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41602B1 - 철근 기계식 이음구 - Google Patents

철근 기계식 이음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602B1
KR102141602B1 KR1020200014278A KR20200014278A KR102141602B1 KR 102141602 B1 KR102141602 B1 KR 102141602B1 KR 1020200014278 A KR1020200014278 A KR 1020200014278A KR 20200014278 A KR20200014278 A KR 20200014278A KR 102141602 B1 KR102141602 B1 KR 102141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enlarged head
receiving socket
receiving
receiving sp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1602B9 (ko
Inventor
강현구
김군삼
김승일
서보성
한경수
이주홍
최영락
이상진
김병수
이연택
구정모
홍동진
김광민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주)유로엔지니어링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주)유로엔지니어링,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4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602B1/ko
Publication of KR10214160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602B9/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에 제1바가 결합된 수용소켓의 수용공간 내부에 제2바의 확대 헤드 타측에 관통 결합되는 고정캡을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이웃하는 철근을 쉽게 이음할 수 있고, 철근을 밀착 결합하여 인장력 및 압축력에 대해 하중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다양한 지름의 철근을 자유롭게 이음할 수 있는 철근 기계식 이음구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철근 기계식 이음구는 일단에는 제1바가 결합되고, 타단에는 단부에 확대 형성된 확대 헤드가 형성된 제2바의 상기 확대 헤드가 수용되어 저면에 밀착 지지되도록 전방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된 수용소켓; 및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소켓의 타단이 내부에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중앙에 상기 제2바가 관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고정캡; 및 상기 고정캡과 확대 헤드의 사이에 구비되어 고정캡의 가압에 의해 확대 헤드를 수용소켓 내에 고정하는 것으로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평면상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근 기계식 이음구{Rebar coupler}
본 발명은 일단에 제1바가 결합된 수용소켓의 수용공간 내부에 제2바의 확대 헤드 타측에 관통 결합되는 고정캡을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이웃하는 철근을 쉽게 이음할 수 있고, 철근을 밀착 결합하여 인장력 및 압축력에 대해 하중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다양한 지름의 철근을 자유롭게 이음할 수 있는 철근 기계식 이음구에 대한 것이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비롯한 각종 건설 현장에서 철근은 운반이나 적재 문제로 인하여 그 길이에 제한이 있다. 이에 철근의 이음이 필수적이다.
또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은 공장에서 선 제작한 PC 부재를 현장에서 조립하는 공법으로, PC 부재 간 접합을 위해 PC 부재의 철근 이음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철근 이음 방법으로는 겹침 이음, 압접 이음, 커플러에 의한 기계식 이음 등이 있다.
상기 겹침 이음은 콘크리트와의 부착강도를 이용하여 이음되는 철근을 일정 길이 겹쳐서 잇는 방법이다.
상기 겹침 이음 방법은 시공이 간편하나 작업 정밀도가 낮고, 현장 타설 콘크리트에만 적용 가능하며, 겹침 이음 길이 확보로 인한 철근 사용량 증가의 문제가 있다.
상기 압접 이음은 이음되는 철근을 서로 맞댄 상태에서 열을 가하여 녹여 붙이는 이음 방법이다.
상기 압접 이음 방법은 이음되는 철근의 위치가 정확히 일치해야 하므로 높은 작업 정밀도가 요구된다. 아울러 철근 압접시 열 영향으로 인해 철근이 취성적으로 변질되어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압접 작업은 날씨 등 현장 환경이나 작업자 숙련도 등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균질한 품질 확보가 어렵고 화기 사용으로 인한 화재 사고의 우려가 있다.
상기 기계식 이음은 커플러에 의해 이음되는 철근을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도 1과 같이 나사 결합에 의해 이음한다(공개특허 제10-2014-0046308호 등).
상기 기계식 이음은 이음되는 철근의 규격이 다른 경우 적용이 어렵고, 시공 오차로 인해 이음되는 철근의 중심축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체결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기존 커플러에 의한 기계식 이음은 철근 간 압축력 전달은 배제하고 주로 인장력 전달에 초점을 맞추어 철근을 이음하는 것으로, 이음되는 철근은 직접 맞닿는 것이 아니라 커플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되어 단부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연결된다. 이에 구조적 성능이 감소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한편, PC 공법에서는 일반적인 종래 이음 방식에 의해 철근을 이음할 경우, PC 부재 간 일체화를 위해 철근 이음부 주변에 무수축 모르타르를 충전한다. 그런데 이 경우 충전된 무수축 모르타르가 경화되기 전까지 PC 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별도의 가설 버팀대를 설치해야 하므로 번거로웠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철근 이음시 시공 오차 흡수가 용이하고, 철근이 상호 유격 없이 서로 밀착 결합되어 인장력은 물론 압축력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하중을 전달할 수 있는 철근 기계식 이음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지름의 철근을 자유롭게 이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PC 부재 접합시 별도의 가설 버팀대 없이 자립하도록 할 수 있는 철근 기계식 이음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일단에는 제1바가 결합되고, 타단에는 단부에 확대 형성된 확대 헤드가 형성된 제2바의 상기 확대 헤드가 수용되어 저면에 밀착 지지되도록 전방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된 수용소켓; 및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소켓의 타단이 내부에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중앙에 상기 제2바가 관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고정캡; 및 상기 고정캡과 확대 헤드의 사이에 구비되어 고정캡의 가압에 의해 확대 헤드를 수용소켓 내에 고정하는 것으로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평면상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기계식 이음구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2바의 확대 헤드 저면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기계식 이음구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수용공간의 입구는 지름이 확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기계식 이음구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가압구는 평면상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된 가압구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기계식 이음구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확대 헤드의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2바가 상기 관통공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기계식 이음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수용소켓의 일단 및 타단에 제1, 2바를 결합하여 쉽게 이음 가능한 것으로, 제2바의 단부에 확대 형성된 것으로 수용소켓의 수용공간 내부에 수납되는 확대 헤드가 제2바를 관통하여 수용소켓의 타단에 결합되는 고정캡의 하부에 걸려 인장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제2바의 확대 헤드를 수용소켓의 수용공간 저면에 밀착 지지시켜, 확대 헤드의 직접 지압에 의해 압축력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다.
둘째, 고정캡과 확대 헤드 사이에 구비되는 가압구가 확대 헤드를 가압하여 수용소켓 내에 밀착 고정할 수 있다. 이때, 가압구에 의해 하중을 잘 전달하면서 제1, 2바 사이의 편심 오차를 원활하게 흡수할 수 있다.
셋째, 수용소켓이나 고정캡의 교체 없이 가압구를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간단하게 다양한 지름을 가진 철근을 사용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 철근 기계식 이음구에 의하여 제1, 2바의 이음을 완료한 후에 제2바와 고정캡 중앙의 관통공 사이 및 수용공간 내부에 콘크리트 페이스트를 채워 제2바를 견고하게 고정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커플러에 의해 이음되는 철근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철근 기계식 이음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철근 기계식 이음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도 4는 가압구가 구비된 본 발명 철근 기계식 이음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철근 기계식 이음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철근 기계식 이음구의 체결 과정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7은 가압구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압구가 구비된 본 발명 철근 기계식 이음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철근 기계식 이음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도 10은 제2바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도 11은 수용소켓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도 12는 분할형 가압구가 구비된 본 발명 철근 기계식 이음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분할형 가압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14는 편심 분할형 가압구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15는 제2바와 확대 헤드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6은 높이 조절 가능한 확대 헤드가 구비된 철근 기계식 이음구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철근 기계식 이음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철근 기계식 이음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2,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철근 기계식 이음구는 일단에는 제1바(1)가 결합되고, 타단에는 단부에 확대 형성된 확대 헤드(21)가 형성된 제2바(2)의 상기 확대 헤드(21)가 수용되어 저면에 밀착 지지되도록 전방에 수용공간(31)이 형성되는 수용소켓(3); 및 상기 수용소켓(3)의 타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중앙에 상기 제2바(2)가 관통되도록 관통공(41)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고정캡(4);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철근 이음시 시공 오차 흡수가 용이하고, 철근을 상호 유격 없이 서로 밀착 결합하여 인장력은 물론 압축력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하중을 전달할 수 있으며, 다양한 지름의 철근을 자유롭게 이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PC 부재 접합시 별도의 가설 버팀대 없이 자립 가능한 철근 기계식 이음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 철근 기계식 이음구는 일측의 수용소켓(3)과 타측의 고정캡(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이웃하는 철근이나 강봉 등을 상호 이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 철근 기계식 이음구에 의하여 이음되는 제1바(1)와 제2바(2)는 철근 또는 강봉 등이다.
상기 수용소켓(3)은 일단에 제1바(1)의 단부가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바(1)의 단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수용소켓(3)의 일단에는 상기 제1바(1)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도록 결합홈(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바(1)와 결합홈(32)의 결합 길이에 따라 수용소켓(3)과 제2바(2) 사이의 거리를 조절 가능하다.
상기 수용소켓(3)의 타단에는 제2바(2)의 단부에 확대 형성된 확대 헤드(21)가 삽입되어 수용되도록 전방이 개방된 수용공간(3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캡(4)은 수용소켓(3)의 타단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캡(4)은 중앙에 제1바(1)에 이음되는 제2바(2)가 관통되도록 관통공(41)이 형성된 원통형 부재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바(2)의 외주면이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제2바(2)의 확대 헤드(21)가 고정캡(4)에 걸려 고정되는 것이므로, 고정캡(4)의 관통공(41) 지름은 제2바(2)의 지름보다 크고 확대 헤드(21)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바(2)의 확대 헤드(21)가 고정캡(4)의 하부에 걸려 인장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1바(1)와 제2바(2)의 이음을 완료한 후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제2바(2)와 관통공(41) 사이 및 수용공간(31) 내부에 콘크리트 페이스트를 채워넣어 제2바(2)의 위치를 영구적으로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기 수용소켓(3)은 수용공간(31)의 입구가 일측 부재의 면에 노출되기만 하면 된다. 즉, 상기 수용소켓(3)은 일측 부재의 콘크리트 내에 완전 매입되도록 시공 가능하다.
이 경우 외부로 돌출되는 부위가 없어 작업자 통행에 유리하고, 작업 환경이 개선되며, 안전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2바(2)의 확대 헤드(21)는 수용공간(31)의 저면에 밀착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바(2)를 구성하는 확대 헤드(21)의 직접 지압에 의해 압축력을 전달할 수 있다.
특히, PC 부재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 제1바(1)와 제2바(2) 간 편심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음되는 제1바(1)와 제2바(2) 사이에 편심이 있더라도 확대 헤드(21)가 수용공간(31)의 저면과 넓은 면적에 걸쳐 밀착 지지되며, 수용공간(31) 하부의 수용소켓(3)에서 하중이 전이되어 압축력이 안정적으로 하부의 제1바(1)로 전달된다.
본 발명 철근 기계식 이음구는 RC 공법에서 철근 이음, PC 기둥 간 접합, PC 보와 PC 기둥 간 접합, PC 벽체와 PC 기둥 또는 PC 보 간 접합 등 다양한 철근 이음에 사용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 콘크리트 타설 전 기계적 이음에 의하여 제1, 2바를 가고정할 수 있으므로, PC 부재 접합시 별도의 가설 버팀대 없이 부재의 자립이 가능하다.
도 4는 가압구가 구비된 본 발명 철근 기계식 이음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철근 기계식 이음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철근 기계식 이음구의 체결 과정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가압구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소켓(3) 내부의 고정캡(4)과 확대 헤드(21)의 사이에는 고정캡(4)의 가압에 의해 확대 헤드(21)를 수용소켓(3) 내에 고정하는 것으로 수용공간(31)의 내부에서 평면상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구(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바(1)는 수용소켓(3)의 일단에 나사 결합되므로 위치가 고정되고, 고정캡(4)의 관통공(41)의 위치 및 크기 역시 고정되어 있어 변경이 불가하다.
따라서 상기 제1바(1)와 제2바(2) 간의 편심 오차를 흡수하기 위해서는 고정캡(4)의 관통공(41) 지름을 제2바(2)의 지름보다 넉넉하게 형성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 고정캡(4)과 확대 헤드(21)의 상호 접촉 면적이 작아져 응력 전달에 한계가 있다.
역으로 고정캡(4)과 확대 헤드(21)의 접촉 면적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서는 고정캡(4)의 관통공(41) 지름을 제2바(2)의 지름과 최대한 근접하게 형성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제1바(1)와 제2바(2)의 편심 오차를 흡수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고정캡(4)과 확대 헤드(21) 사이에 가압구(5)를 삽입하여 가압구(5)에 의해 하중이 전달되도록 하면서 제1, 2바(1, 2) 사이의 편심 오차를 원활하게 흡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가압구(5)는 중앙에 상기 제2바(2)가 관통되는 관통공(51)이 형성된다.
상기 가압구(5)는 수용공간(31)의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평면상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가압구(5)의 관통공(51) 지름은 제2바(2)가 관통될 수 있을 정도로만 최소화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압구(5)는 고정캡(4)과 확대 헤드(21)의 사이에서 가압구(5)와 확대 헤드(21), 가압구(5)와 고정캡(4) 사이 지압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확대 헤드(21)에 작용하는 응력을 제2바(2)의 확대 헤드(21) → 가압구(5) → 고정캡(4) → 수용소켓(3) → 제1바(1)의 순서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구(5)에 의해 제1바(1)와 제2바(2) 사이에 편심이 있더라도 확대 헤드(21)의 응력이 고정캡(4)으로 원활하게 전이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가압구(5)의 교체만으로도 수용소켓(3)이나 고정캡(4)의 교체 없이 간단하게 다양한 규격의 제2바(2)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2바(2)가 제1바(1)와 편심이 없는 경우, 도 7의 (a)와 같은 가압구(5)를 사용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제2바(2)가 제1바(1)와 편심이 있는 경우, 도 7의 (b)와 같은 편심형 가압구(5)를 사용 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소켓(3)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캡(4)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캡(4)이 수용소켓(3)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캡(4)은 수용소켓(3)의 수용공간(31)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6의 (a) 내지 (b)에서와 같이, 일단에 제1바(1)의 단부가 결합된 수용소켓(3)의 수용공간(31) 내부에 제2바(2)와 결합된 고정캡(4)을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캡(4)과 제2바(2)의 확대 헤드(21) 사이에는 가압구(5)가 구비된다.
이후, 도 6의 (c)와 같이, 상기 고정캡(4)을 회전하여 수용소켓(3)과 나사 결합한다.
이때, 상기 고정캡(4)을 회전하여 수용소켓(3)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고정캡(4)의 상부 외주면 또는 상면에는 공구결합부(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구결합부(42)는 고정캡(4)의 상부 외주면 또는 상면을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구성 가능하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압구가 구비된 본 발명 철근 기계식 이음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철근 기계식 이음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소켓(3)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캡(4)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소켓(3)이 고정캡(4)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캡(4)의 내부에 수용소켓(3)이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캡(4)을 수용소켓(3)의 외부에 나사 결합할 경우, 나사 결합 길이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나사산의 피치를 촘촘하지 않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고정캡(4)의 회전수를 줄일 수 있다. 이에 시공 시간 단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정캡(4)을 외부에 설치하면, 고정캡(4)의 외경이 커지기 때문에 회전 공구의 적은 토크로도 견고한 체결이 가능하다.
상기 수용소켓(3)은 제2바(2)의 확대 헤드(21)의 시공 오차를 흡수할 수 있을 정도로만 수용공간(31)의 내경 지름을 형성하면 된다. 그러므로 수용소켓(3)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한편, 상기 고정캡(4)을 회전시켜 고정캡(4)을 수용소켓(3)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고정캡(4)과 수용소켓(3)을 결합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수용소켓(3)이 매입되는 일측 부재의 수용소켓(3) 외부에는 고정캡(4)이 삽입될 수용홈(미도시)을 미리 형성하여 둠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제2바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바(2)의 확대 헤드(21) 저면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 가능하다.
상기 제2바(2)가 제1바(1)와 다소 편심이 있는 경우, 확대 헤드(21)를 수용소켓(3)의 수용공간(31) 입구로 진입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상기 확대 헤드(21)의 저면 모서리를 라운드지게 형성하는 경우, 제2바(2)가 제1바(1)와 다소 편심이 있는 경우에도 제2바(2)가 수용소켓(3)의 수용공간(31) 내부로 쉽게 진입 가능하다.
도 11은 수용소켓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31)의 입구는 지름이 확대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바(2)와 제1바(1)가 편심이 있는 경우에도 수용소켓(3)의 수용공간(31) 내부로 제2바(2)가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31)의 입구는 지름이 확대되도록 구성 가능하다.
상기 고정캡(4)이 수용소켓(3)의 외부에 나사 결합되는 경우, 수용공간(31)의 내주면 입구 지름을 확대하더라도 고정캡(4)과 수용소켓(3)의 결합에는 지장이 없다.
도 12는 분할형 가압구가 구비된 본 발명 철근 기계식 이음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3은 분할형 가압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며, 도 14는 편심 분할형 가압구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구(5)는 평면상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된 가압구 유닛(50)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가압구(5)는 후 설치 가능하도록 복수의 가압구 유닛(50)으로 분할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바(2)의 확대 헤드(21)를 수용소켓(3)의 수용공간(31) 내부에 삽입한 다음, 수용공간(31) 내부의 확대 헤드(21) 상부에 복수의 가압구 유닛(50)을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고정캡(4)을 회전하여 수용소켓(3)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제1바(1)와 제2바(2)의 이음을 완료할 수 있다.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구 유닛(50)은 단부가 서로 이웃하도록 복수 개로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구 유닛(50)은 단부가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 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가압구 유닛(50)의 회전 각도를 보다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다.
상기 가압구 유닛(50)은 제2바(2)의 지름에 따라 적절한 폭을 가진 것으로 선택하여 사용 가능하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바(1)와 제2바(2) 간 편심이 있어 확대 헤드(21)가 수용공간(31) 내에서 치우쳐 있는 경우, 폭이 서로 다른 가압구 유닛(50)을 조합하여 가압구(5)를 구성함으로써 지압 면적을 최대한 확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5는 제2바와 확대 헤드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높이 조절 가능한 확대 헤드가 구비된 철근 기계식 이음구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대 헤드(21)의 중앙에는 관통공(211)이 형성되어 상기 제2바(2)가 상기 관통공(211)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확대 헤드(2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확대 헤드(21)에 관통공(211)을 형성하고 관통공(211)에 제2바(2)의 단부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바(2)의 단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관통공(211)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들을 상호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확대 헤드(21)를 회전시켜 확대 헤드(21)의 위치를 미세 조정 가능하다.
이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바(2)의 단부가 확대 헤드(21)의 하부로 돌출될 수 있으므로, 수용소켓(3)의 수용공간(31) 하부에는 확대 헤드(21)의 하면이 걸려 응력을 전달하는 단턱부(33)를 형성할 수 있다.
1: 제1바
2: 제2바
21: 확대 헤드
211: 관통공
3: 수용소켓
31: 수용공간
32: 결합홈
33: 단턱부
4: 고정캡
41: 관통공
42: 공구결합부
5: 가압구
50: 가압구 유닛
51: 관통공

Claims (8)

  1. 일단에는 제1바(1)가 결합되고, 타단에는 단부에 확대 형성된 확대 헤드(21)가 형성된 제2바(2)의 상기 확대 헤드(21)가 수용되어 저면에 밀착 지지되도록 전방에 수용공간(31)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된 수용소켓(3); 및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소켓(3)의 타단이 내부에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중앙에 상기 제2바(2)가 관통되도록 관통공(41)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고정캡(4); 및
    상기 고정캡(4)과 확대 헤드(21)의 사이에 구비되어 고정캡(4)의 가압에 의해 확대 헤드(21)를 수용소켓(3) 내에 고정하는 것으로 수용공간(31)의 내부에서 평면상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구(5);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기계식 이음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제2바(2)의 확대 헤드(21) 저면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기계식 이음구.
  6. 제1항에서,
    상기 수용공간(31)의 입구는 지름이 확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기계식 이음구.
  7. 제1항에서,
    상기 가압구(5)는 평면상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된 가압구 유닛(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기계식 이음구.
  8. 제1항에서,
    상기 확대 헤드(21)의 중앙에는 관통공(211)이 형성되어 상기 제2바(2)가 상기 관통공(211)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기계식 이음구.
KR1020200014278A 2020-02-06 2020-02-06 철근 기계식 이음구 Active KR102141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278A KR102141602B1 (ko) 2020-02-06 2020-02-06 철근 기계식 이음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278A KR102141602B1 (ko) 2020-02-06 2020-02-06 철근 기계식 이음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602B1 true KR102141602B1 (ko) 2020-08-05
KR102141602B9 KR102141602B9 (ko) 2022-03-15

Family

ID=72041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278A Active KR102141602B1 (ko) 2020-02-06 2020-02-06 철근 기계식 이음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6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2212A (zh) * 2021-08-24 2021-12-03 中交隧道工程局有限公司 钢筋机械式对接组装设备及组装方法
KR20220109136A (ko) * 2021-01-28 2022-08-04 송성민 구조물 연결용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연결방법
KR20240036265A (ko) 2022-09-13 2024-03-20 송성민 프리캐스트 부재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제작된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4110A (ja) * 1996-08-09 1998-02-24 Fuji Bolt Seisakusho:Kk 鉄筋の連結構造
KR20060042766A (ko) * 2004-11-10 2006-05-15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모르타르 충전식 철근이음장치
KR101574515B1 (ko) * 2015-03-20 2015-12-04 오환상 직선 또는 각도가 주어진 철근용 유니버셜 토크쉐어 커플러
KR101595101B1 (ko) * 2015-08-12 2016-02-18 한상도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와 이를 이용한 철근연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4110A (ja) * 1996-08-09 1998-02-24 Fuji Bolt Seisakusho:Kk 鉄筋の連結構造
KR20060042766A (ko) * 2004-11-10 2006-05-15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모르타르 충전식 철근이음장치
KR101574515B1 (ko) * 2015-03-20 2015-12-04 오환상 직선 또는 각도가 주어진 철근용 유니버셜 토크쉐어 커플러
KR101595101B1 (ko) * 2015-08-12 2016-02-18 한상도 Pc블럭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와 이를 이용한 철근연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9136A (ko) * 2021-01-28 2022-08-04 송성민 구조물 연결용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연결방법
KR102521646B1 (ko) * 2021-01-28 2023-04-14 송성민 구조물 연결용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연결방법
CN113732212A (zh) * 2021-08-24 2021-12-03 中交隧道工程局有限公司 钢筋机械式对接组装设备及组装方法
KR20240036265A (ko) 2022-09-13 2024-03-20 송성민 프리캐스트 부재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제작된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602B9 (ko) 202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1602B1 (ko) 철근 기계식 이음구
US20170081853A1 (en) Rebar connector having a pair of locking pieces and connection method for prefabricated rebar net using same
KR101505957B1 (ko) 나선철근용 철근연결구
US20150000227A1 (en) Splice sleeve with elliptical or compound curve cross section
US20090263185A1 (en) Rebar splice sleeve and method of splicing
KR101506733B1 (ko) 나선철근용 철근연결구
KR101486039B1 (ko) 압축과 인장에 의한 철근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이음 방법
KR102248293B1 (ko) 철근 커플러
JP2018178365A (ja) 鉄筋継手カプラー
KR101123849B1 (ko) 철근 결속장치
KR101433876B1 (ko) 철근용 양방향 동시 체결 커플러
WO2021014616A1 (ja) 鉄筋継手および鉄筋組立体、並びに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体
KR20220109136A (ko) 구조물 연결용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연결방법
KR20140042068A (ko) 분리부 응력 분산을 위한 테이퍼형 절편을 구비한 커플러
KR20170103278A (ko) 철근 커플러
KR102301128B1 (ko) 원터치 회전결합형 철근 커플러
KR200408571Y1 (ko) 철근 겹침 이음구조
KR20190040393A (ko) 나선철근용 철근연결구
KR20030089754A (ko) 일축 및 다축 연결이 가능한 죠인트 및 이를 이용한구조물 시공방법
JP6921413B2 (ja) 鉄筋継手および鉄筋組立体、並びに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体
KR101025489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철근 커플러
US3863891A (en) Concrete prestressing device
KR101566610B1 (ko) 나선철근용 철근연결구
KR102719314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평 연결방법
KR100346094B1 (ko) 철근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code: PG17011E01I

Patent event date: 20220311

Comment text: Request for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202203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