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494B1 - Connecting apparatus of battery unit for electronic car - Google Patents
Connecting apparatus of battery unit for electronic ca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8494B1 KR102148494B1 KR1020190060424A KR20190060424A KR102148494B1 KR 102148494 B1 KR102148494 B1 KR 102148494B1 KR 1020190060424 A KR1020190060424 A KR 1020190060424A KR 20190060424 A KR20190060424 A KR 20190060424A KR 102148494 B1 KR102148494 B1 KR 1021484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unting
- battery unit
- mounting plate
- hole
- pie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8—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light alloys, e.g. extrud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 H01M2/1083—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38—Arrangement under the flo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용 배터리유닛의 장착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의 경량화를 위해 이종소재가 적용된 차체바디에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차체프레임에 배터리부재가 장착된 철채의 설치프레임를 보다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차용 배터리유닛의 장착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철재의 설치프레임(110)에 다수개의 배터리부재(120)가 장착된 배터리유닛(100)을 중공형 알루미늄 차체프레임(200)에 장착하기 위한 배터리유닛의 장착연결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관통공(310)이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알루미늄 차체프레임(200)의 하측면에 형성된 장착공(210)을 폐쇄하도록 상기 알루미늄 차체프레임(200)의 하측면에 용접결합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장착플레이트(300); 상기 알루미늄 차체프레임(20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의 상측면에 안착되되 상기 관통공(310)과 연통되는 연통공(411)이 형성된 철재의 고정연결편(400); 상기 고정연결편(400)을 감싼상태로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에 용접결합되어 상기 고정연결편(400)을 고정하는 알루미늄 재질의 고정구(500); 내부가 상기 연통공(411)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고정연결편(400)의 상측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설치프레임(110)을 관통하는 고정볼트구(1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너트구(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ing and connecting device for a battery unit for an electric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body body to which a different material is applied to reduce the weight of the vehicle body, to a vehicle body frame made of aluminum and a battery member is mounted on a steel frame more easily. It relates to a mounting connection device for a battery unit for an electric vehicle that can be installed.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unting connection device of a battery unit for mounting a battery unit 100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battery members 120 on a steel installation frame 110 on a hollow aluminum body frame 200, a pair Aluminum welded to the lower side of the aluminum body frame 200 so as to close the mounting hole 210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aluminum body frame 200 in a state in which the through holes 310 a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Material mounting plate 300; A fixed connection piece 400 of steel which is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unting plate 300 so as to be located inside the aluminum body frame 200 and has a communication hole 411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310; A fastener 500 made of aluminum that is welded to the mounting plate 300 while surrounding the fixed connecting piece 400 to fix the fixed connecting piece 400; A fixing nut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xed connection piece 400 in a state in which the insid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hole 411 so that the fixing bolt hole 130 passing through the installation frame 110 can be coupled Gu (600);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차용 배터리유닛의 장착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의 경량화를 위해 이종소재가 적용된 차체바디에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차체프레임에 배터리부재가 장착된 철채의 설치프레임를 보다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차용 배터리유닛의 장착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attaching and connecting a battery unit for an electric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in a vehicle body body to which a different material is applied to reduce the weight of the vehicle body, an installation frame of a steel frame in which a battery member is mounted on a vehicle body frame made of aluminum It relates to a mounting connection device for a battery unit for an electric vehicle that can be installed.
전기차량은 화석연료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차량이다. 최근 배터리가 소형화 및 경량화되고, 전기차량의 배터리용량 및 운용효율이 크게 증가하면서 다양한 목적으로 전기차량을 실용화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Electric vehicles do not require fossil fuels and are powered by electricity. Recently, as batteries have been miniaturized and lightened, and the battery capacity and operating efficiency of electric vehicles have greatly increased, technology development for practical use of electric vehicles for various purposes is actively underway.
이러한 전기차(electronic vehicles)는 오로지 전기만을 동력원으로 하여 움직이는 친환경 자동차로서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나 소음이 거의 없는 것이 특징이다. These electric vehicles are eco-friendly vehicles that operate only with electricity as a power source, and are characterized by almost no exhaust gas or noise emitted from the vehicle.
또한, 전기차는 가솔린 자동차보다 먼저 개발되어 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용화되지 못하던 것이 최근환경오염문제와 자원부족 문제가 심각히 대두되면서 각국의 자동차업체들의 개발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In addition, electric vehicles are known to have been developed and manufactured earlier than gasoline vehicles, but they have not been put into practical use. Recently, a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resource shortage problems have emerged seriously, the competition for development of automobile companies in each country is developing fiercely.
한편, 전술한 것처럼 전기차는 전기만을 동력으로 하여 움직이는 친환경 자동차이기 때문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지, 특히 이차전지가 요구된다.이때, 전기차의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이차전지는 고출력의 대용량이 요구되기 때문에 다수의 소형 이차전지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하나의 배터리팩으로 구성되며, 차체 하부 또는 내부에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since electric vehicles are eco-friendly vehicles that use only electricity as their power, batteries to supply electricity, especially secondary batteries, are required. At this time, secondary batteries used as power sources of electric vehicles require high-power and large-capacity. It is composed of a single battery pack by connecting small secondary batteries in series or in parallel, and is generally installed under or inside the vehicle body.
이와 같은 배터리팩을 장착시 철재의 프레임에 다수의 이차전지를 연결하여, 차량의 차체프레임에 연결하게 되는데, 상기 차체프레임이 이종재질 즉 차량의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철재프레임을 알루미늄차체프레임에 장착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이에 대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When such a battery pack is mounted,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are connected to the frame of steel and are connected to the body frame of the vehicle.When the body frame is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that is, aluminum for weight reduction of the vehicle, the steel frame is made of aluminum. It is difficult to mount on the body frame, so technology development is required.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4496호의 전기차량의 배터리교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탈장착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As a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ttery exchange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of Korean Patent No. 10-1704496 and a battery detachment method using the same are disclosed.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의 경량화를 위해 이종소재가 적용된 차체바디에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차체프레임에 배터리부재가 설치된 철재의 설치프레임을 결합시, 이종소재로 이루어진 재질의 특성을 보완하여 상기 철재의 설치프레임을 알루미늄 재질의 상기 차체프레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전기차의 경량화 실현은 물론 상기 배터리유닛의 견고한 설치를 가능토록 하는 전기차용 배터리유닛의 장착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mbine a steel installation frame with a battery member installed on a vehicle body frame made of aluminum in a vehicle body body to which a different material is applied to reduce the weight of the vehicle body. Mounting of a battery unit for electric vehicles that complem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made of material so that the steel installation frame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body frame made of aluminum, thereby realizing lighter weight of the electric vehicle as well as enabling robust installation of the battery unit. It is to provide a connecting devi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재의 설치프레임(110)에 다수개의 배터리부재(120)가 장착된 배터리유닛(100)을 중공형 알루미늄 차체프레임(200)에 장착하기 위한 배터리유닛의 장착연결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관통공(310)이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알루미늄 차체프레임(200)의 하측면에 형성된 장착공(210)을 폐쇄하도록 상기 알루미늄 차체프레임(200)의 하측면에 용접결합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장착플레이트(300); 상기 알루미늄 차체프레임(20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의 상측면에 안착되되 상기 관통공(310)과 연통되는 연통공(411)이 형성된 철재의 고정연결편(400); 상기 고정연결편(400)을 감싼상태로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에 용접결합되어 상기 고정연결편(400)을 고정하는 알루미늄 재질의 고정구(500); 내부가 상기 연통공(411)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고정연결편(400)의 상측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설치프레임(110)을 관통하는 고정볼트구(1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너트구(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mounting of a battery unit for mounting the
또한, 상기 고정연결편(400)은 상기 고정너트구(600)가 장착되는 한 쌍의 너트구장착편(410)과, 상기 너트구장착편(410) 보다 작은 폭을 갖는 상태로 상기 너트구장착편(410)에 길이방향 양측이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고정구(500)가 감싸지도록 설치되는 가이드편(420)으로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또한,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고정연결편(40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장착플레이트(300)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연결편(400)을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하게 조작하는 왕복조작유닛(7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ddition, with one longitudinal side connected to the
또한, 상기 왕복조작유닛(700)은 상기 고정연결편(400)의 상측면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결속너트구(710)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결속너트구(710)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에 형성된 가이드공(35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공(35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관통연장구(720)와, 상기 관통연장구(72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에 걸림되는 조작헤드(730)로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고정구(500)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연결편(400)을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의 상측면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탄성부재(800)가 설치된다. In addition, a pressurizing
본 발명에 따르면 철재의 설치프레임에 배터리부재가 장착된 배터리유닛을 차체 경량화를 위해 이종소재가 적용된 차체바디 중 알루미늄 소재가 적용된 차체프레임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어 작업공정의 간략화 및 경제성을 높일 수 있고, 이종소재간 결합을 용이하게 이뤄 자동차 산업 등에서 산업용 부품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차체 경량화를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unit in which the battery member is mounted on the steel installation frame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body frame to which aluminum material is applied among the body bodies to which different materials are applied to reduce the weight of the vehicle body, so that the work process can be simplified and economical efficiency can be improved. In addition, by facilitating coupling between different materials, not only can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parts in the automobile industry be improved, but also the weight of the vehicle body can be effectively achie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배터리유닛의 장착연결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배터리유닛의 장착연결장치가 설치된 중공형 알루미늄 차체프레임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배터리유닛의 장착연결장치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착연결장치에 왕복조작유닛이 설치된 단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착연결장치에 가압탄성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착연결장치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프레임에 가이드안내편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1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and conn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ate of a hollow aluminum body frame in which a mounting conn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disconnected state of the mounting and connecting device of the battery unit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al state in which the reciprocating operation unit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essurized elastic member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ate of a mounting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guide piece is formed on the installation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배터리유닛의 장착연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Hereinafter, a mounting and conn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set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terms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producer or manufacturer producing the product, and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uch,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ed examples that can replace these at the time of application.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when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s said to be'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that it is'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that it is'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do.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pecified.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Further, the directional terminolog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connection with the orientation of the disclosed drawing(s). Sinc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ositioned in various orientations, the directional terminology is u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배터리유닛의 장착연결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배터리유닛의 장착연결장치가 설치된 중공형 알루미늄 차체프레임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배터리유닛의 장착연결장치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착연결장치에 왕복조작유닛이 설치된 단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착연결장치에 가압탄성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착연결장치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프레임에 가이드안내편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1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and connection device of the battery unit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hollow aluminum body frame in which the mounting and connection device of the battery unit for an electric vehicle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ate,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detached state of the mounting connection device of the battery unit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reciprocating to the mounting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essurized elastic member is installed in a mounting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mount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ate of the connecting device, and FIG. 7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guide guide piece is formed in an installation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배터리유닛의 장착연결장치는 철재의 설치프레임(110)에 다수개의 배터리부재(120)가 장착된 배터리유닛(100)을 중공형 알루미늄 차체프레임(200)에 장착하기 위한 배터리유닛의 장착연결장치에 있엇, 상기 알루미늄 차체프레임(200)의 하측면 용접결합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장착플레이트(300)와,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의 상측에 장착되는 철재의 고정연결편(400)과, 상기 고정연결편(400)을 고정하는 알루미늄 재질의 고정구(500)와, 상기 고정연결편(400)의 상측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설치프레임(110)을 관통하는 고정볼트구(130)가 결합되는 고정너트구(600)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S. 1 to 7 above, the mounting and connection device of the battery unit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즉,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배터리유닛의 장착연결장치는 차체의 경량화를 위해 이종소재가 적용된 차체바디에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차체프레임(200)에 철재의 설치프레임(110)을 결합시, 이종소재로 이루어진 재질의 특성을 보완하여 상기 철재의 설치프레임(110)을 알루미늄 재질의 상기 차체프레임(20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전기차의 경량화 실현은 물론 상기 배터리유닛(100)의 견고한 설치를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mounting and connection device of the battery unit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fferent material when the
이하에서는 상기 장착연결장치가 차체프레임(200)의 긴변측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장착플레이트(300)는 한 쌍의 관통공(310)이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알루미늄 차체프레임(200)의 하측면에 형성된 장착공(210)을 폐쇄하도록 상기 알루미늄 차체프레임(200)의 하측면에 용접결합된다. Hereinafter, the mounting connection device will be described as being mounted on the frame on the long side of the
이때, 상기 차체프레임(200)의 하측면에는 일정폭과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상기 장착공(210)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플레이트(300)는 상기 차체프레임(20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장착공(210)을 폐쇄하도록 상기 차체프레임(200)의 하측면에 용접결합된다. At this time, a plurality of
또한, 상기 고정연결편(400)은 철재의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알루미늄 차체프레임(20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의 상측면에 안착되되 상기 관통공(310)과 연통되는 연통공(411)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고정연결편(400)은 상기 연통공(411)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고정너트구(600)가 장착되는 한 쌍의 너트구장착편(410)과 상기 너트구장착편(410) 보다 작은 폭을 갖는 상태로 상기 너트구장착편(410)에 길이방향 양측이 일체로 연결되어 후술되는 상기 고정구(500)가 감싸지도록 설치되는 가이드편(420)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At this time, the
여기서, 상기 너트구장착편(410)의 면적은 상기 고정너트구(600)의 외경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후술되는 상기 고정너트구(600)에 고정볼트구(130)가 나사결합시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에 밀착되는 면적을 높여 상기 설치프레임(110)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편(420)은 상기 한 쌍의 너트구장착편(410)을 상호 연결하되 차체의 경량화를 위해 상기 너트구장착편(410)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Here, the area of the
또한, 상기 고정구(500)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연결편(400)을 감싼상태로 양단부가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에 용접결합되어 상기 고정연결편(400)을 고정한다. 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고정구(500)의 양단이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의 상면에 용접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구(500)의 양단에 쐐기형걸림단(미도시)를 형성하고,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에 상기 쐐기형걸림단이 끼워져 걸림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홈(미도시)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연결편(400)을 고정하도록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At this time, it is described that both ends of the
또한, 상기 고정너트구(600)는 철재로 이루어져 내부가 상기 연통공(411)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고정연결편(400)의 상측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설치프레임(110)을 관통하는 고정볼트구(1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fixing nut (600) is made of steel and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connecting piece (400) in a state in which the insid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hole (411), and fixed through the installation frame (110). The
즉, 상기 배터리유닛(100)을 상기 차체프레임(200)에 장착시 상기 고정볼트구(130)가 상기 설치프레임(110)을 관통하여 상기 관통공(310)과 연통공(411)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고정너트구(600)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상기 배터리유닛(100)을 상기 알루미늄 차체프레임(200)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또한,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의 상측면과 고정연결편(400)사이에는 상기 장착공(210)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갖는 보강편(320)이 더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보강편(320)이 상기 장착공(210)에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 reinforcing
이때, 상기 보강편(320)에는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의 관통공(310)과 상기 고정연결편(400)의 연통공(411)과 연통되는 연결홀(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inforcing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배터리유닛의 장착연결장치는 철재의 설치프레임에 배터리부재가 장착된 배터리유닛(100)을 차체 경량화를 위해 이종소재가 적용된 차체바디 중 알루미늄 소재가 적용된 차체프레임(200)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어 작업공정의 간략화 및 경제성을 높일 수 있고, 이종소재간 결합을 용이하게 이뤄 자동차 산업 등에서 산업용 부품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차체 경량화를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mounting and connecting device of the battery unit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배터리유닛의 장착연결장치에는 상기 고정연결편(400)을 왕복이동가능하게 조작하여 상기 설치프레임(110)의 설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왕복조작유닛(7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mounting and connection device of the battery unit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즉, 상기 배터리유닛(100)의 설치프레임(110)을 장착연결장치의 하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볼트구(130)의 관통을 위해 상기 설치프레임(110)에 형성된 삽입홀(111)이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의 관통공(310)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고정볼트구(130)를 상기 고정너트구(600)에 용이하게 나사결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왕복조작유닛(700)을 통해 상기 고정연결편(400)을 왕복이동조작하여 상기 고정볼트구(130)의 설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이때,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공(310)과 상기 고정연결편(400)에 형성되는 상기 연통공(411)은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의 하측면에는 상기 왕복조작유닛(700)이 설치되는 장착설치홀(36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At this time, the through
또한, 상기 설치프레임(110)에는 상기 장착설치홀(360)과 연통되는 장공의 노출홀(112)이 형성되어 상기 왕복조작유닛(700)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여기서, 상기 왕복조작유닛(700)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왕복조작유닛(700)은 상기 고정연결편(400)의 상측면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결속너트구(710)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결속너트구(710)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에 형성된 가이드공(35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공(35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관통연장구(720)와, 상기 관통연장구(72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에 걸림되는 조작헤드(730)로 구성된다. Here, looking at the
이때, 상기 결속너트구(710)는 상기 고정연결편(400)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장착설치홀(360)은 상기 가이드공(350)과 연통되게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공(350)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관통연장구(720)의 외주면과 상기 가이드공(350)의 내주면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만큼 상기 관통연장구(720)를 왕복이동시켜 상기 고정연결편(400)을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상에서 왕복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this case, the binding
또한, 상기 조작헤드(730)는 상기 장착설치홀(36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회전조작시 상기 장착설치홀(360)의 상측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작업공구의 파지를 위한 파지구(731)가 일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파지구(731)는 상기 장착설치홀(36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head 7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and
상기와 같은 왕복조작유닛의 조작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조작헤드(730)의 파지구(731)를 작업공구에 의해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조작하여 상기 조작헤드(730)가 상기 장착설치홀(360)의 상측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한다. Looking at the operation state of the reciprocating operation unit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head 730 is rotated while the
이후,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의 길이방향 일측이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 이동시켜 상기 설치프레임(110)의 삽입홀(111)과 상기 고정너트구(600)의 내측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한 후, 상기 조작헤드(730)를 회전조작하여 상기 장착설치홀(360)의 상측면에 밀착시킨다. Thereafter, after moving a certain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unting
이 과정에서 상기 관통연장구(720)가 상기 결속너트구(710)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되어 돌출되면서 상기 고정연결편(400)이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의 상측면에 가압밀착되어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 In this process, the through
그런 다음, 상기 고정볼트구(130)를 상기 관통공(310)와 연통공(411)을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상기 고정너트구(600)에 나사결합하게 되면 상기 배터리유닛(100)을 상기 차체프레임(200)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n, when the fixing
또한, 상기 고정구(500)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연결편(400)을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의 상측면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탄성부재(800)를 설치하여 상기 왕복조작유닛(700)과 더불어 상기 고정연결편(400)을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의 상측면에 가압밀착하여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a pressurizing
즉, 상기 고정연결편(400)의 중앙부는 상기 왕복조작유닛(700)에 의해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의 상측면 가압밀착되게 하고, 상기 고정연결편(400)의 길이방향 양측은 상기 가압탄성부재(800)에 의해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의 상측면에 가압밀착되게 함으로써 상기 고정연결편(400)의 가압밀착지점의 증가를 통한 효과적인 밀착상태의 유지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xed
또한, 상기 설치프레임(110)에는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의 폭방향 양측단이 걸림된 상태로 슬라이딩 장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안내편(115)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착연결장치가 차체프레임(200)의 짧은 변측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왕복조작유닛(700)에 의한 상기 고정연결편(400)의 왕복이동은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의 폭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mounting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short side of the
이때,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공(310)과 상기 고정연결편(400)에 형성된 연통공(411)은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고정구(500)와 상기 고정연결편(400)의 가이드편(420)사이에는 일정한 왕복이동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연결편(400)을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의 폭방향으로 일정길이 왕복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At this time, the through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able to implement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00: 배터리유닛 110: 설치프레임
120: 배터리부재 130: 고정볼트구
200: 차체프레임 210: 장착공
300: 장착플레이트 310: 관통공
320: 보강편 350: 가이드공
360: 장착설치홀 400: 고정연결편
410: 너트구장착편 420: 가이드편
500: 고정구 600: 고정너트구
700: 왕복조작유닛 710: 결속너트구
720: 관통연장구 730: 조작헤드
800: 가압탄성부재 100: battery unit 110: installation frame
120: battery member 130: fixing bolt hole
200: body frame 210: mounting hole
300: mounting plate 310: through hole
320: reinforcement piece 350: guide ball
360: mounting installation hole 400: fixed connection piece
410: nut ball mounting piece 420: guide piece
500: fixture 600: fixing nut
700: reciprocating operation unit 710: binding nut
720: penetration extension 730: operation head
800: pressurized elastic member
Claims (5)
한 쌍의 관통공(310)이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알루미늄 차체프레임(200)의 하측면에 형성된 장착공(210)을 폐쇄하도록 상기 알루미늄 차체프레임(200)의 하측면에 용접결합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장착플레이트(300);
상기 알루미늄 차체프레임(20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의 상측면에 안착되되 상기 관통공(310)과 연통되는 연통공(411)이 형성된 철재의 고정연결편(400);
상기 고정연결편(400)을 감싼상태로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에 용접결합되어 상기 고정연결편(400)을 고정하는 알루미늄 재질의 고정구(500);
내부가 상기 연통공(411)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고정연결편(400)의 상측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설치프레임(110)을 관통하는 고정볼트구(1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너트구(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배터리유닛의 장착연결장치.
In the mounting connection device of the battery unit for mounting the battery unit 100 in which the plurality of battery members 120 are mounted on the steel installation frame 110 to the hollow aluminum body frame 200,
A pair of through-holes 310 are welded to the lower side of the aluminum body frame 200 to close the mounting holes 210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aluminum body frame 200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ounting plate 300 made of aluminum material;
A fixed connection piece 400 of steel that is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300 so as to be located inside the aluminum body frame 200 and has a communication hole 411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310;
A fastener 500 made of aluminum that is welded to the mounting plate 300 while surrounding the fixed connecting piece 400 to fix the fixed connecting piece 400;
A fixing nut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xed connecting piece 400 in a state in which the insid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hole 411 so that the fixing bolt hole 130 penetrating the installation frame 110 can be coupled Gu (600); Mounting and connecting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unit, comprising: a.
상기 고정연결편(400)은, 상기 고정너트구(600)가 장착되는 한 쌍의 너트구장착편(410)과, 상기 너트구장착편(410) 보다 작은 폭을 갖는 상태로 상기 너트구장착편(410)에 길이방향 양측이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고정구(500)가 감싸지도록 설치되는 가이드편(4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배터리유닛의 장착연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ed connection piece 400 is a pair of nut ball mounting pieces 410 to which the fixing nut hole 600 is mounted, and the nut ball mounting piece in a state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nut ball mounting piece 410 Mounting and connecting device of a battery unit for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guide piece (420) which is integrally connected to 4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fixture 500 is wrapped around.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고정연결편(40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장착플레이트(300)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연결편(400)을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하게 조작하는 왕복조작유닛(7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배터리유닛의 장착연결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ith one longitudinal side connected to the fixed connection piece 400, the other longitudinal side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mounting plate 300 so that the fixed connection piece 400 can be reciproc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unting plate 300. Mounting conn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reciprocating operation unit 700 to operate.
상기 왕복조작유닛(700)은, 상기 고정연결편(400)의 상측면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결속너트구(710)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결속너트구(710)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에 형성된 가이드공(35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공(35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관통연장구(720)와, 상기 관통연장구(72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에 걸림되는 조작헤드(7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배터리유닛의 장착연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reciprocating operation unit 700 includes a binding nut 710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xed connection piece 400,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with one side screwed to the binding nut 710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other side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the guide hole 350 formed in the mounting plate 300, but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hole 350, a through extension tool 720, and the through extension tool 720 Mounting conn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uni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manipulation head (730) formed integrally at the end of the mounting plate (300).
상기 고정구(500)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연결편(400)을 상기 장착플레이트(300)의 상측면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탄성부재(8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배터리유닛의 장착연결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 mounting conn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unit, characterized in that a pressurizing elastic member (800) for pressing the fixed connection piece (400)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mounting plate (300) is installed inside the fixture (50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0424A KR102148494B1 (en) | 2019-05-23 | 2019-05-23 | Connecting apparatus of battery unit for electronic ca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0424A KR102148494B1 (en) | 2019-05-23 | 2019-05-23 | Connecting apparatus of battery unit for electronic ca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48494B1 true KR102148494B1 (en) | 2020-08-28 |
Family
ID=72292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0424A Active KR102148494B1 (en) | 2019-05-23 | 2019-05-23 | Connecting apparatus of battery unit for electronic ca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849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454772A (en) * | 2022-04-13 | 2022-05-10 | 中国重汽集团济南动力有限公司 | A battery locking device and a heavy-duty electric commercial vehicle for battery replacement |
KR102494398B1 (en) * | 2022-05-13 | 2023-01-31 | (주)알엠에이 | Battery Connector For Electric Vehicles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81620A (en) * | 1993-09-20 | 1995-03-28 | Nissan Motor Co Ltd | Bumper stay installing part structure |
JP2002364624A (en) * | 2001-06-08 | 2002-12-18 | Fuji Heavy Ind Ltd | Aluminum panel fastening site structure |
JP2003090086A (en) * | 2001-09-17 | 2003-03-28 | Mitsubishi Material Kenzai Corp | Z clip rotation preventive fixture and fastening structure for building material |
JP2009138887A (en) * | 2007-12-10 | 2009-06-25 | Honda Motor Co Ltd | Fastener fixing structure and fastener fixing method |
KR20120012655A (en) * | 2010-08-02 | 2012-02-10 | (주)브이이엔에스 | Electric vehicle |
US20120160583A1 (en) * | 2010-12-22 | 2012-06-28 | Tesla Motors, Inc. | Integration System for a Vehicle Battery Pack |
JP2018187973A (en) * | 2017-04-28 | 2018-11-29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Vehicle with battery |
-
2019
- 2019-05-23 KR KR1020190060424A patent/KR10214849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81620A (en) * | 1993-09-20 | 1995-03-28 | Nissan Motor Co Ltd | Bumper stay installing part structure |
JP2002364624A (en) * | 2001-06-08 | 2002-12-18 | Fuji Heavy Ind Ltd | Aluminum panel fastening site structure |
JP2003090086A (en) * | 2001-09-17 | 2003-03-28 | Mitsubishi Material Kenzai Corp | Z clip rotation preventive fixture and fastening structure for building material |
JP2009138887A (en) * | 2007-12-10 | 2009-06-25 | Honda Motor Co Ltd | Fastener fixing structure and fastener fixing method |
KR20120012655A (en) * | 2010-08-02 | 2012-02-10 | (주)브이이엔에스 | Electric vehicle |
US20120160583A1 (en) * | 2010-12-22 | 2012-06-28 | Tesla Motors, Inc. | Integration System for a Vehicle Battery Pack |
JP2018187973A (en) * | 2017-04-28 | 2018-11-29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Vehicle with battery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454772A (en) * | 2022-04-13 | 2022-05-10 | 中国重汽集团济南动力有限公司 | A battery locking device and a heavy-duty electric commercial vehicle for battery replacement |
KR102494398B1 (en) * | 2022-05-13 | 2023-01-31 | (주)알엠에이 | Battery Connector For Electric Vehicl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48494B1 (en) | Connecting apparatus of battery unit for electronic car | |
BRPI0400035A (en) | Tire Expiration Timeout Indicator | |
CN102630502A (en) | Manually guided implement | |
JP2013114750A (en) | Clamp device | |
US11450877B2 (en) | Tooling and method for alignment and assembly of battery module | |
CN109623252A (en) | A kind of turnover device and battery pack process equipment | |
CN101975706A (en) | Novel axial fatigue tester | |
CN204934950U (en) | Electrode welding fixture | |
CN102886761A (en) | Press fitting tool for hydraulic pump gear bearing of diesel engine | |
CN103659230A (en) | Nut riveting head | |
CN215662945U (en) | Hoop structure for assisting hydrogen fuel gas cylinder on passenger car | |
CN215552510U (en) | Lightweight quick battery frame assembly that reloads | |
CN204308814U (en) | Assembly of the parts Rapid precision locating device | |
CN208652083U (en) | A kind of clamping tool being clamped in corrugated plating ground | |
CN222114302U (en) | Spacing frock that can realize accurate location | |
CN222315264U (en) | Mechanical oil pump device | |
CN111957526A (en) | Be suitable for quick pressurize support of subassembly of a plurality of points | |
CN215617454U (en) | Light plate spring prestress shot blasting automatic pin-removing clamp | |
CN217374210U (en) | Heavy truck locking mechanism | |
CN115534746A (en) | Heavy truck locking mechanism | |
CN213568041U (en) | Structure for improving rigidity of steel belt | |
CN211809728U (en) | Electric material transportation and storage vehicle | |
CN220740820U (en) | Automobile body tightening tool in automobile chassis assembly | |
CN111992657B (en) | Chain dismouting, pressure are riveted device | |
CN201074655Y (en) | Quick coupl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8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