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389B1 - Reinforcement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of underground box structure - Google Patents
Reinforcement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of underground box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7389B1 KR102137389B1 KR1020120075337A KR20120075337A KR102137389B1 KR 102137389 B1 KR102137389 B1 KR 102137389B1 KR 1020120075337 A KR1020120075337 A KR 1020120075337A KR 20120075337 A KR20120075337 A KR 20120075337A KR 102137389 B1 KR102137389 B1 KR 1021373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derground structure
- connection
- base plate
- underground
- reinforce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3/00—Large underground chamber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08—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preformed concrete sl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기존 지하구조물의 구조체를 사용함에 있어서, 지하구조물의 사용용도가 추가 변경되어 증축, 축소, 이설, 신축구조물과의 연결, 횡단 및 종단 교차 공사가 실시될 경우 기존 지하구조물의 안정성, 내구성, 내진성 등이 확보되고 기존 지하구조물을 사용하면서 공사시공이 가능하며, 급속시공이 가능하여 경제성이 극대화되는 새로운 형태로 구현할 수 있는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10)와 기초판(20,21,22)을 연결보강재(30)를 통해 상호 연결하는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를 이루며,
기존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10)와 기초판(20,21,22)을 연결부재(30)를 통해 상호 연결하는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의 시공방법으로,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 하부면에 스틸재질의 강판(31) 또는 콘크리트 복합강성재질의 얇은슬래브(31)를 부착시키고, 보강연결부재(30)가 설치될 위치에 대응하도록 천정슬래브(10)를 구멍내는 단계;
상기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 상부에 존재하는 기존시설물의 기초판 또는 바닥슬래브에 구멍내는 단계;
상기 보강연결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연결보강재 삽입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강연결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연결보강재 삽입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보강연결장치 설치 후 유지보수관리시스템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의 시공방법이 있다.
또한, 또 다른 시공방법으로서는,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 하부면에 스틸재질의 강판(31) 또는 콘크리트 복합강성재질의 얇은슬래브(31)를 부착시키고, 보강연결부재(30)가 설치될 위치에 대응하도록 천정슬래브(10)를 구멍내는 단계;
상기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 상부에 존재하는 기존시설물의 기초판 또는 바닥슬래브에 구멍내는 단계;
상기 보강연결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연결보강재 삽입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강연결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연결보강재 삽입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보강연결장치 설치 후 유지보수관리시스템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의 시공방법이 있다.
이렇게,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통해,
기존 지하구조물의 구조체가 제거 또는 일부 철거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기존 지하구조물의 안정성, 내구성, 내진성 등이 확보되고 기존 지하구조물을 사용하면서 공사시공이 가능하며, 급속시공이 가능하여 경제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기존 지하구조물의 구조체 제거 및 일부철거의 시공중 기존구조물이 안정성을 확보하여 과도한 천정부슬래브의 침하를 억제함과 동시에, 지표면에 신설되는 기초판의 지내력이 충분히 확보되는 구조이므로 추가적인 외부하중에 의해서도 그 안정성이 더더욱 확보되며, 연결보강재에 대해, 유지보수의 관리가 매우 용이하여 시공후 품질확인 및 품질체크가 가능한 유지보수관리시스템의 능력을 갖추고 있다.
또한, 연약한 지반조건인 경우, 기초판의 접지압 또는 지내력을 충분히 확보시키기 위한 목적과 지진과 같은 수평하중, 편토압이 발생하는 조건에 대해서도 지반과의 마찰전단저항이 증대되는 외주면 날개부착형 스틸류관을 사용함으로서 전체 지하구조물의 보강구조 안정성이 확보되게 되는 것이다.
가장 큰 효과로서는 보강 공사비가 매우 저렴하고, 신속한 시공이 가능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기존 지하구조물 내부의 시설한계선이 허락하는 범위내에서 보강구조가 이루어지므로, 종래의 보강구조의 한계와 그 시공방법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In using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s, the us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s has been further changed to increase, reduce, relocate, connect with the new structures, and perform cross- and cross-section cross-section stability, durability, and seismic resistance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s. This is to provide a non-adhesive reinforcing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that can be implemented in a new form that is secured and can be constructed while using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is capable of rapid construction to maximize economic efficiency.
To this end, a non-adhesive reinforced connection structure of an underground structure is provided in which the ceiling slab 10 and the base plates 20, 21, and 22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re inter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reinforcement 30,
As a construction method of a non-adhesive reinforced connection structure of an underground structure that interconnects the ceiling slab (10) and the base plates (20, 21, 22)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through a connecting member (30),
Attach the steel sheet steel plate 31 or the concrete composite rigid material thin slab 31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slab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nd drill the ceiling slab 10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where the reinforcing connecting member 30 will be installed. Step of making;
Drilling a base plate or a floor slab of an existing facility existing above the ceiling slab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Forming a connection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for installing the reinforcing connection device;
Inserting a connection reinforcement material for installing the reinforcing connection device;
Forming a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after installing the reinforcing connection device;
There is a construction method of a non-adhesive reinforced connection structure of an underground structure comprising a.
In addition, as another construction method,
Attach the steel sheet steel plate 31 or the concrete composite rigid material thin slab 31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slab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nd drill the ceiling slab 10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where the reinforcing connecting member 30 will be installed. Step of making;
Drilling a base plate or a floor slab of an existing facility existing above the ceiling slab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Forming a connection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for installing the reinforcing connection device;
Inserting a connection reinforcement material for installing the reinforcing connection device;
Forming a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after installing the reinforcing connection device;
There is a construction method of a non-adhesive reinforced connection structure of an underground structure comprising a.
Thus, through the non-adhesive reinforcement connection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Even if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is removed or partially demolished, stability, durability, and seismic resistance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re secured, and construction can be performed while using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rapid construction is possible to maximize economic efficiency. It has an effect.
In addition, during the removal of structures of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s and the construction of some demolition, the existing structures secure stability to suppress the excessive sinking of the ceiling, and at the same time, the external strength of the foundation plate newly built on the surface is sufficiently secured. By this, the stability is further secured, and for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the maintenance is very easy to manage, so it is equipped with the ability of a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that enables quality check and quality check after construction.
In addition, in the case of soft ground conditions, the outer surface is equipped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wing that increases the frictional shear resistance with the ground even for the purpose of sufficiently securing the grounding pressure or endurance of the base plate and the conditions such as earthquakes and horizontal loads and flattening pressures. By using, the stability of the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entire underground structure is secured.
As the biggest effect, the reinforcing construction cost is very inexpensive, and it has an effect capable of rapid construction. In addition, since the reinforcement structure is made within a range allowed by the facility limit line in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it has an effect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reinforcement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지하구조물의 구조체를 사용함에 있어서, 지하구조물의 사용용도가 추가 변경되어 증축, 축소, 이설, 신축구조물과의 연결, 횡단 및 종단 교차 공사가 실시될 경우, 기존 지하구조물의 구조체가 제거 또는 일부 철거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기존 지하구조물의 안정성, 내구성, 내진성 등이 확보되고 기존 지하구조물을 사용하면서 공사시공이 가능하며, 급속시공이 가능하여 경제성이 극대화되는 새로운 형태로 구현할 수 있는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adhesive reinforcing connection structure of an underground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in the use of an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the us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is further changed to expand, reduce, move, and expand the structure. When the connection, crossing, and cross-section construction is performed,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is removed or partially demolished. At this time, the stability, durability, seismic resistance, etc.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s are secured. Construction is possible while using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s, and rapid construction is possibl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참고로, 상기에서 말하는 기존 지하구조물의 구조체는 이미 사용중인 지하구조물에 있어서, 그 구조물의 중앙기둥이나 중앙슬래브나 벽체 등과 같은 구조물을 구성하는 구조체를 의미하는 것이다.For reference,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referred to above refers to a structure constituting a structure such as a central pillar, a central slab, or a wall of the structure in an already used underground structure.
또한, 상기에서 말하는 지하구조물이란 지하BOX구조물, 지하차도구조물, 터널구조물, 석유저장시설물, 가스저장시설물, 방폐장시설물, 정거장, 지하연결통로 등과 같이 모든 지반속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물을 의미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structure refers to a structure installed in all grounds, such as an underground BOX structure, an underground driveway structure, a tunnel structure, an oil storage facility, a gas storage facility, a waste storage facility, a station, and an underground connection passage.
안전하고 편리한 교통 환경 구축을 위한 사회 기반 정비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지금, 다양한 운송 수단의 도로나 철도와 같은 교통시설 상호 간의 교차나 교통시설 하부 또는 중요한 라이프라인 시설물 및 건설구조물의 인접지역에 대해 지하구조물의 시공은 피할 수 없는 현실로써 그 필요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Nowadays, social infrastructure is being actively developed to establish a safe and convenient transportation environment.At the intersection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such as roads and railroads of various transportation means, or underneath transportation facilities or adjacent areas of important lifeline facilities and construction structures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tructures is an inevitable reality, and the need is increasing day by day.
이렇게 지상공간과 지하공간이 복잡한 경우에 있어서 그 지반하부에 지하구조물을 시공할 경우에는 기존 지상 및 지하구조물 등에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충분한 크기의 지하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서 근래에 다양한 비개착 시공방법이 개발되었다.In the case where the above-ground and underground spaces are complex, when constructing underground structures under the ground, various non-adherent construction methods have been recently implemented to form sufficient-sized underground structures while minimizing the impact on existing ground and underground structures. It was developed.
하지만, 기존 지하구조물이 있는 상태에서 그 지하구조물의 구조체 변경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있어서는 그동안 대체할 수 있는 설계기술이 개발되지 못했다.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is changed while there is an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n alternative design technology has not been developed.
그 이유는 지상공간과 지하공간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시공현장조건상 지표면 상부에서도 굴착 시공방법으로 실시할 수 없으며, 지하공간에서도 비개착 시공방법으로 실시하기에는 비용과 시간, 그리고 기존 지하공간내부의 주요한 인프라시설물의 존재 등으로 인해 시공할 수 없다.The reason is that the ground space and the underground space are very complex. Therefore, under the construction site conditions, it cannot be carried out by excavation method even on the surface of the surface. In the underground space, the cost and time to carry out the non-adhesive construction method, and the main infrastructure inside the existing underground space It cannot be constructed due to the presence of facilities.
이처럼, 종래의 개착 시공방법과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시공방법의 경우, 설계계획단계에서부터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open construction method and the non-open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s, there are problems that are difficult to apply from the design planning stage.
지표면 상부에 기존 구조물이 존재하여 개착 시공방법에 의한 보강이 불가능하고, 지하공간에서 비개착 시공방법에 의한 보강 역시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There is a case where the existing structure exist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rface, so reinforcement by the open-ended construction method is impossible, and reinforcement by the non-adhered construction method is also impossible in the underground space.
도 1a 내지 도 1e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도 1a에 되시된 바와 같이 지표면(12)아래의 지하공간에 지하BOX구조물이 존재할 경우, 중앙기둥부(11)를 제거하거나 천정슬래브(10)를 제거하여 기존 지하구조물의 단면공간을 변경할 경우, 개착 및 비개착 공법에 의한 시공이 거의 불가능한 조건이 된다.Referring to Figures 1a to 1e, in more detail, first, as shown in Figure 1a, if there is an underground BOX structure in the underground space below the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구조물(Arch터널포함)의 중앙기둥부(11')를 일부 철거하여 시공할 필요성이 있을 경우, 현재 존재하는 방법으로는 거의 시공이 불가능한 조건이 된다.As shown in Fig. 1B, when there is a need to demolish and construct the central pillar 11' of the tunnel structure (including the Arch tunnel), it is almost impossible to construct the existing method.
또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표면(12)과 지하BOX구조물 사이에 존재하는 또 다른 지하구조물(13) 예를 들면, 연결통로, 지하수로BOX, 매설관, 전력구 등이 존재할 경우, 이 역시 시공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c, another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구조물 상부에 건물상부구조물(14-1)과 건물지하(14-2)구조물이 동시에 존재할 경우에 대해서도 현재 존재하는 방법으로는 거의 시공이 불가능한 조건이 된다.As shown in FIG. 1D, even when the building superstructure 14-1 and the building substratum 14-2 exist simultaneously on the top of the existing structure, it is a condition that construction is almost impossible using the existing method.
도 1e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중앙기둥부(11)가 제거 될 경우, 중앙기둥부(11)의 제거 및 철거로 인해, 제거 후 천정슬래브(10)에 발생하는 모멘트가(M1-1,M2-1) 제거 전 천정슬래브(10)에 발생하는 모멘트(M1,M2)보다 매우 크게 발생할뿐만아니라, 지표면에 침하(d1)도 과다하게 발생하게 되므로, 기존 지하BOX구조물의 안정성에 치명적인 문제를 가져오게 된다.As shown in Figure 1e, when the
이렇게 기존 지하구조물에 발생하는 상부하중이 증가하거나, 기존 지하구조물의 구조체 철거 및 구조체 부분제거 등으로 인한 구조체 변경이 필요하게 되면, 기존 구조물의 시설한계선이 허락하는 범위내에서 보강구조계획을 결정해야 한다. 이와 같은 경우, 시설한계선이 허락하는 범위내에 보강할 수 있는 보강구조에 한계가 있으며, 그 시공방법 또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안고 있다.If the upper load generated in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increases, or the structure needs to be changed due to the demolition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or the removal of the structure part, the reinforcement structure plan should be determined within the limits allowed by the facility limit line of the existing structure. do. In this case, there is a limit to the reinforcing structure that can be reinforced to the extent permitted by the facility limit lin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also has a difficult problem to solve.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존 지하구조물의 구조체를 사용함에 있어서, 지하구조물의 사용용도가 추가 변경되어 증축, 축소, 이설, 신축구조물과의 연결, 횡단 및 종단 교차 공사가 실시될 경우 기존 지하구조물의 안정성, 내구성, 내진성 등이 확보되고 기존 지하구조물을 사용하면서 공사시공이 가능하며, 급속시공이 가능하여 경제성이 극대화되는 새로운 형태로 구현할 수 있는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se of the existing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the us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is further changed to expand, contract, move, connect with the new structure, cross and cross-section construction When implemented, stability, durability, and seismic resistance of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s are secured. Construction can be performed while using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s, and rapid construction is possible. Non-adhesive reinforcement connection of underground structures that can be realized in a new form that maximizes economic efficiency.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non-adhesive reinforced connection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re as follows.
우선,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는, 지중에 있는 대상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와 지표면의 기초판과 상호 연결하여 보강하는 구조로, 천정슬래브 하부면에 스틸재질의 강판 또는 콘크리트 또는 복합강성재질의 얇은 보강판을 부착시킨 대상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와 지표면에 신설될 기초판과 연결시켜 그 기초판의 접지압 또는 기초판 지내력을 통해 대상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가 침하하지 않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사용되는 연결보강재는 인장부재, 철근, 강관, 파이프, 강연선 등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First, the non-adhesive reinforcing connection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that is reinforced by interconnecting and reinforcing the ceiling slab of the target underground structure in the ground and the base plate of the ground surface. The ceiling slab of the target underground structure to which the thin steel plate of the material or the concrete or composite rigid material is attached and the base plate to be newly established on the ground surface are connected to the ceiling slab of the target underground structure through the ground pressure of the base plate or the bearing strength of the base plate. This is a configuration to prevent settlement. At this time, the connection reinforcing material used can be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tensile members, reinforcing bars, steel pipes, pipes, and steel wires.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는, 지중에 있는 대상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와 그 천정슬래브 상부에 존재하는 기존시설물의 기초판 또는 바닥슬래브와 연결시켜 그 기초판 또는 바닥슬래브의 접지압 또는 지내력을 통해 대상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가 침하하지 않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non-adhesive reinforcing connection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base slab of the target underground structure in the ground and the base plate or floor slab of an existing facility existing above the ceiling slab, and the base plate. Or, it is a structure to prevent the ceiling slab of the target underground structure from sinking through the ground pressure or endurance of the floor slab.
이때, 추가로 설치가능한 구성은 대상 지하구조물의 상부에 존재하는 기존시설물의 기초판 또는 바닥슬래브의 크기를 추가로 크게 함으로서 그 접지압 또는 지내력을 증대시키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dditionally installable configuration can be formed into a structure that increases the ground pressure or endurance by further increasing the size of the base plate or floor slab of the existing facility existing above the target underground structure.
또는, 기존시설물의 기초판 또는 바닥슬래브의 크기를 추가로 크게 하지 않는 대신에, 기존시설물의 하부에 지반개량체를 형성시키거나, 외주면에 날개가 부착되어 있는 스틸류의 관을 형성시켜 날개의 연직저항으로 침하억제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날개가 부착되어 있는 스틸류의 관은 제 1실시예인 경우에도 사용되게 하여 침하억제와 내구성 및 내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lternatively, instead of increasing the size of the base plate or floor slab of the existing facility, instead of forming a ground improver on the lower part of the existing facility, or by forming a tube made of steel with wings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t can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improve the settlement inhibition by vertical resistance. Steel pipes with wings attached at regular intervals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used herein can be used even in the first embodiment to improve settlement inhibition, durability and seismic resistance.
상기 제1 실시예, 제 2실시예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연결보강재는 철근, 인장부재, 강관, 파이프, 강연선, 외주면에 날개부착형 스틸류 관 등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제1 실시예에서 연결부재 또는 인장부재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상시 연결부재 또는 인장부재에서 계측값을 실측하여 유지보수를 원할히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잘 이용되는 특징으로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향후 사용중 침하발생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가능한 유지보수 구조시스템도 함께 갖추게 되는 것이다.The connection reinforcing materials commonly used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may be variously used, such as a reinforcing bar, a tension member, a steel pipe, a pipe, a steel wire, and a wing-type steel pip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n more detail, when the connecting member or the tension member is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it is well used as a structure capable of performing maintenance smoothly by measuring the measured value at the connection member or the tension member at all times to enable maintenance. I have it as a characteristic.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equipped with a maintenance structure system that can be quickly responded to settlement during use in the future.
또한, 제 1실시예, 제 2실시예에서 함께 사용되는 강관, 파이프, 외주면 날개부착형 스틸류 관의 연결보강재는 파이프로드 또는 강연선과 함께 사용할 수 있어, 보강연결구조를 더욱 더 견고하게 하고 내구성과 안정성을 더더욱 확보하도록 되게 되는 구조인 것이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reinforcing material of steel pipes, pipes, and steel pipes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used together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can be used together with pipe rods or strands, making the reinforced connection structure more robust and durable. It is the structure that is to secure more stability.
또한,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의 시공방법은 상기에 설명한 제 1실시예, 제 2실시예의 보강연결구조를 포함하는 다양한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non-adhesive reinforcing connection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various construction methods including the reinforcing connection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우선,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의 시공방법은, 기존 지하구조물의 사용용도가 변경되어 기존 지하구조물의 중앙기둥부가 제거 또는 일부 철거되는 경우, 지표면에 지하구조물을 비개착식으로 보강연결하는 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의 하부면에 보강판을 부착하는 단계 ; 상기 보강판을 관통하여 천정슬래브에 제1연결공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지하구조물과 대응하는 지표면에 형성되는 기초판에 제2연결공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제1,2연결공과 대응하는 지중에 삽입공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제1연결공에 노출되는 연결보강재의 하단을 보강판과 연결하고, 상기 제2연결공에 노출되는 연결보강재의 상단을 기초판에 구비되는 연결지지대와 연결하도록 상기 삽입공에 연결보강재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 ; 및 상기 연결보강재에 인장 또는 프리스트레스를 인가하도록 기초판에 상기 연결보강재와 연결되는 유지보수관리시스템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보강재는 철거되어 제거될 중앙기둥부사이에 형성되는 절개부에 배치되어, 상기 지하구조물과 대응하는 지표면에 구비되는 기초판을 상기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와 연결보강재를 통하여 상호 연결함으로써, 상기 기초판의 접지압 또는 기초판의 지내력을 증대시켜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가 침하되지 않도록 보강하는 것이다. First,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non-adhesive reinforced connection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is changed and the central pillar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is removed or partially demolished, the underground structure is non-adhered to the ground surface.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ructure for reinforcing connection, comprising: attaching a reinforcing plate to a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slab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Forming a first connecting hole in the ceiling slab through the reinforcing plate; Forming a second connecting hole in the base plate formed on the groun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underground structure; Forming an insertion hole in the grou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holes; Connec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exposed to the first connection hole with a reinforcement plate, and insert a connection reinforcement into the insertion hole to connect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exposed to the second connection hole with a connection support provided on the base plate To install; And forming a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tiffener on a base plate to apply tension or prestress to the connection stiffener, and the connection stiffener is disposed in an incision formed between the central pillars to be removed and removed. The base plate provided on the groun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underground structure is interconnected with the ceiling slab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through a connection reinforcement material, thereby increasing the ground pressure of the base plate or the endurance of the base plate, and the ceiling slab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sinks. It is reinforced so as not to be.
본 발명의 또다른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의 시공방법은, 지중에 있는 대상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 하부면에 스틸재질의 강판 또는 콘크리트 복합강성재질의 얇은 보강판을 부착시키고, 보강연결구조가 설치될 위치에 대응하도록 천정슬래브에 제1연결공을 형성하는 단계; 대상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 상부에 존재하는 기존시설물의 기초판 또는 바닥슬래브에 제2연결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강연결구조를 설치하기 위한 지중에 삽입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강연결구조를 설치하기 위한 연결보강재를 삽입공에 삽입설치하는 단계; 상기 보강연결장구조를 설치 후 유지보수관리시스템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other method of constructing a non-adhesive reinforcing connection structure of an undergroun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ttach a thin steel plate of steel material or a concrete composite rigid material to a lower surface of a ceiling slab of a target underground structure in the ground, and a reinforced connection structure Forming a first connecting hole in the ceiling slab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to be installed; Forming a second connecting hole in the base plate or floor slab of the existing facility existing above the ceiling slab of the target underground structure; Forming an insertion hole in the ground for installing the reinforcing connection structure; Inserting and installing a connection reinforcing material for installing the reinforcing connection structure into the insertion hole; And forming a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after installing the reinforcing connection length structure.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의 시공방법 중, 상기 보강연결구조를 위한 연결보강재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형성하는 단계에 있어서, 외주면에 날개가 부착되어 있는 스틸류의 관을 회전관입시켜 급속시공하는 단계를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의 시공방법 중, 연결부재 또는 인장부재와 같은 연결보강재를 삽입시공하여 인장 또는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단계를 유지보수 관리시스템에 포함시킬 수 있다.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non-adhesive reinforcing connection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the step of form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connection reinforcing material for the reinforcing connection structure is inserted, a tube of steels with wings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may include the step of rapid intrusion by rotating. In addition, among the construction methods of the non-adhesive reinforcing connection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step of inserting and constructing a connection reinforcing material such as a connection member or a tension member to impart tension or prestress may be included in th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
이러한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하면, 기존 지하구조물의 구조체를 사용함에 있어서, 지하구조물의 사용용도가 추가 변경되어 증축, 축소, 이설, 신축구조물과의 연결, 횡단 및 종단 교차 공사가 실시될 경우, 기존 지하구조물의 구조체가 제거 또는 일부 철거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기존 지하구조물의 안정성, 내구성, 내진성 등이 확보되고 기존 지하구조물을 사용하면서 공사시공이 가능하며, 급속시공이 가능하여 경제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According to the non-adhesive reinforcing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se of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the us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is additionally changed to increase, reduce, move, and connect with the new structure, When cross- and cross-section construction is carried out,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s are removed or partially removed. At this time, the stability, durability, and seismic resistance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re secured, and construction can be performed while using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rapid construction is possible, which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economic efficiency.
그리고, 기존 지하구조물의 구조체 제거 및 일부철거의 시공중 기존구조물이 안정성을 확보하여 과도한 천정슬래브의 침하를 억제함과 동시에, 지표면에 신설되는 기초판의 지내력이 충분히 확보되는 구조이므로 추가적인 외부하중에 의해서도 그 안정성이 더더욱 확보되며, 연결보강재을 인장 및 프리스트레스하중이 이용함으로 인해, 유지보수의 관리가 매우 용이하여 시공후 품질확인 및 품질체크가 가능한 유지보수관리시스템의 능력을 갖추고 있다.In addition, during the removal of structures of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s and the construction of some demolition, the existing structures secure stability to suppress the settlement of excessive ceiling slabs, and at the same time, the external strength of the foundation plate newly built on the surface is sufficiently secured. By this, the stability is further secured, and since the tension and prestress loads are used for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maintenance is very easy, and it is equipped with the ability of a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that enables quality check and quality check after construction.
또한, 연약한 지반조건인 경우, 기초판의 접지압 또는 지내력을 충분히 확보시키기 위한 목적과 지진과 같은 수평하중, 편토압이 발생하는 조건에 대해서도 지반과의 마찰전단저항이 증대되는 외주면 날개부착형 스틸류관을 사용함으로서 전체 지하구조물의 보강구조 안정성이 확보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soft ground conditions, the outer surface is equipped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wing that increases the frictional shear resistance with the ground even for the purpose of sufficiently securing the grounding pressure or endurance of the base plate and the conditions such as earthquakes and horizontal loads and flattening pressure. By using, the stability of the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entire underground structure is secured.
가장 큰 효과로서는 보강 공사비가 매우 저렴하고, 신속한 시공이 가능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기존 지하구조물 내부의 시설한계선이 허락하는 범위내에서 보강구조가 이루어지므로, 종래의 보강구조의 한계와 그 시공방법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The biggest effect is that the reinforcement construction cost is very inexpensive, and it has an effect capable of rapid construction. In addition, since the reinforcement structure is made within a range allowed by the facility limit line in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it has an effect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reinforcement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도 1a 내지 1e는 종래의 지하구조물의 형태를 소개하는 단면도,
도 2a 내지 도2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3a 내지 도3d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4a 내지 도4c는 본 발명에 따른 기존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 확대도면으로 비개착 보강연결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를 또 다른 방법으로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의 유지보수관리시스템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8a 내지 도8c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의 조합가능 구조 형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1A to 1E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conventional underground structure,
2A to 2D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non-adhesive reinforcing connection structure of an under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D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non-adhesive reinforcing connection structure of an under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to 4c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in detail the non-adhesive reinforcing connection structure as an enlarged view of the ceiling slab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b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non-adhesive reinforced connection structure of an under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B are flow 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non-adhesive reinforced connection structure of an under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other method,
7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of a non-adhesive reinforced connection structure of an under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C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combinable structure form of a non-adhesive reinforcing connection structure of an under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라 한다)가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범위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so that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normal engineer") can easily implemen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 scop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에 따른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은, 지하구조물의 사용용도가 추가 변경되어 증축, 축소, 이설, 신축구조물과의 연결, 횡단 및 종단 교차 공사가 실시될 경우, 기존 지하구조물의 구조체가 제거 또는 일부 철거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기존 지하구조물의 안정성, 내구성, 내진성 등이 확보되고 기존 지하구조물을 사용하면서 공사시공이 가능하며, 급속시공이 가능하여 경제성이 극대화되는 새로운 형태로 구현할 수 있는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non-adhesive reinforcing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is additionally changed, the extension, reduction, relocation, connection with the new structure, crossing and cross-section crossing are carried out. The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may be removed or some demolished. At this time, the stability, durability, seismic resistance, etc.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s are secured. Construction is possible while using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s, and rapid construction is possibl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이하, 첨부된 도 2a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이하, 줄여서 '비개착 보강연결구조'라 함)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s 2a to 8, the non-adhesive reinforcement connection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non-adhesive reinforcement connection structure' for shor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표면에 신설한 기초판(20)과 기존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10)간을 연결보강재(30)로 서로 연결 결합시켜, 도 1e에 도시된 중앙기둥부(11)가 제거되더라도 과도한 지표면침하를 억제하고, 기존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10)에 발생하는 모멘트가 과도하게 발생하지 않으며, 구조적으로 안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비개착 보강연결구조이다.As shown in Figure 2a, by connecting the
이때, 보조적 구성으로, 기존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10)의 하부면에 얇은 강판인 보강판(31)을 설치하고, 지표면에 신설된 기초판(20)에는 이와 일체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지지대(32)를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더욱 견고한 보강연결구조를 갖추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in an auxiliary configuration, a thin steel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a에 도시된 일체형 기초판(20)과는 달리, 부분형 기초판(21,22)을 신설로 설치하여, 연결보강재(30)를 통해 기존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10)와 서로 연결시켜, 보다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토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C, unlike the
이때, 기존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 하부에 설치되는 얇은 강판인 보강판(31)의 길이도 일체형 또는 부분형 길이로 보다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토록 구성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또한, 도 2b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판(20,21,22) 하부에 지반개량체(35)를 형성하여 연약한 지반에 대해서 기초판(20,21,22)의 접지압 또는 지내력이 더욱더 증대되는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B and 2D, the
상기에서 설명하는 지반개량체(35)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주로 많이 현장에서 다양하게 사용되는 공법중 하나이므로, 보편적인 지반개량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Since the
또한,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날개가 부착된 스틸류 관(33)을 사용하여, 기초판(20,21,22)의 접지압 또는 지내력을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지반개량체(35)와 혼용하여 사용할 경우, 압축지지력과 인발지지력은 물론이거니와, 지진과 같은 수평하중이 크게 작용할 경우 내진성, 내구성의 효과가 매우 커져 경제적효과가 나타나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3a and 3b, by using a
여기서, 외주면에 날개가 부착된 스틸류 관(33)은 반드시 그 재질이 스틸에만 국한 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친환경 소재, 플라스틱 소재 등의 경우에 그 기능을 수행하는데 충분하다면 전혀 문제가 되지 않음을 밝혀둔다.Here, the
또한, 외주면에 날개가 부착된 스틸류 관(33)의 길이는 적절하게 설계가 가능하며, 지반개량체(35)의 직경 및 길이도 적절하게 결정하여 사용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도 3c와 도 3d는 부분형 기초판(21,22)의 평면도를 나타낸 실시예로서, 연결보강재(30)의 배치와 지반개량체(35)에 삽입된 형태의 외주면 날개가 부착된 스틸류 관(33)의 배치에 대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3c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3c and 3d are examples showing a plan view of the
도 4a 내지 도 4b는 기존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10)에 배치되는 연결보강재(30)와 얇은 강판인 보강판(31), 외주면 날개부착형 스틸류 관(33)의 사용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세하게 보여주고 있다. 특히 도 4b의 확대도A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연결보강재(30)는 철거되어 제거될 중앙기둥부(11) 사이의 절개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외주면 날개부착형 스틸류 관(33)내부에 시스관 형태로 설치되어 연결보강재(30)로서 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위치되게 배치할 수 있다.Figures 4a to 4b shows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connecting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판(20) 상부에 유지보수용 덮개(40)를 설치하여, 향후 유지보수관리시스템을 설정하고 운용할 수 있도록 형성시키게 된다. 상세한 설명은 도 7에 나타나는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의 유지보수관리시스템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사용하여 적용되게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ure 4c, by installing the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설명하는 도면에서 나타나는 순서대로 시공방법이 진행되게 되는 것이다. 전반적인 시공방법의 순서는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천정슬래브에 제1연결공을 형성하는 단계나 스틸류 관(33)을 회전관입시키는 단계나 연결보강재에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단계 등의 시공순서에 약간의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러한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은 도 5a 에서와 같이, 기존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의 하부면에 보강판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보강연결구조가 설치될 위치에 대응하도록 천정슬래브에 제1연결공을 형성하는 단계, 기존 지하구조물과 대응하는 지표면에 형성되는 기초판에 제2연결공을 형성하는 단계, 제1,2연결공과 대응하는 지중에 삽입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천정슬래브와 기초판을 연결하도록 삽입공에 연결보강재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 및 유지보수 관리시스템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도 5b 와 같이, 기존 지하구조물과 대응하는 지중에 삽입공을 형성하는 단계, 외주면에 날개가 부착된 스틸류 관을 지중에 회전관입시켜 급속시공하는 단계, 기존 지하구조물과 대응하는 지표면에 기초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천정슬래브와 기초판을 연결하도록 삽입공에 연결보강재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 상기 연결보강재에 인장 또는 프리스트레스를 인가하는 단계(초기 관리값 설정) 및 유지보수관리시스템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5a to 5b is a method for constructing a non-adhesive reinforced connection structure of an under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struction method proceeds in the order shown in the drawings. The overall construction method is generally performed as shown in the drawings, but in some cases, the step of forming a first connecting hole in the ceiling slab or the step of rotating the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non-adhesive reinforced connection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is a step of attaching a reinforcement plat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slab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s shown in FIG. 5A, and the ceiling slab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where the reinforcement connection structure is to be installed. Forming a first connecting hole in the first step, forming a second connecting hole in a base plate formed on a ground surface corresponding to an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forming an insertion hole in the grou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holes, the And inserting and installing a connecting reinforcement into the insertion hole to connect the ceiling slab and the base plate, and forming a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5b, forming an insertion hole in the ground corresponding to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the step of rapid construction by rotating the steel tube with wings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to the underground, the surface of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Forming a base plate, inserting and installing a connection reinforcement in an insertion hole to connect the ceiling slab and the base plate, applying tension or prestress to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initial management value setting)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It includes the step of forming.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를 또 다른 방법으로 시공하는 설명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기본적인 내용은 도면에서 설명하는 순서대로 시공방법이 진행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에도 전반적인 시공방법의 순서는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진행되는것이 일반적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천정슬래브에 제1연결공을 형성하는 단계나 스틸류 관(33)을 회전관입시키는 단계나 연결보강재에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단계 등의 시공순서에 약간의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러한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은 도 6a 에서와 같이, 기존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의 하부면에 보강판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보강연결구조가 설치될 위치에 대응하도록 천정슬래브에 제1연결공을 형성하는 단계, 기존 시설물의 기초판 또는 바닥슬래브에 제2연결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2연결공과 대응하는 지중에 삽입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천정슬래브와 기초판 또는 바닥슬래브를 연결하도록 삽입공에 연결보강재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연결보강재 인장 시공 포함) 및 유지보수 관리시스템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도 6b 와 같이, 기존 지하구조물과 대응하는 지중에 삽입공을 형성하는 단계, 외주면에 날개가 부착된 스틸류 관을 지중에 회전관입시켜 급속시공하는 단계, 상기 천정슬래브와 기초판 또는 바닥슬래브를 연결하도록 상기 삽입공에 연결보강재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연결보강재 인장 시공 포함), 상기 연결보강재에 인장 또는 프리스트레스를 인가하는 단계(초기 관리값 설정) 및 유지보수관리시스템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6A to 6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the construction of the non-adhesive reinforcing connection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other method, and the basic content is that the construction method proceeds in the order described in the drawings. Here, it is common for the overall construction method to proceed as shown in the drawings, but in some cases, a step of forming a first connecting hole in a ceiling slab or a step of rotating a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non-adhesive reinforcement connection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is a step of attaching a reinforcement plat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slab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s shown in FIG. 6A, and the ceiling slab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where the reinforcement connection structure is to be installed. Forming a first connecting hole in, forming a second connecting hole in the base plate or floor slab of the existing facility, forming an insertion hole in the grou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holes, and the ceiling slab And inserting and installing a connection reinforcement into the insertion hole to connect the base plate or the floor slab (including tension construction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and forming a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6b, forming an insertion hole in the ground corresponding to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the step of rapid construction by rotating the steel tube with wings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to the ground, the ceiling slab and the base plate or the bottom Step of inserting and installing a connection reinforcement in the insertion hole to connect the slab (including tensile construction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applying tension or prestress to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initial management value setting) and forming a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It includes.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의 유지보수관리시스템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시 유지보수관리를 원할히 수행하기 위해, 시공시 유지보수를 위한 사전계획을 설계단계에 넣어, 시공시 아날로그방식 또는 디지털방식을 통해 정기적 및 비정기적 계측값을 목표관리치에 따라 평가,관리하고 노후화된 연결보강재에 대해서는 교체 또는 재설치를 통해, 안정적으로 안심하고 구조물을 사용, 관리 할 수 있도록 유지보수관리시스템을 구축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유지보수관리시스템은 도 7과 같이, 지표면에 시공된 기초판에 유지보수관리시스템을 설치하고, 공용중 아날로그방식 또는 디지털방식을 이용한 계측 INPUT값을 메모리하고,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이용하여 상시 계측하며, 계측치의 위험도를 평가하며, 필요시 연결보강재를 재인장 또는 재긴장을 통한 목표관리치를 설정하며, 필요시 연결보강재를 교체하거나 재설치를 실시하며, 상시 유지보수관리시스템의 일상화를 유지한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of a non-adhesive reinforced connection structure of an under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moothly carry out maintenance management at all times, put a pre-plan for maintenance during construction into the design stage, and target regular and irregular measurement values through an analog method or a digital method during construction. It is to establish and maintain a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that enables reliable and reliable use and management of structures by evaluating and managing them according to the value and replacing or re-installing the aged reinforcement.
7, th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is installed on the base plate constructed on the ground surface as shown in FIG. 7, and the measurement INPUT value using the analog method or the digital method is shared during common use, and the measurement is always performed using the monitoring system. It evaluates the risk of the measured value, sets the target management value through retension or retension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if necessary, replaces or reinstalls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if necessary, and maintains the routin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도 8a 내지 도 8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하BOX구조물이 아닌 구조물에 대해서도 다양한 형태의 지하구조물에 대해 본 발명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Arch형 터널구조물이나, 기존 지하구조물(매설관, 지하차도, 연결통로, 전력구 등)이 존재할 경우나, 지하구조물을 가진 건축구조물이 존재할 경우가 아니더라도 다양한 현장조건에 대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As shown in Figures 8a to 8c, it shows that the non-adhesive reinforced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underground structures even for structures other than underground BOX structure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various site conditions even if there is no arch-type tunnel structur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s (buried pipes, underground roadways, connecting passageways, electric power tools, etc.) or architectural structures with underground structures. Reveal that you ca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존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 10' : 터널구조물의 라이닝
11 : 기존 지하구조물의 중앙기둥부 11' : 아치터널의 중앙기둥부
12, 12' : 지표면 13 : 다양한 지하구조물
14-1 : 건축지상구조물 14-2 : 건축지하구조물
M1, M2 : 중앙기둥(11) 제거 전, 천정슬래브의 발생모멘트
M1-1, M2-1 : 중앙기둥(11) 제거 후, 천정슬래브의 발생모멘트
d1 : 중앙기둥부(11) 제거 후, 지표면의 발생 침하량
20, 21, 22, 23 : 기초판 30 : 연결보강재
31 : 보강판 32 : 연결지지대
33 : 외주면에 날개가 부착된 스틸류 관
35 : 지반개량체
40 : 유지보수용 덮개*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 Ceiling slab of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10': Lining of tunnel structure
11: Central pillar of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11': Central pillar of arch tunnel
12, 12': Surface 13: Various underground structures
14-1: Building ground structure 14-2: Building underground structure
M1, M2: The moment of occurrence of the ceiling slab before removing the central column (11)
M1-1, M2-1: The moment of occurrence of the ceiling slab after removing the central column (11)
d1: The amount of settlement on the surface after removal of the central column (11)
20, 21, 22, 23: base plate 30: connection reinforcement
31: reinforcement plate 32: connection support
33: steel tube with wings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35: ground improver
40: maintenance cover
Claims (7)
상기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10)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보강판(31) ;
상기 보강판을 관통하여 천정슬래브(10)에 형성되는 제1연결공 ;
상기 지하구조물과 대응하는 지표면에 형성되는 기초판(20)에 형성되는 제2연결공 ;
상기 제1연결공을 통해 노출되는 하단이 상기 보강판과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공을 통해 노출되는 상단이 상기 기초판에 구비되는 연결지지대(32)와 연결되도록 지중에 형성되는 삽입공에 삽입설치되는 연결보강재(30) ; 및
상기 연결보강재(30)는 철거되어 제거될 중앙기둥부(11)사이에 형성되는 절개부에 배치되어,
상기 지하구조물과 대응하는 지표면에 구비되는 기초판(20)을 상기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10)와 연결보강재(30)를 통하여 상호 연결함으로써, 상기 기초판의 접지압 또는 기초판의 지내력을 증대시켜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가 침하되지 않도록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 When the use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is changed and the central pillar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is removed or partially removed, in the structure of reinforcingly connecting the underground structure to the surface of the ground,
A reinforcement plate 31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slab 10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 first connecting hole formed in the ceiling slab 10 through the reinforcing plate;
A second connecting hole formed in the base plate 20 formed on the groun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underground structure;
The lower end exposed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hole is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plate, and the upper end exposed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hol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ground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upport 32 provided in the base plate. Connection reinforcement 30 is inserted and installed; And
The connection stiffener 30 is disposed in the incision formed between the central column 11 to be removed and removed,
By interconnecting the base plate 20 provided on the groun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underground structure through the ceiling slab 10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nd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30, the ground pressure of the base plate or the endurance of the base plate is increased. Non-adhesive reinforcing connection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eiling slab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is reinforced so that it does not sink.
상기 기초판과 접하여 접지압이나 지내력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기초판과 상기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와의 사이에 해당하는 지중에 적어도 하나의 지반개량체를 구비하는,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 According to claim 1,
A non-adhesive reinforcing connection structure of an underground structure provided with at least one ground improver in the ground corresponding to the base plate and the ceiling slab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so as to increase ground pressure or endurance in contact with the foundation plate.
상기 기초판과 접하여 접지압이나 지내력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기초판과 상기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와의 사이에 해당하는 지중에 날개가 외주면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스틸류 관을 회전관입하여 구비하는,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plate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steel pipe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ceiling slab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so as to increase ground pressure or endurance in contact with the base plate. Non-adhesive reinforced connecting structure of the structure.
상기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10)의 하부면에 보강판(31)을 부착하는 단계 ;
상기 보강판을 관통하여 천정슬래브(10)에 제1연결공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지하구조물과 대응하는 지표면에 형성되는 기초판(20)에 제2연결공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제1,2연결공과 대응하는 지중에 삽입공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제1연결공에 노출되는 연결보강재(30)의 하단을 보강판(31)과 연결하고, 상기 제2연결공에 노출되는 연결보강재(30)의 상단을 기초판에 구비되는 연결지지대(32)와 연결하도록 상기 삽입공에 연결보강재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 ; 및
상기 연결보강재에 인장 또는 프리스트레스를 인가하도록 기초판(20)에 상기 연결보강재와 연결되는 유지보수관리시스템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보강재(30)는 철거되어 제거될 중앙기둥부(11)사이에 형성되는 절개부에 배치되어,
상기 지하구조물과 대응하는 지표면에 구비되는 기초판(20)을 상기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10)와 연결보강재(30)를 통하여 상호 연결함으로써, 상기 기초판의 접지압 또는 기초판의 지내력을 증대시켜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가 침하되지 않도록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의 시공방법. 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structure for reinforcingly connecting the underground structure to the surface of the ground, when the use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is changed and the central pillar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is removed or partially removed.
Attaching a reinforcement plate (31)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slab (10)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Forming a first connecting hole in the ceiling slab 10 through the reinforcing plate;
Forming a second connecting hole in the base plate 20 formed on the groun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underground structure;
Forming an insertion hole in the grou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holes;
A connection support 32 provided at a base plate to connec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30 exposed to the first connection hole with the reinforcement plate 31 and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30 exposed to the second connection hole ) To insert a connection reinforcement in the insertion hole to connect with; And
And forming a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tiffener on the base plate 20 to apply tension or prestress to the connection stiffener, and the connection stiffener 30 is removed and removed to the central pillar 11 ) Is disposed in the incision formed between,
By interconnecting the base plate 20 provided on the groun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underground structure through the ceiling slab 10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nd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30, the ground pressure of the base plate or the endurance of the base plate is increased. Construction method of a non-adhesive reinforced connection structure of an undergroun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eiling slab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is reinforced so that it does not sink.
상기 삽입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초판과 접하여 접지압이나 지내력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기초판과 상기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와의 사이에 해당하는 지중에 적어도 하나의 지반개량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의 시공방법.According to claim 4,
The step of forming the insertion hole includes forming at least one ground improver in the ground corresponding to the base plate and the ceiling slab of the basement structure so as to increase the ground pressure or endurance in contact with the base plate.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non-adhesive reinforced connection structure of underground structures.
상기 삽입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초판과 접하여 접지압이나 지내력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기초판과 상기 지하구조물의 천정슬래브와의 사이에 해당하는 지중에 날개가 외주면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스틸류 관을 회전관입하여 급속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하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의 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4,
The step of forming the insertion hole is at least one steel pipe with wings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ground corresponding to the base plate and the ceiling slab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to increase ground pressure or endurance in contact with the base plate. A method of constructing a non-adhesive reinforcing connection structure of an underground structure comprising rotating and rapidly construct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5337A KR102137389B1 (en) | 2012-07-11 | 2012-07-11 | Reinforcement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of underground box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5337A KR102137389B1 (en) | 2012-07-11 | 2012-07-11 | Reinforcement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of underground box struc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8641A KR20140008641A (en) | 2014-01-22 |
KR102137389B1 true KR102137389B1 (en) | 2020-07-24 |
Family
ID=50142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75337A Active KR102137389B1 (en) | 2012-07-11 | 2012-07-11 | Reinforcement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of underground box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738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8390B1 (en) * | 2015-08-17 | 2016-09-21 | 지엘콘(주) | Reinforcement method of culvert |
CN109056793A (en) * | 2018-08-15 | 2018-12-21 | 中国华冶科工集团有限公司 | Underground pipe gallery pre-reinforcement crossing pipeline construction method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6328B1 (en) * | 2004-01-20 | 2006-09-20 | 주식회사유신코퍼레이션 | Demolition and expansion of walls of subway structures in operation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768747B2 (en) * | 2004-11-29 | 2011-09-07 | セオ,ドンヒュン | Pre-support tunnel construction method and equipment adapted to it |
KR100957573B1 (en) * | 2008-09-22 | 2010-05-11 | 피에스엔지니어링(주) | Spiral steel pipe pile for direct hole grouting for improving bearing capacity and its use method |
-
2012
- 2012-07-11 KR KR1020120075337A patent/KR10213738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6328B1 (en) * | 2004-01-20 | 2006-09-20 | 주식회사유신코퍼레이션 | Demolition and expansion of walls of subway structures in oper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8641A (en) | 2014-01-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64805B1 (en) |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with unit wall block | |
CN101509263A (en) | Digging method foundation pit structure of steel cover and plate cover, and construction method | |
CN103790393B (en) | A kind of construction method of existing building structure integral replacement | |
KR102218604B1 (en) | Earth retaining construction method for using pile and inclined ground anchor | |
CN106401069A (en) | Damage repairing assembly type combined column with self-reset function | |
KR100967497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 |
KR20080005109A (en) | Supporting structure of earth wall unit by horizontal arch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20130006420A (en) | Method of constructing underground structure to be newly built | |
CN202298633U (en) | Arch root pile isolation piling wall | |
KR102197103B1 (en) | One-sided Camber-type Composite File for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is sam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using this same | |
CN206256622U (en) | Damage with runback bit function can repair assembled coupled column | |
CN106320349A (en) | Foundation Pit Reinforcement Support Device | |
KR101658020B1 (en) | Joint Structure of Pile-to-Pile cap Connection for Concrete Structure | |
KR101566528B1 (en) | Basement extens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underground structure | |
US20120301227A1 (en) | Foundation pile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 |
JP2015135045A (en) | Installation stabilization method for long objects and installation method for long objects | |
CN110359450B (en) | Assembled round pil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331219B1 (en) | Micro pile with reinforced tip support | |
KR102137389B1 (en) | Reinforcement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of underground box structure | |
CN206128085U (en) | Foundation Pit Reinforcement Support Device | |
KR20120134677A (en) | The precast concrete closed conduit that is reinforced by the shear connector and constructing method of it | |
CN108412522A (en) | Underground engineering wall portal ruggedized construc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JP4228308B2 (en) | Reinforcement method for existing floors and seismic isolation method for existing buildings | |
KR100967496B1 (en) | Device for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 |
JP4885039B2 (en) | Lightweight embankment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1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7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7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6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007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7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