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41614B1 -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614B1
KR102141614B1 KR1020190072832A KR20190072832A KR102141614B1 KR 102141614 B1 KR102141614 B1 KR 102141614B1 KR 1020190072832 A KR1020190072832 A KR 1020190072832A KR 20190072832 A KR20190072832 A KR 20190072832A KR 102141614 B1 KR102141614 B1 KR 102141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aw material
base material
cosmetic composition
glyc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대현
최성욱
김지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팜인스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팜인스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팜인스킨
Priority to KR1020190072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6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61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물과 베이스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원물이 상기 베이스 물질에 부유하며, 상기 베이스 물질은, 물, 에탄올(Etanol), 판테놀(Panthenol), 부틸렌 글라이콜(Butylene Glycol),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벤질 글라이콜, 라스베리케톤(Raspberry Ketone), 카프릴릴 글라이콜(Caprylyl Glycol), 글루콘산나트륨(Sodium Gluconate), 젤란검(Gellan Gum) 및 잔탄검(Xanthan Gu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베이스 물질 내 원물이 안정적으로 부유하며, 점도가 높지 않아 원물이 함유된 액상의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물을 안정적으로 부유시키며, 상기 부유된 원물로부터 유효성분을 제형 내로 추출할 수 있는 액상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꽃잎 등의 원물이 포함된 액상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은 원물이 용기 바닥 면에 가라앉아 있기 때문에 원활한 내용물 원활한 내용물 토출을 위해 브로우 용기를 이용하고 있으나, 이 경우 펌프 디스펜서를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 개선을 위하여, 원물을 부유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안되었는바, 합성 점증제 또는 검류를 사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를 높이는 방법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고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타입이 한정되므로, 스킨, 클렌징 워터, 샴푸, 샤워젤 등과 같은 액상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종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5609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04477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3808호에서는 액상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내 원물을 부유시키는 방법이 제한되었으나, 베이스 물질을 오일로 한정함으로써, 립 제품 등에 제한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뿐, 스킨, 클렌징 워터, 샴푸, 샤워젤 등 다양한 액상 타입의 화장료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액상 타입의 화장료에 적용하기 위해 점도가 낮으면서 원물을 장시간 부유시킬 수 있으며, 물을 베이스 물질의 주성분으로 하는 화장료를 개발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KR 10-2019-0056099 A KR 10-2018-0104477 A KR 10-1913808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물을 안정적으로 부유시키고, 원물의 유효성분이 베이스 물질 내 추출되며, 저점도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을 베이스 물질의 주성분으로 사용함으로써, 토너, 에센스, 클렌징 워터, 샴푸, 샤워젤 등의 다양한 액상 타입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원물과 베이스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원물이 상기 베이스 물질에 부유하며, 상기 베이스 물질은, 물, 에탄올(Etanol), 판테놀(Panthenol), 부틸렌 글라이콜(Butylene Glycol),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벤질 글라이콜, 라스베리케톤(Raspberry Ketone), 카프릴릴 글라이콜(Caprylyl Glycol), 글루콘산나트륨(Sodium Gluconate), 젤란검(Gellan Gum) 및 잔탄검(Xanthan Gu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물질은, 에탄올 1~20중량%, 판테놀 0.1~2중량%, 부틸렌 글라이콜 1~20중량%, 염화나트륨 0.1~1중량%, 에틸헥실글리세린 0.1~0.5중량%, 벤질 글라이콜 0.1~0.5중량%, 라스베리케톤 0.01~3중량%, 카프릴릴 글라이콜 0.1~0.5중량%, 글루콘산나트륨 0.1~0.5중량%, 젤란검 0.001~0.3중량%, 잔탐검 0.001~0.3중량% 및 잔부의 증류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물 0.001~5중량%와 상기 베이스 물질 95~9.999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물은, 식물의 꽃잎, 수술, 암술, 열매, 뿌리, 줄기, 잎,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것이고, 그 직경이 0.1mm~3c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물은, 장미, 계화꽃(Osmanthus), 수레국화(Corn Flower), 캐모마일, 쟈스민, 당아욱(mallow), 라벤더, 작약, 해바라기, 히비스커스, 모예화(mullein), 로즈마리, 아르니카, 클로브, 비터오렌지(Citrus Aurantium Amara flower), 라즈베리, 자작나무, 카렌둘라, 달맞이, 연꽃, 로즈힙, 동백, 인삼, 녹차 및 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베이스 물질 내 원물이 안정적으로 부유하며, 점도가 높지 않아 원물이 함유된 액상의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원물을 베이스 물질 내 안정적으로 부유시키되, 상기 베이스 물질의 주성분이 물이고, 점도가 낮아 액상 타입의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이 가능토록 한다는 데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원물과 베이스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원물이 상기 베이스 물질에 부유하며, 상기 베이스 물질은, 물, 에탄올(Etanol), 판테놀(Panthenol), 부틸렌 글라이콜(Butylene Glycol),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벤질 글라이콜, 라스베리케톤(Raspberry Ketone), 카프릴릴 글라이콜(Caprylyl Glycol), 글루콘산나트륨(Sodium Gluconate), 젤란검(Gellan Gum) 및 잔탄검(Xanthan Gu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 물질은 상기 원물을 부유시키기 위한 것으로, 종래 오일을 주성분으로 하여 다양한 화장료에 적용이 어려웠으나, 본 발명에서는 물을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물은 베이스 물질 100중량%에 대하여 잔부로 포함됨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에탄올(Etanol)은 각종 성분의 용매로 작용하는 것은 물론, 부유하는 원물의 유효성분이 베이스 물질 내 추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화장료 조성물 내 원물의 유효성분 함량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에탄올은 베이스 물질 100중량%에 대하여 1~20중량%로 포함되는바, 그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유효성분의 추출이 어렵고, 과량이 되면 피부 자극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판테놀(Panthenol)은 보습제로 사용되는 것으로, D-판테놀, DL-판테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판테놀은 베이스 물질 100중량%에 대하여 0.1~2중량%로 포함되는바, 그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기능성의 발현이 어렵고, 2중량%를 초과하더라도 더 이상의 증진된 효과를 갖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 부틸렌 글라이콜(Butylene Glycol)은 발효시킨 사탕수수에서 추출한 지방산에서 나온 물질로 만든 천연성분으로, 1-3 부탄디올, B-부틸렌 글라이콜 등으로도 불린다. 상기 부틸렌 글라이콜은 화장료 조성물 내 용매로 작용함은 물론, 점도를 감소시켜 유동성을 높여주며, 보존제로도 작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젤란검 및 잔탐검의 사용으로 인해 점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부틸렌 글라이콜은 베이스 물질 100중량%에 대하여 1~20중량%로 포함되는바, 그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없고, 20중량%를 초과하면 피부 자극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은 전해질로써, 젤란검, 잔탄검과 함께 사용시 저점도를 유지하면서도 원물을 안정적으로 장기간 부유시키도록 하는 성분이다. 즉, 염화나트륨 없이 젤란검 및 잔탄검만을 사용할 경우, 젤란검 및 잔탄검의 함량이 낮으면 원물의 부유가 어렵고, 함량이 높으면 점도가 높아져 액상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없으나, 염화나트륨을 함께 사용할 경우 염화나트륨이젤란검 및 잔탄검의 구조변화를 촉진시켜 소량 사용하더라도 원물의 부유가 가능해지고, 점도가 높아지는 것은 방지됨으로써, 액상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염화나트륨은 베이스 물질 100중량%에 대하여 0.1~1중량%로 포함되는바, 그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점도를 낮출 수 없고, 1중량%를 초과하면 탄력성이 커져 액상 제품에의 적용이 어렵기 때문이다.
상기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은, 보습제 및 수분증발차단제로 작용하는 것은 물론, 원물이 안정적으로 부유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틸헥실글리세린은 베이스 물질 100중량%에 대하여 0.1~0.5중량%로 포함되는바, 그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과량이 되면 피부자극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벤질 글라이콜(Benzyl Glycol)은 베이스 물질을 안정화키고, 원물의 부유를 돕는 성분으로, 물, 에탄올 등과 혼합되어 원물이 보다 안정적으로 부유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벤질 글라이콜은 베이스 물질 100중량%에 대하여 0.1~0.5중량%로 포함되는바, 그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과량이 되더라도 더 이상의 증진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 라스베리케톤(Raspberry Ketone)은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부여하며, 모발 성장을 촉진하며, 피부 탄력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는 성분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원물의 유효성분 추출을 돕는 역할을 한다.
상기 라스베리케톤은 베이스 물질 100중량%에 대하여 0.01~3중량%로 포함되는바,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과량이 되면 피부자극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카프릴릴 글라이콜(Caprylyl Glycol)은 피부 수분을 조절하여 보습력을 유지시키는 성분이다.
상기 카프릴릴 글라이콜은 베이스 물질 100중량%에 대하여 0.1~0.5중량%로 포함되는바, 그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과량이 되면 피부자극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글루콘산나트륨(Sodium Gluconate)은 킬레이트제로 사용되는 성분이다.
상기 글루콘산나트륨은 베이스 물질 100중량%에 대하여 0.1~0.5중량%로 포함되는바, 그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과량이 되면 피부자극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젤란검은 포도당, 글루콘산, 람노스가 규칙적으로 반복된 곧은 사슬 모양의 다당류를 의미하며, 엘로데아속의 수초로부터 분리된 슈도모나스 엘로데아(Pseudomonas elodea)를 사용하여 탄수화물을 순수배양 발효시켜서 얻은 고분자 다당류 검물질을 정제·건조·분쇄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상기 젤란검은 아실기가 제거된 타입 및 아실기가 결합된 것일 수 있으나,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고 사용 가능하다. 상기 젤란검은 원물을 안정적으로 장시간 부유시키면서도, 베이스 물질의 점도를 높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젤란검은 베이스 물질 100중량%에 대하여 0.001~0.3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사용량이 0.001중량% 미만이면 원물의 안정적인 부유가 어렵고, 0.3중량%를 초과하면 점도 상승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잔탐검(Xanthan Gum)의 원료는 콩 불마름(Xanthomonas campestris)으로 탄수화물을 순수배양 발효하여 얻은 고분자량의 헤테로폴리사카라이드검 성분이다. 상기 잔탄검은 통상 점증제로 사용되나, 본 발명에서는 원물의 부유를 위해 사용된다. 즉, 상기 잔탄검은 젤란검, 염화나트륨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원물을 더욱 안정적으로 부유시키면서도 베이스 물질의 점도를 상승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잔탄검은 베이스 물질 100중량%에 대하여 0.001~0.3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사용량이 0.001중량% 미만이면 원물의 안정적인 부유가 어렵고, 0.3중량%를 초과하면 점도 상승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베이스 물질은 원물을 안정적으로 부유시키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원물을 바닥에 가라앉지 않고 장시간 동안 부유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아울러, 이러한 베이스 물질은 점도가 매우 낮아 물에 가까운 상태로써, 액상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의 적용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원물은 상기 베이스 물질에 부유하는 상태로 존재하는바, 상기 원물은 식물의 꽃잎, 수술, 암술, 열매, 뿌리, 줄기, 잎,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것일 수 있다. 아울러,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물은 건조 상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고, 그 직경은 0.1mm~3cm 정도 일 수 있다. 이는 상기 원물의 직경이 0.1cm 미만일 경우 시각적 효과가 떨어지게 되고, 3cm를 초과할 경우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 식물은 장미, 계화꽃(Osmanthus), 수레국화(Corn Flower), 캐모마일, 쟈스민, 당아욱(mallow), 라벤더, 작약, 해바라기, 히비스커스, 모예화(mullein), 로즈마리, 아르니카, 클로브, 비터오렌지(Citrus Aurantium Amara flower), 라즈베리, 자작나무, 카렌둘라, 달맞이, 연꽃, 로즈힙, 동백, 인삼, 녹차 및 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를 제한하지 않으며, 종래 화장료 조성물로 각종 기능성을 갖는 다양한 원물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원물과 베이스 물질을, 상기 원물 0.001~5중량% 및 상기 베이스 물질 95~99.999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 통상 화장료로서 사용 가능한 첨가제, 예시적으로 보습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미용성분, 당지질, 식물추출액, 방부제, 향료, pH 조정제, 색소 등을 공지된 함량에 따라 1종 이상 더 첨가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토너, 에센스, 샴푸, 샤워젤 등의 액상 타입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 이외 기타 다양한 타입의 화장로로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사용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의 베이스 물질은 노팔 선인장의 추출물 0.01~1중량% 및 벌노랑이 추출물 0.01~1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팔 선인장의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기능성을 높여주는 것은 물론, 원물이 보다 안정적으로 장기간 부유되도록 돕는 성분이다. 상기 노팔 선인장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노팔 선인장 추출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노팔 선인장은 물 및 에탄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노팔 선인장의 건조물에 1~20중량배의 용매를 가한 후, 20~80℃에서 1~20시간 추출하고, 여과, 농축 및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벌노랑이 추출물 역시 화장료 조성물의 기능성을 높여주고, 원물이 보다 안정적으로 장기간 부유되도록 돕는 성분이다. 상기 벌노랑이는 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우리나라 중부 이남이나 일본, 중국, 히말리야의 숲이나 풀밭의 반그늘이나 양지에 자생하며, 한방에서는 벌노랑이의 전초 및 꽃, 뿌리를 약재로 사용하고 있고, 학명은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a Regel이다. 상기 벌노랑이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벌노랑이 추출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벌노랑이는 물 및 에탄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벌노랑이의 건조물에 1~20중량배의 용매를 가한 후, 20~80℃에서 1~20시간 추출하고, 여과, 농축 및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하기 표 1과 같은 성분비로 베이스 물질을 조성하였다.
실시예 1의 베이스 물질 조성비
구분 CAS. NO. 조성비(중량%)
에탄올 64-17-5 10
펜테놀 81-13-0/16485-10-2 0.5
부틸렌 글라이콜 107-88-0 10
염화나트륨 7647-14-5 0.5
에틸헥실글리세린 70445-33-9 0.3
벤질 글라이콜 622-08-2 0.3
라스베리케톤 5471-51-2 1
카프릴릴 글라이콜 1117-86-8 0.2
글루콘산나트륨 527-07-1/14906-97-9 0.13
젤란검 71010-52-1 0.1
잔탄검 11138-66-2 0.1
7732-18-5 to 100
그리고 상기 베이스 물질에 건조된 장미꽃잎(직경 2cm)을 준비하고, 상기 장미꽃잎 0.5중량%와 상기 베이스 물질 99.5중량%를 혼합하였다.
(실시예 2 내지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하기 표 2과 같은 성분비로 베이스 물질을 조성하였다.
실시예 2 내지 4의 베이스 물질 조성비(중량%)
구분 CAS. NO.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에탄올 64-17-5 1 20 10
펜테놀 81-13-0/16485-10-2 0.1 2 0.5
부틸렌 글라이콜 107-88-0 1 20 10
염화나트륨 7647-14-5 0.1 1 0.5
에틸헥실글리세린 70445-33-9 0.1 0.5 0.3
벤질 글라이콜 622-08-2 0.1 0.5 0.3
라스베리케톤 5471-51-2 0.01 3 1
카프릴릴 글라이콜 1117-86-8 0.1 0.5 0.2
글루콘산나트륨 527-07-1/14906-97-9 0.1 0.5 0.13
젤란검 71010-52-1 0.001 0.3 0.1
잔탄검 11138-66-2 0.001 0.3 0.1
노팔 선인장 추출물 - - - 0.5
벌노랑이 추출물 - - - 0.5
7732-18-5 to 100 to 100 to 100
이때, 노팔 선인장 추출물은 노팔 선인장 줄기 및 열매의 건조물에 5중량배의 70% 에탄올을 가한 후, 30℃에서 5시간 추출 후, 여과, 농축 및 건조한 것을 사용하였고, 벌노랑이 추출물은 벌노랑이 전초의 건조물에 5중량배의 70% 에탄올을 가한 후, 30℃에서 5시간 추출 후, 여과, 농축 및 건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사용하되, 잔탄검을 대신하여 젤란검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사용하되, 젤란검을 대신하여 잔탄검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사용하되, 염화나트륨 및 부틸렌 글라이콜을 사용하지 않았다.
(실험예 1)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따른 조성물의 원물의 부유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관찰시간은 제조 후 1 내지 64시간이었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결과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부유 정도 ×
○: 원물이 안정하게 부유됨.
△: 시간이 지남에 따라 원물이 가라앉음
×: 원물이 가라앉음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은 모두 안정적으로 원물이 부유되었으나, 비교예 2 내지 3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원물이 가라앉거나 부유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따른 조성물의 점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결과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점도(mPa·s) 358.2 102.3 758.2 340.2 981 1142 1521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은 모두 점도가 낮아 액상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로서 제공될 수 있었으나, 비교예 2 내지 3은 비교적 점도가 높아 액상 타입으로의 제공이 어렵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따른 조성물의 저장기간에 따른 원물의 부유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관찰시간은 제조 후 2년 후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3 결과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부유 정도 × × ×
○: 원물이 안정하게 부유됨.
×: 원물이 가라앉음
상기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는 모두 안정적으로 원물이 부유된 상태였으나, 비교예 1 내지 3은 원물이 가라앉은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실시예 3, 4는 실시예 1, 2에 비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원물이 부유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피부노화가 진행 중인 성인 여드름을 갖는 30대 여성 40명(그룹당 10명)을 대상으로, 상기한 실시예 1 내지 4를 12주간 아침, 저녁으로 토너로서 사용토록 한 후, 보습, 탄력개선, 항균(여드름 완화), 미백, 모공수축 효과와 전체적인 만족도를 9점 척도(9점은 매우 개선됨, 1점은 매우 악화됨으로 하여 점수는 순차적으로 감소)로 평가토록 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평균으로 하여 나타내었다.
실험예 4 결과
구분 보습 탄력 항균 미백 모공수축 만족도
실시예 1 6.0 6.1 6.0 6.5 6.2 6.1
실시예 2 5.6 5.1 5.6 6.1 6.0 5.8
실시예 3 6.1 6.5 6.7 7.1 6.4 6.5
실시예 4 6.3 6.7 7.2 7.5 6.8 7.0
상기 표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는 모두 보습, 탄력, 항균, 미백, 모공수축 및 전체적인 만족도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원물과 베이스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원물이 상기 베이스 물질에 부유하며,
    상기 베이스 물질은,
    에탄올 1~20중량%, 판테놀 0.1~2중량%, 부틸렌 글라이콜 1~20중량%, 염화나트륨 0.1~1중량%, 에틸헥실글리세린 0.1~0.5중량%, 벤질 글라이콜 0.1~0.5중량%, 라스베리케톤 0.01~3중량%, 카프릴릴 글라이콜 0.1~0.5중량%, 글루콘산나트륨 0.1~0.5중량%, 젤란검 0.001~0.3중량%, 잔탐검 0.001~0.3중량%, 노팔 선인장의 추출물 0.01~1중량%, 벌노랑이 추출물 0.01~1중량% 및 잔부의 증류수를 포함하고,
    상기 원물은 그 직경이 0.1mm~3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물 0.001~5중량%와 상기 베이스 물질 95~99.999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물은,
    식물의 꽃잎, 수술, 암술, 열매, 뿌리, 줄기, 잎,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장미, 계화꽃(Osmanthus), 수레국화(Corn Flower), 캐모마일, 쟈스민, 당아욱(mallow), 라벤더, 작약, 해바라기, 히비스커스, 모예화(mullein), 로즈마리, 아르니카, 클로브, 비터오렌지(Citrus Aurantium Amara flower), 라즈베리, 자작나무, 카렌둘라, 달맞이, 연꽃, 로즈힙, 동백, 인삼, 녹차 및 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072832A 2019-06-19 2019-06-19 화장료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2141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832A KR102141614B1 (ko) 2019-06-19 2019-06-19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832A KR102141614B1 (ko) 2019-06-19 2019-06-19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614B1 true KR102141614B1 (ko) 2020-08-06

Family

ID=72040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832A Expired - Fee Related KR102141614B1 (ko) 2019-06-19 2019-06-19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61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0344A (ja) * 2001-04-23 2005-11-17 L'oreal Sa 敏感肌又は不耐性皮膚の許容限界を増大させるための少なくとも一のキレート剤を含む組成物の使用
KR20170030593A (ko) * 2014-07-11 2017-03-17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포어 미니마이저
KR20180104477A (ko) 2017-03-13 2018-09-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건조 꽃잎을 분산시킨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13808B1 (ko) 2017-01-12 2018-11-01 위즈티앤티 주식회사 말린 꽃잎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7411B1 (ko) * 2017-09-13 2019-03-12 (주)뷰티화장품 생약 추출물 함포 펙틴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6099A (ko) 2017-11-16 2019-05-24 (주)아모레퍼시픽 꽃잎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3226A (ko) * 2017-11-29 2019-06-07 지디케이화장품(주) 원물이 함유된 필오프 타입 팩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0344A (ja) * 2001-04-23 2005-11-17 L'oreal Sa 敏感肌又は不耐性皮膚の許容限界を増大させるための少なくとも一のキレート剤を含む組成物の使用
KR20170030593A (ko) * 2014-07-11 2017-03-17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포어 미니마이저
KR101913808B1 (ko) 2017-01-12 2018-11-01 위즈티앤티 주식회사 말린 꽃잎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4477A (ko) 2017-03-13 2018-09-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건조 꽃잎을 분산시킨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7411B1 (ko) * 2017-09-13 2019-03-12 (주)뷰티화장품 생약 추출물 함포 펙틴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6099A (ko) 2017-11-16 2019-05-24 (주)아모레퍼시픽 꽃잎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3226A (ko) * 2017-11-29 2019-06-07 지디케이화장품(주) 원물이 함유된 필오프 타입 팩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690B1 (ko) 배초향을 함유하는 피지관리 및 모공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9688A (ko) 미백 활성을 갖는 당유자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68507B1 (ko) 효소처리 그라비올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0646B1 (ko) 록샘파이어의 캘러스 배양물인 줄기세포 스템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75951B1 (ko) 해당화 추출물 및 장미꽃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09453100A (zh) 一种全成分天然来源且不含去离子水的乳液
CN106880561B (zh) 用于调节皮肤温度的含有紫竹提取物的化妆品组合物
KR101914623B1 (ko) 식물 유래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80001815A (ko) 미선나무 효모 발효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12446A (ko) 돌가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141614B1 (ko) 화장료 조성물
KR20180137952A (ko) 마스크 팩
KR20190045455A (ko) 갈대 추출물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60380A (ko)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102298449B1 (ko) 포포나무 추출물 및 록샘파이어의 캘러스 배양물인 줄기세포 스템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41686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01133B1 (ko) 어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47062B1 (ko)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24354B1 (ko)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61687B1 (ko)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810204B1 (ko) 용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874176B1 (ko) 인삼잎을 부틸렌글리콜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f1 및 f2중 적어도 하나가 강화된 인삼잎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726854B1 (ko) 산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
KR102802691B1 (ko) 새우난초 분열조직세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7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