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791B1 - miR-204 억제제의 골관절염 치료 용도 - Google Patents
miR-204 억제제의 골관절염 치료 용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2791B1 KR102142791B1 KR1020180169158A KR20180169158A KR102142791B1 KR 102142791 B1 KR102142791 B1 KR 102142791B1 KR 1020180169158 A KR1020180169158 A KR 1020180169158A KR 20180169158 A KR20180169158 A KR 20180169158A KR 102142791 B1 KR102142791 B1 KR 1021427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r
- arthritis
- chondrocytes
- expression
- rn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mmu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에서 (A) 연골세포에 menadione (25 μM; n = 3) 또는 과산화수소 (500 μM; n = 4)를 명시된 시간 동안 처리한 뒤 miR-204의 상대적 발현량. (B) 연골세포에 명시된 농도의 과산화수소를 7일간 처리한 뒤 miR-204의 상대적 발현량 (n = 6). (C) Vehicle 또는 과산화수소(200 μM)를 처리한 뒤 γ-H2AX (흰색 화살표로 표시)와 p16INK4a에 대한 면역형광법. Scale bar, 100 μm. (D) 연골세포에 vehicle 또는 과산화수소(200 μM)를 처리한 뒤 SA-β-Gal 염색과 SA-β-Gal 양성 세포 정량 (n = 3). Scale bar, 100 μm. (E) Vehicle 또는 과산화수소를 처리한 연골세포 내 CDK 저해인자 및 Lmnb1의 상대적 mRNA 발현량 측정. (n = 4). (F) 연골세포에 명시된 정도의 감마선 조사 후 5일 뒤 SA-β-Gal 염색과 SA-β-Gal 양성 세포 정량 (n = 3). Scale bar, 100 μm. (G) 감마선을 조사한 연골세포 내 CDK 저해인자 및 Lmnb1의 상대적 mRNA 발현량 측정 (n = 6). (H) 연골세포에 감마선 조사 후 5일뒤 miR-204의 상대적 발현량 (n = 6). (I) 연골세포에 명시된 농도의 bleomycin (n = 4)과 doxorubicin (n = 6) 처리 후 SA-β-Gal 양성세포 정량 (J and K) (J) Bleomycin 또는 (K) doxorubicin을 처리한 연골세포 내 CDK 저해인자 및 Lmnb1의 상대적 mRNA 발현량 측정 (n = 6). (L) Bleomycin 또는 (K) doxorubicin을 처리한 연골세포 내 miR-204의 상대적 발현량 (n = 4). (M) 연골세포에 감마선 조사 후 명시된 시간에 따른 miR-204, Il6, and Mmp3 의 상대적 발현량 (5 Gy; n = 6). (N and O) Gata4 or Rela를 표적으로 하는 siRNA 전달과 (N) 감마선 조사 (n ≥ 3) 및 (O) doxorubicin (n = 3) 처리 후 miR-204의 상대적 발현량. 데이터는 평균 ± SEM을 나타냄. *P < 0.05, **P < 0.01, ***P < 0.001. NS, not significant. ANOVA in (A), (B), (F), (H), (I), and (L) to (O). Student's t test in (D), (E), (G), (J), and (K).
도 3에서 (A) miR-Ctrl 또는 miR-204로 전달되고 14일 동안 3차원 매트릭스에서 성장한 연골세포 (n = 68)에서 Alcian blue 염색(왼쪽)과 pericellular matrix (오른쪽)의 두께 정량. Scale bar, 100 μm. (B) miR-Ctrl 또는 miR-204로 형질 감염된 연골세포의 sGAG 방출량 (n = 8). (C) 자발적인 퇴행성관절염 모델 마우스 (위) 또는 퇴행성관절염 유도 수술 마우스 (아래)에서 miRNA 전달 실험의 도식적 그림. (D) miR-Ctrl 또는 miR-204가 전달된 활액막 (위) 또는 연골 (아래)의 절편에서 miR-204 (검은색 화살표로 표시)의 제자리혼성화기법. Scale bar, 25 μm. (E) In vivo-jetPEI (0.4 mg/kg miRNA, 10주 동안 2주에 1회)를 통한 마우스 무릎 관절 내 miR-Ctrl 또는 miR-204의 전달. 관절 조직 절편은 safranin O, fast green, hematoxylin으로 염색됨. Scale bar, 200 μm. (F) 연골 손상, 연골하골 경화, 골극 형성, 활액막염 등이 safranin O/hematoxylin 염색을 통해 분석됨 (n = 4). (G) 대조군 및 퇴행성관절염 유도 수술 마우스의 관절강 내 miR-Ctrl 또는 miR-204를 전달 (0.4 mg/kg; 6주 동안 2주에 1회). 관절 조직 절편은 safranin O, fast green, hematoxylin으로 염색됨. Scale bar, 200 μm. (H) 연골 손상, 연골하골 경화, 골극 형성, 활액막염 등이 safranin O/hematoxylin 염색을 통해 분석됨 (n = 4). 데이터는 평균 ± SEM을 나타냄. *P < 0.05, ***P < 0.001. NS, not significant. ANOVA와 post hoc test in (B). Mann-Whitney U test in (F). Kruskal-Wallis test와 Mann-Whitney U test in (H).
도 4에서 (A) miR-Ctrl 또는 miR-204을 전달한 연골 세포 또는 bleomycin 또는 doxorubicin이 처리 된 연골 세포의 SA-β-Gal 염색. miR-Ctrl 또는 miR-204을 전달한 연골 세포에서의 SA-β-Gal의 대표적인 이미지 (n = 3). Scale bar, 100 μm. (B) miR-Ctrl 또는 miR-204 (n = 6)을 전달한 연골 세포 성장 분석. (C or D) miR-Ctrl 또는 miR-204 (n ≥ 4)을 전달한 연골 세포에서 (C) CDK 저해인자 또는 (D) SASP 인자의 상대적 mRNA 발현량. (E) PG 생합성 경로는 IPA로부터 얻음. miR-204 전달에 따른 유전자 발현의 변화는 RNA seq. 데이터에서 녹색 (낮은 발현량)에서 적색 (높은 발현량)까지의 색으로 표시하였음. (F) qRT-PCR을 이용하여 (E)에서 발현량이 감소한 유전자의 상대적 mRNA 발현량 측정 (n = 8). (G) 예측된 miR-204 표적 유전자에 대한 3'UTR 리포터 벡터의 설계도. miR-204의 6-mer seed binding site 인 AAGGGA는 돌연변이 3'UTR 리포터에서 CGTACC로 돌연변이됨. (H or I) miR-Ctrl 또는 miR-204 (n ≥ 3)을 전달한 연골 세포에서 (H) Slc35d1, Chsy1, Chst11, Chst15 및 (I) Csgalnact2의 WT 또는 돌연변이 3'UTR 리포터의 상대적인 luciferase 활성. (J) miR-Ctrl 또는 miR-204 (n = 3)을 전달한 연골 세포에서 Hapln1 및 Has2의 3'UTR 리포터의 상대적인 luciferase 활성. (K) miR-Ctrl 또는 miR-204의 관절강 내 주사를 통해 전달 후 생쥐의 연골 절편에서 SLC35D1, CHSY1, CHST11, HAPLN1 및 CS의 면역 염색. 스케일 바, 25 μm. (L) Slc35d1, Chsy1, Chst11, 또는 Hapln1을 표적으로 하는 25 nM siRNA 또는 이들의 siRNA 혼합 물을 전달한 연골 세포의 sGAG 방출량. 전달한 siRNA의 총량 (100 nM)을 음성 대조군 siRNA (n = 6)으로 설정. 데이터는 평균 ± SEM을 나타냄. *P < 0.05, **P < 0.01, ***P < 0.001. NS, not significant. Student's t test in (A) to (D), (F), (H) to (J), and (L).
도 5에서 (A) antimiR-Ctrl 또는 antimiR-204을 전달한 P2 연골세포에서 PG와 관련된 miR-204 표적 유전자의 상대적인 mRNA 발현량 (n = 6). (B) antimiR-Ctrl 또는 antimi-204을 전달한 연골 세포의 sGAG 방출 (n = 5). (C) antimiR-Ctrl 또는 antimiR-204을 전달 한 뒤, IR 노출 후 연골 세포에서의 SA-β-Gal 정량 (n = 3). (D) antimiR-Ctrl 또는 antimiR-204 (n = 4)을 전달한 뒤, 감마선 조사 후 연골 세포에서 SASP 인자의 상대적 mRNA 발현량. (E) 외상 후 퇴행성관절염 모델 마우스에서 antimiR 치료의 개략도. (F) 생체 내 transfection 시약인 in vivo-jetPEI (0.4 mg/kg, 10주 동안 12일에 1회)를 사용하여 대조군 또는 DMM으로 수술한 마우스에게 antimiR-Ctrl 또는 antimiR-204를 전달하였음. 관절 조직 절편은 safranin O, fast green, hematoxylin 및 miR-204에 대한 제자리혼성화기법으로 염색됨. Scale bar, 200 μm. (G) 연골 손상, 연골하골 경화, 골극 형성, 활액막염 등이 safranin O/hematoxylin 염색을 통해 분석됨 (n = 3 for sham, n = 8 for DMM). (H) Sham 또는 DMM을 수행한 뒤 antimiR-Ctrl 또는 antimiR-204를 관절 내 주입한 마우스의 수술을 시행한 다리에 걸리는 체중과 반대쪽 다리에 걸리는 체중의 비율을 통한 퇴행성관절염 통증 분석. (I) CS, SASP 인자 (MMP3 및 MMP13) 및 노화표지자 p16INK4a에 대한 면역조직화학법. Scale bar, 25 μm. 데이터는 평균 ± SEM을 나타냄. *P < 0.05, **P < 0.01, ***P < 0.001. NS, not significant. Student's t test in (A), (B), and (H). ANOVA와 post hoc test in (C) and (D). Kruskal-Wallis test와 Mann-Whitney U test in (G).
도 6에서 (A) 14일간 doxorubicin (1 μM)이 처리된 인간유래 연골세포의 SA-β-Gal 염색의 대표적인 이미지 및 정량 (n = 3). Scale bar, 100 μm. (B) Vehicle 또는 doxorubicin을 처리한 인간유래 연골세포 내 p16INK4a에 대한 면역형광법. Scale bar, 25 μm. (C) Vehicle 또는 doxorubicin을 처리한 인간유래 연골세포 내 CDK 저해인자 및 LMNB1의 상대적 mRNA 발현량 측정 (n = 5). (D) Vehicle 또는 doxorubicin을 처리한 인간유래 연골세포 내 miR-204의 상대적 발현량 (n = 4). (E) miR-Ctrl 또는 miR-204를 과발현한 인간유래 연골세포 내 PG 생합성 경로를 구성하는 유전자들의 상대적 mRNA 발현량 (n = 3). (F) 퇴행성관절염 환자의 연골을 조직 배양한 뒤 antimiR-Ctrl 또는 antimiR-204를 과발현하였음. 연골 조직 절편은 miR-204의 제자리혼성화기법 및 CS, MMP3, MMP13에 대한 면역 염색으로 염색됨. miR-204, CS, MMP3, MMP13에 대한 연골세포 내 양성도를 정량함 (n ≥ 3). Scale bar, 100 μm. (G) miR-204의 매개에 의한 노화 유도에 따른 OA 발생의 신호 경로 모식도. 데이터는 평균 ± SEM을 나타냄. *P < 0.05, **P < 0.01, ***P < 0.001. Student's t test in (A), (C), (D), (E), and (F).
도 7에서 (A) 퇴행성관절염의 진행과 연관된 miRNA 선별을 위한 스크리닝 방법의 모식도. (B) P0 연골세포에 대비한 P2 연골세포에서 유의하게 발현이 증가한 41개의 miRNA 발현의 fold change. (C) P0 연골세포에 대비한 P2 연골세포에서 miR-204의 상대적 발현량. 데이터는 평균 ± SEM을 나타냄. *P < 0.05. Student's t test in (C).
도 8에서 (A) HA tag과 결합된 공벡터, mouse p16INK4a, mouse p19Arf 단백질을 과발현한 HEK293T 세포주에서의 HA, p16INK4a, Vinculin, Actin에 대한 웨스턴 블롯팅. (B) 대조군 sham과 퇴행성관절염 유도 마우스의 연골 조직에서의 p16INK4a에 대한 면역조직화학법. (C) 2개월 또는 24개월령 마우스의 연골 조직에서의 p16INK4a에 대한 면역조직화학법.
도 9에서 (A) 연골세포에 명시된 정도의 감마선 조사 후 5일 뒤 SA-β-Gal 염색의 대표 이미지. Scale bar, 100 μm. (B) 대조군 또는 5 Gy의 감마선을 조사한 마우스 연골세포에서 γ-H2AX (백색 화살표로 표시)에 대한 면역형광법. DAPI로 염색된 핵이 푸른색으로 염색됨. Scale bar, 25 μm.
도 10에서 (A and B) 마우스 연골세포에 명시된 농도의 (A) bleomycin 또는 (B) doxorubicin 처리 후 SA-β-Gal 염색의 대표 이미지. Scale bar, 100 μm. (C) bleomycin (200 μg/ml) 또는 doxorubicin (100 nM)을 처리한 연골세포에서의 p16INK4a에 대한 면역형광법. Scale bar, 25 μm.
도 11에서 (A) 마우스 연골세포에 감마선 조사 (5 Gy; n = 4), bleomycin (200 μg/ml; n = 6), 또는 doxorubicin (100 nM; n = 3)를 처리한 뒤 Cdkn1a의 상대적 발현량. (B) Nutlin-3a를 명시된 농도로 처리한 연골세포에서 Cdkn1a (n = 4)와 miR-204 (n = 3)의 발현량. (C and E) (C) Trp53과 (E) Cdkn2a에 대한 siRNA의 연골세포 내 knockdown 효율성을 RT-PCR (위)과 qRT-PCR (아래)를 통해 확인하였음. (D and F) 감마선을 조사한 뒤 control siRNA, (D) Trp53 또는 (F) Cdkn2a에 대한 siRNA를 형질주입한 연골세포 내 miR-204의 상대적 발현량. (n ≥ 3). 데이터는 평균 ± SEM을 나타냄. *P < 0.05, **P < 0.01, ***P < 0.001. NS, not significant. Student's t test in (A), (C), and (E). ANOVA와 post hoc test in (B), (D), and (F).
도 12에서 (A) 마우스 연골세포에 명시된 농도의 감마선 조사 후 5일 뒤 Trpm3의 상대적 발현량 (n = 6). (B) 마우스 연골세포에 감마선 조사 (5 Gy; n = 6) 후 명시된 시간 뒤 Trpm3의 상대적 발현량. (C) miR-204 유전자의 유전체 상 위치를 표시한 모식도 (위). 두 개의 전사개시점(TSS)이 인간과 마우스 사이에 보존됨. 수직선이 miR-204의 host 유전자인 Trpm3의 엑손 부위를 나타냄. 6번 인트론 내에 위치하는 miR-204를 coding하는 서열은 초록색 화살표로 표시됨. Trpm3-miR-204 TSS1과 TSS2 프로모터에 대한 reporter construct는 진화적으로 보존된 영역 (ECR)에 기반해 설계되었음. (D) 감마선을 명시된 농도로 처리한 연골세포 내 Trpm3-miR-204 TSS1과 TSS2 프로모터의 상대적 luciferase 활성도 (n = 4). (E) Trpm3-miR-204 TSS1 프로모터 상의 GATA와 NF-κB 전사인자에 대한 결합부위의 모식도. (F and G) Gata4 또는 Rela에 대한 siRNA의 knockdown efficiency를 일차 배양한 연골세포에서 RT-PCR (위)과 qRT-PCR (아래; n = 3)을 통해 검증하였음. (H) 40 nM 또는 100 nM의 miR-Ctrl 또는 miR-204를 형질주입한 연골세포 내 miR-204의 상대적 발현량 (n = 4). 데이터는 평균 ± SEM을 나타냄. *P < 0.05, **P < 0.01, ***P < 0.001. NS, not significant. ANOVA와 post hoc test in (A), (B), and (D). Student's t test in (F) to (H).
도 13에서 (A) miR-Ctrl에 FITC를 결합한 뒤 마우스 관절강 내 주입함 (0.4 mg/kg). FITC (검은색 화살표)가 마우스 무릎관절의 활액막과 연골 조직에서 면역조직화학법으로 염색됨. AC, 관절 연골; Sy, 활액막. Scale bars, 25 μm. (B and C) miR-Ctrl 또는 miR-204를 관절강 내 주입한 마우스의 활액막 절편에서의 (B) IL-1β, TNF-α과 (C) MMP13에 대한 면역조직화학법. (D) miR-Ctrl 또는 miR-204를 관절강 내 주입한 마우스의 연골조직에서 MMP13에 대한 면역조직화학법. Scale bar, 100 μm.
도 14에서 (A) 연골세포에서 miR-204 과발현에 의해 발현이 감소한 유전자들의 co-expression 양상을 대표하는 heatmap. Gene profile 간의 강한 양성의 correlation은 빨간 색으로, 강한 음성의 correlation은 파란 색으로 표현하였음. Hierarchical clustering을 통해 네 개의 잠재적인 gene cluster가 선별됨. (B) 잠재적 miR-204의 표적 유전자와 각 gene cluster 간의 hypergeometric P value. (C) Cluster 2를 KEGG, Reactome, HumanCyc pathway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Enrichr pathway 분석한 결과 combined score가 가장 높은 네 개의 annotation과 그에 해당하는 combined score를 그래프로 표현하였음. (D) Cluster 1, 3, 4의 Enrichr pathway 분석 결과 combined score가 가장 높은 annotation을 표현하였음.
도 15에서 (A and B) (A) 마우스 연골세포 또는 (B) SW1353 연골암 세포주에서 miR-Ctrl 또는 miR-204 형질주입에 의한 유전자들의 mRNA 발현을 RT-PCR을 통해 분석하였음. (C) miR-Ctrl 또는 miR-204를 형질주입한 마우스 연골세포에서의 Slc35b4, Xylt1, Chsy3, Hs2st1 유전자의 mRNA 상대적 발현량. 네 개의 유전자는 3 ′UTR에 miR-204에 대한 seed 서열을 포함하지만 miR-204 mimic 형질주입에 의해 마우스 일차배양 연골세포에서 발현이 감소하지 않음 (n ≥ 8). 데이터는 평균 ± SEM을 나타냄. NS, not significant. Student's t test in (C).
도 16에서 (A) miR-Ctrl 또는 miR-204를 형질주입한 마우스 연골세포에서의 Sox9 또는 Acan mRNA 상대적 발현량 (n = 3). (B) miR-Ctrl 또는 miR-204를 형질주입한 마우스 연골세포에서 SOX9과 ACAN 3 ′UTR reporter의 상대적 luciferase 활성도 (n = 5). (C) miR-Ctrl 또는 miR-204를 과발현한 마우스 연골세포에서의 SOX9, ACAN, Actin에 대한 웨스턴 블롯팅. (D) miR-Ctrl 또는 miR-204를 관절강 내 전달한 마우스의 연골 조직에서 SOX9과 ACAN을 면역조직화학법으로 염색하였음. 데이터는 평균 ± SEM을 나타냄. Scale bar, 25 μm. NS, not significant. Student's t test in (A) and (B).
도 17에서 (Slc35d1, Chsy1, Chst11, Hapln1에 대한 siRNA의 knockdown 효율성 RT-PCR (위)과 qRT-PCR (아래; n = 3). 데이터는 평균 ± SEM을 나타냄. Student's t test.
도 18에서 (A) 감마선 조사 후 antimiR-Ctrl 또는 antimiR-204를 형질주입한 마우스 연골세포에서 SA-β-Gal 염색의 대표 이미지. (B and C) (B) IL-1β (1 ng/ml) 또는 감마선 (5 Gy)을 조사한 연골세포와 (C) 감마선을 조사한 후 antimiR-Ctrl 또는 antimiR-204를 형질주입한 연골세포에서의 Timp2와 Igfbp7 SASP factor의 상대적 mRNA 발현량. 데이터는 평균 ± SEM을 나타냄. *P < 0.05, ***P < 0.001. NS, not significant. ANOVA와 post hoc test in (B) and (C).
도 19에서 (A) 생체 내 transfection 시약인 in vivo-jetPEI (0.4 mg/kg, 10주 동안 12일에 1회)를 사용하여 sham 대조군 마우스에게 antimiR-Ctrl 또는 antimiR-204를 전달하였음. 연골 조직은 safranin O 염색과 miR-204에 대한 제자리혼성화기법을 이용해 염색됨. Scale bar, 25 μm. (B) Sham 또는 DMM을 수행한 마우스에 antimiR-Ctrl 또는 antimiR-204를 주입하였음. 연골조직에서 p16INK4a에 대한 항체 (Abcam #54210)을 이용한 p16INK4a에 대한 면역조직화학법. Scale bar, 25 μm.
Claims (14)
- miR-204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관절염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iR-204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은 상기 miR-204의 표적 유전자로서 SLC35D1(Solute carrier family 35 (UDP-glucuronic acid/UDP-N-acetylgalactosamine dual transporter), member D1), CHSY1(Chondroitin sulfate synthase 1), CSGALNACT2 (Chondroitin sulfate N-acetylgalactosaminyltransferase 2), CHST11 (Carbohydrate sulfotransferase 11), CHST15 (Carbohydrate sulfotransferase 15); HAS2 (Hyaluronan synthase 2) 및 HAPLN1 (Hyaluronan and proteoglycan link protein 1) 유전자의 3'-UTR 과 miR-204의 상호작용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인, 관절염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iR-204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은 이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인, 관절염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iR-204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은 상기 miR-204의 서열번호 1 또는 서열번호 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의 전부 또는 일부에 결합할 수 있는 핵산 분자인, 관절염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핵산분자는 RNA, DNA, 앤타고미어, 안티센스 분자, siRNA, shRNA, 2'-O-변형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포스포로티오에이트-백본 디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 포스포로티오에이트-백본 리보뉴클레오타이드, 디코이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PNA(peptide nucleic acid)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또는 LNA(locked nucleic acid)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인, 관절염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핵산분자는 서열번호 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중 1번 또는 8번까지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의 전부 또는 일부에 상보적인 서열을 포함하는 6 내지 100mer의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인, 관절염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이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가 LNA, 또는 이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의 당이 2‘-O- 메틸화, 또는 이의 백본에 하나이상의 포스포티오에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관절염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5’-AAGGGA-3'(서열번호 4), 5’-AAAGGGAA-3'(서열번호 5), 또는 5′-AGGCAUAGGAUGACAAAGGGAA-3′(서열번호 6) 인, 관절염 치료용 약학 조성물.
- miR-204 RNA를 시험물질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시험물질과 접촉된 miR-204 RNA의 활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된 miR-204의 활성이, 상기 시험물질과 접촉되지 않은 대조군의 miR-204 RNA의 활성과 비교하여 감소한 경우 이를 후보물질로 선별하는 것인, 관절염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miR-204 RNA는 이를 발현하는 세포는 마우스 일차 배양 연골세포; 퇴행성관절염 환자 유래 일차 배양 연골세포; SW1353 세포주; C20A4, TC28A2, 또는 C28I2을 포함하는 인간 연골 세포주: 또는 H4 마우스 콘드로사이트 (RRID: CVCL_W634), ATDC5, 또는 MC615를 포함하는 마우스 연골세포주를 포함하는 세포에서 발현되는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활성은 상기 miR-204 RNA의 발현 분석으로 결정되며, 상기 세포는 miR-204 발현의 상위 조절자로 GATA4 및 NF-kB을 추가로 발현하는 것인, 관절염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miR-204 RNA는 이를 발현하는 세포의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활성은 상기 miR-204 RNA와 이의 표적인 SLC35D1, CHSY1, CSGALNACT2, CHST11, CHST15, HAS2 또는 HAPLN1 의 3'-UTR 과의 상호작용 분석으로 결정되는 것인, 관절염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
- 삭제
- 관절염의 진행정도 또는 진단 또는 예후가 필요한 대상자 유래의 시료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시료에서 miR-204의 발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마커의 발현량을 검사 대상자의 관절염 또는 예후와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연관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검사 대상자의 miR-204의 발현량은 대조군 시료와 비교하여 그 양의 증가한 경우, 상기 대상자를 관절염으로 진단하는 것인, 관절염의 진행정도 또는 진단 또는 예후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마커를 인비트로에서 검출하는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연골조직, 활액, 혈액 또는 소변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70180449 | 2017-12-27 | ||
KR1020170180449 | 2017-12-2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9558A KR20190079558A (ko) | 2019-07-05 |
KR102142791B1 true KR102142791B1 (ko) | 2020-08-07 |
Family
ID=67225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9158A Active KR102142791B1 (ko) | 2017-12-27 | 2018-12-26 | miR-204 억제제의 골관절염 치료 용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279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30432A (ko) | 2022-03-03 | 2023-09-12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miRNA204 억제제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141621B2 (ja) * | 2017-03-31 | 2022-09-26 | 学校法人 愛知医科大学 | コンドロイチン硫酸生合成を阻害するアンチセンス核酸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055538A (zh) | 2018-09-20 | 2018-12-21 | 苏州大学 | 一种类风湿性关节炎的外泌体miRNA标志物及试剂盒 |
-
2018
- 2018-12-26 KR KR1020180169158A patent/KR10214279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055538A (zh) | 2018-09-20 | 2018-12-21 | 苏州大学 | 一种类风湿性关节炎的外泌体miRNA标志物及试剂盒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Guodong Wang, et al., Oncotarget, 2017, Vol. 8, (No. 53), pp: 91281-91290 (2017.08.10) |
Song X, et al., Pharmazie. 2017 Oct 1; Vol.72(10): pp.587-592. (2017.10.31)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30432A (ko) | 2022-03-03 | 2023-09-12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miRNA204 억제제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9558A (ko) | 2019-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li et al. | The non-coding RNA interactome in joint health and disease | |
Li et al. | LncIRS1 controls muscle atrophy via sponging miR‐15 family to activate IGF1‐PI3K/AKT pathway | |
US10577604B2 (en) | Methods for monitoring C9ORF72 expression | |
EP2316491B1 (en) | Cell proliferation inhibitor | |
Mao et al. | Long non-coding RNA HOTTIP promotes CCL3 expression and induces cartilage degradation by sponging miR-455-3p | |
Liu et al. | Micro124-mediated AHR expression regulates the inflammatory response of chronic rhinosinusitis (CRS) with nasal polyps | |
JP6157852B2 (ja) | 多繊毛上皮細胞における繊毛の機能不全に関連する疾患を治療するためのマイクロrnaの使用 | |
CN102387817A (zh) | 通过抑制针对脑衍生神经营养因子(bdnf)的天然反义转录物来治疗bdnf相关的疾病 | |
CN102803492A (zh) | 通过抑制针对三重四脯氨酸(ttp)的天然反义转录物来治疗ttp相关疾病 | |
EP2683411B1 (en) | Methods of using microrna-26a to promote angiogenesis | |
US9789132B2 (en) | Methods targeting miR-128 for regulating cholesterol/lipid metabolism | |
Chen et al. | Long non-coding RNA (lncRNA) small nucleolar RNA host gene 15 (SNHG15) alleviates osteoarthritis progression by regulation of extracellular matrix homeostasis | |
JP2016522675A (ja) | 上皮間葉移行に関連した疾患の治療において有用な分子標的及び前記標的のインヒビター | |
Zhang et al. | CircRNA_Maml2 promotes the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intestinal epithelial cells after severe burns by regulating the miR-93-3p/FZD7/Wnt/β-catenin pathway | |
JP2016521114A (ja) | 線維化疾患治療において有用な分子標的及び化合物、並びにこれらの同定方法 | |
Mizbani et al. | MicroRNA deep sequencing in two adult stem cell populations identifies miR-501 as a novel regulator of myosin heavy chain during muscle regeneration | |
WO2017156591A1 (en) | Osteoarthritis mirnas | |
KR102142791B1 (ko) | miR-204 억제제의 골관절염 치료 용도 | |
Wang et al. | Inhibition of miR‐24 suppresses malignancy of huma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by targeting WWOX in vitro and in vivo | |
Ni et al. | An inducible long noncoding RNA, LncZFHX2, facilitates DNA repair to mediate osteoarthritis pathology | |
Yao et al. | Extracellular CIRP induces abnormal activation of fibroblast-like synoviocytes from patients with RA via the TLR4-mediated HDAC3 pathways | |
Jia et al. | miR-379-5P inhibition enhances intestinal epithelial proliferation and barrier function recovery after ischemia/reperfusion by targeting EIF4G2 | |
Kim | Dysregulated circular RNAs and their pathological implications in knee osteoarthritis: Potential novel therapeutic targets and diagnostic biomarkers | |
JP2016518812A (ja) | 線維症治療において有用な分子標的及び前記標的のインヒビター | |
WO2011125245A1 (ja) | miRNAを用いた小細胞肺癌の予後予測方法、小細胞肺癌治療方法、小細胞肺癌予後改善方法、及び小細胞肺癌治療剤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8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