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082B1 -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1082B1 KR102141082B1 KR1020140053525A KR20140053525A KR102141082B1 KR 102141082 B1 KR102141082 B1 KR 102141082B1 KR 1020140053525 A KR1020140053525 A KR 1020140053525A KR 20140053525 A KR20140053525 A KR 20140053525A KR 102141082 B1 KR102141082 B1 KR 1021410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electrode
- forming
- light emitting
- organic ligh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H10D86/4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 H10D86/6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wherein the TFTs are in active matric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6—Shielding, e.g. light-blocking means over the T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기판 상에 형성되는 광차단층과, 상기 광차단층의 상부에 중앙의 제1영역, 상기 제1영역의 양측에 제2영역과 제3영역을 포함하며 형성되는 산화물 반도체층과,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 상부에 형성된 제1절연층과, 상기 제1절연층 상부에 이중층 구조로 형성된 게이트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전극 상부로 상기 제2영역과 제3영역을 노출시키는 제1 및 제2반도체콘택홀을 구비하며 형성된 제2절연층과, 상기 제1 및 제2반도체콘택홀을 통해 노출된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에 각각 접촉하며 이중층 구조로 형성된 소스 및 드레인 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접촉하는 하부의 제1전극과, 상부의 제2전극, 그리고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의 사이에 형성된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전극을 통해 빛을 방출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과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은 금속산화물질을 포함하는 하부의 제1층과 도전물질로 이루어진 상부의 제2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산화물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한 어레이기판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산화물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공정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산화물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공정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비교예로서의 도전배선이고, 도 6c는 본 발명에 따라 이중층 구조를 가지는 도전배선을 일 예로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전배선의 물질 종류에 따른 반사율을 그래프로 보여주는 도면.
반사율(%) | |||||
종류 | 두께(Å) | 380nm | 550nm | 740nm | 380 내지 780nm AVG. |
제1도전배선(Cu) | 2000 | 42.3 | 64.2 | 98.6 | 74.3 |
제2도전배선의 제1층(Mo-Ti) | 300 | 51.1 | 55.6 | 60.8 | 55.7 |
제3도전배선의 제1층 (Cu-Mn-Ox) |
300 | 22.6 | 12.4 | 9.2 | 13.2 |
120a, 121a, 122a: 제1전극의 제1층
120b, 121b, 122b: 제1전극의 제2층
130, 131, 132, 133: 제2전극
130a, 131a, 132a, 133a: 제2전극의 제1층
130b, 131b, 132b, 133b: 제2전극의 제2층
Claims (19)
- 기판 상에 광차단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광차단층의 상부에 중앙의 제1영역, 상기 제1영역의 양측에 제2영역과 제3영역을 포함하는 산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의 상부에 제1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절연층의 상부에 이중층의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부로 상기 제2영역과 제3영역을 각각 노출시키는 제1 및 제2반도체콘택홀을 구비하는 제2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반도체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2영역과 제3영역에 각각 접촉하는 이중층의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접촉하는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의 상부로 빛을 방출하는 유기발광층 그리고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부에 제2전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전극을 통해 빛을 방출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과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은 금속산화물질을 포함하며 저반사특성을 가지는 하부의 제1층과 도전물질로 이루어진 상부의 제2층을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에 정의된 스토리지영역 상에 이중층 구조의 제1스토리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에 정의된 스토리지영역 상에 이중층 구조의 제2스토리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스토리지 전극과 제2스토리지 전극은 금속산화물질을 포함하는 하부의 제1층과 도전물질로 이루어진 상부의 제2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단계는, 각각
구리망간산화물(Cu-Mn-Ox) 타켓이 구비된 챔버 내에 상기 기판을 위치시킨 후, Ar 및 O2 분위기에서 리액티브(reactive) 스퍼터링 방식을 이용하여 제1금속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금속산화막의 상부에 구리로 제1도전막을 형성하고 사진식각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제1금속산화막과 상기 제1도전막을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기판 상에 광차단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광차단층의 상부에 중앙의 제1영역, 상기 제1영역의 양측에 제2영역과 제3영역을 포함하는 산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의 상부에 제1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절연층의 상부에 이중층의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부로 상기 제2영역과 제3영역을 각각 노출시키는 제1 및 제2반도체콘택홀을 구비하는 제2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반도체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2영역과 제3영역에 각각 접촉하는 이중층의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접촉하는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의 상부로 빛을 방출하는 유기발광층 그리고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부에 제2전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전극을 통해 빛을 방출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과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은 금속산화물질을 포함하며 저반사특성을 가지는 하부의 제1층과 도전물질로 이루어진 상부의 제2층을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단계는, 각각
구리망간(Cu-Mn) 합금 타켓이 구비된 챔버 내에 상기 기판을 위치시킨 후, Ar 분위기 또는 Ar 및 O2 분위기에서 스퍼터링 방식을 이용하여 제1도전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도전막의 상부에 구리로 제2도전막을 형성하고 사진식각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제1도전막과 상기 제2도전막을 패터닝하는 단계와,
열처리를 진행함으로써 상기 패터닝된 제1도전막의 테두리를 따라서는 망간산화막(Mn-Ox)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250℃ 내지 450℃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는 상기 제1도전막과 제2도전막 간의 경계부분을 제외한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타켓에는 상기 망간이 4 내지 50wt.%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삭제
- 기판 상에 광차단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광차단층의 상부에 중앙의 제1영역, 상기 제1영역의 양측에 제2영역과 제3영역을 포함하는 산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의 상부에 제1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절연층의 상부에 이중층의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부로 상기 제2영역과 제3영역을 각각 노출시키는 제1 및 제2반도체콘택홀을 구비하는 제2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반도체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2영역과 제3영역에 각각 접촉하는 이중층의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접촉하는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의 상부로 빛을 방출하는 유기발광층 그리고 상기 유기발광층의 상부에 제2전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전극을 통해 빛을 방출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과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은 금속산화물질을 포함하며 저반사특성을 가지는 하부의 제1층과 도전물질로 이루어진 상부의 제2층을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에 정의된 패드영역 상에 이중층 구조의 제1패드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에 정의된 패드영역 상에 이중층 구조의 제2패드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패드전극과 제2패드전극은 금속산화물질을 포함하는 하부의 제1층과 도전물질로 이루어진 상부의 제2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단층은 티타늄산화물(TiOx), 산화탄탈륨(TaOx), 구리산화물(CuOx), 질화실리콘(SiNx), 산화실리콘(SiOx) 중 하나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둘 이상의 다중층 구조를 가지고,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과 같거나 이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전면에 제1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광차단층이 형성된 기판 전면에 제2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기판 상에 형성되는 광차단층과;
상기 광차단층의 상부에 중앙의 제1영역, 상기 제1영역의 양측에 제2영역과 제3영역을 포함하며 형성되는 산화물 반도체층과;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 상부에 형성된 제1절연층과;
상기 제1절연층 상부에 이중층 구조로 형성된 게이트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전극 상부로 상기 제2영역과 제3영역을 노출시키는 제1 및 제2반도체콘택홀을 구비하며 형성된 제2절연층과;
상기 제1 및 제2반도체콘택홀을 통해 노출된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에 각각 접촉하며 이중층 구조로 형성된 소스 및 드레인 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접촉하는 하부의 제1전극과, 상부의 제2전극, 그리고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의 사이에 형성된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전극을 통해 빛을 방출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과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은 금속산화물질을 포함하는 하부의 제1층과 도전물질로 이루어진 상부의 제2층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의 스토리지영역에는 상기 제2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이중층 구조를 가지는 제1스토리지 전극과 제2스토리지 전극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질은 구리망간산화물이고, 상기 도전물질은 구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기판 상에 형성되는 광차단층과;
상기 광차단층의 상부에 중앙의 제1영역, 상기 제1영역의 양측에 제2영역과 제3영역을 포함하며 형성되는 산화물 반도체층과;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 상부에 형성된 제1절연층과;
상기 제1절연층 상부에 이중층 구조로 형성된 게이트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전극 상부로 상기 제2영역과 제3영역을 노출시키는 제1 및 제2반도체콘택홀을 구비하며 형성된 제2절연층과;
상기 제1 및 제2반도체콘택홀을 통해 노출된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에 각각 접촉하며 이중층 구조로 형성된 소스 및 드레인 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접촉하는 하부의 제1전극과, 상부의 제2전극, 그리고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의 사이에 형성된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전극을 통해 빛을 방출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과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은 금속산화물질을 포함하는 하부의 제1층과 도전물질로 이루어진 상부의 제2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층은 도전합금과 상기 도전합금을 테두리하는 상기 금속산화물질로 구성되되, 상기 도전합금은 구리망간 합금이고, 상기 금속산화물질은 망간산화물(Mn-O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질에는 상기 망간이 4 wt.%보다 크고 50 wt.%보다 작은 양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삭제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패드영역에는 이중층 구조를 가지며 형성된 패드전극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단층은 티타늄산화물(TiOx), 산화탄탈륨(TaOx), 구리산화물(CuOx), 질화실리콘(SiNx), 산화실리콘(SiOx) 중 하나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둘 이상의 다중층 구조를 가지고,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과 같거나 이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전면에 형성된 제1버퍼층과,
상기 광차단층이 형성된 기판 전면에 형성된 제2버퍼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외면에 부착된 눈부심방지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3525A KR102141082B1 (ko) | 2014-05-02 | 2014-05-02 |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3525A KR102141082B1 (ko) | 2014-05-02 | 2014-05-02 |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6509A KR20150126509A (ko) | 2015-11-12 |
KR102141082B1 true KR102141082B1 (ko) | 2020-08-05 |
Family
ID=54609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3525A Active KR102141082B1 (ko) | 2014-05-02 | 2014-05-02 |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108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274093B2 (en) | 2021-06-22 | 2025-04-08 | Samsung Display Co., Ltd. | Wiring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17447B1 (ko) * | 2015-12-30 | 2023-04-0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KR102510566B1 (ko) * | 2015-12-31 | 2023-03-1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거울형 표시장치 |
KR102452050B1 (ko) * | 2015-12-31 | 2022-10-0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KR102568632B1 (ko) | 2016-04-07 | 2023-08-2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트랜지스터 표시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KR102556849B1 (ko) | 2016-04-12 | 2023-07-1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
KR20180004488A (ko) * | 2016-07-04 | 2018-01-1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KR102802821B1 (ko) * | 2016-11-25 | 2025-04-3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 |
KR102556961B1 (ko) * | 2016-12-21 | 2023-07-2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포토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 |
KR102543167B1 (ko) * | 2017-09-15 | 2023-06-1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배선 기판,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 |
KR102819101B1 (ko) | 2020-12-01 | 2025-06-1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6563B1 (ko) * | 2012-04-18 | 2013-09-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도성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82248B2 (ja) * | 1996-09-13 | 2004-10-27 | 富士通株式会社 | ガス放電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
KR100397877B1 (ko) * | 2001-08-14 | 2003-09-13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 소자 |
-
2014
- 2014-05-02 KR KR1020140053525A patent/KR10214108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6563B1 (ko) * | 2012-04-18 | 2013-09-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도성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274093B2 (en) | 2021-06-22 | 2025-04-08 | Samsung Display Co., Ltd. | Wiring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6509A (ko) | 2015-1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41082B1 (ko) |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US8274090B2 (en) |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 |
US8933443B2 (en) |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providing mirror function | |
US8569762B2 (en) |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improved transmittance | |
KR102248641B1 (ko) | 유기전계 발광소자 | |
KR102290785B1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KR101976068B1 (ko) |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1125566B1 (ko) |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 |
US8519395B2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US9755009B2 (en) |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8797239B2 (en) |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 |
US9391130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150041511A (ko)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273443B1 (ko) | 유기전계 발광소자 | |
KR20160039080A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KR102638950B1 (ko) | 전계 발광 표시 장치 | |
KR20170060216A (ko) |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50011868A (ko) |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250013267A (ko) | 산화물 반도체 패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90048391A (ko) | 블랙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80061902A (ko) | 발광 영역 및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KR102355605B1 (ko) |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20210004356A (ko) | 산화물 반도체 패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2218944B1 (ko) |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20220087826A (ko) | 협시야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0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4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5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7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