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456B1 - Method for controlling of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 discharge in non-rechargeble lithium batteries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of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 discharge in non-rechargeble lithium batteri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6456B1 KR102146456B1 KR1020180028039A KR20180028039A KR102146456B1 KR 102146456 B1 KR102146456 B1 KR 102146456B1 KR 1020180028039 A KR1020180028039 A KR 1020180028039A KR 20180028039 A KR20180028039 A KR 20180028039A KR 102146456 B1 KR102146456 B1 KR 1021464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cell
- mode
- overdischarge
- blocking device
- control metho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6—Overdischarge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과방전 차단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출원의 일 측면에 따르면, 1차 리튬 단위 전지 특유의 초기전압지연현상을 고려하여 무조건 일정 시간 대기하는 기존의 기계적 방식과 달리, 단위 전지의 전순기(생산 후 보관, 사용 및 폐기)동안 잔여용량을 연속적으로 예측하고, 예측된 잔여 용량과 기준용량을 비교하여, 단위 전지의 초기전압지연현상 해소 여부를 판단하고, 초기전압지연현상이 해소되면 단위 전지의 출력 전압을 김사하며, 감시된 출력 전압에 따라 단위 전위와 부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단위 전지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과방전 및 이로 인한 파열/폭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n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an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unit battery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mechanical method that waits unconditionally for a certain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initial voltage delay characteristic of the primary lithium unit battery. During the pre-production period (storage, use and disposal after production), the remaining capacity is continuously predicted, and the estimated residual capacity and the reference capacity are compared to determine whether the initial voltage delay phenomenon of the unit cell is resolved, and the initial voltage delay phenomenon is When it is resolved, the output voltage of the unit cell is measured, and by generating an output signal that selectively blocks the unit potential and load according to the monitored output voltage, over-discharge caused by excessive use of the unit cell and the resulting burst/explosion acciden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Description
본 출원은 과방전 차단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n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단위 전지, 예를 들어, 1차 리튬 단위전지의 경우, 사용자의 과도한 사용으로 과방전(Over-discharge) 발생 및 이에 의한 파열/폭발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1차 리튬 단위전지에는 저가 생산 및 판매의 이유로, 안정성 확보를 위한 과방전 차단 장치를 적용하지 않거나, 적용하더라도 기존의 과방전 차단 장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진다. In the case of a unit battery, for example, a primary lithium unit battery, there is a problem that over-discharge occurs due to excessive use of a user and a burst/explosion accident occurs. However, for reasons of low-cost production and sales, such a primary lithium unit battery does not apply an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for securing stability, or even if it is applied, the existing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has various problems.
도 1은 1차 리튬 단위전지의 구간별 방전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 구간은 초기전압지연현상 구간이고, b 구간은 정상적인 방전 구간이며, c 구간은 종지 전압을 지나 급속도로 과방전되는 종지 구간이다.1 is a diagram showing discharge characteristics for each section of a primary lithium unit battery. In FIG. 2, section a is an initial voltage delay section, section b is a normal discharge section, and section c is a ending section in which over-discharge rapidly passes through the end voltage.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과방전 차단 장치는 1차 리튬 단위전지의 고유 특성인 초기전압지연(Initial Voltge Delay)현상 을 고려하였고, 전자 회로 동작 개념이 아닌 차단 전압(Cut-off Voltage 또는 종지 전압) 도달 시 일정시간 대기후 동작하는 방식으로 구동되었다. 다시 말해, 기존의 과방전 차단 장치는 도 2의 a, b, c 구간을 구분하지 않고 설계되기 때문에, 초기 전압 지연 현상을 고려한 대기시간을 무조건적으로 적용하였다. 그러나, 무조건 일정시간을 대기하는 기계적인 판단방식(FET 소자 또는 IC 소자 사용)은 단위 전지의 과방전에 의해 파열/폭발 사고가 발생할 때, 과방전 차단 장치가 적정 반응 속도 내로 작동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이는 2차 안전사고를 초래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conventional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considers the initial voltage delay (Initial Voltge Delay), a characteristic characteristic of the primary lithium unit battery, and the cut-off voltage or stop voltage, not the electronic circuit operation concept. When the voltage) is reached, it is driven in a way that operates after waiting for a certain time. In other words, since the conventional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is designed without dividing the sections a, b, and c of FIG. 2, the waiting time considering the initial voltage delay phenomenon was unconditionally applied. However, the mechanical judgment method (using FET element or IC element) that waits unconditional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a problem that the overdischarge cutoff device does not operate within an appropriate reaction rate when a burst/explosion accident occurs due to overdischarge of a unit cell. However, this leads to a secondary safety accident.
본 출원은 단위 전지의 잔여 용량을 예측된 잔여 용량과 기준 용량을 비교하고, 단위 전지의 출력 전압 감시 여부를 판단하며, 감시된 단위 전지의 출력 전압에 따라, 단위 전지와 부하를 영구적으로 차단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단위 전지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단위 전지의 과방전 발생 및 이로 인한 파열/폭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과방전 차단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상기 제어 방법으로 구성된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This application compares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unit cell with the predicted remaining capacity and the reference capacity, determines whether to monitor the output voltage of the unit cell, and permanently cuts off the unit cell and the load according to the monitored output voltage of the unit cell. By generating an output signal,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of an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overdischarge of the unit cell due to excessive use of the unit cell and rupture/explosion caused by the unit cell, and software configured with the control method.
본 출원은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위 전지의 과방전 차단 장치에 있어서, 단위 전지의 초기 전류값을 보정값으로 저장하여 과방전 차단 장치를 초기화하는 제0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보정값 저장이 완료되면, 전류 적산법을 이용하여 예측된 단위 전지의 잔여 용량과 기준 용량을 비교하는 제 1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단위 전지의 잔여 용량이 기준 용량 이상인 경우, 단위 전지의 출력 전압을 감시하고, 감시된 출력 전압이 종지 전압에 도달 시 방전상태로 판단하는 제 2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및 방전 상태로 판단되면, 단위 전지와 부하를 영구적으로 차단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 3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방전 차단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n overdischarge cutoff device of a unit cell that supplies power to a load, the step of performing a zeroth mode of initializing the overdischarge cutoff device by storing an initial current value of the unit cell as a correction value, and the correction value When the storage is complete, performing a first mode comparing the estimated remaining capacity of the unit cell with the reference capacity using the current integration method, and monitor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unit cell when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unit cel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capacity And, when the monitored output voltage reaches the end voltage, the second mode is determined as a discharge state, and if the discharge state is determined, a third mode is performed to generate an output signal that permanently blocks the unit battery and the load. It provides a control method of an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본 출원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과방전 차단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은, 1차 리튬 단위 전지 특유의 초기전압지연현상을 고려하여 무조건 일정 시간 대기하는 기존의 기계적 방식과 달리, 단위 전지의 전순기(생산 후 보관, 사용 및 폐기)동안 잔여용량을 연속적으로 예측하고, 예측된 잔여 용량과 기준용량을 비교하여, 단위 전지의 초기전압지연현상 해소 여부를 판단하고, 초기전압지연현상이 해소되면 단위 전지의 출력 전압을 감시하며, 감시된 출력 전압에 따라 단위 전위와 부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단위 전지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과방전 및 이로 인한 파열/폭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overdischarge cut-off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unlike the conventional mechanical method in which an unconditional waiting period is performed for a certain time in consideration of an initial voltage delay characteristic of a primary lithium unit battery, After production, storage, use and disposal) continuously predicts the remaining capacity, compares the predicted remaining capacity and the reference capacity to determine whether the initial voltage delay of the unit cell is resolved, and when the initial voltage delay is resolved, the unit cell It monitors the output voltage of the unit and generates an output signal that selectively cuts off the unit potential and the load according to the monitored output voltage, thereby preventing overdischarge caused by excessive use of the unit cell and resulting burst/explosion accidents. can do.
도 1은 일반적인 1차 리튬 단위 전지의 방전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0 내지 3 모드를 수행하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다.
도 3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출원의 제0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출원의 제1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출원의 제2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출원의 과방전 장치의 활성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출원의 과방전 차단 장치의 과전류 발생/해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출원의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과방전 차단 장치의 구성 부품인 능동 제어 소자의 구성도이다.1 is a diagram showing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a general primary lithium unit battery.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application for performing the 0th to 3rd modes.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 of performing a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 of performing a first mod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 and 6 are flowcharts illustrating steps of performing a second mod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ctivation step of the overdischarge dev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n overcurrent is generated/released by the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9 is a block diagram of an active control element, which is a component of an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to which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ppli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본 출원은 과방전 차단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제어 방법은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방법일 수 있고,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위 전지의 과방전 차단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과방전 차단 장치는 능동 제어 소자로 구성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8비트의 마이크로 컴퓨터(micro computer, MCU)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과방전 차단 장치의 구성부품인 능동 제어 소자는 잔여 용량 예측부, 종지 전압 감시부, 시간 계수부 및 메모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n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An exemplary control method may be a control method executed by software, and may be applied to an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of a unit battery that supplies power to a load. The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may be composed of an active control element, and specifically, may be an 8-bit microcomputer (MCU). Referring to FIG. 9, the active control element, which is a component of the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may include a residual capacity prediction unit, an end voltage monitoring unit, a time counting unit, and a memory unit.
구체적으로, 상기 잔여 용량 예측부는 과방전 차단 장치의 전자 소자에서 측정된 입력값을 아날로그 비교기를 통해 ADC 비교기로 단위 전지의 잔여 용량을 예측하는 구성부이고, 상기 종지 전압 감시부는 과방전 차단 장치의 전자소자에서 측정된 입력값(단위 전지의 출력 전압)이 기준값(종지 전압)에 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감시하는 구성부이며, 상기 시간 계수부는 과방전 차단 장치를 통해 단위전지의 단위 전지의 운용 시간을 계수하는 구성부이고, 메모리부는 운용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부이다.Specifically, the residual capacity prediction unit is a component for predicting the residual capacity of the unit cell by using an ADC comparator through an analog comparator using an input value measured by an electronic element of the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and the end voltage monitoring unit A component that monitors whether the input value (output voltage of the unit cell) measured in the electronic device has reached the reference value (termination voltage), and the time counting unit is the operating time of the unit cell of the unit cell through the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Is a configuration unit that counts, and the memory unit is a configuration unit that stores operation information.
본 출원의 예시적인 제어 방법은 잔여 용량 예측부, 종지 전압 감시부, 시간 계수부 및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과방전 차단 장치의 구성부품인 능동 소자에 적용될 수 있다.The exemplary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applied to an active element that is a component of an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including a residual capacity estimation unit, an end voltage monitoring unit, a time counting unit, and a memory unit.
이하, 첨부한 소프트웨어적인 능동 제어 소자의 동작 순서도를 참고로 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출원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순서도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n operation flowchart of the attached software active control element so that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it. However,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lowchart,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2 내지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출원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2 는 제0 내지 3 모드를 수행하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다. 도 3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출원의 제0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출원의 제1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출원의 제2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2 to 8 are diagrams illustrating a flow chart of a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Specifically, FIG. 2 is a flow chart showing an exemplary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application performing the 0th to 3rd modes.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 of performing a
도 2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제어 방법은 제0 모드 내지 제3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100, S200, S300, S4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performing the 0th mode to the third mode (S100, S200, S300, S400).
구체적으로, 제0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100)는 단위 전지의 초기 전압값을 보정값으로 저장하여 과방전 차단 장치를 초기화하는 단계이고, 구체적으로, 과방전 차단 장치의 능동 제어 소자를 초기화하는 단계이다. 능동 제어 소자는 단위 전지와 부하가 연결되는 시점부터 단위 전지의 운용 시간을 계수하기 위한 계수기가 작동하는데, 상기 제0 모드는 능동 제어 소자의 계수기가 작동되는 최초 시점을 설정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tep of performing the 0th mode (S100) is a step of initializing the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by storing the initial voltage value of the unit cell as a correction value, and specifically, initializing the active control element of the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Step. In the active control element, a counter for counting the operating time of the unit cell is operated from the point when the unit cell and the load are connected, and the 0th mode may be a mode for setting an initial point in which the counter of the active control element is operated. .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제0 모드는 부하가 없는 조건에서 과방전 차단 장치의 구성부품인 능동 제어 소자의 입력값과 초기값의 차이가 '0'이 되도록 보정할 수 있다. 상기 보정값은 ADC 포트의 보정값으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에서 용어 「입력값」은 제0 내지 제3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요구되는 모든 운용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운용 정보는 예를 들어, 단위 전지의 초기 전류값, 소모 전류(또는 사용 전류), 전압(또는 전압차)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one embodiment, the 0th mode may be corrected so that a difference between an input value and an initial value of an active control element, which is a component of the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is '0' under no load condition. The correction value may be stored as a correction value of the ADC port. In the above, the term "input value" refers to all operation information required 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0th to the third mode,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for example, an initial current value of a unit battery, current consumption (or current consumption) , Voltage (or voltage differen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예에서, 제 0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100)는 과방전 차단 장치의 능동제어소자 입력값(아날로그 비교기에 의해 측정된 값)에 따라 2개의 ADC 포트 단자의 보정값을 저장(또는 기록)하고, 부하가 없을 경우, 2개의 ADC 포트의 전압값을 측정하여, 그 차이 값이 '0'이 되도록 보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 부하의 유무는 2개의 ADC 비교기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ADC 비교기의 출력이 0 인 경우, 부하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performing the 0th mode (S100) stores (or writes) the correction values of the two ADC port terminals according to the input value of the active control element (measured by the analog comparator) of the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 and if there is no load, the voltage values of the two ADC ports are measured and the difference value can be corrected to be '0'. In the abov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load can be determined using two ADC comparators. For example, if the output of two ADC comparators is 0,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re is no load.
도 3을 참조하면, 제0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100)는 단위 전지와 부하가 연결되면 소정의 대기 시간을 가진 후 입력값을 단위 전지의 초기 전압값으로 정할 수 있고, 단위 전지의 초기 전압값을 측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대기 시간은 10분일 수 있다 (S110). Referring to FIG. 3, 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0th mode (S100), when the unit cell and the load are connected, the input value may be determined as the initial voltage value of the unit cell after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A value can be measured, for example, the waiting time may be 10 minutes (S110).
일 구체예에서, 2개의 ADC 비교기의 보정값은 16 진수 기계어(Hex code)로 과방전 차단 장치의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는 예를 들어,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일 수 있다(S120).In one embodiment, the correction values of the two ADC comparators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of the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in hexadecimal machine code (Hex code). The memory unit may be, for example,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S120).
제0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100)는 제0 모드에서 ADC 비교기의 보정값 저장이 완료되면, 제1 모드가 설정되고(S130), 'B' 포트로 전환되어 제1 모드를 수행한다. 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0th mode (S100), when the storage of the correction value of the ADC comparator is completed in the 0th mode, the first mode is set (S130), and is switched to the'B' port to perform the first mode.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200)는 전류 적산법을 이용하여 예측된 단위 전지의 잔여 용량과 기준 용량을 비교하는 단계이다. Specifically, the step of performing the first mode (S200) is a step of comparing the estimated residual capacity of the unit battery and the reference capacity using the current integration method.
상기에서 용어 「기준 용량」은 단위 전지의 초기전압지연현상 해소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지표로서, 상기 기준 용량은 단위 전지의 공칭 용량 대비 20%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공칭 전압이 3.6V 인 1차 리튬 단위 전지의 기준 용량은 3Ah일 수 있다.In the above, the term ``reference capacity'' is an index for determining whether the initial voltage delay phenomenon of the unit cell is resolved, and the reference capacity may be 20% of the nominal capacity of the unit cell, for example, the nominal voltage is 3.6V. The reference capacity of the primary lithium unit battery may be 3Ah.
하나의 예시에서, 제1 모드는 예측된 단위 전지의 잔여 용량이 기준 용량 이상인 경우, 단위 전지의 초기전압지연 상태 해소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위 전지의 잔여 용량은 과방전 차단 장치의 구성부품에서 측정된 입력값(소모 전류 또는 전압)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용어 「초기전압지연 상태 해소」는 단위 전지가 초기전압지연 구간(도 1의 a구간)을 지나 정상방전구간(도 1의 b구간)에 도입되었을 때를 의미한다.In one example, in the first mode, when the predicted remaining capacity of the unit cel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capacity,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initial voltage delay state of the unit cell is resolved.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unit battery can be calculated from an input value (current consumption or voltage) measured by a component of the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In the above, the term "resolve the initial voltage delay state" means when the unit cell passes through the initial voltage delay section (section a in Fig. 1) and is introduced into the normal discharge section (section b in Fig. 1).
일 구체예에서, 제1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200)는 외부 아날로그 비교기의 입력값이 2개의 ADC 비교기를 통해 예측된 단위 전지의 잔여 용량이 기준 용량 이상인 경우, 예를 들어, 제1 모드에서 예측된 단위 전지의 잔여 용량이 단위 전지의 공칭 용량 대비 20% 이상, 15% 이상 또는 10% 이상일 때, 초기전압지연 상태 해소로 판단하고 제2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S220, S230). In one embodiment, 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first mode (S200), when the input value of the external analog comparat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capacity of the unit cell predicted through the two ADC comparators, for example, in the first mode. When the predicted residual capacity of the unit cell is 20% or more, 15% or more, or 10% or more of the nominal capacity of the unit cell, it is determined that the initial voltage delay state is resolved and the second mode may be performed (S220, S230).
하나의 예시에서, 제1 모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따라 입력값(소모 전류 또는 전압)으로 ADC 비교기에서 전류 적산법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시간 간격은 0.5초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S210). In one example, the first mode may perform a current integration method in the ADC comparator with an input value (current consumption or voltage) along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the time interval may be 0.5 seconds, but is not limited thereto. (S210).
예를 들어, 상기 제1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200)는 입력값(소모 전류)에 따라 ADC 비교기를 통해 출력값 시간을 적산하여 단위 전지의 잔여 용량을 추정할 수 있다(S210, S220). 상기에서 용어 「소모 전류 또는 사용 전류」는 과방전 차단 장치가 실장된 전자 회로의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의미하며, 상기 소모 전류는 능동제어소자의 입력값으로 분류된다.For example, 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first mode (S200),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unit battery may be estimated by integrating the output value time through the ADC comparator according to the input value (current consumption) (S210, S220). In the above, the term "consumption current or use current" means a current flowing through a resistance of an electronic circuit in which an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is mounted, and the consumption current is classified as an input value of an active control device.
구체적으로, 도4와 같이, 과방전 차단 장치의 전자회로에 흐르는 사용 전류가 100mA 이상이면, 'C-in'포트로 전환되고(S210), 도 6과 같이, 소모 전류를 소정 시간 동안 일정 시간 간격으로 기록하고(S211), 기록이 완료되면, 'C-out' 포트로 전환되어 단위 전지의 잔여 용량을 추정한다(S220).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when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lectronic circuit of the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is 100 mA or more, the port is switched to the'C-in' (S210), and as shown in FIG. 6, the current consumption is reduc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recording is performed at intervals (S211), and when the recording is completed, it is switched to the'C-out' port to estimate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unit battery (S220).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200)는 ADC 비교기의 출력값을 로우(Low) 또는 하이(High)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방전 차단 장치의 저항에서 측정된 소모 전류가 100mA 이하이면 로우(Low)로 설정하고, 100mA 이상이면 하이(High)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는 소모 전류가 하이(High)로 판단되고, 이때 2개의 ADC 출력값의 차이가 '0' 또는 '1'이면 100 mA로 연산하고,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ADC 출력값의 차이가 '2'이면 200mA로 연산할 수 있다. 제1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과방전 차단 장치의 외부 아날로그 비교기에 의한 입력값으로 2개의 ADC 비교기 출력값을 생성하여 상기 연산된 전류를 적산하고, 적산값으로부터 단위 전지의 잔여 용량에 예측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in performing the first mode (S200), an output value of the ADC comparator may be set to low or high. For example, if the current consumption measured by the resistance of the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is 100mA or less, it may be set to Low, and if it is 100mA or more, it may be set to High. 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first mode, the consumption current is determined to be high, and at this time,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ADC output values is '0' or '1', it is calculated as 100 mA,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ADC output values in the same way If is '2', it can be calculated as 200mA. 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first mode, two ADC comparator output values are generated as input values by an external analog comparator of the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the calculated current is accumulated, and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unit battery may be predicted from the accumulated value.
하나의 예시에서, 제1 모드는 출력값 차이가 '0'보다 큰 경우, 운용 시간과 적산값을 저장할 수 있다. In one example, when the output value difference is greater than '0', the first mode may store an operating time and an integrated value.
일 구현예에서, 단위 전지의 공칭 용량 대비 20% 소모(1차 리튬 전지의 경우, 3Ah) 시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S230). 예를 들어, 도 9의 능동 제어 소자는 1차 리튬 단위 전지의 잔여 용량이 3Ah까지 소진될 때까지 제1 모드를 유지하고, 3Ah 이상으로 소진되면 제2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20% of the nominal capacity of the unit cell is consumed (3 Ah in the case of a primary lithium battery), the first mode may be switched to the second mode (S230). For example, the active control element of FIG. 9 may maintain the first mode until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primary lithium unit battery is exhausted to 3Ah, and may perform the second mode when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primary lithium unit battery is exhausted to 3Ah or more.
제2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300)는 제1 모드에서 예측된 단위 전위의 잔여 용량이 기준 용량 이상인 경우, 제2 모드를 수행한다.In performing the second mode (S300 ), when the residual capacity of the unit potential predicted in the first mod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capacity, the second mode is performed.
제2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300)는 연속적으로 잔여 용량도 예측하고(S310), 단위 전지의 출력 전압을 감시하며(S320), 감시된 출력 전압이 종지 전압에 도달 시 방전 상태로 판단하는 제2 모드를 수행한다(S330). 상기에서 용어 「종지 전압」은 단위 전지의 허용 전압 또는 차단 전압을 의미하고, 상기 종지 전압은 단위 전지의 고유 값에 해당하며, 출력 전압이 종지 전압에 도달한 단위 전지는 급속도로 방전되는, 이른바 과방전 상태에 이를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리튬 단위 전지의 종지 전압은 2.0V 일 수 있다.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second mode (S300), the remaining capacity is continuously predicted (S310), the output voltage of the unit cell is monitored (S320), and the discharge state is determined when the monitored output voltage reaches the end voltage.
제2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300)는 과방전 차단 장치의 전자회로에 흐르는 소모 전류로부터 단위 전지의 출력 전압을 감시하고(S310), 단위 전지의 출력 전압이 종지 전압 이하로 감시된 경우, 소정 시간 간격을 따라 소정 횟수로 단위 전지의 출력 전압을 연속적으로 감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S320, S330). 상기 시간 간격 및 횟수는 예를 들어, 0.5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second mode (S300), the output voltage of the unit cell is monitored from the consumption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lectronic circuit of the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S310), and when the output voltage of the unit cell is monitored below the end voltage, a predetermined It may be provided to continuously monitor the output voltage of the unit cell at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long the time interval (S320, S330). The time interval and the number of times may be, for example, 0.5 second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일 구체예에서, 제2 모드에서 연속적으로 감시한 이후 과방전 차단 장치의 전자회로에서 측정된 입력값(단위 전지의 출력 전압)이 종지 전압 이하이면, 방전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연속적으로 감시 이후 단위 전지의 출력 전압이 종지 전압 이하이면, 제3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S340). In one embodiment, if the input value (output voltage of the unit cell) measured by the electronic circuit of the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after continuous monitoring in the second mod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end voltage, it may be determined as a discharge state. If the output voltage of the unit cell after continuous monitoring in the second mod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end voltage, the third mode may be performed (S340).
제3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미도시)는 제2 모드에서 단위 전지가 방전 상태로 판단되면, 제3 모드를 수행한다. 제2 모드에서 단위 전지의 출력 전압이 종지 전압에 도달한 단위 전지는 더 이상 사용이 불가능하며, 따라서, 제3 모드는 방전 상태의 단위 전지의 재사용을 금지하기 위한 차단 모드일 수 있다.In the performing of the third mode (not shown), when the unit battery is determined to be in a discharged state in the second mode, a third mode is performed. In the second mode, a unit cell in which the output voltage of the unit cell reaches the end voltage is no longer usable, and thus, the third mode may be a cut-off mode for prohibiting reuse of the unit cell in a discharged state.
상기 제3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는 단위 전지와 부하를 영구적으로 차단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The step of performing the third mode generates an output signal that permanently blocks the unit cell and the load.
제3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는 방전상태의 단위 전지의 재사용을 금지하기 위하여 과방전 차단 장치의 구성 부품에 차단 출력신호를 내보낼 수 있다. 상기 제3 모드에서 생성된 출력 신호는 전자회로의 구성 부품을영구적으로 오프(Off)시켜 개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지 전압에 도달한 단위 전지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2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In performing the third mode, a cutoff output signal may be output to a component part of the overdischarge cutoff device in order to prohibit reuse of the unit cell in a discharged state. The output signal generated in the third mode may form an open circuit by permanently turning off components of the electronic circui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econdary safety accident that may occur due to the unit cell reaching the end voltage.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3 모드는 차단 모드로서, 운용 정보로 분류되어 메모리부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과방전 차단 장치, 예를 들어, 능동 소자가 예기치 않은 리부팅(Reset)이 되더라도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회로 차단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차단 모드를 운용 정보로 저장함으로써, 방전 상태인 단위 전지의 재사용을 영구적으로 금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방전 상태의 단위 전지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2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third mode is a blocking mode, and may be classified as operation information and stored in a memory unit. Accordingly, even when an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for example, an active element unexpectedly reboots, a circuit blocking output signal may be generated based 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By storing the cut-off mode as oper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ermanently prohibit reuse of the unit cell in a discharged state, and thus, a secondary safety accident that may be caused by the unit cell in a discharged state may be prevented in advance.
상기와 같이, 단위전지의 초기전압지연현상을 고려하여 무조건 일정 시간을 대기하는 기존의 기계적 판당 방식과 달리, 단위 전지의 전순기 동안 잔여 용량을 연속적으로 예측하고, 예측된 잔여 용량과 기준용량을 비교하여, 단위 전지의 초기전압지연현상 해소 여부를 판단하고, 초기전압지연현상이 해소되면 단위 전지의 출력 전압을 감시하며, 감시된 출력 전압에 따라 단위 전위와 부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기존의 기계적 판단 방식에 따른 문제점들, 예를 들어, 1차 리튬 단위 전지 폭발 시 적정 반응속도로 장치가 작동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unlike the existing mechanical plate-dang method, which waits for a certain time unconditionally in consideration of the initial voltage delay of the unit cell, the remaining capacity is continuously predicted during the pre-purchase period of the unit cell, and the predicted residual capacity and the reference capacity are calculated. By comparison, 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initial voltage delay of the unit cell is resolved, and when the initial voltage delay is resolved, the output voltage of the unit cell is monitored, and an output signal that selectively cuts off the unit potential and load according to the monitored output voltage By generating,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mechanical determination method, for example, the problem that the device does not operate at an appropriate reaction speed when the primary lithium unit battery explodes.
도 7은 단위 전지의 사용 유무에 따른 본 출원의 예시적인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과방전 차단 장치의 과전류 발생 여부에 따른 본 출원의 예시적인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7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application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 unit cell is used.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application according to whether an overcurrent occurs in an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하나의 예시에서, 본 출원의 제어 방법은 단위 전지의 사용 유무에 기초하여 과방전 차단 장치를 활성화하는 단계(S500)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0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는 과방전 차단 장치가 단위 전지에 장착되면 제0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과 같이, 상기 활성화 단계(S500)는 단위 전지의 사용 유무에 기초하여 과방전 차단 장치에 마련된 와치독(Watch Dog)을 초기화하고(S510), 슬립모드(Sleep Mode)를 이용하여 과방전 차단 장치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S520). 도 7 및 8을 참조하면, 과방전 차단 장치가 활성화되면, "A포트"로 전환되고(S530), 과전류 발생 여부에 따라 제0 모드의 수행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application further includes a step (S500) of activating an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based on the use of a unit battery, and performing the 0th mode includes the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When mounted on the battery, the 0th mode can be performed. As shown in FIG. 7, the activation step (S500) initializes a watch dog provided in the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based on the use of a unit battery (S510), and overdischarges using a sleep mode. The blocking device may be activated (S520). Referring to FIGS. 7 and 8, when the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is activated, it is switched to “A port” (S530), and whether to perform the 0th mod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an overcurrent occurs.
일 구체예에서, 본 출원의 제어 방법은 과방전 차단 장치가 활성화되면, 능동제어소자의 과전류 발생/해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계는 과방전 차단장치에서 단위 전지의 소모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입력값(소모 전류)에 기초하여 과전류 발생/해제 여부를 능동제어소자가 판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the step (S600) of determining whether the overcurrent is generated/released in the active control device when the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is activated. For example, in the above step, the current consumption of the unit cell is measured in the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and the active control device may determine whether to generate/release the overcurrent based on the measured input value (current consumption).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과전류 발생/해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00)는 측정된 입력값(소모 전류)가 기준 전류 이상인 경우, 과전류 발생으로 판단하고, 단위 전지와 부하를 소정 시간 차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용어 「기준 전류」는 기준 전류는 과전류를 판단하는 지표로서, 예를 들어, 5.5 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one example, in the determining whether the overcurrent is generated/released (S600), when the measured input value (consumption curre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current, it is determined that an overcurrent has occurred, and the unit battery and the load may be cut off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above, the term "reference current" is an index for determining the overcurrent, and may be, for example, 5.5 A,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과전류는 전류가 일시적으로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5.5A 이상)이기 때문에, 상기 과전류 발생/해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00)에서는 소정 시간 간격에 따라 단위전지와 부하의 차단시키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여, 과전류 발생/해제 여부를 연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 (S620, S630). 상기 연속적으로 감시하는 것은 전자 회로의 저항에 흐르는 전류 또는 저항에 걸리는 전압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일 때, 과전류 발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S640).Since the overcurrent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current temporarily increases rapidly (more than 5.5A),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overcurrent is generated/released (S600), an output signal for blocking the unit battery and the load is genera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monitor whether overcurrent is generated/released (S620, S630). The continuous monitoring includes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resistance of the electronic circuit or a voltage applied to the resistance. For example, when the voltage applied to the resistanc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oltage, it may be determined that an overcurrent has occurred (S640).
일 구체예에서, 상기 과전류 발생/해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00)는 측정된 전류가 기준 전류 이하(5.5A 이하)이면, 과전류 해제로 판단하고, 제0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과전류 해제로 판단되면, 단위 전지와 부하의 차단을 유지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B 포트"로 전환되어 제0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S650).In one embodiment, in the determining whether the overcurrent is generated/released (S600), if the measured current is less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current (5.5A or less), it is determined that the overcurrent is released, and the zeroth mode may be performed. Referring to FIG. 8,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vercurrent is released, an output signal for maintaining blocking of the unit battery and the load is generated, and the mode is switched to “B port” to perform the 0th mode (S650).
하나의 예시에서, 본 출원의 제어 방법은 제0 내지 3 모드의 운용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단위 전지의 방전 용량, 운용 시간, 해당 전압 및 해당 모드를 포함하는 운용 정보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운용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과전류 발생/해제 여부, ADC 보정값 등도 운용 정보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시간 간격은 운용 정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운용 시간에 대한 운용 정보는 10분 단위로 측정되어 저장될 수 있고, 종지 전압에 대한 운용 정보는 0.5초 단위로 측정되어 저장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단위 전지의 운용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사후 관리 및 분석이 가능하여 안전사고 발생 시 효율적인 검증이 가능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stor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0th to 3rd modes. The storing may stor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discharge capacity of the unit cell, an operation time, a corresponding voltage, and a corresponding mod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he operation information may be arbitrarily set by the user, and for example, whether overcurrent is generated/released or an ADC correction value may be classified as operation information and stored. The time interval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oper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operation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time may be measured and stored in units of 10 minutes, and operation information on the end voltage may be measured and stored in units of 0.5 seconds.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storing step, by stor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unit cell, post management and analysis are possible, so that efficient verification in the event of a safety accident may be possible.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단위 전지는 1차 리튬 전지일 수 있다. 본 출원의 과방전 차단 장치의 제어 방법은 1차 리튬 단위 전지에 적용됨에 따라, 1차 리튬 단위 전지의 과방전 및 이로 인한 파열/폭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unit battery may be a primary lithium battery. As the control method of the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pplied to the primary lithium unit battery, overdischarge of the primary lithium unit battery and the resulting burst/explosion acciden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본 출원은 소프트웨어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소프트웨어는 전술한 제어 방법에 따라, 과방전 차단 장치를 제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소프트웨어는 과방전 차단 장치의 구성 부품인 능동 제어 소자에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This application relates to software. The exemplary software may control the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trol method, and for example, the software may be applied to an active control element that is a component of the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Accordingly, content overlapping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 will be omitted.
이상과 같이, 본 출원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출원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application has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possible.
Claims (14)
단위 전지의 초기 전압값을 보정값으로 저장하여 과방전 차단 장치를 초기화하는 제0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보정값 저장이 완료되면, 전류 적산법을 이용하여 예측된 단위 전지의 잔여 용량과 기준 용량을 비교하는 제 1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단위 전지의 잔여 용량이 기준 용량 이상인 경우, 단위 전지의 출력 전압을 감시하고, 감시된 출력 전압이 종지 전압에 도달 시 방전상태로 판단하는 제 2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및
방전 상태로 판단되면, 단위 전지와 부하를 영구적으로 차단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 3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모드는 예측된 단위 전지의 잔여 용량이 기준 용량 이상인 경우, 단위 전지의 초기전압지연 상태 해소로 판단하는 과방전 차단 장치의 제어 방법.In the overdischarge cutoff device of a unit cell supplying power to a load,
Storing an initial voltage value of the unit cell as a correction value to perform a zeroth mode of initializing an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When the storage of the correction value is completed, performing a first mode of comparing the estimated residual capacity of the unit cell with a reference capacity using a current integration method;
Performing a second mode of monitoring an output voltage of the unit cell when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unit cel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capacity, and determining a discharge state when the monitored output voltage reaches an end voltage; And
When it is determined as a discharge state,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a third mode of generating an output signal for permanently blocking the unit cell and the load,
In the first mode, when the predicted remaining capacity of the unit cel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capacity, the control method of the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determines that the initial voltage delay state of the unit cell is resolved.
제2 모드는 단위 전지의 초기전압지연 상태 해소로 판단되면, 단위 전지의 출력 전압을 감시하는 과방전 차단 장치의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econd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itial voltage delay state of the unit cell is resolved, the control method of the overdischarge cutoff device monitors the output voltage of the unit cell.
제1 모드에서 예측된 단위 전지의 잔여 용량이 단위 전지의 공칭 용량 대비 20% 이상일 때, 제2 모드를 수행하는 과방전 차단 장치의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
A control method of an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performing a second mode when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unit cell predicted in the first mode is 20% or more of the nominal capacity of the unit cell.
단위 전지의 정상 방전 구간에서만 제2 모드를 수행하는 과방전 차단 장치의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
Control method of an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that performs the second mode only in the normal discharge period of the unit cell.
제2 모드는 단위 전지의 출력 전압이 종지 전압 이하로 감시된 경우, 소정 시간 간격을 따라 소정 횟수로 단위 전지의 출력 전압을 연속적으로 감시하는 과방전 차단 장치의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econd mode, when the output voltage of the unit cell is monitor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end voltage, the control method of the overdischarge cutoff device continuously monitors the output voltage of the unit cell at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long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제2 모드에서 단위 전지의 출력 전압을 연속적으로 감시한 이후 출력 전압이 종지 전압 이하이면 제3 모드를 수행하는 과방전 차단 장치의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6,
In the second mode, after continuously monitor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unit cell, if the output voltag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end voltage, the control method of the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performs a third mode.
단위 전지의 사용 유무에 기초하여 과방전 차단 장치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0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는 과방전 차단 장치가 단위전지에 장착되면 제0 모드를 수행하는 과방전 차단 장치의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ctivating the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based on the use of the unit cell,
The step of performing the 0th mode includes a control method of the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performing the 0th mode when the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is mounted on the unit battery.
과방전 차단 장치가 활성화되면, 단위 전지의 소모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소모 전류에 기초하여 과전류 발생/해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과전류 발생/해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측정된 소모 전류가 기준 전류 이상인 경우, 과전류 발생으로 판단하고, 단위 전지와 부하를 소정 시간 차단하는 과방전 차단 장치의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is activated, measuring current consumption of the unit cell and determining whether to generate/release overcurrent based on the measured current consumption; And
In the determining whether the overcurrent is generated/released or not, when the measured current consump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current, it is determined that the overcurrent is generated and the unit battery and the load are cut off for a predetermined time.
제0 모드는 측정된 전류가 기준 전류 이하이면, 과전류 해제로 판단하는 과방전 차단 장치의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9,
In the 0th mode, if the measured curren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current, it is determined that the overcurrent is released.
상기 제0 내지 3 모드의 운용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방전 차단 장치의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
A control method of an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stor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0th to 3rd modes.
저장하는 단계는 단위 전지의 방전 용량, 운용 시간, 해당 전압 및 해당 모드를 포함하는 운용 정보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저장하는 과방전 차단 장치의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1,
The storing step is a control method of an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for storing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discharge capacity of a unit cell, an operation time, a corresponding voltage, and a corresponding mod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단위 전지는 1차 리튬 단위 전지를 포함하는 과방전 차단 장치의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
The unit cell is a control method of an overdischarge blocking device including a primary lithium unit cel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8039A KR102146456B1 (en) | 2018-03-09 | 2018-03-09 | Method for controlling of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 discharge in non-rechargeble lithium batteri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8039A KR102146456B1 (en) | 2018-03-09 | 2018-03-09 | Method for controlling of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 discharge in non-rechargeble lithium batteri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6486A KR20190106486A (en) | 2019-09-18 |
KR102146456B1 true KR102146456B1 (en) | 2020-08-20 |
Family
ID=68070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8039A Active KR102146456B1 (en) | 2018-03-09 | 2018-03-09 | Method for controlling of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 discharge in non-rechargeble lithium batteri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6456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2630B1 (en) * | 2003-11-14 | 2011-03-16 | 맥심 저팬 가부시끼가이샤 | Control method of battery pack, battery protection processing unit and battery protection processing unit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6825B1 (en) * | 2009-02-24 | 2011-02-2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Battery pack and over discharge protection method |
KR101032866B1 (en) * | 2009-02-26 | 2011-05-06 | 주식회사 비츠로셀 | Protective circuit of lithium thionyl battery |
-
2018
- 2018-03-09 KR KR1020180028039A patent/KR10214645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2630B1 (en) * | 2003-11-14 | 2011-03-16 | 맥심 저팬 가부시끼가이샤 | Control method of battery pack, battery protection processing unit and battery protection processing uni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6486A (en) | 2019-09-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873135B2 (en) | Battery pack and battery pack checking method | |
KR101003444B1 (en) | Li-ion battery alarm protector and its method | |
AU2005246945B2 (en) | Method for Verifying Smart Battery Failures by Measuring Input Charging Voltage and Associated Systems | |
US7856328B2 (en) | Systems, methods and circuits for determining potential battery failure based on a rate of change of internal impedance | |
US7816889B2 (en) | Method of charging rechargeable battery and protection circuit for rechargeable battery | |
US20230148678A1 (en) | Electrical System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 |
JP2013096752A (en) | Abnormality determination method for battery pack and battery pack | |
US20140103955A1 (en)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failure detection of hold-up power storage devices | |
JP2007215309A (en) | Battery pack control method | |
JP2007280935A (en) | Lifetime judging method of primary cell | |
JP2006258797A (en) | Secondary battery internal short-circuit detection device, secondary battery internal short-circuit detection method, secondary battery pack and electronic device | |
TW200810314A (en) | Battery pack, and battery protecting method | |
JP2008021619A (en) | Battery pack | |
JP3859608B2 (en) | Battery pack, electronic device, remaining battery level prediction system, and semiconductor device | |
US11381095B2 (en) | Management device, energy storage apparatus, and management method for energy storage device | |
JP2023535368A (en) | battery management system | |
JP5268886B2 (en) | Handheld power tool with shut-off delay device | |
CN110431724B (en) | Overvoltage protection system using balancing resistors | |
JP2009195036A (en) | Control method of pack battery | |
CN110912219A (en) | Charging protection circuit, charging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charging protection method | |
JP2016103937A (en) | Battery pack | |
KR102146456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of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 discharge in non-rechargeble lithium batteries | |
KR20170062766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e voltage of battery | |
JP3994570B2 (en) | Overdischarge prevention device for assembled battery | |
KR102134570B1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 discharge in non-rechargeble lithium batteri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1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07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2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7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3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80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7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7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3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8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