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38560B1 - Smart box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Smart box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8560B1
KR102138560B1 KR1020200038839A KR20200038839A KR102138560B1 KR 102138560 B1 KR102138560 B1 KR 102138560B1 KR 1020200038839 A KR1020200038839 A KR 1020200038839A KR 20200038839 A KR20200038839 A KR 20200038839A KR 102138560 B1 KR102138560 B1 KR 102138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anagement
product
smart
do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8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함판식
Original Assignee
브이디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디컴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이디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8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56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56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36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in combination with a wake-up circui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box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a smart box capable of smart automatic sales using a vision technology. The smart box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smart boxes in which products are capable of being automatically sold using the vision technology; and a management server for managing the plurality of smart boxes. The smart box includes: a main body provided with a space for storing the products therein;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body; a door lock controlling the locking of the door; a product recognition modul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generating image information by photograph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recognizing the product from the image information, and checking a product placement state to generate product placement information; a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communicate with a management server and/or a customer terminal; and a control module which provides the product placement information, payment information, and abnormal information to the custom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locks the door by controlling the door lock upon completion of payment.

Description

스마트박스 관리시스템{SMART BOX MANAGEMENT SYSTEM}SMART BOX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박스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전 기술을 활용하여 스마트 자동 판매가 가능한 스마트박스를 관리하는 스마트박스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box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box management system that manages a smart box capable of smart automatic sales using vision technology.

자동판매기는 동전을 투입하거나 카드를 넣으면 고객이 원하는 물건이 자동으로 나오는 기계를 의미한다.A vending machine means a machine that automatically inserts a coin or inserts a card and the product the customer wants appears.

이러한 자동판매기는 커피, 음료, 담배를 비롯하여 티켓, 위생용품, 성인용품 등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비치하여 노동집약적 산업구조에서 기술집약적 산업사회로의 전환에 따른 대량생산, 대량소비, 소비패턴 변화 등의 마케팅 환경의 변화에 따라 새헙게 출현된 유통구조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판매기는 그 용도에 따라 공공시설, 터미널은 물론 건물, 오락장, 숙박업소 등에 설치되어 무인 매점으로서 큰 역할을 하고 있다.These vending machines have various types of products, such as coffee, beverages, cigarettes, tickets, sanitary products, and adult products, to change the mass production, mass consumption, consumption patterns, etc. following the transition from a labor-intensive industrial structure to a technology-intensive industrial society. It can be said to be a product of the new distribution structure that has emerged according to changes in the marketing environment. These vending machines are installed in public facilities and terminals, as well as buildings, entertainment venues, and lodging facilities depending on their use, and play a large role as an unmanned kiosk.

종래의 자동판매기는 내부에 상품을 보관한 상태에서 상품 진열창을 고객이 보면서 버튼이나 키패드를 매개로 상품 진열창에서 소개된 특정 상품을 선택한 다음 현금이나 카드를 투입하여 결제를 수행한 이후 특정 상품을 수령하는 구조와 기능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일반적인 자동판매기는 상품이 자동판매기 내부에 보관된 상태에서 고객이 결제를 수행한 다음 외부로 인출시키는 것으로, 결제를 수행하기 전까지 해당 상품을 직접 만지거나 볼 수 없는 밀폐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Conventional vending machines store products inside and select a specific product introduced in the product display window via a button or keypad while the customer looks at the product display window, and then enter the cash or card to perform payment by receiving a specific product. It consists of structure and function. That is, a general vending machine is a product that is stored inside a vending machine, and a customer performs payment and then withdraws it to the outside, and has a closed structure in which the product cannot be directly touched or viewed until payment is made.

그런데 이와 같이 밀폐형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자동판매기는 고객이 해당 상품을 직접 만지거나 외관 상태를 확인할 수 없고 그저 상품 진열창에 비치된 샘플의 외관을 보면서 상품을 선택해야 한다. 이 경우, 상품 진열창에 비치된 샘플과 달리 상품의 외관이 손상되거나 아니면 유통기간이 얼마 남지 않거나 지난 상품을 수령할 우려가 따를 뿐 아니라 경과시간이 짧아서 냉장이 제대로 되지 않은 상품을 수령하는 등의 상품 신뢰도를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 conventional vending machine having a sealed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cannot directly touch the product or check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and simply select the product while looking at the appearance of the sample placed on the product display window. In this case, unlike the sample placed on the product display window,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is damaged, the shelf life is short, or there is a fear of receiving the old product, and the product is not properly refrigerated due to the short elapsed tim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reliability was not guaranteed.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0158252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015825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비전 기술을 활용하여 스마트 자동 판매가 가능한 스마트박스를 관리하는 스마트박스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box management system that manages a smart box capable of smart automatic sales by utilizing vision technology.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결제 수단 인증 후 도어를 개방하여 여러 상품을 고객이 직접 만지고 보면서 상품을 선택하고 인출하여 상품 선택의 재미와 상품에 대한 신뢰를 보장할 수 있는 스마트박스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nage the smart box to guarantee the fun of product selection and trust in the product by selecting and withdrawing the product by opening the door after authenticating the payment method and touching and viewing several products. It is to provide a system.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스마트박스 각각의 판매 상태 및/또는 이상상태에 대한 평가정보를 이용하여 관리 우선순위에 따라 설정된 관리스케쥴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박스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box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providing management schedule information set in accordance with management priority by using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sales status and/or abnormal status of each of a plurality of smart boxes.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재 발생시 스마트박스가 배치된 건축물의 도면 정보를 연계하여 화재발생구역과 화재확산구역을 구분하고 이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이동통로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대피경로와 화재진압경로를 생성하여 고객 및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박스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e evacuation route and a fire evacuation route based on the movement path information of a building that distinguishes a fire generating area and a fire diffusion area by linking drawing information of a building in which a smart box is disposed in case of a fire It is to provide a smart box management system that can provide fire suppression routes to customers and manager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비전 기술을 활용하여 상품의 자동 판매가 가능한 복수의 스마트박스; 및 상기 복수의 스마트박스를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박스는, 내부에 상품을 보관하는 공간이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잠금을 제어하는 도어락;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상품을 인식하고 상품의 배치 상태를 확인하여 상품배치정보를 생성하는 상품인식모듈;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관리서버 및/또는 고객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고객 단말기로 상품배치정보, 결제정보, 이상정보를 제공하고, 결재 완료시 상기 도어락을 제어하여 상기 도어를 잠금 처리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박스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plurality of smart boxes capable of automatic sales of products using vision technology; And a management server that manages the plurality of smart boxes, wherein the smart box includes a main body provided with a space for storing products therein;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main body; A door lock that controls the lock of the door; A product recognition modul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generating image information by photographing an interior space of the main body, recognizing a product from the image information, and checking product placement status to generate product placement information; A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communicate with a management server and/or a customer terminal; And a control module for providing product placement information, payment information, and abnormality information to the custom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controlling the door lock upon completion of payment to lock the door. .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결제정보의 생성, 변경, 취소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관리서버 및/또는 고객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고객의 결제수단을 수신 및/또는 인식하여 결체처리하는 결제처리부; 상기 도어의 개방 시간을 측정하여 기 설정된 개방 시간을 초과하면 시간초과정보를 생성하는 타이머; 및 상기 도어의 잠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도어락에 송신하고 상기 시간초과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도어의 잠금을 명령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도어락에 송신하는 도어락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odule performs at least one of payment information generation, change, and cancellation to provide to the management server and/or customer terminal, and receives and/or receives payment from the customer terminal. Or a payment processing unit that recognizes and performs payment processing; A timer for measuring the opening time of the door and generating timeout information when the preset opening time is exceeded; And a door lock control unit that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lock of the door to the door lock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instructing the lock of the door to the door lock when the timeout information is receiv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스마트박스로부터 상품배치정보, 결제정보, 이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서버통신부; 상기 상품배치정보 및/또는 상기 결제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스마트박스 각각을 판매 상태를 평가하고, 평가결과에 따라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평가부; 및 상기 평가정보를 반영한 관리스케쥴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기로 관리스케쥴정보를 제공하는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server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at least one of product placement information, payment information, and abnormal information from the smart box; An evaluation unit that analyzes the product placement information and/or the payment information, evaluates the sales statu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mart boxes, and generates evalu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 And a management unit that generates management schedule information reflecting the evaluation information and provides management schedule information to an administrator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상품배치정보로부터 상품의 재고정보를 확인하고, 상품의 재고가 부족한 경우 판매상황을 고려하여 상품 보충을 위한 관리 스케쥴이 설정된 관리스케쥴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unit checks the inventory information of the product from the product placement information, and when the inventory of the product is insufficient, the management schedule information in which the management schedule for supplementing the product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sales situation. It can be provided as a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외부장치로부터 기상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기상정보에 따른 상품의 판매상황 및/또는 재고정보를 더 반영하여 상기 관리스케쥴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unit may receive weather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device and set the management schedule information by further reflecting the sales status and/or inventory information of the product according to the received weather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기상정보로부터 기상요소를 평가하여 기상관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스마트박스에 기상관리정보를 반영하여 관리 우선순위를 매겨 상기 관리스케쥴정보를 설정하되, 관리 우선순위에 따라 관리자가 상기 복수의 스마트박스에 순차적으로 방문할 수 있도록 방문경로를 포함하여 상기 관리스케쥴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unit evaluates weather elements from weather information, generates weather management information, sets the management schedule information by prioritizing management by reflecting weather management information in the plurality of smart boxes However, the management schedule information may be set including a visit route so that an administrator can sequentially visit the plurality of smart boxes according to the management priority.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이상정보로부터 상기 스마트박스의 이상요소에 따른 예상수리시간을 평가하여 이상관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스마트박스에 이상관리정보를 반영하여 관리 우선순위를 매겨 상기 관리스케쥴정보를 설정하되, 관리 우선순위에 따라 관리자가 상기 복수의 스마트박스에 순차적으로 방문할 수 있도록 방문경로를 포함하여 상기 관리스케쥴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unit evaluates the expected repair time according to the abnormal element of the smart box from the abnormal information, generates abnormal management information, and reflects and manages the abnormal management information in the plurality of smart boxes Priority is given to setting the management schedule information, but the management schedule information may be set including a visit route so that an administrator can sequentially visit the plurality of smart boxes according to the management priority.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스마트박스가 배치된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상기 건축물과 관련하여 화재발생구역 및/또는 화재확산구역을 구분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경고를 송출하고, 화재대피경로 및/또는 화재진압경로를 산출하고, 상기 화재대피경로 및/또는 화재진압경로를 상기 고객 단말기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e occurs in a building in which the smart box is disposed, the management unit classifies a fire generating area and/or a fire diffusion area in relation to the building, and uses the customer terminal and the manager terminal. A warning evacuation route and/or a fire extinguishing route may be calculated, and the fire evacuation route and/or the fire extinguishing route may be provided to the customer terminal and the manager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전 기술을 활용하여 스마트 자동 판매가 가능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mart automatic sales are possible by utilizing vision technolog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수단 인증 후 도어를 개방하여 여러 상품을 고객이 직접 만지고 보면서 상품을 선택하고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상품 선택의 재미와 상품에 대한 신뢰를 보장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oor is opened after the payment method is authenticated, the customer can select and withdraw the product while touching and viewing the various products, thereby guaranteeing the fun of product selection and trust in the produc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스마트박스 각각의 판매 상태 및/또는 이상상태에 대한 평가정보를 이용하여 관리 우선순위에 따라 설정된 관리스케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agement schedule information set according to management priority may be provided using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sales status and/or an abnormal cond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mart box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발생시 스마트박스가 배치된 건축물의 도면 정보를 연계하여 화재발생구역과 화재확산구역을 구분하고 이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이동통로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대피경로와 화재진압경로를 생성하여 고객 및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vent of a fire, the fire evacuation route and the fire are classified based on the movement path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hat distinguishes the fire generating area and the fire diffusion area by linking drawing information of the building in which the smart box is disposed. Suppression routes can be created and provided to customers and managers.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박스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박스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스마트박스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스마트박스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스마트박스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관리서버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box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mart box of FIG. 1.
3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smart box of FIG. 2.
4 is a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smart box of FIG. 3.
5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mart box of FIG. 3.
6 is a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anagement server of FIG.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between. "It includes the case where it is. Also,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instead of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ar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박스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box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박스 관리시스템은 복수의 스마트박스(100) 및 관리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smart box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smart boxes 100 and a management server 200.

상기 스마트박스(100)는 비전 기술을 활용하여 상품의 자동 판매가 가능하며, 고객이 도어(120)를 개방하여 선택한 상품을 인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2를 더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박스(100)는 내부에 상품을 보관하는 공간이 마련된 본체(110), 상기 본체(110)를 개폐하는 도어(120), 상기 도어(120)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상기 도어(120)의 잠금을 제어하는 도어락(130), 상기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고 상품 인식 및/또는 배치 상태를 확인하여 상품배치정보를 생성하는 상품인식모듈(140), 상기 본체(110)에 설치되어 고객 단말기(300) 및/또는 상기 관리서버(200)와 통신하는 통신모듈(150), 상기 통신모듈(150)을 통해 상기 고객 단말기(300) 및/또는 상기 관리서버(200)로 상품배치정보, 결제정보, 이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고, 결재 완료시 상기 도어락(130)을 제어하여 상기 도어(120)를 잠금 처리하는 제어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box 100 can automatically sell products using vision technology, and the customer can open the door 120 to withdraw the selected product. To this end, referring to FIG. 2 further, the smart box 100 includes a main body 110 provided with a space for storing goods therein, a door 120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body 110, and the door 120. A door lock 130 that controls the locking of the door 120 to open or close, a product recognition module 140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10 and generating product placement information by checking product recognition and/or arrangement status , The communication module 150 installed in the main body 110 to communicate with the customer terminal 300 and/or the management server 200, the customer terminal 300 and/or the communication module 150. Includes a control module 160 that provides at least one of product placement information, payment information, and abnormal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and controls the door lock 130 to lock the door 120 upon completion of payment. Can be.

도 3을 더 참조하면, 상기 본체(110)는 직사각형의 박스 형태이며, 일반적으로 음료 보관 냉장고와 같이 높이 차이를 두고 복수개의 트레이가 배치된 상태에서 각 트레이에 상품을 안착시킬 수 있는 상품보관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10)는 냉동, 냉장 및 온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여 상품을 필요에 따라 얼리거나, 시원하게 만들거나, 따뜻하게 만들어 상품보관공간에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0)는 상품의 종류에 따라 탈취, 송풍, 방향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110)는 음료수, 화장품, 스낵, 의약품, 세면도구 등의 다양한 상품을 보관할 수 있으며, 상품의 특성에 맞춰 냉동, 냉장, 온장, 탈취, 송풍,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main body 110 is a rectangular box shape, and in general, a product storage space capable of placing products on each tray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trays are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such as a beverage storage refrigerator. It may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main body 110 may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of freezing, refrigeration, and warming to freeze, cool or warm the product as needed to store it in a product storage space. In addition, the main body 110 may include various functions such as deodorization, blowing, and direction functions depending on the type of product. For example, the main body 110 can store various products such as beverages, cosmetics, snacks, medicines, toiletries, etc., and functions at least one of freezing, refrigerating, warming, deodorizing, blowing, and arom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You can do

상기 본체(110)는 일측에 부착 또는 인쇄된 QR코드(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QR코드(112)는 상기 고객 단말기(300)로 상기 상품배치정보, 상품의 결제를 위한 결제정보, 상기 본체의 이상상태에 대한 이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기 위한 링크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110 may include a QR code 112 attached or printed on one side. Here, the QR code 112 may include link information for providing at least one of the product placement information to the customer terminal 300, payment information for payment of the product, and abnormal information about the abnormal state of the main body. Can.

상기 도어(120)는 상기 본체(110)의 일 측, 주로 상기 본체(110)의 전면에 설치되어 회동식 및/또는 미닫이식으로 상기 본체(110)의 상품보관공간을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도어(120)의 구조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주로 투명 및/또는 반투명 창을 구비하여 외부에서 상기 본체(110) 내에 배치(진열)된 상품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20)는 육안 확인을 지원하여 상품 구매 의욕을 촉진시킬 수 있다.The door 12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mainly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10 to perform a func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product storage space of the main body 110 in a rotational and/or sliding manner. Can. The structure of the door 120 may be formed in various structures, mainly provided with a transparent and/or translucent window to form a structure that can visually identify a product placed (displayed) in the body 110 from the outside. Can be. In addition, the door 120 may support visual confirmation to promote the desire to purchase products.

도 4를 더 참조하면, 상기 도어락(130)은 도난 등의 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평상시에 상기 도어(120)가 잠기도록 작동하고, 고객의 결제 수단을 인식한 다음 물품의 인출을 위하여 상기 도어(120)가 개방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도어락(130)은 상기 도어(120)가 설치된 상기 본체(110) 일 측에 형성된 홈에 인입 및 인출되면서 락(lock) 또는 언락(unlock) 기능을 수행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락킹(locking) 장치 내지 기타 다양한 잠금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락(130)은 상기 제어모듈(160)의 명령(제어)에 따라 상기 도어(120)의 잠금 또는 개방을 제어할 수 있다.4, the door lock 130 is operated to lock the door 120 at normal times to prevent problems such as theft, and to withdraw the goods after recognizing the customer's payment method. The door 120 may be operated to open. The door lock 130 is provided with a stopper that performs a locking or unlocking function as it enters and exits a groove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on which the door 120 is installed. ) It can be made of a device or various other locking structures. Further, the door lock 130 may control locking or opening of the door 120 according to a command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60.

도 5를 더 참조하면, 상기 상품인식모듈(140)은 상기 본체(110)의 내부 공간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상품을 인식하고 상품의 배치 상태를 확인하여 상품배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품인식모듈(140)은 카메라, 포토 센서, 레이저 비전 센서 등의 영상생성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인식모듈(140)은 상품에 부착 또는 인쇄된 식별코드를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인식모듈(140)은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영상신호를 추출, 검출, 분석 등을 수행하고, 기 저장된 정보와 매칭하여 상품의 정보 및/또는 위치를 인식하며, 인식된 정보 및/또는 위치를 바탕으로 상품의 배치 상태를 확인하여 상품의 판매정보 및/또는 재고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상품배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further, the product recognition module 140 photographs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110 to generate image information, recognizes a product from the image information, and checks the product placement status to determine product placement information. Can generate Here, the product recognition module 140 may include an image generating device such as a camera, a photo sensor, and a laser vision sensor. In addition, the product recognition module 140 may generate image information by photographing an identification code attached or printed on the product. In addition, the product recognition module 140 extracts, detects, and analyzes an image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from the image information, matches the pre-stored information, recognizes the product information and/or location, and recognizes it. The product placem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sales information and/or inventory information of the product may be generated by checking the placement status of the product based on the information and/or the location.

상기 통신모듈(150)은 통신망을 이용하여 유선방식 및/또는 무선방식으로 상기 고객 단말기(300) 및/또는 상기 관리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50 may communicate with the customer terminal 300 and/or the management server 200 in a wired and/or wireless manner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제어모듈(160)은 고객의 결제수단이 인식된 후 고객이 상기 상품보관공간의 상품을 픽업 또는 선택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6을 더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60)은 결제정보의 생성, 변경, 취소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300) 및/또는 상기 관리서버(200)로 제공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300)로부터 고객의 결제수단을 수신 및/또는 인식하여 결체처리하는 결제처리부(162), 상기 도어(120)의 개방 시간을 측정하여 기 설정된 개방 시간을 초과하면 시간초과정보를 생성하는 타이머(164), 상기 도어(120)의 잠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도어락(130)에 송신하고 상기 시간초과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도어(120)의 잠금을 명령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도어락(130)에 송신하는 도어락제어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60 may perform a function of controlling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a customer picks up or selects a product in the product storage space after the customer's payment method is recognized. To this end, referring to FIG. 6 further, the control module 160 performs at least one of payment information creation, change, and cancellation to provide to the customer terminal 300 and/or the management server 200, and A payment processing unit 162 that receives and/or recognizes the payment method of the customer from the customer terminal 300 and performs payment processing, measures the opening time of the door 120 and generates timeout information when it exceeds a preset opening time. Timer 164,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lock of the door 120 is transmitted to the door lock 130, and upon receiving the timeout information, the control signal for instructing the lock of the door 120 is locked to the door lock ( It may include a door lock control unit 166 to transmit to (130).

예를 들면, 상기 제어모듈(160)은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상품의 가격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결제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고객의 결제수단을 인식하면 상기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의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160 may receive the product price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200 to generate the payment information, and when the customer's payment method is recognized, payment of the product using the payment information Can handle

상기 제어모듈(160)은 고객이 상품을 픽업하고 결제처리가 완료된 경우 상기 도어(120)를 잠금 처리하여 상기 상품보관공간의 상품이 도난되는 것을 보호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60 can protect the product from being stolen by locking the door 120 when the customer picks up the product and the payment process is comple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마트박스(100)는 결제수단인식, 도어개방, 상품선택, 상품선택인식, 도어닫힘, 결제, 도어잠금 등으로 진행되는 프로세스를 통해 고객의 편리한 상품 선택 및 결제 환경을 보장할 수 있으며, 상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The smart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stomer's convenient product selection and payment through a process of payment method recognition, door opening, product selection, product selection recognition, door closing, payment, door lock, etc. The environment can be guaranteed, and the product can be safely protected.

예를 들면, 상기 스마트박스(100)는 고객의 결제수단을 인식하면 상기 도어(120)의 잠금 해제를 명령하여 고객이 손으로 상기 도어(120)를 열 수 있도록 만들고, 상기 상품보관공간에 배치된 상품을 직접 만지거나 유통기간을 확인하면서 고객이 특정 상품을 선택하여 픽업하면 선택된 상품을 인식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mart box 100 recognizes the payment method of the customer, it orders the unlocking of the door 120 so that the customer can open the door 120 by hand, and is placed in the product storage space. When a customer selects and picks up a specific product while directly touching the product or checking the distribution period, the selected product can be recognized and payment for the product can be performed.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관리서버(200)는 복수의 스마트박스(100)를 관리하기 위하여, 서버통신부(210), 평가부(220), 및 관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include a server communication unit 210, an evaluation unit 220, and a management unit 230 to manage a plurality of smart boxes 100.

구체적으로, 상기 서버통신부(210)는 상기 스마트박스(100)로부터 상품배치정보, 결제정보, 이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관리자 단말기(400)로 관리스케쥴정보 및/또는 화재진압경로를 송신하며, 고객 단말기(300)로 화재대피경로를 송신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10 receives at least one of product placement information, payment information, and abnormal information from the smart box 100, and transmits management schedule information and/or a fire fighting route to the manager terminal 400. In addition, a fire escape route may be transmitted to the customer terminal 300.

상기 평가부(220)는 상기 상품배치정보 및/또는 상기 결제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스마트박스(100) 각각을 판매 상태를 평가하고, 평가결과에 따라 평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평가부(220)는 상기 상품배치정보 또는 상기 결제정보 각각을 분석하여 주요 판매상품, 판매량, 판매비율, 판매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위치별 및/또는 시기별로 상기 스마트박스(100)에 대한 평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evaluation unit 220 may evaluate the sales statu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mart boxes 100 by analyzing the product placement information and/or the payment information, and generate evalu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 For example, the evaluation unit 220 analyzes each of the product placement information or the payment information and uses location and/or timing by using the evaluation result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main sales product, sales volume, sales ratio, and sales price. It is possible to generate evaluation information for the smart box 100 for each.

상기 관리부(230)는 평가정보를 반영한 관리스케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400)로 관리스케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부(230)는 상기 상품배치정보에 포함된 재고정보에 따라 재고관리를 반영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400)로 관리스케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management unit 230 may generate management schedule information reflecting evaluation information and provide management schedule information to the manager terminal 400. Here, the management unit 230 may provide management schedule information to the manager terminal 400 by reflecting inventory management according to inventor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roduct placement information.

예를 들면, 상기 관리부(230)는 상기 서버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상기 상품배치정보로부터 상품의 재고정보를 확인하고, 상품의 재고가 부족한 경우 판매상황을 고려하여 상품 보충을 위한 관리 스케쥴이 설정된 관리스케쥴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400)로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nagement unit 230 checks the inventory information of the product from the product placement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10, and when the inventory of the product is insufficient, a management schedule for supplementing the product considering the sales situation The set management schedul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manager terminal 400.

또한, 상기 관리부(230)는 외부장치(서버)로부터 기상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기상정보에 따른 상품의 판매상황 및/또는 재고정보를 더 반영하여 상기 관리스케쥴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unit 230 may receive weather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device (server) and set the management schedule information by further reflecting the sales status and/or inventory information of the product according to the received weather information.

예를 들면, 상기 관리부(230)는 기상정보로부터 상기 스마트박스(100)가 배치된 지역의 기온이 상승할 것으로 확인한 경우, 고객들이 차가운 음료를 찾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미리 상기 스마트박스(100)의 냉장온도를 낮추도록 설정된 상기 관리스케쥴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4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관리부(230)는 기상정보로부터 폭염 경보를 수신한 경우, 고객들이 수분 보충을 위한 음료를 찾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미리 수분 보충을 위한 음료의 재고를 보충하도록 설정된 상기 관리스케쥴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400)로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management unit 230 confirms that the temperature of the area where the smart box 100 is disposed will increase from weather information, the likelihood of customers finding a cold drink is high, so the smart box 100 is previously set. The management schedule information set to lower the refrigeration temperature of the may be provided to the manager terminal 400. Alternatively, the management unit 230, when the heat wave alert is received from the weather information, the customer is likely to find a drink for replenishing water, so the management schedule information set to replenish the stock of the drink for replenishing water in advance is recalled. It can be provided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상기 관리부(230)는 기상정보에 따라 복수의 스마트박스(100)에 대한 관리 우선순위가 설정된 상기 관리스케쥴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4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리부(230)는 기상정보로부터 기온, 일조량, 눈, 비, 바람 등의 기상요소를 평가하여 기상관리정보를 생성하고, 복수의 스마트박스(100)에 기상관리정보를 반영하여 관리 우선순위를 매겨 상기 관리스케쥴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부(230)는 관리 우선순위에 따라 관리자가 복수의 스마트박스(100)에 순차적으로 방문할 수 있도록 방문경로를 포함하여 상기 관리스케쥴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The management unit 230 may provide the management schedule information to which the management priority is set for the plurality of smart boxes 100 according to the weather information to the manager terminal 400. Here, the management unit 230 generates weather management information by evaluating weather elements such as temperature, sunshine, snow, rain, and wind from weather information, and prioritizes management by reflecting weather management information in a plurality of smart boxes 100 The management schedule information can be set by ranking. In addition, the management unit 230 may set the management schedule information including a visit route so that an administrator can sequentially visit a plurality of smart boxes 100 according to management priority.

상기 관리부(230)는 복수의 스마트박스(1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상정보에 따라 관리 우선순위가 설정된 상기 관리스케쥴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4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리부(230)는 상기 이상정보로부터 상기 스마트박스(100)의 고장, 손상 등의 이상요소에 따른 예상수리시간을 평가하여 이상관리정보를 생성하고, 복수의 스마트박스(100)에 이상관리정보를 반영하여 관리 우선순위를 매겨 상기 관리스케쥴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부(230)는 관리 우선순위에 따라 관리자가 복수의 스마트박스(100)에 순차적으로 방문할 수 있도록 방문경로를 포함하여 상기 관리스케쥴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The management unit 230 may provide the management schedule information having the management priority set according to the abnormal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mart boxes 100 to the manager terminal 400. Here, the management unit 230 evaluates the expected repair time according to an abnormal element such as a failure or damage of the smart box 100 from the abnormal information, generates abnormal management information, and abnormalities in the plurality of smart boxes 100 The management schedule information may be set by prioritizing the management by reflecting the management information. In addition, the management unit 230 may set the management schedule information including a visit route so that an administrator can sequentially visit a plurality of smart boxes 100 according to management priority.

상기 관리부(230)는 상기 스마트박스(100)가 배치된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최적의 화재대비경로 및 화재진압경로에 대하여 고객과 관리자에게 설정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관리부(230)는 상기 스마트박스(100)가 배치된 건축물과 관련하여 화재발생구역 및/또는 화재확산구역을 구분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300)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400)로 경고를 송출하고, 화재대피경로 및/또는 화재진압경로를 산출하고, 상기 화재대피경로 및/또는 화재진압경로를 상기 고객 및 상기 관리자에게 선택적으로 알릴 수 있다.When the fire occurs in a building in which the smart box 100 is disposed, the management unit 230 may provide information set to the customer and the manager regarding the optimal fire preparedness route and the fire suppression route. To this end, the management unit 230 classifies the fire generating area and/or the fire diffusion area in relation to the building in which the smart box 100 is disposed, and alerts the customer terminal 300 and the manager terminal 400 , And calculates a fire evacuation route and/or a fire suppression route, and selectively informs the customer and the manager of the fire evacuation route and/or the fire extinguishing route.

구체적으로, 상기 관리부(230)는 평면, 입면, 단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도면 정보를 연계하여 화재발생구역 및/또는 화재확산구역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부(230)는 상기 고객 단말기(300)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400)로 화재발생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부(230)는 화재발생구역 정보(이미지), 화재확산구역 정보(이미지), 화재발생구역 및 화재확산구역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이동통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화재대피경로와 상기 화재진압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부(230)는 상기 고객 단말기(300)로 상기 화재대피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400)로 상기 화재진압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재진압경로를 제공받은 관리자는 소방인력과 함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nagement unit 230 may distinguish a fire generating area and/or a fire diffusion area by linking drawing information of a building including at least one of a plane, an elevation, and a cross section. Also, the management unit 230 may transmit a warning signal informing of the fire occurrence to the customer terminal 300 and the manager terminal 400. In addition, the management unit 230 is based on the fire escape area information (image), fire diffusion area information (image), the fire occurrence area and the fire escape area based on the movement path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he fire evacuation route and the fire suppression You can create a route. In addition, the management unit 230 may provide the fire evacuation route to the customer terminal 300 and the fire suppression route to the manager terminal 400. At this time, the manager provided with the fire fighting route can extinguish the fire together with the fire fighting personne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전 기술을 활용하여 스마트 자동 판매가 가능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mart automatic sales are possible by utilizing vision technolog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수단 인증 후 도어를 개방하여 여러 상품을 고객이 직접 만지고 보면서 상품을 선택하고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상품 선택의 재미와 상품에 대한 신뢰를 보장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oor is opened after the payment method is authenticated, the customer can select and withdraw the product while touching and viewing the various products, thereby guaranteeing the fun of product selection and trust in the produc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스마트박스 각각의 판매 상태 및/또는 이상상태에 대한 평가정보를 이용하여 관리 우선순위에 따라 설정된 관리스케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agement schedule information set according to management priority may be provided using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sales status and/or an abnormal cond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mart box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발생시 스마트박스가 배치된 건축물의 도면 정보를 연계하여 화재발생구역과 화재확산구역을 구분하고 이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이동통로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대피경로와 화재진압경로를 생성하여 고객 및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vent of a fire, the fire evacuation route and the fire are classified based on the movement path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hat distinguishes the fire generating area and the fire diffusion area by linking drawing information of the building in which the smart box is disposed. Suppression routes can be created and provided to customers and managers.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onl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or vari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스마트박스
110: 본체
120: 도어
130: 도어락
140: 상품인식모듈
150: 통신모듈
160: 제어모듈
162: 결제처리부
164: 타이머
166: 도어락제어부
200: 관리서버
210: 서버통신부
220: 평가부
230: 관리부
300: 고객 단말기
400: 관리자 단말기
100: smart box
110: main body
120: door
130: door lock
140: product recognition module
150: communication module
160: control module
162: payment processing unit
164: timer
166: door lock control unit
200: management server
210: server communication department
220: evaluation unit
230: administration
300: customer terminal
400: administrator terminal

Claims (8)

비전 기술을 활용하여 상품의 자동 판매가 가능한 복수의 스마트박스; 및
상기 복수의 스마트박스를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박스는,
내부에 상품을 보관하는 공간이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잠금을 제어하는 도어락;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상품을 인식하고 상품의 배치 상태를 확인하여 상품배치정보를 생성하는 상품인식모듈;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관리서버 및/또는 고객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고객 단말기로 상품배치정보, 결제정보, 이상정보를 제공하고, 결재 완료시 상기 도어락을 제어하여 상기 도어를 잠금 처리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스마트박스로부터 상품배치정보, 결제정보, 이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서버통신부;
상기 상품배치정보 및/또는 상기 결제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스마트박스 각각의 판매 상태를 평가하고, 평가결과에 따라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평가부; 및
상기 평가정보를 반영한 관리스케쥴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기로 관리스케쥴정보를 제공하는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박스 관리시스템.
A plurality of smart boxes capable of automatically selling products using vision technology; And
It includes; a management server for managing the plurality of smart boxes;
The smart box,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storing products therein;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main body;
A door lock that controls the lock of the door;
A product recognition modul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generating image information by photographing an interior space of the main body, recognizing a product from the image information, and checking product placement status to generate product placement information;
A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communicate with a management server and/or a customer terminal; And
Includes a control module for providing product placement information, payment information, and abnormal information to the custom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controlling the door lock to lock the door when payment is completed.
The management server,
A server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at least one of product placement information, payment information, and abnormal information from the smart box;
An evaluation unit that analyzes the product placement information and/or the payment information, evaluates the sales statu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mart boxes, and generates evalu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 And
A management unit that generates management schedule information reflecting the evaluation information and provides management schedule information to an administrato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mart box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결제정보의 생성, 변경, 취소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관리서버 및/또는 고객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고객의 결제수단을 수신 및/또는 인식하여 결체처리하는 결제처리부;
상기 도어의 개방 시간을 측정하여 기 설정된 개방 시간을 초과하면 시간초과정보를 생성하는 타이머; 및
상기 도어의 잠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도어락에 송신하고 상기 시간초과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도어의 잠금을 명령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도어락에 송신하는 도어락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박스 관리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module,
A payment processing unit that performs at least one of payment information creation, modification, and cancellation to provide to the management server and/or customer terminal, and receives and/or recognizes and processes payment methods of the customer from the customer terminal;
A timer for measuring the opening time of the door and generating timeout information when the preset opening time is exceeded; And
A door lock control unit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lock of the door to the door lock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door lock to command the lock of the door when the timeout information is receiv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mart box management syste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상품배치정보로부터 상품의 재고정보를 확인하고, 상품의 재고가 부족한 경우 판매상황을 고려하여 상품 보충을 위한 관리 스케쥴이 설정된 관리스케쥴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박스 관리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anagement unit,
Smart box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hecks the inventory information of the product from the product placement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management schedule information set with the management schedule for replenishing the product in consideration of the sales situation when the stock of the product is insufficient.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외부장치로부터 기상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기상정보에 따른 상품의 판매상황 및/또는 재고정보를 더 반영하여 상기 관리스케쥴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박스 관리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management unit,
A smart box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by receiving weather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device and setting the management schedule information by further reflecting the sales status and/or inventory information of the product according to the received weather inform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기상정보로부터 기상요소를 평가하여 기상관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스마트박스에 기상관리정보를 반영하여 관리 우선순위를 매겨 상기 관리스케쥴정보를 설정하되,
관리 우선순위에 따라 관리자가 상기 복수의 스마트박스에 순차적으로 방문할 수 있도록 방문경로를 포함하여 상기 관리스케쥴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박스 관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management unit,
Create weather management information by evaluating weather elements from weather information, set the management schedule information by prioritizing management by reflecting weather management information in the plurality of smart boxes,
A smart box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agement schedule information including a visit route is set so that an administrator can sequentially visit the plurality of smart boxes according to a management priorit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이상정보로부터 상기 스마트박스의 이상요소에 따른 예상수리시간을 평가하여 이상관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스마트박스에 이상관리정보를 반영하여 관리 우선순위를 매겨 상기 관리스케쥴정보를 설정하되,
관리 우선순위에 따라 관리자가 상기 복수의 스마트박스에 순차적으로 방문할 수 있도록 방문경로를 포함하여 상기 관리스케쥴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박스 관리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management unit,
Evaluate the expected repair time according to the abnormal element of the smart box from the abnormal information, generate abnormal management information, and set the management schedule information by prioritizing management by reflecting the abnormal management information on the plurality of smart boxes,
A smart box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agement schedule information including a visit route is set so that an administrator can sequentially visit the plurality of smart boxes according to a management priorit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스마트박스가 배치된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상기 건축물과 관련하여 화재발생구역 및/또는 화재확산구역을 구분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경고를 송출하고, 화재대피경로 및/또는 화재진압경로를 산출하고, 상기 화재대피경로 및/또는 화재진압경로를 상기 고객 단말기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박스 관리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management unit,
When a fire occurs in a building in which the smart box is placed, a fire-generating area and/or a fire-spreading area is classified in relation to the building, and a warning is sent to the customer terminal and the manager terminal, and a fire escape route and/or fire Smart box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alculating the suppression route, and providing the fire evacuation route and / or the fire suppression route to the customer terminal and the manager terminal.

KR1020200038839A 2020-03-31 2020-03-31 Smart box management system Active KR1021385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839A KR102138560B1 (en) 2020-03-31 2020-03-31 Smart box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839A KR102138560B1 (en) 2020-03-31 2020-03-31 Smart box managemen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8560B1 true KR102138560B1 (en) 2020-07-28

Family

ID=71831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839A Active KR102138560B1 (en) 2020-03-31 2020-03-31 Smart box manage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56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91715A (en) * 2021-05-12 2021-07-30 四川大学华西医院 Biological sample library sharing management system and use method thereof
KR102339849B1 (en) * 2020-12-29 2021-12-16 (주)익산하이테크 Box that can display characters using an applic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3083A (en) * 2015-09-16 2017-03-24 주식회사 아스티엄 Smart vending machine apparatus and man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001806B1 (en) * 2019-02-21 2019-07-18 이한승 Smart vending machine with product selection after opening do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3083A (en) * 2015-09-16 2017-03-24 주식회사 아스티엄 Smart vending machine apparatus and man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001806B1 (en) * 2019-02-21 2019-07-18 이한승 Smart vending machine with product selection after opening do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849B1 (en) * 2020-12-29 2021-12-16 (주)익산하이테크 Box that can display characters using an applic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CN113191715A (en) * 2021-05-12 2021-07-30 四川大学华西医院 Biological sample library sharing management system and use method thereof
CN113191715B (en) * 2021-05-12 2024-02-27 四川大学华西医院 Biological sample library sharing management system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792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contents of vending systems
KR102001806B1 (en) Smart vending machine with product selection after opening door
CN105324714B (en) Computer controlled, unattended, automated checkout retail store
AU2019390319B2 (en) Modular vending machines
KR102273794B1 (en) Warning output system of un-manned selling apparatus
CN110298965A (en) A kind of intelligent selling cabinet system and method based on dynamic computer check visual identity
US10176469B2 (en) Interactive jewelry vending machine
KR102138560B1 (en) Smart box management system
EP3761278B1 (en) Self-service vending device and vending method thereof, and self-service vending system
KR100882580B1 (en) Vending machine capable of remote management and its remote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JPH041392B2 (en)
CN106127564A (en) A kind of article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06663251A (en) Computer controlled unattended automated checkout store point of sale and related methods
CN103577954A (en) Cold chain distribution self-service system
KR102065306B1 (en) Vending machine for chilled and frozen goods
CN203552300U (en) Cold chain distribution self-service system
CA2966175A1 (en) Improved delivery system and method
GB2549127A (en) A vending apparatus
US20190316835A1 (en)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and refrigerator
KR102462176B1 (en) Smart vending system
US6643626B1 (en) Sales point business method and apparatus
KR102228554B1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for self-takeout of food based on machine-learning
FR2964217A1 (en) Display case for displaying e.g. food products, has unit for protecting display case from propagation of waves through doors so as to prevent communication between reader and chip of one product located at exterior of enclosure
JP7375352B2 (en) key management system
KR102477656B1 (en) A unmanned store system that is installed vending machine of wall-embed type and is possible delivery and automatic sa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7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