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39436B1 -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한 자체 발광 보도블럭 - Google Patents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한 자체 발광 보도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436B1
KR102139436B1 KR1020190142006A KR20190142006A KR102139436B1 KR 102139436 B1 KR102139436 B1 KR 102139436B1 KR 1020190142006 A KR1020190142006 A KR 1020190142006A KR 20190142006 A KR20190142006 A KR 20190142006A KR 102139436 B1 KR102139436 B1 KR 102139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case
conductive plate
rotating dru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2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일
Original Assignee
김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일 filed Critical 김광일
Priority to KR1020190142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4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43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7/00Pavement lights, i.e. translucent constructions forming part of th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or fals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separate from the lighting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21W2111/023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for pedestrian walkw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간에 보도블럭 자체에서 빛이 발광되도록 해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되, 특히, 주간에는 태양광을 이용해 배터리를 충전한 뒤 배터리의 전원으로만 발광부를 발광시킴으로써 보도블럭의 시공시 별도 전원공급을 위한 설비를 생략할 수 있는 자체 발광 보도블럭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한 자체 발광 보도블럭{SELF LIGHTING FOOTPATH BLOCK USING SUNLIGHT ENERGY}
본 발명은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자체 발광 보도블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야간에 보도블럭 자체에서 빛이 발광되도록 해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되, 특히, 주간에는 태양광을 이용해 배터리를 충전한 뒤 배터리의 전원으로만 발광부를 발광시키면서 주간에 자외선을 흡수하여 저장하였다가 야간에 빛을 발산하는 축광석을 포함하도록 해 보도블럭의 시공시 별도 전원공급을 위한 설비를 생략할 수 있는 자체 발광 보도블럭에 관한 것이다.
통상 보도블럭이라 함은 보행자의 편익성과 도심의 깨끗한 환경 등을 도모하기 위해 도로의 보행로 또는 아파트, 일반주택가, 스포츠 시설주변 산책로, 놀이공원 등의 바닥에 설치하는 시설물이다.
일반적으로 보도블럭은 모래와 시멘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럭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 들어와서는 도심 미관의 개선이나 보행성 향상 등을 목적으로 다양한 색상의 구현은 물론 보행시의 충격흡수성이 뛰어난 합성수로지로 제작된 보도블럭들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제 또는 수지제 보도블럭은 자체 발광기능이 없기 때문에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주위의 조명이 없는 경우 시인성이 떨어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보도블럭의 상면에 축광성 도료를 도포하거나 축광 시트를 접착시키거나, 보도블럭 자체에 발광수단을 내장한 보도블럭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보도블럭 기술의 대표적인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81103호에 개시된 보도블럭을 간략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종래기술은 상부면에 다수의 원통형 발광돌출부(111)가 마련되는 블럭바디(110); 블럭바디(11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블럭바디(110) 및 LED 조명기판(130)을 받쳐주는 받침체(120); 받침체(120)의 상단에 설치되고, LED(132)를 통해 블럭바디(110)의 원통형 발광돌출부(111)에 빛을 조사하는 LED 조명기판(130); 블럭바디(110)의 하단을 밀폐하는 마감베이스(140); 블럭바디(110)의 내부 하부와 LED 조명기판(130) 사이에 충전되는 에폭시층(160);을 포함하고, 상기 LED 조명기판(130)은 전기회로가 인쇄된 기판(131); 기판(131)의 상단에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마련되는 다수의 LED(132); 기판(131)의 설치되고, 기판(131)에 형성된 LED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1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종래기술은 전술한 구성을 통해 야간에 블럭 본체의 상부면에 마련된 발광돌출부를 발광시켜 저시력자와 노령층을 포함한 교통약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나, 외부 전원을 연결하는 배선 작업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상용전원의 정전이나 낙뢰 또는 지진과 같은 비상시에는 발광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태양전지를 이용한 발광블럭이 개발되었다. 태양전지를 이용한 발광블럭에서는, 태양전지가 주간의 태양광을 받아서 전력을 생산하고, 이 전력을 축전지에 저장해두었다가 발광블럭의 전력으로 사용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81103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야간에 보도블럭 자체에서 빛이 발광되도록 해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되, 특히, 주간에는 태양광을 이용해 배터리를 충전한 뒤 배터리의 전원으로만 발광부를 발광시키고, 주간에 자외선을 흡수하여 저장하였다가 야간에 빛을 발산하는 축광석을 포함하도록 해 보도블럭의 시공시 별도 전원공급을 위한 설비를 생략할 수 있는 자체 발광 보도블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중앙에 장착홈이 마련된 블럭바디; 및 상기 장착홈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태양광 에너지를 공급받아 발광되는 발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는, 내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태양전지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며 상기 태양전지셀에서 발생되는 태양광 에너지로 충전되는 배터리; 및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며 상기 배터리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발광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조도측정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모듈은 조도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조도값을 근거로 발광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발광모듈은, 상기 케이스의 내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축부재; 상기 축부재에 축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드럼; 복수 개가 상기 회전드럼에 등간격으로 장착되며,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시키는 발광다이오드; 상기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 각각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제1 도전판; 상기 축부재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제1 도전판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되어 전원을 제1 도전판으로 인가시키는 제2 도전판; 및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발광모듈에서 발광되는 빛을 투과시키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는 확산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드럼이 회전되어 복수의 발광다이오드 중 어느 하나가 확산커버의 직하방에 위치되면 제1 도전판과 제2 도전판이 접촉되어 상기 확산커버의 직하방에 위치된 발광다이오드로만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장착홈의 상단 주변에는 일정 깊이 함몰된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는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는 탄성 재질의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는 확산커버가 삽입되도록 횡 방향으로 관통된 장착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하방에는 케이스의 하방을 개폐하는 회동커버가 장착되며, 상기 확산커버의 중앙에는 투과되는 빛을 확산시키도록 난반사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야간에 보도블럭 자체에서 빛이 발광되도록 해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되, 특히, 주간에는 태양광을 이용해 배터리를 충전한 뒤 배터리의 전원으로만 발광부를 발광시킴으로써 보도블럭의 시공시 별도 전원공급을 위한 설비를 생략함으로써, 시공의 편의성을 보장하고, 보도블럭의 구조를 대폭 간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발광 보도블럭이 복수 개가 연이어 시공되었을 때, 각각의 발광부에서 발광되는 빛의 색상을 변경하게 되면 다채로운 분위기 조성이 가능해짐은 물론이고, 발광되는 빛의 색상 조합을 통해 하나의 전체적인 그림 또는 도형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복수의 발광부들을 특정 방향을 가르키도록 하는 화살표 패턴으로 시각화하고 이를 색상으로 강조할 수 있어,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보행자 안내 표지판의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체 발광 보도블럭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체 발광 보도블럭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체 발광 보도블럭에서 발광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관을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발광부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발광부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B-B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6에 도시된 C-C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발광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체 발광 보도블럭의 사용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체 발광 보도블럭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광 보도블럭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 발광 보도블럭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중앙에 장착홈(110)이 마련된 블럭바디(100) 및 상기 장착홈(1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태양광 에너지를 공급받아 발광되는 발광부(2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먼저, 블럭바디(100)는 시멘트,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솔리드 블럭으로 원형, 다각형 또는 기하학적인 형태 등 다양한 외관형태를 갖출 수 있다. 아울러, 블럭바디(100)에는 축광석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장착홈(110)은 발광부(200)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블럭바디(100)의 중앙을 수직으로 완전히 관통하거나, 일정 깊이까지만 함몰된 홈 형태일 수 있다.
장착홈(110)이 일정 깊이까지만 함몰 형성된 경우 바닥면에 배수구(130)가 관통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아지만, 필요에 따라 장착홈(110)의 내주면과 발광부(200) 사이에는 완충링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완충링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중공 링으로, 발광 보도블럭으로 가해지는 수직압력을 흡수, 분산시킴으로써 발광부(200)를 외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발광부(200)는 유지보수를 위해 장착홈(1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부(200)는 태양광을 축적하였다가, 이를 발광을 위한 에너지원으로 사용함으로써 별도 외부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배선구조를 생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발광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210), 상기 케이스(210)에 내장되는 태양전지셀(220), 상기 케이스(210)에 내장되며 상기 태양전지셀(220)에서 발생되는 태양광 에너지로 충전되는 배터리(230) 및 상기 케이스(210)에 내장되며 상기 배터리(23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발광모듈(240)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케이스(210)는 통형 부재로, 내공간에 태양전지셀(220), 배터리(230), 발광모듈(240) 등이 적소에 배치된다.
케이스(210)의 상면은 빛이 투과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강화유리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스(210)의 상면은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행자와의 간섭을 최소화시키도록 케이스(210)의 상면은 블럭바디(100)의 상면과 동일선상에 놓일 수 있다.
태양전지셀(220)은 케이스(210)의 상면에 근접되게 배치되며 태양광을 전기력으로 변환하여 전력을 생산한다. 생산된 전력은 배터리(230)에 충전되는데, 케이스(210) 내부에는 배터리(230)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회로기판이 내장될 수 있다. 태양전지셀(220)은 복수 개가 발광모듈(240) 주변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태양전지셀(220)과 배터리(230)의 개념은 태양광을 에너지원으로 삼아 전력을 생산하여 이를 저장하는 공지의 태양광 충전시스템이 적용되는 것이라 할 것이므로, 내부 회로 구성 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발광모듈(240)은 배터리(2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공지의 LED가 이용될 수도 있다. 발광모듈(240)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발광모듈(240)이 발광되면 발광되는 빛은 케이스(210)의 상면을 투과해 외부로 발광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광부(200)는 케이스(210)에 내장되는 조도측정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200)는 낮에는 발광모듈(240)이 발광되지 않도록 하고, 야간에만 발광모듈(240)이 발광될 수 있도록 조도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조도값을 근거로 발광모듈(240)의 발광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발광부(200)는 조도측정센서, 발광모듈(240) 등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조도값을 근거로 발광모듈(2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발광모듈(240)은 조도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조도값을 근거로 발광구동되도록 함으로써, 발광효과가 필요 없는 낮시간에는 발광이 되지 않도록 하고, 주변이 어두운 야간에만 집중적으로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230)의 전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발광부(20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24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전술한 발광부(200)의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발광모듈(240)은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10)의 내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축부재(241), 상기 축부재(241)에 축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드럼(242), 복수 개가 상기 회전드럼(242)에 등간격으로 장착되며,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시키는 발광다이오드(243), 상기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243) 각각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제1 도전판(244), 상기 축부재(24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230)의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회전드럼(242)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제1 도전판(244)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되어 전원을 제1 도전판(244)으로 인가시키는 제2 도전판(245) 및 상기 회전드럼(242)을 회전구동시키는 모터(246)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축부재(241)는 케이싱 내부에 고정된 고정형 부재로, 축부재(241)의 축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드럼(242)이 회전된다.
회전드럼(242)은 모터(246)의 회전구동력을 전달받아 축부재(241)를 회전중심으로 해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드럼(242)에는 제1 기어(242a)가 형성될 수 있고, 모터(246)의 출력단에는 제2 기어(246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기어(242a)와 제2 기어(246a)가 치합되는 구조를 이루어 회전드럼(242)이 모터(246)의 회전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모터(246)의 구동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케이스(210)의 외부로 노출된 조작스위치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드럼(242)은 모터(246)의 회전구동력 외에 수작업으로 회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케이스(210)의 바닥면을 개방한 뒤 작업자가 직접 회전드럼(24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첨부되는 도면에서는 4개의 발광다이오드(243)가 서로 90도 간격의 위상차를 두고 회전드럼(242) 상에 배열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발광다이오드(243)의 개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특히, 복수의 발광다이오드(243) 중 어느 하나에만 전원이 공급되어 발광이 되며, 발광된 발광다이오드(243)를 제외한 나머지 발광다이오드(243)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발광다이오드(243) 각각은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색상의 컬러필름이 부착되거나, 컬러렌즈가 부가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제1 도전판(244)은 각각의 발광다이오드(243)에 설치되어 발광다이오드(243)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역할을 담당한다. 제1 도전판(244)은 발광다이오드(243)에서부터 회전드럼(242)의 중앙을 관통하는 축부재(241)를 향해 연장된 판형 구조를 이룬다.
회전드럼(242)이 회전되면, 발광다이오드(243), 제1 도전판(244)이 회전드럼(242)과 연동하여 회전드럼(242)을 타고 회전될 수 있다.
제2 도전판(245)은 복수의 제1 도전판(244)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여 배터리(23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제1 도전판(244)에 인가시킨다.
제2 도전판(245)은 축부재(241)에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축부재(241)를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제1 도전판(244)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되어 전원을 제1 도전판(244)으로 인가시킨다.
제2 도전판(245)에 접촉된 제1 도전판(244)으로만 전원이 인가될 수 있으며, 전원이 인가된 제1 도전판(244)에 연동된 발광다이오드(243)만 발광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제1 도전판(244)과 제2 도전판(245)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제1 도전판(244)은 얇은 박판 형태로 이루어져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토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제1 도전판(244)은 제2 도전판(245)과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드럼(242)이 회전되면 휘어지면서 제2 도전판(245)을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발광부(200)는 상기 발광모듈(240)에서 발광되는 빛을 투과시키도록 상기 케이스(210)의 상부에 장착되는 확산커버(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이루어진 케이스(210)의 상면이 상기 확산커버(2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확산커버(250)는 케이스(21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드럼(242)이 회전되어 복수의 발광다이오드(243) 중 어느 하나가 확산커버(250)의 직하방에 위치되면 제1 도전판(244)과 제2 도전판(245)이 접촉되어 상기 확산커버(250)의 직하방에 위치된 발광다이오드(243)로만 전원이 공급된다.
즉, 하나의 발광다이오드(243)만 발광되면서 발광다이오드(243)에서 발광되는 빛이 확산커버(250)를 통과해 외부로 비춰진다.
한편, 블럭바디(100)의 장착홈(110) 상단 주변에는 일정 깊이 함몰된 지지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210)의 상단에는 상기 지지홈(120)에 삽입되는 탄성 재질의 플랜지(211)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211)에는 확산커버(250)가 삽입되도록 횡 방향으로 관통된 장착슬릿(2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211)는 발광부(200)로 작용되는 수직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 지지하기 위한 수단이며, 발광부(200)를 블럭바디(100)에서 제거하기 위해 특별히 날카로운 도구를 삽입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럭바디(100)에 발광부(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발광부(200)를 제거하고자 할 경우, 플랜지(211)를 탄성변형시켜 플랜지(211)와 지지홈(120)의 벽면 사이에 일정 유격을 확보한 뒤 발광부(200)를 잡아 견인하게 되면 블럭바디(100)에서 발광부(200)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확산커버(250)는 장착슬릿(212)을 타고 슬라이딩하여 케이스(21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발광 보도블럭은 지면에 설치되는 만큼, 통행하는 사람들에 의해 반복하중을 받게 되어, 파손되기 쉬운 환경에 노출될 수 있다.
특히, 확산커버(250)의 파손이 발생되면 수분이 케이스(210) 침투하여 각종 전자장치의 오작동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이유로, 확산커버(250)는 미세한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즉각 교체됨이 바람직하다. 확산커버(250)의 교체를 위해서는 먼저, 장착홈(110)에 삽입된 케이스(210)의 상부를 노출시킨 뒤 장착된 확산커버(250)에서 장착슬릿(212)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손잡이(251)를 파지하여 당기기만 하면, 확산커버(250)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장착슬릿(212)을 향해 새로운 확산커버(250)를 삽입시키기만 하면 확산커버(250)의 교체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체 발광 보도블럭은 확산커버(250)의 손쉬운 교체를 보장함으로써 유지보수의 편의성이 대폭 증대된다.
한편, 상기 확산커버(250)의 중앙에는 투과되는 빛을 확산시키도록 난반사층(2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난반사층(252)은 확산커버(250)로 투과되는 빛의 굴절을 일으켜 면발광 효과를 제공하도록 확산커버(250)의 일정 범위가 거친 면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요철이 반복 형성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210)의 하방에는 케이스(210)의 하방을 개폐하는 회동커버(213)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회동커버(213)로 케이스(210)의 하방을 개방시켜 케이스(210) 내부에 설치된 각종 구성요소를 교체토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체 발광 보도블럭의 작용을 설명하겠다. 본 작용에서는 발광모듈(240)이 작동되는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먼저, 조도측정센서가 조도를 측정해 조도값을 생성하면, 제어부는 조도값을 근거로 제2 도전판(245)을 향해 전원을 공급할지를 판단한다.
조도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조도값이 기설정된 기준조도값 이하일 경우 배터리(230)의 전원을 제2 도전판(245)으로 인가시킨다.
제2 도전판(245)에 전원이 인가된 전원은 제2 도전판(245)과 접촉된 제1 도전판(244)을 통해 발광다이오드(243)로 공급되어 확산커버(250)의 직하방에 위치된 발광다이오드(243)가 점등된다.
한편, 자체 발광 보도블럭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색상 변경을 위해 회전드럼(242)을 일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게 되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도전판(245)에 접촉되어 있던 제1 도전판(244)이 탄성변형되어 제2 도전판(245)을 타고 넘어가면서 제1 도전판(244)과 제2 도전판(245)이 이격된다.
제2 도전판(245)에서 제1 도전판(244)이 이격되는 순간 모든 발광다이오드(243)에 전원공급이 중단되기 때문에 모든 발광다이오드(243)가 소등된 상태로 유지되다가, 회전드럼(242)의 회전에 따라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시키는 발광다이오드(243)에 연결된 제1 도전판(244)이 제2 도전판(245)과 접촉되는 순간 발광다이오드(243)로 전원이 공급되어 발광다이오드(243)가 발광구동된다.
다시 말해,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되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243)들이 9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 회전드럼(242) 상에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드럼(242)을 90도 간격으로 회전시킬때마다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자체 발광 보도블럭이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 개가 연이어 시공되었을 때, 각각의 발광부(200)에서 발광되는 빛의 색상을 변경하게 되면 다채로운 분위기 조성이 가능해짐은 물론이고, 발광되는 빛의 색상 조합을 통해 하나의 전체적인 그림 또는 도형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복수의 발광부(200)들을 특정 방향을 가르키도록 하는 화살표 패턴으로 시각화하고 이를 색상으로 강조할 수 있어,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보행자 안내 표지판의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블럭바디 200: 발광부
210: 케이스 220: 태양전지셀
230: 배터리 240: 발광모듈

Claims (5)

  1. 중앙에 장착홈이 마련된 블럭바디; 및
    상기 장착홈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태양광 에너지를 공급받아 발광되는 발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는,
    내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태양전지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며 상기 태양전지셀에서 발생되는 태양광 에너지로 충전되는 배터리; 및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며 상기 배터리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발광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모듈은,
    상기 케이스의 내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축부재;
    상기 축부재에 축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드럼;
    복수 개가 상기 회전드럼에 등간격으로 장착되며,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시키는 발광다이오드;
    상기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 각각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제1 도전판;
    상기 축부재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제1 도전판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되어 전원을 제1 도전판으로 인가시키는 제2 도전판; 및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발광모듈에서 발광되는 빛을 투과시키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는 확산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드럼이 회전되어 복수의 발광다이오드 중 어느 하나가 확산커버의 직하방에 위치되면 제1 도전판과 제2 도전판이 접촉되어 상기 확산커버의 직하방에 위치된 발광다이오드로만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장착홈의 상단 주변에는 일정 깊이 함몰된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는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는 탄성 재질의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는 확산커버가 삽입되도록 횡 방향으로 관통된 장착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하방에는 케이스의 하방을 개폐하는 회동커버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한 자체 발광 보도블럭.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조도측정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모듈은 조도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조도값을 근거로 발광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한 자체 발광 보도블럭.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산커버의 중앙에는 투과되는 빛을 확산시키도록 난반사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한 자체 발광 보도블럭.
KR1020190142006A 2019-11-07 2019-11-07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한 자체 발광 보도블럭 Active KR102139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006A KR102139436B1 (ko) 2019-11-07 2019-11-07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한 자체 발광 보도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006A KR102139436B1 (ko) 2019-11-07 2019-11-07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한 자체 발광 보도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9436B1 true KR102139436B1 (ko) 2020-07-29

Family

ID=71893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006A Active KR102139436B1 (ko) 2019-11-07 2019-11-07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한 자체 발광 보도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4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8273A (ko) * 2004-12-16 2006-06-21 이효숙 보행 안내 조명 겸용 시각 장애자 안내 보도블록 및 시스템
KR20080098265A (ko) * 2007-05-04 2008-11-07 한희진 조명 블럭
JP3185478U (ja) * 2013-02-08 2013-08-15 世光国際貿易有限公司 自動的に光色を変化させるスマート型ledランプ
KR101681103B1 (ko) 2016-03-31 2016-12-01 (주)경동하이테크 발광 보도블록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8273A (ko) * 2004-12-16 2006-06-21 이효숙 보행 안내 조명 겸용 시각 장애자 안내 보도블록 및 시스템
KR20080098265A (ko) * 2007-05-04 2008-11-07 한희진 조명 블럭
JP3185478U (ja) * 2013-02-08 2013-08-15 世光国際貿易有限公司 自動的に光色を変化させるスマート型ledランプ
KR101681103B1 (ko) 2016-03-31 2016-12-01 (주)경동하이테크 발광 보도블록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5814B1 (en) Light emitting block
KR100922772B1 (ko) 솔라 조명 타일
KR100806209B1 (ko) 발광 과속 방지턱
CA2397577A1 (en) Light emitting tile
KR101960263B1 (ko) 도로용 안내유도봉
KR102139436B1 (ko)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한 자체 발광 보도블럭
KR101052902B1 (ko) 광섬유를 이용한 열주등
KR20160121926A (ko) 태양전지모듈이 결합된 도로용 조명장치
JPH04203109A (ja) 自発光式敷石ユニット・敷石およびその敷設方法
KR101963896B1 (ko) 시선 유도등
JP2006107861A (ja) 照明手段付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518570Y2 (ja) 面発光表示器
KR20120102268A (ko) 이미지 조경 겸용 보도블록
KR101492265B1 (ko) 자가발전하는 안전 지중 매립등
KR20100011303U (ko) 태양전지와 led조명 부착 석재 볼라드
KR200459102Y1 (ko) 엘이디 신호등
KR101225676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H10219638A (ja) 発光ブロック
KR20160129244A (ko) 태양전지모듈이 결합된 광고판용 및 도로안내표지판용 광섬유 발광표시장치.
KR20110009745U (ko) 무기이엘 발광체를 이용한 솔라 볼라드
KR20160125014A (ko) 태양전지모듈이 결합된 도로용 조명장치
JPH0731474B2 (ja) 面発光表示器
KR200331784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타일 타입 발광 표시판의 조도 개선구조
KR200499049Y1 (ko) 태양광 사인보드
KR100982456B1 (ko) 광섬유를 이용한 장식광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7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