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439B1 - Sleeve for breast wall - Google Patents
Sleeve for breast wal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1439B1 KR102141439B1 KR1020180033769A KR20180033769A KR102141439B1 KR 102141439 B1 KR102141439 B1 KR 102141439B1 KR 1020180033769 A KR1020180033769 A KR 1020180033769A KR 20180033769 A KR20180033769 A KR 20180033769A KR 102141439 B1 KR102141439 B1 KR 1021414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eeve
- elastic member
- circular tube
- wall
- formwor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7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cast in situ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제1원형관부(110)의 일측 단부가 밀폐되어 제1단부면(120)가 형성된 실린더형상으로, 상기 제1단부면(120)의 외측 중앙에는 거푸집(10)의 체결공(11)에 끼워지도록 제1고정핀(121)이 형성된 제1 슬리브(100); 제2원형관(210)의 일측 단부가 밀폐되어 제2단부면(220)가 형성된 실린더형상으로, 상기 제1원형관부(110)의 내주면으로 타단부 측이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드 작동되며, 상기 일측 단부의 외측 중앙에는 거푸집(20)의 체결공(21)에 끼워지도록 제2고정핀(221)이 형성된 제2슬리브(200); 상기 제1슬리브(100)와 상기 제2슬리브(200)가 상기 거푸집에 탄성력을 부가하도록 제1슬리브(100)와 제2슬리브(200)의 내측에 탄성부재(251)가 구비되고, 상기 제1슬리브(100)와 상기 제2슬리브(200)가 양쪽 외측으로 탄성력이 가해져 거푸집(10, 20)에 형성된 체결공(11, 21) 사이에 양단을 끼움 체결되면서 상기 거푸집(10, 20)의 간격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되, 개방된 상기 제1슬리브(100)의 제1원형관부(110)의 끝단부분의 내주면에는 걸림턱(160)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리브(200)의 제2원형관부(210)의 제2단부면(220) 측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턱(160)과 대응되어 체결될 수 있는 제1걸림부(2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에 따르면, 관통슬리브의 양단 폭의 길이를 탄성체에 의해 빠르게 조절할 수 있고, 걸림부재에 거푸집과 결합시 탄성부재 및 테이퍼 형상의 고정핀의 의해 풀림이 없으며, 조립시 걸림턱과 제1걸림부의 체결로 부피가 줄어들어 보관과 운반이 용이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ough-sleeve for a wall retaining wall, wherein one end of the first circular tube portion 110 is closed to form a first end face 120 in a cylindrical shape, in the outer center of the first end face 120 A first sleeve 100 having a first fixing pin 121 formed to fit into a fastening hole 11 of the formwork 10; One end of the second circular tube 210 is sealed, and the second end surface 2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other end side is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ircular tube part 110 to slide left and right. A second sleeve 200 having a second fixing pin 221 formed to fit into a fastening hole 21 of the formwork 20 at an outer center of one end; An elastic member 251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sleeve 100 and the second sleeve 200 so that the first sleeve 100 and the second sleeve 200 add elasticity to the formwork. As the 1 sleeve 100 and the second sleeve 200 are fastened between both ends between the fastening holes 11 and 21 formed in the dies 10 and 20 by applying elastic force to both sides, the fastening of the dies 10 and 20 is performed. The length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interval, a locking jaw 160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circular tube portion 110 of the opened first sleeve 100, and the second of the second sleeve 200 is forme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end surface 220 side of the circular tube portion 21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engaging portion 260 that can be fasten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locking jaw 160 is formed.
According to the through sleeve for a wal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width of both ends of the through sleeve can be quickly adjusted by an elastic body, and there is no loosening by an elastic member and a tapered fixing pin when combined with a formwork on a locking member, and assembled It is effective to reduce the cost by reducing the volume due to the fastening of the locking hook and the first locking portion, which is easy to store and transport.
Description
본 발명은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제1원형관부(110)의 일측 단부가 밀폐되어 제1단부면(120)가 형성된 실린더형상으로, 상기 제1단부면(120)의 외측 중앙에는 거푸집(10)의 체결공(11)에 끼워지도록 제1고정핀(121)이 형성된 제1 슬리브(100); 제2원형관(210)의 일측 단부가 밀폐되어 제2단부면(220)가 형성된 실린더형상으로, 상기 제1원형관부(110)의 내주면으로 타단부 측이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드 작동되며, 상기 일측 단부의 외측 중앙에는 거푸집(20)의 체결공(21)에 끼워지도록 제2고정핀(221)이 형성된 제2슬리브(200); 상기 제1슬리브(100)와 상기 제2슬리브(200)가 상기 거푸집에 탄성력을 부가하도록 제1슬리브(100)와 제2슬리브(200)의 내측에 탄성부재(251)가 구비되고, 상기 제1슬리브(100)와 상기 제2슬리브(200)가 양쪽 외측으로 탄성력이 가해져 거푸집(10, 20)에 형성된 체결공(11, 21) 사이에 양단을 끼움 체결되면서 상기 거푸집(10, 20)의 간격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되, 개방된 상기 제1슬리브(100)의 제1원형관부(110)의 끝단부분의 내주면에는 걸림턱(160)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리브(200)의 제2원형관부(210)의 제2단부면(220) 측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턱(160)과 대응되어 체결될 수 있는 제1걸림부(260)가 형성되어 상기 제1슬리브와 상기 제2슬리브가 양쪽 외측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면서 상기 거푸집의 간격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ough-sleeve for a wall retaining wall, and more specifically, the
건축물의 벽체에는 환기용, 냉난방용, 스프링클러, 전기배선, 하수, 공조덕트, 소방관, 가스관, 에어컨 등의 관로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반드시 필요하다.A through-hole through which pipelines such as ventilation, heating and cooling, sprinklers, electric wiring, sewage, air conditioning ducts, firefighters, gas pipes, and air conditioners are required is essential for the walls of buildings.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통공을 만들기 위해서는 거푸집 내측으로 일정한 직경과 폭을 갖는 관통슬리브를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통공이 만들어진다. In general, in order to make a through hole in a building, after fixing a through-sleeve having a certain diameter and width inside the formwork, pouring the concrete creates a through hole.
종래 기술로, 한국공개특허 10-2009-0054790호에는 도 1a와 같이 관통슬리브를 등분되는 암,수의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하여 길이조절이 되는 관통슬리브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나사식으로 관통슬리브를 거푸집의 내부에 장착을 할 경우에 거푸집의 내측에 콘크리트 벽체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촘촘히 형성된 철근 사이로 일정한 크기의 암,수 형태로 결합되어진 관통슬리브를 넣어서 거푸집에 관통슬리브를 설치하기 위한 정확한 높이와 거푸집의 넓이만큼 길이조절을 하면서 고정설치하는 것이 어려웠고, 철근 사이로 넣었다 하더라도 관통슬리브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거푸집의 넓이만큼 길이를 조절할 때 고정되지 않은 타측의 관통슬리브 몸체 전체를 회전해야만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설치는 공간이 협소한 거푸집 내측으로 관통슬리브의 설치되는 높이를 임의대로 맞춘 상태에서 고정을 위한 못이나 고정구의 설치 작업이 어렵고 몸체가 암,수의 나사로 된 관통슬리브의 회전이 상당한 힘을 요하게 되는 것이고, 더욱이 협소한 공간에서 이러한 회전작업과 높이 조절이 더욱 어려운 것이었다. 또한 제품불량으로 인한 슬리브의 교환할 경우에 회전작업을 통해서만 분리되기 때문에 유지보수에 따른 어려움이 존재하는 것이었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54790 proposes a through sleeve that is adjustable in length by rotating the through sleeve by being screwed into equally divided male and female threads as shown in FIG. 1A. However, in the case of mounting the threaded through-sleeve inside the formwork, in order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concrete wall inside the formwork, the through-sleeve, which is combined in the form of female and male of a certain size, is inserted between the reinforcing bars that are tight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t was difficult to fix and install with the correct height for installing the through sleeve and the width of the formwork, and even if it was inserted between reinforcing bars, it was not fixed when adjusting the length by the width of the formwork while the through sleeve was placed in the desired posi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only by rotating the entire body of the through sleeve on the other side. Such installation is difficult to install nails or fixtures for fixing in a state where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through sleeve is arbitrarily adjusted to the inside of the formwork with a small space, and the rotation of the through sleeve made of female and male screws requires considerable force. In addition, it was more difficult to rotate and adjust the height in a narrow space. In addition, when replacing the sleeve due to product defect, it was separated only through a rotating operation, so there was a difficulty in maintenance.
한편, 한국등록특허공보 10-0912278호에는 관통슬리브로 사용할 수 있는 거푸집용 간격유지대이 도 1b와 같이 제1슬리브(100)과 제2슬리브(200)의 내부에 탄성체(251)가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간격유지대의 간격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나, 제1슬리브(100)와 제2슬리브(200)의 내부에 탄성체(251)를 삽입하면 양단방향으로 튕겨져 나가므로 조립된 상태로 현장에 공급할 수 없고, 도 1c와 같이 제1슬리브(100), 제2슬리브(200)를 및 탄성체(251)을 각각 분리하여 부품별로 공급하여 현장에서 탄성체(251)를 삽입ㅇ조립하면서 거푸집(10, 20)에 결합 시공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으므로, 탄성체의 망실이 잦고 공사에 어려움이 있으며, 부피를 많이 차지하므로 보관과 이동에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912278, there is a structure in which an
또한 제1슬리브의 지름이 커지면 콘크리트의 하중에 눌리어 찌그러짐의 현상이 발생되어 관통슬리브의 단면이 원형이 아닌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In addition, when the diameter of the first sleeve is increased, a phenomenon of crushing occurs due to the load of the concrete, and a cross-section of the through sleeve is formed into an ellipse rather than a circular shap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슬리브(100), 제2슬리브(200) 및 탄성부재(251)만으로 간단히 조립된 관통슬리브를 현장에 공급하고 현장에서 거푸집의 체결공에 간단히 체결할 수 있고, 부피가 적어 보관이나 운반이 용이하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ly the through sleeve assembled simply by th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원형관부(110)의 일측 단부가 밀폐되어 제1단부면(120)가 형성된 실린더형상으로, 상기 제1단부면(120)의 외측 중앙에는 거푸집(10)의 체결공(11)에 끼워지도록 제1고정핀(121)이 형성된 제1 슬리브(100); 제2원형관(210)의 일측 단부가 밀폐되어 제2단부면(220)가 형성된 실린더형상으로, 상기 제1원형관부(110)의 내주면으로 타단부 측이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드 작동되며, 상기 일측 단부의 외측 중앙에는 거푸집(20)의 체결공(21)에 끼워지도록 제2고정핀(221)이 형성된 제2슬리브(200); 상기 제1슬리브(100)와 상기 제2슬리브(200)가 상기 거푸집에 탄성력을 부가하도록 제1슬리브(100)와 제2슬리브(200)의 내측에 탄성부재(251)가 구비되어 거푸집(10, 20)에 형성된 체결공(11, 21) 사이에 양단을 끼움체결되고, 상기 제2슬리브(200)의 제2단부면(220)의 내측 중심부에는 탄성부재(251)가 삽입되는 관형상의 탄성부재수용관(250)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슬리브(100의 제1단부면(120)의 내측 중심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수용관(250)에 삽입되는 탄성부재봉(150)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슬리브(100)와 상기 제2슬리브(200)가 양쪽 외측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면서 상기 거푸집(10, 20)의 간격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되, 개방된 상기 제1슬리브(100)의 제1원형관부(110)의 끝단부분의 내주면에는 걸림턱(160)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리브(200)의 제2원형관부(210)의 제2단부면(220) 측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턱(160)과 대응되어 체결될 수 있는 제1걸림부(2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또한, 상기 제1슬리브(100)의 걸림턱(160)과 상기 걸림턱(160)과 대응되어 체결될 수 있는 제2슬리브(200) 형성된 제1걸림부(260)가 형성되어 간단히 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공구나 다른 부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또한, 제2슬리브(200)의 제2단부면(220) 타단의 외주면에는 제2걸림부(261)가 더 형성되어 제 1걸림부(260)과 분리된 후 제1슬리브(100)와 제2슬리브(200)가 완전히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 second catching
또한, 걸림턱(160)과 제1걸림부(260) 또는 제2걸림부(261)는 다줄나사산으로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신속하게 결합 및 분리되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또한, 제2걸림부(261)의 폭은 제1걸림부(26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제1,2슬리브가 끝부분에 결합시 쳐지지 않고 안정된 결합구조를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second
또한, 상기 걸림턱(160)의 다줄나사산은 일정 간격을 두고 나사산이 없는 제1파싱면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부(260) 및 제2걸림부(261)의 다줄나사산은 일정 간격을 두고 나사산이 없는 제2파싱면(270)이 대칭되게 복수개 형성하여 외관과 내관이 미려한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multiple threads of the
또한, 제1단부면(120) 및 제2단부면(220)에는 타력에 의해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제1,2 원형관부(110, 120) 내경과 일치되는 위치에 원형의 홈으로 내측으로 절곡되고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제1,2 절곡홈(122, 222)을 구비하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또한, 제1슬리브(100)의 타측과 제2슬리브(20)의 제2단부면 측의 외주면을 따라 제1,2 파지부(112, 212)가 각각 형성하여 작업자가 손으로 편리하게 파지하여 미끄럼 평상 없이 작업자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또한, 제1슬리브(100)의 걸림턱(160)의 외주면에는 보강턱을 구비하여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슬리브가 콘크리트 하중에 눌리 것을 방지하여 원형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또한, 제1,2 슬리브(100, 200)의 단부면에는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슬리브가 내부의 공기 저항을 받지 않고 수축과 팽창이 잘 되도록 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rough holes are formed on the end faces of the first and
또한, 제1고정핀(121) 및 제2고정핀(221)은 테이퍼형상이고 외주면에는 길고 짧은 줄무늬가 교대로 복수 개 형성되어 거푸집(10, 20)의 체결공(11, 11')과 억지끼움 구조로 단단히 결합되어 미려하고 견고한 시공을 할 수 있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슬리브(100), 제2슬리브(200) 및 탄성부재(251)만으로 간단히 조립된 관통슬리브를 현장에 공급하고 현장에서 거푸집의 체결공에 간단히 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ply supply the through sleeve assembled simply by the
또한, 제1슬리브(100)의 걸림턱(160)과 걸림턱(160)과 대응되어 체결될 수 있는 제2슬리브(200)에 형성된 제1걸림부(260)가 간단히 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공구나 다른 부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또한, 제2슬리브(200)의 제2단부면(220) 타단의 외주면에는 제2걸림부(261)가 더 형성되어 제 1걸림부(260)과 분리된 후 제1슬리브(100)와 제2슬리브(200)가 완전히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가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 second catching
또한, 제1슬리브(100)의 걸림턱(160)과 대응되어 체결될 수 있는 제2슬리브(200) 형성된 제1걸림부(260)가 형성되어 간단히 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공구나 다른 부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제2슬리브(200)의 제2단부면(220) 타단의 외주면에는 제2걸림부(261)가 더 형성되어 제 1걸림부(260)과 분리된 후 제1슬리브(100)와 제2슬리브(200)가 완전히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 second catching
또한, 걸림턱(160)과 제1걸림부(260) 또는 제2걸림부(261)는 다줄나사산으로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신속하게 결합 및 분리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제2걸림부(261)의 폭은 제1걸림부(26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제1,2슬리브가 끝부분에 결합시 쳐지지 않고 안정된 결합구조를 갖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second catching
또한, 상기 걸림턱(160)의 다줄나사산은 일정 간격을 두고 나사산이 없는 제1파싱면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부(260) 및 제2걸림부(261)의 다줄나사산은 일정 간격을 두고 나사산이 없는 제2파싱면(270)이 대칭되게 복수개 형성하여 외관과 내관이 미려한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multiple threads of the
또한, 제1단부면(120) 및 제2단부면(220)에는 타력에 의해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제1,2 원형관부(110, 120) 내경과 일치되는 위치에 원형의 홈으로 내측으로 절곡되고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제1,2 절곡홈(122, 222)을 구비하여 망치 등의 타력에 의해 미려하고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제1슬리브(100)의 타측과 제2슬리브(20)의 제2단부면 측의 외주면을 따라 제1,2 파지부(112, 212)가 각각 형성하여 작업자가 손으로 편리하게 파지하여 미끄럼 평상 없이 작업자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또한, 제1슬리브(100)의 걸림턱(160)의 외주면에는 보강턱을 구비하여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슬리브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또한, 제1,2 슬리브(100, 200)의 제1,2 단부면(120, 220)에는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슬리브가 내부의 공기 저항을 받지 않고 수축과 팽창이 잘 되도록 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ir holes are formed on the first and
또한, 제1고정핀(121) 및 제2고정핀(221)은 테이퍼형상이고 외주면에는 길고 짧은 줄무늬가 교대로 복수 개 형성되어 거푸집(10, 20)의 체결공(11, 11')과 억지끼움 구조로 단단히 결합되어 미려하고 견고한 시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도 1은 종래의 관통슬리브의 구조 및 형상을 나타낸 일례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턱(160)과 제1걸림부(260)가 분리되어 탄성부재(251)에 의해 팽창된 단면도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정면도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턱(160)과 제1걸림부(260)가 결합된 상태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제1,2 슬리브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좌측사시도 및 우측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1,2 슬리브의 내부에 탄성부재(251)가 삽입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1,2 슬리브의 다줄나사산에 형성된 파싱면
(170, 270)을 설명하시 위한 정면도 및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1 슬리브의 내부 형상을 형성하는 코어부와 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1 슬리브의 형성 과정을 나타낸 금형의 단면도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structure and shape of a conventional through sleeve
2 is a cross-sectional front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hrough sleeve for the retaining wall of the wall expanded by the
3 is a state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4 is a left perspective view and a righ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leeves are separat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in which the
Figure 6 is a parsing surface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sleeves of the multi-thread threa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nt and exploded perspective views to illustrate (170, 270)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re portion and its structure forming an inner shape of a first slee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ld showing a process of forming a first slee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as including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denote the same member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의 걸림턱과 제1걸림부(260)가 분리되어 탄성부재(251)에 의해 팽창된 단면도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정면도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걸림턱(160)과 제1걸림부(260)가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도 3a)와 단면도(도 3b)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4는 제1,2 슬리브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좌측사시도(도 4a) 및 우측사시도(도 4b)를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제1슬리브(100)와 제2슬리브(200)의 내부에 탄성부재(251) 삽입되는 또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6은 또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걸림턱(160)의 다줄나사산은 일정 간격을 두고 나사산이 없는 제1파싱면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부(260) 및 제2걸림부(261)의 다줄나사산은 일정 간격을 두고 나사산이 없는 제2파싱면(270)이 대칭되게 복수개 형성된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의 정면도(도 6a)와 분리 사시도(도 6b)를 도시하고 있다. 2 is a cross-sectional front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hrough-sleeve for the retaining wall of the wall, in which the engaging jaw of the through-sleeve for the wall retaining wall and the first engaging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는 제1원형관부(110)의 일측 단부가 밀폐되어 제1단부면(120)가 형성된 실린더형상으로, 상기 제1단부면(120)의 외측 중앙에는 거푸집(10)의 체결공(11)에 끼워지도록 제1고정핀(121)이 형성된 제1 슬리브(100); 제2원형관(210)의 일측 단부가 밀폐되어 제2단부면(220)가 형성된 실린더형상으로, 상기 제1원형관부(110)의 내주면으로 타단부 측이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드 작동되며, 상기 일측 단부의 외측 중앙에는 거푸집(20)의 체결공(21)에 끼워지도록 제2고정핀(221)이 형성된 제2슬리브(200); 상기 제1슬리브(100)와 상기 제2슬리브(200)가 상기 거푸집에 탄성력을 부가하도록 제1슬리브(100)와 제2슬리브(200)의 내측에 탄성부재(251)가 구비되고, 상기 제1슬리브(100)와 상기 제2슬리브(200)가 양쪽 외측으로 탄성력이 가해져 거푸집(10, 20)에 형성된 체결공(11, 21) 사이에 양단을 끼움 체결되면서 상기 거푸집(10, 20)의 간격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되, 개방된 상기 제1슬리브(100)의 제1원형관부(110)의 끝단부분의 내주면에는 걸림턱(160)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리브(200)의 제2원형관부(210)의 제2단부면(220) 측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턱(160)과 대응되어 체결될 수 있는 제1걸림부(260)가 형성된다.The through sleeve for wall retaining wall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i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a
본 발명의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는 양측으로 가설되는 거푸집(10, 20) 사이의 간격에 따라 도 2 또는 도 5와 같이 제1슬리브(100)와 제2슬리브(200)가 내부에 탄성부재가 삽입되어 탄성력에 의해 길이가 용이하게 조절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재질은 금속 및 플라스틱재로 사용한다. The
상기 제1슬리브(100)는 제1원형관부(110)의 일측 단부가 밀폐되어 제1단부면(120)이 형성된 실린더형상으로, 상기 제1단부면(120)의 외측 중앙에는 거푸집(10)의 체결공(11)에 끼워지도록 제1고정핀(121)이 형성된다. The
또한, 상기 제2슬리브(200) 제2원형관(210)의 일측 단부가 밀폐되어 제2단부면(220)이 형성된 실린더형상으로, 상기 제1원형관부(110)의 내주면으로 타단부 측이 삽입되어 좌우로 작동되며, 상기 일측 단부의 외측 중앙에는 거푸집(20)의 체결공(21)에 끼워지도록 제2고정핀(221)이 형성된다. In addition, one end of the
상기와 같은 구조는 도 2b, 도 5a, 도 5b와 같이 제1슬리브(100)와 상기 제2슬리브(200)의 내부에 탄성체를 삽입할 수 있다. 2B, 5A, and 5B as described above, an elastic body may be inserted into the
도 5a와 같이 제1슬리브(100)의 제1원형관부(110)의 내부와 제2 슬리브(200)의 제2원형관부(210)의 내부에 원형코일의 탄성체(251)를 삽입하거니, 도 5b와 같이 제1슬리브(100)의 제1원형관부(110)의 내부와 제2 슬리브(200)의 제2단부면(220)의 타단부 사이에 원형코일의 탄성체(251)를 삽입하여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5a, inserting the
본 발명의 개방된 상기 제1슬리브(100)의 제1원형관부(110)의 끝단부분의 내주면에는 걸림턱(160)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리브(200)의 제2원형관부(210)의 제2단부면(220) 측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턱(160)과 대응되어 체결될 수 있는 제1걸림부(26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의 특징은 제1슬리브의 걸림턱(160)과 제2슬리브의 제1걸림부(260)가 제1,2 슬리브의 상호 회전에 의해 결합되면 도 4a와 같이 조립되고 관통슬리브의 전체길이가 작아지게 되어 보관이나 이동이 용이하게 되므로 물류비용이 적게 들어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1b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공장에서 조립되어 출고하지 못하고 현장에서 조립하면서 사용해야 하는 단점을 해결함으로서 공사현장에서 설치 시간을 줄이고 탄성부재(251)가 망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도 3a와 같이 조립된 제품은 현장의 거푸집(10, 20)의 사이에 넣고 제1,2 슬리브의 상호 회전에 의해 체결된 제1슬리브의 걸림턱(160)과 제2슬리브의 제1걸림부(260)가 분리되고 탄성부재에 의해 벌어지면서 제1,2 고정핀(121, 221)에 거푸집(10. 20)의 체결공(11, 21)에 삽입되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도 1b와 같이 탄성체(251)와 슬리브(100, 200)을 분리하여 보관하거나 운송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A locking
본 발명의 상기 제2슬리브(200)의 제2단부면(220)의 내측 중심부에는 탄성부재(251)가 삽입되는 관형상의 탄성부재수용관(250)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슬리브(100의 제1단부면(120)의 내측 중심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수용관(250)에 삽입되는 탄성부재봉(150)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관형상의 탄성부재수용관(250)에 탄성부재봉(150)이 삽입되므로 제1슬리브(100)와 제2슬리브(200)가 결합시 유동이 없이 안정되게 작동하게 되고, 거푸집에 조립되어 관통슬리브 내부에서 리브 역할을 하게 콘크리트 하중에도 쳐지지 않으며, 금속체인 코일스프링의 권회 반경이 작아지게 되어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In the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한편 상기 탄성체(251)는 도 3b와 같이 권회반경이 작은 코일스프링이 내부의 탄성부재 수용관(250)에 수용되는 형상으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탄성부재 수용관(250)의 외경보다 권회반경이 큰 코일스프링이 탄성부재 수용관(250)의 외측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탄성부재(250)을 수용하는 탄성부재수용관(250)이 제1슬리브(100)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탄성부재봉(150)이 제2슬리브(200)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변경하는 구성 등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구성하는 것은 자명하다 하겠다. On the other hand, th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슬리브(200)의 제2단부면(220) 타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턱(160)과 대응되어 체결될 수 있는 제2걸림부(261)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상기와 같은 구성은 제1걸림부(260)만 형성되어 있으면 제1걸림부(260)과 걸림턱(171)이 풀어져 분리되게 되면 탄성부재(251)에 의해 제1슬리브(100와 제2슬리브(200)는 상호 반발하여 튕겨나가게 되는데 이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공사현상에서 작업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안전장치의 기능을 갖게 된다. In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only the first engaging
본 발명의 상기 걸림턱(160)과 상기 제1걸림부(260) 또는 상기 제2걸림부(261)는 다줄나사산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ocking
나사의 원리는 직각 삼각형의 종이를 원통 위에 휘감았을 때, 이 직각 삼각형의 빗면이 만드는 곡선은 나선모양이 되고 이것을 “나사곡선"이라고 부른다. 또, 나사곡선의 경사선 각도(β)를 '리드각'이라고 부르는데, 이 리드(lead)는 나사가 축을 중심으로 한 바퀴 회전했을 때 축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가 된다. 한 개의 코일로 만들어진 나사를 '한줄나사' 2개 이상으로 만들어진 것을 '다줄 나사'라고 칭한다. 2개 이상의 나사산을 갖는 나사. 나선의 줄 수에 따라 2줄 나사, 3줄 나사 등으로 분류되고. 줄 수가 많을수록 리드각은 크게 된다. 리드를 L, 피치를 P, 줄수를 n으로 하면, L = n×P의 관계가 있기 때문에 한줄 나사에서는 L = P가 되고, 다줄나사로 하면 회전이 적어서 빨리 조이거나 풀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다줄나사의 특성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6줄의 나사산을 갖는 다줄나사를 걸림턱(160), 제1걸림부(260) 및 제2걸림부(261)에 형성하여 구성하였으므로, 1줄의 나사산으로 구성하는 것보다 6배나 빨리 상기 걸림턱(160)과 상기 제1걸림부(260)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실제 본 발명의 도 2 및 도 6에 되시된 제품은 1/6 회전만으로 상기 걸림턱(160)과 상기 제1걸림부(260)를 결합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고하게 결합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다줄나사의 수는 파이프의 직경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그 수를 조절하여 제작할 수 있다.The principle of the screw is that when the paper of a right-angled triangle is wound on a cylinder, the curve formed by the bevel of this right-angled triangle becomes a spiral, and this is called a “screw curve.” Also, the angle (β) of the slope of the screw curve is called'lead. It is called an angle, and this lead is the distance traveled in the axial direction when the screw is rotated about one axis.A screw made of two coils is made of two or more'single screw' and'single screw. It is called a screw with two or more threads. It is classified into two-row screws, three-row screws, etc. according to the number of spiral threads. The larger the number of lines, the larger the lead angle. L is the lead, P is the pitch, and n is the number of threads. If it is, L = n×P, so L = P in a single-row screw, and if it is a multi-row screw, it has the effect of fast tightening or loosening due to less rotation. 2 and 4, since the multi-row screw having 6 threads is formed on the locking
본 발명의 상기 제2걸림부(261)의 폭은 상기 제1걸림부(26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제1,2슬리브가 끝부분에 결합시에도 접속부분이 하중에 의해 쳐지지 않으므로 안정된 결합구조를 갖고 벽체에 형성되는 파이프 관통구가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원통의 형상으로 갖는 제2슬리브(200)가 제2단부면(220)에 비해 그 타단인 제2걸림부(261)의 부분은 하중에 의해 눌려지기 쉬운 구조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2걸림부(261)의 폭을 넓게 하여 힘줄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슬리브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도록 하였다.The width of the second catching
본 발명의 도 6과 같이 상기 다줄나사산은 일정 간격을 두고 나사산이 없는 파싱면이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제조과정에서 금형의 접속부분이 관통슬리브 제품에 형성되는 흠이 발생하기 않고 미려한 제품을 생산하는 장점을 갖게 된다.As shown in FIG. 6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screw threa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sing surface without threads is formed symmetrically at regular intervals. The above configuration has an advantage of producing a beautiful product without generating a defect in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mold is formed in the through sleeve product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본 발명의 상기 제1단부면(120) 및 제2단부면(220)에는 상기 제1,2 원형관부(110, 120)의 내경과 일치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제1절곡홈(122) 및 제2절곡홈(222)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를 양측으로 가설된 거푸집(10, 20) 사이에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거푸집을 제거하고 상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면(120, 200)을 망치 등으로 가볍게 두들겨 가압하면 제1절곡홈(122) 또는 제2절곡홈(222)에 의해 상기 단부면(120, 200)을 쉽고 미려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The
본 발명의 상기 제1슬리브(100)의 걸림턱(160)의 외주면에는 보강턱(11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통의 형상으로 갖는 제1슬리브(100)는 제1단부면(120)에 비해 그 타단인 걸림턱(160)의 부분은 하중에 의해 눌려지기 쉬운 구조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걸림턱(160)의 외주면에 반원의 띠 형상으로 보강턱(111)을 형성하여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슬리브가 눌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원형을 유지하는 장점을 갖게 된다.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cking
본 발명의 상기 제1슬리브(100)의 타측과 제2슬리브(200)의 제2단부면 측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과 직각으로 제1,2 파지부(112, 212)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작업자가 손으로 편리하게 파지하여 미끄럼 현상 없이 작업자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제1슬리브(100)와 제2슬리브(200)의 힘줄 역할을 하는 장점을 갖게 된다. The first and second
한편, 상기 제1 슬리브(100)는 반경의 크기나 길이에 따라 외주면에 형성된 파지부(112)를 연장하거나 추가하여 힘줄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제2슬리브(200)와 결합시 유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원주방향과 직각으로 힘줄을 복수 개 형성함으로써 슬리브의 반경이 커지면 결합된 제1,2 슬리브간의 사이에 유격이 생길 수 있는데 상기 힘줄(111)에 의해 유격을 최소화 하고,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슬리브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힘줄은 원주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고, 원주방향과 직각방향으로 같이 복수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슬리브의 내주면에서 상기와 같은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상기 제1슬리브(100)의 제1,2 단부면 또는 제2슬리브(200)의 제2 단부면 중 어느 하나에 공기구멍(123, 2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구멍은 조립시나 시공시 제1슬리브(100)와 제2슬리브(200)가 압축되거나 팽창될 때 공기가 잘 흐르도록 하여 쉽게 작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It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holes 123 and 223 are formed on either the first end surface of the
본 발명의 상기 제1고정핀(121) 및 제2고정핀(221)은 도 4a와 같이 테이퍼형상이고 외주면에는 길고 짧은 줄무늬가 교대로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121, 221)을 테이퍼 형상으로 하고, 상기 테이퍼 형상의 고정핀(121, 221)의 외주면에 길고 짧은 줄무늬가 교대로 복수 개 형성되어 거푸집(10, 20)의 체결공(11, 11')과 억지끼움 구조로 단단히 결합되어 미려하고 견고한 시공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한편, 상기 걸림턱(160)과 제1걸림부(260) 또는 제2걸림부(261)는 형성되는 나사산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줄나사가 아닌 1줄 나사산으로 1주회 형성하여 구성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과 제1걸림부의 형상을 나사산으로 형성하지 않고 사각형태의 걸림턱과 홈으로 형성되는 제1걸림부로 대칭되게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턱과 제1,2 걸림부의 구조와 형상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나사산, 걸림턱, 검림부의 모양이나 형성되는 구성요소는 통상의 기술자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cking
10,20: 거푸집, 11,21: 체결공, 100: 제1슬리브, 110: 제1원형관부, 111: 보강턱, 112: 제1파지부, 120: 제1단부면, 121: 제1고정핀, 122: 제1절곡홈, 123: 제1공기구멍, 150: 탄성부재봉, 160: 걸림턱, 170: 제1파싱면, 200: 제2슬리브, 210: 제2원형관부, 212: 제2파지부, 220: 제2단부면, 221: 제2고정핀, 222: 제2절곡홈, 223: 제2공기구멍, 250: 탄성부재수용관, 251: 탄성부재, 260: 제1걸림부, 261: 제2걸림부, 270: 제2파싱면10, 20: formwork, 11,21: fastener, 100: first sleeve, 110: first circular pipe part, 111: reinforcement jaw, 112: first gripping part, 120: first end face, 121: first fixing Pin, 122: first bending groove, 123: first air hole, 150: elastic member rod, 160: locking jaw, 170: first parsing surface, 200: second sleeve, 210: second circular tube part, 212: first 2 gripping part, 220: second end face, 221: second fixing pin, 222: second bending groove, 223: second air hole, 250: elastic member receiving tube, 251: elastic member, 260: first locking part , 261: second engaging portion, 270: second parsing surface
Claims (12)
개방된 상기 제1슬리브(100)의 제1원형관부(110)의 끝단부분의 내주면에는 걸림턱(160)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리브(200)의 제2원형관부(210)의 제2단부면(220) 측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턱(160)과 대응되어 체결될 수 있는 제1걸림부(260)가 형성되고,
상기 제2슬리브(200)의 제2단부면(220)의 내측 중심부에는 탄성부재(251)가 삽입되는 관형상의 탄성부재수용관(250)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슬리브(100)의 제1단부면(120)의 내측 중심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수용관(250)에 삽입되는 탄성부재봉(150)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One end portion of the first circular tube portion 110 is closed and the first end face 1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s fitted to the fastening hole 11 of the formwork 10 at the outer center of the first end face 120 A first sleeve 100 having a first fixing pin 121 formed thereon; One end of the second circular tube 210 is sealed, and the second end surface 2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other end side is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ircular tube part 110 to slide left and right. A second sleeve 200 having a second fixing pin 221 formed to fit into a fastening hole 21 of the formwork 20 at an outer center of one end; An elastic member 251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sleeve 100 and the second sleeve 200 so that the first sleeve 100 and the second sleeve 200 add elasticity to the formwork. As the 1 sleeve 100 and the second sleeve 200 are fastened between both ends between the fastening holes 11 and 21 formed in the dies 10 and 20 by applying elastic force to both sides, the fastening of the dies 10 and 20 is performed. The length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interval,
A locking jaw 160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circular tube portion 110 of the opened first sleeve 100, and the second of the second circular tube portion 210 of the second sleeve 200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surface 220 side, a first engaging portion 260 that can be fasten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locking jaw 160 is formed,
In the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end surface 220 of the second sleeve 200, a tubular elastic member receiving tube 250 into which an elastic member 251 is inserted is integrally formed, and the first sleeve 100 In the inner center of the first end surface 120 of the through-sleeve wall retaining wall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member rod 150 is inserted into the elastic member receiving tube 250.
상기 제2슬리브(200)의 제2단부면(220) 타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턱(160)과 대응되어 체결될 수 있는 제2걸림부(261)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leeve 200,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has a second engaging portion 261 that can be fasten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locking jaw 160 is formed through the wall retaining wall penetration sleeve.
상기 걸림턱(160), 상기 제1걸림부(260), 상기 제2걸림부(261)는 다줄나사산으로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신속하게 결합 및 분리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locking jaw 160, the first engaging portion 260,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61 is formed of a multi-screw thread through the wall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ucture that is quickly coupled and separated by rotation sleeve.
상기 제2걸림부(261)의 폭은 상기 제1걸림부(26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제1,2슬리브가 끝부분에 결합시 쳐지지 않고 안정된 결합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width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61 is formed wid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260, the wall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sleeves do not strike when engaged at the ends and have a stable coupling structure. Dragon through sleeve.
상기 걸림턱(160)의 다줄나사산은 일정 간격을 두고 나사산이 없는 제1파싱면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상기 제1걸림부(260) 및 제2걸림부(261)의 다줄나사산은 일정 간격을 두고 나사산이 없는 제2파싱면(270)이 대칭되게 복수개 형성되는 것 특징으로 하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multiple threads of the locking jaws 160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parsing surfaces without threads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multiple threads of the first locking portion 260 and the second locking portion 261 ar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The through-sleeve for a wall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econd parsing surfaces 270 without threads are formed symmetrically.
상기 제1단부면(120) 및 제2단부면(220)에는 타력에 의해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제1,2 원형관부(110, 120)의 내경과 일치되는 위치에 홈이 내측으로 절곡되고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제1,2 절곡홈(122, 22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nd face 120 and the second end face 220 have a groove bent inward at a position coinciding with the inner diameters of the first and second circular tube parts 110 and 120 so that they can be easily separated by force. The through sleeve for the wall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and second bending grooves (122, 222) are formed to be thin.
상기 제1슬리브(100)의 걸림턱(160)의 외주면에는 보강턱(111)을 구비하여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슬리브가 눌러지는 것을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hrough-sleeve for a wall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cking jaw 160 of the first sleeve 100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jaw 111 to prevent the sleeve from being pressed by the load of concrete.
상기 제1슬리브(100)의 타측과 제2슬리브(200)의 제2단부면 측의 외주면을 따라 제1,2 파지부(112, 212)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rough sleeve for wall retaining wall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parts 112 and 212 ar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leeve 100 and the second end surface side of the second sleeve 200, respectively. .
상기 제1슬리브(100)의 제1,2 단부면 또는 제2슬리브(200)의 제2 단부면 중 어느 하나에 공기구멍(123, 2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hrough hole for a wall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air holes 123 and 223 are formed in either the first end surface of the first sleeve 100 or the second end surface of the second sleeve 200.
상기 제1고정핀(121) 및 제2고정핀(221)은 테이퍼형상이고 외주면에는 길고 짧은 줄무늬가 교대로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ixing pin 121 and the second fixing pin 221 is a tapered shape and a through sleeve for a wall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long and short stripes are alternate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탄성부재(251)를 수용하는 탄성부재수용관(250)이 상기 제1슬리브(100)의 제1단부면(120)의 내측 중심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봉(150)이 상기 제2슬리브(200)의 제2단부면(220)의 내측 중심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elastic member receiving pipe 250 accommodating the elastic member 251 is integrally formed at an inner center of the first end face 120 of the first sleeve 100, and the elastic member rod 150 is A through sleeve for a wall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egrally form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second end surface 220 of the second sleeve 200.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3769A KR102141439B1 (en) | 2018-03-23 | 2018-03-23 | Sleeve for breast wall |
PCT/KR2018/005621 WO2019182193A1 (en) | 2018-03-23 | 2018-05-16 | Penetration sleeve for wall revet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3769A KR102141439B1 (en) | 2018-03-23 | 2018-03-23 | Sleeve for breast wal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1525A KR20190111525A (en) | 2019-10-02 |
KR102141439B1 true KR102141439B1 (en) | 2020-08-05 |
Family
ID=67987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3769A Active KR102141439B1 (en) | 2018-03-23 | 2018-03-23 | Sleeve for breast wall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1439B1 (en) |
WO (1) | WO2019182193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346116B1 (en) * | 2022-01-28 | 2022-05-31 | Carlos Contreras | Block out chair system used to make a block out or a pass-through in a concrete slab |
KR102767531B1 (en) * | 2022-08-18 | 2025-02-17 | 오병준 | Formwork panel for easy installation of elbow for water supply pipe and elbow installation method for water supply pipe using the same |
CN116065815A (en) * | 2023-03-09 | 2023-05-05 | 华能澜沧江水电股份有限公司 | Pre-buried sleeve plug and pre-buried sleev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2013Y1 (en) * | 2008-06-19 | 2008-09-29 | 이진혁 | Wall through sleeve structure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45727A (en) * | 2003-05-06 | 2003-06-11 | 김하용 | The pipe sleeve had the heigh-control function |
KR20090054790A (en) | 2007-11-27 | 2009-06-01 | 이상석 | Threaded Through Sleeve |
KR100912278B1 (en) | 2008-10-17 | 2009-08-17 | 강희준 | Formwork spacers |
JP3154893U (en) | 2009-08-18 | 2009-10-29 | 征治郎 今井 | sleeve |
JP5501215B2 (en) * | 2010-12-22 | 2014-05-21 | 未来工業株式会社 | Sleeve device and sleeve installation method |
KR101247414B1 (en) | 2011-05-16 | 2013-03-25 | 황혜자 | Installation apparatus of sleeve assembly |
KR20140000615U (en) * | 2012-07-18 | 2014-01-29 | 하철상 | Breast wall sleeve |
KR200476017Y1 (en) | 2014-03-21 | 2015-01-20 | 서주광 | Duct forming member for piping insertion |
KR101619698B1 (en) * | 2015-03-27 | 2016-05-11 | 하철상 | Penetration sleeve |
-
2018
- 2018-03-23 KR KR1020180033769A patent/KR102141439B1/en active Active
- 2018-05-16 WO PCT/KR2018/005621 patent/WO201918219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2013Y1 (en) * | 2008-06-19 | 2008-09-29 | 이진혁 | Wall through sleeve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182193A1 (en) | 2019-09-26 |
KR20190111525A (en) | 2019-10-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41439B1 (en) | Sleeve for breast wall | |
KR101901803B1 (en) | Through sleeve for wall retaining wall | |
KR101846481B1 (en) | Through sleeve for wall retaining wall | |
KR102548656B1 (en) | Screw rod tool assembly and exterior brick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assembly | |
US20120195681A1 (en) | Steel bar connector | |
US10024051B2 (en) | Embedded concrete anchor system | |
WO2017095218A1 (en) | Coupling for connecting construction parts, a truss provided therewith and associated method and use | |
US9926960B2 (en) | Coupling for connecting construction parts, a truss provided therewith and associated method and use | |
KR101797470B1 (en) | Through sleeve for wall retaining wall with multi-threaded threads | |
KR20180047130A (en) | Connection device for steel reinforcement | |
KR101709634B1 (en) | Through sleeve for wall retaining wall with multi-threaded threads | |
KR200491199Y1 (en) | Through sleeve for outer wall retaining wall | |
GB2526144A (en) | Aperture liner | |
KR20120105129A (en) | Extended anchor bolt | |
US11475806B2 (en) | Assembly and method for rotatably securing an object to a fixture | |
KR101908718B1 (en) | sleeve assembled anchorbolt | |
JP2015094416A (en) | Bolt connecting tool | |
KR102107497B1 (en) | An Easily Installable Breast Wall Sleeve | |
US20160131304A1 (en) | Drywall brace and method for installing | |
KR101676614B1 (en) | Tap reinforcement means for repairing damaged thread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of | |
KR10209680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penetration sleeve for the wall retaining wall having multiple thread acid with a cap and a cylindrical members is integrally formed | |
KR101694990B1 (en) | Anchor Bolt for Panel | |
KR200488782Y1 (en) | An Easily Installable Breast Wall Sleeve | |
KR102184827B1 (en) | Penetrating Type Sleeve For Wall Structure | |
KR101220050B1 (en) | quick guide stu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804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05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1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5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2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5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7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7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5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12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5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