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42441B1 - Slurry composition for lithium-ion secondary cell negative electrode - Google Patents

Slurry composition for lithium-ion secondary cell negative electr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441B1
KR102142441B1 KR1020147030017A KR20147030017A KR102142441B1 KR 102142441 B1 KR102142441 B1 KR 102142441B1 KR 1020147030017 A KR1020147030017 A KR 1020147030017A KR 20147030017 A KR20147030017 A KR 20147030017A KR 102142441 B1 KR102142441 B1 KR 102142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electrode
water
soluble polymer
mass
ethylenically unsatura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00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42147A (en
Inventor
유스케 아다치
도모카즈 사사키
Original Assignee
제온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온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제온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042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1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441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4Composites as mix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과제) 우수한 사이클 특성을 갖는 이차 전지, 및 우수한 결착성을 갖는 부극을 얻을 수 있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은, 부극 활물질 (A), 수용성 고분자 (B) 및 물 (C) 를 함유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로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 (B) 가,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단위 및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의 알칼리 금속염인 수용성 고분자 (B1) 및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단위를 80 질량% 이상 함유하는 중합체의 알칼리 금속염인 수용성 고분자 (B2) 를 함유하고, 상기 수용성 고분자 (B1) 의 5 % 수용액 점도가 100 cp 이상, 1500 cp 이하이고, 상기 수용성 고분자 (B2) 의 5 % 수용액 점도가 2000 cp 이상, 20000 cp 이하이다.
(Task) Providing a slurry composition for a secondary battery having excellent cycle characteristics, and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obtaining a negative electrode having excellent binding properties.
(Solution)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a water-soluble polymer (B), and water (C), wherein the water-soluble polymer ( B) Aqueous polymer (B1), which is an alkali metal salt of a polymer containing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units and fluorine-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s, and alkali of a polymer containing 80 mass% or more of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units. Water-soluble polymer (B2) which is a metal salt, and the viscosity of the 5% aqueous solu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s 100 cp or more and 1500 cp or less, and the viscosity of the 5% aqueous solu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s 2000 cp or more, 20000 cp Is below.

Description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SLURRY COMPOSITION FOR LITHIUM-ION SECONDARY CELL NEGATIVE ELECTRODE}Slurry composition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FOR LITHIUM-ION SECONDARY CELL NEGATIVE ELECTRODE}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최근, 노트북 컴퓨터, 휴대 전화,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휴대 단말의 보급이 현저하다. 이들 휴대 단말의 전원에 사용되고 있는 이차 전지에는, 니켈 수소 이차 전지,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등이 다용되고 있다. 휴대 단말은, 보다 쾌적한 휴대성이 요구되어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 고성능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그 결과, 휴대 단말은 여러 장소에서 이용되게 되고 있다. 또, 전지에 대해서도 휴대 단말에 대한 것과 동일하게,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 고성능화가 요구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spread of portable terminals such as notebook computers, mobile phones, and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is remarkable. Nickel hydrogen secondary batteries,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and the like are commonly used as secondary batteries used for power supplies for these portable terminals. The portable terminal is required to have more comfortable portability, and the miniaturization, thinning, light weight, and high performance are rapidly progressing, and as a result, the portable terminal is used in various places. In addition, the battery is required to be miniaturized, thinned, lightweight, and high-performance in the same way as for a portable terminal.

종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는, 부극 활물질로서 그라파이트 등의 탄소계 활물질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부극은, 그 부극 활물질과 바인더 조성물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수용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슬러리 조성물을 집전체에 도포, 건조시켜 제조되고 있다.Conventionally, carbon-based active materials such as graphite have been used as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In addition, the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s produced by coating and drying a slurry composition containing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binder composition, and a water-soluble polymer such as carboxymethylcellulose.

최근에 있어서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고용량화를 목적으로 하여, Si 등을 함유하는 합금계 활물질을 사용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합금계 활물질을 함유하는 슬러리 조성물 중에 있어서, 합금계 활물질은 응집되기 쉬워,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그 결과, 이차 전지의 셀 저항이 증대되어, 사이클 특성 등의 전지 특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었다.In recent years, in order to increase the capacity of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using an alloy-based active material containing Si or the like has been developed. However, in a slurry composition containing an alloy-based active material, the alloy-based active material tends to aggregate and it is difficult to disperse uniformly. As a result, the cell resistance of the secondary battery increases, and battery characteristics such as cycle characteristics may deteriorate.

특허문헌 1 에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첨가하여 합금계 활물질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있지만, 전자 저항이나 전하 이동 저항의 증대, 그에 따르는 셀 물성 (전지 특성) 의 악화가 염려된다.In Patent Document 1, carboxymethyl cellulose is added to improve the dispersibility of the alloy-based active material, but an increase in electron resistance or charge transfer resistance, and deterioration of cell properties (battery characteristics) associated therewith are concerned.

또, 특허문헌 2 에서는,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단위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 등을 함유하는 수용성 폴리머를 사용하고 있지만, 슬러리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합금계 활물질의 분산성이 충분하지 않고, 그 때문에, 부극 활물질층에 있어서 합금계 활물질이 편재화되는 경우가 있었다. 그 결과, 충방전시에 있어서의 합금계 활물질의 체적 팽창에 수반하여, 활물질이 부극으로부터 탈리 (분말 떨어짐) 되어,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이나 출력 특성 등을 악화시킬 우려가 있다.Further, in Patent Document 2, a water-soluble polymer contain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unit, a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or the like is used, but the dispersibility of the alloy-based active material in the slurry composition is not sufficient. Therefore, the alloy-based active material may be unevenly distributed i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s a result, as the volume of the alloy-based active material expands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active material may desorb (fall off) from the negative electrode, deteriorating cycle characteristics, output characteristics, and the like of the secondary battery.

국제 공개 2011/37142호International Publication 2011/37142 국제 공개 2012/26462호International Publication 2012/26462

종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부극 활물질로서 탄소계 활물질이 사용되고 있었지만, 최근,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추가적인 고용량화를 목적으로 하여, 부극 활물질에 합금계 활물질을 사용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부극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슬러리 조성물 중에 있어서, 합금계 활물질은 응집되기 쉬워,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없음으로써, 사이클 특성 등의 전지 특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었다.Conventionally, a carbon-based active material has been used as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but recently, for the purpose of further 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using an alloy active material for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has been studied. However, in the slurry composition, the alloy-based active material tends to aggregate and cannot be uniformly dispersed, so that battery characteristics such as cycle characteristics may deteriorate.

따라서, 본 발명은, 우수한 사이클 특성을 갖는 이차 전지, 및 우수한 결착성을 갖는 부극을 얻을 수 있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having excellent cycle characteristics, and a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capable of obtaining a negative electrode having excellent binding properties.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점도 영역이 상이한 2 종류 이상의 수용성 고분자를 사용함으로써, 부극 활물질의 분산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부극 활물질로서 합금계 활물질을 사용한 경우, 충방전시에 있어서의 합금계 활물질의 체적 팽창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수용성 고분자의 배합부수를 저감시켜도, 충방전시에 있어서의 합금계 활물질의 체적 팽창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전하 이동 저항을 저감시켜,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 (특히 고온 사이클 특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의 지견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As a result of earnest examina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s found that the dispersibil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improved by using two or more kinds of water-soluble polymers having different viscosity regions. In particular, when an alloy-based active material was used as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t was found that the volume expansion of the alloy-based active material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can be suppressed. Moreover, even if the number of blending parts of the water-soluble polymer is reduced, the volume expansion of the alloy-based active material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can be sufficiently suppressed, and accordingly, the charge transfer resistance is reduced to improve the cycl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ary battery (especially high-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s. ).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이와 같은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 본 발명의 요지는 이하와 같다.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solving such a problem is as follows.

[1] 부극 활물질 (A), 수용성 고분자 (B) 및 물 (C) 를 함유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로서,[1] A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a water-soluble polymer (B), and water (C),

상기 수용성 고분자 (B) 가,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단위 및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의 알칼리 금속염인 수용성 고분자 (B1) 및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단위를 80 질량% 이상 함유하는 중합체의 알칼리 금속염인 수용성 고분자 (B2) 를 함유하고,The water-soluble polymer (B) contains 80 mass% or more of a water-soluble polymer (B1) and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unit that are alkali metal salts of a polymer contain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unit and a fluorine-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The water-soluble polymer (B2) which is an alkali metal salt of the polymer to be contained,

상기 수용성 고분자 (B1) 의 5 % 수용액 점도가 100 cp 이상, 1500 cp 이하이고,The viscosity of the 5% aqueous solu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s 100 cp or more and 1500 cp or less,

상기 수용성 고분자 (B2) 의 5 % 수용액 점도가 2000 cp 이상, 20000 cp 이하인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The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whose viscosity of 5% aqueous solution of the said water-soluble polymer (B2) is 2000 cp or more and 20000 cp or less.

[2] 상기 수용성 고분자 (B) 가, 상기 부극 활물질 (A)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 질량부 이상, 5.0 질량부 이하 함유되는 [1] 에 기재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2]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according to [1], wherein the water-soluble polymer (B) contains 0.1 parts by mass or more and 5.0 parts by mass or le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3] 상기 수용성 고분자 (B1) 과 상기 수용성 고분자 (B2) 의 중량비 (B1/B2) 가 5/95 이상, 95/5 이하인 [1] 또는 [2] 에 기재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3]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according to [1] or [2], wherein the weight ratio (B1/B2)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and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s 5/95 or more and 95/5 or less. .

[4] 상기 수용성 고분자 (B1) 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이 15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이고,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이 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인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4] The content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unit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s 15% by mass or more and 50% by mass or less, and the content rate of the fluorine-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is 1% by mass or more. ,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in any one of [1]-[3] which is 20 mass% or less.

[5] 상기 수용성 고분자 (B1) 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를 30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 함유하는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5]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wherei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contains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s of 30% by mass or more and 70% by mass or less. .

[6] 상기 수용성 고분자 (B1) 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가,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및/또는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인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6] The lithium ion secondary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wherein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s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and/or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Slurry composition for battery negative electrode.

[7] 상기 수용성 고분자 (B1) 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가,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및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인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7]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wherein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s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and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Dragon slurry composition.

[8] 상기 수용성 고분자 (B1) 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의 함유 비율이 15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이고,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의 함유 비율이 1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인 [7] 에 기재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8] The content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s 15 mass% or more and 50 mass% or less, and the content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is 1 mass% or more and 15 mass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s as described in [7] which is% or less.

[9] 상기 수용성 고분자 (B2) 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가,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인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9]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8], wherein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s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10] 상기 수용성 고분자 (B2) 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가,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및/또는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인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10] The lithium ion secondary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8], wherein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s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and/or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Slurry composition for battery negative electrode.

[11] 상기 수용성 고분자 (B2) 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가,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및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인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11]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8], wherein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s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and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Dragon slurry composition.

[12] 상기 수용성 고분자 (B2) 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이 90 질량% 이상, 99 질량% 이하이고,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이 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인 [11] 에 기재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12] The content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unit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s 90 mass% or more, and 99 mass% or less, and the content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unit is 1 mass% or more,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as described in [11] which is 10 mass% or less.

[13] 상기 [1] ∼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집전체에 도포, 건조시켜, 부극 활물질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의 제조 방법.[13] Preparation of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comprising the step of applying and drying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2] above to a current collector to form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Way.

[14] 정극 (正極), 부극 (負極), 세퍼레이터 및 전해액을 구비하고,[14]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 separator and an electrolyte,

상기 부극이 [13] 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인 리튬 이온 이차 전지.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negative electrode is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obtained by the production method described in [13].

본 발명에 의하면, 점도 영역이 상이한 2 종류 이상의 수용성 고분자를 사용함으로써, 부극 활물질이 탄소계 활물질이어도 합금계 활물질이어도, 또는 그들의 혼합이어도, 부극 활물질의 분산성이 향상되어, 충방전시에 있어서의 부극 활물질의 체적 팽창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결착 강도가 우수한 부극을 얻을 수 있다. 또, 전하 이동 저항이 저감되어, 고온 사이클 특성이 우수한 이차 전지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wo or more kinds of water-soluble polymers having different viscosity regions,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a carbon-based active material, an alloy-based active material, or a mixture thereof, and the dispersibil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improved, and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volume expans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an be suppressed. As a result, a negative electrode excellent in binding strength can be obtained. Moreover, the charge transfer resistance is reduced, and a secondary battery excellent in high-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도 1 은 전하 이동 저항을 측정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나이퀴스트 플롯도이다.1 is a Nyquist plot diagram used to measure charge transfer resistance.

이하에 있어서, (1)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 (2)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 및 (3)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순서로 설명한다. Below,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2)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and (3)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re demonstrated in order.

(1)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1) Slurry composition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본 발명에 관련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 (이하, 간단히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 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은, 부극 활물질 (A), 수용성 고분자 (B) 및 물 (C) 를 함유한다.The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may contain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a water-soluble polymer (B), and water (C). .

(A) 부극 활물질(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부극 활물질은 부극 내에서 전자 (리튬 이온) 의 수수를 하는 물질이다. 부극 활물질로는, 후술하는 탄소계 활물질 (A1) 이나 합금계 활물질 (A2) 를 사용할 수 있지만, 부극 활물질은, 탄소계 활물질과 합금계 활물질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극 활물질로서 탄소계 활물질과 합금계 활물질을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탄소계 활물질만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부극보다 용량이 큰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이하, 간단히 「이차 전지」 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 (이하, 간단히 「부극」 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의 결착 강도의 저하와 같은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a material that transfers electrons (lithium ions) in the negative electrode. As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carbon-based active material (A1) or an alloy-based active material (A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used, but the negative-electrode active material preferably contains a carbon-based active material and an alloy-based active material. By using a carbon-based active material and an alloy-based active material as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having a larger capacity than the negative electrode obtained using only the conventional carbon-based active material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secondary battery”) can be obtained. In addition, problems such as a decrease in the binding strength of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hereinafter sometimes simply referred to as “negative electrode”) can be solved.

(A1) 탄소계 활물질(A1) Carbon-based active material

본 발명에 사용하는 탄소계 활물질이란, 리튬이 삽입 가능한 탄소를 주골격으로 하는 활물질을 말하고, 구체적으로는, 탄소질 재료와 흑연질 재료를 들 수 있다. 탄소질 재료란, 일반적으로 탄소 전구체를 2000 ℃ 이하 (당해 처리 온도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500 ℃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에서 열처리 (탄소화) 된 흑연화가 낮은 (결정성이 낮은) 탄소 재료를 나타내고, 흑연질 재료란, 이(易)흑연성 탄소를 2000 ℃ 이상 (당해 처리 온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5000 ℃ 이하로 할 수 있다) 에서 열처리함으로써 얻어진 흑연에 가까운 높은 결정성을 갖는 흑연질 재료를 나타낸다.The carbon-based active materia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n active material having carbon as a main skeleton capable of intercalating lithium, and specifically, a carbonaceous material and a graphite material. The carbonaceous material generally has a low graphitization (crystallinity) in which the carbon precursor is heat-treated (carbonized) at 2000° C. or lower (the lower limit of the treatment tempera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500° C. or higher). Low) carbon material, and the graphite material is obtained by heat-treating this graphitic carbon at 2000°C or higher (the upper limit of the treatment tempera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can be, for example, 5000°C or lower). Graphite materials having high crystallinity close to graphite are shown.

탄소질 재료로는, 열처리 온도에 의해 탄소의 구조를 용이하게 바꾸는 이흑연성 탄소나, 유리상 탄소로 대표되는 비정질 구조에 가까운 구조를 가지는 난(難)흑연성 탄소를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carbonaceous material include digraphite carbon that easily changes the structure of carbon by heat treatment temperature, and poor graphite carbon having a structure close to the amorphous structure typified by glassy carbon.

이흑연성 탄소로는 석유나 석탄으로부터 얻어지는 타르 피치를 원료로 한 탄소 재료를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코크스, 메소카본 마이크로비즈 (MCMB), 메소페이즈 피치계 탄소 섬유, 열분해 기상 성장 탄소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MCMB 란, 피치류를 400 ℃ 전후에서 가열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메소페이즈 소구체를 분리 추출한 탄소 미립자이다. 메소페이즈 피치계 탄소 섬유란, 상기 메소페이즈 소구체가 성장, 합체하여 얻어지는 메소페이즈 피치를 원료로 하는 탄소 섬유이다. 열분해 기상 성장 탄소 섬유란, (1) 아크릴 고분자 섬유 등을 열분해하는 방법, (2) 피치를 방사하여 열분해하는 방법, (3) 철 등의 나노 입자를 촉매를 사용하여 탄화수소를 기상 열분해하는 촉매 기상 성장 (촉매 CVD) 법에 의해 얻어진 탄소 섬유이다.Examples of the graphitic carbon include carbon materials based on tar pitch obtained from petroleum or coal, for example, coke, mesocarbon microbeads (MCMB), mesophase pitch-based carbon fibers, pyrolysis vapor-grown carbon fibers, and the like. Can be lifted. MCMB is carbon fine particles obtained by separating and extracting mesophase globules produced in the process of heating pitches at around 400°C. The mesophase pitch-based carbon fiber is a carbon fiber using mesophase pitch obtained by growing and coalescing the mesophase globules. Pyrolytic gas phase growth carbon fiber, (1) a method for thermally decomposing acrylic polymer fibers, (2) a method for thermally decomposing by spinning a pitch, and (3) a catalyst for gas phase pyrolysis of hydrocarbons using nanoparticles such as iron as a catalyst It is a carbon fiber obtained by the growth (catalytic CVD) method.

난흑연성 탄소로는, 페놀 수지 소성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탄소 섬유, 유사 등방성 탄소, 푸르푸릴알코올 수지 소성체 (PFA)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non-graphitic carbon include a phenol resin fired body, polyacrylonitrile-based carbon fiber, pseudo isotropic carbon, and furfuryl alcohol resin fired body (PFA).

흑연질 재료로는, 천연 흑연, 인조 흑연을 들 수 있다. 인조 흑연으로는, 주로 2800 ℃ 이상에서 열처리한 인조 흑연, MCMB 를 2000 ℃ 이상에서 열처리한 흑연화 MCMB, 메소페이즈 피치계 탄소 섬유를 2000 ℃ 이상에서 열처리한 흑연화 메소페이즈 피치계 탄소 섬유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graphite material include natural graphite and artificial graphite. Examples of artificial graphite include artificial graphite heat-treated at 2800°C or higher, graphitized MCMB heat-treated at 2000°C or higher, and graphitized mesophase pitch-based carbon fiber heat-treated at a mesophase pitch-based carbon fiber at 2000°C or higher. Can be lifted.

탄소계 활물질 중에서도 흑연질 재료가 바람직하다. 흑연질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부극 활물질층의 밀도를 높이기 쉬워져, 부극 활물질층의 밀도가 1.6 g/㎤ 이상 (당해 밀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2 g/㎤ 이하로 할 수 있다) 인 부극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밀도가 상기 범위인 부극 활물질층을 갖는 부극이면, 본 발명의 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난다.Among the carbon-based active materials, graphite materials are preferred. By using a graphite material, the dens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becomes easy to increase, and the dens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1.6 g/cm 3 or more (the upper limit of the densit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can be 2.2 g/cm 3 or less). The produc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becomes easy. If the negative electrode has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having a density in the above range,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arkable.

탄소계 활물질의 체적 평균 입경은, 그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이고,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0.1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 ㎛ 이상이다. 탄소계 활물질의 체적 평균 입경이 이 범위 내이면, 본 발명에 관련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체적 평균 입경은, 레이저 회절로 입도 분포를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carbon-based active material has an upper limit of preferably 100 μm or less, more preferably 50 μm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30 μm or less, and a lower limit thereof, preferably 0.1 μm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preferably 0.5 µm or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1 µm or more. When 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carbon-based active material is within this range, production of a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comes easy. In addition, 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in this invention can be calculated|required by measuring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by laser diffraction.

탄소계 활물질의 비표면적은, 그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20.0 ㎡/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g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g 이하이고,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3.0 ㎡/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g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g 이상이다. 탄소계 활물질의 비표면적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탄소계 활물질 표면의 활성점이 증가하기 때문에,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출력 특성이 우수하다.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carbon-based active material has an upper limit of preferably 20.0 m2/g or less, more preferably 15.0 m2/g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10.0 m2/g or less, and a lower limit thereof, preferably 3.0 M 2 /g or more, more preferably 3.5 m 2 /g or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4.0 m 2 /g or more. When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carbon-based active material is in the above range, since the active point of the surface of the carbon-based active material increases,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re excellent.

(A2) 합금계 활물질(A2) Alloy-based active material

본 발명에 사용하는 합금계 활물질이란, 리튬을 삽입할 수 있는 원소를 구조에 함유하고, 리튬이 삽입되었을 경우의 중량당 이론 전기 용량이 500 ㎃h/g 이상 (당해 이론 전기 용량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5000 ㎃h/g 이하로 할 수 있다) 인 활물질을 말하고, 구체적으로는, 리튬 금속, 리튬 합금을 형성하는 단체 금속 및 그 합금, 및 그들의 산화물, 황화물, 질화물, 규화물, 탄화물, 인화물 등이 사용된다.The alloy-based active materia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n element capable of inserting lithium into a structure, and has a theoretical electrical capacity per weight of 500 mAh/g or more when lithium is inserted (the upper limit of the theoretical electrical capacity is particularly Although it is not limited, for example, it may be 5000 mAh/g or less) phosphorus active materials, specifically, lithium metals, simple metals forming lithium alloys and alloys thereof, and oxides, sulfides, nitrides, and silicides thereof , Carbide, phosphide, etc. are used.

리튬 합금을 형성하는 단체 금속 및 합금으로는, Ag, Al, Ba, Bi, Cu, Ga, Ge, In, Ni, P, Pb, Sb, Si, Sn, Sr, Zn 등의 금속이나 그 금속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그들 중에서도 규소 (Si), 주석 (Sn) 또는 납 (Pb) 의 단체 금속 혹은 이들 원자를 함유하는 합금, 또는 그들 금속의 화합물이 사용된다. 이들 중에서도, 저전위에서 리튬의 삽입 탈리가 가능한 Si 의 단체 금속이 바람직하다.As a simple metal and alloy for forming a lithium alloy, metals such as Ag, Al, Ba, Bi, Cu, Ga, Ge, In, Ni, P, Pb, Sb, Si, Sn, Sr, Zn or metals thereof And compounds to be included. Among them, a simple metal of silicon (Si), tin (Sn) or lead (Pb), an alloy containing these atoms, or a compound of these metals is used. Among these, a simple metal of Si capable of intercalation and deintercalation of lithium at a low potential is preferred.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합금계 활물질은, 추가로 1 개 이상의 비금속 원소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SiC, SiOxCy (이하, 「SiOC」라고 부른다) (0 < x ≤ 3, 0 < y ≤ 5), Si3N4, Si2N2O, SiOx (x = 0.01 이상 2 미만), SnOx (0 < x ≤ 2), LiSiO, LiSnO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저전위에서 리튬의 삽입 탈리가 가능한 SiOC, SiOx, 및 SiC 가 바람직하고, SiOC, SiOx 가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SiOC 는, 규소를 함유하는 고분자 재료를 소성하여 얻을 수 있다. SiOxCy 중에서도, 용량과 사이클 특성의 균형 때문에, 0.8 ≤ x ≤ 3, 2 ≤ y ≤ 4 의 범위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SiOx 중에서도, 용량과 사이클 특성의 균형 때문에, -0.5 ≤ x ≤ 5 의 범위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The alloy-based active materia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one or more nonmetal elements. Specifically, for example, SiC, SiO x C y (hereinafter referred to as “SiOC”) (0 <x ≤ 3, 0 <y ≤ 5), Si 3 N 4 , Si 2 N 2 O, SiO x ( x = 0.01 or more and less than 2), SnO x (0 <x ≤ 2), LiSiO, LiSnO, and the like. Among them, SiOC, SiO x , and SiC capable of intercalation and deintercalation of lithium at low potentials are preferred, SiOC, SiO x is more preferable. For example, SiOC can be obtained by firing a polymer material containing silicon. Among SiO x C y , a range of 0.8 ≤ x ≤ 3, 2 ≤ y ≤ 4 is preferably used because of the balance of capacity and cycle characteristics. Also among SiO x, because the balance of the capacity and cycle characteristics, in a range of -0.5 ≤ x ≤ 5 is preferably used.

리튬 합금을 형성하는 단체 금속 및 합금의 산화물, 황화물, 질화물, 규화물, 탄화물, 인화물로는, 리튬을 삽입할 수 있는 원소의 산화물, 황화물, 질화물, 규화물, 탄화물, 인화물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산화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산화주석, 산화망간, 산화티탄, 산화니오브, 산화바나듐 등의 산화물, Si, Sn, Pb 및 Ti 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 원소를 함유하는 리튬 함유 금속 복합 산화물이 사용된다.Examples of oxides, sulfides, nitrides, silicides, carbides, and phosphides of simple metals and alloys forming lithium alloys include oxides, sulfides, nitrides, silicides, carbides, phosphides, etc. of elements capable of inserting lithium. Among them, oxide is particularly preferred. Specifically, a lithium-containing metal complex oxide containing a metal elem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xides such as tin oxide, manganese oxide, titanium oxide, niobium oxide, and vanadium oxide, and Si, Sn, Pb, and Ti atoms is used.

리튬 함유 금속 복합 산화물로는, 또한 LixTiyMzO4 로 나타내는 리튬티탄 복합 산화물 (0.7 ≤ x ≤ 1.5, 1.5 ≤ y ≤ 2.3, 0 ≤ z ≤ 1.6, M 은 Na, K, Co, Al, Fe, Ti, Mg, Cr, Ga, Cu, Zn 및 Nb) 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Li4/3Ti5/3O4, Li1Ti2O4, Li4/5Ti11/5O4 가 사용된다.As the lithium-containing metal composite oxide, a lithium titanium composite oxide represented by Li x Ti y M z O 4 (0.7 ≤ x ≤ 1.5, 1.5 ≤ y ≤ 2.3, 0 ≤ z ≤ 1.6, M is Na, K, Co, Al, Fe, Ti, Mg, Cr, Ga, Cu, Zn and Nb). Among them, Li 4/3 Ti 5/3 O 4 , Li 1 Ti 2 O 4 , Li 4/5 Ti 11/ 5 O 4 is used.

상기의 합금계 활물질 중에서도 규소를 함유하는 재료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SiOC 등의 SiOxCy, SiOx, 및 SiC 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 화합물에서는 고전위에서 Si (규소), 저전위에서는 C (탄소) 에 대한 Li 의 삽입 탈리가 일어나는 것으로 추측되며, 다른 합금계 활물질보다 팽창·수축이 억제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얻어지기 쉽다.Among the alloy-based active materials, a material containing silicon is preferable, and among them, SiO x C y , SiO x , and SiC such as SiOC are more preferable. In this compound, insertion and desorption of Li to Si (silicon) at high potential and C (carbon) at low potential is presumed to occur, and since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are suppressed than other alloy-based active material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more easy.

합금계 활물질의 체적 평균 입경은, 그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고,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0.1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 ㎛ 이상이다. 합금계 활물질의 체적 평균 입경이 이 범위 내이면, 본 발명에 관련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가 용이해진다.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alloy-based active material has an upper limit of preferably 50 μm or less, more preferably 20 μm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10 μm or less, and a lower limit thereof, preferably 0.1 μm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preferably 0.5 µm or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1 µm or more. When 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alloy-based active material is within this range, production of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comes easy.

합금계 활물질의 비표면적은, 그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20.0 ㎡/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g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g 이하이고,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3.0 ㎡/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g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g 이상이다. 합금계 활물질의 비표면적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합금계 활물질 표면의 활성점이 증가하기 때문에,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출력 특성이 우수하다.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alloy-based active material has an upper limit of preferably 20.0 m 2 /g or less, more preferably 15.0 m 2 /g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10.0 m 2 /g or less, and a lower limit thereof, preferably 3.0 M 2 /g or more, more preferably 3.5 m 2 /g or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4.0 m 2 /g or more. When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alloy-based active material is in the above range, the active point of the surface of the alloy-based active material increases, so that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re excellent.

합금계 활물질과 탄소계 활물질의 함유 비율은, 합금계 활물질/탄소계 활물질의 질량비로서, 그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50/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5/5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0/60 이하이고, 그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20/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7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0/70 이상이다. 합금계 활물질과 탄소계 활물질을 상기 범위에서 혼합함으로써, 종래의 탄소계 활물질만을 사용하여 얻어진 부극보다 용량이 큰 전지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충분한 부극의 결착 강도를 얻을 수 있다.The content ratio of the alloy-based active material and the carbon-based active material is the mass ratio of the alloy-based active material/carbon-based active material, and the upper limit thereof is preferably 50/50 or less, more preferably 45/55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40/ It is 60 or less, and its lower limit is preferably 20/80 or more, more preferably 25/75 or mor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30/70 or more. By mixing the alloy-based active material and the carbon-based active material in the above range, a battery having a larger capacity than the negative electrode obtained using only the conventional carbon-based active material can be obtained, and sufficient binding strength of the negative electrode can be obtained.

(B) 수용성 고분자(B) water-soluble polymer

수용성 고분자 (B) 는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단위 및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의 알칼리 금속염인 수용성 고분자 (B1) (이하, 간단히 「수용성 고분자 (B1)」 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및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단위를 80 질량% 이상 함유하는 중합체의 알칼리 금속염인 수용성 고분자 (B2) (이하, 간단히 「수용성 고분자 (B2)」 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를 함유한다. 이하에 있어서, 수용성 고분자 (B1) 및 수용성 고분자 (B2) 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The water-soluble polymer (B) is an alkali metal salt of a polymer contain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unit and a fluorine-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water-soluble polymer (B1)") And a water-soluble polymer (B2), which is an alkali metal salt of a polymer containing 80% by mass or more of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unit (hereinafter sometimes simply referred to as "water-soluble polymer (B2)"). Hereinafter, the water-soluble polymer (B1) and the water-soluble polymer (B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1)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단위 및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의 알칼리 금속염인 수용성 고분자(B1) A water-soluble polymer that is an alkali metal salt of a polymer contain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unit and a fluorine-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수용성 고분자 (B1) 은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단위를 함유함으로써, 양호한 수용성을 발현할 수 있다.The water-soluble polymer (B1) can exhibit good water solubility by contain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unit.

또, 수용성 고분자 (B1) 은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를 함유함으로써, 부극의 결착성이 향상되어, 강도가 우수한 부극을 얻을 수 있다. 또, 수용성 고분자 (B1) 이 부극 활물질의 표면을 피복함으로써, 이차 전지 내에 있어서, 부극 활물질 표면 상에서의 전해액의 분해가 억제되어, 이차 전지의 내구성 (사이클 특성) 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부극 활물질이 수용성 고분자 (B1) 에 의해 피복됨으로써, 부극 활물질과 전해액의 친화성을 높이고, 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키며, 이차 전지의 내부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덴드라이트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 메타크릴의 양자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contains a fluorine-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so that the binding property of the negative electrode is improved, and a negative electrode having excellent strength can be obtained. Moreover, by covering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with the water-soluble polymer (B1), decomposition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on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n the secondary battery is suppressed, and the durability (cycl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improved. In addition, by coating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with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ffinity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electrolyte, improve ion conductivity, and reduce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secondary battery. In addition, the generation of dendrites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meth)acrylic includes both acrylic and methacrylic.

또, 수용성 고분자 (B1) 에는, 상기의 단량체 단위 외에,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나 가교성 단량체 단위가 함유되어 있어도 되고, 또 반응성 계면 활성제 단량체 등의 기능성을 갖는 단량체를 중합하여 형성되는 구조 단위나, 그 밖의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중합하여 형성되는 구조 단위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In additio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may contain a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or a crosslinkable monomer unit in addition to the monomer units described above, and also a structure formed by polymerizing monomers having functionalities such as reactive surfactant monomers. A unit or a structural unit formed by polymerizing other copolymerizable monomers may be contained.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단위><Ethylenic unsaturated acid monomer unit>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단위는,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를 중합하여 형성되는 구조 단위이다.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unit is a structural unit formed by polymeriz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는, 카르복실기, 술폰산기, 포스피닐기 등의 산기를 갖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이고, 특정한 단량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의 구체예는,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 인산 단량체 등이다.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is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 having an acid group such as a carboxyl group, sulfonic acid group or phosphinyl group,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monomer. Specific examples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ar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and ethylenically unsaturated phosphoric acid monomer.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의 구체예는,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및 그 유도체, 에틸렌성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및 그 산무수물 그리고 그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include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 and its derivatives, ethylenically unsaturated dicarboxylic acid and its acid anhydride, and derivatives thereof.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의 예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크로톤산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 include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and crotonic acid.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의 유도체의 예로는, 2-에틸아크릴산, 이소크로톤산, α-아세톡시아크릴산, β-trans-아릴옥시아크릴산, α-클로로-β-E-메톡시아크릴산, 및 β-디아미노아크릴산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derivatives of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include 2-ethylacrylic acid, isocrotonic acid, α-acetoxyacrylic acid, β-trans-aryloxyacrylic acid, α-chloro-β-E-methoxyacrylic acid, and β -Diaminoacrylic acid.

에틸렌성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의 예로는, 말레산, 푸마르산, 및 이타콘산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dicarboxylic acid include maleic acid, fumaric acid, and itaconic acid.

에틸렌성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의 산무수물의 예로는, 무수 말레산, 아크릴산 무수물, 메틸 무수 말레산, 및 디메틸 무수 말레산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acid anhydride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dicarboxylic acid include maleic anhydride, acrylic anhydride, methyl maleic anhydride, and dimethyl maleic anhydride.

에틸렌성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의 유도체의 예로는, 메틸말레산, 디메틸말레산, 페닐말레산, 클로로말레산, 디클로로말레산, 플루오로말레산 등의 말레산메틸알릴; 그리고 말레산디페닐, 말레산노닐, 말레산데실, 말레산도데실, 말레산옥타데실, 말레산플루오로알킬 등의 말레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derivative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dicarboxylic acid include methyl allyl maleate such as methyl maleic acid, dimethyl maleic acid, phenyl maleic acid, chloro maleic acid, dichloro maleic acid and fluoro maleic acid; And maleic acid esters, such as diphenyl maleate, nonyl maleate, decyl maleate, dodecyl maleate, octadecyl maleate, and fluoroalkyl maleate.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의 구체예는, 술폰산기 이외에 관능기를 갖지 않는 술폰산기 함유 단량체 또는 그 염, 아미드기와 술폰산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또는 그 염, 그리고 하이드록실기와 술폰산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또는 그 염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include a sulfonic acid group-containing monomer having no functional group other than the sulfonic acid group or a salt thereof, a monomer containing an amide group and a sulfonic acid group or a salt thereof, and a monomer containing a hydroxyl group and a sulfonic acid group or a salt thereof, etc. Can be heard.

술폰산기 이외에 관능기를 갖지 않는 술폰산기 함유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이소프렌 및 부타디엔 등의 디엔 화합물의 공액 이중 결합의 하나를 술폰화한 단량체, 비닐술폰산, 메틸비닐술폰산, 스티렌술폰산, 알릴술폰산, (메트)아크릴술폰산, (메트)아크릴산-2-술폰산에틸, 술포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술포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술포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그 염으로는, 예를 들어 리튬염, 나트륨염, 칼륨염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sulfonic acid group-containing monomer having no functional group other than the sulfonic acid group include monomers sulfonated with one of the conjugated double bonds of diene compounds such as isoprene and butadiene, vinylsulfonic acid, methylvinylsulfonic acid, styrenesulfonic acid, and allylsulfonic acid, ( And meth)acrylic sulfonic acid, (meth)acrylic acid-2-ethyl sulfonate, sulfoethyl (meth)acrylate, sulfopropyl (meth)acrylate, and sulfobutyl (meth)acrylate. Moreover, as the salt, lithium salt, sodium salt, potassium salt,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아미드기와 술폰산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2-아크릴아미드-2-하이드록시프로판술폰산,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AMPS) 등을 들 수 있다. 또, 그 염으로는, 예를 들어 리튬염, 나트륨염, 칼륨염 등을 들 수 있다.As a monomer containing an amide group and a sulfonic acid group, 2-acrylamide-2-hydroxypropanesulfonic acid, 2-acrylamide-2-methylpropanesulfonic acid (AMPS), and the like are exemplified. Moreover, as the salt, lithium salt, sodium salt, potassium salt,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하이드록실기와 술폰산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3-아릴옥시-2-하이드록시프로판술폰산 (HAPS) 등을 들 수 있다. 또, 그 염으로는, 예를 들어 리튬염, 나트륨염, 칼륨염 등을 들 수 있다.As a monomer containing a hydroxyl group and a sulfonic acid group, 3-aryloxy-2-hydroxypropanesulfonic acid (HAPS)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Moreover, as the salt, lithium salt, sodium salt, potassium salt,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이들 중에서도, 술폰산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스티렌술폰산,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AMPS), 그리고 아미드기와 술폰산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또는 그 염이 바람직하다.Among these, as a monomer having a sulfonic acid group, styrene sulfonic acid, 2-acrylamide-2-methylpropanesulfonic acid (AMPS), and a monomer containing an amide group and a sulfonic acid group or a salt thereof are preferable.

에틸렌성 불포화 인산 단량체의 구체예는, -O-P(=O)(-ORa)-ORb 기를 갖는 단량체 (Ra 및 Rb 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임의의 유기기이다), 또는 이 염을 들 수 있다. Ra 및 Rb 로서의 유기기의 구체예로는, 옥틸기 등의 지방족기, 페닐기 등의 방향족기 등을 들 수 있다. 인산기를 갖는 단량체의 구체예를 들면, 인산기 및 아릴옥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및 인산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인산기 및 아릴옥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3-아릴옥시-2-하이드록시프로판인산을 들 수 있다. 인산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디옥틸-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디페닐-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모노메틸-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디메틸-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모노에틸-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디에틸-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모노이소프로필-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디이소프로필-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모노n-부틸-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디n-부틸-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모노부톡시에틸-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디부톡시에틸-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모노(2-에틸헥실)-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디(2-에틸헥실)-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등이다.Specific examples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phosphoric acid monomer include a monomer having a -OP(=O)(-ORa)-ORb group (Ra and Rb are independently hydrogen atoms or arbitrary organic groups), or a salt thereof. . Specific examples of the organic group as Ra and Rb include an aliphatic group such as octyl group, and an aromatic group such as phenyl group. Specific examples of the monomer having a phosphoric acid group include a compound containing a phosphoric acid group and an aryloxy group, and a phosphoric acid group-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As a compound containing a phosphoric acid group and an aryloxy group, 3-aryloxy-2-hydroxypropane phosphoric acid is mentioned, for example. As the phosphoric acid group-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for example, dioctyl-2-methacryloyloxyethyl phosphate, diphenyl-2-methacryloyloxyethyl phosphate, monomethyl-2-methacryloyloxyethyl Phosphate, dimethyl-2-methacryloyloxyethyl phosphate, monoethyl-2-methacryloyloxyethyl phosphate, diethyl-2-methacryloyloxyethyl phosphate, monoisopropyl-2-methacryloyl Oxyethyl phosphate, diisopropyl-2-methacryloyloxyethyl phosphate, mono n-butyl-2-methacryloyloxyethyl phosphate, din-butyl-2-methacryloyloxyethyl phosphate, mono part Methoxyethyl-2-methacryloyloxyethyl phosphate, dibutoxyethyl-2-methacryloyloxyethyl phosphate, mono(2-ethylhexyl)-2-methacryloyloxyethylphosphate, di(2-ethyl Hexyl)-2-methacryloyloxyethyl phosphate.

또,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암모늄염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도 된다.Moreover, alkali metal salt or ammonium salt of the said ethylenic unsaturated acid monomer can also be used.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이들 중에서도, 수용성 고분자 (B1) 에 양호한 수용성을 발현시킨다는 관점에서,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로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및/또는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및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이다.Among these, from the viewpoint of expressing good water solubility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is preferably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and/or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more preferably ethylene. Sex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s and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s.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중에서도, 수용성 고분자 (B1) 에 양호한 수용성을 발현시킨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이나 메타크릴산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이다. 또,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 중에서도, 수용성 고분자 (B1) 에 양호한 수용성을 발현시킨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술포프로판(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비스-(3-술포프로필)이타콘산에스테르,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이다.Among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s, from the viewpoint of expressing good water solubility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t is preferably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 more preferably acrylic acid or methacrylic acid, particularly preferably Methacrylic acid. Moreover, among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s, from the viewpoint of expressing good water solubility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preferably 3-sulfopropane (meth)acrylic acid ester, bis-(3-sulfopropyl) itaconic acid ester, 2- Acrylamide-2-methylpropanesulfonic acid, more preferably 2-acrylamide-2-methylpropanesulfonic acid.

수용성 고분자 (B1) 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그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하이고,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상이다.The content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unit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has an upper limit of preferably 50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45 mass%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40 mass% or less, The lower limit is preferably 15% by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20% by mass or mor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25% by mass or more.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수용성 고분자 (B1) 제조시에, 수용성 고분자의 응집체 발생을 억제하여 양호한 수율로 수용성 고분자 (B1) 을 얻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수용성 고분자 (B1) 에 양호한 수용성을 발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수용성 고분자 (B1) 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통상적으로 수용성 고분자 (B1) 을 중합할 때의 전체 단량체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의 비율 (주입비) 에 일치한다.By making the content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unit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aggregates of the water-soluble polymer during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thereby obtaining the water-soluble polymer (B1) with good yield, and It becomes possible to express good water solubility in B1). Here, the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unit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s generally the same as the ratio (injection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in all monomers whe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s polymerized. do.

또, 수용성 고분자 (B1) 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단위가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단위 및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 단위인 경우에 있어서,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과,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when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unit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s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unit and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unit, the content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unit,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ent rate of an ethylenic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unit is the following range.

즉,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그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하이고,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2.5 질량% 이상이다. 또,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그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이고,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이다.That is, the content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unit is preferably an upper limit of 50% by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45% by mass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40% by mass or less, and the lower limit thereof, Preferably it is 15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20 mass% or more, Especially preferably, it is 22.5 mass% or more. Moreover, the upper limit of the content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unit is preferably 15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12 mass%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10 mass% or less, and the lower limit is preferably Is 1% by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2% by mass or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3% by mass or more.

여기서, 수용성 고분자 (B1) 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통상적으로 수용성 고분자 (B1) 을 중합할 때의 전체 단량체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의 비율 (주입비) 에 일치하고, 수용성 고분자 (B1) 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통상적으로 수용성 고분자 (B1) 을 중합할 때의 전체 단량체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의 비율 (주입비) 에 일치한다.Here, the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unit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s usually the ratio (injection)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in all monomers whe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s polymerized. Ratio), and the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units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s usually the ratio (injection)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in all monomers whe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s polymerized. B) matches.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수용성 고분자 (B1) 에 양호한 수용성을 발현할 수 있다. 또,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유동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여, 후술하는 부극을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집전체에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도포할 때에 집전체에 대한 코팅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결착성이 우수한 부극을 얻을 수 있다. 또,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틱소성이 높아짐으로써, 부극을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집전체에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도포할 때에 도포 줄무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부극을 얻을 수 있음과 함께,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젖음성을 향상시키고, 그 결과, 결착성이 우수한 부극을 얻을 수 있다.When the content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unit is within the above range, good water solubility can be expressed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Moreover, it is suppressed that the fluidity|liquidity of the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s falls, an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negative electrode mentioned later, when applying the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s to a current collector, coating failure with respect to a current collector can be prevented. As a result, a negative electrode excellent in binding property can be obtained. 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thixotropy of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coating streaks when applying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to a current collector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negative electrode. In addition, a negative electrode excellent in surface smoothness can be obtained, and the wettability of the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s is improved, and as a result, a negative electrode excellent in binding property can be obtained.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수용성 고분자 (B1) 에 양호한 수용성을 발현할 수 있다. 또, 수용성 고분자 (B1) 의 제조에 있어서, 수용성 고분자 (B1) 의 응집체의 발생을 억제하여 우수한 중합 안정성을 나타낸다.When the content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unit is within the above range, good water solubility can be expressed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Moreover, in manufacture of a water-soluble polymer (B1), generation|occurrence|production of the aggregate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s suppressed and it shows excellent polymerization stability.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Fluorine-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는,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가 중합하여 형성되는 구조 단위이다.The fluorine-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is a structural unit formed by polymerization of a fluorine-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하기의 식 (I) 로 나타내는 단량체를 들 수 있다.As a fluorine-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the monomer represented by following formula (I) is mentioned, for example.

[화학식 1][Formula 1]

Figure 112014102417914-pct00001
Figure 112014102417914-pct00001

상기의 식 (I) 에 있어서, R1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상기의 식 (I) 에 있어서, R2 는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탄화수소기의 탄소수는, 통상적으로 1 이상이고, 통상적으로 18 이하이다. 또, R2 가 함유하는 불소 원자의 수는 1 개이어도 되고, 2 개 이상이어도 된다.In the formula (I), R 1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 methyl group. In the formula (I), R 2 represents a hydrocarbon group containing a fluorine atom. Carbon number of a hydrocarbon group is 1 or more normally, and is 18 or less normally. Moreover, the number of fluorine atoms contained in R 2 may be 1, or 2 or more.

식 (I) 로 나타내는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의 예로는, (메트)아크릴산불화알킬, (메트)아크릴산불화아릴, 및 (메트)아크릴산불화아르알킬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트)아크릴산불화알킬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단량체의 구체예로는, (메트)아크릴산-2,2,2-트리플루오로에틸, (메트)아크릴산-β-(퍼플루오로옥틸)에틸, (메트)아크릴산-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 (메트)아크릴산-2,2,3,4,4,4-헥사플루오로부틸, (메트)아크릴산-1H,1H,9H-퍼플루오로-1-노닐, (메트)아크릴산-1H,1H,11H-퍼플루오로운데실, (메트)아크릴산퍼플루오로옥틸, (메트)아크릴산-3-[4-[1-트리플루오로메틸-2,2-비스[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플루오로메틸]에티닐옥시]벤조옥시]-2-하이드록시프로필 등의 (메트)아크릴산퍼플루오로알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fluorine-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represented by formula (I) include (meth)acrylic acid fluoride alkyl, (meth)acrylic acid fluoride aryl, and (meth)acrylic acid fluoride aralkyl. Especially, (meth)acrylic-acid alkyl fluoride is preferable. As a specific example of such a monomer, (meth)acrylic acid-2,2,2-trifluoroethyl, (meth)acrylic acid-β-(perfluorooctyl)ethyl, (meth)acrylic acid-2,2,3 ,3-tetrafluoropropyl, (meth)acrylic acid-2,2,3,4,4,4-hexafluorobutyl, (meth)acrylic acid-1H,1H,9H-perfluoro-1-nonyl, ( (Meth)acrylic acid-1H,1H,11H-perfluorodecyl, (meth)acrylic acid perfluorooctyl, (meth)acrylic acid-3-[4-[1-trifluoromethyl-2,2-bis[bis And (meth)acrylic acid perfluoroalkyl esters such as (trifluoromethyl)fluoromethyl]ethynyloxy]benzooxy]-2-hydroxypropyl.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는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된다. 따라서, 수용성 고분자 (B1) 은,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를 1 종류만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As the fluorine-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one type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typ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at any ratio. Therefore, the water-soluble polymer (B1) may contain only one type of a fluorine-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or may contain two or more types in combination at any ratio.

수용성 고분자 (B1) 에 있어서의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그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질량% 이하이고,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이다.The upper limit of the content ratio of the fluorine-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s preferably 20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15 mass%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12 mass% The lower limit is preferably 1% by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3% by mass or mor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5% by mass or more.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비율이 지나치게 낮으면, 수용성 고분자 (B1) 에 전해액에 대한 반발력을 부여할 수 없고, 팽윤성을 적절한 범위로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부극의 결착 강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 덴드라이트가 발생하여, 이온 전도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비율이 지나치게 높으면, 수용성 고분자 (B1) 에 전해액에 대한 젖음성을 부여할 수 없고, 저온 사이클 특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리튬 이온 전도도가 향상되어, 우수한 사이클 특성을 갖는 전지를 얻을 수 있다. 또, 우수한 결착 강도를 갖는 부극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수용성 고분자 (B1) 에 있어서의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통상적으로 수용성 고분자 (B1) 을 중합할 때의 전체 단량체에 있어서의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의 비율 (주입비) 에 일치한다.When the proportion of the fluorine-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is too low, the repelling force to the electrolytic solution cannot be imparted to the water-soluble polymer (B1), and the swelling property may not be in an appropriate range. As a result, the binding strength of the negative electrode may decrease. In addition, dendrites may be generated, and ionic conductivity may decrease. When the proportion of the fluorine-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is too high, wettability to the electrolyte cannot be imparted to the water-soluble polymer (B1), and low-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s may be deteriorated. By setting the content ratio of the fluorine-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within the above range, lithium ion conductivity is improved, and a battery having excellent cycle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Moreover, a negative electrode having excellent binding strength can be obtained. Here, the proportion of the fluorine-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s usually the proportion of the fluorine-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in all monomers whe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s polymerized. (Injection cost).

또, 수용성 고분자 (B1) 이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를 함유함으로써, 부극 활물질층에는 내알칼리성이 부여된다. 부극 형성용 슬러리 조성물에는 알칼리성 물질이 함유되는 경우가 있고, 또 소자의 작동에 의한 산화 환원에 의해 알칼리성 물질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알칼리성 물질은, 집전체를 부식시켜, 소자 수명을 저해하지만, 부극 활물질층이 내알칼리성을 가짐으로써, 알칼리성 물질에 의한 집전체의 부식이 억제된다.Moreover, whe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contains a fluorine-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alkali resistance is impar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n alkaline substance may be contained in the slurry composition for forming a negative electrode, and an alkaline substance may be generated by redox by operation of a device. Such an alkaline substance corrodes the current collector and impairs device life, but corrosion of the current collector by the alkaline substance is suppressed by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having alkali resistance.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수용성 고분자 (B1) 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를 함유함으로써, 부극의 전해액에 대한 젖음성이 양호해져,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이 향상된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를 중합하여 형성되는 구조 단위이다. 단,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중에서도 불소를 함유하는 것은, 상기 서술한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로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와는 구별한다.Whe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contains a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the wettabil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with respect to the electrolytic solution becomes good, and the cycl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ary battery are improved.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is a structural unit formed by polymerizing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However, among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s, those containing fluorine are distinct from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s as the above-described fluorine-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s.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의 예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t-부틸아크릴레이트, 펜틸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헵틸아크릴레이트, 옥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노닐아크릴레이트, 데실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n-테트라데실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 그리고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t-부틸메타크릴레이트, 펜틸메타크릴레이트, 헥실메타크릴레이트, 헵틸메타크릴레이트, 옥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노닐메타크릴레이트, 데실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n-테트라데실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s are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n-propyl acrylate, isopropyl acrylate, n-butyl acrylate, t-butyl acrylate, pentyl acrylate, hexyl acrylate, and heptyl Acrylic acid alkyl esters such as acrylate, octyl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nonyl acrylate, decyl acrylate, lauryl acrylate, n-tetradecyl acrylate, and stearyl acrylate; And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n-propyl methacrylate, isopropyl methacrylate, n-butyl methacrylate, t-butyl methacrylate, pentyl methacrylate, hexyl methacrylate, heptyl methacrylate Methacrylic acid such as acrylate, octyl methacrylate, 2-ethylhexyl methacrylate, nonyl methacrylate, decyl methacrylate, lauryl methacrylate, n-tetradecyl methacrylate, stearyl methacrylate, etc. And alkyl esters.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는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된다. 따라서, 수용성 고분자 (B1) 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를 1 종류만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As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one type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typ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at any ratio. Therefore, the water-soluble polymer (B1) may contain only one type of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or may contain two or more types in combination at any ratio.

수용성 고분자 (B1) 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그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63 질량% 이하이고,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이다.I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the content ratio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is preferably an upper limit of 70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65 mass%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63 mass% or less. , The lower limit thereof is preferably 30% by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40% by mass or mor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50% by mass or more.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부극 활물질층의 집전체에 대한 결착성을 높게 할 수 있고, 부극 활물질층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수용성 고분자 (B1) 에 있어서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통상적으로 수용성 고분자 (B1) 을 중합할 때의 전체 단량체에 있어서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의 비율 (주입비) 에 일치한다.When the content ratio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binding proper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to the current collector can be increased, and flexibil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can be increased. Here, the ratio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s usually the ratio (injection ratio)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in all monomers when polymerizing the water-soluble polymer (B1). To match.

<가교성 단량체 단위><Crosslinkable monomer unit>

수용성 고분자 (B1) 은, 상기 각 구성 단위에 더하여, 추가로 가교성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가교성 단량체 단위는, 가열 또는 에너지 조사에 의해, 중합 중 또는 중합 후에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구조 단위이다. 가교성 단량체의 예로는, 통상은 열가교성을 갖는 단량체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열가교성의 가교성기 및 1 분자당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단관능성 단량체, 및 1 분자당 2 개 이상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다관능성 단량체를 들 수 있다.The water-soluble polymer (B1) may further contain a crosslinkable monomer unit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respective structural units. The crosslinkable monomer unit is a structural unit capable of forming a crosslinked structure during or after polymerization by heating or energy irradiation. As an example of a crosslinkable monomer, the monomer which normally has heat crosslinkability is mentioned. More specifically, a monofunctional monomer having a heat crosslinkable crosslinkable group and one olefinic double bond per molecule, and a polyfunctional monomer having two or more olefinic double bonds per molecule are exemplified.

단관능성 단량체에 함유되는 열가교성의 가교성기의 예로는, 에폭시기, N-메틸올아미드기, 옥세타닐기, 옥사졸린기,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에폭시기가 가교 및 가교 밀도의 조절이 용이한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heat crosslinkable crosslinkable group contained in the monofunctional monomer include an epoxy group, an N-methylolamide group, an oxetanyl group, an oxazoline group, and combinations thereof. Among these, an epoxy group is mo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easy control of crosslinking and crosslinking density.

열가교성의 가교성기로서 에폭시기를 갖고, 또한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가교성 단량체의 예로는, 비닐글리시딜에테르,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부테닐글리시딜에테르, o-알릴페닐글리시딜에테르 등의 불포화 글리시딜에테르 ; 부타디엔모노에폭사이드, 클로로프렌모노에폭사이드, 4,5-에폭시-2-펜텐, 3,4-에폭시-1-비닐시클로헥센, 1,2-에폭시-5,9-시클로도데카디엔 등의 디엔 또는 폴리엔의 모노에폭사이드 ; 3,4-에폭시-1-부텐, 1,2-에폭시-5-헥센, 1,2-에폭시-9-데센 등의 알케닐에폭사이드 ; 그리고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크로토네이트, 글리시딜-4-헵테노에이트, 글리시딜소르베이트, 글리시딜리놀레이트, 글리시딜-4-메틸-3-펜테노에이트, 3-시클로헥센카르복실산의 글리시딜에스테르, 4-메틸-3-시클로헥센카르복실산의 글리시딜에스테르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글리시딜에스테르류를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crosslinkable monomer having an epoxy group as a heat crosslinkable crosslinkable group and having an olefinic double bond are vinyl glycidyl ether, allyl glycidyl ether, butenyl glycidyl ether, and o- allylphenyl glycidyl Unsaturated glycidyl ethers such as ether; Butadiene monoepoxide, chloroprene monoepoxide, 4,5-epoxy-2-pentene, 3,4-epoxy-1-vinylcyclohexene, 1,2-epoxy-5,9-cyclododecadiene, etc. Monoepoxides of dienes or polyenes; Alkenyl epoxides such as 3,4-epoxy-1-butene, 1,2-epoxy-5-hexene and 1,2-epoxy-9-decene; And glycidyl acrylate, glycidyl methacrylate, glycidyl crotonate, glycidyl-4-heptenoate, glycidyl sorbate, glycidyl linoleate, glycidyl-4-methyl And glycidyl ester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uch as -3-pentenoate, glycidyl ester of 3-cyclohexenecarboxylic acid, and glycidyl ester of 4-methyl-3-cyclohexenecarboxylic acid. Can.

열가교성의 가교성기로서 N-메틸올아미드기를 갖고, 또한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가교성 단량체의 예로는,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메틸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아미드류를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crosslinkable monomer having an N-methylolamide group and having an olefinic double bond as a heat crosslinkable crosslinkable group include (meth)acrylamides having a methylol group such as N-methylol(meth)acrylamide. Can be lifted.

열가교성의 가교성기로서 옥세타닐기를 갖고, 또한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가교성 단량체의 예로는, 3-((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옥세탄, 3-((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2-트리플로로메틸옥세탄, 3-((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2-페닐옥세탄, 2-((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옥세탄, 및 2-((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4-트리플로로메틸옥세탄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crosslinkable monomer having an oxetanyl group as a heat crosslinkable crosslinkable group and having an olefinic double bond include 3-((meth)acryloyloxymethyl)oxetane and 3-((meth)acryloyl Oxymethyl)-2-trifluoromethyloxetane, 3-((meth)acryloyloxymethyl)-2-phenyloxetane, 2-((meth)acryloyloxymethyl)oxetane, and 2- ((Meth)acryloyloxymethyl)-4-trifluoromethyl oxetane.

열가교성의 가교성기로서 옥사졸린기를 갖고, 또한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가교성 단량체의 예로는, 2-비닐-2-옥사졸린, 2-비닐-4-메틸-2-옥사졸린, 2-비닐-5-메틸-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4-메틸-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5-메틸-2-옥사졸린, 및 2-이소프로페닐-5-에틸-2-옥사졸린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crosslinkable monomer having an oxazoline group and having an olefinic double bond as a heat crosslinkable crosslinkable group include 2-vinyl-2-oxazoline, 2-vinyl-4-methyl-2-oxazoline, and 2-vinyl -5-methyl-2-oxazoline, 2-isopropenyl-2-oxazoline, 2-isopropenyl-4-methyl-2-oxazoline, 2-isopropenyl-5-methyl-2-oxazoline And 2-isopropenyl-5-ethyl-2-oxazoline.

2 개 이상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다관능성 단량체의 예로는,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알릴에테르, 폴리글리콜디알릴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하이드로퀴논디알릴에테르, 테트라알릴옥시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디알릴에테르, 상기 이외의 다관능성 알코올의 알릴 또는 비닐에테르, 트리알릴아민,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및 디비닐벤젠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polyfunctional monomers having two or more olefinic double bonds are allyl (meth)acrylate, ethylene di(meth)acrylate, d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and 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 Tetr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trimethylolpropane-tri(meth)acrylate, dipropylene glycol diallyl ether, polyglycol diallyl ether, triethylene glycol divinyl ether, hydroquinone diallyl ether, tetraallyl And oxyethane, trimethylolpropane-diallyl ether, allyl or vinyl ethers of polyfunctional alcohols other than the above, triallylamine, methylenebisacrylamide, and divinylbenzene.

가교성 단량체로는, 특히 에틸렌디메타크릴레이트,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및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As the crosslinkable monomer, ethylene dimethacrylate, allyl glycidyl ether, and glycidyl methacrylate can be preferably used.

수용성 고분자 (B1) 에 가교성 단량체 단위가 함유되는 경우, 그 함유 비율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이고, 그 함유 비율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하이다. 가교성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을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으로 함으로써, 수용성 고분자 (B1)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높여, 팽윤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가교성 단량체 단위의 비율을 상기 범위의 상한치 이하로 함으로써, 수용성 고분자 (B1) 의 물에 대한 가용성을 높여, 분산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가교성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팽윤도 및 분산성의 양방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용성 고분자 (B1) 에 있어서의 가교성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통상적으로 수용성 고분자 (B1) 을 중합할 때의 전체 단량체에 있어서의 가교성 단량체의 비율 (주입비) 에 일치한다.When the crosslinkable monomer unit is contained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the lower limit of the content ratio is preferably 0.1% by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0.2% by mass or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0.5% by mass or more, and The upper limit of the content ratio is preferably 5% by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4% by mass or le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2% by mass or less. By setting the content ratio of the crosslinkable monomer unit to the lower limit of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and prevent the swelling degree from excessively increasing. On the other hand, by setting the ratio of the crosslinkable monomer units to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upper limit of the above range, the solubility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n water can be increased, and dispersibility can be improved. Therefore, by making the content rate of a crosslinkable monomer unit into the said range, both swelling degree and dispersibility can be made favorable. Here, the ratio of the crosslinkable monomer unit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usually coincides with the ratio (injection ratio) of the crosslinkable monomer in all monomers whe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s polymerized.

<반응성 계면 활성제 단량체 단위><Reactive surfactant monomer unit>

수용성 고분자 (B1) 에는, 상기 각 단량체 단위에 더하여, 반응성 계면 활성제 단량체 등의 기능성을 갖는 단량체를 중합하여 형성되는 구조 단위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The water-soluble polymer (B1) may contain, in addition to each of the above monomer units, a structural unit formed by polymerizing monomers having functionalities such as reactive surfactant monomers.

반응성 계면 활성제 단량체는, 후술하는 다른 단량체와 공중합할 수 있는 중합성의 기를 갖고, 또한 계면 활성기 (친수성기 및 소수성기) 를 갖는 단량체이다.The reactive surfactant monomer is a monomer having a polymerizable group capable of copolymerizing with other monomers described later, and having a surfactant (hydrophilic group and hydrophobic group).

반응성 계면 활성제 단량체를 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단량체 단위는, 수용성 고분자 (B1) 의 분자의 일부를 구성하고, 또한 계면 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는 구조 단위이다.The monomer unit obtained by polymerizing a reactive surfactant monomer is a structural unit that constitutes a part of the molecule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and can function as a surfactant.

통상적으로 반응성 계면 활성제 단량체는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고, 이 기가 중합 후에 소수성기로서도 작용한다. 반응성 계면 활성제 단량체가 갖는 중합성 불포화기의 예로는, 비닐기, 알릴기, 비닐리덴기, 프로페닐기, 이소프로페닐기, 및 이소부틸리덴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중합성 불포화기의 종류는 1 종류이어도 되고, 2 종류 이상이어도 된다.Usually, the reactive surfactant monomer has a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and this group also functions as a hydrophobic group after polymerization. Examples of the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of the reactive surfactant monomer include vinyl group, allyl group, vinylidene group, propenyl group, isopropenyl group, and isobutylidene group. One kind of these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s may be used, or two or more kinds thereof may be used.

또, 반응성 계면 활성제 단량체는 친수성을 발현하는 부분으로서, 통상은 친수성기를 갖는다. 반응성 계면 활성제 단량체는, 친수성기의 종류에 의해, 아니온계, 카티온계, 논이온계의 계면 활성제로 분류된다.Moreover, a reactive surfactant monomer is a part which expresses hydrophilicity, and usually has a hydrophilic group. Reactive surfactant monomers are classified into anionic, cationic, and nonionic surfactants by type of hydrophilic group.

아니온계의 친수성기의 예로는, -SO3M, -COOM, 및 -PO(OH)2 를 들 수 있다. 여기서 M 은 수소 원자 또는 카티온을 나타낸다. 카티온의 예로는, 리튬,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이온 ;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 이온 ; 암모늄 이온 ; 모노메틸아민, 디메틸아민, 모노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등의 알킬아민의 암모늄 이온 ; 그리고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알칸올아민의 암모늄 이온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anionic hydrophilic groups include -SO 3 M, -COOM, and -PO(OH) 2 . Here, M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 cation. Examples of cations include alkali metal ions such as lithium, sodium, and potassium; Alkaline earth metal ions such as calcium and magnesium; Ammonium ion; Ammonium ions of alkylamines such as monomethylamine, dimethylamine, monoethylamine and triethylamine; And ammonium ions of alkanolamines, such as monoethanolamine, diethanolamine, and triethanolamine.

카티온계의 친수기의 예로는, -Cl, -Br, -I, 및 -SO3ORX 를 들 수 있다. 여기서 RX 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RX 의 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및 이소프로필기를 들 수 있다.Examples of cationic hydrophilic groups include -Cl, -Br, -I, and -SO 3 ORX. Here, RX represents an alkyl group. Examples of RX include methyl group, ethyl group, propyl group, and isopropyl group.

논이온계의 친수기의 예로는, -OH 를 들 수 있다.An example of a nonionic hydrophilic group is -OH.

바람직한 반응성 계면 활성제 단량체의 예로는, 하기의 식 (II)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As an example of a preferable reactive surfactant monomer,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llowing formula (II) is mentioned.

[화학식 2][Formula 2]

Figure 112014102417914-pct00002
Figure 112014102417914-pct00002

식 (II) 에 있어서, R 은 2 가의 결합기를 나타낸다. R 의 예로는, -Si-O- 기, 메틸렌기 및 페닐렌기를 들 수 있다. 식 (II) 에 있어서, R3 은 친수성기를 나타낸다. R3 의 예로는, -SO3NH4 를 들 수 있다. 식 (II) 에 있어서, n 은 1 이상 100 이하의 정수이다. 반응성 계면 활성제 단량체는,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된다.In formula (II), R represents a divalent bonding group. Examples of R include -Si-O- groups, methylene groups and phenylene groups. In Formula (II), R 3 represents a hydrophilic group. Examples of R 3 include -SO 3 NH 4 . In Formula (II), n is an integer of 1 or more and 100 or less. As the reactive surfactant monomer, one type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typ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at any ratio.

수용성 고분자 (B1) 이 반응성 계면 활성제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 비율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이고, 그 함유 비율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이다.Whe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contains a reactive surfactant monomer unit, the upper limit of the content ratio is preferably 15% by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10% by mass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5% by mass or less, The lower limit of the content ratio is preferably 0.1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0.5 mass% or mor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1 mass% or more.

반응성 계면 활성제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을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으로 함으로써, 부극 활물질 (A) 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반응성 계면 활성제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을 상기 범위의 상한치 이하로 함으로써, 부극 활물질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수용성 고분자 (B1) 에 있어서의 반응성 계면 활성제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통상적으로 수용성 고분자 (B1) 을 중합할 때의 전체 단량체에 있어서의 반응성 계면 활성제 단량체의 비율 (주입비) 에 일치한다.The dispersibil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can be improved by setting the content ratio of the reactive surfactant monomer units to the lower limit of the above range. On the other hand, the durabil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can be improved by setting the content ratio of the reactive surfactant monomer units to the upper limit of the above range. Here, the ratio of the reactive surfactant monomer units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usually coincides with the ratio (injection ratio) of the reactive surfactant monomer in all monomers when polymerizing the water-soluble polymer (B1).

<다른 단량체 단위><Other monomer units>

수용성 고분자 (B1) 이 가질 수 있는 임의의 단위의 추가적인 예로는, 하기의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구조 단위를 들 수 있다. 즉, 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비닐톨루엔, t-부틸스티렌, 비닐벤조산, 비닐벤조산메틸, 비닐나프탈렌, 클로로메틸스티렌, 하이드록시메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디비닐벤젠 등의 스티렌계 단량체 ; 아크릴아미드, 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등의 아미드계 단량체 ;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α,β-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단량체 ;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류 단량체 ;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 원자 함유 단량체 ;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부티르산비닐, 벤조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류 단량체 ;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부틸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류 단량체 ; 메틸비닐케톤, 에틸비닐케톤, 부틸비닐케톤, 헥실비닐케톤, 이소프로페닐비닐케톤 등의 비닐케톤류 단량체 ; 그리고 N-비닐피롤리돈, 비닐피리딘, 비닐이미다졸 등의 복소 고리 함유 비닐 화합물 단량체의 1 이상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구조 단위를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 (B1) 에 있어서의 이들 구조 단위의 비율은, 그 상한이, 통상적으로 10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이고, 그 하한이, 통상적으로 0 질량% 이상이다.As a further example of the arbitrary units that the water-soluble polymer (B1) may have, structural units obtained by polymerizing the following monomers are exemplified. That is, styrene-based monomers such as styrene, chlorostyrene, vinyltoluene, t-butylstyrene, vinylbenzoic acid, methyl vinylbenzoate, vinylnaphthalene, chloromethylstyrene, hydroxymethylstyrene, α-methylstyrene, and divinylbenzene; Amide monomers such as acrylamide and acrylamide-2-methylpropanesulfonic acid; Α,β-unsaturated nitrile compound monomers such as acrylonitrile and methacrylonitrile; Olefin monomers such as ethylene and propylene; Halogen atom-containing monomers such as vinyl chloride and vinylidene chloride; Vinyl ester monomers such as vinyl acetate, vinyl propionate, vinyl butyrate, and vinyl benzoate; Vinyl ether monomers such as methyl vinyl ether, ethyl vinyl ether, and butyl vinyl ether; Vinyl ketone monomers such as methyl vinyl ketone, ethyl vinyl ketone, butyl vinyl ketone, hexyl vinyl ketone, and isopropenyl vinyl ketone; And structural units obtained by polymerizing 1 or more of the heterocyclic-containing vinyl compound monomers, such as N-vinylpyrrolidone, vinylpyridine, and vinylimidazole, are mentioned. The ratio of these structural units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has an upper limit of usually 10% by mass or less, preferably 5% by mass or less, and a lower limit of it is usually 0% by mass or more.

여기서, 수용성 고분자 (B1) 에 있어서의 다른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통상적으로 수용성 고분자 (B1) 을 중합할 때의 전체 단량체에 있어서의 다른 단량체의 비율 (주입비) 에 일치한다.Here, the ratio of the other monomer units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usually coincides with the ratio (injection ratio) of other monomers in all the monomers whe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s polymerized.

<수용성 고분자 (B1) 의 용액 점도><Solution viscosity of water-soluble polymer (B1)>

또, 수용성 고분자 (B1) 의 pH 8.5 에 있어서의 5 % 수용액을 조정했을 때의 용액 점도 (5 % 수용액 점도) 는 100 cp 이상, 1500 cp 이하이고, 그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200 cp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cp 이하이고, 그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20 cp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cp 이상이다.Moreover, the solution viscosity (5% aqueous solution viscosity) at the time of adjusting the 5% aqueous solution at pH 8.5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s 100 cp or more and 1500 cp or less, and the upper limit is preferably 1200 cp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1000 cp or less, and its lower limit is preferably 120 cp or more, and more preferably 200 cp or more.

여기서, 수용성 고분자 (B1) 의 5 % 수용액을 조정할 때의 pH 값에 대해서는, pH 7.0 이상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pH 7.0 이상의 어느 pH 값에 있어서의 5 % 수용액을 조정하여 용액 점도 (5 % 수용액 점도) 를 측정하여도 된다. 측정된 수용성 고분자 (B1) 의 5 % 수용액 점도는, pH 7.0 이상이면 어느 pH 값이어도 크게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용성 고분자 (B1) 의 pH 7.0 이상의 어느 pH 값에 있어서의 5 % 수용액 점도의 바람직한 점도 범위는 상기 범위와 동일해진다. 수용성 고분자 (B1) 의 5 % 수용액 점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수용성 고분자 (B1) 을 수용화하는 것이 곤란해져, 부극 활물질층의 집전체에 대한 결착성이 저하된다. 또, 수용성 고분자 (B1) 의 5 % 수용액 점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수용성 고분자 (B1) 의 부극 활물질 (A) 에 대한 흡착성이 저하되는 것에서 기인하여 전하 이동 저항이 증대됨과 함께, 부극 활물질층의 유연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수용성 고분자 (B1) 의 5 % 수용액 점도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부극 활물질층의 집전체에 대한 결착성이나 부극 활물질층의 유연성이 향상됨과 함께, 우수한 사이클 특성을 갖는 이차 전지를 얻을 수 있다.Here, the pH value when adjusting the 5% aqueous solu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pH 7.0 or higher, and the solution viscosity (5%)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5% aqueous solution at any pH value of pH 7.0 or higher. Aqueous solution viscosity). The viscosity of the measured 5% aqueous solu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does not change significantly at any pH value as long as it is pH 7.0 or higher. Therefore, the preferable viscosity range of the 5% aqueous solution viscosity at any pH value of pH 7.0 or more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becomes the same as the above range. When the viscosity of the 5% aqueous solu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s too high, it becomes difficult to solubilize the water-soluble polymer (B1), and the binding proper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to the current collector decreases. Moreover, when the viscosity of the 5% aqueous solu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s too low, the charge transfer resistance increases due to the decrease in the adsorption property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to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and the flexibil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This may decrease. By setting the viscosity of the 5% aqueous solu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to the above range, a secondary battery having excellent cycle characteristics and improved binding proper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to the current collector and flexibil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can be obtained.

수용성 고분자 (B1)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0 이상이고, 그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50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00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000 이하이다. 수용성 고분자 (B1)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에 의해, 디메틸포름아미드의 10 체적% 수용액에 0.85 g/㎖ 의 질산나트륨을 용해시킨 용액을 전개 용매로 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값으로서 구하면 된다.The 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has a lower limit of preferably 500 or more, more preferably 700 or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1000 or more, and an upper limit thereof, preferably 500000 or less, more preferably 250000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100000 or less.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s a polystyrene conversion using a solution obtained by dissolving 0.85 g/ml sodium nitrate in a 10% by volume aqueous solution of dimethylformamide as a developing solvent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It can be obtained as a value.

또한, 수용성 고분자 (B1) 의 유리 전이 온도는,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이상이고, 그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이다. 수용성 고분자 (B1) 의 유리 전이 온도는, 여러 가지 단량체를 조합함으로써 조정 가능하다.In additio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has a lower limit thereof, preferably 0°C or higher, more preferably 5°C or higher, and an upper limit thereof, preferably 100°C or lower, more preferably 50°C. Is below.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can be adjusted by combining various monomers.

(B2)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단위를 80 질량% 이상 함유하는 중합체의 알칼리 금속염인 수용성 고분자(B2) A water-soluble polymer that is an alkali metal salt of a polymer containing 80% by mass or more of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units

수용성 고분자 (B2) 는,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단위를 8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3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질량% 이상 함유함으로써, 양호한 수용성을 발현하고, 후술하는 수용성 고분자 (B2) 의 5 % 수용액 점도를 원하는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수용성 고분자 (B2) 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의 상한은 100 질량% 이다. 여기서, 수용성 고분자 (B2) 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통상적으로 수용성 고분자 (B2) 를 중합할 때의 전체 단량체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의 비율 (주입비) 에 일치한다.The water-soluble polymer (B2) expresses good water solubility by containing 80% by mass or more, preferably 83% by mass or more, and more preferably 85% by mass or more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units, and the water-soluble polymer (B2) described later. ), it becomes easy to adjust the 5% aqueous solution viscosity to a desired range. The upper limit of the content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units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s 100% by mass. Here, the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unit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s generally the same as the ratio (injection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in all monomers when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s polymerized. do.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는, 수용성 고분자 (B1) 에 있어서 예시한 바와 같고,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및/또는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및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이다.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is as exemplified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preferably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and more preferably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and/or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 And particularly preferably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and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또,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중에서도,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에 양호한 증점성을 부여할 수 있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이나 메타크릴산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이다. 또,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 중에서도, 부극의 전해액에 대한 젖음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술폰산이나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이다.Moreover, among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s, it is preferably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 more preferably acrylic acid or methacrylic acid, from the viewpoint of providing good thickening properties to the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s, Especially preferred is acrylic acid. Moreover, among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s,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wettabil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with respect to the electrolytic solution, it is preferably styrenesulfonic acid or 2-acrylamide-2-methylpropanesulfonic acid, more preferably 2-acrylamide-2- Methyl propane sulfonic acid.

수용성 고분자 (B2) 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단위가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단위 및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 단위인 경우에 있어서,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과,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units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2) ar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units and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units, the content ratio of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units and ethylenic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ent rate of an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unit is the following range.

즉,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그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99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8.5 질량% 이하이고,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3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5 질량% 이상이다. 또,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그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이고,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상이다.That is, the content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unit has an upper limit of preferably 99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98.5 mass% or less, and a lower limit thereof, preferably 90 mass% or more, more It is preferably 93% by mass or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95% by mass or more. Moreover, the upper limit of the content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unit is preferably 10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7 mass%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5 mass% or less, and the lower limit is preferably Is 1% by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1.5% by mass or more.

여기서, 수용성 고분자 (B2) 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통상적으로 수용성 고분자 (B2) 를 중합할 때의 전체 단량체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의 비율 (주입비) 에 일치하고, 수용성 고분자 (B2) 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통상적으로 수용성 고분자 (B2) 를 중합할 때의 전체 단량체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의 비율 (주입비) 에 일치한다.Here, the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units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s usually the ratio (injection)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s in all the monomers when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s polymerized. Ratio), and the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units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s usually the ratio (injection)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in all monomers when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s polymerized. B) matches.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수용성 고분자 (B2) 에 양호한 수용성을 발현할 수 있다. 또,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유동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여, 후술하는 부극을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집전체에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도포할 때에 집전체에 대한 코팅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결착성이 우수한 부극을 얻을 수 있다. 또,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틱소성이 높아짐으로써, 부극을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집전체에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도포할 때에 도포 줄무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부극을 얻을 수 있음과 함께,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젖음성을 향상시키고, 그 결과, 결착성이 우수한 부극을 얻을 수 있다.By making the content rate of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monomer unit into the said range, favorable water solubility can be expressed in a water-soluble polymer (B2). Moreover, it is suppressed that the fluidity|liquidity of the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s falls, an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negative electrode mentioned later, when applying the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s to a current collector, coating failure with respect to a current collector can be prevented. As a result, a negative electrode excellent in binding property can be obtained. 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thixotropy of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coating streaks when applying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to a current collector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negative electrode. In addition, a negative electrode excellent in surface smoothness can be obtained, and the wettability of the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s is improved, and as a result, a negative electrode excellent in binding property can be obtained.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부극의 전해액에 대한 젖음성이 향상됨과 함께, 부극 활물질의 팽창·수축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수용성 고분자 (B2) 의 제조에 있어서, 우수한 중합 안정성을 나타낸다.By setting the content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unit within the above range, the wettabil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with respect to the electrolyte solution is improved, and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an be suppressed. Moreover, in manufacture of a water-soluble polymer (B2), it shows excellent polymerization stability.

또, 수용성 고분자 (B2) 에는, 상기의 단량체 단위 외에,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나 가교성 단량체 단위가 함유되어 있어도 되고, 또 반응성 계면 활성제 단량체 등의 기능성을 갖는 단량체를 중합하여 형성되는 구조 단위나, 그 밖의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중합하여 형성되는 구조 단위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 단량체는 수용성 고분자 (B1) 에 있어서 예시한 바와 같다.In addition, the water-soluble polymer (B2) may contain a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or a crosslinkable monomer unit in addition to the monomer units described above, and also a structure formed by polymerizing monomers having functional properties such as reactive surfactant monomers. A unit or a structural unit formed by polymerizing other copolymerizable monomers may be contained. These monomers are as exemplified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수용성 고분자 (B2) 에 있어서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그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이고,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상이다.The content ratio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s preferably an upper limit of preferably 10.0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5.0 mass% or less, and preferably a lower limit of 0.5. It is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1.5 mass% or more.

여기서, 수용성 고분자 (B2) 에 있어서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통상적으로 수용성 고분자 (B2) 를 중합할 때의 전체 단량체에 있어서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의 비율 (주입비) 에 일치한다.Here, the ratio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s usually the ratio (injection ratio)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in all monomers when polymerizing the water-soluble polymer (B2). To match.

수용성 고분자 (B2) 에 있어서의 가교성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그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이고,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질량% 이상이다.The content ratio of the crosslinkable monomer unit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2) has an upper limit of preferably 2.0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1.0 mass% or less, and a lower limit thereof, preferably 0.1 mass% or more. , More preferably, it is 0.2 mass% or more.

여기서, 수용성 고분자 (B2) 에 있어서의 가교성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통상적으로 수용성 고분자 (B2) 를 중합할 때의 전체 단량체에 있어서의 가교성 단량체의 비율 (주입비) 에 일치한다.Here, the ratio of the crosslinkable monomer unit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2) usually coincides with the ratio (injection ratio) of the crosslinkable monomer in all monomers when polymerizing the water-soluble polymer (B2).

수용성 고분자 (B2) 에 있어서의 반응성 계면 활성제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그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이고,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이다. 여기서, 수용성 고분자 (B2) 에 있어서의 반응성 계면 활성제 단위의 비율은, 통상적으로 수용성 고분자 (B2) 를 중합할 때의 전체 단량체에 있어서의 반응성 계면 활성제의 비율 (주입비) 에 일치한다.The content ratio of the reactive surfactant monomer unit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s preferably an upper limit of 10.0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5.0 mass% or less, and a lower limit, preferably 0.5 mass%. Above, it is more preferably 1.0% by mass or more. Here, the ratio of the reactive surfactant unit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2) usually coincides with the ratio (injection ratio) of the reactive surfactant in all monomers when polymerizing the water-soluble polymer (B2).

수용성 고분자 (B2) 에 있어서의 다른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그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이고,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이다.The content ratio of the other monomer units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2) has an upper limit of preferably 5.0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2.0 mass% or less, and a lower limit thereof, preferably 0.1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0.5 mass% or more.

여기서, 수용성 고분자 (B2) 에 있어서의 다른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통상적으로 수용성 고분자 (B2) 를 중합할 때의 전체 단량체에 있어서의 다른 단량체의 비율 (주입비) 에 일치한다.Here, the ratio of the other monomer units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2) usually coincides with the ratio (injection ratio) of the other monomers in all the monomers when polymerizing the water-soluble polymer (B2).

또, 수용성 고분자 (B2) 의 pH 8.5 에 있어서의 5 % 수용액을 조정했을 때의 용액 점도 (5 % 수용액 점도) 는 2000 cp 이상, 20000 cp 이하이고, 그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2000 cp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 cp 이하이고,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2500 cp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 cp 이상이다.Moreover, the solution viscosity (5% aqueous solution viscosity) at the time of adjusting the 5% aqueous solution at pH 8.5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s 2000 cp or more and 20000 cp or less, and the upper limit is preferably 12000 cp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10000 cp or less, and its lower limit is preferably 2500 cp or more, and more preferably 3000 cp or more.

여기서, 수용성 고분자 (B2) 의 5 % 수용액을 조정할 때의 pH 값에 대해서는, pH 7.0 이상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pH 7.0 이상의 어느 pH 값에 있어서의 5 % 수용액을 조정하여 용액 점도 (5 % 수용액 점도) 를 측정하여도 된다. 측정된 수용성 고분자 (B2) 의 5 % 수용액 점도는, pH 7.0 이상이면 어느 pH 값이어도 크게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용성 고분자 (B2) 의 pH 7.0 이상의 어느 pH 값에 있어서의 5 % 수용액 점도의 바람직한 점도 범위는, 상기 범위와 동일해진다. 수용성 고분자 (B2) 의 5 % 수용액 점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수용성 고분자 (B2) 를 수용화하는 것이 곤란해져, 부극 활물질층의 집전체에 대한 결착성이 저하된다. 또,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점도가 증대된다. 또, 수용성 고분자 (B2) 의 5 % 수용액 점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수용성 고분자 (B2) 의 부극 활물질 (A) 에 대한 흡착성이 저하되는 것에서 기인하여 전하 이동 저항이 증대됨과 함께, 부극 활물질층의 유연성이 저하된다. 수용성 고분자 (B2) 의 5 % 수용액 점도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부극 활물질층의 집전체에 대한 결착성이나 부극 활물질층의 유연성이 향상됨과 함께,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점도를 양호하게 유지하여, 우수한 사이클 특성을 갖는 이차 전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수용성 고분자 (B2) 의 5 % 수용액 점도를 상기 범위로 하고, 수용성 고분자 (B1) 의 pH 8.5 에 있어서의 5 % 수용액을 전술한 범위로 함으로써, 부극 활물질의 분산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집전체와 부극 활물질층의 결착성을 높여,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Here, the pH value when adjusting the 5% aqueous solu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pH 7.0 or higher, and the solution viscosity (5%)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5% aqueous solution at any pH value of pH 7.0 or higher. Aqueous solution viscosity). The viscosity of the 5% aqueous solution of the measured water-soluble polymer (B2) does not change significantly, even if it is pH 7.0 or higher. Therefore, the preferable viscosity range of the 5% aqueous solution viscosity at any pH value of pH 7.0 or more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becomes the same as the above range. When the viscosity of the 5% aqueous solu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s too high, it becomes difficult to solubilize the water-soluble polymer (B2), and the binding proper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to the current collector decreases. Moreover, the viscosity of the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s increases. Moreover, when the viscosity of the 5% aqueous solu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s too low, the charge transfer resistance increases due to the decrease in the adsorption property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to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and the flexibil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This decreases. By setting the viscosity of the 5% aqueous solu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to the above range, the binding proper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to the current collector and the flexibil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re improved, and the viscosity of the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s is maintained to be excellent. A secondary battery having cycle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Further, by setting the viscosity of the 5% aqueous solu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to the above range, and by setting the 5% aqueous solu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at the pH of 8.5 to the aforementioned range, the dispersibil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an be dramatically improv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binding property of the current collector and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thereby improving the cycl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ary battery.

수용성 고분자 (B2)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그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1000 만 이하이고,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1 만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만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만 이상이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has an upper limit of preferably 10 million or less, and a lower limit thereof is preferably 10,000 or more, more preferably 200,000 or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400,000 or more. .

수용성 고분자 (B2)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상기 서술한 수용성 고분자 (B1) 의 중량 평균 분자량과 동일하게 하여 구할 수 있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can b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described above.

또한 수용성 고분자 (B2) 의 유리 전이 온도는,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이고, 그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15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이다. 수용성 고분자 (B2) 의 유리 전이 온도는, 여러 가지 단량체를 조합함으로써 조정 가능하다.In additio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has a lower limit, preferably -50°C or higher, more preferably -40°C or higher, particularly preferably -30°C or higher, and an upper limit thereof, preferably 150°C or less, more preferably 120°C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100°C or les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can be adjusted by combining various monomers.

[수용성 고분자 (B) 의 제조][Preparation of water-soluble polymer (B)]

수용성 고분자 (B) 의 제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용성 고분자 (B1) 및 (B2) 를 구성하는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분산매 중에서 각각 유화 중합하여 수분산형 폴리머 (B1) 및 (B2) 를 얻고, 수분산형 폴리머 (B1) 및 (B2) 를 소정의 pH 로 알칼리화하여 수용성 고분자 (B1) 및 (B2) 를 제조하며, 이들을 혼합하여 얻을 수 있다. 수분산형 폴리머 (B1) 및 (B2) 는, 염기 (알칼리 금속염) 의 존재하에 용이하게 가수분해되어 수분산형 폴리머의 분자 중에 존재하는 카르복실기 또는 산무수물기의 적어도 일부를 염으로 한 것, 바람직하게는 50 몰% 이상이 염을 형성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알칼리 금속염으로는, 칼륨염, 나트륨염, 리튬염 등을 들 수 있고, 리튬 이온의 전도도가 우수하고, 덴드라이트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나트륨염, 리튬염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리튬염이다. 바람직한 pH 는 4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5 이상이다. 또, 바람직한 pH 는 13 이하이다. pH 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부극 활물질 (A) 등의 분산성이 우수하고, 집전체와 부극 활물질층의 결착성을 높여,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lthough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monomer mixture containing the monomers constituting the water-soluble polymers (B1) and (B2) is emulsified and polymerized in a dispersion medium to obtain water-dispersible polymers (B1) and (B2). , Water-dispersible polymers (B1) and (B2) are alkalized to a predetermined pH to prepare water-soluble polymers (B1) and (B2), which can be obtained by mixing them. The water-dispersible polymers (B1) and (B2) are those that are readily hydrolyzed in the presence of a base (alkali metal salt) and have at least a portion of a carboxyl or acid anhydride group present in the molecule of the water-dispersible polymer as a salt, preferably It can be said that 50 mol% or more formed salt. Potassium salt, sodium salt, lithium salt, etc. are mentioned as an alkali metal salt, From a viewpoint that it is excellent in the conductivity of lithium ion and can prevent the formation of dendrites, it is preferably a sodium salt, a lithium salt, and more It is preferably a lithium salt. The preferred pH is 4 or more, more preferably 6 or mor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7.5 or more. Moreover, preferable pH is 13 or less. By making pH into the said range, dispersibility, such as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in a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s is excellent, the binding property of a collector and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can be raised, and the cycling characteristics of a secondary battery can be improved.

유화 중합의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된 유화 중합법을 채용하면 된다. 혼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교반식, 진탕식, 및 회전식 등의 혼합 장치를 사용한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호모게나이저, 볼 밀, 샌드 밀, 롤 밀, 플래너터리 믹서 및 유성식 혼련기 등의 분산 혼련 장치를 사용한 방법을 들 수 있다.The method of emulsion polymeriza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conventionally known emulsion polymerization method may be employed. The mixing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method using a mixing device such as a stirring type, shaking type, and rotating type. Moreover, the method using the dispersion kneading apparatus, such as a homogenizer, a ball mill, a sand mill, a roll mill, a planetary mixer, and a planetary kneader, is mentioned.

유화 중합에 사용하는 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과황산나트륨,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과인산칼륨, 과산화수소 등의 무기 과산화물 ; t-부틸퍼옥사이드,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p-멘탄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t-부틸퍼옥사이드, t-부틸쿠밀퍼옥사이드, 아세틸퍼옥사이드, 이소부티릴퍼옥사이드, 옥타노일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3,5,5-트리메틸헥사노일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이소부틸레이트 등의 유기 과산화물 ;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아조비스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 아조비스이소부티르산메틸 등의 아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used in the emulsion polymerization include inorganic peroxides such as sodium persulfate, potassium persulfate, ammonium persulfate, potassium perphosphate, and hydrogen peroxide; t-butyl peroxide, cumene hydroperoxide, p-mentane hydroperoxide, di-t-butyl peroxide, t-butylcumyl peroxide, acetyl peroxide, isobutyryl peroxide, octanoyl peroxide, benzoyl peroxide , 3,5,5-trimethylhexanoyl peroxide, organic peroxides such as t-butyl peroxy isobutylate; And azo compounds such as azobisisobutyronitrile, azobis-2,4-dimethylvaleronitrile, azobiscyclohexanecarbonitrile, and methyl azobisisobutyrate.

이들 중에서도, 무기 과산화물이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합 개시제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 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과산화물 개시제는, 중아황산나트륨 등의 환원제와 조합하여, 레독스계 중합 개시제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Among these, inorganic peroxides can be preferably used. These polymerization initiator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kinds. Moreover, a peroxide initiator can also be used as a redox-type polymerization initiator in combination with a reducing agent, such as sodium bisulfite.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중합에 사용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전체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그 하한이, 통상적으로 0.02 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질량부 이상이고, 그 상한이, 통상적으로 2 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75 질량부 이하이다.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수용성 고분자 (B1) 및 (B2) 의 5 % 수용액 점도를 소정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용이해진다.The use amou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relative to 100 parts by mass of the total amount of the monomer mixture used for polymerization, the lower limit is usually 0.02 parts by mass or more, preferably 0.05 parts by mass or more, and more preferably 0.1 parts by mass or more, The upper limit is usually 2 parts by mass or less, preferably 1.5 parts by mass or less, and more preferably 0.75 parts by mass or less. By making the usage-amount of a polymerization initiator into the said range, it becomes easy to adjust the 5% aqueous solution viscosity of water-soluble polymers (B1) and (B2) to a predetermined range.

얻어지는 폴리머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불용분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유화 중합시에 연쇄 이동제를 사용하여도 된다. 연쇄 이동제로는, 예를 들어 n-헥실메르캅탄, n-옥틸메르캅탄, t-옥틸메르캅탄, n-도데실메르캅탄, t-도데실메르캅탄, n-스테아릴메르캅탄 등의 알킬메르캅탄 ; 디메틸크산토겐디술파이드, 디이소프로필크산토겐디술파이드 등의 크산토겐 화합물 ; 테르피놀렌이나, 테트라메틸티우람디술파이드, 테트라에틸티우람디술파이드, 테트라메틸티우람모노술파이드 등의 티우람계 화합물 ; 2,6-디-t-부틸-4-메틸페놀, 스티렌화페놀 등의 페놀계 화합물 ; 알릴알코올 등의 알릴 화합물 ; 디클로르메탄, 디브로모메탄, 4 브롬화탄소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 화합물 ; 티오글리콜산, 티오말산, 2-에틸헥실티오글리콜레이트, 디페닐에틸렌, α-메틸스티렌다이머 등을 들 수 있다.In order to control the amount of tetrahydrofuran insoluble content of the obtained polymer, a chain transfer agent may be used during emulsion polymerization. Examples of the chain transfer agent include alkyl mers such as n-hexyl mercaptan, n-octyl mercaptan, t-octyl mercaptan, n-dodecyl mercaptan, t-dodecyl mercaptan, and n-stearyl mercaptan. Captan; Xanthogen compounds, such as dimethyl xanthogen disulfide and diisopropyl xanthogen disulfide; Thiuram-based compounds such as terpinolene, tetramethylthiuram disulfide, tetraethyl thiuram disulfide, and tetramethyl thiuram monosulfide; Phenolic compounds such as 2,6-di-t-butyl-4-methylphenol and styrenated phenol; Allyl compounds such as allyl alcohol; Halogenated hydrocarbon compounds such as dichlormethane, dibromomethane and carbon bromide; And thioglycolic acid, thiomalic acid, 2-ethylhexylthioglycolate, diphenylethylene, and α-methylstyrene dimer.

이들 중에서도, 알킬메르캅탄이 바람직하고, t-도데실메르캅탄이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연쇄 이동제는 단독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Among these, alkyl mercaptan is preferable, and t-dodecyl mercaptan can be more preferably used. These chain transfer agents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연쇄 이동제의 사용량은, 단량체 혼합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그 하한이, 통상적으로 0.01 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질량부 이상이고, 그 상한이, 통상적으로 5 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3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질량부 이하이다. 연쇄 이동제의 사용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수용성 고분자 (B1) 및 (B2) 의 5 % 수용액 점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The amount of the chain transfer agent used i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monomer mixture, the lower limit of which is usually 0.01 parts by mass or more, preferably 0.05 parts by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0.1 parts by mass or more, and the upper limit thereof is usually 5 It is 3 parts by mass or less, preferably 3 parts by mass or less, and more preferably 2.5 parts by mass or less. By setting the amount of the chain transfer agent to be within the above range, the viscosity of the 5% aqueous solutions of the water-soluble polymers (B1) and (B2) can be adjusted more easily.

유화 중합시에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여도 된다. 계면 활성제는, 수용성 고분자 (B1) 및 (B2) 에 함유될 수 있는 반응성 계면 활성제와는 달리, 비반응성이고,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 논이온성 계면 활성제,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 양쪽성 계면 활성제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의 구체예로는, 나트륨라우릴술페이트, 암모늄라우릴술페이트, 나트륨도데실술페이트, 암모늄도데실술페이트, 나트륨옥틸술페이트, 나트륨데실술페이트, 나트륨테트라데실술페이트, 나트륨헥사데실술페이트, 나트륨옥타데실술페이트 등의 고급 알코올의 황산에스테르염 ;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라우릴벤젠술폰산나트륨, 헥사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등의 알킬벤젠술폰산염 ; 라우릴술폰산나트륨, 도데실술폰산나트륨, 테트라데실술폰산나트륨 등의 지방족 술폰산염 ; 등을 들 수 있다.You may use surfactant in emulsion polymerization. Surfactants, unlike the reactive surfactants that may be contained in the water-soluble polymers (B1) and (B2), are non-reactive, nonionic surfactants, nonionic surfactants, cationic surfactants, and amphoteric surfactants It may be either. Specific examples of the anionic surfactant include sodium lauryl sulfate, ammonium lauryl sulfate, sodium dodecyl sulfate, ammonium dodecyl sulfate, sodium octyl sulfate, sodium decyl sulfate, sodium tetradecyl sulfate, sodium hexa Sulfate ester salts of higher alcohols, such as decyl sulfate and sodium octadecyl sulfate; Alkylbenzene sulfonates such as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sodium laurylbenzenesulfonate, and sodium hexadecylbenzenesulfonate; Aliphatic sulfonates such as sodium lauryl sulfonate, sodium dodecyl sulfonate and sodium tetradecyl sulfonate; And the like.

수용성 고분자 (B1) 및 (B2) 에 바람직하게 함유되는 반응성 계면 활성제도 동일한 유화 작용을 갖는 점에서, 반응성 계면 활성제만을 사용하여도 되고, 반응성 계면 활성제와 비반응성의 계면 활성제를 병용하여도 된다. 또한, 반응성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의 비반응성의 계면 활성제를 사용함으로써 유화 중합이 안정된다. 비반응성의 계면 활성제의 사용량은, 단량체 혼합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그 하한이, 통상적으로 0.5 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상이고, 그 상한이, 통상적으로 10 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질량부 이하이다.Since the reactive surfactants preferably contained in the water-soluble polymers (B1) and (B2) also have the same emulsifying action, only reactive surfactants may be used, or reactive surfactants and non-reactive surfactants may be used in combination. Moreover, when a reactive surfactant is not used, emulsion polymerization is stabilized by using the said non-reactive surfactant. The use amount of the non-reactive surfactant is, relative to 100 parts by mass of the monomer mixture, the lower limit is usually 0.5 parts by mass or more, preferably 1 part by mass or more, and the upper limit is usually 10 parts by mass or less, preferably Is 5 parts by mass or less.

또한, 유화 중합시에, 암모니아 등의 pH 조정제 ; 분산제, 킬레이트제, 산소 포착제, 빌더, 입경 조절을 위한 시드 라텍스 등의 각종 첨가제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시드 라텍스란, 유화 중합시에 반응의 핵이 되는 미소 입자의 분산액을 말한다. 미소 입자는 입경이 100 ㎚ 이하인 것이 많다. 미소 입자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디엔계 중합체 등의 범용의 중합체가 사용된다. 시드 중합법에 의하면, 비교적 입경이 일정한 공중합체 입자가 얻어진다.Moreover, at the time of emulsion polymerization, pH adjusters, such as ammonia; Various additives such as dispersants, chelating agents, oxygen scavengers, builders, and seed latex for particle size control can be suitably used. Seed latex refers to a dispersion of microparticles that become the nucleus of reaction during emulsion polymerization. Many microparticles have a particle size of 100 nm or less. The microparticle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general-purpose polymers such as diene-based polymers are used. According to the seed polymerization method, copolymer particles having a relatively constant particle size are obtained.

중합 반응을 실시할 때의 중합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 하한이, 통상적으로 0 ℃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이고, 그 상한이, 통상적으로 1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80 ℃ 이하이다. 이와 같은 온도 범위에서 유화 중합하고, 소정의 중합 전화율로 중합 정지제를 첨가하거나 중합계를 냉각시켜, 중합 반응을 정지시킨다. 중합 반응을 정지시키는 중합 전화율은, 바람직하게는 93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질량% 이상이다.The polymerization temperature at the time of carrying out the polymerization reac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s lower limit is usually 0°C or higher, preferably 40°C or higher, and its upper limit is usually 100°C or lower, preferably 80°C or lower. . Emulsion polymerization is performed in such a temperature range, and a polymerization terminator is added at a predetermined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or the polymerization system is cooled to stop the polymerization reactio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for stopping the polymerization reaction is preferably 93% by mass or more, and more preferably 95% by mass or more.

중합 반응을 정지시킨 후, 원하는 바에 따라,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하고, pH 나 고형분 농도를 조정하여, 수분산형 폴리머 (B1) 및 (B2) 가 분산매에 분산된 형태 (라텍스) 로 얻어진다. 이어서, 수분산형 폴리머 (B1) 및 (B2) 를 pH 7 ∼ 13 으로 알칼리화하여 수용성 고분자 (B1) 및 (B2) 를 제조하고, 이들을 혼합하여 수용성 고분자 (B) 를 얻는다. 그 후, 필요에 따라, 분산매를 치환하여도 되고, 또 분산매를 증발시켜, 수용성 고분자 (B) 를 분말 형상으로 얻어도 된다.After the polymerization reaction is stopped, unreacted monomers are removed, if desired, and the pH or solid concentration is adjusted to obtain a dispersion of dispersed polymers (B1) and (B2) in a dispersion medium (latex). Subsequently, the water-dispersible polymers (B1) and (B2) are alkalized to pH 7 to 13 to prepare water-soluble polymers (B1) and (B2), and these are mixed to obtain a water-soluble polymer (B). Thereafter, if necessary, the dispersion medium may be substituted, or the dispersion medium may be evaporated to obtain a water-soluble polymer (B) in powder form.

얻어지는 수용성 고분자 (B) 의 분산액에는, 공지된 분산제, 증점제, 노화 방지제, 소포제, 방부제, 항균제, 블리스터 방지제, pH 조정제 등을 필요에 따라 첨가할 수도 있다.Known dispersants, thickeners, anti-aging agents, antifoaming agents, preservatives, antibacterial agents, blister inhibitors, pH adjusting agents, etc. may be added to the dispersion of the resulting water-soluble polymer (B), if necessary.

수용성 고분자 (B) 의 제조에 사용되는 분산매는, 상기 각 성분을 균일하게 분산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분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한, 물, 각종 유기 용매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제조 공정의 간소화의 관점에서, 상기의 유화 중합 후에 용매 치환 등의 조작을 실시하지 않고, 직접 수용성 고분자 (B) 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분산매로는 유화 중합시의 반응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화 중합시에는, 물이 반응 용매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또 작업 환경의 관점에서도 물을 분산매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The dispersion medium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 can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s on water and various organic solvents, as long as it can uniformly disperse the components and maintain a stable dispersion state. From the viewpoint of simplification of the production process, it is preferable to directly produce a water-soluble polymer (B) without performing an operation such as solvent substitution after the above emulsion polymerization, and it is preferable to use a reaction solvent during emulsion polymerization as the dispersion medium. Do. In emulsion polymerization, water is often used as a reaction solvent, and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o use water as a dispersion medium from the viewpoint of the working environment.

수용성 고분자 (B) 의 배합량은, 부극 활물질 (A) 의 총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고분자 (B1) 과 (B2) 의 합계량은, 그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5.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 질량부 이하이고,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0.1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질량부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질량부 이상이다.The blending amount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 is 100 mass parts of the total amount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and the total amount of the water-soluble polymers (B1) and (B2) has an upper limit, preferably 5.0 parts by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Is 3 parts by mass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2 parts by mass or less, and the lower limit thereof is preferably 0.1 parts by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0.25 parts by mass or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0.5 parts by mass or more.

수용성 고분자 (B1) 과 (B2) 의 합계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부극 활물질 (A) 등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집전체와 부극 활물질층의 결착성을 높여,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차 전지의 내부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출력 특성 (특히 저온 출력 특성) 을 향상시킬 수 있다.By setting the total amount of the water-soluble polymers (B1) and (B2) to the above range, the dispersibil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and the like in the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s is improved, and the binding property between the current collector and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increased, and secondary The cycle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reduced, output characteristics (especially low-temperature output characteristics) can be improved.

수용성 고분자 (B1) 및 수용성 고분자 (B2) 의 중량비는, 「수용성 고분자 (B1)/수용성 고분자 (B2)」 로, 그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95/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0/1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80/20 이하이고,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5/9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9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0/80 이상이다.The weight ratio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and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s "water-soluble polymer (B1)/water-soluble polymer (B2)", the upper limit of which is preferably 95/5 or less, more preferably 90/10 or less , Especially preferably, it is 80/20 or less, and its lower limit is preferably 5/95 or more, more preferably 10/90 or mor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20/80 or more.

수용성 고분자 (B1) 및 수용성 고분자 (B2) 의 중량비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부극 활물질 표면의 리튬 이온 전도성이 높아지고, 그에 의해 이차 전지의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부극 활물질 (A) 등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집전체와 부극 활물질층의 결착성을 높여,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By setting the weight ratio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and the water-soluble polymer (B2) within the above range, the lithium ion conductivity of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increased, whereby the output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dispersibil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and the like in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can be improved, the binding property between the current collector and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can be improved, and cycl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improved.

(C) 물(C) water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물로는, 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된 물 (이온 교환수) 및 역침투막 정수 시스템에 의해 처리된 물 (초순수) 등을 들 수 있다. 물의 전기 전도율은 0.5 mS/m 이하의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의 전기 전도율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수용성 고분자 (B) 의 부극 활물질 (A) 에 대한 흡착량의 변화 등에 의해,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에 있어서의 부극 활물질 (A) 의 분산성이 악화되어, 부극의 균일성이 저하되는 등의 영향이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용성 고분자 (B) 의 분산 안정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이면, 물에 친수성의 용매를 혼합한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친수성의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N-메틸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고, 물에 대해 5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wat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water treated with an ion exchange resin (ion exchanged water) and water treated with a reverse osmosis membrane water purification system (ultra pure water). It is preferable to use water having an electrical conductivity of 0.5 mS/m or less. Whe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water exceeds the above range, the dispersibil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in the slurry composition for the negative electrode deteriorates due to a change in the amount of adsorp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 to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There may be effects such as a decrease in uniform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Moreover, in this invention, if it is the range which does not inhibit the dispersion stability of a water-soluble polymer (B), you may use what mixed the hydrophilic solvent with water. Methanol, ethanol, N-methylpyrrolidone, etc. are mentioned as a hydrophilic solvent, It is preferable that it is 5 mass% or less with respect to water.

(D) 입자상 바인더(D) Particulate binder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은, 입자상 바인더 (D) 를 함유하여도 된다.The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of this invention may contain a particulate-form binder (D).

입자상 바인더는 상기의 물 (C) 에 분산되는 성질을 갖는다. 입자상 바인더를 사용함으로써, 후술하는 집전체와 부극 활물질층의 결착성을 높여, 부극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얻어지는 부극의 용량의 저하나 충방전의 반복에 의한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The particulate binder has a property of being dispersed in water (C). By using the particulate binder, the binding property of the current collector and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described later can be improved, and the negative electrode strength can be improved, and the capac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obtained can be reduced or deterioration due to repeated charging and discharging can be suppressed.

입자상 바인더는, 부극 활물질층 중에서 입자 형상을 유지한 상태로 존재할 수 있으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입자 상태를 유지한 상태」 란, 완전하게 입자 형상을 유지한 상태일 필요는 없고, 그 입자 형상을 어느 정도 유지한 상태이면 된다.The particulate binder may be present in a state in which the particle shape is maintained i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e in which the particle state is maintained" does not need to be a state in which the particle shape is completely maintained, but may be a state in which the particle shape is maintained to some extent.

입자상 바인더로는, 예를 들어 라텍스와 같은 바인더의 입자가 물에 분산된 상태의 것이나, 이와 같은 라텍스를 건조시켜 얻어지는 분말상의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입자상 바인더는 비수용성이다. 즉, 수계 용매 중에서 용해되지 않고 입자상으로 분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수용성이라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25 ℃ 에 있어서, 그 바인더 0.5 g 을 100 g 의 물에 용해시켰을 때에 불용분이 90 질량% 이상이 되는 것을 말한다.Examples of the particulate binder include those in which particles of a binder such as latex are dispersed in water, or those obtained by drying such latex.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culate binder is water-insoluble.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not dissolved in an aqueous solvent and is dispersed in the form of particles. The non-water-soluble means that the insoluble content becomes 90% by mass or more when specifically, at 25°C, 0.5 g of the binder is dissolved in 100 g of water.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입자상 바인더 (D)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SBR 등의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하,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공중합체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The particulate binder (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romatic vinyl-conjugated diene copolymers such as SBR. Hereinafter, the aromatic vinyl-conjugated diene copolym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공중합체Aromatic vinyl-conjugated diene copolymer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구조 단위 (이하,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 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및 공액 디엔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구조 단위 (이하,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 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량체 단위 외에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이다. 또,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공중합체는, 필요에 따라,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여도 된다.The aromatic vinyl-conjugated diene copolymer is a structural unit obtained by polymerizing an aromatic vinyl monomer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aromatic vinyl monomer unit"), and a structural unit obtained by polymerizing a conjugated diene (hereinafter, "conjugated diene" It may be described as "a monomer unit"), preferably a copolymer contain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unit in addition to the above monomer unit. Moreover, the aromatic vinyl-conjugated diene copolymer may contain other monomer units copolymerizable with these as needed.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Aromatic vinyl monomer unit>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구조 단위이다.The aromatic vinyl monomer unit is a structural unit obtained by polymerizing an aromatic vinyl monomer.

방향족 비닐 단량체의 예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및 디비닐벤젠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스티렌이 바람직하다. 이들 방향족 비닐 단량체는, 각각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그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65 질량% 이하이고,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이다.Examples of aromatic vinyl monomers include styrene, α-methylstyrene, vinyltoluene, and divinylbenzene. Among them, styrene is preferred. These aromatic vinyl monomers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 content ratio of the aromatic vinyl monomer unit in the aromatic vinyl-conjugated diene copolymer has an upper limit of preferably 65 mass% or less, and a lower limit thereof, preferably 40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50 mass. % Or more.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Conjugated diene monomer unit>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는, 공액 디엔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구조 단위이다.The conjugated diene monomer unit is a structural unit obtained by polymerizing the conjugated diene monomer.

공액 디엔 단량체의 예로는, 1,3-부타디엔, 이소프렌, 2-메틸-1,3-부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2-클로르-1,3-부타디엔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공액 디엔 단량체는, 각각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conjugated diene monomer include 1,3-butadiene, isoprene, 2-methyl-1,3-butadiene, 2,3-dimethyl-1,3-butadiene, 2-chlor-1,3-butadiene, and the like. have. These conjugated diene monomers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그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46 질량% 이하이고,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1 질량% 이상이다.The content ratio of the conjugated diene monomer unit in the aromatic vinyl-conjugated diene copolymer has an upper limit of preferably 46 mass% or less, and a lower limit thereof, preferably 25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31 mass. % Or more.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와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의 합계의 비율은, 그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96 질량% 이하이고,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6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이다.The ratio of the total of the aromatic vinyl monomer units and the conjugated diene monomer units in the aromatic vinyl-conjugated diene copolymer has an upper limit of preferably 96% by mass or less, and a lower limit thereof, preferably 65% by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80 mass% or more.

여기서,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통상적으로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공중합체를 중합할 때의 전체 단량체에 있어서의 공액 디엔 단량체의 비율 (주입비) 에 일치한다.Here, the ratio of the conjugated diene monomer unit in the aromatic vinyl-conjugated diene copolymer is generally the same as the ratio (injection ratio) of the conjugated diene monomer in all the monomers when the aromatic vinyl-conjugated diene copolymer is polymerized. do.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단위><Ethylenic unsaturated carboxylic monomer unit>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단위는,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구조 단위이다.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unit is a structural unit obtained by polymeriz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의 예로는, 수용성 고분자 (B) 에 있어서 예시한 바와 같다. 이들 중에서도,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의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이나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등의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이 바람직하고,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이 보다 바람직하고, 이타콘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얻어지는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공중합체의 물 등의 분산매에 대한 분산성을 보다 높일 수 있음과 함께, 집전체와 부극 활물질층의 결착성이 향상되어, 우수한 사이클 특성을 갖는 이차 전지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의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를 사용함으로써,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공중합체에 산성 관능기를 도입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are as exemplified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 Among these,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such as acrylic acid and methacrylic acid and unsaturated dicarboxylic acids such as maleic acid, fumaric acid and itaconic acid are preferred,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and itaconic acid are more preferred, and itaconic acid is particularly preferred. desirable. Since the dispersibility of the resulting aromatic vinyl-conjugated diene copolymer with respect to a dispersion medium such as water can be further improved, and the binding property between the current collector and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improved, a secondary battery having excellent cycle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to be. By using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an acidic functional group can be introduced into the aromatic vinyl-conjugated diene copolymer.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그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6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이고,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이다.The content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unit in the aromatic vinyl-conjugated diene copolymer is preferably an upper limit of 6% by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5% by mass or less, and a lower limit of that is preferred. Preferably it is 0.1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0.5 mass% or more.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집전체와 부극 활물질층의 결착성을 높여, 부극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우수한 사이클 특성을 갖는 이차 전지용 부극을 얻을 수 있다.By setting the content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unit within the above range, the binding property between the current collector and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can be increased, and the negative electrode strength can be improved. As a result, a negative electrode for a secondary battery having excellent cycle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여기서,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통상적으로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공중합체를 중합할 때의 전체 단량체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의 비율 (주입비) 에 일치한다.Here, the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unit in the aromatic vinyl-conjugated diene copolymer is usually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in all monomers when polymerizing the aromatic vinyl-conjugated diene copolymer. It corresponds to the ratio (injection cost) of.

<다른 단량체 단위><Other monomer units>

다른 단량체 단위란, 상기 서술한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구조 단위이다.The other monomer unit is a structural unit obtained by polymerizing another monomer copolymerizable with the monomers described above.

다른 단량체 단위를 구성하는 다른 단량체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부틸렌 등의 탄화수소류 ;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α,β-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 원자 함유 모노머 ;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부티르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류 ;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부틸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류 ; 메틸비닐케톤, 에틸비닐케톤, 부틸비닐케톤, 헥실비닐케톤, 이소프로페닐비닐케톤 등의 비닐케톤류 ; N-비닐피롤리돈, 비닐피리딘, 비닐이미다졸 등의 복소 고리 함유 비닐 화합물을 들 수 있다.Other monomers constituting other monomer units include hydrocarbons such as ethylene, propylene, and isobutylene; Α,β-unsaturated nitrile compounds such as acrylonitrile and methacrylonitrile; Halogen atom-containing monomers such as vinyl chloride and vinylidene chloride; Vinyl esters such as vinyl acetate, vinyl propionate, and vinyl butyrate; Vinyl ethers such as methyl vinyl ether, ethyl vinyl ether, and butyl vinyl ether; Vinyl ketones such as methyl vinyl ketone, ethyl vinyl ketone, butyl vinyl ketone, hexyl vinyl ketone, and isopropenyl vinyl ketone; And heterocyclic ring-containing vinyl compounds such as N-vinylpyrrolidone, vinylpyridine, and vinylimidazole.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다른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그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3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이고,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질량% 이상이다.The content ratio of the other monomer units in the aromatic vinyl-conjugated diene copolymer has an upper limit of preferably 35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20 mass% or less, and a lower limit, preferably 0 mass%. Above, it is more preferably 4% by mass or more.

여기서,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다른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통상적으로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공중합체를 중합할 때의 전체 단량체에 있어서의 다른 단량체의 비율 (주입비) 에 일치한다.Here, the ratio of the other monomer units in the aromatic vinyl-conjugated diene copolymer generally corresponds to the ratio (injection ratio) of other monomers in the total monomers when the aromatic vinyl-conjugated diene copolymer is polymerized.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그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7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이고,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이다.The upper limit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aromatic vinyl-conjugated diene copolymer is preferably 70° C. or less, more preferably 60° C.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50° C. or less, and preferably its lower limit, Is -50°C or higher, more preferably -40°C or higher, and particularly preferably -30°C or higher.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부극 활물질의 팽창 수축을 억제하는 것이 곤란해져,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이 저하된다. 또,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집전체와의 결착성이 불충분해져,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이 저하된다.Wh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romatic vinyl-conjugated diene copolymer is too low, it is difficult to suppress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cycl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ary battery are lowered. Moreover, wh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romatic vinyl-conjugated diene copolymer is too high, the binding property with the current collector is insufficient, and the cycl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ary battery are lowered.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공중합체의 체적 평균 입경은 특별한 한정은 없지만, 그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5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 ㎚ 이하이고,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이다.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공중합체의 수평균 입경이 이 범위일 때에는, 소량의 사용으로도 우수한 결착력을 부극 활물질층에 부여할 수 있다.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aromatic vinyl-conjugated diene co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s upper limit is preferably 500 nm or less, more preferably 400 nm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300 nm or less, and the lower limit is preferable. Preferably it is 10 nm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20 nm or more, Especially preferably, it is 30 nm or more. When the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aromatic vinyl-conjugated diene copolymer is in this range, excellent binding strength can be impar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even with a small amount.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평균 입경은, 투과형 전자 현미경 사진으로 무작위로 선택한 중합체 입자 100 개의 직경을 측정하고, 그 산술 평균치로서 산출되는 개수 평균 입경이다.The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calculated by measuring the diameter of 100 randomly selected polymer particles by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 and calculating the arithmetic average value.

입자의 형상은 구형, 이형 (異形), 어느 쪽이어도 상관없다. 이들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공중합체는 단독으로 또는 2 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particles may be spherical, heterogeneous, or both. These aromatic vinyl-conjugated diene copolymer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입자상 바인더 (D) 의 배합량은, 부극 활물질의 총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그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5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 질량부 이하이고,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0.1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질량부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질량부 이상이다.The blending amount of the particulate binder (D) is, relative to the total amount of 100 parts by mass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 upper limit is preferably 5 parts by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3 parts by mass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2 parts by mass or less, The lower limit is preferably 0.1 parts by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0.25 parts by mass or mor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0.5 parts by mass or more.

입자상 바인더 (D) 의 배합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부극 활물질의 팽창·수축을 억제하여, 부극의 결착 강도를 향상시키고, 부극의 내부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사이클 특성 및 출력 특성을 갖는 이차 전지를 얻을 수 있다.By setting the compounding amount of the particulate binder (D) within the above range,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an be suppressed, the binding strength of the negative electrode can be improved, and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negative electrode can be reduced. A secondary battery can be obtained.

[입자상 바인더 (D) 의 제조][Production of particulate binder (D)]

입자상 바인더 (D) 의 제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입자상 바인더 (D) 를 구성하는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유화 중합하여 얻을 수 있다. 유화 중합의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서술한 수용성 고분자 (B) 와 동일하다.Although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particulate-form binder (D) is not specifically limited, It can be obtained by emulsion-polymerizing the monomer mixture containing the monomer which comprises a particulate-form binder (D).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a method of emulsion polymerization, It is the same as that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 mentioned above.

(E) 수용성 고분자 (B) 이외의 수용성 고분자(E) Water-soluble polymer other than water-soluble polymer (B)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수용성 고분자 (B) 이외의 수용성 고분자 (E) 를 함유하여도 된다.In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of this invention, you may contain the water-soluble polymer (E) other than the water-soluble polymer (B) mentioned above.

수용성 고분자 (E) 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이하, 「CMC」 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및 이들의 암모늄염 그리고 알칼리 금속염 ; (변성) 폴리(메트)아크릴산 및 이들의 암모늄염 그리고 알칼리 금속염 ;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아크릴산 또는 아크릴산염과 비닐알코올의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 또는 말레산 혹은 푸마르산과 비닐알코올의 공중합체 등의 폴리비닐알코올류 ;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 변성 폴리아크릴산, 산화 스타치, 인산 스타치, 카세인, 각종 변성 전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셀룰로오스계 폴리머가 바람직하고, CMC 가 특히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water-soluble polymer (E) include cellulose-based polymers such as carboxymethylcellulose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CMC"), methylcellulose, hydroxyethylcellulose, and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and ammonium salts and alkali metal salts thereof; (Modified) poly(meth)acrylic acid and ammonium salts and alkali metal salts thereof; (Modified) polyvinyl alcohols, such as polyvinyl alcohol, a copolymer of acrylic acid or acrylate and vinyl alcohol, and maleic anhydride or maleic acid or fumaric acid and vinyl alcohol copolymer; And polyethylene glycol, polyethylene oxide, polyvinylpyrrolidone, modified polyacrylic acid, starch oxide, starch phosphate, casein, and various modified starches. Among these, cellulose-based polymers are preferred, and CMC is particularly preferred.

수용성 고분자 (E) 의 배합량은, 부극 활물질의 총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그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2.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부 이하이고,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0.5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질량부 이상이다. 수용성 고분자 (E) 의 배합량이 상기 범위이면, 도포성이 양호해지기 때문에, 이차 전지의 내부 저항의 상승을 방지하고, 집전체와의 결착성이 우수하다.The blending amount of the water-soluble polymer (E) is, relative to the total amount of 100 parts by mass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 upper limit is preferably 2.0 parts by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1.5 parts by mass or less, and the lower limit is preferably 0.5 mass parts Parts or more, more preferably 0.7 parts by mass or more. When the blending amount of the water-soluble polymer (E)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coatability becomes good, and thus the rise of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secondary battery is prevented, and the binding property with the current collector is excellent.

(F) 도전제(F) Conductive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은, 도전제 (F) 를 함유하여도 된다. 도전제로는,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카본 블랙, 그라파이트, 기상 성장 카본 섬유, 및 카본 나노 튜브 등의 도전성 카본을 사용할 수 있다. 도전제를 함유함으로써, 부극 활물질끼리의 전기적 접촉을 향상시킬 수 있고,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사용하는 경우에 방전 레이트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에 있어서의 도전제의 함유량은, 부극 활물질의 총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그 상한이, 통상적으로 20 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질량부 이하이고,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상이다.The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conductive agent (F). As the conductive agent, conductive carbon such as acetylene black, Ketjen black, carbon black, graphite, vapor-grown carbon fibers, and carbon nanotubes can be used. By containing a conductive agent, electrical contact between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can be improved, and when used in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discharge rate characteristics can be improved. The content of the conductive agent in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is, as for the total amount of 100 parts by mass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 upper limit is usually 20 parts by mass or less, preferably 10 parts by mass or less, and the lower limit thereof , Preferably 1 part by mass or more.

(G) 임의의 성분(G) optional ingredients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외에, 추가로 임의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임의의 성분으로는, 보강재, 레벨링제, 전해액 분해 억제 등의 기능을 갖는 전해액 첨가제 등을 들 수 있다. 또, 임의의 성분은 후술하는 이차 전지 부극 중에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 전지 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may further contain arbitrary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Examples of the optional components include reinforcing materials, leveling agents, and electrolyte additives having functions such as inhibiting electrolyte decomposition. Moreover, arbitrary components may be contained in the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mentioned later. It will not be specifically limited if it does not affect these battery reactions.

보강재로는, 각종 무기 및 유기의 구상, 판상, 봉상 또는 섬유상의 필러를 사용할 수 있다. 보강재를 사용함으로서, 강인하고 유연한 부극을 얻을 수 있고, 우수한 장기 사이클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에 있어서의 보강재의 함유량은, 부극 활물질의 총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그 상한이 통상적으로 20 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질량부 이하이고, 그 하한이, 통상적으로 0.01 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상이다.As the reinforcing material, various inorganic and organic spherical, plate-shaped, rod-shaped, or fibrous fillers can be used. By using a reinforcing material, a robust and flexible negative electrode can be obtained, and excellent long-term cycling characteristics can be exhibited. The content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n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is, relative to 100 parts by mass of the total amount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 upper limit is usually 20 parts by mass or less, preferably 10 parts by mass or less, and the lower limit is usually 0.01 parts by mass Above, it is preferably 1 part by mass or more.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에 보강재가 상기 범위에 포함됨으로써, 높은 용량과 높은 부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When the reinforcing material is included in the above-mentioned range in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high capacity and high load characteristics can be exhibited.

레벨링제로는, 알킬계 계면 활성제,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불소계 계면 활성제, 금속계 계면 활성제 등의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다. 레벨링제를 혼합함으로써, 도포시에 발생하는 크레이터링을 방지하거나, 부극의 평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에 있어서의 레벨링제의 함유량은, 부극 활물질의 총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0.01 ∼ 10 질량부이다.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에 레벨링제가 상기 범위에 함유됨으로써, 부극 제조시의 생산성, 평활성 및 전지 특성이 우수하다.As a leveling agent, surfactants, such as an alkyl type surfactant, a silicone type surfactant, a fluorine type surfactant, and a metal type surfactant, are mentioned. By mixing the leveling ag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cratering occurring during application or to improve the smoothness of the negative electrode. The content of the leveling agent in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is usually from 0.01 to 10 parts by ma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total amount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When the leveling agent is contained in the above-mentioned range in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it is excellent in productivity, smoothness, and battery characteristics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a negative electrode.

전해액 첨가제로는, 전해액에 사용되는 비닐렌카보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에 있어서의 전해액 첨가제의 함유량은, 부극 활물질의 총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0.01 ∼ 10 질량부이다.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에 있어서의 전해액 첨가제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얻어지는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 및 고온 특성이 우수하다. 그 밖에는, 퓸드 실리카나 퓸드 알루미나 등의 나노 미립자를 들 수 있다. 나노 미립자를 혼합함으로써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틱소성을 컨트롤할 수 있고, 또한 그것에 의해 얻어지는 부극의 레벨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에 있어서의 나노 미립자의 함유량은, 부극 활물질의 총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0.01 ∼ 10 질량부이다.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에 있어서의 나노 미립자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슬러리 안정성, 생산성이 우수하고, 높은 전지 특성을 나타낸다.As the electrolyte additive, vinylene carbonate or the like used in the electrolyte can be used. The content of the electrolyte additive in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is usually from 0.01 to 10 parts by mass relative to 100 parts by mass of the total amount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When the content of the electrolyte additive in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is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cycle characteristics and high temperature characteristics of the obtained secondary battery are excellent. In addition, nano fine particles, such as fumed silica and fumed alumina, are mentioned. By mixing the nano fine particles, the thixotropy of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can be controlled, and the leveling property of the negative electrode obtained thereby can be improved. The content of the nanoparticles in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is usually 0.01 to 10 parts by ma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total amount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When the content of the nanoparticles in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slurry stability and productivity are excellent, and high battery characteristics are exhibited.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slurry composition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은, 상기 서술한 부극 활물질 (A), 수용성 고분자 (B) 및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성분 (D) ∼ (G) 를 물 (C) 중에서 혼합하여 얻어진다.The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is obtained by mixing the above-mention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water-soluble polymer (B), and components (D) to (G) used as necessary in water (C).

혼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교반식, 진탕식, 및 회전식 등의 혼합 장치를 사용한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호모게나이저, 볼 밀, 샌드 밀, 롤 밀, 및 유성식 혼련기 등의 분산 혼련 장치를 사용한 방법을 들 수 있다.The mixing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method using a mixing device such as a stirring type, shaking type, and rotating type. Moreover, the method using the dispersion kneading apparatus, such as a homogenizer, a ball mill, a sand mill, a roll mill, and a planetary kneader, is mentioned.

(2)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2)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은, 상기 서술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집전체에 도포, 건조시켜 이루어진다.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of this invention is made by apply|coating and drying the slurry composition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s mentioned above to a collector.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의 제조 방법][Production Method of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의 제조 방법은, 상기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집전체의 편면 또는 양면에 도포, 건조시켜, 부극 활물질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of this invention includes the process of forming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by apply|coating and drying the said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s on one side or both surfaces of a collector.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집전체 상에 도포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독터 블레이드법, 딥법, 리버스 롤법, 다이렉트 롤법, 그라비아법, 익스트루전법, 및 브러시 도포법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The method of applying the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s on a current collec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methods such as a doctor blade method, a dip method, a reverse roll method, a direct roll method, a gravure method, an extrusion method, and a brush coating method are mentioned.

건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온풍, 열풍, 저습풍에 의한 건조, 진공 건조, (원)적외선이나 전자선 등의 조사에 의한 건조법을 들 수 있다. 건조 시간은 통상적으로 5 ∼ 30 분이고, 건조 온도는 통상적으로 40 ∼ 180 ℃ 이다.Examples of the drying method include drying by warm air, hot air, low-humidity air, vacuum drying, and drying by irradiation with (far) infrared rays or electron beams. The drying time is usually 5 to 30 minutes, and the drying temperature is usually 40 to 180°C.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을 제조할 때에 있어서, 집전체 상에 상기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도포, 건조 후, 금형 프레스나 롤 프레스 등을 사용하여, 가압 처리에 의해 부극 활물질층의 공극률을 낮게 하는 공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극 활물질층의 공극률은, 그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이고,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 % 이상이다. 부극 활물질층의 공극률이 지나치게 높으면, 충전 효율이나 방전 효율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공극률이 지나치게 낮으면, 높은 체적 용량을 얻기 어렵고, 부극 활물질층이 집전체로부터 박리되기 쉬워 불량을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입자상 바인더 (D) 로서 경화성의 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manufacturing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pplying and drying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on a current collector, using a mold press or a roll press, the poros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lowered by pressure treatment. It is desirable to have a process to do. The upper limit of the poros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preferably 30% or less, more preferably 20% or less, and the lower limit is preferably 5% or more, more preferably 7% or more. If the poros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too high, charging efficiency and discharge efficiency may deteriorate. When the porosity is too low, it is difficult to obtain a high volumetric capacity, and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tends to peel off from the current collector, which may easily cause defects. Moreover, when using a curable polymer as a particulate-form binder (D), it is preferable to harden.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에 있어서의 부극 활물질층의 두께는, 그 상한이, 통상적으로 3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250 ㎛ 이하이고, 그 하한이, 통상적으로 5 ㎛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이다. 부극 활물질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부하 특성 및 사이클 특성 모두 높은 특성을 나타내는 이차 전지를 얻을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n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upper limit of usually 300 µm or less, preferably 250 µm or less, and a lower limit thereof, usually 5 µm or more, preferably 30 It is more than micrometer. When the thickness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in the above range, a secondary battery having high characteristics in both load characteristics and cycle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 있어서, 부극 활물질층에 있어서의 부극 활물질의 함유 비율은, 그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99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7 질량% 이하이고,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8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8 질량% 이상이다. 부극 활물질층에 있어서의 부극 활물질의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높은 용량을 나타내면서도 유연성, 결착성을 나타내는 이차 전지를 얻을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limit of the content ratio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preferably 99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97 mass% or less, and the lower limit is preferably 85 mass%. Above, it is more preferably 88% by mass or more. When the content ratio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obtain a secondary battery exhibiting high capacity while exhibiting flexibility and binding properties.

본 발명에 있어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의 부극 활물질층의 밀도는, 그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2.2 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85 g/㎤ 이하이고,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1.6 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65 g/㎤ 이상이다. 부극 활물질층의 밀도가 상기 범위임으로써, 고용량의 이차 전지를 얻을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ns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of the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s preferably an upper limit of 2.2 g/cm 3 or less, more preferably 1.85 g/cm 3 or less, and a lower limit thereof, preferably 1.6 g. /Cm 3 or more, more preferably 1.65 g/cm 3 or more. When the dens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within the above range, a high capacity secondary battery can be obtained.

<집전체><Current>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집전체는, 전기 도전성을 갖고 또한 전기 화학적으로 내구성이 있는 재료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내열성을 갖기 때문에 금속 재료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철, 동, 알루미늄, 니켈, 스테인리스강, 티탄, 탄탈, 금, 백금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에 사용하는 집전체로는 동이 특히 바람직하다. 집전체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두께 0.001 ∼ 0.5 ㎜ 정도의 시트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집전체는, 부극 활물질층과의 접착 강도를 높이기 위해, 미리 조면화 (粗面化) 처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면화 방법으로는, 기계적 연마법, 전해 연마법, 화학 연마법 등을 들 수 있다. 기계적 연마법에 있어서는, 연마제 입자를 고착한 연마포 종이, 지석, 에머리 버프, 강선 등을 구비한 와이어 브러시 등이 사용된다. 또, 부극 활물질층의 접착 강도나 도전성을 높이기 위해, 집전체 표면에 중간층을 형성하여도 된다.The current collecto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a material that is electrically conductive and electrochemically durable, but is preferably a metal material because it has heat resistance, for example, iron, copper, aluminum, nickel, and stainless steel. , Titanium, tantalum, gold, platinum, and the like. Among them, copper is particularly preferred as the current collector used for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The shape of the current collec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y a shee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0.001 to 0.5 mm. The current collector is preferably used by roughening in advance in order to increase the adhesive strength with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Examples of the roughening method include mechanical polishing, electrolytic polishing, and chemical polishing. In the mechanical polishing method, abrasive cloth paper, abrasive stone, emery buff, steel wire, or the like provided with abrasive particles are used. Moreover,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ve strength and conductiv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n intermediate layer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urrent collector.

(3) 리튬 이온 이차 전지(3)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정극, 부극, 세퍼레이터 및 전해액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로서, 부극이 상기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이다.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 separator, and an electroly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is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정극><Positive Electrode>

정극은 정극 활물질 및 정극용 바인더를 함유하는 정극 활물질층이 집전체 상에 적층되어 이루어진다.The positive electrode is formed by laminating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containing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binder for a positive electrode on a current collector.

[정극 활물질][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정극 활물질은, 리튬 이온을 도프 및 탈도프 가능한 활물질이 사용되고, 무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것과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대별된다.As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 active material capable of doping and dedoping lithium ions is used, and is classified into an inorganic compound and an organic compound.

무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정극 활물질로는, 천이 금속 산화물, 천이 금속 황화물, 리튬과 천이 금속의 리튬 함유 복합 금속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천이 금속으로는, Ti, V, Cr, Mn, Fe, Co, Ni, Cu, Mo 등이 사용된다.Examples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made of an inorganic compound include transition metal oxides, transition metal sulfides, and lithium-containing composite metal oxides of lithium and transition metals. As said transition metal, Ti, V, Cr, Mn, Fe, Co, Ni, Cu, Mo, etc. are used.

천이 금속 산화물로는, MnO, MnO2, V2O5, V6O13, TiO2, Cu2V2O3, 비정질 V2O-P2O5, MoO3, V2O5, V6O13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사이클 특성과 용량에서 MnO, V2O5, V6O13, TiO2 가 바람직하다. 천이 금속 황화물로는, TiS2, TiS3, 비정질 MoS2, FeS 등을 들 수 있다. 리튬 함유 복합 금속 산화물로는, 층상 구조를 갖는 리튬 함유 복합 금속 산화물, 스피넬 구조를 갖는 리튬 함유 복합 금속 산화물, 올리빈형 구조를 갖는 리튬 함유 복합 금속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As the transition metal oxide, MnO, MnO 2 , V 2 O 5 , V 6 O 13 , TiO 2 , Cu 2 V 2 O 3 , amorphous V 2 OP 2 O 5 , MoO 3 , V 2 O 5 , V 6 O 13 and the like. Among them, MnO, V 2 O 5 , V 6 O 13 , and TiO 2 are preferable in cycle characteristics and capacity. Examples of the transition metal sulfide include TiS 2 , TiS 3 , amorphous MoS 2 and FeS. Examples of the lithium-containing composite metal oxide include a lithium-containing composite metal oxide having a layered structure, a lithium-containing composite metal oxide having a spinel structure, and a lithium-containing composite metal oxide having an olivine structure.

층상 구조를 갖는 리튬 함유 복합 금속 산화물로는, 리튬 함유 코발트 산화물 (LiCoO2), 리튬 함유 니켈 산화물 (LiNiO2), Co-Ni-Mn 의 리튬 복합 산화물, Ni-Mn-Al 의 리튬 복합 산화물, Ni-Co-Al 의 리튬 복합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스피넬 구조를 갖는 리튬 함유 복합 금속 산화물로는, 망간산리튬 (LiMn2O4) 이나 Mn 의 일부를 다른 천이 금속으로 치환한 Li[Mn3/2M1/2]O4 (여기서 M 은 Cr, Fe, Co, Ni, Cu 등) 등을 들 수 있다. 올리빈형 구조를 갖는 리튬 함유 복합 금속 산화물로는, LiXMPO4 (식 중, M 은 Mn, Fe, Co, Ni, Cu, Mg, Zn, V, Ca, Sr, Ba, Ti, Al, Si, B 및 Mo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 0 ≤ X ≤ 2) 로 나타내는 올리빈형 인산리튬 화합물을 들 수 있다.As the lithium-containing composite metal oxide having a layered structure, lithium-containing cobalt oxide (LiCoO 2 ), lithium-containing nickel oxide (LiNiO 2 ), lithium composite oxide of Co-Ni-Mn, lithium composite oxide of Ni-Mn-Al, And lithium composite oxides of Ni-Co-Al. As the lithium-containing composite metal oxide having a spinel structure, Li[Mn 3/2 M 1/2 ]O 4 in which lithium manganate (LiMn 2 O 4 ) or a part of Mn is replaced with another transition metal (where M is Cr , Fe, Co, Ni, Cu, etc.). As a lithium-containing composite metal oxide having an olivine structure, Li X MPO 4 (wherein M is Mn, Fe, Co, Ni, Cu, Mg, Zn, V, Ca, Sr, Ba, Ti, Al, Si , And an olivine-type lithium phosphate compound represented by at least one selected from B and Mo and 0≦X≦2).

유기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폴리아세틸렌, 폴리-p-페닐렌 등의 도전성 고분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전기 전도성이 부족한 철계 산화물은, 환원 소성시에 탄소원 물질을 존재시킴으로써, 탄소 재료로 덮인 전극 활물질로서 사용하여도 된다. 또, 이들 화합물은 부분적으로 원소 치환한 것이어도 된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 활물질은, 상기의 무기 화합물과 유기 화합물의 혼합물이어도 된다.As the organic compound, for example, a conductive polymer such as polyacetylene or poly-p-phenylene may be used. The iron-based oxide having insufficient electrical conductivity may be used as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covered with a carbon material by presenting a carbon source material during reduction firing. Moreover, these compounds may be partially substituted.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may be a mixture of the above-mentioned inorganic compound and organic compound.

정극 활물질의 평균 입경은, 그 상한이, 통상적으로 50 ㎛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이고, 그 하한이, 통상적으로 1 ㎛ 이상, 바람직하게는 2 ㎛ 이상이다. 정극 활물질의 평균 입경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정극 활물질층에 있어서의 정극용 바인더의 양을 줄일 수 있고, 전지의 용량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정극 활물질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정극 활물질 및 정극용 바인더를 함유하는 슬러리 (이하, 「정극용 슬러리 조성물」 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를 준비하지만, 이 정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도포하는 데에 적정한 점도로 조제하는 것이 용이해져 균일한 정극을 얻을 수 있다.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has an upper limit of 50 µm or less, preferably 30 µm or less, and a lower limit of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1 µm or more, preferably 2 µm or more. Whe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in the above range, the amount of the binder for the positive electrode in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can be reduced, and a decrease in the capacity of the battery can be suppressed. Moreover, in order to form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 slurry containing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binder for a positive electrode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a slurry composition for a positive electrode") is prepared, but applying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positive electrode It is easy to prepare with an appropriate viscosity, and a uniform positive electrode can be obtained.

정극 활물질층에 있어서의 정극 활물질의 함유 비율은, 그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99.9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9 질량% 이하이고, 그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질량% 이상이다. 정극 활물질층에 있어서의 정극 활물질의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높은 용량을 나타내면서도 유연성, 결착성을 나타낼 수 있다.The upper limit of the content ratio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n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preferably 99.9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99 mass% or less, and the lower limit is preferably 90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Is 95% by mass or more. By setting the content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n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within the above range, flexibility and binding properties can be exhibited while exhibiting a high capacity.

[정극용 바인더][Binder for positive electrode]

정극용 바인더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폴리불화비닐리덴 (PVDF),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FEP), 폴리아크릴산 유도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유도체 등의 수지나, 아크릴계 연질 중합체, 디엔계 연질 중합체, 올레핀계 연질 중합체, 비닐계 연질 중합체 등의 연질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되고, 이들을 2 종 이상 병용하여도 된다.The binder for the positive electrod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known one can be used. For example, polyethylene,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tetrafluoroethylen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FEP), polyacrylic acid derivatives, polyacrylonitrile derivatives, etc. In addition, soft polymers such as acrylic soft polymers, diene soft polymers, olefin soft polymers, and vinyl soft polymers can be used. These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of them may be used in combination.

정극에는 상기 성분 외에, 추가로 전술한 전해액 분해 억제 등의 기능을 갖는 전해액 첨가제 등의 다른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은 전지 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the positive electrode may further contain other components, such as an electrolyte additive having functions such as suppressing electrolytic solution decomposition described above. These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do not affect the battery reaction.

집전체는 전술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에 사용되는 집전체를 사용할 수 있고, 전기 도전성을 갖고 또한 전기 화학적으로 내구성이 있는 재료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정극용으로는 알루미늄이 특히 바람직하다.The current collector may be a current collector used for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described abov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a material that is electrically conductive and electrochemically durable, but aluminum is particularly useful for the positive electrode of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desirable.

정극 활물질층의 두께는, 그 상한이, 통상적으로 3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250 ㎛ 이하이고, 그 하한이, 통상적으로 5 ㎛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다. 정극 활물질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부하 특성 및 에너지 밀도 모두 높은 특성을 나타낸다.The upp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usually 300 µm or less, preferably 250 µm or less, and the lower limit is usually 5 µm or more, preferably 10 µm or more. When the thickness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in the above range, both load characteristics and energy density exhibit high characteristics.

정극은 전술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부극과 동일하게 제조할 수 있다.The positive electrode can b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the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described above.

<세퍼레이터><Separator>

세퍼레이터는 기공부를 갖는 다공성 기재로서, 사용 가능한 세퍼레이터로는, (a) 기공부를 갖는 다공성 세퍼레이터, (b) 편면 또는 양면에 고분자 코트층이 형성된 다공성 세퍼레이터, 또는 (c) 무기 세라믹 분말을 함유하는 다공질의 수지 코트층이 형성된 다공성 세퍼레이터를 들 수 있다. 이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에틸렌계, 폴리올레핀계, 또는 아라미드계 다공성 세퍼레이터,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또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고체 고분자 전해질용 또는 겔상 고분자 전해질용의 고분자 필름, 겔화 고분자 코트층이 코트된 세퍼레이터, 또는 무기 필러, 무기 필러용 분산제로 이루어지는 다공막층이 코트된 세퍼레이터 등이 있다.The separator is a porous substrate having pores, and the usable separators include (a) a porous separator having pores, (b) a porous separator having a polymer coat layer on one or both sides, or (c) an inorganic ceramic powder. And a porous separator having a porous resin coat layer formed thereon. Non-limiting examples of these include polypropylene-based, polyethylene-based, polyolefin-based, or aramid-based porous separators, polyvinylidene fluoride, polyethylene oxide, polyacrylonitrile or polyvinylidene fluoride 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etc. And a polymer film for a solid polymer electrolyte or a gel polymer electrolyte, a separator coated with a gelling polymer coat layer, or a separator coated with a porous membrane layer made of an inorganic filler and a dispersant for an inorganic filler.

<전해액><Electrolyte amount>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전해액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비수계의 용매에 지지 전해질로서 리튬염을 용해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리튬염으로는, 예를 들어 LiPF6, LiAsF6, LiBF4, LiSbF6, LiAlCl4, LiClO4, CF3SO3Li, C4F9SO3Li, CF3COOLi, (CF3CO)2NLi, (CF3SO2)2NLi, (C2F5SO2)NLi 등의 리튬염을 들 수 있다. 특히 용매에 용해되기 쉬워 높은 해리도를 나타내는 LiPF6, LiClO4, CF3SO3Li 는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은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지지 전해질의 양은, 전해액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1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또 통상은 30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이다. 지지 전해질의 양이 지나치게 적거나 지나치게 많아도 이온 도전도는 저하되어, 전지의 충전 특성, 방전 특성이 저하된다.Although the electrolyte solution used for this invention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what melt|dissolved the lithium salt as a support electrolyte in a non-aqueous solvent can be used. Lithium salts include, for example, LiPF 6 , LiAsF 6 , LiBF 4 , LiSbF 6 , LiAlCl 4 , LiClO 4 , CF 3 SO 3 Li, C 4 F 9 SO 3 Li, CF 3 COOLi, (CF 3 CO) 2 And lithium salts such as NLi, (CF 3 SO 2 ) 2 NLi, and (C 2 F 5 SO 2 )NLi. In particular, LiPF 6 , LiClO 4 , and CF 3 SO 3 Li, which are easily soluble in a solvent and exhibit high dissociation, are preferably used.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 amount of the supporting electrolyte is usually 1% by mass or more, preferably 5% by mass or more, and usually 30% by mass or less, preferably 20% by mass or less, relative to the electrolyte. Even if the amount of the supporting electrolyte is too small or too large, the ionic conductivity decreases, and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decrease.

전해액에 사용하는 용매로는, 지지 전해질을 용해시키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디메틸카보네이트 (DMC), 에틸렌카보네이트 (EC), 디에틸카보네이트 (DEC), 프로필렌카보네이트 (PC), 부틸렌카보네이트 (BC), 및 메틸에틸카보네이트 (MEC) 등의 알킬카보네이트류 ; γ-부티로락톤, 포름산메틸 등의 에스테르류, 1,2-디메톡시에탄,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의 에테르류 ; 술포란, 및 디메틸술폭사이드 등의 함황 화합물류 ; 가 사용된다. 특히 높은 이온 전도성을 얻기 쉽고, 사용 온도 범위가 넓기 때문에, 디메틸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메틸에틸카보네이트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전해액에는 첨가제를 함유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첨가제로는, 비닐렌카보네이트 (VC) 등의 카보네이트계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The solvent used for the electrolytic solu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dissolves the supporting electrolyte, but is usually dimethyl carbonate (DMC), ethylene carbonate (EC), diethyl carbonate (DEC), propylene carbonate (PC), butylene carbonate ( BC), and alkyl carbonates, such as methyl ethyl carbonate (MEC); esters such as γ-butyrolactone and methyl formate, and ethers such as 1,2-dimethoxyethane and tetrahydrofuran; Sulfur compounds such as sulfolane and dimethyl sulfoxide; Is used. In particular, dimethyl carbonate, ethylene carbonate, propylene carbonate, diethyl carbonate, and methyl ethyl carbonate are preferred because they are easy to obtain high ionic conductivity and have a wide operating temperature rang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Moreover, it is also possible to use an electrolyte solution containing an additive. As the additive, carbonate-based compounds such as vinylene carbonate (VC) are preferred.

상기 이외의 전해액으로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의 폴리머 전해질에 전해액을 함침한 겔상 폴리머 전해질이나, 황화리튬, LiI, Li3N 등의 무기 고체 전해질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electrolyte solution other than the above include gel polymer electrolytes impregnated with polymer electrolytes such as polyethylene oxide and polyacrylonitrile, and inorganic solid electrolytes such as lithium sulfide, LiI and Li 3 N.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부극과 정극을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중첩하고, 이것을 전지 형상에 따라 감거나, 접거나 하여 전지 용기에 넣고, 전지 용기에 전해액을 주입하여 봉구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익스펀드 메탈이나, 휴즈, PTC 소자 등의 과전류 방지 소자, 리드판 등을 넣어 전지 내부의 압력 상승, 과충방전의 방지를 할 수도 있다. 전지의 형상은, 라미네이트 셀형, 코인형, 버튼형, 시트형, 원통형, 각형, 편평형 등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f this invention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the above-mentioned negative electrode and positive electrode are superimposed via a separator, and wound or fold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attery, placed in a battery container, and sealed by injecting an electrolyte solution into the battery container. In addition, if necessary, an overcurrent preventing element such as an expanded metal, a fuse, a PTC element, a lead plate, or the like may be added to prevent pressure rise and overcharge and discharge in the battery. The shape of the battery may be any of a laminate cell type, a coin type, a button type, a sheet type, a cylindrical shape, a square shape, and a flat shape.

실시예Example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부 및 % 는,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질량 기준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각종 물성은 이하와 같이 평가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n addition, parts and% in this Example are mass basi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various phys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as follows.

<(1) 부극 활물질의 분산 안정성><(1) Dispersion stability of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실시예 및 비교예로 제조한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제조 직후, 및 25 ℃ 에서 24 시간 가만히 정지시킨 후에 있어서의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슬러리 점도를 측정하였다. 슬러리 점도는, B 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로터 넘버 4, 6 rpm 으로 측정하였다. 점도 변화율은 하기 식으로부터 산출하고, 하기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The slurry viscosity of the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s was measured immediately after preparation of the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s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nd after standing still at 25° C. for 24 hours. The slurry viscosity was measured using a B-type viscometer at rotor numbers 4 and 6 rpm. The rate of change in viscosity was calculated from the following formula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점도 변화율 (%) = (24 시간 가만히 정지시킨 후의 점도 [cp])/(제조 직후의 점도 [cp]) × 100Viscosity change rate (%) = (Viscosity after stopping still for 24 hours [cp])/(Viscosity immediately after production [cp]) × 100

A : 80 % 이상 ∼ 120 % 미만A: 80% or more to less than 120%

B : 70 % 이상 ∼ 80 % 미만, 120 % 이상 ∼ 130 % 미만B: 70% or more to less than 80%, 120% or more to less than 130%

C : 60 % 이상 ∼ 70 % 미만, 130 % 이상 ∼ 140 % 미만C: 60% or more to less than 70%, 130% or more to less than 140%

D : 60 % 미만, 140 % 이상D: Less than 60%, 140% or more

<(2) 부극의 결착 강도><(2) Bonding strength of negative electrode>

실시예 및 비교예로 제조한 「진공 건조 전의 부극」 을, 길이 100 ㎜, 폭 10 ㎜ 의 장방형으로 잘라내어 시험편으로 하였다. 이 시험편을 부극 활물질층의 표면을 아래로 하여, 부극 활물질층의 표면에 셀로판 테이프를 첩부하였다. 이 때, 셀로판 테이프로는 JIS Z1522 : (2009년) 에 규정되는 것을 사용하였다. 또, 셀로판 테이프는 시험대에 고정시켜 두었다. 그 후, 집전체의 일단을 연직 상방으로 인장 속도 50 ㎜/분으로 인장하여 박리했을 때의 응력을 측정하였다. 이 측정을 3 회 실시하고, 그 평균치를 구하여, 당해 평균치를 필 강도로 하였다. 필 강도가 클수록 부극 활물질층의 집전체에 대한 결착력이 큰 것, 즉, 결착 강도가 큰 것을 나타낸다.The "negative electrode before vacuum drying"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cut into a rectangle having a length of 100 mm and a width of 10 mm to obtain a test piece.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was placed on this test piece, and a cellophane tape was affixed to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t this time, what was specified in JIS Z1522: (2009) was used as the cellophane tape. Moreover, the cellophane tape was fixed to the test stand. Thereafter, one end of the current collector was stretched vertically at a tensile speed of 50 mm/min, and the stress at the time of peeling was measured. This measurement was performed 3 times, the average value was determined, and the average value was used as the peel strength. The larger the peel strength, the greater the binding force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to the current collector, that is, the higher the binding strength.

A : 8.0 N/m 이상A: 8.0 N/m or more

B : 5.0 N/m 이상 8.0 N/m 미만B: 5.0 N/m or more and less than 8.0 N/m

C : 3.0 N/m 이상 5.0 N/m 미만C: 3.0 N/m or more and less than 5.0 N/m

D : 3.0 N/m 미만D: less than 3.0 N/m

<(3) 고온 사이클 특성><(3) High 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s>

실시예 및 비교예로 제조한 라미네이트형 셀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25 ℃ 의 환경하에서 24 시간 가만히 정지시킨다. 그 후, 25 ℃ 의 환경하에서 0.1 C 의 정전류법에 의해, 4.2 V 로 충전하고 3.0 V 까지 방전하는 충방전의 조작을 실시하여, 초기 용량 C0 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후술하는 전하 이동 저항을 측정하였다. 이어서, 60 ℃ 의 환경하에서, 1.0 C 의 정전류법에 의해, 4.2 V 로 충전하고 3.0 V 까지 방전하는 충방전을 500 회 반복하여 용량 C1 을 측정하였다. 고온 사이클 특성은 ΔCC = C1/C0 × 100 (%) 으로 나타내는 용량 변화율 ΔCC 로 평가하였다. 이 용량 변화율 ΔCC 의 값이 높을수록 고온 사이클 특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f the laminate type cell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stopped still for 24 hours in an environment of 25°C. Subsequently,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peration of charging to 4.2 V and discharging to 3.0 V was performed by a constant current method of 0.1 C in an environment of 25°C, and the initial capacity C 0 was measured. Here, the charge transfer resistance described later was measured. Subsequently, under the environment of 60° C., charging and discharging of charging to 4.2 V and discharging to 3.0 V by a constant current method of 1.0 C was repeated 500 times to measure the capacity C 1 . The high 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by the capacity change rate ΔC C expressed as ΔC C =C 1 /C 0 ×100 (%). The higher the value of the capacity change rate ΔC C, the better the high 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s.

A : 90 % 이상A: 90% or more

B : 80 % 이상 90 % 미만B: 80% or more and less than 90%

C : 70 % 이상 80 % 미만C: 70% or more and less than 80%

D : 70 % 미만D: less than 70%

<(4) 부극 활물질의 체적 팽창 억제><(4) Suppress volume expansion of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부극 활물질의 체적 팽창 억제의 정도를 부극 막두께의 증대로부터 산출하였다. (3) 의 고온 사이클 특성 시험 후의 라미네이트형 셀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해체하여 부극을 취출하고, 레이저 변위계 타입의 막후계를 사용하여, 그 막두께를 측정하였다. 「셀 제조시의 진공 건조 후의 부극의 막두께」 와 「고온 사이클 특성 시험 후의 부극의 막두께」 의 비로부터 체적 팽창을 평가하였다.The degree of volume expansion inhibi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was calculated from an increase in the negative electrode film thickness.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f the laminate-type cell after the high-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 test of (3) was disassembled, the negative electrode was taken out, and the film thickness was measured using a laser displacement gauge type film thickness meter. The volume expansion was evaluated from the ratio of "film thickness of the negative electrode after vacuum drying at the time of cell manufacturing" and "film thickness of the negative electrode after high-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 test".

체적 팽창 (배) = (고온 사이클 특성 시험 후의 부극의 막두께 [㎛])/(셀 제조시의 진공 건조 후의 부극의 막두께 [㎛])Volume expansion (times) = (film thickness of the negative electrode after high temperature cycle property test [μm])/(film thickness of the negative electrode after vacuum drying during cell production [μm])

A : 1.1 배 미만A: Less than 1.1 times

B : 1.1 배 이상 1.2 배 미만B: 1.1 times or more and less than 1.2 times

C : 1.2 배 이상 1.3 배 미만C: 1.2 times or more and less than 1.3 times

D : 1.3 배 이상D: 1.3 times or more

<(5) 전하 이동 저항의 측정><(5) Measurement of charge transfer resistance>

(3) 의 고온 사이클 특성 평가에 있어서, 초기 용량 C0 의 측정 후, 대상의 라미네이트형 셀의 리튬 이차 전지를 SOC 50 % 까지 충전하였다. 여기서 SOC 50 % 란, 초기 충전 용량 100 % 에 대해 50 % 까지 충전한 상태를 말한다. 그 후, -10 ℃ 의 항온조 내에 1 시간 가만히 정지시켜, 임피던스 측정을 실시하였다. 나이퀴스트 플롯의 원호의 크기로부터 전하 이동 저항을 측정하였다 (하기 나이퀴스트 플롯도 (도 1) 를 참고 파선 부분이 실측 결과의 플롯).In evaluating the high-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s of (3), after the initial capacity C 0 was measured,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of the target laminate cell was charged to SOC 50%. Here, SOC 50% refers to a state in which up to 50% of the initial charging capacity is 100%. Then, it was stopped still in an incubator at -10°C for 1 hour, and impedance measurement was performed. The charge transfer resistance was measured from the size of the arc of the Nyquist plot (refer to the Nyquist plot diagram (FIG. 1), the broken line portion is a plot of the actual results).

전하 이동 저항이 작을수록 전지 중의 Li 이온의 이동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It shows that the mobility of Li ion in a battery is excellent, so that charge transfer resistance is small.

원호의 크기The size of the arc

A : 0.20 Ω 미만A: less than 0.20 Ω

B : 0.20 Ω 이상 ∼ 0.25 Ω 미만B: 0.20 Ω or more to less than 0.25 Ω

C : 0.25 Ω 이상 ∼ 0.30 Ω 미만C: 0.25 Ω or more to less than 0.30 Ω

D : 0.30 Ω 이상D: 0.30 Ω or more

(실시예 1)(Example 1)

[1] 수용성 고분자 (B1) 의 제조[1] Preparation of water-soluble polymer (B1)

교반기가 부착된 5 ㎫ 내압 용기에, 메타크릴산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25 부, 2,2,2-트리플루오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10 부,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58.5 부,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 5 부, 폴리옥시알킬렌알케닐에테르황산암모늄 (반응성 계면 활성제 단량체, 카오 제조, 상품명 「라테물 PD-104」) 1.5 부, tert-도데실메르캅탄 (연쇄 이동제) 0.2 부, 이온 교환수 150 부, 및 과황산칼륨 (중합 개시제) 0.5 부를 넣고, 충분히 교반한 후, 50 ℃ 로 가온하여 중합을 개시하였다. 중합 전화율이 99.0 % 이상이 된 시점에서 냉각시켜 반응을 정지시켜, 수분산형 폴리머 (B1) 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얻었다.25 parts of methacrylic acid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2 parts of 2,2,2-trifluoroethyl methacrylate (fluorine-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in a 5 MPa pressure resistant container with a stirrer , Ethyl acrylat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58.5 parts, 2-acrylamide-2-methylpropanesulfonic acid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5 parts, polyoxyalkylene alkenyl ether ammonium sulfate (reactive surfactant monomer, cao Production, trade name "Latteul PD-104") 1.5 parts, tert-dodecyl mercaptan (chain transfer agent) 0.2 parts, ion-exchanged water 150 parts, and potassium persulfate (polymerization initiator) 0.5 parts, after stirring sufficiently, The polymerization was started by warming to 50°C. Whe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io reached 99.0% or more, the reaction was stopped by cooling to obtain a mixture containing a water-dispersible polymer (B1).

다음으로, 상기 수분산형 폴리머 (B1) 을 함유하는 혼합물에, 10 % LiOH 수용액을 pH 8.5 가 될 때까지 첨가하여, 원하는 수용성 고분자 (B1) 을 얻었다.Next, a 10% LiOH aqueous solution was added to the mixture containing the water-dispersion type polymer (B1) until pH 8.5 to obtain a desired water-soluble polymer (B1).

얻어진 수용성 고분자 (B1) 에 대하여, 25 ℃ 의 수욕에 넣어 온도 조정한 후, 브룩필드형 점도계 (로터 넘버 4, 60 rpm, 점도 단위 cp) 를 사용하여 5 % 수용액 점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The obtained water-soluble polymer (B1) was placed in a water bath at 25°C and temperature adjusted, and then a 5% aqueous solution viscosity was measured using a Brookfield viscometer (rotor number 4, 60 rpm, viscosity unit cp). Table 1 shows the results.

[2] 수용성 고분자 (B2) 의 제조[2] Preparation of water-soluble polymer (B2)

교반기가 부착된 5 ㎫ 내압 용기에, 아크릴산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98 부,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 2 부, 이온 교환수 150 부, 및 과황산칼륨 (중합 개시제) 0.5 부를 넣고, 충분히 교반한 후, 50 ℃ 로 가온하여 중합을 개시하였다. 중합 전화율이 99.0 % 이상이 된 시점에서 냉각시켜 반응을 정지시켜, 수분산형 폴리머 (B2) 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얻었다.In a 5 MPa pressure resistant vessel with a stirrer, 98 parts of acrylic acid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2 parts of 2-acrylamide-2-methylpropanesulfonic acid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150 parts of ion-exchanged water, and 0.5 part of potassium persulfate (polymerization initiator) was added, stirred sufficiently, and then heated to 50°C to initiate polymerization. Whe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io reached 99.0% or more, the reaction was stopped by cooling to obtain a mixture containing a water-dispersible polymer (B2).

상기 수분산형 폴리머 (B2) 를 함유하는 혼합물에 10 % LiOH 수용액을 pH 8.5 가 될 때까지 첨가하여, 원하는 수용성 고분자 (B2) 를 얻었다.A 10% LiOH aqueous solution was added to the mixture containing the water-dispersible polymer (B2) until pH 8.5 to obtain a desired water-soluble polymer (B2).

얻어진 수용성 고분자 (B2) 에 대하여, 수용성 고분자 (B1) 과 동일하게, 25 ℃ 의 수욕에 넣어 온도 조정한 후, 브룩필드형 점도계 (로터 넘버 4, 60 rpm, 점도 단위 cp) 를 사용하여 5 % 수용액 점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About the obtained water-soluble polymer (B2), after adjusting the temperature in a water bath at 25°C in the same manner as the water-soluble polymer (B1), 5% using a Brookfield viscometer (rotor number 4, 60 rpm, viscosity unit cp) The aqueous solution viscosity was measured. Table 1 shows the results.

[3]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3] Preparation of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

디스퍼가 부착된 플래너터리 믹서에, 부극 활물질로서 인조 흑연 (체적 평균 입경 : 20.0 ㎛) 을 70 부, SiOx (x = 1.1, 체적 평균 입경 : 3.0 ㎛) 를 30 부, 상기 공정 [1] 로 얻어진 수용성 고분자 (B1) 을 0.9 부 (고형분 기준) 및 이온 교환수를 첨가하여 고형분 농도 60 % 로 조정한 후, 25 ℃ 에서 60 분간 혼합하였다.In a planetary mixer with a disper, 70 parts of artificial graphit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20.0 µm) as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30 parts of SiO x (x = 1.1,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3.0 µm) as the above step [1] The obtained water-soluble polymer (B1) was adjusted to a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60% by adding 0.9 parts (based on solid content) and ion-exchanged water, followed by mixing at 25°C for 60 minutes.

다음으로, 상기 공정 [2] 로 얻어진 수용성 고분자 (B2) 를 0.6 부 (고형분 기준), 및 이온 교환수를 첨가하여 고형분 농도 50 % 로 조정한 후, 추가로 25 ℃ 에서 15 분간 혼합하여,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얻었다.Next, the water-soluble polymer (B2) obtained in the above step [2] was adjusted to a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50% by adding 0.6 parts (based on solid content) and ion-exchanged water, followed by further mixing at 25° C. for 15 minutes to perform a negative electrode. To obtain a slurry composition.

[4] 부극의 제조[4] Preparation of negative electrode

상기 공정 [3] 으로 얻어진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콤마 코터로, 집전체 (구리박, 두께 20 ㎛) 상에, 건조 후의 막두께가 150 ㎛ 정도가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시켰다. 이러한 건조는, 구리박을 0.5 m/분의 속도로 90 ℃ 의 오븐 내를 2 분간에 걸쳐 반송함으로써 실시하였다. 그 후, 120 ℃ 에서 2 분간 가열 처리하여 부극을 얻었다. 이 부극을 롤 프레스로 압연하여, 부극 활물질층의 두께가 80 ㎛ 인 부극 (진공 건조 전의 부극) 을 얻었다. 여기서, 얻어진 「진공 건조 전의 부극」 의 일부에 대해 결착 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나머지 「진공 건조 전의 부극」 에 대하여, 60 ℃ 에서 10 시간 진공 건조시켜 (게이지압 : -0.09 Mpa 이하), 부극 (진공 건조 후의 부극) 을 얻었다. 이러한 「진공 건조 후의 부극」 에 대해 막두께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막두께는, 부극 활물질의 체적 팽창 억제 평가에 있어서의 「셀 제조시의 진공 건조 후의 부극의 막두께」 에 해당한다.The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obtained in the above step [3] was coated on a current collector (copper foil, 20 µm thick) with a comma coater so that the film thickness after drying was about 150 µm and dried. This drying was performed by conveying the copper foil in an oven at 90° C. over 2 minutes at a rate of 0.5 m/min. Then, it heat-treated at 120 degreeC for 2 minutes, and obtained the negative electrode. This negative electrode was rolled with a roll press to obtain a negative electrode (negative electrode before vacuum drying) having a thickness of 80 μm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Here, the binding strength was measured for a part of the obtained “negative electrode before vacuum drying”. Table 1 shows the results. The remaining "negative electrode before vacuum drying" was vacuum dried at 60°C for 10 hours (gauge pressure: -0.09 Mpa or less) to obtain a negative electrode (negative electrode after vacuum drying). The film thickness was measured for such "negative electrode after vacuum drying". The measured film thickness corresponds to the "film thickness of the negative electrode after vacuum drying at the time of cell production" in the evaluation of the volume expansion inhibi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5] 정극의 제조[5] Preparation of positive electrodes

정극용 바인더로서, 유리 전이 온도 (Tg) 가 -40 ℃ 이고, 수평균 입경이 0.20 ㎛ 인 아크릴레이트 중합체의 40 % 수분산체를 준비하였다. 상기의 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아크릴산2-에틸헥실 78 질량%, 아크릴로니트릴 20 질량%, 및 메타크릴산 2 질량% 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유화 중합하여 얻어진 공중합체이다.As a binder for the positive electrode, a 40% water dispersion of an acrylate polym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40°C and a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20 µm was prepared. The said acrylate polymer is a copolymer obtained by emulsion-polymerizing the monomer mixture containing 78 mass% of 2-ethylhexyl acrylate, 20 mass% of acrylonitrile, and 2 mass% of methacrylic acid.

정극 활물질로서 체적 평균 입경 0.5 ㎛ 이고 올리빈 결정 구조를 갖는 LiFePO4 를 100 부와, 분산제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1 % 수용액 (다이이치 공업 제약 주식회사 제조 「BSH-12」) 을 고형분 상당으로 1 부와, 바인더로서 상기의 아크릴레이트 중합체의 40 % 수분산체를 고형분 상당으로 5 부와, 이온 교환수를 혼합하였다. 이온 교환수의 양은, 전체 고형분 농도가 40 % 가 되는 양으로 하였다. 이들을 플래너터리 믹서에 의해 혼합하여, 정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하였다.As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100 parts of LiFePO 4 having a volume average particle size of 0.5 µm and having an olivine crystal structure, and 1 part aqueous solution of carboxymethylcellulose ("BSH-12" manufactured by Daiichi Kogyo Pharmaceutical Co., Ltd.) as a dispersant, are equivalent to 1 part of solid content. And, as a binder, 5 parts of 40% water dispersion of the acrylate polymer described above was mixed with solid content, and ion-exchanged water was mixed. The amount of ion-exchanged water was set such that the total solid content concentration was 40%. These were mixed with a planetary mixer to prepare a slurry composition for a positive electrode.

상기의 정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콤마 코터로, 집전체 (알루미늄, 두께 20 ㎛) 상에, 건조 후의 막두께가 200 ㎛ 정도가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시켰다. 이 건조는, 구리박을 0.5 m/분의 속도로 60 ℃ 의 오븐 내를 2 분간에 걸쳐 반송함으로써 실시하였다. 그 후, 120 ℃ 에서 2 분간 가열 처리하고, 이어서, 60 ℃ 에서 10 시간 진공 건조 (게이지압 : -0.09 Mpa 이하) 시켜 정극을 얻었다.The slurry composition for positive electrodes was coated on a current collector (aluminum, 20 µm thick) with a comma coater so that the film thickness after drying was about 200 µm and dried. This drying was performed by conveying the copper foil in an oven at 60° C. over 2 minutes at a rate of 0.5 m/min. Then, it heat-treated at 120 degreeC for 2 minutes, and then vacuum-dried at 60 degreeC for 10 hours (gauge pressure: -0.09 Mpa or less) to obtain a positive electrode.

[6] 세퍼레이터의 준비[6] Preparation of separator

단층의 폴리프로필렌제 세퍼레이터 (폭 65 ㎜, 길이 500 ㎜, 두께 25 ㎛, 건식법에 의해 제조, 기공률 55 %) 를 5 ㎝ × 5 ㎝ 의 정방형으로 잘라내었다.A single layer polypropylene separator (65 mm wide, 500 mm long, 25 µm thick, manufactured by dry method, porosity 55%) was cut into a square of 5 cm×5 cm.

[7]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7] Preparation of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전지의 외장으로서 알루미늄 포장재 외장을 준비하였다. 상기 공정 [5] 로 얻어진 정극을 4 ㎝ × 4 ㎝ 의 정방형으로 잘라내고, 집전체측의 표면이 알루미늄 포장재 외장에 접하도록 배치하였다. 정극의 정극 활물질층의 면상에, 상기 공정 [6] 으로 얻어진 정방형의 세퍼레이터를 배치하였다. 또한, 상기 공정 [4] 로 얻어진 부극을 4.2 ㎝ × 4.2 ㎝ 의 정방형으로 잘라내고, 이것을 세퍼레이터 상에, 부극 활물질층측의 표면이 세퍼레이터에 대향하도록 배치하였다. 또한, 알루미늄 포장재의 개구를 밀봉하기 위해, 150 ℃ 의 히트 시일을 하여 알루미늄 외장을 폐구하여,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전해액으로는, 에틸렌카보네이트 (EC) 와 에틸메틸카보네이트 (EMC) 를 EC : EMC = 3 : 7 (20 ℃ 에서의 용적비) 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혼합 용매에 LiPF6 을 1 몰/리터의 농도로 용해시킨 용액을 사용하였다.An aluminum packaging material exterior was prepared as the exterior of the battery. The positive electrode obtained in the above step [5] was cut into a square of 4 cm x 4 cm, and placed so that the surface of the current collector side was in contact with the exterior of the aluminum packaging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of the positive electrode, a square separator obtained in the above step [6] was placed. Further, the negative electrode obtained in the above step [4] was cut into a square of 4.2 cm x 4.2 cm, and placed on the separator so that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side faced the separator. Further, in order to seal the opening of the aluminum packaging material, a heat seal at 150°C was used to close the aluminum sheath to produce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s the electrolyte, LiPF 6 was dissolved at a concentration of 1 mol/liter in a mixed solvent formed by mixing ethylene carbonate (EC) and ethyl methyl carbonate (EMC) at EC:EMC = 3:7 (volume ratio at 20°C). The solution was used.

얻어진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대하여, 고온 사이클 특성, 부극 활물질의 체적 팽창 억제, 및 전하 이동 저항의 측정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The obtaine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as evaluated for high 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s, inhibition of volume expans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measurement of charge transfer resistance. Table 1 shows the results.

(실시예 2)(Example 2)

공정 [3] 의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수용성 고분자 (B1) 의 첨가량을 0.3 부로 하고, 수용성 고분자 (B2) 의 첨가량을 0.2 부로 하여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in the step [3], Example 1 except that the addition amount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was 0.3 parts and the addition amount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was 0.2 parts to prepare a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Table 1 shows the results.

(실시예 3)(Example 3)

공정 [3] 의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수용성 고분자 (B1) 의 첨가량을 1.08 부로 하고, 수용성 고분자 (B2) 의 첨가량을 0.72 부로 하여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in the step [3], Example 1 was performed except that a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was prepared with the addition amount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being 1.08 parts and the addition amount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being 0.72 parts.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Table 1 shows the results.

(실시예 4)(Example 4)

공정 [1] 의 수용성 고분자 (B1) 의 제조에 있어서, 메타크릴산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을 25 부에서 18 부,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를 58.5 부에서 65.5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n step [1], methacrylic acid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is 25 parts to 18 parts, ethyl acrylat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is 58.5 parts to 65.5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it was made negative. Table 1 shows the results.

(실시예 5)(Example 5)

공정 [1] 의 수용성 고분자 (B1) 의 제조에 있어서, 메타크릴산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을 25 부에서 20 부,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를 58.5 부에서 63.5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n step [1], methacrylic acid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is 25 parts to 20 parts, ethyl acrylat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is 58.5 parts to 63.5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it was made negative. Table 1 shows the results.

(실시예 6)(Example 6)

공정 [1] 의 수용성 고분자 (B1) 의 제조에 있어서, 메타크릴산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을 25 부에서 45 부,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를 58.5 부에서 38.5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n step [1], methacrylic acid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is 25 parts to 45 parts, ethyl acrylat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is 58.5 parts to 38.5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it was made negative. Table 1 shows the results.

(실시예 7)(Example 7)

공정 [1] 의 수용성 고분자 (B1) 의 제조에 있어서, 2,2,2-트리플루오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를 10 부에서 1 부,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를 58.5 부에서 67.5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n step [1], 2,2,2-trifluoroethyl methacrylate (fluorine-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is added in 10 parts to 1 part, ethyl acrylate ((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was changed from 58.5 parts to 67.5 parts. Table 1 shows the results.

(실시예 8)(Example 8)

공정 [1] 의 수용성 고분자 (B1) 의 제조에 있어서, 2,2,2-트리플루오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를 10 부에서 2 부,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를 58.5 부에서 66.5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n step [1], 2,2,2-trifluoroethyl methacrylate (fluorine-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is added in 10 parts to 2 parts, ethyl acrylate ((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was changed from 58.5 parts to 66.5 parts. Table 1 shows the results.

(실시예 9)(Example 9)

공정 [1] 의 수용성 고분자 (B1) 의 제조에 있어서, 2,2,2-트리플루오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를 10 부에서 18 부,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를 58.5 부에서 50.5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n the step [1], 2,2,2-trifluoroethyl methacrylate (fluorine-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is 10 parts to 18 parts, ethyl acrylate ((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was 58.5 parts to 50.5 parts. Table 1 shows the results.

(실시예 10)(Example 10)

공정 [1] 의 수용성 고분자 (B1) 의 제조에 있어서,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 을 5 부에서 0 부,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를 58.5 부에서 63.5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n step [1], 2-acrylamide-2-methylpropanesulfonic acid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is added in 5 parts to 0 parts, and ethyl acrylat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58.5 parts was changed to 63.5 parts. Table 1 shows the results.

(실시예 11)(Example 11)

공정 [1] 의 수용성 고분자 (B1) 의 제조에 있어서,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 을 5 부에서 1 부,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를 58.5 부에서 62.5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n step [1], 2-acrylamide-2-methylpropanesulfonic acid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is added in 5 parts to 1 part, and ethyl acrylat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58.5 parts was 62.5 parts. Table 2 shows the results.

(실시예 12)(Example 12)

공정 [1] 의 수용성 고분자 (B1) 의 제조에 있어서,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 을 5 부에서 2 부,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를 58.5 부에서 61.5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n step [1], 2-acrylamide-2-methylpropanesulfonic acid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is added in 5 parts to 2 parts, and ethyl acrylat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58.5 parts was changed to 61.5 parts. Table 2 shows the results.

(실시예 13)(Example 13)

공정 [1] 의 수용성 고분자 (B1) 의 제조에 있어서,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 을 5 부에서 13 부,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를 58.5 부에서 50.5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n step [1], 2-acrylamide-2-methylpropanesulfonic acid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is added in an amount of 5 to 13 parts, ethyl acrylat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58.5 parts was made to 50.5 parts. Table 2 shows the results.

(실시예 14)(Example 14)

공정 [1] 의 수용성 고분자 (B1) 의 제조에 있어서, 메타크릴산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을 25 부에서 0 부,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 을 5 부에서 15 부,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를 58.5 부에서 73.5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n step [1], methacrylic acid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is 25 parts to 0 parts, 2-acrylamide-2-methylpropanesulfonic acid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5 parts to 15 parts and ethyl acrylat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were 58.5 parts to 73.5 parts, to prepare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Table 2 shows the results.

(실시예 15)(Example 15)

공정 [1] 의 수용성 고분자 (B1) 의 제조에 있어서, tert-도데실메르캅탄 (연쇄 이동제) 을 0.2 부에서 0.05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n step [1],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ert-dodecyl mercaptan (chain transfer agent) was added in an amount of 0.2 to 0.05 parts. It was prepared. Table 2 shows the results.

(실시예 16)(Example 16)

공정 [1] 의 수용성 고분자 (B1) 의 제조에 있어서, tert-도데실메르캅탄 (연쇄 이동제) 을 0.2 부에서 2.5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n step [1],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ert-dodecyl mercaptan (chain transfer agent) was changed from 0.2 to 2.5 parts. It was prepared. Table 2 shows the results.

(실시예 17)(Example 17)

공정 [1] 의 수용성 고분자 (B1) 의 제조에 있어서, tert-도데실메르캅탄 (연쇄 이동제) 을 0.2 부에서 3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n step [1],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ert-dodecyl mercaptan (chain transfer agent) was added from 0.2 to 3 parts. It was prepared. Table 2 shows the results.

(실시예 18)(Example 18)

공정 [2] 의 수용성 고분자 (B2) 의 제조에 있어서, 아크릴산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을 98 부에서 100 부,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 을 2 부에서 0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n step [2], acrylic acid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is 98 parts to 100 parts, 2-acrylamide-2-methylpropanesulfonic acid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2 parts to 0 parts were used. Table 2 shows the results.

(실시예 19)(Example 19)

공정 [2] 의 수용성 고분자 (B2) 의 제조에 있어서, 아크릴산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을 98 부에서 99.9 부,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 을 2 부에서 0.1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n step [2], acrylic acid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is 98 parts to 99.9 parts, 2-acrylamide-2-methylpropanesulfonic acid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2 parts to 0.1 parts were used. Table 2 shows the results.

(실시예 20)(Example 20)

공정 [2] 의 수용성 고분자 (B2) 의 제조에 있어서, 아크릴산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을 98 부에서 99.5 부,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 을 2 부에서 0.5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n step [2], acrylic acid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is 98 parts to 99.5 parts, 2-acrylamide-2-methylpropanesulfonic acid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2 parts to 0.5 parts were used. Table 2 shows the results.

(실시예 21)(Example 21)

공정 [2] 의 수용성 고분자 (B2) 의 제조에 있어서, 아크릴산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을 98 부에서 95 부,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 을 2 부에서 5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n step [2], acrylic acid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is 98 parts to 95 parts, 2-acrylamide-2-methylpropanesulfonic acid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2 parts to 5 parts were used. Table 3 shows the results.

(실시예 22)(Example 22)

공정 [2] 의 수용성 고분자 (B2) 의 제조에 있어서, 아크릴산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을 98 부에서 92.5 부,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 을 2 부에서 7.5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n step [2], acrylic acid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is 98 parts to 92.5 parts, 2-acrylamide-2-methylpropanesulfonic acid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2 parts to 7.5 parts were used. Table 3 shows the results.

(실시예 23)(Example 23)

공정 [2] 의 수용성 고분자 (B2) 의 제조에 있어서, 아크릴산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을 98 부에서 90 부,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 을 2 부에서 10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n step [2], acrylic acid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is 98 parts to 90 parts, 2-acrylamide-2-methylpropanesulfonic acid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2 parts to 10 parts were used. Table 3 shows the results.

(실시예 24)(Example 24)

공정 [2] 의 수용성 고분자 (B2) 의 제조에 있어서, 아크릴산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을 98 부에서 0 부,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 을 2 부에서 100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n step [2], acrylic acid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is 98 parts to 0 parts, 2-acrylamide-2-methylpropanesulfonic acid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2 parts to 100 parts were used. Table 3 shows the results.

(실시예 25)(Example 25)

공정 [2] 의 수용성 고분자 (B2) 의 제조에 있어서, 아크릴산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을 98 부에서 88 부로 하고, 새롭게 아크릴산에틸을 10 부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n the step [2],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1 was carried out except that acrylic acid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was set at 98 parts to 88 parts, and 10 parts of ethyl acrylate was newly added. Thus,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Table 3 shows the results.

(실시예 26)(Example 26)

공정 [2] 의 수용성 고분자 (B2) 의 제조에 있어서, 아크릴산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을 98 부에서 78 부로 하고, 새롭게 아크릴산에틸을 20 부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n step [2],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1 was carried out except that acrylic acid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was set at 98 parts to 78 parts, and 20 parts of ethyl acrylate was newly added. Thus,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Table 3 shows the results.

(실시예 27)(Example 27)

공정 [2] 의 수용성 고분자 (B2) 의 제조에 있어서, 과황산칼륨 (중합 개시제) 을 0.5 에서 0.01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n step [2],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potassium persulfate (polymerization initiator) was made from 0.5 to 0.01 parts. Table 3 shows the results.

(실시예 28)(Example 28)

공정 [2] 의 수용성 고분자 (B2) 의 제조에 있어서, 과황산칼륨 (중합 개시제) 을 0.5 에서 0.05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n step [2],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potassium persulfate (polymerization initiator) was set to 0.5 to 0.05 parts. Table 3 shows the results.

(실시예 29)(Example 29)

공정 [2] 의 수용성 고분자 (B2) 의 제조에 있어서, 과황산칼륨 (중합 개시제) 을 0.5 에서 0.75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n step [2],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potassium persulfate (polymerization initiator) was set to 0.5 to 0.75 parts. Table 3 shows the results.

(실시예 30)(Example 30)

공정 [2] 의 수용성 고분자 (B2) 의 제조에 있어서, 과황산칼륨 (중합 개시제) 을 0.5 에서 2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n step [2],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potassium persulfate (polymerization initiator) was made from 0.5 to 2 parts. Table 3 shows the results.

(실시예 31)(Example 31)

공정 [3] 의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수용성 고분자 (B1) 의 첨가량을 0.11 부로 하고, 수용성 고분자 (B2) 의 첨가량을 1.39 부로 하여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in the step [3], Example 1 except that the addition amount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was 0.11 part, and the addition amount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was 1.39 parts, to prepare a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Table 4 shows the results.

(실시예 32)(Example 32)

공정 [3] 의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수용성 고분자 (B1) 의 첨가량을 0.15 부로 하고, 수용성 고분자 (B2) 의 첨가량을 1.35 부로 하여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in the step [3], Example 1 except that the addition amount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was 0.15 parts and the addition amount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was 1.35 parts to prepare a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Table 4 shows the results.

(실시예 33)(Example 33)

공정 [3] 의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수용성 고분자 (B1) 의 첨가량을 1.35 부로 하고, 수용성 고분자 (B2) 의 첨가량을 0.15 부로 하여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in the step [3], Example 1 except that the addition amount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was 1.35 parts, and the addition amount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was 0.15 parts, to prepare a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Table 4 shows the results.

(실시예 34)(Example 34)

공정 [3] 의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수용성 고분자 (B1) 의 첨가량을 1.39 부로 하고, 수용성 고분자 (B2) 의 첨가량을 0.11 부로 하여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in the step [3], Example 1 except that the addition amount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was 1.39 parts, and the addition amount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was 0.11 part, to prepare a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Table 4 shows the results.

(실시예 35)(Example 35)

공정 [3] 의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수용성 고분자 (B1) 의 첨가량을 2.1 부로 하고, 수용성 고분자 (B2) 의 첨가량을 1.4 부로 하여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in the step [3], Example 1 except that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was prepared with the addition amount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being 2.1 parts and the addition amount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being 1.4 parts.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Table 4 shows the results.

(실시예 36)(Example 36)

공정 [1] 의 수용성 고분자 (B1) 의 제조에 있어서, 10 % LiOH 수용액을 10 % NaOH 수용액으로, 공정 [2] 의 수용성 고분자 (B2) 의 제조에 있어서, 10 % LiOH 수용액을 10 % NaOH 수용액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n step [1], the 10% LiOH aqueous solution is a 10% NaOH aqueous solution, and 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n step [2], the 10% LiOH aqueous solution is a 10% NaOH aqueous solution.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for the above. Table 4 shows the results.

(실시예 37)(Example 37)

공정 [3] 의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하기의 입자상 바인더를 1.5 부 (고형분 환산)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s in step [3],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1.5 parts (in terms of solid content) of the following particulate binder was added. Table 4 shows the results.

입자상 바인더의 제조Preparation of particulate binder

교반기가 부착된 5 ㎫ 내압 용기에, 1,3-부타디엔 33.5 부, 이타콘산 1.8 부, 스티렌 64.7 부, t-도데실메르캅탄 (TDM) 0.5 부, 유화제로서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1.0 부, 이온 교환수 150 부, 및 중합 개시제로서 과황산칼륨 0.5 부를 넣고, 충분히 교반한 후, 50 ℃ 로 가온하여 중합을 개시하였다. 중합 전화율이 96 % 가 된 시점에서 냉각시켜 반응을 정지시켜, 중합체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얻었다. 이 혼합물에 5 % NaOH 수용액을 첨가하여 pH 8 로 조정 후, 가열 감압 증류에 의해 미반응 단량체의 제거를 실시하였다. 그 후, 30 ℃ 이하까지 냉각시켜, 원하는 입자상 바인더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공중합체) 를 함유하는 수계 분산액을 얻었다. 또한, 방향족 비닐-공액 디엔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는 +15 ℃ 였다.In a 5 kPa internal pressure vessel with a stirrer, 33.5 parts of 1,3-butadiene, 1.8 parts of itaconic acid, 64.7 parts of styrene, 0.5 parts of t-dodecylmercaptan (TDM), 1.0 parts of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as an emulsifier, ion 150 parts of exchanged water and 0.5 part of potassium persulfate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were added, stirred sufficiently, and then heated to 50°C to initiate polymerization. Whe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io reached 96%, the reaction was stopped by cooling to obtain a mixture containing the polymer. After adding 5% NaOH aqueous solution to the mixture and adjusting the pH to 8, unreacted monomers were removed by heating and distillation under reduced pressure. Then, it cooled to 30 degrees C or less, and obtained the aqueous dispersion liquid containing a desired particulate binder (aromatic vinyl-conjugated diene copolymer). Further,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romatic vinyl-conjugated diene copolymer was +15°C.

(실시예 38)(Example 38)

공정 [3] 의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부극 활물질로서 인조 흑연을 100 부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s in step [3],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100 parts of artificial graphite was used as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able 4 shows the results.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공정 [1] 의 수용성 고분자 (B1) 의 제조에 있어서, tert-도데실메르캅탄 (연쇄 이동제) 을 0.2 부에서 3.5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n step [1],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ert-dodecyl mercaptan (chain transfer agent) was changed from 0.2 to 3.5 parts. It was prepared. Table 5 shows the results.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공정 [1] 의 수용성 고분자 (B1) 의 제조에 있어서, tert-도데실메르캅탄 (연쇄 이동제) 을 0.2 부에서 0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n step [1],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ert-dodecyl mercaptan (chain transfer agent) was added from 0.2 parts to 0 parts. It was prepared. Table 5 shows the results.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공정 [2] 의 수용성 고분자 (B2) 의 제조에 있어서, 과황산칼륨 (중합 개시제) 을 0.5 에서 2.5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n step [2],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potassium persulfate (polymerization initiator) was set to 0.5 to 2.5 parts. Table 5 shows the results.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공정 [2] 의 수용성 고분자 (B2) 의 제조에 있어서, 과황산칼륨 (중합 개시제) 을 0.5 에서 0.01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n step [2],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potassium persulfate (polymerization initiator) was made from 0.5 to 0.01 parts. Table 5 shows the results.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공정 [2] 의 수용성 고분자 (B2) 의 제조에 있어서, 수분산형 폴리머 (B2) 를 함유하는 혼합물에 10 % LiOH 수용액을 첨가하지 않고, 수용성 고분자 (B2) 로서, 수분산형 폴리머 (B2)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n step [2], a 10% LiOH aqueous solution was not added to the mixture containing the water-dispersible polymer (B2), and the water-dispersible polymer (B2) was used as the water-soluble polymer (B2).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for the above.

또한, 수분산형 폴리머 (B2) 는 pH 3 이었다. 또, 제조된 수용성 고분자 (B2) 에 대하여, 5 % 수용액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에 있어서의 부극 활물질의 분산성 불량이 되고,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제조할 수 없어,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할 수 없었다.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Moreover, the water-dispersion-type polymer (B2) was pH 3. Moreover, with respect to the produced water-soluble polymer (B2), the viscosity of the 5% aqueous solution is too low, resulting in poor dispersibil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n the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s, and it is not possible to prepare a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s. A secondary battery could not be produced. Table 5 shows the results.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공정 [3] 의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공정 [1] 로 얻어진 수용성 고분자 (B1) 및 공정 [2] 로 얻어진 수용성 고분자 (B2) 를 사용하지 않고, 실시예 37 로 제조한 입자상 바인더를 1.5 부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다이이치 공업 제약 주식회사 제조 「BSH-12」) 1.5 부를 첨가하여,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얻었다.In the production of the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s of step [3], the particulate binder produced in Example 37 without using the water-soluble polymer (B1) obtained in step [1] and the water-soluble polymer (B2) obtained in step [2] And 1.5 parts of carboxymethylcellulose ("BSH-12" manufactured by Daiichi Kogyo Pharmaceutical Co., Ltd.) were added to obtain a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상기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s was used. Table 5 shows the results.

(비교예 7)(Comparative Example 7)

공정 [1] 의 수용성 고분자 (B1) 의 제조에 있어서, 수분산형 폴리머 (B1) 을 함유하는 혼합물에 10 % LiOH 수용액을 첨가하지 않고, 수용성 고분자 (B1) 로서, 수분산형 폴리머 (B1)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In the produc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n step [1], a 10% LiOH aqueous solution was not added to the mixture containing the water-dispersible polymer (B1), and the water-dispersible polymer (B1) was used as the water-soluble polymer (B1).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for the above.

또한, 수분산형 폴리머 (B1) 은 pH 3 이었다. 또, 제조된 수용성 고분자 (B1) 에 대하여, 5 % 수용액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에 있어서의 부극 활물질의 분산성 불량이 되고,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제조할 수 없어,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할 수 없었다.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Moreover, the water dispersion type polymer (B1) was pH 3. Moreover, with respect to the produced water-soluble polymer (B1), the viscosity of the 5% aqueous solution is too low, resulting in poor dispersibil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n the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s, and it is not possible to prepare a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s, negative electrode and lithium ion A secondary battery could not be produced. Table 5 shows the results.

Figure 112014102417914-pct00003
Figure 112014102417914-pct00003

Figure 112014102417914-pct00004
Figure 112014102417914-pct00004

Figure 112014102417914-pct00005
Figure 112014102417914-pct00005

Figure 112014102417914-pct00006
Figure 112014102417914-pct00006

Figure 112014102417914-pct00007
Figure 112014102417914-pct00007

표 1 ∼ 5 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한 부극 및 이차 전지는, 각 평가의 밸런스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수용성 고분자 (B1) 의 5 % 수용액 점도가 전술한 바람직한 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비교예 1 및 2), 부극 활물질의 분산 안정성, 전하 이동 저항, 및 부극의 결착 강도 등이 악화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수용성 고분자 (B2) 의 5 % 수용액 점도가 전술한 바람직한 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비교예 3 및 4), 부극 활물질의 분산 안정성, 및 부극의 결착 강도 등이 악화된 것을 알 수 있다. 또, 수용성 고분자 (B1) 또는 (B2) 로서 수분산형 폴리머 (B1) 또는 (B2) 를 사용한 경우 (비교예 5 및 7), 부극 활물질의 분산 안정성이 악화되어,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제조할 수 없었던 것을 알 수 있다. 또, 수용성 고분자 (B1) 과 (B2) 대신에, 실시예 37 로 제조한 입자상 바인더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사용한 경우 (비교예 6), 부극 활물질의 분산 안정성, 및 전하 이동 저항이 악화된 것을 알 수 있다.From the results of Tables 1 to 5, it can be seen that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excellent in the balance of each evaluation. Here, it was found that when the viscosity of the 5% aqueous solu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was outside the preferred range described above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the dispersion stabil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harge transfer resistance, and the binding strength of the negative electrode deteriorated. Can.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viscosity of the 5% aqueous solu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2) was outside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range (Comparative Examples 3 and 4), the dispersion stabil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binding strength of the negative electrode were deteriorated. In addition, when water-dispersible polymers (B1) or (B2) were used as the water-soluble polymers (B1) or (B2) (Comparative Examples 5 and 7), dispersion stabil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deteriorated, and a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s could be prepared. It can be seen that there was not. In addition, instead of the water-soluble polymers (B1) and (B2), when the particulate binder and carboxymethylcellulose prepared in Example 37 were used (Comparative Example 6), it was found that the dispersion stabil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charge transfer resistance deteriorated. Can be.

Claims (14)

부극 활물질 (A), 수용성 고분자 (B) 및 물 (C) 를 함유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로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 (B) 가,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단위 및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의 알칼리 금속염인 수용성 고분자 (B1) 및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단위를 80 질량% 이상 함유하는 중합체의 알칼리 금속염인 수용성 고분자 (B2) 를 함유하고,
상기 수용성 고분자 (B1) 의 5 % 수용액 점도가 100 cp 이상, 1500 cp 이하이고,
상기 수용성 고분자 (B2) 의 5 % 수용액 점도가 2000 cp 이상, 20000 cp 이하인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
A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a water-soluble polymer (B), and water (C),
The water-soluble polymer (B) contains 80 mass% or more of a water-soluble polymer (B1) and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unit that are alkali metal salts of a polymer contain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unit and a fluorine-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The water-soluble polymer (B2) which is an alkali metal salt of the polymer to be contained,
The viscosity of the 5% aqueous solu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s 100 cp or more and 1500 cp or less,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whose viscosity of 5% aqueous solution of the said water-soluble polymer (B2) is 2000 cp or more and 20000 cp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 (B) 가, 상기 부극 활물질 (A)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 질량부 이상, 5.0 질량부 이하 함유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said water-soluble polymer (B) contains 0.1 mass part or more and 5.0 mass part or less with respect to 100 mass parts of sai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A), The slurry composition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 (B1) 과 상기 수용성 고분자 (B2) 의 중량비 (B1/B2) 가 5/95 이상, 95/5 이하인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whose weight ratio (B1/B2) of the said water-soluble polymer (B1) and the said water-soluble polymer (B2) is 5/95 or more and 95/5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 (B1) 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이 15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이고,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이 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인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nt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unit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s 15 mass% or more and 50 mass% or less, and the content ratio of the fluorine-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 is 1 mass% or more, 20 mass % Or less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 (B1) 이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단위 및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 외에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를 30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 더 함유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s a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further containing 30% by mass or more and 70% by mass or more of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s in addition to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units and fluorine-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units. Dragon slurry com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 (B1) 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가,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또는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인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s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or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 (B1) 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가,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및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인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s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and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 (B1) 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의 함유 비율이 15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이고,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의 함유 비율이 1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인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7,
Lithium in which the content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1) is 15 mass% or more and 50 mass% or less, and the content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is 1 mass% or more and 15 mass% or less.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ion secondary batter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 (B2) 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가,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인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A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herein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s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 (B2) 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가,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또는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인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s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or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 (B2) 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가,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및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인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s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and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 (B2) 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이 90 질량% 이상, 99 질량% 이하이고,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이 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인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ent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unit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2) is 90% by mass or more and 99% by mass or less, and the content rate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monomer unit is 1% by mass or more and 10% by mass The following slurry composition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s.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집전체에 도포, 건조시켜, 부극 활물질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의 제조 방법.A method for producing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comprising the step of applying and drying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to a current collector to form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정극, 부극, 세퍼레이터 및 전해액을 구비하고,
상기 부극이 제 13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인 리튬 이온 이차 전지.
It has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 separator and an electrolyte,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negative electrode is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obtained by the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KR1020147030017A 2012-08-10 2013-08-08 Slurry composition for lithium-ion secondary cell negative electrode Expired - Fee Related KR10214244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78322 2012-08-10
JP2012178322 2012-08-10
PCT/JP2013/071504 WO2014024967A1 (en) 2012-08-10 2013-08-08 Slurry composition for lithium-ion secondary cell negative electro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147A KR20150042147A (en) 2015-04-20
KR102142441B1 true KR102142441B1 (en) 2020-08-07

Family

ID=50068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0017A Expired - Fee Related KR102142441B1 (en) 2012-08-10 2013-08-08 Slurry composition for lithium-ion secondary cell negative electrod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68059B2 (en)
KR (1) KR102142441B1 (en)
CN (1) CN104335400B (en)
WO (1) WO201402496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6363A1 (en) * 2014-06-04 2015-12-1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Binder composition for lithium ion secondary cell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for lithium ion secondary cell electrode, lithium ion secondary cell electrode, and lithium ion secondary cell
JP6417973B2 (en) * 2015-01-29 2018-11-07 Tdk株式会社 Ion conductive solid electrolyte
CN107534150B (en) * 2015-04-22 2022-04-15 东亚合成株式会社 Binder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nd use thereof
KR102049679B1 (en) * 2015-08-11 2019-11-28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provided with the positive electrod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obtained using the slurry for positive electrodes of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the slurry for positive electrodes of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positive electrod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6666223B2 (en) 2016-09-21 2020-03-13 株式会社東芝 Negative electrode,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battery pack, and vehicle
JP6676225B2 (en) * 2017-10-10 2020-04-08 松本油脂製薬株式会社 Dispersant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slurry and use thereof
JP2022509022A (en) 2018-10-29 2022-01-20 ポリジュー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High yield storage material
KR102336695B1 (en) * 2020-03-30 2021-12-06 아라까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Binder aqueous solution for lithium ion battery, slurry for negative electrode of lithium ion battery,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ion battery, and lithium ion battery
KR20220161291A (en) * 2020-03-31 2022-12-06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Binder composition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slurry composition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electrode, electrode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2261A1 (en) 2010-03-30 2011-10-06 株式会社クレハ Mixture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electrode for same,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WO2012008539A1 (en) 2010-07-16 2012-01-19 株式会社日本触媒 Aqueous electrode binder for secondary battery
WO2012086340A1 (en) 2010-12-20 2012-06-28 Jsr株式会社 Electricity storage device, lithium ion capacitor, and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ion capacit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6120B2 (en) * 2003-12-25 2010-12-08 Jsr株式会社 Thickening binder for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electrode
CN101641812B (en) * 2007-03-23 2012-08-08 日本瑞翁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electrode slurry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O2008120786A1 (en) * 2007-03-30 2008-10-09 Zeon Corporation Binder for secondary battery electrode,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JP2010146870A (en) * 2008-12-19 2010-07-01 Nippon A&L Inc Binder for secondary-battery electrode
JP5532734B2 (en) 2009-08-11 2014-06-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Recording device
JP5117547B2 (en) 2010-07-20 2013-01-16 ジヤトコ株式会社 Automatic transmission
WO2012023626A1 (en) * 2010-08-20 2012-02-23 Jsr株式会社 Binder composition for use in electrodes
KR20140063632A (en) * 2011-08-30 2014-05-27 제온 코포레이션 Binder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negative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manufacturing method, and secondary battery
CN104145359B (en) * 2012-02-27 2016-06-22 日本瑞翁株式会社 Secondary battery negative pole adhesive composition, secondary battery cathode, secondary battery negative pole paste compound, manufacture method and secondary cel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2261A1 (en) 2010-03-30 2011-10-06 株式会社クレハ Mixture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electrode for same,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WO2012008539A1 (en) 2010-07-16 2012-01-19 株式会社日本触媒 Aqueous electrode binder for secondary battery
WO2012086340A1 (en) 2010-12-20 2012-06-28 Jsr株式会社 Electricity storage device, lithium ion capacitor, and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ion capaci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24967A1 (en) 2014-02-13
CN104335400B (en) 2016-10-26
CN104335400A (en) 2015-02-04
JPWO2014024967A1 (en) 2016-07-25
JP6168059B2 (en) 2017-07-26
KR20150042147A (en) 201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04042B (e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positive electrode slurry
KR102142441B1 (en) Slurry composition for lithium-ion secondary cell negative electrode
KR102157157B1 (en) Negative electrode for secondary cell, and secondary cell
US9583768B2 (en) Negative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N104396060B (en)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CN104823308B (en)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JP6201989B2 (en) Negative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JP5967098B2 (en) Conductive adhesive composition, current collector with adhesive layer, and electrochemical element electrode
CN103430359B (e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pole paste compou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pole and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CN104221194B (en)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KR20140063632A (en) Binder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negative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manufacturing method, and secondary battery
KR20140137348A (en) Binder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s of secondary batteries, negative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ies,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s of secondary batteries, production method, and secondary battery
JP6111895B2 (en)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 of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KR101910988B1 (en) Binder composition for secondary cell negative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for secondary cell negative electrode, negative electrode for secondary cell, and secondary c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5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8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