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393B1 - Link assembly for inward-and-outward opening door - Google Patents
Link assembly for inward-and-outward opening do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8393B1 KR102148393B1 KR1020200024772A KR20200024772A KR102148393B1 KR 102148393 B1 KR102148393 B1 KR 102148393B1 KR 1020200024772 A KR1020200024772 A KR 1020200024772A KR 20200024772 A KR20200024772 A KR 20200024772A KR 102148393 B1 KR102148393 B1 KR 1021483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fting
- main
- door
- link
- main lin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2—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two parallel pins and one arm
- E05D3/122—Gear hin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05D15/26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for bi-fold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도어용 링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제1 메인 링크와, 제2 메인 링크, 및 기어 구조체를 포함한다. 기어 구조체는 제1 메인 링크와 제2 메인 링크를 상호 간에 양방향으로 접철 가능하게 연계시키되 동일 각도로 접철 가능하게 연계시키는 것으로, 케이싱과,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케이싱 내에 지지된 상태로 제1 메인 링크의 한쪽 단부에 고정된 제1 메인 베벨기어와,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케이싱 내에 지지된 상태로 제2 메인 링크의 한쪽 단부에 고정된 제2 메인 베벨기어와, 제1,2 메인 베벨기어 간에 서로 반대 방향의 회전 운동을 전달하도록 제1,2 메인 베벨기어와 각각 치합되어 상호 간에 동축으로 고정된 상태로 케이싱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1,2 서브 베벨기어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k assembly for a two-way door, and includes a first main link, a second main link, and a gear structure. The gear structure connects the first main link and the second main link to each other so as to be foldable in both directions but foldable at the same angle. The first main link and the second main link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oldable manner. The first main bevel gear fixed to one end of the main link, the second main bevel gear fixed to one end of the second main link while being supported in the casing so as to be rotatable around a vertical axis, and the first and second main The first and second sub-bevel gears ar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sub-bevel gears that are rotatably supported in the casing while being coaxially fixed to each other by engag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main bevel gears to transmit rotational motions in opposite directions between the bevel gears.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물 등에서 사람이 드나드는 개구부나, 채광 등을 위한 개구부에 설치되어 개구부를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하는 도어에 채용되는 링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k assembly employed in a door that is installed in an opening through which a person enters or exits a building or an opening for lighting, and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in an opening and closing manner.
건축물 등에서 사람이 드나드는 개구부나, 채광 등을 위한 개구부에는 각종 도어가 설치된다. 도어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방식에 따라 여닫이 도어, 미닫이 도어, 접이식 도어 등으로 구분된다. 개방율을 높일 필요가 있는 곳에는 여닫이 도어 또는 접이식 도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Various doors are installed in openings for people to enter and exit in buildings or for lighting. Doors are divided into opening doors, sliding doors, and folding doors according to the method of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In places whe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opening rate, a casement door or a folding door is widely used.
그런데, 종래 예에 따르면, 여닫이 도어는 개구부의 개방시 도어 패널이 실외 방향으로만 또는 실내 방향으로만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개구부의 개방시 도어 패널이 실외 방향으로만 동작하도록 된 경우, 사용자가 도어 패널을 실내 방향으로 동작시켜야 할 상황에 대처할 수 없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개구부의 개방시 도어 패널이 실내 방향으로만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가 도어 패널을 실외 방향으로 동작시켜야 할 상황에 대처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여닫이 도어를 사용하는데 불편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example, when the opening is opened, the door panel is configured to operate only in the outdoor direction or the indoor direction. When the opening is opened, if the door panel is to be operated only in the outdoor direction, the user cannot cope with the situation in which the door panel must be operated in the indoor direction. Likewise, when the door panel is operated only in the indoor direction when the opening is opened, the user cannot cope with the situation in which the door panel must be operated in the outdoor direction. Therefore, it may be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use the hinged door.
본 발명의 과제는 도어 프레임의 내부 공간 개방시 도어 패널을 실내,외 양방향으로 동작 가능하게 지지하여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양방향 도어용 링크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nk assembly for a two-way door that can increase convenience by supporting a door panel to be operated in both interior and exterior directions when the interior space of the door frame is opened.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도어용 링크 조립체는 도어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함에 따라 개폐하는 도어 패널을 실내,외 양방향으로 개방 동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제1 메인 링크와, 제2 메인 링크, 및 기어 구조체를 포함한다. 제1 메인 링크는 도어 패널의 상,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고정된 상태로 도어 프레임에 회전 및 선형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 메인 링크는 제1 메인 링크와 인접하여 도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거나 다른 도어 패널의 한쪽 면에 고정된 상태로 도어 프레임에 회전 및 선형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The link assembly for a two-way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supports a door panel that opens and closes by rotating the inner space of the door frame around a vertical axis so as to be able to open and operate in both indoor and outdoor directions. It includes one main link, a second main link, and a gear structure. The first main link is supported by the door frame so as to rotate and move linearly while being fixed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door panel. The second main link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door frame adjacent to the first main link, or is rotatably and linearly supported by the door frame while being fixed to one side of the other door panel.
기어 구조체는 제1 메인 링크와 제2 메인 링크를 상호 간에 양방향으로 접철 가능하게 연계시키되 동일 각도로 접철 가능하게 연계시키는 것으로, 케이싱과,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케이싱 내에 지지된 상태로 제1 메인 링크의 한쪽 단부에 고정된 제1 메인 베벨기어와,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케이싱 내에 지지된 상태로 제2 메인 링크의 한쪽 단부에 고정된 제2 메인 베벨기어와, 제1,2 메인 베벨기어 간에 서로 반대 방향의 회전 운동을 전달하도록 제1,2 메인 베벨기어와 각각 치합되어 상호 간에 동축으로 고정된 상태로 케이싱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1,2 서브 베벨기어를 구비한다.The gear structure connects the first main link and the second main link to each other so as to be foldable in both directions but foldable at the same angle. The first main link and the second main link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oldable manner. The first main bevel gear fixed to one end of the main link, the second main bevel gear fixed to one end of the second main link while being supported in the casing so as to be rotatable around a vertical axis, and the first and second main The first and second sub-bevel gears ar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sub-bevel gears that are rotatably supported in the casing while being coaxially fixed to each other by engag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main bevel gears to transmit rotational motions in opposite directions between the bevel gears.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프레임의 내부 공간 개방시 도어 패널을 실내,외 양방향으로 동작 가능하게 지지하여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패널의 개수가 많아지더라도 도어 패널들의 완전 개방 위치시 실외 또는 실내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효용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terior space of the door frame is opened, the door panel can be supported to operate in both interior and exterior directions, thereby enhancing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number of door panels increases, it is possible to increase utility by minimizing the occupancy of outdoor or indoor space when the door panels are fully open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도어용 링크 조립체가 2짝의 도어 패널들에 채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링크 조립체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폐쇄유지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링크 조립체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조립체가 1짝의 도어 패널에 채용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링크 조립체가 3짝 이상의 도어 패널들에 채용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link assembly for a two-way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ployed in two pairs of door panels.
2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nk assembly in FIG. 2.
4 and 5 are sid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losing mechanism.
6 to 10 are plan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ink assembly shown in FIG. 1.
11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link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air of door panels.
12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link assembly is employed in three or more pairs of door panels.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repeated description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in order to more complete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explanation.
또한, 본 발명의 양방향 도어용 링크 조립체는 도어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에 따라 개폐하는 도어 패널에 적용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도어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에 따라 개폐하는 도어 패널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link assembly for a two-way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emplified as being applied to a door panel that opens and closes the inner space of the door frame according to a rotational motion around a vertical axis, but the inner space of the door frame is rotated around a horizontal axis.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to door panels that open and close according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도어용 링크 조립체가 2짝의 도어 패널들에 채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링크 조립체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link assembly for a two-way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ployed in two pairs of door panels. 2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nk assembly in FIG. 2.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도어용 링크 조립체(100)는 도어 프레임(10)의 내부 공간을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에 따라 개폐하는 도어 패널(21, 22)을 실내,외 양방향으로 개방 동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제1 메인 링크(110)와, 제2 메인 링크(120), 및 기어 구조체(130)를 포함한다.1 to 3, the
도어 프레임(10)은 건축물 등에서 사람이 드나드는 개구부나 채광 등을 위한 개구부의 안쪽 둘레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0)은 가로 프레임들과 세로 프레임들이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사각형의 내부 공간을 한정할 수 있다. 도어 패널들(21, 22)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링크 조립체(10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도어 패널들(21, 22)의 상,하측에 상호 대칭되는 형태로 하나씩 나뉘어 설치될 수 있다. 물론, 링크 조립체(100)는 도어 패널들(21, 22)의 상측에만 설치되거나, 도어 패널들(21, 22)의 하측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The
링크 조립체(100)가 2짝의 도어 패널들(21, 22)에 설치되는 경우, 제1 메인 링크(110)는 도어 패널(21)의 한쪽 면에 고정되고, 제2 메인 링크(120)는 다른 도어 패널(22)의 한쪽 면에 고정될 수 있다.When the
제1 메인 링크(110)는 도어 패널(21)의 상,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고정된 상태로 도어 프레임(10)에 회전 및 선형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 메인 링크(110)는 도어 패널(21)의 한쪽 면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갖고 연장되어 도어 패널(21)의 한쪽 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메인 링크(110)는 볼팅 등에 의해 도어 패널(21)의 한쪽 면에 체결될 수 있다.The first
제1 메인 링크(110)는 롤러기구(101)에 의해 도어 프레임(10)에 회전 및 선형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롤러기구(101)는 롤러 지지대(101a)와, 복수의 롤러(101b)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롤러 지지대(101a)는 제1 메인 링크(110)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됨으로써, 제1 메인 링크(110)는 도어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롤러(101b)들은 도어 프레임(10)의 레일을 따라 구름 동작하도록 롤러 지지대(101a)에 장착됨으로써, 제1 메인 링크(110)는 도어 프레임(10)에 선형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The
따라서, 제1 메인 링크(110)를 장착한 도어 패널(21)은 도어 프레임(10)에 대해 회전하면서 선형 이동함에 따라 개폐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메인 링크(110)는 원형 단면의 가이드 핀에 의해 도어 프레임(10)에 회전 및 선형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제2 메인 링크(120)는 제1 메인 링크(110)와 인접하여 다른 도어 패널(22)의 한쪽 면에 고정된 상태로 도어 프레임(10)에 회전 및 선형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 메인 링크(120)는 다른 도어 패널(22)의 한쪽 면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갖고 연장되어 다른 도어 패널(22)의 한쪽 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메인 링크(120)는 볼팅 등에 의해 다른 도어 패널(22)의 한쪽 면에 체결될 수 있다.The second
제2 메인 링크(120)는 전술한 롤러기구(101)에 의해 도어 프레임(10)에 회전 및 선형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2 메인 링크(120)가 롤러기구(101)를 장착하는 위치는 도어 패널들(21, 22) 사이를 기준으로 제1 메인 링크(110)가 롤러기구(101)를 장착하는 위치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 second
또한, 제1,2 메인 링크(110, 120)가 롤러기구(101)들을 장착하는 위치는 도어 패널들(21, 22)의 접힘시 도어 프레임(10)으로부터 도어 패널들(21, 22)을 어느 정도로 돌출시킬지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다른 예로, 제2 메인 링크(120)는 전술한 가이드 핀에 의해 도어 프레임(10)에 회전 및 선형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메인 링크(120)를 장착한 다른 도어 패널(22)은 도어 프레임(10)에 대해 회전하면서 선형 이동함에 따라 개폐 동작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econd
기어 구조체(130)는 제1 메인 링크(110)와 제2 메인 링크(120)를 상호 간에 양방향으로 접철 가능하게 연계시키되 동일 각도로 접철 가능하게 연계시킨다. 기어 구조체(130)는 케이싱(131)과, 제1 메인 베벨기어(132)와, 제2 메인 베벨기어(133)와, 제1 서브 베벨기어(134)와, 제2 서브 베벨기어(135)를 포함한다.The
케이싱(131)은 내부 공간에 제1,2 메인 베벨기어(132, 133)와 제1,2 서브 베벨기어(134, 135)를 수용한 상태로 각각 회전 지지한다. 케이싱(131)은 제1,2 메인 베벨기어(132, 133)와 제1,2 서브 베벨기어(134, 135)의 각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축받이를 구비할 수 있다.The
제1 메인 베벨기어(132)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케이싱(131) 내에 지지된 상태로 제1 메인 링크(110)의 한쪽 단부에 고정된다. 제1 메인 베벨기어(132)는 도어 패널(21)의 개폐 동작에 따른 제1 메인 링크(11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한다.The first
제2 메인 베벨기어(133)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케이싱(131) 내에 지지된 상태로 제2 메인 링크(120)의 한쪽 단부에 고정된다. 제2 메인 베벨기어(133)는 도어 패널(22)의 개폐 동작에 따른 제2 메인 링크(12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한다. 제1,2 메인 베벨기어(132, 133)는 동일한 구성으로 쌍을 이룰 수 있다.The second
제1,2 서브 베벨기어(134, 135)는 제1,2 메인 베벨기어(132, 133) 간에 서로 반대 방향의 회전 운동을 전달하도록 제1,2 메인 베벨기어(132, 133)와 각각 치합되어 상호 간에 동축으로 고정된 상태로 케이싱(13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The first and second sub-bevel gears 134 and 135 are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제1 메인 베벨기어(132)가 도어 패널(21)의 회전 동작에 따라 제1 메인 링크(110)에 의해 회전하면, 제1 서브 베벨기어(134)는 제1 메인 베벨기어(132)의 회전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제2 서브 베벨기어(135)를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제2 서브 베벨기어(135)는 제2 메인 베벨기어(133)를 제1 메인 베벨기어(132)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When the first
그에 따라, 제2 메인 링크(120)는 제1 메인 링크(11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메인 링크(110)와 동일 각도로 접철 동작한다. 그 결과, 도어 패널들(21, 22)은 상호 간에 양방향으로 동일 각도로 접철 가능하게 연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또한, 제2 메인 베벨기어(133)가 다른 도어 패널(22)의 회전 동작에 따라 제2 메인 링크(120)에 의해 회전하면, 제2 서브 베벨기어(135)는 제2 메인 베벨기어(133)의 회전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제1 서브 베벨기어(134)를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제1 서브 베벨기어(134)는 제1 메인 베벨기어(132)를 제2 메인 베벨기어(133)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그에 따라, 제1 메인 링크(110)는 제2 메인 링크(12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 메인 링크(120)와 동일 각도로 접철 동작한다. 그 결과, 도어 패널들(21, 22)은 상호 간에 양방향으로 동일 각도로 접철 가능하게 연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제1,2 서브 베벨기어(134, 135)는 제1,2 메인 베벨기어(132, 133) 사이에서 동축으로 연결된 부위가 케이싱(131) 내의 축받이에 끼워져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1,2 서브 베벨기어(134, 135)는 동일한 구성으로 쌍을 이룰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ub-bevel gears 134 and 135 may be supported so that a portion coaxially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추가 양상으로, 다른 도어 패널(22)은 서브 링크기구(140)에 의해 도어 프레임(10)에 연결될 수 있다. 서브 링크기구(140)는 서브 링크(141)와, 기어(142)와, 기어 링크(143)와, 가이드 브래킷(144)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링크(141)는 다른 도어 패널(22)의 한쪽 면에 고정된다.In a further aspect, the
기어(142)는 서브 링크(141)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기어(142)는 평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어 링크(143)는 한쪽 단이 도어 프레임(10)에 힌지 결합되고, 다른 쪽 단에 기어부(143a)가 형성된다. 기어부(143a)는 기어(142)와 치합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 브래킷(144)은 한쪽 부위가 기어(142)의 중심에 힌지 결합되고 다른 쪽 부위가 기어부(143a)의 중심에 힌지 결합된다.The
서브 링크(141)와 기어 링크(143)는 기어(142)와 기어부(143a)가 치합된 상태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동일 각도로 양방향으로 접철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도어 패널(22)은 개폐 동작시 서브 링크기구(140)에 의해 도어 프레임(10)에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The sub-link 141 and the
추가 양상으로, 링크 조립체(100)는 도어 패널(21, 22)을 탄성력에 의해 폐쇄 상태로 유지시키는 폐쇄유지기구(150)를 포함할 수 있다. 폐쇄유지기구(150)는 제1 승강체(151)와, 제1 승강 받침대(152)와, 제2 승강체(153)와, 제2 승강 받침대(154)와, 승강 가이드(155)와, 제1 스프링(158a)과, 제2 스프링(158b)을 포함할 수 있다.In a further aspect, the
제1 승강체(151)는 제1 메인 베벨기어(132)와 동축으로 마주하는 부위에 한 쌍의 제1 승강 안내돌기(151a)들이 좌우 대칭되게 형성된다. 제1 승강체(151)가 제1 메인 베벨기어(132)의 상측에 배치된 기준으로, 제1 승강 안내돌기(151a)는 양쪽 면이 각각 하향 경사지는 형태, 예컨대 대략 V자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승강 안내돌기(151a)들은 그 사이에 대략 V자 형태로 함몰된 홈들을 가질 수 있다. 제1 승강 안내돌기(151a)들은 각 돌출된 하단이 편평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제1 승강 받침대(152)는 도어 패널(21)의 폐쇄 위치에서 제1 승강 안내돌기(151a)들을 안착시키고 도어 패널(21)의 개폐 동작시 제1 승강 안내돌기(151a)들을 승강 안내함에 따라 제1 승강체(151)를 승강시키는 제1 승강 안내홈(152a)들을 갖는다. 제1 승강 받침대(152)는 제1 메인 베벨기어(132)에 동축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제1 승강 받침대(152)는 제1 메인 베벨기어(132)와 함께 회전한다.As the
제1 승강 받침대(152)가 제1 승강체(151)의 하측에 배치된 기준으로, 제1 승강 안내홈(152a)들은 제1 승강 받침대(152)의 상단에 좌우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승강 안내홈(152a)은 바닥 부위를 중심으로 양쪽 면이 경사진 형태, 예컨대 대략 V자 형태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승강 안내홈(152a)들은 그 사이에 대략 V자 형태로 돌출된 돌기들을 가질 수 있다. 제1 승강 안내홈(152a)은 도어 패널(21)의 양방향 개폐 동작시 경사면에 의해 제1 승강 안내돌기(151a)를 승강 안내한다.Based on the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패널(21)이 앞쪽 또는 뒤쪽으로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동하여 제1 승강 받침대(152)가 회전하면, 제1 승강 안내돌기(151a)가 제1 승강 안내홈(152a)의 경사면을 따라 상승 안내된다. 이와 반대로, 도어 패널(21)이 앞쪽 또는 뒤쪽으로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회동하여 제1 승강 받침대(152)가 회전하면, 제1 승강 안내돌기(151a)가 제1 승강 안내홈(152a)의 경사면을 따라 하강 안내된다.That is, as shown in Figs. 4 and 5, when the
제1 승강 안내홈(152a)의 경사 각도는 제1 승강 안내돌기(151a)의 경사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승강 안내홈(152a)은 제1 승강 안내돌기(151a)를 완전히 끼운 상태에서 양쪽 면이 제1 승강 안내돌기(151a)의 양쪽 면과 고르게 맞닿을 수 있다. 즉, 제1 승강 안내홈(152a)은 도어 패널(21)의 폐쇄 위치시 제1 승강 안내돌기(151a)와 맞물린다. 이때, 제1 승강체(151)의 홈은 제1 승강 받침대(152)의 돌기와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제1 승강 안내돌기(151a)가 제1 승강 안내홈(152a)에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elevating
또한, 제1 승강 안내홈(152a)들은 각 바닥이 편평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승강 안내돌기(151a)는 제1 승강 안내홈(152a)에 완전히 끼워진 상태에서 제1 승강 안내홈(152a)의 바닥 부위에 면접촉되어 안착될 수 있다. 제1 승강 안내홈(152a)들은 상호 연결되는 상단 부위가 편평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승강 안내돌기(151a)는 제1 승강 안내홈(152a)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상태에서 제1 승강 안내홈(152a)들의 상단 연결 부위에 면접촉되어 안착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제2 승강체(153)는 제2 메인 베벨기어(133)와 동축으로 마주하는 부위에 한 쌍의 제2 승강 안내돌기(153a)들이 좌우 대칭되게 형성된다. 제2 승강체(153)는 제1 승강체(151)와 동일한 구성으로 쌍을 이룰 수 있다.In the
제2 승강 받침대(154)는 도어 패널(22)의 폐쇄 위치에서 제2 승강 안내돌기(153a)들을 안착시키고 도어 패널(22)의 개폐 동작시 제2 승강 안내돌기(153a)들을 승강 안내함에 따라 제2 승강체(153)를 승강시키는 제2 승강 안내홈(154a)들을 갖는다. 제2 승강 받침대(154)는 제2 메인 베벨기어(133)에 동축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제2 승강 받침대(154)는 제2 메인 베벨기어(133)와 함께 회전한다.As the
제2 승강 받침대(154)가 제2 승강체(153)의 하측에 배치된 기준으로, 제2 승강 안내홈(154a)들은 제2 승강 받침대(154)의 상단에 좌우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승강 받침대(154)는 제1 승강 받침대(152)와 동일한 구성으로 쌍을 이룰 수 있다.Based on the
승강 가이드(155)는 제1,2 승강체(151, 153)의 승강을 안내한다. 승강 가이드(155)는 제1,2 가이드 샤프트(156a, 156b)와, 가이드 케이스(15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샤프트(156a)는 제1 메인 베벨기어(132)에 동축되어 고정된 상태로 제1 승강 받침대(152)와 제1 승강체(151)를 관통함으로써, 제1 승강체(151)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드 샤프트(156a)는 제1 스프링(158a)을 끼워서 지지할 수 있다.The lifting
제2 가이드 샤프트(156b)는 제2 메인 베벨기어(133)에 동축되어 고정된 상태로 제2 승강 받침대(154)와 제2 승강체(153)를 관통함으로써, 제2 승강체(153)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이드 샤프트(156b)는 제2 스프링(158b)을 끼워서 지지할 수 있다.The
제1,2 승강 받침대(152, 154)의 각 관통홀은 육각형 단면을 가지며, 제1,2 승강체(151, 153)의 각 관통홀은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2 가이드 샤프트(156a, 156b)는 제1,2 승강 받침대(152, 154)의 각 관통홀을 끼우는 부위가 육각 단면을 갖고, 제1,2 승강체(151, 153)의 각 관통홀을 끼우는 부위가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2 가이드 샤프트(156a, 156b)는 제1,2 승강 받침대(152, 154)와 함께 회전 동작하고, 제1,2 승강체(151, 153)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Each of the through holes of the first and
가이드 케이스(157)는 케이스 베이스(157c)로부터 제1,2 포켓(157a, 157b)이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싱(131)의 상부가 개구된 경우, 케이스 베이스(157c)는 제1,2 포켓(157a, 157b)이 상측에 배치된 상태로 케이싱(131)의 상부 개구를 덮도록 장착될 수 있다.The
제1 포켓(157a)은 내부 공간을 갖고 상하가 개구된 형태로 제1 승강 받침대(152)와 제1 승강체(151)를 수용한다. 제1 승강체(151)는 바깥 둘레에 복수의 슬라이드 끼움편(151b)들이 방사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The
제1 포켓(157a)은 내벽에 제1 승강체(151)의 슬라이드 끼움편(151b)들을 상하 방향으로 끼우는 슬라이드 끼움홈들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승강체(151)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제한된 상태로 제1 포켓(157a)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만 승강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The
제2 포켓(157b)은 내부 공간을 갖고 상하가 개구된 형태로 제2 승강 받침대(154)와 제2 승강체(153)를 수용한다. 제2 승강체(153)는 바깥 둘레에 복수의 슬라이드 끼움편(153b)들이 방사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The
제2 포켓(157b)은 내벽에 제2 승강체(153)의 슬라이드 끼움편(153b)들을 상하 방향으로 끼우는 슬라이드 끼움 홈들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승강체(153)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제한된 상태로 제2 포켓(157b)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만 승강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The
도어 패널들(21, 22)은 상호 인접한 부위에 회전축부재(30)를 각각 장착할 수 있다. 회전축부재(30)들은 동일한 형태로 쌍을 이룰 수 있다. 제1,2 가이드 샤프트(156a, 156b)는 회전축부재(30)들에 각각 수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케이스(157)의 제1,2 포켓(157a, 157b)은 회전축부재(30)들에 각각 수용될 수 있다.Each of the
제1 스프링(158a)은 제1 승강체(151)를 제1 승강 받침대(152)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제1 승강체(151)에 탄성력을 가한다. 제1 스프링(158a)은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승강체(151)가 제1 승강 받침대(152)의 상측에 배치된 기준으로, 제1 스프링(158a)은 제1 가이드 샤프트(156a)에 끼워져 제1 승강체(15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마감 너트(150a)가 제1 가이드 샤프트(156a)의 상단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제1 스프링(158a)의 상하단이 제1 승강체(151)와 마감 너트(150a)에 의해 지지되게 할 수 있다. 제1 스프링(158a)은 제1 가이드 샤프트(156a)와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제1 스러스트 베어링(159a)은 제1 스프링(158a)과 제1 승강체(151) 간의 상대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The closing
이에 따라, 제1 스프링(158a)은 도어 패널(21)의 개방 동작시 제1 승강체(151)의 상승에 따라 탄성 변형되어 제1 승강체(151)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패널(21)은 외력이 가해져 개방된 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되면, 제1 스프링(158a)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폐쇄 동작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또한, 제1 승강 안내돌기(151a)는 제1 승강 안내홈(152a)에 완전히 끼워진 상태에서 제1 스프링(158a)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승강 안내홈(152a)의 바닥 부위에 가압되어 밀착됨으로써, 도어 패널(21)을 폐쇄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levating
한편, 제1 승강 안내돌기(151a)는 제1 승강 안내홈(152a)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상태에서 제1 스프링(158a)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승강 안내홈(152a)들의 상단 연결 부위에 가압되어 밀착됨으로써, 도어 패널(21)을 개방 상태로 유지시킬 수도 있다.Meanwhile, the first elevating
제2 스프링(158b)은 제2 승강체(153)를 제2 승강 받침대(154)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제2 승강체(153)에 탄성력을 가한다. 제2 스프링(158b)은 제1 스프링(158a)과 동일하게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승강체(153)가 제2 승강 받침대(154)의 상측에 배치된 기준으로, 제2 스프링(158b)은 제2 가이드 샤프트(156b)에 끼워져 제2 승강체(15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마감 너트(150b)가 제2 가이드 샤프트(156b)의 상단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제2 스프링(158b)의 상하단이 제2 승강체(153)와 마감 너트(150b)에 의해 지지되게 할 수 있다. 제2 승강체(153)는 제2 스러스트 베어링(159b)에 의해 제2 스프링(158b)에 지지될 수 있다.The closing
추가 양상으로,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링크 조립체(100)는 도어 패널들(21, 22)이 나란히 펼쳐진 상태에서 도어 패널들(21, 22) 간의 접힘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잠금기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잠금기구(160)는 서포트 하우징(161)과, 회전 레버(162)와, 잠금바(163)와, 운동변환기(164)를 구비할 수 있다.In a further aspect, referring again to FIGS. 1 to 3, the
서포트 하우징(161)은 도어 패널들(21, 22) 사이, 즉 회전축부재(30)들 사이에 배치된다. 서포트 하우징(161)은 회전축부재(30)들과 각각 맞닿는 부위가 오목 홈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오목 홈들은 회전축부재(30)들의 각 곡률 반경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짐으로써, 회전축부재(30)들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안정되게 회전 지지할 수 있다.The
서포트 하우징(161)은 회전 레버(162)와 잠금바(163)와 운동변환기(164)를 장착하는 역할뿐 아니라, 회전축부재(30)들 사이의 공간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한다.The
회전 레버(162)는 서포트 하우징(16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어 패널들(21, 22)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하는 경우, 회전 레버(162)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서포트 하우징(161)에 지지될 수 있다. 회전 레버(162)는 사용자가 손으로 쥐고서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The
잠금바(163)는 기어 구조체(130)를 관통해서 도어 프레임(10)에 대해 인출입하도록 서포트 하우징(161)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선형 왕복한다. 링크 조립체(100)가 도어 패널들(21, 22)의 상,하면에 각각 채용되는 경우, 잠금바(163)는 2개로 구비되어 각각 상하 방향으로 선형 왕복하면서 해당 기어 구조체(130)를 관통하여 도어 프레임(10)에 인출입할 수 있다. 잠금바(163)들은 동일 축상으로 배치되어 서포트 하우징(161) 내에 선형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The locking
잠금바(163)는 도어 패널들(21, 22)이 나란히 펼쳐진 상태에서 도어 프레임(10)에 대한 인입시 제1,2 메인 링크(110, 120)의 회전을 차단함으로써, 도어 패널들(21, 22)을 잠금 처리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잠금바(163)는 도어 프레임(10)에 대한 인출시 제1,2 메인 링크(110, 120)의 회전을 허용함으로써, 도어 패널들(21, 22)을 해제 처리할 수 있다. The locking
운동변환기(164)는 서포트 하우징(161) 내에서 회전 레버(162)의 회전 운동을 잠금바(163)의 선형 운동으로 변환한다. 일 예로, 운동변환기(164)는 피니언 기어(164a)와, 랙기어(164b)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피니언 기어(164a)는 회전 레버(162)의 회전 중심부에 동일 축상으로 고정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회전 레버(162)의 회전 동작에 따라 함께 회전한다.The
랙기어(164b)들은 피니언 기어(164a)에 치합된 상태로 피니언 기어(164a)의 회전에 따라 잠금바(163)들의 선형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도록 배치되어 잠금바(163)들에 각각 연결된다. 랙기어(164b)들은 피니언 기어(164a)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호 이격되거나 근접되도록 형성된다.The rack gears 164b are arranged to move linearly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inear movement direction of the locking bars 163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따라서, 회전 레버(162)의 회전 동작에 따라 잠금바(163)들이 도어 프레임(10)에 대해 동시에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운동변환기(164)는 전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범주에서 공지의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locking bars 163 may be simultaneously inserted or removed from the
전술한 링크 조립체(100)의 작용 예에 대해,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패널들(21, 22)은 좌우측에 배치되어 도어 프레임(10)의 내부 공간을 닫도록 펼쳐지고 잠금기구(160)에 의해 해제된 상태로 대기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내 공간에서 도어 패널들(21, 22) 중 어느 하나를 당기거나, 실외 공간에서 도어 패널들(21, 22) 중 어느 하나를 민다.As shown in FIG. 6, the
사용자가 좌측의 도어 패널(21)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면, 제1 메인 링크(110)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받는다. 그러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메인 링크(110)는 롤러기구(101)를 매개로 도어 프레임(10)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우측으로 선형 이동한다. When the user rotates the
그에 따라, 제1 메인 베벨기어(13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제1 서브 베벨기어(134)가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와 동시에, 제2 서브 베벨기어(135)가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제2 메인 베벨기어(13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Accordingly, the first
그러면, 제2 메인 링크(120)가 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받으면서 좌측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게 된다. 그에 따라, 제2 메인 링크(120)는 롤러기구(101)를 매개로 도어 프레임(10)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좌측으로 선형 이동함으로써, 다른 도어 패널(22)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제1,2 메인 링크(110, 120)는 기어 구조체(130)에 의해 동일 각도로 접히게 됨으로써, 도어 패널들(21, 22)이 동일 각도로 접힐 수 있게 한다.Then, the second
제1 메인 링크(110)가 반시계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메인 링크(110, 120)가 도어 프레임(10)에 직각으로 상호 접히게 되면, 도어 패널들(21, 22)은 상호 접힌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어 패널들(21, 22)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실내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효용성을 높일 수 있다.When the first
한편, 도어 패널들(21, 22)의 개방 과정에서, 폐쇄유지기구(140)의 제1,2 승강 받침대(152, 154)는 제1,2 메인 링크(110, 12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1,2 승강체(151, 153)는 제1,2 승강 받침대(152, 154)의 회전에 의해 제1,2 승강 안내돌기(151a, 153a)가 제1,2 승강 안내홈(152a, 154a)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1,2 스프링(158a, 158b)이 변형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of opening the
이 상태에서, 도어 패널(21)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제1,2 승강체(151, 153)는 제1,2 스프링(158a, 158b)의 탄성력에 의해 제1,2 승강 받침대(152, 154)에 밀착되면서 제1,2 승강 받침대(152, 154)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에 따라, 제1,2 메인 링크(110, 120)는 기어 구조체(130)의 작용으로 펼쳐지므로, 도어 패널들(21, 22)은 폐쇄 상태로 자동으로 복귀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다시, 도어 패널들(21, 22)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실내 공간에서 도어 패널들(21, 22) 중 어느 하나를 밀거나, 실외 공간에서 도어 패널들(21, 22) 중 어느 하나를 당긴다. 사용자가 좌측의 도어 패널(21)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면, 제1 메인 링크(110)는 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받는다.Again, in a state where the
그러면, 제2 메인 링크(120)는 기어 구조체(130)의 반대 방향 작용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받아 다른 도어 패널(22)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제1,2 메인 링크(110, 120)는 기어 구조체(130)에 의해 동일 각도로 접히게 됨으로써, 도어 패널들(21, 22)을 동일 각도로 접힐 수 있게 한다.Then, the second
제1 메인 링크(110)가 시계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메인 링크(110, 120)가 도어 프레임(10)에 직각으로 상호 접히게 되면, 도어 패널들(21, 22)은 상호 접힌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어 패널들(21, 22)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실내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효용성을 높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어 패널(21)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도어 패널들(21, 22)은 폐쇄유지기구(150)에 의해 폐쇄 상태로 자동으로 복귀하게 된다.When the first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조립체가 1짝의 도어 패널에 채용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11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link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air of door panels.
도 11을 참조하면, 링크 조립체(100)가 1짝의 도어 패널(21)에 설치되는 경우, 제1 메인 링크(110)는 도어 패널(21)의 한쪽 면 중 일부 영역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제2 메인 링크(120)는 제1 메인 링크(110)에 대해 일자로 펼쳐진 상태에서 도어 패널(21)의 한쪽 면 중 나머지 영역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메인 링크(110)는 도어 패널(21)에 고정되며, 제2 메인 링크(120)는 도어 패널(21)에 고정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11, when the
제2 메인 링크(120)는 도어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 메인 링크(120)는 롤러기구(101)에 의해 선형 이동하도록 지지될 수 있으나, 도어 프레임(10)에 힌지 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어 패널(21)은 제1,2 메인 링크(110, 120)가 기어 구조체(130)에 의해 상호 간에 양방향으로 접철 가능하게 연계되되 동일 각도로 접철 가능하게 연계됨으로써, 실내,외 양방향으로 개방 동작할 수 있다.The second
도 12는 링크 조립체가 3짝 이상의 도어 패널들에 채용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12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link assembly is employed in three or more pairs of door panels.
도 12를 참조하면, 링크 조립체는 추가 메인 링크(110')가 제1 메인 링크(110)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추가 메인 링크(110')는 전술한 기어 구조체(130)와 동일한 추가 기어 구조체(130')에 의해 제1 메인 링크(110)에 연결될 수 있다. 추가 메인 링크(110')는 롤러기구(101)에 의해 도어 프레임(10)에 회전 및 선형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in the link assembly, an additional
이 경우, 링크 조립체는 3짝의 도어 패널들(21, 22, 23)이 상호 접철 동작함에 따라 도어 프레임(10)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도록 3짝의 도어 패널들(21, 22, 23)에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ink assembly is connected to the three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링크 조립체는 4짝 이상의 도어 패널들에 대해서도 추가되는 도어 패널에 상응하여 추가 메인 링크와 추가 기어 구조체가 연결된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4짝의 도어 패널들이 상호 접철 동작함에 따라 도어 프레임(10)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link assembly consists of a configuration in which an additional main link and an additional gear structure are connected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door panel even for four or more door panels, so that the door frame (10) The inner space can be opened and closed.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only illustrativ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I will be able to.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도어 프레임 21, 22, 23..도어 패널
30..회전축부재 101..롤러기구
110..제1 메인 링크 120..제2 메인 링크
130..기어 구조체 131..케이싱
132..제1 메인 베벨기어 132..제2 메인 베벨기어
133..제1 서브 베벨기어 134..제2 서브 베벨기어
140..서브 링크기구 141..서브 링크
142..기어 143..기어 링크
150..폐쇄유지기구 151..제1 승강체
152..제1 승강 받침대 153..제2 승강체
154..제2 승강 받침대 157..가이드 케이스
158a..제1 스프링 158b..제2 스프링
160..잠금기구10..
30..
110..first
130..
132..1st
133..first
140..
142..gear 143..gear link
150..
152..
154..
158a..
160..lock mechanism
Claims (3)
도어 패널의 상,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고정된 상태로 도어 프레임에 회전 및 선형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메인 링크;
상기 제1 메인 링크와 인접하여 도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거나 다른 도어 패널의 한쪽 면에 고정된 상태로 도어 프레임에 회전 및 선형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메인 링크; 및
상기 제1 메인 링크와 제2 메인 링크를 상호 간에 펼쳐진 상태로부터 실내,외 양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연계시키되 동일 각도로 접힘 가능하게 연계시키는 것으로, 케이싱과,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케이싱 내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1 메인 링크의 한쪽 단부에 고정된 제1 메인 베벨기어와,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케이싱 내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2 메인 링크의 한쪽 단부에 고정된 제2 메인 베벨기어와, 상기 제1,2 메인 베벨기어 간에 서로 반대 방향의 회전 운동을 전달하도록 상기 제1,2 메인 베벨기어와 각각 치합되어 상호 간에 동축으로 고정된 상태로 상기 케이싱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1,2 서브 베벨기어를 구비하는 기어 구조체;
를 포함하는 양방향 도어용 링크 조립체.
As a link assembly for a two-way door that supports a door panel that opens and closes as the inner space of the door frame rotates around a vertical axis so as to open and close in both interior and exterior directions,
A first main link fixed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door panel and supported to rotate and linearly move to the door frame;
A second main link that is rotatably supported on a door frame adjacent to the first main link or is supported rotatably and linearly on the door frame while being fixed to one side of another door panel; And
The first main link and the second main link are connected so that they can be folded both indoors and outdoors from an unfolded state, but are folded at the same angle, and are supported in the casing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 vertical axis. A first main bevel gear fixed to one end of the first main link while being supported in the casing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 vertical axis and a second main bevel fixed to one end of the second main link The first and second main bevel gears are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main bevel gears to transmit rotational motions in opposite directions between the gears and the first and second main bevel gears, and are rotatably supported in the casing while being coaxially fixed to each other. A gear structure having 1,2 sub-bevel gears;
Link assembly for a two-way door comprising a.
상기 도어 패널을 탄성력에 의해 폐쇄 상태로 유지시키는 폐쇄유지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폐쇄유지기구는,
상기 제1 메인 베벨기어와 동축으로 마주하는 부위에 한 쌍의 제1 승강 안내돌기들이 좌우 대칭되게 형성된 제1 승강체와,
상기 도어 패널의 폐쇄 위치에서 상기 제1 승강 안내돌기들을 안착시키고 상기 도어 패널의 개폐 동작시 상기 제1 승강 안내돌기들을 승강 안내함에 따라 상기 제1 승강체를 승강시키는 제1 승강 안내홈들을 갖고 상기 제1 메인 베벨기어에 동축으로 고정된 제1 승강 받침대와,
상기 제2 메인 베벨기어와 동축으로 마주하는 부위에 한 쌍의 제2 승강 안내돌기들이 좌우 대칭되게 형성된 제2 승강체와,
상기 도어 패널의 폐쇄 위치에서 상기 제2 승강 안내돌기들을 안착시키고 상기 도어 패널의 개폐 동작시 상기 제2 승강 안내돌기들을 승강 안내함에 따라 상기 제2 승강체를 승강시키는 제2 승강 안내홈들을 갖고 상기 제2 메인 베벨기어에 동축으로 고정된 제2 승강 받침대와,
상기 제1,2 승강체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와,
상기 제1 승강체를 상기 제1 승강 받침대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승강체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1 스프링과,
상기 제2 승강체를 상기 제2 승강 받침대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승강체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도어용 링크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And a closing mechanism for maintaining the door panel in a closed state by an elastic force;
The closing maintenance mechanism,
A first lifting body in which a pair of first lifting guide protrusions are formed to be symmetrically left and right at a portion coaxially facing the first main bevel gear,
Having the first lifting guide grooves for lifting the first lifting body by seating the first lifting guide protrusions in the closed position of the door panel and guiding the first lifting guide protrusions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panel. A first lifting support fixed coaxially to the first main bevel gear,
A second lifting body in which a pair of second lifting guide protrusions are formed to be symmetrically left and right at a portion coaxially facing the second main bevel gear,
In the closed position of the door panel, the second lifting guide protrusions are seated and the second lifting guide protrusions are guided by lifting the second lifting guide protrusions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panel. A second elevating support fixed coaxially to the second main bevel gear,
A lifting guide for guiding the lifting of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bodies,
A first spring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first lifting bod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lifting bod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lifting support;
And a second spring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second lifting bod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lifting bod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lifting support.
상기 제2 메인 링크는 다른 도어 패널의 한쪽 면에 고정되고;
도어 패널들이 나란히 펼쳐진 상태에서 도어 패널들 간의 접힘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잠금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기구는,
도어 패널들 사이에 배치되는 서포트 하우징과, 상기 서포트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레버와, 상기 기어 구조체를 관통해서 상기 도어 프레임에 대해 인출입하도록 상기 서포트 하우징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선형 왕복하는 잠금바와, 상기 서포트 하우징 내에서 상기 회전 레버의 회전 운동을 상기 잠금바의 선형 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도어용 링크 조립체.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main link is fixed to one side of the other door panel;
It includes a locking mechanism that blocks or allows folding between the door panels in a state where the door panels are spread side by side,
The locking mechanism,
A support housing disposed between the door panels, a rotation lever rotatably supported by the support housing, and a locking linearly reciproc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upport housing so as to pass through the gear structure and draw in/out to the door frame And a motion transducer converting a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tion lever into a linear motion of the locking bar in the support hou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6310 | 2020-02-11 | ||
KR20200016310 | 2020-02-1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48393B1 true KR102148393B1 (en) | 2020-08-26 |
Family
ID=72293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4772A Active KR102148393B1 (en) | 2020-02-11 | 2020-02-28 | Link assembly for inward-and-outward opening do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8393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6790B1 (en) * | 2018-07-17 | 2019-04-08 | 박태민 | Link assembly for inward-and-outward opening door |
-
2020
- 2020-02-28 KR KR1020200024772A patent/KR10214839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6790B1 (en) * | 2018-07-17 | 2019-04-08 | 박태민 | Link assembly for inward-and-outward opening do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007260B (en) | Louver rotating mechanism | |
KR100721455B1 (en) | System window opening and closing device | |
JP2790792B2 (en) | Window openers | |
EP2578788B1 (en) | Paneled partition having a retractable extension | |
CN103703204A (en) | Sliding folding door system | |
KR101874013B1 (en) | Folding Door System | |
US8191312B2 (en) | Automatic revolving door having foldable rotary wings | |
KR20100051538A (en) | Multipurpose fittings | |
KR102148393B1 (en) | Link assembly for inward-and-outward opening door | |
KR101169607B1 (en) | The safety door | |
SU1480752A3 (en) | Dumb-waiter table | |
KR101966790B1 (en) | Link assembly for inward-and-outward opening door | |
KR102103227B1 (en) | Apparatus for Roof Top Tent POP-UP | |
KR102602330B1 (en) | Folding door | |
KR102190472B1 (en) | Link assembly for inward-and-outward opening door | |
KR102754843B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A Folding Door | |
KR200396496Y1 (en) | Sliding device of folding door | |
JP3817653B2 (en) | Folding door | |
KR102056327B1 (en) | Multi-stage opening and closing door | |
KR20120025296A (en) | Folding device for folding door | |
CN220267180U (en) | Curtain wall construction platform | |
JP4469147B2 (en) | Sash that can be folded and folded | |
CN118531933B (en) | Modularized assembled movable partition device | |
CN221476851U (en) | Folding table assembly, seat and vehicle | |
KR20170014354A (en) | Inward-and-outward opening door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4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8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