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729B1 - The locking structure of sliding type - Google Patents
The locking structure of sliding ty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5729B1 KR102145729B1 KR1020200016066A KR20200016066A KR102145729B1 KR 102145729 B1 KR102145729 B1 KR 102145729B1 KR 1020200016066 A KR1020200016066 A KR 1020200016066A KR 20200016066 A KR20200016066 A KR 20200016066A KR 102145729 B1 KR102145729 B1 KR 1021457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ing
- door
- rotation link
- elastic body
- outsi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E05B65/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for lock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8—Hasp loc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 타입으로 일관하던 기존 방식을 개선하여 도어의 운용 과정에서 락킹 가능한 제반 구성이 선택적으로 은폐되거나 돌출됨에 따라 외부와의 불필요한 간섭 내지 걸림으로부터 적극 보호되는 등 사용자의 안전성과 사고 위험을 현저히 낮출 뿐 아니라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하여 보다 나은 편의성에 기여하고, 아울러 기존 대비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조작의 편의성 내지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외부로의 이출입이 허용되는 수납가구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대상물의 수납 내지 보관을 위하여 중공으로 형성되는 본체(10)와, 본체 선단을 기점으로 개구되면서 본체 내부를 외부와 소통되게 하는 도어(20)와, 도어와 본체를 서로 결속시켜 본체로부터 도어의 이동을 강제 제어하는 잠금수단(30)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수단(30)은 도어(20) 측단에서 고정프레임(51)과 고정판재(51-1)의 조합으로 일체화되는 락킹유도부(50); 코일 탄성체(43-1)를 기반으로 한 상하 반전 타입의 위치 전환이 허용됨에 따라 자물쇠 체결이 가능한 형태로 도어 측에 인출된 상태에서 외부 간섭 시 탄성에 의해 내부로 은폐되는 회동링크(44)를 포함하는 락킹조절부(40);로 구분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significantly reduces the safety of users and the risk of accidents, such as actively protecting from unnecessary interference or jamming from the outside as all the lockable configurations are selectively concealed or protrud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by improving the existing method that was consistent with the fixed type. It not only lowers, but also contributes to better convenience based on stable and reliable position control, and maximizes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and efficiency in use due to the ease of handling, use, maintenance and maintenance resulting from a differentiated structure compared to the previous one. It relates to a locking device for storage furniture that is allowed to be moved to the outside, and a body 10 formed in a hollow shape for storage or storage of an object, and a door 20 that communicates the inside of the body with the outside while opening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 and a locking means 30 for forcibl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door from the main body by binding the door and the main body to each other, and the locking means 30 includes a fixed frame 51 and a fixed plate member ( The locking induction part 50 integrated by the combination of 51-1); The rotation link 44 that is concealed inside by elasticity in case of external interference in a state that is pulled out to the door side in a form in which a lock can be fastened as the position change of the vertical inversion type based on the coil elastic body 43-1 is allowed. It consists of a locking control unit 40; includ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캐비닛, 사물함, 서랍, 락카 등 대상물의 수납이 허용되는 모든 형태의 함체 따위에 적용 가능한 잠금장치의 기술사상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 타입으로 일관하던 기존 방식을 개선하여 도어의 운용 과정에서 락킹 가능한 제반 구성이 선택적으로 은폐되거나 돌출됨에 따라 외부와의 불필요한 간섭 내지 걸림으로부터 적극 보호되는 등 사용자의 안전성과 사고 위험을 현저히 낮출 뿐 아니라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하여 보다 나은 편의성에 기여하고, 아울러 기존 대비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조작의 편의성 내지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외부로의 이출입이 허용되는 수납가구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ical idea of a locking device applicable to all types of enclosures that allow storage of objects such as cabinets, lockers, drawers, lockers, etc., and more specifically,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door by improving the existing method consistent with the fixed type. By selectively concealing or protruding from the lockable configuration, it is actively protected from unnecessary interference or jamming from the outside, significantly lowering the user's safety and risk of accidents, and contributing to better convenience based on stable and reliable position control.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ing device for storage furniture that is allowed to move to the outside, maximizing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or efficiency in use due to the ease of handling and use, maintenance, and maintenance resulting from a differentiated structure compared to the existing one.
일반적으로 학교나 쇼핑몰 또는 지하철 구내 등의 공공장소에는 개인의 사물을 일정기간 동안 보관해 둘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사물함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사물함에는 내부에 보관되는 물품이 타인에 의해 도난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잠금장치가 설치된다.In general, a number of lockers are installed in public places such as schools, shopping malls, or subway premises to store personal object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lockers prevent theft or damage of items stored inside by others. A separate locking device is installed to prevent it.
통상의 사물함은 육면체 등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사물함 본체와, 본체의 전면 중 어느 일면과 힌지 결합되면서 본체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게 되는 도어로 구성된다. A typical locker is composed of a locker body having an inner space such as a hexahedron, and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while being hinged to any one of the front surfaces of the main body.
이러한 도어는 해당 크기가 사물함의 입구보다 넓은 돌출형 도어와, 사물함의 입구보다 약간 작거나 거의 동일하여 도어를 닫았을 때 도어의 연부가 사물함의 입구 내부로 들어가 은폐되는 비돌출형 도어가 있으며, 상기 도어의 종류에 따라 적용되는 잠금 구조 또한 상이하게 구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These doors include a protruding door whose size is wider than the entrance of the locker, and a non-protruding door that is slightly smaller than or almost the same as the entrance of the locker so that when the door is closed, the edge of the door enters the interior of the locker and is conceale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locking structure appli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oor should also be configured differently.
예컨대 돌출형 도어에 설치된 기존 잠금장치의 구조에 관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사물함의 내벽과 도어에 각각 돌출된 형태의 로킹편을 설치하고, 이러한 로킹편을 이용하여 자물쇠 등이 설치되는 구조이다. For example, a schematic view of the structure of an existing locking device installed on a protruding door is a structure in which locking pieces of a protruding shape are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locker and the door, respectively, and a lock or the like is installed using these locking pieces.
하지만, 전술한 것과 같이 사물함과 도어에 로킹편이 설치되는 경우 로킹편이 상당한 길이만큼 전면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신체와 부딪히거나 옷이 걸리는 등 외부 요인과 간섭될 우려가 상당하므로 안전상의 문제와 함께 파손의 문제가 초래된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locking pieces are installed on lockers and doors, the locking pieces protrude to the front by a considerable length, so there is a high risk of interference with external factors such as bumping the body or getting clothes, so it is damaged along with safety issues. The problem is caused.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기존과 차별화된 제반 구성으로 인해 활용 가치를 극대화하면서도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이 수반되는 수납가구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actively solve all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locking device for storage furniture that is accompanied by ease of handling, use, maintenance, and maintenance while maximizing utilization value due to various configuration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one. This is the task to be solved.
또한, 본 발명은 코일 탄성체의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하여 락킹조절부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내부로 은폐되게 함으로써 안전상의 위험과 파손의 위험을 동시 해소할 수 있는 수납가구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cking device for storage furniture that can simultaneously eliminate the risk of safety and damage by allowing the locking control uni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r concealed inside based on the stable and reliable position control of the coil elastic body. It's another challenge.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외부로의 이출입이 허용되는 수납가구용 잠금장치(1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수납가구용 잠금장치(100)는 대상물의 수납 내지 보관을 위하여 중공으로 형성되는 본체(10)와, 본체 선단을 기점으로 개구되면서 본체 내부를 외부와 소통되게 하는 도어(20)와, 도어와 본체를 서로 결속시켜 본체로부터 도어의 이동을 강제 제어하는 잠금수단(30)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수단(30)은 도어(20) 측단에서 고정프레임(51)과 고정판재(51-1)의 조합으로 일체화되는 락킹유도부(50); 코일 탄성체(43-1)를 기반으로 한 상하 반전 타입의 위치 전환이 허용됨에 따라 자물쇠 체결이 가능한 형태로 도어 측에 인출된 상태에서 외부 간섭 시 탄성에 의해 내부로 은폐되는 회동링크(44)를 포함하는 락킹조절부(40);로 구분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orage
또한, 상기 락킹조절부(40)는 서로 대응한 형상과 크기로 일체화되는 커버판(41)과 수용판(42); 수용판 상에서 상향 입설되는 지지체(43); 지지체 상에 안착되고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양측 끝단의 상반된 위치 전환이 유도되는 회동링크(44); 지지체와 회동링크를 수단으로 양단이 각각 위치 고정되고, 설정 범위 내에서 신축되는 성질에 기인하여 회동링크의 선회 움직임을 유도하는 코일 탄성체(43-1); 커버판과 수용판의 조합으로 구축되고 코일 탄성체에 의해 가압되면서 회동링크의 선단이 락킹유도부 측으로 인출되게 허용하는 출입부(4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락킹유도부(50)는 도어(20) 외면의 측단에서 취급 가능한 설정 형상으로 구비되는 고정프레임(51) 및 고정프레임에 대응 형성되고 도어 내면에서 고정프레임과 일체화되는 고정판재(51-1)로 구분 형성하되, 상기 고정프레임(51)은 사용의 편의를 위해 만곡 처리한 절개면(52)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재(51-1)는 본체(10) 내부와의 소통을 위하여 관통 천공되는 인입홀(53)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회동링크(44)는 V자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코일 탄성체(43-1)에 의한 가압 여부로 전후 반전된 움직임이 유도되는 바디(44-1); 바디의 편심에서 지지체(43)에 결부되도록 상하 관통 천공되는 중앙홀(44-2); 바디 선단에서 자물쇠 체결이 가능하도록 상하 관통 천공되고 락킹유도부(50)에 형성한 인입홀(53)을 경유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락킹홀(44-3); 중앙홀 주변에서 코일 탄성체의 어느 일단을 고정 개재하기 위하여 천공되는 끼움공(44-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회동링크(44)는 연질 소재의 보호구(44-9)가 더 끼움 개재되는 것을 포함하고, 위 보호구(44-9)는 락킹홀(44-3) 천공으로 인해 손실된 무게 보상 및 외부와의 간섭 시 손상 방지를 위하여 회동링크 선단에서 커버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수용판(42)은 회동링크(44)의 정위치 전환 시 후방으로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토퍼(49)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물함을 비롯한 캐비닛, 서랍, 락카 등의 함체 따위에 적용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동시 충족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은폐되거나 돌출되는 구조적 특성에 기인하여 사용자의 안전성과 사고 위험을 현저히 낮출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can be applied to enclosures such as cabinets, drawers, lockers, etc., including lockers, so that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the user can be satisfied at the same time, and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at selectively conceal or protrude, the user It is more effective because it can significantly lower the safety and risk of accidents.
그리고 본 발명은 잠금장치락킹유도부의 이동성에 관여하는 락킹조절부의 제반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고정 타입으로 일관되던 기존 방식에 비해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바, 도어의 선회 운용 과정에서 락킹조절부가 선택적으로 은폐 혹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외부와의 불필요한 간섭 내지 걸림으로부터 적극 보호되므로 효과적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control unit that is involved in the mobility of the locking device locking guide unit, so that it can be used more safely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that was consistent with the fixed type. In the process of turning the door, the locking control unit selectively conceals or As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effective because it is actively protected from unnecessary interference or jamming with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은 락킹조절부를 구성함에 있어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한 기술적 특성을 반영하여 보다 나은 편의성에 기여할 뿐 아니라 이러한 제반 구성들이 기존 대비 극히 간소화되고 서로 긴밀하게 유기적으로 구현됨에 따라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이 확보되는 이점 또한 기대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ontributes to better convenience by reflecting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stable and reliable position control in configuring the locking control unit, but also handles as these configurations are extremely simplified and closely organically implemented compared to the existing ones. The advantage of securing ease of use, maintenance and maintenance is also expected.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사물함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요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락킹유도부 및 락킹조절부의 체결 과정 및 그 실시 양태를 순차 도시한 사시도.1 to 2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of a locker configur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ain part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perspective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fastening process of the locking induction part and the locking control part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mbodiment thereof.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ctions and effects thereof will be described collectively.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later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entire specification.
본 발명은 캐비닛, 사물함, 서랍, 락카 등 대상물의 수납이 허용되는 모든 형태의 함체 따위에 적용 가능한 수납가구용 잠금장치(100)에 관하여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with respect to a storage
무엇보다 본 발명은 고정 타입으로 일관하던 기존 방식을 개선하여 도어의 운용 과정에서 락킹 가능한 제반 구성이 선택적으로 은폐되거나 돌출됨에 따라 외부와의 불필요한 간섭 내지 걸림으로부터 적극 보호되는 등 사용자의 안전성과 사고 위험을 현저히 낮출 뿐 아니라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하여 보다 나은 편의성에 기여하고, 아울러 기존 대비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조작의 편의성 내지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외부로의 이출입이 허용되는 수납가구용 잠금장치(100)에 관련됨을 주지한다.Above all,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existing method,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fixed type, so that all configurations that can be lock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are selectively concealed or protruded, thereby actively protecting users from unnecessary interference or jamming. It not only significantly lowers the value, but also contributes to better convenience based on stable and reliable position control, and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or efficiency in use due to the ease of handling, use, maintenance and maintenance resulting from a differentiated structure compared to the previous one. Note that it is related to the
도 1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안하는 잠금장치(100)는 소정의 코일 탄성체(43-1)에 의존하여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구현하는 락킹조절부(40)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내부로 은폐되게 함으로써 안전상의 위험과 파손의 위험을 동시 해소하는데 기여한다.As shown in Figs. 1 to 6, the
이를 위해 상기 수납가구용 잠금장치(100)는 대상물의 수납 내지 보관을 위하여 중공으로 형성되는 본체(10)와, 본체 선단을 기점으로 수평 선회하면서 본체 내부를 외부와 소통되게 하는 도어(20)과, 도어와 본체를 서로 결속시켜 도어의 이동을 강제 제어하는 잠금수단(30);으로 구성한다.To this end, the locking device for the
상기 본체(10)와 도어(20)는 공지의 것과 유사 내지 동일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발명에서는 잠금수단을 채용함에 있어 여닫이 방식에 기반하고 있지만, 기타 수평 이동하는 도어 상에도 적용 가능하다.The
기존에는 사물함과 도어에 잠금수단이 설치되는 경우 해당 잠금수단이 고정 타입으로 상당한 길이만큼 전면 돌출되기 때문에 신체와 부딪히거나 옷이 걸리는 등 외부 요인과 간섭될 우려가 상당하였고, 돌출된 요소로 인해 사용자의 신체를 위해하거나 기타 사물이 쉽게 간섭되는 등 크고 작은 문제점이 유발되었다.In the past, when locking means are installed on lockers and doors, the locking means is a fixed type and protrudes in front of a considerable length.Therefore, there is a considerable concern that it may interfere with external factors such as bumping into the body or getting caught in clothes. Large and small problems such as harming the user's body or easily interfering with other objects were caused.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기재하면, 상기 잠금수단(30)은 도어(20) 측단에서 고정프레임(51)과 고정판재(51-1)의 조합으로 일체화되는 락킹유도부(50)와, 코일 탄성체(43-1)를 기반으로 한 상하 반전 타입의 위치 전환이 허용됨에 따라 자물쇠 체결이 가능한 형태로 도어 측에 인출된 상태에서 외부 간섭 시 탄성에 의해 내부로 은폐되는 회동링크(44)를 포함하는 락킹조절부(40)로 구분 구성된다.In this regard, i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the locking means 30 includes a
상기 락킹유도부(50)는 도어(20) 측단에 일체 형성되어 자물쇠 등을 취급 가능한 공간으로 제공되고, 상기 락킹조절부(40)는 주지한 것처럼 자체 보유한 탄성에 의해 도어 측으로 자물쇠 형태가 강제 인출되는 구성 및 인출 상태의 자물쇠 형태가 외부와 간섭될 경우 자연스럽게 힘의 방향대로 이동하여 본체 내부로 함몰되는 구성을 취한다.The
상기 락킹유도부(50)는 도어(20) 외면의 측단에서 취급 가능한 설정 형상으로 구비되는 고정프레임(51) 및 고정프레임에 대응 형성되고 도어 내면에서 고정프레임과 일체화되는 고정판재(51-1)로 구분 형성된다.The
이때 상기 고정프레임(51)은 사용의 편의를 위해 만곡 처리한 절개면(52)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재(51-1)는 본체(10) 내부와의 소통을 위하여 관통 천공되는 인입홀(53)이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fixing
상기 고정프레임(51)은 도면과 같은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락킹조절부(40)의 출입이 가능한 공간과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으로 제공되어야 한다.Th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고정프레임(51)은 주지한 바와 같이 사용자 손이 손쉽게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절개면(52)으로 구축하고, 이에 대응하는 고정판재(51-1)의 선단으로는 소정 크기의 인입홀(53)을 관통 천공함으로써 락킹조절부의 회동링크(44)가 간섭없이 출입되게 한다. To this end, the
한편, 락킹유도부(50)와 대응하는 구성의 상기 락킹조절부(40)는 서로 대응한 형상과 크기로 일체화되는 커버판(41)과 수용판(42)과, 수용판 상에서 상향 입설되는 지지체(43)와, 지지체 상에 안착되고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양측 끝단의 상반된 위치 전환이 유도되는 회동링크(44)와, 지지체와 회동링크를 수단으로 양단이 각각 위치 고정되고, 설정 범위 내에서 신축되는 성질에 기인하여 회동링크의 선회 움직임을 유도하는 코일 탄성체(43-1)와, 커버판과 수용판의 조합으로 구축되고 코일 탄성체에 의해 가압되면서 회동링크의 선단이 락킹유도부 측으로 인출되게 허용하는 출입부(46)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커버판(41)과 수용판(42)은 서로의 조합으로 함체 형상의 단일 공간을 구축함으로써 후술할 제반 구성들을 적절히 위치 정렬한다.The
또한, 이러한 커버판과 수용판의 조합으로 인해 락킹유도부(50)와 인접하는 일면에는 출입부(46)가 설정 위치에 형성되는데, 상기 출입부(46)는 회동링크(44)가 선회하면서 외부로 인출되는 수단인만큼 락킹유도부의 인입홀(53)에 대응하는 설정 위치에 형성되어야 한다.In addition, due to the combination of the cover plate and the receiving plate, an
그리고 상기 수용판(42)은 회동링크(44)의 정위치 전환 시 후방으로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토퍼(49)가 더 구성될 수 있는데, 해당 스토퍼는 연질의 재질을 사용하여 적정 수준의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기타 다양한 형상 내지 구조로 제공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And the receiving
상기 지지체(43)는 도면에 도시한 형상일 수 있으며, 회동링크(44)를 개재한 상태에서 커버판(41)과 수용판(42)이 서로 결부됨에 따라 해당 회동링크의 이탈을 적극 방지하면서 위치 구속한다.The
예컨대 이러한 지지체(43)에는 전술한 것처럼 설정 범위 내에서 신축되는 코일 탄성체(43-1)를 더 개재하여 회동링크(44)와 연결 형성함으로써 가압해지 시 자체 보유한 복원력에 의해 회동링크가 정위치로 전환되게 구성할 수 있다.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회동링크(44)는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잠금수단의 주요 구성으로, 설정 형상의 바디(44-1)로 이루어져 코일 탄성체(43-1)의 신축 작용 여부에 따라 자연스럽게 위치 전환되면서 사물함의 잠금 여부를 구현한다.The pivoting
상세하게는, 상기 회동링크(44)는 자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코일 탄성체(43-1)에 의한 가압 여부로 전후 반전된 움직임이 유도되는 바디(44-1)와, 바디의 편심에서 지지체(43)에 결부되도록 상하 관통 천공되는 중앙홀(44-2)과, 바디 선단에서 자물쇠 체결이 가능하도록 상하 관통 천공되고 락킹유도부(50)에 형성한 인입홀(53)을 경유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락킹홀(44-3)과, 중앙홀 주변에서 코일 탄성체의 어느 일단을 고정 개재하기 위하여 천공되는 끼움공(44-8)으로 구분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상기 중앙홀(44-2)은 바디의 중심이 아닌 요홈(44-4) 측으로 치우쳐진 설정 위치에서 관통 천공되는데, 이는 회동링크(44)의 편심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The central hole 44-2 is drilled through at a setting position biased toward the groove 44-4 rather than the center of the body, and this is to enable eccentric rotation of the
이러한 중앙홀(44-2)은 지지체(43)를 수단으로 끼움 고정되면서 회동링크의 위치 고수에 기여하고, 지지체에 구속된 회동링크의 회전 효율성 제고와 함께 보다 나은 위치 선정에 기여한다.This central hole (44-2) contributes to the adherence of the position of the rotation link while being fitted and fixed by means of the support (43), and contributes to a better position selection along with the improvement of the rotational efficiency of the rotation link confined to the support.
상기 끼움공(44-8)은 주지한 것처럼 코일 탄성체(43-1)를 위치 구속하여 적정 수준의 탄성력이 부여될 수 있도록 바디(44-1)의 설정 영역에 구비되어야 한다.The fitting hole 44-8 should be provided in the setting area of the body 44-1 so that an appropriate level of elastic force can be provided by restraining the coil elastic body 43-1, as is known.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서는 회동링크(44) 외면으로 연질 소재의 보호구(44-9)가 더 끼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rotective device 44-9 made of a soft material is further inserted into the outer surface of the
상기 보호구(44-9)는 락킹홀(44-3) 천공으로 인해 손실된 무게 보상 및 외부와의 간섭 시 손상 방지를 위하여 회동링크 선단에서 커버링될 수 있다.The protective device 44-9 may be covered at the tip of the rotating link to compensate for weight loss due to the perforation of the locking hole 44-3 and to prevent damage when interference with the outside.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물함을 비롯한 캐비닛, 서랍, 락카 등의 함체 따위에 적용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동시 충족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은폐되거나 돌출되는 구조적 특성에 기인하여 사용자의 안전성과 사고 위험을 현저히 낮출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잠금장치락킹유도부의 이동성에 관여하는 락킹조절부의 제반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고정 타입으로 일관되던 기존 방식에 비해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바, 도어의 선회 운용 과정에서 락킹조절부가 선택적으로 은폐 혹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외부와의 불필요한 간섭 내지 걸림으로부터 적극 보호되므로 효과적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can be applied to enclosures such as cabinets, drawers, lockers, etc., including lockers, so that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the user can be satisfied at the same time, and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at selectively conceal or protrude, the user It is more effective because it can significantly lower the safety and risk of accident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control unit that is involved in the mobility of the locking device locking guide unit, so that it can be used more safely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that was consistent with the fixed type. In the process of turning the door, the locking control unit selectively conceals or As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effective because it is actively protected from unnecessary interference or jamming with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은 락킹조절부를 구성함에 있어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한 기술적 특성을 반영하여 보다 나은 편의성에 기여할 뿐 아니라 이러한 제반 구성들이 기존 대비 극히 간소화되고 서로 긴밀하게 유기적으로 구현됨에 따라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이 확보되는 이점 또한 기대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ontributes to better convenience by reflecting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stable and reliable position control in configuring the locking control unit, but also handles as these configurations are extremely simplified and closely organically implemented compared to the existing ones. The advantage of securing ease of use, maintenance and maintenance is also expected.
10. 본체
20. 도어
30. 잠금수단
40. 락킹조절부
50. 락킹유도부
100. 수납가구용 잠금장치10. Main body
20. Door
30. Locking means
40. Locking control unit
50. Locking induction part
100. Locking device for storage furniture
Claims (3)
상기 락킹조절부(40)는 서로 대응한 형상과 크기로 일체화되는 커버판(41)과 수용판(42);과, 수용판 상에서 상향 입설되는 지지체(43);와, 지지체 상에 안착되고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양측 끝단의 상반된 위치 전환이 유도되는 회동링크(44);와, 지지체와 회동링크를 수단으로 양단이 각각 위치 고정되고, 설정 범위 내에서 신축되는 성질에 기인하여 회동링크의 선회 움직임을 유도하는 코일 탄성체(43-1);와, 커버판과 수용판의 조합으로 구축되고 코일 탄성체에 의해 가압되면서 회동링크의 선단이 락킹유도부 측으로 인출되게 허용하는 출입부(46);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링크(44)는 V자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코일 탄성체(43-1)에 의한 가압 여부로 전후 반전된 움직임이 유도되는 바디(44-1);와, 바디의 편심에서 지지체(43)에 결부되도록 상하 관통 천공되는 중앙홀(44-2);과, 바디 선단에서 자물쇠 체결이 가능하도록 상하 관통 천공되고 락킹유도부(50)에 형성한 인입홀(53)을 경유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락킹홀(44-3);과, 중앙홀 주변에서 코일 탄성체의 어느 일단을 고정 개재하기 위하여 천공되는 끼움공(44-8);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링크(44)는 연질 소재의 보호구(44-9)가 더 끼움 개재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구(44-9)는 락킹홀(44-3) 천공으로 인해 손실된 무게 보상 및 외부와의 간섭 시 손상 방지를 위하여 회동링크 선단에서 커버링되고,
상기 수용판(42)은 회동링크(44)의 정위치 전환 시 후방으로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토퍼(49)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The main body 10 formed in a hollow shape for storage or storage of objects, the door 20 opening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nd the door moving from the main body by binding the door and the main body It includes a locking means (30) for forcibly controlling the, the locking means (30) is a locking induction part (50) integrated with a combination of the fixed frame (51) and the fixed plate (51-1) at the side end of the door (20); Wow, the rotation link 44 that is concealed inside by elasticity in the event of external interference while being pulled out to the door side in a form in which a lock can be fastened as the position change of the vertical inversion type based on the coil elastic body 43-1 is allowed. In the locking device for storage furniture consisting of; a locking control unit 40 comprising a);
The locking control unit 40 includes a cover plate 41 and a receiving plate 42 that are integrated in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a support 43 installed upwardly on the receiving plate; and, seated on the support and bent on the support. The rotation link 44 is provided in a shape that induces the opposite position change of both ends; And,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link due to the property that both ends are respectively fixed in position by means of a support and a rotation link, and expand and contract within a set range Including a coil elastic body (43-1) for inducing movement; And, an entry part 46 that is constructed by a combination of a cover plate and a receiving plate and is pressed by the coil elastic body to allow the tip of the rotating link to be drawn out toward the locking induction part. and,
The rotation link 44 is provided in a V-shaped bent shape, and a body 44-1 in which a movement that is reversed back and forth is induced by whether or not it is pressed by the coil elastic body 43-1; And, the support body 43 at the eccentricity of the body. ), a central hole (44-2) which is vertically perforat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body; and a central hole (44-2) which is vertically perforated to enable locking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hole 53 formed in the locking guide part 50 Including a locking hole (44-3); And, a fitting hole (44-8) perforated in order to fix any one end of the coil elastic body around the central hole and interposed,
The rotation link 44 includes a protective device 44-9 made of a soft material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protective device 44-9 compensates for the weight lost due to perforation of the locking hole 44-3 and It is covered at the tip of the rotating link to prevent damage in case of interference of
The receiving plate (42) is a locking device for storage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49) is further configured to prevent excessive movement to the rear when the rotation link (44) is switched to the correct posi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6066A KR102145729B1 (en) | 2020-02-11 | 2020-02-11 | The locking structure of sliding ty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6066A KR102145729B1 (en) | 2020-02-11 | 2020-02-11 | The locking structure of sliding typ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45729B1 true KR102145729B1 (en) | 2020-08-20 |
Family
ID=72242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6066A Active KR102145729B1 (en) | 2020-02-11 | 2020-02-11 | The locking structure of sliding ty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5729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7896Y1 (en) | 2005-11-23 | 2006-02-06 | 박덕순 | Lock structure for lockers |
KR200407897Y1 (en) * | 2005-11-23 | 2006-02-06 | 박덕순 | Locking structure of the locker with non-extruded door |
KR100551094B1 (en) * | 2005-09-07 | 2006-02-09 | 주식회사 리바트 | locker |
KR101011262B1 (en) | 2009-03-10 | 2011-01-26 | (주)삼미가구 | Sliding locker structure with operational practicality |
KR20150086756A (en) * | 2014-01-20 | 2015-07-29 | 안대연 | Latching Device for Locker |
-
2020
- 2020-02-11 KR KR1020200016066A patent/KR10214572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51094B1 (en) * | 2005-09-07 | 2006-02-09 | 주식회사 리바트 | locker |
KR200407896Y1 (en) | 2005-11-23 | 2006-02-06 | 박덕순 | Lock structure for lockers |
KR200407897Y1 (en) * | 2005-11-23 | 2006-02-06 | 박덕순 | Locking structure of the locker with non-extruded door |
KR101011262B1 (en) | 2009-03-10 | 2011-01-26 | (주)삼미가구 | Sliding locker structure with operational practicality |
KR20150086756A (en) * | 2014-01-20 | 2015-07-29 | 안대연 | Latching Device for Lock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90187B1 (en) | Hinge safety cover | |
US5862689A (en) | Drawer lock improvement | |
US5904411A (en) | Cabinet door prop unit | |
US8534206B2 (en) | Bedding mounting system for a safe | |
KR102112574B1 (en) | Door device for locker | |
US7547050B1 (en) | Drawer security attachment | |
US8931422B2 (en)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valuables | |
US9459074B2 (en)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valuables | |
KR102145733B1 (en) | The locking structure of sliding type | |
KR102145729B1 (en) | The locking structure of sliding type | |
KR102145725B1 (en) | The locking structure of sliding type | |
KR102139371B1 (en) | The locking structure of sliding type | |
KR102139374B1 (en) | The locking structure of sliding type | |
KR20040065599A (en) | Locking Device of Personal Case | |
KR102139368B1 (en) | The locking structure of sliding type | |
KR200407896Y1 (en) | Lock structure for lockers | |
KR101932986B1 (en) | Handle of locker door | |
KR200407897Y1 (en) | Locking structure of the locker with non-extruded door | |
JPH07122371B2 (en) | Latch mechanism such as drawer | |
KR101086300B1 (en) | Locker locker | |
CN208480885U (en) | A kind of revolution open and close locking structure for furniture | |
KR101722709B1 (en) | Window structure of safety for building | |
KR102617746B1 (en) | A cabinet | |
KR100414546B1 (en) | Desk for reading room | |
KR102622537B1 (en) | finger safety device for lock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2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8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