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236B1 - Stand-alone temperature response automatic fire alarm device - Google Patents
Stand-alone temperature response automatic fire alarm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3236B1 KR102143236B1 KR1020200017021A KR20200017021A KR102143236B1 KR 102143236 B1 KR102143236 B1 KR 102143236B1 KR 1020200017021 A KR1020200017021 A KR 1020200017021A KR 20200017021 A KR20200017021 A KR 20200017021A KR 102143236 B1 KR102143236 B1 KR 1021432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larm sound
- start switch
- alarm
- lower case
- operation le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2—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14—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checking the detection circuits
- G08B29/145—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checking the detection circuits of fire detection circuit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립형 온도반응 자동 화재경보기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독립형 온도반응 자동 화재경보기는, 하우징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커버와, 하부 케이스에 마련되는 경보음 발생부와, 경보음 발생부에 경보음 출력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기동 스위치와, 기동 스위치를 작동하도록 상부 커버에 하방 탄성바이어스되도록 설치되어 자유단의 회동에 의해 기동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기동 스위치 작동 레버와, 기동 스위치 작동 레버의 자유단을 상방으로 가압하여 탄압된 정적인 구속상태로 지지하도록 하부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노출된 상태로 세팅되는 감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화재발생시 감열부재가 일정한 주위온도에서 반응하여 파손 또는 변형됨에 따라 기동 스위치 작동 레버의 자유단 구속상태가 해제되어 하방 탄성바이어스력에 의해 하강하면서 기동 스위치를 작동시켜 상기 경보음 발생부가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구성을 특징으로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기존의 센서 및 디지털 작동 메커니즘에 비하여 오작동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으므로 동작 정밀도와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별도의 전원인가 전용 배선공사 배제가 가능하여 자립형 또는 독립형 제품으로서 화재감지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다양한 장소와 위치에 대한 시설 자유도를 높여 화재감지 및 경보영역의 범위를 대폭 확장할 수 있는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self-contained temperature response automatic fire alarm. The independent temperature response automatic fire alarm according to the disclosed invention is a starting to transmit an alarm sound output signal to a lower case and an upper cover coupled to form a housing, an alarm sound generator provided in the lower case, and an alarm sound generator The switch and the start switch operation lever are installed so as to be elastically biased downward on the upper cover to operate the start switch to operate the start switch by the rotation of the free end, and the static suppressed by pressing the free end of the start switch operation lever upward. It includes a heat-sensitive member that is set in a state detachably exposed to the lower case to support it in a constrained state, and when a fire occurs, the heat-sensitive member reacts at a certain ambient temperature and is damaged or deformed. Is released and descends by a downward elastic biasing force, and operating a start switch so that the alarm sound generator outputs an alarm sound.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 can be effectively lowered compared to existing sensors and digital operating mechanisms, so operation precision and reliability can be improved, and fire detection as a self-contained or independent product is possible because it is possible to exclude a separate wiring work dedicated to applying power. Monitoring is possible, increasing the degree of freedom of facilities for various places and locations, thereby securing the capability to significantly expand the range of fire detection and alarm areas.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재경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발생시 주위 온도변화에 반응하여 자동적으로 화재경보음을 출력하도록 작동되는 독립형 온도반응 자동 화재경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alar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nd-alone temperature-responsive automatic fire alarm that is operated to automatically output a fire alarm sound in response to a change in ambient temperature when a fire occurs.
근래에 들어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인구밀집 현상의 심화로 인해 건축물이 점차 대형화와 고층화 및 복합화되면서 다양한 가연성 내장재의 사용과 전기, 가스, 유류 등과 같은 에너지 사용의 증가와 점화원이 될 수 있는 전기설비의 증대 및 관리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화재가 다발하고 있으며, 특히 화재발생시 초기 대응의 미숙에 의해 대형화재로 발전되어 화재 진압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고 있는 현실이다.In recent years, due to the intensification of population density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buildings are gradually becoming large, high-rise, and complex, so that the use of various combustible interior materials and an increase in energy use such as electricity, gas, oil, etc. Fires are frequent due to the increase of the company and careless management. In particular, it is a reality that a lot of time and effort are spent in extinguishing fires as they develop into large-scale fires due to inadequate initial response in case of fire.
실제로, 우리나라 소방방재청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화재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로 알려지고 있으며, 향후에도 토지이용의 제한에 따른 건축물의 복합화와 다양화 등으로 인하여 건축공간에서의 화재위험도 점차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In fact,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of Korea's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Administration, it is known that the damage to life and property increases every year, and the risk of fire in the building space in the future due to the complexization and diversification of buildings due to land use restrictions It has been known to be increasing gradually.
주지된 바와 같이, 화재발생시 화재진압 및 소방활동의 성패는 초기대응 상태에 따라 좌우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화재발생시 효율적인 초기대응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자동 화재감지 및 경보장치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As is well known, it is widely known that the success or failure of fire suppression and firefighting activities in the event of a fire depends on the initial response state, and the spread of various types of automatic fire detection and alarm devices is expanding for efficient initial response in case of fire.
그러나, 종래의 화재경보기는 화재발생시 열이나 연기 또는 불꽃 등을 감지하여 화재경보가 작동하게 되는 것으로서, 건축물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전원인가를 위한 별도의 배선공사를 필요로 하게 됨에 따라 시공 및 시설 자유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fire alarm detects heat, smoke, or flame when a fire occurs, and the fire alarm operates.As a separate wiring work for power supply is required to install in a building, the degree of freedom of construction and facilities It has a deteriorating problem.
또한, 종래의 화재경보기는 열이나 연기 및 불꽃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재가 환경적 영향에 따른 기능적 제한으로 인한 오작동과 디지털 방식에 의한 시스템 오류가 잦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화재발생시 전원 오프(off)로 인해 상시적으로 작동불능 상태가 될 우려를 지니고 있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fire alarm has a problem that the sensor member for detecting heat, smoke, and flame is frequently malfunctioning due to functional limitations due to environmental influences and system errors by digital method, and power is turned off when a fire occurs. As a resul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re is a concern that it may become inoperative at all times.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화재경보기가 지니는 문제점과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8235호에는 태엽에 의해 작동되는 발전기와 화재현장 촬영용 카메라가 내장된 무전원 무선 화재경보장치가 제안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무전원 무선 화재경보장치의 경우 전원인가를 위한 별도의 배선공사를 배제할 수 있어서 시설 자유도를 높일 수는 있는 반면에, 태엽과 발전기 및 카메라를 내장부품으로 구비하게 됨에 따라 제조원가의 상승으로 인한 경제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며, 여전히 환경적 영향에 따른 카메라의 기능적 제한으로 인한 오작동과 디지털 방식에 의한 시스템 오류가 상존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Meanwhile,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and shortcomings of the conventional fire alarm as described abov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738235 discloses a powerless wireless fire alarm device with a built-in generator operated by a spring and a camera for shooting a fire scene. Is proposed, but in the case of such a non-powered wireless fire alarm device, a separate wiring work for power application can be eliminated, so that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facility can be increased, while a spring, a generator, and a camera are provided as internal parts. There is a disadvantage of lowering economic efficiency due to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and there is still a problem in that malfunctions due to functional limitations of the camera due to environmental influences and system errors due to digital methods exist.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0193호에는 광전식 센서 등의 연기감지 센서가 설치된 독립형 화재경보기가 제안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8360호에는 전기선과 같은 유선라인 없이 건전지 등의 전원과 열 및 불꽃, 연기, 유해가스 감지 센서를 통해 작동되는 휴대용 화재경보기가 제안되어 있으나, 각종 센서의 환경적 영향에 따른 기능적 제한으로 인한 오작동과 디지털 방식에 의한 시스템 오류가 상존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In additio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50193 proposes a standalone fire alarm equipped with smoke detection sensors such as photoelectric sensors, and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08360 uses batteries without wired lines such as electric wires. Portable fire alarms that operate through power, heat, flame, smoke, and harmful gas detection sensors have been proposed, but malfunctions due to functional limitations due to environmental effects of various sensors and system errors due to digital methods exist. hav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하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상술한 배경 기술의 문제점은 본 출원인이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내용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지된 내용이라 할 수는 없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the technical background as described above, and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technology are the contents that the applicant possessed for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learned in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ust be applied for the present invention. It cannot be said that it was previously known to the general public.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하에서 종래의 화재경보기가 지니고 있는 단점과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화재발생 초기의 주위 온도 변화에 따른 감열부재의 변형 또는 파손과 연계된 기계적인 작동 메커니즘에 의해 전기 신호를 촉발함으로써 오작동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제품의 동작 정밀도와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온도반응 화재경보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improve this in consideration of the disadvantages and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fire alarm under the technical background as described above, and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t-sensitive member according to a change in ambient temperature at the beginning of the fire occurrence. It is to provide a temperature-responsive fire alarm that can increase the operating precision and reliability of the product by effectively blocking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 by triggering an electrical signal by a mechanical operating mechanism linked to the deformation or damage of the product.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별도의 전원인가 전용 배선공사의 배제와 기존의 전기전자식 센서류의 배제에 의해 저소비전력의 유무선 독립형으로 시설 자유도 및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독립형 화재경보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d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ependent fire alarm that can increase facility freedom and economical efficiency as a wired/wireless independent type of low power consumption by excluding separate wiring work for applying power and excluding existing electric and electronic sensors. will b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독립형 온도반응 자동 화재경보기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을 이루도록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커버와, 상기 하부 케이스에 마련되는 경보음 발생부와, 상기 경보음 발생부에 경보음 출력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기동 스위치와, 상기 기동 스위치를 작동하도록 상기 상부 커버에 하방 탄성바이어스되도록 설치되어 자유단의 회동에 의해 상기 기동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기동 스위치 작동 레버와, 상기 기동 스위치 작동 레버의 자유단을 상방으로 가압하여 탄압된 정적인 구속상태로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노출된 상태로 세팅되는 감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감열부재는 화재발생시 일정한 주위온도에서 반응하여 파손 또는 변형됨에 따라 상기 기동 스위치 작동 레버의 자유단 구속상태가 해제되어 하방 탄성바이어스력에 의해 하강하면서 상기 기동 스위치를 작동시켜 상기 경보음 발생부가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 independent temperature response automatic fire al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case and an upper cover complementarily coupled to form a housing with a storage space, and an alarm sound generator provided in the lower case. And, a start switch for transmitting an alarm sound output signal to the alarm sound generator, and a start switch installed so as to be elastically biased downward to the upper cover to operate the start switch to operate the start switch by rotation of the free end. And a heat-sensitive member set in a state detachably exposed to the lower case so as to support the oppressed static restraint state by pressing the free end of the actuating switch operating lever upward, and the heat-sensitive member When a fire occurs, the free end of the start switch operation lever is released as it is damaged or deformed by reacting at a certain ambient temperature, and the start switch is operated while lowering by a downward elastic bias force, and the alarm sound generator outputs an alarm sou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to b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독립형 온도반응 자동 화재경보기에 있어서, 상기 기동 스위치 작동 레버는 고정단이 상기 상부 커버에 구비된 지지리브에 힌지구조로 결합되는 동시에 자유단은 하방 탄성 바이어스되어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감열부재는 상기 기동 스위치 작동 레버의 자유단을 상방으로 가압하여 탄압된 정적인 구속상태로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노출된 상태로 세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감열부재는 화재시 일정한 주위온도에서 반응하여 파손 또는 변형되고, 이에 따라 상기 기동 스위치 작동 레버는 자유단의 구속상태가 해제되어 하방 탄성바이어스력에 의해 직하방으로 회동하여 하강하면서 상기 기동 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경보음 발생부가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independent temperature response automatic fire al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start switch operation lever has a fixed end hinged to a support rib provided on the upper cover, and the free end is downwardly elastically biased. Is installed in a rotatable state, and the heat-sensitive member is set in a state detachably exposed to the lower case so as to support it in a statically restrained state suppressed by pressing the free end of the activation switch operating lever upward. .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heat-sensitive member is damaged or deformed by reacting at a constant ambient temperature in case of fire, and accordingly, the locking state of the free end of the start switch operation lever is released and rotates directly downward by a downward elastic bias force. It is preferable that the alarm sound generator outputs an alarm sound by operating the start switch while descending.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상부 커버의 판상체 일부가 절개되어 상하 탄력적인 유동이 가능한 리브 형태로 이루어진 테스트 스위치 작동 레버와, 그 테스트 스위치 작동 레버와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는 테스트 스위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경보음 출력 테스트용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보음 출력 테스트용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감열부재의 파손 또는 변형을 수반하지 않고서도 경보음의 출력 여부를 확인하여 점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st switch operation lever formed in a rib shape capable of vertically elastic flow by cutting a portion of the plate-shaped body of the upper cover, and a test switch capable of contacting the test switch operation lever It further includes a switch for an alarm sound output test made, and is configured to check and check whether an alarm sound is output without accompanying damage or deformation of the heat-sensitive member by operation of the alarm sound output test switch. You can have it.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감열부재를 에워싸 보호하는 메쉬 펜스(mesh fence)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커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진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감열부재(유리 벌브; glass bulb)가 파손 또는 변형되어 이탈시 상기 메쉬 펜스(mesh fence)가 그 파편을 구속하여 보호 커버의 내부에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감열부재(유리 벌브; glass bulb)의 파편이 주변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변의 주요부품들에 대한 손상을 억제시켜 줌으로써 경제적인 수리보수와 복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메쉬 펜스(mesh fence)는 상기 감열부재의 온도반응에 대한 민감도와 정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열전도도가 우수한 다양한 금속망이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sh fence surrounding and protecting the heat-sensitive member may be provided and a protective cover detachably installed on the lower case and the upper cover may be provided. hav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heat-sensitive member (glass bulb) is damaged or deformed, the mesh fence restrains the fragments and can be accommodated in the protective cover. . Accordingly, by preventing the fragments of the heat-sensitive member (glass bulb) from scattering to the periphery, damage to the surrounding main parts can be suppressed, thereby facilitating economical repair and repair. In such a configur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esh fence employs various metal nets hav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so as to increase sensitivity and precision to the temperature reaction of the heat-sensitive member.
본 발명에 의한 독립형 온도반응 자동 화재경보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dependent temperature response automatic fire al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화재발생 초기의 주위 온도 변화에 따른 감열부재의 변형 또는 파손과 연계된 기계적인 작동 메커니즘에 의해 전기신호를 촉발함으로써 기존의 센서 및 디지털 작동 메커니즘에 비하여 오작동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으므로 동작 정밀도와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First,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 can be effectively lowered compared to conventional sensors and digital operating mechanisms by triggering an electrical signal by a mechanical operating mechanism linked to the deformation or damage of the thermal member according to the ambient temperature change at the beginning of the fire. It can increase reliability.
둘째, 별도의 전원인가 전용 배선공사의 배제가 가능하여 자립형 또는 독립형 제품으로 적용하여 화재감지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장소와 위치에 대한 시설 자유도를 높여 화재감지 및 경보 영역의 범위를 대폭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Second, since it is possible to exclude a separate wiring work for exclusive use of power, it can be applied as a self-contained or independent product to perform fire detection monitoring, thereby increasing the degree of freedom of facilities for various places and locations, greatly expanding the scope of fire detection and alarm areas. You can get scalable performance.
셋째, 기존의 전기전자식 센서류를 배제하고 기계식 작동이 가능한 온도반응 감열부재로 대체하여 저소비전력의 유무선 독립형으로 시설 자유도 및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Third, by excluding the existing electric and electronic sensors and replacing it with a temperature-responsive heat-sensitive member capable of mechanical opera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egree of freedom and economic efficiency of the facility as a wired/wireless standalone type with low power consumption.
넷째, 주기적이고 상시적인 점검에 의해 오작동 여부를 미리 파악하고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Fourth,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greatly improved because it is possible to identify and confirm malfunctions in advance through periodic and regular inspe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온도반응 자동 화재경보기를 도시해 보인 개략적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온도반응 자동 화재경보기를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온도반응 자동 화재경보기의 상부 커버를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일부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온도반응 자동 화재경보기의 경보음 발생부를 나타내 보인 회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온도반응 자동 화재경보기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모식적으로 나타내 보인 개략적 구성도.Figure 1 is a schematic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nd-alone temperature reaction automatic fire al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parate independent temperature reaction automatic fire al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upper cover of the independent temperature-responsive automatic fire al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alarm sound generator of the independent temperature response automatic fire al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independent temperature response automatic fire al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온도반응 자동 화재경보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내용과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한 독립형 온도반응 자동 화재경보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independent temperature response automatic fire al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independent temperature reaction automatic fire al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온도반응 자동 화재경보기를 도시해 보인 개략적 외관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온도반응 자동 화재경보기를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온도반응 자동 화재경보기의 상부 커버를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일부 분리 사시도.1 is a schematic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dependent temperature response automatic fire al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dependent temperature-responsive automatic fire al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upper cover of the independent temperature-responsive automatic fire al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온도반응 자동 화재경보기(100)는, 하우징을 이루는 하부 케이스(110) 및 상부 커버(120)와, 그들의 상보적인 결합에 의해 형성된 수납공간에 각각 내장된 상태로 조립되어 모듈화되는 것으로서, 화재발생시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 발생부(140)와, 경보음 출력 신호 송출을 위한 기동 스위치(S1)와, 기동 스위치 작동 레버(121) 및 감열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the independent temperature response
상기 하부 케이스(110) 및 상부 커버(120)는 밑변이 라운드지고 꼭지점부가 절취되어 오픈된 개구부를 가지도록 삼각형 구조의 판상체 둘레에 측벽이 형성된 몰드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서, 상기 하부 케이스(110)는 꼭지점부의 측벽이 절취되어 판상체 일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꼭지점부의 일부가 절취되어 일변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하부 케이스(110)에 상부 커버(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케이스(110)의 꼭지점부 판상체 일부가 노출되는 하우징을 형성하게 된다.The
상기 하부 케이스(110)는 판상체에는 상기 경보음 발생부(140)로부터 출력되는 경보음을 효과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통공 형태의 그릴(112)이 형성되며, 라운드진 밑변의 측벽은 개구되어 경보음 발생부(140)의 전원부로 기능하는 배터리(141)가 수납되도록 이루어진 배터리 커버(141)가 탈착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The
상기 상부 커버(120)는 판상체 내측에 수직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1쌍의 지지 리브(123)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1쌍의 지지 리브(123)에 상기 기동 스위치 작동 레버(121)가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The
상기 기동 스위치 작동 레버(121)는 고정단이 상기 상부 커버(120)에 구비된 지지리브(123)에 힌지구조(h)로 결합되는 동시에 자유단은 상기 상부 커버(120)의 판상체 내측에 지지되도록 구비된 스프링(122)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 탄성 바이어스되어 회동에 의해 하방으로 하강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 커버(120)의 꼭지점부에 절취된 개구부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The starting
그리고 상기 기동 스위치 작동 레버(121)에는 자유단 선단부 저면에 상기 감열부재(130)의 상단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형성된 지지홈(121a)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start
상기 감열부재(130)는 예를 들어 글리세린 또는 에테르 혼합물과 같은 열팽창액체가 밀봉된 유리 벌브(glass bulb)가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꼭지점부에 노출된 판상체와 상기 기동 스위치 작동 레버(121)의 자유단 사이에 직립된 상태로 지지되어 탈착 가능하게 노출되도록 세팅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감열부재(유리 벌브)(130)의 상단부는 상기 기동 스위치 작동 레버(121)의 자유단 저면에 구비된 지지홈(121a)에 삽입되는 동시에 하단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꼭지점부에 노출된 판상체에 구비된 요홈부(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안착되도록 직립된 상태로 세팅된다. The heat-
따라서, 상기 감열부재(유리 벌브; glass bulb)(130)는 상기 기동 스위치 작동 레버(121)의 자유단을 상방으로 가압하여 탄압된 정적인 구속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화재발생시 상기 감열부재(유리 벌브)(130)는 일정한 주위온도에서 감응하여 파손 또는 변형된다. 이에 따라 상기 기동 스위치 작동 레버(121)의 자유단은 정적인 구속상태에서 해제되어 스프링(122)에 의한 하방 탄성바이어스력에 의해 회동하여 하강하면서 상기 기동 스위치(S1)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로써, 상기 기동 스위치(S1)가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경보음 발생부(140)가 화재발생을 알리는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작동하게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Accordingly, the heat-sensitive member (glass bulb) 130 pressurizes the free end of the activation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감열부재(130)는 납봉(鉛棒) 등과 같이 주위 온도가 일정한 온도에 도달하면 스스로 파손 또는 변형되는 공지공용의 통상적인 퓨져블 링크(Fusible link)가 채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감열부재(130)는 예를 들어 유리 벌브(glass bulb)에 밀봉된 열팽창액체의 성분조성이나 납봉(鉛棒)의 성분조성을 달리하는 다양한 모델을 선택하여 채용할 수 있다. 이로써, 주변에 대한 반응 온도를 예를 들면, 68℃ 전후와 93℃ 전후 및 141℃ 전후 등의 상, 중, 하의 영역으로 설계하여 설정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해 다양한 장소와 위치에 따른 소화특성에 대응하여 정밀하게 작동할 수 있는 화재경보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상기 경보음 발생부(14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회로기판으로 마련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110)에 탑재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온도반응 자동 화재경보기의 경보음 발생부를 나타내 보인 회로 구성도이다.The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경보음 발생부(140)는 전력 공급용 전원부로 구비되는 배터리(141)와 미리 설정되어 입력된 경보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유닛(S3) 및상기 기동 스위치(S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구성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기동 스위치(S1)는 콘택트형 스위치가 회로기판에 실장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온도반응 자동 화재경보기(100)는 정상적인 세팅상태에서는 도 5a에 모식적으로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기동 스위치 작동 레버(121)의 자유단과 콘택트 스위치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rting switch S1 is preferably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a contact type switch is mounted on a circuit board. Accordingly, the independent temperature response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독립형 온도반응 자동 화재경보기(100)에 따르면, 화재발생시에는 발화열에 의해 주위온도가 상승하게 됨에 따라 도 5b에 모식적으로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감열부재(유리 벌브)(130)가 감응하여 파손 또는 변형되어 이탈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기동 스위치 작동 레버(121)는 자유단이 정적인 구속상태에서 해제되어 스프링(122)에 의한 하방 탄성바이어스력에 의해 회동하면서 하강하여 상기 기동 스위치(S1)를 가압에 의해 작동시키게 된다. 이로써 상기 기동 스위치(S1)가 기동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경보음 발생부(140)가 스피커 유닛(S3)을 통해 화재발생을 알리는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작동하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independent temperature respons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독립형 온도반응 자동 화재경보기(100)에 따르면, 경보음 출력 테스트용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보음 출력 테스트용 스위치는 상기 상부 커버(120)의 판상체 일부가 절개되어 상하 탄력적인 유동이 가능한 리브 형태로 이루어진 테스트 스위치 작동 레버(120S)와, 그 테스트 스위치 작동 레버(120S)와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경보음 발생부(140)를 이루고 있는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콘택트형 테스트 스위치(S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independent temperature response
상기한 바와 같이 경보음 출력 테스트용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독립형 온도반응 자동 화재경보기(100)에 따르면, 정상적인 세팅상태에서는 도 5a에 모식적으로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테스트 스위치 작동 레버(120S)와 테스트 스위치(S2)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independent temperature response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정상적인 세팅상태에서 화재감시 요원이 필요에 따라 상시적이고 주기적으로 상기 테스트 스위치 작동 레버(120S)를 가압하여 테스트 스위치(S2)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경보음 발생부(140)가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도록 작동하게 된다.Howev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e monitoring personnel press the test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독립형 온도반응 자동 화재경보기(100)에 따르면, 상기 감열부재(130)의 파손 또는 변형을 수반하지 않고서도 경보음의 출력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주기적이고 상시적인 점검에 의해 화재발생 이전에도 오작동 여부를 미리 파악하고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independent temperature response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독립형 온도반응 자동 화재경보기(100)는 상기 감열부재(130)를 커튼 형태로 에워싸 보호하는 메쉬 펜스(mesh fence)(151)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110) 및 상부 커버(12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호 커버(1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보호 커버(150)는 상기 감열부재(유리 벌브; glass bulb)(130)가 파손 또는 변형되어 이탈시 상기 메쉬 펜스(mesh fence)(151)가 그 파편을 구속하여 보호 커버(150)의 내부에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감열부재(유리 벌브; glass bulb)(130)의 파편이 주변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변의 주요부품들에 대한 손상을 억제시켜 줌으로써 경제적인 수리보수와 복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메쉬 펜스(mesh fence)는 상기 감열부재의 온도반응에 대한 민감도와 정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열전도도가 우수한 다양한 금속망이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ependent temperature-responsive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can implement various modifications. And such change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described claims.
110 : 하부 케이스 111 : 배터리 커버
112 : 경보음 출력 그릴 120 : 상부 커버
120S : 테스트 스위치 작동 레버 121 : 기동 스위치 작동 레버
121a : 감열부재 지지홈 122 : 스프링
123 : 지지 리브 130 : 감열부재
140 : 경보음 출력부 140 : 스위치 작동유닛
141 : 배터리 150 : 보호 커버
151 : 메쉬 펜스(mesh fence) S1 : 기동 스위치
S2 : 테스트 스위치 S3 : 스피커 유닛110: lower case 111: battery cover
112: alarm sound output grill 120: upper cover
120S: test switch operation lever 121: start switch operation lever
121a: heat-sensitive member support groove 122: spring
123: support rib 130: heat-sensitive member
140: alarm sound output unit 140: switch operation unit
141: battery 150: protective cover
151: mesh fence S1: start switch
S2: test switch S3: speaker unit
Claims (5)
상기 하부 케이스(110)에 마련되는 경보음 발생부(140)와;
상기 경보음 발생부(140)에 경보음 출력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기동 스위치(S1)와;
상기 기동 스위치(S1)를 작동하도록 상기 상부 커버(120)에 하방 탄성바이어스되도록 설치되어 자유단의 회동에 의해 상기 기동 스위치(S1)를 작동시키는 기동 스위치 작동 레버(121); 및
상기 기동 스위치 작동 레버(121)의 자유단을 상방으로 가압하여 탄압된 정적인 구속상태로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110)에 세팅되는 감열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기동 스위치 작동 레버(121)는 고정단이 상기 상부 커버(120)에 구비된 지지리브(123)에 힌지구조로 결합되는 동시에 자유단은 하방 탄성 바이어스되어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감열부재(130)는 상기 기동 스위치 작동 레버(121)의 자유단을 상방으로 가압하여 탄압된 정적인 구속상태로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110)에 탈착 가능하게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며, 화재시 상기 감열부재(130)가 일정한 주위온도에서 반응하여 파손 또는 변형됨에 따라 상기 기동 스위치 작동 레버(121)의 자유단 구속상태가 해제되어 하방 탄성바이어스력에 의해 직하방으로 회동하여 하강하면서 상기 기동 스위치(S1)를 작동시켜 상기 경보음 발생부(140)가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온도반응 자동 화재경보기.A lower case 110 and an upper cover 120 complementarily coupled to form a housing in which a storage space is formed;
An alarm sound generator 140 provided in the lower case 110;
A start switch (S1) for transmitting an alarm sound output signal to the alarm sound generator 140;
A start switch operation lever 121 installed to be elastically biased downward to the upper cover 120 to operate the start switch S1 to operate the start switch S1 by rotation of the free end; And
Including; a heat-sensitive member 130 set in the lower case 110 so as to press the free end of the start switch operation lever 121 upward to support the suppressed static restraint state,
The start switch operation lever 121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 fixed end is hinged to the support rib 123 provided on the upper cover 120 and the free end is elastically biased downward and can be rotated, and the thermal member 130 is installed in a state detachably exposed to the lower case 110 so as to support the free end of the start switch operation lever 121 in an oppressed static restraint state. As the member 130 reacts at a constant ambient temperature and is damaged or deformed, the free end restraint state of the start switch operation lever 121 is released, and the starting switch S1 rotates and descends directly downward by a downward elastic bias force. ), and the alarm sound generator 140 outputs an alarm sound.
상기 감열부재의 파손 또는 변형을 수반하지 않고서도 경보음의 출력 여부를 확인하여 점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상기 경보음 출력 테스트용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온도반응 자동 화재경보기.The method of claim 1,
The independent temperature response automatic fire alar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witch for the alarm sound output test made to check whether the alarm sound is output or not without accompanying damage or deformation of the heat-sensitive member.
상기 경보음 출력 테스트용 스위치는,
상기 상부 커버(120)의 판상체 일부가 절개되어 상하 탄력적인 유동이 가능한 리브 형태로 이루어진 테스트 스위치 작동 레버(120S)와,
상기 테스트 스위치 작동 레버(120S)와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경보음 발생부(140)와에 구비되는 테스트 스위치(S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온도반응 자동 화재경보기.The method of claim 3,
The alarm sound output test switch,
A test switch operating lever (120S) made of a rib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plate body of the upper cover 120 is cut to allow up-and-down elastic flow,
Independent temperature response automatic fire alar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est switch (S2) provided in the alarm sound generator 140 and the test switch operation lever (120S) and the contact to be made.
상기 감열부재(130)를 에워싸 보호하는 메쉬 펜스(mesh fence)(151)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110) 및 상부 커버(12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호 커버(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온도반응 자동 화재경보기.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3 and 4,
Further comprising a mesh fence 151 surrounding and protecting the heat-sensitive member 130 and a protective cover 150 detachably installed on the lower case 110 and the upper cover 120 Independent temperature response automatic fire alarm, characterized in tha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7021A KR102143236B1 (en) | 2020-02-12 | 2020-02-12 | Stand-alone temperature response automatic fire alarm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7021A KR102143236B1 (en) | 2020-02-12 | 2020-02-12 | Stand-alone temperature response automatic fire alarm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43236B1 true KR102143236B1 (en) | 2020-08-10 |
Family
ID=72049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7021A Expired - Fee Related KR102143236B1 (en) | 2020-02-12 | 2020-02-12 | Stand-alone temperature response automatic fire alarm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323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3555B1 (en) * | 2021-04-09 | 2021-12-27 | 주식회사 유프런티어 | Fire detection apparatus to detect fire in building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57058A (en) * | 1997-08-25 | 1999-03-02 | Yokoi Seisakusho:Kk | Sprinkler head |
JPH11102490A (en) * | 1997-07-30 | 1999-04-13 | Hidetoshi Hirota | Fire alarm |
KR200208360Y1 (en) | 2000-07-20 | 2000-12-15 | 김일 | A portable fire alarm |
JP2008181259A (en) * | 2007-01-23 | 2008-08-07 | Yazaki Corp | Wireless device, alarm system and remote control device |
KR200450193Y1 (en) | 2009-01-09 | 2010-09-09 | 임문배 | Standalone Fire Alarm |
KR101547644B1 (en) | 2013-09-16 | 2015-08-26 | 서상훈 | a fire alarm |
KR101578895B1 (en) | 2015-07-07 | 2015-12-18 | (주)도명디앤이 | stand alone fire alarm |
KR101738235B1 (en) | 2015-05-12 | 2017-05-22 |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Unpowered wireless fire alarm system |
JP2017127588A (en) * | 2016-01-22 | 2017-07-27 | 株式会社ケアコム | Attachment for push-button |
-
2020
- 2020-02-12 KR KR1020200017021A patent/KR10214323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02490A (en) * | 1997-07-30 | 1999-04-13 | Hidetoshi Hirota | Fire alarm |
JPH1157058A (en) * | 1997-08-25 | 1999-03-02 | Yokoi Seisakusho:Kk | Sprinkler head |
KR200208360Y1 (en) | 2000-07-20 | 2000-12-15 | 김일 | A portable fire alarm |
JP2008181259A (en) * | 2007-01-23 | 2008-08-07 | Yazaki Corp | Wireless device, alarm system and remote control device |
KR200450193Y1 (en) | 2009-01-09 | 2010-09-09 | 임문배 | Standalone Fire Alarm |
KR101547644B1 (en) | 2013-09-16 | 2015-08-26 | 서상훈 | a fire alarm |
KR101738235B1 (en) | 2015-05-12 | 2017-05-22 |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Unpowered wireless fire alarm system |
KR101578895B1 (en) | 2015-07-07 | 2015-12-18 | (주)도명디앤이 | stand alone fire alarm |
JP2017127588A (en) * | 2016-01-22 | 2017-07-27 | 株式会社ケアコム | Attachment for push-butto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3555B1 (en) * | 2021-04-09 | 2021-12-27 | 주식회사 유프런티어 | Fire detection apparatus to detect fire in building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672040A (en) | A fire monitoring and extinguishing system for an electrical cabinet | |
CN106408886A (en) | Combustible gas detection system | |
CN102834144A (en) | Fire prevention device | |
CN206441322U (en) | Combustible gas detection system | |
KR102143236B1 (en) | Stand-alone temperature response automatic fire alarm device | |
KR101292512B1 (en) | Actuator of a condensed aerosol fire extinguisher | |
US11545014B1 (en) | Fire detection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their use | |
CN213024718U (en) | Novel multifunctional fire alarm | |
KR102213265B1 (en) | A system for checking the operation for a solid aerosol fire extinguisher using thermal cutoff fuse | |
BE1031091B1 (en) | Monitoring system for remote contactless diagnosis and control of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s for local protection of electrical devices | |
CN209928589U (en) | Gas leakage alarm device based on wireless platform | |
CN104658160A (en) | Multifunctional fire detection alarm apparatus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 |
US11735020B2 (en) | Combined heat-smoke detector with a shielding controlled by a thermal bolt containing a thermal element changing its state at a threshold temperature | |
CN215576872U (en) | Forest fire prevention intelligent monitoring device | |
US2749993A (en) | Fire extinguisher | |
US3434133A (en) | Fire alarm | |
KR20230134172A (en) | Automatic fire extinguisher with fire monitoring system for small and medium electric panel | |
US3805257A (en) | Combined fire and burglar alarm | |
CN210895738U (en) | A high-level intelligent fire early warning and escape system | |
CN211787407U (en) | Intelligent fire control management monitored control system | |
JPH034293Y2 (en) | ||
JP2005275844A (en) | Fire alarm | |
CN213024721U (en) | Wireless fire-fighting smoke-sensing alarm system based on GPRS | |
CN212624313U (en) | A temperature-sensing passive electric starting device | |
CN221808323U (en) |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as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2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8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