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954B1 - Barcode keypad of smart device an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using its keypad - Google Patents
Barcode keypad of smart device an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using its keypa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8954B1 KR102148954B1 KR1020190050098A KR20190050098A KR102148954B1 KR 102148954 B1 KR102148954 B1 KR 102148954B1 KR 1020190050098 A KR1020190050098 A KR 1020190050098A KR 20190050098 A KR20190050098 A KR 20190050098A KR 102148954 B1 KR102148954 B1 KR 1021489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board
- barcode
- smart device
- keypad
- inp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9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바코드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한글, 영어 또는 특수문자 중에 어느 하나의 키를 입력받아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의 입력창에 띄워주는(디스플레이 해주는) 텍스트 키보드; 스마트 디바이스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바코드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바코드 데이터를 상기 입력창에 띄워주는 바코드 키보드; 및 텍스트 키보드 또는 바코드 키보드로부터 전환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한글 키보드, 영어 키보드, 특수문자 키보드 또는 바코드 키보드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되어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의 특정영역에 나타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능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치되는 키패드 앱에 한글 키보드, 영어 키보드 및 특수문자 키보드 외에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 키보드를 탑재하고, 바코드 키보드를 통해 스캔한 숫자를 입력창에 키보드의 키 입력과 동일한 방식으로 입력함으로써, 스마트 디바이스의 키패드 앱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빈번한 화면전환 없이 바코드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rcode keypad of a smart device and a logistics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comprising: a text keyboard that receives a key among Korean, English, or special characters and displays (displays) it in an input window of a smart device screen; A barcode keyboard for reading barcode data from an image captured through a camera of a smart device and displaying the read barcode data on the input window; And a control function of controlling one of a Korean keyboard, an English keyboard, a special character keyboard, or a barcode keyboard to be activated and displayed on a specific area of the smart device screen when a conversion signal is input from the text keyboard or the barcod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barcode keyboard that recognizes barcodes in addition to a Korean keyboard, an English keyboard, and a special character keyboard is mounted in the keypad app installed on the smart device, and the number scanned through the barcode keyboard is inserted into the input window. By inputting in the same manner as the input,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cognize barcode data without frequent screen switching while the keypad app of the smart device is activa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바코드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치되는 키패드 앱(이하 편의상 '키패드'라 약칭한다.)에 한글, 영어 및 특수문자 3개의 기본 키보드 외에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 키보드를 추가 탑재하여, 바코드 키보드를 통해 촬영된 바코드 이미지 판독한 결과 (Alphanumeric Character)를 입력창에 키보드의 키 입력과 동일한 방식으로 전달하여 띄워줌(display)으로써 스마트 디바이스의 빈번한 화면전환 없이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rcode keypad of a smart device and a logistics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keypad app installed on a smart device (hereinafter abbreviated as'keypad' for convenience), the basics of Korean, English and 3 special characters. In addition to the keyboard, a barcode keyboard that recognizes barcodes is additionally mounted, and the result of reading the barcode image captured through the barcode keyboard (Alphanumeric Character) is transmitted to the input window in the same manner as the keyboard key input and displayed. It relates to a technology capable of recognizing barcodes without frequent screen change.
바코드는 컴퓨터 등이 전자적으로 판독할 수 있도록 고안된 굵기가 다른 흑백 막대로 조합시켜 만든 것으로, 전통적인 형태의 1차원 선형 바코드와 그보다 많은 정보를 담기 위해 개발된 2차원 매트릭스 코드(QR: Quick Response)가 널리 알려져 있다.Barcodes are made by combining black and white bars of different thicknesses designed to be read electronically by computers, etc., and traditional 1-dimensional linear barcodes and 2-dimensional matrix codes (QR: Quick Response) developed to contain more information. It is widely known.
바코드를 이용한 시스템은 바코드 내부에 제품의 제조사, 제품코드 등의 정보를 입력하고 바코드 리더기로 스캔하여 그 바코드 정보를 해독함으로써 제품의 재고상황, 운송현황 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물류관리 시스템에 주로 적용하고 있다.The system using barcodes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check product inventory status and transportation status by entering information such as the product manufacturer and product code inside the barcode and scanning the barcode information with a barcode reader. It is mainly applied to the management system.
물류현장에서 사용되는 바코드 시스템은 PDA를 통해 바코드를 인식하여 물류서버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물류서버가 수신한 바코드 데이터를 토대로 견적관리, 발주관리, 입고관리, Order관리, 출고관리, 현황관리 등을 수행하고 있다.The barcode system used in the logistics site recognizes the barcode through PDA and transmits it to the logistics server, and based on the barcode data received by the logistics server receiving it, quotation management, order management, warehousing management, order management, delivery management, status management Etc.
그러나, 종래의 산업용 PDA는 적외선으로 조사된 빛의 반사를 통해 바코드를 스캔하고, 숫자 입력을 위한 물리버튼과 작업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으로 그 설계가 특화되어, 부피가 크고 무거우며 휴대가 불편할 수밖에 없었고, 물류서버와의 통신이 바코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에만 국한되어, 바코드 데이터 이외의 부가정보 전송이 필요한 경우에는 산업용 PDA와 물류서버간의 통신을 중개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고, 그 별도장치를 마련하는데, 백만원 이상의 과도한 소유비용(TCO)이 발생하기도 했다. 즉 현장에서의 실제 적용사례를 살펴보면, 편의점에서는 통상 두 대 이상의 POS 단말기와 1대의 PDA기기를 운영하고 있는데, 평상시 카운터에 설치된 POS 단말기와 연결된 바코드 리더기를 통해 상품정보를 스캔하여 판매처리와 판매정보를 물류서버로 실시간 전송하지만, POS 단말기가 고장이 나면 판매불가로 이어지기 때문에 항상 백업용 POS 단말기를 1대 이상 준비하고 있으며, 함께 보유하고 있는 PDA는 WIFI로 연결하여 매장 내의 입고 및 재고관리 전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industrial PDA scans a barcode through reflection of light irradiated with infrared rays, has a physical button for inputting numbers, and a handle held by an operator, and its design is specialized, so it is bulky, heavy, and portable. It was inconvenient and communication with the distribution server was limited to transmitting barcode data. If additional information other than barcode data is required to be transmitted, a separate device is required to mediate communication between industrial PDA and distribution server. Separate equipment was provided, which incurred excessive cost of ownership (TCO) of over 1 million won. In other words, looking at the actual application cases in the field, convenience stores usually operate two or more POS terminals and one PDA device, and the product information is scanned through a barcode reader connected to the POS terminal installed at the counter to process sales and sale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logistics server in real time, but if the POS terminal breaks down, it leads to non-sale, so we always prepare at least one POS terminal for backup, and the PDA we have is connected to the WIFI for exclusive use of warehousing and inventory management in the store I'm using it.
이처럼 종래의 산업용 PDA나 POS 단말기는 부담스러운 보유비용뿐만 아니라, 휴대가 불편하고, 물류서버와의 부가정보 통신을 위해서는 별도의 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As such, the conventional industrial PDA or POS terminal has not only a burdensome holding cost, but also inconvenient to carry, and a separate device must be provided for additional information communication with a distribution server.
이러한 현장의 불편함을 극복하고자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한 소프트웨어방식의 바코드 스캔기능이 탑재된 스마트폰과 그 스마트폰의 통신기능을 이용하여 스캔한 바코드 데이터와 부가정보를 물류서버로 전송하는 기술이 등장하고 있는데, 아직은 바코드 인식률이 저조한 상태여서 현장에서는 평상시 산업용 PDA를 통해 바코드를 스캔하다가 PDA가 고장난 경우에만 예외적으로 스마트폰을 통해 바코드를 스캔하는 실정이다.To overcome such inconveniences in the field, a smartphone equipped with a software-type barcode scanning function using a smartphone camera and a technology that transmits the scanned barcode data and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distribution server using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smartphone appeared. However, since the barcode recognition rate is still low, the field usually scans the barcode through an industrial PDA, but only when the PDA fails, the barcode is scanned through a smartphone.
그러나 위와 같은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의 경우, 바코드 스캔시 스마트폰 전체화면이 바코드 스캔을 위한 화면으로 전환되어야 하고, 바코드 데이터를 리딩한 후에는 이전 화면으로 되돌려야만 사용자가 입력창에 나타난 그 리딩정보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속도가 느리고 사용하기가 매우 불편하며, 잦은 화면전환으로 인해 배터리 소모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a smartphone with the above functions, the entire screen of the smartphone must be converted to a screen for barcode scanning when scanning barcodes, and the reading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input window must be returned to the previous screen after reading the barcode data. Because it can recognize, the work speed is slow and it is very inconvenient to us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attery consumption is large due to frequent screen switching.
한편, 스마트폰과 바코드 스캐너 또는 바코드 리더기를 블루투스로 연동ㅇ운용하여 바코드의 인식률을 향상시키고, 인식된 바코드 데이터를 스마트폰으로 물류서버로 전송하는 기술도 등장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택배 배송인데, 대부분의 영세한 배송기사는 본인의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업무를 처리하지만, 바코드의 인식률 향상을 위해 블루투스로 연동ㅇ운용하는 기술을 이용할 경우 추가로 수십만 원의 비용을 들여 블루투스 방식의 바코드 스캐너를 구매하여 사용해 오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 technology that improves the recognition rate of barcodes by interlocking a smartphone with a barcode scanner or barcode reader via Bluetooth and transmits the recognized barcode data to a distribution server through a smartphone is also emerging. A typical example is courier delivery. Most of the small delivery engineers use their own smartphones to handle their work, but if they use a technology that works with Bluetooth to improve the recognition rate of barcodes, they cost hundreds of thousands of won. I have been using a Bluetooth barcode scanner.
그러나, 이 경우에도 스마트폰 외에 별도의 블루투스 바코드 스캐너 또는 바코드 리더기를 구입해야 하는 비용문제가 발생하고, 작업자가 한손에 파지한 바코드 스캐너 또는 바코드 리더기로 바코드를 스캔한 후, 다른 손에 파지한 스마트폰을 통해 그 스캔한 바코드 데이터를 확인한 다음에 물류서버로 전송하는 방식이어서 그 운용방식에 번거로움이 뒤따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even in this case, there is a cost problem of purchasing a separate Bluetooth barcode scanner or barcode reader in addition to the smartphone, and after scanning the barcode with the barcode scanner or barcode reader held by the operator in one hand, the smart device held in the other hand Since it is a method of checking the scanned barcode data through a phone and then transmitting it to the distribution ser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method is troublesome.
또한, 바코드 훼손으로 인해 스캔이 불가능한 경우, 지금까지는 스마트폰의 설정을 바코드 스캔 모드에서 키 입력 모드로 변경한 후 사용자가 바코드에 표시된 숫자를 직접 입력하여 물류서버로 전송했는데, 그 작업의 뒤를 이어 스캔 가능한 정상적 바코드를 리딩해야 할 때는 다시 키 입력 모드에서 바코드 스캔 모드로의 설정 변경을 거쳐야만 비로소 바코드 스캐너 또는 바코드 리더기를 통해 스캐닝 작업을 계속할 수 있었다. 그 때문에 스마트폰을 바코드 스캐너 또는 바코드 리더기와 불루투스로 연동하여 바코드를 스캔하는 것 역시 작업자의 양손이 자유롭지 못하고, 바코드 스캔작업과 그 인식결과를 번갈아 확인해야 하는 등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f scanning is not possible due to bar code damage, until now, after changing the setting of the smartphone from the bar code scan mode to the key input mode, the user directly inputs the number displayed on the bar code and sends it to the logistics server. When it was necessary to read a normal scannable barcode, it was only possible to continue scanning through a barcode scanner or barcode reader only after changing the setting from key input mode to barcode scanning mode again. Therefore, scanning a barcode by interlocking a smartphone with a barcode scanner or a barcode reader with Bluetooth also has a problem that the operator's both hands are not free, and the work efficiency is deteriorated, such as the need to check the barcode scanning operation and the recognition result alternately.
이에 본 출원인은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치되는 키패드 앱에 한글 키보드, 영어 키보드 및 특수문자 키보드 외에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 키보드를 탑재하고, 바코드 키보드를 통해 촬영된 바코드 이미지의 판독 결과 (Alphanumeric Character)를 입력창에 일반적인 키보드의 키 입력과 동일한 방식으로 전달하여 띄워줌으로써, 스마트 디바이스의 빈번한 화면전환 없이 바코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키패드와 그 키패드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Applicant installed a barcode keyboard that recognizes barcodes in addition to the Korean keyboard, English keyboard, and special character keyboard in the keypad app installed on the smart device, and enters the reading result (Alphanumeric Character) of the barcode image taken through the barcode keyboard. We propose a keypad of a smart device that allows barcode information to be recognized without frequent screen switching of a smart device and a logistics management system using the keypad by transmitting and displaying it in the same manner as a general keyboard key input.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치되는 키패드 앱에 한글 키보드, 영어 키보드 및 특수문자 키보드 외에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 키보드를 탑재하고, 바코드 키보드를 통해 촬영된 바코드 이미지의 판독 결과 (Alphanumeric Character)를 입력창에 키보드의 키 입력과 동일한 방식으로 전달하여 띄워줌으로써 스마트 디바이스의 빈번한 화면전환 없이 바코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unt a barcode keyboard that recognizes barcodes in addition to a Korean keyboard, an English keyboard, and a special character keyboard in a keypad app installed on a smart device, and reads the barcode image captured through the barcode keyboard (Alphanumeric Character). The purpose is to allow barcode information to be recognized without frequent screen switching of smart devices by transmitting and displaying the key input in the input window in the same manner as the keyboard key inpu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식하고자 하는 바코드가 훼손된 경우, 별도의 화면전환 없이 바코드 키보드에서 사용자가 직접 입력 영역에 바코드의 숫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user to directly input numeric data of a barcode into an input area from a barcode keyboard without a separate screen change when a barcode to be recognized is damaged.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스마트 디바이스에 탑재된 키패드 앱의 바코드 키보드를 통해 바코드 데이터를 인식하여 물류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별도의 장치 없이 전송할 수 있는 물류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현장 작업자와 물류서버의 관리자 사이에 견적관리, 발주관리, 입고관리, Order관리, 출고관리 또는 현황관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물류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gistics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recognizing barcode data through a barcode keyboard of a keypad app mounted on a smart device and transmitting it without a separate device for communication with a logistics server, It is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logistics management including at least any one of quotation management, order management, warehousing management, order management, delivery management, or status management between server managers.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바코드 키패드로서, 입력창의 터치를 통해 나타난 한글, 영어 또는 특수문자 키보드 중 어느 하나의 키보드에서 입력한 문자를 해당 입력창에 띄워주도록 기능하는 텍스트 키보드; 스마트 디바이스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바코드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바코드 데이터를 입력창에 띄워주도록 기능하는 바코드 키보드; 및 텍스트 키보드 또는 바코드 키보드의 특정키로부터 전환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한글 키보드, 영어 키보드, 특수문자 키보드 또는 바코드 키보드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되어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에 나타나게 하는 제어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In order to solve these technic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rcode keypad of a smart device, and a text keyboard that functions to display a character input from any one of the Korean, English, or special character keyboards displayed through the touch of the input window in the corresponding input window. ; A barcode keyboard functioning to read barcode data from an image captured through a camera of a smart device and display the read barcode data in an input window; And a control function that activates any one of a Korean keyboard, an English keyboard, a special character keyboard, or a barcode keyboard when receiving a conversion signal from a text keyboard or a specific key of the barcode keyboard to appear on the screen of the smart device. .
바람직하게는, 텍스트 키보드가 특정키 입력에 의한 전환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한글 입력을 지원하는 한글 키보드 또는 영어 입력을 지원하는 영어 키보드를 또는 특수문자 입력을 지원하는 특수문자 키보드 중에 어느 하나를 활성화하여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의 특정영역에 띄워주고, 그 중에서 특수문자 키보드가 활성화된 상태였다면 후속 전환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텍스트 키보드는 비활성화되고 바코드 키보드가 활성화되는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기능까지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when the text keyboard receives a conversion signal by inputting a specific key, either a Korean keyboard supporting Korean input, an English keyboard supporting English input, or a special character keyboard supporting special character input is activated. It displays on a specific area of the smart device screen, and if the special character keyboard is activated, the text keyboard is deactivated and the barcode keyboard is activated when a subsequent conversion signal is input. To do.
여기서 제어기능에는 전환신호를 감지하여 한글 키보드, 영어 키보드, 특수문자 키보드 또는 바코드 키보드 중에 어느 하나를 활성화하여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의 특정영역에 나타나도록 제어하는 기능이 포함되고, 전환신호에는 한글 키보드 또는 영어 키보드로 전환하기 위한 토글키 입력신호, 그리고 특수문자 키보드 또는 바코드 키보드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키 입력신호가 포함된다. Here, the control function includes a function that detects a conversion signal and activates any one of a Korean keyboard, an English keyboard, a special character keyboard, or a barcode keyboard to appear in a specific area of the smart device screen, and the conversion signal includes a Korean keyboard or an English keyboard. It includes a toggle key input signal for switching to a keyboard, and a switching key input signal for switching to a special character keyboard or barcode keyboard.
그리고 바코드 키보드는 스마트 디바이스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표시하고,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바코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의 입력창에 띄워주는 바코드 키(Key)와 터치된 키(Key)에 대응되는 숫자를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의 입력창에 띄워주는 숫자 키(Key)가 하나의 화면에 나란히 배열되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barcode keyboard displays an image photographed by a camera provided in the smart device, reads barcode data from the photographed image, and displays a barcode key and a touched key on the input window of the smart device scree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such that a number key that displays the corresponding number on the input window of the smart device screen is arranged side by side on one screen.
전술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바코드 키패드를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관리 시스템은, 한글, 영어 또는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의 키를 입력받아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의 입력창에 띄워주거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바코드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 판독 데이터를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의 입력창에 띄워주어 물류정보를 생성시키는 스마트 디바이스; 및 그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물류정보를 통해 견적관리, 발주관리, 입고관리, Order관리, 출고관리 또는 현황관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관리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물류관리서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gistic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barcode keypad of the above-described smart device receives any one of Korean, English, or special characters and displays it in the input window of the smart device screen or photographed through a camera. A smart device that reads barcode data from an image and displays the read data in an input window of a smart device screen to generate logistics information; And a logistics management server that supports at least one or more of management functions among quotation management, order management, warehousing management, order management, delivery management, and status management through the logistic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mart device. .
그리고, 상기 물류정보는 고유식별ID, 일련번호, 부품명, 창고명, 수량, 입고일자, 출고일자, 가용재고수량, 입고대기수량 또는 출고대기수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gistics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unique identification ID, a serial number, a part name, a warehouse name, a quantity, a warehousing date, a delivery date, an available stock quantity, a stock waiting quantity, or a delivery waiting quantity. .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치되는 키패드 앱에 한글 키보드, 영어 키보드 및 특수문자 키보드 외에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 키보드를 탑재하고, 바코드 키보드를 통해 스캔한 숫자를 입력창에 일반적인 키보드의 키 입력과 동일한 방식으로 띄워줌으로써, 키패드 앱이 실행되는 상태에서는 빈번한 화면전환 없이 바코드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배터리 소모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barcode keyboard that recognizes barcodes in addition to a Korean keyboard, an English keyboard, and a special character keyboard is mounted in the keypad app installed on the smart device, and the number scanned through the barcode keyboard is displayed in the input window By displaying the key in the same way as a general keyboard key input, it is possible to recognize barcode data without frequent screen switching while the keypad app is running, thereby reducing battery consump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식하고자 하는 바코드가 훼손된 경우, 바코드 키보드에 나란히 배열된 숫자 키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입력창에 바코드에 표시된 숫자를 입력함으로써, 별도의 화면전환 없이 바코드 데이터 입력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arcode to be recognized is damaged, the user directly inputs the number displayed on the barcode in the input window through the number keys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barcode keyboard, so that the barcode data There is an advantage that input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디바이스에 탑재된 키패드 앱의 바코드 키보드를 통해 바코드 데이터를 인식한 후 그 인식 데이터와 부가정보를 함께 전송해야 할 경우, 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없어도 물류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여, 현장 작업자와 물류서버 관리자 사이에 견적관리, 발주관리, 입고관리, Order관리, 출고관리 또는 현황관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물류관리의 효율성이 증대된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barcode data is recognized through a barcode keyboard of a keypad app mounted on a smart device and then the recognition data and additional information are to be transmitted together, a separate for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Even without a device, it is possible to transmit to the logistics serve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logistics managem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quotation management, order management, warehousing management, order management, delivery management, or status management between field workers and logistics server managers. It has the effect of becom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바코드 키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바코드 키패드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바코드 키패드에 구비된 키보드 간의 활성화 상태가 전환되는 것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바코드 키패드에 구비된 바코드 키보드를 이용한 스캐닝 작업의 예시도.
도 5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의 터치신호 감지에 따라 텍스트 키보드가 활성화된 것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전환신호 감지에 따라 텍스트 키보드가 비활성화되고 바코드 키보드가 활성화된 것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바코드 키패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barcode keypad of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barcode keypad of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activation states are switched between keyboards provided in a barcode keypad of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of a scanning operation using a barcode keyboard provided on a barcode keypad of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a text keyboard is activated according to a touch signal detection in a smart device.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a text keyboard is deactivated and a barcode keyboard is activated in response to detection of a switching signal.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logistics management system using a barcode keypad of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그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Specific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conform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in order to describe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ereof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has been omitt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바코드 키패드(100)는, 한글, 영어 또는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의 키(Key) 신호를 감지하여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의 입력창에 띄워주는 텍스트 키보드(102)와, 스마트 디바이스(10)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바코드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바코드 데이터를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의 입력창에 띄워주는 바코드 키보드(104), 및 텍스트 키보드(102) 또는 바코드 키보드(104)로부터 전환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한글 키보드(102a), 영어 키보드(102b), 특수문자 키보드(102c) 또는 바코드 키보드(104)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하여 스마트 디바이스(10) 화면의 특정영역(보통 화면의 하단부)에 나타나도록 지원하는 제어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언급을 생략하겠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바코드 키패드(100)는, 스마트폰, PDA 또는 태블릿 중 어느 하나의 스마트 디바이스(10)에 앱 형태로 설치되며, 스마트 디바이스(10)는 3G, 4G, 5G,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중 어느 하나의 무선통신방식에 의해 물류관리서버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e following, a detailed reference will be omitted, but the
도 2를 참조하면, 기존 스마트 디바이스는 대부분 검색, 문자메시지, 카톡, 이메일 기능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때, 사용자가 문자나 숫자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커서가 위치하는 입력창이 생성되고, 그 입력창을 한번 더 터치하면 텍스트 키보드(102)가 화면의 특정 영역(일반적으로 화면 하단)에 나타나며, 텍스트 키보드의 어떤 키(Key)를 터치하면 그 키(Key)에 대응하는 한글, 영어, 숫자 또는 특수문자가 스마트 디바이스(10)의 입력창에 나타나도록 설계되어 운용되고 있다. Referring to FIG. 2, when using various services such as search, text message, KakaoTalk, and e-mail functions in most existing smart devices, an input window in which a cursor is positioned so that a user can input letters or numbers is created, and the input When the window is touched once more, the
또한, 텍스트 키보드(102)는 특정한 키(Key) 터치를 통해 전환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한글 입력을 지원하는 한글 키보드(102a), 영어 입력을 지원하는 영어 키보드(102b) 또는 특수문자 입력을 지원하는 특수문자 키보드(102c)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되어 스마트 디바이스(10) 화면의 특정 영역에 나타나게 설계된다. 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키패드 앱에는 특수문자 키보드(102c)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전환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특수문자 키보드(102c)가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면서 바코드 키보드(104)가 활성화되도록 지원하거나 그와 반대로 바코드 키보드(104)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전환신호를 입력받는 경우에는 바코드 키보드(104)가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면서 텍스트 키보드(102)가 활성화되도록 지원하는 제어기능이 구비된다. 그러나 바코드 키보드(104)의 활성화가 반드시 특수문자 키보드(102c)의 활성화 상태와만 연계되어 전환되도록 제한된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한글 키보드(102a) 또는 영어 키보드(102b)의 활성화 상태와 연계되어 바코드 키보드(104)의 활성화 상태가 전환되도록 제어기능을 설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keypad app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nversion signal is input while the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신호를 감지할 때마다 한글 키보드(102a), 영어 키보드(102b), 특수문자 키보드(102c) 또는 바코드 키보드(104)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되어 스마트 디바이스(10) 화면의 특정영역에 나타나도록 제어기능이 설계된다. 이때, 제어기능에 의해 감지하는 전환신호는 한글 또는 영어로 전환시키는 토글키 입력신호, 그리고 이들 한글 또는 영어 키보드의 활성화 상태에서 특수문자 키보드(102) 또는 바코드 키보드(104)의 활성화 상태로 바꿔주는 전환키 입력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감지한 전환신호에 토글키 입력신호가 포함된 경우에는 한글 키보드(102a)와 영어 키보드(102b)의 활성화가 상호전환되도록 지원되고, 감지한 전환신호에 전환키 입력신호가 포함된 경우에는 한글/영어 키보드(102a/102b), 특수문자 키보드(102c) 또는 바코드 키보드(104)의 활성화가 상호전환되도록 제어기능을 설계할 수도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3, whenever a conversion signal is detected, any one of the
여기에서 텍스트 키보드(102)는 한글, 영어 및 특수문자 입력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환경을 고려하여 각자의 국적에 부합되는 언어, 즉 중국어, 스페인어, 일본어, 베트남어 등이나 그들이 선호하는 특수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그 구성을 변형할 수 있음도 유의해야 한다.Here, the
도 4를 참조하면, 바코드 키보드(104)는 바코드 키(104a) 및 숫자 키(104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감지한 전환신호 및 제어기능에 의해 바코드 키보드(104)가 활성화되면, 스마트 디바이스(10)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바코드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바코드 데이터가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의 입력창에 띄워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여기서, 바코드 데이터 판독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바코드와 대응하는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한 바코드 이미지에 내포된 정보(숫자)를 판독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코드 키(104a)는 스마트 디바이스(10)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그 자체와 대응되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바코드 데이터가 판독되면 그 판독정보가 스마트 디바이스(10) 화면의 입력창에 그대로 나타나는데, 이는 마치 어떤 키(Key)를 영문자 A에 대응되게 설정한 상태에서 그 A키를 터치하면, A라는 영문자가 입력창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방식이라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원리는 어떤 숫자 키(104b)를 터치할 경우, 그 키(Key)에 대응되는 숫자가 스마트 디바이스(10) 화면의 입력창에 나타나는 것과도 같다.Referring to FIG. 4, the
이러한 숫자 키(104b)는 바코드 데이터 판독이 어려운 경우, 예컨대 스캔하고자 하는 바코드가 훼손되어 카메라 촬영 영상으로부터 판독이 어려운 경우, 바코드에 숫자로 기재된 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의 입력창에 띄울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사용된다.When it is difficult to read the barcode data, for example, if the barcode to be scanned is damaged and it is difficult to read from the camera photographed image, the numeric key 104b directly enters the numerical information in the barcode into the input window of the smart device screen. It is used for the purpose of making it floatable.
도 5는 터치신호 감지에 따라 텍스트 키보드(102)가 활성화된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은 전환신호 감지에 따라 텍스트 키보드가 비활성화되고 바코드 키보드가 활성화된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다.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at the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바코드 키패드(100)는, 한글 키보드(102a), 영어 키보드(102b) 및 특수문자 키보드(102c) 외에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 키보드(104)로 구성하고, 바코드 키보드(104)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바코드 데이터를 판독한 후 그 판독한 바코드 데이터를 텍스트 키보드의 키 입력과 동일한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s such, the
따라서, 바코드 키보드(104)의 활성화, 바코드 데이터 판독 및 판독한 바코드 데이터의 키 입력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이 스마트 디바이스(10)의 빈번한 화면전환을 하지 않고도 가능해진다.Accordingly, a series of processes ranging from activation of the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바코드 키패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S)은, 한글, 영어 또는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의 키를 입력받아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의 입력창에 띄워주고, 스마트 디바이스(10)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바코드 데이터를 판독하며, 판독한 바코드 데이터를 입력창에 띄워 물류정보를 생성하는 스마트 디바이스(10), 및 그 스마트 디바이스(10)로부터 수신한 물류정보를 통해 견적관리, 발주관리, 입고관리, Order관리, 출고관리 또는 현황관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물류관리서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7, the logistics management system (S) using a barcode keypad of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key from Korean, English, or special characters in the input window of the smart device screen. From the
이때, 물류관리서버(20)는 다수의 노드와 접속되는 클라우드 서버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물류정보는 고유식별ID, 일련번호, 부품명, 창고명, 수량, 입고일자, 출고일자, 가용재고수량, 입고대기수량 또는 출고대기수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이러한 물류정보는 암호화될 수 있고, 암호화된 물류정보는 임의의 크기를 갖는 블록 형태로 구분하여 다수의 노드와 접속된 클라우드에 관리됨에 따라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Such distribution information may be encrypted, and the encrypted distribution information may be divided into blocks having an arbitrary size and managed in a cloud connected to a plurality of nodes, thereby improving security.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with a focus on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and does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t will be well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Accordingly, all such appropriate changes and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스마트 디바이스
20: 물류관리서버
100: 스마트 디바이스의 바코드 키패드
102: 텍스트 키보드
102a: 한글 키보드
102b: 영어 키보드
102c: 특수문자 키보드
104: 바코드 키보드
104a: 바코드 키
104b: 숫자 키10: smart device
20: logistics management server
100: barcode keypad of smart device
102: text keyboard
102a: Korean keyboard
102b: English keyboard
102c: special character keyboard
104: barcode keyboard
104a: barcode key
104b: number keys
Claims (6)
스마트 디바이스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바코드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바코드 데이터를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의 입력창에 띄워주는 바코드 키보드; 및
상기 텍스트 키보드 또는 바코드 키보드로부터 전환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한글 키보드, 영어 키보드, 특수문자 키보드 또는 상기 바코드 키보드 중에 어느 하나가 활성화되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의 특정 영역에 나타나도록 지원하는 제어기능을 구비하되;
상기 전환신호는, 한글 또는 영어 키보드의 활성화를 상호전환시키기 위한 토글키 입력신호와; 한글/영어 키보드, 특수문자 키보드 및 바코드 키보드의 활성화를 상호전환시키기 위한 전환키 입력신호; 를 포함하고,
상기 바코드 키보드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영상으로부터 바코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의 입력창에 띄워주는 기능을 지원하는 바코드 키(104a)와 터치한 키에 대응하는 숫자를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의 입력창에 띄워주는 숫자 키(104b)가 하나의 화면에 나란히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바코드 키패드A text keyboard that receives any one key among Korean, English, or special characters and displays it in the input window of the smart device screen;
A barcode keyboard that reads barcode data from an image captured by a camera of a smart device and displays the read barcode data on an input window of a smart device screen; And
In the case of receiving a conversion signal from the text keyboard or the barcode keyboard, any one of a Korean keyboard, an English keyboard, a special character keyboard, or the barcode keyboard is activated and has a control function that supports to appear in a specific area of the smart device screen. ;
The conversion signal includes a toggle key input signal for mutually switching activation of a Korean or English keyboard; A conversion key input signal for mutually switching activation of a Korean/English keyboard, a special character keyboard, and a barcode keyboard; Including,
The barcode keyboard displays an image photographed by a camera provided in the smart device, reads barcode data from the image, and displays the barcode key 104a and touches the screen in the input window of the smart device. A barcode keypad of a sma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number keys 104b for display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one key on the input window of the smart device screen are arranged side by side on one screen
상기 제어기능은, 전환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한글 입력을 지원하는 한글 키보드, 영어 입력을 지원하는 영어 키보드 또는 특수문자 입력을 지원하는 특수문자 키보드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되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의 특정영역에 나타나도록 지원하되, 상기 특수문자 키보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전환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특수문자 키보드는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면서 상기 바코드 키보드가 활성화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바코드 키패드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function is, when receiving a conversion signal, one of a Korean keyboard supporting Korean input, an English keyboard supporting English input, or a special character keyboard supporting special character input is activated to a specific area of the smart device screen. A barcode keypad of a sma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conversion signal is input while the special character keyboard is activated, the special character keyboard is converted to an inactive state and the barcode keyboard is activated.
상기 바코드 키패드는 상기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물류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상기 물류정보는 통신수단을 통해 물류관리서버(20)로 전송되며,
상기 물류관리서버(20)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받은 물류정보에 기초하여 견적관리, 발주관리, 입고관리, Order관리, 출고관리 또는 현황관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리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인 스마트 디바이스의 바코드 키패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A smart device (10) equipped with a barcode keypad and a camera according to claim 1 or 2; As a logistics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logistics management server 20 connected to the smart device 10 through a communication means,
The barcode keypad supports generation of logistics information from images taken with the camera, and the logistic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20 through a communication means,
The logistics management server 2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erform at least one management function of quotation management, order management, warehousing management, order management, delivery management, and status management based on the logistic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 device. Logistics management system using barcode keypad of smart device
상기 물류정보는, 고유식별ID, 일련번호, 부품명, 창고명, 수량, 입고일자, 출고일자, 가용재고수량, 입고대기수량 또는 출고대기수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스마트 디바이스의 바코드 키패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5,
The logistics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unique identification ID, a serial number, a part name, a warehouse name, a quantity, a warehousing date, a delivery date, an available stock quantity, a stock waiting quantity, or a delivery waiting quantity. Logistics management system using barcode keypa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0098A KR102148954B1 (en) | 2019-04-29 | 2019-04-29 | Barcode keypad of smart device an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using its keypa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0098A KR102148954B1 (en) | 2019-04-29 | 2019-04-29 | Barcode keypad of smart device an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using its keypa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48954B1 true KR102148954B1 (en) | 2020-08-31 |
Family
ID=72234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50098A Active KR102148954B1 (en) | 2019-04-29 | 2019-04-29 | Barcode keypad of smart device an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using its keypa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895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001915B2 (en) | 2021-06-09 | 2024-06-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barcode scanners with a wedge applicatio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12189A (en) * | 2008-04-23 | 2009-10-28 | 스피나 시스템즈 주식회사 | Product information recognition and provision system using 2D barcode using mobile phone camera |
KR20120122386A (en) | 2011-04-29 | 2012-11-07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and system for conveying milti-media message with two dimensional bar code |
KR20130101468A (en) * | 2012-03-05 | 2013-09-13 |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 Pos system,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 control system |
KR20170133047A (en) * | 2016-05-25 | 2017-12-05 | 박용대 | Virtual keyboard strucutre for mobile device,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 using virtual keyboard for mobile devic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a contain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nd application stored in media for executing the same |
KR20180135347A (en) * | 2017-06-12 | 2018-12-20 | 오현물류주식회사 | WMS linkage type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
-
2019
- 2019-04-29 KR KR1020190050098A patent/KR10214895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12189A (en) * | 2008-04-23 | 2009-10-28 | 스피나 시스템즈 주식회사 | Product information recognition and provision system using 2D barcode using mobile phone camera |
KR20120122386A (en) | 2011-04-29 | 2012-11-07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and system for conveying milti-media message with two dimensional bar code |
KR20130101468A (en) * | 2012-03-05 | 2013-09-13 |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 Pos system,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 control system |
KR20170133047A (en) * | 2016-05-25 | 2017-12-05 | 박용대 | Virtual keyboard strucutre for mobile device,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 using virtual keyboard for mobile devic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a contain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nd application stored in media for executing the same |
KR20180135347A (en) * | 2017-06-12 | 2018-12-20 | 오현물류주식회사 | WMS linkage type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001915B2 (en) | 2021-06-09 | 2024-06-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barcode scanners with a wedge applica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003584B2 (en) | Mobile computing device with data cognition software | |
US20230280878A1 (en) | Floating soft trigger for touch displays on electronic device | |
US20170011606A1 (en) | Systems, Devices, and/or Methods for Managing Transactions | |
JP2002074261A (en) | Information code reader | |
US10671277B2 (en) | Floating soft trigger for touch displays on an electronic device with a scanning module | |
US9778841B2 (en) | Apparatus having random ordered keypad | |
KR102525872B1 (en) | Apparatus for outputting a continuously changed qr code reflecting the monitored logistics status | |
JP2005251164A (en) | Collection device | |
US11983689B2 (en) | Method and system for customer responsive point of sale device | |
KR10045580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time-varying code to a handheld termina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pproval and authentication processing by using the same | |
KR102148954B1 (en) | Barcode keypad of smart device an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using its keypad | |
US10867141B2 (en) | System and method for augmented reality configuration of indicia readers | |
JP5780219B2 (en) | Information terminal and program | |
KR20230101781A (en) |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logistics management services based on QR code | |
KR100784224B1 (en) | Method and device for reading multicode with embedded code information for multiple uses | |
US2018025358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ulti-symbology visual data capture feedback | |
KR102204183B1 (en) | Scanner keyboard and mobile logistics management terminal with alphanumeric input | |
KR20030081741A (en) | Personal hand-held terminal and image cognition method thereof | |
KR20010093989A (en) | Portable Shopping Reader And Operating Method | |
KR20180051258A (en) | System and method for one-shot task processing | |
CN105575006A (en) | Self-service equipment | |
US20170329516A1 (en) | System and a method for configuring programmed icons in a touch screen display for operating a server | |
JP6056915B2 (en) | Information terminal and program | |
JP2025098586A (en) | Work Management System | |
JP2005020051A (en) | Processing system dealing with portable terminal mod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8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