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39064B1 -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064B1
KR102139064B1 KR1020180016098A KR20180016098A KR102139064B1 KR 102139064 B1 KR102139064 B1 KR 102139064B1 KR 1020180016098 A KR1020180016098 A KR 1020180016098A KR 20180016098 A KR20180016098 A KR 20180016098A KR 102139064 B1 KR102139064 B1 KR 102139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lock plate
pool
vertical block
base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6537A (ko
Inventor
변희웅
Original Assignee
(주)로신시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신시스텍 filed Critical (주)로신시스텍
Priority to KR1020180016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06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6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06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0018Easily movable or transportable swimming pools
    • E04H4/0043Easily movable or transportable swimming pools mainly made of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1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1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H2004/146Fixing of l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영장의 벽면을 형성하는 블록판을 연결할 때 블록판 사이의 틈새가 벌어지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고정너트를 잡지 않고도 고정볼트를 체결하여 블록판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블록판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수영장의 벽면을 형성하는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에 있어서, 수영장의 테두리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30)와; 수영장의 측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30)의 상측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 블록판(10)(20)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수직 블록판(10)(20)의 플랜지(15)(25)를 서로 연결하되 고정너트가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제1체결부(40)와; 상기 베이스 부재(30)와 수직 블록판(10)(20)을 탄성 연결하는 제2체결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Block Plate fixing Structure for Swimming Pool}
본 발명은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영장의 벽면을 형성하는 블록판을 연결할 때 블록판 사이의 틈새가 벌어지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고정너트를 잡지 않고도 고정볼트를 체결하여 블록판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수영은 손과 발을 사용하여 물 위나 물속을 자유롭게 이동 또는 정지하는 운동, 즉 헤엄치는 것을 말한다. 현대인들의 생활체육에 적합하고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으며 스포츠 종목 중에서 비교적 운동으로서의 숙달 방법이 단순한 편이다. 전신적 운동이고, 큰 호흡운동을 요구하기 때문에 근육이나 심폐의 발달에 좋으며 여름철의 레크리에이션으로 좋다.
이에 따라, 운동부족에 따른 운동보충과 취미, 여가 활동 등을 영위하기 위해 수영을 배우거나 즐기는 수영인구가 상당히 늘고 있으며, 또한 많은 수의 실내외 수영장이나 풀장 등이 건립되어 이용중에 있다.
한편, 수영장은 대부분 콘크리트로 건축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투자되고 있을 뿐 아니라, 고정식으로 형성되어 여름에만 사용하고 여름 이외의 계절에는 다른 용도로 쓰지 못하는 등 극히 비효율적인 면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튜브식 간이 수영장은 공기를 불어 넣어야 하는 구조이므로 만들 수 있는 크기가 한정될 뿐만 아니라 설치 후 장기간 방치해 두는 경우가 많아 쉽게 손상되는 등 수명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강철프레임에 FRP 시트를 연결한 형태의 조립식 수영장이 사용되고 있지만, FRP 시트는 인장강도는 매우 크지만 못이나 칼날 등과 같은 날카로운 도구에 의해 쉽게 찢어질 수 있어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철판으로 형성된 블록판을 조립하여 형성한 새로운 형태의 조립식 수영장이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철판으로된 블록판의 무게로 인해 크레인 등의 장비가 요구되고, 블록판의 두께를 얇게 할 경우에는 수압을 충분히 견디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철판 등의 금속판으로 형성된 블록판을 조립하여 수영장을 형성할 경우, 인접한 블록판을 연결하기 위하여 블록판 각각에 구비된 플랜지를 고정볼트와 너트로 연결해야 해야 하는데, 고정볼트를 체결할 때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너트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해야 함에 따라 작업 인원이 더 많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이 길어져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수영장 테두리의 아래쪽에 위치한 베이스 부재에도 블록판을 연결해야 하고, 베이스 부재에 연결된 블록판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블록판끼리 연결하는 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동일 또는 유사한 특허문헌을 찾지 못하였으며, 관련 분야의 선행 특허문헌의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일측면이 상기 외측프레임의 외측면에 밀착고정되고, 타측이 복수단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블록과, 일측면이 상기 외측프레임의 외측면에 밀착고정되고, 타측이 모서리지지블록과 대응되는 복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일측면 상하단부에 결합돌기가 등간격으로 복수개 돌출구성되고, 타측면 상하단부에 결합돌가 삽입고정되는 결합공이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일측면이 외측프레임의 외측면에 밀착고정되고, 타측면이 다단으로 이루어진 모서리지지블록과 지지블록을 외측프레임의 외측에 등간격으로 복수개 배열하여 타인의 도움없이도 사용자들이 용이하게 내조에 입수할 수 있으며 동시에 많은 인원이 입수하거나 물의 유동이 크게 작용하여도 내조 및 외측프레임이 변형 및 유동되지 않는 지지블록을 갖는 조립식 수영장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수면에 설치되며, 수영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프레임;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수중에 위치하는 하부프레임;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재;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사이공간에 루프(loop) 형태로 설치되는 그물펜스;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 설치되어, 수중바닥에 위치하는 유동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기능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수영장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다수 개의 수평강관 및 수직강관으로 구성되어 측벽부와 바닥부를 갖는 골조프레임; 상면이 평평한 강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골조프레임의 바닥부에 장착되는 바닥판; 수직으로 세워지되 평면형상이 사다리꼴 파형을 이루도록 양측으로 교차 절곡된 강판으로 이루지며, 상기 골조프레임의 측벽부 중 일부에 장착되는 다수 개의 측판패널; 상기 골조프레임의 측벽부 중 상기 측판패널이 장착되지 아니한 나머지 부위에 장착되는 투명패널;을 포함함으로써, 프레임과 강판으로 이루어져 수압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못이나 칼날 등에 의해 찢어지지 아니하며, 측판이 중량 대비 큰 강도를 가지므로 제작시간 단축 및 제조비 절감이 가능해지고, 측벽 일부가 투명하게 제작되어 익사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투명창을 구비하는 조립식 수영장을 개시하고 있다.
KR 20-0210593 Y1 KR 20-0429494 Y1 KR 20-0475938 Y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블록판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수영장의 벽면을 형성할 때 고정너트를 미리 고정하여 고정너트를 잡지 않고 고정볼트를 쉽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고정너트가 수직 블록판의 플랜지에 회전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너트가 수직 블록판의 플랜지 결합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수직 블록판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한,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베이스 부재와 수직 블록판 사이가 틀어지더라도 수직 블록판끼리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블록판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수영장의 벽면을 형성하는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에 있어서, 수영장의 테두리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와; 수영장의 측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측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 블록판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수직 블록판의 플랜지를 서로 연결하되 고정너트가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제1체결부와; 상기 베이스 부재와 수직 블록판을 탄성 연결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에 따르면, 상기 제1체결부는 연속하는 수직 블록판 중 하나의 플랜지에 형성된 설치구멍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너트와, 연속하는 수직 블록판 중 다른 하나의 플랜지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너트에 체결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에 따르면, 상기 고정너트는 고정볼트의 나사부가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금속재질의 나사부와, 한 쌍의 끼움 홈이 형성된 상기 설치구멍에 삽입 설치되어 고정되도록 외주면에 한 쌍의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후단부에 상기 나사부가 일체로 결합된 수지재질의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에 따르면, 상기 고정구는 두부가 접시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설치구멍은 고정구가 삽입되는 쪽이 접시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에 따르면, 상기 나사부는 고정구에 인서트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에 따르면, 상기 제2체결부는 수직 블록판에 형성된 설치구멍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너트와, 상기 베이스 부재와의 사이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된 후 상기 고정너트에 체결되는 탄성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는 제1체결부를 통해 수직 블록판을 서로 연결함과 아울러 제2체결부를 통해 수직 블록판과 베이스 부재를 서로 연결하게 되므로 베이스 부재를 기준으로 수직 블록판을 일정 정도 이동시킬 수 있어 수직 블록판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에 따르면, 고정너트가 일측 수직 블록판의 플랜지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측 수직 블록판의 관통공을 통해 고정너트에 고정볼트를 체결하게 되므로, 고정볼트를 쉽게 체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에 따르면, 고정너트의 고정구에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수직 블록판에 형성된 설치 구멍에 끼움 홈이 형성됨에 따라 고정너트의 고정돌기가 끼움홈에 삽입되어 너트부재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에 따르면, 고정구에 나사부가 인서트 사출되어 고정너트를 형성함에 따라 고정너트의 생산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에 수직 블록판을 연결할 때 베이스 부재와의 사이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탄성 고정볼트가 고정너트에 체결되므로 일정 범위 내에서 수직 블록판을 이동시켜 수직 블록판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수영장 블록판 중 수직 블록판을 연결하는 고정볼트와 고정너트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직 블록판과 베이스 부재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판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수영장의 벽면을 형성하는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로서, 수영장의 테두리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30)와; 수영장의 측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30)의 상측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 블록판(10)(20)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수직 블록판(10)(20)의 플랜지(15)(25)를 서로 연결하되 고정너트(42)가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볼트(41)가 체결되는 제1체결부(40)와; 상기 베이스 부재(30)와 수직 블록판(10)(20)을 탄성 연결하는 제2체결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체결부(40)를 이용하여 양측의 수직 블록판(10)(20)을 신속하에 연결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베이스 부재(30)에 제2체결부(50)로 연결된 수직 블록판(10)(2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베이스 부재(300의 위치가 정확하지 않더라도 연속적으로 배치된 수직 블록판(10)(20)을 서로 엇갈리지 않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체결부(40)는 도 2와 같이, 연속하는 수직 블록판(10)(20) 중 하나(20)의 플랜지(25)에 형성된 설치구멍(26)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너트(42)와, 연속하는 수직 블록판(10)(20) 중 다른 하나(10)의 플랜지(15)에 형성된 관통공(16)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너트(42)에 체결되는 고정볼트(4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41)는 육각의 헤드부(41a)와 나사부(41c) 및 와셔부(41b)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너트(42)는 고정볼트(41)의 나사부(41c)가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금속 재질의 나사부(42a)와, 한 쌍의 끼움 홈(26b)이 형성된 상기 설치구멍(26)에 삽입 설치되어 고정되도록 외주면에 한 쌍의 고정돌기(42b')가 형성되고 후단부에 상기 나사부(42a)가 일체로 결합된 수지 재질의 고정구(42b)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구(42b)가 고정돌기(42b')을 이용하여 설치구멍(26)에 회전되지 않게 삽입 설치되어 고정되고, 작업자는 고정너트(42)가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볼트(41)를 수직 블록판(10)의 플랜지(15)에 형성된 관통공(16)에 관통시켜 상기 고정너트(42)의 나사부(42a)에 체결함으로써 연속하는 수직 블록판(10)(20)의 플랜지(15)(25)를 서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나사부(42a)는 고정구(42b)에 인서트 사출(Insert Molding)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구(42b)는 두부(42b")가 접시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설치구멍(26)은 고정구(42b)가 삽입되는 입구(26a)가 접시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너트(42)의 제작이 용이해지고 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상기 고정구(42b)의 두부(42b")가 설치구멍(26)의 입구(26a)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너트(42)가 설치되어 고정너트(42)가 플랜지(25)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음은 물론 양측 수직 블록판(10)(20)의 플랜지(15)(25)가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제2체결부(50)는 도 3과 같이, 수직 블록판(10)(20)에 형성된 설치구멍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너트(42)와, 상기 베이스 부재(30)와의 사이에 스프링(55)을 개재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30)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된 후 상기 고정너트(42)에 체결되는 탄성 고정볼트(51)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 부재(30)에 탄성 고정볼트(51)와 고정너트(42)로 연결된 수직 블록판(10)(2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양측 수직 블록판(10)(20)의 플랜지(15)(16)의 위치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제1체결부(40)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를 이용하여 수영장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영장의 테두리를 따라 베이스 부재(30)를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수영장의 벽면 하부를 형성한다. 이어, 상기 베이스 부재(30)에 수직 블록판(10)(20)을 연속적으로 결합시키되, 제2체결부(50)를 이용하여 베이스 부재(30)와 각각의 수직 블록판(10)(20)을 연결한다. 즉, 수직 블록판(10)(20)의 설치구멍에 고정너트(42)를 삽입 고정한 상태에서 베이스 부재(30)에 형성된 관통공에 스프링(55)을 개재한 탄성 고정볼트(51)를 삽입하여 고정너트(42)에 체결함으로써 베이스 부재(30)와 수직 블록판(10)(20)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너트(42)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각각의 수직 블록판(10)(20)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고정너트(42)를 고정하지 않고도 탄성 고정볼트(51)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탄성 고정볼트(51)를 고정너트(42)에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부재(30)와 수직 블록판(10)(20) 사이의 연결 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연속적으로 배치된 수직 블록판(10)(20)의 플랜지(15)(15)를 제1체결부(40)로 연결하여 수직 블록판(10)(20)이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수직 블록판(10)(20)의 플랜지(15)(25) 위치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제2체결부(50)의 스프링(55)을 이용하여 수직 블록판(10)(2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연속적으로 배치된 수직 블록판(10)(20)의 플랜지(15)(25) 위치를 서로 일치시켜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일측 수직 블록판(20)의 플랜지(25)에 형성된 설치구멍(26)에 고정너트(42)를 삽입 고정함으로써 고정너트(42)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이어 타측 수직 블록판(10)의 플랜지(15)에 형성된 관통구멍(16)으로 고정볼트(41)를 삽입하여 고정너트(42)에 체결함으로써 연속적으로 배치된 수직 블록판(10)(20)의 플랜지(15)(25)를 서로 연결한다.
이상의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수영장의 벽면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수직 블록판(10)(20)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수직 블록판
15...플랜지
16...관통공
20...수직 블록판
25... 플랜지
26...설치구멍
26a...입구
26b...끼움 홈
30...베이스 부재
40...제1체결부
41...고정볼트
41a...헤드부
41b...와셔
41c...나사부
42...고정너트
42a...나사부
42b...고정구
42b'...고정돌기
42b"...두부
50...제2체결부
51...탄성 고정볼트
55...스프링

Claims (5)

  1. 블록판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수영장의 벽면을 형성하는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에 있어서,
    수영장의 테두리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30)와;
    수영장의 측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30)의 상측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 블록판(10)(20)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수직 블록판(10)(20)의 플랜지(15)(25)를 서로 연결하되 상기 수직 블록판(10)(20) 중 어느 하나(20)의 플랜지(25)에 고정너트(42)가 고정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10)의 플랜지(15)를 관통한 고정볼트(41)가 체결되는 제1체결부(40)와;
    상기 베이스 부재(30)와 수직 블록판(10)(20)을 탄성 연결하는 제2체결부(5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부(40)는 연속하는 수직 블록판(10)(20) 중 하나(20)의 플랜지(25)에 형성되며 입구(26a)가 접시형태로 형성된 설치구멍(26)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너트(42)와, 연속하는 수직 블록판(10)(20) 중 다른 하나(10)의 플랜지(15)에 형성된 관통공(16)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너트(42)에 체결되는 고정볼트(41)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너트(42)는 고정볼트(41)의 나사부(41c)가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금속 재질의 나사부(42a)와, 한 쌍의 끼움 홈(26b)이 형성된 상기 설치구멍(26)에 삽입 설치되어 고정되도록 두부(42c)가 접시형태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상기 끼움 홈(26b)에 삽입되는 한 쌍의 고정돌기(42b')가 형성되고 후단부에 상기 나사부(42a)가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화된 수지 재질의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부(50)는 수직 블록판(10)(20)에 형성된 설치구멍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너트(42)와, 상기 베이스 부재(30)와의 사이에 스프링(55)을 개재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30)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된 후 상기 고정너트(42)에 체결되는 탄성 고정볼트(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
KR1020180016098A 2018-02-09 2018-02-09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 Active KR102139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098A KR102139064B1 (ko) 2018-02-09 2018-02-09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098A KR102139064B1 (ko) 2018-02-09 2018-02-09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537A KR20190096537A (ko) 2019-08-20
KR102139064B1 true KR102139064B1 (ko) 2020-07-29

Family

ID=67807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098A Active KR102139064B1 (ko) 2018-02-09 2018-02-09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0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651B1 (ko) * 2020-02-13 2020-11-02 이창호 간이 수영장 건설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0623A (ja) * 1999-01-29 2000-08-08 National House Industrial Co Ltd ナットの固定構造
KR200398161Y1 (ko) * 2005-07-27 2005-10-11 방용섭 파일용 형틀의 체결장치
US20060179561A1 (en) * 2003-03-17 2006-08-17 Ribeiro Jose L W Modular pool constructive design
US20170370396A1 (en) * 2016-06-27 2017-12-28 Canon Kabushiki Kaisha Insert nut and fasten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593Y1 (ko) 2000-08-22 2001-01-15 이애란 조립식 수영장
KR200429494Y1 (ko) 2006-08-03 2006-10-23 주식회사 에리어마케팅시스템 조립식 수영장
KR200475938Y1 (ko) 2014-07-10 2015-01-19 최윤재 투명창을 구비하는 조립식 수영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0623A (ja) * 1999-01-29 2000-08-08 National House Industrial Co Ltd ナットの固定構造
US20060179561A1 (en) * 2003-03-17 2006-08-17 Ribeiro Jose L W Modular pool constructive design
KR200398161Y1 (ko) * 2005-07-27 2005-10-11 방용섭 파일용 형틀의 체결장치
US20170370396A1 (en) * 2016-06-27 2017-12-28 Canon Kabushiki Kaisha Insert nut and faste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537A (ko) 201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5473B2 (en) Ceiling tile system
KR101039015B1 (ko) 목재 난간기둥 고정구조
KR102139064B1 (ko)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
KR100999373B1 (ko) 목재 데크를 시공하기 위한 연결구조와 클립
KR101250505B1 (ko) 조립식 구조물 구조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435478Y1 (ko) 플로트 조립체의 상부 구조물
KR20180093544A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수영장
KR102023036B1 (ko) 고강도 강판 속주형 목재 펜스용 지주
KR20190004509A (ko) 조립식 돔 하우스
KR100804050B1 (ko) 플로트 조립체의 상부 구조물
CN222456940U (zh) 一种景观亭
KR100770958B1 (ko) 거푸집용 합성패널
CN112627329A (zh) 一种快速施工的卡销式防腐木安装方法
KR20090060687A (ko) 펜스고정장치
KR200306790Y1 (ko) 계단실용 일체형 거푸집
CN216810782U (zh) 一种便于安装和调整的地板结构
CN219909468U (zh) 一种预制墙板装配式连接结构
KR200458199Y1 (ko) 마감재 결합이 용이한 에이치 형강 기둥 조립구조
CN220336447U (zh) 一种阳台护栏组合式模板
CN220909336U (zh) 一种拼装式铝栅栏
CN219974022U (zh) 一种快速拆装泳池垫层
KR100642327B1 (ko) 조립식 인공암벽
CN222120696U (zh) 一种便于拆装建筑装饰用吊顶装置
CN213806347U (zh) 一种便于拼接稳定型塑料地板
CN214574922U (zh) 一种装配式墙体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7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