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41649B1 -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정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정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649B1
KR102141649B1 KR1020190025864A KR20190025864A KR102141649B1 KR 102141649 B1 KR102141649 B1 KR 102141649B1 KR 1020190025864 A KR1020190025864 A KR 1020190025864A KR 20190025864 A KR20190025864 A KR 20190025864A KR 102141649 B1 KR102141649 B1 KR 102141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guide
fixture
guide portion
generating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휘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190025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649B1/ko
Priority to CN202080001805.1A priority patent/CN111902673A/zh
Priority to EP20767269.2A priority patent/EP3818300B1/en
Priority to PCT/KR2020/003116 priority patent/WO2020180128A1/en
Priority to JP2020558000A priority patent/JP7388799B2/ja
Priority to US17/044,176 priority patent/US1149318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649B1/ko
Priority to JP2022128390A priority patent/JP7521868B2/ja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2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e.g. with collimating, focussing or diverging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28Light guide, e.g. ta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83Array of reflectors for a cluster of light sources, e.g. arrangement of multiple light sources in one plan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7/00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05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the device being a pocket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3/00Produc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or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means of a combination of elements specified in two or more of main groups F21V1/00 - F21V11/00
    • F21V13/02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 F21V13/04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the elements being reflectors and refractors
    • F21V13/045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the elements being reflectors and refractor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prismatic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75Reflectors for light source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1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5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comprising as heat source a carbon fuel or an oxidized or thermally degraded carbonaceous fuel, e.g. carbohydrates, cellulosic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200/2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a generally planar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68Arrangements of plural sources, e.g. multi-colour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91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source relative to the light gu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정체는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에 위치하고,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제 1 방향으로 수용하여 수용한 빛을 제 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 2 방향으로 방출하도록 빛을 가이드하는 광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정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A fixture including a light guide portion and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실시예들은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정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제 1 방향으로 수용한 후 수용한 빛을 제 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 2 방향으로 방출하도록 빛을 가이드하는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정체와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로서 집광 모듈은 광을 가이드하는 도광부, 광을 집광시키는 집광부, 및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부가 서로 별도의 구조로서 형성된다. 도광부, 집광부, 및 반사부가 별도의 구조로서 형성됨에 따라 각 구성 요소들을 위한 공간이 장치 내에서 별도로 필요하다. 따라서 집광 모듈이 설치되는 장치 내의 공간을 활용하는 데에 제약이 있다.
또한 종래의 집광 모듈의 각 구성 요소인 도광부, 집광부 및 반사부가 별도의 구조로 제조됨에 따라 추후 이들을 결합할 필요가 있는데, 각 구성 요소들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구성 요소들에 균열이나 유격(裕隔)이 발생할 수 있다. 구성 요소들에 발생하는 균열이나 유격은 집광 모듈이 광을 가이드 할 때 광 경로에 영향을 끼칠 수 있어 집광 모듈이 정밀하게 광을 가이드 하는 데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광 가이드를 포함하는 고정체는 광을 가이드하는 광 가이드부에 빛을 집광시키는 집광부와 빛의 경로를 조정하도록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광을 가이드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광 가이드를 포함하는 고정체는 광을 가이드하는 역할 뿐 아니라 고정체를 포함하는 장치의 내부의 구성 요소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관한 광 가이드를 포함하는 고정체는 다양한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근래에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때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함에 따라 에어로졸을 생성하고 이를 흡입하는 장치일 수 있다.
실시예들은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제 1 방향으로 수용한 후 수용한 빛을 제 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 2 방향으로 방출하도록 빛을 가이드하는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정체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들은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정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정체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위치하고,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제 1 방향으로 수용하여 수용한 빛을 상기 제 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 2 방향으로 방출하도록 빛을 가이드하는 광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광 가이드부의 일 면에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용하는 집광부가 상기 광원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광 가이드부의 상기 일 면의 반대측인 타 면은 하부면과 일체로서 반사부를 형성하되, 상기 집광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상기 제 1 방향으로 수용하여 상기 반사부로 유도하고, 상기 반사부는 유도된 빛을 반사하여 상기 제 2 방향으로 방출한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유도된 빛을 상기 제 2 방향으로 반사시키도록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반사부는 경면(鏡面)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가이드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일 수 있다.
상기 고정체는 상기 광 가이드부를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방향을 바라보는 상기 광 가이드부의 면은 미세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가이드부는 광 투과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과성 재료는 내부에 산란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관한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정체의 상기 집광부는 상기 광원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이 복수 개일 때, 상기 집광부는 상기 광원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며, 상기 집광부 각각은 대응되는 상기 광원 각각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광부 각각은 상기 광 가이드부의 일 면에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 각각으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집광부 각각에 의하여 상기 반사부로 유도된 빛은 상기 반사부에 의하여 상기 제 2 방향으로 방출되어 복수 개의 광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실시예들에 관한 고정체; 상기 고정체의 상기 광 가이드부로 빛을 방출하는 광원; 및 상기 고정체의 상기 광 가이드부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용하여 외부로 출광시키는 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PCB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PCB 회로기판은 상기 고정체에 장착되어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상기 고정체 또는 상기 PCB 회로기판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제어부; 및 배터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상기 출광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온/오프(on/off)의 작동 상태를 상기 출광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관한 광 가이드를 포함하는 고정체는 광을 가이드하는 광 가이드부에 빛을 집광시키는 집광부와 빛의 경로를 조정하도록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광 가이드를 포함하는 고정체는 광을 가이드하는 역할 뿐 아니라 고정체를 포함하는 장치의 내부의 구성 요소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집광 모듈의 구성 요소들을 위한 공간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아 집광 모듈이 장착되는 장치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관한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정체에서는 종래의 집광 모듈의 각 구성 요소들이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구성 요소들을 결합하는 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균열이나 유격((裕隔)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광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고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어 보다 선명하고 뚜렷한 발광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관한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정체는 광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고정체를 포함하는 장치 내에서 일부 구성 요소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관한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정체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관한 고정체에서 광 가이드부의 일부 단면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정체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관한 고정체에서 광 가이드부의 일부 단면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관한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정체에서 광 가이드부를 통과한 광이 형성하는 광 영역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들에 관한 고정체를 포함하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의 고정체의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광원의 위치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한 고정체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관한 광 가이드부(200)를 포함하는 고정체(100)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관한 고정체(100)에서 광 가이드부(200)의 일부 단면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와 도 1b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관한 광 가이드부(200)를 포함하는 고정체(1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관한 광 가이드부(200)를 포함하는 고정체(100)는 베이스부(150); 및 베이스부(150)에 위치하고, 광원(50)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제 1 방향으로 수용하여 수용한 빛을 제 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 2 방향으로 방출하도록 빛을 가이드하는 광 가이드부(200);를 포함한다.
광 가이드부(200)의 일 면에는 광원(50)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용하는 집광부(210)가 광원(5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광 가이드부(200)의 일 면의 반대측인 타 면은 하부면과 일체로서 반사부(220)를 형성하되, 집광부(210)는 광원(50)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제 1 방향으로 수용하여 반사부(220)로 유도하고, 반사부(220)는 유도된 빛을 반사하여 제 2 방향으로 방출한다.
일 실시예에 관한 광 가이드부(200)를 포함하는 고정체(100)는 베이스부(150)와, 베이스부(150)에 위치하는 광 가이드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체(100)의 베이스부(150)에는 고정체(1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들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수단은 나사, 리벳, 핀 등을 수용하기 위한 홈부일 수 있으나 고정체(100)를 고정할 수 있는 한 고정 수단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고정 수단은 베이스부(150)의 모서리 부분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고정 수단의 위치 및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고정체(100)의 광 가이드부(200)는 베이스부(150)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부(150)에는 광 가이드부(200)를 지지하기 위하여 광 가이드부(200)의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을 감싸는 포위부(155)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위부(155)는 광 가이드부(200)의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을 감싸며 광 가이드부(200)를 지지할 수 있는데, 이때 포위부(155)는 광원(50)으로부터 방출된 빛의 경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광원(5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광원(50)의 반대측에서 광 가이드부(200)를 감쌀 수 있다.
포위부(155)는 광 가이드부(200)로부터 누출될 수 있는 빛을 광 가이드부(200)로 다시 반사시킬 수 있도록 백색(白色; white) 계열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광 가이드부(200)는 광원(50)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제 1 방향으로 수용하고 수용한 빛을 제 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 2 방향으로 방출하도록 빛을 가이드할 수 있다. 즉, 광 가이드부(200)는 광원(50)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제 1 방향으로 수용할 수 있는데, 제 1 방향은 광원(50)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광 가이드부(200)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광 가이드부(200)는 제 1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방출하도록 빛을 가이드할 수 있다. 광 가이드부(200)는 광원(50)에서 방출된 빛이 소정의 경로로 향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이때 광 가이드부(200)가 빛을 방출하는 방향인 제 2 방향은 광원(50)에서부터 방출된 빛을 수용하는 방향인 제 1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고정체(100)의 광 가이드부(200)의 일 면에는 광원(50)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용하는 집광부(210)가 광원(5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광 가이드부(200)의 면들 중 광원(50)을 바라보는 방향의 면에는 광원(50)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용하는 집광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집광부(210)는 Ra ≤ 1인 표면 거칠기를 가져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경면(鏡面; mirror suface)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고정체(100)의 광 가이드부(200)의 면들 중 상술한 일 면의 반대측인 타 면은 광 가이드부(200)의 하부면과 일체로서 반사부(22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관한 고정체(100)에서 광 가이드부(200)의 일부 단면 부분을 도시한 도면인 도 1b를 참조하여 광 가이드부(200)의 구성에 대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광 가이드부(200)의 면들 중 집광부(210)가 형성되는 광 가이드부(200)의 일 면의 반대측인 광 가이드부(200)의 타 면과 하부면은 일체로서 반사부(22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광 가이드부(200)의 타 면과 함께 반사부(220)를 형성하는 광 가이드부(200)의 하부면은 광 가이드부(200)와 베이스부(150)가 하부에서 서로 접촉하는 면일 수 있다.
광 가이드부(200)의 하부면과 광 가이드부(200)의 타 면은 일체로서 기울기가 일정한 경사면을 갖는 반사부(22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반사부(220)는 광원(50)에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되, 경사면의 기울기는 일정할 수 있다.
또한 광 가이드부(200)의 하부면과 광 가이드부(200)의 타면은 일체로서 광 가이드부(200)의 하부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기울기가 변경되는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반사부(220)는 광원(50)에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곡면을 가지되, 곡면의 기울기는 변할 수 있다.
곡면은 오목한 면일 수 있으며 제 1 방향으로 유도된 빛을 제 2 방향으로 반사시키도록 기 설정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예시로서, 도 1b를 참조하면 제 1 방향은 광원(50)으로부터 방출되어 광 가이드부(200)로 향하는 빛의 이동 방향일 수 있으며, 제 2 방향은 광 가이드부(200)의 반사부(220)로부터 반사되어 광 가이드부(200)를 빠져나가는 빛의 이동 방향일 수 있다.
또한 반사부(220)는 Ra ≤ 1인 표면 거칠기를 가져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경면(鏡面; mirror surface)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고정체(100)의 광 가이드부(200)는 베이스부(150)로부터 제 2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일 수 있다. 광 가이드부(200)는 고정체(100)의 베이스부(150)에 위치하는데, 광 가이드부(200)는 베이스부(150)의 일 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 2 방향은 광 가이드부(200)를 통과한 빛이 방출되는 방향일 수 있다.
광 가이드부(200)를 지지하기 위하여 광 가이드부(200)의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을 감싸는 형상을 갖는 포위부(155)는 도 1b와 같이 광 가이드부(200)의 반사부(22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반사부(22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광 가이드부(200)가 베이스부(150)로부터 제 2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함에 따라, 광 가이드부(200)를 지지하기 위하여 광 가이드부(200)의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을 감싸는 형상을 갖는 포위부(155) 또한 베이스부(15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포위부(155)는 광 가이드부(200)로부터 누출될 수 있는 빛을 광 가이드부(200)로 다시 반사시킬 수 있도록 백색(白色; white) 계열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고정체(100)는 광 가이드부(200)를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광 가이드부(200)를 향하여 적어도 하나의 광원(50)들이 빛을 방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광 가이드부(20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소정의 배열을 구성할 수 있다.
고정체(100)가 광 가이드부(200)를 복수 개 포함함에 따라 고정체(100)를 포함하는 장치는 복수 개의 발광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광 가이드부(200)로부터 방출된 빛은 장치의 온/오프(on/off)의 작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고, 다른 광 가이드부(200)로부터 방출된 빛은 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표시할 수 있고, 또 다른 광 가이드부(200)로부터 방출된 빛은 장치의 손상 등과 같은 정상 작동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고정체(100)의 광 가이드부(200)에서 제 2 방향을 바라보는 광 가이드부(200)의 면은 미세 돌기를 포함할수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고정체(100)에서 광 가이드부(200)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제 2 방향을 바라보는 광 가이드부(200)의 면을 통과하여 광 가이드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제 2 방향을 바라보는 광 가이드부의 면에 형성된 미세 돌기는 광 가이드부의 면에서 제 2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돌기들일 수 있으며, 돌기의 크기 및 형상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때 광 가이드부(200)에서 제 2 방향을 바라보는 광 가이드부의 면이 미세 돌기를 포함함에 따라 빛의 산란이 증가되어 보다 선명한 빛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고정체(100)의 광 가이드부(200)는 광 투과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광 투과성 재료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가이드부(200)는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원(50)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광 가이드부(200) 내부로 입사할 수 있다.
또한 광 가이드부(200)를 형성하는 투과성 재료는 내부에 산란체를 포함할 수 있다. 광 가이드부(200)를 형성하는 투과성 재료가 내부에 산란체를 포함함에 따라 광 가이드부(200) 내부에서 빛이 보다 효과적으로 산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관한 광 가이드부(200)를 포함하는 고정체(100)에서 광 가이드부(200)의 집광부(210)는 광원(50)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제 1 방향으로 수용하여 반사부(220)로 유도할 수 있고, 반사부(220)는 유도된 빛을 반사하여 제 2 방향으로 방출할 수 있다. 즉, 광 가이드부(200)가 고정체(100)에 형성됨에 따라 고정체(100)는 광원(50)으로부터 방출된 빛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여 외부로 방출함과 동시에 고정체(100)에 장착될 수 있는 소정의 구성 요소들을 고정하는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관한 광 가이드부(200)를 포함하는 고정체(100)에서는 종래의 집광 모듈의 각 구성 요소들이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구성 요소들을 결합하는 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균열이나 유격((裕隔)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광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고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어 보다 선명하고 뚜렷한 발광 영역(250)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a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광 가이드부(200)를 포함하는 고정체(100)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관한 광 가이드부(200)를 포함하는 고정체(100)에서 광 가이드부(200)의 일부 단면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와 도 2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관한 광 가이드부(200)를 포함하는 고정체(1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알 수 있다. 이때 광 가이드부(200)를 제외한 다른 부분의 구성 및 효과는 일 실시예에 관한 광 가이드부(200)를 포함하는 고정체(100)와 동일한 바, 이와 중복되는 범위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 관한 광 가이드부(200)를 포함하는 고정체(100)에서 광 가이드부(200)의 집광부(210)는 광원(5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광원(50)이 복수 개일 때, 집광부(210)는 광원(5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며, 집광부(210) 각각은 대응되는 광원(50) 각각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집광부(210) 각각은 광 가이드부(200)의 일 면에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관한 광 가이드부(200)를 포함하는 고정체(100)에서 광 가이드부(200)의 일 면에는 광원(50)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용하는 집광부(210)가 광원(5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관한 광 가이드부(200)를 포함하는 고정체(100)에서 광 가이드부(200)의 집광부(210)는 광원(5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광원(50)을 중심으로 집광부(210)는 오목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집광부(210)가 오목한 면을 형성함에 따라 광원(50)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50)으로부터 방출된 빛은 광원(50)을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방출되는데 집광부(210)는 광원(50)으로부터 방출되어 방사 방향으로 진행하는 빛을 보다 효과적으로 포위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광원(5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는데, 광원(50)이 하나일 경우 광원(5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광 가이드부(200)에 형성된 집광부(210)는 하나의 광원(50)에 대응되도록 하나의 오목한 면을 가질 수 있다.
광원(50)이 복수 개일 경우, 집광부(210)는 광원(5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집광부(210) 각각은 대응되는 광원(50) 각각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광원(50)이 복수 개일 때 오목한 면을 갖는 집광부(210)는 광원(5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에서 같이 4 개의 광원(50)이 배치되어 광 가이드부(200)에 빛을 방출할 때 4 개의 광원(50)은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격 배치된 4개의 광원(50)은 광 가이드부(200)의 집광부(210)를 향하여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집광부(210)는 광원(5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4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4 개의 집광부(210) 각각은 대응되는 광원(50) 각각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광원(50)들 중 하나인 제 1 광원(501)에 대응되는 제 1 집광부(211)는 제 1 광원(501)을 중심으로 제 1 광원(501)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방출되는 빛을 포위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집광부(212)는 제 2 광원(502)을 중심으로 제 2 광원(502)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방출되는 빛을 포위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 3 집광부(213)는 제 3 광원(503)을 중심으로 제 3 광원(503)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방출되는 빛을 포위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 4 집광부(214)는 제 4 광원(504)을 중심으로 제 4 광원(504)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방출되는 빛을 포위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광원(501; 502; 503; 504)과 이에 대응되는 집광부(21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집광부(210) 각각은 광 가이드부(200)의 일 면에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와 같이 광 가이드부(200)의 일 면에서 제 1 집광부(211)에 연장되어 제 2 집광부(212)가 형성되고, 제 2 집광부(212)에 연장되어 제 3 집광부(213)가 형성되고, 제 3 집광부(213)에 연장되어 제 4 집광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집광부(211) 내지 제 4 집광부(214)는 광 가이드부(200)의 일 면에서 서로에 대하여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각 광원(50)에 대응되는 집광부(210)가 각 광원(50)을 중심으로 오목한 면을 형성함에 따라 각 광원(50)을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방출되는 빛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상술한 기재와 도면에 제한되지 않고 광원(50) 및 집광부(210)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의 개수, 형상, 및 위치 등이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실에 불과하다.
광 가이드부(200)의 집광부(210)에 수용된 빛은 반사부(220)로 유도될 수 있다. 이때 집광부(210)에 수용된 빛은 집광부(210)의 오목한 면에서 굴절되어 반사부(220)로 유도될 수 있다. 집광부(210)에 형성된 오목한 면은 집광부(210)에 수용된 빛이 반사부(220)로 효율적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관한 고정체(100)에서 광원(50)으로부터 방출된 빛의 경로를 개략적으로 알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관한 고정체(100)에서 광 가이드부(200)는 광원(50)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제 1 방향으로 수용하고 수용한 빛을 제 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 2 방향으로 방출하도록 빛을 가이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관한 고정체(100)의 광 가이드부(200)의 일 면에는 광원(50)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용하는 집광부(210)가 광원(5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광원(50)으로부터 방출되어 광원(5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집광부(210)에 의하여 수용된 빛은 집광부(210)에서 반사부(220)로 유도될 수 있다.
광 가이드부(200)의 면들 중 집광부(210)가 형성되는 광 가이드부(200)의 일 면의 반대측인 광 가이드부(200)의 타 면과 하부면은 일체로서 반사부(220)를 형성할 수 있으며, 반사부(220)는 집광부(210)에 의하여 유도된 빛을 제 2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부(220)에 의하여 제 2 방향으로 반사된 빛은 광 가이드부(200)로부터 방출될 수 있으며, 이후 사용자에게 빛이 노출될 수 있다.
광 가이드부(200)의 하부면과 광 가이드부(200)의 타 면은 일체로서 기울기가 일정한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광 가이드부(200)의 하부면과 광 가이드부(200)의 타면은 일체로서 광 가이드부(200)의 하부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기울기가 변경되는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사부(220)는 제 1 방향으로 유도된 빛을 제 2 방향으로 반사시키도록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곡면은 오목한 면일 수 있으며 제 1 방향으로 유도된 빛을 제 2 방향으로 반사시키도록 기 설정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예시로서, 도 1b를 참조하면 제 1 방향은 광원(50)으로부터 방출되어 광 가이드부(200)로 향하는 빛의 이동 방향일 수 있으며, 제 2 방향은 광 가이드부(200)의 반사부(220)로부터 반사되어 광 가이드부(200)를 빠져나가는 빛의 이동 방향일 수 있다.
또한 반사부(220)는 Ra ≤ 1인 표면 거칠기를 가져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경면(鏡面; mirror surface)일 수 있다.
도 3은 도 2b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관한 광 가이드부(200)를 포함하는 고정체(100)에서 광 가이드부(200)를 통과한 광이 형성하는 광 영역(250)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광원(50) 각각으로부터 방출된 빛은 광원(50)을 중심으로 광원(50)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방출되는 빛을 포위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집광부(210) 각각에 의하여 반사부(220)로 유도될 수 있다.
반사부(220)로 유도된 빛은 반사부(220)에 의하여 제 2 방향으로 방출되어 복수 개의 광 영역(25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광 역역 각각은 광원(50), 집광부(210), 및 반사부(220)의 성질에 따라 서로 상이한 특징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광 영역(250)이 서로 상이한 특징을 가질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는 이를 변경하여 다양한 용도에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2 개의 광원(50)에서 방출된 빛은 각각 대응되는 집광부(210)와 반사부(220)를 통과하여 별개의 광 영역(25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광원(50)의 종류, 색, 및 밝기뿐 아니라 집광부(210)와 반사부(220)의 곡률 등에 의하여 서로 구분되는 복수 개의 광 영역(250)이 형성될 수 있다.
광 가이드부(200)로부터 방출된 빛이 서로 구분되는 복수 개의 광 영역(250)을 형성함에 따라 복수 개의 광 영역(250)을 통하여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표시를 노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광 영역(250)은 실시예들에 관한 고정체(100)를 포함하는 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표시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광 영역(250)의 표시를 조합하여 고정체(10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작동 상태 및 기능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기재와 도면에 제한되지 않고 광원(50), 집광부(210), 반사부(220)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의 개수, 형상, 및 위치 등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광 영역(250)을 통하여 표시할 수 있는 정보 또한 상술한 설명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도 4는 실시예들에 관한 고정체(100)를 포함하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내부에 실시예들에 관한 고정체(100); 고정체(100)의 광 가이드부(200)로 빛을 방출하는 광원(50); 및 고정체(100)의 광 가이드부(200)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용하여 외부로 출광시키는 출광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PCB 회로기판(400)을 더 포함하되, PCB 회로기판(400)은 고정체(100)에 장착되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 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알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일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내부에는 공동이 형성되어 공동에 삽입된 궐련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을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액체 카트리지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으며, 액체 카트리지 내부의 액체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증기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를 가열하기 위한 증기화기는 카토마이저(cartomizer) 또는 무화기(atomizer)로 지칭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액체 카트리지를 수용한 후 증기화기를 통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궐련과 액체 카트리지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하여 궐련과 액체 카트리지를 함께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궐련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삽입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증기화기를 작동시켜, 증기화기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증기화기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은 궐련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어려움 없이 이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출광부(300)를 포함하는데, 출광부(300)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외부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출광부(300)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 내부에 위치하는 실시예들에 관한 고정체(100)의 광 가이드부(200)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외부로 노출할 수 있다.
광원(50)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실시예들에 관한 고정체(100)의 광 가이드부(200)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과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바, 이와 중복되는 범위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출광부(3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 내의 고정체(100)의 광 가이드부(200)에 대응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출광부(300)는 또한 복수 개일 수 있는데 출광부(300)의 개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 내의 고정체(100)의 광 가이드부(200)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 내부의 고정체(100)의 광 가이드부(200)에 대응되는 위치에 광 가이드부(200)의 개수에 대응되는 2 개의 출광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2 개의 출광부(300)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상이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 내의 고정체(100)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 내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PCB 회로기판(400)이 장착된 고정체(100)에 대하여 알 수 있다. PCB 회로기판(400)은 고정체(100) 상에 장착되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 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PCB 회로기판(400)은 실시예들에 관한 고정체(100)의 일 부분으로서 고정체(100)의 베이스부(150)로부터 돌출 형성된 광 가이드부(200)가 통과하는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PCB 회로기판(400)은 실시예들에 관한 고정체(100)에 장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PCB 회로기판(400)은 고정체(100)에 끼워 맞춤되거나, 도포되는 접착 물질을 통하여 고정체(100)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PCB 회로기판(400)이 고정체(100)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한 결합 방법은 상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PCB 회로기판(400)은 고정체(100)에 장착되어 고정체(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PCB 회로기판(400)은 고정체(100)에 장착되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 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관한 고정체(100)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구성 요소들과 결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 내의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관한 고정체(100)의 광 가이드부(200)에서 집광부(210)는 광원(50)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제 1 방향으로 수용하여 반사부(220)로 유도할 수 있고, 반사부(220)는 유도된 빛을 반사하여 제 2 방향으로 방출할 수 있다.
즉, 광 가이드부(200)가 고정체(100)에 형성됨에 따라 고정체(100)는 고정체(100)를 포함하는 장치(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 내에서 구성 요소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광원(50)으로부터 방출된 빛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광원(50)의 위치에 따른 고정체(100)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광원(50)은 고정체(100) 또는 PCB 회로기판(40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a와 같이 광원(50)이 고정체(100) 상에 위치하는 경우 PCB 회로기판(400)과 고정체(100)는 전극(450)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PCB 회로기판(400)이 고정체(100)와 전극(45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고정체(100) 상에 있는 광원(5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PCB 회로기판(40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은 광원(50)은 고정체(100)의 광 가이드부(200)를 향하여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도 6b와 같이 광원(50)은 PCB 회로기판(40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광원(50)이 PCB 회로기판(400) 상에 위치하는 경우 광원(50)은 PCB 회로기판(400)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PCB 회로기판(40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광원(50)은 고정체(100)의 광 가이드부(200)를 향하여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제어부(미도시) 및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광원(50)을 제어함으로써 배터리의 잔량을 출광부(30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광원(50)을 제어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온/오프(on/off)의 작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제어부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 내의 구성 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광원(5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광원(50)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종류, 점멸 여부, 세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출광부(300)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 내부에 위치하는 실시예들에 관한 고정체(100)의 광 가이드부(200)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외부로 노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 내의 광원(50)을 제어함으로써 출광부(300)를 통하여 표시되는 빛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광원(50)을 제어함으로써 출광부(300)에 표시되는 빛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잔량을 출광부(300)에 표시할 수 있는데, 배터리의 잔량을 측정한 후 광원(50)의 세기, 점등하는 광원(50)의 개수 및 광원(50)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또한 광원(50)을 제어함으로써 출광부(300)에 표시되는 빛을 이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온/오프(on/off)의 작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데, 광원(50)의 세기, 점등하는 광원(50)의 개수 및 광원(50)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온/오프(on/off)의 작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가 조절할 수 있는 광원(50)의 성질은 상술한 특징에 제한되지 않으며, 또한 광원(50)을 조절함으로써 표시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정보 또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에 관한 광 가이드를 포함하는 고정체(100)는 광을 가이드하는 광 가이드부(200)에 빛을 집광시키는 집광부(210)와 빛의 경로를 조정하도록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부(220)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각 집광 모듈의 구성 요소들을 위한 공간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아 집광 모듈이 장착되는 장치(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집광부(210)와 반사부(220)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구성 요소들을 결합하는 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균열이나 유격((裕隔)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광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고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어 보다 선명하고 뚜렷한 발광 영역(250)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 또한 실시예들에 관한 고정체(100)를 내부에 포함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할 수 있고 보다 선명하고 뚜렷한 발광 영역(250)을 생성할 수 있다. 더불어, 실시예들에 관한 광 가이드를 포함하는 고정체(100)는 광을 가이드하는 역할 뿐 아니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 내부의 구성 요소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50: 광원 100: 고정체
150: 베이스부 155: 포위부
200: 광 가이드부 210: 집광부
220: 반사부 250: 광 영역
300: 출광부 400: PCB 회로기판
450: 전극 1000: 에어로졸 생성 장치

Claims (18)

  1.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위치하고,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제 1 방향으로 수용하여 수용한 빛을 상기 제 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 2 방향으로 방출하도록 빛을 가이드하는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 가이드부의 일 면에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용하는 집광부가 상기 광원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집광부는 상기 광원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정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이드부의 상기 일 면의 반대측인 타 면은 하부면과 일체로서 반사부를 형성하되,
    상기 집광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상기 제 1 방향으로 수용하여 상기 반사부로 유도하고, 상기 반사부는 유도된 빛을 반사하여 상기 제 2 방향으로 방출하는,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정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유도된 빛을 상기 제 2 방향으로 반사시키도록 곡률을 갖는,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정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경면(鏡面)을 포함하는,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정체.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이드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인,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정체.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광 가이드부를 복수 개 포함하는,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정체.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향을 바라보는 상기 광 가이드부의 면은 미세 돌기를 포함하는,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정체.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이드부는 광 투과성 재료로 형성되는,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정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성 재료는 내부에 산란체를 포함하는,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정체.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이 복수 개일 때, 상기 집광부는 상기 광원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며,
    상기 집광부 각각은 대응되는 상기 광원 각각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정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부 각각은 상기 광 가이드부의 일 면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정체.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각각으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집광부 각각에 의하여 상기 반사부로 유도된 빛은 상기 반사부에 의하여 상기 제 2 방향으로 방출되어 복수 개의 광 영역을 형성하는,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정체.
  14. 제 1 항 내지 제 9 항 및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정체;
    상기 고정체의 상기 광 가이드부로 빛을 방출하는 상기 광원; 및
    상기 고정체의 상기 광 가이드부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용하여 외부로 출광시키는 출광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PCB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PCB 회로기판은 상기 고정체에 장착되어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고정체 또는 상기 PCB 회로기판 상에 위치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제어부; 및 배터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상기 출광부에 표시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온/오프(on/off)의 작동 상태를 상기 출광부에 표시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90025864A 2019-03-06 2019-03-06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정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tive KR102141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864A KR102141649B1 (ko) 2019-03-06 2019-03-06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정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202080001805.1A CN111902673A (zh) 2019-03-06 2020-03-05 包括光导的固定件及包括该固定件的气溶胶生成装置
EP20767269.2A EP3818300B1 (en) 2019-03-06 2020-03-05 Aerosol generating device
PCT/KR2020/003116 WO2020180128A1 (en) 2019-03-06 2020-03-05 Fixture including light guid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the fixture
JP2020558000A JP7388799B2 (ja) 2019-03-06 2020-03-05 光ガイド部を含む固定体、及びその固定体を含むエアロゾル生成装置
US17/044,176 US11493184B2 (en) 2019-03-06 2020-03-05 Fixture including light guid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the fixture
JP2022128390A JP7521868B2 (ja) 2019-03-06 2022-08-10 光ガイド部を含む固定体、及びその固定体を含むエアロゾル生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864A KR102141649B1 (ko) 2019-03-06 2019-03-06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정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649B1 true KR102141649B1 (ko) 2020-08-05

Family

ID=72041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864A Active KR102141649B1 (ko) 2019-03-06 2019-03-06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정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93184B2 (ko)
EP (1) EP3818300B1 (ko)
JP (2) JP7388799B2 (ko)
KR (1) KR102141649B1 (ko)
CN (1) CN111902673A (ko)
WO (1) WO20201801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5387A (ko) * 2022-03-16 2023-09-2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734B1 (ko) * 2021-04-29 2024-01-0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US20240407465A1 (en) * 2021-10-20 2024-12-12 Kt&G Corporation Aerosol-generating device
TW202504506A (zh) * 2023-06-19 2025-02-01 英商尼可創業貿易有限公司 氣溶膠供應裝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1037A (ko) * 2006-02-09 2007-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JP2010519689A (ja) * 2007-02-20 2010-06-03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光ガイド方向付けコネクタ
KR20120051830A (ko) * 2010-11-15 2012-05-23 박철 도광판 제조방법 및 도광판
KR20170112278A (ko) * 2016-03-31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KR20180061881A (ko) * 2016-11-30 2018-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4377A (en) * 1978-06-16 1979-12-27 Michio Okada Plane lighting fitting
JPH03203045A (ja) 1989-12-28 1991-09-04 Nec Home Electron Ltd レンズおよび光ヘッド
JPH04340919A (ja) 1991-05-17 1992-11-27 Canon Inc 偏光照明素子および該素子を有する投写型表示装置
US6224223B1 (en) 1997-12-22 2001-05-01 Casio Computer Co., Ltd. Illumination panel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3817877B2 (ja) 1997-12-22 2006-09-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照明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00003611A (ja) 1998-06-15 2000-0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照明装置、ビューファインダ、ビデオカメラ、照明装置の製造方法、投射型表示装置、表示パネル、映像表示装置、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および表示パネルの駆動回路
JP2001176315A (ja) * 1999-12-15 2001-06-29 Mitsubishi Rayon Co Ltd 面状発光照明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卓上照明装置
JP2001255415A (ja) * 2000-03-09 2001-09-21 Citizen Electronics Co Ltd 導光板
KR20040062797A (ko) 2003-01-03 2004-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가이드 방법 및 그 장치와, 이를 갖는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US7515220B2 (en) * 2005-04-01 2009-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JP4529850B2 (ja) 2005-09-15 2010-08-25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JP4780788B2 (ja) * 2007-01-31 2011-09-28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Led灯具ユニット
JP2008218139A (ja) 2007-03-02 2008-09-18 Takehisa Saito 反射板、反射板体、及び面発光装置
JP2009252380A (ja) 2008-04-01 2009-10-29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中空式面照明装置
KR101475045B1 (ko) 2008-10-07 2014-12-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엠블럼 어셈블리
JP5349190B2 (ja) * 2009-07-29 2013-11-20 株式会社エス・ケー・ジー 照明装置
US9157581B2 (en) * 2009-10-05 2015-10-13 Lighting Science Group Corporation Low profile luminaire with light guide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TWI405929B (zh) 2010-07-28 2013-08-21 Hon Hai Prec Ind Co Ltd Led照明裝置
JP2014135120A (ja) 2011-04-28 2014-07-24 Sharp Corp 面光源装置、表示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5903279B2 (ja) 2012-01-19 2016-04-1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6051580B2 (ja) * 2012-04-26 2016-12-27 有限会社山崎抜型 撮影用導光板
JP5828804B2 (ja) 2012-05-24 2015-12-09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文字板照明構造
JP6128761B2 (ja) 2012-06-20 2017-05-17 三菱電機株式会社 面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14148729A1 (en) 2013-03-19 2014-09-25 Plum Science Surface illumination system based on a curved waveguide
KR20140123134A (ko) 2013-04-10 2014-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사형 확산 렌즈 및 조명장치
CA2852318A1 (en) * 2013-09-16 2015-03-16 Cameron Lanning Cormack Printed battery for electronic personal vaporizer
CN204146334U (zh) 2014-09-22 2015-02-11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电子吸烟装置及可与雾化器组装成电子吸烟装置的盒体
CN204376430U (zh) 2014-10-24 2015-06-03 深圳市云享科技有限公司 供电装置和电子烟
JP6498474B2 (ja) 2015-02-25 2019-04-10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GB201508405D0 (en) 2015-05-15 2015-07-01 British American Tobacco Co Article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 aerosol
EP3673756B1 (en) * 2016-04-22 2021-06-09 JT International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a laser
US10267972B2 (en) * 2016-10-25 2019-04-23 Svv Technology Innovations, Inc. Shaped light guide illumination devices
CN207023247U (zh) 2017-07-07 2018-02-23 深圳市赛尔美电子科技有限公司 电池杆与电子烟
CN107616554A (zh) 2017-11-03 2018-01-23 玉溪市新特材料有限公司 一种低温燃烧器
CN207400339U (zh) 2017-11-03 2018-05-25 玉溪市新特材料有限公司 一种低温燃烧器
CN207964112U (zh) 2018-01-08 2018-10-12 吉士福电子科技(东莞)有限公司 一种自动检测烟支的装置
CN108303190B (zh) 2018-01-08 2020-12-22 吉士福电子科技(东莞)有限公司 一种自动检测烟支的装置及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1037A (ko) * 2006-02-09 2007-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JP2010519689A (ja) * 2007-02-20 2010-06-03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光ガイド方向付けコネクタ
KR20120051830A (ko) * 2010-11-15 2012-05-23 박철 도광판 제조방법 및 도광판
KR20170112278A (ko) * 2016-03-31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KR20180061881A (ko) * 2016-11-30 2018-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5387A (ko) * 2022-03-16 2023-09-2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749224B1 (ko) * 2022-03-16 2024-12-3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33261A1 (en) 2021-02-04
EP3818300A1 (en) 2021-05-12
JP2021518762A (ja) 2021-08-05
EP3818300B1 (en) 2023-10-11
JP7388799B2 (ja) 2023-11-29
JP2022180347A (ja) 2022-12-06
US11493184B2 (en) 2022-11-08
CN111902673A (zh) 2020-11-06
JP7521868B2 (ja) 2024-07-24
EP3818300A4 (en) 2022-04-13
WO2020180128A1 (en) 202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1649B1 (ko)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정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EP2867710B1 (en) Illumination device in which source light injection is non-parallel to device's optical axis
JPH0129928Y2 (ko)
CN102278703B (zh) 光束控制部件、发光装置以及照明装置
KR101731661B1 (ko) 광원 장치 및 이 광원 장치를 이용한 면 조명 장치
US20070188457A1 (en) Optical mouse system with illumination guide having a light spreading lens
CN110537054B (zh) 光束控制部件、发光装置、面光源装置及显示装置
CN107614964B (zh) 光束控制部件、发光装置及照明装置
KR20140104002A (ko) 조사장치 및 화상 판독장치
WO2015151675A1 (ja) 光束制御部材、発光装置、面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CN106151924A (zh) 一种偏光透镜及led条形灯
JP2007087658A (ja) 面照明装置
JP2018037246A (ja) 面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5230749A (ja) 光束制御部材、発光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6345875B2 (ja) 光束制御部材、発光装置、面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WO2016194798A1 (ja) 面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8037257A (ja) 面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CN111051769A (zh) 发光装置、面光源装置及显示装置
JP2019145388A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CN110715219A (zh) 照明天花板及led照明装置
JP2018063788A (ja) 光束制御部材、発光装置、面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11231619B2 (en) Light bundle control member, light emitting device, area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device
US20220291548A1 (en) Light flux controlling member, light emitting devic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device
JP6824025B2 (ja) 面光源装置、表示装置および面光源装置の製造方法
JP2001299529A (ja) 照明装置およびショー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7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