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38076B1 -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 - Google Patents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8076B1
KR102138076B1 KR1020190140691A KR20190140691A KR102138076B1 KR 102138076 B1 KR102138076 B1 KR 102138076B1 KR 1020190140691 A KR1020190140691 A KR 1020190140691A KR 20190140691 A KR20190140691 A KR 20190140691A KR 102138076 B1 KR102138076 B1 KR 102138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steel wire
present
outlet
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엽
류한별
Original Assignee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filed Critical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190140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0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076B1/ko
Priority to PCT/KR2020/012403 priority patent/WO2021091072A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61Apparatus for manipulating flexible wires or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2Needle or suture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6Instruments for performing osteoclasi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17/1796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for holes for sutures or flexibl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42Flexible wires, bands or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46Nails or pins, i.e. anchors without movable parts, holding by friction only, with or without structured surface
    • A61B17/848Kirschner wires, i.e. thin, long n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97Guide wires or guide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2017/06052Needle-suture combinations in which a suture is extending inside a hollow tubular needle, e.g.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61B2017/061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hollow or tubula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eur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은 드릴을 이용하여 형성한 관통구멍을 통과시키기에 어려움이 있는 봉합사를 상기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의 몸체 내부를 통해 골편을 관통시킨 후 상기 K-강선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봉합사를 손쉽게 골편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봉합사를 이용한 골절치료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 {K-wire for Suture Guide}
본 발명은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에 관한 것이다.
뼈 골절을 치료하는 데 있어서 보존적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게 된다. 골절에 대한 수술적 치료는 금속판을 이용한 고정술, 나사못 고정술, 핀 고정술, 골수강내 고정술 등이 있다. 상기 골절에 대한 수술시 분쇄 골절이 있어, 골절편이 작은 경우 봉합사(suture)를 이용하여 골편 주위를 더 고정하기도 한다. 이 경우 골편을 뚫을 수 없는 봉합사의 특성상 드릴을 이용하여 골편에 구멍을 내고 상기 구멍으로 봉합사를 통과시켜 수술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상기 봉합사는 직경이 0.5 내지 0.6㎝인 얇은 수술용 실로서 바늘을 이용하여, 직접 뼈에 구멍을 뚫기에는 실에 딸린 바늘의 강도가 약하며, 드릴로 뚫어 뼈에 형성한 구멍으로 통과 시킬 때는 뼈를 더 부서지게 하거나, 수술 작업이 번거로워 지고 까다로워지는 단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특허문헌 및 참고문헌은 각각의 문헌이 참조에 의해 개별적이고 명확하게 특정된 것과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된다.
한국공개특허 10-2014-0037120 한국공개특허 10-2008-0089664 한국공개특허 10-2013-0042753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골편 통과가 용이한 K-강선의 몸체 내부에 봉합사를 가이드 할 수 있는 중공의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봉합사를 중공의 통로를 이용해 골편을 통과시킨 후 상기 K-강선을 제거함으로서 봉합사의 골편 관통을 용이하게 하는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을 제공하여 봉합사를 이용한 골절치료를 효율적으로 수행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의 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된다.
본 발명은 일정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봉합사가 통과하는 통로가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앞쪽에 나사부가 구비된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을 제공한다.
상기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은 몸체 내부에 봉합사가 관통하는 중공의 통로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 전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양쪽 끝부분에는 봉합사가 들어가고 빠져나오는 입구와 출구가 상기 중공의 통로와 이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구에는 봉합사의 한쪽 끝부분이 결합되고 상기 출구에 끼워지는 홀 캡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출구는 상기 몸체의 종단면 전체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나사부가 상기 출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입구에는 상기 입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봉합사를 감아 보관할 수 있는 기둥이 구비된 봉합사 보관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봉합사의 양쪽 끝부분은 상기 나사부와 상기 봉합사 보관부에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은 드릴을 이용하여 형성한 관통구멍을 통과시키기에 어려움이 있는 봉합사를 상기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의 몸체 내부를 통해 골편을 관통시킨 후 상기 K-강선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봉합사를 손쉽게 골편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봉합사를 이용한 골절치료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출구에 홀 캡이 더 구비된 본 발명의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을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나사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봉합사보관부가 더 구비되고 나사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된 본 발명의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을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을 이용하여 봉합사를 골편에 관통하여 위치시키는 동작 상태를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을 이용하여 봉합사를 골편에 관통하여 위치시키는 동작 상태를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을 이용하여 봉합사를 골편에 관통하여 위치시키는 동작 상태를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을 이용하여 봉합사를 골편에 관통하여 위치시키는 동작 상태를 보여준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5를 통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 및 동작상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 사시도 및 단면도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을 이용하여 봉합사를 골편에 관통하여 위치시키는 동작 상태를 보여준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은 나사선(110)이 형성된 나사부(100), 나사부(100)에 연결하여 형성된 몸체(200), 상기 몸체(200)를 관통하여 봉합사(400)를 가이드하는 중공으로 형성된 통로(310, 이하 중공 통로), 상기 중공 통로(310)에 연결되어 구성된 출구(311)와 입구(3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나사부(100)는 몸체(200)의 일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일단으로부터 직경이 증가하는 원추 형상일 수 있으며 외주면에는 나사선(1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나사부(100)는 골편(700)을 용이하게 뚫을 수 있는 강도를 가져 드릴(600)에 물려 회전하면 골편(700)을 용이하게 뚫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은 골편(700)을 관통하여 봉합사를 가이드하기 위한 목적이므로 상기 나사부(100)가 골편(700)을 뚫는 동안 일정한 저항을 형성하여 골편의 내부로 파고 들어가기에 용이한 정도의 높이와 피치를 가진 나사선(110)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몸체(200)는 상기 나사부(100)의 직경이 가장 큰 말단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몸체(200)는 나사부(100)의 가장 큰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그 표면은 매끈하게 처리되어 골편(700) 관통 시 불필요한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200)는 일정한 강도를 가져 드릴(600)의 회전력을 나사부(100)에 전달하게 되며 이로 인해 골편(700)이 뚫리게 된다. 다만 상기 몸체(200)는 일정한 힘에 의해 구부러질 수 있도록 다소 유연성을 가져 골편(700)을 관통하는 과정에서 그 경로를 변경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중공 통로(310)는 상기 몸체(200)의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중공 통로(310)는 몸체(200)의 중심부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중공 통로(310)와 연결되어 몸체(200) 단면의 중심부를 통해 외부로 통하도록 형성된 입구(312) 및 상기 중공 통로(310)의 나사부(100) 방향 부분에 몸체(200) 외측으로 통하도록 형성된 출구(311)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은 골편을 통과하여 봉합사(400)를 가이드 한다. 상기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이 골편(700)을 관통하여 내부에서 위치하게 되면 봉합사(400)가 관통한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의 중공 통로(310)의 입구(312)를 통해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중공 통로(310)를 통과하여 출구(311)를 통해 몸체(20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일반적으로 골절수술에 시용되는 봉합사(400)는 실크, 나이론, 크로믹, 또는 합성사 재질의 직경이 0.5 내지 0.6㎝인 수술용 실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중공 통로(300)는 봉합사(400)가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을 가지면 충분하다. 바람직하게는 중공 통로(300)의 직경은 0.7 내지 0.8㎝ 정도로 봉합사(400)가 충분히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200)의 직경 또한 드릴(600)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강도를 고려하여 중공 통로(300) 직경의 2 내지 3배인 1.4 내지 2.4㎝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 통로(300)의 내부는 매끄럽게 형성되어 봉합사(400)가 손쉽게 통과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쉽게 구부러지는 봉합사의 특성상 중공 통로(300)를 통과하기 어려워 봉합사(400)를 가이드하기 어렵다.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을 이용하여 봉합사(400)를 골편(700)에 관통하여 위치시키는 동작 상태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을 중공 통로의 입구(311)방향으로 드릴(600)에 물리고 골편(700)의 수술부위에 상기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을 관통시킨다. 상기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이 골편(700)을 관통하여 중공통로의 출구(311)가 반대편을 드러나게 되면 상기 드릴(600)을 해체하고 출구(311)부분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중공통로의 입구(312)를 통해 봉합사(400)를 중공 통로(300)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상기 봉합사(400)를 밀어 출구(311)방향으로 탈출시킨 후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을 봉합사(400)를 따라 중공 통로 입구(311)의 반대방향으로 뽑아내어 제거한 후 봉합사(400)를 이용한 수술을 시행한다.
도 2 및 6을 통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 및 동작상태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출구에 홀 캡(313)이 더 구비된 본 발명의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을 이용하여 봉합사를 골편(700)에 관통하여 위치시키는 동작 상태를 보여준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면서 중공 통로(310)의 출구(312)에 봉합사(400)와 결합된 홀 캡(313)이 더 구비되고 상기 중공 통로(310) 내부에 봉합사가 위치된 상태로 골편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 캡(313)은 중공 통로(310) 내부에 위치한 봉합사(400)의 일단과 연결되고, 출구(312)에 결합되어 뚜껑의 역할을 하므로 봉합사(400)가 출구(312)를 통해 K-강선의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나사부(100)가 회전하여 골편(700)을 관통할 때 봉합사가 외부도 드러나지 않아 저항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봉합사(400)의 다른 일단은 중공 통로(310)의 입구(31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되고 K-강선이 드릴에 물릴 때 함께 물리게 된다.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을 이용하여 봉합사(400)를 골편(700)에 관통하여 위치시키는 동작 상태를 보여준다.
먼저 본 발명의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을 중공 통로의 입구(311)방향으로 드릴(600)에 물리고 골편(700)의 수술부위에 상기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을 관통시킨다. 이때 중공 통로(310)의 내부에는 봉합사(400)가 위치되어 있고, 출구(311)방향의 일단은 홀 캡(313)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며 다른 일단은 입구(312) 방향으로 드러나 있는 상태이다.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의 입구(312)에 드릴(600)을 물리게 되면 상기 봉합사(400)가 드러나게 되는데 이때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이 회전하여 뼈를 관통하게 되면 봉합사(400)가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의 몸체(200)에 감기게 된다. 그러나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이 뼈를 관통한 후 드릴을 제거하게 되면 감겼던 봉합사(400)가 쉽게 풀리게 되므로 봉합사(400)가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의 중공 통로(310)를 통하여 가이드 되는데 전혀 문제가 없다.
상기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이 골편(700)을 관통하여 중공통로의 출구(311)가 반대편을 드러나게 되면 상기 드릴(600)을 해체하고 홀 캡(313)을 출구(311)로부터 분리시켜 봉합사(400)를 출구(311)방향으로 뽑아낸다. 그 후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을 봉합사(400)를 따라 중공 통로 입구(311)의 반대방향으로 뽑아내어 제거한 후 봉합사(400)를 이용한 수술을 시행한다.
도 3 및 7을 통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 및 동작상태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나사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을 이용하여 봉합사(400)를 골편(700)에 관통하여 위치시키는 동작 상태를 보여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의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은 제1실시예의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되 나사부(100)가 몸체(200)로부터 분리가능 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나사부(100)는 몸체(200)에 형성된 출구(311)에 삽입되어 결합되되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골편(700) 관통이 가능하며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이 골편(700)을 통과하게 되면 상기 나사부(100)가 분리되어 출구(311)가 드러나게 된다.
도 6은 제3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을 이용하여 봉합사(400)를 골편(700)에 관통하여 위치시키는 동작 상태를 보여준다.
제3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을 이용한 봉합사(400) 가이드 동작상태는 상기 제1실시예의 동작상태와 동일하되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이 골편(700)을 관통한 후 나사부(100)를 분리하여 제거하고 봉합사(400)를 중공 통로 입구(312)를 통해 삽입하는 과정이 더 추가된다.
도 4 및 8을 통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 및 동작상태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봉합사보관부가 더 구비되고 나사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된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을 이용하여 봉합사(400)를 골편(700)에 관통하여 위치시키는 동작 상태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은 기본적으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면서 제3실시예와 유사하게 몸체(200)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 나사부(100)가 중공 통로(310)의 출구(311)에 회전하지 않도록 결합되며 중공 통로(310)의 입구(312)에 봉합사 보관부(500)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은 나사부(100)와 봉합사(400)가 연결되므로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봉합사가 중공 통로(31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은 제2실시예와 달리 봉합사(400)가 K-강선의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특징이 있다.
상기 봉합사(400)는 봉합사보관부(500)와 연결된 상태로 봉합사 보관 기둥(510)에 감겨 보관되고 상기 봉합사보관부(510)는 중공 통로의 입구(312)로 회전되지 않도록 삽입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봉합사(400)는 K-강선의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된다.
상기 봉합사 보관 기둥(510)은 중공 통로의 직경과 봉합사의 직경을 고려하여 형성도리 수 있으며 봉합사(400)가 봉합사 보관 기둥(510)을 중심으로 촘촘하게 감겨 좁은 면적에 긴 길이의 봉합사가 수납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제4실시예의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은 봉합사(400)가 드러나 있지 않기 때문에 드릴(600)에 물려 회전하더라도 몸체(200)에 감지지 않아 드릴(600) 제거 후 감긴 봉합사(400)를 풀어야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도 8은 제4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을 이용하여 봉합사(400)를 골편(700)에 관통하여 위치시키는 동작 상태를 보여준다.
제4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을 이용한 봉합사(400) 가이드 동작상태는 상기 제2실시예의 동작상태와 유사하되,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이 골편(700)을 관통한 후 나사부(100)와 봉합사 보관부(500)를 분리하는 과정, 봉합사(400)를 출구(311)방향으로 뽑는 과정, 몸체(200)를 골편(700)으로부터 제거하고 봉합사(400)와 나사부(100) 및 봉합사보관부(500)의 연결을 해제하는 과정이 더 추가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 또는 예시를 대표하는 의미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변형과 다른 용도가 본 명세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100: 나사부 110:나사선
200: 몸체 310: 중공의 통로
311: 출구 312: 입구
313: 홀 캡 400: 봉합사
500: 봉합사 보관부 510: 봉합사 보관 기둥
600: 수술용 드릴 700: 골편
710: 골편 관통홀

Claims (5)

  1. 일정 길이를 갖는 몸체(200)와 상기 몸체(200)의 앞쪽에 나사부(100)가 구비된 K-강선에 있어서,
    상기 몸체(200)의 내부에는 봉합사(400)가 관통하는 중공(310)의 통로가 상기 몸체(200)의 길이 방향 전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200)의 양쪽 끝부분에는 상기 봉합사(400)가 들어가고 빠져나오는 입구(312)와 출구(311)가 상기 중공의 통로와 이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출구(311)에는 상기 봉합사(400)의 한쪽 끝부분이 결합되고 상기 출구(311)에 끼워지는 홀 캡(313)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구(311)는 상기 몸체(200)의 종단면 전체로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부(100)는 상기 출구(3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체(200)의 입구(312)에는 상기 입구(31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봉합사 보관부(5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봉합사(400)의 양쪽 끝부분은 상기 나사부(100)와 상기 봉합사 보관부(500)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보관부(500)에는 상기 봉합사(400)를 감아 보관하는 봉합사 보관 기둥(51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
KR1020190140691A 2019-11-06 2019-11-06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 Expired - Fee Related KR102138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691A KR102138076B1 (ko) 2019-11-06 2019-11-06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
PCT/KR2020/012403 WO2021091072A1 (ko) 2019-11-06 2020-09-15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691A KR102138076B1 (ko) 2019-11-06 2019-11-06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8076B1 true KR102138076B1 (ko) 2020-07-27

Family

ID=71893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691A Expired - Fee Related KR102138076B1 (ko) 2019-11-06 2019-11-06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38076B1 (ko)
WO (1) WO20210910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1072A1 (ko) * 2019-11-06 2021-05-14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9664A (ko) 2000-10-25 2008-10-07 메드트로닉 스파인 엘엘씨 골절 회복용 캐뉼러를 사용하여 골절된 골을 회복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201524129U (zh) * 2009-11-10 2010-07-14 张纯朴 骨科导线针
CN202044311U (zh) * 2011-04-06 2011-11-23 王君 组合式骨锥
KR20130042753A (ko) 2011-10-19 2013-04-29 김상수 골절 치료용 k-강선
US20130218176A1 (en) * 2008-12-16 2013-08-22 Arthrex, Inc. Suture passing k-wire
KR20140037120A (ko) 2011-05-17 2014-03-26 신세스 게엠바하 대퇴골 경부 골절을 위한 삽통식 스크루
US20150327975A1 (en) * 2011-12-29 2015-11-19 Rotation Medical, Inc. Guidewire having a distal fixation member for delivering and positioning sheet-like materials in surger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3457A (ja) * 2003-03-24 2004-10-14 Kazumasa Itokazu 骨縫合を目的とした孔付き鋼線の抹消部を細くし、かつ、用手的に切断するための全周性に「切れ込み」をもった骨縫合用鋼線。
KR102138076B1 (ko) * 2019-11-06 2020-07-27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9664A (ko) 2000-10-25 2008-10-07 메드트로닉 스파인 엘엘씨 골절 회복용 캐뉼러를 사용하여 골절된 골을 회복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30218176A1 (en) * 2008-12-16 2013-08-22 Arthrex, Inc. Suture passing k-wire
CN201524129U (zh) * 2009-11-10 2010-07-14 张纯朴 骨科导线针
CN202044311U (zh) * 2011-04-06 2011-11-23 王君 组合式骨锥
KR20140037120A (ko) 2011-05-17 2014-03-26 신세스 게엠바하 대퇴골 경부 골절을 위한 삽통식 스크루
KR20130042753A (ko) 2011-10-19 2013-04-29 김상수 골절 치료용 k-강선
US20150327975A1 (en) * 2011-12-29 2015-11-19 Rotation Medical, Inc. Guidewire having a distal fixation member for delivering and positioning sheet-like materials in surger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1072A1 (ko) * 2019-11-06 2021-05-14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91072A1 (ko) 2021-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3369B2 (en) Graft fixation using a plug against suture
US77714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uture in a passageway
CA2197830C (en) Suture anchor and driver
US20140243892A1 (en) Knotless swivel anchor with anchor body advanced over anchor tip
US11638580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suturing a cardiac implant
US20070219586A1 (en) Suture Needle and Suture Assembly
US20080051833A1 (en) Suture passer and method of passing suture material
US9314238B2 (en) T-type suture anchor
CN108567457A (zh) 用于非打结型缝合锚固的方法和装置
KR102138076B1 (ko)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
KR102074191B1 (ko) 골수내 고정못을 위한 봉합재 원위 로킹
KR101671865B1 (ko) 리프팅 천자침
KR101626083B1 (ko) 수술용 앵커
EP2767241A1 (en) Knotless swivel anchor with anchor body advanced over anchor tip
CN216876462U (zh) 一种闭合跟腱断裂的微创治疗辅助装置
CA2605288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rgical repair
WO1997037594A1 (en) Laparascopic suturing device and suture needles
WO1997037594A9 (en) Laparascopic suturing device and suture needles
EP0900546A1 (en) Needle-catheter assembly for medical or veterinarian use
KR101973845B1 (ko) 매선 시술용 기구 및 이의 사용 방법
EP1487361A1 (de) Einrichtung zur stabilisierung eines bruches eines röhrenknoch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7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