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49269B1 - 도어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269B1
KR102149269B1 KR1020190163707A KR20190163707A KR102149269B1 KR 102149269 B1 KR102149269 B1 KR 102149269B1 KR 1020190163707 A KR1020190163707 A KR 1020190163707A KR 20190163707 A KR20190163707 A KR 20190163707A KR 102149269 B1 KR102149269 B1 KR 102149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iece
connecting rod
binding device
fix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3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현
이해열
신승욱
Original Assignee
(주)동광명품도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광명품도어 filed Critical (주)동광명품도어
Priority to KR1020190163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2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26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1/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towards or away from the plane of the wing 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결속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결속장치는 단순 구성의 링크 구조에 의해 도어래치가 전후진 이동하게 됨으로써 장치의 소형화와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도어 결속장치{Door lcoking device}
본 발명은 도어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단순 구성의 링크 구조에 의해 도어래치가 전후진 이동하게 됨으로써 장치의 소형화와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도어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결속장치(Door locking device)는 보안성과 방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해정키를 비롯하여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버튼키, 카드키, 지문인식 등 출입인가수단을 통해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이러한, 도어 결속장치는 전체 외관을 구성하는 바디와, 잠금장치인 모티스로 구성되어 도어를 개폐하게 된다.
이때, 바디는 보통 도어의 실외측 및 실내측에 각기 대향 설치되는 작동레버가 각기 일방향으로만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티스는 바디에 구비되는 작동레버와 연결되어 이 작동레버의 유동에 따라 동작되도록 구성되는데,상기 작동레버와 대응되는 상태로 작동레버의 회동작용에 따라 데드볼트와 래치볼트를 유동시키면서 도어를 개폐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대부분의 도어 결속장치는 회동식 구조였기 때문에 도어 개폐를 위해 작동레버를 반드시 회전시켜야 하므로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경우나 기타 회전조작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을 경우에는 도어를 개폐하기가 매우 불편하였다.
특히 회동식 도어 결속장치는 일정각도 이상 회전동작되어야만 개방이 가능한데, 노령화 사회의 심화와 더블어 장애인 등 노약자들의 경우 작동레버를 회전조작하기가 쉽지 않았다. 이에 최근에는 작동레버를 밀거나 혹은 당기기만 해도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푸시풀형 도어 결속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푸시풀형 도어 결속장치는 기존 회동식 도어 결속장치에 비해 구조상 작동레버가 움직일 수 있는 폭이 매우 작기 때문에 데드볼트를 유동시키기 위한 충분한 힘을 얻기 위해서는 상당히 복잡한 기계적 연결구조를 갖추어야만 하는 단점이 있었고, 따라서 바디의 볼륨이 커질 수 밖에 없는 구조적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15064호 "푸시풀형 도어락"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8-0086571호 "푸시풀 슬라이딩 도어락"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연결봉의 상하이동으로 회전하는 회전 링크절, 회전 링크절의 회전으로 전후진하는 전후진 링크절을 통해 도어래치가 전후진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구성의 단순화가 도모되고, 이를 통해 장치가 소형화될 수 있으며,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도어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도어(3)의 끝단 부위에 결합되어 도어 프레임(4)에 걸림고정되거나 도어 프레임(4)으로부터 고정해제되는 도어 결속장치(1)에 있어서, 상기 도어(3)의 일측 표면에 고정되고, 상부면체(110)와 하부면체(120)를 연결하면서 수직 연장형성되는 측면체(130)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고정프레임(100);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상부면체(110)와 하부면체(120)에 핀결합되어 설정각도 범위에서 회전동작하고, 핀결합 부위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단 연결편(210)과 후단 연결편(220)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링크절(200); 상기 고정프레임(100)에 전후방향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회전 링크절(200)의 전단 연결편(210)과 연결되어 상기 전단 연결편(210)의 회전에 따라 전후진하게 되는 전후진 링크절(300); 상기 고정프레임(100)에 배치되어 상기 전후진 링크절(300)과 접촉하게 되고, 전방측 탄성력을 상기 전후진 링크절(300)에 부여하게 되는 탄성체(500);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후단 부위에 직교되게 연장형성되고, 길이방향 양단부위에 관통홀(610)이 형성되는 스프링 케이스(600); 상기 스프링 케이스(600)의 관통홀(610)을 통과하여 상기 회전 링크절(200)의 후단 연결편(220)과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 케이스(600) 내부에 위치하는 외주면 부위에 돌출편(710)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케이스(600)에 걸림고정되는 연결봉(700); 상기 연결봉(700)에 삽입되고, 양단부위가 상기 스프링 케이스(600)의 길이방향 일단부위와 상기 연결봉(700)의 돌출편(710)에 밀착되어 상기 연결봉(70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스프링(800); 상기 전후진 링크절(300)의 전단 부위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4)에 대한 걸림고정과 고정해제를 수행하게 되는 도어래치(9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결속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결속장치에서 상기 고정프레임(100)은, 좌우측 상기 측면체(130)의 하단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도어(3)의 일측 표면에 밀착고정되는 수평플랜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결속장치는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상부면체(110)나 하부면체(12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탄성체(500)의 일단부위가 밀착되는 내부 돌출편(4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후진 링크절(300)은 상기 내부 돌출편(400)의 끝단 부위가 삽입되는 슬라이딩 홈(321)이 설정길이(d)로 상단면이나 하단면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전단 연결편(210)의 끝단 부위가 걸리는 걸림홈(311)이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단 연결편(210)의 회전에 따라 전후진하게 되는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결속장치에서 상기 스프링 케이스(600)는 상기 도어 프레임(4)의 일측 표면에 밀착되는 면이 개방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결속장치에서 상기 연결봉(700)의 돌출편(710)은 원판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결속장치에 의하면, 상하이동하는 연결봉, 연결봉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회전 링크절, 회전 링크절과 접촉하여 회전 링크절 회전시 전후진하는 전후진 링크절, 전후진 링크절에 결합된 도어래치를 구비하는 구조를 통해 단순 구성의 링크 구조를 제공할 수 있음에 따라, 구성이 단순화되고, 장치가 소형화되며,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결속장치가 설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결속장치의 내부 구성와 동작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결속장치를 구성하는 회전 링크절과 전후진 링크절의 연결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결속장치를 구성하는 전후진 링크절, 탄성체, 내부 도출편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결속장치를 구성하는 전후진 링크절, 탄성체, 내부 도출편의 조립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결속장치를 구성하는 스프링 케이스, 연결봉, 탄성스프링의 조립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문, 문 틀, 링크운동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어 결속장치(1)는 도 1의 (a)과 (b)에서와 같이 도어(3)의 끝단 부위에 결합되어 도어 프레임(4)에 걸림고정되거나 도어 프레임(4)으로부터 고정해제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결속장치(1)는 도 2에서와 같이 고정프레임(100), 회전 링크절(200), 전후진 링크절(300), 내부 돌출편(400), 탄성체(500), 스프링 케이스(600), 연결봉(700), 탄성스프링(800), 도어래치(9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고정프레임(100)은 도 1에서와 같이 도어(3)의 일측 표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부면체(110)와 하부면체(120)를 연결하면서 수직 연장형성되는 측면체(130)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고정프레임(100)은 상부면체(110)와 하부면체(120)를 연결하면서 수직 연장형성되는 전면체(140)와 후면체(150)를 가질 수 있으며, 전면체(140)에는 도어래치(900)가 출입하는 래치 출입공(14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100)은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좌우측 측면체(130)의 하단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형성되는 수평플랜지(160)를 갖는데, 수평플랜지(160)는 체결요소가 삽입되는 체결공(161)을 형성하여 도어(3)의 일측 표면에 밀착고정된다.
회전 링크절(200)은 고정프레임(100)의 상부면체(110)와 하부면체(120)에 핀결합되어 설정각도 범위에서 회전동작하는 것으로, 핀결합 부위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단 연결편(210)과 후단 연결편(220)으로 이루어진다. 전단 연결편(210)은 전후진 링크절(300)과 접촉하게 되고, 후단 연결편(220)은 연결봉(700)과 접촉하게 된다. 회전 링크절(200)은 설정폭(w)의 평평한 바닥면체(230) 양측으로 날개편(240)이 상향 연장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평평한 바닥면체(230)에 전후진 링크절(300)과 연결봉(700)이 선접촉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연결봉(700)의 상하이동이 회전 링크절(200)의 회전운동으로 원활하게 전환될 수 있고, 회전 링크절(200)의 회전운동이 전후진 링크절(300)의 전후진운동으로 원활하게 전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단 연결편(210)는 끝단부위가 하향 절곡되어 걸림편(221)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걸림편(221)이 전후진 링크절(300)과 접촉하게 된다.
전후진 링크절(300)은 고정프레임(100)에 전후방향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회전 링크절(200)의 전단 연결편(210)과 연결되어 전단 연결편(210)의 회전에 따라 전후진하게 된다. 내부 돌출편(400)이 고정프레임(100)의 하부면체(120) 내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될 경우 전후진 링크절(300)은 측방 수직면체(310)와 상단 수평면체(320a)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부 돌출편(400)이 고정프레임(100)의 상부면체(110) 내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될 경우 전후진 링크절(300)은 측방 수직면체(310)와 하단 수평면체(32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방 수직면체(310)에는 도 3에서와 같이 회전 링크절(200)의 전단 연결편(210) 끝단부위가 관통하여 걸림고정되는 걸림홈(311)이 직사각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 수평면체(320a)나 하단 수평면체(320b)에는 도 4에서와 같이 내부 돌출편(400)의 끝단 부위가 삽입되어 슬라이딩하게 되는 슬라이딩 홈(321)이 설정길이(d)로 형성된다.
내부 돌출편(400)은 도 5에서와 같이 고정프레임(100)의 상부면체(110)나 하부면체(12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상부면체(110)나 하부면체(120)의 내면과 직교되게 형성될 수 있고, 직사각 단면 형상의 박판(薄板)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내부 돌출편(400)에 도 5에서와 같이 탄성체(500)의 일단부위가 직교되게 밀착된다. 내부 돌출편(400)의 끝단 부위는 전후진 링크절(300)의 슬라이딩 홈(321)에 관통 삽입되는 좁은 폭의 슬라이딩 편체(410)로 이루어진다.
탄성체(500)는 고정프레임(100)에 배치되어 전후진 링크절(300)과 접촉하게 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500)는 압축스프링(510)으로 이루어지고, 전후진 링크절(3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압축스프링(510)의 일단부위는 내부 돌출편(400)에 밀착되고, 타단부위는 도 5에서와 같이 전후진 링크절(300)의 선단부위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압축스프링(510)은 전방측 탄성력을 전후진 링크절(300)에 부여하게 된다.
스프링 케이스(600)는 고정프레임(100)의 후단 부위에 직교되게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도 6에서와 같이 길이방향 양단부위에 관통홀(610)을 형성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케이스(600)는 도어 프레임(4)의 일측 표면에 밀착되는 면이 개방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도어 프레임(4)의 일측 표면에 밀착되는 면이 폐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케이스(600)는 관통홀(610)이 형성된 고정편(620)을 별도로 구비하게 되는데, 연결봉(700)이 스프링 케이스(600)의 내부에 배치된 후, 스프링 케이스(600)의 상단 부위에 고정편(620)을 용접 결합 등에 의해 결합시키게 된다.
연결봉(700)은 스프링 케이스(600)의 관통홀(610)을 통과하여 회전 링크절(200)의 후단 연결편(220)과 연결되는 것으로, 스프링 케이스(600)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외주면 부위에 돌출편(710)이 형성되어 스프링 케이스(600)에 걸림고정된다. 여기서 연결봉(700)의 돌출편(710)은 도 6에서와 같이 원판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봉(700)은 도 1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후진 이동하는 연결대(2)에 연결되어 상하이동하게 된다.
탄성스프링(800)은 연결봉(700)에 삽입되는 것으로, 양단부위가 스프링 케이스(600)의 길이방향 일단부위와 연결봉(700)의 돌출편(710)에 밀착되어 상기 연결봉(700)에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도어래치(900)는 전후진 링크절(300)의 전단 부위에 연결되어 도어 프레임(4)에 대한 걸림고정과 고정해제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결속장치(1)는 연결봉(700)의 상하이동으로 회전하는 회전 링크절(200), 회전 링크절(200)의 회전으로 전후진하는 전후진 링크절(300)을 통해 도어래치(900)가 전후진 이동하도록 하므로, 구성의 단순화가 도모되고, 이를 통해 장치가 소형화될 수 있으며,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결속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도어 결속장치
2 : 연결대
3 : 도어
4 : 도어 프레임
100 : 고정프레임
110 : 상부면체
120 : 하부면체
130 : 측면체
140 : 전면체
141 : 래치 출입공
150 : 후면체
160 : 수평플랜지
161 : 체결공
200 : 회전 링크절
210 : 전단 연결편
220 : 후단 연결편
221 : 걸림편
230 : 바닥면체
240 : 날개편
300 : 전후진 링크절
310, 310' : 측방 수직면체
311 : 걸림홈
320a : 상단 수평면체
320b : 하단 수평면체
321 : 슬라이딩 홈
400 : 내부 돌출편
410 : 슬라이딩 편체
500 : 탄성체
510 : 압축스프링
600 : 스프링 케이스
610 : 관통홀
620 : 고정편
700 : 연결봉
710 : 돌출편
800 : 탄성스프링
900 : 도어래치

Claims (5)

  1. 도어(3)의 끝단 부위에 결합되어 도어 프레임(4)에 걸림고정되거나 도어 프레임(4)으로부터 고정해제되는 도어 결속장치(1)에 있어서,
    상기 도어(3)의 일측 표면에 고정되고, 상부면체(110)와 하부면체(120)를 연결하면서 수직 연장형성되는 측면체(130)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고정프레임(100);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상부면체(110)와 하부면체(120)에 핀결합되어 설정각도 범위에서 회전동작하고, 핀결합 부위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단 연결편(210)과 후단 연결편(220)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링크절(200);
    상기 고정프레임(100)에 전후방향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회전 링크절(200)의 전단 연결편(210)과 연결되어 상기 전단 연결편(210)의 회전에 따라 전후진하게 되고, 상단면이나 하단면에 설정길이(d)로 슬라이딩 홈(321)이 형성되는 전후진 링크절(300);
    상기 고정프레임(100)에 배치되어 상기 전후진 링크절(300)과 접촉하게 되고, 전방측 탄성력을 상기 전후진 링크절(300)에 부여하게 되는 탄성체(500);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후단 부위에 직교되게 연장형성되고, 길이방향 양단부위에 관통홀(610)이 형성되는 스프링 케이스(600);
    상기 스프링 케이스(600)의 관통홀(610)을 통과하여 상기 회전 링크절(200)의 후단 연결편(220)과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 케이스(600) 내부에 위치하는 외주면 부위에 돌출편(710)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케이스(600)에 걸림고정되는 연결봉(700);
    상기 연결봉(700)에 삽입되고, 양단부위가 상기 스프링 케이스(600)의 길이방향 일단부위와 상기 연결봉(700)의 돌출편(710)에 밀착되어 상기 연결봉(70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스프링(800);
    상기 전후진 링크절(300)의 전단 부위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4)에 대한 걸림고정과 고정해제를 수행하게 되는 도어래치(900); 및
    박판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상부면체(110)나 하부면체(120)의 내면과 직교되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500)의 일단부위가 직교되게 밀착되고, 끝단 부위는 상기 전후진 링크절(300)의 슬라이딩 홈(321)에 관통 삽입되는 좁은 폭의 슬라이딩 편체(410)로 이루어지는 내부 돌출편(400);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 링크절(200)은,
    설정폭(w)의 평평한 바닥면체(230) 양측으로 날개편(240)이 연장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평평한 바닥면체(230)에 연결봉(700)이 선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결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00)은,
    좌우측 상기 측면체(130)의 하단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도어(3)의 일측 표면에 밀착고정되는 수평플랜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결속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케이스(600)는 상기 도어 프레임(4)의 일측 표면에 밀착되는 면이 개방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결속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700)의 돌출편(710)은 원판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결속장치.
KR1020190163707A 2019-12-10 2019-12-10 도어 결속장치 Active KR102149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707A KR102149269B1 (ko) 2019-12-10 2019-12-10 도어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707A KR102149269B1 (ko) 2019-12-10 2019-12-10 도어 결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269B1 true KR102149269B1 (ko) 2020-08-28

Family

ID=72265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3707A Active KR102149269B1 (ko) 2019-12-10 2019-12-10 도어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2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594B1 (ko) * 2008-10-23 2010-11-25 청 장 강제해정수단이 구비된 데드볼트 전자잠금장치
KR101115064B1 (ko) 2010-02-23 2012-02-28 윤자호 푸시풀형 도어락
KR101216045B1 (ko) * 2011-06-21 2012-12-27 김종수 도어록의 잠금장치
KR20180086571A (ko) 2017-01-23 2018-08-01 배귀석 푸시풀 슬라이딩 도어락
KR20190056828A (ko) * 2017-11-17 2019-05-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594B1 (ko) * 2008-10-23 2010-11-25 청 장 강제해정수단이 구비된 데드볼트 전자잠금장치
KR101115064B1 (ko) 2010-02-23 2012-02-28 윤자호 푸시풀형 도어락
KR101216045B1 (ko) * 2011-06-21 2012-12-27 김종수 도어록의 잠금장치
KR20180086571A (ko) 2017-01-23 2018-08-01 배귀석 푸시풀 슬라이딩 도어락
KR20190056828A (ko) * 2017-11-17 2019-05-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9968B2 (ja) 自己ラッチ装置
US9103144B2 (en) Door travel limiting device
US20070290513A1 (en) Latch For Sliding Closures
US20220145678A1 (en) Magnetic latch for fastening a hinged closure member to a support
KR101918592B1 (ko) 창호용 무락핸들
US20220145663A1 (en) Magnetic latch for fastening a hinged closure member to a support
KR101663162B1 (ko)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KR102149269B1 (ko) 도어 결속장치
KR101598958B1 (ko)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KR102076163B1 (ko) 그립형태를 갖는 무락형 핸들 조립체
KR100943543B1 (ko) 안전형 도어록 장치
JP3088342B2 (ja) クレモンロック装置
KR101115424B1 (ko) 창호용 버튼식 자동잠금장치
KR101929683B1 (ko) 창호잠금장치용 키퍼
KR102607539B1 (ko) 푸시풀 도어락
JP3636115B2 (ja) ドアロックユニット
KR200461723Y1 (ko) 창문 잠금용 스트라이커
CN217400573U (zh) 一种锁扣盒组件
CN109881978A (zh) 可伸缩和转动的锁舌
KR102026579B1 (ko) 틸트형 창호 그립핸들
AU2003203786B2 (en) A Lock for a Casement Window
KR200318736Y1 (ko) 도어록의 개폐장치
JPH0338384Y2 (ko)
GB2281585A (en) Key actuated mechanism in window or door lock
CA2436459C (en) Snap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8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