제2 유로(11,12)를 통해 실린더(70)로 공급된다. 밸브를 폐쇄할 경우, 파이로트부의 피스톤이 좌측으로 복귀하면 스프링(17)의 탄성력에 의해 스풀(30)이 좌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When the valve is opened, for example, when the
그런데 이러한 종래 밸브에서는 스풀(30)이 약간만 개방된 경우에도 제2 랜드부(33)와 슬리브(20) 사이의 틈을 통해 다량의 유체가 흐르기 때문에 밸브의 온/오프시 유체 변화량이 급격해지므로 밸브 제어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valve, even when the
또한 밸브 제작시 스풀(30)과 밸브의 내측 공간이 접하는 영역이 많을수록 스풀 제작이 어려워지는데, 종래 밸브의 경우 복수개의 랜드부(32,33) 및 스풀 로드(31)의 좌측 및/또는 우측 단부 등 적어도 3군데 또는 4군데에서 스풀(30)과 밸브의 내측 공간이 접촉하기 때문에 이 3군데 또는 4군데 모두 직진도와 평행도를 유지하면서 스풀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수 마이크로미터 오차 이내의 정밀가공이 요구되고 가공단가가 상승하였다. In addition, when manufacturing a valve, the more the area where the
더욱이 이러한 정밀도로 밸브 몸체에 직접 가공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종래에는 별도의 슬리브(20)를 가공하였다. 즉 밸브 하우징(10)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공이 쉬운 슬리브(20)를 가공하여 밸브 하우징(10) 내부에 체결하고 슬리브(20)의 내부 공간에 스풀(30)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밸브를 제작하였는데 이로 인해 부품이 추가되므로 밸브 부피와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Moreover, since it is very difficult to directly process the valve body with such precision, a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밸브의 온/오프시 급격한 유체 변화량으로 인해 장비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밸브 응답성과 장비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스풀 및 이를 구비한 유량제어 밸브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spool that prevents an impact on equipment due to a sudden change in fluid when the valve is turned on/off, and improves valve responsiveness and equipment operability, and a flow control valve having the same.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풀과 밸브 본체의 내측면이 접하는 영역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밸브 본체와 스풀의 가공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슬리브의 필요성을 제거하여 밸브 부피를 줄이고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스풀 및 이를 구비한 유량제어 밸브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areas in which the spool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valve body are in contact is minimized to improve the processing ease of the valve body and the spool, and by eliminating the need for a sleeve, the valve volume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It provides a spool and a flow control valve hav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을 스풀에 부착시킨 스풀-스프링 일체형 스풀을 구성함으로써 밸브 제작시 스프링이 잘못 체결되는 것을 방지하고 모든 스풀이 동일한 힘-변위 특성을 갖도록 할 수 있는 스풀 및 이를 구비한 유량제어 밸브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a spool-spring integrated spool in which a spring is attached to a spool, a spool capable of preventing the spring from being incorrectly fastened when manufacturing a valve, and making all spools have the same force-displacement characteristics It provides a flow control valve having th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 형상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제1 유로(111)와 제2 유로(112)가 상기 내부 공간의 측면에 형성된 밸브 본체 및 상기 밸브 본체 내에서 상기 원통 형상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배치된 스풀(300)을 구비한 유량제어 밸브로서, 상기 스풀(300)은, 실린더 형상이며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갖는 스풀 로드(301); 상기 스풀 로드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 단부에 가깝게 형성된 제1 랜드부(310); 상기 제1 랜드부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2 단부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2 랜드부(320); 및 상기 제1 랜드부와 제2 랜드부 사이에 형성된 다중 직경의 제3 랜드부(330);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랜드부(330)는 상기 제1 단부측에서 제2 단부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된 소직경부(331), 경사부(332), 및 대직경부(333)를 구비하고, 상기 소직경부(331)는 상기 제1 랜드부 보다 작은 제1 직경을 가지고, 상기 대직경부(333)는 상기 제1 랜드부 보다 크되 제2 랜드부와 같거나 작은 제2 직경을 가지며, 상기 경사부(332)는 상기 소직경부와 대직경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직경에서 제2 직경으로 직경이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풀이 제1 단부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3 랜드부의 경사부(332)의 경사진 측면이 상기 밸브 본체 내부 공간의 제1 단차부에 접하면서 상기 제1 공간과 제2 공간 사이를 폐쇄하고, 상기 스풀이 제2 단부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공간과 제2 공간이 연통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를 개시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alve body having a cylindrical inner space,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량제어 밸브용 스풀로서, 실린더 형상이며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갖는 스풀 로드(401); 상기 스풀 로드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 단부에 형성된 제1 랜드부(410); 상기 제1 랜드부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2 단부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2 랜드부(420); 및 상기 제1 랜드부와 제2 랜드부 사이에 형성된 다중 직경의 제3 랜드부(430);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랜드부(430)는 상기 제1 단부측에서 제2 단부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된 소직경부(431), 경사부(432), 및 대직경부(433)를 구비하고, 상기 소직경부(431)는 상기 제1 랜드부 보다 작은 제1 직경을 가지고, 상기 대직경부(433)는 상기 제1 랜드부 보다 크되 제2 랜드부와 같거나 작은 제2 직경을 가지며, 상기 경사부(432)는 상기 소직경부와 대직경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직경에서 제2 직경으로 직경이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용 스풀을 개시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pool for a flow control valve, comprising: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량제어 밸브로서, 상술한 유량제어 밸브용 스풀; 상기 스풀을 수용하는 원통 형상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 공간의 측면에 형성된 제1 유로(211)와 제2 유로(212) 및 상기 제1 단부측 방향에 형성된 관통구(213)를 구비한 밸브 본체(210); 및 상기 관통구(21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서 배치된 슬라이딩 블록(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를 개시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ow control valve, comprising: a spool for the flow control valve; It has a cylindrical inner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pool, and includes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풀의 랜드부를 밸브 본체의 내부 직경보다 미세하게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부와 직경이 점차 증가하는 직경확장부로 구성하고 원통형부에 하나 이상의 노치부를 형성함으로써 밸브 개방시 급격한 유체 유입으로 인해 장비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밸브 응답성과 장비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nd portion of the spool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portion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valve body and a diameter expansion portion gradually increasing, and forming one or more notches in the cylindrical portion when the valve is opened. It may have the effect of preventing an impact on the equipment due to rapid fluid inflow and improving valve responsiveness and equipment operabil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풀과 밸브 본체의 내측면이 접하는 영역의 개수를 최소화함으로써 밸브 본체와 스풀 제작시 가공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슬리브의 필요성을 제거하여 전체적인 밸브 부피를 줄이고 제조비용도 감소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inimizing the number of areas in which the spool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valve body are in contact, the ease of processing when manufacturing the valve body and the spool is improved, and the need for a sleeve is eliminated to reduce the overall valve volume and manufacturing cost. It can have an eff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을 스풀에 부착시켜 일체형으로 스풀을 제작하도록 구성하여 스프링의 체결시 작업자가 스프링의 수축 정도나 상태를 확인하며 제작할 수 있으므로 모든 스풀이 스프링의 동일한 힘-변위 특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ring is attached to the spool to make the spool integrally, so that when the spring is fastened, the operator can check the contraction degree or state of the spring and manufacture, so that all spools have the same force-displacement of the spring. It can be made to have characteristics.
도1은 종래 밸브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풀 및 이를 구비한 유량제어 밸브를 설명하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풀 및 이를 구비한 유량제어 밸브를 설명하는 도면,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블록을 설명하는 도면,
도5 및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풀과 스프링간 결합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풀과 스프링간 결합구조의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valve struct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oo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low control valve having the same;
3 is a view illustrating a spoo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low control valve having the sam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liding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spool and a sp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spool and the sp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The above 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rela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의 도면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길이, 두께, 넓이 등의 수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하여 표시될 수 있다.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numerical values such as length, thickness, and width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for effective description of technical content.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를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contents have been prepared to more specifically describe the invention and to aid understanding. However, readers who have knowledge in this field to the extent that they can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gnize that it can be used without these various specific contents. In some cases, it should be mentioned in advance that parts that are commonly known in describing the invention and a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avoid confusion in describing the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풀 및 이를 구비한 유량제어 밸브를 나타낸다. 2 shows a spool and a flow control valv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제어 밸브는 밸브 본체(100)와 이 밸브 본체(100) 내에 배치되는 스풀(30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flow control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도시한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100)는 하우징(110) 및 하우징(110) 내측면에 결합된 슬리브(120)로 구성되고, 슬리브(120)의 내측면에 스풀(300)이 접하면서 슬라이딩 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 실시예에서 슬리브(120)가 생략될 수 있고 이 경우 스풀(300)이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직접 접하면서 슬라이딩 하도록 구성된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밸브 본체(100)는 대략 원통 형상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제1 유로(111)와 제2 유로(112)가 내부 공간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1 유로(111)는 유체를 공급하는 탱크(60)에 연결되고 제2 유로(112)는 예컨대 굴삭기 등의 부하에 적용되는 실린더(70)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유로(111)가 실린더(70)에 연결되고 제2 유로(112)가 탱크(60)에 연결될 수도 있다. The
스풀(300)은 밸브 본체(100) 내에 배치되며, 밸브 본체(100)의 원통형 내부 공간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슬라이딩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스풀(300)의 우측 단부와 밸브 본체(100)의 내부면 사이에 스프링(117)이 개재되고,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스풀(300)의 좌측 단부쪽에 파이로트부가 설치될 수 있다. 파이로트부는 솔레노이드 코일이나 유체에 의해 (도면상에서) 좌우로 움직이는 피스톤(도시 생략)을 구비하며 이 피스톤이 스풀(300)의 좌측 단부측을 밀어서 스풀(300)을 우측으로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또는 대안적으로 파이로트부에 의해 생성되는 높은 유압이 스풀(300)의 좌측 단부에 인가되어 스풀(300)이 우측으로 슬라이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파이로트부 및 스프링(117)에 의한 스풀(300)의 동작 제어는 공지기술 이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The
일 실시예에서, 스풀(300)의 좌우 슬라이딩 이동시 밸브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채워진 유체가 방해하지 않도록 밸브 본체(100)는 하나 이상의 내부 유로를 포함한다. 예컨대 도시한 실시예에서 스풀 로드(301)의 제1 단부측과 제1 랜드부(310) 사이의 영역(S2)의 유체 및 제2 단부측과 제2 랜드부(320) 사이의 영역(S4)에 채워져 있는 유체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밸브 하우징(110)에 내부 유로(115)가 형성되어 있고 슬리브(120)에도 이 내부 유로(115)와 연통하는 관통구(121,122)가 형성되어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스풀(300)은 소정 직경의 실린더 형상의 스풀 로드(301) 및 스풀 로드(301)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내지 제3 랜드부(310,320,330)를 구비할 수 있다. 스풀 로드(301)와 제1 내지 제3 랜드부(310,320,330)는 일체로 제조될 수 있으며 대안적 실시예에서 스풀 로드(301)와 랜드부(310,320,330)가 각기 개별적으로 제조된 후 결합될 수도 있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스풀 로드(301)는 스풀(300)의 본체부로서 실린더 형성을 가질 수 있다. 스풀 로드(301)는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직경을 가질 수도 있으며 둘 이상의 직경을 가질 수도 있다. The
일 실시예에서 스풀 로드(301)의 중심에서 각각 좌우측에 제1 랜드부(310)와 제2 랜드부(320)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랜드부(310)는 스풀 로드(301)의 제1 단부(도면에서 왼쪽 단부)에 가깝게 형성되며 스풀 로드(301)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제2 랜드부(320)는 스풀 로드(301)의 제2 단부(도면에서 오른쪽 단부)에 가까운 측에 형성되며 스풀 로드(301)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In one embodiment, a
제1 랜드부(310)와 제2 랜드부(320)의 각각은 이들을 각각 둘러싸는 밸브 본체(100)의 내경과 동일하며 따라서 제1 및 제2 랜드부(310,320)가 밸브 본체(100)의 내측면과 밀착한 상태에서 스풀(300)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할 수 있다. Each of the
제3 랜드부(330)는 제1 랜드부(310)와 제2 랜드부(320) 사이에 형성된다. 스풀(300)이 밸브 본체(100) 내에 삽입되었을 때, 도시한 것처럼 제1 랜드부(310)와 제3 랜드부(330) 사이에 밸브 본체(100)의 제1 유로(111)가 위치하고, 제3 랜드부(330)와 제2 랜드부(320) 사이에 밸브 본체(100)의 제2 유로(112)가 위치한다. 따라서 제1 유로(111)가 제1 랜드부(310)와 제3 랜드부(330) 사이의 공간(S3)과 연통하고 제2 유로(112)는 제2 랜드부(320)와 제3 랜드부(330) 사이의 공간과 연통한다. The
일 실시예에서 제3 랜드부(330)는 다중 직경의 랜드부이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3 랜드부(330)는 제1 단부측에서 제2 단부측 방향으로(즉 도면에서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된 소직경부(331), 경사부(332), 및 대직경부(333)를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the
소직경부(331)는 제1 랜드부(310) 보다 작은 제1 직경을 가지고, 대직경부(333)는 제1 랜드부(310) 보다 크되 제2 랜드부(320)와 같거나 작은 제2 직경을 가진다. 경사부(332)는 소직경부(331)와 대직경부(333)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직경에서 제2 직경으로 직경이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된다. The small-
소직경부(331)의 직경(즉 제1 직경)은 스풀 로드(301)의 직경보다 크되 소직경부(331)를 둘러싸는 밸브 본체(100) 내측면의 직경보다 미세하게 작다. 즉 소직경부(331)는 이를 둘러싸는 슬리브(120)의 내부면에 접촉하지 않으며 소직경부(331)와 이를 둘러싸는 슬리브(120)의 내측면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존재한다. 이 간격은 스풀(300)의 이동에 의해 두 유로(111,112)가 연통될 때 두 유로 사이의 유량의 급격한 증가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간격은 전체 밸브의 크기나 스풀(300)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수 마이크로미터 내지 수백 마이크로미터 사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컨대 소직경부(331)를 둘러싸는 슬리브(120)의 내경이 26mm 일 때 이 간격을 0.1mm로 설정할 수 있다. The diameter of the small-diameter portion 331 (that is, the first diameter)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소직경부(331)는 하나 이상의 노치(335)를 포함할 수 있다. 노치(335)는 소직경부(331)의 표면에 형성되되 제1 랜드부(310)측을 향하는 소직경부(331)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노치(335)에 의해 두 유로(111,112) 사이의 유량의 급격한 증가를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The
소직경부(331)의 제2 단부측 방향으로 경사부(332)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332)는 소직경부(331)에서 대직경부(333)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증가하여 경사면을 갖도록 구성된다. 경사부(332)의 제2 단부측 방향으로는 대직경부(333)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대직경부(333)는 제1 랜드부(310)의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대직경부(333)와 제2 랜드부(320)가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The
대직경부(333)가 소직경부(331)보다 직경이 크기 때문에 대직경부(333)를 둘러싸는 슬리브(120)의 내측 내경도 소직경부(331)를 둘러싸는 내측의 내경보다 크며, 따라서 도시한 것처럼 슬리브(120)에도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다.Since the large-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스풀(300)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경사부(332)가 이 슬리브(120)의 단차부에 밀착하거나 단차부로부터 떨어짐으로써 밸브 개폐 동작이 수행된다. 즉 스풀(300)이 좌측으로 이동하면 경사부(332)의 경사면이 슬리브(120)의 단차부에 접하면서 제1 유로(111)와 제2 유로(112) 사이가 폐쇄되고 스풀(300)이 우측으로 이동하면 경사부(332)의 경사면이 슬리브(120)의 단차부에서 떨어지면서 제1 유로(111)와 제2 유로(112)가 연통된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이 때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제1 유로(111)와 제2 유로(112)의 개방/폐쇄 전환시 유량의 급격한 변동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3 랜드부(330)의 소직경부(331)와 이를 둘러싸는 슬리브(120)의 내경 사이의 간격을 수 내지 수백 마이크로미터로 아주 미세하게 설계하고 소직경부(331)에 노치(335)를 형성함으로써, 스풀(300)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두 유로(111,112) 사이를 통과하는 유량이 급격히 증가하지 않고 단계적으로 서서히 증가하는 유량 변화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밸브 응답성과 장비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밸브의 온/오프 전환시 실린더(7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다.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rapid fluctuations in the flow rate when switching the opening/closing of the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풀 및 이를 구비한 유량제어 밸브를 나타낸다.3 shows a spoo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low control valve having the same.
도면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량제어 밸브는 밸브 본체(210)와 이 밸브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스풀(40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low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도시한 제2 실시예에서는 밸브 본체(210) 내에 별도의 슬리브(예컨대 도2의 120)가 필요하지 않고 밸브 본체(210) 내에 스풀(400)이 직접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210) 내에 슬리브가 결합될 수도 있다. In the illustrated second embodiment, a separate sleeve (eg, 120 in FIG. 2) is not required in the
밸브 본체(210)는 대략 원통 형상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제1 유로(211)와 제2 유로(212)가 내부 공간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유로(211)는 유체를 공급하는 탱크(60)에 연결되고 제2 유로(212)는 굴삭기 등의 부하에 적용되는 실린더(70)에 연결될 수 있다. The
밸브 본체(210)의 제1 단부(도면에서 왼쪽 단부)측에 외부와 연통하는 관통구(213)가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구(213) 내에는 슬라이딩 블록(220)이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끼워져 있다. 관통구(213)의 좌측에는 관통구(213) 주위를 둘러싸며 외부로부터 밀폐하는 커버부재(230)가 결합된다. 이 커버부재(230)의 좌측에는 예컨대 파이로트부(도시 생략)가 결합될 수 있다. 파이로트부의 피스톤(도시 생략)이 커버부재(230)의 관통구(231)를 통과하여 슬라이딩 부재(220)를 밀고 이 슬라이딩 부재(220)가 스풀(400)을 밀어서 스풀(400)을 우측으로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A through
스풀(400)은 실린더 형상이며 제1 단부(도면에서 좌측 단부) 및 제2 단부(도면에서 우측 단부)를 갖는 스풀 로드(401) 및 스풀 로드(401)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내지 제3 랜드부(410,420,430)를 구비할 수 있다. The
제1 랜드부(410)는 스풀 로드(401)의 제1 단부에 형성되며 스풀 로드(401) 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제2 랜드부(420)는 스풀 로드(401)의 제2 단부에 가까운 측에 형성되며 스풀 로드(401) 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제1 랜드부(410)와 제2 랜드부(420)의 각각은 이들을 각각 둘러싸는 밸브 본체(210)의 내경과 동일하며 따라서 제1 및 제2 랜드부(410,420)가 밸브 본체(210)의 내측면과 밀착한 상태에서 스풀(400)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다. The
제3 랜드부(430)는 제1 랜드부(410)와 제2 랜드부(420) 사이에 형성된다. 스풀(400)이 밸브 본체(210) 내에 삽입되었을 때, 제1 랜드부(410)와 제3 랜드부(430) 사이에 밸브 본체(210)의 제1 유로(211)가 위치하고 제3 랜드부(430)와 제2 랜드부(420) 사이에 밸브 본체(210)의 제2 유로(212)가 위치한다. The
일 실시예에서 제3 랜드부(430)는 다중 직경의 랜드부이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3 랜드부(430)는 제1 단부측에서 제2 단부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된 소직경부(431), 경사부(432), 및 대직경부(433)를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은 도2에 도시한 제3 랜드부(33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제3 랜드부(430)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소직경부(431)의 직경(즉 제1 직경)은 스풀 로드(401)의 직경보다 크되 소직경부(431)를 둘러싸는 밸브 본체(210) 내측면의 직경보다 미세하게 작다. 따라서 소직경부(431)의 표면과 이를 둘러싸는 밸브 본체(210)의 내부면에 사이에 소정 간격이 형성되며, 이 간격은 예컨대 수 내지 수백 마이크로미터 사이일 수 있다. 또한 소직경부(431)는 하나 이상의 노치(435)를 포함할 수 있다. 노치(435)는 제1 랜드부(410)측을 향하는 소직경부(431)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small-diameter portion 431 (ie, the first diameter)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소직경부(431)에서 제2 단부측 방향으로 차례로 경사부(432)와 대직경부(433)가 형성된다. 경사부(432)는 소직경부(431)에서 대직경부(433)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증가하는 경사면을 가진다. 대직경부(433)는 제1 랜드부(410)의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을 가지며, 일 실시예에서 대직경부(433)와 제2 랜드부(420)가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An
제3 랜드부(430)의 경사부(432)를 둘러싸는 밸브 본체(210)의 내측면에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풀(400)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경사부(432)가 이 단차부에 밀착하거나 단차부로부터 떨어짐으로써 밸브의 개폐(온/오프)가 이루어진다. 이 때, 소직경부(431)와 이를 둘러싸는 밸브 본체(210)의 내측면 사이에 수 내지 수백 마이크로미터의 미세한 간격을 형성하고 소직경부(431) 표면에 하나 이상의 노치(43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풀(400)의 이동에 의한 밸브의 온/오프시 두 유로(211,212) 사이의 유량이 급격히 증감하지 않고 단계적으로 서서히 증감할 수 있으며 종래에 비해 향상된 밸브 응답성과 장비 조작성을 가질 수 있다. A step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한편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스풀 로드(401)는 내부에 제1 관통유로(405)와 제2 관통유로(406)를 포함한다. 제1 관통유로(405)는 스풀 로드(401)의 제1 단부에서 제2 단부까지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유로이고, 제2 관통유로(406)는 스풀 로드(401)의 제2 랜드부(420)와 제2 단부 사이의 위치에서 스풀 로드(401)의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유로이다. 제1 관통유로(405)와 제2 관통유로(406)는 서로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밸브 본체(210)의 내부 공간 중 스풀 로드(401)의 제1 및 제2 랜드부(410,420)와 제1 및 제2 단부에 의해 구획되어진 영역들(S2, S4, S5)이 모두 연통하게 된다. Meanwhil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또한 스풀(400)의 좌우 이동시 밸브 본체(210) 내부 공간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의 유체를 내부 공간으로 유입하기 위해 밸브 본체(210)에 하나 이상의 유로(215)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이 유로(215)는 스풀 로드(401)의 제2 랜드부(420)와 제2 단부측 사이를 둘러싸는 밸브 본체(210)의 내부 영역(S4)에 형성된다. 즉 유로(215)의 한쪽 단부는 이 영역(S4)과 연통하고 다른쪽 단부는 예를 들어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 탱크에 연결되어 있다. 이 영역(S4)은 스풀 로드(401)에 형성된 제1 및 제2 관통유로(405,406)과도 연통한다. 따라서 밸브 본체(210)의 내부의 구획된 영역들(S2,S4,S5)의 유체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스풀(400)의 좌우 슬라이딩 이동시 밸브 본체(210)의 이 영역들(S2,S4,S5)에 채워진 유체의 방해없이 스풀(400)이 움직일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도4를 참조하여 슬라이딩 블록(2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4(a)와 도4(b)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블록(220)을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The sliding
슬라이딩 블록(220)은 밸브 본체(210)의 관통구(21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서 배치되며, 관통구(213)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진다. 예컨대 관통구(213)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 도4에 도시한 것처럼 슬라이딩 블록(220)이 원형 단면의 실린더 형상을 갖게 된다. The sliding
슬라이딩 블록(220)의 측면에는 이 측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홈(223)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블록(220)이 관통구(213)에 끼워진 상태에서 이 홈(223)에 유체가 채워질 수 있으며, 슬라이딩 블록(220)이 관통구(213) 내에서 움직일 때 홈(223)에 채워진 유체가 윤활 역할을 할 수 있다. A side surface of the sliding
슬라이딩 블록(220)의 양 단부면에는 소정 형상의 요홈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4(a)에 도시한 것처럼 슬라이딩 블록(220)의 좌측 단부의 단부면에는 일자 형상의 요홈부(225)가 형성되어 있고 도4(b)에 도시한 것처럼 우측 단부의 단부면에는 십자 형상의 요홈부(227)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요홈부(225,227)의 형상은 구체적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Both end surfaces of the sliding
슬라이딩 블록(220)의 좌측 요홈부(225)는 파이로트부(도시 생략)의 피스톤과 접촉시 충격 및 소음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즉 슬라이딩 블록(220)의 좌측 단부를 둘러싸는 영역(S1)에 유체가 항시 채워져 있으므로 요홈부(225)에도 유체가 채워져 있으며, 따라서 파이로트부의 피스톤이 스풀(400)을 우측으로 밀기 위해 슬라이딩 블록(220)의 좌측면에 부딪힐 때 이 요홈부(225)의 유체로 인해 피스톤과 슬라이딩 블록(220)의 충돌시 충격이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e
슬라이딩 블록(220)의 우측 요홈부(227)는 슬라이딩 블록(220)의 우측 단부를 둘러싸는 영역(S2)의 유체가 스풀 로드(401)의 제1 관통유로(405)로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요홈부(227)가 없다면, 파이로트부의 피스톤이 슬라이딩 블록(220)을 우측으로 밀고 슬라이딩 블록(220)이 스풀의 제1 랜드부(410)를 밀어서 스풀(400)을 우측으로 움직이게 할 경우 이 영역(S2)의 유체가 다른 곳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므로 스풀(400)이 원활히 움직이지 못한다. 반대로, 스풀(400)이 스프링(460)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할 경우에도 요홈부(227)가 없다면 이 영역(S2)에 채워진 유체가 빠져나가지 못하므로 스풀(400)이 움직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블록(220)의 우측 단부면에 요홈부(227)를 형성하면 이 영역(S2)의 유체가 스풀 로드(401)의 제1 관통유로(405)를 통해 다른 영역으로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으므로 스풀(400)의 원활한 이동을 보장할 수 있다. The right
이상 상술한 제2 실시예의 스풀(400) 구성에 따르면, 스풀(400)의 제1 랜드부(410)와 제2 랜드부(420) 두 군데만 밸브 본체(210)의 내측면에 접하기 때문에 스풀(400)의 가공 용이성이 크게 향상된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일반적으로 스풀(400)과 밸브 본체(210)의 내부 공간을 동축으로 정렬하여 제조하기 위해서는 스풀(400)을 직진도 및 평행도를 유지하면서 정밀 가공해야 하는데, 스풀(400)은 적어도 2개 내지 3개의 랜드부를 갖기 때문에 길이 방향을 따라 계속 직경을 변화시키면서 가공하는 것이 쉽지 않다. 스풀의 랜드부와 밸브 본체(210)의 내측면 사이는 유체가 누설하지 않도록 수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오차 내에서 가공해야 하므로 스풀과 밸브 본체의 내측면이 접하는 곳이 많을수록 가공이 더욱 어렵다. 종래에는 스풀과 밸브 본체의 내측면이 접하는 영역이 적어도 3곳 또는 4곳 이상이었다. 예컨대 도1의 종래 밸브의 경우 스풀(30)이 세 군데, 즉 스풀 로드(31)의 좌측 단부 영역과 제1 및 제2 랜드부(32,33)에서 밸브 본체의 내측면과 접한다. In general, in order to manufacture by coaxially aligning the
그러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스풀 로드(401)의 좌측 단부측을 제거하여 별도의 슬라이딩 블록(220)으로 분리하고, 제3 랜드부(430)의 경사부(432)와 밸브 본체의 내부 단차부의 밀착 여부에 따라 유로를 개방/폐쇄하고 제3 랜드부(430)의 소직경부(431)와 대직경부(433)가 밸브 본체(210) 내측면에 접하지 않도록 하여, 제1 랜드부(410)와 제2 랜드부(420)만 밸브 본체(21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밸브 본체(210)와 스풀(400) 제작시 가공 용이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가공 용이성 향상으로 인해 밸브 본체(210)와 스풀(400) 사이에 슬리브(예컨대 도1의 20)를 사용해야 할 필요성이 감소하므로 전체적인 밸브 부피를 줄이고 제조비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end side of the
이제 도5와 도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스풀 로드(401)와 스프링(460)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풀(400) 우측 일부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7은 측면도이다. Now, a coupling structure of the
도면을 참조하면, 스풀(400)이 스풀 로드(401)에 끼워지는 스프링(460), 이 스프링(460)의 양쪽 단부측에 배치되는 링(ring) 부재(440,450), 및 스풀 로드(401)의 제2 단부측에 결합된 스프링 지지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스프링(460)은 제2 랜드부(420)와 스풀 로드(401)의 제2 단부 사이에서 스풀 로드(401)에 끼워져서 배치된다. 제1 링 부재(440)는 제2 랜드부(420)와 스프링(460) 사이에 개재되어 스풀 로드(401)에 끼워진다. 스프링(460)이 제2 랜드부(420)에 직접 맞닿아 지지될 수도 있으므로, 대안적 실시예에서 제1 링 부재(440)가 생략될 수 있다. 제2 링 부재(450)는 스프링(460)과 스프링 지지부(470) 사이의 위치에서 스풀 로드(401)에 끼워지며 스풀 로드(401)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The
스프링 지지부(470)는 스풀 로드(401)의 제2 단부측에 결합되어 스프링(460)을 지지한다. 스프링 지지부(470)의 직경이 스풀 로드(401)의 직경보다 크며, 스풀 로드(401)와 스프링 지지부(470) 사이에 단차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2 링 부재(450)의 우측방향 움직임이 이 단차부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듯이 스프링 지지부(470)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유로(471)를 포함한다. 이 관통유로(471)는 스풀 로드(401)의 제1 관통유로(405)와 동축으로 정렬되어 제1 관통유로(405)와 연통하도록 구성된다.The
한편 도3에 도시한 것처럼 밸브 본체(210)의 우측 단부에는 밸브 본체(210)의 내측 공간을 밀폐하기 위한 커버 부재(240)가 부착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커버 부재(240)는 나사결합에 의해 밸브 본체(2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대안적 실시예에서 다른 결합방식에 의해 밸브 본체(2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3, a
이 때 밸브 본체(210)의 제2 단부측 직경이 커버 부재(240)의 내경보다 크며, 따라서 밸브 본체(210)와 커버 부재(240) 사이에 단차부가 형성된다. 또한 스프링 지지부(470)의 직경은 커버 부재(240)의 내측면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고 제2 링 부재(450)의 직경은 커버 부재(240)의 내경보다 크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밸브를 개방하기 위해 예컨대 파이로트부(도시 생략)의 피스톤에 의해 스풀(400)을 제2 단부측 방향으로(즉 도3에서 오른쪽으로) 푸쉬하면, 제2 링 부재(450)가 밸브 본체(210)와 커버 부재(240) 사이에 단차부에 의해 지지되어 더 이상 오른쪽으로 움직이지 못하므로, 스풀(400)이 우측으로 움직임에 따라 스프링(460)이 양쪽 링 부재(440,450) 사이에서 수축하게 된다. 그 후 밸브 폐쇄를 위해 파이로트부의 피스톤이 좌측으로 후퇴하면 스풀(400)은 스프링(46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좌측으로 움직여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end-side diameter of the
도7은 이와 같이 스프링(460)을 스풀(400)에 결합할 경우의 이점을 나타낸다. 7 shows the advantages of coupling the
도1과 같은 종래의 밸브에서는 밸브 하우징(10)에 슬리브(20)를 부착하고 슬리브(20) 내부 공간에 스풀(30)을 삽입하고 스프링(17)을 스풀(30)의 스풀 로드(31)에 끼운 채 커버 부재(50)를 나사결합으로 체결하여 밸브를 제작한다. In the conventional valve as shown in Fig. 1, the
그런데 커버 부재(50)를 밸브 본체(10)에 체결할 때 스프링(17)이 탄성적으로 스풀(30)을 지지하도록 하기 위해 스프링(17)을 어느 정도 가압하여 수축시킨 상태로 체결하는데, 이 체결시 스프링(17)이 휘어질 수도 있고 스풀 로드(31)와 정확히 정렬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작업자는 스프링(17)의 상태를 눈으로 볼 수 없으므로 확인할 수 없다. However, when the
이상적으로는 스프링에 힘을 가해서 수축시켰다가 다시 복귀할 때 수축 및 복귀시 동일한 힘-변위 특성을 가져야 한다. 즉 도7(a)에 도시한 것처럼 동일한 힘에 대해 스프링의 수축 과정과 복귀 과정에서 스프링이 동일한 길이 변위를 나타내야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이 종래 방식으로 제작할 경우 스프링의 수축 정도나 휘어짐 등을 모른 채 제작하기 때문에 스프링이 잘못된 상태로 제작되어 예컨대 도7(b)에 도시한 것처럼 수축할 때와 복귀할 때 다른 경로를 갖는 경우도 많고 밸브마다 힘-변위 특성이 달라지는 문제가 있다. Ideally, the spring should have the same force-displacement characteristics when contracting and returning by applying force to the spring and returning. That is, as shown in Fig. 7(a), the spring must exhibit the same length displacement during the contraction process and the return process for the same force. However,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in the conventional method as above, since the spring is manufactured without knowing the degree of contraction or bending of the spring, the spring is manufactured in an incorrect state and has a different path when contracting and returning,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b). There are man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orce-displacement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for each valve.
그러나 본원발명에 따르면 스프링(460)이 결합된 일체형으로 스풀(400)을 제작하도록 구성하여, 스프링(460)을 스풀 로드(401)에 삽입하고 커버 부재(470)로 체결할 때 작업자가 스프링(460)의 수축 상태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며 제작할 수 있으므로 위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며 모든 스풀이 동일한 힘-변위 특성을 가질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도5와 도6의 스프링-스풀 결합 구조가 제2 실시예의 스풀(400)에 적용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러한 스프링-스풀 결합 구조가 제1 실시예의 스풀(300)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description of this specification. 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shown that the spring-spool coupling structure of Figs. 5 and 6 is applied to the
100, 210: 밸브 본체
220: 슬라이딩 블록
300, 400: 스풀
301. 401: 스풀 로드
310, 320, 330, 410, 420, 430: 랜드부
331, 431: 소직경부
332, 432: 경사부
333, 433: 대직경부
335, 435: 노치 100, 210: valve body
220: sliding block
300, 400: spool
301.401: spool rod
310, 320, 330, 410, 420, 430: land part
331, 431: small diameter part
332, 432: slope
333, 433: large diameter part
335, 435: notch
Claims (14)
실린더 형상이며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갖는 스풀 로드(301);
상기 스풀 로드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 단부에 가깝게 형성된 제1 랜드부(310);
상기 제1 랜드부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2 단부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2 랜드부(320); 및
상기 제1 랜드부와 제2 랜드부 사이에 형성된 다중 직경의 제3 랜드부(330);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랜드부(330)는 상기 제1 단부측에서 제2 단부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된 소직경부(331), 경사부(332), 및 대직경부(333)를 구비하고,
상기 소직경부(331)는 상기 제1 랜드부 보다 작은 제1 직경을 가지고, 상기 대직경부(333)는 상기 제1 랜드부 보다 크되 제2 랜드부와 같거나 작은 제2 직경을 가지며, 상기 경사부(332)는 상기 소직경부와 대직경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직경에서 제2 직경으로 직경이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 A valve body having a cylindrical internal space and having a first flow path 111 and a second flow path 112 formed on the side of the internal space, and a spool arranged to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shape within the valve body As a flow control valve having 300, the spool 300,
A spool rod 301 in the shape of a cylinder and hav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A first land portion 310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spool rod and formed close to the first end portion;
A second land portion 320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land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end portion; And
Including; a multi-diameter third land portion 330 formed between the first land portion and the second land portion,
The third land portion 330 includes a small diameter portion 331, an inclined portion 332, and a large diameter portion 333 sequentially formed from the first end side to the second end side,
The small-diameter portion 331 has a first diameter smaller than the first land portion, the large-diameter portion 333 has a second diameter larger than the first land portion but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second land portion, and the inclination The portion 332 is interposed between the small-diameter portion and the large-diameter portion and is configured to gradually increase in diameter from the first diameter to the second diameter.
상기 제2 랜드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서 상기 스풀 로드에 끼워진 스프링(460);
상기 스풀 로드의 제2 단부에 결합된 스프링 지지부(470); 및
상기 스프링(460)과 상기 스프링 지지부(470)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스풀 로드에 끼워지며 슬라이딩 가능한 링 형상의 제1 링 부재(450);를 포함하고,
스풀이 제2 단부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링 부재(450)가 상기 밸브 본체 내부 공간의 단차부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스프링이 수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pool,
A spring (460) fitted into the spool rod between the second land portion and the second end portion;
A spring support 470 coupled to the second end of the spool rod; And
Including; a first ring member 450 of a ring shape that is fitted to the spool rod at a position between the spring 460 and the spring support portion 470 and is slidable,
When the spool moves in the direction toward the second end, the first ring member (450) is supported by a step portion of the inner space of the valve body so that the spring contracts.
상기 제2 랜드부와 상기 스프링(460)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스풀 로드에 끼워지는 링 형상의 제2 링(4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 The method of claim 2,
The flow control valve further comprising a ring-shaped second ring (440) fitted to the spool rod at a position between the second land portion and the spring (460).
실린더 형상이며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갖는 스풀 로드(401);
상기 스풀 로드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 단부에 형성된 제1 랜드부(410);
상기 제1 랜드부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2 단부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2 랜드부(420); 및
상기 제1 랜드부와 제2 랜드부 사이에 형성된 다중 직경의 제3 랜드부(430);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랜드부(430)는 상기 제1 단부측에서 제2 단부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된 소직경부(431), 경사부(432), 및 대직경부(433)를 구비하고,
상기 소직경부(431)는 상기 제1 랜드부 보다 작은 제1 직경을 가지고, 상기 대직경부(433)는 상기 제1 랜드부 보다 크되 제2 랜드부와 같거나 작은 제2 직경을 가지며, 상기 경사부(432)는 상기 소직경부와 대직경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직경에서 제2 직경으로 직경이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용 스풀. As a spool for flow control valve,
A spool rod 401 in the shape of a cylinder and hav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A first land portion 410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spool rod and formed at the first end portion;
A second land portion 420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land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end portion; And
Including; a multi-diameter third land portion 430 formed between the first land portion and the second land portion,
The third land portion 430 includes a small diameter portion 431, an inclined portion 432, and a large diameter portion 433 sequentially formed from the first end side to the second end side,
The small diameter portion 431 has a first diameter smaller than the first land portion, and the large diameter portion 433 has a second diameter larger than the first land portion but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second land portion, and the inclination The portion 432 is interposed between the small-diameter portion and the large-diameter portion, and a spool for a flow control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first diameter to the second diameter.
상기 스풀이 유량제어 밸브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때, 상기 제3 랜드부의 경사부(432)가 상기 내부 공간의 상기 제1 랜드부(410)와 제3 랜드부(430) 사이의 제1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의 상기 제2 랜드부(420)와 상기 제3 랜드부(430) 사이의 제2 공간 사이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용 스풀.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spool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low control valve, the inclined portion 432 of the third land portion is a first space between the first land portion 410 and the third land portion 430 of the inner space And a spool for a flow control valv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a second space between the second land part 420 and the third land part 430 of the inner space.
상기 스풀 로드(401)의 제1 단부에서 제2 단부까지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관통유로(405); 및
상기 스풀 로드(401)의 상기 제2 랜드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위치에서 스풀 로드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제1 관통유로(405)와 연통하는 제2 관통유로(4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용 스풀.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pool,
A first through passage 405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first end of the spool rod 401 to the second end; And
A second through passage 406 that penetrates the spool rod in a radial direction at a position between the second land portion and the second end portion of the spool rod 401 a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through passage 405; Flow control valve spool,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제2 랜드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서 상기 스풀 로드에 끼워진 스프링(460);
상기 스풀 로드의 제2 단부에 결합된 스프링 지지부(470); 및
상기 스프링(460)과 상기 스프링 지지부(470)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스풀 로드에 끼워지며 슬라이딩 가능한 링 형상의 제1 링 부재(450);를 포함하고,
상기 스풀이 유량제어 밸브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스풀이 제2 단부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링 부재(450)가 상기 유량제어 밸브의 내부 공간의 단차부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스프링이 수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용 스풀.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pool,
A spring (460) fitted into the spool rod between the second land portion and the second end portion;
A spring support 470 coupled to the second end of the spool rod; And
Including; a first ring member 450 of a ring shape that is fitted to the spool rod at a position between the spring 460 and the spring support portion 470 and is slidable,
When the spool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low control valve and the spool moves toward the second end, the first ring member 450 is supported by a step in the inner space of the flow control valve, so that the spring is Spool for flow control valv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retract.
상기 제2 랜드부와 상기 스프링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스풀 로드에 끼워지는 링 형상의 제2 링 부재(4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용 스풀. The method of claim 7,
A spool for a flow control valve, further comprising a ring-shaped second ring member (440) fitted to the spool rod at a position between the second land portion and the spring.
상기 스풀이, 상기 스풀 로드(401)의 제1 단부에서 제2 단부까지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관통유로(405); 및 상기 스풀 로드(401)의 상기 제2 랜드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위치에서 스풀 로드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제1 관통유로(405)와 연통하는 제2 관통유로(406);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지지부(470)는 이 스프링 지지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제1 관통유로(405)와 연통하는 제3 관통유로(4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용 스풀. The method of claim 7,
A first through passage 405 which passes through the spool from a first end to a second end of the spool rod 401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through passage 406 that penetrates the spool rod in a radial direction at a position between the second land portion and the second end of the spool rod 401 a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through passage 405. Including,
The spring support 470 passes through the spring suppor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cludes a third through passage 471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through passage 405.
제1 단부측을 향하는 상기 소직경부(431)의 모서리에 하나 이상의 노치(43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용 스풀. The method of claim 4,
A spool for a flow control valv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notch 435 is formed at a corner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431 facing the first end side.
상기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량제어 밸브용 스풀;
상기 스풀을 수용하는 원통 형상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 공간의 측면에 형성된 제1 유로(211)와 제2 유로(212) 및 상기 제1 단부측 방향에 형성된 관통구(213)를 구비한 밸브 본체(210); 및
상기 관통구(21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서 배치된 슬라이딩 블록(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 As a flow control valve,
The flow control valve spoo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10;
It has a cylindrical inner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pool, and includes a first flow path 211 and a second flow path 212 formed on the side of the internal space, and a through hole 213 form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first end. Valve body 210; And
A flow control valve comprising: a sliding block 220 disposed to be slidably fitted in the through hole 213.
상기 밸브 본체(210)의 상기 관통구(213)의 외측에 부착된 파이로트부;
상기 파이로트부의 피스톤 또는 유압이 상기 슬라이딩 블록(220)을 밀고 이 슬라이딩 블록(220)이 상기 스풀의 제1 랜드부(410)를 밀어서 상기 스풀이 제2 단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 The method of claim 11,
A pilot portion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through hole 213 of the valve body 210;
The piston or hydraulic pressure of the pilot part pushes the sliding block 220, and the sliding block 220 pushes the first land part 410 of the spool, so that the spool slides in the direction toward the second end. Flow control valve.
상기 스풀의 제1 랜드부(410)와 접하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220)의 제1 단부의 단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요홈부(22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 The method of claim 11,
A flow control valv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concave portion (227) is formed on an end surface of the first end of the sliding block (220) in contact with the first land portion (410) of the spool.
상기 슬라이딩 블록(220)의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의 단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요홈부(2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밸브. The method of claim 13,
A flow control valv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concave portion (225) is formed on an end surface of the second end opposite to the first end of the sliding block (22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2340A KR102149963B1 (en) | 2018-11-30 | 2018-11-30 | Spool with improved workability and precise controllability and a flow control valve using the spoo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2340A KR102149963B1 (en) | 2018-11-30 | 2018-11-30 | Spool with improved workability and precise controllability and a flow control valve using the spoo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5664A KR20200065664A (en) | 2020-06-09 |
KR102149963B1 true KR102149963B1 (en) | 2020-08-31 |
Family
ID=71082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2340A KR102149963B1 (en) | 2018-11-30 | 2018-11-30 | Spool with improved workability and precise controllability and a flow control valve using the spoo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9963B1 (en)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62002A (en) * | 1985-09-10 | 1987-03-18 | Toyoda Autom Loom Works Ltd | Direction control valve with flow rate control mechanism |
US5103866A (en) * | 1991-02-22 | 1992-04-14 | Foster Raymond K | Poppet valve and valve assemblies utilizing same |
KR960001513A (en) | 1994-06-30 | 1996-01-25 | 정몽원 | Proportional pressure control valve |
KR19980045492U (en) * | 1996-12-27 | 1998-09-25 | 추호석 | Flow Control Relief Valve with Orifice |
KR100934945B1 (en) | 2007-09-14 | 2010-01-06 |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 Hydraulic circuit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
JP6773418B2 (en) * | 2015-09-28 | 2020-10-21 | ナブテスコ株式会社 | Direction switching valve and hydraulic system |
-
2018
- 2018-11-30 KR KR1020180152340A patent/KR102149963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5664A (en) | 2020-06-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991890B2 (en) | Spool valve | |
JP6240983B2 (en) | Fluid pressure cylinder | |
EP3553324B1 (en) | Valve and hydraulic system with the same | |
CN104508344A (en) | Shock-absorbing valve | |
KR102575256B1 (en) | Spool valve | |
KR102149963B1 (en) | Spool with improved workability and precise controllability and a flow control valve using the spool | |
KR102086109B1 (en) | Proportional pressure-reducing valve with spool having improved shape of land portion | |
US10816099B2 (en) | Spool valve | |
EP3892865A1 (en) | Valve spool with flow force mitigation features | |
CN110832172A (en) | Oil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a cam phaser with a spool positioned by an external actuator and including a groove | |
US20200208746A1 (en) | Hydraulic valve | |
CN111212996B (en) | Cover with solenoid proportional valve | |
KR102086117B1 (en) | Proportional pressure-reducing valve with spool having improved alignment performance | |
JP5982832B2 (en) | Solenoid valve | |
JP6564225B2 (en) | Control valve | |
JP6119875B2 (en) | Flow control valve | |
KR102142136B1 (en) | Spool with pressure-controllable member and proportional pressure-reducing valve with the spool | |
CN115280051A (en) | Slide valve | |
JP7305099B2 (en) | Spool type on-off valve | |
JP7463355B2 (en) | Solenoid valve | |
KR102083517B1 (en) | Spool for flow control valve and a flow control valve using the spool | |
US11359740B2 (en) | Electromagnetic valve | |
JP7108774B1 (en) | spool valve | |
JP7463356B2 (en) | Solenoid valve | |
KR20190137407A (en) | Proportional pressure-reducing valve with solenoid actuator having improved piston-controllabilit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8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