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477B1 - Branch busbar assembly for distribution board - Google Patents
Branch busbar assembly for distribution boar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9477B1 KR102149477B1 KR1020200041300A KR20200041300A KR102149477B1 KR 102149477 B1 KR102149477 B1 KR 102149477B1 KR 1020200041300 A KR1020200041300 A KR 1020200041300A KR 20200041300 A KR20200041300 A KR 20200041300A KR 102149477 B1 KR102149477 B1 KR 1021494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nch
- bus bar
- bore
- bus
- tightening bol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7—Butt joining of bus-bars by means of a common bolt, e.g. splice join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10—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선부스바에 분기부스바를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한쪽 측면에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 상의 전력을 공급하는 모선부스바가 삽입되는 슬롯부가 다수 형성되고, 반대쪽 측면에 관통공 및 냉각을 위하여 내기를 배출하거나 외기를 유입하는 에어벤트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하로 볼트삽입부가 형성된 절연케이스, 상기 절연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고, 한쪽 단부는 상기 슬롯부들 중 하나의 상면에 노출되어 상기 모선부스바의 상면과 접촉되고, 반대쪽 단부는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노출되며, 가운데 부분에 제1클리어런스 홀이 뚫린 분기부스바, 상기 절연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고, 한쪽 단부는 상기 슬롯부들 중 하나의 하면에 상기 분기부스바와 대향하는 상태로 노출되어 상기 모선부스바의 하면과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접촉되고, 반대쪽 단부에 나사구멍이 뚫린 클램핑조, 상기 볼트삽입부를 통해 상기 클램핑조의 나사구멍과 나사 결합한 상태로 상기 절연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고, 조임 시 상기 클램핑조를 상승시켜 상기 모선부스바의 하면에 가압 밀착시키는 조임볼트를 포함하는 분전반용 분기 어셈블리를 개시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asily and stably connect the branch bus bar to the bus bus bar, a plurality of slots into which bus bus bars supplying power to each phase are inserted at regular intervals up and down on one side are formed, and through holes and cooling ar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For this purpose, an air vent for discharging the inside air or introducing outside air is formed, and an insulation case with bolt inserts vertically formed therein, is mounted inside the insulation case, and one end thereof is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one of the slots. A branch bus bar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us bar, the opposite end is ex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a first clearance hole is drilled in the middle, is mounted inside the insulating case, and one end is one of the slots. A clamping jaw exposed on one lower surface facing the branch busbar and elastically deformed by elastic deformation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us bus bar, and a screw hole formed at the opposite end thereof, and a screw hole of the clamping jaw through the bolt insertion portion Disclosed is a branch assembly for a distribution board including a tightening bolt that is inserted into the insulating case in a state of being screwed with and tightens the clamping jaw to pressurize and adher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us bar.
Description
본 발명은 분전반용 분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선부스바에 분기부스바를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접속할 수 있고, 아울러 분전반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모선부스바와 분기부스바의 고정 상태를 육안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는 분전반용 분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nch assembly for a distribution board,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stably connect the branch bus bar to the bus bar, and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bus bar and the branch bus bar, the fixed state of the bus bus bar and the branch bus bar can be immediately checked with the naked eye. It relates to a branch assembly for a possible distribution board.
분전반(Distribution board)은 배전반으로부터 전력을 받아서 빌딩이나 공장 안의 각종 기기 등으로 배전하고, 전기적 위험요소를 사전에 감지하여 전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로, 대부분 전원측으로부터 전력을 인입하고 과부하, 단락 등으로 인한 이상시 회로를 차단하는 메인차단기(Circuit breaker)와, 이 메인차단기의 부하측 단자에 접속되는 다수의 모선부스바(Main Busbar)와, 이 모선부스바로부터 전력을 부하측으로 분배하는 분기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다수의 분기차단기 및 모선부스바와 분기차단기의 단자부 사이에 접속되어 전류의 경로를 분기하는 분기부스바가 내장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Distribution board is a device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switchboard and distributes it to various devices in buildings or factories, and detects electrical hazards in advance to cut off electricity. A circuit breaker that cuts off the circuit in case of an abnormality due to such as, a plurality of main busbars connected to the load terminal of this main breaker, and a branch circuit that distributes power from the bus bar to the load side. It consists of a structure in which a number of branch breakers to protect the system and a branch bus bar that is connected between the bus bus bar and the terminal portion of the branch breaker to branch the current path are built-in.
이러한 분전반에서 볼트로 모선부스바와 분기부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 볼트 체결을 위한 탭(tap) 가공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조립작업이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할 수밖에 없다.In the case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bus bus bar and the branch bus bar with bolts in such a distribution board, tap processing for bolting is required and assembly work is inevitably cumbersome and inconvenient.
또한, 모선부스바와 분기부스바가 상간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과다하게 노출되어 있어 유지보수 시 등에 분기차단기의 배열을 달리하거나 교체할 경우 메인차단기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지 않으면 감전 또는 쇼트 등의 전기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us bus bar and branch bus bar are excessively exposed to maintain the distance between the phases, if the arrangement of the branch breaker is changed or replaced during maintenance, etc., electrical safety accidents such as electric shock or short circuit if the power supply to the main breaker is not cut off.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anger of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분기부스바를 키트 형태로 모듈화하여 모선부스바와 분기차단기의 단자부 사이에 신속하고 간단하게 체결하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tructure has recently been proposed in which the branch bus bar is modularized in the form of a kit so that it can be quickly and simply fastened between the bus bar and the terminal portion of the branch circuit breaker and secured safety.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모선부스바가 삽입되는 공간에 분기부스바와 가압용 접속단자를 내장하고, 그 사이에 모선부스바를 삽입한 상태에서 가압용 접속단자를 볼트로 조임으로써 상호 간의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1, a branch bus bar and a pressure connection terminal are built in the space where the bus bus bar is inserted, and the pressure connection terminal is tightened with bolts while the bus bus bar is inserted therebetween to maintain the mutual connection. The structure is disclosed.
그러나 이는 분기부스바에 가압용 접속단자를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가 완전히 조여지지 않은 상태로 있는 경우, 체결 및 접촉불량으로 인해 저항온도계수가 큰 분기부스바와 접속단자 간의 접촉 저항이 증가하여 전류가 흐르면 발열작용을 수반하면서 열화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도통 불량을 일으켜 기기의 조작불능이나 운전 중인 기기가 정지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f the bolt for coupling the pressurization connection terminal to the branch bus bar is not fully tightened,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branch bus bar with a large resistance temperature coefficient and the connection terminal increases due to fastening and contact failure. In addition to causing deteriora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accident occurs in which operation of the device is impaired or the device in operation is stopped due to poor conduction.
또한, 분기부스바와 가압용 접속단자 사이에 모선부스바를 삽입 시 가압용 접속단자가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접촉 간섭을 일으켜 삽입 동작을 방해하고, 이로 인해 모선부스바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bus bus bar is inserted between the branch bus bar and the pressure connecting terminal, the pressure connecting terminal freely moves, causing contact interference, interfering with the insertion operation,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us bus bar cannot be inserted smoothly.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technology is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present inventors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only intended to help understand the technical signific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widely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before filing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does not mean a known technology.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기술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모선부스바에 분기부스바를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접속할 수 있고, 아울러 분전반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모선부스바와 분기부스바의 고정 상태를 육안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어 조립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도모하는 새로운 구조의 분전반용 분기 어셈블리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nd stably connect the branch booth bar to the bus bus bar in order to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above-described matters and solve the technical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technology. As a result of continuous research, we made every effort to develop a branch assembly for distribution boards with a new structure that promotes the effect of quick and easy assembly work as the fixed status of busbar and branch busbars can be checked with the naked eye. The invention was created.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모선부스바에 분기부스바가 완전하고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실제로 보지 않고도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분전반용 분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 technical problem and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ranch assembly for a distribution board that allows a direct confirmation of a state in which the branch bus bar is completely and firmly fixed to the bus bus bar.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모선부스바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끼워지고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분전반용 분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and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anch assembly for a distribution board that allows a bus bus bar to be quickly and easily fitted and maintain a stable connection state.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in, 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고,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과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한쪽 측면에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 상의 전력을 공급하는 모선부스바가 삽입되는 슬롯부가 다수 형성되고, 반대쪽 측면에 관통공 및 냉각을 위하여 내기를 배출하거나 외기를 유입하는 에어벤트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하로 볼트삽입부가 형성된 절연케이스, 상기 절연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고, 한쪽 단부는 상기 슬롯부들 중 하나의 상면에 노출되어 상기 모선부스바의 상면과 접촉되고, 반대쪽 단부는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노출되며, 가운데 부분에 제1클리어런스 홀이 뚫린 분기부스바, 상기 절연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고, 한쪽 단부는 상기 슬롯부들 중 하나의 하면에 상기 분기부스바와 대향하는 상태로 노출되어 상기 모선부스바의 하면과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접촉되고, 반대쪽 단부에 나사구멍이 뚫린 클램핑조, 상기 볼트삽입부를 통해 상기 클램핑조의 나사구멍과 나사 결합한 상태로 상기 절연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고, 조임 시 상기 클램핑조를 상승시켜 상기 모선부스바의 하면에 가압 밀착시키는 조임볼트, 상기 절연케이스의 하면에 분전반 내부의 공기 순환 및 습기 배출을 위하여 형성된 통로부, 상기 볼트삽입부의 상부에 상기 조임볼트의 헤드를 묻기 위하여 형성된 보어부, 상기 보어부의 전후 측벽부에 형성된 가이드홈, 상기 보어부의 좌 측벽부에 형성된 잠금구멍 및 상기 조임볼트의 헤드가 상기 보어부에 완전히 묻힌 상태에서만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삽입되고, 한쪽 끝부분에 상기 잠금구멍에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끼워져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후크가 형성된 잠금커버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용 분기 어셈블리를 제시한다.Specific means according to an aspect for realizing a new idea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achieving the object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t regular intervals vertically on one side. Insulated case with multiple slots into which busbars for supplying power to each phase are inserted, through holes on the opposite side, air vents to discharge internal air or inflow outside air for cooling, and bolt inserts vertically inside , Mounted inside the insulating case, one end is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one of the slots and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bus bus bar, and the opposite end is ex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a first A branch booth bar with a clearance hole, mounted inside the insulating case, and one end of the slot is exposed to the bottom surface of one of the slots in a state opposite to the branch bus bar, and is resilient by elastic deformation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us bar. The bus bar is inserted into the insulating case in a state of being screwed with a screw hole of the clamping tub through a clamping tub with a screw hole drilled at the opposite end and a screw hole at the opposite end, and when tightening, the clamping tub is raised to raise the bus bar. A tightening bolt that pressurizes the lower surface of the insulating case, a passage part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sulating case for air circulation and moisture discharge inside the distribution panel, a bore part formed to bury the head of the tightening bolt on the upper part of the bolt insertion part, and the bore part Guide groove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sidewalls, locking holes formed in the left sidewalls of the bore, and the head of the tightening bolt are inserted along the guide grooves only when they are completely buried in the bore, and elastically in the locking hole at one end. It proposes a branch assembly for a distribution board comprising a locking cover formed with a hook that is elastically fitted by deformation to maintain a locked state.
이로써 본 발명은, 분전반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모선부스바에 분기부스바가 완전하고 견고하게 고정되었음을 실제로 보지 않고도 육안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어 조립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새로운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 new effect in that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confirm with the naked eye that the branch bus bar is completely and firmly fixed to the bus bus bar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in the distribution board, so that the assembly work is made quickly and easily.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잠금커버는, 상기 절연케이스의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분기부스바의 반대쪽 단부를 노출되지 않게 커버하고 보호하기 위하여 그 반대쪽 단부에서 연장하여 일체로 형성된 차단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분기부스바와 분기차단기의 연결 부분에 부주의 등으로 인한 접촉을 방지하고 상간절연을 확보하여 플래시 오버(flash over) 현상이나 아크 방전, 스파크 등에 의해 분기차단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전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cover extends from the opposite end to cover and protect the opposite end of the branch bus bar protrud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insulating case.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integrally formed cut-off part to prevent accidental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branch booth bar and the branch circuit breaker, and secure phase-to-phase insulation to prevent flash over, arc discharge, spark, etc. Various electrical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은, 상기 클램핑조의 한쪽 단부에서 절곡하여 형성된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가 끼워진 상태를 유지시켜 상기 클램핑조의 한쪽 단부가 자유롭게 움직이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조임볼트의 조임 시 상기 클램핑조의 상승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슬롯부의 하면에 형성된 승강안내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모선부스바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끼워지고 분기부스바와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the vertical portion formed by bending at one end of the clamping jaw and the vertical portion in a fitted state to prevent one end of the clamping jaw from freely moving or disengaging, and the tightening bolt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elevation guide groov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lot portion to guide the rise of the clamping jaw during tightening, so that the bus bus bar is quickly and easily inserted and a stable connection state with the branch bus bar can be maintain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조임볼트는, 헤드에 와셔가 일체로 붙어 있는 플랜지 볼트(flange bolt)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어부의 바닥면과 상기 잠금커버의 하면 사이의 높이가 상기 헤드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미리 정해진 기준치에서 허용오차 범위 내의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볼트삽입부 주위의 상기 보어부의 바닥면에 일정 깊이로 패인 안치홈, 상기 안치홈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조임볼트의 조임력에 의해 끊기면서 상기 안치홈 속으로 낙하되는 파단부 및 상기 파단부의 파단이 용이하도록 상기 보어부의 바닥면과 연결되는 부분에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 절취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잠금커버를 결합할 필요 없이 1차적인 파단부의 상태 확인을 통해 모선부스바와 분기부스바의 고정 상태를 육안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ghtening bolt is formed in the form of a flange bolt in which a washer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head, and the height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r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locking cover Is formed with a height equal to the height of the head or within an allowable error range from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a settling groove recess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re part around the bolt insertion part, and an upper side of the settling groove , By further comprising a fracture portion falling into the settling groove while being cut by the clamping force of the tightening bolt, and a cutout portion having a relatively thin thickness at a portion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re portion to facilitate fracture of the fracture portion.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visually check the fixed status of the bus bus bar and branch bus bar by checking the condition of the first broken part without the need to attach the locking cover.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분전반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모선부스바에 분기부스바가 완전하고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실제로 보지 않고도 조임볼트의 위치를 통해 육안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어 조립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a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which a unique solution is based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s, the state in which the branch booth bar is completely and firmly fixed to the bus bus bar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in the distribution panel is actually Assembly work can be made quickly and easily because it can be checked with the naked eye through the position of the tightening bolt without looking.
즉, 조임볼트의 헤드 부분이 보어부 내에 완전히 삽입되고, 그 헤드의 상면과 보어부의 상부를 덮는 잠금커버 상호 간의 간격이 일정한 범위 이내가 되어야만 잠금커버가 보어부의 개구부를 덮는 슬라이딩 결합이 가능함으로써 조임볼트가 클램핑조를 완전히 조인 상태를 쉽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That is, the head of the tightening bolt must b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bore and the gap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and the locking cover covering the top of the bore must be within a certain range.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y the state in which the bolt is fully tightened in the clamping jaw.
따라서 모선부스바와 분기부스바의 고정을 위한 조립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면서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의 용이성 및 편의성을 제고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은 물론 생산성의 증대를 꾀할 수 있다.Therefore, the assembly work for fixing the busbar and branch busbars can be quickly, easily and efficiently performed, thereby improving the ease and convenience of work,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as well as increasing productivity.
또한, 조임볼트의 헤드 하면과 마주하는 보어부의 바닥면에 파단부가 형성되어 있어 조임볼트의 조임에 따라 변화되는 파단부의 위치 및 상태를 통해 모선부스바와 분기부스바의 고정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조임볼트가 더욱 단단히 체결되기 때문에 모선부스바와 분기부스바의 고정 상태를 한층 더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actured portio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re portion facing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of the tightening bolt, so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fixed state of the busbar and branch busbars through the position and state of the fractured part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tightening of the tightening bolt. Of course, since the tightening bolts are tightened more tightly, it is possible to keep the busbar and branch busbars in a more stable and solid state.
더욱이 잠금커버의 차단부가 분기부스바의 노출 부분을 커버하고 보호하므로 분기부스바와 분기차단기의 연결 부분에 작업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한 접촉을 방지하여 유지보수의 효율화는 물론 감전, 지락, 단락 사고 등의 각종 전기 안전사고 예방을 도모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blocking part of the locking cover covers and protects the exposed part of the branch booth bar, it prevents contact between the branch booth bar and the branch breaker due to the carelessness of the operator, thereby improving maintenance efficiency and preventing electric shock, ground fault, short circuit accident, etc. Various electrical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용 분기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용 분기 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용 분기 어셈블리의 구성요소 중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용 분기 어셈블리의 구성요소 중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용 분기 어셈블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용 분기 어셈블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용 분기 어셈블리의 다른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용 분기 어셈블리의 국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용 분기 어셈블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 측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anch assembly for a distribution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anch assembly for a distribution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some of the components of a branch assembly for a distribution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ome of the components of a branch assembly for a distribution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a branch assembly for a distribution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use state of a branch assembly for a distribution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state of use of the branch assembly for a distribution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local portion of a branch assembly for a distribution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artially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use state of a branch assembly for a distribution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is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cept conform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aning commonly or commonly recognized in the art.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Here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partially exaggerated or simplified for explan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technology, an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understanding, and it is understood that each component does not exactly match the actual size and shape.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and/or mean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item among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and when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it is a particularly opposite description. Unless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s not excluded,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can be further included.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That is, it means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of thes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exist,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action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y do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ir existence or addition.
이외에도 "부" 및 "유닛"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시스템에서 목적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어느 일정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역할을 하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 등을 통한 수단이나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어셈블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aning of the terms "unit" and "unit" refers to a unit or a module type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a certain operation desired in the system, which i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t may be implemented as a device or assembly capable of performing an independent operation or means through the like.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top, bottom, top, bottom, or top, bottom, top, bottom,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are used for convenience to distinguish the relative positions of each component. For example, the upper part on the drawing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as the lower part, the length direction as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s the left-right direction.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Also,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at i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용 분기 어셈블리의 주요 구성요소는, 절연케이스(10), 분기부스바(20), 클램핑조(30), 조임볼트(40), 보어부(50) 및 잠금커버(60)를 포함하고 있다.1 to 5, the main components of the branch assembly for a distribution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n insulating
절연케이스(10)는 절연체로 외형을 이루고 내부에 분기부스바(20)와 클램핑조(30) 및 조임볼트(40)를 수용한다.The insulating
그리고 절연케이스(10)의 한쪽 측면(도 5에서 볼 때 좌측)에는 각 상의 전력을 공급하는 모선부스바가 삽입되는 슬롯부(11)가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 있고, 반대쪽 측면(도 5에서 볼 때 우측)의 가운데 부분에는 분기부스바(20)의 부하측이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관통공(12)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on one side of the insulating case 10 (on the left as seen in FIG. 5), a plurality of
여기서 일반적인 분전반은 4극 배선용 차단기가 사용되고, 모선부스바는 R상, S상, T상 및 N상 등이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어 분기부스바를 필요한 상에 연결하는 형태적 특성상 슬롯부(11)는 모선부스바의 4상과 동일한 위치에 평행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n general distribution boards, a 4-pole wiring breaker is used, and the bus bus bar has an R-phase, S-phase, T-phase, and N-phase arranged vertically, so that the
또한, 절연케이스(10)의 반대쪽 측면(도 5에서 볼 때 우측)에는 냉각을 위하여 내기를 배출하거나 외기를 유입하는 에어벤트(13)가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sulating case 10 (right side as seen in FIG. 5), a plurality of
그리고 절연케이스(10)의 내부 중심에는 조임볼트(40)의 나사부를 삽입하여 클램핑조(30)의 나사구멍(31)에 자연스럽게 조이기 위해 조임볼트(40)의 지름보다 2~5mm씩 여유있게 상하로 뚫린 형태의 볼트삽입부(14)가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분전반 내부의 공기 순환 및 습기 배출을 위하여 통로부(15)가 형성되어 있다.And in the inner center of the insulating case (10), insert the screw portion of the tightening bolt (40) to naturally tighten it into the screw hole (31) of the clamping jaw (30), so that it is 2-5mm higher than the diameter of the tightening bolt (40). A
또한, 볼트삽입부(14)의 주위에는 분기부스바(20)를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하여 절연케이스(10) 내부에 자연스럽고 수월하게 위치시키기 위한 고정부(19)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fixing
여기서 볼트삽입부(14)의 깊이는 조임볼트(40)의 나사부(42) 길이, 즉 헤드(41)를 제외한 부분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depth of the
그리고 슬롯부(11)들 각각의 바닥면 가장자리에는 클램핑조(30)의 자유단부가 자유롭게 움직이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조임볼트(40)의 조임 시 클램핑조(30)의 상승을 안내하는 승강안내홈(11a)이 형성되어 있다.And at the edge of the bottom surface of each of the
즉, 승강안내홈(11a)은 클램핑조(30)의 수직부(32)가 끼워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좌우로 흔들림 없이 승강하도록 안내하고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elevating
또한, 슬롯부(11)들 각각의 천장면에는 분기부스바(20)의 한쪽 끝부분을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11b)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그리고 절연케이스(10)의 상면에는 분기부스바(20)가 접속되는 전력의 각 상을 표시 및 구분할 수 있는 태그를 장착하기 위한 태그장착부(16)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예를 들어, R상은 흑색, S상은 적색, T상은 청색, N상은 백색 또는 회색의 태그를 태그장착부(16)에 슬라이더 방식으로 끼워서 장착하거나 부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phase is black, the S-phase is red, the T-phase is blue, and the N-phase is white or gray tags may be fitted or attached to the
여기서 절연케이스(10)는 절연성을 비롯하여 난연성을 갖는 소재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Here, the insulating
아울러 절연케이스(10)는 볼트삽입부(14)의 축선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양분한 형태로 사출성형할 수 있고, 이 경우 한쪽 절연케이스(10a)와 반대쪽 절연케이스(10b)가 일체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는 홈과 돌기를 서로 마주하는 면의 가장자리에 대응되게 형성하거나 볼팅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ulating
한편, 절연케이스(10)의 전후면에는 인접하여 조립되는 다른 절연케이스가 뒤틀림 없이 안정적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안내하는 연결홈(17)과 연결돌기(18)가 복수로 형성되어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분기부스바(20)는 절연케이스(10) 내부의 고정부(19)에 지지 및 장착되어 있다.The
즉, 분기부스바(20)는 정면에서 볼 때 마치 계단식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있고, 그 한쪽 단부(도 5에서 볼 때 좌측)는 모선부스바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슬롯부(11)들 중 어느 하나의 상면에 노출되어 있으며, 반대쪽 단부(도 5에서 볼 때 우측)는 절연케이스의 관통공(12)을 통과하여 노출되어 있다.That is,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그리고 분기부스바(20)의 가운데 부분에는 조임볼트(40)의 나사 부분이 통과하는 제1클리어런스 홀(21)이 뚫려 있고, 절연케이스의 관통공(12)을 통과하여 노출된 끝부분에는 분기차단기의 전원측과 나사 결합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클리어런스 홀(22)이 뚫려 있다.In addition, a
여기서 분기부스바(20)는 동, 알루미늄 등의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클램핑조(30)는 조임볼트(4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하면서 분기부스바(20)와의 간격을 조절하여 모선부스바와 고정 및 접촉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키도록 절연케이스(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The clamping
그리고 클램핑조(30)의 자유단부는 모선부스바의 하면과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누르듯이 접촉되도록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ree end of the clamping
즉, 클램핑조(30)의 자유단부는 휨 및 곡률 변화에 의한 탄발력으로 인해 외력에 탄력적으로 대응 및 거동할 수 있다.That is, the free end of the clamping
그리고 클램핑조(30)의 한쪽 단부(도 5에서 볼 때 좌측)는 슬롯부(11)들 중 어느 하나의 하면에 분기부스바(20)와 대향하는 상태로 노출되어 있으며, 그 반대쪽 단부(도 5에서 볼 때 우측)에는 조임볼트(30)와 나사 결합에 의하여 연결하기 위한 나사구멍(31)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clamping jaw 30 (left as seen in FIG. 5) is ex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any one of the
그리고 클램핑조(30)의 자유단부에는 절연케이스의 승강안내홈(11a)에 승강 가능한 상태로 끼워지는 수직부(32)가 절곡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ree end of the clamping
여기서 클램핑조(30)는 일정한 강성 및 탄성을 갖는 금속판을 소정의 곡면으로 가공하는 프레스성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Here, the clamping
조임볼트(40)는 조임 시 클램핑조(30)를 상승시켜 모선부스바(M)의 하면에 가압 밀착시키는 작용을 하도록 절연케이스(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The tightening
즉, 조임볼트(40)의 나사부(42)는 절연케이스의 볼트삽입부(14)를 통해 절연케이스(10)의 내부에서 클램핑조의 나사구멍(31)과 나사 결합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That is, the
여기서 조임볼트(40)는 머리 부분인 헤드(41)에 와셔(41a)가 일체로 붙어 있는 플랜지 볼트(flange bolt)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tightening
또한, 조임볼트(40)의 길이는 슬롯부(11)들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클램핑조(30)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tightening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조(30)가 절연케이스의 슬롯부(11)들 중 최상층의 슬롯부(11)에 장착될 경우, 조임볼트(40)의 헤드(41)가 보어부(50)에 묻혀 완전히 조여진 상태에서 그 나사부(42)의 하단은 클램핑조의 나사구멍(31)을 통과하여 노출 및 위치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when the clamping
보어부(50)는 조임볼트의 헤드(41)를 묻기 위하여 절연케이스(10)의 상부 모서리 부분이 일정 높이만큼 비어있는 공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The
즉, 보어부(50)는 그 바닥면의 일부가 볼트삽입부(14)의 상부와 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그리고 보어부(50)의 전후 측벽부에는 그 내부에 조임볼트(40)의 헤드(41)가 완전히 묻힌 상태에서만 잠금커버(6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51)이 형성되어 있다.And a
또한, 보어부(50)의 좌 측벽부에는 잠금커버(60)가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잠금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locking
여기서 보어부(50)의 바닥면과 잠금커버(60)의 하면 사이의 높이(h1)는 조임볼트의 헤드(41) 높이(h2)와 동일하거나 미리 정해진 기준치에서 허용오차 범위 내의 높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height h1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예를 들면, 보어부(50)의 가이드홈(51)을 따라 잠금커버(6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운 상태에서 보어부(50)의 바닥면에서 잠금커버(60)의 하면까지의 높이가 15mm일 때 조임볼트(40)는 그 헤드(41)의 높이가 13~15mm인 것을 채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잠금커버(60)는 조임볼트(40)의 헤드(41)가 보어부(50)에 완전히 묻힌 상태에서만 가이드홈(51)을 따라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locking
그리고 잠금커버(60)의 한쪽 끝부분(도 5에서 볼 때 좌측)에는 외력을 받을 시 탄성 변형에 의해 보어부(50)의 잠금구멍(52) 속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갈고리 형상의 후크(61)가 형성되어 있다.And one end (left as seen in FIG. 5) of the locking
즉, 잠금커버(60)는 보어부(50)의 개구부를 폐쇄함과 동시에 조임볼트(40)의 헤드(41)와 접촉 간섭을 일으켜 조임볼트(40)의 풀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locking
또한, 잠금커버(60)의 반대쪽(도 5에서 볼 때 우측)에는 절연케이스의 관통공(12)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분기부스바(20)의 부하측 단부를 노출되지 않게 커버하고 보호하는 차단부(6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opposite side of the locking cover 60 (right side as seen in FIG. 5) is a block that covers and protects the load-side end of the
즉, 차단부(62)는 분기부스바(20)의 부하측 단부와 분기차단기 연결 부분의 노출을 차단하여 조립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That is, the blocking
아울러 차단부(62) 중 보어부(50)와 마주하는 양쪽 모서리에는 절연케이스(10)와 접촉 간섭을 일으켜 보어부(50)에 일정 깊이 이상으로 끼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63)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여기서 잠금커버(60)는 조임볼트(40)의 헤드(41)와 보어부(50)의 내부가 투사되어 보이도록 투명한 재질과, 난연성, 절연성 및 탄성을 갖는 소재를 사용하여 평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locking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용 분기 어셈블리의 주요 작용 및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main operation and principle of the branch assembly for a distribution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케이스(10)의 슬롯부(11)들 중 분기부스바(20)와 클램핑조(30)가 장착되어 있는 슬롯부(11)에 분전반 내 각 상의 전력을 공급하는 모선부스바(M)를 삽입한 상태(실제로는 분기 어셈블리를 모선부스바에 장착)에서 조임볼트(40)를 돌려 조임으로써 모선부스바(M)에 장착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5, the power of each phase in the distribution board is supplied to the
이때, 도 5의 (a)와 같이 클램핑조(30)의 나사구멍(31)은 조임볼트(40)와 나사 결합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수직부(32)는 승강안내홈(11a)과 접촉 간섭을 받는 상태이기 때문에 조임볼트(40)를 조여서 하강시키더라도 클램핑조(30)는 도 5의 (b)와 같이 절연케이스(10) 내에서 회전은 되지 않고 승강만 하게 되어 모선부스바(M)의 하면에 분기부스바(20)를 안정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5 (a), the
아울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볼트(40)의 헤드(41) 부분이 보어부(50) 내에 위치되고, 그 헤드(41)의 상면과 보어부(50)의 개구된 상부를 덮는 잠금커버(60) 하면 간의 간격이 일정한 범위 이내가 되어야만 잠금커버(60)가 보어부(50)의 가이드홈(51)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져 덮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즉, 조임볼트(40)가 클램핑조(30)를 완전히 조인 상태이면, 그 헤드(41) 부분이 보어부(50)의 내부에 완전히 묻힌 상태가 되고, 이렇게 되어야만 잠금커버(60)가 조임볼트(40)와 접촉 간섭이 일어나지 않고 자연스럽게 닫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모선부스바(M)에 분기부스바(20)가 완전하고 견고하게 고정되었음을 실제로 보지 않고도 육안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조립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if the tightening
그뿐만 아니라 잠금커버(60)가 조임볼트(40)의 헤드(41)와 접촉 간섭으로 고정력을 증대시키고, 이로 인해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조임볼트(40)의 풀림 현상을 방지하여 클램핑조(30)의 가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므로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king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케이스(10)의 전후면에 인접하는 다른 절연케이스(10)를 서로 연결하여 장착할 경우 그 잠금커버(60')는 차단부(62)와 함께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절연케이스의 관통공(12)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분기부스바(20)의 부하측 단부와 분기차단기 연결 부분의 노출을 더욱 확실하게 차단하고 보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 when other insulating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용 분기 어셈블리는 절연케이스(10), 분기부스바(20), 클램핑조(30), 조임볼트(40), 보어부(50) 및 잠금커버(60)를 포함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branch assembly for a distribution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ulating
이 중 보어부(50)는, 안치홈(53), 파단부(54) 및 절취부(55)를 더 포함하고 있다.Among them, the
안치홈(53)은 보어부(50)의 바닥면 중 볼트삽입부(14)의 상부 가장자리 주위에 일정 깊이로 패여 있다.The mounting
파단부(54)는 조임볼트(40)의 조임력에 의해 끊기면서 안치홈(53) 속으로 낙하 및 수용되도록 안치홈(53)의 상측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 있다.The fractured
즉, 파단부(54)의 면적은 안치홈(53) 안에 자연스럽게 안착 및 수용될 수 있도록 안치홈(53)의 면적보다 약간 좁게 형성되어 있고, 아울러 파단부(54)의 두께는 안치홈(53)의 깊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area of the fractured
여기서 파단부(54)는 두께가 얇고 가는 노치(notch) 형상의 절취부(55)에 의해 보어부(50)의 바닥면과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절취부(55)는 조임볼트(40)의 조임 시 파단부(54)의 파단이 용이하도록 보어부(50)의 바닥면과 연결되는 부분에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어 있다.The
즉, 절취부(55)는 조임볼트(40)를 조일 때 가해지는 힘에 의해 자연스럽게 찢기듯이 파단되면서 파단부(54)를 보어부(50)의 바닥면에서 분리하여 안치홈(53) 속으로 삽입되도록 한다.In other words,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용 분기 어셈블리는 절연케이스(10)의 슬롯부(11)들 중 분기부스바(20)와 클램핑조(30)가 장착되어 있는 슬롯부(11)에 분전반 내 각 상의 전력을 공급하는 모선부스바를 삽입한 상태로 조임볼트(40)를 돌려 조이는 과정에서 파단부(54)가 절취부(55)를 따라 자연스럽게 파단되어 안치홈(53) 속으로 삽입될 수 있다.The branch assembly for a distribution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the
이렇게 되면 잠금커버(60)를 결합하기 전 파단부(54)의 위치 및 상태 확인을 통해 1차적으로 모선부스바(M)에 분기부스바(20)가 완전하고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실제로 보지 않고도 쉽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In this case, by checking the location and status of the
더구나 조임볼트(40)가 파단부(54)의 접촉 간섭으로 인해 헐거움 없이 더욱 단단히 체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ightening
따라서 조임볼트(40)가 진동, 충격, 반경 응력 또는 변형 등에 의하여 쉽게 풀리지 않기 때문에 모선부스바(M)와 분기부스바(20)의 고정 상태를 한층 더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tightening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용 분기부스바 어셈블리와 관련한 구성요소 중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반복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Here, among the components related to the branch booth bar assembly for a distribution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or similar effect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petitive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do.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applied in various ways that are not illustrat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substitution of components and the possibility of wide application by changing to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content related to the modification and application of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절연케이스 11: 슬롯부
11a: 승강안내홈 12: 관통공
13: 에어벤트 14: 볼트삽입부
15: 통로부 16: 태그장착부
17: 연결홈 18: 연결돌기
19: 고정부 20: 분기부스바
21: 제1클리어런스 홀 22: 제2클리어런스 홀
30: 클램핑조 31: 나사구멍
32: 수직부 40: 조임볼트
41: 헤드 50: 보어부
51: 가이드홈 52: 잠금구멍
53: 안치홈 54: 파단부
55: 절취부 60: 잠금커버
61: 후크 62: 차단부10: insulation case 11: slot
11a: elevating guide groove 12: through hole
13: air vent 14: bolt insert
15: passage portion 16: tag mounting portion
17: connecting groove 18: connecting protrusion
19: fixed part 20: branch booth bar
21: first clearance hall 22: second clearance hall
30: clamping jaw 31: screw hole
32: vertical part 40: tightening bolt
41: head 50: bore
51: guide groove 52: locking hole
53: set groove 54: fracture
55: cutout 60: locking cover
61: hook 62: blocking portion
Claims (4)
상기 절연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고, 한쪽 단부는 상기 슬롯부들 중 어느 하나의 천장면에 노출되어 상기 모선부스바의 상면과 접촉되고, 반대쪽 단부는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노출되며, 가운데 부분에 제1클리어런스 홀이 뚫린 분기부스바;
상기 절연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고, 한쪽 단부는 상기 슬롯부들 중 어느 하나의 바닥면에 상기 분기부스바와 대향하는 상태로 노출되어 상기 모선부스바의 하면과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접촉되고, 반대쪽 단부에 나사구멍이 형성된 클램핑조;
상기 볼트삽입부를 통해 상기 클램핑조의 나사구멍과 나사 결합한 상태로 상기 절연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고, 조임 시 상기 클램핑조를 상승시켜 상기 모선부스바의 하면에 가압 밀착시키는 조임볼트;
상기 볼트삽입부의 상부에 상기 조임볼트의 헤드를 묻기 위하여 형성된 보어부;
상기 보어부의 전후 측벽부에 형성된 가이드홈;
상기 보어부의 좌 측벽부에 형성된 잠금구멍;
상기 조임볼트의 헤드가 상기 보어부 내에 완전히 묻힌 상태에서만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삽입되어 상기 보어부의 상면 개구부를 덮는 잠금커버;
상기 잠금커버의 한쪽 끝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잠금구멍에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끼워져 상기 잠금커버의 잠금 상태를 유지시키는 후크; 및
상기 절연케이스의 하면에 분전반 내부의 공기 순환 및 습기 배출을 위하여 형성된 통로부;
를 포함하는 분전반용 분기 어셈블리.
On one side at regular intervals vertically, a plurality of slots into which busbars for supplying power to each phase are inserted are formed, and on the opposite side are formed through holes and a number of air vents for discharging internal air or introducing outside air for cooling, Insulation case in which the bolt insertion portion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mounted inside the insulating case, one end is exposed to the ceiling surface of any one of the slots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bus bus bar, and the opposite end is ex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1 Branch booth bar with a clearance hole;
It is mounted inside the insulating case, and one end is exposed to the bottom surface of any one of the slots in a state opposite to the branch bus bar, and elastically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bus bus bar by elastic deformation, and the opposite end A clamping tank having a screw hole formed therein;
A tightening bolt that is inserted into the insulating case in a state of being screwed with a screw hole of the clamping tank through the bolt insertion part, and pressurizes and adhere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us bus bar by raising the clamping tank when tightening;
A bor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olt insertion portion to bury the head of the tightening bolt;
Guide groove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 walls of the bore;
A locking hole formed on the left side wall of the bore;
A locking cover that is inserted along the guide groove only when the head of the tightening bolt is completely buried in the bore portion to cover the upper surface opening of the bore portion;
A hook formed at one end of the locking cover and elastically fitted into the locking hole by elastic deformation to maintain a locked state of the locking cover; And
A passage portion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insulating case to circulate air and discharge moisture inside the distribution panel;
Branch assembly for a distribution board comprising a.
상기 잠금커버는,
상기 절연케이스의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분기부스바의 반대쪽 단부를 노출되지 않게 커버하고 보호하기 위하여 그 반대쪽 단부에서 연장하여 일체로 형성된 차단부;
를 더 포함하는 분전반용 분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locking cover,
A blocking part extending from the opposite end of the branch bus bar and integrally formed to cover and protect the opposite end of the branch busbar protrud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insulating case;
Branch assembly for a distribution board further comprising a.
상기 클램핑조의 자유단부에서 절곡하여 형성된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가 끼워진 상태를 유지시켜 상기 클램핑조의 자유단부가 자유롭게 움직이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조임볼트의 조임 시 상기 클램핑조의 상승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슬롯부의 바닥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승강안내홈;
을 더 포함하는 분전반용 분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A vertical portion formed by bending at the free end of the clamping jaw; And
An elevation guide groove formed at an edg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lot portion to guide the elevation of the clamping jaw when the tightening bolt is tightened while maintaining the vertical portion in the inserted state to prevent the free end of the clamping jaw from moving or detaching freely;
Branch assembly for a distribution board further comprising a.
상기 조임볼트는,
헤드에 와셔가 일체로 붙어 있는 플랜지 볼트(flange bolt)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어부의 바닥면과 상기 잠금커버의 하면 사이의 높이가 상기 헤드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미리 정해진 기준치에서 허용오차 범위 내의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보어부의 바닥면 중 상기 볼트삽입부의 상부 가장자리 주위에 일정 깊이로 패인 안치홈;
상기 안치홈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조임볼트의 조임력에 의해 끊기면서 상기 안치홈 속으로 낙하되는 파단부; 및
상기 조임볼트의 조임 시 상기 파단부의 파단이 용이하도록 상기 보어부의 바닥면과 연결되는 부분에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 절취부;
를 더 포함하는 분전반용 분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tightening bolt,
It is made in the form of a flange bolt with a washer integrally attached to the head,
The height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r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locking cover is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head or is formed to a height within a tolerance range from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 recess recessed at a predetermined depth around an upper edge of the bolt insertion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ore portion;
A fracture portion formed integrally on the upper side of the settling groove and falling into the settling groove while being cut off by the tightening force of the tightening bolt; And
A cutout portion having a relatively thin thickness at a portion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re portion to facilitate breaking of the broken portion when the tightening bolt is tightened;
Branch assembly for a distribution board further comprising 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1300A KR102149477B1 (en) | 2020-04-06 | 2020-04-06 | Branch busbar assembly for distribution boar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1300A KR102149477B1 (en) | 2020-04-06 | 2020-04-06 | Branch busbar assembly for distribution boar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49477B1 true KR102149477B1 (en) | 2020-08-28 |
Family
ID=72265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41300A Active KR102149477B1 (en) | 2020-04-06 | 2020-04-06 | Branch busbar assembly for distribution boar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9477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614423A (en) * | 2022-03-29 | 2022-06-10 | 川开供电有限公司 | A convenient vertical busbar connection device |
KR102746229B1 (en) * | 2024-07-03 | 2024-12-26 | 주식회사 삼성기전 | Assembled distribution board that allows visual confirmation of bolt tightening status |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66662B1 (en) | 2005-07-20 | 2006-03-31 | 김선배 | Prefabricated Distribution Board |
KR100817887B1 (en) | 2007-02-27 | 2008-03-31 | 남영기전 주식회사 | Busbar case |
KR100909458B1 (en) | 2008-09-02 | 2009-07-28 | (주)파워풀 | Distribution board |
KR100973944B1 (en) | 2010-04-07 | 2010-08-04 | 주식회사 대륙 | The plug for the cabinet panel |
KR101364164B1 (en) | 2013-11-11 | 2014-02-17 | (주)지디일렉스 | Large laminated bus bar branch connector for distribution panel |
KR200472221Y1 (en) * | 2014-01-20 | 2014-04-10 | (주)세진전기 | Uninterruptible contact device for bus bar of distribution board |
KR101502586B1 (en) * | 2013-10-23 | 2015-03-16 | 주식회사 조운계전 | Fabricated cabinet panel |
KR20170029136A (en) | 2015-09-07 | 2017-03-15 | 주식회사 아이일렉 | Structure for combining bus bars |
KR101886116B1 (en) | 2018-03-08 | 2018-08-07 | 이노피 주식회사 | Lever type busbar connection kit of power distribution board capable of uninterrupted replacement |
KR102015748B1 (en) * | 2019-01-18 | 2019-08-28 | 근우이엔비 주식회사 | Distribution panel module |
KR102046904B1 (en) | 2019-01-31 | 2019-11-21 | (주)에코파워텍 | A Prefabricated Distribution Board Capable of being Easily Installed |
-
2020
- 2020-04-06 KR KR1020200041300A patent/KR10214947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66662B1 (en) | 2005-07-20 | 2006-03-31 | 김선배 | Prefabricated Distribution Board |
KR100817887B1 (en) | 2007-02-27 | 2008-03-31 | 남영기전 주식회사 | Busbar case |
KR100909458B1 (en) | 2008-09-02 | 2009-07-28 | (주)파워풀 | Distribution board |
KR100973944B1 (en) | 2010-04-07 | 2010-08-04 | 주식회사 대륙 | The plug for the cabinet panel |
KR101502586B1 (en) * | 2013-10-23 | 2015-03-16 | 주식회사 조운계전 | Fabricated cabinet panel |
KR101364164B1 (en) | 2013-11-11 | 2014-02-17 | (주)지디일렉스 | Large laminated bus bar branch connector for distribution panel |
KR200472221Y1 (en) * | 2014-01-20 | 2014-04-10 | (주)세진전기 | Uninterruptible contact device for bus bar of distribution board |
KR20170029136A (en) | 2015-09-07 | 2017-03-15 | 주식회사 아이일렉 | Structure for combining bus bars |
KR101886116B1 (en) | 2018-03-08 | 2018-08-07 | 이노피 주식회사 | Lever type busbar connection kit of power distribution board capable of uninterrupted replacement |
KR102015748B1 (en) * | 2019-01-18 | 2019-08-28 | 근우이엔비 주식회사 | Distribution panel module |
KR102046904B1 (en) | 2019-01-31 | 2019-11-21 | (주)에코파워텍 | A Prefabricated Distribution Board Capable of being Easily Installed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614423A (en) * | 2022-03-29 | 2022-06-10 | 川开供电有限公司 | A convenient vertical busbar connection device |
CN114614423B (en) * | 2022-03-29 | 2024-01-19 | 川开供电有限公司 | Portable vertical bus wiring device |
KR102746229B1 (en) * | 2024-07-03 | 2024-12-26 | 주식회사 삼성기전 | Assembled distribution board that allows visual confirmation of bolt tightening statu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49477B1 (en) | Branch busbar assembly for distribution board | |
US7862356B1 (en) | Busway water resistant joint pack or plug-in unit joint | |
US7672115B2 (en) | Inverter | |
EP2732490B1 (en) | Fuse unit | |
JP7182129B2 (en) | Busbar incorrect assembly prevention structure | |
EP3151352B1 (en) | System for isolating power conductors using cover assemblies | |
US20050284739A1 (en) | Multiple-hole terminal lug, bussing assembly and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CN107851923A (en) | The 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 for connecting more cables of F. O. D can be defendd | |
US20090308434A1 (en) |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 |
CN108551138B (en) | Be applied to copper bar clamping device of generating line | |
CN117157846A (en) | Power distribution device for distribution board | |
CN104620443A (en) | Open spring mechanical clamping lug | |
KR20200120380A (en) | Connecting Clip and MCC with the same | |
US20200328395A1 (en) | Electric-shock-protected battery connector, battery module and system comprising battery connectors and battery modules | |
KR100996857B1 (en) | Direct connection mounting plate of wiring circuit breaker and switchboard | |
US9667041B2 (en) | Electrically insulating cover for terminal assembly | |
US20250038491A1 (en) | Power Distribution Unit with DIN-Rail Breaker Panel Mount | |
EP2164144B1 (en) | Electrical busbar | |
CN101821918B (en) | Power distribution apparatus | |
KR101029293B1 (en) | Switchboard with removable multi adapter assembly | |
KR101135150B1 (en) | Multilayer type module kit | |
US20190036269A1 (en) | Electrical harness connection board | |
CN210325662U (en) | Power supply connecting mechanism and molded case circuit breaker | |
US20230411874A1 (en) | Electric-shock-protected battery connector, battery module and system comprising battery connectors and battery modules | |
US10297985B2 (en) | Modular electrical devices and methods for assembling and mount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4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8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