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37404B1 - Solenoid valve with function of variable force for high pressure - Google Patents

Solenoid valve with function of variable force for high press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404B1
KR102137404B1 KR1020190059539A KR20190059539A KR102137404B1 KR 102137404 B1 KR102137404 B1 KR 102137404B1 KR 1020190059539 A KR1020190059539 A KR 1020190059539A KR 20190059539 A KR20190059539 A KR 20190059539A KR 102137404 B1 KR102137404 B1 KR 102137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lunger
pilot valve
seal
high press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5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한술
Original Assignee
(주)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솔텍 filed Critical (주)솔텍
Priority to KR1020190059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40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40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75Electromagnet aspects, e.g. electric supply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H01F7/1607Armatures entering the wi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olenoid valve with a high-pressure proportional control function comprises: a bobbin on which a coil for generating a magnetic field when applying power is wound; a yoke coupled to one end of the bobbin to induce a magnetic field; a cor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enter of the bobbin to make up a magnetic circuit; a nonmagnetic guide pin of a prescribed diameter extended and inserted downwards into the center of the core; a plunger provided with a guide hole of a prescribed diameter formed therein and inserted while the guide hole enclos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pin to guide a vertical movement by the guide pin towards the magnified core when power is applied; a main valve spring arranged around the guide pin in the core to push and elastically support the plunger in a direction of closing a flow path; a valve guide arranged on a lower portion of the core of the bobbin while enclos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nger to make up a magnetic circuit; a tube enclos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valve guide and the lower end of the core to maintain airtightness; a valve bod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valve guide to form the appearance of the lower end of the entire valve; a main valve seal installed on the lower end of the plunger in the valve body to selectively open a flow path in accordance with a vertical movement of the plunger; a valve seat arranged on a lower portion of the main valve seal in the valve body to selectively open a flow path in accordance with an ascent of the main valve seal while an orifice formed on the upper end thereof is pressed in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valve seal; and a pilot valve structure arranged above the main valve seal in the plunger to selectively open a flow path prior to the main valve seal to discharge a high-pressure fluid of a flow path to relieve a high-pressure atmosphere.

Description

고압 비례제어기능을 구비한 솔레노이드 밸브 {Solenoid valve with function of variable force for high pressure}Solenoid valve with function of variable force for high pressure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소와 같은 고압 기체를 작은 전자력으로 온오프(On-Off) 제어 혹은 비례제어에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파일럿 밸브(Pilot valve)가 내장된 고압 비례제어기능을 구비한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enoid valve, and more specifically, a high-pressure proportional control with a pilot valve (Pilot valve) built-in so that a high-pressure gas such as hydrogen can be used for both on-off control or proportional control with a small electromagnetic force. It relates to a solenoid valve having a function.

일반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는 자동차의 엔진을 포함하는 파워트레인(power train)에 설치되어 연료, 오일 등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거나 압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연료계통에서는 연료의 공급 및 분사를 제어하고, 냉각계통에서는 윤활 및 냉각을 위한 유체의 순환을 제어하며, 동력전달계통에서는 압력을 제어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한다.In general, a solenoid valve is installed on a power train that includes an engine of an automobile, and serves to control the flow or control the flow of fluid such as fuel and oil. For example, the fuel system controls the supply and injection of fuel, the cooling system controls the circulation of fluid for lubrication and cooling, and the power transmission system controls pressure, and so on.

종래 수소 등 고압 유체를 제어하기 위한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제트펌프와 수소탱크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 상에 제트펌프의 노즐 입구압력을 변화시키는 동시에 수소 공급 유량을 조절하도록 제트펌프의 입구 측에 장착되며,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공급된 유체의 이송을 위한 유로가 형성된 밸브바디와, 솔레노이드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플런저와, 플런저의 하단에 마련되어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밸브체와, 유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플런저를 가압하는 스프링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Conventional proportional control solenoid valves for controlling high pressure fluids, such as hydrogen, change the nozzle inlet pressure of the jet pump on the flow path connecting the jet pump of the fuel cell system and the hydrogen tank, and at the same time control the hydrogen supply flow rate. It is mounted on the inlet side, and generally a valve body is formed with a flow path for the transfer of fluid supplied from the outside, a plunger rising or falling by a solenoid, a valve body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plunger to open or close the flow path, and a flow path It comprises a spring or the like to press the plunger in the direction of closing.

이러한 종래 수소 등의 유체 공급유로 상에 설치되는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한가지 예가 한국등록특허 제1930466호(이하, ‘선행문헌’이라 함)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One example of such a conventional proportional control solenoid valve installed on a fluid supply flow path such as hydrogen is disclosed in detail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930466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literature”).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선행문헌에 개시된 종래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원 인가 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이 감긴 보빈(120), 상기 보빈의 일단에 결합되어 자기장을 유도하는 요크(150), 상기 보빈의 타단에 결합되어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는 코어(140), 상기 요크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원 인가시 자화된 상기 코어 측으로 이동하는 플런저(160), 상기 유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플런저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190), 상기 플런저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유로를 밀봉하는 밸브체(170, 180), 상기 보빈과 상기 코어 사이에 고정되고 상기 요크를 거쳐 외측으로 연장된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밸브체의 둘레를 감싸며 일단이 내측으로 굴절되어 상기 플런저(160)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Figure 1, the conventional proportional control solenoid valve disclosed in the prior document is a bobbin 120 coiled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when power is applied, the yoke 150 coupled to one end of the bobbin to induce a magnetic field, The core 140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obbin and magnetized by a magnetic field, a plunger 160 movably installed inside the yoke and moving toward the magnetized core when power is applied,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flow path A spring 190 elastically supporting the plunger, a valve body 170 and 180 installed at one end of the plunger to seal the flow path, a guide fixed between the bobbin and the core and extending outward through the yoke,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guide cover that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guide, surrounds the periphery of the valve body, and one end is refracted inward to prevent the plunger 160 from coming off.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종래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는, 플런저의 외주면이 가이드 및 가이드커버를 통해 수직 왕복운동을 지지하면서 플런저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일정기간 마찰이 지속된 경우 약간이라도 편심이 발생되게 되면 밸브체의 기밀성이 급격히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roportional control solenoid valv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nger supports the vertical reciprocating motion through the guide and the guide cover and prevents the plunger from coming off, eccentricity occurs even if the friction is continu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f there is, there is a fear that the airtightness of the valve body is rapidly reduced.

또한 종래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는 단일의 스프링력 만을 이용하여 밸브체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밸브가 닫혔을 때 온도 변화등 외부 환경 변화에 따른 수소 원압의 압력 변화시 기밀성이 취약할 우려가 있으며, 기본적으로 원압의 작용방향이 밸브가 열리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밀유지에 더 큰 스프링력이 필요하게 되고, 이에 상기 더 큰 스프링력을 이기고 밸브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더 큰 솔레노이드가 필요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전체 밸브의 크기가 과도하게 커지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proportional control solenoid valve maintains the closed state of the valve body using only a single spring force, there is a concern that airtightness may be weak when the pressure of hydrogen pressure changes due to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temperature changes when the valve is closed. Basically, since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original pressure is act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alve is opened, a larger spring force is required to maintain airtightness, and thus a larger solenoid is needed to overcome the greater spring force and drive the valve.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the size of the entire valve was excessively large.

이에 따라 최근 수소 자동차의 개발 노력에 부응하여 수소 등 고압 유체의 순환계통에 적용하기 위해 작은 사이즈의 컴팩트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작은 전자력(electric magnetic force)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신뢰성있는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발 요구가 여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Accordingly, in response to the recent development efforts of hydrogen vehicles, reliable proportional control that can operate more stably with a small electric magnetic force while having a compact configuration with a small size to apply to a circulation system of high pressure fluid such as hydrogen. The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solenoid valves is higher than ever.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온오프(On-Off) 제어 혹은 비례제어에 모두 이용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수소 등 고압 유체의 원압(공급압)이 밸브가 닫히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한편, 작은 사이즈의 컴팩트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보다 작은 전자력을 이용하여 수소 등의 고압 유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비례제어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파일럿 밸브 구조가 적용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both on-off control or proportional control, and basically the source pressure (supply pressure) of a high pressure fluid such as hydrogen. This valve acts in the closing direction, while providing a solenoid valve with an efficient pilot valve structure that enables a more stable proportional control of high-pressure fluids such as hydrogen using a smaller size and compact structure while using a smaller electromagnetic force. It is aimed a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원 인가 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이 감긴 보빈; 상기 보빈의 일단에 결합되어 자기 회로를 구성하는 요크; 상기 보빈의 중앙부 상단측에 결합되어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는 코어; 상기 코어의 중앙부에 하방으로 연장 삽입되는 소정 직경의 비자성체 가이드 핀; 내부에 소정 직경의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홀이 가이드 핀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로 끼워져 전원 인가 시 자화된 코어 측으로 상기 가이드 핀에 의해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이 안내되는 플런저; 상기 코어 내부의 가이드 핀 둘레에 구비되어 유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플런저를 밀어 탄성 지지하는 메인 밸브 스프링; 상기 플런저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로 보빈의 코어 하부에 배치되어 자기 회로를 구성하는 밸브 가이드; 상기 코어의 하단부 및 밸브 가이드의 상단부 외주면을 감싸 기밀을 유지하는 튜브; 상기 밸브 가이드의 하단에 결합되어 전체 밸브의 하단부 외관을 형성하는 밸브 바디; 상기 밸브 바디 내의 플런저 하단부에 설치되어 플런저의 수직이동에 따라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메인 밸브 씰; 상기 밸브 바디 내의 메인 밸브 씰 하부에 구비되어 상단부에 형성된 오리피스가 상기 메인 밸브 씰의 저면에 압입된 상태로 메인 밸브 씰의 상승에 따라 선택적으로 유로가 개방되는 밸브 시트; 및 상기 플런저 내부의 메인 밸브 씰 상방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밸브 씰에 앞서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함으로써 유로의 고압 유체를 배출하여 고압분위기를 해소하는 파일럿 밸브 구조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obbin is wound coil for generating a magnetic field when power is applied; A yoke coupled to one end of the bobbin to form a magnetic circuit; A cor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bbin and magnetized by a magnetic field; A non-magnetic guide pin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that extends downwardly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re; A guide hol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is formed inside, and the guide hole is fitted whil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pin, and when the power is applied, a plunger that guides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guide pin toward the magnetized core side; A main valve spring provided around the guide pin inside the core to elastically support the plunger in a direction to close the flow path; A valve guide disposed under the core of the bobbin whil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nger to constitute a magnetic circuit; A tube surrounding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cor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guide to maintain airtightness; A valve bod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valve guide to form a lower end appearance of the entire valve; A main valve seal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plunger in the valve body to selectively open a flow path according to vertical movement of the plunger; A valve seat provided below the main valve seal in the valve body, the orifice formed at the upper end being press-fit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valve seal and selectively opening a flow path according to the rise of the main valve seal; And a pilot valve structure provided above the main valve seal inside the plunger to selectively open the flow path prior to the main valve seal to discharge high pressure fluid in the flow path to resolve the high pressure atmosphere.

또한 상기 파일럿 밸브 구조체는, 플런저 내부에서 가이드 핀의 하방에 구비되어 플런저의 이동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파일럿 밸브 씰; 플런저 내부에서 상기 파일럿 밸브 씰을 감싼 상태로 파일럿 밸브 씰과 함께 수직이동되는 파일럿 밸브 씰 홀더; 플런저 내부에서 상기 파일럿 밸브 씰 홀더의 하단에 삽입된 상태로 상단의 오리피스에 파일럿 밸브 씰의 하단이 선택적으로 압입됨에 따라 유로가 폐쇄되는 파일럿 밸브 바디; 및 플런저 내부에서 상기 파일럿 밸브 씰 홀더와 파일럿 밸브 바디 사이에 구비되어 파일럿 밸브 씰 홀더를 탄성 지지하는 파일럿 밸브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ilot valve structure includes a pilot valve seal provided below the guide pin inside the plunger and vertically mov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lunger; A pilot valve seal holder which is vertically moved together with the pilot valve seal while surrounding the pilot valve seal in a plunger; A pilot valve body in which a flow path is closed as the lower end of the pilot valve seal is selectively pressed into the upper orific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pilot valve seal holder inside the plunger; And a pilot valve spring provided between the pilot valve seal holder and the pilot valve body inside the plunger to elastically support the pilot valve seal holder.

또한 상기 플런저의 가이드 홀 직경(d1)과 밸브 시트의 오리피스 직경(d2)이 일치되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guide hole diameter (d1) of the plunger and the orifice diameter (d2) of the valve seat are configured to match.

또한 상기 밸브 시트의 오리피스 직경(d2)과 파일럿 밸브 바디의 가이드 부 외경(d3)이 일치되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orifice diameter (d2) of the valve seat and the guide part outer diameter (d3) of the pilot valve body are configured to match.

또한 상기 메인 밸브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가 파일럿 밸브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보다 크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pring constant of the main valve spring is formed larger than the spring constant of the pilot valve spring.

또한 상기 파일럿 밸브 씰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몸체를 갖고, 상기 몸체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원형의 요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각 요입홈은 원통형 몸체의 겉면을 따라 요설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체 이동채널에 의해 연결된다.In addition, the pilot valve seal, as a whole, has a cylindrical body, circular indentations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ody, and each indentation groove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r more fluid moving channels concav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Connected by.

또한 상기 플런저의 하단에는 플런저가 상승할 때 파일럿 밸브 바디를 걸림하여 동반 상승하기 위한 파일럿 밸브 스토퍼가 설치되며, 전원 오프 상태(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파일럿 밸브 바디와 파일럿 밸브 스토퍼는 파일럿 밸브 스트로크의 갭만큼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In addition, at the bottom of the plunger, a pilot valve stopper is installed to catch the pilot valve body when the plunger rises and ascend and the pilot valve body and the pilot valve stopper stroke the pilot valve in the power-off state (the valve is closed). I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gap of.

또한 상기 파일럿 씰 홀더의 하단이 파일럿 밸브 바디의 상단부에 접촉 및 지지됨에 따라 파일럿 밸브 씰이 과도한 눌림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파일럿 씰 홀더에 의해 보호된다.Also, as the lower end of the pilot seal holder contacts and is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pilot valve body, the pilot valve seal is protected by the pilot seal holder so as not to be damaged by excessive pressing.

또한 상기 밸브 시트는 밸브 바디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밸브 시트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밸브 시트를 승하강시킴에 따라 플런저의 위치와 메인 밸브 스프링의 작용력이 조정되어 밸브의 비례제어 특성이나 기밀 특성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valve seat is screw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alve body, the position of the plunger and the action force of the main valve spring are adjusted as the valve seat is selectively rotated to raise and lower the valve seat. It is configured to be adjusted.

또한 고압 유체의 공급이 상시 파일럿 밸브 구조체와 메인 밸브 씰이 닫히는 방향으로 작용함에 따라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고압(공급압)과 저압(제어압)의 압력차에 의해 힘이 메인 밸브 씰을 눌러 기밀성이 유지된다.In addition, as the supply of the high pressure fluid always act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ilot valve structure and the main valve seal are closed, the power is applied to the main valve seal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high pressure (supply pressure) and low pressure (control pressure) when power is not applied. Press to maintain confidentiality.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원압이 밸브가 닫히는 방향에서 작용하는 파일럿 방식의 솔레노이드 밸브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수소 등 고압 유체의 제어에 높은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파일럿 밸브를 작은 전자력만으로 작동시켜 고압 유체를 온오프 제어하거나 파일럿 밸브가 열릴 때 플런저 및 파일럿 밸브 바디에 작용하는 압력차에 의한 힘이 평형이 되게 함으로써 유량 또는 압력을 비례제어하는 용도로 모두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maintain high airtightness in the control of high pressure fluid such as hydrogen by adopting a pilot type solenoid valve structure in which the source pressure act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alve is closed, and operate the pilot valve with only a small electromagnetic force to operate the high pressure flui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both for the purpose of proportionally controlling the flow rate or the pressure by making the force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acting on the plunger and the pilot valve body balanced when on/off control or when the pilot valve is opened.

또한 플런저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내부 가이드 핀의 외주면을 통해 유체가 누설되어 파일럿 밸브의 작동부로 유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 플런저의 외주면을 통해 유체가 누설되는 구조 대비, 유체의 누설면적을 크게 축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밸브 작동 시 파일럿 밸브 작동부로 누설되어 유입된 고압을 배출하는 파일럿 밸브의 오리피스 직경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오리피스 직경이 감소되면 솔레노이드 밸브를 초기 구동하기 위한 전자력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 솔레노이드 밸브 대비 솔레노이드의 크기도 대폭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fluid is leaked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guide pin that guides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plunger and flows into the working portion of the pilot valve. have. Accordingly, when the valve is operated, the diameter of the orifice of the pilot valve that leaks into the pilot valve operating part and discharges high pressure can be reduced, so if the diameter of the orifice is reduced, the electromagnetic force for initial driving of the solenoid valve can also be reduced, so that the solenoi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olenoid valve The size of the can also be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종래에는 플런저 가이드 외주면을 초정밀 가공하여 튜브에 가이드되고 그 미세 틈새를 누설 통로로 이용하였으나, 본 발명은 가이드 핀의 외주면을 따라 플런저가 가이드되고 그 미세 틈새를 누설 통로로 이용하기 때문에 종래 대비 제조공정이 매우 간단해 질뿐만 아니라 생산 단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lunger guide was super-precisionly processed to be guided to the tube and its fine clearance was used as a leakage passage. Not only does the process become very simple, it also has the effect of significantly reducing production costs.

도 1은 종래 고압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일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고압 비례제어기능을 구비한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체적인 외관을 보인 입체도
도 3은 도 2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럿 씰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원 오프 상태에서의 작동 상태도(듀티율 0%)
도 7은 본 발명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원 온 상태에서의 작동 상태도(듀티율 100%)
도 8은 본 발명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원 온 직후(온 오프 제어시) 혹은 저듀티 영역(비례제어시)에서 파일럿 밸브만 개방된 작동 상태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high pressure proportional control solenoid valve
Figure 2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solenoid valve having a high-pressure proportional control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Figure 2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of Figure 3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lot se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tate diagram of the operation in the power off state of the solenoid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duty rate 0%)
Figure 7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solenoid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ower-on state (duty rate 100%)
8 is an operating state in which only the pilot valve is opened in the solenoid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immediately after power-on (when on-off control) or in the low-duty region (when in proportional contro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내지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to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herein, but one Or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should not be excluded in advance.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Unless otherwise defined herein,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Should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고압 비례제어기능을 구비한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성 및 작동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look at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olenoid valve having a high-pressure proportional control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s follows.

도 2는 본 발명 고압 비례제어기능을 구비한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체적인 외관을 보인 입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럿 씰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solenoid valve having a high-pressure proportional control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Figure 2,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ure 3, Figure 5 is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pilot se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 솔레노이드 밸브 구성은 먼저 일정길이및 단면 형상을 갖는 봉상의 코어(Core, 540)의 중공부에 상기 코어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비자성체(nonmagnetic) 재질의 가이드 핀(Guide pin, 550)이 삽입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코어(550)는 전류 인가시 자화되어 후술할 하방의 플런저(Plunger, 60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품이다. 2 to 5, the solenoid valv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nmagnetic material guide having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core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rod-shaped core (Core, 54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cross-sectional shape. It has a structure in which a guide pin (550) is inserted. The core 550 is a component that magnetizes when current is applied and serves to move the downward plunger 600 to be described later upward.

또한 상기 코어(540)의 하부에는 밸브 가이드(Valve guide, 560)가 끼워져 결합되는데, 이 때 상기 밸브 가이드(560) 상부에는 다시 튜브(580)가 감싸진 상태로 상기 튜브(580)의 상단이 코어(540)에 용접되고, 상기 튜브(580)의 하단은 밸브 가이드(560)에 용접됨으로써 수소와 같은 유체의 고압에도 견딜 수 있으며, 또한 코어(540) 내부의 높은 기밀성이 유지된다.In addition, a valve guide (Valve guide) 560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re 540. At this time, the top of the tube 580 is wrapped with a tube 580 wrapped around the valve guide 560 again. It is welded to the core 540, and the lower end of the tube 580 is welded to the valve guide 560 to withstand high pressure of a fluid such as hydrogen, and also maintains high airtightness inside the core 540.

한편 상기 코어(540)의 중단부 둘레에는 솔레노이드 코일(Coil, 530)이 권취된 보빈(Bobin, 520)이 끼워져 결합되는데, 상기 보빈(520)의 상면에는 코일(530)에 전류 인가 시 유도된 자속이 흐르는 자기 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원반상의 요크(Yoke, 510)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around the middle portion of the core 540, a solenoid coil (Coil, 530) is wound, and a bobbin (Bobin, 520) is fitted and coupled,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520 is induced when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530 A disk-shaped yoke 510 for constructing a magnetic circuit through which magnetic flux flows is provided.

또한 상기 보빈(520)과 코일(530), 요크(510)의 하부와 둘레에는 전체적으로 자기 회로를 구성하는 자성체의 커버(Cover, 420)가 감싸지고, 상기 커버와 요크 외곽부에는 다시 플라스틱 사출물인 오버몰드(Over mold, 410)가 감싸져 외관을 보호한다. In addition, the bobbin 520, the coil 530, and the lower and circumferential portions of the yoke 510 are covered with covers of magnetic materials constituting a magnetic circuit as a whole, and the outer cover and the outer portion of the yoke are plastic injection materials. Over mold (Over mold, 410) is wrapped to protect the appearance.

또한 상기 코어(540)의 상단에는 반구상의 캡(400)이 탈부착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플라스틱으로 오버몰드된 코일(530) 뭉치를 밸브 가이드(560) 어셈블리에 단단하게 고정한다. In addition, at the upper end of the core 540, the hemispherical cap 400 is detachably screwed to securely fix the bundle of coil 530 overmolded with plastic to the valve guide 560 assembly.

한편 상기 가이드 핀(550)의 하부에는 플런저(600)가 끼워져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이 때 상기 코어(540)의 중공 상단부는 가이드 핀(550)이 끼워질 수 있는 원형의 소구경의 단면적을 갖고, 중공의 중단부는 가이드 핀(550)의 둘레에 메인 밸브 스프링(610)이 끼워질 수 있도록 보다 확장된 중구경의 단면적을 가지며, 상기 메인 밸브 스프링(610)의 하방 중공 하단부는 플런저(6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보다 확장된 대구경의 단면적을 갖는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pin 550 is provided so that the plunger 600 is fitted and can be moved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hollow upper portion of the core 540 is a circular shape where the guide pin 550 can be fitted. It has a small-diameter cross-sectional area, and a hollow middle end has a more-expanded cross-sectional area of a larger diameter so that the main valve spring 610 can be fitted around the guide pin 550, and the lower hollow bottom portion of the main valve spring 610 Has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of the larger diameter so that the plunger 600 can be inserted.

상기 플런저(600)의 하단부는 플런저의 승강시 함께 이동되며 고압 유체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메인 밸브 씰(Main valve seal, 620)이 결합된 파일럿 밸브 바디(Pilot valve body, 720)가 조립된다. The lower end of the plunger 600 is moved together when the plunger is elevated and a pilot valve body 720 is assembled with a main valve seal 6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of the high pressure fluid.

이 때, 상기 플런저(600)는 수직방향을 따라 내부에 특정 직경을 갖는 중공의 가이드 홀(600a)이 관통 형성된 구조로서, 플런저(600) 내부 가이드 홀(600a)에는 가이드 핀(550)이 정밀하게 끼워져 작동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관통된 소구경의 단면적을 갖고, 가이드 홀(600a)의 하단부는 파일럿 밸브 구조체(700, 710, 720, 730, 740)가 전체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중구경의 단면적을 갖는다. At this time, the plunger 600 has a structure in which a hollow guide hole 600a having a specific diameter is formed therethrough along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guide pin 550 is precisely positioned in the guide hole 600a inside the plunger 600. It has a small-diameter cross-sectional area penetrated upward so that it can be fitted and operated, and the lower end of the guide hole 600a has a medium-diameter cross-sectional area so that the pilot valve structures 700, 710, 720, 730, 740 can be inserted as a whole. .

상기 파일럿 밸브 구조체(700, 710, 720, 730, 740)는 상기 플런저(600)의 하단부 중구경 중공 내에 원통형의 파일럿 밸브 씰 홀더(Pilot valve seal holder, 710)가 삽입되고, 상기 파일럿 밸브 씰 홀더(710)의 상단부 중공에는 파일럿 밸브 씰(Pilot valve seal, 700)이 개재되며, 상기 파일럿 밸브 씰 홀더(710) 하단에는 다시 파일럿 밸브 바디(Pilot valve body, 720)의 소정 직경의 상단부가 정밀하게 삽입된 상태로 작동될 수 있도록 서로 지지된다. The pilot valve structure (700, 710, 720, 730, 740) is a cylindrical pilot valve seal holder (Pilot valve seal holder, 71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lower end of the plunger 600, the pilot valve seal holder A pilot valve seal 700 is interposed in the upper hollow portion of the 710, and at the lower end of the pilot valve seal holder 710, the upper end portion of a predetermined diameter of the pilot valve body 720 is precisely They are support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can be operated in the inserted state.

이 때, 상기 파일럿 밸브 씰 홀더(710)와 파일럿 밸브 바디(720) 사이에는 파일럿 밸브 스프링(730)이 개재되는데, 상기 파일럿 밸브 스프링은 파일럿 밸브 씰 홀더(710)와 파일럿 밸브 바디(720)를 서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한다. At this time, a pilot valve spring 730 is interposed between the pilot valve seal holder 710 and the pilot valve body 720, wherein the pilot valve spring includes a pilot valve seal holder 710 and a pilot valve body 720. Elastic support in the direction of pushing each other.

또한 플런저(600)의 하단에는 상기 플런저가 상승할 때 파일럿 밸브 바디(720)를 걸림하여 동반 상승하기 위한 파일럿 밸브 스토퍼(740)가 설치되며, 상기 파일럿 밸브 바디(720)와 파일럿 밸브 스토퍼(740)는 전원이 오프(Off)된 초기 상태에서 파일럿 밸브 스트로크(pilot valve stroke, 도 4 참조)의 갭만큼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In addition, a pilot valve stopper 740 is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plunger 600 to entrain the pilot valve body 720 when the plunger rises, and to ascend upward, and the pilot valve body 720 and the pilot valve stopper 740 ) Maintains a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gap of a pilot valve stroke (see FIG. 4) in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power is turned off.

한편, 파일럿 밸브 바디(720)는 수직방향을 따라 내부에 다단으로 각각 상이한 직경을 갖는 유로(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넓어지는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데, 하단부 유로는 가장 큰 단면적을 갖고 메인 밸브 씰(620)의 내부 유로와 연결되어 있으며, 중단부 유로는 상기 하단부 유로보다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며, 상단부의 유로는 파일럿 밸브 씰(700)과 접촉됨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좁은 유로의 파일럿 밸브 바디 오리피스(721)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pilot valve body 720 is formed with flow paths having a different diameter each in multiple stage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 structure in which a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increases as it goes downward), and the lower end flow path has the largest cross-sectional area and the main valve seal It is connected to the internal flow path of 620, the middle flow path has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lower flow path, the flow path of the upper end of the narrow flow path protruding upward to be opened and closed by contact with the pilot valve seal 700 It consists of a pilot valve body orifice (721).

또한 밸브 가이드(560)의 하단부에는 밸브 바디(500)가 나사 결합됨과 함께 상기 밸브 바디(500)의 중단부 둘레에는 수소 등 고압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급홀(501)이 형성되어 밸브 내부의 유로(502)에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In addition, at the lower end of the valve guide 560, the valve body 500 is screwed, and at least one supply hole 501 is formed to allow high pressure fluid such as hydrogen to flow around the middle of the valve body 500. It has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flow path 502 inside the valve.

또한 상기 메인 밸브 씰(620)의 하단에는 밸브 시트(Valve seat, 570)가 구비되는데, 상기 밸브 시트(570)의 중공 상단부는 메인 밸브 씰(620)의 유로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작은 단면적의 밸브 시트 오리피스(571)가 형성되며, 하단부는 보다 큰 단면적의 배출유로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밸브 시트의 상단 외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 밸브 바디의 하단에 끼워져 나사 결합되며, 예컨대 상기 밸브 시트의 하단면에는 조정공구 삽입홈(570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밸브 어셈블리를 모두 조립한 후 시험작동 시 상기 조정공구 삽입홈(570a)에 공구를 삽입하여 밸브 시트(570)를 일방향으로 조이거나 풀면 플런저의 위치도 상하로 조정되어 결국 밸브의 비례제어 특성이나 기밀 특성을 조정한다.In addition, a valve seat (570)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main valve seal (620). The hollow upper end of the valve seat (570) is a valve having a small cross-sectional area to be selectively connected to a flow path of the main valve seal (620). The seat orifice 571 is formed, and a discharge passage having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is formed at the lower end. At this time, a screw is formed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seat and is screwed into the lower end of the valve body. For example, since the adjusting tool insertion groove 570a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valve seat, all the valve assemblies are assembled. After the test operation, when the tool is inserted into the adjusting tool insertion groove 570a to tighten or loosen the valve seat 570 in one direction, the position of the plunger is also adjusted up and down, which in turn adjusts the proportional control characteristic or airtight characteristic of the valve.

한편 상기 유로를 제외한 밸브 가이드(560)와 밸브 바디(500) 사이, 밸브 시트(570)와 밸브 바디(500) 사이 및 캡 등에는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 다수의 오링들(501, 561)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valve guide 560 and the valve body 500 excluding the flow path, between the valve seat 570 and the valve body 500, and the cap, a plurality of O-rings 501 and 561, respectively, to prevent leakage of fluid. ) Is provided.

도 5를 참조하여 파일럿 밸브 씰(700)의 구성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파일럿 밸브 씰(700)은 원통형의 몸체(701)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상면과 저면에는 원형으로 일정 깊이 함몰된 요입홈(702)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 요입홈(702)은 유체가 흘러 지나갈 수 있도록 복수의 유로 채널(703)이 형성되어 상기 유로 채널이 몸체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각 요입홈(702)에서 서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pilot valve seal 700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 5, the pilot valve seal 700 is provided with a cylindrical body 701,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ody is recessed in a certain depth in a circular shape Each indentation groove 702 is formed, and each indentation groove 702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low channel channels 703 to allow fluid to flow therethrough, so that the inflow grooves 702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ody. Has a structure connected to each other.

이 때, 상기 몸체(701)의 상면과 저면에 형성된 각 요입홈(702)은 서로 동일한 구조와 형상을 갖는데, 상기 저면의 요입홈(702)은 파일럿 밸브 바디(720)의 상단 오리피스(721)가 선택적으로 접촉함으로써 파일럿 밸브의 유로를 개폐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indentation grooves 702 formed o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body 701 have the same structure and shape, and the indentation grooves 702 on the bottom surface are upper orifices 721 of the pilot valve body 720. By selectively contacting, it functions to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of the pilot valve.

이하 첨부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관계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solenoid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먼저 본 발명 솔레노이드 밸브는 수소 등 고압 유체의 압력이 밸브가 닫히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시 닫힘형 타입(Normal Close Type)의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예컨대, 12V 혹은 24V 직류 전원이나 정해진 주파수의 구형파 듀티(Duty) 제어신호와 같은 비례제어 신호에 의해 밸브를 온오프(On-Off) 혹은 비례제어기능으로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할 수 있으며, 이 때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자기 회로 상의 코일(530)과 코어(540)로부터 플런저(60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자력(electric magnetic force)이 유도됨은 이해 가능하다.First, the solenoid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rmally closed type solenoid valve in which the pressure of a high pressure fluid such as hydrogen act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valve is closed, for example, a 12V or 24V DC power supply or a square wave duty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The solenoid valve may be driven by an on-off or proportional control function by a proportional control signal such as a control signal.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coil 530 and the core 540 on the magnetic circuit It is understandable that the electric magnetic force for moving the plunger 600 upward is derived from.

도 6은 본 발명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의 작동 상태도이다.Figure 6 is a state diagram of the operation in the power off state solenoid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여 먼저 본 발명 솔레노이드 밸브가 폐쇄(솔레노이드 밸브가 닫힌 상태)된 상태를 살펴보면, 이 때 온 오프 제어인 경우 코일(530)에 인가되는 전압이 없거나, 비례제어 인 경우 비례제어 신호의 듀티율이 0%(Duty Rate 0%)로, 코어(540)와 플런저(600)에 어떠한 전자력도 발생하지 않은 상태이다. Referring to Figure 6 first look at th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enoid valve is closed (solenoid valve is closed), the voltage applied to the coil 530 in the case of on-off control at this time, or in the case of proportional control of the proportional control signal The duty rate is 0% (Duty Rate 0%), and there is no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in the core 540 and the plunger 600.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는 코어(540)와 플런저(600) 사이에 구비된 메인 밸브 스프링(610)의 반발력만이 존재하므로 상기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가이드 핀(550)에 안내된 플런저(600)가 밸브 시트(570) 쪽으로 눌려 전진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플런저(600) 하단에 압입되어 있는 파일럿 밸브 씰 홀더(710)의 하단면이 이와 접촉된 파일럿 밸브 바디(720)의 중단면을 누르게 된다. 이어서, 상기 파일럿 밸브 바디(72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메인 밸브 씰(620)이 밸브 시트(570)의 오리피스(571) 상면을 눌러 폐쇄함으로써 결국 메인 밸브의 유로가 완전히 차단된 상태가 된다.Therefore, since the repulsive force of the main valve spring 610 provided between the core 540 and the plunger 600 is present in the power-off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plunger guided to the guide pin 550 by the repelling force of the spring (600) is pushed forward toward the valve seat 570, and thus the bottom surface of the pilot valve seal holder 710 pressed into the bottom of the plunger 600 touches the middle surface of the pilot valve body 720 in contact with it. Will be pressed. Subsequently, the main valve seal 620 couple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pilot valve body 720 presses and closes the upper surface of the orifice 571 of the valve seat 570, whereby the flow path of the main valve is completely blocked.

이 때, 플런저(600)에는 상기 메인 밸브 스프링(610)의 반발력뿐만 아니라, 밸브 시트(570)의 상단 오리피스(571)를 기준으로 상방의 고압부(공급압)와 하방의 저압부(제어압) 간의 압력 차에 의한 힘(즉, 밸브 시트(570)의 상단 오리피스 단면적에 작용하는 고압과 저압의 압력 차에 의한 힘)도 상기 메인 밸브 스프링(610)의 반발력에 더해 하방으로 함께 작용함으로써 상기 두 힘의 합력이 동시에 메인 밸브 씰(620)을 하방으로 누름으로써 메인 밸브의 유로를 견고하게 폐쇄하는 상태가 된다.At this time, the plunger 600 has not only the repulsive force of the main valve spring 610, but also the upper high pressure part (supply pressure) and the lower low pressure part (control pressure) based on the upper orifice 571 of the valve seat 570. The force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liver (ie, the force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high pressure and the low pressure acting o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upper orifice of the valve seat 570) is added to the repulsive force of the main valve spring 610 to act together downward. At the same time, the combined force of the force presses the main valve seal 620 downward, and the flow passage of the main valve is firmly closed.

이 때, 상기 메인 밸브 스프링(610)의 압축력은 파일럿 밸브 스프링(730)의 압축력보다 크기 때문에 파일럿 밸브 스프링(730)이 압축되면 이에 따라 파일럿 밸브 씰(700)도 파일럿 밸브 바디(720)의 상단 오리피스(721)를 막아 파일럿 밸브 구조체(700, 710, 720, 730, 740)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가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main valve spring 610 is greater than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pilot valve spring 730, when the pilot valve spring 730 is compressed, the pilot valve seal 700 is also the top of the pilot valve body 720. The orifice 721 is blocked so that the pilot valve structures 700, 710, 720, 730, 740 are completely closed.

한편, 파일럿 밸브 씰 홀더(710)의 하단부는 파일럿 밸브 바디(720)의 일단에 접촉 지지된 상태로서 메인 밸브 스프링(610)의 압축력 및 압력차(공급압-제어압)에 의한 힘에 의해 파일럿 밸브 씰(700)이 과도하게 눌러지지 않도록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하여 지지하고, 이로 인해 파일럿 밸브 씰(700)의 눌림량을 일정하게 제한함으로써 과도한 눌림에 의한 파일럿 밸브 씰(700)의 파손을 방지하여 밸브의 내구성이 보다 향상된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end of the pilot valve seal holder 710 is in contact with and supported by one end of the pilot valve body 720, and is piloted by a force due to a compression force and a pressure difference (supply pressure-control pressure) of the main valve spring 610. To prevent the valve seal 700 from being excessively pressed, it acts as a stopper to support it, thereby limiting the amount of pressurization of the pilot valve seal 700,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pilot valve seal 700 due to excessive pressure. The durability of the valve is further improved.

상술한 전원 오프(Off) 시 밸브의 작동순서를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valve when the power is off is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하나, 메인 밸브 스프링(610)의 반발력에 의해 플런저(600)가 하방으로 눌림One, the plunger 600 is pressed downward by the reaction force of the main valve spring 610

둘, 메인 밸브 씰(620)이 밸브 시트(570)에 접촉Two, the main valve seal 620 contacts the valve seat 570

셋, 파일럿 밸브 스프링(730)이 압축됨과 함께 파일럿 밸브 씰(700)이 파일럿 밸브 바디(720)의 오리피스(721)와 접촉Three, the pilot valve spring 730 is compressed and the pilot valve seal 700 contacts the orifice 721 of the pilot valve body 720

넷, 파일럿 밸브 씰 홀더(710)의 하단이 파일럿 밸브 바디(720)에 접촉 및 지지Four, the lower end of the pilot valve seal holder 710 contacts and supports the pilot valve body 720

다섯, 메인 밸브 스프링(610)의 반발력 및 고압부(공급압)와 저압부(제어압) 간의 압력차에 의해 플런저(600) 내부에 구비된 파일럿 밸브 바디(720)가 눌러지며, 상기 파일럿 밸브 바디(720)에 조립된 파일럿 밸브 씰(700)이 압축되면서 파일럿 밸브 내의 기밀이 유지됨Five, the pilot valve body 720 provided inside the plunger 600 is pressed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main valve spring 610 and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high pressure part (supply pressure) and the low pressure part (control pressure), and the pilot valve body As the pilot valve seal 700 assembled to 720 is compressed, airtightness within the pilot valve is maintained.

도 7은 본 발명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원 온(On) 상태(듀티율 100%)에서의 작동 상태도이다.7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in the power-on state (duty rate 100%) of the solenoid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서와 같이 전원 공급 터미널(도면 미도시)을 통하여 솔레노이드 코일(530)에 전원이 인가되면(듀티율 100%) 상기 코일(530)에 의해 코어(540)와 플런저(600)가 자화되면서 강한 자력이 발생되므로 이에 따라 플런저(600)는 고정된 코어(540) 쪽으로 메인 밸브 스프링(610)을 압축시키며 급격히 상방으로 이동된다.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solenoid coil 530 through a power supply terminal (not shown) as shown in FIG. 7 (duty rate 100%), the core 540 and the plunger 600 are magnetized by the coil 530 and are strong. Since the magnetic force is generated, the plunger 600 compresses the main valve spring 610 toward the fixed core 540 and moves rapidly upward.

이 때, 플런저(60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플런저(600)에 작용하는 전자력은 메인 밸브 스프링(610)의 압축에 대한 반발력 및 파일럿 밸브 바디(720)의 오리피스(721) 단면적에 작용하는 고압(공급압)에 의해 누르는 힘의 합보다 커야 한다.At this time, the electromagnetic force acting on the plunger 600 to move the plunger 600 upwards is high pressure acting o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rifice 721 of the pilot valve body 720 and the reaction force against compression of the main valve spring 610 It must be greater than the sum of the forces pressed by (supply pressure).

일단 상기 플런저(600)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파일럿 밸브 바디(720)의 작동 스트로크(Pilot valve stroke, 도 4 참조)만큼 간격을 둔 상태에서 이 때 파일럿 밸브 바디(720)는 그대로 있고 플런저(600)만 파일럿 밸브 스트로크만큼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플런저(600)에 의해 압입되어 있던 파일럿 밸브 씰(700)을 들어 올림으로써 결국 상기 파일럿 밸브가 개방된다. Once the plunger 600 is moved upward, the pilot valve body 720 is intact and the plunger 600 is maintained at an interval of the pilot valve body 720 by an operating stroke (see Fig. 4). The pilot valve is eventually opened by lifting the pilot valve seal 700 pressurized by the plunger 600 while being moved upward by only the pilot valve stroke.

이에 따라 파일럿 밸브 작동부(파일럿 밸브 구조체)에 작용하던 고압(공급압)의 유체가 파일럿 밸브 바디(720)의 오리피스(721) 및 하부 유로, 그리고 메인 밸브 씰(620)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통하여 하방으로 배출됨으로써 파일럿 밸브 씰(700)을 누르던 고압(공급압)의 분위기가 해소된다.Accordingly, the fluid of high pressure (supply pressure) acting on the pilot valve operation unit (pilot valve structure) is passed through the orifice 721 and the lower flow path of the pilot valve body 720 and the flow path formed inside the main valve seal 620. By discharging downward, the atmosphere of the high pressure (supply pressure) pressing the pilot valve seal 700 is eliminated.

이 때, 상기 플런저(600)의 이동에 따라 파일럿 밸브 씰(700)의 상승으로 파일럿 밸브가 개방되고 파일럿 밸브 작동부에 작용하던 고압(공급압) 분위기가 해소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런저(600)를 하방으로 누르고 있던 밸브 시트 오리피스(571) 단면적 만큼에 작용하던 고압(공급압)과 저압(제어압)의 압력차에 의한 힘이 해소됨으로써 파일럿 밸브 스토퍼(740)에 의해 플런저(600)에 구속된 상태의 파일럿 밸브 바디(720)와 그 하방에 조립된 메인 밸브 씰(620)도 함께 상방으로 플런저(600)에 연동하여 들려짐으로써 결국 메인 밸브 씰(620)이 개방되어진다. At this time, when the pilot valve is opened due to the rise of the pilot valve seal 70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lunger 600, and the high pressure (supply pressure) atmosphere acting on the pilot valve operating portion is resolved, the plunger 600 as described above The pressure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high pressure (supply pressure) and low pressure (control pressure) acting as much a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valve seat orifice 571 pressing down is relieved, and thus the plunger 600 is restrained by the pilot valve stopper 740. The main pilot valve body 720 and the main valve seal 620 assembled thereunder are also lifted upward by being interlocked with the plunger 600, and eventually the main valve seal 620 is opened.

한편, 상기 파일럿 밸브 스프링(730)은 파일럿 밸브 구조체의 작동 스트로크(도 4 참조)만큼 팽창되면 상기 파일럿 밸브를 다시 닫히지 않게 유지함과 함께 플런저(600)와 파일럿 밸브 바디(720)가 함께 탄력적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탄력 지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ilot valve spring 730 is expanded by the operating stroke of the pilot valve structure (see FIG. 4), the plunger 600 and the pilot valve body 720 are resiliently interlocked together while keeping the pilot valve not closed again. It is supported elastically so that it can be.

한편, 본 발명은 코어(540)에 장착된 가이드 핀(550)의 직경과 상기 가이드 핀(550)에 끼워져 작동되는 플런저(600) 중앙의 가이드 홀(600a) 직경(d1)을 설계 변경함으로써 플런저(600)의 상면에 작용하는 고압(공급압)에 의해 누르는 힘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온오프(On-Off) 용도로만 밸브를 이용하는 경우 플런저(600)의 가이드 홀(600a) 직경(d1)을 밸브 시트(570)의 오리피스(571) 직경(d2)보다 크게 함으로써 플런저(600)를 하방으로 누르는 힘이 작용하는 직경(플런저의 직경-d1)은 작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결국 플런저를 하방으로 누르는 힘을 작게 조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by changing the diameter of the guide pin 550 mounted on the core 540 and the guide hole 600a in the center of the plunger 600 operated by being fitted to the guide pin 550, the diameter d1. The strength of the pressing force can be adjusted by high pressure (supply pressure) ac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600. For example, when the valve is used only for on-off, the plunger 600 is formed by making the diameter d1 of the guide hole 600a of the plunger 600 larger than the diameter d2 of the orifice 571 of the valve seat 570. ) The diameter at which the force pressing downward acts (diameter of the plunger-d1) becomes small, and accordingly, the force pressing the plunger downward can be adjusted small.

즉, 플런저(600)의 가이드 홀(600a) 직경(d1)이 커지게 되면 상대적으로 파일럿 밸브 작동 시 플런저(600)의 상면에 고압 유체가 작용할 수 있는 면적은 하부의 밸브 시트(570)의 오리피스(571) 면적을 제외한 면적보다 작아지게 되므로 결국 플런저()에 작용하는 고압 유체에 의해 하방으로 작용하는 힘을 상방으로 작용하는 힘보다 작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플런저(600) 가이드 홀(600a)의 직경(d1)을 작게 하면 플런저(600) 상면에서 고압 유체가 작용할 수 있는 면적은 커지게 되므로 이에 따라 결국 플런저(600)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한 하방으로 작용하는 힘은 크게 조정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guide hole 600a of the plunger 600 has a larger diameter d1, the area in which high pressure fluid can ac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unger 600 when the pilot valve is operated is orifice of the lower valve seat 570 (571) Since it is smaller than the area excluding the area, the force acting downward by the high-pressure fluid acting on the plunger () can be adjusted to be smaller than the force acting upward. On the contrary, if the diameter d1 of the guide hole 600a of the plunger 600 is decreased, the area where the high pressure fluid can ac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unger 600 becomes large, and accordingly, downwards due to the pressure acting on the plunger 600 The force acting can be greatly adjusted.

따라서, 필요에 따라 플런저(600)의 가이드 홀(600a) 직경을 밸브 시트(570) 오리피스(571) 직경(d2)보다 크게 함으로써 파일럿 밸브의 동작 시 플런저(600)를 누르는 고압부(공급압)에 작용하는 힘을 약화시켜 플런저(600)가 급격하게 들리도록 설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은 전자력을 인가하여 대유량의 온오프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고압부(공급압)에 작용하는 힘의 정도를 조정해 플런저(600)의 작동 시 충격에 의한 소음이나 스프링이나 코어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상술한 플런저의 가이드 홀을 변경한다 함은 플런저의 가이드 홀 직경뿐만 아니라 가이드 홀에 조립되어 플런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핀의 외경도 동일하게 변경되어 설정된 틈새가 유지됨을 의미한다.Therefore, if necessary, the diameter of the guide hole 600a of the plunger 600 is larger than the diameter d2 of the valve seat 570 orifice 571 to the high pressure part (supply pressure) pressing the plunger 600 during operation of the pilot valve. By weakening the acting force, the plunger 600 can be set to be heard abruptly, and accordingly, a small electromagnetic force is applied to control on/off of a large flow rate. In addition, by adjusting the degree of force acting on the high-pressure portion (supply pressu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noise caused by the impact or damage to the spring or the core when the plunger 600 is operated. That is, changing the guide hole of the plunger described above means that not only the diameter of the guide hole of the plunger but also the outer diameter of the guide pin assembled to the guide hole to guide the plunger is equally changed to maintain the set clearance.

상술한 전원 온(On) 시의 작동순서를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sequence at the time of power-on is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하나, 전원터미널을 통해 전원 인가One,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power terminal

둘, 플런저(600)가 파일럿 밸브의 스트로크(도 4 참조)만큼 상승되며, 이 때 메인 밸브 스프링(610)이 압축되면서 파일럿 밸브 씰(700)이 함께 상승Two, the plunger 600 is raised by the stroke of the pilot valve (see FIG. 4), and the main valve spring 610 is compressed while the pilot valve seal 700 is raised together.

셋, 파일럿 밸브 개방Three, open pilot valve

넷, 파일럿 밸브 스프링(730) 팽창Four, pilot valve spring 730 expansion

다섯, 파일럿 밸브 내의 고압유체 배출 및 고압분위기 해소Five, discharge the high pressure fluid in the pilot valve and resolve the high pressure atmosphere

여섯, 플런저(600)가 추가 상승됨에 따라 파일럿 밸브 스토퍼(740)에 의해 파일럿 밸브 바디(720)도 함께 상승되어 메인 밸브 개방(이 때, 참고로 플런저의 가이드 홀 직경과 가이드 핀의 직경의 치수를 변경함으로써 파일럿 밸브 개방 시 메인 밸브가 급격히 열리게도 설정 가능함)Six, as the plunger 600 is further raised, the pilot valve body 720 is also raised together by the pilot valve stopper 740 to open the main valve (in this case, the dimensions of the guide hole diameter of the plunger and the diameter of the guide pin) Can be set so that the main valve opens rapidly when the pilot valve is opened by changing

도 8은 본 발명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원 온 이후 파일럿 밸브만 개방되어 고압 비례제어 모드로 전환된 작동 상태도이다.8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the pilot valve is opened and switched to the high pressure proportional control mode.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 솔레노이드 밸브를 비례제어 밸브로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전원으로 인가되는 전류는 사전 설정된 주파수(400Hz-1000Hz)의 구형파나 특정의 파형으로 인가하며, 이 때 상기 구형파의 온 오프 펄스폭 크기의 비인 듀티율(Duty율)을 제어함으로써 인가되는 듀티 신호에 비례하여 선형적으로 전자력이 증가되도록 한다.Referring to the case of using the solenoid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proportional control valve with reference to FIG. 8, first, the current applied to the power source is applied as a square wave or a specific waveform of a preset frequency (400Hz-1000Hz), wherein the square wave By controlling the duty ratio (Duty ratio), which is a ratio of the on-off pulse width, the electromagnetic force increases linearly in proportion to the applied duty signal.

일정 크기의 구동신호(듀티율)가 전원공급터미널(도면 미도시)을 통하여 솔레노이드 밸브에 인가되면 코일(530)에 의해 유도된 전자력에 의해 플런저(600)가 메인 밸브 스프링(610)을 압축시키며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파일럿 밸브 씰(700)을 들어올리기 위한 펄스폭 변조는 약 20%이하의 듀티율로 이 구간에서 파일럿 밸브가 열릴 수 있는 전자력이 발생되도록 설정 한다.When a driving signal (duty rate) of a certain size is applied to the solenoid valve through the power supply terminal (not shown), the plunger 600 compresses the main valve spring 610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induced by the coil 530 and increases. In this case, the pulse width modulation for lifting the pilot valve seal 700 is set to generate an electromagnetic force capable of opening the pilot valve in this section at a duty rate of about 20% or less.

이 때, 플런저(600)를 상승시키기 위해 필요한 전자력은 파일럿 밸브 씰(700)이 개방될 때의 메인 밸브 스프링(610)의 압축에 대한 반발력과 파일럿 밸브 바디의 (720)의 가이드 부(722) 외경(d3)에 작용하는 고압(공급압)에 의해 누르는 힘의 합력보다 커야 한다.At this time, the electromagnetic force required to raise the plunger 600 is a repulsive force against compression of the main valve spring 610 when the pilot valve seal 700 is opened and a guide portion 722 of the 720 of the pilot valve body It must be greater than the combined force of the pressing force by the high pressure (supply pressure) acting on the outer diameter (d3).

또한 파일럿 밸브 씰(700)이 개방되면 파일럿 밸브 구조체 내의 고압 유체가 파일럿 밸브 오리피스(721)를 통해 저압부(제어압)로 배출됨에 따라 결국 밸브 시트(570)의 오리피스(571) 직경(d2)만큼의 면적에 작용하던 압력에 의한 힘도 해소되면서 메인 밸브 내에 작용하던 유체의 압력 차이에 의한 힘이 평형을 이루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pilot valve seal 700 is opened, as the high pressure fluid in the pilot valve structure is discharged to the low pressure part (control pressure) through the pilot valve orifice 721, the orifice 571 of the valve seat 570 eventually has a diameter d2. As the force due to the pressure acting on the area is eliminated, the force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of the fluid acting in the main valve is balanced.

따라서, 이 때 플런저(600)에는 오직 메인 밸브 스프링(610)의 압축력과 듀티율에 의해 비례하여 발생되는 전자력만이 플런저(600)의 승하강 제어를 위한 변수로 작용되므로 이 상태에서 인가되는 듀티율을 제어함(예컨대, 20%-90% 범위에서 듀티율을 제어할 수 있음)으로써 플런저(600)를 비례 상승 또는 하강시켜 파일럿 밸브 스토퍼(740)에 의해 플런저(600)에 의해 구속된 파일럿 밸브 바디(720)와 그 하단에 조립된 메인 밸브 씰(620)을 연동시켜 비례적으로 승하강시킴으로써 결국 밸브가 유량이나 압력을 비례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at this time, since only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in proportion to the compression force and the duty ratio of the main valve spring 610 is applied to the plunger 600 as a variable for controlling the elevation of the plunger 600, the duty ratio applied in this state is determined. The pilot valve body constrained by the plunger 600 by the pilot valve stopper 740 by proportionally raising or lowering the plunger 600 by controlling (eg, the duty rate can be controlled in the range of 20%-90%) 720) and the main valve seal 620 assembled at the bottom thereof is proportionally raised and lowered so that the valve can proportionally control the flow rate or pressure.

이 때, 바람직하게는 플런저(600) 가이드 홀의 직경(d1)은 밸브 시트(570)의 오리피스(571) 직경(d2)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가이드 핀(550)은 플런저(600)의 가이드 홀(600a)과 최소한의 누설이 되는 상태에서 작동되도록 구성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상기 직경(d1, d2)의 일치에 따라 파일럿 밸브 개방 시 고압(공급압) 및 저압(제어압)이 상호 작용하는 면적이 같아져 결국 플런저(600)에 작용하는 고압(공급압)과 저압(제어압)의 압력에 의한 힘이 평형을 이룰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preferably, the diameter d1 of the guide hole of the plunger 600 is configured to be the same as the diameter d2 of the orifice 571 of the valve seat 570, and the guide pin 550 is the guide hole of the plunger 600 ( 600a) and must be configured to operate in the state of minimum leakage, and accordingly, the area where the high pressure (supply pressure) and low pressure (control pressure) interact when the pilot valve is opened according to the coincidence of the diameters d1 and d2. It becomes the same, and eventually the force by the pressure of the high pressure (supply pressure) and the low pressure (control pressure) acting on the plunger 600 can be balanced.

또한 상기 고압(공급압)과 저압(제어압)의 작용력의 차이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플런저(600)의 의도치 않은 급격한 들림 현상이나 눌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한편, 비례제어 모드에서는 듀티율에 의한 전자력과 메인 스프링 압축력 외에 다른 힘은 제거되어야 함)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unintentional sudden lifting or pressing of the plunger 600, which may be caused by a difference in the working force between the high pressure (supply pressure) and the low pressure (control pressure). Other forces besides the electromagnetic force and the main spring compression force due to the duty rate should be removed)

또한 파일럿 밸브 씰 홀더(710)의 하단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파일럿 밸브 바디(720)의 가이드 부(722) 외경(d3)도 고압(공급압)과 저압(제어압)의 압력 차에 의한 힘의 평형을 위해 상술한 플런저(600)의 가이드 홀(600a)의 직경(d1) 및 메인 밸브 바디(720)의 오리피스(721) 직경(d2)과도 모두 동일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guide portion 722 of the pilot valve body 720, which is inserted and guided at the bottom of the pilot valve seal holder 710, also has an outer diameter (d3) of force due to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high pressure (supply pressure) and low pressure (control pressure). For bala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d1 of the guide hole 600a of the plunger 600 and the diameter d2 of the orifice 721 of the main valve body 720 are all the same.

만약 상술한 직경(d1, d2, d3)의 불일치로 고압(공급압)과 저압(제어압)의 압력에 의한 힘이 평형을 이루지 못한 상황에서는 파일럿 밸브 씰(700)의 개방 시 파일럿 밸브 바디(720)가 급격하게 들려 파일럿 밸브 씰(700)이 다시 폐쇄되고, 이에 따라 개방되어 있던 메인 밸브 씰(620)도 파일럿 밸브 씰(700)의 폐쇄에 따른 고압(공급압)에 의한 힘의 영향으로 다시 폐쇄되는 폐단이 발생될 수 있다.If the force due to the pressure of the high pressure (supply pressure) and the low pressure (control pressure) is not balanced due to the mismatch of the diameters (d1, d2, d3) described above, when the pilot valve seal 700 is opened, the pilot valve body ( 720) is suddenly heard, the pilot valve seal 700 is closed again, and accordingly, the main valve seal 620, which has been opened, is also affected by the force due to the high pressure (supply pressure) due to the closing of the pilot valve seal 700. Closing may occur, which closes again.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고압(공급압)과 저압(제어압)의 압력에 의한 힘의 평형을 이룬 상태에서는 플런저(600)가 파일럿 밸브의 작동 스트로크까지 상승하되 메인 밸브 씰(620)이 여전히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반면 파일럿 밸브 스프링(730)은 팽창하여 파일럿 밸브 씰(700)이 열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force is balanced by the pressure of the high pressure (supply pressure) and the low pressure (control pressure), the plunger 600 rises up to the operating stroke of the pilot valve, but the main valve seal 620 is still closed.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pilot valve spring 730 is expanded so that the pilot valve seal 700 is configured to remain open.

그러므로 상기 파일럿 밸브 스프링(730)은 상술한 비례제어 모드에서 파일럿 밸브 바디(720)가 파일럿 밸브 스토퍼(740)에 의해 적당한 힘으로 탄력 지지되면서 연동될 수 있도록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Therefore, the pilot valve spring 730 serves to maintain a gap so that the pilot valve body 72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pilot valve stopper 740 while being interlocked with the appropriate force in the proportional control mode described above.

한편, 이 때 비례 제어되는 유량(또는 압력)은 파일럿 밸브 오리피스(721)를 통하여 배출되는 유량(또는 압력)이 되며, 이 경우 파일럿 밸브 작동부(구조체) 내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보다 파일럿 밸브 바디(720)의 오리피스(721)를 통해 배출되는 유량이 크도록 오리피스 직경을 구성해야한다On the other hand, at this time, the proportionally controlled flow rate (or pressure) becomes the flow rate (or pressure) discharged through the pilot valve orifice 721, in this case, the pilot valve body than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pilot valve operation unit (structure). The orifice diameter should be configured so that the flow rate discharged through the orifice 721 of 720 is large.

파일럿 밸브 작동 후, 원하는 유량이나 압력을 달성하도록 구동신호의 듀티율을 더 증가시키면 플런저(600)에 파일럿 밸브 스토퍼(740)에 의해 구속되어 파일럿 밸브 스프링(730)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파일럿 밸브 바디(720)가 듀티율의 증가에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 때, 제어 가능 구간 사이에서는 듀티율에 따라 전자력이 선형적으로 증가 되고, 그에 따른 플런저 상승에 따라 메인 스프링 압축력과의 평형이 유지됨으로써 결국 상기 듀티율의 증감을 제어함에 따라 파일럿 밸브 바디(720) 하단에 조립된 메인 밸브 씰(620)의 열림량을 제어됨으로써 밸브의 유량(또는 압력)을 선형적으로 비례 제어할 수 있게 된다.After the pilot valve is operated, if the duty ratio of the driving signal is further increased to achieve a desired flow rate or pressure, the pilot valve body (constrained by the pilot valve stopper 740 to the plunger 600 and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pilot valve spring 730 ( 720) increases as the duty rate increases. At this time, between the controllable section, the electromagnetic force increases linearly with the duty ratio, and accordingly, the balance with the main spring compressive force is maintained according to the rise of the plunger, thereby eventually controlling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duty ratio, thereby lowering the pilot valve body 720.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opening of the main valve seal 620 assembled in, it is possible to linearly proportionally control the flow rate (or pressure) of the valve.

상술한 고압 비례제어 시의 작동순서를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sequence at the time of high-pressure proportional control is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하나, 구동신호 인가One, application of driving signal

둘, 구동신호 듀티율 제어Two, driving signal duty rate control

셋, 플런저(600) 상승 및 메인 밸브 스프링(610) 압축Three, plunger 600 rise and main valve spring 610 compressed

(이 때, 플런저 상승에 필요한 힘은 메인 밸브 스프링의 압축 반발력 및 파일럿 밸브 바디의 오리피스 단면적에 작용하는 고압에 의한 힘과의 합력임)(At this time, the force required to raise the plunger is the combined force with the compression repulsive force of the main valve spring and the high-pressure force acting on the orific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ilot valve body)

넷, 파일럿 밸브 씰(700) 상승 (파일럿 밸브 개방)Four, the pilot valve seal 700 rises (pilot valve open)

다섯, 파일럿 밸브 내 고압유체가 배출되면서 플런저(600)에 작용하던 고압에 의한 힘 해소 및 압력 작용력 평형상태 도달 Five, as the high pressure fluid is discharged from the pilot valve, the pressure caused by the high pressure acting on the plunger 600 is relieved and the pressure applied force reaches the equilibrium state.

(이 때, 플런저에 작용하는 힘은 메인 밸브 스프링의 압축 반발력과 구동신호의 듀티율에 의한 전자력만이 변수로 작용함) (At this time, only the force acting on the plunger acts as a variable due to the compression reaction force of the main valve spring and the electromagnetic force due to the duty ratio of the drive signal)

여섯, 구동신호의 듀티율을 원하는 유량의 설정값만큼 더 증가시킴에 따라 플런저가 추가 상승되면서 파일럿 밸브 스토퍼에 의해 메인 밸브 씰이 상승되어 메인 밸브가 개방Six, as the duty ratio of the drive signal is increased by the set value of the desired flow rate, the plunger is further raised, and the main valve seal is raised by the pilot valve stopper to open the main valve.

(이 때, 파일럿 밸브 스프링은 파일럿 밸브의 스트로크만큼 팽창하여 파일럿 밸브 바디와 플런저 사이를 규정된 힘으로 벌려 유지하고, 이 후 밸브의 비례제어 시 플런저와 파일럿 밸브가 함께 일체로 연동되도록 함)(At this time, the pilot valve spring expands by the stroke of the pilot valve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pilot valve body and the plunger with a prescribed force, and then, when proportionally controlling the valve, the plunger and the pilot valve are integrally interlocked together)

일곱, 이후 듀티율을 제어함에 따라 플런저(600)와 함께 메인 밸브 씰(620)의 승하강 높이를 제어함으로써 밸브 시트(570)의 오리피스(571)를 통해 배출되는 고압유체의 배출 개도를 제어해 최종적으로 유량이나 압력을 비례제어함Seven, after controlling the duty rate, by controlling the elevation of the main valve seal 620 together with the plunger 600 to control the discharge opening degree of the high pressure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orifice 571 of the valve seat 570 to finalize Proportional control of flow rate or pressure

요컨대, 본 발명은 밸브의 초기 작동 시 파일럿 밸브가 먼저 개방되어 플런저에 작용하는 고압을 먼저 해소한 다음 메인 밸브를 작동하게 되는데, 이 때 메인 밸브가 작동되면 플런저 내부의 파일럿 밸브 구조체로 누설되어 들어오는 유체량보다 파일럿 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량이 많아야 파일럿 밸브가 작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In short,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alve is initially operated, the pilot valve is first opened to relieve the high pressure acting on the plunger first, and then the main valve is operated. At this time, when the main valve is operated, it leaks into the pilot valve structure inside the plunger. When the amount of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pilot valve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fluid, the pilot valve can be operated.

만약 들어오는 유체량이 더 많은 경우 파일럿 밸브는 솔레노이드 힘이 약할 경우 유체의 압력차에 의한 힘으로 다시 닫혀 버리거나 제어가 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이런 구조를 가진 종래 솔레노이드 밸브에서는 통상 플런저 외주면을 통해 유체가 파일럿 밸브 작동부(구조체)로 누설되어 들어가게 되는데, 상기 플런저의 직경이 큰 경우 유체의 누설량이 많아지게 되므로 이를 위해 플런저 외주면과 상기 플런저 외주면에 접하는 플런저 가이드 사이의 간격을 굉장히 정밀하게 가공 및 유지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발생된다.If the amount of incoming fluid is larger, the pilot valve is likely to be closed again or not controlled by the force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of the fluid if the solenoid force is weak. In the conventional solenoid valve having such a structure, the fluid is leaked into the pilot valve operation part (structure) through the outer plunger outer surface. If the diameter of the plunger is large, the amount of fluid leakage increases, so for this purpose, the outer surface of the plunge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plunger It is difficult to process and maintain the gaps between the plunger guides in contact with each other with great precision.

본 발명의 경우 플런저 내부에서 가이드 기능을 하는 가이드 핀의 외주면(보다 정확하게는, 가이드 핀의 외주면과 플런저의 가이드 홀 사이 틈새)을 통해 유체가 누설되어 파일럿 밸브 작동부(구조체)로 들어가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 플런저의 외경을 유로로 이용했던 것에 대비 본 발명은 플런저 내부의 가이드 홀의 훨씬 작은 직경을 이용함으로 인해 유체의 누설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원하는 누설량 제어를 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은 누설량에 따라 파일럿 밸브 바디의 오리피스 직경 등도 작게 설계할 수 있어 필요한 밸브 작동력을 줄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uid leaks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pin (more precisely, the gap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pin and the guide hole of the plunger) functioning as a guide inside the plunger, and configured to enter the pilot valve operation unit (structure). Compared to us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ventional plunger as a flow path,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leakage area of the fluid by using a much smaller diameter of the guide hole inside the plunger,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control the desired leakage amount as well as small leakage amount. According to this, the orifice diameter of the pilot valve body can also be designed to be small, thereby reducing the required valve operating force.

또한 전자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의 크기를 줄일 수 있음과 함께 종래 솔레노이드 밸브에서처럼 플런저의 외주면을 초정밀 가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공정이 단순해 질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등 종래 구성 대비 여러 가지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solenoid that generates electromagnetic force, and there is no need to ultra-precis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lunger as in the conventional solenoid valve, so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ified and manufacturing costs can be reduced. There is this.

아울러 본 발명은 단지 앞서 기술된 일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된 것은 아니며, 장치의 세부 구성이나 개수 및 배치 구조를 변경할 때에도 동일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구성의 부가 및 삭제, 변형이 가능한 것임을 명시하는 바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it is possible to create the same effect even when chang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number, and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device. It is stated that various configurations can be added, deleted, and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400 : 캡 410 : 오버몰드
420 : 커버 500 : 밸브 바디
510 : 요크 520 : 보빈
530 : 코일 540 : 코어
550 : 가이드 핀 560 : 밸브 가이드
570 : 밸브 시트 580 : 튜브
600 : 플런저 610 : 메인 밸브 스프링
700 : 파일럿 밸브 씰 710 : 파일럿 밸브 씰 홀더
720 : 파일럿 밸브 바디 730 : 파일럿 밸브 스프링
400: cap 410: over mold
420: cover 500: valve body
510: York 520: Bobbin
530: coil 540: core
550: guide pin 560: valve guide
570: valve seat 580: tube
600: plunger 610: main valve spring
700: Pilot valve seal 710: Pilot valve seal holder
720: pilot valve body 730: pilot valve spring

Claims (10)

전원 인가 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이 감긴 보빈;
상기 보빈의 일단에 결합되어 자기 회로를 구성하는 요크;
상기 보빈의 중앙부 상단측에 결합되어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는 코어;
상기 코어의 중앙부에 하방으로 연장 삽입되는 소정 직경의 비자성체 가이드 핀;
내부에 소정 직경의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홀이 가이드 핀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로 끼워져 전원 인가 시 자화된 코어 측으로 상기 가이드 핀에 의해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이 안내되는 플런저;
상기 코어 내부의 가이드 핀 둘레에 구비되어 유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플런저를 밀어 탄성 지지하는 메인 밸브 스프링;
상기 플런저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로 보빈의 코어 하부에 배치되어 자기 회로를 구성하는 밸브 가이드;
상기 코어의 하단부 및 밸브 가이드의 상단부 외주면을 감싸 기밀을 유지하는 튜브;
상기 밸브 가이드의 하단에 결합되어 전체 밸브의 하단부 외관을 형성하는 밸브 바디;
상기 밸브 바디 내의 플런저 하단부에 설치되어 플런저의 수직이동에 따라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메인 밸브 씰;
상기 밸브 바디 내의 메인 밸브 씰 하부에 구비되어 상단부에 형성된 오리피스가 상기 메인 밸브 씰의 저면에 압입된 상태로 메인 밸브 씰의 상승에 따라 선택적으로 유로가 개방되는 밸브 시트; 및
상기 플런저 내부의 메인 밸브 씰 상방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밸브 씰에 앞서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함으로써 유로의 고압 유체를 배출하여 고압분위기를 해소하는 파일럿 밸브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파일럿 밸브 구조체는,
플런저 내부에서 가이드 핀의 하방에 구비되어 플런저의 이동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파일럿 밸브 씰;
플런저 내부에서 상기 파일럿 밸브 씰을 감싼 상태로 파일럿 밸브 씰과 함께 수직이동되는 파일럿 밸브 씰 홀더;
플런저 내부에서 상기 파일럿 밸브 씰 홀더의 하단에 삽입된 상태로 상단의 오리피스에 파일럿 밸브 씰의 하단이 선택적으로 압입됨에 따라 유로가 폐쇄되는 파일럿 밸브 바디; 및
플런저 내부에서 상기 파일럿 밸브 씰 홀더와 파일럿 밸브 바디 사이에 구비되어 파일럿 밸브 씰 홀더를 탄성 지지하는 파일럿 밸브 스프링을 포함하는,
고압 비례제어기능을 구비한 솔레노이드 밸브.
A coil wound with a coil that generates a magnetic field when power is applied;
A yoke coupled to one end of the bobbin to form a magnetic circuit;
A cor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bbin and magnetized by a magnetic field;
A non-magnetic guide pin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that extends downwardly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re;
A plunger in which a guide hol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is formed therein and the guide hole is fitted whil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pin to guide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guide pin toward the magnetized core when power is applied;
A main valve spring provided around the guide pin inside the core to elastically support the plunger in a direction to close the flow path;
A valve guide disposed under the core of the bobbin whil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nger to constitute a magnetic circuit;
A tube surrounding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cor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guide to maintain airtightness;
A valve bod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valve guide to form a lower end appearance of the entire valve;
A main valve seal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plunger in the valve body to selectively open a flow path according to vertical movement of the plunger;
A valve seat which is provided below the main valve seal in the valve body and selectively opens the flow path according to the rise of the main valve seal in a state in which an orifice formed at an upper end is press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valve seal; And
A pilot valve structure provided above the main valve seal inside the plunger to selectively open the flow path prior to the main valve seal to discharge high pressure fluid in the flow path to resolve the high pressure atmosphere.
The pilot valve structure,
A pilot valve seal provided below the guide pin inside the plunger and vertically mov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lunger;
A pilot valve seal holder which is vertically moved together with the pilot valve seal while surrounding the pilot valve seal in a plunger;
A pilot valve body in which a flow path is closed as the lower end of the pilot valve seal is selectively pressed into the upper orific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pilot valve seal holder inside the plunger; And
A pilot valve spring provided between the pilot valve seal holder and the pilot valve body inside the plunger to elastically support the pilot valve seal holder,
Solenoid valve with high pressure proportional control.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가이드 홀 직경(d1)과 밸브 시트의 오리피스 직경(d2)이 일치 되는,
고압 비례제어기능을 구비한 솔레노이드 밸브.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hole diameter (d1) of the plunger and the orifice diameter (d2) of the valve seat coincide,
Solenoid valve with high pressure proportional contro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의 오리피스 직경(d2)과 파일럿 밸브 바디의 가이드 부 외경(d3)이 일치되는,
고압 비례제어기능을 구비한 솔레노이드 밸브.
According to claim 1,
The orifice diameter (d2) of the valve seat and the guide part outer diameter (d3) of the pilot valve body coincide,
Solenoid valve with high pressure proportional contro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밸브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가 파일럿 밸브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보다 큰,
고압 비례제어기능을 구비한 솔레노이드 밸브.
According to claim 1,
The spring constant of the main valve spring is greater than the spring constant of the pilot valve spring,
Solenoid valve with high pressure proportional contro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밸브 씰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몸체를 갖고, 상기 몸체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원형의 요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각 요입홈은 원통형 몸체의 겉면을 따라 요설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체 이동채널에 의해 연결되는,
고압 비례제어기능을 구비한 솔레노이드 밸브.
According to claim 1,
The pilot valve seal,
With a cylindrical body as a whole, circular indentations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ody, and each indentation groove is connected by at least one fluid movement channel concavely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Solenoid valve with high pressure proportional contro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하단에는 플런저가 상승할 때 파일럿 밸브 바디를 걸림하여 동반 상승하기 위한 파일럿 밸브 스토퍼가 설치되며, 전원 오프 상태에서 상기 파일럿 밸브 바디와 파일럿 밸브 스토퍼는 파일럿 밸브 스트로크의 갭만큼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압 비례제어기능을 구비한 솔레노이드 밸브.
According to claim 1,
At the lower end of the plunger, a pilot valve stopper is installed to catch the pilot valve body when the plunger rises and ascend upward. In the power-off state, the pilot valve body and the pilot valve stoppe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gap of the pilot valve stroke. To maintain,
Solenoid valve with high pressure proportional contro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밸브 씰 홀더의 하단이 파일럿 밸브 바디의 상단부에 접촉 및 지지됨에 따라 파일럿 밸브 씰이 과도한 눌림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파일럿 씰 홀더에 의해 보호되는,
고압 비례제어기능을 구비한 솔레노이드 밸브.
According to claim 1,
As the lower end of the pilot valve seal holder contacts and is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pilot valve body, the pilot valve seal is protected by the pilot seal holder so as not to be damaged by excessive pressing.
Solenoid valve with high pressure proportional contro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는 밸브 바디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밸브 시트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밸브 시트를 승하강시킴에 따라 플런저의 위치와 메인 밸브 스프링의 작용력이 조정되어 밸브의 비례제어 특성이나 기밀 특성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고압 비례제어기능을 구비한 솔레노이드 밸브.
According to claim 1,
The valve seat is screwed to the lower part of the valve body, and the position of the plunger and the action force of the main valve spring are adjusted as the valve seat is selectively rotated to move the valve seat up and down to increase the proportional control characteristics or airtight characteristics of the valve. To be able to adjust,
Solenoid valve with high pressure proportional control.
제 1 항에 있어서,
고압 유체의 공급이 상시 파일럿 밸브 구조체와 메인 밸브 씰이 닫히는 방향으로 작용함에 따라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고압(공급압)과 저압(제어압)의 압력차에 의해 힘이 메인 밸브 씰을 눌러 기밀성이 유지되는,
고압 비례제어기능을 구비한 솔레노이드 밸브.
According to claim 1,
As the supply of the high pressure fluid always act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ilot valve structure and the main valve seal are closed, the power presses the main valve seal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high pressure (supply pressure) and low pressure (control pressure) when power is not applied. Confidentiality is maintained,
Solenoid valve with high pressure proportional control.
KR1020190059539A 2019-05-21 2019-05-21 Solenoid valve with function of variable force for high pressure Active KR1021374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539A KR102137404B1 (en) 2019-05-21 2019-05-21 Solenoid valve with function of variable force for high press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539A KR102137404B1 (en) 2019-05-21 2019-05-21 Solenoid valve with function of variable force for high press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404B1 true KR102137404B1 (en) 2020-07-24

Family

ID=71892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539A Active KR102137404B1 (en) 2019-05-21 2019-05-21 Solenoid valve with function of variable force for high press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404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911B1 (en) * 2020-09-28 2022-02-07 주식회사 유니크 Valve
CN114542970A (en) * 2020-11-26 2022-05-27 未势能源科技有限公司 Bottle valve and storage bottle with same
KR102574262B1 (en) * 2022-04-07 2023-09-06 주식회사 인팩 Solenoid valve for vehicle
KR20230144390A (en) * 2022-04-07 2023-10-16 주식회사 인팩 Solenoid valve for vehicl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301Y1 (en) * 1999-12-30 2000-05-15 최건일 Solenoid valve
JP2002372164A (en) * 2001-06-18 2002-12-26 Tgk Co Ltd Solenoid valve
KR20030037283A (en) * 2001-11-01 2003-05-14 (주)모토닉 Solenoid valve
JP2003526055A (en) * 2000-02-18 2003-09-02 アスコ・コントロールズ・エル・ピー Extended range proportional valve
KR20040048292A (en) * 2002-12-02 2004-06-07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Motor operated valve
KR101517067B1 (en) * 2013-12-20 2015-05-04 (주)현태엔지니어링 Normal open solenoid valve
KR20180030332A (en) * 2016-09-13 2018-03-22 주식회사 유니크 Solenoid valve
KR20180113223A (en) * 2017-04-05 2018-10-16 주식회사 유니크 Variable force solenoid valv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301Y1 (en) * 1999-12-30 2000-05-15 최건일 Solenoid valve
JP2003526055A (en) * 2000-02-18 2003-09-02 アスコ・コントロールズ・エル・ピー Extended range proportional valve
JP2002372164A (en) * 2001-06-18 2002-12-26 Tgk Co Ltd Solenoid valve
KR20030037283A (en) * 2001-11-01 2003-05-14 (주)모토닉 Solenoid valve
KR20040048292A (en) * 2002-12-02 2004-06-07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Motor operated valve
KR101517067B1 (en) * 2013-12-20 2015-05-04 (주)현태엔지니어링 Normal open solenoid valve
KR20180030332A (en) * 2016-09-13 2018-03-22 주식회사 유니크 Solenoid valve
KR20180113223A (en) * 2017-04-05 2018-10-16 주식회사 유니크 Variable force solenoid valv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911B1 (en) * 2020-09-28 2022-02-07 주식회사 유니크 Valve
CN114542970A (en) * 2020-11-26 2022-05-27 未势能源科技有限公司 Bottle valve and storage bottle with same
KR102574262B1 (en) * 2022-04-07 2023-09-06 주식회사 인팩 Solenoid valve for vehicle
KR20230144390A (en) * 2022-04-07 2023-10-16 주식회사 인팩 Solenoid valve for vehicle
KR102603260B1 (en) * 2022-04-07 2023-11-16 주식회사 인팩 Solenoid valve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7404B1 (en) Solenoid valve with function of variable force for high pressure
KR102137405B1 (en) Solenoid valve with function of variable force for high pressure
US8282020B2 (en) Three-way valves and fuel injectors using the same
US9273791B2 (en) Pilot solenoid valve
CN109306926B (en) Valve assembly and check valve for fluid pump
KR102478295B1 (en) Proportional valves for controlling gaseous media
US6198369B1 (en) Proportional actuator for proportional control devices
KR102276928B1 (en) electronic expansion valve
CN107407243B (en) Actuator Assembly for Digital Inlet Valve
US11306844B2 (en) Pilot solenoid valve
US20180094692A1 (en) Damper and method of assembling damper
CN100523475C (en)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fuel injector
KR20180020145A (en) Valves, especially proportional pressure regulating valves
KR102043966B1 (en) Solenoid valve assembly for switching drive mode in suspension system
KR101038278B1 (en) Solenoid Valve for Engine Control of Ship
KR100752686B1 (en) Solenoid valve
KR20190028050A (en) Fuel supplying valve for fuel cell system
KR100447848B1 (en) Solenoid valve
KR102260127B1 (en) Bellows type high pressure solenoid valve
CN107131165B (en) Solenoid valve and pressure fluid control equipment
KR101849911B1 (en) Solenoid valve
KR102108161B1 (en) Solenoid valve
KR100539544B1 (en) Fluidic mass flow control valve actuated by electromagnetic force
KR20170115654A (en) Solenoid valve
JP4140540B2 (en) Fuel injection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7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7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