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505B1 - Cooking appliance - Google Patents
Cooking applian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9505B1 KR102139505B1 KR1020130163105A KR20130163105A KR102139505B1 KR 102139505 B1 KR102139505 B1 KR 102139505B1 KR 1020130163105 A KR1020130163105 A KR 1020130163105A KR 20130163105 A KR20130163105 A KR 20130163105A KR 102139505 B1 KR102139505 B1 KR 1021395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tch
- switch
- guide
- latch arm
- do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679 ab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05B6/6417—Door interlock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and related 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발명으로, 스위치와의 접점을 유지하여 편차를 해소할 수 있는 조리기기에 관한 발명이다.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을 가지는 본체;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래치몸체와, 상기 래치몸체에서 상기 본체 방향으로 연장되는 래치암과, 상기 래치암에서 연장되어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래치; 및 상기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차폐할 때, 상기 래치암에 의해 접점되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와, 상기 래치암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가지며,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보드;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위치와의 접점이 유지되어 제품의 신뢰성과 조립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and an invention for a cooking appliance capable of resolving variations by maintaining contact with a switch.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aspect,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aspect, the main body having a cooking chamber providing a space in which food is cooked; A door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cooking compartment; A latch including a latch body mounted on the door, a latch arm extending from the latch body toward the main body, and an elastic part extending from the latch arm and having elasticity; And a switch that is in contact with the latch arm to generate a signal when the door shields the cooking chamber, and a guide mounted on the main body having a guid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latch arm;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point with the switch is maintained, thereby having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and assembly of the produ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발명으로, 스위치와의 접점을 유지하여 편차를 해소할 수 있는 조리기기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and an invention for a cooking appliance capable of resolving variations by maintaining contact with a switch.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섭취 가능한 상태로 요리하는 주방 가전기기의 하나이며, 이러한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의 종류에 따라 전기 조리기기와 가스 조리기기로 구분될 수 있다.A cooking appliance is one of kitchen appliances that cook food in a state that can be consumed by heating food, and the cooking appliance may be divided into an electric cooking appliance and a gas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 type of heat source for heating the food.
상기 전기 조리기기는 공급되는 전원의 전기 에너지를 열원으로 하는 조리기기이며 음식물의 가열을 위한 히터가 장착되고, 상기 가스 조리기기는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시켜 화염을 열원으로 하는 조리기기이며, 음식물의 가열을 위한 버너가 장착된다.The electric cooking appliance is a cooking appliance that uses the electric energy of the supplied power as a heat source, and is equipped with a heater for heating food, and the gas cooking appliance is a cooking appliance that uses a flame as a heat source by burning the supplied gas. A burner for heating is fitted.
또한, 상기 조리기기는 형태에 따라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의 내부에 음식물을 수납한 상태에서 가열하는 오븐의 형태와, 개방된 공간에서 음식물이 담긴 음식용기를 가열하는 레인지의 형태로 구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oking appliance is in the form of an oven for heating in the state of storing food in the interior of the cooking chamber providing a space for cooking food according to the shape, and a range for heating a food container containing food in an open space. It may be divided.
최근에는 다양한 음식물이 요리를 가능하게 하면서,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할 수 있는 복합적인 형태를 가지는 조리기기 즉, 오븐의 형태와 레인지의 형태가 결합된 오븐레인지의 형태로 제공되기도 한다.In recent years, while various foods can be cooked,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complex shape capable of satisfying various tastes of a user, that is, an oven and a range of ovens are combined.
그리고, 상기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의 가열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열원이 장착될 수 있으며, 일 예로써 마이크로파를 수납된 음식물에 조사하여 가열하는 마그네트론이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king appliance may be equipped with various types of heat sources for heating food, and for example, a magnetron for heating by irradiating microwaves with food stored therein may be mounted.
근래에는 다양한 음식물의 요리를 위하여 음식물의 가열을 위한 가열원이 둘 이상 장착되는 형태의 조리기기가 제공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a cooking appliance in which two or more heating sources for heating food is mounted for cooking various foods.
상기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가열되면서 요리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마련되고, 이러한 조리실은 도어에 의해 차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사용자에 의해 회동하면서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되고, 상기 조리실을 차폐하면서 다수의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The cooking appliance is provided with a cooking chamber, which is a space in which food is cooked while being heated, and the cooking chamber may be configured to be shielded by a door.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selectively by the user while rotating, and it is possible to operate a plurality of switches while shielding the cooking chamber.
한편, 선행 기술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46902호에는 전자레인지의 래치보드 구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며, 상기 등록특허에는 모니터스위치와 회로스위치의 동작 시간차가 커지도록 하는 래치보드의 구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46902, which is a prior art document, discloses an invention relating to the structure of a latch board of a microwave oven, and the registration patent relates to a structure of a latch board to increase the operating time difference between a monitor switch and a circuit switch. The invention is disclosed.
상기 등록특허에는 도어가 닫히면서 래치에 의해 작동하는 모니터레버가 걸림래치에 의해 작동하는 회로레바보다 먼저 작동하여 모니터스위치의 오프가 회로스위치의 온보다 선행되는 구성이 개시된다.The registered patent discl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monitor lever operated by a latch operates prior to a circuit lever operated by a latch latch while the door is closed, so that the monitor switch is turned off before the circuit switch is turned on.
또한, 다른 선행 기술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5968호에는 전자레인지 및 전자레인지의 도어 구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며, 상기 공개특허에는 경사진 상하 운동을 하는 래치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 및 전자레인지의 도어 구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In additio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1-0045968, which is another prior art document, discloses an invention related to a microwave oven and a door structure of a microwave oven, and the disclosed patent discloses a microwave oven equipped with a latch for tilting up and down motion And the door structure of the microwave oven.
상기 공개특허에는 부품 간의 치수 및 조립 편차로 인한 스위치의 접점 위치 변경이 방지되는 전자레인지 및 전자레인지의 도어 구조를 제안하고자 하는 발명이 개시된다.The disclosed patent discloses an invention to propose a microwave oven and a door structure of a microwave oven in which a change in the position of a contact point of a switch is prevented due to variations in dimensions and assembly between parts.
이처럼, 상기와 같은 선행 기술문헌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조리기기에는 도어가 장착되고, 이러한 도어의 회동에 의해 동작되는 스위치가 장착되며, 부품 간의 치수 및 조립 편차로 인하여 도어의 동작에 의한 스위치의 동작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As such, as can be seen in the prior art document as described above, the cooking appliance is equipped with a door, a switch operated by rotation of the door is mounted, and a switch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door due to dimensions and assembly variations between parts. It is a situation that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of the player is difficult is being raised.
이와 같이, 조리기기의 도어는 회동하면서 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며, 도어에 의한 스위치의 조작은 조리기기의 동작에 있어서 중요한 동작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도어에 의한 스위치의 조작은 조립의 편차와 부품 간의 치수 편차 등에 의해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편차는 제품의 불량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oor of the cooking appliance rotates to operate the switch, and the operation of the switch by the door acts as an important operation in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Since defects may occur due to deviations, it can be seen that these deviations act as an important factor in product defects.
본 발명의 목적은, 편차에 의한 스위치의 접점 불량이 방지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that prevents the contact failure of the switch due to devi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도하지 않는 편차에 대응하여 스위치의 접점이 유지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in which a contact point of a switch is maintained in response to an unintended deviation.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을 가지는 본체;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래치몸체와, 상기 래치몸체에서 상기 본체 방향으로 연장되는 래치암과, 상기 래치암에서 연장되어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래치; 및 상기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차폐할 때, 상기 래치암에 의해 접점되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와, 상기 래치암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가지며,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보드;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cooking chamber providing a space in which food is cooked; A door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cooking compartment; A latch including a latch body mounted on the door, a latch arm extending from the latch body toward the main body, and an elastic part extending from the latch arm and having elasticity; And a switch that is in contact with the latch arm to generate a signal when the door shields the cooking chamber, and a guide mounted on the main body having a guid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latch arm;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삭제delete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인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에 장착되는 래치는 탄성 변형에 의해 스위치의 접점을 유지하는 탄성부를 가지도록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latch mounted to the door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cooking chamber, which is a space where food is cooked, is formed to have an elastic part that maintains the contact point of the switch by elastic deformation.
이처럼, 탄성부의 탄성 변형에 의해 스위치의 접점이 유지되면, 조립 편차 또는 부품 치수의 편차 등과 같이 의도하지 않은 편차에 의한 스위치의 접점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스위치의 접점 위치가 유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tact point of the switch is maintained by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part, the contact point position of the switch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hanged due to unintended deviation, such as assembly deviation or part dimension deviation. The effect can be expected.
또한, 래치와 보드의 조립 편차 또는 부품 치수의 편차에 의해 편차를 가지도록 조립되더라도 스위치의 접점은 유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스위치의 접점이 유지됨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ven when assembled to have a deviation due to the deviation of the assembly of the latch and the board or the deviation of the component dimensions,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contact of the switch can be expected, an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expected as the contact of the switch is maintained. There will be.
그리고, 스위치의 접점이 유지됨에 따라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조립성의 향상에 따라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And, as the contact point of the switch is maintained, it is possible to expect an effect of improving the assembling ability, and it is possible to expect an effect of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the product as the assembling ability is improved.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도어와 커버 및 제어 부품들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래치와 보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래치와 보드가 결합된 일부를 나타낸 확대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래치 동작을 나타낸 래치와 스위치의 확대 측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래치와 보드가 결합된 일부를 나타낸 확대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래치 동작을 나타낸 부분 측면도.
도 9 는 도 8에 의한 조리기기의 래치 동작을 나타낸 래치와 스위치를 나타낸 측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and the cover and control parts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moved.
Figure 3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ver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tch and the board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Figure 5 is an enlarged side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latch and the board in the closed state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side view of a latch and a switch showing a latch operation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nlarged side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latch and the board in the closed state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 side view showing a latch operation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showing a latch and a switch showing a latch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FIG. 8;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를 첨부되는 예시적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exemplary drawings.
예시적 도면에는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하고, 이들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 부호를 가지도록 부가된다.In the exemplary drawings,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components, and thes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same components to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interfere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들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는 않는다.And,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are used, and these term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components. It is only for distinguishing,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하는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 결합될 수 있으나, 이들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될 수도 있다고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connected to, or coupl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between the compon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components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살펴보는 실시 에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될 수는 없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개념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limited in the form of implementation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the term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concepts selec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grasp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regard, it should be properly interpreted in a sense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되는 도면의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된다. Figure 1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조리기기는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사각상자 형태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물론, 구(球)의 형태로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나, 안전성 및 기능성을 위하여 직육면체 형태의 외관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cooking appliance has an internal space of a certain degree and forms an external shape of a rectangular box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Of course, the configuration of forming the appearance in the form of a sphere may also be possible, but for safety and functionality, the appearance of a cuboid form is widely used.
상기 조리기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30)와, 상기 도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조리기기의 동작을 사용자가 조작하거나 동작 상태 등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컨트롤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oking appliance includes a
상기 본체(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에는 상면과 양 측면 외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본체(10)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버(11)가 장착된다.The
상기 커버(11)는 일정 정도의 두께와 강도를 가지는 다수의 플레이트가 결합되면서 형성되고, 상기 커버(11)에 의해 감싸지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는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20)이 형성된다.The
물론, 상기 커버(11)는 하나의 플레이트가 절곡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며, 다수의 플레이트가 결합되면서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본체(10)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Of course, the
상기 도어(30)는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중앙 부분에는 외부 공간에서 사용자가 음식물의 요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상기 도어(30)의 일 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30)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할 수 있는 구성이 형성된다. A configuration capable of gripping when a user wants to rotate the
또한, 도면에서 볼 때 상기 도어(30)의 우측에는 상기 컨트롤부(40)가 위치된다. 상기 컨트롤부(40)는 사용자가 음식물의 요리를 위하여 직접 조작하는 다수의 버튼과, 상기 본체(10)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표시창 등이 장착된다.In addition, in the drawing, the
이하에서는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도어와 커버 및 부품들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부분 절개 사시도가 도시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and the cover and parts of the cooking appliance are remo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cover of the cooking appliance is remo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커버(11)의 내부 공간에는 일정 정도의 공간을 가지는 상기 조리실(20)이 형성되고, 상기 조리실(20)의 전면에는 상기 도어(30)의 장착이 가능하면서 상기 본체(1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12)가 위치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inside of the
상기 조리실(20)의 후측에는 상기 본체(10)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플레이트(13)가 위치되며,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는 공기의 유동을 위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통공에는 공기의 유동을 위한 팬이 장착될 수 있다.A
상기 조리실(20)의 상면에는 상기 조리실(20)의 내부 공간으로 복사열을 발산하는 히터(도 3의 21)가 장착되도록 일부가 절제된다. 이러한 절제면을 통해 상기 히터(21)에서 발산되는 열이 상기 조리실(20)로 전달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조리실(20)의 우측에는 다수의 전장 부품이 장착되는 전장실이 형성된다. 상기 전장실에는 상기 조리실(20)의 내부 공간으로 마이크로파를 발산하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본체(10)의 동작을 위한 다수의 제어 부품이 위치된다.On the right side of the
상기 조리실(20)의 우측면에는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발산되는 마이크로파가 상기 조리실(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마이크로파홀이 형성되고, 이러한 마이크로파홀을 통해 유입되는 마이크로파에 의해 상기 조리실(20)에 놓이는 음식물이 가열되면서 요리된다.A microwave hole is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상기 전면플레이트(12)에는 상기 조리실(20)의 전면이 개방되도록 일정 면적만큼 절제되고, 상기 조리실(20)의 전면 우측에는 상기 컨트롤부(40)가 장착되도록 일정 면적만큼 절제 형성된다.The
또한, 상기 전면플레이트(12)에는 상기 도어(30)에 장착되는 래치(도 3의 50)가 삽입되는 래치홀(121)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30)가 회동하여 상기 조리실(20)의 개방된 전면을 차폐하게 될 때, 상기 래치홀(121)에 상기 래치(5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래치홀(121)은 상기 래치(50)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수량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상기 전면플레이트(12)의 후면에는 다음에 설명할 보드(도 3의 60)의 장착을 위한 보드장착부(122)가 형성된다. 상기 보드장착부(122)는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면서 상기 전면플레이트(12)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이러한 상기 보드장착부(122)에 상기 보드(60)가 결합 고정 지지된다.A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도어(30)에는 래치(50)가 장착되고, 상기 보드장착부(122)에는 상기 보드(60)가 장착된다. 상기 보드(60)에는 상기 도어(3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조리실(20)이 차폐될 때, 상기 래치(50)에 의해 접점되면서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61)가 장착된다.Referring to FIG. 3, a
또한, 상기 도어(3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조리실(20)이 차폐될 때, 상기 래치(5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62)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스위치(61)와 상기 가이드(62)는 상기 도어(30)의 회동에 의한 상기 래치(50)의 운동과 관계될 수 있다. 이는 다음에 살펴보기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그리고, 상기 본체(10)와 상기 도어(30)를 조립하게 될 때 상기 래치(50)와 상기 보드(60)의 조립 편차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의하면 이러한 조립 편차를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In addition, when assembling the
즉, 조립 과정 또는 생산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편차인 상기 래치(50)와 상기 보드(60)가 조립에 의한 편차 또는 부품 치수에 의한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래치(50)에 의한 상기 스위치(61)의 접점은 유지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That is, the switch (61) by the latch (50) even if there is an unintended deviation in the assembly process or the production process, the latch (50) and the board (60) are caused by assembly or part size. The contact point of has the advantage of being maintained.
이처럼, 상기 도어(3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조리실(20)의 개방된 면을 차폐하게 될 때, 상기 래치(50)와 상기 보드(60)는 결합되어 상기 스위치(61)를 접점하게 되고, 상기 조리실(20)의 개방된 면을 개방하게 될 때, 상기 래치(50)와 상기 보드(60)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스위치(61)의 접점을 해제하게 된다.As such, when the open surface of the
상기 스위치(61)가 상기 래치(50)에 의해 접점되면, 상기 스위치(61)는 신호를 발생시키면서 상기 본체(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스위치(61)에서 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제어부는 신호에 따라 적합한 제어를 진행하게 된다.When the
그리고, 상기 도어(30)가 사용자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조리실(20)의 전면을 개방하게 되면, 상기 래치(50)의 일부는 상기 스위치(61)의 접점을 해제하면서 상기 래치홀(121)을 통해 상기 전면플레이트(12)로부터 이탈되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61)의 접점 해제에 의해 적합한 제어를 진행하게 된다.Then, when the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61)가 상기 래치(50)에 의해 접점되면, 상기 제어부는 이러한 신호에 의해 상기 히터(21) 또는 상기 마그네트론 등을 동작시키게 되고, 상기 스위치(61)의 접점이 해제되면, 상기 히터(21) 또는 상기 마그네트론 등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이하에서는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래치(50)와 상기 보드(60)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래치와 보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도어가 닫힌 상태의 래치와 보드가 결합된 일부를 나타낸 확대 측면도가 도시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the
상기 도어(30)에는 상기 래치(50)가 장착된다. 상기 래치(50)는 상기 도어(30)에 장착되는 래치몸체(51)와, 상기 래치몸체(51)에서 후방 즉, 상기 본체(10) 방향으로 연장되는 래치암(52)과, 상기 래치암(52)에서 연장되는 탄성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래치몸체(51)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래치몸체(51)는 일정 정도의 강도를 가지면서 상기 도어(30)에 장착된다. The
상기 래치몸체(51)의 상기 본체(10) 방향 면을 후면이라 가정하면, 상기 래치몸체(51)의 후면에는 상기 래치암(52)이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래치암(52)은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상기 래치몸체(51)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일정 길이 만큼 수평하게 연장된 다음, 후방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연장되고, 끝 부분은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연장된다.Assuming that the surface of the
도면에서 볼 때, 상기 래치암(52)은 상기 래치몸체(51)의 상반부와 하반부에 각각 형성되어, 두 개의 상기 래치암(52)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래치암(52)은 두 개가 아닌 세 개 또는 그 이상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In the drawing, the
이처럼, 상기 래치암(52)은 하나 또는 그 이상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래치암(52)의 수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두기로 하고, 상기 전면플레이트(12)에는 상기 래치암(52)의 수와 대응하는 수의 상기 래치홀(121)이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을 밝혀두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since one or more of the
또한, 상기 래치암(52)은 상기 스위치(61)의 접점을 위한 접점 버튼을 압착하여 상기 스위치(61)가 접점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상기 래치암(52)의 하단부에는 상기 래치암(52)이 상기 스위치(61)와의 접점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53)가 연장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래치암(52)을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래치몸체(51)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부(521)와, 상기 수평부(521)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향 경사를 가지는 상향경사부(522)와, 상기 상향경사부(522)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하향 경사를 가지는 하향경사부(5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Looking at the
상기 수평부(521)는 상기 도어(30)가 상기 조리실(20)의 개방된 전면을 차폐하게 될 때, 상기 래치홀(121)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부분이 되며, 상기 상향경사부(522)와 상기 하향경사부(523)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2)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하향경사부(523)는 상기 스위치(61)를 접점하게 된다.The
이와 같이, 상기 래치암(52)은 상기 래치홀(121)을 관통하여 상기 전면플레이트(12)의 후방으로 인입하여 상기 스위치(61)의 접점 버튼을 압착하여 접점하게 된다.In this way, the
이때, 실질적으로 상기 스위치(61)의 접점은 상기 하향경사부(523)의 하단부에 의해 상기 스위치(61)의 접점 버튼이 압착되면서 접점된다. 다만, 상기 하향경사부(523)의 하단부가 상기 스위치(61)의 접점 버튼을 압착하기 위하여, 상기 수평부(521)와 상기 상향경사부(522)가 형성되므로, 상기 래치암(52)을 접점부라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substantially the contact of the
다시 말해, 상기 스위치(61)의 접점을 위하여 상기 수평부(521)와 상기 상향경사부(522)가 일정 거리를 확보하게 되고, 상기 하향경사부(523)에 의해 상기 스위치(61)가 접점되도록 형성된다. In other words, for the contact point of 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래치암(52)이 상기 수평부(521)와 상기 상향경사부(522)와, 상기 하향경사부(523)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구성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물론, 상기 래치암(52)이 다른 형태로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나,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더라도, 상기 스위치(61)의 접점 버튼을 압착하여 상기 도어(3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스위치(61)가 접점되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상기 상향경사부(522)와 상기 하향경사부(523)를 측방에서 보면, 대략 "∧"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향경사부(523)에는 상기 스위치(61)와의 접점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53)가 연장 형성된다.When the upwardly
상기 탄성부(53)는 상기 스위치(61)의 접점 위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탄성 변형되는 부분으로 상기 하향경사부(523)의 하단부에서 전방 즉, 상기 도어(30) 방향 상세하게는 다음에 설명할 가이드(62)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The
상기 탄성부(53)는 일정 정도의 강도와 면적을 가지는 탄성편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향경사부(523)와 일정 거리만큼 이격 위치되면서 상기 하향경사부(523)와 일정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된다.The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탄성부(53)는 상기 하향경사부(523)의 후단부 하단에서 전방 즉, 상기 가이드(62)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를 가지면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하향경사부(523)과 일정 정도의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 형성된다.Looking at this in detail, the
이처럼, 상기 탄성부(53)가 상기 하향경사부(523)와 일정 정도의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일정 정도의 간격만큼 상기 탄성부(53)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such, while the
상기 탄성부(53)는 상기 래치암(52)의 하단부 즉, 상기 하향경사부(523)의 하단부에서 상기 가이드(62)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도어(30)를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62)의 후단부와 상기 래치암(52)이 최단 거리가 되는 공간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The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탄성부(53)의 전단은 상기 래치암(52)과 상기 가이드(62)의 상단부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53)는 상기 하향경사부(523)로부터 상기 가이드(62)의 상단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끝 부분은 상기 가이드(62)의 상단부와 상기 래치암(52) 사이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ront end of the
이때, 상기 탄성부(53)의 전단, 도면에서 볼 때 상기 도어(30)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탄성부(53)의 전단은, 상기 도어(30)를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62)의 후단부와 상기 래치암(52) 사이 공간에 위치되도록 연장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front end of the
이처럼, 상기 탄성부(53)가 상기 래치암(52)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래치암(52)과 상기 가이드(62)의 사이 공간으로 전단이 위치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래치암(52)과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면, 상기 탄성부(53)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래치암(52)은 상기 스위치(61)와의 접점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다시 말해, 상기 탄성부(53)는 상기 도어(30)가 상기 조리실(20)의 개방된 전면을 차폐하게 될 때, 상기 보드(60)에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62)의 후단부와 접하면서 탄성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53)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스위치(61)와의 접점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In other words, the
상기 탄성부(53)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스위치(61)의 접점 위치가 유지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조립 편차 또는 부품 치수의 편차 등과 같은 편차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상기 스위치(61)의 정확한 접점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The contact position of the
또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탄성부(53)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스위치(61)의 접점 위치가 유지됨으로써 편차를 가지는 조리기기의 스위칭을 매칭하기 위한 시스템을 가지는 조리기기의 구성으로 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having a system for matching the switching of the cooking appliance having a deviation by maintaining the contact position of the
이와 같이, 상기 탄성부(53)는 상기 가이드(62)와 접하여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래치암(52)과의 간격이 변경되고, 이러한 간격 변경에 의해 상기 스위치(61)와의 접점 위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그리고, 상기 탄성부(53)는 의도하지 않은 편차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가이드(62)와 접하는 부분 상세하게는 접하는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스위치(61)와의 접점 위치를 유지하는 구성으로 볼 수 있으며, 상기 래치암(52)과 접하는 부분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의도하지 않은 편차에 의해 회동하는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스위치(61)와의 접점 위치를 유지하는 구성으로 볼 수도 있다.And, while the
다시 말해, 상기 탄성부(53)는 상기 래치암(52)과의 간격이 변경되도록 상기 래치암(52)과 연결되는 부분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형태의 탄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62)와 접하면서 굴절 또는 압착되는 형태의 탄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other words, the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탄성부(53)의 탄성 변형 형태는 제한을 두지 않기로 한다. 다만, 어떠한 경우라도 의도하지 않은 편차에 의해 일정 정도의 탄성 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변형에 의해 상기 래치암(52)이 상기 스위치(61)의 접점 버튼을 압착하는 접점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deformation form of the
이하에서는 상기 스위치(61)가 장착되면서 상기 가이드(62)가 형성되는 보드(60)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보드(60)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2)의 후면에 형성되는 상기 보드결합부(122)에 장착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보드(60)는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두께와 면적을 가지면서 세로 방향으로 긴 사각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드(60)에는 상기 도어(30)의 회동에 의해 접점되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61)가 장착되고, 상기 도어(30)의 회동에 의해 유동하는 상기 래치암(52)을 안내하는 가이드(62)가 형성된다.The
상기 스위치(61)는 전체적으로 대략 사각 상자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도어(30)의 회동에 의해 상면에 형성되는 접점 버튼을 상기 래치암(52)이 압착함으로써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스위치(61)의 접점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는 상기 컨트롤부(40)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어 부품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ile the
상기 가이드(62)는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는 사각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드(60)에 고정되거나, 상기 보드(6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62)는 상기 도어(30)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갈수록 후단부가 상방으로 향하는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62)의 상면을 따라 상기 래치암(52)의 하단부가 안내된다.The
다시 말해, 상기 도어(30)의 회동에 의해 상기 래치암(52)은 상기 래치홀(121)을 통해 상기 전면플레이트(12)의 후방으로 인입된다. 이때, 상기 래치암(52)과 상기 탄성부(53)의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62)의 상면을 따라 안내되면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In other words, by the rotation of the
상기 가이드(62)의 상면을 따라 안내되어 후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래치암(52)은 상기 가이드(62)의 끝 부분에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62)의 길이보다 상기 래치암(52)의 후방 연장 길이가 더 길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래치암(52)의 후단부는 상기 가이드(62)의 끝 부분을 지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상세하게는, 상기 래치암(52)의 상기 상향경사부(522) 후단까지 상기 가이드(62)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하향경사부(523)는 상기 가이드(62)의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In detail, until the rear end of the
이때, 상기 하향경사부(523)의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62)의 상단부를 지나면서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위치(61)의 상면에 위치하는 접점 버튼을 압착하게 되면서, 상기 래치암(52)은 상기 스위치(61)를 접점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downward
그리고, 상기 래치암(52)이 상기 스위치(61)를 접점하게 되는 경우 의도하지 않은 편차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53)는 상기 가이드(62)의 후단부와 상기 래치암(52)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가이드(62)의 후단부와 접하면서 탄성 변형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an unintended deviation occurs when the
즉, 상기 탄성부(53)가 상기 가이드(62)의 후단부와 접하면서 상기 탄성부(53)와 상기 래치암(52) 사이 간격이 변경되는 탄성 변형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탄성부(53)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래치암(52)은 상기 스위치(61)와의 접점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ile the
상기 탄성부(53)의 탄성 변형만큼 상세하게는 상기 탄성부(53)와 상기 래치암(52) 사이 간격만큼 상기 래치암(52)과 상기 스위치(61)의 접점 버튼이 편차를 가지게 되더라도 상기 탄성부(53)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스위치(61)의 접점 위치는 유지되므로, 상기 스위치(61)의 접점이 양호해지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Even if the contact button of the
상기 스위치(61)가 접점되면 상기 스위치(61)에서는 신호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스위치(61)에서 발생되는 신호는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어 상기 도어(30)의 닫힘 여부 등을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상기 탄성부(53)의 탄성 변형에 의한 상기 스위치(61)의 접점 위치가 유지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도면에서 볼 때, 의도하지 않은 조립 편차 또는 부품 치수 편차 등과 같은 편차에 의해 상기 래치암(52)의 위치가 일정 정도 전방으로 편차를 가지는 상태인 경우, 사용자가 상기 도어(30)를 회동시켜 상기 조리실(20)의 전면을 차폐하게 되면, 상기 래치암(52)은 상기 가이드(62)에 의해 안내되면서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래치암(52)의 상기 하향경사부(523)가 상기 가이드(62)를 지나는 상태에서 하방으로 향하게 된다.Looking at the state in which the contact position of the
이처럼, 상기 하향경사부(523)가 하방으로 향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53)는 상기 가이드(62)의 후단부와 접하면서 상기 래치암(52)와 접하는 부분(도면에서 볼 때 하단부)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상단부가 탄성 변형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downward
상기 탄성부(53)가 상기 가이드(62)와 접하면서 탄성 변형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서, 상기 탄성부(53)는 상기 래치암(52)와의 간격이 좁아지는 형태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스위치(61)의 접점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As the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도어가 닫힌 상태의 래치와 보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7 is a partially enlarged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atch and a board in a closed state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상기 래치몸체(51)의 구성과 상기 래치암(52) 및 상기 탄성부(53)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탄성부(53)의 전단에는 상기 탄성부(5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54)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부(54)는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는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탄성부(53)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도어(3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On the front end of the
이때, 상기 이탈방지부(54)는 상기 탄성부(53)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도어(30)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62)와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면서 상기 도어(30)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상기 이탈방지부(54)는 상기 탄성부(5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탄성부(53)의 전단에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53)에 고정 장착됨으로써 회동되지 않도록 결합된다.The
상기 이탈방지부(54)는 상기 가이드(62)에 지지되면서 상기 탄성부(5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53)가 상기 가이드(62)와 접하면서 탄성 변형될 때, 상기 가이드(6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상기 이탈방지부(54)가 상기 가이드(62)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탄성부(53)의 전방 이탈 또는 후방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Since the
도면에서 볼 때, 상기 이탈방지부(54)의 하면은 상기 가이드(62)의 상면에 접하면서 지지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이탈방지부(54)의 하면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이드(62)의 상면에 접하면서 지지되고, 이러한 지지에 의해 상기 탄성부(53)는 상기 가이드(62)의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In the drawing, the lower surface of the
상기 탄성부(53)의 하방 이탈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탄성부(53)의 탄성에 의해 상기 래치암(52)의 하단부가 상기 스위치(61)의 접점이 가능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The downward drop of the
이하에서는 도 8과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래치와 스위치를 나타낸 측면도가 도시되고, 도 9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래치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가 도시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8 is a side view showing a latch and a switch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side view showing a latch operation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래치몸체(51)의 후면에서 수평으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상기 수평부(521)의 위치에 상기 탄성부(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53)는 상기 수평부(521)의 위치에 형성되면서 상면과 하면이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도록 절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즉, 상기 탄성부(53)는 상기 수평부(521)의 위치에 형성되면서, 상면과 하면의 일 부분이 일정 정도의 면적만큼 절제되는 절제 부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at is, while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래치암(52)과 상기 래치몸체(51)의 사이에는 상기 래치몸체(51)에서 상기 본체(10)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탄성부(53)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래치암(52)은 상기 탄성부(53)로부터 상기 본체(10)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상기 탄성부(53)는 전체적으로 상기 래치몸체(51)와 상기 래치암(52)의 사이에 개입되면서, 상기 본체(10) 방향으로 수평하게 상기 래치몸체(51)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도어(30)가 위치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여 볼 때, 상기 탄성부(53)의 상면에는 측방에서 보면 하방으로 절제되면서 대략 "∪" 형태로 절제되는 상면탄성부(531)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53)의 하면에는 측방에서 보면 상방으로 절제되면서 대략 "∩" 형태로 절제되는 하면탄성부(532)가 형성된다.In addition, wh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물론, 상기 탄성부(53)는 상기 상면탄성부(531) 또는 상기 하면탄성부(532) 만 형성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탄성부(53)의 수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두기로 한다. 다만, 상기 탄성부(53)의 탄성 변형 강도를 고려하여 측방에서 볼 때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되는 구성이 바람직할 것이다.Of course, the
또한, 상기 래치암(52)은 상기 스위치(61)와 접점되는 부분의 하단부가 상기 탄성부(53)의 하단부보다 더 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53)와 상기 래치암(52)은 측방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하향 경사를 가지며 상기 본체(10) 방향으로 연장된다.In addition, the
이는 상기 스위치(61)가 가장 하측에 위치하여 장착될 수 있는 경우를 가정하여 상기 스위치(61)가 의도하지 않은 편차에 의해 가장 하측에 위치하여 장착되는 경우에도 상기 래치암(52)에 의해 압착되면서 접점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assumes a case where the
즉, 상기 탄성부(53)의 하단부보다 상기 래치암(52)이 상기 스위치(61)를 접점하기 위한 하단부가 더 하측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스위치(61)를 접점할 수 있게 되며, 의도하지 않은 편차에 의해 상기 스위치(61)가 일정 거리만큼 상측에 위치하여 장착되더라도 상기 탄성부(53)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스위치(61)의 접점이 가능하도록 유지하게 된다.That is, the lower end of the
상기 탄성부(53)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래치암(52) 즉, 상기 상향경사부(522)와 상기 하향경사부(523)는 상하 방향의 유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상하 방향의 유동에 의해 상기 스위치(61)의 접점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Due to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다시 말해, 상기 탄성부(53)는 상기 래치몸체(51)의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래치암(52)이 상기 스위치(61)와의 접점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other words, while the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탄성부(53)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의 좌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50)는 상기 보드(60)에 상기 스위치(61)가 설정 간격인 L1 만큼의 거리를 가지도록 장착될 때, 상기 스위치(61)를 접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다만, 의도하지 않은 편차에 의해 상기 스위치(61)가 L2의 거리만큼 거리를 가지도록 장착되는 경우 상세하게는,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스위치(61)가 D2의 거리만큼 상측으로 이동하여 장착되고,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스위치(61)가 D1의 거리만큼 상측으로 이동하여 장착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53)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스위치(61)의 접점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이때, 상기 탄성부(53)는 상기 상면탄성부(531)와 상기 하면탄성부(532)의 간격이 변경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래치암(52)은 상기 스위치(61)와의 접점 위치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도어(30)를 상기 조리실(20)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래치암(52)은 상기 래치홀(121)을 관통하여 상기 전면플레이트(12)의 후방으로 인입된다.Looking at this in detail, when the user rotates the
상기 스위치(61)가 의도하지 않은 편차에 의해 설정 위치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53)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상면탄성부(531)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탄성 변형되고, 하면에 형성되는 상기 하면탄성부(532)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래치암(52)는 상기 스위치(61)와의 접점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의도하지 않은 편차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스위치의 접점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capable of maintaining the contact position of the switch even if an unintended deviation occurs.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많은 장점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조리기기의 생산 및 제조, 판매를 위한 산업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다양한 산업에 그 이용 가능성이 크다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many advantages as described above will have great potential for use in various industries related to the production, manufacture, and sale of the cooking appliance.
10. 본체 11. 커버
12. 전면플레이트 121. 래치홀
122. 보드장착부 20. 조리실
30. 도어 40. 컨트롤부
50. 래치 51. 래치몸체
52. 래치암 521. 수평부
522. 상향경사부 523. 하향경사부
53. 탄성부 531. 상면탄성부
532. 하면탄성부 54. 이탈방지부
60. 보드 61. 스위치
62. 가이드10.
12.
122.
30.
50.
52.
522.
53.
532. Bottom
60.
62. Guide
Claims (11)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래치몸체와, 상기 래치몸체에서 상기 본체 방향으로 연장되는 래치암과, 상기 래치암에서 연장되어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래치; 및
상기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차폐할 때, 상기 래치암에 의해 접점되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와, 상기 래치암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가지며,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보드;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래치암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가이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차폐할 때, 상기 가이드와 접하면서 발생하는 탄성 변형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의 접점이 유지되는 조리기기.A main body having a cooking chamber providing a space in which food is cooked;
A door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cooking compartment;
A latch including a latch body mounted on the door, a latch arm extending from the latch body toward the main body, and an elastic part extending from the latch arm and having elasticity; And
When the door shields the cooking chamber, a board that is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has a switch that is contacted by the latch arm to generate a signal, and a guide that guides the movement of the latch arm; Including,
The elastic portion is bent at the end of the latch arm and extends in the guide direction,
When the door shields the cooking chamber, the cooking appliance maintains the contact point of the switch due to elastic deformation occurring while contacting the guide.
상기 탄성부는,
상기 가이드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래치암과 이격 형성되는 조리기기.According to claim 1,
The elastic portion,
A cooking appliance extending in the guide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latch arm.
상기 탄성부는,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의 상단부와 상기 래치암 사이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조리기기.According to claim 2,
The elastic portion,
A cooking appliance that extends toward the upper end of the guide and the latch arm based on the door.
상기 탄성부는,
상기 가이드와 접하면서 상기 래치암과의 간격이 변경되는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스위치의 접점이 유지되도록 형성되는 조리기기.According to claim 2,
The elastic portion,
The cooking appliance is formed so that the contact point of the switch is maintained by an elastic deformation in which the gap with the latch arm changes while contacting the guide.
상기 탄성부는,
상기 가이드와 접하는 위치가 변경되는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스위치의 접점이 유지되도록 형성되는 조리기기.According to claim 2,
The elastic portion,
The cooking appliance is formed so that the contact point of the switch is maintained by an elastic deformation in which the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guide is changed.
상기 탄성부는,
상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에 지지되면서 상기 탄성부의 이탈이 방지되는 이탈방지부가 더 제공되는 조리기기.According to claim 2,
The elastic portion,
A cooking appliance which is extended from an upper end portion and is provided on the guide to further provide a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that prevents the elastic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3105A KR102139505B1 (en) | 2013-12-24 | 2013-12-24 | Cooking appliance |
CN201410815444.0A CN104728881B (en) | 2013-12-24 | 2014-12-24 | Cooking apparatus |
KR1020200090186A KR102252922B1 (en) | 2013-12-24 | 2020-07-21 | Cooking applian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3105A KR102139505B1 (en) | 2013-12-24 | 2013-12-24 | Cooking appliance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0186A Division KR102252922B1 (en) | 2013-12-24 | 2020-07-21 | Cooking applian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5235A KR20150075235A (en) | 2015-07-03 |
KR102139505B1 true KR102139505B1 (en) | 2020-07-31 |
Family
ID=53453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63105A Expired - Fee Related KR102139505B1 (en) | 2013-12-24 | 2013-12-24 | Cooking applianc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9505B1 (en) |
CN (1) | CN104728881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853877B (en) * | 2019-04-30 | 2023-08-01 |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 Cooking utensil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7407B1 (en) * | 2002-04-04 | 2004-06-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Latch apparatus in microwave oven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57545A (en) * | 1982-05-03 | 1984-07-03 | General Electric Company | Door latch assembly |
JPS59200133A (en) * | 1983-04-28 | 1984-11-13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Safety device of high frequency heater |
JPH06105129B2 (en) * | 1985-02-06 | 1994-12-21 | 株式会社東芝 | Cooking device |
KR890006984Y1 (en) * | 1986-12-23 | 1989-10-13 | 주식회사 금성사 | Microwave Door Opener |
KR0113673Y1 (en) * | 1995-05-29 | 1998-04-15 | 배순훈 | Microwave Door Lock Device |
KR19990018746U (en) * | 1997-11-14 | 1999-06-05 | 구자홍 | Door switch support structure of microwave oven |
KR100272367B1 (en) * | 1997-11-15 | 2000-11-15 | 구자홍 | Structure of openning and locking door of microwave |
CN2670789Y (en) * | 2003-11-05 | 2005-01-12 | 厦门灿坤实业股份有限公司 | Safety controller of microwave oven |
CN1904486A (en) * | 2005-07-29 | 2007-01-31 |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 Interlocking structure of microwave oven door |
CN101230999B (en) * | 2007-01-25 | 2012-06-13 |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 Switching device of microwave oven door |
-
2013
- 2013-12-24 KR KR1020130163105A patent/KR10213950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
- 2014-12-24 CN CN201410815444.0A patent/CN104728881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7407B1 (en) * | 2002-04-04 | 2004-06-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Latch apparatus in microwave ove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728881A (en) | 2015-06-24 |
CN104728881B (en) | 2017-06-09 |
KR20150075235A (en) | 2015-07-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17539B1 (en) | cooking appliance | |
KR20100122019A (en) | A cooker | |
KR20150006129A (en) | Oven Range | |
US20230408108A1 (en) | Cooking device | |
KR20110079007A (en) | Cooking appliance | |
KR102139505B1 (en) | Cooking appliance | |
JP6535234B2 (en) | Cooker | |
JP2014054466A (en) | Cooker | |
KR20200092904A (en) | Cooking appliance | |
US10465914B2 (en) | Cooking device | |
KR101656571B1 (en) | cooking appliance | |
US8919243B2 (en) | Cooking appliance | |
KR20060033930A (en) | gas ring | |
EP2844921A1 (en) | An oven having smoking function | |
KR101136605B1 (en) | Cooking appliance | |
KR101623978B1 (en) | Cooking appliance | |
KR20110045970A (en) | Cooker | |
KR100747814B1 (en) | Oven door open and close detection device | |
KR102822734B1 (en) | Latch and cooking apparatus with the same | |
KR101025958B1 (en) | Cooking device controls | |
KR101742824B1 (en) | Gas oven range | |
JP6039295B2 (en) | Cooker | |
KR20110083332A (en) | Cooker | |
KR101014463B1 (en) | Cooking device and assembly method | |
KR20230139745A (en) | Cook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1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2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6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721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7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